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2762A - Apparatus for authenticating user using ecg signal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authenticating user using ecg sig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2762A
KR20180082762A KR1020170004025A KR20170004025A KR20180082762A KR 20180082762 A KR20180082762 A KR 20180082762A KR 1020170004025 A KR1020170004025 A KR 1020170004025A KR 20170004025 A KR20170004025 A KR 20170004025A KR 20180082762 A KR20180082762 A KR 201800827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cardiogram
user
pad
skin
authent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402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신한욱
최은석
Original Assignee
메타싱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메타싱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메타싱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040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82762A/en
Publication of KR201800827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276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2User authentication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prints
    • A61B5/0408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18Heart-related electrical modalities, e.g. electrocardiography [EC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4User authentication involving the use of external additional devices, e.g. dongles or smart cards
    • G06F21/35User authentication involving the use of external additional devices, e.g. dongles or smart cards communicating wireless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Cardi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Electrical Phenomena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Body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user authentication device using an electrocardiogram (ECG) signal. The device, which comprises a pad, an ECG detection module, an authentication memory module, and a near-field communication module, is attached to user′s skin for ECG measurement. Then, the device determines whether or not pre-input personal ECG information of the user corresponds to an ECG measurement value of an ECG-measured user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user is an authenticated user. As a result,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improving security based on reduced concerns of loss.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requires no expensive recognition equipment, and thus manufacturing cost reduction can be achieved. Furthermore, inconvenience related to user authentication can be addressed as the user authentication can be more easily performed compared to existing biometrics technology.

Description

심전도 신호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장치{APPARATUS FOR AUTHENTICATING USER USING ECG SIGNAL}[0001] APPARATUS FOR AUTHENTICATING USER USING ECG SIGNAL [0002]

본 발명은 심전도 신호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심전도(ECG: Electrocardiogram) 측정값을 이용해 해당 사용자가 인증 대상인지 여부를 검증함으로써, 분실 우려가 적어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고가의 인식기기를 필요로 하지 않아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기존의 생체인식기술에 비해 사용자 인증 과정이 쉬워 사용자 인증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심전도 신호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user authentication apparatus using an electrocardiogram signal, and more particularly, by verifying whether or not a user is an authentication target using an ECG (Electrocardiogram) measurement value, To a user authentication apparatus using an electrocardiogram signal which can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without requiring an expensive recognition device and can solve the inconvenience of user authentication because the user authentication process is easier than the existing biometrics technology .

일반적으로 사용자 인증기술은 사용자가 별도의 인식기기를 휴대하는 방법과, 사용자의 인체 및 행동학적 특성을 이용한 생체인식기술(Biometics) 등이 사용된다.In general, the user authentication technology uses a method in which a user carries a separate recognition device, and biometrics using a user's body and behavioral characteristics.

이 중, 종래의 생체인식기술은 인간의 고유한 특징과 관련된 신체적, 생리학적 방법을 말하는 것으로, 사용자의 지문, 홍채, 망막, 정맥, 안면 등을 인식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인간의 행위 및 행동과 관련된 방법으로는 걸음걸이, 음성, 필기체 등을 인식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Conventional biometrics technology refers to a physical and physiological method related to a characteristic of a human being. A method of recognizing a user's fingerprint, iris, retina, vein, face, etc. is used. As a related method, a method of recognizing gait, voice, and handwriting is used.

그런데, 종래의 생체인식기술은 사용자가 지문 및 홍채 등을 인식시키거나 필기체 등을 입력하는 과정이 필요하므로, 사용자가 인식 방법에 불편함을 느낄 수 있었고, 외부 환경의 영향 및 사용자의 조작 미숙으로 인해 인식 오류가 빈번하게 발생되므로 사용자 인증 과정에 번거로움이 있었다.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biometric technology requires a process of recognizing fingerprints and irises by a user or inputting a handwritten character or the like, the user may feel inconvenience in the recognition method, The user authentication process is troublesome because the recognition error frequently occurs.

또한, 종래의 사용자 인증기술 중 인식기기를 휴대하는 기술은 분실의 우려가 있어 범죄에 노출될 수 있는 단점이 있었고, 종래의 생체인식기술과 인식기기를 사용하는 기술은 고가의 인식기기가 필요하므로 사용자 인증 시스템 구축에 많은 비용이 투입되어야 했다.In addition, among the conventional user authentication techniques,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a technology for carrying a recognition device may be exposed to a crime because of the fear of loss, and a technology using a conventional biometrics technology and a recognition device requires an expensive recognition device The cost of building a user authentication system was high.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 문헌으로는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6-0043633호(2016년 04월 22일)가 있으며, 상기 선행 문헌에는 사용자 인증방법 및 인증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A prior art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is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6-0043633 (Apr. 22, 2016), which discloses a user authentication method and an authentication system.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하여 심전도(ECG: Electrocardiogram)를 측정한 후, 미리 입력된 사용자의 개인 심전도정보와 측정된 사용자의 심전도 측정값이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별하여, 해당 사용자가 인증 대상인지 여부를 검증함으로써, 분실 우려가 적어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고가의 인식기기를 필요로 하지 않아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기존의 생체인식기술에 비해 사용자 인증 과정이 쉬워 사용자 인증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심전도 신호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ctrocardiogram (ECG) measuring apparatus which measures an electrocardiogram (ECG) attached to a skin of a user and then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personal electrocardiogram information of a user inputted in advance matches a measured value of a user's electrocardiogram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by eliminating the need for an expensive recognizing device and it is easy to perform the user authentication process compared to the existing biometrics technology, And a user authentication device using the electrocardiogram signal that can solve the inconvenience of the user.

본 발명에 따른 심전도 신호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장치는,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 또는 휴대할 수 있는 패드와, 상기 패드에 실장되며, 사용자의 피부에 접촉하여 심전도(ECG)를 측정하는 심전도 감지모듈과, 상기 패드에 실장되며, 상기 심전도 감지모듈로부터 전달되는 심전도 측정값이 미리 입력된 개인 심전도정보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인증 메모리모듈 및, 상기 패드에 실장되며, 상기 인증 메모리모듈에 의해 판별된 상기 심전도 측정값이 상기 개인 심전도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심전도 측정값에 해당하는 암호화된 상기 개인 심전도정보를 외부기기로 전송하는 근거리 통신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user authentication apparatus using an electrocardiogram sig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pad which can be attached to or carried on a user's skin; an electrocardiogram detection module mounted on the pad and measuring an electrocardiogram (ECG) An authentication memory module which is mounted on the pad and discriminates whether the electrocardiogram measured value transmitted from the electrocardiogram sensing module matches the personal electrocardiogram information inputted in advance; and an authentication memory module mounted on the pad, And a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for transmitting the encrypted personal electrocardiogram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electrocardiogram measurement value to an external device when the measured electrocardiogram matches the personal electrocardiogram information.

여기서, 상기 심전도 감지모듈은 사용자의 피부와 접촉되는 경우 활성화되어, 사용자의 심전도를 실시간으로 감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electrocardiogram sensing module is activated when it contacts the user's skin, and senses the electrocardiogram of the user in real time.

또한, 상기 패드에는 상기 심전도 감지모듈과 상기 근거리 통신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스위치모듈이 더 실장되며, 상기 스위치모듈은 사용자의 피부와 접촉시 활성화되며, 사용자의 체온을 전기에너지로 변환할 수 있다.The pad may further include a switch modul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ocardiogram sensing module and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The switch module may be activated upon contact with the user's skin, and convert the body temperature of the user into electrical energy .

또한, 상기 패드는 신축 가능한 소재로 구비되며,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되는 일면에 접착물질이 도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pad is made of a stretchable material, and an adhesive material is applied to one surface of the pad attached to the user's skin.

또한, 상기 근거리 통신모듈은 상기 패드를 다수의 사용자 피부에 부착시키는 경우, 상기 심전도 감지모듈들로부터 전달되는 암호화된 개인 심전도정보들을 하나의 외부기기에 일괄 전송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pad is attached to a plurality of user's skin,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may collectively transmit the encrypted personal electrocardiogram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electrocardiogram sensing modules to one external device.

본 발명은 사용자의 인체에 부착한 상태로 심전도(ECG: Electrocardiogram)를 측정하여 인증 대상인지 여부를 검증함으로써, 분실 우려가 적어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고가의 인식기기를 필요로 하지 않아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verifies whether or not an object to be authenticated by measuring an ECG (Electrocardiogram) in a state of being attached to a human body of a user is less likely to be lost, thereby improving security, Thereby reducing the cost.

그리고, 본 발명은 얇은 패치 형태의 패드를 인체에 부착하는 방식을 사용하므로 기존의 생체인식 방식(지문, 홍채, 망막, 정맥, 안면, 목소리, 필기체 등)에 비해 사용자 인증 과정이 쉬워 사용자 인증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method of attaching a thin patch-shaped pad to a human body, the user authentication process is easier than the conventional biometric method (fingerprint, iris, retina, vein, face, voice, It is possible to eliminate the inconvenienc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심전도 신호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장치를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심전도 신호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장치를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심전도 신호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장치의 구성들을 개략적으로 보여주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심전도 신호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장치의 인증 단계를 예시적으로 보여주기 위한 블럭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user authentication device using an electrocardiogram sig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ttached to a user's skin.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user authentication device using an electrocardiogram sig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ttached to a user's skin.
3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s of a user authentication apparatus using an electrocardiogram sig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authentication step of a user authentication apparatus using an electrocardiogram sig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nner of achieving it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fully disclose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since they would obscure the invention in unnecessary detail.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심전도 신호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장치를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user authentication device using an electrocardiogram sig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ttached to a user's skin.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심전도 신호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장치를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이다.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user authentication device using an electrocardiogram sig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ttached to a user's skin.

또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심전도 신호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장치의 구성들을 개략적으로 보여주기 위한 블럭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s of a user authentication apparatus using an electrocardiogram sig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심전도 신호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장치는 패드(100)와, 심전도 감지모듈(200)과, 인증 메모리모듈(300) 및, 근거리 통신모듈(400)을 포함한다.1 to 3, a user authentication apparatus using an electrocardiogram sig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ad 100, an electrocardiogram sensing module 200, an authentication memory module 300, a local communication module 400, .

먼저, 상기 패드(100)는 사용자의 피부(10)에 부착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패드(100)는 사용자의 피부(10)에 부착된 상태에서 형태 변형이 가능하도록 신축 가능한 소재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ad 100 can be attached to the user's skin 10. The pad 100 can be made of a material that can be stretched or shrunk so that the pad 100 can be deformed while being attached to the user's skin 10 desirable.

여기서, 상기 패드(100)는 실리콘 등과 같이 형태 변형이 용이하고, 사용자의 인체에 무해한 소재를 이용해 제작할 수 있다.Here, the pad 100 can be manufactured using a material that is easily deformed in shape, such as silicon, and is harmless to the user's body.

그리고, 상기 패드(100)는 피부(10)에 부착할 수 있도록 얇은 패치 형태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패드(100)의 일면에는 도 2에서처럼 사용자의 피부(10)에 부착시키기 위한 접착물질(110)이 도포된다.The pad 100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thin patch so that the pad 100 can be attached to the skin 10. An adhesive material for attaching the pad 100 to the user's skin 10, (110) is applied.

또한, 상기 접착물질(110)은 사용자의 인체에 무해한 물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접착물질(110)은 패드(100)의 일면 테두리 부위를 따라 도포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dhesive material 110 may be a material harmless to the user, and the adhesive material 110 may be applied along one edge of the pad 100.

아울러, 상기 패드(100)는 필요에 따라 투명 또는 특정 색상이 적용된 형태로 제작할 수 있고, 상기 패드(100)에는 사용자의 피부(10)에 부착 시 통기성 확보를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홀(미도시)이 양면으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ad 100 may be manufactured in a transparent or specific color form as required. In order to secure ventilation when attached to the skin 10 of the user, the pad 100 may have at least one through hole (not shown) Can be formed through both surfaces.

이와 같은 상기 패드(100)는, 사용자의 심전도(ECG: electrocardiogram)를 감지할 수 있는 부위에 부착시킬 수 있는데, 도 1에서처럼 사용자의 맥박이 감지되는 손목 등에 부착시킬 수 있다.The pad 100 may be attached to a part capable of sensing an electrocardiogram (ECG) of a user. The pad 100 may be attached to a wrist or the like on which a user's pulse is sensed, as shown in FIG.

심전도 감지모듈(200)은, 사용자의 피부(10)와 밀착되는 패드(100)의 부착면에 일정 패턴으로 실장되는 것으로, 패드(100)와 함께 변형될 수 있는 형태로 실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electrocardiogram sensing module 200 is mounted in a predetermined pattern on the attachment surface of the pad 100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user's skin 10 and is mounted in a form deformable together with the pad 100.

예를 들어, 상기 심전도 감지모듈(200)은 얇은 패치 형태로 패드(100)의 일면에 실장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형태 변형이 가능하도록 반복적으로 절곡된 형태(미도시) 등으로 적용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electrocardiogram sensing module 200 is preferably mounted on one side of the pad 100 in the form of a thin patch, and may be applied to a form (not shown) repeatedly bent so as to deform the shape.

그리고, 상기 심전도 감지모듈(200)은 사용자의 피부(10)에 접촉될 수 있도록 패드(100)의 일면, 즉 도 2에서처럼 상기 패드(100)의 부착면에 실장될 수 있다.The electrocardiogram sensing module 200 may be mounted on one side of the pad 100, that is, on the attachment surface of the pad 100, as shown in FIG. 2, so as to contact the skin 10 of the user.

물론, 상기 심전도 감지모듈(200)을 패드(100)의 두께 내에 실장한 후, 상기 심전도 감지모듈(200)의 감지단을 패드의 부착면으로 노출시키는 형태(미도시) 등으로도 적용이 가능하다.Of cours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configuration (not shown) in which the sensing unit of the electrocardiogram sensing module 200 is exposed to the mounting surface of the pad after the electrocardiogram sensing module 200 is mounted within the thickness of the pad 100 Do.

이와 같은 상기 심전도 감지모듈(200)은, 사용자의 피부(10)와 접촉되는 경우에 활성화되어 사용자의 심전도를 실시간으로 감지할 수 있다.The electrocardiogram sensing module 200 may be activated when the user contacts the skin 10 to sense the electrocardiogram of the user in real time.

한편, 상기 심전도 감지모듈(200)은 도 2에서처럼 전기에너지 공급을 위한 스위치모듈(500)과 전기적으로 더 연결될 수 있다.Meanwhile, the electrocardiogram sensing module 20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witch module 500 for supplying electrical energy as shown in FIG.

상기 스위치모듈(500)은, 패드(10)의 일면에 실장되는 것으로, 사용자의 체온(열에너지)을 전기에너지로 변환하여 심전도 감지모듈(200)로 전달할 수 있다.The switch module 500 is mounted on one surface of the pad 10 and can convert the body temperature (thermal energy) of the user into electrical energy and transmit it to the electrocardiogram sensing module 200.

여기서, 상기 스위치모듈(500)은 사용자의 체온과 피부(10) 표면 온도 차이를 이용해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킬 수 있는 열전소자 등을 사용할 수 있다.Here, the switch module 500 may use a thermoelectric element or the like capable of generating electrical energy by us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body temperature of the user and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skin 10.

인증 메모리모듈(200)은, 패드(100)에 일정 패턴으로 실장되는 것으로, 상기 인증 메모리모듈(200)에는 여러 사용자들을 인증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인 심전도정보(심전도 신호, 파형 등)가 미리 입력된다.The authentication memory module 200 is mounted on the pad 100 in a predetermined pattern. The authentication memory module 200 is provided with at least one personal electrocardiogram information (electrocardiogram signal, waveform, etc.) do.

여기서, 상기 인증 메모리모듈(200)은 심전도 감지모듈(100)로부터 심정도 심전도 측정값이 전달되는 경우, 미리 입력된 개인 심전도정보와 해당 심전도 측정값이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별한다.Here, when the cardiac electrocardiogram measurement value is transmitted from the electrocardiogram sensing module 100, the authentication memory module 200 determines whether the previously inputted individual electrocardiographic information and the corresponding electrocardiogram measurement value are coincident with each other.

이와 같은 상기 인증 메모리모듈(200)은, 미리 입력된 개인 심전도정보와 측정된 심전도 측정값의 파형을 서로 비교 분석하여, 상기 심전도 측정값과 일치하는 개인 심전도정보가 있는지 여부를 판별한다.The authentication memory module 200 compares the inputted personal electrocardiogram information with the measured waveform of the electrocardiogram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personal electrocardiogram information that matches the measured value of the electrocardiogram.

즉, 심전도 감지모듈(100)이 측정한 해당 사용자의 심전도 측정값이 인증 메모리모듈(200)에 미리 입력된 개인 심전도정보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That is,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electrocardiogram measurement value of the user measured by the electrocardiogram sensing module 100 is included in the personal electrocardiogram information pre-inputted to the authentication memory module 200.

근거리 통신모듈(NFC: Near Field Communication, 400)은, 도 2에서처럼 패드(100)에 일정 패턴으로 실장되는 것으로, 근거리 통신 방식을 이용해 외부기기(각종 인식 기기, 무선 단말기, 스마트 폰, PC 등, 20)에 장착된 통신모듈(미도시)로 사용자의 개인 심전도정보를 전송한다.The near field communication module (NFC) 400 is mounted on the pad 100 in a predetermined pattern as shown in FIG. 2. The near field communication module 400 may be an external device (various recognition devices, a wireless terminal, a smart phone, 20 transmits the personal electrocardiogram information of the user to a communication module (not shown).

이를 위한 상기 근거리 통신모듈(400)은, 인증 메모리모듈(200)에 미리 입력된 개인 심전도정보와 심전도 감지모듈(100)이 측정한 사용자의 심전도 측정값이 일치하는 경우에 구동한다.The near field communication module 400 for this purpose is driven when the personal electrocardiogram information pre-inputted to the authentication memory module 200 coincides with the electrocardiogram measurement value of the user measured by the electrocardiogram sensing module 100.

이때, 상기 근거리 통신모듈(400)은 도 3에서처럼 심전도 감지모듈(100)의 심전도 측정값과 일치하는 개인 심전도정보를 외부기기(20)로 전송하여 사용자의 인증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3,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400 may transmit personal electrocardiogram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electrocardiogram measurement value of the electrocardiogram sensing module 100 to the external device 20 to provide authent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그리고, 상기 근거리 통신모듈(400)은 판독기(reader)와 전자 태그(tag)를 이용한 알에프아이디(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등의 방식을 사용할 수 있으나, 필요에 따라 다양한 방식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400 may use a reader and a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method using an RFID tag, but it may selectively use various methods as needed .

한편,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400)이 외부기기(20)로 개인 심전도정보를 전송하는 경우, 외부기기(10)의 표시부(미도시)를 통해 전송된 개인 심전도정보 및 인증 상태 등을 표시할 수 있다.Meanwhile, when the near field communication module 400 transmits the personal electrocardiogram information to the external device 20, it is possible to display the personal electrocardiographic information and the authentication state transmitted through the display unit (not shown) of the external device 10 have.

또한, 상기 근거리 통신모듈(400)은 패드(100)를 다수의 사용자 피부에 부착시키는 경우, 심전도 감지모듈(100)들로부터 전달되는 개인 심전도정보들을 하나의 외부기기(20)에 일괄 전송할 수도 있다.In addition, when the pad 100 is attached to a plurality of user's skin,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400 may collectively transmit personal electrocardiographic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electrocardiogram sensing modules 100 to one external device 20 .

이와 같은 심전도 감지모듈(200)과 인증 메모리모듈(300)과 근거리 통신모듈(400) 및 스위치모듈(500)은, 도 1과 2에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배치 상태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The electrocardiogram sensing module 200, the authentication memory module 300,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400 and the switch module 500 are illustrated in FIGS. 1 and 2, It is possible.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심전도 신호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장치는 금융권 개인인증, 스마트폰 결재인증(소액결재), 교통카드 대용 개인인증, 개인 헬스케어 모니터링을 위한 인증, 대규모 공연장 관객 인증 등의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Therefore, the user authentication device using the electrocardiogram sig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for the purpose of financial institution personal authentication, smart phone approval (small settlement), personal authentication for transportation card, authentication for personal health care monitoring, .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심전도 신호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장치는 인증용 기기를 휴대하지 않아도 되므로 분실의 염려를 줄일 수 있으며, 전력 소모를 최소화(저전력)하면서 경량화 및 소형화를 이룰 수도 있다.Further, since the user authentication device using the electrocardiogram sig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need to carry an authentication devic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risk of loss, minimize power consumption (low power), and achieve weight reduction and miniaturization.

이하, 도 4를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심전도 신호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장치의 인증 단계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전술한 구성과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반복적으로 설명하지 않도록 한다.Hereinafter, the authentication step of the user authentication apparatus using the electrocardiogram sig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and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ill not be repeatedly described.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심전도 신호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장치의 인증방법은 패드 부착단계(S100)와, 심전도 감지단계(S200)와, 정보 검증단계(S300) 및, 근거리 통신단계(S40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4, the authentication method of the user authentication apparatus using the electrocardiogram sig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ad attaching step S100, an electrocardiogram sensing step S200, an information verification step S300, (S400).

먼저, 상기 패드 부착단계(S100)는 심전도 감지모듈(200)과 인증 메모리모듈(300) 및 근거리 통신모듈(400)이 실장된 패드(100)를 사용자의 피부(10)에 부착시킨다.The pad attaching step S100 attaches the pad 100 on which the electrocardiogram sensing module 200, the authentication memory module 300 and the local communication module 400 are mounted to the skin 10 of the user.

여기서, 상기 패드 부착단계(S100)의 이전에는 개인 심전도정보를 인증 메모리모듈(300)에 미리 입력하는 개인정보 입력단계(S10)가 선행될 수 있다.Here, before the pad attaching step (S100), a personal information input step (S10) for preliminarily inputting the personal electrocardiographic information to the authentication memory module (300) may be preceded.

상기 개인정보 입력단계(S10)는, 인증이 허용된 사용자의 개인 심전도정보를 미리 입력한 것이다.In the personal information input step (S10), the personal electrocardiographic information of the user permitted to be authenticated is input in advance.

즉, 상기 개인정보 입력단계(S10)에서 각종 개인 심전도정보를 입력하여 해당 사용자 인증을 위한 데이터베이스(DB)를 구축할 수 있다.That is, in the personal information input step (S10), various personal ECG information may be input to construct a database (DB) for user authentication.

또한, 신규한 사용자를 추가하거나 기존 사용자를 삭제하는 작업을 통해 데이터베이스(DB)를 수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atabase (DB) can be modified by adding a new user or deleting an existing user.

다음으로, 심전도 감지단계(S200)는 사용자의 피부(10)와 심전도 감지모듈(200)의 감지단이 접촉되는 경우, 상기 심전도 감지모듈(200)을 이용해 사용자의 심전도를 측정한다.Next, the electrocardiogram sensing step S200 measures a user's electrocardiogram using the electrocardiogram sensing module 200 when the user's skin 10 and the sensing unit of the electrocardiogram sensing module 200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여기서, 상기 심전도 감지단계(S200)에서 심전도 감지모듈(200)은 사용자의 피부(10)에 접촉시 활성화되어, 사용자의 심전도를 실시간으로 감지할 수 있다.Here, in the ECG sensing step S200, the electrocardiogram sensing module 200 is activated when the user contacts the skin 10, and can sense the ECG of the user in real time.

이때, 외부기기(20)에는 사용자 인식 시간이 설정될 수 있는데, 상기 외부기기(20)를 이용해 인증 시작 시점과 종료 시점을 설정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user recognition time may be set in the external device 20, and the authentication start time and the end time can be set using the external device 20. [

즉, 상기 외부기기(20)에 설정된 인증 시간(시작 시점으로부터 종료 시점까지)이 모두 경과하는 경우, 상기 외부기기(20)와 근거리 통신모듈(400) 간의 통신을 종료시킬 수 있다.That is, when the authentication time (from the start time to the end time) set in the external device 20 has elapsed,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external device 20 and the LAN module 400 can be terminated.

다음으로, 정보 검증단계(S300)는 심전도 감지모듈(200)로부터 인증 메모리모듈(300)로 개인 심전도정보가 전달되는 경우, 상기 인증 메모리모듈(300)에 미리 입력된 개인 심전도정보와 해당 심전도 측정값이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별한다.Next, in the information verification step S300, when the personal electrocardiogram information is transferred from the electrocardiogram sensing module 200 to the authentication memory module 300, To determine whether the values match.

여기서, 상기 정보 검증단계(S300)에서는 심전도 감지모듈(200)이 감지한 해당 사용자의 심전도 파형이 인증 메모리모듈(300)에 미리 입력된 개인 심전도정보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출한다.Here, in the information verification step S300, it is detected whether the electrocardiogram waveform of the user detected by the electrocardiogram sensing module 200 is included in the personal electrocardiogram information previously input to the authentication memory module 300. [

최종적으로, 근거리 통신단계(S400)는 미리 설정된 개인 심전도정보와 해당 심전도 측정값이 일치하는 경우, 근거리 통신모듈(400)의 활성화에 의해 해당 심전도 측정값과 일치하는 암호화된 개인 심전도정보를 외부기기(200)로 전송한다.Finally,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step S400, if the pre-set personal ECG information and the corresponding ECG measurement value coincide with each other, transmits the encrypted personal EC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measured ECG value by the activation of the short- (200).

여기서, 상기 근거리 통신단계(S400)의 이후에는 근거리 통신 모듈(400)이 외부기기(20)로 심전도 측정값을 전송하는 경우, 상기 외부기기(20)를 통해 전송된 개인 심전도정보 또는 인증 여부를 외부로 표시하는 인증 표시단계(미도시)가 더 포함될 수 있다.If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400 transmits the electrocardiogram measurement value to the external device 20 after the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step S400, the personal electrocardiogram information transmitted through the external device 20, And an authentication display step (not shown) for displaying the information to the outside can be further included.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인체(피부 등)에 부착한 상태로 심전도를 측정하여 인증 대상인지 여부를 검증함으로써, 분실의 우려가 적어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고가의 인식기기를 필요로하지 않으므로 경제적이다.As a resul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security by reducing the possibility of loss by verifying whether or not the subject is an authentication subject by measuring the electrocardiogram in a state of being attached to the human body (skin or the like) of the user, It is economical because it does not.

또한, 본 발명은 얇은 패치 형태의 패드(100)를 인체에 부착하는 방식을 사용하므로, 기존의 생체인식 방식(지문, 홍채, 망막, 정맥, 안면, 목소리, 필기체 등)에 비해 사용자 인증 과정이 쉬워 사용자 인증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resent invention employs a method of attaching the pad 100 in the form of a thin patch to the human body, the user authentication process is superior to the conventional biometrics method (fingerprint, iris, retina, vein, face, voice, It is easy to solve the inconvenience of user authentication.

지금까지 본 발명의 심전도 신호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장치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user authentication apparatus using the electrocardiogram signal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pparent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등록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등록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u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scope of claims of the patent as well as the claims of the patent registration described later.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등록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등록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at i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and non-restrictive in all aspects an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Ranges and equivalents thereof are to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피부 20: 외부 기기
100: 패드 110: 접착물질
200: 심전도 감지모듈 300: 인증 메모리모듈
400: 근거리 통신모듈 500: 스위치모듈
10: skin 20: external device
100: Pad 110: Adhesive material
200: Electrocardiogram detection module 300: Authentication memory module
400: Local area communication module 500: Switch module

Claims (5)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 또는 휴대할 수 있는 패드;
상기 패드에 실장되며, 사용자의 피부에 접촉하여 심전도(ECG)를 측정하는 심전도 감지모듈;
상기 패드에 실장되며, 상기 심전도 감지모듈로부터 전달되는 심전도 측정값이 미리 입력된 개인 심전도정보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인증 메모리모듈; 및
상기 패드에 실장되며, 상기 인증 메모리모듈에 의해 판별된 상기 심전도 측정값이 상기 개인 심전도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심전도 측정값에 해당하는 상기 개인 심전도정보를 외부기기로 전송하는 근거리 통신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전도 신호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장치.
A pad that can be attached to or carried on the user's skin;
An electrocardiogram detection module mounted on the pad and measuring an electrocardiogram (ECG) in contact with the user's skin;
An authentication memory module mounted on the pad and discriminating whether the electrocardiogram measured value transmitted from the electrocardiogram sensing module matches the personal electrocardiogram information inputted in advance; And
A local communication module mounted on the pad and transmitting the personal electrocardiogram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electrocardiogram measurement value to an external device when the electrocardiogram measured value determined by the authentication memory module matches the personal electrocardiogram information; And a user authentication device using the electrocardiogram signal.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심전도 감지모듈은,
사용자의 피부와 접촉되는 경우 활성화되어, 사용자의 심전도를 실시간으로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전도 신호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electrocardiogram sensing module includes:
Wherein the electrocardiogram signal is activated when the electrocardiogram signal is in contact with the user's skin, and detects the electrocardiogram of the user in real tim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패드에는,
상기 심전도 감지모듈과 상기 근거리 통신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스위치모듈이 더 실장되며,
상기 스위치모듈은,
사용자의 피부와 접촉시 활성화되며, 사용자의 체온을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전도 신호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pad,
A switch modul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ocardiogram sensing module and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is further mounted,
The switch module includes:
Wherein the electrocardiogram signal is activated upon contact with the user's skin and converts the body temperature of the user into electrical energy.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패드는,
신축 가능한 소재로 구비되며,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되는 일면에 접착물질이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전도 신호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pad includes:
And an adhesive material is applied to one surface of the user's skin that is attached to the user's ski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통신모듈은,
상기 패드를 다수의 사용자 피부에 부착시키는 경우, 상기 심전도 감지모듈들로부터 전달되는 암호화된 개인 심전도정보들을 하나의 외부기기에 일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전도 신호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hort-
Wherein when the pad is attached to a plurality of user's skin, encrypted personal electrocardiogram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electrocardiogram sensing modules is collectively transmitted to one external device.
KR1020170004025A 2017-01-11 2017-01-11 Apparatus for authenticating user using ecg signal KR2018008276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4025A KR20180082762A (en) 2017-01-11 2017-01-11 Apparatus for authenticating user using ecg sig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4025A KR20180082762A (en) 2017-01-11 2017-01-11 Apparatus for authenticating user using ecg signa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2762A true KR20180082762A (en) 2018-07-19

Family

ID=63058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4025A KR20180082762A (en) 2017-01-11 2017-01-11 Apparatus for authenticating user using ecg sig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82762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76611B2 (en) 2018-11-06 2023-02-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Wearable device and sensor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76611B2 (en) 2018-11-06 2023-02-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Wearable device and sensor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62123B2 (en) Multimodal biometric authentication system and method with photoplethysmography (PPG) bulk absorption biometric
EP3116138B1 (en) Method for implementing short-distance unlocking according to electrocardiogram, and system thereof
JP608211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fraud prevention
US9391987B2 (en) Biometric personal authentication
JP2008073462A (en) Authentication apparatus and method
EP3273378B1 (en) Portable electric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for
CN105740679A (en) Electronic device having user identifying function and user authentication method
ATE297038T1 (en) BIOMETRIC IDENTIFICATION USING UNIQUE ENERGY CHARACTERISTICS OF AN INDIVIDUAL ORGANISM
US11806539B2 (en) Secure transdermal communication with implanted device
US9892247B2 (en) Multimodal biometric authentication system and method with photoplethysmography (PPG) bulk absorption biometric
US20180018452A1 (en) Non-contact identity verification device, non-contact identity verification system, and non-contact identity verification method
WO2016135437A2 (en) Biometric authentication device
JP6756087B2 (en) Biometric authentication device and its drive control method
US11194896B2 (en) Wearable device and portable system having higher security
JP2019512786A (en) Authorization authorization method, authorization device and authorization system
KR20180050127A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momentum of wearable device using M2M communication
KR20180082762A (en) Apparatus for authenticating user using ecg signal
JPH11282757A (en) Information equipment
KR20180082763A (en) Method for authenticating user using ecg signal
US20210153757A1 (en) Electronic device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wearable device for receiving biometric information
CN104657649B (en) A kind of token device of living things feature recognition start
KR102099968B1 (en) System for monitoring position and method thereof
Kwon et al. Multi-modal authentication using score fusion of ECG and fingerprints
KR102398969B1 (en) Module for biometric authentication
US11227040B1 (en) User authentication via galvanic skin respon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