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2262A - 갈수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건망증 치료,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갈수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건망증 치료,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2262A
KR20180082262A KR1020170003760A KR20170003760A KR20180082262A KR 20180082262 A KR20180082262 A KR 20180082262A KR 1020170003760 A KR1020170003760 A KR 1020170003760A KR 20170003760 A KR20170003760 A KR 20170003760A KR 20180082262 A KR20180082262 A KR 201800822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ease
composition
memory
wate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37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24711B1 (ko
Inventor
정지욱
이지혜
구성민
정철종
윤칠석
서정균
김현수
Original Assignee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주)옥천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주)옥천당 filed Critical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037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4711B1/ko
Publication of KR201800822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22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47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47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4Lauraceae (Laurel family), e.g. cinnamon or sassafra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1Myrtaceae (Myrtle family), e.g. teatree or eucalypt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5Rutaceae (Rue family)
    • A61K36/752Citrus, e.g. lime, orange or lem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906Zingiberaceae (Ginger family)
    • A61K36/9064Amomum, e.g. round cardamo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nervous system or on mental fun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otan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갈수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건망증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갈수는 scopolamine 유도 건망증 모델에서 건망증을 개선하는 효과가 우수하여, 이를 건망증 및 이와 관련된 질환의 치료제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갈수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건망증 치료,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Composition comprising Galsu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memory and cognitive impairments involved disorders}
육계(Cinnamomum cassia), 정향(Syzygium aromaticum), 백두구(Amomum cadamomum), 사인(Amomum villosum), 진피(Citrus unshiu)를 이용하여 제조된 갈수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건망증 치료,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치매(痴)는 대표적인 만성 진행성 퇴행성 뇌질환으로 정신적 인지능과 사회적 행동능에 모두 영향을 미쳐 정상적인 일상생활의 장애를 가져오는 증상복합체로 정의되며, 최근 고령화가 급속히 진행됨에 따라 그 비중이 점점 더 높아지고 있고, 의학적, 사회적, 경제적으로 심각한 노인보건 현안으로 대두되고 있다. 치매는 발생 원인에 따라 뚜렷한 원인 없이 인지기능의 약화가 진행되는 알츠하이머병 (Alzheimer's disease), 반복된 뇌경색 등 뇌혈관질환에 의한 혈관성 치매(vascular dementia), 기타 질병에 의한 치매로 분류되며, 이 중 전체 치매 환자중 50-60%가 알츠하이머병에 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알츠하이머병 환자들은 지적능력, 감정 및 행동변화 등에서 임상적으로 뚜렷한 손상을 나타내며, 이후 방향감각의 상실, 기억손상, 실어증 등의 심각한 대뇌피질 기능장애 징후를 보이게 된다.
뇌혈관성 치매는 동맥경화에 의한 경색이 주원인이므로 혈전용해제 등의 처리에 의해 증상의 개선이 가능하지만, 알츠하이머병은 드물게 50세 이전에 전조징후를 나타내기도 하나 보통은 나이가 들수록 유병률이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며, 뇌세포가 점점 파괴되면서 악화되는 전형적인 퇴행성 뇌질환으로, 이 병의 최종진단은 사후 부검을 통한 병리검사에서만 가능하고, 부검시 대뇌의 전반적인 위축과 신경세포사멸이 특징으로 관찰(대한정신의학회, 신경정신의학, 2nd, 중앙문화사, 2007)되고 있으나, 많은 연구자들이 활발히 연구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발병 원인이 아직 충분히 밝혀지지 않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알츠하이머병은 병리학적으로는 대뇌 피질이나 해마에 생기는 뇌 위축 및 뇌 내에 노인반 (senile plaque)이나 신경원섬유다발(neurofibrillary tangle)이 침착되는 것이 특징으로 밝혀졌으며, 발병 과정을 관찰하면 베타-아밀로이드(β-amyloid, Aβ)라고 하는 이상 단백질이 뇌 안에 축적되고, 그 후 신경세포 내에 타우(tau) 단백질이 응집되어, 시냅스의 손상을 가져오며, 궁극적으로 신경기능부전 및 뇌세포의 사멸을 일으킴으로써, 치매가 나타남과 동시에 신경원섬유농축체가 축적되는 것이 밝혀졌다. 노인반은 뇌의 대뇌피질과 해마에서 보이는 호은성의 반점 같은 구조로, 그 중심에 아밀로이드 섬유가 있고 그 주위를 변성된 신경세포 돌기가 둘러싸고 있다. 즉, 베타-아밀로이드는 알츠하이머병 환자의 뇌에 축적되어 있는 노인반을 구성하는 주요 성분이며, 이 물질의 신경세포에 대한 독성이 알츠하이머병의 주요한 원인일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따라서, 과도하게 생성된 베타-아밀로이드가 독성을 유발하는 작용기전은 다양하지만 크게 다음 두 가지의 이론으로 질병의 진행을 설명할 수 있다. 첫 번째 이론은, 아밀로이드 플라크가 발생되면 교세포 (glia)에 염증이 생겨서, 결국 신경을 손상시키고 공격하는 사이토카인의 생성을 자극하는 등 일련의 염증반응을 유발하게 된다는 것이고, 두 번째 이론은, 활성산소종 (reactive oxygen species, ROS)의 작용에 근거를 두고 있다. 뇌의 95% 이상은 지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자유라디칼 (free radical)의 공격을 받아 산화되는데, 이때 베타-아밀로이드는 응집(aggregation) 과정을 거쳐 과산화 수소 (hydrogen peroxide), 수퍼옥시드 음이온 (superoxide anion), 히드록시라디칼 (hydroxylradical) 등의 활성 산소종을 형성하며, 이는 높은 반응성으로 인하여 생체 내 거대분자에 영향을 미쳐 궁극적으로 신경세포에서 능동적 세포사멸(apoptosis)을 유발하게 된다.
현재 4가지(도네페질(donepezil), 갈란타민(galantamine), 리바스티그민(rivastigmine) 및 타크린(tacrine)) 정도의 가역적 AChE 억제제가 경증 내지 중증도의 알츠하이머병 치료에 공인되어 있으며, 이들은 인지, 행동 및 기능장애의 발생을 지연시키나, 단지 중증도의 증상 완화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위장관에 대한 말초적 콜린 흥분성 효과와 관련이 있는 오심, 설사, 구토, 식욕부진, 복통 및 근경축 등과 같은 부작용이 있으며, 특히 타크린(tacrine)은 간독성을 유발하여 현재는 거의 사용하지 않고 있다. 따라서, 부작용이 적으면서 효과적인 AchE 억제제의 개발은 알츠하이머 질환자의 삶의 질과 병증 개선 및 치료에 상당한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치매 질환의 일차적인 증상인 기억력과 인지기능의 감퇴현상은 콜린성 신경계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보고에 따르면 후시냅스(postsynapse)에 있는 무스카리닉(muscarinic)수용체의 길항제인 스코폴라민(scopolamine)은 전시냅스(presynapse)에서 유리되는 신경전달물질인 아세틸콜린과 무스카리닉 수용체의 결합을 저해하여 정보전달을 하는 것을 일시적으로 차단함으로서, 학습과 기억력을 손상시키게 되므로 학습과 기억력 증진효과를 검증하고자 하는 기억력감퇴동물모델에 통상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의학에서는 기억력 장애를 '건망(健忘)'으로 보며, 자기가 행한 전사(前事)와 전언(前言)을 망각하기를 잘하므로 사물(事物)을 처리할 때 유시무종(有始無終)하며, 대화를 하여도 수미(首尾)를 알지 못하는 것을 말한다. 건망(健忘)은 신정부족(腎精不足)으로 인한 뇌해공허(腦海空虛), 칠정손상(七情損傷), 심신부교(心腎不交), 심비양허(心脾陽虛), 담탁요심(痰濁擾心), 어혈공심(瘀血攻心)등이 원인이 되어 생기며, 대보기혈(大寶氣血), 안신(安神), 화담(化痰), 활혈(活血), 청심(淸心), 이비(理脾), 간해울(疏肝解鬱) 등의 치법으로 치료한다.
한편, 갈수는 농축된 과일즙에 한약재를 가루 내어 혼합하여 달이거나 한약재에 누룩 등을 넣어 꿀과 함께 달여 마시는 음료이다. 즉, 목이 마를 때 먹는 물을 갈수라고 하는데 약리효과를 가지는 음료수를 의미한다.
육계는 계수나무 줄기를 말하는 것으로 특이한 방향이 있고 맛은 맵고 달며 성질은 뜨겁다. 육계는 하초가 찬 것을 치료하고 허리와 무릎 연약증, 양기부족, 소변을 자주보고 묽게 보는 것, 묽은 변, 설사, 구토, 생리불순, 생리통, 산후어혈복통, 종기, 피부궤양, 사지마비동통 등에 쓴다. 약리작용은 중추억제, 진정, 진통, 해열, 관상동맥 혈류량 증가, 피부진균억제작용이 보고되었다. 생김새는 판상 또는 양갓이 안쪽으로 말린 판상으로 바깥면은 회갈색으로 거칠고 세로 잔주름과 옆으로 피공(皮孔)이 돌출되어 있다. 회백색의 반점이 군데군데 있고 안쪽면은 적색 또는 갈색이다. 얇은 나무껍질을 계피, 어린가지를 계지라고 한다.
정향나무는 쌍떡잎식물 용담목 물푸레 나무과로 전라도와 경상도 이북, 만주 지역에 분포하며 산기슭에서 자란다. 3 m 내외로 자라고 가지가 많으며 피목이 있다. 잎은 마주나고 타원형이나 달걀을 거꾸로 세운 듯한 모양 또는 거의 둥글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꽃은 5월에 피고 원추꽃차례에 달리며 꽃이삭은 묵은 가지에 달린다. 열매는 삭과로서 끝이 둔한 타원형이며 피목이 있다. 1개의 꽃을 옆에서 모면 '丁'자로 보이고 꽃에 향기가 있어 정향나무라 하며 열대지방산의 정향과는 다르다. 꽃봉오리는 정향, 수근은 정향근, 수피는 정향수피, 수지는 정향지, 과실은 모정향, 화뢰를 증류하여 나온 정유는 정향유라 하며 약용한다. 정향수피는 중한완복창통, 수양성하리, 치통을 치료한다.
백두구(Amomi Cardamomi Fructus)(Amomum cardamomum L.)는 사철 푸른 여러해살이풀로서 그 열매를 약재로 사용하며 열매의 씨에는 2.4%의 정유가 함유되어 있으며, 정유의 주성분은 d-보르네올과 d-캄파이며, 방향성건위 구풍약으로 소화불량, 토할 때, 위아픔 등에 사용된다.
백두구는 캄보디아, 베트남, 태국, 인도네시아에서 자생하며 중국의 남부에서 재배하는데 황녹색을 띤 성숙한 과실에서 열매자루(과병)와 열매껍질(과피)를 제거하고 햇볕에 말려 사용한다. 이 약은 강렬한 향기가 난다. 맛은 장뇌와 비슷하고 약성은 맵고 따듯하다. 백두구는 비위에 습기를 제거하고 건위, 소화 및 복부창만, 구토, 임신구토, 딸국질 등에 효과가 있다. 약리작용은 위액분비 촉진, 장관 흥분, 방향성 건위작용등이 보고되었다.
백두구는 원구형에 가깝고 바깥면은 엷은 황백색이나 황갈색이고 3줄의 둔한 능(稜)과 여러 개의 세로줄이 있으며 위쪽은 움푹 들어갔고 아래쪽은 과병이 붙었던 흔적이 있다. 과피는 얇고 가벼우며 섬유성이다. 안쪽은 얇은 막에 의해 세로로 3 실로 나누어졌고 각 실 중에는 7~10 개의 씨가 들어 있다. 씨는 불규칙한 다면체를 이루고 있으며 그 등쪽은 활과 같은 모양으로 솟아 나왔다. 이명으로 각구, 다골, 두구,백구, 원두구가 있다. 백두구는 생강과에 속한 상록초목인 백두구의 과실 중 과피를 제거한 것이다. 성분은 camphor, borneol 등이며 건위 구풍 향신료로 쓰인다.
사인 (Ammomum xanthioides Wallich)은 생강과(Zingiberaceae)에 속하는 다년생초본으로서, 국외로는 중국의 남부, 동남아 지역 및 인도지역에 분포한다. 약재 형태는 타원형 또는 난원형을 이루며 둔한 세 개의 모서리가 있고, 길이 15-20 mm, 지름 10-15 mm이다. 동의보감에서는 배가 아프고 불룩하여 먹은 것이 내려가지 않고 메스꺼우면서 토할때, 사용한다고 기록되어 있다. 알려진 성분으로는 씨의 정유성분이 있으며, 그 주성분은 보르네올 (Borneol), 보르닐-아세테이트 (Bornyl-acetate), 리날로울 (Linalool), 네롤리돌 (Nerolidol) 등이다.
진피(Citrus unshiu)는 운향과(Rutaceae)에 속하는 상록 소교목인 귤(Citrus unshiu, 중국에서는 Citrus reticulata)의 성숙한 과실의 과피이다. 맛이 맵고 쓰며 약성이 따뜻하고, 방향성이 있으며, 주로 비와 폐 2경에 들어가서 효능을 발휘한다. 매운맛은 발산(發散)하고 행체(行滯)하며, 맛이 쓰고 약성이 따뜻하여 조습거한(燥濕去寒)한다. 성분으로는 리모넨(limonene), 오랍틴(auraptin) 등이 함유되어 있으며 그 중에서 90% 이상이 리모넨이다. 플라보노이드(Flavonoid) 계열의 화합물로서 헤스페리딘(hesperidin), 탄제리틴(tangertin), 노빌레틴(nobiletin) 등이 함유되어 있으며, 이 중에서 주로 과피의 흰 부위에 함유되어 있는 헤스페리딘이 90% 이상을 차지한다. 이외에도, 시네프린(synephrine), 시트르산(citric acid) 등도 함유되어 있다. 본품은 이기(理氣), 건비(建脾), 조습(燥濕), 화담(化痰)하는 중요한 약이 된다.
이에 본 발명의 발명자는 육계(Cinnamomum cassia), 정향(Syzygium aromaticum), 백두구(Amomum cadamomum), 사인(Amomum villosum), 진피(Citrus unshiu)를 이용하여 제조된 갈수를 이용하여 건망증 개선 효과가 탁월함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상기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갈수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건망증 및 기억력 장애 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생강 또는 건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건망증 및 기억력 장애 관련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갈수는 육계(Cinnamomum cassia), 정향(Syzygium aromaticum), 백두구(Amomum cadamomum), 사인(Amomum villosum), 진피(Citrus unshiu)에 1배 내지 20배의 물을 가한 후, 50 내지 100℃에서 1시간 내지 5시간 추출 후, 여과 후, 감압농축할 수 있고, 농축하여 얻은 추출물을 동결 건조할 수 있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건망증 및 기억력 장애 관련 질환은 알츠하이머병, 뇌혈관성 치매증, 파킨슨병(Parkinson‘s disease), 근위축성 측상경화증, 헌팅턴병, 피크(Pick)병, 크로이츠펠트-야콥(Creutzfeldt-Jakob)병, 척수손상 또는 두부손상에 의한 치매증 등이며, 바람직하게는 알츠하이머병, 뇌혈관성 치매증 또는 두부손상에 의한 치매증, 보다 바람직하게는 알츠하이머병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추출물을 수득하는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갈수를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건조분말 또는 그 추출물을 0.1 내지 50 중량%로 포함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조성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환자의 상태 및 질환의 종류 및 진행 정도에 따라 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 자체는 독성 및 부작용이 거의 없으므로 예방 목적으로 장기간 복용 시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약제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건조분말 또는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 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건조분말 또는 추출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1일 0.5 g/kg 내지 5 g/kg으로, 바람직하게는 1 g/kg 내지 3 g/kg으로 투여하는 것이 좋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쥐, 생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내 경막 또는 뇌혈관내(intracerebroventricular)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제조방법으로 얻어진 생강 또는 건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건망증 및 기억력 장애 관련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생강 또는 건강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건망증 및 기억력 장애 관련 질환의 예방 및 개선을 위한 약제, 식품 및 음료 등에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생강 또는 건강 추출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보조 식품류 등이 있고, 분말, 과립, 정제, 캡슐 또는 음료인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또는 음료 중의 상기 추출물의 양은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건강식품 조성물은 전체 식품 중량의 1 내지 5 중량%로 가할 수 있으며, 건강 음료 조성물은 100 ml를 기준으로 0.02 내지 10 g,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 g의 비율로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 음료 조성물은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생강 또는 건강 추출물을 함유하는 것 외에 액체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점은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의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의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mL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g,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2g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본 발명의 조성물들은 천연 과일 쥬스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 내지 약 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발명의 갈수는 scopolamine 유도 건망증 모델에서 건망증을 개선하는 효과가 우수하여, 이를 건망증 및 이와 관련된 질환의 치료제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갈수의 scopolamine 유도 건망증 모델에서 Y-maze test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갈수의 scopolamine 유도 건망증 모델에서 passive avoidance task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갈수의 scopolamine 유도 건망증 모델에서 Morris water maze test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갈수의 DPPH 및 ABTS 자유 라디컬 소거 활성을 나타낸 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 실시예 1]갈수의 제조
육계(Cinnamomum cassia) 40g, 정향(Syzygium aromaticum) 20g, 백두구(Amomum cadamomum) 20g, 사인(Amomum villosum) 20g, 진피(Citrus unshiu) 20g에 10배의 물을 가한 후 80℃에서 2시간 추출 후, filter paper로 여과하고, 감압 농축하여 얻은 추출물을 동결 건조기에서 건조한 뒤 실험에 사용하였다. (수득율: 12.6%)
[ 실시예 2]갈수의 건망증 개선 효과 확인
1. 실험 동물
4주령 ICR mouse를 대한바이오링크에서 공급받아 온도 (22±2℃)와 습도 (50±10%)로 유지되는 사육실에서 12시간 빛/어둠주기에서 순화 후 사용하였다. 실험 기간 동안 물과 사료는 자유롭게 섭취하도록 하였다.
2. 약물의 투여
실험군은 실험 시작 1시간 전 갈수를 0.9% 생리식염수에 녹여 경구 투여하고, 30분 뒤 scopolamine 1 mg/kg를 복강 투여하여 실험 동물에게 건망증을 유도하였다.
3. Y-미로 실험 (Y-maze test)
단기 기억력을 측정하는 형태이며 순차적으로 행동하는 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방법으로 Y-maze test 실시하였다. 측정 장비는 세 개의 가지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가지의 길이는 42 cm, 넓이는 3 cm, 높이는 12 cm이고 세 가지가 접히는 각도는 120°이다. 이 장치는 검정색의 polyvinyl plastic으로 구성되어 있고, 세 개의 가지를 각각 A, B, C로 정한 뒤에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동물을 넣고 8분 동안 각 가지에 실험동물의 꼬리까지 가지에 들어갈 때의 횟수와, 각 가지에 차례로 들어간 경우를 헤아려 1점 (실제변경, actual alternation)씩 부여하였다. 변경 행동력 (alternation behavior)은 세 가지 모두에 겹치지 않게 들어가는 것으로 정의되며, 다음의 수학식에 의해 계산된다.
변경 행동력 (%) = 실제변경 (actual alternation) / 최고변경 (maximum alternation) × 100 (최고변경 : 총 입장횟수 2)
이의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Scopolamine 투여로 기억력이 감퇴된 모델은 대조군에 비해 변경 행동력(spontaneous alterations, %)이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으며, 갈수 200, 400 및 800 mg/kg을 경구 투여했을 때 800 mg/kg 그룹에서 변경 행동력이 유의성 있게 증가 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변경 행동력이 증가한다는 것은 학습 및 기억력이 회복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반면 각 가지로 들어가는 총 횟수는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마우스의 활동성 변화에 의해 나타난 것이 아님을 알 수 있었다.
4. 수동 회피 실험 (Passive avoidance task)
실험동물의 working memory를 측정하기 위해 수동회피상자를 이용하여 실험을 해보았다. 수동회피 상자는 어두운 방과 밝은 방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밝은 방에 실험동물을 넣으면 어두운 방으로 넘어가는데 그 순간 0.5mA를 3초간 가한다. 전기충격을 가한 다음 날 실험동물을 밝은 방에 다시 넣었을 때 어두운 방에서의 전기충격을 기억하여 밝은 방에 머무르게 되는데, 이때 체류하는 시간(step-through latency)을 측정하여 기억력을 평가하였다.
이의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Scopolamine 투여로 기억력이 감퇴된 모델은 test trial에서 대조군에 비해 대기시간(latency time)이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다. 이것은 첫 날의 전기 충격을 기억하지 못한다는 것으로 판단되어 scopolamine을 투여한 기억력 감퇴모델이 잘 만들어졌음을 나타내고, 갈수 200, 400 및 800 mg/kg을 투여한 결과 200, 800 mg/kg 그룹의 대기시간이 유의성 있게 증가 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반면 training trial에서 체류한 시간은 군 간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실험동물의 개체 차이를 최소화한 상태에서 실험이 진행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5. 모리스 물 미로 실험 (Morris water maze test)
수중미로시험은 동물인지능력측정기 (EthoVision Maze test system, Noldus Information Technology, Wageningen, Netherlands)를 사용하여 실험동물이 수조 주변의 4가지의 표지물을 기억하여 수조 내 임의 장소에 설치된 platform을 찾아가 10초 이상 머무는 경우, platform을 찾아갈 때까지 소요되는 시간인 탈출잠복기(escape latency)를 측정하는 실험이다. 실험은 1일 4가지 표지물을 돌아가면서 한번씩 4회에 걸쳐 실시하여 나온 평균값을 평균 탈출잠복기 (mean escape latency)로 하였고, 자유 수영 하루를 제외한 4일간 연속적으로 실시하였다. 또한, 마지막 날 platform을 제거하고 실험동물을 120초간 수영하게 한 후, platform을 두었던 구역에서 수영한 시간을 측정하여 기억력을 비교하였다.
이의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험동물의 공간지각능력 및 단기, 장기 기억력을 측정하기 위해 물 미로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동물이 4일 동안 물속에 숨겨진 platform에 도달하는데 걸리는 평균탈출시간(Escape latency time)을 비교한 결과, 대조군은 시간이 지날수록 platform에 도달하는 시간이 감소되었고, 그에 반해 scopolamine 투여로 기억력이 감퇴된 모델은 거의 platform을 찾아가지 못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갈수를 투여한 그룹 중 200, 800 mg/kg은 평균탈출시간이 줄어드는 것을 확인할수 있어 손상된 기억이 회복됨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 날은 기억검사를 시행하기 위해 platform을 제거한 후 120초간 자유수영을 실행한 후 Ethovision program을 통해 platform이 있었던 zone에 머무는 시간을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 scopolamine 투여로 기억력이 감퇴된 모델은 대조군에 비해 유의한 감소가 나타났고 갈수를 투여한 그룹인 200, 400, 800 mg/kg 군에서 platform이 있었던 zone에 머무는 시간이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다.
6.항산화 소거능 측정
( 1)DPPH 항산화 소거능 측정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작용은 비교적 안정한 free radical 인 DPPH를 이용한 Blois의 방법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시료를 물에 완전히 녹여 96 well palte에 100 ul를 취하고 DPPH 용액을 100 ul 넣고 30분간 실온에 방치한 후 57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free radical 소거활성능은 시료첨가구와 비첨가구의 흡광도 차이를 백분율(%)로 계산하였으며, 양성 대조군으로는 ascorbic acid(Sigma, USA)를 사용하였다.
( 2)ABTS 항산화 소거능 측정
ABTS free radical scavenging는 Van den Berg 등의 방법을 변형하여 측정하였다. 7 mM ABTS와 2.4 mM potassium persulfate를 하루 동안 암실서 반응하여 ABTS·+를 형성시킨 후, 734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흡광도 값이 0.7이 나오도록 희석하여 희석된 ABTS·+ 용액 100 ul에 시료 100 ul를 가하여 암실에서 7분간 반응 후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수치는 시료첨가구와 비첨가구의 흡광도 차이를 백분율(%)로 계산하였으며, 양성 대조군으로는 ascorbic acid(Sigma, USA)를 사용하였다.
( 3)결론
상기의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산화에 의해 생성되는 각종 산화 생성물은 기억 및 인지능력에 영향을 미침으로 이를 억제하기 위한 항산화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DPPH 및 ABTS 항산화 효과를 측정하였다.
DPPH 측정 결과 갈수 1 mg/ml는 69.8%의 항산화 소거능을 나타냈고,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한 ascorbic acid(Vit C) 0.1 mg/ml는 88.9%의 효과를 나타냈다. ABTS 측정 결과 갈수 1 mg/ml는 96.9%의 항산화 소거능을 나타냈고,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한 ascorbic acid(Vit C) 0.1 mg/ml는 100%의 효과를 나타냈다.
8.통계처리
모든 실험 결과는 일원변량분석(one way analysis of variance)를 이용하여 통계 처리하였고, 유의성이 인정될 경우 집단 간 평균비교시험(Student-Newman-Keuls test)을 사용하여 p<0.05 수준 이하에서 유의성 검정을 실시하였다.

Claims (4)

  1. 갈수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건망증 및 기억력 장애 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갈수는 육계(Cinnamomum cassia), 정향(Syzygium aromaticum), 백두구(Amomum cadamomum), 사인(Amomum villosum), 진피(Citrus unshiu)를 이용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건망증 및 기억력 장애 관련 질환은 알츠하이머병, 뇌혈관성 치매증, 파킨슨병(Parkinson‘s disease), 근위축성 측상경화증, 헌팅턴병, 피크(Pick)병, 크로이츠펠트-야콥(CreutzfeldtJakob)병, 척수손상 또는 두부손상에 의한 치매증인 약학조성물
  4. 갈수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건망증 및 기억력 장애 관련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식품 조성물.


KR1020170003760A 2017-01-10 2017-01-10 갈수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건망증 치료,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KR1019247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3760A KR101924711B1 (ko) 2017-01-10 2017-01-10 갈수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건망증 치료,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3760A KR101924711B1 (ko) 2017-01-10 2017-01-10 갈수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건망증 치료,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2262A true KR20180082262A (ko) 2018-07-18
KR101924711B1 KR101924711B1 (ko) 2018-12-03

Family

ID=63049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3760A KR101924711B1 (ko) 2017-01-10 2017-01-10 갈수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건망증 치료,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4711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2342A (ko) * 2000-09-20 2002-03-27 최병학 스트레스 예방 및 치료를 위한 항스트레스제 조성물
KR20020066173A (ko) * 2001-02-08 2002-08-14 정장현 치매 예방 및 치료제 조성물
KR20040064485A (ko) * 2003-01-13 2004-07-19 (주) 김형민한약연구소 아세틸콜린에스터라제 저해 생약 조성물
KR20060080650A (ko) * 2005-01-06 2006-07-11 주식회사 하이폭시 진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허혈성질환 및 퇴행성 뇌질환의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KR20150106074A (ko) * 2014-03-11 2015-09-21 동신대학교산학협력단 천마가미방을 포함하는 기억력 개선용 조성물
KR20150111073A (ko) * 2014-03-25 2015-10-05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육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퇴행성 뇌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약학적 조성물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2342A (ko) * 2000-09-20 2002-03-27 최병학 스트레스 예방 및 치료를 위한 항스트레스제 조성물
KR20020066173A (ko) * 2001-02-08 2002-08-14 정장현 치매 예방 및 치료제 조성물
KR20040064485A (ko) * 2003-01-13 2004-07-19 (주) 김형민한약연구소 아세틸콜린에스터라제 저해 생약 조성물
KR20060080650A (ko) * 2005-01-06 2006-07-11 주식회사 하이폭시 진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허혈성질환 및 퇴행성 뇌질환의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KR20150106074A (ko) * 2014-03-11 2015-09-21 동신대학교산학협력단 천마가미방을 포함하는 기억력 개선용 조성물
KR20150111073A (ko) * 2014-03-25 2015-10-05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육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퇴행성 뇌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약학적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4711B1 (ko) 2018-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8780B1 (ko) 숙취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90014376A (ko) 철갑상어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KR102227186B1 (ko) 사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92509B1 (ko) 치매 예방 및 개선용 식품 조성물
KR20080008929A (ko) 오록실린 a를 함유하는 인지 기능 장애 관련 질환의 예방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KR101673204B1 (ko) 뇌신경세포 보호 기능이 있는 천연물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건강 음료
KR101420135B1 (ko) 학습 장애, 기억력 장애 또는 치매의 예방 또는 치료용 두충 추출물
KR20130029284A (ko) 치매 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
KR100638491B1 (ko)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숙취해소제
KR101924711B1 (ko) 갈수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건망증 치료,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JP2007527358A (ja) ツボクサとゴマを含む、脳の強壮剤としての薬草製剤
Bastola et al. Opuntia dillenii (Ker Gawl.) Haw
KR102221353B1 (ko) 능소화 추출물 및 수국 추출물을 포함하는 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7281276B2 (ja) 認知機能改善剤
KR101584513B1 (ko) 뇌신경세포 보호 기능이 있는 모시잎 발효물과 그를 이용한 모시잎 발효차
KR101894491B1 (ko) 지각 초임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기억력 또는 인지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1248378B1 (ko) 관절염 치료 및 예방용 약학조성물
KR101167628B1 (ko) 흑삼을 함유하는 치매 예방 또는 치료 및 인지기능 개선 조성물
KR102138251B1 (ko) 바우히니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인지기능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221623B1 (ko) 포도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스트레스 완화, 피로회복 또는 운동수행능력 증강용 식품조성물
KR101446962B1 (ko) 블랙베리 신품종 &#39;&#39;아모르&#39;&#39; 및 이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KR101914738B1 (ko) 흑삼 꽃봉오리 및 흑삼 지근의 고형물을 함유하는 치매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1874594B1 (ko) 아떼모야 잎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인지기능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Rafiq et al. Mulberry (Morus spp.): A versatile tree with inherent bioactive compounds of promising pharmaceutical and nutraceutical properties
WO2018182151A1 (ko) 치매 예방 및 개선 기능성 식품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