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8859A - 플렉서블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플렉서블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8859A
KR20180078859A KR1020160184085A KR20160184085A KR20180078859A KR 20180078859 A KR20180078859 A KR 20180078859A KR 1020160184085 A KR1020160184085 A KR 1020160184085A KR 20160184085 A KR20160184085 A KR 20160184085A KR 20180078859 A KR20180078859 A KR 201800788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inorganic
array
dummy pattern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40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신철
손혜선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840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78859A/ko
Priority to DE102017130538.6A priority patent/DE102017130538B4/de
Priority to US15/857,923 priority patent/US10483332B2/en
Priority to CN201711481361.2A priority patent/CN108281463B/zh
Priority to TW108126563A priority patent/TWI733146B/zh
Priority to TW106146581A priority patent/TWI680575B/zh
Publication of KR201800788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88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1L51/5246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1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 elements
    • H10K59/1213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 elements the pixel elements being TF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2Layer formed of wires, e.g. mes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2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 B32B17/04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onded with or embedded in a plastic subst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form at particular places, e.g. in edge regions
    • B32B3/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form at particular places, e.g. in edge regions characterised by added members at particular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1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discontinuous layer, i.e. formed of separate pieces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4Connections between sensors and controllers, e.g. routing lines between electrodes and connection pads
    • H01L27/3223
    • H01L27/323
    • H01L27/3262
    • H01L27/3276
    • H01L51/0097
    • H01L51/524
    • H01L51/5253
    • H01L51/56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1Self-supporting seal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40OLEDs integrated with touch scree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9/871Self-supporting seal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8Dummy elements, i.e. elements having non-functional featur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71/851Division of substrat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46Flexural strength; Flexion stiff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32Dimension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2Flexible digitiser, i.e. constructional details for allowing the whole digitising part of a device to be flexed or rolled like a sheet of pap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 H01L2251/566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11Flexible OLED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31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71/8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using temporary substra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omet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렉서블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인접한 셀 영역의 에지부의 형상을 달리하여 합착을 안정화하고 폴딩시 스트레스를 줄이고 에지에서 시작되는 크랙 등의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플렉서블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Flexibl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플렉서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에지부의 구성을 변경하여 공정 중 남아 있는 기포 발생을 차단하여 장치의 신뢰성을 개선하며 폴딩 특성을 개선한 플렉서블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표시장치의 구체적인 예로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Emitting Display Device), 플라즈마 표시장치(Plasma Display Panel device: PDP), 양자점 표시 장치(Quantum Dot Display Device), 전계방출표시장치(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FED), 전기영동 표시장치(Electrophoretic Display Device: EPD) 등을 들 수 있는데, 이들은 공통적으로 화상을 구현하는 평판 표시패널을 필수적인 구성요소로 하는 바, 평판 표시패널은 고유의 발광 또는 편광 혹은 그 밖의 광학 물질층을 사이에 두고 한 쌍의 투명 절연기판을 대면 합착시킨 구성을 갖는다.
이 중 광원의 생략으로 경량화가 가능하며 색표현이 풍부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가 현재 주목받고 있다.
또한, 최근 표시장치의 대형화에 따라 공간 점유가 적은 형태로의 요구가 증대되고 있는데, 이러한 요구는 증진되어, 최근에는 표시 장치를 플렉서블한 형태로 이용하고자 하는 요구가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는 두께가 점차로 얇아지며, 구부리고 접거나 말 수 있는 벤더블(bendable)이나 롤러블(rollable)을 포함한 플렉서블 표시 장치의 형태로 발전되고 있다.
그리고, 표시 장치는 단순한 표시 기능뿐만이 아니라 사용자의 특정 요구에 부응할 수 있도록 터치 검출 기능을 부가한 터치 스크린을 더 포함할 것이 요구되기도 한다.
한편, 플렉서블 표시 장치는 폴딩 동작이 반복되는데, 이 과정에서 에지에서부터 크랙이 발생되면 에지의 크랙이 씨드가 되어 표시 장치의 손상의 원인이 된다. 따라서, 플렉서블 표시 장치의 에지부의 신뢰성을 개선을 위한 노력이 제기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에지부의 구성을 변경하여 공정 중 남아 있는 기포 발생을 차단하여 장치의 신뢰성을 개선하며 폴딩 특성을 개선한 플렉서블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플렉서블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은 인접한 셀 영역의 에지부의 형상을 달리하여 합착을 안정화하여 폴딩시 스트레스를 줄이고 에지에서 시작되는 크랙 등의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 장치는 다각형의 면 내에 액티브 영역을 갖고, 상기 액티브 영역을 둘러싼 데드 영역을 가지며, 상기 데드 영역 중 다각형의 일변에 구비된 패드부를 포함한 제 1 기재와, 상기 제 1 기재의 액티브 영역에 구비된 어레이와, 상기 어레이를 덮는 봉지막과, 상기 제 1 기재와 대향된 제 2 기재와, 상기 제 1 기재의 액티브 영역에 대향하여, 상기 제 2 기재 상에 구비된 터치 전극 어레이와, 상기 제 1 기재의 상기 패드부가 위치하지 않은 다각형의 타변 중 적어도 한 변의 데드 영역에 위치한 경로 홀과, 상기 봉지막과 평면 상에서, 상기 경로 홀을 사이에 두고 이격한 무기 더미 패턴 및 상기 봉지막과 터치 전극 어레이의 층간에 위치하고 상기 경로 홀을 채우는 접착층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기재의 에지로부터 상기 무기 더미 패턴은 이격할 수 있다.
상기 무기 더미 패턴은 평면 상에서 상기 봉지막으로부터 10㎛ 내지 100㎛ 이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기 더미 패턴은 평면 상에서 상기 제 1 기재의 에지로부터 10㎛ 내지 100㎛ 이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봉지막의 에지로부터 외측에 있는 경로 홀을 채워, 상기 접착층은 상기 어레이 및 터치 전극 어레이를 둘러쌀 수 있다.
또한, 상기 무기 더미 패턴은 패드부를 제외한 상기 제 1 기재의 변들을 따라 복수개 이격하여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무기 더미 패턴은 상기 어레이에 포함되는 무기막 절연막과 동일층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무기 더미 패턴은 복수층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어레이와 상기 무기 더미 패턴간의 경로 홀이 갖는 제 1 간격보다 상기 무기 더미 패턴의 폭이 더 클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무기 더미 패턴은 섬상이며, 상기 경로 홀은 무기 더미 패턴 주변에서 일체형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어레이는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와 유기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동일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플렉서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은 제 1 모기판 상에 제 1 기재를 형성하고, 각각 액티브 영역과 액티브 영역을 둘러싼 데드 영역을 갖는 복수개의 다각형 형상의 셀 영역을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기재의 복수개의 셀 영역 각 액티브 영역에 어레이 및 상기 데드 영역 중 다각형의 일변에 구비된 패드부를 형성하고, 상기 패드부가 위치하지 않은 다각형의 타변 중 적어도 한 변의 데드 영역에 경로 홀 및 상기 경로 홀 주변에 무기 더미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개의 셀 영역 각각의 어레이를 덮는 봉지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제 2 모기판 상에 제 2 기재를 패터닝하여 각각 액티브 영역과 액티브 영역을 둘러싼 데드 영역을 갖는 복수개의 다각형 형상의 셀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2 기재의 셀 영역 각 액티브 영역에 터치 전극 어레이 및 상기 데드 영역 중 다각형의 일변에 터치 패드부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터치 전극 어레이 상에 접착층 및 상기 터치 패드부 상에 이방성 도전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모기판과 제 2 기판의 각 셀 영역의 터치 전극 어레이 및 어레이를 대면시키며 가압하여 각 셀 영역의 터치 전극 어레이 및 어레이 사이를 상기 접착층으로 합착하고 상기 경로 홀을 채우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모기판을 제거하는 단계와, 상기 각 셀 영역별로 스크라이빙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모기판을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크라이빙하는 단계에서, 상기 패드부 및 터치 패드부가 위치하지 않는 이웃하는 셀 영역들에서 경로 홀은 공유되며, 스크라이빙 라인은 상기 경로 홀을 지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크라이빙 단계에서, 각 셀 영역의 무기 더미 패턴의 에지로부터 상기 제 1 기재가 10㎛ 내지 100㎛ 돌출되도록 스크라이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크라이빙 후 트리밍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트리밍하는 단계에서, 각 셀 영역의 무기 더미 패턴의 에지로부터 상기 제 1 기재가 10㎛ 내지 100㎛ 돌출된 상태로 남길 수 있다.
또한, 상기 무기 더미 패턴은 평면 상에서 상기 봉지막으로부터 10㎛ 내지 100㎛ 이격할 수 있다.
상기 경로 홀 및 상기 경로 홀 주변에 무기 더미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는 기 어레이 영역에서 상기 데드 영역으로 돌출되는 무기막을 선택적으로 제거하여, 경로 홀을 형성하여, 남겨진 무기막을 무기 더미 패턴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크라이빙하는 단계 후, 상기 각 셀 영역의 상기 접착층은 상기 어레이 및 터치 전극 어레이를 둘러쌀 수 있다.
본 발명의 플렉서블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이웃하는 셀 영역의 데드 영역에서, 무기막의 성분을 일부 제거하여 경로 홀을 형성한다. 이로써 상기 경로 홀 내에 접착제가 가압에 의해 충분히 채워져 스크라이빙 후 남아있는 단위 셀 영역에서 기포를 제거할 수 있다.
둘째, 셀 영역의 에지부에, 무기막 사이사이에 상대적으로 유연성이 있고 접착력이 우수한 접착력이 채워져 폴딩이 반복되더라도 취약한 에지부의 크랙 등의 불량을 방지하여, 폴딩 특성을 개선할 수 있다.
셋째, 어레이를 구성하는 무기 절연막의 패터닝시 데드 영역의 패터닝으로 무기 더미 패턴을 정의할 수 있어, 별도의 공정을 별도 추가하지 않고, 장치의 신뢰성을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플렉서블 표시 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도 1의 I~I' 선상의 단면도
도 3은 도 1의 플렉서블 표시 장치의 에지부를 확대한 평면도
도 4는 도 3의 어레이 기재의 단면도
도 5a는 본 발명의 플렉서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에서, 제 1 모기판의 이웃하는 셀 영역을 나타낸 평면도
도 5b는 도 5a의 A 영역의 확대도
도 6은 도 5a의 A 영역의 단면도
도 7은 도 5b의 경로 홀의 확대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플렉서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의 공정 순서도
도 9a 내지 도 9e는 본 발명의 플렉서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을 어레이 기재측에서 나타낸 공정 단면도
도 10a 및 도 10b는 비교예와 본 발명의 플렉서블 표시 장치의 제조 공정 중 접착층을 이용하여 제 1, 제 2 모기판 합착 및 가압 후의 에지부 단면도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다양한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다양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면에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포함된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위치 관계에 대하여 설명하는 경우에,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시간 관계에 대한 설명하는 경우에, 예를 들어, '~후에', '~에 이어서', '~다음에', '~전에' 등으로 시간적 선후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연속적이지 않은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제 1~', '제 2~' 등이 다양한 구성 요소를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용어들은 서로 동일 유사한 구성 요소 간에 구별을 하기 위하여 사용될 따름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제 1~'로 수식되는 구성 요소는 별도의 언급이 없는 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 2~' 로 수식되는 구성 요소와 동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여러 다양한 실시예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고,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다양한 실시예가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플렉서블 표시 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2는 도 1의 I~I' 선상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와 같이, 본 발명의 플렉서블 표시 장치는, 다각형의 면 내에 액티브 영역(AA)을 갖고, 상기 액티브 영역(AA)을 둘러싼 데드 영역을 가지며, 상기 데드 영역 중 다각형의 일변에 구비된 어레이 패드부(70)를 포함한 제 1 기재(10)와, 상기 제 1 기재(10)의 액티브 영역(AA)에 구비된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20)와,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20) 상의 유기 발광 어레이(30)와, 상기 유기 발광 어레이(30)를 덮는 봉지막(150)과, 상기 제 1 기재(10)와 대향된 제 2 기재(40)와, 상기 제 1 기재(10)의 액티브 영역(AA)에 대향하여, 상기 제 2 기재(40) 상에 구비된 터치 전극 어레이(45)와, 상기 제 1 기재(10)의 상기 패드부가 위치하지 않은 다각형의 타변 중 적어도 한 변의 데드 영역에 위치한 경로 홀(PH)과, 상기 봉지막(150)과 평면 상에서, 상기 경로 홀(PH)을 사이에 두고 이격한 무기 더미 패턴(130a) 및 상기 봉지막(150)과 터치 전극 어레이(45)의 층간에 위치하고 상기 경로 홀(PH)을 채우는 접착층(50)을 포함한다.
한편, 여기서 설명하지 않은 부호 '60'은 터치 패드부로, 제 1 기재(10)과 제 2 기재(40) 각각에 구비된 패드부를 이방성 도전 필름에 의해 합착한다. 장치의 연성화를 위해 인쇄회로 기판(미도시)은 제 1 기재(10) 측에 위치하는 것으로, 터치 전극 어레이측으로 신호를 인가하기 위해 재 2 기재(40)측의 터치 패드부(60)와 제 1 기재(10)의 보조 패드부(60 대응 부위)를 이방성 도전 필름으로 접속시키고, 인쇄회로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보조 패드부를 통해 상기 터치 패드부(60)로 신호를 전달한다.
상기 제 1 기재(10)가 갖는 다각형의 형상이란 도시된 바와 사각형일 수도 있고, 혹은 다른 형태의 다각형일 수도 있다. 현재의 플렉서블 표시 장치는 일반적으로 그 화면이 사각형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제 1 기재(10)의 형상은 사각형에 한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표시 장치의 형상은 다양한 다각형으로 변경 가능할 수 있으며, 또한, 모서리가 라운드되는 형상일 수도 있다.
그리고, 제 2 기재(40)는 제 1 기재(10)에 비해 패드부(70)가 노출되는 형상으로 일부가 제거된 형상으로, 제 1 기재(10)와는 동일 형상이 아닐 수 있다. 상기 패드부(70)는 인쇄회로 기판과 접속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플렉서블 표시 장치에서 주요 특징을 갖는 부분은 제 1 기재(10)의 가장자리, 즉, 공정시 복수개의 셀 영역들이 모기판에 정의되고 합착이 되었을 때 패드부(70)가 위치하지 않는 이웃하는 변에서 접착제 성분이 고르게 퍼지게 하는 무기 더미 패턴(130a) 및 상기 무기 더미 패턴(130a) 사이의 경로 홀(PH)을 구비한 것에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로 홀(PH)은 모기재의 이웃하는 변들에 한해 위치하는 것으로, 단일의 플렉서블 표시 장치에서 보았을 때는 일 변에만 위치할 수도 있고, 혹은 대향되는 2변에 위치할 수도 있고, 혹은 경우에 따라 패드부를 제외한 나머지 변들 모두에 구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플렉서블 표시 장치가 모기판에서 가장자리에 정의되는 셀 영역에 해당된다면 이 경우에는 일변에만 경로 홀(PH) 및 무기 더미 패턴(130a)이 정의될 것이고, 양측에 이웃한 셀 영역들이 정의되는 중앙의 셀 영역으로 형성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라면 양변에 경로 홀(PH) 및 무기 더미 패턴(130a)이 정의될 것이다.
한편, 상기 경로 홀(PH)은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20) 내에 포함되는 단일 또는 복수층의 무기 절연막을 패터닝시 함께 정의하는 것으로, 데드 영역에서, 패터닝되어 무기 절연막이 제거된 영역이 경로 홀(PH)이 되며, 남은 영역이 무기 더미 패턴(130a)이 된다.
한편, 상기 제 1 기재(10) 및 제 2 기재(40)는 각각 플라스틱 필름이 될 수 있으며, 각각의 어레이 및 터치 전극 어레이가 형성되는 면에 복수층의 무기막으로 이루어진 버퍼층(120, 41)을 서로 대향되는 면에 더 구비할 수 있다. 각각 120 및 41은 제 1, 제 2 버퍼층을 나타낸다. 상기 버퍼층들(120, 41)은 어레이(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및 유기 발광 어레이)와 터치 전극 어레이의 형성을 모기판 상에 진행하고, 후에 장치의 슬림화를 위해 모기판을 제거시 각 어레이의 보호를 수행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상기 제 1 기재(10)는 백플레이트, 상기 제 2 기재(40)는 커버 윈도우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기재(10)의 백플레이트는 유색 또는 무색일 수 있으며, 상기 제 2 기재(40)는 무색이다. 또한, 상기 제 1, 제 2 기재(10, 40)는 연성 가능한 필름 혹은 유기막이다. 예를 들어, 제 1 기재(10)는 모기판이 제거된 어레이(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20) 및 유기 발광 어레이(30))의 배면측에 어레이의 보호를 위해 부착하며, 그 성질상 충분한 보호를 위해 필름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기재(40)는 모기판에 미리 패터닝하여 그 형성 부위를 정의한 후에 버퍼층과 터치 전극 어레이를 형성하는 것으로, 패터닝이 가능한 유기막일 수 있다. 따라서, 제 2 기재(40)는 부착이 아닌 성막만으로 형성이 가능하여, 수 ㎛ 내지 10㎛ 이하의 두께로 상대적으로 제 1 기재(10) 대비 얇은 두께를 가질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얇은 두께의 유기막 상의 제 2 기재(40) 상측(어레이가 형성되지 않은 배면측)에 커버 윈도우가 더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착층(50)은 실질적으로 액티브 영역을 채울 정도로만 각각의 어레이가 형성되는 제 1 기재(10) 및 제 2 기재(40) 중 어느 하나에 도포 후, 퍼짐성이 있어 합착 후 가압 과정에서 데드 영역으로 퍼져 나가는 것으로, 만일 제 1 기재(10)의 에지에서 평탄한 무기막 표면을 가질 때, 접착층(50)이 퍼져 나가는 과정에서 기포가 남아 셀 영역에 잔류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이는 이후 플렉서블 표시 장치에서 기포가 있는 부분은 폴딩 반복시 크랙의 원인이 되며, 박리와 같은 문제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고자 본 발명의 플렉서블 표시 장치는 구조적으로 접착층(50)이 내부에 기공없이 적어도 봉지막(150)을 평면적으로 둘러싸는 형상이 되도록, 접착층(50)의 흐름성을 제어하는 경로 홀(PH)을 형성한 것이다.
이 경우, 경로 홀(PH)은 상기 봉지막(150)의 가장자리를 따라 길게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기재(10)의 에지로부터 상기 무기 더미 패턴(130a)은 이격시켜, 제 1 기재(10)의 에지에는 경로 홀(PH)이 지나가도록 한다. 이는 제 1 기재(10)의 에지의 경로 홀(PH)을 통해 채워지는 접착층(50)이 남아있어, 에지에서 접착층(50)이 갖는 유연성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상대적으로 제 1 기재(10)와 제 2 기재(40) 사이의 접착층(50)은 두께가 10㎛ 이상으로, 타층 대비 두껍지만 그 성분이 열가소성 수지로, 경화 후에도 약간의 유연성을 갖는 것으로, 폴딩 동작에서, 파단이나 크랙없이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무기 더미 패턴(130a)은 평면 상에서 상기 봉지막(150)으로부터 10㎛ 내지 100㎛ 이격할 수 있다. 이는 봉지막(150)이 일차적으로 보호하는 영역 이상을 상기 접착층(50)이 커버하도록 무기 더미 패턴(130a)을 봉지막(150) 외측에 구비한 것이다.
또한, 상기 무기 더미 패턴(130a)은 평면 상에서 상기 제 1 기재(10)의 에지로부터 10㎛ 내지 100㎛ 이격할 수 있다.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기재(10)의 에지에 무기 더미 패턴(130a)을 정의하는 경로 홀(PH)을 구비하여 상기 경로 홀(PH) 내에 접착층(50)을 채워 에지부에서 기포 등의 불량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경로 홀(PH) 내에 채워지는 접착층(50)은 도포 후 상하 기재간의 합착 및 가압 공정에서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경로 홀(PH)을 타고 퍼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경로 홀(PH)은 적어도 제 1 기재(10)의 각 변에 대해서 일체형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봉지막(150)의 에지로부터 외측에 있는 경로 홀(PH)을 채우는 상기 접착층(50)은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20)/유기 발광 어레이(30) 및 터치 전극 어레이(45)를 각각 둘러쌀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폴딩시 측부에서 각 어레이 내 무기막들이 받는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다. 이는 무기 성분들이 에지부에 주로 남아있을 경우, 폴딩이 반복되면, 탄력성이 없어 부서지기 쉬운 무기막으로 인해 폴딩시 상기 에지부의 무기 성분으로부터 크랙이 발생한다. 본 발명의 플렉서블 표시 장치는 이와 대조적으로 에지부에 접착층(50)과 같이, 탄력성이 우수한 재료를 구비하고 이를 경로 홀(PH)을 통해 효과적으로 남겨, 폴딩시의 스트레스를 완화시킨 것이다.
한편, 상기 무기 더미 패턴(130a)은 패드부를 제외한 상기 제 1 기재(10)의 변들을 따라 복수개 이격하여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무기 더미 패턴(130a)은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20)에 포함되는 무기막 절연막과 동일층에 위치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20)에 복수개의 무기막 절연막이 있을 때, 상기 무기 더미 패턴(130a)은 복수 층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20)와 상기 무기 더미 패턴(130a)간의 경로 홀(PH)이 갖는 제 1 간격보다 상기 무기 더미 패턴(130a)의 폭이 더 클 수 있다. 이는 일차적으로 무기 더미 패턴(130a)을 구비함에 의해 접착층(50)이 채우는 영역을 상기 무기 더미 패턴(130a)이 보조적으로 채워 접착층(50)과 무기 더미 패턴(130a)의 접촉 특성을 유지하기 위함이다.
경로 홀(PH)이 일정한 접착층 물질의 가압시 이동하는 경로로 이용되기 위해 여기서, 상기 무기 더미 패턴(130a)은 섬상이며, 상기 경로 홀(PH)은 무기 더미 패턴(130a) 주변에서 일체형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플렉서블 표시 장치의 에지부를 확대한 평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어레이 기재의 단면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3 및 도 4와 같이, 플렉서블 표시 장치의 에지부를 살펴보면 액티브 영역 외측에 데드 영역은, 유기 발광 어레이(30)을 덮는 봉지막(150)이 배치되고, 상기 봉지막(150)과 이격하여, 상기 섬상의 무기 더미 패턴(130a)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어레이(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20))는 제 1 기재(10) 상의 버퍼층(120) 상에 위치한다. 일반적으로 버퍼층(120)은 제조 공정시 제 1 모기판(100) 상에, 상측의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20) 및 유기 발광 어레이(30)의 보호를 위해 구비되며, 버퍼층(120) 하측의 모기판인 글래스 기판의 제거시 상부층을 보호하는 기능도 겸하기 때문에 제 1 기재(10)의 에지부까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봉지막(150)은 유기 발광 어레이(30)을 충분히 덮도록 액티브 영역(AA) 전체와 이로부터 외측으로 연장하여 데드 영역의 일부까지 형성된다.
즉, 상기 봉지막(150)이 액티브 영역(AA)의 외측의 데드 영역으로 수백 ㎛, 대략 300㎛ 내지 600㎛의 폭으로 돌출되는데, 이는 봉지막(150)는 수분 및 외기에 취약한 유기 발광 어레이(30)을 충분히 보호하기 위해서이다.
그리고, 상기 봉지막(150)과 'a' 간격 이격하며, 섬상의 무기 더미 패턴(130a)이 위치하며, 상기 무기 더미 패턴(130a)의 주위로 경로 홀(PH)이 연결되어 정의된다. 이 경우, 상기 무기 더미 패턴(130a)은 'b'의 폭을 가지며, 상기 무기 더미 패턴(130a)과 봉지막(150)의 간격인 'a'보다 넓은 폭일 수 있다. 하지만, 무기 더미 패턴(130a)의 폭은 이러한 예에 한하지 않으며, 합착 후의 접착층 물질이 흘러가 버퍼층(120) 상에 기포없이 경로 홀(PH)을 채울 수 있는 역할이라면 그 폭은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의미있는 것은, 각각 봉지막(150)의 가장자리에는 경로 홀(PH)이 있고, 제 1 기재(10)의 에지는 경로 홀(PH)이 있어, 봉지막(150)의 가장자리를 접착층(180)이 감싸고, 제 1 기재(10) 에지 또한 봉지막(105)이 감싸는 기능을 하여, 이와 같이 형성된 플렉서블 표시 장치를 폴딩하였을 때, 제 1 기재(10)의 측부에 탄성이 있는 재료인 접착층(180)을 남겨 폴딩시의 스트레스를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버퍼층(120) 상에 위치하는 무기막(130)은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도 2의 20 참조)의 배선들간의 층간에 포함되는 무기 절연막으로 복수층일 수 있으며, 이러한 무기 절연막들은 데드 영역까지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무기 더미 패턴(130a)은 상기 무기 절연막을 선택적으로 제거하여 정의되는 것이다. 데드 영역 중 상기 봉지막(150)의 가장자리의 바로 접하여는 경로 홀(PH)이 위치하며, 경로 홀(PH)이 갖는 일정 폭 이격하여 무기 더미 패턴(130a)이 형성된다.
그리고, 데드 영역 중 상기 무기 더미 패턴(130a)이 형성되는 부위는 배선없이 무기 절연막만 위치할 수 있는 것으로, 이 경우, 데드 영역에서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20)에서 형성된 어레이 구성물(130)과 상기 무기 더미 패턴(130a)은 동일 높이일 수 있다.
무기 더미 패턴(130a)은 섬상으로 데드 영역에서 무기 더미 패턴(130a)은 분리되어 형성되고, 반면 경로 홀(PH)은 무기 더미 패턴(130a) 사이에 연결되어 경화되기 전의 접착층 물질이 경로 홀(PH)을 타고 이동하여 기포없이 경로 홀(PH) 내에 접착층(180)이 채우게 된다.
한편, 도 4의 도면은 제 1 기재(10)(어레이가 형성된 기재)의 데드 영역을 나타낸 것으로, 실질적으로 접착층(180) 상측에는 제 2 기재(40)와 상기 제 2 기재(40) 상에 제 1 기재(10)에 대향하여 터치 전극 어레이(45)가 구비되어 있지만, 설명의 편의상 이는 생략한다. 도 4는 접착층(180)이 경로 홀(PH)을 채우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플렉서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플렉서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에서는 단일 셀이 아닌 복수개의 셀 영역을 함께 정의하도록 하는 것으로, 각 셀 영역들은 모기판에 구비되는 것이 유념되어야 한다.
도 5a는 본 발명의 플렉서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에서, 제 1 모기판의 이웃하는 셀 영역을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5b는 도 5a의 A 영역의 확대도이고, 도 6은 도 5a의 A 영역의 단면도이다. 또한, 도 7은 도 5b의 경로 홀의 확대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8은 본 발명의 플렉서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의 공정 순서도이다. 도 9a 내지 도 9e는 본 발명의 플렉서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을 어레이 기재측에서 나타낸 공정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플렉서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은 다음의 순서로 이루어진다.
이하의 도면은 모기판에 2개의 셀 영역에 구비된 예를 나타내지만, 이는 복수개의 셀 영역을 하나의 모기판을 제조하는 가장 간단한 구성을 나타냈을 뿐이고, 공정상에서는 행과 열 모두 2개 이상, 열로 2개 이상의 셀 영역이 반복되어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모기판들은 일정 두께를 갖는 글래스 기판으로 하드한 성질을 유지하고 있고, 어레이를 형성하는데 열이나 압력에 의해 모기판 상의 어레이 구성 또는 기재 등의 형상의 변경이 없게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합착 후에 이러한 모기판은 제거된다.
먼저, 도 5a와 같이, 제 1 모기판(100) 상에 각각 액티브 영역(AA)과 액티브 영역(AA)을 둘러싼 데드 영역을 갖는 복수개의 다각형 형상의 셀 영역을 준비한다. 이 과정에서, 다각형 형상의 셀 영역이 물리적으로 나뉘는 것은 아니며, 그 영역을 상정하여, 어레이 형성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어, 도 5a와 같이, 상기 제 1 모기판(100)에, 제 1 버퍼층(120)을 전면 형성하고, 이어, 복수개의 셀 영역 각 액티브 영역(AA)에 어레이(도 1의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20) 및 유기 발광 어레이(30)) 및 상기 데드 영역 중 다각형의 일변에 구비된 패드부(70)를 형성한다. 동일 과정에서, 이후 터치 패드부와 대향할 부위에 보조 패드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어레이 형성 과정에서, 도 5b 및 도 6과 같이, 상기 패드부(70)가 위치하지 않은 다각형의 타변 중 적어도 한 변의 데드 영역에 경로 홀(PH) 및 상기 경로 홀 주변에 무기 더미 패턴(130a)을 형성한다(10S).
여기서, 도 9b와 같이, 상기 경로 홀(PH) 및 상기 경로 홀(PH) 주변에 무기 더미 패턴(130a)의 형성은 상기 액티브 영역(AA)에서 상기 데드 영역으로 돌출되는 무기막(130)을 선택적으로 제거하여, 경로 홀(PH)을 형성하는 것이고, 이 때, 남겨진 무기막은 무기 더미 무기 패턴(130a)으로 정의된다. 상기 무기막(130)은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에서 형성되는 무기 절연막 성분이고, 액티브 영역의 무기 절연막 성분이 데드 영역까지 연장되어 위치하는 성분으로, 경우에 따라 금속 배선을 일부 포함할 수도 있다.
이어, 도 2와 같이, 상기 복수개의 셀 영역 각각의 어레이(20, 30)를 덮는 봉지막(150)을 형성한다(11S). 도 9b에서는 데드 영역만을 나타낸 것으로, 액티브 영역 외측으로 어레이 구성이 나타나지 않은 것이고, 다만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형성 공정에서 함께 구비되었던 무기막(130)이 데드 영역까지 연장된 점과 상기 무기막(130)의 에지까지 봉지막(150)이 형성되는 것을 나타낸다. 이 경우, 경로 홀(PH) 및 무기 더미 패턴(130a)은 상기 봉지막(150) 외측에 위치한다. 이 경우, 상기 봉지막(150)의 안쪽 액티브 영역에 유기 발광 어레이(30)가 위치하며, 상기 봉지막(150)에 의해 보호된다. 도 6에서 봉지막(150)은 상기 어레이의 무기막 구성물(130)이 그 가장자리를 같이 하나, 이는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20)의 무기 절연막에 한한 구성이며, 유기 발광 어레이(30)의 구성은 액티브 영역(AA)까지 형성되어, 상기 봉지막(150)은 유기 발광 어레이(30)를 완전히 커버하는 형상이다. 즉, 상기 봉지막(150)은 유기 발광 어레이(30)의 가장자리보다 외측으로 300㎛ 내지 600㎛ 돌출되어 상기 유기 발광 어레이(30)로 수분 및 외기가 침투됨을 방지한다.
상기 봉지막(150)을 예를 들어, 무기막, 유기막이 한쌍 이상 교번 적층한 박막 적층체로, 가장 상측(바깥측)에는 무기막이 위치하여, 외기를 직접적으로 차단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 1 모기판(100)과 병렬적으로, 상기 제 2 모기판(미도시) 상에 제 2 기재(도 1 내지 4의 40 참조)를 패터닝하여 각각 액티브 영역(AA)과 액티브 영역을 둘러싼 데드 영역을 갖는 복수개의 다각형 형상의 셀 영역을 형성한다(20S). 상기 제 2 기재(40)는 도 1과 같이, 제 1 모기판(100)에서 정의되는 패드부(70)의 영역이 오픈되도록 그 형상이 정의된다. 여기서, 상기 제 2 기재(40)는 포토 공정 등을 이용하여 패터닝될 수 있는 것으로, 직접적으로 제 2 모기판에 유기막으로 성막된 제 2 기재(40)가 형성되고, 이후 제 2 모기판을 제거한 후, 제 2 기재(40)가 남게 되면, 별도의 필름을 사용하지 않고, 상기 제 2 기재(40)의 형성이 가능하여, 그 두께를 수 ㎛까지 줄일 수 있어, 필름으로 제 2 기재(40)를 형성하는 구조 대비 수십 배 기재의 두께를 낮출 수 있어, 연성화에 유리하다.
여기서, 상기 제 2 기재(40) 상에 제 2 버퍼층(4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 참조). 상기 제 2 기재(40)는 패터닝되어 제 2 모기판(200) 상에 위치하는 것으로, 제 2 기재(40)가 제 2 모기판(도 9d 의 200참조)에서 이루어지는 터치 전극 어레이 형성 공정에서 보호 기능을 담당할 수 있어, 제 2 버퍼층(41)은 생략될 수도 있다.
이어, 상기 제 2 기재(40)의 셀 영역 각 액티브 영역에 터치 전극 어레이(45) 및 상기 데드 영역 중 다각형의 일변에 터치 패드부(60)를 형성한다(21S).
이어, 상기 터치 전극 어레이(45) 상에 접착층(180) 및 상기 터치 패드부(60) 상에 이방성 도전 필름(ACF: Anisotropic Conductive Film (미도시), 60 대응 부위)을 형성한다(30S).
이어, 도 9d와 같이, 상기 제 1 모기판(100)과 제 2 기판의 각 셀 영역의 터치 전극 어레이(45) 및 어레이(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20) 및 유기 발광 어레이(30))를 대면시키며 가압하여 각 셀 영역의 터치 전극 어레이(45) 및 어레이(20, 30) 사이를 상기 접착층(180)으로 합착하며, 합착 과정에서의 가압에 의해 상기 접착층(180)이 상기 경로 홀(PH)을 채울 수 있게 된다. 상기 접착층(180)은 열경화성 수지로 이루어져, 일차적으로 액상으로 도포되어 합착이 진행될 때 고온 가압의 조건에서 상기 경로 홀(PH)을 타고 흘러들어가 인접한 셀 영역 사이의 측부를 채우는 것이다. 이후 경화된 접착층(180)은, 외부 충격을 받으면 셀 크랙이 발생하여, 수분 침투의 경로가 에지에서부터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동일 과정에서, 상기 이방성 도전 필름을 통해 제 2 기재(40)측의 터치 패드부(60)와 제 1 모기판(100) 측의 보조 패드부를 본딩한다(40S).
한편, 상기 패드부(70) 및 터치 패드부(60)가 위치하지 않는 이웃하는 셀 영역들에서, 스크라이빙 전까지 경로 홀(PH)은 공유되며, 스크라이빙 라인은 상기 경로 홀(PH)을 지날 수 있다.
이어, 제 1, 제 2 모기판이 합착된 상태에서 상측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상기 제 2 모기판을 제거한다(50S). 제 2 모기판(50S)이 제거되면, 분할되어 패터닝되어 있는 제 2 기재(40) 상의 터치 전극 어레이(45)의 구성이 어레이(20, 30)을 포함한 봉지막(150)과 합착한 상태로 남아 있다. 즉, 이 과정에서 상측은 제 2 기재(40)로부터 터치 전극 어레이(45)까지 셀 영역 단위로 분할되어 있고, 하측의 어레이 구성은 제 1 모기판(100) 상에서 셀 영역의 구분없이 남아 있다.
이어, 도 9e와 같이, 상기 도 5a에 도시된 각 셀 영역별로 스크라이빙한다(60S). 상기 스크라이빙하는 단계에서, 상기 패드부 및 터치 패드부가 위치하지 않는 이웃하는 셀 영역들에서 도 5b 내지 도 7과 같이, 경로 홀(PH)은 공유되며, 스크라이빙 라인은 상기 경로 홀(PH)을 지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스크라이빙 라인'으로 명하여, 스크라이빙이 선상에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여겨지나, 실제 공정에서는 인접하여 있는 셀 영역 사이에서 대략 1000 ㎛의 폭으로 스크라이빙으로 제거되며, 일차 스크라이빙을 거친 후, 단위 셀 영역들의 정밀한 에지부 구성을 위해 트리밍 공정을 거치며, 추가적으로 100㎛ 내지 200㎛의 폭이 더 제거되어 조정될 수 있다(60S).
이 경우, 상기 스크라이빙 단계에서, 각 셀 영역의 더미 무기 패턴(130a)의 에지로부터 상기 셀 영역의 에지가 10㎛ 내지 100㎛ 더 돌출된 상태로, 스크라이빙 및 트리밍한다. 여기서, 상기 스크라이빙하는 단계 후, 남아있는 상기 각 셀 영역의 상기 접착층(180)은 상기 어레이(20, 30) 및 터치 전극 어레이(45)의 주변을 기포없이 안정적으로 둘러쌀 수 있다.
이어, 단위 셀 별로 상기 제 1 모기판(100) 하측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스크라이빙된 셀 영역별로 제 1 모기판(100)을 제거한다(70S).
그리고, 도 2와 같이, 상기 제 1 모기판(100)이 제거된 후 노출된 제 1 버퍼층(120) 하측에는 제 1 기재(도 2의 10 참조)를 부착하여 표면 보호를 꾀한다.
이하, 본 발명의 플렉서블 표시 장치의 제조 공정을 적용한 예와 같이, 무기 더미 패턴(130a) 및 그 주위에 경로 홀(PH)을 구성한 예와, 그렇지 않은 비교예의 이웃한 셀 영역간 합착 및 가압 후의 상태를 비교하여 본다.
도 10a 및 도 10b는 비교예와 본 발명의 플렉서블 표시 장치의 제조 공정 중 접착층을 이용하여 제 1, 제 2 모기판 합착 및 가압 후의 에지부 단면도이다.
도 10a와 같이, 비교예의 경우, 합착 후, 이웃한 셀 영역들 사이에 평탄한 무기막(3)이 위치하게 되면 접착층(5) 물질이 가압에 의해 퍼지다가 미채움 영역이 발생하고 이 부위는 기포로 작용한다. 따라서, 합착 후 스크라이빙 시 상기 기포는 이웃한 셀 영역에 손상의 원인이 되며, 이는 폴딩이 반복되는 경우, 접착층을 박리시키기도 하며, 에지에서 시작되는 크랙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도 10b와 같이, 본 발명의 플렉서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을 적용하게 되면, 이러한 이웃한 셀 영역간의 미채움 영역이나 기포가 미발생되어, 상술한 접착층의 박리나 에지에서 시작되는 크랙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실시예들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하여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10: 제 1 기재 20: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30: 유기 발광 어레이 40: 제 2 기재
41: 제 2 버퍼층 45: 터치 전극 어레이
100: 제 1 모기판 120: 제 1 버퍼층
130: 무기막 130a: 더미 무기 패턴
150: 봉지막 180: 접착층
200: 제 2 모기판

Claims (20)

  1. 다각형의 면 내에 액티브 영역을 갖고, 상기 액티브 영역을 둘러싼 데드 영역을 가지며, 상기 데드 영역 중 다각형의 일변에 구비된 패드부를 포함한 제 1 기재;
    상기 제 1 기재의 액티브 영역에 구비된 어레이;
    상기 어레이를 덮는 봉지막;
    상기 제 1 기재와 대향된 제 2 기재;
    상기 제 1 기재의 액티브 영역에 대향하여, 상기 제 2 기재 상에 구비된 터치 전극 어레이;
    상기 제 1 기재의 상기 패드부가 위치하지 않은 다각형의 타변 중 적어도 한 변의 데드 영역에 위치한 경로 홀;
    상기 봉지막과 평면 상에서, 상기 경로 홀을 사이에 두고 이격한 무기 더미 패턴; 및
    상기 봉지막과 터치 전극 어레이의 층간에 위치하고 상기 경로 홀을 채우는 접착층을 포함한 플렉서블 표시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재의 에지로부터 상기 무기 더미 패턴은 이격한 플렉서블 표시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 더미 패턴은 평면 상에서 상기 봉지막으로부터 10㎛ 내지 100㎛ 이격한 플렉서블 표시 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 더미 패턴은 평면 상에서 상기 제 1 기재의 에지로부터 10㎛ 내지 100㎛ 이격한 플렉서블 표시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봉지막의 에지로부터 외측에 있는 경로 홀을 채워, 상기 접착층은 상기 어레이 및 터치 전극 어레이를 둘러싸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 더미 패턴은 패드부를 제외한 상기 제 1 기재의 변들을 따라 복수개 이격하여 구비된 플렉서블 표시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 더미 패턴은 상기 어레이에 포함되는 무기막 절연막과 동일층에 위치한 플렉서블 표시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 더미 패턴은 복수층인 플렉서블 표시 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어레이와 상기 무기 더미 패턴간의 경로 홀이 갖는 제 1 간격보다 상기 무기 더미 패턴의 폭이 더 큰 플렉서블 표시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 더미 패턴은 섬상이며,
    상기 경로 홀은 무기 더미 패턴 주변에서 일체형으로 연결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어레이는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와 유기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를 포함한 플렉서블 표시 장치.
  12. 제 1 모기판 상에, 각각 액티브 영역과 액티브 영역을 둘러싼 데드 영역을 갖는 복수개의 다각형 형상의 셀 영역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제 1 모기판의 복수개의 셀 영역 각 액티브 영역에 어레이 및 상기 데드 영역 중 다각형의 일변에 구비된 패드부를 형성하고, 상기 패드부가 위치하지 않은 다각형의 타변 중 적어도 한 변의 데드 영역에 경로 홀 및 상기 경로 홀 주변에 무기 더미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복수개의 셀 영역 각각의 어레이를 덮는 봉지막을 형성하는 단계;
    제 2 모기판 상에 각각 액티브 영역과 액티브 영역을 둘러싼 데드 영역을 갖는 복수개의 다각형 형상의 셀 영역을 패터닝하는 단계;
    상기 제 2 모기판의 셀 영역 각 액티브 영역에 터치 전극 어레이 및 상기 데드 영역 중 다각형의 일변에 터치 패드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터치 전극 어레이 상에 접착층 및 상기 터치 패드부 상에 이방성 도전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모기판과 제 2 기판의 각 셀 영역의 터치 전극 어레이 및 어레이를 대면시키며 가압하여 각 셀 영역의 터치 전극 어레이 및 어레이 사이를 상기 접착층으로 합착하고 상기 경로 홀을 채우는 단계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모기판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각 셀 영역별로 스크라이빙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모기판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라이빙하는 단계에서,
    상기 패드부 및 터치 패드부가 위치하지 않는 이웃하는 셀 영역들에서 경로 홀은 공유되며, 스크라이빙 라인은 상기 경로 홀을 지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라이빙 단계에서,
    각 셀 영역의 무기 더미 패턴의 에지로부터 상기 셀 영역의 에지가 10㎛ 내지 100㎛ 돌출되도록 스크라이빙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6.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라이빙 후 트리밍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 플렉서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밍하는 단계에서,
    각 셀 영역의 무기 더미 패턴의 에지로부터 상기 셀 영역의 에지가 10㎛ 내지 100㎛ 돌출된 상태로 남기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8.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 더미 패턴은 평면 상에서 상기 봉지막으로부터 10㎛ 내지 100㎛ 이격한 플렉서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9.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 홀 및 상기 경로 홀 주변에 무기 더미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어레이 영역에서 상기 데드 영역으로 돌출되는 무기막을 선택적으로 제거하여, 경로 홀을 형성하여, 남겨진 무기막을 무기 더미 패턴으로 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20.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라이빙하는 단계 후,
    상기 각 셀 영역의 상기 접착층은 상기 어레이 및 터치 전극 어레이를 둘러싸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0160184085A 2016-12-30 2016-12-30 플렉서블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80078859A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4085A KR20180078859A (ko) 2016-12-30 2016-12-30 플렉서블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DE102017130538.6A DE102017130538B4 (de) 2016-12-30 2017-12-19 Biegsame anzeige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rselben
US15/857,923 US10483332B2 (en) 2016-12-30 2017-12-29 Flexibl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201711481361.2A CN108281463B (zh) 2016-12-30 2017-12-29 柔性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TW108126563A TWI733146B (zh) 2016-12-30 2017-12-29 可撓式顯示裝置
TW106146581A TWI680575B (zh) 2016-12-30 2017-12-29 可撓式顯示裝置及其製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4085A KR20180078859A (ko) 2016-12-30 2016-12-30 플렉서블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8859A true KR20180078859A (ko) 2018-07-10

Family

ID=625680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4085A KR20180078859A (ko) 2016-12-30 2016-12-30 플렉서블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483332B2 (ko)
KR (1) KR20180078859A (ko)
CN (1) CN108281463B (ko)
DE (1) DE102017130538B4 (ko)
TW (2) TWI68057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8266B1 (ko) 2018-11-16 2023-05-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자 장치
KR102562807B1 (ko) 2018-11-23 2023-08-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자 장치
CN109449126B (zh) * 2018-12-18 2024-04-12 江苏卓胜微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电子器件及其制备方法、电子装置
JP7298161B2 (ja) * 2019-01-18 2023-06-27 Agc株式会社 機能層付き基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200113139A (ko) 2019-03-22 2020-10-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20200124371A (ko) * 2019-04-23 2020-11-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TWI702579B (zh) * 2019-05-07 2020-08-2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軟性顯示器
CN110262693B (zh) * 2019-06-21 2022-07-15 友达光电(昆山)有限公司 触控显示装置
KR20210018561A (ko) 2019-08-05 2021-02-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10851028B (zh) * 2019-11-08 2023-06-1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柔性可拉伸oled显示触摸屏装置及其制作方法
CN111200082B (zh) * 2020-01-10 2022-08-2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柔性显示基板及柔性显示装置
TW202032226A (zh) * 2020-01-14 2020-09-0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軟性電路結構
KR20210115113A (ko) * 2020-03-11 2021-09-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220014352A (ko) * 2020-07-23 2022-02-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패널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제조 방법
KR102395748B1 (ko) * 2021-02-17 2022-05-10 (주)유티아이 롤러블, 슬라이더블 및 스트레쳐블 커버 윈도우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08220A (ja) * 2000-04-24 2001-11-02 Nec Corp 半導体パッケージ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552994B1 (ko) * 2012-08-31 2015-09-1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TWI492436B (zh) 2012-11-16 2015-07-11 Au Optronics Corp 可撓式顯示面板
US9740035B2 (en) * 2013-02-15 2017-08-22 Lg Display Co., Ltd. Flexibl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150053530A (ko) * 2013-11-08 2015-05-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H709370A1 (de) 2014-03-07 2015-09-15 Fofitec Ag Rollenmaterial für eine oder mit einer Submikrometerschicht auf einem flexiblen Träger und Verwendung davon.
US10318026B2 (en) * 2014-12-09 2019-06-11 Lg Innotek Co., Ltd. Touch window
KR102362819B1 (ko) * 2015-03-23 2022-02-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가요성 표시 장치
KR102388711B1 (ko) * 2015-04-27 2022-04-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US9837634B2 (en) * 2015-07-20 2017-12-05 Apple Inc. Electronic device display with multi-layer flexible encapsulation
KR102438247B1 (ko) * 2015-09-07 2022-08-3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490624B1 (ko) * 2015-10-30 2023-01-2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5389049A (zh) * 2015-11-11 2016-03-0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触控oled显示装置及其制作方法
KR20180047605A (ko) * 2016-10-31 2018-05-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플레인 기판 및 이를 이용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US20180180724A1 (en) * 2016-12-26 2018-06-28 Nxp Usa, Inc. Ultrasonic transducer integrated with supporting electronic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190734A1 (en) 2018-07-05
TWI680575B (zh) 2019-12-21
TW201946271A (zh) 2019-12-01
DE102017130538B4 (de) 2024-06-13
CN108281463B (zh) 2021-12-10
US10483332B2 (en) 2019-11-19
TWI733146B (zh) 2021-07-11
TW201824535A (zh) 2018-07-01
DE102017130538A1 (de) 2018-07-05
CN108281463A (zh) 2018-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78859A (ko) 플렉서블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530485B1 (ko) 분할된 배선 패턴을 갖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1920446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US9911943B2 (en)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including buffer layers
CN107833978B (zh) 一种显示器件
TWI615952B (zh) 顯示裝置及其製造方法
JP5525589B2 (ja) 有機発光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4820372B2 (ja) 回路部材、電極接続構造及びそれを備えた表示装置
KR102648415B1 (ko) 터치 스크린 일체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417453B1 (ko)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
CN110262701B (zh) 一种显示面板及显示装置
US10276812B2 (en)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190044016A (ko)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 제조 방법
KR20180047587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80025058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60073531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 제조 방법
WO2010140489A1 (ja) 回路基板、回路基板の接続構造、表示パネル組立体
JP6385587B2 (ja) 液晶表示装置
KR20180047606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70077656A (ko) 플렉서블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US20230125641A1 (en) Display substrate, display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5357730B2 (ja) 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3858645B2 (ja) 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KR102680247B1 (ko) 플렉서블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80078801A (ko) 플렉서블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