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7487A - 파장 변환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 Google Patents

파장 변환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7487A
KR20180087487A KR1020170010302A KR20170010302A KR20180087487A KR 20180087487 A KR20180087487 A KR 20180087487A KR 1020170010302 A KR1020170010302 A KR 1020170010302A KR 20170010302 A KR20170010302 A KR 20170010302A KR 20180087487 A KR20180087487 A KR 201800874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wavelength converter
wavelength
wavelength conversion
container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03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시준
권용훈
김원진
서우석
손영혜
최광욱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103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87487A/ko
Priority to US15/870,725 priority patent/US10386024B2/en
Priority to EP18152028.9A priority patent/EP3352004B1/en
Priority to CN201810062709.2A priority patent/CN108346734B/zh
Publication of KR201800874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74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48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01L33/50Wavelength conversion elements
    • H01L33/505Wavelength conversion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shape, e.g. plate or foil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07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the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 controlling the colour, i.e. a spectral characteristic, of the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60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 F21K9/64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using wavelength conversion means distinct or spaced from the light-generating element, e.g. a remote phosphor lay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1/00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 C09K11/08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 C09K11/64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aluminium
    • C09K11/641Chalcogenides
    • C09K11/642Chalcogenides with zinc or cadmium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2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intensity of ligh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2Absorbing filters
    • G02B5/223Absorbing filters containing organic substances, e.g. dyes, inks or pig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66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being coupled to the light guide
    • G02B6/0068Arrangements of plural sources, e.g. multi-colour light sourc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15Edge-illuminating devices, i.e. illuminating from the sid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35Non-linear optics
    • G02F1/353Frequency conversion, i.e. wherein a light beam is generated with frequency components different from those of the incident light bea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48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01L33/50Wavelength conversion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48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01L33/50Wavelength conversion elements
    • H01L33/501Wavelength conversion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e.g. binder
    • H01L33/502Wavelength conversion materials
    • H01L33/504Elements with two or more wavelength conversion material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1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 G02B6/002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between the light guide and the light source, or around the light sourc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9Direct backlight including means for improving the color mixing, e.g. whit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14Illuminating devices using photoluminescence, e.g. phosphors illuminated by UV or blue light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16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series; tandem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2/00Materials and properties
    • G02F2202/04Materials and properties dye
    • G02F2202/046Materials and properties dye fluorescent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2/00Materials and properties
    • G02F2202/36Micro- or nanomateri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 Optical Filters (AREA)

Abstract

파장 변환 부재 및 파장 변환 부재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이 제공된다. 상기 파장 변환 부재는, 제1 파장 변환 물질을 포함하는 제1 파장 변환부, 상기 제1 파장 변환 물질과 상이한 제2 파장 변환 물질을 포함하는 제2 파장 변환부, 상기 제1 파장 변환부가 수용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제1 용기 부재, 및 상기 제1 용기 부재의 일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2 파장 변환부가 수용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제2 용기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용기 부재와 상기 제2 용기 부재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융착되어 결합한다.

Description

파장 변환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WAVELENGTH CONVERSION MEMBER AND BACKLIGHT UNIT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파장 변환 부재 및 상기 파장 변환 부재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에 관한 것이다.
표시 장치, 예컨대 액정 표시 장치는 멀티미디어의 발달과 함께 그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액정 표시 장치의 표시 패널은 전계 생성 전극이 배치된 두 장의 기판과 그 사이에 개재된 액정층을 포함한다. 액정 표시 장치는 전계 생성 전극을 이용하여 액정층 내 액정을 재배열함으로써 표시 패널을 투과하는 광량을 조절하고 이를 통해 영상 표시를 구현하기 때문에 표시 패널에 광을 제공하기 위한 백라이트 유닛이 요구된다.
일반적으로 백라이트 유닛은 광을 방출하는 광원과 상기 광원으로부터 제공된 광을 가이드하기 위한 도광판을 포함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으로부터 제공된 광은 표시 패널을 투과하여 영상 표시에 기여하기 때문에 백라이트 유닛으로부터 제공된 광의 색 순도는 액정 표시 장치의 표시 품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다. 이에 백라이트 유닛으로부터 제공된 광의 색 순도를 보다 개선하기 위한 방법의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상기 광원이 방출하는 백색 광은 적색, 녹색 및 청색의 고유 파장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통상의 광원이 방출하는 백색 광 내에는 의도치 않은 파장 대역의 광이 혼합된 상태이며 이는 표시 장치의 표시 품질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고순도의 백색 광을 생성할 수 있는 파장 변환 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고순도의 백색 광을 제공함과 동시에 외부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파장 변환 부재와 도광판 사이의 정렬(align) 상태를 정확하게 유지하여 파장 변환 부재와 도광판 사이에서의 광 손실을 최소화하고 색 변환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백라이트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장 변환 부재는, 제1 파장 변환 물질을 포함하는 제1 파장 변환부, 상기 제1 파장 변환 물질과 상이한 제2 파장 변환 물질을 포함하는 제2 파장 변환부, 상기 제1 파장 변환부가 수용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제1 용기 부재, 및 상기 제1 용기 부재의 일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2 파장 변환부가 수용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제2 용기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용기 부재와 상기 제2 용기 부재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융착되어 결합한다.
상기 제1 용기 부재와 상기 제2 용기 부재 사이의 밀착면은, 상기 제1 용기 부재와 상기 제2 용기 부재 간의 물리적 경계가 존재하는 제1 부분, 상기 제1 용기 부재와 상기 제2 용기 부재 간의 물리적 경계가 존재하지 않는 제2 부분, 및 상기 제1 파장 변환부와 중첩하는 제3 부분을 포함하되, 상기 제1 부분, 상기 제2 부분 및 상기 제3 부분은 동일한 레벨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제2 부분과 상기 제3 부분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또, 상기 제2 부분과 상기 제3 부분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제1 부분의 폭은 50㎛ 이상일 수 있고, 상기 제2 부분의 폭은 60㎛ 이상 120㎛ 이하일 수 있으며, 상기 제2 부분에는 씨드 형상의 구조물이 존재하고, 상기 씨드 형상의 구조물은 장축과 단축을 갖는 형상일 수 있다.
또, 상기 제1 파장 변환부는 산화알루미늄 입자 및/또는 산화규소 입자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 파장 변환부는 금속 입자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또, 상기 제1 파장 변환부는 상기 제1 용기 부재에 의해 둘러싸이고, 상기 제2 파장 변환부는 상기 제2 용기 부재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또, 상기 제1 용기 부재의 상기 일면은 상기 제1 파장 변환부가 수용되기 위한 제1 오목홈을 가지고, 상기 제2 용기 부재의 상기 제1 용기 부재와 대면하는 타면은 상기 제2 파장 변환부가 수용되기 위한 제2 오목홈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파장 변환부와 상기 제2 파장 변환부는 직접 대면하되, 상기 제1 파장 변환부와 상기 제2 파장 변환부 사이에 갭이 형성될 수 있다.
또, 상기 제1 용기 부재의 타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파장 변환부를 밀봉하도록 배치된 제1 커버 부재, 및 상기 제2 용기 부재의 일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2 파장 변환부를 밀봉하도록 배치된 제2 커버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되, 상기 제1 용기 부재의 타면은 상기 제1 파장 변환부가 수용되기 위한 제1 오목홈을 가지고, 상기 제2 용기 부재의 일면은 상기 제2 파장 변환부가 수용되기 위한 제2 오목홈을 가질 수 있다.
또, 상기 제1 용기 부재의 타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파장 변환부를 밀봉하도록 배치된 커버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되, 상기 제1 용기 부재의 타면은 상기 제1 파장 변환부가 수용되기 위한 제1 오목홈을 가지고, 상기 제2 용기 부재의 상기 제1 용기 부재와 대면하는 타면은 상기 제2 파장 변환부가 수용되기 위한 제2 오목홈을 가지며, 상기 제2 파장 변환부는 상기 제1 용기 부재의 상기 일면 및 상기 제2 용기 부재의 상기 타면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장 변환 부재는, 제1 글라스, 상기 제1 글라스의 일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글라스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직접 맞닿아 결합하는 제2 글라스, 상기 제1 글라스와 상기 제2 글라스 사이에 개재되고, 제1 파장 변환 물질을 포함하는 제1 파장 변환부, 및 상기 제2 글라스의 일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파장 변환 물질과 상이한 제2 파장 변환 물질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파장 변환부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하는 제2 파장 변환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글라스와 상기 제2 글라스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융착되어 결합할 수 있고, 상기 제1 글라스와 상기 제2 글라스 사이의 밀착면은, 상기 제1 글라스와 상기 제2 글라스 간의 물리적 경계가 존재하는 제1 부분, 상기 제1 글라스와 상기 제2 글라스 간의 물리적 경계가 존재하지 않는 제2 부분, 및 상기 제1 파장 변환부와 중첩하는 제3 부분을 포함하되,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제2 부분과 상기 제3 부분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또, 상기 제1 글라스의 상기 일면은 평탄하고, 상기 제2 글라스의 상기 제1 글라스와 대면하는 타면은 제1 오목홈을 가지며, 상기 제2 글라스의 상기 일면은 제2 오목홈을 가지고, 상기 제1 파장 변환부는 상기 제1 오목홈 내에 충진되며, 상기 제2 파장 변환부는 상기 제2 오목홈 내에 충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글라스와 상기 제1 파장 변환부는 직접 대면하되, 상기 제1 글라스와 상기 제1 파장 변환부 사이에 갭이 형성될 수 있다.
또, 상기 제2 파장 변환부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2 글라스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직접 맞닿아 결합하는 제3 글라스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글라스의 상기 일면은 평탄하고, 상기 제2 글라스의 상기 제1 글라스와 대면하는 타면은 제1 오목홈을 가지며, 상기 제3 글라스의 상기 제2 글라스와 대면하는 타면은 제2 오목홈을 가지고, 상기 제1 파장 변환부는 상기 제1 오목홈 내에 충진되며, 상기 제2 파장 변환부는 상기 제2 오목홈 내에 충진될 수 있다.
또, 상기 제2 글라스와 상기 제2 파장 변환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글라스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직접 맞닿아 결합하는 제3 글라스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글라스의 상기 일면은 평탄하고, 상기 제2 글라스의 상기 제1 글라스와 대면하는 타면은 제1 오목홈을 가지며, 상기 제3 글라스의 상기 제2 파장 변환부와 대면하는 일면은 제2 오목홈을 가지고, 상기 제1 파장 변환부는 상기 제1 오목홈 내에 충진되며, 상기 제2 파장 변환부는 상기 제2 오목홈 내에 충진될 수 있다.
또, 상기 제1 글라스의 상기 일면은 오목홈을 가지고, 상기 제2 글라스의 상기 제1 글라스와 대면하는 타면은 평탄하며, 상기 제1 파장 변환부는 상기 오목홈 내에 충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파장 변환부와 상기 제2 글라스는 직접 대면하되, 상기 제1 파장 변환부와 상기 제2 글라스 사이에 갭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은, 도광판, 상기 도광판의 입광면 측에 배치되고, 상기 도광판을 향해 광을 방출하도록 구성된 광원, 및 상기 도광판과 상기 광원 사이에 배치된 파장 변환 부재로서, 적색 파장 변환 물질을 포함하는 적색 파장 변환부, 녹색 파장 변환 물질을 포함하는 녹색 파장 변환부, 상기 적색 파장 변환부가 수용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제1 글라스, 및 상기 녹색 파장 변환부가 수용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고 상기 제1 글라스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직접 맞닿아 결합하는 제2 글라스를 포함하는 파장 변환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광은 상기 적색 파장 변환부 및 상기 녹색 파장 변환부를 순차적으로 투과하여 상기 입광면에 입사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2 글라스와 상기 도광판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융착되어 결합하여 일체화될 수 있다.
또, 상기 광원이 방출하는 광은 청색 광이고, 상기 적색 파장 변환부는 산화알루미늄 입자 및/또는 산화규소 입자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녹색 파장 변환부는 금속 입자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장 변환 부재는 광원으로부터 제공된 광을 고순도의 백색 광으로 변환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은 상기 파장 변환 부재를 이용하여 고순도의 백색 광을 제공할 수 있고, 외부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파장 변환 부재와 도광판 사이의 정렬 상태를 정확하게 유지하여 파장 변환 부재와 도광판 사이에서의 광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색 변환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Ⅱ-Ⅱ' 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 부분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B 부분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C 부분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D 부분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E 부분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F 부분의 확대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의 '위(on)'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소자가 '직접 위(directly on)'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소자 또는 층을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및/또는'는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소자를 뒤집을 경우, 다른 소자의 '아래(below 또는 beneath)'로 기술된 소자는 다른 소자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1 방향(X)은 평면 내 임의의 일 방향을 의미하고, 제2 방향(Y)은 상기 평면 내에서 제1 방향(X)과 교차하는 방향을 의미하며, 제3 방향(Z)은 상기 평면과 수직한 방향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Ⅱ-Ⅱ' 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 부분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는 백라이트 유닛(1000) 및 백라이트 유닛(1000) 상에 배치된 표시 패널(2000)을 포함한다. 표시 패널(2000)은 영상 표시를 구현할 수 있는 소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패널(2000)은 액정 표시 패널, 유기발광 표시 패널 또는 플라즈마 표시 패널 등일 수 있다.
표시 패널(2000)로서 액정 표시 패널이 적용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표시 패널(2000)은 서로 대향하는 하부 기판(2100)과 상부 기판(2200) 및 그 사이에 개재된 액정층(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기판(2100) 또는 상부 기판(2200)은 복수의 화소 전극(미도시)과 상기 화소 전극을 제어하기 위한 스위칭 소자(미도시) 및 상기 스위칭 소자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전달하는 게이트 라인(미도시)과 데이터 라인(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기판(2100)의 평면상 면적은 상부 기판(2200)의 평면상 면적보다 클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부 기판(2100)의 제2 방향(Y)으로의 폭은 상부 기판(2200)의 제2 방향(Y)으로의 폭보다 클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부 기판(2100)은 상부 기판(2200)에 비해 파장 변환 부재(100) 측으로 돌출된 형태일 수 있다.
표시 패널(2000)과 백라이트 유닛(1000)은 결합 부재를 이용하여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백라이트 유닛(1000)은 프레임 몰드(미도시) 내에 수용되고 표시 패널(2000)은 상기 프레임 몰드 상에 배치/결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백라이트 유닛(1000)과 표시 패널(2000)은 접합 수지(미도시)를 이용하여 결합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백라이트 유닛(1000)의 도광판(200)의 상면과 하부 기판(2100)의 하면은 직접 맞닿아 결합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1000)은 도광판(200), 도광판(200)에 인접하여 배치된 광원 유닛(300) 및 도광판(200)과 광원 유닛(300) 사이에 배치된 파장 변환 부재(100)를 포함한다.
도광판(200)은 광원 유닛(300)으로부터 제공받은 광을 가이드하여 백라이트 유닛(1000) 상부의 표시 패널(2000) 측으로 출사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광판(200)의 광원 유닛(300)과 인접한 측면은 입광면을 형성하고 도광판(200)의 상면은 출광면을 형성할 수 있다. 도광판(200)의 상기 측면을 통해 입사된 광은 전반사를 통해 도광판(200) 내부를 진행하고 전반사를 통해 가이드된 광의 적어도 일부는 도광판(200)의 상기 상면을 통해 출사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도광판(200)의 하면에는 산란 패턴 또는 요철 패턴 등이 형성되어 도광판(200) 내부에서 가이드 되는 광의 진행 경로를 변경시킬 수도 있다.
도광판(200)은 광원 유닛(300)으로부터 제공받은 광의 손실 없이 가이드할 수 있도록 광 투과율이 높은 재료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예컨대 도광판(200)은 글라스 재질 또는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스티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광원 유닛(300)은 도광판(200)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광원 유닛(300)은 도광판(200)의 상기 입광면과 소정 거리 이격된 상태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광원 유닛(300)은 광원 회로 기판(310) 및 광원 회로 기판(310)에 실장된 광원(320)을 포함할 수 있다.
광원 회로 기판(310)은 외부 전원(미도시) 등과 연결되어 광원(320)의 구동에 필요한 신호 및 전원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광원 회로 기판(310)은 대략 제1 방향(X)으로 연장된 형상일 수 있다.
광원(320)은 광원 회로 기판(31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광원(320)은 광원 회로 기판(310)의 연장 방향, 즉 제1 방향(X)을 따라 이격 배치되어 복수개일 수 있다. 광원(320)은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광원(320)은 청색 광을 방출하는 발광 다이오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광원(320)은 약 430nm 내지 470nm 파장 범위 내에 위치하는 단일 피크 파장을 갖는 청색 광을 방출할 수 있다. 광원(320)이 방출하는 광의 약 80% 이상은 430nm 내지 470nm 파장 범위 내에 포함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광원(320)은 자외선 파장 대역의 광을 방출하는 발광 다이오드일 수도 있다.
파장 변환 부재(100)는 도광판(200)과 광원 유닛(300) 사이, 예를 들어 도광판(200)과 광원(3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파장 변환 부재(100)는 복수의 광원(320)들의 이격 배치 방향, 즉 제1 방향(X)을 따라 연장된 형상일 수 있다. 파장 변환 부재(100)는 광원 유닛(300)과 소정 거리 이격된 상태일 수 있다. 파장 변환 부재(100)와 광원 유닛(300)을 이격 배치함으로써 광원 유닛(300)으로부터 방출되는 열에 의해 파장 변환 부재(100) 내의 제1 파장 변환부(110) 및 제2 파장 변환부(120)가 손상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파장 변환 부재(100)는 투과광의 파장을 변환하는 제1 파장 변환부(110)와 제2 파장 변환부(120), 제1 파장 변환부(110)가 수용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제1 글라스(130) 및 제2 파장 변환부(120)가 수용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제2 글라스(1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파장 변환부(110) 및 제2 파장 변환부(120)는 투과광의 파장을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파장 변환부(110) 및 제2 파장 변환부(120)는 투과광의 피크 파장을 시프트(shift)시키는 파장 시프트 부재일 수 있다. 제1 파장 변환부(110)는 제1 베이스 수지(110a) 및 제1 베이스 수지(110a) 내에 분산된 제1 파장 변환 물질(110b)을 포함하고, 제1 베이스 수지(110a) 내에 분산된 금속 입자(110c)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제2 파장 변환부(120)는 제2 베이스 수지(120a) 및 제2 베이스 수지(120a) 내에 분산된 제2 파장 변환 물질(120b)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파장 변환 물질(120b)은 제1 파장 변환 물질(110b)과 상이할 수 있다.
제1 베이스 수지(110a) 및 제2 베이스 수지(120a)는 각각 제1 파장 변환부(110) 및 제2 파장 변환부(120)의 부피의 대부분을 차지할 수 있다. 제1 베이스 수지(110a) 및 제2 베이스 수지(120a)는 파장 변환 물질 및/또는 금속 입자들을 균일하게 분산시키고 광 투과율이 높은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베이스 수지(110a)와 제2 베이스 수지(120a)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한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베이스 수지(110a) 및 제2 베이스 수지(120a)는 각각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또는 폴리이미드계 수지일 수 있다. 제1 베이스 수지(110a) 및 제2 베이스 수지(120a)는 열 경화성 수지 또는 자외선 경화성 수지일 수 있다.
제1 파장 변환 물질(110b) 및 제2 파장 변환 물질(120b)은 특정 피크 파장을 갖는 광을 방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파장 변환 물질(110b) 및 제2 파장 변환 물질(120b)은 입사광을 특정 피크 파장을 갖는 광으로 변환하여 방출하는 물질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파장 변환 물질(110b)은 적색 광을 방출하고 제2 파장 변환 물질(120b)은 녹색 광을 방출할 수 있다.
제1 파장 변환 물질(110b) 및 제2 파장 변환 물질(120b)의 예로는 형광체 물질 또는 양자점 물질을 들 수 있다. 상기 양자점 물질의 경우 전도대에서 가전자대로 전자가 전이하는 과정에서 특정 피크 파장을 갖는 광을 방출할 수 있다. 상기 양자점 물질은 코어-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코어는 반도체 나노 결정 물질일 수 있다. 상기 양자점 물질의 코어의 예로는 Si계 나노 결정, II-VI족계 화합물 나노 결정, III-V족계 화합물 나노 결정 등을 들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비제한적인 일례로, 제1 파장 변환 물질(110b) 및 제2 파장 변환 물질(120b)은 각각 카드뮴셀레나이드(CdSe), 카드뮴텔루라이드(CdTe), 황화카드뮴(CdS), 또는 인화인듐(InP)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코어와 황화아연(ZnS)으로 이루어진 외부 쉘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파장 변환 물질(110b)들의 평균 직경은 제2 파장 변환 물질(120b)들의 평균 직경보다 클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파장 변환부(110) 내 전체 파장 변환 물질들의 평균 직경은 약 55 Å 내지 65 Å이고 제2 파장 변환부(120) 내 전체 파장 변환 물질들의 평균 직경은 약 40 Å 내지 50 Å일 수 있다. 비제한적인 일례로서, 제1 파장 변환부(110) 내의 파장 변환 물질은 적색 광을 방출하는 제1 파장 변환 물질(110b)로만 이루어지고 제2 파장 변환부(120) 내의 파장 변환 물질은 녹색 광을 방출하는 제2 파장 변환 물질(120b)로만 이루어질 수 있다.
광원(320)이 약 430nm 내지 470nm 파장 범위 내에 위치하는 단일 피크 파장을 갖는 청색 광을 방출하는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광원(320)이 방출하는 청색 광은 제1 파장 변환부(110) 및 제2 파장 변환부(120)를 순차적으로 투과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광원(320)이 방출하는 청색 광 중 적어도 일부는 제1 파장 변환부(110)에 의해 약 610nm 내지 650nm 파장 범위 내에 위치하는 피크 파장을 갖는 적색 광으로 변환되고, 광원(320)이 방출하는 청색 광 중 적어도 일부는 제1 파장 변환부(110)를 그대로 투과할 수 있다. 또, 제1 파장 변환부(110)를 투과한 광 중 적어도 일부는 제2 파장 변환부(120)에 의해 약 530nm 내지 570nm 파장 범위 내에 위치하는 피크 파장을 갖는 녹색 광으로 변환되고, 제1 파장 변환부(110)를 투과한 광 중 적어도 일부는 제2 파장 변환부(120)를 그대로 투과할 수 있다.
제1 파장 변환부(110) 및 제2 파장 변환부(120)에 의해 변환된 광은 각각 좁은 파장 범위에서 강한 강도를 갖는 피크 파장을 갖기 때문에 제1 파장 변환부(110) 및 제2 파장 변환부(120)를 투과한 후의 광은 특정 색의 고유 파장을 가지고 색 순도가 극히 우수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정을 통해 광원(320)이 방출하여 파장 변환 부재(100)를 투과한 광은 적색 고유 파장의 피크, 녹색 고유 파장의 피크 및 청색 고유 파장의 피크만을 갖는 고순도의 백색 광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파장 변환부(110)는 제1 베이스 수지(110a) 내에 분산된 금속 입자(110c)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파장 변환부(110) 내의 금속 입자(110c)는 파장 변환 부재(100)의 색 변환 효율을 더욱 상승시킬 수 있다. 금속 입자(110c)는 청색 광과 같은 단파장 대역의 광은 실질적으로 산란시키지 않으면서 녹색 광 또는 적색 광과 같은 장파장 대역의 광을 산란시킬 수 있는 금속 입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금속 입자(110c)는 산화알루미늄(Al2O3) 입자 및/또는 산화규소(SiO2) 입자일 수 있다. 금속 입자(110c)들의 평균 직경은 약 10㎛ 이상 100㎛ 이하일 수 있다. 단파장 대역의 광을 산란시키는 산화티타늄(TiO2) 입자 등과 달리, 단파장 대역의 광을 실질적으로 산란시키지 않는 금속 입자(110c)를 제1 파장 변환부(110) 내에 배치함으로써, 제1 파장 변환 물질(110b)에 의해 방출된 적색 광의 산란을 야기하는 반면 충분한 광량의 청색 광이 제1 파장 변환부(110)를 그대로 투과하는 것을 보장할 수 있고, 파장 변환되지 않고 제1 파장 변환부(110)를 그대로 투과한 청색 광이 제2 파장 변환부(120)에 의해 녹색 광으로 변환되도록 하여 파장 변환 부재(100)의 색 변환 효율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파장 변환부(120)는 실질적으로 금속 입자를 포함하지 않고 제2 베이스 수지(120a) 및 제2 파장 변환 물질(120b)만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파장 변환부(110)의 제3 방향(Z)으로의 두께(t110) 및 제2 파장 변환부(120)의 제3 방향(Z)으로의 두께는 각각 광원(320)의 발광면의 제3 방향(Z)으로의 폭(W320)보다 클 수 있다. 예를 들어, 광원(320)의 폭(W320)은 약 1.5mm 이상 2.5mm 이하이고 제1 파장 변환부(110) 및 제2 파장 변환부(120)의 두께(t110)는 각각 약 2.5mm 이상 4mm일 수 있다. 이를 통해 광원(320)으로부터 방출된 광이 제1 파장 변환부(110) 및 제2 파장 변환부(120)에 의해 색 변환되지 않고 누설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한편, 제1 글라스(130) 및 제2 글라스(140)는 각각 제1 파장 변환부(110)와 제2 파장 변환부(120)를 수용하는 용기 부재일 수 있다. 제1 글라스(130) 및 제2 글라스(140)는 내부 중공 구조를 가지고 제1 방향(X)으로 연장된 튜브 형상이고 상기 중공 내에 제1 파장 변환부(110)와 제2 파장 변환부(120)가 삽입 배치될 수 있다. 도 1은 제1 파장 변환부(110) 및 제2 파장 변환부(120)가 제1 방향(X)으로 연장되어 각각 하나씩 삽입 배치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다른 실시예에서 제1 파장 변환부(110) 및 제2 파장 변환부(120)는 제1 방향(X)으로 이격 배치되어 복수개이고 광원(320)과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도 있다.
제1 글라스(130) 및 제2 글라스(140)는 각각 광 투과율이 높은 글라스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글라스(130) 및 제2 글라스(140)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한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파장 변환부(110)는 제1 글라스(130)에 의해 수용될 수 있다. 파장 변환 부재(100)의 연장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절개한 단면도 상에서 제1 파장 변환부(110)는 제1 글라스(130)에 의해 완전히 둘러싸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외부의 수분 또는 불순물에 의해 제1 파장 변환부(110)가 오염 및/또는 변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파장 변환 부재(100)의 내구성과 수명을 개선할 수 있다.
또 제2 파장 변환부(120)는 제2 글라스(140)에 의해 수용될 수 있다. 파장 변환 부재(100)의 연장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절개한 단면도 상에서 제2 파장 변환부(120)는 제2 글라스(140)에 의해 완전히 둘러싸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외부의 수분 또는 불순물에 의해 제2 파장 변환부(120)가 오염 및/또는 변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파장 변환 부재(100)의 내구성과 수명을 개선할 수 있다.
이하, 도 4 및 도 5를 더욱 참고로 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1000)의 제1 글라스(130)와 제2 글라스(140) 및 제2 글라스(140)와 도광판(200)의 결합 관계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도 3의 B 부분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C 부분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제1 글라스(130)와 제2 글라스(140)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직접 맞닿아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글라스(130)와 제2 글라스(140)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융착되어 결합할 수 있다. 즉, 제1 글라스(130)와 제2 글라스(140)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융착되어 결합함으로써 일체화될 수 있다.
제1 글라스(130)와 제2 글라스(140) 사이의 밀착면(S1)은 제1 글라스(130)와 제2 글라스(140) 간의 물리적 경계가 존재하는 제1 부분(P1), 제1 글라스(130)와 제2 글라스(140) 간의 물리적 경계가 실질적으로 존재하지 않는 제2 부분(P2) 및 파장 변환부(110, 120)와 제2 방향(Y)으로 중첩하는 제3 부분(P3)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양 구성 간의 물리적 경계가 실질적으로 존재하지 않는다는 의미는 육안으로 식별 가능한 경계가 존재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제2 부분(P2)은 제1 글라스(130)와 제2 글라스(140) 사이의 접합 영역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글라스(130)와 제2 글라스(140) 사이의 밀착면(S1)의 제2 부분(P2)에서, 제1 글라스(130)의 유리 재료와 제2 글라스(140)의 유리 재료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혼합되어 제1 글라스(130)와 제2 글라스(140) 사이의 경계가 사라질 수 있다. 비제한적인 일례로, 제1 글라스(130)의 유리 재료 중 적어도 일부는 제2 글라스(140) 측으로 침투하여 제2 글라스(140)의 유리 재료와 혼합되거나, 및/또는 제2 글라스(140)의 유리 재료 중 적어도 일부는 제1 글라스(130) 측으로 침투하여 제1 글라스(130)의 유리 재료와 혼합될 수 있다.
제1 글라스(130)와 제2 글라스(140) 사이의 밀착면(S1)의 제2 부분(P2), 즉 접합 영역의 폭(WP2)은 약 60㎛ 이상 120㎛ 이하, 또는 약 70㎛ 이상 100㎛ 이하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접합'은 양 구성이 서로 맞닿아 접하여 결합하는 것을 의미한다. 제2 부분(P2)의 부근에는 씨드 형상의 구조물(D1)이 존재할 수 있다. 씨드 형상의 구조물(D1)은 제1 글라스(130)와 제2 글라스(140)를 접합하는 과정에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글라스(130)와 제2 글라스(140)는 약 10 펨토초(femto second) 이상 50 펨토초 이하의 펄스 폭을 갖는 레이저를 이용하여 접합될 수 있다. 상기 레이저의 펄스 폭을 상기 범위 내에 있도록 하여 상기 레이저가 예컨대, 제1 글라스(130) 또는 제2 글라스(140) 등을 투과하여 조사되는 경우에도 의도한 접합 영역 외의 글라스의 다른 부분에 형상, 구조, 물성, 유리 재질의 밀도 등에 변형을 야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백라이트 유닛의 신뢰성과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씨드 형상의 구조물(D1)은 장축(도면상 가로축)과 단축(도면상 세로축)을 갖는 형상일 수 있다. 씨드 형상의 구조물(D1)은 상기 단축을 기준으로 비대칭 형상일 수 있다. 씨드 형상의 구조물(D1)은 상기 단축이 밀착면(S1)과 평행한 방향으로 배열된 상태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씨드 형상의 구조물(D1)의 상기 단축의 길이는 약 10㎛ 이상 20㎛ 이하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부분(P1), 제2 부분(P2) 및 제3 부분(P3)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레벨에 위치하고, 제1 부분(P1)은 제2 부분(P2)과 제3 부분(P3)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1 글라스(130)와 제2 글라스(140) 간의 물리적 경계가 실질적으로 존재하지 않는 제2 부분(P2), 즉 접합 영역은 제1 파장 변환부(110) 및 제2 파장 변환부(120)와 제3 방향(Z)으로 이격된 상태일 수 있다. 제2 부분(P2)과 제1 파장 변환부(110) 간의 최단 이격 거리 및 제2 부분(P2)과 제2 파장 변환부(120) 간의 최단 이격 거리(WP1)는 각각 약 50㎛ 이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부분(P1)의 폭은 약 50㎛ 이상일 수 있다. 제2 부분(P2)과 파장 변환부들을 50㎛ 이상 이격되도록 함으로써 제1 글라스(130)와 제2 글라스(140)를 접합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고온의 열에 의해 제1 파장 변환부(110) 및 제2 파장 변환부(12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부분(P1)과 제2 부분(P2)의 광 투과율, 굴절률 및/또는 유리 재질의 밀도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1 글라스(130) 및 제2 글라스(140)가 제1 방향(X)으로 연장된 형상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접합 영역은 한 쌍의 장변측 및 한 쌍의 단변측에 모두 위치하거나, 또는 한 쌍의 장변측에만 위치하거나, 또는 한 쌍의 단변측에만 위치할 수 있다. 즉, 상기 접합 영역의 형상은 대략 'ㅁ'자 형상이거나, 또는 대략 '='자 형상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파장 변환 부재(100)는 제1 파장 변환부(110)를 수용/밀봉하는 제1 글라스(130) 및 제2 파장 변환부(120)를 수용/밀봉하는 제2 글라스(140)를 포함하고, 제1 글라스(130)와 제2 글라스(140)를 일체화한 모듈을 형성함으로써 광원(320)으로부터 제공된 광을 고순도의 백색 광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또, 적색 파장 변환 부재인 제1 파장 변환부(110)와 녹색 파장 변환 부재인 제2 파장 변환부(120)를 서로 이격 배치하되, 광원(320)으로부터 방출된 광이 적색 파장 변환부인 제1 파장 변환부(110)와 녹색 파장 변환부인 제2 파장 변환부(120)를 순차적으로 투과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색 변환 효율을 보다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베이스 수지 내에 적색 파장 변환 물질과 녹색 파장 변환 물질을 혼합하는 경우, 또는 녹색 파장 변환부와 적색 파장 변환부를 순차 배치하는 경우에 비해 향상된 색 변환 효율을 나타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1 파장 변환부(110)를 수용하는 제1 글라스(130)와 제2 파장 변환부(120)를 수용하는 제2 글라스(140)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물리적 경계 없이 직접 맞닿아 결합시킴에 따라 광원(320)이 방출하는 열에 의해 파장 변환 부재(100)가 가열되는 경우에도 제1 글라스(130)와 제2 글라스(140) 사이의 접합 영역에 변형이 발생하지 않아 파장 변환 부재(100)의 내구성과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파장 변환 부재(100)와 도광판(200)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직접 맞닿아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파장 변환 부재(100)의 제2 글라스(140)와 도광판(200)의 입광면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융착되어 결합할 수 있다. 즉, 파장 변환 부재(100)와 도광판(200)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융착되어 결합함으로써 일체화될 수 있다.
제2 글라스(140)와 도광판(200) 사이의 밀착면(S2)은 제2 글라스(140)와 도광판(200) 간의 물리적 경계가 존재하는 제4 부분(P4) 및 제2 글라스(140)와 도광판(200) 간의 물리적 경계가 실질적으로 존재하지 않는 제5 부분(P5)을 포함한다. 제5 부분(P5)은 제2 글라스(140)와 도광판(200) 사이의 접합 영역일 수 있다.
제2 글라스(140)와 도광판(200) 사이의 밀착면(S2)의 제5 부분(P5), 즉 접합 영역의 폭(WP5)은 약 60㎛ 이상 120㎛ 이하, 또는 약 70㎛ 이상 100㎛ 이하일 수 있다. 제5 부분(P5)의 부근에는 씨드 형상의 구조물(D2)이 존재할 수 있다. 씨드 형상의 구조물(D2)은 제2 글라스(140)와 도광판(200)을 접합하는 과정에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2 글라스(140)와 도광판(200)은 약 10 펨토초(femto second) 이상 50 펨토초 이하의 펄스 폭을 갖는 레이저를 이용하여 접합될 수 있다. 씨드 형상의 구조물(D2)은 장축과 단축을 갖는 형상이며, 상기 단축을 기준으로 비대칭 형상일 수 있다. 씨드 형상의 구조물(D2)의 상기 단축의 길이는 약 10㎛ 이상 20㎛ 이하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4 부분(P4) 및 제5 부분(P5)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레벨에 위치하고, 제5 부분(P5)은 제2 파장 변환부(120)와 제2 방향(Y)으로 중첩하지 않을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2 글라스(140)와 도광판(200) 간의 물리적 경계가 실질적으로 존재하지 않는 제5 부분(P5), 즉 접합 영역은 단면도 상에서 제2 파장 변환부(120)와 중첩하지 않을 수 있다. 제5 부분(P5)과 제2 파장 변환부(120)를 중첩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제1 글라스(130)와 제2 글라스(140)를 접합하는 과정에서 사용되는 레이저가 제2 파장 변환부(120)를 투과하지 않도록 할 수 있고 제2 파장 변환부(12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4 부분(P4)과 제5 부분(P5)의 광 투과율, 굴절률 및/또는 유리 재질의 밀도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1000)은 복수 개의 파장 변환부가 수용된 파장 변환 부재(100)를 도광판(200)과 일체화한 모듈을 형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백라이트 유닛(1000) 또는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 외부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파장 변환 부재(100)와 도광판(200) 간의 오정렬이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따라서 광원(320)으로부터 방출된 광이 파장 변환 부재(100)를 투과하지 않고 도광판(200)에 입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파장 변환 부재(100)를 투과한 광이 온전히 도광판(200)으로 입사되지 않고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파장 변환 부재(100)와 도광판(200) 간의 커플링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의도한 색 변환율을 나타내지 못하고 특정 색의 고유 파장이 상대적으로 두드러지는 현상, 즉 색 밸런스가 붕괴되는 불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파장 변환부들을 수용하는 파장 변환 부재(100)와 도광판(200)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물리적 경계 없이 직접 맞닿아 결합시킴에 따라 광원(320)이 방출하는 열에 의해 파장 변환 부재(100) 및 도광판(200)이 가열되는 경우에도 파장 변환 부재(100)와 도광판(200) 사이의 접합 영역에 변형이 발생하지 않아 백라이트 유닛(1000)의 내구성과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에 대하여 설명한다. 다만,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1000)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며, 이는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기술분야에 속하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1001)의 파장 변환 부재(101)는 제1 파장 변환부(110) 및 제2 파장 변환부(120)와 제1 파장 변환부(110)가 수용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제1 글라스(131) 및 제2 파장 변환부(120)가 수용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제2 글라스(141)를 포함하되, 제1 글라스(131) 및 제2 글라스(141)의 어느 일면에는 제1 방향(X)으로 연장된 트렌치 형상의 오목홈이 형성되어 상기 오목홈 내에 제1 파장 변환부(110)와 제2 파장 변환부(120)가 삽입되는 점이 도 1 등에 따른 실시예의 백라이트 유닛(1000)과 상이한 점이다.
제1 파장 변환부(110) 및 제2 파장 변환부(120)는 각각 투과광의 파장을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파장 변환부(110)는 적색 파장 변환부이고 제2 파장 변환부(120)는 녹색 파장 변환부일 수 있다. 제1 파장 변환부(110) 및 제2 파장 변환부(120)에 대하여는 도 1 등과 함께 설명한 바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제1 글라스(131) 및 제2 글라스(141)는 각각 제1 파장 변환부(110)와 제2 파장 변환부(120)를 수용하는 용기 부재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글라스(131)의 제2 글라스(141)와 대면하는 일면(도면상 우측면)은 파장 변환 부재(1001)의 연장 방향, 즉 제1 방향(X)을 따라 연장된 오목홈을 가지고, 제2 글라스(141)의 제1 글라스(131)와 대면하는 타면(도면상 좌측면)은 제1 방향(X)을 따라 연장된 오목홈을 가질 수 있다.
제1 파장 변환부(110) 및 제2 파장 변환부(120)는 각각 상기 오목홈 내에 삽입 배치될 수 있다. 제1 파장 변환부(110) 및 제2 파장 변환부(120)는 서로 직접 대면하며, 적어도 부분적으로 직접 맞닿아 접할 수 있다. 제1 파장 변환부(110) 및 제2 파장 변환부(120)는 제1 글라스(131) 및 제2 글라스(141)에 의해 수용될 수 있다. 파장 변환 부재(1001)의 연장 방향, 즉 제1 방향(X)에 수직한 방향으로 절개한 단면도 상에서 제1 파장 변환부(110) 및 제2 파장 변환부(120)는 제1 글라스(131) 및 제2 글라스(141)에 의해 완전히 둘러싸일 수 있다.
또, 제1 글라스(131)와 제2 글라스(141)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직접 맞닿아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글라스(131)와 제2 글라스(141)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융착되어 결합할 수 있다. 제1 글라스(131)와 제2 글라스(141) 간의 밀착면(S1)은 서로의 물리적 경계가 실질적으로 존재하지 않는 부분, 즉 접합 영역(AA1)을 포함한다. 제1 글라스(131)와 제2 글라스(141) 사이의 접합 영역(AA1)에 대해서는 도 4 등과 함께 설명한 바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파장 변환 부재(1001)와 도광판(200)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직접 맞닿아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파장 변환 부재(1001)의 제2 글라스(141)와 도광판(200)의 입광면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융착되어 결합할 수 있다. 제2 글라스(141)와 도광판(200) 간의 밀착면(S2)은 서로의 물리적 경계가 실질적으로 존재하지 않는 부분, 즉 접합 영역(AA2)을 포함한다. 제2 글라스(141)와 도광판(200) 사이의 접합 영역(AA2)에 대해서는 도 5 등과 함께 설명한 바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1002)의 파장 변환 부재(102)는 제1 파장 변환부(112)와 제2 파장 변환부(122)를 포함하되, 제1 파장 변환부(112)와 제2 파장 변환부(122) 사이에 갭(AG)이 형성되는 점이 도 6에 따른 실시예의 백라이트 유닛(1001)과 상이한 점이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파장 변환부(112)는 제1 글라스(131)의 오목홈에 삽입 배치되되, 제1 파장 변환부(112)는 제1 글라스(131)의 오목홈을 완전히 충진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제1 파장 변환부(112)가 차지하는 부피는 제1 글라스(131)의 오목홈이 제공하는 공간의 부피보다 작을 수 있다. 또, 제2 파장 변환부(122)는 제2 글라스(141)의 오목홈에 삽입 배치되되, 제2 파장 변환부(122)는 제2 오목홈을 완전히 충진하지 않을 수 있다.
갭(AG) 내에는 질소 가스(N2) 또는 공기층이 개재될 수 있다. 갭(AG)은 제1 파장 변환부(112), 제2 파장 변환부(122), 제1 글라스(131) 및 제2 글라스(141)에 비해 상대적으로 굴절률이 낮은 저굴절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갭(AG)은 제1 파장 변환부(112)에 의해 색 변환된 적색 광 및 청색 광이 제2 파장 변환부(122)를 투과하기 전에 저굴절 영역인 갭(AG)을 투과하도록 함으로써 광 여기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즉, 제1 파장 변환부(112)와 제2 파장 변환부(122) 사이에 갭(AG)을 형성함으로써 색 변환 효율을 보다 개선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1 파장 변환부(112)의 노출된 면과 제2 파장 변환부(122)의 노출된 면의 형상을 이용하여 출광 방향을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D 부분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1003)의 파장 변환 부재(103)는 제1 파장 변환부(113) 및 제2 파장 변환부(123)와 제1 파장 변환부(113)가 수용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제1 글라스(133) 및 제2 파장 변환부(123)가 수용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제2 글라스(143)를 포함하고, 제1 파장 변환부(113)를 밀봉하는 제3 글라스(153)를 더 포함하는 점이 도 1 등의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1000)과 상이한 점이다.
제1 파장 변환부(113) 및 제2 파장 변환부(123)는 각각 투과광의 파장을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파장 변환부(113)는 적색 파장 변환부이고 제2 파장 변환부(123)는 녹색 파장 변환부일 수 있다. 제1 파장 변환부(113) 및 제2 파장 변환부(123)에 대하여는 도 1 등과 함께 설명한 바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제1 글라스(133) 및 제2 글라스(143)는 각각 제1 파장 변환부(113)와 제2 파장 변환부(123)를 수용하는 용기 부재이고, 제3 글라스(153)는 제1 파장 변환부(113)를 밀봉하는 커버 부재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3 글라스(153)의 제1 글라스(133)와 대면하는 일면(도면상 우측면)은 실질적으로 평탄할 수 있다. 또, 제1 글라스(133)의 제3 글라스(153)와 대면하는 타면(도면상 좌측면)은 오목홈을 가지고, 제2 글라스(143)의 제1 글라스(133)와 대면하는 타면(도면상 좌측면)은 오목홈을 가질 수 있다. 제1 파장 변환부(113)는 제1 글라스(133)의 오목홈에 삽입 배치되고 제1 글라스(133) 및 제3 글라스(153)에 의해 완전히 둘러싸일 수 있다. 제2 파장 변환부(123)는 제2 글라스(143)의 오목홈에 삽입 배치되고 제1 글라스(133) 및 제2 글라스(143)에 의해 완전히 둘러싸일 수 있다.
또, 제1 글라스(133)와 제3 글라스(153)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직접 맞닿아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글라스(133)와 제3 글라스(153)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융착되어 결합할 수 있다. 제1 글라스(133)와 제3 글라스(153) 사이의 밀착면(S3)은 제1 글라스(133)와 제3 글라스(153) 간의 물리적 경계가 존재하는 제6 부분(P6), 제1 글라스(133)와 제3 글라스(153) 간의 물리적 경계가 실질적으로 존재하지 않는 제7 부분(P7) 및 제1 파장 변환부(113)와 제2 방향(Y)으로 중첩하는 제8 부분(P8)을 포함한다.
제1 글라스(133)와 제3 글라스(153) 사이의 밀착면(S3)의 제7 부분(P7), 즉 접합 영역의 폭(WP7)은 약 60㎛ 이상 120㎛ 이하, 또는 약 70㎛ 이상 100㎛ 이하일 수 있다. 제7 부분(P7)의 부근에는 씨드 형상의 구조물(D3)이 존재할 수 있다. 씨드 형상의 구조물(D3)은 제1 글라스(133)와 제3 글라스(153)를 접합하는 과정에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글라스(133)와 제3 글라스(153)는 약 10 펨토초(femto second) 이상 50 펨토초 이하의 펄스 폭을 갖는 레이저를 이용하여 접합될 수 있다. 씨드 형상의 구조물(D3)은 장축과 단축을 갖는 형상이며, 상기 단축을 기준으로 비대칭 형상일 수 있다. 씨드 형상의 구조물(D3)의 상기 단축의 길이는 약 10㎛ 이상 20㎛ 이하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6 부분(P6), 제7 부분(P7) 및 제8 부분(P8)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레벨에 위치하고, 제6 부분(P6)은 제7 부분(P7)과 제8 부분(P8)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1 글라스(133)와 제3 글라스(153) 간의 제7 부분(P7), 즉 접합 영역은 제1 파장 변환부(113)와 제3 방향(Z)으로 이격된 상태일 수 있다. 제7 부분(P7)과 제1 파장 변환부(113) 간의 최단 이격 거리(WP6)는 약 50㎛ 이상일 수 있다.
제1 글라스(133)와 제2 글라스(143) 사이의 접합 영역(AA1) 및 제2 글라스(143)와 도광판(200) 사이의 접합 영역(AA2)에 대해서는 도 4 및 도 5 등과 함께 설명한 바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도 8은 제1 파장 변환부(113)와 제3 글라스(153) 사이에 갭이 형성되고 제2 파장 변환부(123)와 제1 글라스(133) 사이에 갭이 형성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제1 파장 변환부(113)는 제1 글라스(133)와 제3 글라스(153) 사이의 공간을 완전히 충진하고 제2 파장 변환부(123)는 제1 글라스(133)와 제2 글라스(143) 사이의 공간을 완전히 충진할 수도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E 부분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1004)의 파장 변환 부재(104)는 제1 파장 변환부(114) 및 제2 파장 변환부(124)와 제1 파장 변환부(114)가 수용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제1 글라스(134) 및 제2 파장 변환부(124)가 수용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제2 글라스(144)를 포함하고, 제1 파장 변환부(114)를 밀봉하는 제3 글라스(154) 및 제2 파장 변환부(124)를 밀봉하는 제4 글라스(164)를 더 포함하는 점이 도 1 등의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1000)과 상이한 점이다.
제1 파장 변환부(114) 및 제2 파장 변환부(124)는 각각 투과광의 파장을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파장 변환부(114)는 적색 파장 변환부이고 제2 파장 변환부(124)는 녹색 파장 변환부일 수 있다. 제1 파장 변환부(114) 및 제2 파장 변환부(124)에 대하여는 도 1 등과 함께 설명한 바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제1 글라스(134) 및 제2 글라스(144)는 각각 제1 파장 변환부(114)와 제2 파장 변환부(124)를 수용하는 용기 부재이고, 제3 글라스(154) 및 제4 글라스(164)는 각각 제1 파장 변환부(114)와 제2 파장 변환부(124)를 밀봉하는 커버 부재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3 글라스(154)의 제1 글라스(134)와 대면하는 일면(도면상 우측면)은 실질적으로 평탄할 수 있다. 또, 제1 글라스(134)의 제3 글라스(154)와 대면하는 타면(도면상 좌측면)은 오목홈을 가지고 제1 글라스(134)의 제2 글라스(144)와 대면하는 일면(도면상 우측면)은 실질적으로 평탄할 수 있다. 또한, 제2 글라스(144)의 제4 글라스(164)와 대면하는 일면(도면상 우측면)은 오목홈을 가지고, 제4 글라스(164)의 제2 글라스(144)와 대면하는 타면(도면상 좌측면)은 실질적으로 평탄할 수 있다. 제1 파장 변환부(114)는 제1 글라스(134)의 오목홈에 삽입 배치되고 제1 글라스(134) 및 제3 글라스(154)에 의해 완전히 둘러싸일 수 있다. 제2 파장 변환부(124)는 제2 글라스(144)의 오목홈에 삽입 배치되고 제2 글라스(144) 및 제4 글라스(164)에 의해 완전히 둘러싸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도광판(200)은 제2 글라스(144) 대신 제4 글라스(164)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직접 맞닿아 결합할 수 있다.
또, 제2 글라스(144)와 제4 글라스(164)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직접 맞닿아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글라스(144)와 제4 글라스(164)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융착되어 결합할 수 있다. 제2 글라스(144)와 제4 글라스(164) 사이의 밀착면(S4)은 제2 글라스(144)와 제4 글라스(164) 간의 물리적 경계가 존재하는 제9 부분(P9), 제2 글라스(144)와 제4 글라스(164) 간의 물리적 경계가 실질적으로 존재하지 않는 제10 부분(P10) 및 제2 파장 변환부(124)와 제2 방향(Y)으로 중첩하는 제11 부분(P11)을 포함한다.
제2 글라스(144)와 제4 글라스(164) 사이의 밀착면(S4)의 제10 부분(P10), 즉 접합 영역의 폭(WP10)은 약 60㎛ 이상 120㎛ 이하, 또는 약 70㎛ 이상 100㎛ 이하일 수 있다. 제10 부분(P10)의 부근에는 씨드 형상의 구조물(D4)이 존재할 수 있다. 씨드 형상의 구조물(D4)은 제2 글라스(144)와 제4 글라스(164)를 접합하는 과정에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2 글라스(144)와 제4 글라스(164)는 약 10 펨토초(femto second) 이상 50 펨토초 이하의 펄스 폭을 갖는 레이저를 이용하여 접합될 수 있다. 씨드 형상의 구조물(D4)은 장축과 단축을 갖는 형상이며, 상기 단축을 기준으로 비대칭 형상일 수 있다. 씨드 형상의 구조물(D4)의 상기 단축의 길이는 약 10㎛ 이상 20㎛ 이하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9 부분(P9), 제10 부분(P10) 및 제11 부분(P11)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레벨에 위치하고, 제9 부분(P9)은 제10 부분(P10)과 제11 부분(P11)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2 글라스(144)와 제4 글라스(164) 간의 제10 부분(P10), 즉 접합 영역은 제2 파장 변환부(124)와 제3 방향(Z)으로 이격된 상태일 수 있다. 제10 부분(P10)과 제2 파장 변환부(124) 간의 최단 이격 거리(WP9)는 약 50㎛ 이상일 수 있다.
제1 글라스(134)와 제2 글라스(144) 사이의 접합 영역(AA1), 제4 글라스(164)와 도광판(200) 사이의 접합 영역(AA2) 및 제1 글라스(134)와 제3 글라스(154) 사이의 접합 영역(AA3)에 대해서는 도 4, 도 5 및 도 8 등과 함께 설명한 바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도 10은 제1 파장 변환부(114)와 제3 글라스(154) 사이에 갭이 형성되고 제2 파장 변환부(124)와 제4 글라스(164) 사이에 갭이 형성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제1 파장 변환부(114)는 제1 글라스(134)와 제3 글라스(154) 사이의 공간을 완전히 충진하고 제2 파장 변환부(124)는 제2 글라스(144)와 제4 글라스(164) 사이의 공간을 완전히 충진할 수도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1005)의 파장 변환 부재(105)는 제1 파장 변환부(115)와 제2 파장 변환부(125)가 하나의 제1 글라스(135) 내에 삽입 배치된 점이 도 10 등의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1004)과 상이한 점이다.
제1 글라스(135)는 제1 파장 변환부(115)와 제2 파장 변환부(125)를 수용하는 용기 부재이고, 제3 글라스(155) 및 제4 글라스(165)는 각각 제1 파장 변환부(115)와 제2 파장 변환부(125)를 밀봉하는 커버 부재일 수 있다. 제1 글라스(135)는 일체로 형성된 상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글라스(135) 내부의 광 투과율, 굴절률 및/또는 유리 재질의 밀도는 균일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3 글라스(155)의 제1 글라스(135)와 대면하는 일면(도면상 우측면)은 실질적으로 평탄할 수 있다. 또, 제1 글라스(135)의 제3 글라스(155)와 대면하는 타면(도면상 좌측면) 및 제1 글라스(135)의 제4 글라스(165)와 대면하는 일면(도면상 우측면)은 각각 오목홈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4 글라스(165)의 제1 글라스(135)와 대면하는 타면(도면상 좌측면)은 실질적으로 평탄할 수 있다. 제1 파장 변환부(115)는 제1 글라스(135)의 상기 타면측 오목홈에 삽입 배치되고 제2 파장 변환부(125)는 제1 글라스(135)의 상기 일면측 오목홈에 삽입 배치될 수 있다. 제1 파장 변환부(115)는 제1 글라스(135)와 제3 글라스(155)에 의해 완전히 둘러싸이고 제2 파장 변환부(125)는 제1 글라스(135)와 제4 글라스(165)에 의해 완전히 둘러싸일 수 있다.
제4 글라스(165)와 도광판(200) 사이의 접합 영역(AA2), 제1 글라스(135)와 제3 글라스(155) 사이의 접합 영역(AA3) 및 제1 글라스(135)와 제4 글라스(165) 사이의 접합 영역(AA4)에 대해서는 도 5, 도 8 및 도 10 등과 함께 설명한 바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F 부분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1006)의 파장 변환 부재(106)는 제1 파장 변환부(116) 및 제2 파장 변환부(126)와 제1 파장 변환부(116)가 수용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제1 글라스(136) 및 제2 파장 변환부(126)가 수용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제2 글라스(146)를 포함하되, 제1 파장 변환부(116)와 제2 파장 변환부(126) 사이에 개재된 제5 글라스(176)를 더 포함하는 점이 도 6의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1001)과 상이한 점이다.
제1 글라스(136) 및 제2 글라스(146)는 각각 제1 파장 변환부(116)와 제2 파장 변환부(126)를 수용하는 용기 부재이고 제5 글라스(176)는 제1 파장 변환부(116)와 제2 파장 변환부(126)를 소정 거리 이격시키는 스페이서 부재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글라스(136)의 제2 글라스(146)와 대면하는 일면(도면상 우측면)은 파장 변환 부재(106)의 연장 방향, 즉 제1 방향(X)을 따라 연장된 오목홈을 가지고, 제2 글라스(146)의 제1 글라스(136)와 대면하는 타면(도면상 좌측면)은 제1 방향(X)을 따라 연장된 오목홈을 가질 수 있다. 제5 글라스(176)의 제1 글라스(136)와 대면하는 타면(도면상 좌측면) 및 제5 글라스(176)의 제2 글라스(146)와 대면하는 일면(도면상 우측면)은 모두 실질적으로 평탄할 수 있다.
제1 파장 변환부(116) 및 제2 파장 변환부(126)는 각각 상기 오목홈 내에 삽입 배치될 수 있다. 제1 파장 변환부(116)는 제1 글라스(136)와 제5 글라스(176)에 의해 완전히 둘러싸이고 제2 파장 변환부(126)는 제2 글라스(146)와 제5 글라스(176)에 의해 완전히 둘러싸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글라스(136)와 제5 글라스(176)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직접 맞닿아 결합하고, 제2 글라스(146)와 제5 글라스(176)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직접 맞닿아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글라스(136)와 제5 글라스(176) 및 제2 글라스(146)와 제5 글라스(176)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융착되어 결합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글라스(136)와 제5 글라스(176) 사이의 밀착면(S5) 및 제2 글라스(146)와 제5 글라스(176) 사이의 밀착면(S6)은 인접한 글라스들 간의 물리적 경계가 존재하는 제12 부분(P12), 인접한 글라스들 간의 물리적 경계가 실질적으로 존재하지 않는 제13 부분(P13) 및 파장 변환부(116, 126)들과 제2 방향(Y)으로 중첩하는 제14 부분(P14)을 포함한다.
제13 부분(P13), 즉 접합 영역의 폭(WP13)은 약 60㎛ 이상 120㎛ 이하, 또는 약 70㎛ 이상 100㎛ 이하일 수 있다. 제1 글라스(136)와 제5 글라스(176) 사이의 밀착면(S5)의 제13 부분(P13)의 부근 및 제2 글라스(146)와 제5 글라스(176) 사이의 밀착면(S6)의 제13 부분(P13)의 부근에는 각각 씨드 형상의 구조물들(D5, D6)이 존재할 수 있다. 씨드 형상의 구조물들(D5, D6)은 인접한 글라스들을 접합하는 과정에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글라스(136)와 제5 글라스(176) 및 제2 글라스(146)와 제5 글라스(176)는 각각 약 10 펨토초(femto second) 이상 50 펨토초 이하의 펄스 폭을 갖는 레이저를 이용하여 접합될 수 있다. 씨드 형상의 구조물(D5, D6)은 장축과 단축을 갖는 형상이며, 상기 단축을 기준으로 비대칭 형상일 수 있다. 씨드 형상의 구조물(D5, D6)의 상기 단축의 길이는 약 10㎛ 이상 20㎛ 이하일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파장 변환 부재
200: 도광판
300: 광원 유닛
1000: 백라이트 유닛

Claims (20)

  1. 제1 파장 변환 물질을 포함하는 제1 파장 변환부;
    상기 제1 파장 변환 물질과 상이한 제2 파장 변환 물질을 포함하는 제2 파장 변환부;
    상기 제1 파장 변환부가 수용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제1 용기 부재; 및
    상기 제1 용기 부재의 일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2 파장 변환부가 수용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제2 용기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용기 부재와 상기 제2 용기 부재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융착되어 결합하는 파장 변환 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용기 부재와 상기 제2 용기 부재 사이의 밀착면은,
    상기 제1 용기 부재와 상기 제2 용기 부재 간의 물리적 경계가 존재하는 제1 부분,
    상기 제1 용기 부재와 상기 제2 용기 부재 간의 물리적 경계가 존재하지 않는 제2 부분, 및
    상기 제1 파장 변환부와 중첩하는 제3 부분을 포함하되,
    상기 제1 부분, 상기 제2 부분 및 상기 제3 부분은 동일한 레벨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제2 부분과 상기 제3 부분 사이에 위치하는 파장 변환 부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분과 상기 제3 부분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제1 부분의 폭은 50㎛ 이상이고,
    상기 제2 부분의 폭은 60㎛ 이상 120㎛ 이하이며,
    상기 제2 부분에는 씨드 형상의 구조물이 존재하고,
    상기 씨드 형상의 구조물은 장축과 단축을 갖는 형상인 파장 변환 부재.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장 변환부는 산화알루미늄 입자 및/또는 산화규소 입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파장 변환부는 금속 입자를 포함하지 않는 파장 변환 부재.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장 변환부는 상기 제1 용기 부재에 의해 둘러싸이고,
    상기 제2 파장 변환부는 상기 제2 용기 부재에 의해 둘러싸이는 파장 변환 부재.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용기 부재의 상기 일면은 상기 제1 파장 변환부가 수용되기 위한 제1 오목홈을 가지고,
    상기 제2 용기 부재의 상기 제1 용기 부재와 대면하는 타면은 상기 제2 파장 변환부가 수용되기 위한 제2 오목홈을 가지는 파장 변환 부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장 변환부와 상기 제2 파장 변환부는 직접 대면하되,
    상기 제1 파장 변환부와 상기 제2 파장 변환부 사이에 갭이 형성되는 파장 변환 부재.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용기 부재의 타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파장 변환부를 밀봉하도록 배치된 제1 커버 부재; 및
    상기 제2 용기 부재의 일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2 파장 변환부를 밀봉하도록 배치된 제2 커버 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용기 부재의 타면은 상기 제1 파장 변환부가 수용되기 위한 제1 오목홈을 가지고,
    상기 제2 용기 부재의 일면은 상기 제2 파장 변환부가 수용되기 위한 제2 오목홈을 가지는 파장 변환 부재.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용기 부재의 타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파장 변환부를 밀봉하도록 배치된 커버 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용기 부재의 타면은 상기 제1 파장 변환부가 수용되기 위한 제1 오목홈을 가지고,
    상기 제2 용기 부재의 상기 제1 용기 부재와 대면하는 타면은 상기 제2 파장 변환부가 수용되기 위한 제2 오목홈을 가지며,
    상기 제2 파장 변환부는 상기 제1 용기 부재의 상기 일면 및 상기 제2 용기 부재의 상기 타면에 의해 둘러싸이는 파장 변환 부재.
  10. 제1 글라스;
    상기 제1 글라스의 일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글라스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직접 맞닿아 결합하는 제2 글라스;
    상기 제1 글라스와 상기 제2 글라스 사이에 개재되고, 제1 파장 변환 물질을 포함하는 제1 파장 변환부; 및
    상기 제2 글라스의 일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파장 변환 물질과 상이한 제2 파장 변환 물질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파장 변환부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하는 제2 파장 변환부를 포함하는 파장 변환 부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글라스와 상기 제2 글라스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융착되어 결합하고,
    상기 제1 글라스와 상기 제2 글라스 사이의 밀착면은,
    상기 제1 글라스와 상기 제2 글라스 간의 물리적 경계가 존재하는 제1 부분,
    상기 제1 글라스와 상기 제2 글라스 간의 물리적 경계가 존재하지 않는 제2 부분, 및
    상기 제1 파장 변환부와 중첩하는 제3 부분을 포함하되,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제2 부분과 상기 제3 부분 사이에 위치하는 파장 변환 부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글라스의 상기 일면은 평탄하고,
    상기 제2 글라스의 상기 제1 글라스와 대면하는 타면은 제1 오목홈을 가지며,
    상기 제2 글라스의 상기 일면은 제2 오목홈을 가지고,
    상기 제1 파장 변환부는 상기 제1 오목홈 내에 충진되며,
    상기 제2 파장 변환부는 상기 제2 오목홈 내에 충진된 파장 변환 부재.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글라스와 상기 제1 파장 변환부는 직접 대면하되,
    상기 제1 글라스와 상기 제1 파장 변환부 사이에 갭이 형성되는 파장 변환 부재.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파장 변환부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2 글라스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직접 맞닿아 결합하는 제3 글라스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글라스의 상기 일면은 평탄하고,
    상기 제2 글라스의 상기 제1 글라스와 대면하는 타면은 제1 오목홈을 가지며,
    상기 제3 글라스의 상기 제2 글라스와 대면하는 타면은 제2 오목홈을 가지고,
    상기 제1 파장 변환부는 상기 제1 오목홈 내에 충진되며,
    상기 제2 파장 변환부는 상기 제2 오목홈 내에 충진된 파장 변환 부재.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글라스와 상기 제2 파장 변환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글라스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직접 맞닿아 결합하는 제3 글라스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글라스의 상기 일면은 평탄하고,
    상기 제2 글라스의 상기 제1 글라스와 대면하는 타면은 제1 오목홈을 가지며,
    상기 제3 글라스의 상기 제2 파장 변환부와 대면하는 일면은 제2 오목홈을 가지고,
    상기 제1 파장 변환부는 상기 제1 오목홈 내에 충진되며,
    상기 제2 파장 변환부는 상기 제2 오목홈 내에 충진된 파장 변환 부재.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글라스의 상기 일면은 오목홈을 가지고,
    상기 제2 글라스의 상기 제1 글라스와 대면하는 타면은 평탄하며,
    상기 제1 파장 변환부는 상기 오목홈 내에 충진된 파장 변환 부재.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장 변환부와 상기 제2 글라스는 직접 대면하되,
    상기 제1 파장 변환부와 상기 제2 글라스 사이에 갭이 형성되는 파장 변환 부재.
  18. 도광판;
    상기 도광판의 입광면 측에 배치되고, 상기 도광판을 향해 광을 방출하도록 구성된 광원; 및
    상기 도광판과 상기 광원 사이에 배치된 파장 변환 부재로서, 적색 파장 변환 물질을 포함하는 적색 파장 변환부, 녹색 파장 변환 물질을 포함하는 녹색 파장 변환부, 상기 적색 파장 변환부가 수용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제1 글라스, 및 상기 녹색 파장 변환부가 수용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고 상기 제1 글라스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직접 맞닿아 결합하는 제2 글라스를 포함하는 파장 변환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광은 상기 적색 파장 변환부 및 상기 녹색 파장 변환부를 순차적으로 투과하여 상기 입광면에 입사되도록 구성된 백라이트 유닛.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글라스와 상기 도광판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융착되어 결합하여 일체화된 백라이트 유닛.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이 방출하는 광은 청색 광이고,
    상기 적색 파장 변환부는 산화알루미늄 입자 및/또는 산화규소 입자를 더 포함하며,
    상기 녹색 파장 변환부는 금속 입자를 포함하지 않는 백라이트 유닛.
KR1020170010302A 2017-01-23 2017-01-23 파장 변환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KR20180087487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0302A KR20180087487A (ko) 2017-01-23 2017-01-23 파장 변환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US15/870,725 US10386024B2 (en) 2017-01-23 2018-01-12 Wavelength conversion member having two different wavelength converting materials and backlight unit including the same
EP18152028.9A EP3352004B1 (en) 2017-01-23 2018-01-17 Wavelenght conversion member and backlight unit including the same
CN201810062709.2A CN108346734B (zh) 2017-01-23 2018-01-23 波长转换构件和包括该波长转换构件的背光单元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0302A KR20180087487A (ko) 2017-01-23 2017-01-23 파장 변환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7487A true KR20180087487A (ko) 2018-08-02

Family

ID=610028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0302A KR20180087487A (ko) 2017-01-23 2017-01-23 파장 변환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386024B2 (ko)
EP (1) EP3352004B1 (ko)
KR (1) KR20180087487A (ko)
CN (1) CN10834673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7073B1 (ko) 2016-11-30 2024-01-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20180083011A (ko) * 2017-01-11 2018-07-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광원 유닛,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CN115629497A (zh) 2017-04-03 2023-01-20 英特曼帝克司公司 彩色液晶显示器及显示器背光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01091B1 (en) 1998-04-01 2002-12-31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Quantum dot white and colored light emitting diodes
JP2006173324A (ja) * 2004-12-15 2006-06-29 Nichia Chem Ind Ltd 発光装置
EP1672755B1 (en) * 2004-12-17 2015-09-23 Nichia Corporation Light emitting device
US7682850B2 (en) * 2006-03-17 2010-03-23 Philips Lumileds Lighting Company, Llc White LED for backlight with phosphor plates
US20100277673A1 (en) * 2008-01-03 2010-11-04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Display device and illumination device
KR101592836B1 (ko) * 2008-02-07 2016-02-05 미쓰비시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반도체 발광 장치, 백라이트, 컬러 화상 표시 장치, 및 그들에 사용하는 형광체
JP5372024B2 (ja) * 2008-03-07 2013-12-18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ヌ ヴェ 可変色発光装置
KR100982991B1 (ko) * 2008-09-03 2010-09-17 삼성엘이디 주식회사 양자점 파장변환체, 양자점 파장변환체의 제조방법 및 양자점 파장변환체를 포함하는 발광장치
US8294168B2 (en) 2010-06-04 2012-10-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Light source module using quantum dots, backlight unit employing the light source module, display apparatus, and illumination apparatus
KR101210158B1 (ko) * 2010-11-04 2012-12-0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광 변환 부재
CN103384794B (zh) * 2010-12-23 2018-05-29 三星电子株式会社 包含量子点的光学元件
KR101210066B1 (ko) 2011-01-31 2012-12-0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광 변환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20120106012A (ko) * 2011-03-17 2012-09-26 삼성전자주식회사 발광 소자 패키지
US9412905B2 (en) * 2011-04-01 2016-08-09 Najing Technology Corporation Limited White light emitting device
CN202065823U (zh) * 2011-05-13 2011-12-0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白光led及其器件
KR101294415B1 (ko) 2011-07-20 2013-08-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광학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101877489B1 (ko) 2011-10-31 2018-07-1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표시장치
JP2013149729A (ja) * 2012-01-18 2013-08-01 Fujifilm Corp 量子ドット構造体、波長変換素子および光電変換装置
JP2014082416A (ja) * 2012-10-18 2014-05-08 Sharp Corp 発光装置
CN111509112B (zh) * 2013-07-08 2024-04-02 亮锐控股有限公司 波长转换的半导体发光器件
WO2015057930A1 (en) * 2013-10-17 2015-04-23 Nanosys, Inc. Light emitting diode (led) devices
US20150192272A1 (en) * 2014-01-06 2015-07-09 John S. Berg System for producing color transformable light
US20170179359A1 (en) * 2014-02-11 2017-06-22 Philips Lighting Holding B.V. A wavelength converting element, a light emitting module and a luminaire
US20160054503A1 (en) 2014-08-19 2016-02-25 Shenzhen China Star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Backlight Modul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N105444045A (zh) * 2014-09-24 2016-03-30 青岛海信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发光二极管led发光器件、背光模组及显示面板
CN105444044A (zh) * 2014-09-24 2016-03-30 青岛海信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发光二极管led发光器件、背光模组及显示面板
JP2016072076A (ja) * 2014-09-30 2016-05-09 日亜化学工業株式会社 バックライト装置
CN104456191B (zh) * 2014-11-14 2017-02-22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背光模块及液晶显示装置
EP3237942A4 (en) * 2014-12-22 2018-10-10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Downconversion film element
KR20160090453A (ko) * 2015-01-21 2016-08-0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퀀텀 도트 패널, 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20180095329A1 (en) * 2015-04-20 2018-04-05 Sharp Kabushiki Kaisha Lighting device,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386024B2 (en) 2019-08-20
US20180210125A1 (en) 2018-07-26
CN108346734B (zh) 2023-09-22
EP3352004B1 (en) 2021-04-21
CN108346734A (zh) 2018-07-31
EP3352004A1 (en) 2018-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54593B2 (ja) 照明装置、表示装置、及びテレビ受信装置
US20180095329A1 (en) Lighting device,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device
KR102312522B1 (ko) 표시 장치
KR102126277B1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JP2020087889A (ja) 発光モジュール
KR20160039468A (ko) 광학 부재, 백라이트 유닛 및 표시 장치
CN108027119B (zh) 照明装置、显示装置、电视接收装置及波长转换部的制造方法
US10910447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2531351B1 (ko) 광학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11421856B2 (en) Light emitting module, surface light sourc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light emitting module
KR20180087487A (ko) 파장 변환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US9405051B2 (en) Backlight assembly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US20190361329A1 (en) Light source device, projec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light source device
KR101767009B1 (ko) 광학 부재, 백라이트 유닛 및 표시 장치
KR20160049082A (ko) 액정 표시 장치
KR20180083011A (ko) 광원 유닛,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1814807B1 (ko) 광학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CN108027117B (zh) 照明装置、显示装置以及电视接收装置
KR20160049087A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표시 장치
US20220299824A1 (en) Device for a liquid crystal display and liquid crystal display
KR102317270B1 (ko) 액정 표시 장치
CN113168049A (zh) 背光源装置以及显示装置
KR20130057904A (ko) 광학 부재 및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