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8385A - System for monitoring subject to be observed, and method for monitoring subject to be observed - Google Patents

System for monitoring subject to be observed, and method for monitoring subject to be observe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8385A
KR20180078385A KR1020160182281A KR20160182281A KR20180078385A KR 20180078385 A KR20180078385 A KR 20180078385A KR 1020160182281 A KR1020160182281 A KR 1020160182281A KR 20160182281 A KR20160182281 A KR 20160182281A KR 20180078385 A KR20180078385 A KR 201800783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arable device
subject
heartbeat
abnormal
pers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228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921683B1 (en
Inventor
백준선
Original Assignee
(주)누리텔레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누리텔레콤 filed Critical (주)누리텔레콤
Priority to KR10201601822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1683B1/en
Publication of KR201800783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838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16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168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16Determining posture tran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A61B5/04012
    • A61B5/0402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21Determining geometric values, e.g. centre of rotation or angular range of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Alarms related to a physiological condition, e.g. details of setting alarm thresholds or avoiding false ala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19Inertial sensors, e.g. accelerometers, gyroscopes, tilt switch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a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ology (AREA)
  • Cardiology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Geomet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Provided are a system for monitoring a subject and a method thereof, which notify a predetermined terminal that movement and heartbeat of the subject wearing a wearable device are determined to be abnorm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is the method for monitoring a subject by using a wearable device worn by the subject. The method comprises the steps of: using the wearable device to determine whether the movement of the subject is normal or not when a first mode is selected in the wearable device; using the wearable device to determine whether the heartbeat of the subject is normal or not when the movement of the subject is determined to be abnormal; using the wearable device to identify a location of the subject when the heartbeat of the subject is determined to be abnormal; and transmitting the identified location of the subject to the predetermined terminal.

Description

피관찰자 모니터링 시스템, 및 피관찰자 모니터링 방법{SYSTEM FOR MONITORING SUBJECT TO BE OBSERVED, AND METHOD FOR MONITORING SUBJECT TO BE OBSERVED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nitoring system for monitoring a subject,

피관찰자의 상태를 확인하는 피관찰자 모니터링 시스템, 및 피관찰자 모니터링 방법에 관한 발명이다.Monitoring system for checking the status of the person to be monitored, and monitoring method for the person to be monitored.

최근, 전자 기기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면서도 점차 소형화되어 휴대하기 용이한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다. 이러한 소형 전자 기기는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주머니 등에 수납되어 휴대하기도 하지만, 손목에 착용하거나, 인체의 두부(Head portion) 또는 팔에 착용하기도 한다.Background Art [0002] In recent years, electronic devices have progressed in a direction that is becoming smaller and more portable, while performing various functions. Such small electronic apparatuses are usually carried in the user's pocket or the like and carried, but they are worn on the wrist or worn on the head portion or arm of the human body.

이러한 장치를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라고 통칭한다. 이러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신체 또는 의류에 착용될 수 있는 각종 전자 기기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스마트 워치(Smart Watch), 웨어러블 컴퓨터(Wearable Computer), 구글 글래스(Google Glass), 블루투스 헤드셋(Bluetooth Headset), 스마트 웨어(Smart wear)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Such a device is referred to as a wearable device. Such a wearable device may include various electronic devices that can be worn on the user's body or clothing. For example, a wearable device can be implemented as a smart watch, a wearable computer, a Google Glass, a Bluetooth headset, a smart wear, or the like.

이와 같은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사용자와 직간접적으로 접촉한 상태를 유지하므로, 사용자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Such a wearable device maintains a state of direct or indirect contact with a user, and thus can monitor the state of the user in real time. To this end, the wearable device may have a sensor capable of detecting the state of the user in real time.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한 피관찰자의 움직임 및 심박이 비정상으로 판단되면 미리 정해진 단말기에 이를 통지하는 피관찰자 모니터링 시스템, 및 피관찰자 모니터링 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to-be-monitored person monitoring system and a to-be-monitored person monitoring method for notifying a predetermined terminal of a wearer wearing a wearable device when motion and heartbeat are abnormal.

일 실시예에 따른 피관찰자 모니터링 방법은, 피관찰자에 착용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하는 피관찰자 모니터링 방법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제 1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피관찰자 움직임의 정상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피관찰자 움직임이 비정상으로 판단되면,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피관찰자 심박의 정상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피관찰자 심박이 비정상으로 판단되면,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피관찰자의 위치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된 피관찰자의 위치를 미리 정해진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A method of monitoring a subject to be monitore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of monitoring a subject who wears a wearable device worn on a subject to be detained, the method comprising: determining whether the subject moves normally using the wearable device step; Determining whether the subject's heartbeat is normal using the wearable device if the subject's movement is determined to be abnormal; Checking the position of the subject person using the wearable device if the subject person's heartbeat is determined to be abnormal; And transmitting the determined location of the eavesdropper to a predetermined terminal; . ≪ / RTI >

또한, 상기 피관찰자 움직임의 정상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피관찰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피관찰자의 움직임과 미리 결정된 기준 움직임을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피관찰자 움직임의 정상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subject movement is normal may include detecting movement of the subject movement using an acceleration sensor of the wearable device, Comparing the motion of the detected subject to the predetermined reference motion; And determining whether the subject movement is normal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 ≪ / RTI >

또한, 상기 피관찰자 심박의 정상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피관찰자 움직임이 비정상으로 판단되면,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심박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피관찰자의 심박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피관찰자의 심박과 미리 결정된 기준 심박을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피관찰자 심박의 정상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subject's heartbeat is normal may include detecting a heartbeat of the subject person using a heartbeat sensor of the wearable device when the subject's motion is abnormal, Comparing the detected heartbeat of the subject person with a predetermined reference heartbeat; Determining whether the subject's heartbeat is normal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 ≪ / RTI >

또한, 상기 피관찰자의 위치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피관찰자의 심박이 비정상으로 판단되면,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GPS 안테나를 이용하여 상기 피관찰자의 위치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GPS 안테나의 수신 감도가 기준값 이하이면,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RFID, NFC, 및 BLE 방식 중 어느 하나에 따라 감지한 위치를 이용하여 상기 피관찰자의 위치를 수정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of verifying the position of the subject person may include: checking the position of the subject person using the GPS antenna of the wearable device when the subject's heartbeat is abnormal; And modifying the location of the target user by using the position sensed by the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RFID, NFC, and BLE if the reception sensitivity of the GPS antenna is less than a reference value; . ≪ / RTI >

또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제 2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피관찰자 심박의 정상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피관찰자 심박이 비정상으로 판단되면,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피관찰자 움직임의 정상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피관찰자 움직임이 비정상으로 판단되면,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피관찰자의 위치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된 피관찰자의 위치를 미리 정해진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Determining whether the subject's heartbeat is normal using the wearable device if the second mode is selected for the wearable device; Determining whether the subject movement is normal using the wearable device if the subject's heart rate is determined to be abnormal; Checking the location of the subject person using the wearable device if the subject person's movement is determined to be abnormal; And transmitting the determined location of the eavesdropper to a predetermined terminal; . ≪ / RTI >

또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무시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비정상으로 판단된 상기 피관찰자의 심박을 정상으로 변경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Changing a heartbeat of the subject person determined to be abnormal if the ignore command is input through the wearable device; As shown in FIG.

또한, 상기 피관찰자의 심박이 비정상이고, 움직임이 정상으로 판단되면,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상기 피관찰자의 심박이 비정상일 때, 상기 피관찰자의 위치를 확인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Confirming the position of the subject when the heartbeat of the subject person is abnormal and the movement is normal and the heartbeat of the subject is abnormal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As shown in FIG.

또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제 3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접속된 기지국 위치가 정상 영역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접속된 기지국 위치가 비정상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피관찰자의 위치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된 피관찰자의 위치를 미리 정해진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Determining whether the location of the base station to which the wearable device is connected belongs to the normal area when the wearable device is selected in the third mode; Confirming the location of the target user by using the wearable devic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location of the base station to which the wearable device is connected belongs to the abnormal region; And transmitting the determined location of the eavesdropper to a predetermined terminal; As shown in FIG.

또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상기 제 1 모드 중 예외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피관찰자 움직임 및 심박 중 적어도 하나가 비정상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피관찰자의 위치를 확인하지 않는 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If the at least one of the subject movement and the heartbeat is determined to be abnormal when the exception mode of the first mode is selected in the wearable device, the step of not checking the location of the subject person is performed. As shown in FIG.

또한, 상기 피관찰자의 위치를 확인하지 않는 단계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상기 제 1 모드 중 상기 예외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피관찰자 움직임 및 심박 중 적어도 하나가 비정상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무시 명령을 입력 받는 단계; 및 상기 무시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피관찰자의 위치를 확인하지 않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of not confirming the position of the subject person may be performed by the wearable device when the at least one of the subject person's movement and the heartbeat is determined to be abnormal when the exception mode of the first mode is selected in the wearable device Receiving an instruction; And if the ignore command is input, not confirming the location of the to-be-visited person; . ≪ / RTI >

일 실시예에 따른 피관찰자 모니터링 시스템은, 피관찰자의 움직임, 및 심박을 감지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감지된 상기 피관찰자의 비정상 움직임, 및 상기 피관찰자의 비정상 심박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비정상 움직임 및 상기 비정상 심박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되는 정보 요청을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서버; 를 포함하고,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제 1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상기 피관찰자 움직임의 비정상 감지 시, 상기 피관찰자의 비정상 움직임을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수신된 비정상 움직임에 대응되는 상기 피관찰자 심박 요청을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송하고,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상기 수신된 심박 요청에 따라, 상기 피관찰자 심박의 비정상 감지 시, 상기 피관찰자의 비정상 심박을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수신된 비정상 심박에 대응되는 상기 피관찰자 위치 요청을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송하고,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상기 수신된 위치 요청에 따라, 상기 피관찰자 위치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수신된 상기 피관찰자 위치를 미리 정해진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A to-be-monitored person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wearable device for detecting a movement of a subject to be monitored and a heartbeat; And an abnormal heartbeat detected by the wearable device, and an abnormal heartbeat of the subject, and transmits an information request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of the abnormal motion and the abnormal heartbeat received to the wearable device server; Wherein when the first mode of the wearable device is selected, the wearable device transmits an abnormal movement of the subject person to the server when an abnormality of the subject person movement is detected, and the server transmits the abnormal movement Transmits a corresponding heartbeat request to the wearable device, and the wearable device transmits an abnormal heartbeat of the subject person to the server when an abnormality of the person's heartbeat is detected according to the received heartbeat request, Transmits a location request to the wearable device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abnormal heartbeat to the wearable device, and the wearable device transmits the location of the person to the server according to the received location request, The location of the person to be conceived It can be transferred to.

또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상기 피관찰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가속도 센서; 를 포함하고, 상기 가속도 센서에서 감지한 상기 피관찰자의 움직임과 미리 결정된 기준 움직임을 비교하여 상기 피관찰자 움직임의 정상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The wearable device may further include: an acceleration sensor for sensing movement of the subject to be deployed; And comparing the motion of the subject person detected by the acceleration sensor with a predetermined reference motion to determine whether the subject person is normal or not.

또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상기 피관찰자의 심박을 감지하는 심박 센서; 를 포함하고, 상기 심박 센서에서 감지한 상기 피관찰자의 심박과 미리 결정된 기준 심박을 비교하여 상기 피관찰자 심박의 정상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The wearable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heartbeat sensor for sensing a heartbeat of the subject person; And determining whether the subject's heartbeat is normal by comparing a heartbeat of the subject person detected by the heartbeat sensor with a predetermined reference heartbeat.

또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상기 피관찰자의 위치를 확인하는 GPS 안테나; 를 포함하고, 상기 GPS 안테나의 수신 감도가 기준값 이하이면, RFID, NFC, 및 BLE 방식 중 어느 하나에 따라 감지한 위치를 상기 피관찰자의 위치로서 상기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The wearable device may further comprise: a GPS antenna for confirming a position of the subject person; If the reception sensitivity of the GPS antenna is less than a reference value, the position sensed according to any one of RFID, NFC, and BLE can be transmitted to the server as the location of the to-be-visited.

또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제 2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상기 피관찰자 심박의 비정상 감지 시, 상기 피관찰자의 비정상 심박을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수신된 비정상 심박에 대응되는 상기 피관찰자 움직임 요청을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송하고,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상기 수신된 움직임 요청에 따라, 상기 피관찰자 움직임의 비정상 감지 시, 상기 피관찰자의 비정상 움직임을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수신된 비정상 움직임에 대응되는 상기 피관찰자 위치 요청을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송하고,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상기 수신된 위치 요청에 따라, 상기 피관찰자 위치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수신된 상기 피관찰자 위치를 상기 미리 정해진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When the second mode of the wearable device is selected, the wearable device transmits an abnormal heartbeat of the subject person to the server when an abnormality of the subject person's heartbeat is detected, and the server transmits the abnormal heartbeat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abnormal heartbeat Wherein the wearable device transmits to the wearable device a request for the wearer's movement, and when the wearable device detects an abnormality of the wearer's movement in accordance with the received move request, the wearer device transmits the abnormal movement of the wearer to the server, Wherein the wearable device transmits the relocation position request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abnormal movement to the wearable device and the wearable device transmits the relocation position to the server according to the received position request, The location of the person to be concealed is determined by the pre- Group may transmit.

또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무시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피관찰자 심박의 비정상 감지 시, 상기 피관찰자의 비정상 심박을 상기 서버로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The wearable device may not transmit an abnormal heartbeat of the subject person to the server when an abnormal state of the subject person's heartbeat is detected when an ignore command is input.

또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상기 피관찰자의 심박이 비정상이고, 움직임이 정상으로 판단되면,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상기 피관찰자 심박의 비정상 감지 시, 상기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상기 피관찰자의 비정상 심박을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는, 수신된 상기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의 상기 비정상 심박에 대응되는 상기 피관찰자 위치 요청을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The wearable device transmits an abnormal heartbeat of the subject person to the server during the predetermined time when the subject's heartbeat is abnormal and motion is determined to be normal for a predetermined time during the detection of the subject's heartbeat abnormality , The server may transmit to the wearable device the request for the location of the location corresponding to the abnormal heartbeat for the predetermined time that has been received.

또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제 3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접속된 기지국 위치가 정상 영역에 속하는지 판단하고, 상기 접속된 기지국 위치가 비정상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판단 시, 상기 판단 결과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는, 수신 결과에 대응되는 상기 피관찰자의 위치 요청을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송하고,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상기 수신된 위치 요청에 따라, 상기 피관찰자 위치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수신된 상기 피관찰자 위치를 상기 미리 정해진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If the third mode of the wearable device is selected, the wearable device determines whether the connected base station position belongs to the normal region, and when determining that the connected base station position belongs to the abnormal region, Wherein the wearable device transmits a position request of the to-be-traded person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result to the wearable device, the wearable device transmits the position of the to-be-traded person to the server according to the received position request, The server may transmit the received location of the to-be-visited person to the predetermined terminal.

또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상기 제 1 모드 중 예외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피관찰자 움직임 및 심박 중 적어도 하나가 비정상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비정상으로 판단된 움직임 및 심박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If the at least one of the subject movement and the heartbeat is determined to be abnormal, the wearable device transmits at least one of the abnormal motion and the heartbeat to the server when the exception mode is selected in the first mode .

또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상기 제 1 모드 중 상기 예외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피관찰자 움직임 및 심박 중 적어도 하나가 비정상으로 판단되는 경우, 무시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비정상으로 판단된 움직임 및 심박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If the wearable device determines that at least one of the subject movement and the heartbeat is abnormal when the exception mode is selected in the first mode, if the ignore command is input, at least one of the motion and the heartbeats judged to be abnormal It may not transmit one to the server.

개시된 피관찰자 모니터링 시스템 및 피관찰자 모니터링 방법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피관찰자의 움직임과 심박이 비정상으로 판단된 이후,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피관찰자의 위치 확인을 요청하므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전력 관리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disclosed customer monitoring system and the customer monitoring method, since the position of the customer is requested to the wearable device after the movement and the heartbeat of the customer are determined to be abnormal, the power management efficiency of the wearable device can be improved.

개시된 피관찰자 모니터링 시스템 및 피관찰자 모니터링 방법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한 피관찰자의 특성에 대응되는 모드를 선택함으로써, 피관찰자의 서로 다른 비정상 조건에 적응적인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disclosed customer monitoring system and the customer monitoring method, a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can be provided that adapt to different abnormal conditions of the customer by selecting a mode correspon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customer who wears the wearable device.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피관찰자 모니터링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피관찰자 모니터링 시스템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피관찰자 모니터링 시스템이 제 1 모드에서 모니터링하는 긴급 상황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에에 따른 피관찰자 모니터링 방법 중 제 1 모드에서의 모니터링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피관찰자 모니터링 시스템이 제 2 모드에서 모니터링하는 긴급 상황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에에 따른 피관찰자 모니터링 방법 중 제 2 모드에서의 모니터링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에에 따른 피관찰자 모니터링 방법 중 제 3 모드에서의 모니터링 방법의 흐름도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subject-to-subject monitoring system in accordance with one embodiment.
FIG. 2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a subject-to-wearer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ergency situation monitored by the e-Concierge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 the first mode.
4 is a flow diagram of a monitoring method in a first mode of a method of monitoring a subject in accordance with one embodiment.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ergency situation monitored by the e-Concierge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 the second mode.
FIG. 6 is a flowchart of a monitoring method in a second mode of the subject-to-subject monitoring metho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 7 is a flowchart of a monitoring method in a third mode among the subject-user monitoring method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개시된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개시된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개시된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disclosure and the arrangement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examples of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disclosed inven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at the time of filing of the disclosed application to replace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of the disclosed specification.

또한, 개시된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Moreover, the same reference numerals or symbols given in the various figures of the specification disclose components or components performing substantially the same function.

또한, 개시된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 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개시된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 하지 않는다.Also, the terms used in the specification are used to describe the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and / or to limit the disclosed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disclosure,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 when used in this specification, designate the presence of stated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또한, 개시된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개시된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Also, although the terms including ordinal such as " first ", "second ", and the like used in the disclosed specification can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It is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disclosed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The term "and / or" includes any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피관찰자(S) 모니터링 시스템 및 피관찰자(S) 모니터링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Reference will now be made in detail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examples of which are illustrat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에서 피관찰자(S)는 비정상 상태인지 여부가 모니터링 되는 모든 사람을 의미하며, 이를 위해 피관찰자(S)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를 착용하는 사람일 수 있다. 특히, 피관찰자(S)는 모니터링 될 필요가 있는 유아, 노인 등과 같은 연령 제한 또는 거동 불편자 등과 같은 조건 제한에 의해 한정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the termination person S refers to all persons who are monitored for an abnormal state, and for this purpose, the termination person S may be a person wearing the wearable device 100. In particular, the subject s (S) may be limited, but not limited, to conditional restrictions such as age restriction or mood disturbance, such as infants and the elderly who need to be monitored.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피관찰자 모니터링 시스템의 개략도이고,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피관찰자 모니터링 시스템의 제어 블록도이다.FIG. 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subject-to-subject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2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a subject-to-subject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피관찰자(S)에 의해 착용됨으로써, 피관찰자(S)와 직간접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접촉을 통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피관찰자(S)의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피관찰자(S)의 움직임과 같은 물리적 정보 및/또는 심박과 같은 생체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wearable device 100 is directly worn by a subject to be sneezed, so that the subject can directly or indirectly contact the subject. Through such contact, the wearable device 100 can sense the state of the sneaker S. For example, the wearable device 100 may sense biometric information such as physical information and / or heartbeat, such as the movement of the subject S,

서버(200)는 공지된 무선 통신의 방법 중 적어도 하나를 채택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와 통신할 수 있다. 서버(2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로부터 피관찰자(S)의 상태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태에 대응되는 요청을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로 전송할 수 있다. The server 200 may communicate with the wearable device 100 by employing at least one of the known methods of wireless communication. The server 200 can receive the state of the subject sneaker S from the wearable device 100 and transmit the request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state to the wearable device 100. [

또한, 서버(200)는 수신된 피관찰자(S)의 상태를 미리 정해진 단말기(3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기(300)란 공지된 무선 또는 유선 통신의 방법 중 적어도 하나를 채택하여 서버(200)와 통신 가능한 모든 전자 기기를 의미하고, 사무용 또는 개인용 PC 뿐만 아니라, PDA, 스마트폰, 태블릿 PC와 같은 모바일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Also, the server 200 can transmit the status of the received subject siblings S to the predetermined terminal 300. Herein, the terminal 300 means all electronic devices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server 200 by adopting at least one of the publicly known wireless or wired communication methods, and it is also possible to use not only an office or personal PC, but also a PDA, a smart phone, And may include the same mobile device.

그 결과, 피관찰자(S)의 상태를 수신한 단말기(300)의 사용자는 피관찰자(S)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그에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As a result, the user of the terminal 300 that has received the state of the slave person S can monitor the state of the slave person S and take appropriate measures therefor.

도 2를 참조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서버(200)와 통신 가능한 통신부(140); 피관찰자(S)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가속도 센서(110); 피관찰자(S)의 심박을 감지하는 심박 센서(120); 피관찰자(S)의 위치를 확인하는 GPS 안테나(130); 및 감지된 피관찰자(S)의 상태가 정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150); 를 포함할 수 있다.2, the wearable device 100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140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server 200; An acceleration sensor 110 for sensing the movement of the sneaker S; A heartbeat sensor 120 for sensing a heartbeat of a sneaker S; A GPS antenna 130 for confirming the position of the sneaker S; And a controller 150 for determining whether the detected state of the subject person S is normal or not. . ≪ / RTI >

통신부(140)는 서버(200)로부터 피관찰자(S) 상태 요청을 수신하거나, 피관찰자(S)의 상태를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통신부(140)는 3G(3Generation), 4G(4Generation) 등과 같은 통신방식을 통해 기지국을 거쳐 서버(200)와 무선 통신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무선 랜(Wireless LAN),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WFD(Wi-Fi Direct), UWB(Ultra wideband),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BLE (Bluetooth Low Energy),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과 같은 통신 방식을 통해 소정 거리 이내에서 서버(200)와 통신할 수도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40 may receive the request for the status of the subject 200 from the server 200 or may transmit the status of the subject 200 to the server 200. [ The communication unit 140 may wirelessly communicate with the server 200 via a base station through a communication method such as 3G (3G) or 4G (4 Generation), and may also include a wireless LAN, a Wi- ), Bluetooth, Zigbee, Wi-Fi Direct, Ultra Wideband, Infrared Data Association (BDA), Bluetooth Low Energy (BLE), Near Field Communication And may communicate with the server 200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through the same communication method.

GPS 안테나(130)는 위성으로부터 현재 위치 좌표를 포함하는 GPS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GPS 안테나(130)는 피관찰자(S)에 의해 착용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에 포합되므로, GPS 안테나(130)가 수신한 위치 좌표는 피관찰자(S)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 GPS antenna 130 may receive a GPS signal including the current position coordinates from the satellite. Since the GPS antenna 130 is included in the wearable device 100 worn by the subject sneaker S, the position coordinates received by the GPS antenna 130 may include information on the position of the subject S to be searched.

가속도 센서(110)는 서로 수직인 x축, y축, z축으로 구성되는 3축을 설정하고, 각각의 축에 대한 가속도를 벡터로서 감지할 수 있다. 피관찰자(S)에는 지속적으로 중력 가속도가 작용하므로, 피관찰자(S)의 자세에 따라 가속도 센서(110)가 감지하는 중력 가속도의 벡터 값이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가속도 센서(110)가 감지한 벡터 값이 급격하게 변화한다면, 가속도 센서(110)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를 착용한 피관찰자(S)의 자세가 급격히 변경되었음을 예상할 수 있다.The acceleration sensor 110 can set three axes that are orthogonal to each other in the x-axis, the y-axis, and the z-axis, and can detect the acceleration for each axis as a vector. Since the gravity acceleration is continuously applied to the sneaker S, the vector value of the gravitational acceleration sensed by the acceleration sensor 110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attitude of the sneaker S. Therefore, if the vector value sensed by the acceleration sensor 110 changes abruptly, it can be predicted that the attitude of the slave person S wearing the wearable device 100 including the acceleration sensor 110 is rapidly changed.

심박 센서(120)는 피관찰자(S)의 혈관에 광을 조사하고, 이로부터 반사되는 광을 수신하여, 이에 대응되는 전압 값을 출력할 수 있다. 혈관의 압력 변화에 따라 혈관으로부터 반사되는 광의 반사율이 달라지므로, 심박 센서(120)는 출력된 전압 값을 기초로 혈관의 압력 변화에 따른 심박을 감지할 수 있다. 만약, 심박 센서(120)가 감지한 값이 비정상적으로 크다면, 심박 센서(120)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를 착용한 피관찰자(S)의 심박이 비정상임을 예상할 수 있다.The heartbeat sensor 120 can irradiate light to the blood vessel of the subject sneaker S and receive light reflected therefrom and output a corresponding voltage value. Since the reflectance of the light reflected from the blood vessel changes according to the pressure change of the blood vessel, the heartbeat sensor 120 can sense the heartbeat according to the pressure change of the blood vessel based on the output voltage value. If the value sensed by the heart rate sensor 120 is abnormally large, it is possible to predict that the heart rate of the patient S wearing the wearable device 100 including the heart rate sensor 120 is abnormal.

제어부(150)는 가속도 센서(110)에 의해 감지된 피관찰자(S)의 자세 변화, 움직임이 정상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150)는 감지된 피관찰자(S)의 움직임과 기준 움직임을 비교할 수 있다. 여기서, 기준 움직임이란 비정상으로 판단되는 피관찰자(S) 움직임의 최소값을 의미할 수 있고, 외부의 입력 또는 내부 연산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준 움직임은 피관찰자(S)의 특성과 동일한 특성을 가지는 복수의 표본으로부터 통계적으로 획득되거나, 피관찰자(S)의 움직임을 누적하여 획득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50 can determine whether the attitude change and movement of the subject S detected by the acceleration sensor 110 are normal. To this end, the controller 150 may compare the motion of the sensed sidelber S with the reference motion. Here, the reference motion may mean the minimum value of the motion of the subject S determined to be abnormal, and may be determined by an external input or an internal calculation. For example, the reference motion can be obtained statistically from a plurality of samples having the same characteristics as the characteristics of the observer S, or can be obtained by accumulating the motions of the observer S.

또한, 제어부(150)는 심박 센서(120)에 의해 감지된 피관찰자(S)의 심박이 정상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150)는 감지된 피관찰자(S)의 심박과 기준 심박을 비교할 수 있다. 여기서, 기준 심박이란 비정상으로 판단되는 피관찰자(S) 심박의 최소값을 의미할 수 있고, 외부의 입력 또는 내부 연산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준 심박은 피관찰자(S)의 특성과 동일한 특성을 가지는 복수의 표본으로부터 통계적으로 획득되거나, 피관찰자(S)의 움직임을 누적하여 획득될 수 있다.Also, the controller 150 may determine whether the heartbeat of the subject S sensed by the heartbeat sensor 120 is normal. For this, the controller 150 may compare the heartbeat of the sensed sneeze S with the reference heartbeat. Here, the reference heartbeat may mean the minimum value of the heartbeat of the subject S determined to be abnormal, and may be determined by an external input or an internal calculation. For example, the reference heartbeat can be obtained statistically from a plurality of samples having the same characteristics as those of the subject s trainer S, or can be obtained by accumulating the motions of the subject s (S).

한편,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피관찰자(S)에 착용되어 함께 이동되므로, 자체적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구비할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에 구비되는 배터리는 1회용이거나, 충전에 의한 재사용이 가능할 뿐, 영구적 사용은 불가할 수 있다. 따라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효율적인 전력 관리가 필요하다.Meanwhile, since the wearable device 100 is worn on the wearer S and moved together, the wearable device 100 may be provided with a battery for supplying power itself. The battery provided in the wearable device 100 may be used only once or reused by charging, but may not be permanently used. Therefore, efficient power management of the wearable device 100 is required.

이를 위해, 피관찰자(S)의 특성에 따라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피관찰자(S)의 상태 감지 순서 및/또는 종류를 달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거동 불편자와 같은 피관찰자(S)의 상태적 특성 및/또는 노인, 유아와 같은 피관찰자(S)의 연령적 특성에 따라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피관찰자(S) 상태를 서로 다른 순서 및/또는 종류로 구성되는 시나리오를 채택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order and / or the type of the state detection of the wearer S of the wearable device 100 may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wearer S. Specifically, depending on the stat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 siblings such as the movement inconveniences and / or the ag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 siblings such as the elderly person and the infant, the wearable device 100 may change the state of the subject siblings in different orders and / / ≪ / RTI > or a type can be adopted.

이하에서는 피관찰자(S)의 특성에 따라 설정된 모드에 대응되는 피관찰자(S) 모니터링 시나리오에 대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와 서버(200)의 동작을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wearable device 100 and the server 2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spect to the scenario S for monitoring the attendant S corresponding to the mode set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neaker S.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에 선택 가능한 모드는 제조 시 미리 결정되거나, 제조 후 외부 입력 또는 내부 연산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모니터링이 필요한 일반인을 피관찰자(S)로 하는 제 1 모드, 심박의 모니터링이 중요시되는 노인을 피관찰자(S)로 하는 제 2 모드, 및 거동이 용이하지 않은 거동 불편자를 피관찰자(S)로 하는 제 3 모드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될 수 있다.The selectable mode of the wearable device 100 may be predetermined at the time of manufacture, or may be determined by external input or internal operation after manufacture. The wearable device 100 according to the disclosed embodiment includes a first mode in which a general person who needs to be monitored is a target observer S, a second mode in which an elderly subject to monitoring a heartbeat is an observer S, And a third mode in which the behavioral inconveniences are determined to be the observer S can be selected.

제 1 모드는 일반인을 피관찰자(S)의 긴급 상황을 모니터링 하는 모드로, 도 3, 및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The first mode is a mode for monitoring the emergency situation of the person S who is an ordinary person, an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피관찰자 모니터링 시스템이 제 1 모드에서 모니터링하는 긴급 상황을 예시하고, 도 4는 일 실시에에 따른 피관찰자 모니터링 방법 중 제 1 모드에서의 모니터링 방법의 흐름도이다.FIG. 3 illustrates an emergency situation monitored by a to-be-monitored person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and FIG.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onitoring metho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monitoring method in a first mode.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를 착용한 피관찰자(S)에게 외부의 도움이 필요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를 착용한 피관찰자(S)에게 낙상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낙상이 경미한 경우, 피관찰자(S)는 외부의 도움 없이도 스스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그러나, 낙상에 따라 피관찰자(S)가 위중한 부상을 입은 경우, 이를 외부에 알리고 도움을 요청할 필요가 있다.A situation may arise in which the wearer S wearing the wearable device 100 needs external assistance. For example, the wearer S who wears the wearable device 100 may experience a fall accident. If the fall is minor, the subject (S) can solve the problem himself without external help. However, if a victim (S) is seriously injured by a fall, it is necessary to inform the outside and ask for help.

이를 위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일반인에 대한 긴급 상황을 모니터링 하는 제 1 모드가 선택될 수 있다. 제 1 모드가 선택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가속도 센서(11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를 착용한 피관찰자(S)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700) To this end, the wearable device 100 may select a first mode for monitoring an emergency situation for a general person. When the first mode is selected, the acceleration sensor 110 of the wearable device 100 may sense the movement of the wearable device S wearing the wearable device 100. In operation 700,

그 다음,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감지된 피관찰자(S)의 움직임이 정상인지 판단할 수 있다.(710) 구체적으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50)는 감지된 움직임이 미리 정해진 기준 움직임 이상인지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기준 움직임은 피관찰자(S)와 동일 연령 및 동일 상태의 복수의 표본으로부터 획득되는 움직임 값일 수도 있고, 피관찰자(S)로부터 획득되는 누적 움직임 값일 수도 있다. 또는, 기준 움직임은 외부의 입력에 의해 결정되거나 내부 연산에 의해 결정될 수도 있다.The controller 150 of the wearable device 100 determines whether the sensed movement is a predetermined reference movement or not,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ensed movement is normal, Or more. Here, the reference motion may be a motion value obtained from a plurality of samples of the same age and same state as that of the subject s trainer S, or may be a cumulative motion value obtained from the subject s trainer S. Alternatively, the reference motion may be determined by an external input or by an internal operation.

만약, 기준 움직임이 정상이라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다시 피관찰자(S)의 움직임을 감지한다.If the reference movement is normal, the wearable device 100 senses the movement of the subject s again.

반면, 기준 움직임이 비정상이라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피관찰자(S)에게 낙상 등과 같은 긴급 상황이 발생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통신부(140)는 피관찰자(S)의 비정상 움직임을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720)On the other hand, if the reference movement is abnormal, the wearable device 100 may determine that there is a possibility that an emergency situation such as a fall has occurred to the attendant S Accordingly, the communication unit 140 of the wearable device 100 can transmit the abnormal movement of the subject slave S to the server 200. (720)

비정상 움직임을 수신한 서버(200)는 피관찰자(S)에게 낙상 등과 같은 긴급 상황이 발생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추가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2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에 피관찰자(S)의 심박을 요청할 수 있다.(730) 웨어러블 디바이스(100)가 통신부(140)를 통해 피관찰자(S) 심박 요청을 수신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심박 센서(120)는 피관찰자(S)의 심박을 감지할 수 있다.(740)The server 200 having received the abnormal motion may request the eavesdropper S for additional information to check whether an emergency such as a fall has occurred. Specifically, the server 200 may request the wearable device 100 to apply a heartbeat of the patient S to the wearable device 100. (730) When the wearable device 100 receives a request for a heartbeat of the patient S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40, The heartbeat sensor 120 of the wearable device 100 may sense the heartbeat of the sneaker S. At 740,

그 다음,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감지된 피관찰자(S)의 심박이 정상인지 판단할 수 있다.(750) 구체적으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50)는 감지된 심박이 미리 정해진 기준 심박 이상인지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기준 심박은 피관찰자(S)와 동일 연령 및 동일 상태의 복수의 표본으로부터 획득되는 심박 값일 수도 있고, 피관찰자(S)로부터 획득되는 누적 심박 값일 수도 있다. 또는, 기준 심박은 외부의 입력에 의해 결정되거나 내부 연산에 의해 결정될 수도 있다.Then, the wearable device 100 may determine whether the heartbeat of the sensed sneeze S is normal (750). Specifically, the controller 150 of the wearable device 100 determines whether the sensed heartbeat is a predetermined reference heartbeat Or more. Here, the reference heartbeat may be a heartbeat value obtained from a plurality of samples of the same age and the same state as the subject slave S, or may be a cumulative heartbeat value obtained from the subject sneeze S. Alternatively, the reference heartbeat may be determined by an external input or by an internal calculation.

만약, 피관찰자(S)의 심박이 정상이라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다시 피관찰자(S)의 움직임을 감지한다.If the heartbeat of the slave device S is normal, the wearable device 100 senses the movement of the slave device S again.

반면, 피관찰자(S)의 심박이 비정상이라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통신부(140)는 피관찰자(S)의 비정상 심박을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760) 피관찰자(S)의 비정상 움직임과 비정상 심박을 수신한 서버(200)는 피관찰자(S)가 낙상 등과 같은 긴급 상황에 처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서버(2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에 피관찰자(S)의 위치를 요청할 수 있다.(770)On the other hand, if the heartbeat of the slave person S is abnormal, the communication unit 140 of the wearable device 100 can transmit the abnormal heartbeat of the slave person S to the server 200. (760) And the server 200 receiving the abnormal heartbeat may determine that the subject slave S is in an emergency such as a fall. Accordingly, the server 200 may request the location of the subject S to the wearable device 100. In operation 770,

요청을 수신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GPS 안테나(130)를 이용하여 피관찰자(S)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780) 만약, GPS 안테나(130)의 수신 감도가 미리 정해진 기준값보다 작다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RFID, NFC, 및 BLE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채택하여 피관찰자(S)의 위치를 수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관찰자(S)가 건물 내 임의의 층에 존재하는 경우 GPS 안테나(130)의 수신 감도가 낮아져 정확한 위치 확인이 어려울 수 있고, 이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건물 내 각 층마다 마련되는 RFID 태그, NFC 태그, BLE 모듈 등으로부터 피관찰자(S)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The wearable device 100 receiving the request can detect the position of the subject S using the GPS antenna 130. If the reception sensitivity of the GPS antenna 130 is smaller than the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 The wearable device 100 may adopt at least one of the RFID, NFC, and BLE methods to modify the position of the subject S to be searched. For example, when the target slave exists in an arbitrary layer in the building, the receiving sensitivity of the GPS antenna 130 may be low and it may be difficult to accurately determine the position.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confirm the location of the sneaker S from the RFID tag, the NFC tag, the BLE module, and the like.

마지막으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가 확인한 피관찰자(S)의 위치는 서버(200)를 거쳐 미리 정해진 단말기(300)로 전송될 수 있다.(790) 여기서 미리 정해진 단말기(300)는 피관찰자(S) 모니터링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자 또는 서비스 가입자가 소지하는 단말기(300)를 의미할 수 있다. 만약, 서비스 제공자의 단말기(300)에 피관찰자(S) 위치가 전달되면, 서비스 제공자는 서비스 가입자에게 피관찰자(S) 위치를 재전달 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서비스 가입자의 단말기(300)에 피관찰자(S) 위치가 전달되면, 서비스 가입자는 직접 피관찰자(S)의 위치를 확인하고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Finally, the location of the participant S determined by the wearable device 100 may be transferred to the predetermined terminal 300 via the server 200. (790) Herein, the predetermined terminal 300 is the slave S, May refer to a terminal 300 owned by a service provider or a service subscriber providing a monitoring service. If the location of the visitor S is transmitted to the service provider's terminal 300, the service provider can relocate the location of the guest S to the service subscriber. Alternatively, when the location of the user A is transferred to the terminal 300 of the service subscriber, the service subscriber can directly confirm the location of the user A and take appropriate measures.

상술한 바와 같이, 피관찰자(S) 모니터링 시스템은 피관찰자(S)의 움직임이 비정상으로 판단될 때,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를 이용하여 피관찰자(S)의 심박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피관찰자(S) 모니터링 시스템은 피관찰자(S)의 심박도 비정상으로 판단될 때,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GPS 안테나(130)를 이용하여 피관찰자(S)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monitoring system for the sneaker S can sense the heartbeat of the sneaker S by using the wearable device 100 when the movement of the sneaker S is determined to be abnormal. Also, the monitoring system for the sneaker S can confirm the position of the sneaker S using the GPS antenna 130 of the wearable device 100 when the heartbeat of the sneaker S is determined to be abnormal.

이처럼,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피관찰자(S) 모니터링 시스템 및 피관찰자(S) 모니터링 방법은 피관찰자(S)의 어느 하나의 상태의 비정상이 감지되면, 피관찰자(S)의 다른 하나의 상태의 비정상을 감지하고, 이를 통해 피관찰자(S)가 긴급 상황으로 판단될 때, 피관찰자(S)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즉, 피관찰자(S)가 정상 상황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피관찰자(S)의 어느 하나의 상태에 대한 정상 여부 판단만을 하고, 최종적으로 긴급 상황으로 판단될 때에만 피관찰자(S)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복수의 센서를 동시 구동이 아닌 순차적으로 구동하고, 나아가 실질적으로 전력의 소비가 큰 GPS 안테나(130) 구동을 최소화 함으로써 전력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abnormality of any one of the statuses of the sneakers S is detected, the abnormality of the other status of the sneakers S is detected , So that the location of the slave person (S) can be confirme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lave person (S) is in an emergency situation. That is, in a normal state of the sneaker S, the wearable device 100 only determines whether the state of the sneaker S is normal, and only confirms the position of the sneaker S when it is finally determined to be an emergency situation . Accordingly, the wearable device 100 drives the plurality of sensors sequentially, not simultaneously, and further, the power efficiency can be improved by minimizing the driving of the GPS antenna 130 that consumes a large amount of power.

한편, 제 1 모드에서 피관찰자(S)가 운동과 같이 의사에 의한 급격한 움직임을 갖는 경우, 이를 예외 처리 할 필요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제 1 모드 중 예외 모드가 선택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first mode, when the subject sibler S has a sudden movement by a doctor like a motion, it is necessary to deal with the exception. To solve this problem, the wearable device 100 can select an exception mode in the first mode.

예외 모드가 선택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움직임 및 심박 중 적어도 하나가 비정상으로 판단되는 경우라도, 피관찰자(S)의 비정상 움직임 및/또는 비정상 심박을 서버(200)로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When the exception mode is selected, the wearable device 100 may not transmit the abnormal movement and / or abnormal heartbeat of the subject slave S to the server 200 even when at least one of the motion and the heartbeat is determined to be abnormal.

또한, 예외 모드 선택 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외부에 마련된 입력 버튼 등을 통해 무시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피관찰자(S)의 비정상 움직임 및/또는 비정상 심박을 서버(200)로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exception mode is selected, the wearable device 100 may not transmit an abnormal movement and / or an abnormal heartbeat of the subject slave S to the server 200 when an ignore command is input through an input button or the like provided outside have.

이를 통해, 의사에 의한 급격한 움직임을 피관찰자(S)의 긴급 상황의 예외로서 처리할 수 있다.As a result, sudden movement by the doctor can be handled as an exception to the emergency situation of the subject s (S).

제 2 모드는 노인과 같이 심박 관찰이 필요한 피관찰자(S)의 긴급 상황을 모니터링하는 모드로, 도 5 및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The second mode is a mode for monitoring an emergency situation of a systee S who needs a heartbeat observation like an elderly person, an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5 and 6. Fig.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피관찰자 모니터링 시스템이 제 2 모드에서 모니터링하는 긴급 상황을 예시하고, 도 6은 일 실시에에 따른 피관찰자 모니터링 방법 중 제 2 모드에서의 모니터링 방법의 흐름도이다.FIG. 5 illustrates an emergency situation monitored by the e-Concierge monitoring system in the second mod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monitoring the e-detacher in the second mode of the monitored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피관찰자(S) 모니터링 시스템은 노인과 같이 심박 관찰이 필요한 피관찰자(S)에 대한 모니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를 착용한 피관찰자(S)에게 심정지 발생 위험이 높은 경우, 피관찰자(S) 모니터링 시스템은 피관찰자(S)의 심박을 모니터링 하며 피관찰자(S)에게 긴급 상황이 발생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The systolic (S) monitoring system can monitor the systolic (S) requiring heart rate monitoring such as the elderly. For example, if the risk of a cardiac arrest is high in the wearer S wearing the wearable device 100, the monitoring system of the slave person (S) monitors the heartbeat of the slave person (S) and determines whether the slave Can be determined.

이를 위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심박 관찰이 필요한 피관찰자(S)를 모니터링 하는 제 2 모드가 선택될 수 있다. 제 2 모드가 선택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심박 센서(12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를 착용한 피관찰자(S)의 심박을 감지할 수 있다.(800)To this end, the wearable device 100 may select a second mode for monitoring the subject siblings S requiring heartbeat observation. When the second mode is selected, the heartbeat sensor 120 of the wearable device 100 may sense the heartbeat of the wearer S wearing the wearable device 100. At step 800,

그 다음,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감지된 피관찰자(S)의 심박이 정상인지 판단할 수 있다.(810) 구체적으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50)는 감지된 심박이 미리 정해진 기준 심박 이상인지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기준 심박은 피관찰자(S)와 동일 연령 및 동일 상태의 복수의 표본으로부터 획득되는 심박 값일 수도 있고, 피관찰자(S)로부터 획득되는 누적 심박 값일 수도 있다. 또는, 기준 심박은 외부의 입력에 의해 결정되거나 내부 연산에 의해 결정될 수도 있다.The controller 150 of the wearable device 100 determines whether the sensed heartbeat is a predetermined reference heartbeat or not, Or more. Here, the reference heartbeat may be a heartbeat value obtained from a plurality of samples of the same age and the same state as the subject slave S, or may be a cumulative heartbeat value obtained from the subject sneeze S. Alternatively, the reference heartbeat may be determined by an external input or by an internal calculation.

만약, 피관찰자(S)의 심박이 정상이라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다시 피관찰자(S)의 심박을 감지한다.If the heartbeat of the slave device S is normal, the wearable device 100 senses the heartbeat of the slave device S again.

반면, 피관찰자(S)의 심박이 비정상이라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피관찰자(S)에게 심정지와 같은 긴급 상황이 발생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통신부(140)는 피관찰자(S)의 비정상 심박을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820)On the other hand, if the heartbeat of the sneaker S is abnormal, the wearable device 100 may determine that there is a possibility that an emergency such as a cardiac arrest may have occurred to the sneaker S. Accordingly, the communication unit 140 of the wearable device 100 can transmit the abnormal heartbeat of the patient S to the server 200. (820)

비정상 심박을 수신한 서버(200)는 피관찰자(S)에게 심정지와 같은 긴급 상황이 발생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추가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2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에 피관찰자(S)의 움직임을 요청할 수 있다.(830) 웨어러블 디바이스(100)가 통신부(140)를 통해 피관찰자(S) 움직임 요청을 수신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가속도 센서(110)는 피관찰자(S)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840) The server 200 having received the abnormal heartbeat may request the attendant S for additional information to check whether an emergency such as a cardiac arrest has occurred. Specifically, the server 200 may request the wearable device 100 to move the wearer S (830). When the wearable device 100 receives the wearer S move request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40, The acceleration sensor 110 of the wearable device 100 may sense the movement of the subject suture S. In operation 840,

그 다음,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감지된 피관찰자(S)의 움직임이 정상인지 판단할 수 있다.(850) 구체적으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50)는 감지된 움직임이 미리 정해진 기준 움직임 이상인지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기준 움직임은 피관찰자(S)와 동일 연령 및 동일 상태의 복수의 표본으로부터 획득되는 움직임 값일 수도 있고, 피관찰자(S)로부터 획득되는 누적 움직임 값일 수도 있다. 또는, 기준 움직임은 외부의 입력에 의해 결정되거나 내부 연산에 의해 결정될 수도 있다.Then, the wearable device 100 may determine whether the sensed movement of the subject s is normal (850).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150 of the wearable device 100 determines whether the sensed movement is a predetermined reference movement Or more. Here, the reference motion may be a motion value obtained from a plurality of samples of the same age and same state as that of the subject s trainer S, or may be a cumulative motion value obtained from the subject s trainer S. Alternatively, the reference motion may be determined by an external input or by an internal operation.

만약, 피관찰자(S)의 움직임이 정상이라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다시 피관찰자(S)의 심박을 감지한다.If the movement of the slave device S is normal, the wearable device 100 senses the heartbeat of the slave device S again.

반면, 피관찰자(S)의 움직임이 비정상이라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통신부(140)는 피관찰자(S)의 움직임을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860) 피관찰자(S)의 비정상 심박과 비정상 움직임을 수신한 서버(200)는 피관찰자(S)가 심정지와 같은 긴급 상황에 처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서버(2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에 피관찰자(S)의 위치를 요청할 수 있다.(870)The communication unit 140 of the wearable device 100 can transmit the movement of the subject sswitch S to the server 200. (860) If the movement of the subject ss is abnormal, The server 200 receiving the abnormal motion can determine that the subject slave S is in an emergency such as a cardiac arrest. Accordingly, the server 200 may request the location of the subject S to the wearable device 100. [

요청을 수신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GPS 안테나(130)를 이용하여 피관찰자(S)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880) 만약, GPS 안테나(130)의 수신 감도가 미리 정해진 기준값보다 작다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RFID, NFC, 및 BLE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채택하여 피관찰자(S)의 위치를 수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관찰자(S)가 건물 내 임의의 층에 존재하는 경우 GPS 안테나(130)의 수신 감도가 낮아져 정확한 위치 확인이 어려울 수 있고, 이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건물 내 각 층마다 마련되는 RFID 태그, NFC 태그, BLE 모듈 등으로부터 피관찰자(S)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The wearable device 100 receiving the request can detect the position of the subject S using the GPS antenna 130. If the reception sensitivity of the GPS antenna 130 is smaller than the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 The wearable device 100 may adopt at least one of the RFID, NFC, and BLE methods to modify the position of the subject S to be searched. For example, when the target slave exists in an arbitrary layer in the building, the receiving sensitivity of the GPS antenna 130 may be low and it may be difficult to accurately determine the position.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confirm the location of the sneaker S from the RFID tag, the NFC tag, the BLE module, and the like.

마지막으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가 확인한 피관찰자(S)의 위치는 서버(200)를 거쳐 미리 정해진 단말기(300)로 전송될 수 있다.(890) 여기서 미리 정해진 단말기(300)는 피관찰자(S) 모니터링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자 또는 서비스 가입자가 소지하는 단말기(300)를 의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최종적으로 서비스 가입자는 피관찰자(S)가 긴급 상황임을 인지하고,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Finally, the location of the observer S determined by the wearable device 100 may be transmitted to the predetermined terminal 300 via the server 200. (890) Here, the predetermined terminal 300 is a slave S, May refer to a terminal 300 owned by a service provider or a service subscriber providing a monitoring service. As a result, the service subscriber finally recognizes that the person A is an emergency and can take appropriate measures.

이처럼,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피관찰자(S) 모니터링 시스템 및 피관찰자(S) 모니터링 방법은 피관찰자(S)의 어느 하나의 상태의 비정상이 감지되면, 피관찰자(S)의 다른 하나의 상태의 비정상을 감지하고, 이를 통해 피관찰자(S)가 긴급 상황으로 판단될 때, 피관찰자(S)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즉, 피관찰자(S)가 정상 상황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피관찰자(S)의 어느 하나의 상태에 대한 정상 여부 판단만을 하고, 최종적으로 긴급 상황으로 판단될 때에만 피관찰자(S)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복수의 센서를 동시 구동이 아닌 순차적으로 구동하고, 나아가 실질적으로 전력의 소비가 큰 GPS 안테나(130) 구동을 최소화 함으로써 전력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abnormality of any one of the statuses of the sneakers S is detected, the abnormality of the other status of the sneakers S is detected , So that the location of the slave person (S) can be confirme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lave person (S) is in an emergency situation. That is, in a normal state of the sneaker S, the wearable device 100 only determines whether the state of the sneaker S is normal, and only confirms the position of the sneaker S when it is finally determined to be an emergency situation . Accordingly, the wearable device 100 drives the plurality of sensors sequentially, not simultaneously, and further, the power efficiency can be improved by minimizing the driving of the GPS antenna 130 that consumes a large amount of power.

한편, 제 2 모드에서 피관찰자(S)의 심박이 비정상으로 판단되더라도,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에 마련된 입력 버튼 등을 통해 무시 명령이 입력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50)는 비정상으로 판단된 피관찰자(S)의 심박을 정상으로 변경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피관찰자(S)에게 일시적으로 발생한 이상 심박을 예외 처리할 수 있다.If the ignore command is input through the input button or the like provided in the wearable device 100 even if the heartbeat of the passive observer S is determined to be abnormal in the second mode, the controller 150 of the wearable device 100 determines that the heartbeat is abnormal The heartbeat of the subject conduit S can be changed to normal. Thus, an abnormal heartbeat temporarily occurred to the subject (S) can be treated as an exception.

한편, 피관찰자(S)의 자세가 고정된 상태에서 심정지가 발생한 경우라면 비정상 움직임 없이도 심정지와 같은 긴급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제 2 모드에서 피관찰자(S)의 움직임이 정상이라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피관찰자(S)의 심박을 복수 회 확인할 수 있다. 복수 회 확인된 피관찰자(S)의 심박이 비정상이라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통신부(140)는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의 피관찰자(S) 심박이 비정상임을 서버(200)에 전송할 수 있다.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의 피관찰자(S)의 비정상 심박을 수신하면, 서버(200)는 피관찰자(S)의 움직임 정상 여부와 관계없이 피관찰자(S)가 긴급 상황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서버(2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에 피관찰자(S)의 위치를 요청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f a cardiac arrest occurs in a state where the attitude of the subject S is fixed, an emergency such as a cardiac arrest may occur without an abnormal movement.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f the movement of the subject person S is normal in the second mode, the wearable device 100 can check the heartbeat of the subject person S a plurality of times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communication unit 140 of the wearable device 100 can transmit to the server 200 that the heartbeat of the subject S for the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is abnormal. Upon receiving the abnormal heartbeat of the slave S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server 200 can determine that the slave S is in an emergency regardless of whether the slave S is in motion. Accordingly, the server 200 can request the wearable device 100 to locate the subject S to be detained.

제 3 모드는 거동 불편자와 같이 정상 영역 내에 존재할 확률이 높은 피관찰자(S)의 긴급 상황을 모니터링하는 모드로,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The third mode is a mode for monitoring an emergency situation of the slave S having a high probability of being present in a normal region such as a behavior inconvenience, an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도 7은 일 실시에에 따른 피관찰자 모니터링 방법 중 제 3 모드에서의 모니터링 방법의 흐름도이다.FIG. 7 is a flowchart of a monitoring method in a third mode among the subject-user monitoring method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피관찰자(S) 모니터링 시스템은 거동 불편자와 같은 피관찰자(S)에 대한 모니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관찰자(S) 모니터링 시스템은 거동 불편자가 정상 영역을 벗어나는 것을 긴급 상황으로서 모니터링 할 수 있다.The monitoring system (S) can perform monitoring on the surveillance person (S) such as the inconvenience. For example, the surveillance (S) monitoring system can monitor an emergent from the normal region as an emergency.

이를 위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거동 불편자와 같은 피관찰자(S)를 모니터링 하는 제 3 모드가 선택될 수 있다. 제 3 모드가 선택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5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통신부(140)가 접속한 기지국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900) 또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50)는 확인된 기지국의 위치가 정상 영역에 속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910) 여기서, 정상 영역이란 피관찰자(S)가 일반적인 상황에서 위치할 것으로 예상되는 영역으로 설정될 수 있다.To this end, the wearable device 100 may select a third mode for monitoring the attendant S such as an inconvenience. The control unit 150 of the wearable device 100 can confirm the position of the base station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unit 140 of the wearable device 100. (900) The control unit 150 can determine whether the location of the identified base station belongs to the normal region. (910) Here, the normal region can be set as an area expected to be located in a general situation.

만약, 접속된 기지국의 위치가 정상 영역에 속한다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반복하여 이를 확인한다.If the location of the connected base station belongs to the normal area, the wearable device 100 repeatedly confirms this.

반면, 접속된 기지국의 위치가 정상 영역을 벗어난다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통신부(140)를 통해 접속된 기지국이 비정상 영역에 위치함을 서버(200)에 전송할 수 있다.(920) 이를 수신한 서버(200)는 피관찰자(S)에게 정상 영역을 벗어난 것과 같은 긴급 상황이 발생했다고 판단하고,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에 피관찰자(S) 위치를 요청할 수 있다.(930)If the location of the connected base station is out of the normal area, the wearable device 100 can transmit to the server 200 that the connected base station is located in the abnormal area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40. (920) One server 200 may determine that an emergency such as an out of the normal region has occurred and request the wearable device 100 for the position of the wearer S at step 930. [

요청을 수신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피관찰자(S)의 위치를 감지(940)하고, 이를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서버(200)는 피관찰자(S)의 위치를 미리 정해진 단말기(300)로 전송할 수 있다.(950)Upon receipt of the request, the wearable device 100 senses the position of the subject S and transmits the position of the subject to the server 200. The server 200 determines the position of the subject S by the predetermined terminal 300 (950). ≪ RTI ID = 0.0 >

이처럼, 피관찰자(S)가 정상 상황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피관찰자(S)의 어느 하나의 상태에 대한 정상 여부 판단만을 하고, 최종적으로 긴급 상황으로 판단될 때에만 피관찰자(S)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실질적으로 전력의 소비가 큰 GPS 안테나(130) 구동을 최소화 함으로써 전력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normal state of the sneaker S, the wearable device 100 only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state of the sneaker S is normal, and confirms the position of the sneaker S only when it is finally determined to be an emergency . In this way, the wearable device 100 can increase the power efficiency by minimizing the driving of the GPS antenna 130, which consumes a substantial amount of power.

100: 웨어러블 디바이스
110: 가속도 센서
120: 심박 센서
130: GPS 안테나
140: 통신부
150: 제어부
200: 서버
300: 단말기
S: 피관찰자
100: wearable device
110: acceleration sensor
120: heart rate sensor
130: GPS antenna
140:
150:
200: Server
300:
S: The subject

Claims (20)

피관찰자에 착용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하는 피관찰자 모니터링 방법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제 1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피관찰자 움직임의 정상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피관찰자 움직임이 비정상으로 판단되면,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피관찰자 심박의 정상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피관찰자 심박이 비정상으로 판단되면,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피관찰자의 위치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된 피관찰자의 위치를 미리 정해진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피관찰자 모니터링 방법.
A method for monitoring a wearer using wearable devices worn by a wearer,
If the first mode is selected for the wearable device,
Determining whether the subject movement is normal using the wearable device;
Determining whether the subject's heartbeat is normal using the wearable device if the subject's movement is determined to be abnormal;
Checking the position of the subject person using the wearable device if the subject person's heartbeat is determined to be abnormal; And
Transmitting the location of the detected eavesdropper to a predetermined terminal;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관찰자 움직임의 정상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피관찰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피관찰자의 움직임과 미리 결정된 기준 움직임을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피관찰자 움직임의 정상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피관찰자 모니터링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subject movement is normal includes:
Sensing a movement of the subject by using the acceleration sensor of the wearable device;
Comparing the motion of the detected subject to the predetermined reference motion; And
Determining whether the subject movement is normal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관찰자 심박의 정상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피관찰자 움직임이 비정상으로 판단되면,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심박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피관찰자의 심박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피관찰자의 심박과 미리 결정된 기준 심박을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피관찰자 심박의 정상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피관찰자 모니터링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etermining whether the subject's heartbeat is normal includes:
Detecting a heartbeat of the subject person using a heartbeat sensor of the wearable device when the subject person's motion is determined to be abnormal;
Comparing the detected heartbeat of the subject person with a predetermined reference heartbeat; And
Determining whether the subject's heartbeat is normal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관찰자의 위치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피관찰자의 심박이 비정상으로 판단되면,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GPS 안테나를 이용하여 상기 피관찰자의 위치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GPS 안테나의 수신 감도가 기준값 이하이면,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RFID, NFC, 및 BLE 방식 중 어느 하나에 따라 감지한 위치를 이용하여 상기 피관찰자의 위치를 수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피관찰자 모니터링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of confirming the location of the subject person may include:
Confirming the position of the subject by using the GPS antenna of the wearable device if the heartbeat of the subject is determined to be abnormal; And
Modifying the position of the subject by using the position sensed by the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RFID, NFC, and BLE if the reception sensitivity of the GPS antenna is less than a reference value;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제 2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피관찰자 심박의 정상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피관찰자 심박이 비정상으로 판단되면,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피관찰자 움직임의 정상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피관찰자 움직임이 비정상으로 판단되면,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피관찰자의 위치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된 피관찰자의 위치를 미리 정해진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피관찰자 모니터링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f the second mode is selected for the wearable device,
Determining whether the subject's heartbeat is normal using the wearable device;
Determining whether the subject movement is normal using the wearable device if the subject's heart rate is determined to be abnormal;
Checking the location of the subject person using the wearable device if the subject person's movement is determined to be abnormal; And
Transmitting the location of the detected eavesdropper to a predetermined terminal;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무시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비정상으로 판단된 상기 피관찰자의 심박을 정상으로 변경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피관찰자 모니터링 방법.
6. The method of claim 5,
Changing a heartbeat of the subject person determined to be abnormal if the ignore command is input through the wearable device; Further comprising the steps of: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피관찰자의 심박이 비정상이고, 움직임이 정상으로 판단되면,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상기 피관찰자의 심박이 비정상일 때, 상기 피관찰자의 위치를 확인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피관찰자 모니터링 방법.
6. The method of claim 5,
Confirming the position of the subject person when the subject's heartbeat is abnormal and the movement is normal and the heartbeat of the subject person is abnormal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Further comprising the steps of: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제 3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접속된 기지국 위치가 정상 영역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접속된 기지국 위치가 비정상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피관찰자의 위치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된 피관찰자의 위치를 미리 정해진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피관찰자 모니터링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f the third mode is selected for the wearable device,
Determining whether a base station location to which the wearable device is connected belongs to a normal area;
Confirming the location of the target user by using the wearable devic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location of the base station to which the wearable device is connected belongs to the abnormal region; And
Transmitting the location of the detected eavesdropper to a predetermined terminal; Further comprising the steps of: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상기 제 1 모드 중 예외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피관찰자 움직임 및 심박 중 적어도 하나가 비정상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피관찰자의 위치를 확인하지 않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피관찰자 모니터링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f the at least one of the subject movement and the heartbeat is determined to be abnormal when the exception mode of the first mode is selected in the wearable device, Further comprising the steps of: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피관찰자의 위치를 확인하지 않는 단계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상기 제 1 모드 중 상기 예외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피관찰자 움직임 및 심박 중 적어도 하나가 비정상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무시 명령을 입력 받는 단계; 및
상기 무시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피관찰자의 위치를 확인하지 않는 단계; 를 포함하는 피관찰자 모니터링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step of not confirming the location of the to-be-
Receiving an ignore command through the wearable device when at least one of the subject movement and the heartbeat is determined to be abnormal when the exception mode of the first mode is selected in the wearable device; And
If the ignore command is input, not confirming the location of the subject person;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피관찰자의 움직임, 및 심박을 감지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감지된 상기 피관찰자의 비정상 움직임, 및 상기 피관찰자의 비정상 심박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비정상 움직임 및 상기 비정상 심박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되는 정보 요청을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서버; 를 포함하고,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제 1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상기 피관찰자 움직임의 비정상 감지 시, 상기 피관찰자의 비정상 움직임을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수신된 비정상 움직임에 대응되는 상기 피관찰자 심박 요청을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송하고,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상기 수신된 심박 요청에 따라, 상기 피관찰자 심박의 비정상 감지 시, 상기 피관찰자의 비정상 심박을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수신된 비정상 심박에 대응되는 상기 피관찰자 위치 요청을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송하고,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상기 수신된 위치 요청에 따라, 상기 피관찰자 위치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수신된 상기 피관찰자 위치를 미리 정해진 단말기로 전송하는 피관찰자 모니터링 시스템.
A wearable device for detecting movement of a subject, and heartbeat; And
A wearer device for receiving at least one of an abnormal motion of the subject person detected by the wearable device and an abnormal heartbeat of the subject person and transmitting an information request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of the abnormal motion and the abnormal heartbeat received to the wearable device, ; Lt; / RTI >
When the first mode of the wearable device is selected,
The wearable device,
When the abnormality of the subject person's movement is detected, transmits an abnormal movement of the subject person to the server,
The server comprises:
And transmits to the wearable device a heartbeat request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abnormal movement,
The wearable device,
When the abnormality of the subject's heartbeat is detected, the abnormal heartbeat of the subject person is transmitted to the server according to the received heartbeat request,
The server comprises:
Transmits the request for location of the to-be-visited person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abnormal heartbeat to the wearable device,
The wearable device,
Transmitting the location of the person to the server according to the received location request,
The server comprises:
And transmits the received location of the to-be-visited person to a predetermined terminal.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상기 피관찰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가속도 센서; 를 포함하고,
상기 가속도 센서에서 감지한 상기 피관찰자의 움직임과 미리 결정된 기준 움직임을 비교하여 상기 피관찰자 움직임의 정상 여부를 판단하는 피관찰자 모니터링 시스템.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wearable device,
An acceleration sensor for sensing movement of the subject to be concealed; Lt; / RTI >
And determining whether the subject movement is normal by comparing a movement of the subject movement detected by the acceleration sensor with a predetermined reference movement.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상기 피관찰자의 심박을 감지하는 심박 센서; 를 포함하고,
상기 심박 센서에서 감지한 상기 피관찰자의 심박과 미리 결정된 기준 심박을 비교하여 상기 피관찰자 심박의 정상 여부를 판단하는 피관찰자 모니터링 시스템.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wearable device,
A heartbeat sensor for sensing a heartbeat of the subject person; Lt; / RTI >
And determining whether the subject's heartbeat is normal by comparing a heartbeat of the subject person detected by the heartbeat sensor with a predetermined reference heartbeat.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상기 피관찰자의 위치를 확인하는 GPS 안테나; 를 포함하고,
상기 GPS 안테나의 수신 감도가 기준값 이하이면, RFID, NFC, 및 BLE 방식 중 어느 하나에 따라 감지한 위치를 상기 피관찰자의 위치로서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피관찰자 모니터링 시스템.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wearable device,
A GPS antenna for confirming the position of the subject person; Lt; / RTI >
And transmits the detected position according to any one of RFID, NFC, and BLE to the server as the location of the to-be-visited person when the reception sensitivity of the GPS antenna is less than a reference value.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제 2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상기 피관찰자 심박의 비정상 감지 시, 상기 피관찰자의 비정상 심박을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수신된 비정상 심박에 대응되는 상기 피관찰자 움직임 요청을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송하고,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상기 수신된 움직임 요청에 따라, 상기 피관찰자 움직임의 비정상 감지 시, 상기 피관찰자의 비정상 움직임을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수신된 비정상 움직임에 대응되는 상기 피관찰자 위치 요청을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송하고,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상기 수신된 위치 요청에 따라, 상기 피관찰자 위치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수신된 상기 피관찰자 위치를 상기 미리 정해진 단말기로 전송하는 피관찰자 모니터링 시스템.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n the second mode of the wearable device is selected,
The wearable device,
When an abnormality of the subject's heartbeat is detected, transmits an abnormal heartbeat of the subject person to the server,
The server comprises:
Transmits the to-be-visited person movement request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abnormal heartbeat to the wearable device,
The wearable device,
And transmits an abnormal movement of the subject person to the server when an abnormality of the subject person movement is detected according to the received motion request,
The server comprises:
Transmits the request to the wearable device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abnormal movement, to the wearable device,
The wearable device,
Transmitting the location of the person to the server according to the received location request,
The server comprises:
And transmits the receive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o-be-detonated person to the predetermined terminal.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무시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피관찰자 심박의 비정상 감지 시, 상기 피관찰자의 비정상 심박을 상기 서버로 전송하지 않는 피관찰자 모니터링 시스템.
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wearable device,
The abnormal heartbeat of the subject person is not transmitted to the server when an abnormal state of the subject person's heartbeat is detected.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상기 피관찰자의 심박이 비정상이고, 움직임이 정상으로 판단되면,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상기 피관찰자 심박의 비정상 감지 시, 상기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상기 피관찰자의 비정상 심박을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는,
수신된 상기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의 상기 비정상 심박에 대응되는 상기 피관찰자 위치 요청을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피관찰자 모니터링 시스템.
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wearable device,
And transmitting the abnormal heartbeat of the subject person to the server during the predetermined time when an abnormality of the subject's heartbeat is detected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when the heartbeat of the subject person is abnormal and motion is determined to be normal,
The server comprises:
And transmits the request to the wearable device corresponding to the abnormal heartbeat for the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to the wearable device.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제 3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접속된 기지국 위치가 정상 영역에 속하는지 판단하고, 상기 접속된 기지국 위치가 비정상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판단 시, 상기 판단 결과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는,
수신 결과에 대응되는 상기 피관찰자의 위치 요청을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송하고,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상기 수신된 위치 요청에 따라, 상기 피관찰자 위치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수신된 상기 피관찰자 위치를 상기 미리 정해진 단말기로 전송하는 피관찰자 모니터링 시스템.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n the third mode of the wearable device is selected,
The wearable device,
Determining whether the connected base station position belongs to the normal region, and transmitting the determination result to the server when determining that the connected base station position belongs to the abnormal region,
The server comprises:
Transmits a location request of the subject person corresponding to the reception result to the wearable device,
The wearable device,
Transmitting the location of the person to the server according to the received location request,
The server comprises:
And transmits the receive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o-be-detonated person to the predetermined terminal.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상기 제 1 모드 중 예외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피관찰자 움직임 및 심박 중 적어도 하나가 비정상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비정상으로 판단된 움직임 및 심박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지 않는 피관찰자 모니터링 시스템.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wearable device,
Wherein the at least one of the abnormality-detected motion and the heartbeat is not transmitted to the server when at least one of the subject movement and the heartbeat is determined to be abnormal when the exception mode is selected in the first mode.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상기 제 1 모드 중 상기 예외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피관찰자 움직임 및 심박 중 적어도 하나가 비정상으로 판단되는 경우, 무시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비정상으로 판단된 움직임 및 심박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지 않는 피관찰자 모니터링 시스템.
20. The method of claim 19,
The wearable device,
When at least one of the subject movement and the heartbeat is determined to be abnormal when the exception mode is selected in the first mode, when the ignore command is input, at least one of the abnormal motion and heartbeat is not transmitted to the server Do not monitor the system.
KR1020160182281A 2016-12-29 2016-12-29 System for monitoring subject to be observed, and method for monitoring subject to be observed KR10192168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2281A KR101921683B1 (en) 2016-12-29 2016-12-29 System for monitoring subject to be observed, and method for monitoring subject to be observe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2281A KR101921683B1 (en) 2016-12-29 2016-12-29 System for monitoring subject to be observed, and method for monitoring subject to be observe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8385A true KR20180078385A (en) 2018-07-10
KR101921683B1 KR101921683B1 (en) 2018-11-27

Family

ID=629159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2281A KR101921683B1 (en) 2016-12-29 2016-12-29 System for monitoring subject to be observed, and method for monitoring subject to be observe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1683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5510B1 (en) * 2019-11-26 2021-04-28 주식회사 청담홀딩스 Wearable device operation method
KR20210067655A (en) * 2019-11-29 2021-06-08 정태화 Smart band to perform cardiac arrest judgment through dynamic noise and cardiac arrest management system using the same
CN113892921A (en) * 2020-07-06 2022-01-07 黄庭怀 Human body posture monitoring method and device
KR20220010866A (en) * 2020-07-20 2022-01-27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s for providing information of adverse drug reactions and devices using the sam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41902A (en) * 2004-11-24 2006-06-08 Hitachi Ltd Safety confirmation apparatus, safety confirmation method and safety confirmation system
KR20070080699A (en) * 2006-02-08 2007-08-13 주식회사 엘지텔레콤 Navigation system and method for supporting position measurement using rfid tag information
KR20090049709A (en) * 2007-11-14 2009-05-19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Apparatus for monitoring health condition, and method therefor
KR100962530B1 (en) * 2007-09-28 2010-06-1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the physiological signal
KR20150021298A (en) * 2013-08-20 2015-03-02 삼성전자주식회사 Wearable bio-signal interface and method of operation of wearable bio-signal interfac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41902A (en) * 2004-11-24 2006-06-08 Hitachi Ltd Safety confirmation apparatus, safety confirmation method and safety confirmation system
KR20070080699A (en) * 2006-02-08 2007-08-13 주식회사 엘지텔레콤 Navigation system and method for supporting position measurement using rfid tag information
KR100962530B1 (en) * 2007-09-28 2010-06-1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the physiological signal
KR20090049709A (en) * 2007-11-14 2009-05-19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Apparatus for monitoring health condition, and method therefor
KR20150021298A (en) * 2013-08-20 2015-03-02 삼성전자주식회사 Wearable bio-signal interface and method of operation of wearable bio-signal interface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6-141902호(2006.06.08.) 1부. *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5510B1 (en) * 2019-11-26 2021-04-28 주식회사 청담홀딩스 Wearable device operation method
KR20210067655A (en) * 2019-11-29 2021-06-08 정태화 Smart band to perform cardiac arrest judgment through dynamic noise and cardiac arrest management system using the same
CN113892921A (en) * 2020-07-06 2022-01-07 黄庭怀 Human body posture monitoring method and device
CN113892921B (en) * 2020-07-06 2024-05-14 黄庭怀 Human body posture monitoring method and device
KR20220010866A (en) * 2020-07-20 2022-01-27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s for providing information of adverse drug reactions and devices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1683B1 (en) 2018-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70671B2 (en) Wearable devices for sensing and communicating data associated with a user
KR101921683B1 (en) System for monitoring subject to be observed, and method for monitoring subject to be observed
US8449435B2 (en) Guiding exercise based on fat oxidation rate
US20160146848A1 (en) Subject monitor
US11510144B2 (en) Electronic systems and electronic devices
EP3266369B1 (en) Analysis of fall severity using a fall detection system and wearing apparatus
JP5885292B2 (en) Action recognition program and processing device for action recognition
WO2014182720A1 (en) Mobile personal emergency response system
US11883159B2 (en) Patient range of motion monitor
US20160147965A1 (en) Medical system
US8325032B2 (en) Miniature life-saving device
BR112020008458A2 (en) system and method for supervising a person, and system and method for activated communication between an object and a reader.
KR101764816B1 (en) The apparatus of smart wearable of auto emergency rescue signal transfer and a customizable module
US11551543B2 (en) Safety monitoring system
KR20200104759A (en) System for determining a dangerous situation and managing the safety of the user
KR20170095041A (en) A smart device system for providing fall detections and emergency sevice, and a method for fall detections
KR20160148302A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of peripheral device
KR101535596B1 (en) Smart accessory for socially vulnerable person and ordinary person
KR2020010475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a dangerous situation and managing the safety of the user
US8395512B2 (en) Signature analysis systems and methods
JP2014166196A (en) Supervision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JP6989932B2 (en) Emergency contact device and emergency contact system using this
KR20210136722A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determining type of falling accident
KR101580317B1 (en) Pose recognition apparatus using smartphone
KR20180050942A (en) Target guid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