KR20180089729A - 전류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전류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9729A
KR20180089729A KR1020170014417A KR20170014417A KR20180089729A KR 20180089729 A KR20180089729 A KR 20180089729A KR 1020170014417 A KR1020170014417 A KR 1020170014417A KR 20170014417 A KR20170014417 A KR 20170014417A KR 20180089729 A KR20180089729 A KR 201800897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rent
output current
output
transformer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44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현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144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89729A/ko
Publication of KR201800897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97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5/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 H02M5/0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 H02M5/04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by static converters
    • H02M5/1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by static converters using transformers
    • H02M5/1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by static converters using transformers for conversion of voltage or current amplitude on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H02M3/32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33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2001/0009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류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1차 파워트레인(primary side power train); 상기 1차 파워트레인의 출련단에 연결된 변압기를 포함하는 2차 파워트레인(secondary side power train); 상기 2차 파워트레인의 변압기 1차측 입력 전류를 측정하기 위하여 상기 변압기에 직렬로 연결된 변류기를 포함하는 측정부; 상기 측정부가 측정한 상기 입력 전류에 기초하여 상기 변압기 2차측 출력 전류를 추정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가 추정한 상기 출력 전류에 기초하여 상기 입력 전류를 제어함으로써 출력 전류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출력 전류 추정 시, 정상 상태 오차 또는 측정 오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보정 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류 제어 장치{APPARATUS FOR CONTROLLING CURRENT}
본 발명은 전류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파워트레인 내의 변압기의 입력 전류를 측정하고, 이를 이용하여 변압기의 출력 전류를 추정함으로써 출력 전류를 제어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류 제어란 파워트레인 입력단에 일정 전류를 입력시켜 파워트레인의 출력단의 출력 전류를 조정함으로써 출력단에 연결된 부하에 목표 전류가 입력되도록 출력 전류를 제어하는 것이다.
종래의 전류 제어는 파워트레인의 출력 전류를 측정하고, 측정된 출력 전류에 기초하여 입력 전류의 양을 조정하는 방식에 의해 이루어졌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방식은 출력 전류를 측정하기 위한 전류 측정 장치를 출력단에 연결해야 하는데 높은 출력 전류로 인해 전류 측정 장치의 연결이 용이하지 않고, 전류가 정확하게 측정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측정된 출력 전류를 이용하여 입력 전류를 조절하므로, 전류 제어에 장시간 소비 되며, 낮은 정밀도라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기술에 의한 전류 측정에도 한계가 있었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의 기술에 의한 전류 제어장치에 구비될 수 있는 전류 측정장치에 해당하는 홀센서 및 션트 저항을 나타낸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종래에는 전류 제어를 위한 전류 측정장치로서 홀센서(hall sensor) 또는 션트 저항(shunt resistor)이 사용되었다. 상기 홀센서는 제품 내의 회로 구성에서 많은 공간을 차지하므로 홀센서의 배치가 용이하지 않다. 그리고 홀센서는 온도에 따른 온도전이(thermal drift)로 인해 넓은 동작 온도 범위 내에서 정밀도가 상대적으로 낮다는 문제점이 있다.
션트 저항은, 대전류가 션트 저항에 흐를 경우 손실이 발생하고 발열이 심하고, 이로 인해 효율이 떨어진다는 문제점과 위와 동일하게 배치가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변류기를 이용하여 측정된 입력 전류에 기초하여 각종 오차가 보정된 출력 전류 추정을 통해 정확하고 신속한 전류 제어를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류 제어 장치는, 1차 파워트레인(primary side power train); 상기 1차 파워트레인의 출련단에 연결된 변압기를 포함하는 2차 파워트레인(secondary side power train); 상기 2차 파워트레인의 변압기 1차측 입력 전류를 측정하기 위하여 상기 변압기에 직렬로 연결된 변류기를 포함하는 측정부; 상기 측정부가 측정한 상기 입력 전류에 기초하여 상기 변압기 2차측 출력 전류를 추정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가 추정한 상기 출력 전류에 기초하여 상기 입력 전류를 제어함으로써 출력 전류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출력 전류 추정 시, 정상 상태 오차 또는 측정 오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보정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입력 전류에 기초하여 상기 출력 전류를 추정하되, 상기 출력 전류에 대해 정상상태 오차 또는 측정 오차 중 적어도 하나를 보정하는 전류 보정부; 및 상기 전류 보정부가 추정한 상기 출력 전류가 목표 출력 전류에 상응하도록 상기 출력 전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로 전송하는 디지털 제어부를 포함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류 보정부는, 상기 입력 전류의 평균값, 상기 변압기의 권선비 및 상기 1차 파워트레인 전압의 듀티비를 이용하여 출력 전류를 추정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 입력 단자에 기준 전압 신호가 입력되고, (-) 입력 단자에 상기 측정부 출력 전압이 입력되는 증폭기; 상기 증폭기의 (+) 단자에 연결되며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제어되는 FET 소자;를 포함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FET 소자는 상기 디지털 제어부로부터 입력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게이트 단자의 온/오프를 조절하며, 상기 증폭기는 상기 게이트 단자가 온/오프 되는 정도에 따라 출력 전류를 조절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류 보정부는, 상기 1차파워트레인 내 스위치의 인덕턴스 또는 트랜스포머의 인덕턴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한 정상 상태 오차 또는 측정 오차를 보정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증폭기의 (-) 입력 단자와 출력 단자 사이에 직렬 RC 회로; 및 (-) 입력 단자와 측정부 출력 단자 사이에 저항;을 더 포함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디지털 제어부는, 상기 전류 보정부가 추정한 상기 출력 전류 및 목표 출력 전류를 비교하고, 그 차이를 제거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로 전송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측정부를 이용함으로써 전류 측정에 추가적인 전원이 없이도 적은 손실로 변압기의 1차측 전류 측정이 가능하다. 또한 측정부를 이용함으로써 회로 구성이 용이하다. 또한, 변압기의 1차측 전류 측정이 2차측 전류의 측정을 대신함으로써, 오차가 보정된 추정값에 기초하여 정밀도가 높은 전류 제어를 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의 기술에 의한 전류 제어장치에 구비될 수 있는 전류 측정장치에 해당하는 홀센서 및 션트 저항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류 제어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의 회로도이다.
도 4 및 도 5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류 제어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류 제어 장치는 1차 파워트레인(primary side power train)(100), 2차 파워트레인(secondary side power train)(200), 측정부(300), 프로세서(400) 및 제어부(500)를 포함하고 PWM(6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1차 파워트레인(primary side power train)(100)은 그 입력단이 전원에 연결될 수 있다.
2차 파워트레인(secondary side power train)(200)은 1차 파워트레인(100)의 출력단에 연결되는 변압기를 포함 할 수 있다. 즉 2차 파워트레인(200)은 1차 파워트레인(100)의 출력 전압 및 출력 전류를 변환할 수 있다.
측정부(300)는 1차 파워트레인(100)의 출력단의 변압기와 직렬로 연결되는 변류기를 포함 할 수 있다. 상기 변류기에 의하여 측정부(300)는 2차 파워트레인(200)의 변압기 1차측 입력 전류를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류 제어장치에 있어서 변압기 2차측이 아닌 변압기 1차측의 입력 전류를 측정하는 것이 특징이다.
프로세서(400)는 측정부(300)가 측정한 입력 전류에 기초하여 변압기 2차측 출력 전류를 추정할 수 있다.
제어부(500)는 프로세서(400)가 추정한 출력 전류에 기초하여 입력 전류를 제어함으로써 출력 전류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400)는 출력 전류 추정 시, 정상 상태 오차 또는 측정 오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보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비교하여 2차 파워트레인(200)의 변압기의 출력 전류를 추정하기 위한 구성을 포함한다. 종래에는 2차 파워트레인의 변압기의 출력 전류를 측정하여 제어에 이용하였지만, 출력 전류를 측정하는 것은 정밀도, 시간, 비용 등에 있어서 큰 어려움을 초래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출력 전류를 추정하기 위한 구성인 프로세서(4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프로세서(400)는 2차 파워트레인 내의 변압기 1차측 입력 전류를 기반으로 2차측 출력 전류를 추정할 수 있다. 이 때 변압기 1차측 입력 전류를 측정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전류 제어 장치는 측정부(300)를 포함한다. 한편, 프로세서(400)가 추정한 출력 전류에 기초하여, 실제 출력단에 목표 전류를 보내기 위해 본 발명은 입력 전류를 제어하여 출력 전류를 출력하는 제어부(500)를 포함한다.
도 3은 도 2의 회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1차 파워트레인(100)은 입력 커패시터, 변류기 및 인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커패시터는 전원의 양 단자에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인버터는 커패시터와 함께 전원의 양 단자에 입력측이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인버터는 커패시터에 충전된 전력을 기초로, 반도체 스위치 소자 및 다이오드를 이용하여 반도세 스위치의 스위칭 동작에 따라 교류 전력을 출력한다.
커패시터와 인버터 사이에 흐르는 입력 전류를 측정하기 위한 변류기가 구비될 수 있다. 변류기는 1차 파워트레인(100)의 입력 전류를 측정한다.
1차 파워트레인(100)과 연결되는 2차 파워트레인(200)은 그 내부에 변압기(main transformer)를 포함한다. 즉 변압기의 1차 코일(primary coil)은 1차 파워트레인(100)을 구성하는 인버터의 출력측에 연결되고 변압기의 2차 코일(secondary coil)은 2차 파워트레인을 구성하는 요소에 연결되고 2차 파워트레인(200)의 출력측 양 단자에는 출력 커패시터가 연결된다. 출력 커패시터에는 출력 전압(VO)이 충전된다.
변압기의 1차측 전류를 측정하기 위해 변압기의 1차측 코일과 직렬로 측정부(300)의 변류기 코일이 연결될 수 있다. 즉 측정부(300)의 변류기는 변압기의 1차측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한다. 그리고 측정부(300)의 변류기 코일과 직렬로 커패시터(Cb)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그 밖에 측정부(300)는 다이오드 및 RCT 저항의 직렬 연결체, 다이오드, RCT 저항 및 RC 필터와 연결된다. 최종적으로 측정부(300)를 통해 검출된 전류를 이용하여 측정부(300)의 출력 전압인 VCT가 생성될 수 있다. 그리고 VCT는 하나의 입력으로서 제어부(500)에 입력될 수 있다.
프로세서(400)의 입력으로 1차 파워 트레인(100)의 입력 전류(Iin_CT), 1차 파워 트레인(100)의 입력 전압(Vin) 및 2차 파워 트레인(200)의 출력 전압(Vo)이 프로세서(400)에 입력된다. 그리고 2차 파워 트레인(200)의 출력 전류(Io)는 Iin_CT, Vin 및 Vo의 함수로 표시될 수 있다. 프로세서(400)는 2차 파워 트레인(200)의 출력 전력(Po) 및 출력 전압(Vo) 그리고 Vin 및 Iin_CT을 이용하여 Io를 추정할 수 있다.
제어부(500)는 두 개의 입력 노드 중에서 하나의 노드를 통해 측정부(300)의 출력 전압인 VCT를 입력 받는다. 그리고 제어부(500)는 나머지 하나의 노드를 통해 기준 출력 전압을 입력 받는다. 기준 출력 전압은 기준 전압(Vref)를 기초로 프로세서(400)에서 추정된 출력 전류(Io)를 이용하여 제어부의 기준 제어 회로를 통해 생성될 수 있다. 여기서 기준 제어 회로(reference control circuit)는 저항들(Rc, Rd, Re), 커패시터들 및 반도체 스위치를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프로세서(400)는 출력 전류 추정 시 정상 상태 오차 또는 측정 오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보정할 수 있다. 정상 상태 오차란 비선형적인 특성을 가지는 소자에 의해 발생되는 오차 또는 파라미터의 불확실성(parameter uncertainty)로 인하여 발생되는 오차를 의미한다. 수동 소자 만을 이용하여 전류를 제어하는 경우, 이상적으로는 정확한 수치의 전류, 전압이 발생해야 하나, 여러가지 오차 유발 요인으로 인해 오차가 생긴다. 또한, 능동 소자가 포함되는 경우에는 더욱 다양한 변수가 작용하여 오차를 발생시키며, 정상 상태 동작에 있어서도 오차가 발생한다. 따라서 출력 전류 추정 시 실제 출력 전류와 추정된 출력 전류가 달라진다. 한편, 파워트레인에 입력되는 전류를 측정하는 데에 있어서도, 여러가지 요인에 의하여 오차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정상 상태 오차 또는 측정 오차를 반영하여 출력 전류를 보다 정확하게 추정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400)는 측정된 입력 전류를 이용하여 출력 전류를 추정하고, 출력 전류 추정시 정상 상태 오차 또는 측정 오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따른 오차에 기초하여 전류를 보정하는 전류 보정부(410) 및 상기 전류 보정부(410)에서 추정된 출력 전류를 목표 출력 전류로 조절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500)로 전송하는 디지털 제어부(420)를 포함한다.
전류 보정부(410)는 오차를 연산하고, 이 오차를 추정된 출력 전류에 반영하여 전류를 보정할 수 있다. 디지털 제어부(420)는 연산된 오차가 반영된 출력 전류가 목표 출력 전류에 상응하게 제어될 수 있도록 제어하기 위한 구성이다.
추정된 출력 전류를 이용하여 입력 전류를 제어하여 출력 전류를 출력하는 제어부(500)는 + 입력 단자에 기준 전압 신호가 입력되고, - 입력 단자에 측정부(300) 출력 전압이 입력되는 증폭기(510) 및 상기 증폭기(510)의 + 단자에 연결되며 상기 프로세서(400)에 의해 제어되는 FET 소자(520)를 포함한다. + 입력 단자로 조절되는 기준 전압(Vref) 자체를 조절하여 개회로(open-loop) 제어에 따라 2차측에 목표 출력 전류가 흐르게 하거나 또는 FET 소자(520)의 동작을 제어하여 증폭기(510)의 입력단의 전압 레벨(V+)를 조절함으로써 2차측에 목표 출력 전류가 흐르게 할 수도 있다(둘을 동시에 적용할 수도 있다.) 이 때, 도 3의 제어부(500) 내에 포함된 모든 소자들이 정확히 선형적으로 동작한다면, 특정 입력에 따른 특정 출력의 관계를 테이블(look-up table)화 하여 프로세서(400)에 저장한 후 목표 출력 전류를 발생시키거나 또는, 프로세서(400) 내에 출력 전류를 연산하는 식을 입력하고, 입력된 식에 따라 목표 출력 전류가 발생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디지털 제어부(420)는 전류 보정부(410)에서 추정된 출력 전류(Io) 및 목표 출력 전류(I*)를 비교하고, 차이를 감쇄하기 위한 제어 신호(D1)를 생성하여 제어부(500)로 전송할 수 있다. 2차측에 발생시키려는 목표 출력 전류와 실제 2차측에 출력되리라 추정되는 전류를 비교하고, 이 둘의 차이에 관계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500)로 송신하면, 제어부(500) 내의 FET 소자(520)는 디지털 제어부(420)로부터 수신한 제어 신호에 따라 게이트 단자의 온/오프를 조절한다.
FET 소자(520)의 온/오프 동작 및 Vref에 따라 V+가 결정되고, 이에 따라 2차측 출력 전류가 결정되므로, 전류 보정부(410)에서 추정된 2차측 출력 전류를 바탕으로 한 디지털 제어부(420)의 동작에 의해 2차측 출력 전류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증폭기(510)의 입력 단자와 출력 단자 사이에 직렬 RC 회로(530) 및 - 입력 단자와 1차측 출력 단자 사이에 저항(5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직렬 RC 회로(530) 및 저항(540)에 의해 2차측에 연결되는 부하의 급변으로 인한 동적 변화를 제어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2차측 출력 전류를 추정하고 제어하는 것이 보다 정확해진다.
도 4 및 도 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 및 도 5에서 Iout은 변압기의 2차측 전류를 나타낸다. 즉, Iout은 이론적인 값을 나타내고, Iout_measurement는 측정 값을, Iout_estimation은 추정 값을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Iout과 Iout_measurement는 소폭의 차이를 보이고 있으나, 도 5에서 Iout_estimation은 Iout에 근접함을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1차 파워트레인, 200: 2차 파워트레인,
300: 측정부, 400: 프로세서,
410: 전류 보정부, 420: 디지털 제어부,
500: 제어부, 510: 증폭기,
520: FET 소자, 530: 직렬 RC 회로,
540: 저항, 600: PWM

Claims (8)

1차 파워트레인(primary side power train);
상기 1차 파워트레인의 출련단에 연결된 변압기를 포함하는 2차 파워트레인(secondary side power train);
상기 2차 파워트레인의 변압기 1차측 입력 전류를 측정하기 위하여 상기 변압기에 직렬로 연결된 변류기를 포함하는 측정부;
상기 측정부가 측정한 상기 입력 전류에 기초하여 상기 변압기 2차측 출력 전류를 추정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가 추정한 상기 출력 전류에 기초하여 상기 입력 전류를 제어함으로써 출력 전류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출력 전류 추정 시, 정상 상태 오차 또는 측정 오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보정하는, 전류 제어 장치.
청구항 1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입력 전류에 기초하여 상기 출력 전류를 추정하되, 상기 출력 전류에 대해 정상상태 오차 또는 측정 오차 중 적어도 하나를 보정하는 전류 보정부; 및
상기 전류 보정부가 추정한 상기 출력 전류가 목표 출력 전류에 상응하도록 상기 출력 전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로 전송하는 디지털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류 제어 장치.
청구항 2에서,
상기 전류 보정부는,
상기 입력 전류의 평균값, 상기 변압기의 권선비 및 상기 1차 파워트레인 전압의 듀티비를 이용하여 출력 전류를 추정하는, 전류 제어 장치.
청구항 2에서,
상기 제어부는 (+) 입력 단자에 기준 전압 신호가 입력되고, (-) 입력 단자에 상기 측정부 출력 전압이 입력되는 증폭기;
상기 증폭기의 (+) 단자에 연결되며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제어되는 FET 소자;를 포함하는 전류 제어 장치.
청구항 4에서,
상기 FET 소자는 상기 디지털 제어부로부터 입력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게이트 단자의 온/오프를 조절하며,
상기 증폭기는 상기 게이트 단자가 온/오프 되는 정도에 따라 출력 전류를 조절하는 전류 제어 장치.
청구항 2에서,
상기 전류 보정부는,
상기 1차파워트레인 내 스위치의 인덕턴스 또는 트랜스포머의 인덕턴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한 정상 상태 오차 또는 측정 오차를 보정하는, 전류 제어 장치.
청구항 4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증폭기의 (-) 입력 단자와 출력 단자 사이에 직렬 RC 회로; 및 (-) 입력 단자와 측정부 출력 단자 사이에 저항;을 더 포함하는 전류 제어 장치.
청구항 2에서,
상기 디지털 제어부는,
상기 전류 보정부가 추정한 상기 출력 전류 및 목표 출력 전류를 비교하고, 그 차이를 제거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로 전송하는, 전류 제어 장치.
KR1020170014417A 2017-02-01 2017-02-01 전류 제어 장치 KR2018008972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4417A KR20180089729A (ko) 2017-02-01 2017-02-01 전류 제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4417A KR20180089729A (ko) 2017-02-01 2017-02-01 전류 제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9729A true KR20180089729A (ko) 2018-08-09

Family

ID=632513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4417A KR20180089729A (ko) 2017-02-01 2017-02-01 전류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8972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0131A (ko) * 2018-11-22 2020-05-29 주식회사 아이티엑스엠투엠 정밀도 가변 기능을 갖는 전류 측정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0131A (ko) * 2018-11-22 2020-05-29 주식회사 아이티엑스엠투엠 정밀도 가변 기능을 갖는 전류 측정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70999B2 (en) DC-DC converter and DC-DC converter system thereof
US8729955B2 (en) Adaptive thermal compensation circuit and method
TWI547086B (zh) 切換模式電力供應器及用於使用者可組態之切換模式電力供應器操作最佳化之方法
GB2469370A (en) Switching regulator suitable for a light source
US9231484B2 (en) Switching power supply apparatus
JP5838997B2 (ja) 電力変換装置及び電力補正方法
US9705410B2 (en) Power conversion apparatus
TWI491858B (zh) 溫度偵測電路及其方法
TWI501063B (zh) 電源裝置以及使用該電源裝置的測試裝置
TWI539730B (zh) 切換模式電力供應器之效率最佳化、經校準無感測器之電力/能量轉換
US9425698B2 (en) Power conversion apparatus and method
TWI542133B (zh) 切換模式電力供應器及用於切換模式電力供應器操作之使用者可組態最佳化之方法
TW202135440A (zh) 具有過溫度保護補償的電源轉換器
KR20180089729A (ko) 전류 제어 장치
CN111525514B (zh) 具有过温度保护补偿的电源转换器
US10650946B1 (en) Trimming method of DCR sensing circuits
CN107872150B (zh) 电源装置
US20170263843A1 (en) Piezoelectric positioning device and positioning method by means of such a piezoelectric positioning device
CN111525805B (zh) 具有过温度保护补偿的电源转换器
JP2014054038A (ja) スイッチング電源
JP2016001979A (ja) スイッチングレギュレータ
JP2014057421A (ja) Dc−dcコンバータ
Zhang et al. Observer-based MPC applied to flyback converters
JP2018133853A (ja) インバータの電流検知方法、インバータの電流検知装置、アクティブフィルタ
TWI655819B (zh) 切換式電源裝置的控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