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2013A - Switchger of tailgate for vehicle - Google Patents

Switchger of tailgate for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2013A
KR20180072013A KR1020160174406A KR20160174406A KR20180072013A KR 20180072013 A KR20180072013 A KR 20180072013A KR 1020160174406 A KR1020160174406 A KR 1020160174406A KR 20160174406 A KR20160174406 A KR 20160174406A KR 20180072013 A KR20180072013 A KR 201800720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claw
link
insertion hole
main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440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임용혁
최동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대동도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대동도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744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72013A/en
Publication of KR201800720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201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16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 E05B83/18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for car boot lids or rear luggage compart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02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actuators used
    • E05B81/04Electrical
    • E05B81/06Electrical using rotary 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12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 E05B81/20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for assisting final closing or for initiating opening
    • E05B81/22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for assisting final closing or for initiating opening by movement of the strik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0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 F16H1/1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non-parallel axes
    • F16H1/16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non-parallel axes comprising worm and worm-wheel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46Tailboards, tailgates or sideboards opening upw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Disclosed is an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a tailgate for a vehicle. The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a tailgate for a vehicle is provided in a base. A cinching lever portion composed of a plurality of links is operated by a main gear driven by a driving motor so that a release lever is operated. Thus, coupling between a pole lever and a closer is released such that a striker is being locked or unlocked from the closer.

Description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개폐장치 {SWITCHGER OF TAILGATE FOR VEHICLE}[0001] DESCRIPTION [0002] SWITCHGER OF TAILGATE FOR VEHICLE [

본 발명은 하나의 구동모터를 이용하여 트렁크의 잠금 및 해제상태를 제어할 수 있는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opening and closing a tailgate for a vehicle that can control the lock and unlock states of a trunk using one drive motor.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물건을 싣고 내리는 테일게이트나 사람이 승하차 하는 도어 및 엔진룸에는 각각의 도어의 개방 또는 폐쇄하는 후드가 있으며 각각의 도어에는 스트라이커와 잠금 및 해제되는 도어래치가 설치된다.Generally, a tail gate for loading and unloading goods, a door for loading and unloading goods, and an engine room have a hood for opening or closing each door, and each door is provided with a striker and a door latch which is locked and unlocked.

그 중에서도 테일게이트의 개폐를 위해 설치되는 테일게이트 래치의 경우, 사용자가 충분한 힘을 가하여 닫지 않은 경우 일반적으로 운전석에 탑승 후 계기판의 시그널을 보고 파악하게 되며, 다시 테일게이트로 이동하여 개폐상태를 확인해야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이 파워테일게이트 래치로 구동모터를 통해 테일게이트를 완전 잠금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tailgate latch installed for opening and closing a tailgate, if the user does not close by applying sufficient force, the user sees the signal of the instrument panel after boarding the driver's seat and then moves back to the tailgate to check the open / There was an inconvenience to do. To solve this problem, the powertail gate latch allows the tailgate to be fully locked through the drive motor.

다만, 기존에는 잠금과 개방을 위해서 각기 별도의 방향에서 동력을 전달하는 2개의 구동모터가 설치되었으나 이는 부피가 지나치게 증가하여 차체 내부에 탑재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However, in the past, two driving motors for transmitting power from separate directions for locking and opening were installed, but the volume was too high, which made it difficult to mount them inside the vehicle body.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foregoing description of the background art is merely for the purpose of promoting an understanding of the background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not to be construed as an admission that the prior art is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JP 2008-13932 AJP 2008-13932 A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하나의 구동모터를 이용하면서도 트렁크 래치의 잠금 및 해제 기능을 모두 구현할 뿐만 아니라, 비상 개방기능을 함께 제공하는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개폐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in order to solve such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pparatus for opening and closing a tailgate for a vehicle that not only realizes both the locking and unlocking functions of the trunk latch while using one driving motor, There is a purpose.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개폐장치는 하측에는 스트라이커가 삽입 또는 인출 가능한 제1삽입홀이 형성된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측에 위치되고, 구동모터에 의해 제1회전축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베이스측으로 돌출된 릴리즈보스가 형성된 메인기어; 상기 베이스의 제1삽입홀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내측으로 상기 스트라이커가 삽입되는 제2삽입홀이 만입형성되어, 상기 제1삽입홀 및 제2삽입홀에 상기 스트라이커가 삽입되는 경우, 상기 스트라이커를 락킹하도록 구비된 클로우; 및 상기 베이스의 일측에 상기 메인기어와 클로우에 인접하게 위치되고, 상기 메인기어의 동작에 의해 제2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릴리즈레버; 상기 베이스와 릴리즈레버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제2회전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릴리즈레버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어 상기 클로우를 락킹 또는 락킹해제 하는 폴레버; 및 상기 베이스의 타측에 위치되고, 일단은 상기 제1회전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베이스에 설치된 고정축에 결합되되, 복수의 링크로 구성되어 상기 메인기어의 회전시 동작되는 신칭레버부;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pparatus for opening and closing a tailgate for a vehicle, comprising: a base having a first insertion hole through which a striker can be inserted or withdrawn; A main gear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base and rotatably provided on the first rotation shaft by a drive motor and having a release boss protruded toward the base side; And a second insertion hole formed to be rotatable on the first insertion hole side of the base and into which the striker is inserted is formed so that when the striker is inserted into the first insertion hole and the second insertion hole, A locking member configured to lock the locking member; And a release lever positioned adjacent to the main gear and the crown on one side of the base and rotated about a second rotation axis by an operation of the main gear; A pawl lever positioned between the base and the release lever and rotatably coupled to the second rotation shaft, the pawl being rotated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release lever to lock or unlock the claw; And a second lever which is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base and has one end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rotation shaft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a fixed shaft provided on the base, .

상기 베이스의 상측에는 상기 메인기어와 인접된 위치에 상기 구동모터가 구비되고, 상기 구동모터의 모터축에는 웜기어가 구비되어,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시 상기 웜기어의 회전에 의해 상기 메인기어가 회전될 수 있다.The main motor is provid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main gear on the base. A worm gear is provided on the motor shaft of the driving motor. When the driving motor is driven, the main gear is rotated by the rotation of the worm gear .

상기 신칭레버부는 일단은 상기 메인기어의 제1회전축에 설치되는 제1링크; 일단이 상기 제1링크의 타단에 핀결합되어 제1결합부를 형성하는 제2링크; 일단이 상기 제2링크의 타단에 핀결합되어 제2결합부를 형성하고, 타단이 상기 고정축에 핀결합되는 제3링크;로 구성되어, 상기 메인기어의 회전시 상기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는 링크운동을 할 수 있다.Wherein the first link is provided at one end with a first rotation axis of the main gear; A second link having one end pinn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link to form a first engagement; And a third link, one end of which is pin-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link to form a second engagement portion,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pin-coupled to the fixed shaft, The engaging portion can perform a linking motion.

상기 제2링크 및 제3링크는 중심측이 절곡되어 다단을 형성하되, 상기 제2링크는 일측 보다 타측이 상기 베이스측에 더 가깝도록 절곡되고, 상기 제3링크는 타측 보다 일측이 상기 베이스측에 더 가깝도록 절곡될 수 있다.Wherein the second link and the third link are bent so that the other side is closer to the base side than the one side, and the third link is bent at one side from the base side As shown in Fig.

상기 클로우에는 상기 베이스의 반대측으로 돌출되는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메인기어의 회전시 상기 제2결합부측이 상기 걸림돌기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클로우가 회전되어 락킹될 수 있다.The claw may be provided with a locking protrusion protruding to the opposite side of the base, and the locking protrusion may be locked by rotating the claw by pressing the locking protrusion on the side of the second engaging portion when the main gear rotates.

상기 릴리즈레버와 폴레버가 결합되는 상기 제2회전축에는 상기 릴리즈레버를 상기 클로우측으로 상시 가압하는 상태로 조립되는 제1탄성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A first elastic member may be provided on the second rotation shaft, to which the release lever and the pawl lever are coupled, the first elastic member being assembled in a state of constantly urging the release lever toward the right side.

상기 릴리즈레버의 상측에는 제4회전축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리버스레버가 설치되고, 상기 리버스레버는 상단부가 상기 메인기어의 반대측으로 절곡되어 연장형성됨으로써, 상기 메인기어의 회전시 상기 릴리즈보스에 의해 상기 리버스레버가 가압되어 회전될 수 있다.A reverse lever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release lever so as to be rotatable by a fourth rotary shaft, and an upper end portion of the reverse lever is bent and extended toward the opposite side of the main gear, The reverse lever can be pressed and rotated.

상기 제4회전축에는 제2탄성부재가 결합되어 상기 리버스레버가 회전 후 탄성적으로 원복될 수 있다.And a second elastic member is coupled to the fourth rotary shaft so that the reverse lever can be elastically rotated after rotation.

상기 클로우에는 상기 클로우의 외주면을 따라 제1걸림턱, 제2걸림턱 및 제3걸림턱이 형성되어, 상기 폴레버가 상기 걸림턱에 단계적으로 걸림으로써, 상기 스트라이커의 락킹 또는 락킹해제가 구현될 수 있다.The claw is provided with a first engaging jaw, a second engaging jaw and a third engaging jaw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law, and the locking or unlocking of the striker is implemented by the stepping of the pawl lever to the engaging jaw .

상기 클로우의 회전축에는 상기 클로우를 상기 제1삽입홀측으로 상시 가압하는 상태로 조립되는 제3탄성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A third elastic member may be provided on the rotary shaft of the claw so as to be assembled in a state of constantly urging the claw toward the first insertion hole.

상기 폴레버에는 인접한 지점에 1단락킹을 감지하는 제1센서 및 2단락킹을 감지하는 제2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메인기어에는 상기 메인기어의 위치를 감지하는 제3센서가 구비되며, 상기 제1센서, 제2센서 및 제3센서로부터 위치신호를 전달받고 상기 구동모터를 제어하는 제어부가 구비되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트라이커가 상기 제1삽입홀 및 제2삽입홀에 삽입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구동모터를 구동하여 상기 제1삽입홀 및 제2삽입홀에 삽입된 상기 스트라이커가 구속되도록 할 수 있다.The pawl lever is provided with a first sensor for detecting a first shorting and a second sensor for detecting a second shorting at an adjacent point, a third sensor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main gear, And a controller for receiving a position signal from the first sensor, the second sensor, and the third sensor and controlling the driving motor, wherein the controller determines that the striker is inserted into the first insertion hole and the second insertion hole , The driving motor may be driven so that the striker inserted in the first insertion hole and the second insertion hole is constrained.

상기 제어부에서는 상기 제1센서의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구동모터를 구동하어 신칭을 수행하고, 다시 상기 제2센서 및 제3센서의 신호가 상기 제어부에 입력되면, 신칭을 종료할 수 있다.When the signal of the first sensor is input, the control unit drives the driving motor to carry out a sounding, and when the signals of the second and third sensors are input to the control unit, the sounding can be terminated.

상기 클로우로부터 상기 스트라이커의 이탈이 완료되고, 상기 제3센서의 신호가 상기 제어부에 입력되면, 상기 구동모터가 회전되어 세팅위치가 원상복귀될 수 있다.When the release of the striker from the crawler is completed and a signal of the third sensor is inputted to the control unit, the driving motor is rotated and the setting position can be returned to the original position.

상기 제어부에서는 테일게이트의 개방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구동모터를 작동하여 상기 릴리즈레버가 회전되도록함으로써, 상기 클로우가 회전되어 상기 스트라이커의 락킹이 해제되도록 할 수 있다.When the opening signal of the tailgate is input, the control unit operates the drive motor to rotate the release lever so that the claw is rotated to release the locking of the striker.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개폐장치에 따르면, 신칭 일체형 파워래치구조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메인기어를 이용한 링크구조를 통한 신칭 일체형 구조를 구현함으로써, 구조 단순화를 통한 부품수 축소로 원가 및 중량 절감이 가능하다. 또한, 신칭 일체형으로 작동력의 손실이 저감되며, 릴리즈보스의 위치에 따라 시계방향(CW) 또는 반시계방향(CCW)로 회전되어 양방향 릴리즈를 구현할 수 있어 제품 품질 향상 가능한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opening / closing apparatus for a tailgate for a vehicle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as a neatly integrated power latch structure, more specifically, by implementing a neatly integrated structure through a link structure using a main gear, Cost and weight savings are possible. In addition, the loss of the operating force can be reduced by a neo-integrated type and the bi-directional release can be realized by rotating the switch in the clockwise direction (CW) or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CCW)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release bos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개폐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 내지 도 4는 릴리즈 동작시 시계방향으로의 회전을 단계별로 도시한 도면.
도 5 내지 도 7은 신칭 동작시를 단계별로 도시한 도면.
도 8 내지 도 11은 인터럽트 동작시를 단계별로 도시한 도면.
도 12 내지 도 13은 릴리즈 동작시의 반시계방향으로의 회전을 단계별로 도시한 도면.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view showing an apparatus for opening and closing a tailgat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 to FIG. 4 are diagrams showing a stepwise rotation in a clockwise direction during a release operation; FIG.
Figs. 5 to 7 are diagrams showing the steps of the thinning operation in steps. Fig.
FIGS. 8 to 11 are diagrams showing interrupt operations in stages; FIG.
Figs. 12 to 13 are diagrams showing steps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during a release operation in steps; Fig.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개폐장치에 대하여 살펴본다.Hereinafter, an apparatus for opening and closing a tailgat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개폐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n apparatus for opening and closing a tailgat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한 것처럼,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개폐장치는 하측에는 스트라이커(100)가 삽입 또는 인출 가능한 제1삽입홀(210)이 형성된 베이스(200); 상기 베이스(200)의 상측에 위치되고, 구동모터(300)에 의해 제1회전축(410)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베이스(200)측으로 돌출된 릴리즈보스(430)가 형성된 메인기어(400); 상기 베이스(200)의 제1삽입홀(210)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내측으로 상기 스트라이커(100)가 삽입되는 제2삽입홀(510)이 만입형성되어, 상기 제1삽입홀(210) 및 제2삽입홀(510)에 상기 스트라이커(100)가 삽입되는 경우, 상기 스트라이커(100)를 락킹하도록 구비된 클로우(500); 및 상기 베이스(200)의 일측에 상기 메인기어(400)와 클로우(500)에 인접하게 위치되고, 상기 메인기어(400)의 동작에 의해 제2회전축(640)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릴리즈레버(630); 상기 베이스(200)와 릴리즈레버(630)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제2회전축(64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릴리즈레버(630)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어 상기 클로우(500)를 락킹 또는 락킹해제 하는 폴레버(620); 및 상기 베이스(200)의 타측에 위치되고, 일단은 상기 제1회전축(4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베이스(200)에 설치된 고정축(230)에 결합되되, 복수의 링크(650,660,680)로 구성되어 상기 메인기어(400)의 회전시 동작되는 신칭레버부(60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 an apparatus for opening and closing a tailgat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200 having a first insertion hole 210 through which a striker 100 can be inserted or drawn. A main gear 400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base 200 and rotatably mounted on the first rotation shaft 410 by a drive motor 300 and having a release boss 430 protruded toward the base 200, ); The second insertion hole 510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first insertion hole 210 of the base 200 and the striker 100 is inserted into the first insertion hole 210 A claw 500 for locking the striker 100 when the striker 100 is inserted into the second insertion hole 510; And a release lever positioned adjacent to the main gear 400 and the claw 500 on one side of the base 200 and rotated about the second rotation shaft 640 by the operation of the main gear 400 630); The claw 500 is positioned between the base 200 and the release lever 630 and is rotatably coupled to the second rotation shaft 640. The claw 500 is rotated or rotated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release lever 630, A pawl lever 620 to release the lock; And one end of which is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rotation shaft 410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coupled to a fixed shaft 230 provided on the base 200, 650, 660, and 680, and is operated when the main gear 400 rotates.

상기 베이스(200)는 플레이트 형상이되, 모서리측이 절곡되어 상기 베이스(200)의 내부에 각종 부품들이 안착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200)의 일측에는 상기 스트라이커(100)가 삽입 또는 인출 가능한 제1삽입홀(210)이 형성된다. 상기 제1삽입홀(210)은 도면상 하방에서 상방으로 만입되어 형성된다.The base 200 has a plate shape and is formed so that various parts are seated inside the base 200 by being bent at a corner side. A first insertion hole 210 into which the striker 100 can be inserted or drawn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base 200. The first insertion hole 210 is formed upwardly from below in the drawing.

상기 베이스(200)의 타측에는 상기 구동모터(300)의 구동에 의해 회전 가능한 상기 메인기어(400)가 설치된다. 상기 구동모터(300)는 모터축(330)과 상기 모터축(330)에 형성된 웜기어(3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구동모터(300)의 구동시 상기 모터축(330)이 회전되고, 상기 모터축(33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웜기어(310)가 회전되며, 상기 웜기어(310)의 회전에 의해 상기 메인기어(400)가 회전된다.The main gear 400 is rotatable by driving the driving motor 300 on the other side of the base 200. The driving motor 300 includes a motor shaft 330 and a worm gear 310 formed on the motor shaft 330. The motor shaft 330 is rotated when the driving motor 300 is driven and the worm gear 310 is rotated by the rotation of the motor shaft 330. When the worm gear 310 rotates, The main gear 400 is rotated.

또한, 상기 메인기어(400)와 고정축(230) 사이에는 상기 신칭레버부(600)의 제1링크(650), 제2링크(660) 및 제3링크(680)가 연속하여 설치된다. 상기 제1링크(650)는 상기 메인기어(400)와 동일한 제1회전축(410)에 설치되어, 상기 메인기어(400)의 회전시 회전된다. 상기 제1링크(650)는 상기 메인기어(400)의 회전축(410)에서 반경방향을 길이방향으로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1링크(650)는 상기 메인기어(400)에 고정되어 항시 메인기어(400)와 동일한 거동을 갖는다.The first link 650, the second link 660 and the third link 680 of the sensing lever unit 600 are continuously installed between the main gear 400 and the fixed shaft 230. The first link 650 is installed on the first rotation shaft 410 which is the same as the main gear 400 and is rotated when the main gear 400 rotates. The first link 650 is formed to have a radial direction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t a rotation axis 410 of the main gear 400. The first link 650 is fixed to the main gear 400 and has the same behavior as the main gear 400 at all times.

상기 제2링크(660)는 일단이 상기 제1링크(650)의 타단에 핀결합되어 제1결합부(690)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제3링크(680)는 일단이 상기 제2링크(660)의 타단에 핀결합되어 제2결합부(670)를 형성하고, 타단이 상기 고정축(230)에 핀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구동모터(300)의 구동시 상기 메인기어(400)가 회전되고, 상기 메인기어(400)에 형성된 제1링크(650)가 회전하게 된다. 상기 제1링크(650)의 회전으로 인하여, 상기 제1결합부(690)를 중심으로 상기 제2링크(660)가 회전 거동하게 되고, 상기 제2링크(660)의 회전 거동에 의해, 상기 제2결합부(670)가 거동하며, 상기 제2결합부(670)에 의해 제3링크(680)가 타단이 상기 고정축(230)에 고정된 상태로 회전 거동하여 상기 신칭레버부(600)가 링크운동하게 된다.One end of the second link 660 is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link 650 to form a first engaging portion 690. One end of the third link 680 is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link 660 to form a second engaging portion 670 and the other end of the third link 680 is coupled to the fixed shaft 230. Therefore, when the driving motor 300 is driven, the main gear 400 is rotated and the first link 650 formed on the main gear 400 rotates. Due to the rotation of the first link 650, the second link 660 rotates about the first engaging part 690, and by the rotational behavior of the second link 660, The third link 680 is rotated by the second engaging portion 670 while the other end of the third link 680 is fixed to the fixed shaft 230. Thus, ).

특히, 상기 제2링크(660) 및 제3링크(680)는 중심측이 절곡되어 다단을 형성한다. 좀 더 상세하게는, 상기 제2링크(660)는 일측 보다 타측이 상기 베이스(200)측에 더 가깝도록 절곡되고, 상기 제3링크(680)는 타측 보다 일측이 상기 베이스(200)측에 더 가깝도록 절곡된다. 또한, 상기 클로우(500)에는 상기 베이스(200)의 반대측으로 돌출되는 걸림돌기(590)가 형성된다. 그러므로 상기 메인기어(400)의 회전시 상기 제2결합부(670)측이 상기 클로우(500)에 걸리거나 혹은 상기 클로우(500)의 상측에 형성된 걸림돌기(590)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클로우(500)가 회전되어 상기 스트라이커(100)가 상기 클로우(500)에 의해 락킹되게 된다.Particularly, the second link 660 and the third link 680 are bent at the center side to form a multi-stage. More specifically, the second link 660 is bent so that the other side is closer to the base 200 side than the other side, and the third link 680 has one side closer to the base 200 side than the other side It is bent closer. The claw 500 is formed with a locking protrusion 590 protruding toward the opposite side of the base 200. Therefore, when the main gear 400 rotates, the second engaging portion 670 is caught by the claw 500 or by pressing the engaging protrusion 590 formed on the claw 500, 500 are rotated so that the striker 100 is locked by the claws 500.

상기 릴리즈레버(630)는 상기 베이스(200)의 일측에 상기 메인기어(400)와 클로우(500)에 인접하게 위치되되, 특히, 상기 베이스(200)의 상하방향을 길이방향으로 하고, 상기 제2회전축(640)에 회전 가능하도록 핀결합된다. 그러므로 상기 릴리즈레버(630)는 상기 메인기어(400)의 동작 시, 상기 신칭레버부(600)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제2회전축(640)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또한, 상기 릴리즈레버(630)와 폴레버(620)가 결합되는 상기 제2회전축(640)에는 상기 릴리즈레버(630)를 상기 클로우(500)측으로 상시 가압하는 상태로 조립되는 제1탄성부재(710)가 설치되어, 상기 릴리즈레버(630)와 폴레버(620)가 상기 클로우(500)측으로 상시 가압된 상태로 유지되게 된다.The release lever 630 is positioned adjacent to the main gear 400 and the claw 500 on one side of the base 200 and in particular the up and down direction of the base 200 is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second rotary shaft 640 by a pin. Therefore, when the main gear 400 is operated, the release lever 630 is pressed by the sensing lever unit 600 and is rotated about the second rotation axis 640. The first elastic member (640) is assembled to the second rotation shaft (640) to which the release lever (630) and the pawl lever (620) are coupled in a state of pushing the release lever (630) The release lever 630 and the pawl lever 620 are always kept pressed against the claw 500 side.

상기 릴리즈레버(630)의 상측에는 제4회전축(631)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리버스레버(633)가 설치된다. 상기 리버스레버(633)는 상단부가 상기 메인기어(400)의 반대측으로 절곡되어 연장형성됨으로써, 상기 메인기어(400)의 회전시 상기 릴리즈보스(430)에 의해 상기 리버스레버(633)가 가압되어 회전된다. 상기 릴리즈보스(430)에 의해 상기 릴리즈레버(630)가 회전된다. 상기 제2회전축(640)과 마찬가지로, 상기 제4회전축(631)에는 제2탄성부재(730)가 결합되어 상기 리버스레버(633)가 회전 후 가압되는 힘이 제거되면 탄성적으로 원복되게 된다.A reverse lever 633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release lever 630 so as to be rotatable by a fourth rotary shaft 631. The reverse lever 633 is bent and extended to the opposite side of the main gear 400 so that the reverse lever 633 is pressed by the release boss 430 when the main gear 400 is rotated . And the release lever 630 is rotated by the release boss 430. Like the second rotation shaft 640, the second elastic member 730 is coupled to the fourth rotation shaft 631 so that when the reverse lever 633 is rotated, the elastic force of the reverse lever 633 is elastically recovered.

상기 폴레버(620)는 상기 베이스(200)와 상기 릴리즈레버(630)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제2회전축(640)에 의해 상기 릴리즈레버(630)의 회전 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폴레버(620)는 일측에는 상기 클로우(500)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클로우(500)와 접촉됨으로써, 상기 클로우(500)의 회전을 저지 또는 허용한다. 따라서, 상기 폴레버(620)의 회전에 의해 상기 클로우(500)의 락킹 또는 락킹해제가 가능하게 된다.The pawl lever 620 is positioned between the base 200 and the release lever 630 and is rotatably coupled by the second rotation shaft 640 when the release lever 630 rotates. The pawl lever 620 extends to one side of the claw 500 and contacts the claw 500 to thereby inhibit or allow the rotation of the claw 500. Therefore, the claw 500 can be locked or unlocked by the rotation of the pawl lever 620.

상기 클로우(500)에는 상기 클로우(500)의 외주면을 따라 제1걸림턱(530), 제2걸림턱(550) 및 제3걸림턱(570)이 형성되어, 상기 폴레버(620)가 상기 걸림턱(530,550,570)에 단계적으로 걸림으로써, 상기 스트라이커(100)의 락킹유지상태, 1단락킹 또는 2단락킹(완전 폐쇄상태)이 구현되게 된다. 또한, 상기 클로우(500)의 제3회전축(520)에는 상기 클로우(500)를 상기 제1삽입홀(210)측으로 상시 가압하는 상태로 조립되는 제3탄성부재(750)가 설치되어 상기 클로우(500)가 항상 상기 제1삽입홀(210)측으로 가압된 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상기 제1탄성부재(710)가 상기 릴리즈레버(630) 및 폴레버(620)를 상기 제1삽입홀(210)측으로 가압하고, 상기 클로우(500)의 제3회전축(520)에 설치된 상기 제2탄성부재(730)가 상기 클로우(500)를 상기 제1삽입홀(210)측으로 가압하여 상기 폴레버(620)와 클로우(500)가 상기 스트라이커(100)를 락킹한 상태로 유지 가능한 것이다.The claw 500 is formed with a first locking protrusion 530, a second locking protrusion 550 and a third locking protrusion 570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law 500, The lock holding state, the one-short-circuiting or the two-short-circuiting (fully closed state) of the striker 100 can be realized by stepping on the latching jaws 530, 550 and 570. The third elastic member 750 is installed on the third rotation shaft 520 of the claw 500 so that the claw 500 is always pressed toward the first insertion hole 210, 500 are always kept pressed against the first insertion hole 210 side. Accordingly, the first elastic member 710 presses the release lever 630 and the pawl lever 620 toward the first insertion hole 210, and the first elastic member 710 is installed on the third rotation shaft 520 of the claw 500 The second elastic member 730 presses the claw 500 toward the first insertion hole 210 so that the pawl lever 620 and the claw 500 can keep the striker 100 in a locked state will be.

상기 폴레버(620)에는 인접한 지점에 상기 클로우(500)의 1단락킹을 감지하는 제1센서(910) 및 상기 클로우(500)의 2단락킹을 감지하는 제2센서(930)가 구비되며, 상기 메인기어(400)에는 인접한 지점에 메인기어(400)의 위치를 감지하는 제3센서(95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1센서(910), 제2센서(930) 및 제3센서(950)로부터 위치신호를 전달받고, 또한 상기 구동모터(300)를 제어하는 제어부(900)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900)는 상기 스트라이커(100)가 상기 제1삽입홀(210) 및 제2삽입홀(510)에 삽입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구동모터(300)를 구동하여 상기 제1삽입홀(210) 및 제2삽입홀(510)에 삽입된 상기 스트라이커(100)가 구속(락킹)되도록 한다.The pawl lever 620 is provided with a first sensor 910 for detecting a first shorting of the claw 500 and a second sensor 930 for sensing a second shorting of the claw 500 at an adjacent point And a third sensor 950 for sensing the position of the main gear 400 at an adjacent point in the main gear 400. The control unit 900 receives a position signal from the first sensor 910, the second sensor 930 and the third sensor 950 and controls the driving motor 300. The control unit 900 drives the driving motor 300 to rotate the first insertion hole 210 and the second insertion hole 510. When the striker 100 is inserted into the first insertion hole 210 and the second insertion hole 510, So that the striker 100 inserted into the hole 210 and the second insertion hole 510 is locked.

상기 제어부(900)에서는 상기 제1센서(910)의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클로우(500)의 1단락킹이 수행된 것으로 인지하여 상기 구동모터(300)를 구동하어 신칭을 수행하고, 다시 상기 제2센서(930)의 신호가 상기 제어부(900)에 입력되면, 신칭을 종료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900)는 상기 클로우(500)로부터 상기 스트라이커(100)의 이탈이 완료되고, 상기 제3센서(950)의 신호가 상기 제어부(900)에 입력되면, 상기 구동모터(300)가 회전되어 상기 메인기어(400)의 세팅위치가 원상복귀되도록 제어한다. 즉, 상기 제어부(900)에서는 테일게이트의 개방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구동모터(300)를 작동하여 상기 릴리즈레버(630)가 회전되도록함으로써, 상기 클로우(500)가 회전되어 상기 스트라이커(100)의 락킹이 해제되도록 하는 것이다.When the signal of the first sensor 910 is inputted, the control unit 900 recognizes that the claw 500 has been short-circuited and drives the driving motor 300 to carry out the thinning, When the signal of the second sensor 930 is input to the control unit 900, the control unit 900 controls to terminate the new sensing. When the control unit 900 completes the disengagement of the striker 100 from the crawler 500 and a signal from the third sensor 950 is input to the controller 900, So that the setting position of the main gear 400 is returned to the original position. That is, when the opening signal of the tail gate is inputted, the control unit 900 operates the driving motor 300 to rotate the release lever 630, so that the claw 500 is rotated and the striker 100 is rotated, Thereby releasing the locking of the memory card.

도면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개폐장치를 보다 상세히 살펴보도록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more fully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re shown.

먼저, 도 2 내지 도 4는 릴리즈 동작시 시계방향(CW)으로의 회전을 단계별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메인기어(400)와 함께 회전되는 상기 제1링크(650)가 8시 방향에 위치하고, 그에 따라 상기 제2링크(660)와 제3링크(680)가 순차적으로 위치된다. 이때, 상기 릴리즈레버(630)는 12시 방향에 위치되고, 상기 폴레버(620)가 상기 클로우(500)의 제1걸림턱(530)을 지지하고 있어 상기 스트라이커(100)가 상기 베이스(200)의 제1삽입홀(210) 및 상기 클로우(500)의 제2삽입홀(510)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클로우(500)에 의해 락킹된 상태이다. 상기 메인기어(400)의 릴리즈보스(430)는 하방 6시 방향 근방에 위치된다.2 to 4 are diagrams showing the rotation in the clockwise direction (CW) stepwise in the release operation. The first link 650 rotated together with the main gear 400 is positioned at 8 o'clock so that the second link 660 and the third link 680 are sequentially positioned. At this time, the release lever 630 is positioned at the 12 o'clock position, and the pawl lever 620 supports the first latching jaw 530 of the claw 500, so that the striker 100 can move to the base 200 And inserted into the first insertion hole 210 of the claw 500 and the second insertion hole 510 of the claw 500. As shown in FIG. And the release boss 430 of the main gear 400 is located in the vicinity of 6 o'clock in the downward direction.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900)에 사용자의 요구에 의한 테일게이트의 개방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900)는 상기 구동모터(300)에 구동신호를 전달한다. 도 3에 도시한 것처럼, 상기 구동모터(300)가 구동되어 상기 메인기어(400)가 화살표로 표시한 시계방향(CW)으로 회전되어, 상기 제1링크(650)가 회전된다. 상기 제1링크(65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2링크(660)와 제3링크(680)가 상기 클로우(50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인 반시계방향(CCW)으로 회전된다. 이때, 상기 메인기어(400)의 회전에 의해 상기 메인기어(400)에 형성된 상기 릴리즈보스(430)가 회전되어 상기 리버스레버(633)를 가압한다. 상기 리버스레버(633)의 가압에 의해 상기 릴리즈레버(630)가 회전되고, 상기 릴리즈레버(63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2회전축(640)이 회전되어 상기 폴레버(620)가 회전되어 상기 클로우(500)가 반시계방향(CCW)으로 회전된다. If the open signal of the tail gate according to the user's request is input to the controller 900 in this state, the controller 900 transmits a drive signal to the drive motor 300. The driving motor 300 is driven to rotate the main gear 400 in the clockwise direction indicated by an arrow CW to rotate the first link 650 as shown in FIG. The rotation of the first link 650 rotates the second link 660 and the third link 680 counterclockwise (CCW), which is the direction away from the claws 500. At this time, by the rotation of the main gear 400, the release boss 430 formed in the main gear 400 is rotated to press the reverse lever 633. The release lever 630 is rotated by the pressing of the reverse lever 633 and the second rotation shaft 640 is rotated by the rotation of the release lever 630 to rotate the pawl lever 620, The claw 500 is rotated counterclockwise (CCW).

상기한 도 3의 상태에서 상기 구동모터(300)가 계속 구동되어 상기 폴레버(620)가 반시계방향(CCW)으로 회전되고, 상기 클로우(500)가 반시계방향(CCW)으로 회전되어 상기 폴레버(620)가 상기 클로우(500)의 제3걸림턱(570)에 접촉된다. 혹은 상기 제3걸림턱(570)을 삭제하고, 상기 제2링크(660)와 제3링크(680)의 제2결합부(670)에 접촉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스트라이커(100)가 상기 베이스(200)의 제1삽입홀(210) 및 상기 클로우(500)의 제2삽입홀(510)로부터 락킹해제되어 테일게이트가 개방된다. 도 4에 도시한 것처럼, 상기 구동모터(300)가 계속 회전되어 상기 스트라이커(100)의 이탈이 완료되면 상기 제2센서(930)에서는 상기 제어부(900)에 신호를 전달하고, 상기 제어부(900)에서는 상기 구동모터(300)를 계속 반시계방향(CCW)로 구동시켜 셋팅 위치를 인지한 후, 원위치인 셋팅 위치로 복귀한다.3, the driving motor 300 is continuously driven to rotate the pawl lever 620 counterclockwise (CCW), and the claw 500 is rotated counterclockwise (CCW) The pawl lever 620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third latching jaw 570 of the claw 500. Alternatively, the third engaging jaw 570 may be eliminated and the second link 660 may be in contact with the second engaging portion 670 of the third link 680. Accordingly, the striker 100 is unlocked from the first insertion hole 210 of the base 200 and the second insertion hole 510 of the claw 500, and the tail gate is opened. 4, when the driving motor 300 is continuously rotated to release the striker 100, the second sensor 930 transmits a signal to the controller 900, and the controller 900 , The driving motor 300 is continuously driven counterclockwise (CCW) to recognize the setting position, and then returns to the original setting position.

도 5 내지 도 7은 신칭 동작시를 단계별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와 동일한 도면으로서, 테일게이트가 개방상태일 때의 모습을 도시하였다. 상기한 도 5의 상태에서 사용자가 테일게이트를 폐쇄하기 위하여 차체측으로 가압하면, 테일게이트가 하방으로 이동되면서, 차체에 형성된 상기 스트라이커(100)가 상기 베이스(200)의 제1삽입홀(210) 및 상기 클로우(500)의 제2삽입홀(510)에 삽입되면서 상기 클로우(500)를 가압하게 된다. 그러면 가압되는 힘에 의해 상기 클로우(500)가 시계방향(CW)으로 회전되어 상기 클로우(500)의 제1걸림턱(530)에 상기 폴레버(620)가 걸리는 도 5에 도시한 1단락킹 상태가 된다. 도 5에서 볼 수 있듯이, 1단락킹 상태가 진행되는 동안, 상기 제2링크(660)과 제3링크(680) 및 제2결합부(670)는 상기 클로우(500)에 접촉되게 된다.5 to 7 are diagrams showing the steps of the thinning-out operation step by step. Fig. 5 is a view similar to Fig. 4,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tail gate is in the open state. 5, when the tailgate is moved downward, the striker 100 formed on the vehicle body is inserted into the first insertion hole 210 of the base 200 while the tailgate is moved downward, And inserted into the second insertion hole 510 of the claw 500 to press the claw 500. 5, in which the claw 500 is rotated clockwise (CW) by the force to be pressed and the pawl lever 620 is caught in the first latching jaw 530 of the claw 500, State. 5, the second link 660, the third link 680, and the second engaging portion 670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claw 500 while the first shorting state is in progress.

상기한 도 5의 1단락킹 상태에서는 상기 제어부(900)가 상기 제2센서(930)로부터 1단락킹 상태임을 나타내는 신칭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구동모터(300)를 제어하여 신칭을 요구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900)가 상기 메인기어(400)를 시계방향(CW)으로 구동한다. 이때 상기 폴레버(620)와 상기 클로우(500)의 제2걸림턱(550)이 접촉된 상태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구동모터(300)가 구동되어 상기 메인기어(400)가 시계방향(CW)으로 계속 회전되고, 상기 메인기어(40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신칭레버부(600)도 회전된다. 상기 신칭레버부(600)의 제2링크(660)와 제3링크(680)의 제2결합부(670)가 상기 클로우(500)의 걸림돌기(590)와 만나, 상기 걸림돌기(590)를 가압하여 상기 클로우(500)가 시계방향(CCW)으로 회전되어 상기 클로우(500)가 2단락킹 상태를 구현하게 된다(도 6). 이때, 상기 제2센서(930) 및 제3센서(950)의 신호가 상기 제어부(900)에 전달되면 상기 제어부(900)는 상기 구동모터(300)의 구동을 중지하고, 신칭이 완료되게 된다. 신칭의 완료 후에는 상기 제3센서(950)의 신호를 받아 위치를 인지하여 상기 제어부(900)가 상기 구동모터(300)를 구동하여 상기 메인기어(400)를 회전시켜 초기 셋팅 위치로 원복하게 된다.5, the controller 900 receives a new signal indicating that the first sensor 930 is in the short-circuited state, and controls the driving motor 300 to request a new signal. Therefore, the controller 900 drives the main gear 400 in the clockwise direction (CW). At this time, the pawl lever 620 and the second hooking jaw 550 of the claw 500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In this state, the driving motor 300 is driven to rotate the main gear 400 in the clockwise direction (CW), and the sensing lever unit 600 is rotated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main gear 400. The second link 660 of the keying lever unit 600 and the second engaging portion 670 of the third link 680 meet with the engaging projection 590 of the claw 500 and the engaging projection 590, The claw 500 is rotated clockwise (CCW) to implement the claw 500 in a two-stepped state (FIG. 6). At this time, when the signals of the second sensor 930 and the third sensor 950 are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900, the controller 900 stops driving the drive motor 300 and the new sensing is completed . The control unit 900 drives the driving motor 300 to rotate the main gear 400 to the initial setting position and then rotates the main gear 400 to the initial setting position do.

도 8 내지 11은 인터럽트 동작시를 단계별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5 내지 도 7 내지과 같이 신칭이 진행되는 상황에서, 특히, 1단락킹에서 2단락킹으로 진행되는 사이에 사용자가 키로 테일게이트를 열거나, 수동으로 테일게이트를 개방하는 상황이 발생되면, 상기 릴리즈레버(630)가 와이어(850)에 의해 당겨져서 개방이 수행되는 단계로 상기 제어부(900)에서는 인터럽트 상황이라고 판단한다. 상기와 같이 인터럽트 상황이라고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900)가 상기 구동모터(300)를 정지시킨 후, 다시 구동하되 회전방향을 반대방향으로 역회전시킨다. 즉, 도 8에 도시한 것처럼, 상기 구동모터(300)가 반시계방향(CCW)로 회전되고, 그에 따라 상기 걸림돌기(590)를 가압하던 상기 제2결합부(670)가 회전되어 상기 걸림돌기(590)의 가압이 해제된다. 따라서, 도 9에 도시한 것처럼, 상기 클로우(500)가 반시계방향(CCW)으로 회전되어 상기 폴레버(620)가 상기 클로우(500)의 제2걸림턱(550)에 걸려 지지된다.8 to 11 are diagrams showing the interrupt operation in stages. 5 to 7, when a situation occurs in which the user opens the tail gate by the key or manually opens the tail gate while proceeding from the one-legged king to the two-legged king, When the release lever 630 is pulled by the wire 850 and the opening is performed, the control unit 900 determines that the interruption state is present. When the controller 900 determines that the interruption state is determined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unit 900 stops the driving motor 300, drives the motor again, and rotates the rotating direction in the opposite direction. 8, the driving motor 300 is rotated counterclockwise (CCW), so that the second engaging portion 670, which was pressing the engaging projection 590, is rotated, The pressurization of the device 590 is released. 9, the claw 500 is rotated counterclockwise (CCW) so that the pawl lever 620 is caught by the second stopping jaw 550 of the claw 500. As shown in Fig.

도 10에 도시한 것처럼, 상기 구동모터(300)가 계속 구동되어 상기 메인기어(400)의 릴리즈보스(430)가 상기 리버스레버(633)를 가압하여 상기 릴리즈레버(630)가 상기 제2회전축(640)을 중심으로 상기 클로우(50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된다. 따라서, 상기 폴레버(620)가 상기 제2회전축(640)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CCW)으로 회전되어 상기 클로우(500)를 지지하고 있던 상기 폴레버(620)가 상기 클로우(500)로부터 이격된다. 그러므로 상기 스트라이커(100)가 상기 베이스(200)의 제1삽입홀(210) 및 상기 클로우(500)의 제2삽입홀(510)로부터 이탈되어 락킹 해제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도 11에서처럼 개방이 완료되면, 상기 제3센서(950)에 의해 상기 구동모터(300)가 회전되어 초기위치로 이동된다.The drive motor 300 is continuously driven so that the release boss 430 of the main gear 400 presses the reverse lever 633 so that the release lever 630 is rotated by the second rotation axis And is rotat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claws 500 around the center axis 640. Accordingly, the pawl lever 620 is rotated counterclockwise (CCW) about the second rotation shaft 640 to rotate the pawl lever 620 supporting the claw 500 from the claw 500 It is separated. The striker 100 is released from the first insertion hole 210 of the base 200 and the second insertion hole 510 of the claw 500 to be unlocked. Finally, when the opening is completed as shown in FIG. 11, the driving motor 300 is rotated by the third sensor 950 and moved to the initial position.

마지막으로, 도 12 내지 도 13은 릴리즈 동작시의 반시계방향(CCW)으로의 회전을 단계별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2 내지 도 4에서와는 달리, 상기 테일게이트의 완전 폐쇄시, 상기 메인기어(400)의 릴리즈보스(430)가 상방인 12시 방향에 위치되고, 상기 제1링크(650)가 3시 방향에 위치된 경우를 도시하였다. 이러한 경우에는 시계방향(CW)으로 180도 이상을 회전하여 상기 릴리즈보스(430)가 상기 릴리즈레버(630)를 가압하는 것 보다, 반시계방향(CCW)으로 90도 이내를 회전하여 상기 릴리즈레버(630)를 가압하는 것이 효율적일 것이다.Finally, Figs. 12 to 13 are diagrams showing the steps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CCW) in the release operation step by step. 2 to 4, when the tail gate is completely closed, the release boss 430 of the main gear 400 is located at the 12 o'clock position, which is the upper side, and the first link 650 is positioned at the 3 o'clock position As shown in Fig. In this case, the release boss 430 rotates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CCW within 90 degrees, rather than pressing the release lever 630 by rotating the release boss 430 in the clockwise direction (CW) by 180 degrees or more, It would be efficient to pressurize the gasket 630.

따라서, 상기 도 12에 도시한 것처럼, 상기 메인기어(400)와 함께 회전되는 상기 제1링크(650)가 3시 방향에 위치하고, 그에 따라 상기 제2링크(660)와 제3링크(680)가 순차적으로 위치된다. 이때, 상기 릴리즈레버(630)는 12시 방향에 위치되고, 상기 폴레버(620)가 상기 클로우(500)의 제1걸림턱(530)을 지지하고 있어 상기 스트라이커(100)가 상기 베이스(200)의 제1삽입홀(210) 및 상기 클로우(500)의 제2삽입홀(510)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클로우(500)에 의해 락킹된 상태이다. 상기 메인기어(400)의 릴리즈보스(430)는 상방 12시 방향 근처에 위치된다.12, the first link 650, which rotates together with the main gear 400, is located at the 3 o'clock position, so that the second link 660 and the third link 680, Are sequentially positioned. At this time, the release lever 630 is positioned at the 12 o'clock position, and the pawl lever 620 supports the first latching jaw 530 of the claw 500, so that the striker 100 can move to the base 200 And inserted into the first insertion hole 210 of the claw 500 and the second insertion hole 510 of the claw 500. As shown in FIG. The release boss 430 of the main gear 400 is located near the upper 12 o'clock direction.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900)에 사용자의 요구에 의한 테일게이트의 개방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900)는 상기 구동모터(300)에 구동신호를 전달한다. 도 3에 도시한 것처럼, 상기 구동모터(300)가 구동되어 상기 메인기어(400)가 화살표로 표시한 반시계방향(CCW)으로 회전되어, 상기 제1링크(650)가 회전된다. 상기 제1링크(65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2링크(660)와 제3링크(680)가 상기 클로우(50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인 반시계방향(CCW)으로 회전된다. 이때, 상기 메인기어(400)의 회전에 의해 상기 메인기어(400)에 형성된 상기 릴리즈보스(430)가 회전되어 상기 리버스레버(633)를 가압한다. 상기 리버스레버(633)의 가압에 의해 상기 릴리즈레버(630)가 회전되고, 상기 릴리즈레버(63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2회전축(640)이 회전되어 상기 폴레버(620)가 회전되어 상기 클로우(500)가 반시계방향(CCW)으로 회전된다. If the open signal of the tail gate according to the user's request is input to the controller 900 in this state, the controller 900 transmits a drive signal to the drive motor 300. The driving motor 300 is driven to rotate the main gear 400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CCW as shown by arrows to rotate the first link 650 as shown in FIG. The rotation of the first link 650 rotates the second link 660 and the third link 680 counterclockwise (CCW), which is the direction away from the claws 500. At this time, by the rotation of the main gear 400, the release boss 430 formed in the main gear 400 is rotated to press the reverse lever 633. The release lever 630 is rotated by the pressing of the reverse lever 633 and the second rotation shaft 640 is rotated by the rotation of the release lever 630 to rotate the pawl lever 620, The claw 500 is rotated counterclockwise (CCW).

상기한 도 12의 상태에서 상기 구동모터(300)가 계속 구동되어 상기 폴레버(620)가 반시계방향(CCW)으로 회전되고, 상기 클로우(500)가 반시계방향(CCW)으로 회전되어 상기 폴레버(620)가 상기 클로우(500)의 제3걸림턱(570)에 접촉된다. 따라서, 상기 스트라이커(100)가 상기 베이스(200)의 제1삽입홀(210) 및 상기 클로우(500)의 제2삽입홀(510)로부터 락킹해제되어 테일게이트가 개방된다. 그 후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스트라이커(100)의 이탈이 완료되면 상기 제2센서(930)에서는 상기 제어부(900)에 신호를 전달하고, 상기 구동모터(300)가 시계방향(CW)으로 회전되어 상기 제어부(900)에서는 상기 구동모터(300)의 셋팅 위치를 인지한 후, 원위치인 셋팅 위치로 복귀한다.12, the drive motor 300 is continuously driven to rotate the pawl lever 620 counterclockwise (CCW), and the claw 500 is rotated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CCW) The pawl lever 620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third latching jaw 570 of the claw 500. Accordingly, the striker 100 is unlocked from the first insertion hole 210 of the base 200 and the second insertion hole 510 of the claw 500, and the tail gate is opened. The second sensor 930 transmits a signal to the controller 900 and the driving motor 300 is rotated in the clockwise direction CW, The control unit 900 recognizes the setting position of the driving motor 300 and then returns to the original setting position.

상기한 릴리즈 단계에서는 사용자는 차량 실내의 버튼(미도시)을 조작함으로써, 테일게이트 개방신호를 상기 제어부(900)에 전달될 수 있으며, 상기 버튼의 조작시 상기 와이어(850)가 당겨져 테일게이트의 1단락킹 상태가 구현된 후, 상기 구동모터(300)의 구동에 따라 상기 메인기어(400)가 회전되어 테일게이트의 완전 개방상태를 구현하거나, 혹은 전적으로 상기 구동모터(300)에 의해 릴리즈가 수행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In the release step, the user operates the button (not shown) in the vehicle interior to transmit a tailgate opening signal to the controller 900. When the button 850 is operated, the wire 850 is pulled, The main gear 400 is rotated in accordance with the driving of the driving motor 300 to implement the fully opened state of the tail gate or completely released by the driving motor 300 It can be done.

따라서, 상기와 같은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개폐장치에 의하면, 신칭 일체형 파워래치구조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메인기어(400)를 이용한 링크구조를 통한 신칭 일체형 구조를 구현함으로써, 구조 단순화를 통한 부품수 축소로 원가 및 중량 절감이 가능하다. 또한, 신칭 일체형으로 작동력의 손실이 저감되며, 릴리즈보스(430)의 위치에 따라 시계방향(CW) 또는 반시계방향(CCW)로 회전되어 양방향 릴리즈를 구현할 수 있어 제품 품질 향상 가능한 장점이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opening / closing apparatus for a tailgate for a vehicle as described above, as a neatly integrated power latch structure, more specifically, by implementing a neat integrated structure through a link structure using the main gear 400, Cost and weight savings are possible. In addition, the loss of the operating force is reduced and the bi-directional release can be implemented in the clockwise direction (CW) or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CCW)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release boss (430).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100 : 스트라이커 200 : 베이스
210 : 제1삽입홀 230 : 고정축
300 : 구동모터 310 : 웜기어
330 : 모터축 400 : 메인기어
410 : 제1회전축 430 : 릴리즈보스
500 : 클로우 510 : 제2삽입홀
530 : 제1걸림턱 550 : 제2걸림턱
570 : 제3걸림턱 590 : 걸림돌기
600 : 신칭레버부 620 : 폴레버
630 : 릴리즈레버 631 : 제4회전축
633 : 리버스레버 640 : 제2회전축
650 : 제1링크 660 : 제2링크
670 : 제2결합부 680 : 제3링크
690 : 제1결합부 710 : 제1탄성부재
730 : 제2탄성부재 750 : 제3탄성부재
900 : 제어부 910 : 제1센서
930 : 제2센서 950 : 제3센서
100: striker 200: base
210: first insertion hole 230: fixed shaft
300: drive motor 310: worm gear
330: motor shaft 400: main gear
410: first rotating shaft 430: release boss
500: Claw 510: Second insertion hole
530: first jaw 550: second jaw
570: Third stopping jaw 590:
600: Necking lever part 620: Pole lever
630: Release lever 631: Fourth rotary shaft
633: Reverse lever 640: Second rotary shaft
650: first link 660: second link
670: second coupling portion 680: third link
690: first engaging portion 710: first elastic member
730: second elastic member 750: third elastic member
900: control unit 910: first sensor
930: second sensor 950: third sensor

Claims (14)

하측에는 스트라이커가 삽입 또는 인출 가능한 제1삽입홀이 형성된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측에 위치되고, 구동모터에 의해 제1회전축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베이스측으로 돌출된 릴리즈보스가 형성된 메인기어;
상기 베이스의 제1삽입홀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내측으로 상기 스트라이커가 삽입되는 제2삽입홀이 만입형성되어, 상기 제1삽입홀 및 제2삽입홀에 상기 스트라이커가 삽입되는 경우, 상기 스트라이커를 락킹하도록 구비된 클로우; 및
상기 베이스의 일측에 상기 메인기어와 클로우에 인접하게 위치되고, 상기 메인기어의 동작에 의해 제2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릴리즈레버;
상기 베이스와 릴리즈레버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제2회전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릴리즈레버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어 상기 클로우를 락킹 또는 락킹해제 하는 폴레버; 및
상기 베이스의 타측에 위치되고, 일단은 상기 제1회전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베이스에 설치된 고정축에 결합되되, 복수의 링크로 구성되어 상기 메인기어의 회전시 동작되는 신칭레버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개폐장치.
A base having a first insertion hole into which a striker can be inserted or withdrawn;
A main gear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base and rotatably provided on the first rotation shaft by a drive motor and having a release boss protruded toward the base side;
And a second insertion hole formed to be rotatable on the first insertion hole side of the base and into which the striker is inserted is formed so that when the striker is inserted into the first insertion hole and the second insertion hole, A locking member configured to lock the locking member; And
A release lever positioned on one side of the base adjacent to the main gear and the cowl and rotated about a second rotation axis by an operation of the main gear;
A pawl lever positioned between the base and the release lever and rotatably coupled to the second rotation shaft, the pawl being rotated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release lever to lock or unlock the claw; And
And a second lever which is connected to the first shaft and is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rotation shaft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a fixed shaft provided on the base, And an opening / closing device for a vehicle tailga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상측에는 상기 메인기어와 인접된 위치에 상기 구동모터가 구비되고, 상기 구동모터의 모터축에는 웜기어가 구비되어,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시 상기 웜기어의 회전에 의해 상기 메인기어가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개폐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ain motor is provid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main gear on the base. A worm gear is provided on the motor shaft of the driving motor. When the driving motor is driven, the main gear is rotated by the rotation of the worm gear And the opening / closing device of the tailgate for a vehicl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신칭레버부는 일단은 상기 메인기어의 제1회전축에 설치되는 제1링크; 일단이 상기 제1링크의 타단에 핀결합되어 제1결합부를 형성하는 제2링크; 및 일단이 상기 제2링크의 타단에 핀결합되어 제2결합부를 형성하고, 타단이 상기 고정축에 핀결합되는 제3링크;로 구성되어, 상기 메인기어의 회전시 상기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는 링크운동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개폐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link is provided at one end with a first rotation axis of the main gear; A second link having one end pinn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link to form a first engagement; And a third link whose one end is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link to form a second engagement portion and the other end is pin-coupled to the fixed shaft, And the second engaging portion performs a linking motion.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2링크 및 제3링크는 중심측이 절곡되어 다단을 형성하되, 상기 제2링크는 일측 보다 타측이 상기 베이스측에 더 가깝도록 절곡되고, 상기 제3링크는 타측 보다 일측이 상기 베이스측에 더 가깝도록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개폐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second link and the third link are bent so that the other side is closer to the base side than the one side, and the third link is bent at one side from the base side Of the tailgate of the vehicle.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클로우에는 상기 베이스의 반대측으로 돌출되는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메인기어의 회전시 상기 제2결합부측이 상기 걸림돌기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클로우가 회전되어 락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개폐장치.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claw is provided with a locking protrusion protruding to the opposite side of the base, and the locking protrusion is rotated and locked by pressing the locking protrusion on the side of the second engaging portion when the main gear is rotated.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릴리즈레버와 폴레버가 결합되는 상기 제2회전축에는 상기 릴리즈레버를 상기 클로우측으로 상시 가압하는 상태로 조립되는 제1탄성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개폐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elastic member is assembled to the second rotation shaft on which the release lever and the pawl lever are engaged, the first elastic member being assembled in a state of constantly urging the release lever toward the right sid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릴리즈레버의 상측에는 제4회전축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리버스레버가 설치되고, 상기 리버스레버는 상단부가 상기 메인기어의 반대측으로 절곡되어 연장형성됨으로써, 상기 메인기어의 회전시 상기 릴리즈보스에 의해 상기 리버스레버가 가압되어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개폐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reverse lever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release lever so as to be rotatable by a fourth rotary shaft, and an upper end portion of the reverse lever is bent and extended toward the opposite side of the main gear, And the reverse lever is pressed and rotated.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4회전축에는 제2탄성부재가 결합되어 상기 리버스레버가 회전 후 탄성적으로 원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개폐장치.
The method of claim 7,
And the second elastic member is engaged with the fourth rotation shaft so that the reverse lever is resiliently rotated after rota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클로우에는 상기 클로우의 외주면을 따라 제1걸림턱, 제2걸림턱 및 제3걸림턱이 형성되어, 상기 폴레버가 상기 걸림턱에 단계적으로 걸림으로써, 상기 스트라이커의 락킹 또는 락킹해제가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개폐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law is provided with first, second, and third stoppers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law, and the pawl lever is stepped on the stopper so that locking or unlocking of the striker is implemented And the opening / closing device of the tailgate for a vehicl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클로우의 회전축에는 상기 클로우를 상기 제1삽입홀측으로 상시 가압하는 상태로 조립되는 제3탄성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개폐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third elastic member is provided on the rotation shaft of the claw so as to be assembled in a state of constantly pressing the claw toward the first insertion hole sid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폴레버에는 인접한 지점에 1단락킹을 감지하는 제1센서 및 2단락킹을 감지하는 제2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메인기어에는 상기 메인기어의 위치를 감지하는 제3센서가 구비되며, 상기 제1센서, 제2센서 및 제3센서로부터 위치신호를 전달받고 상기 구동모터를 제어하는 제어부가 구비되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트라이커가 상기 제1삽입홀 및 제2삽입홀에 삽입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구동모터를 구동하여 상기 제1삽입홀 및 제2삽입홀에 삽입된 상기 스트라이커가 구속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개폐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awl lever is provided with a first sensor for detecting a first shorting and a second sensor for detecting a second shorting at an adjacent point, a third sensor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main gear, And a controller for receiving a position signal from the first sensor, the second sensor and the third sensor and controlling the driving motor, wherein the controller determines that the striker is inserted into the first insertion hole and the second insertion hole And the drive motor is driven to arrest the striker inserted into the first insertion hole and the second insertion hole.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서는 상기 제1센서의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구동모터를 구동하어 신칭을 수행하고, 다시 상기 제2센서 및 제3센서의 신호가 상기 제어부에 입력되면, 신칭을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개폐장치.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when the signal of the first sensor is input, the control unit drives the driving motor to carry out a new identification, and when the signals of the second sensor and the third sensor are input to the control unit, A 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a tailgate for a vehicle.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클로우로부터 상기 스트라이커의 이탈이 완료되고, 상기 제3센서의 신호가 상기 제어부에 입력되면, 상기 구동모터가 회전되어 세팅위치가 원상복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개폐장치.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when the release of the striker from the cowl is completed and a signal of the third sensor is input to the control unit, the drive motor is rotated to restore the setting position to the original posi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서는 테일게이트의 개방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구동모터를 작동하여 상기 릴리즈레버가 회전되도록함으로써, 상기 클로우가 회전되어 상기 스트라이커의 락킹이 해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개폐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when the opening signal of the tail gate is inputted, the control unit causes the drive lever to rotate by operating the drive motor to rotate the claw so that locking of the striker is released.
KR1020160174406A 2016-12-20 2016-12-20 Switchger of tailgate for vehicle KR2018007201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4406A KR20180072013A (en) 2016-12-20 2016-12-20 Switchger of tailgate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4406A KR20180072013A (en) 2016-12-20 2016-12-20 Switchger of tailgate for vehic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2013A true KR20180072013A (en) 2018-06-29

Family

ID=627810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4406A KR20180072013A (en) 2016-12-20 2016-12-20 Switchger of tailgate for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72013A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90226247A1 (en) * 2017-11-15 2019-07-25 Magna BOCO GmbH Latch assembly with power release and dual stage cinch function
CN110528975A (en) * 2018-11-09 2019-12-03 湖南海博瑞德电智控制技术有限公司 The unlocking method and locking method of lock are inhaled in a kind of integral type
KR20200012629A (en) 2018-07-27 2020-02-05 한국자동차연구원 Door blas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emergency escape
KR102188007B1 (en) * 2019-08-16 2020-12-08 평화정공(주) Latch device for vehicle
US11927037B2 (en) * 2019-10-11 2024-03-12 Brose Schließsystem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Motor vehicle lock arrangem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13932A (en) 2006-07-03 2008-01-24 Mitsui Mining & Smelting Co Ltd Door latch device for vehicl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13932A (en) 2006-07-03 2008-01-24 Mitsui Mining & Smelting Co Ltd Door latch device for vehicle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90226247A1 (en) * 2017-11-15 2019-07-25 Magna BOCO GmbH Latch assembly with power release and dual stage cinch function
US11859416B2 (en) * 2017-11-15 2024-01-02 Magna BOCO GmbH Latch assembly with power release and dual stage cinch function
KR20200012629A (en) 2018-07-27 2020-02-05 한국자동차연구원 Door blas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emergency escape
CN110528975A (en) * 2018-11-09 2019-12-03 湖南海博瑞德电智控制技术有限公司 The unlocking method and locking method of lock are inhaled in a kind of integral type
CN110528975B (en) * 2018-11-09 2021-04-02 湖南海博瑞德电智控制技术有限公司 Unlocking method and locking method of integrated sucking lock
KR102188007B1 (en) * 2019-08-16 2020-12-08 평화정공(주) Latch device for vehicle
US11927037B2 (en) * 2019-10-11 2024-03-12 Brose Schließsystem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Motor vehicle lock arrangeme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71434A (en) Switchger of tailgate for vehicle
CN108204184B (en) Back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vehicle
KR20180072013A (en) Switchger of tailgate for vehicle
KR20180133019A (en) Switchger of luggage room for vehicle
JPH082351Y2 (en) Automatic lid locking system for automobiles
KR101795252B1 (en) Trunk latch module for vehicle
KR101918367B1 (en) Trunk latch module for vehicle
US5295720A (en) Motor vehicle door lock
JP2002106249A (en)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door
KR200418883Y1 (en) Vehicle Tail Gate Latch Assembly
KR101916048B1 (en) Door latch device for outside handle of vehicle
JPH0516364Y2 (en)
US10745948B2 (en) Vehicular closure latch assembly having double pawl latch mechanism
KR20140096188A (en)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car
KR100694453B1 (en) Vehicle power closing latch
KR20130027178A (en) Unlock structure of tail gate ratchet gear for vehicle
CN210798577U (en) Novel release mechanism
EP3450660B1 (en) Door closing device
KR102187596B1 (en) Electric door latch apparatus
CN210798575U (en) Novel grasping mechanism with angle
JP2000234464A (en) Lock device
JP2005248485A (en) Door closing device and its control device
KR101035718B1 (en) Dual powerlock locking apparatus
JP2657022B2 (en) Door lock device
JP2854807B2 (en) Door closing device for automobi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