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6512A - Touch sensing device and touch sensing system using time-varying drive signal - Google Patents

Touch sensing device and touch sensing system using time-varying drive sig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6512A
KR20180076512A KR1020160180749A KR20160180749A KR20180076512A KR 20180076512 A KR20180076512 A KR 20180076512A KR 1020160180749 A KR1020160180749 A KR 1020160180749A KR 20160180749 A KR20160180749 A KR 20160180749A KR 20180076512 A KR20180076512 A KR 201800765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ing
sensing
signal
touch
frequ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074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모하메드 가말 아흐메드 모하메드
안용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실리콘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실리콘웍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실리콘웍스
Priority to KR10201601807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76512A/en
Priority to CN201711457309.3A priority patent/CN108255335B/en
Publication of KR201800765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651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8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for error correction or compensation, e.g. based on parallax, calibration or alignment
    • G06F3/04182Filtering of noise external to the device and not generated by digitiser compon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8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for error correction or compensation, e.g. based on parallax, calibration or align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grid-like structure of electrodes in at least two directions, e.g. using row and column 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12.5D-digitiser, i.e. digitiser detecting the X/Y position of the input means, finger or stylus, also when it does not touch, but is proximate to the digitiser's interaction surface and also measures the distance of the input means within a short range in the Z direction, possibly with a separate measurement setu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4Multi-touch detection in digitiser, i.e. details about the simultaneous detection of a plurality of touching locations, e.g. multiple fingers or pen and finger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uch sensing technique.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touch sensing device can supply a driving signal whose driving waveform is changed every time interval to a driving electrode. In addition, the touch sensing device can simultaneously supply a plurality of driving signals whose driving waveforms are changed every time interval and are different in the same time interval to a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in a plurality of time intervals. Accordingly, the touch sensing device can implement multi-driving while minimizing the influence of noise.

Description

시변구동신호를 이용한 터치센싱장치 및 터치센싱시스템{TOUCH SENSING DEVICE AND TOUCH SENSING SYSTEM USING TIME-VARYING DRIVE SIGNAL}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uch sensing device and a touch sensing device using a time-varying driving signal,

본 발명은 패널에 대한 외부 오브젝트의 터치 혹은 근접을 센싱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ique for sensing touch or proximity of an external object to a panel.

터치패널에 근접하거나 터치패널을 터치하는 외부 오브젝트를 인식하는 기술을 터치센싱기술이라고 한다.A technology for recognizing an external object that approaches the touch panel or touches the touch panel is called a touch sensing technology.

터치패널은 평면상에서 표시패널과 같은 위치에 놓이게 되는데, 이에 따라, 사용자들은 표시패널의 영상을 보면서 터치패널로 사용자조작신호를 입력할 수 있게 된다.The touch panel is placed on the same plane as the display panel so that the user can input a user operation signal to the touch panel while viewing the image on the display panel.

이러한 사용자조작신호 발생방법은 그 이전의 다른 사용자조작신호 입력방식-예를 들어, 마우스 입력방식이나 키보드 입력방식-에 비해 놀라운 사용자 직관성을 제공해 준다.Such a method of generating a user operation signal provides an incredible user intuitiveness compared to other user input signal input methods before the user input, for example, a mouse input method or a keyboard input method.

이러한 장점에 따라, 표시패널을 포함하고 있는 다양한 전자장치들에 터치센싱기술이 적용되고 있다.According to this advantage, a touch sensing technique is applied to various electronic devices including a display panel.

한편, 터치센싱장치는 터치패널에 배치되는 구동전극으로 구동신호를 공급하고 센싱전극에 형성되는 반응신호를 수신하여 터치패널에 대한 외부 오브젝트의 터치 혹은 근접을 센싱할 수 있다.Meanwhile, the touch sensing device may supply a driving signal to the driving electrode disposed on the touch panel, receive a reaction signal formed on the sensing electrode, and sense or touch an external object with respect to the touch panel.

터치센싱장치는 고전압-예를 들어, 구동고전압(VDD)-과 저전압-예를 들어, 구동저전압(VSS)-을 교번하여 출력하는 방식으로 구동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이렇게 생성된 구동신호는 PWM(Pulse Width Modulation)파형을 가지고, 특정한 구동주파수를 가질 수 있다.The touch sensing apparatus can generate a driving signal in a manner of alternately outputting a high voltage (for example, a driving high voltage VDD) and a low voltage (for example, a driving low voltage VSS). The driving signal thus generated has a PWM (Pulse Width Modulation) waveform and can have a specific driving frequency.

그런데, 구동신호에 적용된 구동주파수는 경우에 따라 노이즈의 영향을 많이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주파수가 스위칭회로의 스위칭주파수와 동일한 경우, 구동신호는 스위칭 노이즈의 영향을 많이 받을 수 있다.However, the drive frequency applied to the drive signal may be influenced by noise in some cases. For example, if the driving frequency is the same as the switching frequency of the switching circuit, the driving signal may be affected by the switching noise.

이러한 노이즈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구동주파수를 적절히 선택하기 위한 많은 노력들이 있어 왔지만, 의도되지 않은 노이즈를 모두 감안하여 구동주파수를 선택하는 것은 쉽지 않았다.Although there have been many efforts to properly select the driving frequency to minimize the influence of such noise, it is not easy to select the driving frequency considering all the unintended noise.

이러한 배경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일 측면에서, 노이즈의 영향을 최소화시키는 터치센싱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In view of the foregoing,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 one aspect, to provide a touch sensing technique that minimizes the influence of noise.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노이즈 주파수와 상관없이 높은 터치감도를 가지는 터치센싱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In another aspect,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ouch sensing technique having a high touch sensitivity regardless of a noise frequency.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노이즈의 영향을 최소화하면서 멀티구동이 가능한 터치센싱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In another aspect,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ouch sensing technique capable of multi-driving while minimizing the influence of noise.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은, 복수의 시구간에서 각 시구간마다 구동파형이 변하는 구동신호를 구동전극으로 공급하는 구동부; 및 패널에 배치되고 상기 구동전극과 커플링되는 센싱전극으로부터 상기 구동신호에 대한 반응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반응신호에 따라 상기 패널에 대한 외부 오브젝트의 터치 혹은 근접을 센싱하는 센싱부를 포함하고, 상기 센싱부는 상기 각 시구간마다 생성되는 복수의 센싱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패널에 대한 상기 외부 오브젝트의 터치 혹은 근접을 센싱하는 터치센싱장치를 제공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mentioned object, in one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riving method for driving a plasma display panel, comprising: a driving unit for supplying a driving signal to a driving electrode in which a driving waveform changes every time interval in a plurality of time periods; And a sensing unit disposed on the panel and receiving a response signal for the driving signal from a sensing electrode coupled to the driving electrode and sensing a touch or proximity of an external object to the panel according to the response signal, The touch sensing device senses the touch or proximity of the external object to the panel using a plurality of sensing data generated for each of the time periods.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복수의 구동신호를 복수의 구동전극으로 동시에 공급하는 구동부; 및 패널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구동전극과 커플링되는 센싱전극으로부터 상기 복수의 구동신호에 대한 반응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반응신호에 따라 상기 패널에 대한 외부 오브젝트의 터치 혹은 근접을 센싱하는 센싱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구동신호는 복수의 시구간에서 각 시구간마다 구동파형이 변하고 동일 시구간에서 상기 구동파형이 서로 다른 터치센싱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lasma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a driving unit for simultaneously supplying a plurality of driving signals to a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And a sensing unit disposed on the panel and receiving a response signal for the plurality of driving signals from a sensing electrode coupled to the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and sensing a touch or proximity of an external object to the panel according to the response signal And the drive waveforms of the plurality of drive signals vary in each of the time periods in a plurality of time periods and the drive waveforms in the same time period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복수의 구동전극이 배치되고 상기 구동전극과 정전용량으로 커플링되는 복수의 센싱전극이 배치되는 패널; 복수의 구동신호를 일 구동전극그룹을 구성하는 N(N은 2 이상의 자연수)개의 구동전극으로 동시에 공급하는 구동부; 및 상기 센싱전극으로부터 상기 복수의 구동신호에 대한 반응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반응신호에 따라 상기 패널에 대한 외부 오브젝트의 터치 혹은 근접을 센싱하는 센싱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구동신호는 복수의 시구간에서 각 시구간마다 구동파형이 변하고 동일 시구간에서 상기 구동파형이 서로 다른 터치센싱시스템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lasma display panel comprising: a panel in which a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are disposed and a plurality of sensing electrodes are arranged to be capacitively coupled to the driving electrodes; A driving unit for simultaneously supplying a plurality of driving signals to N driving electrodes (N is a natural number of 2 or more) driving electrodes constituting one driving electrode group; And a sensing unit receiving a response signal for the plurality of driving signals from the sensing electrode and sensing a touch or proximity of an external object to the panel according to the response signal, The driving waveform is changed for each time interval, and the driving waveform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the same time period.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터치센싱에서 노이즈의 영향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노이즈 주파수와 상관없이 높은 터치감도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터치센싱에서 노이즈의 영향을 최소화하면서 멀티구동이 가능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fluence of noise in touch sensing can be minimiz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igh touch sensitivity can be maintained regardless of the noise frequenc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erform multi-drive while minimizing the influence of noise in touch sensing.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센싱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서 구동전극으로 공급되는 구동신호의 구동파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구동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다른 실시예에서 구동전극으로 공급되는 구동신호의 구동파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다른 실시예에서 복수의 구동신호의 제1시구간 및 제2시구간에서의 주파수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도 7은 다른 실시예에서 반응신호의 제1시구간 및 제2시구간에서의 주파수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센싱부의 내부 구성도이다.
도 9는 채널분석부의 제1예시 구성이다.
도 10은 채널분석부의 제2예시 구성이다.
도 11은 채널분석부의 제3예시 구성이다.
도 12는 구동신호의 구동파형에 대한 예시들이다.
도 13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센싱시스템의 구성도이다.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2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touch sens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3 is a diagram showing a driving waveform of a driving signal supplied to a driving electrode in one embodiment.
4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touch driv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5 is a diagram showing a drive waveform of a drive signal supplied to a drive electrode in another embodiment.
6 shows a frequency spectrum in a first time interval and a second time interval of a plurality of drive signals in another embodiment.
7 shows a frequency spectrum in a first time interval and a second time interval of a response signal in another embodiment.
8 is an internal configuration diagram of a sensing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9 is a first example configuration of the channel analyzing unit.
10 shows a second exemplary configuration of the channel analysis unit.
11 shows a third exemplary configuration of the channel analyzing unit.
12 shows examples of driving waveforms of driving signals.
13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touch sens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drawings,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symbols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intended to distinguish the constituent elements from other constituent elements, and the terms do not limit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nstituent elements.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an element may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구성도이다.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을 참조하면, 표시장치(100)는 표시패널(102), 터치패널(110), 데이터구동회로(120), 게이트구동회로(130) 및 터치센싱회로(140) 등을 포함할 수 있다.1, the display device 100 may include a display panel 102, a touch panel 110, a data driving circuit 120, a gate driving circuit 130, and a touch sensing circuit 140 .

표시패널(102)에는, 데이터구동회로(120)와 연결되는 복수의 데이터라인(DL)이 형성되고, 게이트구동회로(130)와 연결되는 복수의 게이트라인(GL)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표시패널(102)에는 복수의 데이터라인(DL)과 복수의 게이트라인(GL)의 교차 지점에 대응되는 다수의 화소가 정의될 수 있다. A plurality of data lines DL connected to the data driving circuit 120 are formed in the display panel 102 and a plurality of gate lines GL connected to the gate driving circuit 130 may be formed. A plurality of pixels corresponding to the intersections of the plurality of data lines DL and the plurality of gate lines GL may be defined in the display panel 102. [

이러한 각 화소에는 제1전극(예를 들어, 소스전극 또는 드레인전극)이 데이터라인(DL)과 연결되고, 게이트전극이 게이트라인(GL)과 연결되며, 제2전극(예를 들어, 드레인전극 또는 소스전극)이 표시전극과 연결되는 트랜지스터가 형성될 수 있다.In each pixel, a first electrode (for example, a source electrode or a drain electrode) is connected to the data line DL, a gate electrode is connected to the gate line GL, and a second electrode Or a source electrode) is connected to the display electrode may be formed.

표시패널(102) 상에는 터치패널(110)이 위치할 수 있고, 터치패널(110)에는, 복수의 구동전극(TXE) 및 복수의 센싱전극(RXE)이 배치될 수 있다.A touch panel 110 may be positioned on the display panel 102 and a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TXE and a plurality of sensing electrodes RXE may be disposed on the touch panel 110.

표시패널(102)과 터치패널(110)은 일부 구성요소를 서로 공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구동전극(TXE) 혹은 복수의 센싱전극(RXE)은 표시패널(102)의 일 구성(예를 들어, 공통전압을 인가하는 공통전극)일 수 있다. 표시패널(102)과 터치패널(110)의 일부 구성요소가 서로 공유되어 있다는 측면에서, 이러한 패널을 일체형 패널이라고 부르기도 한다.The display panel 102 and the touch panel 110 may share some components. For example, a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TXE or a plurality of sensing electrodes RXE may be a constitution of the display panel 102 (for example, a common electrode for applying a common voltage). Such a panel is also referred to as an integral panel in terms of the fact that the display panel 102 and some components of the touch panel 110 are shared with each other.

한편, 표시패널(102)과 터치패널(110)은 서로 분리되어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별도의 공정에 따라 형성되는 터치패널(110)이 표시패널(102) 상에 부착되는 방식으로 패널이 제작될 수 있다. 애드온(add-on)타입으로 알려진 패널이 이러한 패널의 일 예시이다.Meanwhile, the display panel 102 and the touch panel 110 may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For example, the panel may be manufactured in such a manner that a touch panel 110 formed according to a separate process is attached on the display panel 102. A panel known as an add-on type is an example of such a panel.

데이터구동회로(120)는 디지털이미지를 표시패널(102)의 각 화소에 표시하기 위해 데이터라인(DL)으로 데이터신호를 공급한다.The data driving circuit 120 supplies a data signal to a data line DL to display a digital image on each pixel of the display panel 102. [

이러한 데이터구동회로(120)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드라이버집적회로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드라이버집적회로는, 테이프 오토메이티드 본딩(TAB: Tape Automated Bonding) 방식 또는 칩 온 글래스(COG: Chip On Glass) 방식으로 표시패널(102)의 본딩 패드(Bonding Pad)에 연결되거나, 표시패널(102)에 직접 형성될 수도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 표시패널(102)에 집적화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데이터구동회로(120)는 칩 온 필름(COF: Chip On Film) 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Such a data driver circuit 120 may include at least one data driver integrated circuit which may be a tape automated bonding (TAB) or a chip on glass (COG) Or may be directly formed on the display panel 102 or may be integrated on the display panel 102 as the case may be . In addition, the data driving circuit 120 may be implemented by a chip on film (COF) method.

게이트구동회로(130)는 각 화소에 위치하는 트랜지스터를 턴온 혹은 턴오프시키기 위해 게이트라인(GL)으로 스캔신호를 순차적으로 공급한다.The gate driving circuit 130 sequentially supplies a scan signal to the gate line GL to turn on or off the transistor located in each pixel.

이러한 게이트구동회로(130)는, 구동 방식에 따라서, 도 1에서와 같이 표시패널(102)의 한 측에만 위치할 수도 있고, 2개로 나누어져 표시패널(102)의 양측에 위치할 수도 있다. 1, the gate drive circuit 130 may be located on one side of the display panel 102, or on both sides of the display panel 102 in two, depending on the driving method.

또한, 게이트구동회로(130)는, 적어도 하나의 게이트드라이버집적회로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게이트드라이버집적회로는, 테이프 오토메이티드 본딩(TAB) 방식 또는 칩 온 글래스(COG) 방식으로 표시패널(102)의 본딩 패드에 연결되거나, GIP(Gate In Panel) 타입으로 구현되어 표시패널(102)에 직접 형성될 수도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 표시패널(102)에 집적화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게이트구동회로(130)는 칩 온 필름(COF: Chip On Film) 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gate drive circuit 130 may include at least one gate driver integrated circuit, which may be a tape automated bonding (TAB) or a chip on glass (COG)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bonding pads of the display panel 102 or may be implemented in a GIP (Gate In Panel) type and formed directly on the display panel 102, and may be integrated on the display panel 102 . Also, the gate driving circuit 130 may be implemented by a chip on film (COF) method.

터치센싱회로(140)는 구동전극(TXE)으로 구동신호를 공급하고 센싱전극(RXE)으로부터 구동신호에 대한 반응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터치센싱회로(140)는 반응신호에 따라 터치패널(110)에 대한 외부 오브젝트의 터치 혹은 근접을 센싱할 수 있다.The touch sensing circuit 140 may supply a driving signal to the driving electrode TXE and a response signal to the driving signal from the sensing electrode RXE. The touch sensing circuit 140 may sense a touch or proximity of an external object to the touch panel 110 according to a reaction signal.

터치센싱회로(14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구동회로(120) 및 게이트구동회로(130)와는 별도의 구성으로서, 데이터구동회로(120) 및 게이트구동회로(130)의 외부에 있을 수도 있지만, 구현 방식에 따라서, 데이터구동회로(120) 및 게이트구동회로(13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다른 별도의 드라이버집적회로의 내부 구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는, 터치센싱회로(140)는 데이터구동회로(120) 또는 게이트구동회로(130)의 내부 구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1, the touch sensing circuit 140 includes a data driving circuit 120 and a gate driving circuit 130. The touch sensing circuit 140 is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data driving circuit 120 and the gate driving circuit 130, But may be implemented as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nother separate driver integrated circuit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data driving circuit 120 and the gate driving circuit 130 according to an implementation method. Alternatively, the touch sensing circuit 140 may be implemented as an internal structure of the data driving circuit 120 or the gate driving circuit 130.

따라서, 터치센싱회로(140)가 구동전극(TXE)으로 구동신호를 공급하는 것은, 터치센싱회로(140)를 포함하는 별도의 드라이버집적회로가 구동전극(TXE)으로 구동신호를 공급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설계 방식에 따라서는, 터치구동회로(140)를 포함하는 데이터구동회로(120) 또는 게이트구동회로(130)가 구동전극(TXE)으로 구동신호를 공급하는 것으로 볼 수도 있다.The reason why the touch sensing circuit 140 supplies the driving signal to the driving electrode TXE is that a separate driver integrated circuit including the touch sensing circuit 140 supplies the driving signal to the driving electrode TXE . Depending on the design method, the data driving circuit 120 or the gate driving circuit 130 including the touch driving circuit 140 may be regarded as supplying driving signals to the driving electrode TXE.

이러한 터치센싱회로(140)는 구현 및 설계 방식에 제한되지 않고, 본 명세서에 기재되는 그 수행 기능만 동일 또는 유사하다면, 다른 구성 그 자체일 수도 있고 다른 구성의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하는 구성일 수도 있다. The touch sensing circuit 140 is not limited to an implementation and a design scheme, and may be a different configuration itself or a configuration located inside or outside of another configuration, if the performance functions described herein are the same or similar to each other have.

또한, 도 1에서 표시장치(100)에는 하나의 터치센싱회로(140)가 위치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표시장치(100)는 둘 이상의 터치센싱회로(140)를 포함할 수도 있다. 1, one touch sensing circuit 140 is shown in the display device 100, but the display device 100 may include two or more touch sensing circuits 140. FIG.

한편, 표시장치(100)는 센싱전극(RXE)을 통해 정전용량의 변화를 감지함으로써 오브젝트의 근접 혹은 터치를 인식하는 정전식 터치방식을 채용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display device 100 may employ a capacitive touch method that recognizes the proximity or touch of an object by detecting a change in capacitance through the sensing electrode RXE.

이러한 정전식 터치방식은, 일 예로, 상호 정전용량 터치방식과 자체 정전용량 터치 방식으로 나눌 수 있다. Such an electrostatic touch method can be divided into, for example, a mutual capacitive touch method and a self-capacitance touch method.

정전식 터치방식의 한 종류인 상호 정전용량 터치방식은, 구동전극(TXE)으로 구동신호를 공급하고 구동전극(TXE)과 정전용량으로 커플링된 센싱전극(RXE)으로부터 반응신호를 수신하여 터치패널(110)에 대한 터치 혹은 근접을 센싱할 수 있다. 이러한 상호 정전용량 터치방식에서는, 손가락, 펜 등의 오브젝트의 근접 혹은 터치에 따라 센싱전극(RXE)에서 센싱되는 값이 달라지는데, 상호 정전용량 터치방식은 이러한 센싱전극(RXE)에서의 센싱값을 이용하여 터치 유무, 터치 좌표 등을 검출한다.The mutual capacitive touch method, which is one type of electrostatic touch method, receives a reaction signal from a sensing electrode RXE coupled to a driving electrode TXE and a driving electrode by a driving electrode TXE, The touch or proximity to the panel 110 can be sensed. In the reciprocal capacitive touch method, a value sensed by the sensing electrode RXE changes depending on proximity or touch of an object such as a finger or a pen. In the mutual capacitive touch scheme, the sensing value of the sensing electrode RXE is used Touch detection, touch coordinates, and the like.

정전식 터치방식의 다른 한 종류인 자체 정전용량 터치방식은, 구동전극(TXE)으로 구동신호를 공급한 후 다시 해당 구동전극(TXE)을 센싱한다. 자체 정전용량 터치방식에서는, 구동전극(TXE)과 센싱전극(RXE)이 구분되지 않는다. 이러한 자체 정전용량 터치방식에서는, 손가락, 펜 등의 오브젝트의 근접 혹은 터치에 따라 해당 구동전극(TXE)에서 센싱되는 값이 달라지는데, 자체 정전용량 터치방식은 이러한 센싱값을 이용하여 터치 유무, 터치 좌표 등을 검출한다.The electrostatic capacitive touch method, which is another type of the electrostatic touch method, supplies a driving signal to the driving electrode TXE and then senses the driving electrode TXE again. In the self-capacitance touch method, the driving electrode TXE and the sensing electrode RXE are not distinguished. In the self-capacitance touch method, a value sensed by the driving electrode TXE varies depending on the proximity or touch of an object such as a finger or a pen. In the self-capacitance touch method, .

표시장치(100)는, 전술한 2가지의 정전식 터치방식(상호 정전용량 터치방식, 자체 정전용량 터치방식) 중 하나를 채용할 수 있다. 다만,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호 정전용량 터치방식이 채용된 것으로 가정하여 실시예를 설명한다.The display device 100 can adopt one of the two capacitive touch methods (mutual capacitive touch method, self-capacitance touch method)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mutual capacitive touch method is adopted.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센싱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일 실시예에서 구동전극으로 공급되는 구동신호의 구동파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2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touch sens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3 is a diagram showing a driving waveform of a driving signal supplied to a driving electrode in an embodiment.

도 2를 참조하면, 터치센싱시스템(200)은 터치패널(110) 및 터치센싱회로(14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touch sensing system 200 may include a touch panel 110 and a touch sensing circuit 140.

터치패널(110)에는 복수의 구동전극(TXE)이 배치되고, 구동전극(TXE)과 커플링되는 센싱전극(RXE)이 배치될 수 있다.A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TXE may be disposed on the touch panel 110 and a sensing electrode RXE coupled to the driving electrode TXE may be disposed.

터치센싱회로(140)는 구동부(210) 및 센싱부(220)를 포함하고, 구동부(210)와 센싱부(220)를 제어하는 제어부(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touch sensing circuit 140 may further include a driving unit 210 and a sensing unit 220 and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ler 230 for controlling the driving unit 210 and the sensing unit 220.

구동부(210)는 구동신호(STX)를 구동전극(TXE)으로 공급할 수 있다.The driving unit 210 can supply the driving signal STX to the driving electrode TXE.

도 3을 참조하면, 구동신호(STX)는 복수의 시구간(T1 ~ T5)에서 각 시구간마다 구동파형(310 ~ 350)이 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신호(STX)는 제1시구간(T1)에서 제1구동파형(310)을 가지고, 연속되는 제2시구간(T2)에서는 제1구동파형(310)과 다른 제2구동파형(320)을 가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drive waveforms 310 to 350 can be varied in each of the time periods in the plurality of time periods T1 to T5 in the drive signal STX. For example, the driving signal STX has the first driving waveform 310 in the first time period T1 and the second driving waveform 310 in the second continuous time period T2, And may have a waveform 320.

한 지점에 대해 센싱하는 시간을 터치센싱시간(T)이라고 할 수 있다. 터치센싱회로(140)는 복수의 지점에 대해 순차적으로 터치센싱시간(T)을 할당하면서 터치패널(110)의 전체 지점을 센싱할 수 있다. 한 지점에 대한 터치센싱시간(T)은 프레임시간단위로 반복해서 할당될 수 있다.The sensing time for one point may be referred to as the touch sensing time (T). The touch sensing circuit 140 may sense the entire point of the touch panel 110 while sequentially assigning the touch sensing time T to a plurality of points. The touch sensing time T for one point can be repeatedly assigned in units of frame time.

터치센싱시간(T)은 복수의 시구간(T1 ~ T5)으로 구분되고, 전체 시구간(T1 ~ T5)에서 각 구동파형(310 ~ 350)은 서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시구간(T1)의 제1구동파형(310), 제2시구간(T2)의 제2구동파형(320), 제3시구간(T3)의 제3구동파형(330), 제4시구간(T4)의 제4구동파형(340) 및 제5시구간(T5)의 제5구동파형(350)은 모두 서로 다를 수 있다.The touch sensing time T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time periods T1 to T5 and the respective driving waveforms 310 to 350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the entire time period T1 to T5. For example, the first drive waveform 310 of the first time interval T1, the second drive waveform 320 of the second time interval T2, the third drive waveform 330 of the third time interval T3 The fourth drive waveform 340 of the fourth time period T4 and the fifth drive waveform 350 of the fifth time period T5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각 시구간마다 구동파형의 구동주파수가 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시구간(T1)에서 제1구동파형(310)의 구동주파수와, 제1시구간(T1)과 연속되는 제2시구간(T2)에서 제2구동파형(320)의 구동주파수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전체 시구간(T1 ~ T5)에서 구동주파수가 상이할 수 있다. The drive frequency of the drive waveform may vary from one time period to another. For example, the driving frequency of the first driving waveform 310 in the first time interval T1 and the driving frequency of the second driving waveform 320 in the second time interval T2 continuous with the first time interval T1 The driving frequencies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driving frequencies may be different in all the time periods T1 to T5.

이렇게 복수의 시구간(T1 ~ T5)에서 각 시구간마다 구동파형이 변하는 구동신호(STX)를 이용하여 구동전극(TXE)을 구동하게 되면, 서로 다른 복수의 조건으로 터치를 센싱하는 것과 같은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예를 들어, 5개의 시구간(T1 ~ T5)에서 5개의 구동주파수를 가지는 구동신호(STX)로 구동전극(TXE)을 구동하게 되면, 서로 다른 5개의 구동주파수로 터치를 센싱하는 것과 같은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이렇게 되면, 일부 구동주파수가 노이즈에 취약하더라도 나머지 구동주파수에 대응되는 구동파형을 가지고 터치를 정확하게 센싱할 수 있게 된다.If the drive electrode TXE is driven by using the drive signal STX whose drive waveform is changed for each time period in the plurality of time periods T1 to T5 in this way, . For example, when the driving electrode TXE is driven by the driving signal STX having five driving frequencies in five time periods T1 to T5, the same effect as sensing the touch at five different driving frequencies . In this case, even if some driving frequencies are susceptible to noise, the touch can be precisely sensed with a driving waveform corresponding to the remaining driving frequency.

한편, 센싱부(220)는 구동신호(STX)에 대한 반응신호(SRX)를 센싱전극(RXE)으로부터 수신하고 반응신호(SRX)에 따라 터치패널(110)에 대한 오브젝트(10)의 터치 혹은 근접을 센싱할 수 있다.The sensing unit 220 receives the response signal SRX for the driving signal STX from the sensing electrode RXE and controls the touching of the object 10 with respect to the touch panel 110 You can sense proximity.

센싱부(220)는 각 시구간마다 센싱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센싱데이터는 반응신호가 복조되어 생성되는 센싱값을 포함할 수 있다. 센싱값은, 예를 들어, 반응신호의 전류 혹은 전압의 시적분값일 수 있다. 혹은 센싱값은, 예를 들어, 반응신호의 주파수성분크기(진폭) 혹은 그 주파수성분크기에 따라 결정되는 계산값일 수 있다. 센싱값은 터치패널(110)에 대한 오브젝트(10)의 터치 유무를 판단하거나 터치 좌표를 생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값의 크기가 기준값보다 크거나 작으면 오브젝트(10)에 의한 터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The sensing unit 220 may generate sensing data for each time period. The sensing data may include a sensing value generated by demodulating the response signal. The sensing value may be, for example, a temporal value of the current or voltage of the reaction signal. Alternatively, the sensing value may be, for example, a calculation valu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frequency component magnitude (amplitude) of the response signal or the frequency component magnitude thereof. The sensing value may be used to determine whether the object 10 touches the touch panel 110 or to generate touch coordinates. For example, if the magnitude of the sensing value is greater than or less than the reference value,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touch by the object 10 has occurred.

센싱부(220)는 각 시구간에서 구동파형에 따라 서로 다르게 반응신호(SRX)를 복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신호(STX)에서 시구간마다 구동주파수가 변하는 경우, 센싱부(220)는 각 시구간에 해당되는 구동주파수를 가지는 복조신호를 생성하고, 이러한 복조신호를 반응신호(STX)에 적용하여 반응신호(SRX)를 복조할 수 있다. 센싱부(220)는 서로 위상이 동기화된 복조신호와 반응신호(SRX)가 신호적으로 곱해지도록 처리하여 반응신호(SRX)를 복조할 수 있다.The sensing unit 220 can demodulate the response signal SRX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driving waveform in each time period. For example, when the driving frequency is changed every time interval in the driving signal STX, the sensing unit 220 generates a demodulation signal having a corresponding driving frequency between the time periods, and outputs the demodulation signal to the reaction signal STX Can be applied to demodulate the reaction signal (SRX). The sensing unit 220 can demodulate the response signal SRX by processing the demodulated signal whose phases are synchronized with each other and the response signal SRX so as to be signal-multiplied.

한편, 센싱부(220)는 각 시구간마다 센싱데이터를 생성하고, 각 시구간마다 생성되는 복수의 센싱데이터를 종합적으로 이용하여 터치패널(110)에 대한 오브젝트(10)의 터치 혹은 근접을 센싱할 수 있다.Meanwhile, the sensing unit 220 generates sensing data for each time interval, and senses touch or proximity of the object 10 with respect to the touch panel 110 using a plurality of sensing data generated for each time period, can do.

센싱부(220)는 복수의 센싱데이터를 통계적으로 처리하여 터치패널(110)에 대한 오브젝트(10)의 터치 혹은 근접을 센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220)는 복수의 센싱데이터에 포함된 복수의 센싱값을 평균하여 터치센싱구간(T)에 대한 최종 센싱값으로 결정하고 최종 센싱값을 이용하여 터치 혹은 근접을 센싱할 수 있다. 센싱부(220)는 복수의 센싱값의 중간값을 터치센싱구간(T)에 대한 최종 센싱값으로 결정할 수도 있다. 혹은 센싱부(220)는 복수의 센싱값 중 최대값 및 최소값을 제외한 나머지 센싱값들을 평균하여 터치센싱구간(T)에 대한 최종 센싱값으로 결정할 수 있다.The sensing unit 220 may statistically process a plurality of sensing data to sense touch or proximity of the object 10 with respect to the touch panel 110. For example, the sensing unit 220 averages a plurality of sensing values included in a plurality of sensing data to determine a final sensing value for the touch sensing interval T, and senses touch or proximity using the final sensing value . The sensing unit 220 may determine the intermediate value of the plurality of sensing values as the final sensing value for the touch sensing period T. [ Alternatively, the sensing unit 220 may average the remaining sensing values except for the maximum and minimum values among the plurality of sensing values to determine the final sensing value for the touch sensing period T.

한편, 터치센싱회로(140)는 구동신호(STX)를 복수의 구동전극으로 동시에 공급하여 멀티드라이빙을 구현할 수도 있다.Meanwhile, the touch sensing circuit 140 may simultaneously drive the driving signal STX to a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to implement multi-driving.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구동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4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touch driv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도 4를 참조하면, 구동부(210)는 복수의 구동신호(STX1 ~ STX5)를 복수의 구동전극(TXE1 ~ TXE5)으로 동시에 공급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driving unit 210 may simultaneously supply the plurality of driving signals STX1 to STX5 to the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TXE1 to TXE5.

그리고, 센싱부(220)는 센싱전극(RXE)으로부터 복수의 구동신호(STX1 ~ STX5)에 대한 반응신호(SRX)를 수신하고, 반응신호(SRX)에 따라 터치패널(110)에 대한 오브젝트(10)의 터치 혹은 근접을 센싱할 수 있다.The sensing unit 220 receives the response signals SRX for the plurality of driving signals STX1 to STX5 from the sensing electrode RXE and outputs the objects SRX to the touch panel 110 10) can be sensed.

도 5는 다른 실시예에서 구동전극으로 공급되는 구동신호의 구동파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5 is a diagram showing a drive waveform of a drive signal supplied to a drive electrode in another embodiment.

도 5를 참조하면, 복수의 구동신호(STX1 ~ STX5)는 복수의 시구간(T1 ~ T5)에서 각 시구간마다 구동파형이 변하고 동일 시구간에서 구동파형이 서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구동신호(STX1)는 복수의 시구간(T1 ~ T5)에서 각 시구간마다 구동파형이 변한다. 구체적으로, 제1구동신호(STX1)는 복수의 시구간(T1 ~ T5)에서 각 시구간마다 구동주파수가 변한다. 그리고, 제1시구간(T1)에서, 복수의 구동신호(STX1 ~ STX5)는 구동파형이 서로 다르다. 구체적으로, 제1시구간(T1)에서, 복수의 구동신호(STX1 ~ STX5)는 구동주파수가 서로 다르다.Referring to FIG. 5, the driving waveforms of the plurality of driving signals STX1 to STX5 may be varied in each of the time periods T1 to T5, and the driving waveforms may be different in the same time period. For example, the driving waveform of the first driving signal STX1 varies in each of the time periods T1 to T5 for each time period. Specifically, the driving frequency of the first driving signal STX1 varies in each of the time periods T1 to T5. In the first time period T1, the drive waveforms of the plurality of drive signals STX1 to STX5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Specifically, in the first time period T1, the driving frequencies of the plurality of driving signals STX1 to STX5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도 6은 다른 실시예에서 복수의 구동신호의 제1시구간 및 제2시구간에서의 주파수 스펙트럼을 나타낸다.6 shows a frequency spectrum in a first time interval and a second time interval of a plurality of drive signals in another embodiment.

도 6을 참조하면, 제1시구간(T1) 및 제2시구간(T2)에서, 복수의 구동신호(STX1 ~ STX5)는 서로 다른 구동주파수(f1 ~ f5)를 가진다.Referring to FIG. 6, in the first time period T1 and the second time period T2, the plurality of drive signals STX1 to STX5 have different drive frequencies f1 to f5.

그리고, 제1시구간(T1)에서 제2시구간(T2)으로 변할 때, 각각의 구동신호(STX1 ~ STX5)는 구동주파수가 변한다. 예를 들어, 제1구동신호(STX1)는 제1구동주파수(f1)에서 제2구동주파수(f2)로 구동주파수가 변한다.Then, when the first time interval T1 changes to the second time interval T2, the drive frequencies of the respective drive signals STX1 to STX5 change. For example, the driving frequency of the first driving signal STX1 changes from the first driving frequency f1 to the second driving frequency f2.

시구간마다 구동파형이 변하기 때문에, 터치센싱시스템은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같이 노이즈의 영향을 최소화하면서 터치를 센싱할 수 있다.Since the driving waveform changes every time interval, the touch sensing system can sense the touch while minimizing the influence of the noise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Fig.

한편, 터치센싱시스템은 동일 시구간에서 복수의 구동신호(STX1 ~ STX5)가 서로 다른 구동주파수(f1 ~ f5)를 가지도록 함으로써 멀티드라이빙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센싱시스템은 동시에 다수의 구동전극으로 구동신호를 공급하여 다수의 지점에 대한 오브젝트의 터치 혹은 근접을 센싱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touch sensing system can enable multi-driving by having the plurality of driving signals STX1 to STX5 have different driving frequencies f1 to f5 in the same time period. For example, the touch sensing system may simultaneously provide driving signals to a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to sense touch or proximity of objects to a plurality of points.

복수의 구동신호(STX1 ~ STX5)가 복수의 구동전극으로 동시에 공급되기 때문에 복수의 구동전극과 커플링된 센싱전극에는 복수의 구동신호(STX1 ~ STX5)가 모두 영향을 미치게 된다. 그런데, 복수의 구동신호(STX1 ~ STX5)는 서로 다른 구동주파수(f1 ~ f5)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반응신호에 대한 주파수성분을 분석하여 각각의 구동신호(STX1 ~ STX5)에 대한 채널반응신호를 구분할 수 있다.Since the plurality of drive signals STX1 to STX5 are simultaneously supplied to the plurality of drive electrodes, the plurality of drive signals STX1 to STX5 are all affected by the sensing electrodes coupled to the plurality of drive electrodes. Since the plurality of drive signals STX1 to STX5 have different drive frequencies f1 to f5, the frequency components of the response signals are analyzed to distinguish the channel response signals for the respective drive signals STX1 to STX5 .

도 7은 다른 실시예에서 반응신호의 제1시구간 및 제2시구간에서의 주파수 스펙트럼을 나타낸다.7 shows a frequency spectrum in a first time interval and a second time interval of a response signal in another embodiment.

반응신호를 주파수분석하면, 도 7과 같이 각 구동주파수(f1 ~ f5)에 대응되는 성분의 크기가 파악된다. 예를 들어, 제1시구간(T1)에서 제1구동주파수(f1)에 대한 성분의 크기가 작고, 나머지 구동주파수(f2, f3, f4, f5)에 대한 성분의 크기는 크다.When the frequency of the reaction signal is analyzed, the magnitudes of the components corresponding to the respective driving frequencies f1 to f5 are grasped as shown in Fig. For example, the magnitude of the component for the first driving frequency f1 in the first time interval T1 is small and the magnitude of the component for the remaining driving frequencies f2, f3, f4 and f5 is large.

오브젝트에 의한 터치 혹은 근접이 발생하면 성분의 크기가 작아지는데, 도 7을 참조하면, 제1시구간(T1)에서는 제1구동주파수(f1)를 가지는 구동신호가 공급되는 구동전극과 센싱전극의 교점 부근에서 오브젝트의 터치 혹은 근접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다.Referring to FIG. 7, in the first time period T1, a driving signal supplied with a driving signal having a first driving frequency f1 and a sensing electrode It is determined that a touch or proximity of the object has occurred in the vicinity of the intersection.

도 6 및 도 7을 함께 참조하면, 제1시구간(T1)에서 제1구동신호(STX1)는 제1구동주파수(f1)를 가지고 있었는데, 이에 따라, 제1구동신호(STX1)가 공급된 구동전극과 센싱전극의 교점 부근에서 오브젝트의 터치 혹은 근접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다.6 and 7 together, in the first time period T1, the first drive signal STX1 has the first drive frequency f1, and accordingly, the first drive signal STX1 is supplied It is determined that a touch or proximity of an object occurs near the intersection of the driving electrode and the sensing electrode.

제2시구간(T2)에서는 제2구동주파수(f2)에 대한 성분의 크기가 작다. 제2시구간(T2)에서 제1구동신호(STX1)는 제2구동주파수(f2)를 가지고 있었는데, 이에 따라, 제1구동신호(STX1)가 공급된 구동전극과 센싱전극의 교점 부근에서 오브젝트의 터치 혹은 근접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다.In the second time interval T2, the magnitude of the component with respect to the second driving frequency f2 is small. The first driving signal STX1 has the second driving frequency f2 in the second time period T2 so that the first driving signal STX1 has the second driving frequency f2 in the vicinity of the intersection of the driving electrode supplied with the first driving signal STX1 and the sensing electrode, It is judged that the touch or proximity of the touch point has occurred.

이렇게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센싱시스템에서는 동일 시구간에서 복구의 구동신호의 구동파형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멀티드라이빙이 가능하게 된다.In the touch sens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riving waveforms of driving signals for restoration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the same time period, so that multi-driving is possible.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센싱부의 내부 구성도이다.8 is an internal configuration diagram of a sensing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도 8을 참조하면, 센싱부(220)는 전단부(810), 채널분석부(820) 및 데이터생성부(830) 등을 포함할 수 있다.8, the sensing unit 220 may include a front end unit 810, a channel analysis unit 820, a data generation unit 830, and the like.

전단부(810)에는 증폭기(미도시)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전단부(810)는 증폭기(미도시)를 이용하여, 센싱전극(RXE)에서 수신되는 반응신호(SRX)를 증폭시킬 수 있다.An amplifier (not shown) may be included in the front end portion 810. The front end portion 810 can amplify the reaction signal SRX received by the sensing electrode RXE using an amplifier (not shown).

전단부(810)에서 전처리된 반응신호(SRX')는 채널분석부(820)로 전달될 수 있다. 그리고, 채널분석부(820)는 전처리된 반응신호(SRX')로부터 각 구동신호에 대응되는 복수의 채널반응신호를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N개의 구동신호가 동시에 공급되는 경우, 채널분석부(820)는 전처리된 반응신호(SRX')로부터 N개의 채널반응신호를 추출할 수 있다. 채널반응신호는 예를 들어,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반응신호에 대한 주파수 스펙트럼에서 각 구동주파수에 해당되는 주파수성분신호일 수 있다.The reaction signal SRX 'preprocessed at the front end 810 can be transmitted to the channel analyzer 820. The channel analyzing unit 820 can extract a plurality of channel response signals corresponding to the respective driving signals from the preprocessed reaction signal SRX '. For example, when N driving signals are simultaneously supplied, the channel analyzing unit 820 can extract N channel response signals from the preprocessed response signal SRX '. The channel response signal may be, for example, a frequency component signal corresponding to each driving frequency in the frequency spectrum for the response signal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채널분석부(820)는 복수의 채널반응신호를 복조하여 복수의 채널센싱데이터(CH_DATA)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데이터생성부(830)는 복수의 채널센싱데이터(CH_DATA)를 이용하여 터치패널 상의 복수의 지점에 대해 오브젝트의 터치 혹은 근접을 센싱할 수 있다.The channel analyzing unit 820 can generate a plurality of channel sensing data CH_DATA by demodulating the plurality of channel response signals. The data generating unit 830 may sense a touch or an object proximity to a plurality of points on the touch panel using a plurality of channel sensing data CH_DATA.

한편, 채널분석부(820)는 하드웨어적인 방법으로 혹은 소프트웨어적인 방법으로 채널반응신호 혹은 채널센싱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Meanwhile, the channel analyzing unit 820 can generate channel response signals or channel sensing data in a hardware or software manner.

도 9 내지 도 11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채널분석부에 적용될 수 있는 예시 구성들이다.9 to 11 are exemplary configurations that can be applied to the channel analyzing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도 9는 채널분석부의 제1예시 구성이다.9 is a first example configuration of the channel analyzing unit.

도 9를 참조하면, 채널분석부(820a)는 아날로그디지털컨버터(910), 버퍼(920), 믹서(930), 복조신호생성기(940), 필터(950) 및 채널데이터생성기(960) 등을 포함할 수 있다.9, the channel analyzing unit 820a includes an analog digital converter 910, a buffer 920, a mixer 930, a demodulation signal generator 940, a filter 950, and a channel data generator 960, .

아날로그디지털컨버터(910)는 전처리된 반응신호(SRX')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여 버퍼(920)에 저장할 수 있다.The analog-to-digital converter 910 may convert the pre-processed response signal SRX 'into a digital signal and store it in the buffer 920.

그리고, 버퍼(920)에 저장된 반응신호(DSRX')는 믹서(930)에 의해 채널별 복조신호(CH_DEM)와 곱해지면서 채널반응신호(CH_SRX)로 변환된다.The mixer 930 multiplies the response signal DSRX 'stored in the buffer 920 by the channel-dependent demodulation signal CH_DEM to convert the response signal DSRX' into a channel response signal CH_SRX.

각 구동전극으로 공급되는 구동신호가 서로 다른 구동주파수를 가지고 있는 경우, 각 구동신호에 적용된 구동주파수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주파수를 가지는 복조신호(CH_DEM)를 반응신호에 적용시키는 방법으로 채널반응신호(CH_SRX)가 추출될 수 있다.When the driving signals supplied to the driving electrodes have different driving frequencies, the demodulation signal CH_DEM having the same or similar frequency as the driving frequency applied to each driving signal is applied to the reaction signal, Can be extracted.

복조신호생성기(940)는 각 채널별-여기서, 채널은 구동전극과 같은 것으로 이해될 수 있음-로 서로 다른 구동주파수에 따른 복조신호(CH_DEM)를 생성할 수 있다. 복조신호생성기(940)는 미리 설정된 값에 따라 각 채널별로 복조신호(CH_DEM)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복조신호생성기(940)는 구동부(210)로부터 구동신호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채널별 구동주파수 정보(F_DATA)-를 수신하고, 이러한 정보를 이용하여 각 채널별로 복조신호(CH_DEM)를 생성할 수 있다.The demodulation signal generator 940 may generate a demodulation signal CH_DEM according to different driving frequencies for each channel, where the channel can be understood as a driving electrode. The demodulation signal generator 940 may generate a demodulation signal CH_DEM for each channel according to a preset value. The demodulation signal generator 940 receives information on the driving signal (e.g., driving frequency information F_DATA) for each channel from the driving unit 210 and demodulates the demodulated signal CH_DEM for each channel using the information. Lt; / RTI >

채널반응신호(CH_SRX)는 필터(950)-예를 들어, 로우패스필터-를 거치면서 노이즈가 제거될 수 있다.The channel response signal CH_SRX can be removed noise through a filter 950 - for example, a low pass filter -.

그리고, 채널데이터생성기(960)는 노이즈가 제거된 채널반응신호(CH_SRX)를 이용하여 채널센싱데이터(CH_DATA)를 생성할 수 있다. 채널센싱데이터(CH_DATA)는 예를 들어, 채널반응신호(CH_SRX)의 크기이거나 채널반응신호(CH_SRX)를 일정한 시간 동안 적분한 값일 수 있다.The channel data generator 960 may generate the channel sensing data CH_DATA using the noise canceled channel response signal CH_SRX. The channel sensing data CH_DATA may be, for example, a magnitude of the channel response signal CH_SRX or a value obtained by integrating the channel response signal CH_SRX for a predetermined time.

구동신호는 시구간마다 구동파형이 변하기 때문에, 채널분석부(820a)는 각 시구간마다, 그리고, 각 채널별로 채널센싱데이터(CH_DATA)를 생성할 수 있다.Since the driving waveform of the driving signal changes every time interval, the channel analyzing unit 820a can generate the channel sensing data CH_DATA for each time period and for each channel.

도 10은 채널분석부의 제2예시 구성이다.10 shows a second exemplary configuration of the channel analysis unit.

도 10을 참조하면, 채널분석부(820b)는 믹서(1010), 복조신호생성기(1020), 필터(1030), 아날로그디지털컨버터(1040) 및 채널데이터생성기(1050) 등을 포함할 수 있다.10, the channel analyzing unit 820b may include a mixer 1010, a demodulation signal generator 1020, a filter 1030, an analog-to-digital converter 1040, and a channel data generator 1050.

전처리된 반응신호(SRX')는 각 채널별로 구비된 복수의 믹서(1010)에서 각 채널에 대응되어 생성된 복조신호(CH_DEM1 ~ CH_DEM5)와 결합되면서 복수의 채널반응신호(CH_SRX1 ~ CH_SRX5)로 변환된다.The preprocessed response signal SRX 'is converted into a plurality of channel response signals CH_SRX1 to CH_SRX5 while being combined with the demodulated signals CH_DEM1 to CH_DEM5 generated corresponding to the respective channels in the plurality of mixers 1010 provided for respective channels. do.

그리고, 채널반응신호(CH_SRX1 ~ CH_SRX5)는 필터(1030)를 거치면서 노이즈가 제거되고, 아날로그디지털컨버터(1040)에서 디지털신호로 변환된다. 그리고, 채널데이터생성기(1050)는 디지털신호로 변환된 채널반응신호를 이용하여 채널센싱데이터(CH_DATA)를 생성한다. 채널센싱데이터(CH_DATA)는 예를 들어, 채널반응신호(CH_SRX)의 크기이거나 채널반응신호(CH_SRX)를 일정한 시간 동안 적분한 값일 수 있다.Then, the channel response signals CH_SRX1 to CH_SRX5 are removed through the filter 1030 and converted into digital signals by the analog-to-digital converter 1040. The channel data generator 1050 generates channel sensing data CH_DATA using the channel response signal converted into a digital signal. The channel sensing data CH_DATA may be, for example, a magnitude of the channel response signal CH_SRX or a value obtained by integrating the channel response signal CH_SRX for a predetermined time.

구동신호는 시구간마다 구동파형이 변하기 때문에, 채널분석부(820b)는 각 시구간마다, 그리고, 각 채널별로 채널센싱데이터(CH_DATA)를 생성할 수 있다.Since the driving waveform of the driving signal changes every time interval, the channel analyzing unit 820b can generate the channel sensing data CH_DATA for each time period and for each channel.

도 11은 채널분석부의 제3예시 구성이다.11 shows a third exemplary configuration of the channel analyzing unit.

도 11을 참조하면, 채널분석부(820c)는 아날로그디지털컨버터(1110), 푸리에변환부(1120), 주파수매핑부(1130) 및 채널데이터생성기(1140) 등을 포함할 수 있다.11, the channel analyzing unit 820c may include an analog-to-digital converter 1110, a Fourier transform unit 1120, a frequency mapping unit 1130, and a channel data generator 1140, for example.

아날로그디지털컨버터(1110)는 전처리된 반응신호(SRX')를 디지털신호(DSRX')로 변환할 수 있다.The analog-to-digital converter 1110 can convert the preprocessed reaction signal SRX 'into a digital signal DSRX'.

그리고, 푸리에변환부(1120)는 디지털신호로 변환된 반응신호(DSRX')를 푸리에변환(FFT: Fast Fourier Transform)하여 주파수성분데이터(FFT_SRX')를 생성할 수 있다. 주파수성분데이터(FFT_SRX')에는 각 주파수별 성분의 크기값(진폭)이 포함될 수 있다.The Fourier transform unit 1120 can generate frequency component data FFT_SRX 'by Fourier transforming the response signal DSRX' converted into a digital signal. The magnitude value (amplitude) of each frequency component may be included in the frequency component data (FFT_SRX ').

그리고, 주파수매핑부(1130)는 주파수성분데이터(FFT_SRX')에서 구동주파수에 대응되는 주파수성분을 이용하여 채널반응신호(CH_SRX)를 추출할 수 있다. 주파수매핑부(1130)는 구동주파수에 대한 정보를 미리 저장하고 있을 수도 있고, 구동부로부터 수신하여 각 채널별 구동주파수를 파악할 수 있다.The frequency mapping unit 1130 can extract the channel response signal CH_SRX using the frequency component corresponding to the driving frequency in the frequency component data FFT_SRX '. The frequency mapping unit 1130 may store information on the driving frequency in advance, and may receive the driving frequency of each channel by receiving it from the driving unit.

채널데이터생성기(1140)는 채널반응신호를 이용하여 채널센싱데이터(CH_DATA)를 생성한다. 채널센싱데이터(CH_DATA)는 예를 들어, 채널반응신호(CH_SRX)의 크기이거나 채널반응신호(CH_SRX)를 일정한 시간 동안 적분한 값일 수 있다.The channel data generator 1140 generates channel sensing data CH_DATA using the channel response signal. The channel sensing data CH_DATA may be, for example, a magnitude of the channel response signal CH_SRX or a value obtained by integrating the channel response signal CH_SRX for a predetermined time.

구동신호는 시구간마다 구동파형이 변하기 때문에, 채널분석부(820c)는 각 시구간마다, 그리고, 각 채널별로 채널센싱데이터(CH_DATA)를 생성할 수 있다.Since the driving waveform of the driving signal changes every time interval, the channel analyzing unit 820c can generate channel sensing data CH_DATA for each time period and for each channel.

한편, 다시 도 8을 참조하면, 데이터생성부(830)는 채널센싱데이터(CH_DATA)를 수신하여 각 채널별-각 채널에 대응되는 지점별 혹은 각 구동전극과 센싱전극이 교차하는 지점별-로 오브젝트에 의한 터치 혹은 근접을 나타내는 터치정보-예를 들어, 터치유무, 터치좌표 등-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데이터생성부(830)는 각 시구간마다 수신되는 복수의 채널센싱데이터(CH_DATA)를 종합적으로 이용하여 터치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8, the data generating unit 830 receives the channel sensing data CH_DATA and outputs it to each channel, by a point corresponding to each channel, or by a point where each driving electrode crosses the sensing electrode Touch information indicating the touch by the object or proximity (e.g., presence of touch, touch coordinates, etc.) can be generated. At this time, the data generating unit 830 can generate touch information by collectively using a plurality of channel sensing data CH_DATA received for each time period.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채널분석부의 3가지 예시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주파수 성분을 분석할 수 있는 다른 기술들도 채널분석부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FFT 이외에, DFFT(Discrete Fast Fourier Transform), 고르첼(Goertzel)알고리즘, CORDIC(Coordinate Rotation Digital Computer)알고리즘 등도 채널분석부에 적용될 수 있다.9 to 11, three examples of the channel analyzing unit have been describ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Other techniques capable of analyzing frequency components may also be applied to the channel analysis unit. For example, in addition to FFT, Discrete Fast Fourier Transform (DFFT), Goertzel algorithm, Coordinate Rotation Digital Computer (CORDIC) algorithms, and the like can be applied to the channel analysis unit.

한편, 구동신호에서 구동파형은 여러 가지 모양을 가질 수 있는데, 예를 들어, 구동파형은 사다리꼴 파형을 가질 수도 있고, PWM 파형을 가질 수도 있으며, 정현파를 가질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driving signal, the driving waveform may have various shapes. For example, the driving waveform may have a trapezoidal waveform, a PWM waveform, or a sinusoidal waveform.

도 12는 구동신호의 구동파형에 대한 예시들이다.12 shows examples of driving waveforms of driving signals.

도 12를 참조하면, 구동신호는 제1예시 구동신호(SRX_A)와 같이 구동파형이 상승에지와 하강에지가 일정한 경사를 가지는 사다리꼴 파형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제1예시 구동신호(SRX_A)의 구동파형은 상승에지와 하강에지에 일정한 경사가 있기 때문에 고주파 노이즈가 적게 발생하는 장점이 있다.Referring to FIG. 12, the driving signal may have a trapezoidal waveform, such as the first exemplary driving signal SRX_A, whose driving waveform has a rising edge and a falling edge. The driving waveform of the first example driving signal SRX_A is advantageous in that high frequency noise is generated because the driving waveform of the first example driving signal SRX_A has a constant slope at the rising edge and the falling edge.

구동신호는 제2예시 구동신호(SRX_B)와 같이 구동파형이 PWM 파형을 가질 수 있다. PWM 파형은 고전압과 저전압을 선택적으로 출력하면 생성되기 때문에 구동신호의 생성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The driving signal may have a PWM waveform as the driving waveform as the second example driving signal SRX_B. The PWM waveform is generated by selectively outputting the high voltage and the low voltage, so that it is easy to generate the driving signal.

구동신호는 제3예시 구동신호(SRX_C)와 같이 구동파형이 정현파일 수 있다. 정현파의 경우, 하모닉 성분이 적게 발생하는 장점이 있다.The drive signal may be a sinusoidal file as in the third example drive signal SRX_C. In the case of a sinusoidal wave, there is an advantage that a harmonic component is generated less.

구동부는 정현파를 가지는 구동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정현파데이터를 저장하는 룩업테이블 및 정현파데이터로부터 정현파를 생성하는 디지털아날로그컨버터를 내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The driving unit may internally include a look-up table for storing the sinusoidal data and a digital-to-analog converter for generating the sinusoidal wave from the sinusoidal data, in order to generate the driving signal having the sinusoidal wave.

도시되지 않았지만, 구동신호는 다른 모양의 파형을 가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구동신호는 삼각파의 파형을 가질 수도 있다. 주파수가 변동될 수 있는 파형은 모두 구동신호에 적용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the drive signal may have a waveform of another shape. For example, the driving signal may have a waveform of a triangular wave. All of the waveforms in which the frequency can be changed can be applied to the drive signal.

도 13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센싱시스템의 구성도이다.13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touch sens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도 13을 참조하면, 터치센싱시스템(1300)은 복수의 구동전극(TXE)이 배치되고 구동전극(TXE)과 정전용량으로 커플링되는 복수의 센싱전극(RXE)이 배치되는 패널(110)을 포함할 수 있다.13, the touch sensing system 1300 includes a panel 110 in which a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TXE are disposed and a plurality of sensing electrodes RXE coupled to the driving electrode TXE by electrostatic capacitance are disposed, .

터치패널(110)에 배치되는 구동전극(TXE)은 N(N은 2 이상의 자연수)개씩 그룹핑될 수 있다. 이러한 그룹핑에 따라, 패널(110)에는 M(M은 2 이상의 자연수)개의 구동전극그룹(GR1, GR2, ..., GRm)이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구동전극그룹(GR1, GR2, ..., GRm)에는 N개의 구동전극(TXE)이 포함될 수 있으나, 최외곽 구동전극그룹(GRm)과 같이 일부의 구동전극그룹은 N보다 작은 수의 구동전극(TXE)을 포함할 수 있다.The driving electrodes TXE disposed in the touch panel 110 may be grouped by N (N is a natural number of 2 or more). According to this grouping, M (M is a natural number of 2 or more) number of driving electrode groups GR1, GR2, ..., GRm may be formed on the panel 110. [ N driving electrodes TXE may be included in each of the driving electrode groups GR1, GR2, ..., GRm, but some driving electrode groups, such as the outermost driving electrode group GRm, And may include a driving electrode TXE.

터치센싱시스템(1300)은 복수의 구동신호(STX1, STX2, ..., STXn)를 일 구동전극그룹을 구성하는 N개의 구동전극(TXE)으로 동시에 공급하는 구동부(1310)를 포함할 수 있다.The touch sensing system 1300 may include a driving unit 1310 for simultaneously supplying a plurality of driving signals STX1, STX2, ..., STXn to N driving electrodes TXE constituting one driving electrode group .

구동신호(STX1, STX2, ..., STXn)는 복수의 시구간에서 각 시구간마다 구동파형이 변하고 동일 시구간에서 구동신호마다 구동파형이 서로 다를 수 있다.The driving waveforms of the driving signals STX1, STX2, ..., STXn may change from time to time in a plurality of time periods, and the driving waveforms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the same time period.

구동부(1310)는 일 구동전극그룹을 구성하는 구동전극(TXE)의 개수와 동일한 N개의 시구간동안 구동신호(STX1, STX2, ..., STXn)를 공급할 수 있다.The driving unit 1310 can supply the driving signals STX1, STX2, ..., STXn during N time periods equal to the number of the driving electrodes TXE constituting one driving electrode group.

구동부(1310)는 구동전극그룹별로 순차적으로 복수의 구동전극(TXE)을 구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부(1310)는 제1구동전극그룹(GR1)을 동시에 구동하고, 다음으로 제2구동전극그룹(GR2)을 구동하면서 순차적으로 제M구동전극그룹(GRm)까지 구동할 수 있다.The driving unit 1310 may drive the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TXE sequentially for each driving electrode group. For example, the driving unit 1310 may sequentially drive the first driving electrode group GR1 and then the second driving electrode group GR2 to the M th driving electrode group GRm sequentially .

터치센싱시스템(1300)은 센싱부(1320) 및 제어부(1330)를 포함할 수 있다.The touch sensing system 1300 may include a sensing unit 1320 and a control unit 1330.

제어부(1330)는 터치센싱시스템(1300)에서의 제반적인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330 may perform various controls in the touch sensing system 1300. FIG.

그리고, 센싱부(1320)는 센싱전극(RXE)으로부터 복수의 구동신호(STX1, STX2, ..., STXn)에 대한 반응신호(SRX)를 수신하고 반응신호(SRX)에 따라 터치패널(110)에 대한 외부 오브젝트의 터치 혹은 근접을 센싱할 수 있다.The sensing unit 1320 receives the response signal SRX for the plurality of driving signals STX1, STX2, ..., STXn from the sensing electrode RXE and outputs the response signal SRX to the touch panel 110 ) Can be sensed.

한편, 구동부(1310)는 코드발생기(1312), 주파수테이블(1314) 및 파형합성기(1316)를 내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driving unit 1310 may internally include a code generator 1312, a frequency table 1314, and a waveform synthesizer 1316.

코드발생기(1312)는 구동전극그룹을 구성하는 N개의 구동전극(TXE)에 적용시킬 코드를 생성한다. 코드발생기(1312)는 N개의 구동전극(TXE)에 대해 서로 다른 N개의 코드를 발생시킬 수 있다.The code generator 1312 generates a code to be applied to the N driving electrodes TXE constituting the driving electrode group. The code generator 1312 may generate N different codes for the N driving electrodes TXE.

코드발생기(1312)에서 발생된 코드에 대한 정보는 주파수테이블(1314)로 전달된다. 주파수테이블(1314)에는 각 코드에 대응되는 구동주파수 정보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주파수테이블(1314)은 코드발생기(1312)에서 생성된 코드에 따라 구동주파수를 결정하고 구동주파수 정보를 파형합성기(1316)로 전달할 수 있다.Information on the code generated in the code generator 1312 is transmitted to the frequency table 1314. [ The frequency table 1314 may store driving frequency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each code. The frequency table 1314 may determine the driving frequency according to the code generated by the code generator 1312 and may transmit the driving frequency information to the waveform synthesizer 1316. [

그리고, 파형합성기(1316)는 코드에 대응되는 구동주파수를 가지는 구동파형을 생성하여 구동전극(TXE)으로 공급할 수 있다.The waveform synthesizer 1316 can generate a driving waveform having a driving frequency corresponding to the code and supply the driving waveform to the driving electrode TXE.

코드발생기(1312)는 매 시구간마다 변경된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파형합성기(1316)는 매 시구간마다 수신되는 구동주파수 정보-매 시구간마다 변경된 코드에 따라 결정된 구동주파수에 대한 정보-에 따라 구동파형을 변경하면서 구동신호(STX1, STX2, ..., STXn)를 생성하고 공급할 수 있다.The code generator 1312 may generate the changed code every time interval. Then, the waveform synthesizer 1316 changes the driving waveforms according to the driving frequency information received every interval of time-information on the driving frequency determined according to the changed code for each interval, and outputs the driving signals STX1, STX2, ... , STXn) can be generated and supplied.

코드발생기(1312)는 구동주파수가 호핑되도록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주파수테이블(1314)에는 다수의 코드매칭정보-코드와 구동주파수의 매칭정보-가 저장되어 있고, 코드발생기(1312)는 PN(Pseudorandom Number) 시퀀스를 이용하여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The code generator 1312 may generate a code such that the driving frequency is hopped. The frequency table 1314 stores a plurality of code matching information-codes and driving frequency matching information, and the code generator 1312 can generate codes using a PN (Pseudorandom Number) sequence.

센싱부(1320)는 결정된 코드에 대한 정보 혹은 결정된 구동주파수에 대한 정보를 구동부(1310)로부터 획득하고, 구동주파수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반응신호(SRX)를 복조할 수 있다.The sensing unit 1320 may acquire information on the determined code or information on the determined driving frequency from the driving unit 1310 and may demodulate the reaction signal SRX using information on the driving frequency.

도 14는 구동신호에서 구동주파수가 호핑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14 is a diagram showing that a driving frequency is hopped in a driving signal.

도 14를 참조하면, 구동신호(STX)에서 각 시구간에 적용되는 구동주파수는 호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시구간(T1)에서 제3주파수(f3)가 구동주파수로 적용될 수 있고, 제2시구간(T2)에서 제n주파수(fn)가 구동주파수로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주파수 호핑은 구동신호(STX)의 주파수 밴드를 넓은 스펙트럼 범위(wide spectrum range)로 확장시키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이러한 주파수 호핑은 좁은 주파수 범위에서 발생하는 노이즈의 영향을 제한시키는 효과가 있다. 구체적인 일 예로서, 이러한 주파수 호핑은 특정 주파수 대역에서 나타나는 고전력 노이즈에 의한 영향을 제한시킬 수 있다. 다른 일 예로서, 이러한 주파수 호핑은 일시적으로 나타나는 변동 노이즈(variant noise)의 영향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외부 요인 혹은 내부 요인에 따라 짧은 시구간에서 변동 노이즈가 발생할 수 있는데, 주파수 호핑은 이러한 변동 노이즈의 영향을 제한시킬 수 있다.Referring to FIG. 14, the driving frequency applied between the time points in the driving signal STX may be hopped. For example, the third frequency f3 may be applied as the driving frequency in the first time interval T1, and the n-th frequency fn may be applied as the driving frequency in the second time interval T2. This frequency hopping has the effect of extending the frequency band of the driving signal STX to a wide spectrum range. This frequency hopping has an effect of restricting the influence of noise occurring in a narrow frequency range. As a specific example, such frequency hopping can limit the effects of high power noise appearing in a particular frequency band. As another example, this frequency hopping can minimize the effect of the temporal variant noise. Depending on external or internal factors, fluctuating noise can occur in a short period of time, and frequency hopping can limit the effects of this fluctuating noise.

각 시구간에 적용되는 구동주파수는 랜덤시퀀스 발생기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시구간에 적용되는 구동주파수는 PN(Pseudorandom Number)시퀀스 발생기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혹은 각 시구간에 적용되는 구동주파수는 골드(Gold)시퀀스 발생기에 따라 결정될 수도 있다.The driving frequency applied between the respective time periods can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random sequence generator. For example, the driving frequency applied between the time periods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a PN (Pseudorandom Number) sequence generator. Alternatively, the drive frequency applied between the time periods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a Gold sequence generator.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였다.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면, 터치센싱에서 노이즈의 영향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면, 노이즈 주파수와 상관없이 높은 터치감도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면, 터치센싱에서 노이즈의 영향을 최소화하면서 멀티구동이 가능할 수 있다.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influence of noise in touch sensing can be minimized.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high touch sensitivity can be maintained regardless of the noise frequency.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perform multi-driving while minimizing the influence of noise in touch sensing.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rms "comprises", "comprising", or "having" as used in the foregoing description mean that the constituent element can be implanted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But should be construed as further including other elements.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Commonly used terms, such as predefined terms, should be interpreted to be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s of the related art, and are not to be construed as ideal or overly formal, unless expressly defined to the contrary.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foregoing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illustrate rather than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6)

복수의 시구간에서 각 시구간마다 구동파형이 변하는 구동신호를 구동전극으로 공급하는 구동부; 및
패널에 배치되고 상기 구동전극과 커플링되는 센싱전극으로부터 상기 구동신호에 대한 반응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반응신호에 따라 상기 패널에 대한 외부 오브젝트의 터치 혹은 근접을 센싱하는 센싱부를 포함하고,
상기 센싱부는 상기 각 시구간마다 생성되는 복수의 센싱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패널에 대한 상기 외부 오브젝트의 터치 혹은 근접을 센싱하는 터치센싱장치.
A driving unit for supplying a driving signal to the driving electrode, the driving signal having a driving waveform varied in each of the time periods in a plurality of time periods; And
And a sensing unit disposed on the panel and receiving a response signal for the driving signal from a sensing electrode coupled to the driving electrode and sensing a touch or proximity of an external object to the panel according to the reaction signal,
Wherein the sensing unit senses touch or proximity of the external object to the panel using a plurality of sensing data generated for each time perio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는,
상기 복수의 센싱데이터를 통계적으로 처리하여 상기 패널에 대한 상기 외부 오브젝트의 터치 혹은 근접을 센싱하는 터치센싱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nsing unit includes:
And touching or proximity of the external object to the panel by statistically processing the plurality of sensing dat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신호는,
상기 시구간마다 구동주파수가 변하는 터치센싱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rive signal comprises:
And the drive frequency is changed every time interval.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는 상기 시구간마다 상기 구동주파수를 가지는 복조신호를 상기 반응신호에 적용하여 상기 반응신호를 복조하는 터치센싱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sensing unit demodulates the response signal by applying a demodulation signal having the driving frequency to the reaction signal for each of the time periods.
복수의 구동신호를 복수의 구동전극으로 동시에 공급하는 구동부; 및
패널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구동전극과 커플링되는 센싱전극으로부터 상기 복수의 구동신호에 대한 반응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반응신호에 따라 상기 패널에 대한 외부 오브젝트의 터치 혹은 근접을 센싱하는 센싱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구동신호는 복수의 시구간에서 각 시구간마다 구동파형이 변하며 동일 시구간에서 각각의 구동전극으로 공급되는 상기 구동파형이 서로 다른 터치센싱장치.
A driving unit for simultaneously supplying a plurality of driving signals to a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And
And a sensing unit disposed on the panel and receiving a response signal for the plurality of driving signals from a sensing electrode coupled to the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and sensing a touch or proximity of an external object to the panel according to the response signal ,
Wherein the driving waveforms of the plurality of driving signals vary in driving waveforms for each of the time periods in a plurality of time periods, and the driving waveforms supplied to the respective driving electrodes in the same time period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는,
상기 반응신호로부터 각 구동신호에 대응되는 복수의 채널반응신호를 추출하고 상기 복수의 채널반응신호를 복조하여 상기 패널에 대한 외부 오브젝트의 터치 혹은 근접을 센싱하는 터치센싱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sensing unit includes:
Extracting a plurality of channel response signals corresponding to the respective drive signals from the response signal, and demodulating the plurality of channel response signals to sense touch or proximity of an external object to the panel.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신호는 상기 시구간마다 구동주파수가 변하고,
상기 센싱부는,
상기 반응신호에 상기 구동주파수를 가지는 복조신호를 상기 반응신호에 적용하여 상기 채널반응신호를 추출하는 터치센싱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driving signal changes the driving frequency every time interval,
The sensing unit includes:
And applying the demodulation signal having the driving frequency to the reaction signal to extract the channel response signal.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신호는 상기 시구간마다 구동주파수가 변하고,
상기 센싱부는,
상기 반응신호를 푸리에변환하고 상기 구동주파수에 대응되는 주파수성분을 이용하여 상기 패널에 대한 상기 외부 오브젝트의 터치 혹은 근접을 센싱하는 터치센싱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driving signal changes the driving frequency every time interval,
The sensing unit includes:
And a touch sensing unit for sensing a touch or proximity of the external object to the panel using a frequency component corresponding to the driving frequency.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파형은 상승에지와 하강에지가 일정한 경사를 가지는 사다리꼴 파형을 가지는 터치센싱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driving waveform has a trapezoidal waveform with a rising edge and a falling edge having a constant inclination.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N(N은 2 이상의 자연수)개의 상기 구동전극으로 상기 복수의 구동신호를 공급하고,
상기 구동신호는,
N개의 시구간에서 서로 다른 상기 구동파형을 가지는 터치센싱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driving unit includes:
Supplying the plurality of driving signals to N (N is a natural number of 2 or more) driving electrodes,
Wherein the drive signal comprises:
Wherein the driving waveforms have different driving waveforms in N time periods.
복수의 구동전극이 배치되고 상기 구동전극과 정전용량으로 커플링되는 복수의 센싱전극이 배치되는 패널;
복수의 구동신호를 일 구동전극그룹을 구성하는 N(N은 2 이상의 자연수)개의 구동전극으로 동시에 공급하는 구동부; 및
상기 센싱전극으로부터 상기 복수의 구동신호에 대한 반응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반응신호에 따라 상기 패널에 대한 외부 오브젝트의 터치 혹은 근접을 센싱하는 센싱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구동신호는 복수의 시구간에서 각 시구간마다 구동파형이 변하며 동일 시구간에서 각각의 구동전극으로 공급되는 상기 구동파형이 서로 다른 터치센싱시스템.
A panel in which a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are disposed and a plurality of sensing electrodes are arranged to be coupled to the driving electrodes in an electrostatic capacity;
A driving unit for simultaneously supplying a plurality of driving signals to N driving electrodes (N is a natural number of 2 or more) driving electrodes constituting one driving electrode group; And
And a sensing unit receiving a response signal for the plurality of driving signals from the sensing electrode and sensing a touch or proximity of an external object to the panel according to the response signal,
Wherein the drive waveforms of the plurality of drive signals vary in each of the time periods in a plurality of time periods, and the drive waveforms supplied to the respective drive electrodes in the same time period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구동전극그룹별로 순차적으로 상기 복수의 구동전극을 구동하는 터치센싱시스템.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driving unit includes:
And driving the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sequentially for each driving electrode group.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파형은 정현파이고,
상기 구동부는,
정현파데이터를 저장하는 룩업테이블 및 상기 정현파데이터로부터 상기 정현파를 생성하는 디지털아날로그컨버터를 포함하는 터치센싱시스템.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drive waveform is a sinusoidal wave,
The driving unit includes:
A look-up table for storing sinusoidal wave data, and a digital-to-analog converter for generating the sinusoidal wave from the sinusoidal wave data.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N개의 구동전극에 대해 서로 다른 코드를 발생시키는 코드발생기; 및
상기 코드에 대응되는 구동주파수를 가지는 상기 구동파형을 생성하는 파형합성기를 포함하는 터치센싱시스템.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driving unit includes:
A code generator for generating different codes for the N driving electrodes; And
And a waveform synthesizer for generating the drive waveform having a drive frequency corresponding to the code.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는,
상기 구동주파수에 대한 정보를 상기 구동부로부터 획득하고, 상기 구동주파수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반응신호를 복조하는 터치센싱시스템.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sensing unit includes:
Acquiring information on the driving frequency from the driving unit, and demodulating the reaction signal using information on the driving frequency.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발생기는 PN(Pseudorandom Number) 시퀀스에 따라 상기 코드를 발생시키는 터치센싱시스템.
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code generator generates the code according to a PN (Pseudorandom Number) sequence.
KR1020160180749A 2016-12-28 2016-12-28 Touch sensing device and touch sensing system using time-varying drive signal KR20180076512A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0749A KR20180076512A (en) 2016-12-28 2016-12-28 Touch sensing device and touch sensing system using time-varying drive signal
CN201711457309.3A CN108255335B (en) 2016-12-28 2017-12-28 Touch sensing device and touch sensing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0749A KR20180076512A (en) 2016-12-28 2016-12-28 Touch sensing device and touch sensing system using time-varying drive signa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6512A true KR20180076512A (en) 2018-07-06

Family

ID=627241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0749A KR20180076512A (en) 2016-12-28 2016-12-28 Touch sensing device and touch sensing system using time-varying drive signal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80076512A (en)
CN (1) CN108255335B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15294A (en) * 2019-05-28 2020-12-01 硅工厂股份有限公司 Touch sensing device and system for sensing touch or proximity of external object
KR20210050285A (en) * 2019-10-28 2021-05-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Touch circuit, touch display device, and touch driving method thereof
CN113168818A (en) * 2018-09-03 2021-07-23 德克萨斯仪器股份有限公司 Touch sensor circuit
US11740735B2 (en) 2021-08-09 2023-08-29 Samsung Display Co., Ltd. Electronic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721705B (en) * 2019-04-12 2021-03-11 禾瑞亞科技股份有限公司 Touch sensitive processing method, apparatus and touch system
JP2022170449A (en) * 2021-04-28 2022-11-10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Detector and detection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53586B2 (en) * 2009-10-08 2017-09-05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ulti-touch touch device with multiple drive frequencies and maximum likelihood estimation
WO2014057569A1 (en) * 2012-10-12 2014-04-17 Nlt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Electronic device, capacitance sensor, and touch panel
US9256329B1 (en) * 2012-12-19 2016-02-09 Qualcomm Technologies, Inc. Touch panel sensor system having multi-frequency drive signals
KR101282915B1 (en) * 2013-04-25 2013-07-17 주식회사 아나패스 Method for reducing effect of noise and apparatus for detecting touch using the same
KR101628894B1 (en) * 2014-12-09 2016-06-14 한승희 Touch sensing method, touch sensing controller and touch sensing devic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68818A (en) * 2018-09-03 2021-07-23 德克萨斯仪器股份有限公司 Touch sensor circuit
CN112015294A (en) * 2019-05-28 2020-12-01 硅工厂股份有限公司 Touch sensing device and system for sensing touch or proximity of external object
KR20210050285A (en) * 2019-10-28 2021-05-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Touch circuit, touch display device, and touch driving method thereof
US11740735B2 (en) 2021-08-09 2023-08-29 Samsung Display Co., Ltd. Electronic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255335B (en) 2023-07-04
CN108255335A (en) 2018-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76512A (en) Touch sensing device and touch sensing system using time-varying drive signal
US10649554B2 (en) Pen for capacitive touch systems
CN109582170B (en) Touch display device, touch circuit, pen, touch system and multi-pen sensing method
US9582105B2 (en) Input device for touch sensitive devices
US9058082B2 (en) Synchronous timed orthogonal measurement pattern for multi-touch sensing on a touchpad
JP4938734B2 (en) Multiple simultaneous frequency detection
CN104133591B (en) Advanced receiving channel architecture
AU2014100236B4 (en) Channel aggregation for optimal stylus detection
US9557845B2 (en) Input device for and method of communication with capacitive devices through frequency variation
US20140327644A1 (en) Papr optimized ofdm touch engine with tone spaced windowed demodulation
US10048775B2 (en) Stylus detection and demodulation
CN112083829A (en) Driver circuit and display device integrated with touch screen
US9811178B2 (en) Stylus signal detection and demodulation architecture
JP2018526734A (en) Semi-passive stylus
US9619090B2 (en) Finger touch sensing with a digitizer system
US11531425B1 (en) Inter-band harmonics interference mitigation for multi-frequency-region parallel scan
US11487391B2 (en) Touch sensing device and method for multi-driving
KR102590126B1 (en) Techniques for wideband touch sensing and related systems, methods and devices
CN110383220B (en) Detection method for digitizer
AU2015258278A1 (en) Channel aggregation for optimal stylus dete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