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2782A - 세탁물 처리장치용 체크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세탁물 처리장치용 체크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2782A
KR20180082782A KR1020170004089A KR20170004089A KR20180082782A KR 20180082782 A KR20180082782 A KR 20180082782A KR 1020170004089 A KR1020170004089 A KR 1020170004089A KR 20170004089 A KR20170004089 A KR 20170004089A KR 20180082782 A KR20180082782 A KR 201800827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eck valve
main plate
connection
detergent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40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39084B1 (ko
Inventor
장슬기
송문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040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9084B1/ko
Publication of KR201800827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27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90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90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02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 F16K15/03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with a hinged closure member or with a pivoted closure member
    • F16K15/031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with a hinged closure member or with a pivoted closure member the hinge being flexibl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50Control of washer-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52Control of the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33/57Control of the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metering of detergents or additiv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20Parameters relating to constructional components, e.g. door senso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42Safety arrangements, e.g. for stopping rotation of the receptacle upon opening of the casing do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16K27/0209Check valves or pivoted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제 수용부와 터브를 연결하는 연결 유로 상에 배치되는 세탁물 처리장치용 체크밸브 및 이러한 체크밸브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장치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처리장치용 체크밸브는, 유로 방향으로 두께를 형성하는 메인판과, 상기 메인판의 둘레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메인판의 적어도 일부분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되는 연장부와, 상기 둘레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연결 유로에 고정되기 위해 구비되는 연결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처리장치는, 포를 수용하는 터브와, 세제를 수용하는 세제 수용부와, 상기 세제 수용부 내의 액체를 상기 터브 내로 유입시키는 연결 유로와, 상기 연결 유로 상에 배치되어 역류를 방지하는 상기 체크밸브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세탁물 처리장치용 체크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장치 {a Check valve for a laundry processing device and a Laundry process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세탁수, 수증기 또는 거품 등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세탁물 처리장치용 체크 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세탁물 처리장치는 세탁기, 건조기, 탈수기 등이 있다. 세탁물 처리장치는, 세탁물 및 세탁수가 수용되는 터브를 포함한다. 세탁물의 처리를 위해 사용되는 세제는 세탁 세제, 섬유 유연제 또는 표백제 등이 있다. 상기 세제를 투입하기 위해, 세탁물 처리장치는 세제를 수용하는 세제 수용부를 포함한다. 세탁물 처리장치는 세제 수용부와 터브를 연결하는 연결 유로를 포함한다. 연결 유로는 세제가 용해된 물이 세제 수용부에서 터브로 흐르도록 구비된다.
본 발명의 제 1과제는, 터브 내에서 세탁수, 수증기 또는 거품 등이 상기 연결 유로를 통해 세제 수용부로 유입되는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2과제는, 체크밸브의 동작이 걸림되는 오작동 현상을 줄이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3과제는, 연결 유로 내의 유체의 역류는 차단하면서도, 연결 유로 내의 유체의 정상 흐름은 원활하게 되도록 도와주는 것이다.
상기 제 1 내지 3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세제 수용부와 터브를 연결하는 연결 유로 상에 배치되는 세탁물 처리장치용 체크밸브는, 유로 방향으로 두께를 형성하는 메인판과, 상기 메인판의 둘레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메인판의 적어도 일부분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되는 연장부와, 상기 둘레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연결 유로에 고정되기 위해 구비되는 연결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내지 3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처리장치는, 포를 수용하는 터브와, 세제를 수용하는 세제 수용부와, 상기 세제 수용부 내의 액체를 상기 터브 내로 유입시키는 연결 유로와, 상기 연결 유로 상에 배치되어 역류를 방지하는 체크밸브를 포함한다. 상기 체크밸브는, 상기 연결 유로를 가로지르며 배치되는 메인판과, 상기 메인판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고 상기 메인판의 적어도 일부분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되는 연장부와, 상기 메인판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연결 유로에 고정되는 연결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 2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연장부는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리브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3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연장부는, 상기 연결부가 배치된 범위를 제외한 나머지 범위에서만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연장부의 두께는 상기 메인판의 가장자리의 두께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메인판의 중앙부의 두께는 상기 메인판의 가장자리의 두께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체크밸브는, 상기 메인판의 중심을 유로 방향으로 관통하는 가상의 중심축을 포함하는 단면상에서, 중앙부에서 가장자리로 갈수록 오목한 곡률을 형성하다가 볼록한 곡률을 형성하는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크밸브의 중앙부는, 상기 단면상에서 볼록한 곡률을 형성하는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 유로는, 상기 세제 수용부에 형성된 공급관 연결부와, 일단이 상기 공급관 연결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터브에 연결된 공급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3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공급관 연결부는, 상기 연장부의 역류 방향을 바라보는 면에 접촉하는 안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열결홀을 형성하고, 상기 연결 유로는 상기 연결홀을 통과하며 배치되는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3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연장부는 상기 연결홀의 하단보다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제해결수단을 통해서, 본 발명은 체크밸브로써 터브 내의 세탁수, 수증기 또는 거품 등이 상기 세제 수용부 내로 역류하는 현상을 막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체크밸브의 연장부를 두껍게 함으로써, 체크밸브의 둘레 부분을 따라 잘 휘지 않도록 하여, 체크밸브가 작동 중 연결 유로 내에서 구속되는 오작동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장부가 잘 휘지 않기 때문에, 체크밸브의 둘레부분이 휘어져서 유로 공간의 내로 말려들어가거나, 유로 공간의 주변의 구성 들에 끼여 정상 흐름 방향으로도 이동되지 않는 오작동을 막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체크밸브의 중앙부를 두껍게 함으로써, 메인판이 전체적으로 잘 휘지 않도록 하여, 체크밸브가 작동 중 연결 유로 내에서 구속되는 오작동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체크밸브의 연장부를 두껍게 함으로써, 체크밸브가 연결 유로 내에서 구속되더라도, 연장부의 상대적으로 강한 복원력에 의해 구속이 스스로 쉽게 풀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체크밸브의 상기 주변부의 두께를 상대적으로 작게 함으로써, 상기 체크밸브의 무게를 상대적으로 가볍게 하여, 연결 유로 내의 정상 흐름 방향의 유체에 의해 상기 체크밸브가 쉽게 개방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체크밸브의 볼록하고 오목한 곡률을 가진 표면 형성을 통해, 연결 유로 내의 정상 흐름 방향의 유체가 오목한 곡률 부분으로 모여, 상기 체크밸브가 상기 정상 흐름 방향으로 쉽게 열리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체크밸브의 볼록하고 오목한 곡률을 가진 표면 형성을 통해, 연결 유로 내의 역류 방향의 유체가 오목한 곡률 부분으로 모여, 상기 체크밸브가 충분한 힘으로 상기 연결 유로를 폐쇄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연결홀의 하단보다 하측에 연장부를 위치시키거나, 연장부가 상측의 연결부을 제외한 범위내에서만 연장되게 함으로써, 상기 체크밸브가 유체의 정상 흐름 방향으로는 원활하게 휘어질 수 있게 구현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상기 연결부는 강성이 작게하여 잘 휘어지게 함으로써, 체크밸브의 둘레부분이 잘 휘어지지 않더라도 원할 하게 연결 유로를 개방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장치(100)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세제 수용부(150) 및 체크밸브(170)의 분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체크밸브(170)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체크밸브(170)를 정면에서 바라본 입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체크밸브(170)를 라인 A1-A1'를 따라 두께 방향으로 자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공급관 연결부(153)의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도 2의 공급관 연결부(153)를 정면에서 바라본 입면도이다. 도 7a는 체크밸브(170)가 제외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7b는 체크밸브(170)가 연결유로 상에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8a 및 도 8b는, 도 7b의 공급관 연결부(153) 및 체크밸브(170)를 라인 A2-A2'를 따라 수직으로 자른 단면도이다. 도 8a는 연결 유로(160, 153) 내의 액체가 정상 흐름 방향(F)으로 흐를 때 체크밸브(170)의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8b는 연결 유로(160, 153) 내의 액체가 역류 방향(R)으로 흐를 때 체크밸브(170)의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본 설명에서 언급되는 '정상 흐름 방향(F)'은 세제 수용부(150) 내의 액체가 정상적으로 터브(122) 내로 공급될 때 유체가 흐르는 방향을 의미하고, '역류 방향(R)'은 터브(122) 내의 액체나 기체 등이 세제 수용부(150) 내로 유입되는 방향을 의미한다. 도 2, 도 8a 및 도 8b는, 정상 흐름 방향(F) 및 역류 방향(R)을 도시한다. 본 설명에서 언급되는 '유로 방향'은 정상 흐름 방향(F) 및 역류 방향(R)을 포괄하는 의미이다.
또한, 본 설명에서 언급되는 '상(U)/하(D)/좌(Le)/우(Ri)' 등의 방향을 지칭하는 표현은 도 4, 도 7a 및 도 7b에 표시된 바에 따라 정의하다. 또한, 본 설명에서 언급되는 '중심축(X)'은 체크밸브(170)의 중심부를 유로 방향으로 관통하는 가상의 축을 의미하고, '원주 방향'이란 중심축(X)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원심 방향'이란 중심축(X)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의미하고, '원심 반대 방향'이란 중심축(X)에 가까워지는 방향을 의미한다. 이는 어디까지나 본 발명이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도록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기준을 어디에 두느냐에 따라 각 방향들을 다르게 정의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 언급되는 구성요소 앞에 ‘제 1, 제 2, 제 3' 등의 표현이 붙는 용어 사용은, 지칭하는 구성요소의 혼동을 피하기 위한 것일뿐, 구성요소 들 사이의 순서, 중요도 또는 주종관계 등과는 무관하다. 예를 들면, 제 1 구성요소 없이 제 2구성요소 만을 포함하는 발명도 구현 가능하다.
도 1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장치(100)는 포 투입구(111a)가 형성된 케이싱(111)과, 포 투입구(111a)를 개폐하는 도어(112)를 포함한다. 세탁물 처리장치(100)는 케이싱(111) 내에 배치되는 터브(122)를 포함한다. 세탁물 처리장치(100)는 터브(122)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럼(124)을 포함할 수 있다. 드럼(124)은 포 투입구(111a)를 통해 투입된 포를 수용한다. 세탁물 처리장치(100)는 드럼(124)를 회전시키는 모터(113)를 포함한다. 세탁물 처리장치(100)는 세제를 수용하는 세제 수용부(150)를 포함한다. 세탁물 처리장치(100)는 컨트롤 패널(114)을 포함한다.
케이싱(111)에는 포 출입구(111a)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도어(112)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케이싱(111)에는 컨트롤 패널(114)이 구비된다.
터브(122)는 케이싱(111) 내부에 스프링(115) 및 댐퍼(117)에 의하여 완충 가능하게 배치된다. 터브(122)는 세탁수를 수용한다. 터브(122)는 드럼(124)의 외부에 드럼(124)를 감싸며 배치된다. 터브(122)는 포를 수용한다. 드럼(124)이 구비되지 않는 실시예에서, 터브(122)의 내면에 포가 접촉하며 터브(122)가 포를 수용할 수 있다. 드럼(124)이 구비되는 실시예에서, 드럼(124)이 포를 수용하고 터브(122)는 드럼(124)을 수용하므로, 터브(122)는 포를 수용한다.
모터(113)는 드럼(124)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력을 발생한다. 모터(113)는 정방향 또는 상기 정방향과 반대인 역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며, 드럼(124)을 다양한 속도 또는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드럼(124)은 터브(122)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드럼(124)은 회전 가능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드럼(124)은 세탁수가 통과되도록 복수의 통공이 형성된다. 드럼(124)은 모터(113)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한다.
개스킷(128)은 터브(122)와 케이싱(111) 사이를 밀봉한다. 개스킷(128)은 터브(122)의 입구와 포 투입구(111a) 사이에 배치된다. 개스킷(128)은 드럼(124)의 회전시 도어(112)로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하는 동시에 터브(122) 내의 세탁수가 외부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한다. 개스킷(128)에는 드럼(124) 내로 세탁수를 유입하는 순환노즐(127)이 구비될 수 있다.
세제 수용부(150)는 세탁 세제, 섬유 유연제 또는 표백제 등의 세제가 수용된다. 세탁물 처리장치(100)는, 케이싱(111)의 외부에서 세제 수용부(150)의 내부로 세제를 투입 가능하게 구비된다. 일 예로, 세제 수용부(150)의 내부에는 드로어(미도시)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고, 케이싱(111)의 외부에서 상기 드로어가 인출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케이싱(111)의 외부에서 상기 세제 수용부(150)의 전체가 인출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세제 수용부(150)는 케이싱(111)의 전면에 인출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세제 수용부(150) 내의 세제는 물과 혼합되어 터브(122) 내로 유입된다.
세탁물 처리장치(100)는 외부 수원으로부터 물의 유입을 조절하는 급수 밸브(131)를 포함한다. 세탁물 처리장치(100)는 급수 밸브(131)에 의해 유입된 물을 세제 수용부(150)로 안내하는 급수 유로(132)를 포함한다. 급수 유로(132)는 세제 수용부(150)의 내부로 물이 공급되도록 안내한다. 세제 수용부(150) 내의 세제와 물이 혼합된 액체가 연결 유로(153, 160)를 통해 터브(122) 내로 유입된다. 연결 유로(153, 160)는 세제 수용부(150) 내의 액체를 터브(122) 내로 유입시킨다.
세탁물 처리장치(100)는, 케이싱(111) 내부에는 터브(122) 내의 세탁수가 유출되도록 안내하는 배수관(135)과, 배수되는 세탁수에 압력을 가하는 펌프(136)와, 세탁수가 케이싱(111)의 외부로 배수되도록 안내하는 배수 유로(138)를 포함한다. 터브(122)내의 세탁수는 배수관(135), 펌프(136) 및 배수 유로(138)를 순차적으로 거쳐 배수된다.
세탁물 처리장치(100)는, 세탁수를 순환시키는 순환 유로(137)와, 세탁수가 드럼(124) 내로 유입하는 순환노즐(127)을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라, 순환 펌프 및 배수 펌프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여, 세제 수용부(150)는 세제를 수용하는 세제 수용공간(150a)을 형성한다. 세제 수용부(150)는 터브의 상측에 위치한다. 세제 수용부(150)는 내부에 세제 수용공간(150a)을 형성하는 세제 케이스(151)를 포함한다. 세제 케이스(151)는 세제 수용부(150)의 외형을 형성한다. 세제 수용부(150)는 공급관(160)에 연결되는 공급관 연결부(153)를 포함한다. 공급관 연결부(153)는 세제 수용부(150)의 하측에 배치된다. 공급관 연결부(153)는 세제 케이스(151)에서 일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공급관 연결부(153)는 유로 방향으로 돌출된다.
연결 유로(153, 160)는 세제 수용부(150) 내부의 액체를 터브(122) 내로 안내하는 통로를 제공한다. 연결 유로(153, 160)는, 일단이 공급관 연결부(153)에 연결되고 타단이 터브(122)에 연결된 공급관(160)을 포함한다. 연결 유로(153, 160)는, 세제 수용부(150)에 형성된 공급관 연결부(153)를 포함한다. 체크밸브(170)는 연결 유로(160, 153)상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체크밸브(170)는 공급관(160) 또는 공급관 연결부(153)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체크밸브(170)는 공급관 연결부(153)에 배치된다.
도 6 내지 8b를 참고하여, 공급관 연결부(153)는 공급관(160)의 일단에 연결된다. 공급관 연결부(153)는 공급관(160)의 일단과 체결되는 스크류(153a)를 형성할 수 있다. 스크류(153a)는 공급관 연결부(153)의 외주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공급관(160)의 일단부의 내주면에는 스크류(153a)와 맞물리는 형상의 홈이 형성된다.
공급관 연결부(153)는 유로 방향을 따라 연장된 유로 공간(153b)을 형성한다. 유로 공간(153b)은 세제 수용공간(150a)과 연결된다. 유로 공간(153b)은 공급관(160) 내부의 공간과 연결된다.
공급관 연결부(153)는 체크밸브(170)의 가장자리 부분의 배면이 접촉되는 안착부(154)를 포함한다. 안착부(154)는 공급관 연결부(153)의 외주면보다 원심 방대 방향에 위치한다. 안착부(154)는 체크밸브(170)의 연장부(173)의 역류 방향(R)을 바라보는 면에 접촉한다. 안착부(154)는 체크밸브(170)가 안착부(154)에 접촉한 상태에서는 더 이상 역류 방향(R)으로 휘어지지 않게 한다.
공급관 연결부(153)는 체크밸브(170)의 둘레를 감싸며 배치되는 둘레부(155)를 포함한다. 둘레부(155)는 안착부(154)의 둘레를 감싸며 배치된다. 둘레부(155)는 안착부(154)에서 정상 흐름 방향(F)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둘레부(155)의 상측부에는 배치 홈(153c)이 형성된다. 배치 홈(153c)에는 체크밸브(170)의 연결부(175)가 배치된다.
공급관 연결부(153)는, 공급관 연결부(153)의 내측면에서 원심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어 유로 방향을 따라 연장된 안착 보조부(157)를 포함한다. 안착 보조부(157)는 리브 형상으로 형성된다. 안착 보조부(157)는 안착부(154)가 배치된 지점에서 말단을 형성한다. 복수의 안착 보조부(157)가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공급관 연결부(153)의 내측면 중, 좌측면에 형성된 제 1안착 보조부(157a)와, 하측면에 형성된 제 2안착 보조부(157b)와, 우측면에 형성된 제 3안착 보조부(157c)가 구비된다. 안착 보조부(157)의 말단은 체크밸브(170)가 안착부(154)에 접촉한 상태에서 역류 방향(R)으로 더 이상 꺾이지 않게 한다.
공급관 연결부(153)는 체크밸브(170)를 고정시키는 고정부(158)를 포함한다. 고정부(158)는 배치 홈(153c)에 배치된다. 배치 홈(153c)은 공급관 연결부(153)의 말단에서 역류 방향(R)으로 함몰되어 형성된다. 고정부(158)는 정상 흐름 방향(F)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고정부(158)는 체크밸브(170)의 후술할 연결홀(175a)을 통과하며 배치된다.
고정부(158)는 정상 흐름 방향(F)으로 돌출되고 연결홀(175a)을 통과하며 배치되는 제 1파트(158a)를 포함한다. 제 1파트(158a)는 안착부(154)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 상에서 돌출되어 형성된다. 고정부(158)는 체크밸브(170)를 걸림되게 형성된 제 2파트(158b)를 포함한다. 제 2파트(158b)는 후크 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 2파트(158b)는 제 1파트(158a)의 말단부에 형성된다. 제 2파트(158b)는 연결홀(175a)의 정상 흐름 방향 측에 배치된다. 제 2파트(158b)는, 제 1파트(158a)에서 상측으로 돌출된 제 1후크(158b1)를 포함한다. 제 2파트(158b)는, 제 1파트(158a)에서 우측으로 돌출된 제 2후크(158b2)를 포함한다. 제 2파트(158b)는, 제 1파트(158a)에서 좌측으로 돌출된 제 3후크(158b3)를 포함한다.
도 2 내지 도 5 및 도 7b 내지 도 8b를 참고하여, 체크밸브(170) 는 세제 수용부(150)와 터브(122)를 연결하는 연결 유로(160, 153) 상에 배치된다. 체크밸브(170)는 연결 유로(160, 153) 상에 배치되어 역류를 방지한다. 체크밸브(170)는 고무 등의 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체크밸브(170)는 연결 유로(160, 153) 내의 액체의 흐름에 의한 압력에 의해 휘어질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된다.
체크밸브(170)는 연결 유로(160, 153)를 가로지르며 배치되는 메인판(171)을 포함한다. 체크밸브(170)는 메인판(171)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는 연장부(173)를 포함한다. 연장부(173)는 메인판(171)의 적어도 일부분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된다. 체크밸브(170)는 연결 유로(160, 153)에 고정되는 연결부(175)를 포함한다. 연결부(175)는 메인판(171)의 일측에 배치된다.
메인판(171)은 유로 방향으로 두께를 형성한다. 메인판(171)은 유로의 중앙에 배치되는 중앙부(171a)를 포함한다. 메인판(171)은 중앙부(171a)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주변부(171b)를 포함한다. 주변부(171b)는 중앙부(171a)와 연장부(173)의 사이에 배치된다. 주변부(171b)는 중앙부(171a)보다 원심 방향에 위치한다. 주변부(171b)는 연장부(173)보다 원심 반대 방향에 위치한다.
연결부(175)는 메인판(171)의 둘레의 일측에 배치된다. 연결부(175)는 연결 유로(160, 153)에 고정되기 위해 구비된다. 연결부(175)는, 탄성 휨 변형 및 탄성 복원하여, 연결 유로(160, 153)를 개폐한다.(도 8a 및 도 8b 참고) 연결부(175)는 연결홀(175a)을 형성한다. 연결홀(175a)은 연결부(175)를 유로 방향으로 관통한다. 연결부(175)는 체크밸브(170)의 둘레에서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연결부(175)는 메인판(171)과 일체로 형성된다.
연장부(173)는 메인판(171)의 둘레을 따라 연장된다. 연장부(173)는 주변부(171b)의 둘레를 따라 연장된다. 연장부(173)는 메인판(171)과 일체로 형성된다. 연장부(173)는 메인판(171)의 적어도 일부분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된다. 연장부(173)는 인접하는 메인판(171)의 두께보다 두꺼운 두께(유로 방향으로의 두께)를 형성한다. 연장부(173)는 주변부(171b)의 두께보다 두꺼운 두께를 형성한다. 연장부(173)는,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리브를 형성할 수 있다.
도 4를 참고하여, 연장부(173)는, 연결부(175)가 배치된 범위를 제외한 나머지 범위에서만 연장된다. 연장부(173)는, 메인판의 중심을 유로 방향으로 관통하는 가상의 중심축(X)을 기준으로, 연결부(175)가 배치된 예각 범위(a)를 제외한 나머지 각도 범위(b)에서만 연장된다.
연장부(173)는 연결홀(175a)의 하단보다 아래에 배치된다. 연장부(173)의 상단에서 연결부(175)의 상단까지의 길이를 연결부 길이(c)로 정의한다. 연결부 길이(c)의 하단은 연결홀(175a)의 하단보다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도 5를 참고하여, 연장부(173)의 두께(e)는 메인판(171)의 가장자리의 두께(f)보다 크게 형성된다. 연장부(173)의 두께(e)는 주변부(171b)의 두께(f)보다 크게 형성된다. 연장부(173)는 정상 흐름 방향(F)으로 돌출된 표면을 형성할 수 있다. 연장부(173)는 역류 방향(R)으로 돌출된 표면을 형성할 수 있다. 연장부(173)는 메인판(171)의 가장자리에서 정상 흐름 방향(F)으로 돌출된 표면을 형성할 수 있다. 메인판(171)의 가장자리에서 역류 방향(R)으로 돌출된 표면을 형성할 수 있다.
메인판(171)의 중앙부(171a)의 두께(d)는 메인판(171)의 가장자리의 두께(f)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메인판(171)의 중앙부(171a)의 두께(d)는 주변부(171b)의 두께(f)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중앙부(171a)의 두께(d)는 연장부(173)의 두께(e)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체크밸브(170)는, 중심축(X)을 포함하는 단면상에서, 중앙부(171a)에서 가장자리로 갈수록 오목한 곡률(r2)을 형성하다가 볼록한 곡률(r3)을 형성하는 표면을 포함한다. 체크밸브(170)의 정상 흐름 방향(F)을 바라보는 표면은, 상기 곡률(r2) 및 상기 곡률(r3)을 형성할 수 있다. 체크밸브(170)의 역류 방향(R)을 바라보는 표면은, 상기 곡률(r2) 및 상기 곡률(r3)을 형성할 수 있다.
체크밸브(170)의 중앙부(171a)는, 중심축(X)을 포함하는 단면상에서 볼록한 곡률(r3)을 형성하는 표면을 포함한다. 체크밸브(170)의 중앙부(171a)의 정상 흐름 방향(F)을 바라보는 표면은, 상기 곡률(r3)을 형성할 수 있다. 체크밸브(170)의 중앙부(171a)의 역류 방향(R)을 바라보는 표면은, 상기 곡률(r3)을 형성할 수 있다.
체크밸브(170)는, 중심축(X)을 포함하는 단면상에서, 중앙부(171a)에서 볼록한 곡률(r3)을 형성하는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체크밸브(170)는 상기 단면상에서, 주변부(171b)에서 오목한 곡률(r2)을 형성하는 표면을 포함할 수 잇다. 체크밸브(170)는 상기 단면상에서, 연장부(173)에서 볼록한 곡률(r1)을 형성하는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면상에서 체크밸브(170)의 표면은, 상기 곡률(r1)을 형성하는 표면과 상기 곡률(r2)을 형성하는 표면이 연결되는 변곡점(p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면상에서 체크밸브(170)의 표면은, 상기 곡률(r2)을 형성하는 표면과 상기 곡률(r3)을 형성하는 표면이 연결되는 변곡점(p2)을 포함할 수 있다. 체크밸브(170)의 정상 흐름 방향(F)을 바라보는 표면은, 상기 변곡점(p1)을 포함할 수 있다. 체크밸브(170)의 정상 흐름 방향(F)을 바라보는 표면은, 상기 변곡점(p2)을 포함할 수 있다. 체크밸브(170)의 역류 방향(R)을 바라보는 표면은, 상기 변곡점(p1)을 포함할 수 있다. 체크밸브(170)의 역류 방향(R)을 바라보는 표면은, 상기 변곡점(p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a 및 도 8b를 참고하여, 체크밸브(170)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연결 유로(160, 153) 내의 유체가 정상 흐름 방향(F)으로 흐르는 경우, 유체는 체크밸브(170)에 정상 흐름 방향(F)으로 압력을 제공한다. 이 때, 연결부(175)의 하측부가 정상 흐름 방향(F)으로 휘어지면서, 연장부(173)와 안착부(154) 사이에 갭(gap)이 형성된다. 상기 갭을 통해, 연결 유로(160, 153) 내의 유체가 흘러갈 수 있게 된다. 연결부(175)의 하측부는 원할하게 휘어질 수 있도록, 연장부(173)가 형성되지 않는 연결부 길이(c)를 충분히 확보하게 구현될 수 있다.
연결 유로(160, 153) 내의 유체가 역류 방향(F)으로 흐르는 경우, 유체는 체크밸브(170)에 역류 방향(R)으로 압력을 제공한다. 이 때, 연장부(173)와 안착부(154)가 서로 접촉하게 된다. 연장부(173)와 안착부(154)가 서로 접촉하면 연결 유로(160, 153)가 막히게 되고, 유체가 역류 방향(R)으로 흘러 세제 수용부(15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이 때, 연장부(173)의 두께를 충분히 확보하여, 연장부(173)의 강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연장부(173)의 강성을 증가시키면, 연장부(173)가 휘어져서 유로 공간(153b)의 내로 말려들어가거나, 유로 공간(153b)의 주변의 구성 들(안착부(154) 및/또는 안착 보조부(157))에 끼여 정상 흐름 방향(F)으로도 이동되지 않는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100 : 세탁물 처리장치 124 : 드럼
122 : 터브 132 : 급수 유로
150 : 세제 수용부 150a : 세제 수용공간
151 : 세제 케이스 153 : 공급관 연결부
160, 153 : 연결 유로 160 : 공급관
153 : 공급관 연결부 154 : 안착부
155 : 둘레부 157 : 안착 보조부
158 : 고정부
170 : 체크밸브 171 : 메인판
171a : 중앙부 171b : 주변부
173 : 연장부 175 : 연결부
175a : 연결홀

Claims (10)

  1. 세제 수용부와 터브를 연결하는 연결 유로 상에 배치되는 세탁물 처리장치용 체크밸브에 있어서,
    유로 방향으로 두께를 형성하는 메인판;
    상기 메인판의 둘레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메인판의 적어도 일부분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되는 연장부; 및
    상기 둘레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연결 유로에 고정되기 위해 구비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장치용 체크밸브.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리브를 형성하는 세탁물 처리장치용 체크밸브.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상기 연결부가 배치된 범위를 제외한 나머지 범위에서만 연장되는 세탁물 처리장치용 체크밸브.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의 두께는 상기 메인판의 가장자리의 두께보다 크게 형성되는 세탁물 처리장치용 체크밸브.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판의 중앙부의 두께는 상기 메인판의 가장자리의 두께보다 크게 형성되는 세탁물 처리장치용 체크밸브.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크밸브는,
    상기 메인판의 중심을 유로 방향으로 관통하는 가상의 중심축을 포함하는 단면상에서, 중앙부에서 가장자리로 갈수록 오목한 곡률을 형성하다가 볼록한 곡률을 형성하는 표면을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장치용 체크밸브.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체크밸브의 중앙부는,
    상기 단면상에서 볼록한 곡률을 형성하는 표면을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장치용 체크밸브.
  8. 포를 수용하는 터브;
    세제를 수용하는 세제 수용부;
    상기 세제 수용부 내의 액체를 상기 터브 내로 유입시키는 연결 유로; 및
    상기 연결 유로 상에 배치되어 역류를 방지하는 체크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체크밸브는,
    상기 연결 유로를 가로지르며 배치되는 메인판;
    상기 메인판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고 상기 메인판의 적어도 일부분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되는 연장부; 및
    상기 메인판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연결 유로에 고정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유로는, 상기 세제 수용부에 형성된 공급관 연결부와, 일단이 상기 공급관 연결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터브에 연결된 공급관을 포함하고,
    상기 공급관 연결부는,
    상기 연장부의 역류 방향을 바라보는 면에 접촉하는 안착부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장치.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열결홀을 형성하고,
    상기 연결 유로는 상기 연결홀을 통과하며 배치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는 상기 연결홀의 하단보다 아래에 배치되는 세탁물 처리장치.
KR1020170004089A 2017-01-11 2017-01-11 세탁물 처리장치용 체크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장치 KR1019390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4089A KR101939084B1 (ko) 2017-01-11 2017-01-11 세탁물 처리장치용 체크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4089A KR101939084B1 (ko) 2017-01-11 2017-01-11 세탁물 처리장치용 체크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2782A true KR20180082782A (ko) 2018-07-19
KR101939084B1 KR101939084B1 (ko) 2019-01-16

Family

ID=63058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4089A KR101939084B1 (ko) 2017-01-11 2017-01-11 세탁물 처리장치용 체크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908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99501A (ja) * 1996-05-17 1997-11-25 Yamato Protec Co 流水検知装置
JPH10272277A (ja) * 1997-03-31 1998-10-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ドラム式洗濯乾燥機
KR200341843Y1 (ko) * 2003-11-11 2004-02-14 씨티엠(주) 식기세척기용 배수역류방지밸브 조립체
KR20160021517A (ko) * 2014-08-18 2016-02-26 지엠 글로벌 테크놀러지 오퍼레이션스 엘엘씨 요소수 주입용 체크 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요소수 공급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99501A (ja) * 1996-05-17 1997-11-25 Yamato Protec Co 流水検知装置
JPH10272277A (ja) * 1997-03-31 1998-10-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ドラム式洗濯乾燥機
KR200341843Y1 (ko) * 2003-11-11 2004-02-14 씨티엠(주) 식기세척기용 배수역류방지밸브 조립체
KR20160021517A (ko) * 2014-08-18 2016-02-26 지엠 글로벌 테크놀러지 오퍼레이션스 엘엘씨 요소수 주입용 체크 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요소수 공급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9084B1 (ko) 2019-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1331400B2 (en) Laundry machine
KR101332286B1 (ko) 세탁기
US11001953B2 (en) Washing machine
TWI453316B (zh) Drum Washing Machine (3)
EP3121326A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20150047372A (ko) 세탁기
EP2982792B1 (en) Water quality detector assembly of a washing machine
EP2524992B1 (en) Washing machine comprising a drain hose
EP3594403A1 (en) Washing machine
KR102448494B1 (ko) 세탁기
KR101939084B1 (ko) 세탁물 처리장치용 체크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장치
KR20170037327A (ko) 배수장치
KR20100086621A (ko) 드럼 세탁기
EP3739109A1 (en) Drainage pump
US11377773B2 (en) Washing machine
TWI676722B (zh) 洗衣機
JP6932188B2 (ja) 洗濯機
JP4299321B2 (ja) ドラム洗濯機
JP7372133B2 (ja) 衣類処理装置、フィルタ装置
US11913161B2 (en) Washing machine
US20240026594A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1054400B1 (ko) 세탁기의 유체 유출 차단 구조
JP2021529044A (ja) 洗濯機
KR20170006091A (ko) 의류처리장치
JP2021528182A (ja) 洗濯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