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0454A - Apparatus for generating aerosols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generating aerosol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0454A
KR20180070454A KR1020170119664A KR20170119664A KR20180070454A KR 20180070454 A KR20180070454 A KR 20180070454A KR 1020170119664 A KR1020170119664 A KR 1020170119664A KR 20170119664 A KR20170119664 A KR 20170119664A KR 20180070454 A KR20180070454 A KR 201800704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garette
passage
holder
cradle
he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966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35893B1 (en
Inventor
이종섭
이장욱
한정호
임헌일
한대남
윤진영
김영래
장지수
임왕섭
이문봉
주성호
박두진
윤성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70077586A external-priority patent/KR20180070436A/en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to EP18784164.8A priority Critical patent/EP3610741A4/en
Priority to CN201880024276.XA priority patent/CN110494053B/en
Priority to PCT/KR2018/004179 priority patent/WO2018190606A1/en
Priority to JP2019555204A priority patent/JP6930687B2/en
Priority to US16/604,450 priority patent/US11197497B2/en
Publication of KR201800704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045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58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589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24F40/53Monitoring, e.g. fault detection
    • A24F47/008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BMANUFACTURE OR PREPARATION OF TOBACCO FOR SMOKING OR CHEWING; TOBACCO; SNUFF
    • A24B15/00Chemical features or treatment of tobacco; Tobacco substitutes, e.g. in liquid form
    • A24B15/10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 A24B15/16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of tobacco substitut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BMANUFACTURE OR PREPARATION OF TOBACCO FOR SMOKING OR CHEWING; TOBACCO; SNUFF
    • A24B15/00Chemical features or treatment of tobacco; Tobacco substitutes, e.g. in liquid form
    • A24B15/10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 A24B15/16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of tobacco substitutes
    • A24B15/167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of tobacco substitutes in liquid or vaporisable form, e.g. liquid compositions for electronic cigarett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24F40/57Temperature control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85Maintenance, e.g. clea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1/00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 A61M11/04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operated by the vapour pressure of the liquid to be sprayed or atomised
    • A61M11/041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operated by the vapour pressure of the liquid to be sprayed or atomised using heaters
    • A61M11/042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operated by the vapour pressure of the liquid to be sprayed or atomised using heaters electric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65Inhalators with dosage or measuring devices
    • A61M15/0068Indicating or counting the number of dispensed doses or of remaining doses
    • A61M15/008Electronic coun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6Inhaling appliances shaped like cigars, cigarettes or pipes

Abstract

An apparatus for generating aerosol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llow case including a passage for storing a cigarette, an opening opened from one end of the passage to the outside for a user to insert the cigarette from the outside, and a protrusion protruding from a through-hole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passage and the passage itself to touch a portion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igarette; and a heater arranged inside the passage by having one end portion passing through the through-hole to be inserted into the cigarette stored inside the passage, and heating the cigarette when electricity is applied.

Description

에어로졸 생성 장치{Apparatus for generating aerosols}Apparatus for generating aerosols

실시예들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궐련을 수용하는 통로의 돌기가 궐련을 안정적으로 지지함으로써 사용이 편리하며 내구성과 안정성이 향상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which is improved in durability and stability by being easily used by stably supporting a cigarette by a projection of a passage accommodating the cigarette.

근래에 일반적인 궐련의 단점들을 극복하는 대체 방법에 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예를 들어, 궐련을 연소시켜 에어로졸을 생성시키는 방법이 아닌 궐련 내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가열됨에 따라 에어로졸이 생성하는 방법에 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가열식 궐련 또는 가열식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There is a growing demand for alternative methods to overcome the disadvantages of common cigarettes in recent years. For example, there is an increasing demand for a method in which aerosols form as the aerosol product in the cigarette is heated, rather than burning the cigarette to produce an aerosol. Accordingly, studies on a heating type cigarette or a heating type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have been actively conducted.

전기를 이용하여 궐련을 가열하는 히터를 구비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사용할 때에는 히터에 의해 가열됨으로써 흡연용 기체를 발생시킨 궐련을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서 분리하여 폐기한 후 새로운 궐련을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삽입할 수 있다.When using an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equipped with a heater for heating a cigarette using electricity, the cigarette generating the smoking gas is heated and separated by the heater to separate and dispose of the cigarette from the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and then a new cigarette can be inserted into the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have.

한국 등록특허 제10-1667124호는 궐련을 가열하여 흡연용 기체를 발생시키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관한 것으로,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궐련을 삽입하는 동작이나 에어로졸 생성 장치로부터 궐련을 분리하는 동작을 보조하는 홀더(holder)의 구조를 설명한다.Korean Patent No. 10-1667124 relates to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for heating a cigarette to generate a smoking gas and includes a holder for assisting an operation of inserting a cigarette into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or separating the cigarette from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holder will be described.

사용자가 이러한 구조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사용할 때에는 흡연 시에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외부로 추출되는 홀더에 궐련을 삽입하여 홀더와 궐련을 에어로졸 생성 장치로 밀어 넣는 동작을 실시하고, 흡연 후에는 홀더를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외부로 돌출시킨 후 홀더에서 궐련을 제거하는 작업을 실시해야 하므로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불편함을 느낄 수 있다.When the user uses the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having such a structure, the cigarette is inserted into the holder extracted to the outside of the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at the time of smoking, and the holder and the cigarette are pushed into the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After smoking, The cigarette must be removed from the holder after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device. Therefore, a user who uses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may feel inconvenience.

또한 종래에는 궐련을 수용하는 케이스가 궐련의 외측면과 직접 접촉하므로 궐련에서 발생한 열이 케이스로 직접 전달되어 케이스가 과열된다. 또한 궐련과 케이스의 사이에 여유 공간이 없으므로 궐련이 케이스에 삽입되는 동안 궐련에 히터가 삽입될 때에 궐련의 외벽이 팽창하여 궐련과 케이스의 사이에 마찰력이 증가하므로 케이스의 내부로 궐련을 삽입하기가 어렵다. 또한 궐련과 케이스가 직접 접촉함으로 인해 케이스의 내부에서 에어로졸 발생에 필요한 공기의 흐름이 원활하지 않다.Also, conventionally, the case for accommodating the cigarette comes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cigarette, so heat generated in the cigarette is directly transferred to the case, thereby overheating the case. Further, since there is no clearance space between the cigarette and the case, when the heater is inserted into the cigarette while the cigarette is inserted into the case, the outer wall of the cigarette expands and th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cigarette and the case increases. Therefore, it's difficult. Also, since the cigarette and the case are in direct contact with each other, the flow of air required for generating the aerosol in the case is not smooth.

한국 등록특허 제10-1667124호(2016.10.11)Korean Patent No. 10-1667124 (Oct. 10, 2016)

실시예들의 목적은 사용이 편리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It is an object of embodiments to provide an easy to use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and method.

실시예들의 다른 목적은 내구성 및 안정성이 향상되고 내부가 청결히 유지될 수 있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embodiments is to provide an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capable of improving durability and stability and keeping the interior clean.

또한, 상기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해결하려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on which a program for causing the computer to execute the method is provided. 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is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may exist.

일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궐련을 수용하기 위한 통로와 외부로부터 궐련이 삽입되도록 통로의 일단에서 외부로 개방된 개구와 통로의 타단에 연결된 통공과 통로에서 돌출되어 궐련의 외측면의 일부분에 접촉하는 돌기를 구비하는 중공형상의 케이스와, 일측 단부가 통로에 수용되는 궐련에 삽입되도록 일측 단부가 통공을 통과하여 통로의 내부에 배치되어 전기가 인가되면 궐련을 가열하는 히터를 구비한다.The apparatus for generating aerosol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ncludes a passage for receiving a cigarette, an opening opened to the outside at one end of the passage so as to insert the cigarette from the outside, a through hole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passage and a passage protruding from a part of the outer surface of the cigarette And a heater for heating the cigarette when one end of the cigarette is inserted into the passage through one of the through holes so that electricity is applied to the cigarette.

돌기는 궐련의 외측면에서 궐련의 중심에 대해 둘레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복수 개가 배치됨으로써 인접한 돌기의 사이에 공기가 통과하는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A plurality of protrusions are dispos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igarette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cigarette, thereby forming a flow path through which air flows between the adjacent protrusions.

돌기는 궐련의 외측면에서 궐련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복수 개가 배치됨으로써 인접한 돌기의 사이에 공기가 통과하는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A plurality of protrusions are dispos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igarette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igarette, so that a flow path through which air flows can be formed between the adjacent protrusions.

돌기는 궐련의 중심에 대해 둘레 방향을 따라 궐련의 외측면의 일부분과 접촉하도록 궐련의 중심에 대해 둘레 방향으로 연장함으로써 공기가 통과하는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The projections may exten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cigarette so as to come into contact with a part of the outer surface of the cigarette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cigarette so as to form a passage through which the air passes.

돌기는 통로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할 수 있다.The projection may exten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assage.

궐련이 통로에 수용되었을 때 돌기가 통로의 타단에 위치하는 궐련의 단부의 외측면의 일부분에 접촉하도록 돌기가 통공의 타단에서 내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When the cigarette is received in the passage, the projection may protrude inwardly from the other end of the through-hole so that the projection comes into contact with a part of the outer surface of the end of the cigarette positioned at the other end of the passage.

돌기는 궐련이 통로에 삽입될 때에 궐련의 단부의 움직임을 안내하도록 통로의 일단에서 통로의 타단을 향하는 방향으로 통로의 중심을 향해 경사를 이루는 경사면을 구비할 수 있다.The projection may have an inclined surface inclined toward the center of the passage in a direction toward one end of the passage from one end of the passage so as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end of the cigarette when the cigarette is inserted into the passage.

케이스는 통로의 타단을 덮는 바닥벽을 더 구비할 수 있고, 바닥벽은 통로에 수용된 궐련의 단부의 바닥면에 접촉할 수 있으며, 통공은 바닥벽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case may further include a bottom wall covering the other end of the passage, and the bottom wall may contact the bottom surface of the end of the cigarette received in the passage, and the through hole may be formed to penetrate the bottom wall.

바닥벽은 궐련의 외측면과 통로의 사이의 공간과 연결된 연결통로를 구비할 수 있다.The bottom wall may have a connecting passage connected to a space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cigarette and the passageway.

바닥벽은 궐련의 단부의 바닥면을 지지하도록 돌출된 바닥돌기를 구비할 수 있다.The bottom wall may have a bottom protrusion protruding to support the bottom surface of the end of the cigarette.

돌기는 통로의 길이 방향을 따라 통로의 일단에서 통로의 타단까지 연장할 수 있으며, 돌기가 궐련의 외측면에서 궐련의 중심에 대해 둘레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복수 개가 배치됨으로써 인접한 돌기의 사이에 공기가 통과하는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The protrusions may extend from one end of the passage to the other end of the passag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assage and a plurality of the protrusions are arrang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igarette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cigarette, A flow passage can be formed.

돌기는 통로에 수용된 궐련의 단부의 바닥면에 접촉하도록 통로의 중심을 향하여 돌출된 바닥돌출부를 구비할 수 있다.The projection may have a bottom projection projecting toward the center of the passage so as to contact the bottom surface of the end of the cigarette received in the passage.

돌기는 통로의 내벽면에서 서로 이격되도록 복수 개가 배치될 수 있고,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궐련이 통로에 수용되었을 때 통로의 타단에 위치하는 궐련의 단부의 외측면의 일부분에 접촉하도록 통로에서 돌출되는 단부돌기를 더 구비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protrusions may be disposed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passage, and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may include an end protruding from the passage so as to contact a part of the outer surface of the end portion of the cigarette located at the other end of the passage when the cigarette is accommodated in the passage It is possible to further include a projection.

케이스는 통로의 타단을 덮는 바닥벽을 더 구비할 수 있고, 바닥벽은 통로에 수용된 궐련의 단부의 바닥면에 접촉할 수 있으며, 통공은 바닥벽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고, 바닥벽은 궐련의 단부의 바닥면을 지지하도록 돌출된 바닥돌기를 구비할 수 있다.The case may further include a bottom wall that covers the other end of the passage, the bottom wall may contact the bottom surface of the end of the cigarette received in the passage, the through hole may be formed to penetrate the bottom wall, And a bottom protrusion protruded to support the bottom surface of the end portion of the end portion.

단부돌기와 바닥돌기는 서로 연결될 수 있다.The end protrusion and the bottom protrusion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다른 측면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은, 궐련을 가열함으로써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홀더; 및 상기 홀더가 삽입되는 내부 공간을 포함하는 크래들;을 포함하고, 상기 홀더가 상기 크래들의 상기 내부 공간에 삽입된 후 틸트(tilt)되어 상기 에어로졸을 생성한다.An aerosol generat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aspect includes: a holder for generating an aerosol by heating the cigarette; And a cradle including an inner space into which the holder is inserted, wherein the holder is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cradle and then tilted to generate the aerosol.

또 다른 측면에 따른 홀더에 삽입되는 궐련은, 복수의 담배 가닥들을 포함하는 담배 로드; 중공을 포함하는 제 1 필터 세그먼트; 상기 생성된 에어로졸을 냉각하는 냉각 구조물; 및 제 2 필터 세그먼트;를 포함한다.A cigarette inserted into a holder according to another aspect comprises a tobacco rod comprising a plurality of tobacco strands; A first filter segment comprising a hollow; A cooling structure for cooling the generated aerosol; And a second filter segment.

상술한 바와 같은 실시예들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의하면 사용자가 케이스의 통로를 따라 궐련을 밀어 넣어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궐련을 장착할 수 있고 궐련을 잡아당겨 에어로졸 생성 장치로부터 궐련을 분리할 수 있으므로 사용이 편리하다. According to the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as described above, the user can push the cigarette along the passage of the case to mount the cigarette to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pull the cigarette and pull the cigarette from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This is convenient.

또한 궐련과 케이스의 표면의 접촉 면적을 줄임으로써, 궐련에서 케이스로 열이 전달되는 열전도 면적을 줄일 수 있다.Further, by reducing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surface of the cigarette and the case, the heat conduction area through which heat is transferred from the cigarette to the case can be reduced.

또한 궐련과 케이스의 내부 공간이 서로 이격되어 있으므로 궐련 내부에 히터가 삽입되어 궐련이 팽창하더라도 궐련이 용이하게 케이스의 내부로 삽입된다. 만일 궐련과 케이스의 사이에 여유 공간이 없으면 궐련에 히터가 삽입되는 과정에서 궐련의 외벽이 팽창하여 궐련과 케이스의 사이에 마찰력이 증가하므로 케이스의 내부로 궐련을 삽입하기가 어려워진다.Further, since the cigarettes and the case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 heater is inserted into the cigarette so that the cigarette is easily inserted into the case even if the cigarette expands. If there is no space between the cigarette and the case, the outer wall of the cigarette expands during the process of inserting the cigarette into the cigarette, increasing th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cigarette and the case, making it difficult to insert the cigarette into the case.

외부의 공기의 기류를 궐련의 외측면과 케이스의 사이에 형성된 틈으로 유입시킴으로써 케이스의 표면을 냉각시킬 수 있다.The surface of the case can be cooled by introducing the air flow of the outside air into the gap formed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cigarette and the case.

통로와 돌기를 갖는 케이스의 구성에 의해 궐련에 유입되는 공기를 예열할 수 있다. The air introduced into the cigarette can be preheated by the constitution of the case having the passages and the protrusions.

또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대해 이동함으로써 궐련을 수용하는 홀더의 사용을 배제함으로 인해 구성요소의 개수가 줄어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이 간소화됨과 아울러 홀더와 관련되어 빈번히 발생하던 고장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use of the holder for accommodating the cigarette is eliminated by moving the device relative to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the number of components is reduced, thereby simplify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preventing troubles such as troubles frequently associated with the holder have.

또한 홀더의 사용을 배제함으로 인해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청결히 유지할 수 있으며 유지관리가 간편하다.Also, by eliminating the use of the holder, the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can be kept clean and maintenance is easy.

또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삽입된 궐련이 통로의 돌기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되므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안정성이 향상되었다.In addition, since the cigarette inserted into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is stably supported by the protrusion of the passage, the stability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is improved.

또한 통로의 돌기가 궐련의 외측면의 일부분과 접촉함으로써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유로가 형성되므로 에어로졸 발생을 보조하기 위한 외부의 공기가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내부로 충분히 원활하게 공급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rotrusion of the passage comes into contact with a part of the outer surface of the cigarette, a flow path through which air can pass is formed, so that external air for assisting the generation of aerosol can be supplied smoothly into the interior of the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도 1은 일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작동 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궐련이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Ⅲ-Ⅲ의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Ⅴ-Ⅴ의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7은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구성요소들의 결합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일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일부 구성요소들의 결합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5는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일부 구성요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6은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일부 구성요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7은 도 16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8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9a 및 도 19b는 홀더의 일 예를 여러 측면에서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20은 크래들의 일 예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1a 및 도 21b는 크래들의 일 예를 여러 측면에서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22는 홀더가 크래들에 삽입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3은 홀더가 크래들에 삽입된 상태에서 틸트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4a 내지 도 24b는 홀더가 크래들에 삽입된 예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25는 홀더 및 크래들이 동작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6은 홀더가 동작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7은 크래들이 동작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8은 홀더에 궐련이 삽입된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9a 및 29b는 궐련의 일 예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30a 내지 도 30f는 궐련의 냉각 구조물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exemplarily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an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where a cigarette is mounted on the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I-III of the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V of the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Fig. 6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art of the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4 on an enlarged scale.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Fig. 9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upling relationship of the components of the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8; 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1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art of an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Fig. 12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ngagement relationship of some components of an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1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15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some components of an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16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some components of an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1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8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n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19A and 19B are views showing an example of the holder in various aspects.
20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cradle.
21A and 21B are views showing an example of the cradle in various aspects.
22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holder is inserted into the cradle.
23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holder is tilted in a state of being inserted into the cradle.
24A to 24B are views showing examples in which the holder is inserted into the cradle.
25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n example in which a holder and a cradle operate.
26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n example in which the holder operates.
27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n example in which the cradle operates.
28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 cigarette is inserted into a holder.
29A and 29B are diagrams showing an example of a cigarette.
30A to 30F are views showing examples of a cooling structure of a cigarette.

실시 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Although the terms used in the embodiments have been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elect general terms that are widely used at present. However, these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f the person skilled in the art or the precedent, the emergence of new technology. Also, in certain cases, there may be a term selected arbitrarily by the applicant, in which case the meaning thereof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scription of the corresponding invention. Therefore, the term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ased on the meaning of the term, not on the name of a simple term, but on the entire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 including " an element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element may include other elements as well,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term " "... Module " or the like means a unit for processing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may be implemented in hardware or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도 1은 일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작동 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궐련이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Ⅲ-Ⅲ의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exemplarily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an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2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where a cigarette is mounted on the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I-III of the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궐련(7)을 수용할 수 있는 케이스(10)와, 일측 단부(31)가 케이스(10)의 내부에 삽입되어 궐련(7)을 가열하는 히터(30)를 구비한다.The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1 to 3 includes a case 10 capable of accommodating a cigarette 7 and a cigarette 7 having one end 31 inserted into the case 10 And a heater (30) for heating.

케이스(1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외관을 형성하며 내부에 형성된 공간에 여러 가지 구성요소들을 수용하고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케이스(10)는 전체적으로 내부가 비어 있는 중공의 원통형상을 가지며 전방 단부가 외부로 개방되어 궐련(7)이 삽입될 수 있다. The case 10 forms the appearance of the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and functions to receive and protect various components in a space formed therein. The case 10 has a hollow cylindrical shape whose inside is entirely empty and the front end thereof is open to the outside, so that the cigarette 7 can be inserted.

케이스(10)는 전기와 열을 전달하지 않는 플라스틱 소재나, 표면에 플라스틱 소재가 코팅된 금속성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케이스(10)가 원형의 단면을 갖는 원통 형상을 갖지만, 실시예는 이러한 케이스(10)의 구성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케이스(10)는 사각형 등의 다각형의 단면을 갖는 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case 10 may be made of a plastic material that does not transmit electricity and heat, or a metallic material whose surface is coated with a plastic material.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case 10 has a cylindrical shape having a circular cross section, but the embodiment is not limited by the configuration of such a case 10. [ For example, the case 10 may have a tubular shape having a polygonal cross section such as a square.

도 2를 참조하면 케이스(10)는 궐련(7)을 수용하기 위한 통로(20)를 구비하는 중공형상의 내통(11)과, 내통(11)의 외측에 결합되는 중공형상의 중간통(12)과, 중간통(12)의 외측에 결합되는 외통(13)을 구비한다.2, the case 10 includes a hollow inner cylinder 11 having a passage 20 for receiving the cigarette 7, a hollow intermediate cylinder 12 (not shown) coupled to the outer side of the inner cylinder 11, And an outer cylinder 13 which is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intermediate cylinder 12. As shown in Fig.

내통(11)은 궐련(7)을 수용하기 위한 통로(20)와, 외부로부터 궐련(7)이 삽입되도록 통로(20)의 일단(20f)에서 외부로 개방된 개구(21)와, 통로(20)의 타단(20r)에 연결된 통공(22)을 구비한다. 내통(11)은 통로(20)의 내벽면에서 통로(20)의 중심을 향해 돌출되어 궐련(7)의 외측면(7s)의 일부분에 접촉하는 돌기(25)를 구비한다.The inner cylinder 11 includes a passage 20 for accommodating the cigarette 7 and an opening 21 opened to the outside at one end 20f of the passage 20 for inserting the cigarette 7 from the outside, And a through hole (22) connected to the other end (20r) of the base (20). The inner cylinder 11 has protrusions 25 protruding toward the center of the passage 20 from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passage 20 and contacting a part of the outer surface 7s of the cigarette 7. [

내통(11)은 케이스(10)의 가장 안쪽에 배치되어 외부로부터 삽입되는 궐련(7)이 통로(20)를 따라 이동하도록 궐련(7)의 이동경로를 제공하고 궐련(7)을 수용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내통(11)과 중간통(12)과 외통(13)이 결합된 후에 에어로졸 생성 장치가 사용되는 동안 내통(11)은 중간통(12)과 외통(13)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하지 않고 위치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The inner cylinder 11 is disposed at the innermost portion of the case 10 to provide a path for moving the cigarette 7 so that the cigarette 7 inserted from the outside moves along the passage 20 and functions to accommodate the cigarette 7 . The inner tube 11 does not move relative to the intermediate tube 12 and the outer tube 13 while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is used after the inner tube 11 and the middle tube 12 and the outer tube 13 are engaged, It remains fixed.

내통(11)에 형성된 통로(20)는 궐련(7)의 형상에 대응하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 실시예는 통로(20)의 형상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통로(20)의 형상이 사각형 등의 다각형의 단면을 갖는 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passage 20 formed in the inner cylinder 11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cigarette 7. [ The embodiment is not limited by the shape of the passage 20, and for example, the shape of the passage 20 may be formed into a cylinder shape having a polygonal cross section such as a quadrangle.

통로(20)의 직경은 궐련(7)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되므로 통로(20)에 궐련(7)이 수용되면 통로(20)와 궐련(7)에 공간이 형성된다. 따라서 통로(20)와 궐련(7)의 사이에는 통로(20)의 개구(21)를 통하여 외부로 연결되어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유로(25p)가 형성된다.The diameter of the passage 20 is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cigarette 7 so that a space is formed in the passage 20 and the cigarette 7 when the cigarette 7 is received in the passage 20. A flow path 25p is formed which is connec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pening 21 of the passage 20 and through which the air can pass between the passage 20 and the cigarette 7. [

케이스(10)는 통로(20)의 타단(20r)을 덮는 바닥벽(29)을 구비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바닥벽(29)은 내통(11)의 외측에 결합된 중간통(12)에 의해 형성된다. 바닥벽(29)은 통로(20)에 수용되는 궐련(7)의 단부(7e)의 바닥면(7d)과 접촉한다. 또한 바닥벽(29)은 통로(20)와 연결되는 통공(22)을 갖는다.The case 10 has a bottom wall 29 that covers the other end 20r of the passage 20. [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1 to 3, the bottom wall 29 is formed by an intermediate cylinder 12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inner cylinder 11. The bottom wall 29 comes into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7d of the end portion 7e of the cigarette 7 accommodated in the passage 20. [ The bottom wall 29 also has a through-hole 22 which communicates with the passage 20.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사용자가 궐련(7)을 통로(20)에 삽입하여 궐련(7)이 통로(20)를 따라 이동하다가 궐련(7)의 단부(7e)가 바닥벽(29)에 도달하면, 궐련(7)을 쥐고 있는 사용자의 손에 바닥벽(29)과 궐련(7)의 단부(7e)가 접촉하는 느낌이 전달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궐련(7)을 손에 쥐고 통로(20)의 개구(21)에 궐련(7)을 밀어 넣는 간단한 동작을 실시함으로써 궐련(7)을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간편하게 장착할 수 있다.When the user of the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inserts the cigarette 7 into the passage 20 and the cigarette 7 moves along the passage 20 and the end 7e of the cigarette 7 reaches the bottom wall 29, The feeling of contact between the bottom wall 29 and the end 7e of the cigarette 7 is transmitted to the user holding the cigarette 7. Therefore, the user can easily mount the cigarette 7 to the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by carrying out a simple operation of holding the cigarette 7 in the hand and pushing the cigarette 7 into the opening 21 of the passage 20. [

케이스(10)에는 궐련(7)을 가열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히터(30)가 결합된다. 히터(30)의 일측 단부(31)는 바닥벽(29)의 통공(22)을 통해 통로(20)의 내부에 배치되며, 케이스(10)에 궐련(7)이 수용되는 경우 히터(30)의 일측 단부(31)가 궐련(7)의 단부(7e)의 바닥면(7d)에 삽입된다.In the case 10, a heater 30, which performs a function of heating the cigarette 7, is coupled. One end portion 31 of the heater 30 is disposed inside the passage 20 through the through hole 22 of the bottom wall 29. When the cigarette 7 is accommodated in the case 10, One end portion 31 of the cigarette 7 is inserted into the bottom surface 7d of the end portion 7e of the cigarette 7. [

바닥벽(29)에 형성된 통공(22)의 크기는 히터(30)의 일측 단부(31)의 두께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히터(30)의 일측 단부(31)가 원형의 단면을 갖는 경우 통공(22)도 원형의 단면 형상을 갖고, 통공(22)의 내경은 히터(30)의 일측 단부(31)의 외경에 대응하도록 형성된다.The size of the through hole 22 formed in the bottom wall 29 may correspond to the thickness of the one end 31 of the heater 30. [ For example, when one end portion 31 of the heater 30 has a circular cross-section, the through hole 22 also has a circular cross-sectional shape, and the inner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22 is larger than one end 31 of the heater 30. [ As shown in Fig.

실시예는 통공(22)의 내경의 크기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통공(22)의 내경은 히터(30)의 일측 단부(31)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통공(22)의 내면이 히터(30)의 일측 단부(31)의 외측면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inner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22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one end 31 of the heater 30, so that the inner surface of the through hole 22 And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outer surface of one end portion 31 of the heater 30.

히터(30)의 타측 단부(32)는 전기 배선(71)을 통해 케이스(10)의 후방에 배치된 전기공급장치(72)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케이스(10)의 후방에는 전기공급장치(72)를 둘러싸는 베이스(19)가 연결된다. 히터(30)의 일측 단부(31)에 궐련(7)이 삽입된 상태에서 전기공급장치(72)의 전기가 히터(30)에 공급되면 히터(30)가 가열됨으로써 궐련(7)이 가열된다.The other end portion 32 of the heater 3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ic power supply device 72 disposed at the rear of the case 10 through the electric wiring 71. A base 19 surrounding the electrical supply device 72 is connected to the rear of the case 10. When electricity is supplied to the heater 30 in a state where the cigarette 7 is inserted into the one end 31 of the heater 30, the cigarette 7 is heated by heating the heater 30 .

도 3을 참조하면, 내통(11)에는 복수 개의 돌기(25)가 배치된다. 돌기(25)는 궐련(7)의 외측면(7s)에서 궐련(7)의 중심에 대한 둘레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됨으로써 인접한 돌기(25)의 사이에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유로(25p)가 형성된다. Referring to FIG. 3, a plurality of protrusions 25 are disposed in the inner cylinder 11. As shown in FIG. The protrusions 25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cigarette 7 from the outer side surface 7s of the cigarette 7 so that a flow path 25p Is formed.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궐련(7)은 원통형상을 가지고, 내통(11)의 통로(20)도 궐련(7)의 형상에 대응하는 원통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돌기(25)는 궐련(7)의 외측면(7s)에서 궐련(7)의 중심에 대한 원주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돌기(25)의 개수가 4개이지만, 실시예는 이와 같은 돌기(25)의 개수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므로 돌기(25)의 개수를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다. 또한 돌기(25)의 설치 위치도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1 to 3, the cigarette 7 has a cylindrical shape, and the passage 20 of the inner tube 11 also has a cylindrical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cigarette 7. The projections 25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cigarette 7 from the outer side surface 7s of the cigarette 7. [ In addition, although the number of the projections 25 shown in the drawing is four, the number of the projections 25 can be variously modified because the embodiment is not limited by the number of the projections 25. [ Further,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projection 25 may be variously modified.

궐련(7)의 외측면(7s)과 접촉하는 돌기(25)의 단부면은 궐련(7)의 외측면(7s)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만곡된 원통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end face of the projection 25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outer face 7s of the cigarette 7 can be formed as a curved cylindrical fac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outer face 7s of the cigarette 7. [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돌기(25)는 통로(20)의 개구(21)와 통공(22)의 대략 중간 지점의 위치에 형성된다. 따라서 통로(20)는 개구(21)를 통해 외부와 연결되어, 외부의 공기가 개구(21)를 통하여 케이스(10)의 통로(20)로 유입된다. 1 and 2, the projection 25 is formed at a position approximately midway between the opening 21 of the passage 20 and the through-hole 22. The passage 20 is connec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pening 21 and the outside air flows into the passage 20 of the case 10 through the opening 21. [

궐련(7)의 단부(7e)의 외측면(7r)에는 어떤 구성요소도 접촉하지 않으므로 궐련(7)의 단부(7e)의 외측면(7r)은 공기에 의해 둘러싸인 상태에 놓인다. 히터(30)가 궐련(7)을 가열하여 궐련(7)에서 에어로졸 입자가 발생할 때 사용자가 궐련(7)을 입으로 물어 공기를 빨아들이면 궐련(7)의 단부(7e)의 외측면(7r)의 공기가 궐련(7)을 통과함으로써 에어로졸 입자를 포함하는 공기의 흐름이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다.No component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7r of the end portion 7e of the cigarette 7 so that the outer surface 7r of the end portion 7e of the cigarette 7 is surrounded by the air. When the heater 30 heats the cigarette 7 and aerosol particles are generated in the cigarette 7, when the user sucks the air by sucking the cigarette 7 through the mouth, the outer surface 7r of the end 7e of the cigarette 7 Can pass through the cigarette 7, so that the flow of the air including the aerosol particles can be transmitted to the user.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서는 사용자가 궐련(7)을 케이스(10)의 통로(20)에 삽입한 후 통로(20)를 따라 궐련(7)을 밀어 넣는 간편한 조작에 의해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궐련(7)을 쉽게 장착할 수 있다. 또한 궐련(7)의 사용을 마친 후에는 사용자가 궐련(7)의 상측 단부를 손으로 잡아 통로(20)의 외측으로 궐련(7)을 잡아당기는 간편한 조작에 의해 에어로졸 생성 장치로부터 궐련(7)을 분리할 수 있다.The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1 to 3 has a simple operation in which the user inserts the cigarette 7 into the passage 20 of the case 10 and then pushes the cigarette 7 along the passage 20 The cigarette 7 can be easily attached to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After the user completes the use of the cigarette 7, the user removes the cigarette 7 from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by a simple operation of holding the upper end of the cigarette 7 by hand and pulling the cigarette 7 outwardly of the passageway 20, Can be separated.

또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케이스(10)의 통로(20)에 궐련(7)이 삽입된 상태에서는 통로(20)의 돌기(25)가 궐련(7)의 외측면(7s)에 접촉함으로써 돌기(25)가 궐련(7)을 안정적으로 지지한다. 따라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사용하는 중에 궐련(7)이 에어로졸 생성 장치로부터 분리되지 않고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통로(20)에 궐련(7)이 수용된 상태가 안정되게 유지되므로, 사용자는 안전하게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즐길 수 있다.The projections 25 of the passages 20 come into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7s of the cigarette 7 in the state where the cigarettes 7 are inserted into the passages 20 of the case 10 of the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 Stably supports the cigarette 7. Therefore, the cigarette 7 is not separated from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during use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the state in which the cigarette 7 is accommodated in the passage 20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is stably maintained, .

또한 케이스(10)의 통로(20)의 돌기(25)가 궐련(7)의 외측면(7s)의 일부분과 접촉함으로써 통로(20)와 궐련(7)의 사이에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유로(25p)가 형성되므로, 에어로졸 발생을 보조하기 위한 외부의 공기가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내부로 충분히 원활하게 공급될 수 있다.The protrusion 25 of the passage 20 of the case 10 comes into contact with a part of the outer side surface 7s of the cigarette 7 and thereby the air can pass between the passage 20 and the cigarette 7. [ The external air for assisting the generation of the aerosol can be supplied to the interior of the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sufficiently smoothly.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Ⅴ-Ⅴ의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4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 단면도이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V of the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4, and FIG. 6 is a cross- Fig. 3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nlarged portion of a part of the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relating to Fig.

도 4 내지 도 6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서는 돌기(125)의 위치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의 돌기(25)의 위치와 상이하게 변형되었다.In the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4 to 6, the position of the protrusion 125 is modified to be different from that of the protrusion 25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돌기(125)는 통로(20)의 타단(20r)에서 통로(20)의 중심을 향해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도 6을 참조하면, 궐련(7)이 케이스(10)의 내통(11)의 통로(20)에 수용되었을 때 돌기(125)가 통로(20)의 타단(20r)에 위치하는 궐련(7)의 단부(7e)의 외측면(7r)의 일부분에 접촉한다.The projection 125 is formed so as to protrude inward toward the center of the passage 20 at the other end 20r of the passage 20. [ 6, when the cigarette 7 is accommodated in the passage 20 of the inner cylinder 11 of the case 10, the projection 125 is located at the other end 20r of the passage 20, (7r) of the end portion (7e) of the outer tube (7).

도 5를 참조하면, 돌기(125)는 궐련(7)의 외측면(7s)에서 궐련(7)의 중심에 대해 원주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복수 개가 배치된다. 이와 같은 돌기(125)의 배치 구조에 의해, 돌기(125)의 사이에 공기가 통과하는 유로가 형성된다.5, a plurality of protrusions 125 are arranged on the outer surface 7s of the cigarette 7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cigarette 7. As shown in Fig. By such an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protrusions 125, a flow passage through which the air passes is formed between the protrusions 125.

도 6을 참조하면, 돌기(125)는 궐련(7)의 단부(7e)의 외측면(7r)에 접촉하는 접촉면(125d)과, 통로(20)의 일단(20f)에서 타단(20r)을 향하는 방향으로 통로(20)의 중심을 향하여 경사를 이루는 경사면(125t)을 구비한다. 6, the protrusion 125 has a contact surface 125d contacting the outer surface 7r of the end portion 7e of the cigarette 7 and a contact surface 125d contacting the other end 20r at one end 20f of the passage 20. [ And an inclined surface 125t inclined toward the center of the passage 20. [

돌기(125)의 경사면(125t)은 궐련(7)이 통로(20)에 삽입되어 통로(20)를 따라 이동하여 궐련(7)의 단부(7e)가 통로(20)의 타단(20r)에 도달하면 궐련(7)의 단부(7e)가 돌기(125)로 삽입될 수 있도록 궐련(7)의 움직임을 안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inclined surface 125t of the projection 125 is formed so that the cigarette 7 is inserted into the passage 20 and moves along the passage 20 so that the end 7e of the cigarette 7 is moved to the other end 20r of the passage 20 And guides the movement of the cigarette 7 so that the end portion 7e of the cigarette 7 can be inserted into the protrusion 125. [

도 4 내지 도 6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서는 통로(20)의 일단(20f)에서 타단(20r)에 이르는 궐련(7)의 외측면(7s)의 대부분에 다른 구성요소가 접촉하지 않지만, 궐련(7)의 단부(7e)가 통로(20)의 타단(20r)에서 돌출되는 돌기(125)와 궐련(7)에 삽입된 히터(30)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된다.In the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4 to 6, other components do not come into contact with most of the outer surface 7s of the cigarette 7 from one end 20f to the other end 20r of the passage 20 The end portion 7e of the cigarette 7 is stably supported by the protrusion 125 protruding from the other end 20r of the passage 20 and the heater 30 inserted into the cigarette 7. [

또한 사용자가 궐련(7)을 케이스(10)의 통로(20)에 삽입한 후 통로(20)를 따라 궐련(7)을 돌기(125)의 위치까지 밀어 넣는 간편한 조작에 의해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궐련(7)을 쉽게 장착할 수 있고, 또한 궐련(7)의 사용을 마친 후에는 사용자가 궐련(7)의 상측 단부를 손으로 잡아 통로(20)의 외측으로 궐련(7)을 잡아당기는 간편한 조작에 의해 에어로졸 생성 장치로부터 궐련(7)을 쉽게 분리할 수 있다.The user inserts the cigarette 7 into the passage 20 of the case 10 and then pushes the cigarette 7 along the passage 20 to the position of the protrusion 125. As a result, The cigarette 7 can be easily mounted and after the user has finished using the cigarette 7 a user can easily grip the upper end of the cigarette 7 by hand and pull the cigarette 7 out of the passageway 20 by a simple operation The cigarette 7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또한 케이스(10)의 통로(20)의 돌기(125)가 궐련(7)의 단부(7e)의 외측면(7r)의 일부분과 접촉함으로써 통로(20)와 궐련(7)의 사이에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유로가 형성되므로, 에어로졸 발생을 보조하기 위한 외부의 공기가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내부로 충분히 원활하게 공급될 수 있다.The protrusion 125 of the passage 20 of the case 10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a part of the outer side surface 7r of the end portion 7e of the cigarette 7 so that air is introduced between the passage 20 and the cigarette 7 A flow passage is formed so that the external air for assisting the generation of the aerosol can be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sufficiently smoothly.

도 7은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단면도이다.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도 7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궐련(7)을 수용할 수 있는 통로(20)와 통로(20)에서 돌출된 돌기(225)를 구비한 케이스(210)와, 일측 단부(31)가 케이스(210)의 내부에 삽입되어 궐련(7)을 가열하는 히터(30)를 구비한다.7 includes a case 210 having a passage 20 capable of receiving the cigarette 7 and a projection 225 protruding from the passage 20 and a case 210 having one side end 31 And a heater 30 inserted into the case 210 to heat the cigarette 7. [

도 7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서는 케이스(210)의 구조가 도 1 내지 도 6에 나타난 실시예들의 케이스의 구조로부터 변형되었다. In the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7, the structure of the case 210 has been modified from the structure of the case of the embodiments shown in Figs.

케이스(210)는 중공의 원통형상으로 제작되며, 궐련(7)을 수용하기 위한 통로(20)와, 외부로부터 궐련(7)이 삽입되도록 통로(20)의 일단(20f)에서 외부로 개방된 개구(21)와, 통로(20)의 타단(20r)에 연결된 통공(22)과, 통로(20)의 내벽면에서 통로(20)의 중심을 향해 돌출되어 궐련(7)의 외측면(7s)의 일부분에 접촉하는 돌기(225)를 구비한다.The case 210 is formed in a hollow cylindrical shape and includes a passage 20 for accommodating the cigarette 7 and a case 20 which is open to the outside at one end 20f of the passage 20 for inserting the cigarette 7 from the outside A through hole 22 connected to the other end 20r of the passageway 20 and an outer side surface 7s of the cigarette 7 projecting toward the center of the passageway 20 from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passageway 20, (Not shown).

통로(20)의 직경은 궐련(7)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므로 통로(20)에 궐련(7)이 수용되면 통로(20)와 궐련(7)에 공간이 형성된다. 따라서 통로(20)와 궐련(7)의 사이에는 통로(20)의 개구(21)를 통하여 외부로 연결되어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유로(25p)가 형성된다.The diameter of the passage 20 is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cigarette 7 so that a space is formed in the passage 20 and the cigarette 7 when the cigarette 7 is accommodated in the passage 20. A flow path 25p is formed which is connec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pening 21 of the passage 20 and through which the air can pass between the passage 20 and the cigarette 7. [

케이스(210)는 통로(20)의 타단(20r)을 덮는 바닥벽(29)을 구비한다. 바닥벽(29)은 통로(20)에 수용되는 궐련(7)의 단부(7e)의 바닥면(7d)과 접촉한다. 또한 바닥벽(29)에는 통로(20)와 연결되도록 통공(22)이 관통하여 형성된다.The case 210 has a bottom wall 29 that covers the other end 20r of the passage 20. The bottom wall 29 comes into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7d of the end portion 7e of the cigarette 7 accommodated in the passage 20. [ The through hole 22 is formed through the bottom wall 29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passage 20.

바닥벽(29)은 궐련(7)의 외측면(7s)과 통로(20)의 내벽면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유로(25p))과 연결되는 연결통로(29p)를 구비한다. 연결통로(29p)는 통로(20)의 개구(21)를 통해 외부로부터 통로(20)로 유입된 공기를 궐련(7)의 단부(7e)의 바닥면(7d)으로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연결통로(29p)는 바닥벽(29)에서 통공(22)을 중심으로 원주방향으로 연장하는 오목한 형상의 홈에 의해 형성되거나, 통공(22)의 외측에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홈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The bottom wall 29 has a connecting passage 29p connected to a space (flow path 25p) formed between the outer surface 7s of the cigarette 7 and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passage 20. [ The connection passage 29p serves to supply the air introduced from the outside to the passage 20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opening 21 of the passage 20 to the bottom surface 7d of the end portion 7e of the cigarette 7 . The connection passage 29p is formed by a concave groove extending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bout the through hole 22 in the bottom wall 29 or by a plurality of grooves formed in the concave shape outside the through hole 22 .

케이스(210)에는 궐련(7)을 가열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히터(30)가 결합된다. 히터(30)의 일측 단부(31)는 바닥벽(29)의 통공(22)을 통해 통로(20)의 내부에 배치되며, 케이스(210)에 궐련(7)이 수용되는 경우 히터(30)의 일측 단부(31)가 궐련(7)의 단부(7e)의 바닥면(7d)에 삽입된다.In the case 210, a heater 30 functioning to heat the cigarette 7 is coupled. One end portion 31 of the heater 30 is disposed inside the passage 20 through the through hole 22 of the bottom wall 29. When the cigarette 7 is accommodated in the case 210, One end portion 31 of the cigarette 7 is inserted into the bottom surface 7d of the end portion 7e of the cigarette 7. [

히터(30)의 타측 단부(32)는 전기 배선(71)을 통해 케이스(210)의 후방에 배치된 전기공급장치(72)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케이스(210)의 후방에는 전기공급장치(72)를 둘러싸는 베이스(19)가 연결된다. 히터(30)의 일측 단부(31)에 궐련(7)이 삽입된 상태에서 전기공급장치(72)의 전기가 히터(30)에 공급되면 히터(30)가 가열됨으로써 궐련(7)이 가열된다.The other end portion 32 of the heater 3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ic power supply device 72 disposed at the rear of the case 210 through the electric wiring 71. At the rear of the case 210, a base 19 surrounding the electrical supply device 72 is connected. When electricity is supplied to the heater 30 in a state where the cigarette 7 is inserted into the one end 31 of the heater 30, the cigarette 7 is heated by heating the heater 30 .

케이스(210)의 통로(20)에는 복수 개의 돌기(225)가 배치된다. 돌기(225)는 궐련(7)의 외측면(7s)에서 궐련(7)의 중심에 대한 원주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복수 개의 돌기(225)가 궐련(7)의 중심에 대한 원주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구조는 도 1 내지 도 6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돌기의 배치 구조와 동일하다. 또한 도 7에서 복수 개의 돌기(225)는 궐련(7)의 외측면(7s)에서 궐련(7)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돌기(225)는 대략 반구형상을 갖는다.A plurality of projections 225 are arranged in the passage 20 of the case 210. The protrusions 225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cigarette 7 on the outer surface 7s of the cigarette 7. [ The structure in which the plurality of projections 225 are dispos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cigarette 7 is the same as the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projection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7,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225 are arranged on the outer surface 7s of the cigarette 7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igarette 7. The projection 225 has an approximately hemispherical shape.

이와 같이 복수 개의 돌기(225)의 일부는 궐련(7)의 외측면(7s)에서 궐련(7)의 중심에 대한 원주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복수 개의 돌기(225)의 다른 일부는 궐련(7)의 외측면(7s)에서 궐련(7)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므로 인접한 돌기(225)의 사이에 공기가 통과하는 유로(25p)가 형성된다.A part of the plurality of projections 225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cigarette 7 from the outer side surface 7s of the cigarette 7, And are spaced from each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igarette 7 from the outer side surface 7s of the cigarette 7 so that a flow path 25p through which the air passes is formed between the adjacent projections 225. [

도 7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서는 또한 케이스(210)의 통로(20)의 돌기(225)가 궐련(7)의 외측면(7s)의 일부분과 접촉함으로써 통로(20)와 궐련(7)의 사이에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유로(25p)가 형성되고, 유로(25p)의 공기가 바닥벽(29)의 연결통로(29p)를 통해 궐련(7)의 단부(7e)의 바닥면(7d)으로 공급되므로, 에어로졸 발생을 보조하기 위한 충분한 공기가 궐련(7)에 원활하게 공급될 수 있다.7, the protrusion 225 of the passage 20 of the case 210 is in contact with a part of the outer side surface 7s of the cigarette 7, so that the passage 20 and the cigarette 7 through the connecting passage 29p of the bottom wall 29 so that the air of the flow path 25p flows into the bottom of the end portion 7e of the cigarette 7 through the connecting passage 29p of the bottom wall 29, So that sufficient air can be supplied to the cigarette 7 to assist the aerosol generation.

도 8은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8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구성요소들의 결합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and FIG. 9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upling relationship of the components of the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도 8 및 도 9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궐련(7)을 수용할 수 있는 통로(20)와 통로(20)에서 돌출된 돌기(225)를 구비한 케이스(210)와, 일측 단부(31)가 케이스(210)의 내부에 삽입되어 궐련(7)을 가열하는 히터(30)를 구비한다. 8 and 9 includes a case 210 having a passage 20 capable of receiving the cigarette 7 and a projection 225 projecting from the passage 20, And a heater (30) for heating the cigarette (7) by inserting the end portion (31) inside the case (210).

케이스(210)는 통로(20)의 타단(20r)을 덮는 바닥벽(29)을 구비한다. 바닥벽(29)은 통로(20)에 수용되는 궐련(7)의 단부의 바닥면(7d)과 접촉한다. 또한 바닥벽(29)에는 통로(20)와 연결되는 통공(22)이 바닥벽(29)을 관통하도록 형성된다.The case 210 has a bottom wall 29 that covers the other end 20r of the passage 20. The bottom wall 29 is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7d of the end of the cigarette 7 received in the passage 20. The bottom wall 29 is formed with a through hole 22 communicating with the passage 20 so as to penetrate the bottom wall 29.

케이스(210)의 통로(20)의 타단(20r)을 덮는 바닥벽(29)은 바닥돌기(226)를 구비한다. 바닥돌기(226)는 바닥벽(29)에서 통로(20)의 내부공간을 향하여 돌출됨으로써 궐련(7)의 단부의 바닥면(7d)을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바닥돌기(226)는 대략 반구형상을 갖는다.The bottom wall 29 covering the other end 20r of the passage 20 of the case 210 has a bottom projection 226. [ The bottom protrusion 226 protrudes from the bottom wall 29 toward the inner space of the passage 20 to function to support the bottom surface 7d of the end portion of the cigarette 7. [ The bottom protrusion 226 has an approximately hemispherical shape.

바닥돌기(226)는 바닥벽(29)에서 바닥벽(29)에 형성된 통공(22)의 중심에 대한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복수 개가 배치된다. 따라서 인접한 바닥돌기(226)의 사이의 공간을 통해 공기가 통과할 수 있으므로, 통로(20)의 개구(21)를 통해 외부로부터 통로(20)로 유입된 공기는 바닥돌기(226)의 사이의 공간을 통하여 궐련(7)의 단부의 바닥면(7d)으로 공급된다.The bottom protrusions 226 are disposed in the bottom wall 29 so as to be spaced from each other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through hole 22 formed in the bottom wall 29. The air introduced into the passageway 20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opening 21 of the passageway 20 passes through the space between the bottom protrusions 226, And is supplied to the bottom surface 7d of the end portion of the cigarette 7 through the space.

케이스(210)에는 궐련(7)을 가열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히터(30)가 결합된다. 히터(30)의 일측 단부(31)는 바닥벽(29)의 통공(22)을 통해 통로(20)의 내부에 배치되며, 케이스(210)에 궐련(7)이 수용되는 경우 히터(30)의 일측 단부(31)가 궐련(7)의 단부(7e)의 바닥면(7d)에 삽입된다.In the case 210, a heater 30 functioning to heat the cigarette 7 is coupled. One end portion 31 of the heater 30 is disposed inside the passage 20 through the through hole 22 of the bottom wall 29. When the cigarette 7 is accommodated in the case 210, One end portion 31 of the cigarette 7 is inserted into the bottom surface 7d of the end portion 7e of the cigarette 7. [

히터(30)의 타측 단부(32)는 전기 배선(71)을 통해 케이스(210)의 후방에 배치된 전기공급장치(72)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케이스(210)의 후방에는 전기공급장치(72)를 둘러싸는 베이스(19)가 연결된다. 히터(30)의 일측 단부(31)에 궐련(7)이 삽입된 상태에서 전기공급장치(72)의 전기가 히터(30)에 공급되면 히터(30)가 가열됨으로써 궐련(7)이 가열된다.The other end portion 32 of the heater 3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ic power supply device 72 disposed at the rear of the case 210 through the electric wiring 71. At the rear of the case 210, a base 19 surrounding the electrical supply device 72 is connected. When electricity is supplied to the heater 30 in a state where the cigarette 7 is inserted into the one end 31 of the heater 30, the cigarette 7 is heated by heating the heater 30 .

케이스(210)의 통로(20)에는 복수 개의 돌기(225)가 배치된다. 돌기(225)는 궐련(7)의 외측면(7s)에서 궐련(7)의 중심에 대한 원주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복수 개의 돌기(225)가 궐련(7)의 중심에 대한 원주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구조는 도 1 내지 도 6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돌기의 배치 구조와 동일하다. 또한 도 8 및 도 9에서 복수 개의 돌기(225)는 궐련(7)의 외측면(7s)에서 궐련(7)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된다.A plurality of projections 225 are arranged in the passage 20 of the case 210. The protrusions 225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cigarette 7 on the outer surface 7s of the cigarette 7. [ The structure in which the plurality of projections 225 are dispos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cigarette 7 is the same as the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projection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8 and 9,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225 are disposed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igarette 7 from the outer side surface 7s of the cigarette 7.

도 8 및 도 9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서는 또한 케이스(210)의 통로(20)의 돌기(225)가 궐련(7)의 외측면(7s)의 일부분과 접촉함으로써 통로(20)와 궐련(7)의 사이에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유로(25p)가 형성되고, 유로(25p)의 공기가 바닥벽(29)의 바닥돌기(226)의 사이의 공간을 통해 궐련(7)의 단부의 바닥면(7d)으로 공급되므로, 에어로졸 발생을 보조하기 위한 충분한 공기가 궐련(7)에 원활하게 공급될 수 있다.8 and 9, the protrusion 225 of the passage 20 of the case 210 also contacts the portion of the outer side 7s of the cigarette 7, And the air in the flow path 25p flows through the space between the bottom protrusions 226 of the bottom wall 29 and the cigarette 7, So that sufficient air can be supplied to the cigarette 7 to assist the aerosol generation.

도 10은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10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일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and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art of an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궐련(7)을 수용할 수 있는 통로(20)와 통로(20)에서 돌출된 돌기(325)를 구비한 케이스(310)와, 일측 단부(31)가 케이스(310)의 내부에 삽입되어 궐련(7)을 가열하는 히터(30)를 구비한다.10 and 11 includes a case 310 having a passage 20 capable of receiving the cigarette 7 and a projection 325 projecting from the passage 20, And a heater (30) for heating the cigarette (7) by inserting the end portion (31) inside the case (310).

케이스(310)는 통로(20)의 타단(20r)을 덮는 바닥벽(29)을 구비한다. 바닥벽(29)은 통로(20)에 수용되는 궐련(7)의 단부의 바닥면(7d)과 접촉한다. 또한 바닥벽(29)에는 통로(20)와 연결되는 통공(22)이 바닥벽(29)을 관통하도록 형성된다.The case 310 has a bottom wall 29 that covers the other end 20r of the passage 20. The bottom wall 29 is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7d of the end of the cigarette 7 received in the passage 20. The bottom wall 29 is formed with a through hole 22 communicating with the passage 20 so as to penetrate the bottom wall 29.

케이스(310)의 통로(20)의 타단(20r)을 덮는 바닥벽(29)은 바닥돌기(326)를 구비한다. 바닥돌기(326)는 바닥벽(29)에서 통로(20)의 내부공간을 향하여 돌출되며 통공(22)의 중심을 향하는 방사방향으로 연장함으로써 궐련(7)의 단부의 바닥면(7d)을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바닥돌기(326)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을 갖는다.The bottom wall 29 covering the other end 20r of the passage 20 of the case 310 has a bottom projection 326. [ The bottom protrusion 326 protrudes from the bottom wall 29 toward the inner space of the passage 20 and extends in the radial direction toward the center of the through hole 22 to support the bottom surface 7d of the end portion of the cigarette 7 . The bottom protrusion 326 has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바닥돌기(326)는 바닥벽(29)에서 바닥벽(29)에 형성된 통공(22)의 중심에 대한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복수 개가 배치된다. 따라서 인접한 바닥돌기(326)의 사이의 공간을 통해 공기가 통과할 수 있으므로, 통로(20)의 개구(21)를 통해 외부로부터 통로(20)로 유입된 공기는 바닥돌기(326)의 사이의 공간을 통하여 궐련(7)의 단부의 바닥면(7d)으로 공급된다.A plurality of bottom protrusions 326 are disposed so as to be spaced from each other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through hole 22 formed in the bottom wall 29 in the bottom wall 29. The air introduced into the passageway 20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opening 21 of the passageway 20 passes through the space between the bottom protrusions 326, And is supplied to the bottom surface 7d of the end portion of the cigarette 7 through the space.

케이스(310)의 통로(20)에는 복수 개의 돌기(325)가 배치된다. 돌기(325)는 궐련(7)의 외측면(7s)에서 궐련(7)의 중심에 대한 원주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복수 개의 돌기(325)가 궐련(7)의 중심에 대한 원주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구조는 도 1 내지 도 6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돌기의 배치 구조와 동일하다. 또한 도 10 및 도 11에서 복수 개의 돌기(325)는 궐련(7)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함과 아울러 궐련(7)의 외측면(7s)에서 궐련(7)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된다.A plurality of projections 325 are disposed in the passageway 20 of the case 310. The protrusions 325 are arrang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cigarette 7 at the outer side 7s of the cigarette 7. [ The structure in which the plurality of projections 325 are dispos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cigarette 7 is the same as the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projection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10 and 11,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325 exten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igarette 7 and are spaced from each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igarette 7 from the outer side 7s of the cigarette 7 .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서는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 복수 개의 돌기(325)의 사이의 공간을 통해 외부의 공기가 케이스(310)의 통공(22)으로 원활하게 도입될 수 있다. 또한 돌기(325)가 궐련(7)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므로, 돌기(325)가 통공(22)을 따라 삽입되는 궐련(7)의 움직임을 원활하게 안내할 수 있다. 또한 궐련(7)의 외측면(7s)의 일부분에 접하는 돌기(325)의 표면은 궐련(7)의 외측면(7s)에 대응하도록 만곡된 원통면으로 형성되므로, 돌기(325)가 통공(22)에 수용된 궐련(7)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10 and 11, external air is smoothly introduced into the through-hole 22 of the case 310 through a space between a plurality of protrusions 325 arranged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 Since the protrusion 325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igarette 7, the protrusion 325 can guide the movement of the cigarette 7 inserted along the through hole 22 smoothly. The surface of the protrusion 325 contacting with a part of the outer surface 7s of the cigarette 7 is formed into a cylindrical surface curved to correspond to the outer surface 7s of the cigarette 7, 22 can be stably supported.

도 12는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일부 구성요소들의 결합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2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단면도이다.FIG. 12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upling relationship of some components of an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and FIG. 13 is a sectional view of an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궐련(7)을 수용할 수 있는 통로(20)와 통로(20)에서 돌출된 돌기(425)를 구비한 케이스(410)와, 일측 단부(31)가 케이스(410)의 내부에 삽입되어 궐련(7)을 가열하는 히터(30)를 구비한다.12 and 13 includes a case 410 having a passage 20 capable of receiving the cigarette 7 and a projection 425 protruded from the passage 20, And a heater (30) for heating the cigarette (7) by inserting the end portion (31) inside the case (410).

케이스(410)의 통로(20)에는 복수 개의 돌기(425)가 배치된다. 돌기(425)는 궐련(7)의 외측면(7s)에서 궐련(7)의 중심에 대한 원주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됨으로써 인접한 돌기(425)의 사이에 공기가 통과하는 유로가 형성된다.A plurality of protrusions 425 are disposed in the passage 20 of the case 410. The protrusions 425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cigarette 7 from the outer side surface 7s of the cigarette 7 so that a flow path for air to pass between the adjacent protrusions 425 is formed.

또한 복수 개의 돌기(425)는 궐련(7)의 길이 방향을 따라, 즉 통로(20)의 연장 방향을 따라 통로(20)의 일단(20f)으로부터 통로(20)의 타단(20r)에 이르기까지 직선적으로 연장한다.The plurality of projections 425 extend from one end 20f of the passage 20 to the other end 20r of the passage 20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igarette 7, And extend linearly.

도 12 및 도 13에서 복수 개의 돌기(425)는 통로(20)의 횡방향의 단면을 수직하게 가로지르며 직선적으로 연장하지만, 실시예는 이러한 돌기(425)의 구조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돌기(425)는 통로(20)의 단면에 대해 경사를 이루도록 직선적으로 연장하거나, 곡선적으로 연장할 수도 있다.12 and 13,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425 extends linearly across the cross section of the passage 20 vertically, but the embodiment is not limited by the structure of the protrusion 425. [ For example, the projection 425 may extend linearly or curvilinearly so as to b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cross section of the passage 20. [

또한 돌기(425)의 각각은 통로(20)에 수용된 궐련(7)의 단부의 바닥면(7d)에 접촉하도록 통로(20)의 중심을 향하여 절곡되어 돌출되는 바닥돌출부(426)를 구비한다. 통로(20)의 타단(20r)에서는 복수 개의 돌기(425)의 각각의 바닥돌출부(426)의 내측면에 의해 통로(20)에 연결되는 통공(22)이 형성된다.Each of the protrusions 425 also has a bottom protrusion 426 which is bent and protruded toward the center of the passage 20 so as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7d of the end of the cigarette 7 accommodated in the passage 20. [ At the other end 20r of the passage 20, a through hole 22 connected to the passage 20 is formed by the inner surface of each bottom projection 426 of the plurality of projections 425.

히터(30)의 일측 단부(31)는 바닥돌출부(426)에 의해 형성되는 통공(22)을 통해 통로(20)의 내부에 배치되며, 케이스(410)에 궐련(7)이 수용되는 경우 히터(30)의 일측 단부(31)가 궐련(7)의 단부(7e)의 바닥면(7d)에 삽입된다.One end portion 31 of the heater 30 is disposed inside the passage 20 through the through hole 22 formed by the bottom projection portion 426. When the cigarette 7 is accommodated in the case 410, One end portion 31 of the cigarette 7 is inserted into the bottom surface 7d of the end portion 7e of the cigarette 7.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서는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 복수 개의 돌기(425)의 사이의 공간을 통해 외부의 공기가 케이스(410)의 통공(22)으로 원활하게 도입될 수 있다. 또한 돌기(425)가 궐련(7)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므로, 돌기(425)가 통공(22)을 따라 삽입되는 궐련(7)의 움직임을 원활하게 안내할 수 있다. 또한 궐련(7)의 외측면(7s)의 일부분에 접하는 돌기(425)의 표면은 궐련(7)의 외측면(7s)에 대응하도록 만곡된 원통면으로 형성되므로, 돌기(425)가 통공(22)에 수용된 궐련(7)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돌기(425)의 바닥돌출부(426)가 통공(22)에 수용된 궐련(7)의 단부의 바닥면(7d)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12 and 13, external air is smoothly introduced into the through-hole 22 of the case 410 through a space between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425 arranged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 Since the projection 425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igarette 7, the projection 425 can smoothly guide the movement of the cigarette 7 inserted along the through-hole 22. The surface of the protrusion 425 contacting with a part of the outer surface 7s of the cigarette 7 is formed as a cylindrical surface curved to correspond to the outer surface 7s of the cigarette 7, 22 can be stably supported. The bottom projecting portion 426 of the projection 425 can stably support the bottom surface 7d of the end portion of the cigarette 7 accommodated in the through hole 22. [

도 14는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단면도이다.1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도 14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궐련(7)을 수용할 수 있는 통로(20)와 통로(20)에서 돌출된 돌기(525)를 구비한 케이스(510)와, 일측 단부(31)가 케이스(510)의 내부에 삽입되어 궐련(7)을 가열하는 히터(30)를 구비한다.14 includes a case 510 having a passage 20 capable of accommodating the cigarette 7 and a projection 525 protruding from the passage 20, Is inserted into the case 510 to heat the cigarette 7.

케이스(510)는 통로(20)의 타단(20r)을 덮는 바닥벽(29)을 구비한다. 바닥벽(29)은 통로(20)에 수용되는 궐련(7)의 단부(7e)의 바닥면(7d)과 접촉한다. 또한 바닥벽(29)에는 통로(20)와 연결되는 통공(22)이 바닥벽(29)을 관통하도록 형성된다.The case 510 has a bottom wall 29 that covers the other end 20r of the passage 20. [ The bottom wall 29 comes into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7d of the end portion 7e of the cigarette 7 accommodated in the passage 20. [ The bottom wall 29 is formed with a through hole 22 communicating with the passage 20 so as to penetrate the bottom wall 29.

케이스(510)의 통로(20)의 타단(20r)을 덮는 바닥벽(29)은 바닥돌기(526)를 구비한다. 바닥돌기(526)는 바닥벽(29)에서 통로(20)의 내부공간을 향하여 돌출됨으로써 궐련(7)의 단부의 바닥면(7d)을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바닥돌기(526)는 대략 반구형상을 갖는다.The bottom wall 29 covering the other end 20r of the passage 20 of the case 510 has a bottom projection 526. [ The bottom protrusion 526 protrudes from the bottom wall 29 toward the inner space of the passage 20 to function to support the bottom surface 7d of the end portion of the cigarette 7. [ The bottom projection 526 has an approximately hemispherical shape.

바닥돌기(526)는 바닥벽(29)에서 바닥벽(29)에 형성된 통공(22)의 중심에 대한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복수 개가 배치된다. 따라서 인접한 바닥돌기(526)의 사이의 공간을 통해 공기가 통과할 수 있으므로, 통로(20)의 개구(21)를 통해 외부로부터 통로(20)로 유입된 공기는 바닥돌기(526)의 사이의 공간을 통하여 궐련(7)의 단부의 바닥면(7d)으로 공급된다.A plurality of bottom protrusions 526 are disposed so as to be spaced from each other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through hole 22 formed in the bottom wall 29 in the bottom wall 29. [ The air introduced into the passageway 20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opening 21 of the passageway 20 passes through the space between the bottom protrusions 526, And is supplied to the bottom surface 7d of the end portion of the cigarette 7 through the space.

케이스(510)의 통로(20)에는 복수 개의 돌기(525)가 배치된다. 돌기(525)는 궐련(7)의 외측면(7s)에서 궐련(7)의 중심에 대한 원주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돌기(525)는 대략 반구형상을 갖는다.A plurality of projections 525 are disposed in the passageway 20 of the case 510. The protrusions 525 are arrang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cigarette 7 from the outer side 7s of the cigarette 7. [ The projection 525 has an approximately hemispherical shape.

케이스(510)는 통로(20)의 타단(20r)에서 돌출되는 단부돌기(528)를 구비한다. 단부돌기(528)는 궐련(7)이 통로(20)에 수용되었을 때 통로(20)의 타단(20r)에 위치하는 궐련(7)의 단부(7e)의 외측면(7r)의 일부분에 접촉하도록 통로(20)에서 돌출한다. 단부돌기(528)는 대략 반구형상을 갖는다.The case 510 has an end projection 528 projecting from the other end 20r of the passage 20. [ The end protrusion 528 contacts the portion of the outer side 7r of the end portion 7e of the cigarette 7 positioned at the other end 20r of the passage 20 when the cigarette 7 is received in the passage 20 So as to protrude from the passage 20. The end protrusion 528 has an approximately hemispherical shape.

도 14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서는 통로(20)의 일단(20f)과 타단(20r)의 사이의 대략 중간 지점에서 궐련(7)의 외측면(7s)의 일부분을 지지하는 돌기(525)와, 통로(20)의 타단(20r)에서 궐련(7)의 단부(7e)의 외측면(7r)의 일부분을 지지하는 단부돌기(528)와, 통로(20)의 바닥벽(29)에서 돌출되어 궐련(7)의 단부(7e)의 바닥면(7d)을 지지하는 바닥돌기(526)에 의해 궐련(7)이 통로(20)의 내부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In the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4, protrusions (not shown) for supporting a part of the outer surface 7s of the cigarette 7 at approximately midway point between one end 20f and the other end 20r of the path 20 An end protrusion 528 for supporting a part of the outer side surface 7r of the end portion 7e of the cigarette 7 at the other end 20r of the passage 20 and a bottom wall 29 The cigarette 7 can be stably supported in the passage 20 by the bottom projection 526 which protrudes from the bottom surface 7d of the end portion 7e of the cigarette 7 and supports the bottom surface 7d.

또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 복수 개의 돌기(525)의 사이의 공간을 통해 외부의 공기가 케이스(510)의 통공(22)으로 원활하게 도입된 후 통로(20)의 타단(20r)의 단부돌기(528)의 사이의 공간과 바닥돌기(526)의 사이의 공간을 통하여 궐련(7)의 단부(7e)의 바닥면(7d)에 원활하게 공급될 수 있다.The external air is smoothly introduced into the through hole 22 of the case 510 through the space between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525 dispos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en the end protrusion Can be smoothly supplied to the bottom surface 7d of the end portion 7e of the cigarette 7 through the space between the bottom protrusion 526 and the space between the bottom protrusion 528 and the bottom protrusion 526. [

도 15는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일부 구성요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15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some components of an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도 15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케이스(610)는 궐련(7)을 수용할 수 있는 통로(20)와 통로(20)에서 돌출된 돌기(625)를 구비한다.The case 610 of the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5 has a passage 20 capable of accommodating the cigarette 7 and a projection 625 projecting from the passage 20.

케이스(610)는 통로(20)의 타단(20r)을 덮는 바닥벽(29)을 구비한다. 바닥벽(29)은 통로(20)에 수용되는 궐련(7)의 단부(7e)의 바닥면(7d)과 접촉한다. 또한 바닥벽(29)에는 통로(20)와 연결되는 통공(22)이 바닥벽(29)을 관통하도록 형성된다.The case 610 has a bottom wall 29 that covers the other end 20r of the passage 20. The bottom wall 29 comes into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7d of the end portion 7e of the cigarette 7 accommodated in the passage 20. [ The bottom wall 29 is formed with a through hole 22 communicating with the passage 20 so as to penetrate the bottom wall 29.

케이스(610)의 통로(20)의 타단(20r)을 덮는 바닥벽(29)은 바닥돌기(626)를 구비한다. 바닥돌기(626)는 바닥벽(29)에서 통로(20)의 내부공간을 향하여 돌출됨으로써 궐련(7)의 단부의 바닥면(7d)을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바닥돌기(626)는 대략 반구형상을 갖는다.The bottom wall 29 covering the other end 20r of the passage 20 of the case 610 has a bottom projection 626. [ The bottom protrusion 626 protrudes from the bottom wall 29 toward the inner space of the passage 20 to function to support the bottom surface 7d of the end portion of the cigarette 7. [ The bottom projection 626 has an approximately hemispherical shape.

바닥돌기(626)는 바닥벽(29)에 형성된 통공(22)의 중심에 대한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바닥벽(29)의 표면에 복수 개가 배치된다. 따라서 인접한 바닥돌기(626)의 사이의 공간을 통해 공기가 통과할 수 있으므로, 통로(20)의 개구(21)를 통해 외부로부터 통로(20)로 유입된 공기는 바닥돌기(626)의 사이의 공간을 통하여 궐련(7)의 단부의 바닥면(7d)으로 공급된다.A plurality of bottom protrusions 626 are disposed on the surface of the bottom wall 29 so as to be spaced from each other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through hole 22 formed in the bottom wall 29. The air introduced into the passageway 20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opening 21 of the passageway 20 passes through the space between the bottom protrusions 626, And is supplied to the bottom surface 7d of the end portion of the cigarette 7 through the space.

케이스(610)의 통로(20)에는 복수 개의 돌기(625)가 배치된다. 돌기(625)는 궐련(7)의 외측면(7s)에서 궐련(7)의 중심에 대한 원주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또한 복수 개의 돌기(625)는 궐련(7)의 외측면(7s)에서 궐련(7)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A plurality of projections 625 are disposed in the passage 20 of the case 610. The projections 625 are spaced from each other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cigarette 7 from the outer side 7s of the cigarette 7. [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625 are disposed on the outer surface 7s of the cigarette 7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igarette 7. [

또한 복수 개의 돌기(625)의 각각의 궐련(7)의 길이 방향에서의 단면 형상은 궐련(7)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하는 타원형 또는 유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돌기(625)의 단면 형상이 타원형 또는 유선형으로 형성됨으로써 인접한 돌기(625)의 사이의 공간을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이 보다 원활하게 형성될 수 있다.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cigarettes 7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each of the plurality of projections 625 may be formed to be elliptical or streamlined extend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igarette 7. The cross section of the protrusion 625 is formed in an elliptical shape or a streamline shape so that the flow of air passing through the space between the adjacent protrusions 625 can be formed more smoothly.

케이스(610)는 통로(20)의 타단(20r)에서 돌출되는 단부돌기(628)를 구비한다. 단부돌기(628)는 궐련(7)이 통로(20)에 수용되었을 때 통로(20)의 타단(20r)에 위치하는 궐련(7)의 단부(7e)의 외측면(7r)의 일부분에 접촉하도록 통로(20)에서 돌출한다. 단부돌기(628)의 궐련(7)의 길이 방향에서의 단면 형상은 궐련(7)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하는 타원형 또는 유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case 610 has an end projection 628 projecting from the other end 20r of the passage 20. [ The end protrusion 628 contacts the portion of the outer side 7r of the end portion 7e of the cigarette 7 located at the other end 20r of the passage 20 when the cigarette 7 is received in the passage 20 So as to protrude from the passage 20. Sectional shape of the end protrusion 628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igarette 7 may be formed in an elliptical shape or a streamline shape extending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igarette 7

도 15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서는 통로(20)의 일단(20f)과 타단(20r)의 사이에서 궐련(7)의 외측면(7s)의 일부분을 지지하는 복수 개의 돌기(625)와, 통로(20)의 타단(20r)에서 궐련(7)의 단부(7e)의 외측면(7r)의 일부분을 지지하는 단부돌기(628)와, 통로(20)의 바닥벽(29)에서 돌출되어 궐련(7)의 단부(7e)의 바닥면(7d)을 지지하는 바닥돌기(626)에 의해 통로(20)의 내부에서 궐련(7)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15, a plurality of protrusions 625 for supporting a part of the outer surface 7s of the cigarette 7 are provided between one end 20f and the other end 20r of the passage 20. In the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shown in Fig. An end protrusion 628 for supporting a part of the outer side surface 7r of the end portion 7e of the cigarette 7 at the other end 20r of the passage 20, The cigarette 7 can be stably supported inside the passage 20 by the bottom projection 626 that protrudes and supports the bottom surface 7d of the end portion 7e of the cigarette 7. [

도 16은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일부 구성요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7은 도 16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사시도이다.Fig. 16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some components of an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and Fig. 17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도 16 및 도 17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케이스(710)는 궐련(7)을 수용할 수 있는 통로(20)와 통로(20)에서 돌출된 돌기(725)를 구비한다.The case 710 of the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16 and 17 has a passage 20 capable of receiving the cigarette 7 and a projection 725 protruding from the passage 20.

케이스(710)는 통로(20)의 타단(20r)을 덮는 바닥벽(29)을 구비한다. 바닥벽(29)은 통로(20)에 수용되는 궐련(7)의 단부(7e)의 바닥면(7d)과 접촉한다. 또한 바닥벽(29)에는 통로(20)와 연결되는 통공(22)이 바닥벽(29)을 관통하도록 형성된다.The case 710 has a bottom wall 29 that covers the other end 20r of the passage 20. [ The bottom wall 29 comes into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7d of the end portion 7e of the cigarette 7 accommodated in the passage 20. [ The bottom wall 29 is formed with a through hole 22 communicating with the passage 20 so as to penetrate the bottom wall 29.

케이스(710)의 통로(20)의 타단(20r)을 덮는 바닥벽(29)은 바닥돌기(726)를 구비한다. 바닥돌기(726)는 바닥벽(29)에서 통로(20)의 내부공간을 향하여 돌출됨으로써 궐련(7)의 단부의 바닥면(7d)을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bottom wall 29 covering the other end 20r of the passage 20 of the case 710 has a bottom projection 726. [ The bottom protrusion 726 protrudes from the bottom wall 29 toward the inner space of the passage 20 to function to support the bottom surface 7d of the end portion of the cigarette 7. [

바닥돌기(726)는 바닥벽(29)에 형성된 통공(22)의 중심에 대한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바닥벽(29)의 표면 위에 복수 개가 배치된다. 따라서 인접한 바닥돌기(726)의 사이의 공간을 통해 공기가 통과할 수 있으므로, 통로(20)의 개구(21)를 통해 외부로부터 통로(20)로 유입된 공기는 바닥돌기(726)의 사이의 공간을 통하여 궐련(7)의 단부의 바닥면(7d)으로 공급된다.A plurality of bottom protrusions 726 are disposed on the surface of the bottom wall 29 so as to be spaced from each other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bout the center of the through hole 22 formed in the bottom wall 29. The air introduced into the passageway 20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opening 21 of the passageway 20 is guided through the space between the bottom protrusions 726, And is supplied to the bottom surface 7d of the end portion of the cigarette 7 through the space.

케이스(710)의 통로(20)에는 복수 개의 돌기(725)가 배치된다. 돌기(725)는 궐련(7)의 외측면(7s)에서 궐련(7)의 중심에 대한 원주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또한 복수 개의 돌기(725)는 궐련(7)의 외측면(7s)에서 궐련(7)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A plurality of projections 725 are arranged in the passage 20 of the case 710. The protrusions 725 are arrang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cigarette 7 from the outer side 7s of the cigarette 7.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725 are disposed on the outer surface 7s of the cigarette 7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igarette 7. [

또한 복수 개의 돌기(725)의 각각은 궐련(7)의 길이 방향에 대해 경사를 이루도록 기울어지며 궐련(7)의 중심에 대해 원주 방향으로 연장한다. 실시예는 복수 개의 돌기(725)의 각각이 연장하는 방향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복수 개의 돌기(725)의 각각은 궐련(7)의 길이 방향에 대해 경사를 이루지 않고 궐련(7)의 중심에 대해 원주 방향으로만 수평하게 연장할 수도 있다.Each of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725 is inclined to b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igarette 7 and extend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cigarette 7. [ For example, each of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725 is not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igarette 7, and the cigarette 7 is not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igarette 7,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케이스(710)는 통로(20)의 타단(20r)에서 돌출되는 단부돌기(728)를 구비한다. 단부돌기(728)는 궐련(7)이 통로(20)에 수용되었을 때 통로(20)의 타단(20r)에 위치하는 궐련(7)의 단부(7e)의 외측면(7r)의 일부분에 접촉하도록 통로(20)에서 돌출한다. 또한 단부돌기(728)와 바닥돌기(726)는 통로(20)의 타단(20r)의 모서리에서 서로 연결될 수 있다.The case 710 has an end protrusion 728 projecting from the other end 20r of the passage 20. [ The end protrusion 728 contacts the portion of the outer side 7r of the end 7e of the cigarette 7 located at the other end 20r of the passage 20 when the cigarette 7 is received in the passage 20 So as to protrude from the passage 20. The end projections 728 and the bottom projections 726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at corners of the other end 20r of the passage 20. [

도 16 및 도 17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서는 통로(20)의 일단(20f)과 타단(20r)의 사이에서 궐련(7)의 외측면(7s)의 일부분을 지지하는 복수 개의 돌기(725)와, 통로(20)의 타단(20r)에서 궐련(7)의 단부(7e)의 외측면(7r)의 일부분을 지지하는 단부돌기(728)와, 통로(20)의 바닥벽(29)에서 돌출되어 궐련(7)의 단부(7e)의 바닥면(7d)을 지지하는 바닥돌기(726)에 의해 통로(20)의 내부에서 궐련(7)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In the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16 and 17, a plurality of projections (not shown) for supporting a part of the outer surface 7s of the cigarette 7 between one end 20f and the other end 20r of the passage 20 An end protrusion 728 for supporting a part of the outer side surface 7r of the end portion 7e of the cigarette 7 at the other end 20r of the passage 20, The cigarette 7 can be stably supported inside the passageway 20 by the bottom protrusion 726 which protrudes from the bottom surface 7d of the end portion 7e of the cigarette 7 and supports the bottom surface 7d of the end portion 7e of the cigarette 7.

이하의 도 18 내지 도 30a 및 도 30f에 도시된 실시예들은 상술한 도 1 내지 도 17에 도시된 실시예들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적용될 수 있는 변형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와 에어로졸 생성 방법을 도시한다. The embodiments shown in Figs. 18 to 30A and 30F below show a modified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and an aerosol generating method which can be applied to the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shown in Figs. 1 to 17 .

도 18 내지 도 30a 및 도 30f에서 구성요소들을 지시하는 번호들은 도 1 내지 도 17에서 사용된 번호들과 연관성이 없이 독립적으로 사용되었다. 따라서 도 1 내지 도 17에서 구성요소들을 지시한 번호들과, 도 18 내지 도 30a 및 도 30f에서 구성요소들을 지시하는 번호들은 서로 독립적으로 상이한 구성요소들을 지시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numbers indicating the components in Figs. 18 to 30A and 30F are used independently of the numbers used in Figs. Thu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numbers designating the elements in FIGS. 1 through 17 and the numbers designating the elements in FIGS. 18 through 30A and 30F are used to indicate different elements independently of each other.

도 18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 구성도이다.18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n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도 18을 참조하면, 에어로졸 생성 장치(1)(이하, '홀더'라고 함)는 배터리(110), 제어부(120) 및 히터(130)를 포함한다. 또한, 홀더(1)는 케이스(140)에 의하여 형성된 내부 공간을 포함한다. 홀더(1)의 내부 공간에는 궐련이 삽입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8, an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1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holder) includes a battery 110, a controller 120, and a heater 130. Further, the holder 1 includes an inner space formed by the case 140. The cigarette can be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holder 1. [

도 18에 도시된 홀더(1)에는 본 실시예와 관련된 구성요소들만이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도 18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요소들이 홀더(1)에 더 포함될 수 있음을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Only the components related to the present embodiment are shown in the holder 1 shown in Fig. Therefore,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other general components other than the components shown in Fig. 18 can be further included in the holder 1.

궐련이 홀더(1)에 삽입되면, 홀더(1)는 히터(130)를 가열한다. 궐련 내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은 가열된 히터(130)에 의하여 온도가 상승하고, 이에 따라 에어로졸이 생성된다. 생성된 에어로졸은 궐련의 필터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전달된다. 다만, 궐련이 홀더(1)에 삽입되지 않은 경우에도 홀더(1)는 히터(130)를 가열할 수 있다.When the cigarette is inserted into the holder 1, the holder 1 heats the heater 130. The aerosol product in the cigarette rises in temperature by the heated heater 130, thereby generating an aerosol. The generated aerosol is delivered to the user through the filter of the cigarette. However, even if the cigarette is not inserted into the holder 1, the holder 1 can heat the heater 130.

케이스(140)는 홀더(1)에서 분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케이스(140)를 시계 방향 또는 반 시계 방향으로 돌림으로써, 케이스(140)는 홀더(1)에서 분리될 수 있다.The case 140 can be detached from the holder 1. For example, when the user rotates the case 140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the case 140 can be separated from the holder 1.

또한, 케이스(140)의 말단(141)이 형성하는 구멍의 직경은 케이스(140)와 히터(130)에 의하여 형성된 공간의 직경에 비하여 작게 제작될 수 있고, 이 경우 홀더(1)에 삽입되는 궐련의 가이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The diameter of the hole formed by the end 141 of the case 140 may be made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space formed by the case 140 and the heater 130. In this case, It can serve as a guide for the cigarette.

배터리(110)는 홀더(1)가 동작하는데 이용되는 전력을 공급한다. 예를 들어, 배터리(110)는 히터(130)가 가열될 수 있도록 전력을 공급할 수 있고, 제어부(120)가 동작하는데 필요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110)는 홀더(1)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센서, 모터 등이 동작하는데 필요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The battery 110 supplies the electric power used by the holder 1 to operate. For example, the battery 110 can supply power to the heater 130 so that the heater 130 can be heated, and can supply the power required for the controller 120 to operate. In addition, the battery 110 can supply power required for the operation of the display, the sensor, the motor, and the like provided in the holder 1. [

배터리(110)는 리튬인산철(LiFePO4) 배터리일 수 있으나, 상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배터리(110)는 산화 리튬 코발트(LiCoO2) 배터리, 리튬 티탄산염 배터리 등이 해당될 수 있다. The battery 110 may be a lithium iron phosphate (LiFePO4) battery, but is not limited to the example described above. For example, the battery 110 may be a lithium-cobalt (LiCoO 2) battery, a lithium titanate battery, or the like.

또한, 배터리(110)는 직경이 10mm이고, 길이가 37mm인 원기둥의 형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배터리(110)의 용량은 120mAh 이상 일 수 있고, 충전이 가능한 배터리 이거나 일회용 배터리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110)가 충전이 가능한 경우, 배터리(110)의 충전율(C-rate)은 10C, 방전율(C-rate)는 16C 내지 20C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안정적인 사용을 위하여, 배터리(110)는 충/방전이 8000회 진행된 경우에도, 전체 용량의 80% 이상이 확보될 수 있도록 제작될 수 있다.Also, the battery 110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with a diameter of 10 mm and a length of 37 mm,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capacity of the battery 110 may be 120 mAh or more, a rechargeable battery, or a disposable battery. For example, when the battery 110 can be charged, the charging rate (C-rate) of the battery 110 may be 10 C and the discharging rate (C-rate) may be 16 C to 20 C,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lso, for stable use, the battery 110 can be manufactured so that 80% or more of the total capacity can be ensured even when the charge / discharge progresses 8,000 times.

여기에서, 배터리(110)의 완전 충전 및 완전 방전 여부는, 배터리(110)에 저장된 전력이 배터리(110)의 전체 용량 대비 어느 수준인가에 의하여 판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110)에 저장된 전력이 전체 용량의 95% 이상인 경우에, 배터리(110)가 완전 충전되었다고 판단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110)에 저장된 전력이 전체 용량의 10% 이하인 경우에, 배터리(110)가 완전 방전되었다고 판단될 수 있다. 그러나, 배터리(110)의 완전 충전 및 완전 방전 여부에 대한 판단 기준은 상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 whether the battery 110 is fully charged or completely discharged can be determined by determining the level of the power stored in the battery 110 with respect to the total capacity of the battery 110. For example, when the power stored in the battery 110 is equal to or greater than 95% of the total capacity,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battery 110 is fully charged. Also, when the power stored in the battery 110 is 10% or less of the total capacity,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battery 110 is completely discharged. However, the criterion for determining whether the battery 110 is fully charged or completely discharged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xample.

히터(130)는 배터리(110)로부터 공급된 전력에 의하여 가열된다. 궐련이 홀더(1)에 삽입되면, 히터(130)는 궐련의 내부에 위치한다. 따라서, 가열된 히터(130)는 궐련 내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의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The heater 130 is heated by the electric power supplied from the battery 110. When the cigarette is inserted into the holder 1, the heater 130 is located inside the cigarette. Thus, the heated heater 130 can raise the temperature of the aerosol product in the cigarette.

히터(130)는 원기둥과 원뿔이 조합된 형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히터(130)는 직경이 약 2mm, 길이가 약 23mm인 원기둥 형상을 갖고, 히터(130)의 말단(131)은 예각으로 마감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 히터(130)는 궐련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는 형태라면 제한 없이 해당될 수 있다. 또한, 히터(130)는 일부 부분만 가열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히터(130)의 길이가 23mm라고 가정하면, 히터(130)의 말단(131)으로부터 12mm만 가열되고, 히터(130)의 나머지 부분은 가열되지 않을 수도 있다.The heater 130 may be a combination of a cylinder and a cone. For example, the heater 130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with a diameter of about 2 mm and a length of about 23 mm, and the end 131 of the heater 130 may be closed at an acute angl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n other words, the heater 130 can be applied without limitation as long as it can be inserted into the interior of the cigarette. Further, only a part of the heater 130 may be heated. For example, assuming that the length of the heater 130 is 23 mm, only 12 mm is heated from the end 131 of the heater 130, and the remaining portion of the heater 130 may not be heated.

히터(130)는 전기 저항성 히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히터(130)에는 전기 전도성 트랙(track)을 포함하고, 전기 전도성 트랙에 전류가 흐름에 따라 히터(130)가 가열될 수 있다.The heater 130 may be an electrically resistive heater. For example, the heater 130 includes an electrically conductive track, and the heater 130 can be heated as current flows through the electrically conductive track.

안정적인 사용을 위하여, 히터(130)에는 3.2 V, 2.4 A, 8 W의 규격에 따른 전력이 공급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히터(130)에 전력이 공급되는 경우, 히터(130)의 표면 온도는 400℃ 이상으로 상승할 수 있다. 히터(130)에 전력이 공급되기 시작한 때부터 15초가 초과되기 이전에 히터(130)의 표면 온도는 약 350℃까지 상승할 수 있다. For stable use, the heater 130 may be supplied with power according to the specifications of 3.2 V, 2.4 A, 8 W, but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when electric power is supplied to the heater 130,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heater 130 may rise to 400 ° C or more.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heater 130 may rise to about 350 ° C. before the power is supplied to the heater 130 for more than 15 seconds.

홀더(1)에는 별도의 온도 감지 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또는, 홀더(1)에 온도 감지 센서가 구비되지 않고, 히터(130)가 온도 감지 센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히터(130)에는 발열을 위한 제 1 전기 전도성 트랙 이외에 온도 감지를 위한 제 2 전기 전도성 트랙이 더 포함될 수 있다. The holder 1 may be provided with a separate temperature sensor. Alternatively, the holder 1 may not be provided with a temperature sensing sensor, and the heater 130 may serve as a temperature sensing sensor. For example, the heater 130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electrically conductive track for temperature sensing in addition to the first electrically conductive track for heat generation.

예를 들어, 제 2 전기 전도성 트랙에 걸리는 전압 및 제 2 전기 전도성 트랙에 흐르는 전류가 측정되면, 저항(R)이 결정될 수 있다. 이 때, 아래의 수학식 1에 의하여 제 2 전기 전도성 트랙의 온도(T)가 결정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voltage across the second electrically conductive track and the current through the second electrically conductive track are measured, the resistance R can be determined. At this time, the temperature (T) of the second electrically conductive track can be determined by the following equation (1).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수학식 1에서, R은 제 2 전기 전도성 트랙의 현재 저항 값을 의미하고, R0는 온도 T0(예를 들어, 0℃)에서의 저항 값을 의미하고, α는 제 2 전기 전도성 트랙의 저항 온도 계수를 의미한다. 전도성 물질(예를 들어, 금속)은 고유의 저항 온도 계수를 갖고 있는바, 제 2 전기 전도성 트랙을 구성하는 전도성 물질에 따라 α는 미리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제 2 전기 전도성 트랙의 저항(R)이 결정되는 경우, 상기 수학식 1에 의하여 제 2 전기 전도성 트랙의 온도(T)가 연산될 수 있다.In the equation (1), R denotes the current resistance value of the second electrically conductive track, R 0 denotes the resistance value at the temperature T 0 (for example, 0 ° C) Resistance temperature coefficient. The conductive material (e.g., metal) has a resistive temperature coefficient inherent thereto, so that? Can be predetermined according to the conductive material constituting the second electrically conductive track. Thus, when the resistance R of the second electrically conductive track is determined, the temperature T of the second electrically conductive track can be calculated by Equation (1) above.

히터(130)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 전도성 트랙(제 1 전기 전도성 트랙 및 제 2 전기 전도성 트랙)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히터(130)는 2개의 제 1 전기 전도성 트랙 및 1개 또는 2개의 제 2 전기 전도성 트랙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heater 130 may be comprised of at least one electrically conductive track (a first electrically conductive track and a second electrically conductive track). For example, the heater 130 may be composed of two first electrically conductive tracks and one or two second electrically conductive tracks, but is not limited thereto.

전기 전도성 트랙은 전기 저항성 물질을 포함한다. 일 예로서, 전기 전도성 트랙은 금속 물질로 제작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전기 전도성 트랙은 전기 전도성 세라믹 물질, 탄소, 금속 합금 또는 세라믹 물질과 금속의 합성 물질로 제작될 수 있다.The electrically conductive track includes an electrically resistive material. As an example, the electrically conductive track can be made of a metallic material. As another example, an electrically conductive track can be made of an electrically conductive ceramic material, a carbon, a metal alloy, or a composite of a ceramic material and a metal.

또한, 홀더(1)는 온도 감지 센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전기 전도성 트랙 및 온도 감지 센서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Further, the holder 1 may include both an electrically conductive track and a temperature sensing sensor, which serve as temperature sensing sensors.

제어부(120)는 홀더(1)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20)는 배터리(110) 및 히터(130)뿐 만 아니라 홀더(1)에 포함된 다른 구성들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20)는 홀더(1)의 구성들 각각의 상태를 확인하여, 홀더(1)가 동작 가능한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The control unit 12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holder 1 as a whole.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120 controls the operation of not only the battery 110 and the heater 130, but also other components included in the holder 1. The controller 120 may also check the status of each of the configurations of the holder 1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holder 1 is in an operable state.

제어부(12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프로세서는 다수의 논리 게이트들의 어레이로 구현될 수도 있고, 범용적인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이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형태의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도 있음을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20 includes at least one processor. A processor may be implemented as an array of a plurality of logic gates, or may be implemented as a combination of a general purpose microprocessor and a memory in which a program executable in the microprocessor is stored. It will be apprecia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other forms of hardware.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히터(13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히터(130)가 소정의 온도까지 가열되거나 적절한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히터(130)에 공급되는 전력의 양 및 전력이 공급되는 시간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배터리(110)의 상태(예를 들어, 배터리(110)의 잔량 등)를 확인하고, 필요한 경우 알림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20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heater 130.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20 can control the amount of power supplied to the heater 130 and the time at which the power is supplied so that the heater 130 can be heated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or maintain an appropriate temperature.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20 can check the state of the battery 110 (e.g., the remaining amount of the battery 110) and generate a notification signal if necessary.

또한, 제어부(120)는 사용자의 퍼프(puff)의 유무 및 퍼프의 강도를 확인할 수 있고, 퍼프의 수를 카운팅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홀더(1)가 작동하고 있는 시간을 계속하여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후술할 크래들(2)이 홀더(1)와 결합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크래들(2)과 홀더(1)의 결합 또는 분리에 따라 홀더(1)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120 can check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user's puff and the strength of the puff, and count the number of puffs. Further, the control unit 120 can continuously confirm the time during which the holder 1 is operating. The control unit 120 determines whether the cradle 2 is coupled to the holder 1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holder 1 according to the coupling or separation of the cradle 2 and the holder 1 .

한편, 홀더(1)는 배터리(110), 제어부(120) 및 히터(130) 외에 범용적인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holder 1 may further include general configurations other than the battery 110, the control unit 120, and the heater 130.

예를 들어, 홀더(1)는 시각 정보의 출력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또는 촉각 정보의 출력을 위한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홀더(1)에 디스플레이가 포함되는 경우, 제어부(120)는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홀더(1)의 상태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홀더의 사용 가능 여부 등), 히터(130)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예열 시작, 예열 진행, 예열 완료 등), 배터리(110)와 관련된 정보(예를 들어, 배터리(110)의 잔여 용량, 사용 가능 여부 등), 홀더(1)의 리셋과 관련된 정보(예를 들어, 리셋 시기, 리셋 진행, 리셋 완료 등), 홀더(1)의 청소와 관련된 정보(예를 들어, 청소 시기, 청소 필요, 청소 진행, 청소 완료 등), 홀더(1)의 충전과 관련된 정보(예를 들어, 충전 필요, 충전 진행, 충전 완료 등), 퍼프와 관련된 정보(예를 들어, 퍼프 횟수, 퍼프 종료 예고 등) 또는 안전과 관련된 정보(예를 들어, 사용시간 경과 등) 등을 전달 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홀더(1)에 모터가 포함되는 경우, 제어부(120)는 모터를 이용하여 진동 신호를 생성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상술한 정보들을 전달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holder 1 may include a display capable of outputting visual information or a motor for outputting tactile information. As an example, when a display is included in the holder 1, the control unit 120 displays, via the display, information about the state of the holder 1 (e.g., availability of the holder, etc.) Information about the battery 110 (e.g., remaining capacity of the battery 110, availability, etc.), information about the battery 110 (e.g., (E.g., cleaning timing, cleaning progress, cleaning completion, etc.) related to the cleaning of the holder 1, information related to the cleaning of the holder 1 Information related to the charging of the holder 1 (e.g., charging required, charging progress, charging completed, etc.), information related to the puff (e.g., number of puffs, Time of use, etc.). As another example, when the holder 1 includes a motor, the control unit 120 can transmit the above-described information to the user by generating a vibration signal using the motor.

또한, 홀더(1)는 사용자가 홀더(1)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입력 장치(예를 들어, 버튼) 및/또는 크래들(2)과 결합되는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홀더(1)의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다양한 기능들을 실행할 수 있다. 사용자가 입력 장치를 누르는 횟수(예를 들어, 1회, 2회 등) 또는 입력 장치를 누르고 있는 시간(예를 들어, 0.1초, 0.2초 등)을 조절함으로써, 홀더(1)의 복수의 기능들 중 원하는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사용자가 입력 장치를 작동시킴에 따라, 홀더(1)는 히터(130)를 예열하는 기능, 히터(130)의 온도를 조절하는 기능, 궐련이 삽입되는 공간을 청소하는 기능, 홀더(1)가 작동 가능한 상태인지를 점검하는 기능, 배터리(110)의 잔량(가용 전력)을 표시하는 기능, 홀더(1)의 리셋 기능 등이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홀더(1)의 기능은 상술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holder 1 may also include a terminal coupled to the cradle 2 and / or at least one input device (e.g. a button) by which the user can control the function of the holder 1. For example, the user can perform various functions using the input device of the holder 1. [ By adjusting the number of times the user presses the input device (e.g., once, twice, etc.) or the time the input device is pressed (e.g., 0.1 second, 0.2 second, The desired function can be executed. As the user operates the input device, the holder 1 has a function of preheating the heater 130, a function of adjusting the temperature of the heater 130, a function of cleaning the space in which the cigarette is inserted, A function of checking whether the battery 110 is in an operable state, a function of displaying the remaining amount (available power) of the battery 110, a reset function of the holder 1, and the like. However, the function of the holder 1 is not limited to the examples described above.

또한, 홀더(1)는 퍼프 감지 센서, 온도 감지 센서 및/또는 궐련 삽입 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퍼프 감지 센서는 일반적인 압력 센서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고, 궐련 삽입 감지 센서는 일반적인 정전용량형 센서 또는 저항 센서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홀더(1)는 궐련이 삽입된 상태에서도 외부 공기가 유입/유출 될 수 있는 구조로 제작될 수 있다.Further, the holder 1 may include a puff detection sensor, a temperature detection sensor, and / or a cigarette insertion detection sensor. For example, the puff detection sensor can be implemented by a general pressure sensor, and the cigarette insertion detection sensor can be implemented by a general capacitive sensor or a resistance sensor. Also, the holder 1 can be manufactured in such a structure that external air can flow in / out even in the state where the cigarette is inserted.

도 19a 및 도 19b는 홀더의 일 예를 여러 측면에서 도시한 도면들이다.19A and 19B are views showing an example of the holder in various aspects.

도 19a는 홀더(1)를 제 1 방향에서 바라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1)는 원통형으로 제작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홀더(1)의 케이스(140)는 사용자의 동작에 의하여 분리될 수 있으며, 케이스(140)의 말단(141)으로 궐련이 삽입될 수 있다. 또한, 홀더(1)에는 사용자가 홀더(1)를 제어할 수 있는 버튼(150) 및 화면(image)이 출력되는 디스플레이(160)가 포함될 수 있다.19A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holder 1 is viewed in the first direction. As shown in Fig. 19A, the holder 1 can be made in a cylindrical shape,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case 140 of the holder 1 can be separated by the operation of the user and the cigarette can be inserted into the end 141 of the case 140. The holder 1 may also include a button 150 through which a user can control the holder 1 and a display 160 through which an image is output.

도 19b는 홀더(1)를 제 2 방향에서 바라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홀더(1)는 크래들(2)과 결합되는 단자(170)를 포함할 수 있다. 홀더(1)의 단자(170)가 크래들(2)의 단자(260)와 결합함으로써, 크래들(2)의 배터리(210)가 공급하는 전력에 의하여 홀더(1)의 배터리(110)가 충전될 수 있다. 또한, 단자(170)와 단자(260)를 통하여, 크래들(2)의 배터리(210)가 공급하는 전력에 의하여 홀더(1)가 동작할 수도 있고, 홀더(1)와 크래들(2)간에 통신(신호의 송수신)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단자(170)는 4개의 마이크로 핀(pin)들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19B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holder 1 is viewed in the second direction. The holder 1 may include a terminal 170 coupled with the cradle 2. The terminal 170 of the holder 1 is engaged with the terminal 260 of the cradle 2 so that the battery 110 of the holder 1 is charged by the power supplied by the battery 210 of the cradle 2 . The holder 1 may be operated by the electric power supplied from the battery 210 of the cradle 2 through the terminal 170 and the terminal 260 and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holder 1 and the cradle 2 (Signal transmission / reception) is possible. For example, the terminal 170 may be composed of four micro pins, but is not limited thereto.

도 20은 크래들의 일 예를 도시한 구성도이다.20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cradle.

도 20을 참조하면, 크래들(2)은 배터리(210) 및 제어부(220)를 포함한다. 또한, 크래들(2)은 홀더(1)가 삽입될 수 있는 내부 공간(230)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내부 공간(230)은 크래들(2)의 일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크래들(2)이 별도의 뚜껑을 포함하지 않더라도 홀더(1)가 크래들(2)에 삽입되고 고정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0, the cradle 2 includes a battery 210 and a control unit 220. Further, the cradle 2 includes an inner space 230 into which the holder 1 can be inserted. For example, the inner space 230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cradle 2. Thus, the holder 1 can be inserted and fixed in the cradle 2 even if the cradle 2 does not include a separate lid.

도 20에 도시된 크래들(2)에는 본 실시예와 관련된 구성요소들만이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도 20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요소들이 크래들(2)에 더 포함될 수 있음을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Only the components related to the present embodiment are shown in the cradle 2 shown in Fig. Therefore,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other general components other than the components shown in FIG. 20 can be further included in the cradle 2.

배터리(210)는 크래들(2)이 동작하는데 이용되는 전력을 공급한다. 또한, 배터리(210)는 홀더(1)의 배터리(110)를 충전하는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홀더(1)가 크래들(2)에 삽입되어 홀더(1)의 단자(170)와 크래들(2)의 단자(260)가 결합하는 경우, 크래들(2)의 배터리(210)는 홀더(1)의 배터리(11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The battery 210 supplies the power used to operate the cradle 2. In addition, the battery 210 can supply electric power for charging the battery 110 of the holder 1. For example, when the holder 1 is inserted into the cradle 2 so that the terminal 170 of the holder 1 and the terminal 260 of the cradle 2 are engaged, the battery 210 of the cradle 2 The battery 110 of the holder 1 can be supplied with power.

또한, 홀더(1)와 크래들(2)이 결합된 경우, 배터리(210)는 홀더(1)가 동작하는데 이용되는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홀더(1)의 단자(170)와 크래들(2)의 단자(260)가 결합되면, 홀더(1)의 배터리(110)가 방전되었는지 여부를 불문하고, 홀더(1)는 크래들(2)의 배터리(210)가 공급하는 전력을 이용하여 동작할 수 있다.Further, when the holder 1 and the cradle 2 are engaged, the battery 210 can supply the electric power used for operating the holder 1. [ For example, when the terminal 170 of the holder 1 and the terminal 260 of the cradle 2 are engaged, the holder 1 is kept in contact with the cradle 2 regardless of whether the battery 110 of the holder 1 is discharged or not. And can operate using power supplied from the battery 210 of the battery 2.

배터리(210) 종류의 예는 도 18을 참조하여 상술한 배터리(110)의 예와 동일할 수 있다. 배터리(210)의 용량은 배터리(110)의 용량보다 클 수 있고, 예를 들어 배터리(210)의 용량은 3000mAh 이상이 될 수 있다, 다만, 배터리(210)의 용량은 상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An example of the type of the battery 210 may be the same as the example of the battery 110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The capacity of the battery 210 may be greater than the capacity of the battery 110. For example, the capacity of the battery 210 may be 3000 mAh or more. However, the capacity of the battery 210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xample Do not.

제어부(220)는 크래들(2)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제어부(220)는 크래들(2)의 모든 구성들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20)는 홀더(1)와 크래들(2)이 결합되었는지를 판단하고, 크래들(2)과 홀더(1)의 결합 또는 분리에 따라 크래들(2)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22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cradle 2 as a whole. The control unit 220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all the configurations of the cradle 2. [ The control unit 220 can determine whether the holder 1 and the cradle 2 are coupled and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cradle 2 in accordance with the coupling or separation of the cradle 2 and the holder 1. [

예를 들어, 홀더(1)와 크래들(2)이 결합되면, 제어부(220)는 배터리(210)의 전력을 홀더(1)에 공급함으로써, 배터리(110)를 충전하거나 히터(130)를 가열시킬 수 있다. 따라서, 배터리(110)의 잔량이 적은 경우에도, 사용자는 홀더(1)와 크래들(2)을 결합하여 연속적으로 흡연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holder 1 and the cradle 2 are coupled, the control unit 220 supplies the power of the battery 210 to the holder 1 to charge the battery 110 or heat the heater 130 . Therefore, even when the remaining amount of the battery 110 is small, the user can continuously smoke by combining the holder 1 and the cradle 2. [

제어부(12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프로세서는 다수의 논리 게이트들의 어레이로 구현될 수도 있고, 범용적인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이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형태의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도 있음을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20 includes at least one processor. A processor may be implemented as an array of a plurality of logic gates, or may be implemented as a combination of a general purpose microprocessor and a memory in which a program executable in the microprocessor is stored. It will be apprecia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other forms of hardware.

한편, 크래들(2)은 배터리(210) 및 제어부(220) 외에 범용적인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크래들(2)은 시각 정보의 출력이 가능한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크래들(2)에 디스플레이가 포함되는 경우, 제어부(220)는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신호를 생성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배터리(220)(예를 들어, 배터리(220)의 잔여 용량, 사용 가능 여부 등)와 관련된 정보, 크래들(2)의 리셋(예를 들어, 리셋 시기, 리셋 진행, 리셋 완료 등)과 관련된 정보, 홀더(1)의 청소(예를 들어, 청소 시기, 청소 필요, 청소 진행, 청소 완료 등)와 관련된 정보, 크래들(2)의 충전(예를 들어, 충전 필요, 충전 진행, 충전 완료 등)과 관련된 정보 등을 전달 할 수 있다.Meanwhile, the cradle 2 may further include general configurations other than the battery 210 and the control unit 220. [ For example, the cradle 2 may include a display capable of outputting visual information. For example, when the display is included in the cradle 2, the control unit 220 generates a signal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so that the user can be informed of the remaining capacity of the battery 220 (for example, Whether or not the cleaning of the holder 1 (for example, cleaning time, cleaning necessity, cleaning, etc.), information related to the reset (E.g., completion of charging, completion of charging, completion of charging, etc.) of the cradle 2, and the like.

또한, 크래들(2)은 사용자가 크래들(2)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입력 장치(예를 들어, 버튼), 홀더(1)와 결합하는 단자(260) 및/또는 배터리(210)의 충전을 위한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USB 포트 등)를 포함할 수 있다.The cradle 2 also includes at least one input device (e.g., a button) that allows a user to control the function of the cradle 2, a terminal 260 that couples with the holder 1 and / (E. G., A USB port, etc.) for charging the battery.

예를 들어, 사용자는 크래들(2)의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다양한 기능들을 실행할 수 있다. 사용자가 입력 장치를 누르는 횟수 또는 입력 장치를 누르고 있는 시간을 조절함으로써, 크래들(2)의 복수의 기능들 중 원하는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사용자가 입력 장치를 작동시킴에 따라, 크래들(2)은 홀더(1)의 히터(130)를 예열하는 기능, 홀더(1)의 히터(130)의 온도를 조절하는 기능, 홀더(1) 내의 궐련이 삽입되는 공간을 청소하는 기능, 크래들(2)이 작동 가능한 상태인지를 점검하는 기능, 크래들(2)의 배터리(210)의 잔량(가용 전력)을 표시하는 기능, 크래들(2)의 리셋 기능 등이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크래들(2)의 기능은 상술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For example, the user can perform various functions using the input device of the cradle 2. [ By controlling the number of times the user presses the input device or the amount of time the input device is pressed, the desired function among the plurality of functions of the cradle 2 can be executed. As the user operates the input device, the cradle 2 has a function of preheating the heater 130 of the holder 1, a function of regulating the temperature of the heater 130 of the holder 1, A function of checking whether the cradle 2 is operable or not, a function of displaying the remaining amount (available power) of the battery 210 of the cradle 2, a function of resetting the cradle 2, Function and the like can be performed. However, the function of the cradle 2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xamples.

도 21a 및 도 21b는 크래들의 일 예를 여러 측면에서 도시한 도면들이다.21A and 21B are views showing an example of the cradle in various aspects.

도 21a는 크래들(2)을 제 1 방향에서 바라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크래들(2)의 일 측면에는 홀더(1)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230)이 있다. 또한, 크래들(2)이 뚜껑과 같은 별도의 고정 수단을 포함하지 않더라도 홀더(1)가 크래들(2)에 삽입되고 고정될 수 있다. 또한, 크래들(2)에는 사용자가 크래들(2)를 제어할 수 있는 버튼(240) 및 화면(image)이 출력되는 디스플레이(250)가 포함될 수 있다.21A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cradle 2 is viewed in the first direction. On one side of the cradle 2, there is a space 230 into which the holder 1 can be inserted. In addition, the holder 1 can be inserted and fixed in the cradle 2 even if the cradle 2 does not include a separate securing means such as a lid. In addition, the cradle 2 may include a button 240 through which a user can control the cradle 2 and a display 250 through which an image is output.

도 21b는 크래들(2)을 제 2 방향에서 바라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크래들(2)에는 삽입된 홀더(1)와 결합되는 단자(260)를 포함할 수 있다. 단자(260)가 홀더(1)의 단자(170)와 결합함으로써, 크래들(2)의 배터리(210)가 공급하는 전력에 의하여 홀더(1)의 배터리(110)가 충전될 수 있다. 또한, 단자(170)와 단자(260)을 통하여, 크래들(2)의 배터리(210)가 공급하는 전력에 의하여 홀더(1)가 동작할 수도 있고, 홀더(1)와 크래들(2)간의 신호의 송수신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단자(260)는 4개의 마이크로 핀(pin)들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Fig. 21B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cradle 2 is viewed in the second direction. The cradle 2 may include a terminal 260 coupled with the inserted holder 1. The battery 110 of the holder 1 can be charged by the electric power supplied from the battery 210 of the cradle 2 by engaging the terminal 260 with the terminal 170 of the holder 1. The holder 1 may be operated by the electric power supplied from the battery 210 of the cradle 2 through the terminal 170 and the terminal 260 and the signal between the holder 1 and the cradle 2 Lt; / RTI > For example, the terminal 260 may be composed of four micro pins, but is not limited thereto.

도 21a 내지 도 21b를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홀더(1)는 크래들(2)의 내부 공간(230)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홀더(1)는 크래들(2)의 내부에 완전히 삽입될 수도 있고, 크래들(2)에 삽입된 상태에서 틸트(tilt)될 수도 있다. 이하, 도 22 내지 도 24b를 참조하여, 홀더(1)가 크래들(2)에 삽입되는 예들을 설명한다.The holder 1 can be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230 of the cradle 2,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21A to 21B. The holder 1 may be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cradle 2 or may be tilted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cradle 2. [ Hereinafter, examples in which the holder 1 is inserted into the cradle 2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2 to 24B.

도 22는 홀더가 크래들에 삽입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22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holder is inserted into the cradle.

도 22를 참조하면, 홀더(1)가 크래들(2)에 삽입된 일 예가 도시되어 있다. 홀더(1)가 삽입될 공간(230)이 크래들(2)의 일 측면에 존재하므로, 삽입된 홀더(1)는 크래들(2)의 다른 측면들에 의하여 외부에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크래들(2)은, 홀더(1)를 외부에 노출시키지 않기 위한 다른 구성(예를 들어, 뚜껑)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22, an example in which the holder 1 is inserted into the cradle 2 is shown. The inserted holder 1 may not be exposed to the outside by other sides of the cradle 2 because the space 230 into which the holder 1 is to be inserted is present on one side of the cradle 2. [ Therefore, the cradle 2 may not include another configuration (for example, a lid) for not exposing the holder 1 to the outside.

크래들(2)에는 홀더(1)와의 결착 강도를 높이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결착 부재(271, 272)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홀더(1)에도 적어도 하나의 결착 부재(181)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에서, 결착 부재(181, 271, 272)는 자석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22에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홀더(1)가 하나의 결착 부재(181)를 포함하고, 크래들(2)이 두 개의 결착 부재들(271, 272)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결착 부재(181, 271, 272)의 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cradle (2) may include at least one binding member (271, 272) for increasing the binding strength with the holder (1). Also, at least one binding member 181 may be included in the holder 1 as well. Here, the binding members 181, 271, and 272 may be magnets, but are not limited thereto. 22 shows that the holder 1 includes one binding member 181 and the cradle 2 includes two binding members 271 and 272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181, 271, 272) is not limited to this.

홀더(1)는 제 1 위치에 결착 부재(181)를 포함할 수 있고, 크래들(2)은 제 2 위치 및 제 3 위치에 각각 결착 부재(271, 27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1 위치와 제 3 위치는 홀더(1)가 크래들(2)에 삽입되는 경우에 서로 마주보는 위치일 수 있다.The holder 1 may include a binding member 181 at a first position and the cradle 2 may include a binding member 271 and 272 at a second position and a third position, respectively. At this time, the first position and the third position may be positions facing each other when the holder 1 is inserted into the cradle 2.

홀더(1) 및 크래들(2)에 결착 부재(181, 271, 272)가 포함됨에 따라, 홀더(1)가 크래들(2)의 일 측면에 삽입되더라도, 홀더(1)와 크래들(2)이 더욱 강하게 결착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홀더(1) 및 크래들(2)에 단자(170, 260) 이외에 결착 부재(181, 271, 272)가 더 포함됨에 따라, 홀더(1)와 크래들(2)이 더욱 강하게 결착될 수 있다. 따라서, 크래들(2)에 별도의 구성(예를 들어, 뚜껑)이 없더라도, 삽입된 홀더(1)가 크래들(2)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As the holder 1 and the cradle 2 include the binding members 181, 271 and 272, even if the holder 1 is inserted into one side of the cradle 2, It can bind more strongly. In other words, as the holder 1 and the cradle 2 further include the binding members 181, 271 and 272 in addition to the terminals 170 and 260, the holder 1 and the cradle 2 can be stuck more strongly have. Therefore, even if the cradle 2 does not have a separate structure (e.g., a lid), the inserted holder 1 may not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cradle 2. [

또한 단자들(170, 260) 및/또는 결착 부재들(181, 271, 272)에 의하여 홀더(1)가 크래들(2)에 완전히 삽입되었다고 판단되면, 제어부(220)은 배터리(210)의 전력을 이용하여 홀더(1)의 배터리(110)를 충전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220 determines that the holder 1 is fully inserted into the cradle 2 by the terminals 170 and 260 and / or the binding members 181, 271 and 272, The battery 110 of the holder 1 can be charged.

도 23은 홀더가 크래들에 삽입된 상태에서 틸트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23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holder is tilted in a state of being inserted into the cradle.

도 23을 참조하면, 홀더(1)가 크래들(2)의 내부에서 틸트되어 있다. 여기에서, 틸트는 홀더(1)가 크래들(2)에 삽입된 상태에서 일정 각도로 기울여지는 것을 의미한다. Referring to FIG. 23, the holder 1 is tilted inside the cradle 2. Here, the tilt means that the holder 1 is tilted at a certain angle in a state where it is inserted into the cradle 2. [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1)가 크래들(2)에 완전히 삽입되는 경우, 사용자는 흡연을 할 수 없다. 다시 말해, 홀더(1)가 크래들(2)에 완전히 삽입되면, 홀더(1)에 궐련이 삽입될 수 없다. 따라서, 홀더(1)가 크래들(2)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는 사용자가 흡연을 할 수 없다.As shown in Fig. 22, when the holder 1 is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cradle 2, the user can not smoke. In other words, when the holder 1 is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cradle 2, the cigarette can not be inserted into the holder 1. Therefore, the user can not smoke when the holder 1 is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cradle 2. [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1)가 틸트되면, 홀더(1)의 말단(141)이 외부로 노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말단(141)에 궐련을 삽입하고, 생성된 에어로졸을 흡입(흡연)할 수 있다. 틸트 각(θ)은 궐련이 홀더(1)의 말단(141)에 삽입될 때, 궐련이 꺽이거나 훼손되지 않을 수 있도록 충분한 각도가 확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홀더(1)는 말단(141)에 포함된 궐련 삽입 구멍 전체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는 만큼 틸트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틸트 각(θ)의 범위는 0°초과 180°이하가 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0°이상 90°이하가 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틸트 각(θ)의 범위는 10°이상 20°이하, 10°이상 30°이하, 10°이상 40°이하, 10°이상 50°이하, 또는 10°이상 60°이하가 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23, when the holder 1 is tilted, the distal end 141 of the holder 1 is exposed to the outside. Therefore, the user can insert a cigarette into the distal end 141 and suck (smoke) the generated aerosol. A sufficient angle can be secured so that the cigarette may not be bent or damaged when the cigarette is inserted into the distal end 141 of the holder 1. [ For example, the holder 1 can be tilted as much as the entire cigarette insertion hole included in the distal end 141 can be exposed to the outside. For example, the range of the tilt angle [theta] may be more than 0 DEG and not more than 180 DEG, preferably not less than 10 DEG and not more than 90 DEG. More preferably, the range of the tilt angle? Is not less than 10 degrees and not more than 20 degrees, not less than 10 degrees and not more than 30 degrees, not less than 10 degrees and not more than 40 degrees, not less than 10 degrees and not more than 50 degrees, .

또한 홀더(1)가 틸트되더라도, 홀더(1)의 단자(170)와 크래들(2)의 단자(260)는 서로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홀더(1)의 히터(130)는 크래들(2)의 배터리(210)가 공급하는 전력에 의하여 가열될 수 있다. 따라서, 홀더(1)의 배터리(110)의 잔량이 적거나 없는 경우에도, 홀더(1)는 크래들(2)의 배터리(210)를 이용하여 에어로졸을 생성할 수 있다.The terminal 170 of the holder 1 and the terminal 260 of the cradle 2 are coupled to each other even if the holder 1 is tilted. Therefore, the heater 130 of the holder 1 can be heated by the electric power supplied by the battery 210 of the cradle 2. The holder 1 can generate aerosol using the battery 210 of the cradle 2 even when the remaining amount of the battery 110 of the holder 1 is small or absent.

도 23에는 홀더(1)가 하나의 결착 부재(182)를 포함하고, 크래들(2)이 두 개의 결착 부재들(273, 274)을 포함하는 예가 도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결착 부재들(182, 273, 274) 각각의 위치는 도 22를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다. 만약, 결착 부재들(182, 273, 274)이 자석이라고 가정하면, 결착 부재(274)의 자석 강도가 결착 부재(273)의 자석 강도보다 클 수 있다. 따라서, 홀더(1)가 틸트되더라도, 결착 부재(182) 및 결착 부재(274)에 의하여, 홀더(1)는 크래들(2)과 완전히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23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holder 1 includes one binding member 182 and the cradle 2 includes two binding members 273 and 274. FIG. For example, the position of each of the binding members 182, 273, and 274 is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If the binding members 182, 273 and 274 are assumed to be magnets, the magnet strength of the binding member 274 may be greater than the magnet strength of the binding member 273. The holder 1 may not be completely separated from the cradle 2 by the binding member 182 and the binding member 274 even if the holder 1 is tilted.

또한, 단자들(170, 260) 및/또는 결착 부재들(182, 273, 274)에 의하여 홀더(1)가 틸트되었다고 판단되면, 제어부(220)은 배터리(210)의 전력을 이용하여, 홀더(1)의 히터(130)를 가열하거나, 배터리(110)를 충전할 수 있다.When the controller 220 determines that the holder 1 is tilted by the terminals 170 and 260 and / or the binding members 182, 273 and 274, The heater 130 of the battery 1 can be heated or the battery 110 can be charged.

도 24a 내지 도 24b는 홀더가 크래들에 삽입된 예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24A to 24B are views showing examples in which the holder is inserted into the cradle.

도 24a에는 홀더(1)가 크래들(2)에 완전히 삽입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 홀더(1)가 크래들(2)에 완전히 삽입되는 경우, 사용자가 홀더(1)에 접촉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크래들(2)의 내부 공간(230)이 충분히 확보되도록 제작될 수 있다. 홀더(1)가 크래들(2)에 완전히 삽입되면, 제어부(220)는, 홀더(1)의 배터리(110)가 충전될 수 있도록, 배터리(210)의 전력을 홀더(1)에 공급한다.Fig. 24A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holder 1 is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cradle 2. Fig. The inner space 230 of the cradle 2 can be sufficiently secured to minimize the contact of the user with the holder 1 when the holder 1 is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cradle 2. [ When the holder 1 is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cradle 2, the control unit 220 supplies the power of the battery 210 to the holder 1 so that the battery 110 of the holder 1 can be charged.

도 24b에는 홀더(1)가 크래들(2)에 삽입된 상태에서 틸트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 홀더(1)가 틸트되면, 제어부(220)는, 홀더(1)의 배터리(110)가 충전되거나, 홀더(1)의 히터(130)가 가열될 수 있도록, 배터리(210)의 전력을 홀더(1)에 공급한다.Fig. 24B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holder 1 is tilted in a state where it is inserted into the cradle 2. Fig. When the holder 1 is tilted, the controller 220 controls the electric power of the battery 210 to be stored in the holder 1 so that the battery 110 of the holder 1 can be charged or the heater 130 of the holder 1 can be heated. (1).

도 25는 홀더 및 크래들이 동작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25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n example in which a holder and a cradle operate.

도 25에 도시된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방법은 도 18에 도시된 홀더(1) 또는 도 20에 도시된 크래들(2)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로 구성된다. 따라서, 이하에서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도 18에 도시된 홀더(1) 및 도 20에 도시된 크래들(2)에 관하여 이상에서 기술된 내용은 도 25의 방법에도 적용됨을 알 수 있다.The method of producing the aerosol shown in Fig. 25 consists of the steps of the holder 1 shown in Fig. 18 or the cradle 2 shown in Fig. Therefore,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 contents described above with respect to the holder 1 shown in Fig. 18 and the cradle 2 shown in Fig. 20 apply to the method of Fig. 25, even if omitted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810 단계에서, 홀더(1)는 크래들(2)에 삽입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홀더(1) 및 크래들(2)의 단자들(170, 260)이 서로 연결되었는지 및/또는 결착 부재들(181, 271, 272)이 동작하는지에 따라 홀더(1)가 크래들(2)에 삽입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In step 810, the holder 1 determines whether it is inserted into the cradle 2 or not.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20 controls the holder 1 and the cradle 2 according to whether the terminals 170 and 260 of the holder 1 and the cradle 2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 or the binding members 181, 271, 1) is inserted into the cradle 2 can be determined.

홀더(1)가 크래들(2)에 삽입된 경우에는 820 단계로 진행하고, 홀더(1)가 크래들(2)가 분리된 경우에는 830 단계로 진행한다.If the holder 1 is inserted into the cradle 2,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820. If the holder 1 has separated the cradle 2,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830.

820 단계에서, 크래들(2)은 홀더(1)가 틸트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220)는 홀더(1) 및 크래들(2)의 단자들(170, 260)이 서로 연결되었는지 및/또는 결착 부재들(182, 273, 274)이 동작하는지에 따라 홀더(1)가 틸트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In step 820, the cradle 2 determines whether the holder 1 is tilted.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220 may control the holder 1 and the cradle 2 according to whether the terminals 170 and 260 of the holder 1 and the cradle 2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 or the binding members 182, 273, 1) is tilted.

820 단계에서는 크래들(2)이 홀더(1)의 틸트 여부를 판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 홀더(1)의 틸트 여부는 홀더(1)의 제어부(120)에 의하여 판단될 수도 있다.In step 820, the cradle 2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holder 1 is tilt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n other words, whether or not the holder 1 is tilted may be judged by the control unit 120 of the holder 1.

홀더(1)가 틸트된 경우에는 840 단계로 진행하고, 홀더(1)가 틸트되지 않은 경우(즉, 홀더(1)가 크래들(2)에 완전히 삽입된 경우)에는 870 단계로 진행한다.If the holder 1 is tilted,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840. If the holder 1 is not tilted (i.e., the holder 1 is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cradle 2),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870.

830 단계에서, 홀더(1)는 홀더(1)의 사용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배터리(110)의 잔량 및 홀더(1)의 다른 구성들이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있는지를 체크함으로써 사용 조건이 만족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In step 830, the holder 1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use condition of the holder 1 is satisfied.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20 can determine whether the usage conditions are satisfied by checking whether the remaining amount of the battery 110 and other configurations of the holder 1 can be normally operated.

홀더(1)의 사용 조건이 만족된 경우에는 840 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절차를 종료한다.If the use condition of the holder 1 is satisfied,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840; otherwise, the procedure is terminated.

840 단계에서, 홀더(1)는 사용자에게 사용 가능 상태임을 알린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홀더(1)의 디스플레이에 사용 가능함을 알리는 화면(image)을 출력할 수도 있고, 홀더(1)의 모터를 제어하여 진동 신호를 생성할 수도 있다.In step 840, the holder 1 informs the user that it is in the usable state.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20 may output an image indicating that it is usable on the display of the holder 1, or may control the motor of the holder 1 to generate a vibration signal.

850 단계에서, 히터(130)가 가열된다. 일 예로서, 홀더(1)가 크래들(2)로부터 분리된 경우, 홀더(1)의 배터리(110)의 전력에 의하여 히터(130)가 가열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홀더(1)가 틸트된 경우, 크래들(2)의 배터리(210)의 전력에 의하여 히터(130)가 가열될 수 있다.In step 850, the heater 130 is heated. As one example, when the holder 1 is detached from the cradle 2, the heater 130 can be heated by the electric power of the battery 110 of the holder 1. As another example, when the holder 1 is tilted, the heater 130 can be heated by the electric power of the battery 210 of the cradle 2.

홀더(1)의 제어부(120) 또는 크래들(2)의 제어부(220)는 히터(130)의 온도를 실시간으로 확인하여 히터(130)에 공급되는 전력의 양 및 히터(130)에 전력이 공급되는 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 220)는 홀더(1)에 포함된 온도 감지 센서 또는 히터(130)의 전기 전도성 트랙을 통하여 히터(130)의 온도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20 of the holder 1 or the control unit 220 of the cradle 2 checks the temperature of the heater 130 in real time and controls the amount of power supplied to the heater 130 and the amount of power supplied to the heater 130 Can be adjusted.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20 or 220 can check the temperature of the heater 130 in real time through the temperature sensing sensor included in the holder 1 or the electrically conductive track of the heater 130.

860 단계에서, 홀더(1)는 에어로졸 생성 기작(mechanism)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 220)는 사용자가 퍼프를 수행함에 따라 변하는 히터(130)의 온도를 확인하여 히터(130)에 공급되는 전력의 양을 조절하거나 히터(130)에 전력의 공급을 중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 220)는 사용자의 퍼프 횟수를 카운팅할 수 있고, 일정한 퍼프 횟수(예를 들어, 1500회)에 도달하면 홀더의 청소가 필요함을 알리는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In step 860, the holder 1 performs an aerosol generation mechanism.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20 or 220 may control the amount of power supplied to the heater 130 or the amount of power supplied to the heater 130 by checking the temperature of the heater 130 that changes as the user performs the puff You can stop. Also, the control units 120 and 220 can count the number of puffs of the user and output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holder needs to be cleaned when the number of puffs reaches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for example, 1500).

870 단계에서, 크래들(2)은 홀더(1)의 충전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220)는 크래들(2)의 배터리(210) 전력을 홀더(1)의 배터리(110)에 공급함으로써 홀더(1)를 충전시킬 수 있다.In step 870, the cradle 2 performs charging of the holder 1.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220 can charge the holder 1 by supplying the battery 210 power of the cradle 2 to the battery 110 of the holder 1.

한편, 제어부(120, 220)는 사용자의 퍼프 횟수 또는 홀더(1)의 동작 시간에 따라 홀더(1)의 동작을 정지시킬 수도 있다. 이하, 도 26을 참조하여, 제어부(120, 220)가 홀더(1)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일 예를 설명한다.Meanwhile, the control units 120 and 220 may stop the operation of the holder 1 according to the number of puffs of the user or the operation time of the holder 1. Hereinafter, an example in which the control units 120 and 220 stop the operation of the holder 1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26은 홀더가 동작하는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26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nother example in which the holder operates.

도 26에 도시된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방법은 도 18에 도시된 홀더(1) 및 도 20에서 도시된 크래들(2)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로 구성된다. 따라서, 이하에서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도 18에 도시된 홀더(1) 또는 도 20에 도시된 크래들(2)에 관하여 이상에서 기술된 내용은 도 26의 방법에도 적용됨을 알 수 있다.The method of producing the aerosol shown in Fig. 26 consists of the steps of the holder 1 shown in Fig. 18 and the cradle 2 shown in Fig. 20, which are processed in a time-series manner. Therefore, it is understood that the contents described above with respect to the holder 1 shown in Fig. 18 or the cradle 2 shown in Fig. 20 apply to the method shown in Fig. 26, even if omitted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910 단계에서, 제어부(120, 220)는 사용자가 퍼프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 220)는 홀더(1)에 포함된 퍼프 감지 센서를 통하여 사용자가 퍼프하였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In step 910, the control unit 120 or 220 determines whether the user has puffed. For example, the controller 120 or 220 may determine whether the user has puffed through the puff detection sensor included in the holder 1.

920 단계에서, 사용자의 퍼프에 따라 에어로졸이 생성된다. 제어부(120, 220)가 사용자의 퍼프 및 히터(130)의 온도에 따라 히터(130)에 공급되는 전력을 조절할 수 있음은 도 25을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다. 또한, 제어부(120, 220)는 사용자의 퍼프 횟수를 카운팅한다.In step 920, an aerosol is generated according to the user's puff. The control units 120 and 220 can adjust the power supplied to the heater 130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of the user's puff and heater 130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Also, the controllers 120 and 220 count the number of puffs of the user.

930 단계에서, 제어부(120, 220)는 사용자의 퍼프 횟수가 퍼프 제한 횟수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퍼프 제한 횟수가 14회로 설정되었다고 가정하면, 제어부(120, 220)는 카운팅된 퍼프 횟수가 14회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In step 930, the controller 120 or 220 determines whether the number of puffs of the user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puff limit number. For example, if it is assumed that the number of puff restriction times is set to 14, the control unit 120 or 220 determines whether the counted number of puffs is 14 or more.

한편, 사용자의 퍼프 횟수가 퍼프 제한 횟수에 근접한 경우(예를 들어, 사용자의 퍼프 횟수가 12회인 경우), 제어부(120, 220)는 디스플레이 또는 진동 모터를 통하여 경고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number of puffs of the user is close to the number of puff limitation (for example, when the number of puffs of the user is 12), the control unit 120 or 220 can output a warning signal through the display or the vibration motor.

만약, 사용자의 퍼프 횟수가 퍼프 제한 횟수 이상인 경우에는 950 단계로 진행하고, 사용자의 퍼프 횟수가 퍼프 제한 횟수보다 적을 경우에는 940 단계로 진행한다.If the number of puffs of the user is less than the number of puffs,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940. If the number of puffs of the user is less than the number of puffs,

940 단계에서, 제어부(120, 220)는 홀더(1)가 동작한 시간이 동작 제한 시간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에서, 홀더(1)가 동작한 시간은 홀더가 동작을 시작한 시점부터 현재까지 누적된 시간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동작 제한 시간이 10분으로 설정되었다고 가정하면, 제어부(120, 220)는 홀더(1)가 10분 이상 동작하고 있는지를 판단한다.In step 940, the controller 120 or 220 determines whether the time when the holder 1 is operated is equal to or longer than the operation limit time. Here, the time when the holder 1 is operated means the time accumulated from the time when the holder started to operate to the present time. For example, if it is assumed that the operation time limit is set to 10 minutes, the control unit 120 or 220 determines whether the holder 1 is operating for 10 minutes or more.

한편, 홀더(1)의 동작 시간이 동작 제한 시간에 근접한 경우(예를 들어, 홀더(1)가 8분 동안 동작하고 있는 경우), 제어부(120, 220)는 디스플레이 또는 진동 모터를 통하여 경고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operation time of the holder 1 is close to the operation limit time (for example, when the holder 1 is operating for 8 minutes), the control unit 120, Can be output.

만약, 홀더(1)가 동작 제한 시간 이상으로 동작하고 있는 경우에는 950 단계로 진행하고, 홀더(1)의 동작 시간이 동작 제한 시간보다 적은 경우에는 920 단계로 진행한다.If the operation time of the holder 1 is less than the operation time limit, the operation proceeds to step 920. If the operation time of the holder 1 is less than the operation time limit,

950 단계에서, 제어부(120, 220)는 홀더의 동작을 강제 종료한다. 다시 말해, 제어부(120, 220)는 홀더의 에어로졸 생성 기작을 중지시킨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 220)는 히터(130)에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함으로써, 홀더의 동작을 강제 종료할 수 있다.In step 950, the control unit 120 or 220 forcibly terminates the operation of the holder. In other words, the control units 120 and 220 stop the aerosol generation mechanism of the holder. For example, the control units 120 and 220 can forcibly terminate the operation of the holder by cutting off the power supplied to the heater 130. [

도 27은 크래들이 동작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27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n example in which the cradle operates.

도 27에 도시된 흐름도는 도 20에 도시된 크래들(2)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로 구성된다. 따라서, 이하에서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도 20에 도시된 크래들(2)에 관하여 이상에서 기술된 내용은 도 27의 흐름도에도 적용됨을 알 수 있다.The flow chart shown in Fig. 27 consists of steps that are processed in a time-series manner in the cradle 2 shown in Fig. Therefore, it is understood that the contents described above with respect to the cradle 2 shown in FIG. 20 apply to the flow chart of FIG. 27, even if omitted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27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이하에서 설명할 크래들(2)의 동작은, 홀더(1)가 크래들(2)에 삽입되었는지 여부를 불문하고 수행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Fig. 27, the operation of the cradle 2 to be described below can be performed regardless of whether or not the holder 1 is inserted into the cradle 2. Fig.

1010 단계에서, 크래들(2)의 제어부(220)는 버튼(240)이 눌려졌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만약, 버튼(240)이 눌려진 경우에는 1020 단계로 진행하고, 버튼(240)이 눌려지지 않은 경우에는 1030 단계로 진행한다.In step 1010, the control unit 220 of the cradle 2 determines whether the button 240 is pressed. If the button 240 is pressed,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1020. If the button 240 is not pressed,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1030. [

1020 단계에서, 크래들(2)은 배터리의 상태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220)는 배터리(210)의 현재 상태(예를 들어, 잔량량 등)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250)에 출력할 수 있다.In step 1020, the cradle 2 displays the status of the battery.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220 may output information about the current state of the battery 210 (for example, the remaining amount, etc.) to the display 250.

1030 단계에서, 크래들(2)의 제어부(220)는 크래들(2)에 케이블이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220)는 크래들(2)에 포함된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USB 포트 등)에 케이블이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만약, 크래들(2)에 케이블이 연결된 경우에는 1040 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절차를 종료한다.In step 1030, the control unit 220 of the cradle 2 determines whether a cable is connected to the cradle 2. [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220 determines whether a cable is connected to an interface (for example, a USB port, etc.) included in the cradle 2. [ If the cable is connected to the cradle 2,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1040; otherwise, the procedure is terminated.

1040 단계에서, 크래들(2)은 충전 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크래들(2)은 연결된 케이블을 통하여 공급되는 전력을 이용하여 배터리(210)를 충전한다.In step 1040, the cradle 2 performs a charging operation. For example, the cradle 2 charges the battery 210 using electric power supplied through a connected cable.

도 18을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홀더(1)에는 궐련이 삽입될 수 있다. 궐련은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포함하고, 가열된 히터(130)에 의하여 에어로졸이 생성된다.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18, the cigarette can be inserted into the holder 1. Fig. The cigarette contains an aerosol product, and an aerosol is produced by the heated heater 130.

이하, 도 28 내지 도 30f를 참조하여, 홀더(1)에 삽입될 수 있는 궐련의 예를 설명한다.An example of a cigarette which can be inserted into the holder 1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s. 28 to 30F.

도 28는 홀더에 궐련이 삽입된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28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 cigarette is inserted into a holder.

도 28을 참조하면, 궐련(3)은 케이스(140)의 말단(141)을 통하여 홀더(1)에 삽입될 수 있다. 궐련(3)이 삽입되면, 히터(130)는 궐련(3)의 내부에 위치된다. 따라서, 가열된 히터(130)에 의하여 궐련(3)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가열되고, 이에 따라 에어로졸이 생성된다.Referring to Fig. 28, the cigarette 3 can be inserted into the holder 1 through the end 141 of the case 140. Fig. When the cigarette 3 is inserted, the heater 130 is positioned inside the cigarette 3. Thus, the heated heater 130 heats the aerosol generating material of the cigarette 3, thereby generating an aerosol.

궐련(3)은 일반적인 연소형 궐련과 유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궐련(3)은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포함하는 제 1 부분(310)과 필터 등을 포함하는 제 2 부분(320)으로 구분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 따른 궐련(3)은 제 2 부분(320)에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과립 또는 캡슐의 형태로 만든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제 2 부분(320)에 삽입될 수도 있다.The cigarette 3 may be similar to a general soft cigarette. For example, the cigarette 3 may be divided into a first portion 310 comprising an aerosol generating material and a second portion 320 comprising a filter or the like. Meanwhile, the cigarette 3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include an aerosol generating material in the second portion 320. [ For example, an aerosol product made in the form of granules or capsules may be inserted into the second portion 320.

홀더(1)의 내부에는 제 1 부분(310) 전체가 삽입되고, 제 2 부분(320)은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또는, 홀더(1)의 내부에 제 1 부분(310)의 일부만 삽입될 수도 있고, 제 1 부분(310) 및 제 2 부분(320)의 일부가 삽입될 수도 있다.The entire first portion 310 may be inserted into the holder 1 and the second portion 320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Alternatively, only a part of the first part 310 may be inserted into the holder 1, and a part of the first part 310 and the second part 320 may be inserted.

사용자는 제 2 부분(320)을 입으로 문 상태에서 에어로졸을 흡입할 수 있다. 이때, 에어로졸은 외부 공기와 혼합되어 사용자의 입으로 전달된다.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공기는 궐련(3)의 표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구멍(hole)을 통하여 유입(1110)될 수도 있고, 홀더(1)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공기 통로를 통하여 유입(1120)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홀더(1)에 형성된 공기 통로는 사용자에 의하여 개폐될 수 있도록 제작될 수도 있다.The user may inhale the aerosol from the second portion 320 into the mouth. At this time, the aerosol is mixed with the outside air and transferred to the user's mouth. 28, the external air may be introduced (1110) through at least one hole formed in the surface of the cigarette 3, and may be introduced into the holder 1 through at least one air passage formed in the holder 1 (1120). For example, the air passage formed in the holder 1 may be made openable and closable by the user.

도 29a 및 도 29b는 궐련의 일 예를 도시한 구성도이다.29A and 29B are schematic diagrams showing an example of a cigarette.

도 29a 및 도 29b를 참조하면, 궐련(3)은 담배 로드(310), 제 1 필터 세그먼트(321), 냉각 구조물(322) 및 제 2 필터 세그먼트(323)을 포함한다. 도 28를 참조하여 상술한 제 1 부분(310)은 담배 로드(310)를 포함하고, 제 2 부분(320)은 제 1 필터 세그먼트(321), 냉각 구조물(322) 및 제 2 필터 세그먼트(323)을 포함한다.29A and 29B, the cigarette 3 includes a cigarette rod 310, a first filter segment 321, a cooling structure 322 and a second filter segment 323. 28 includes the tobacco rod 310 and the second portion 320 includes the first filter segment 321, the cooling structure 322 and the second filter segment 323 ).

한편, 도 29a와 도 29b를 비교하면, 도 29b의 궐련(3)은 도 29a의 궐련(3)에 비하여 제 4 래퍼(334)를 더 포함한다.29A and 29B, the cigarette 3 of FIG. 29B further includes a fourth wrapper 334 as compared to the cigarette 3 of FIG. 29A.

다만, 도 29a 및 도 29b에 도시된 궐련(3)의 구조는 일 예에 불과하며, 일부 구성이 생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궐련(3)에는 제 1 필터 세그먼트(321), 냉각 구조물(322) 및 제 2 필터 세그먼트(323)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However, the structure of the cigarette 3 shown in Figs. 29A and 29B is merely an example, and a part of the construction may be omitted. For example, the cigarette 3 may not include at least one of the first filter segment 321, the cooling structure 322, and the second filter segment 323.

담배 로드(310)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생성 물질은 글리세린, 프로필렌 글리콜, 에틸렌 글리콜, 디프로필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테트라에틸렌 글리콜 및 올레일 알코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담배 로드(310)의 길이는 약 7mm 내지 15mm일 수 있거나, 바람직하게, 약 12mm가 될 수 있다. 또한, 담배 로드(310)의 직경은 7mm 내지 9mm일 수 있거나, 바람직하게, 약 7.9mm일 수 있다. 담배 로드(310)의 길이 및 직경은 전술한 수치범위에 한정되지 않는다. The tobacco rod 310 comprises an aerosol generating material. For example, the aerosol producing material may comprise at least one of glycerin, propylene glycol, ethylene glycol, dipropylene glycol, diethylene glycol, triethylene glycol, tetraethylene glycol and oleyl alcohol. The length of the tobacco rod 310 may be about 7 mm to 15 mm, or preferably about 12 mm. In addition, the diameter of the tobacco rod 310 may be between 7 mm and 9 mm, or preferably about 7.9 mm. The length and diameter of the tobacco rod 310 are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numerical ranges.

또한, 담배 로드(310)는 풍미제, 습윤제 및/또는 아세테이트 화합물과 같은 다른 첨가 물질을 함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풍미제는 감초, 자당, 과당 시럽, 이소감미제(isosweet), 코코아, 라벤더, 시나몬, 카르다몸, 셀러리, 호로파, 카스카릴라, 백단, 베르가못, 제라늄, 벌꿀 에센스, 장미 오일, 바닐라, 레몬 오일, 오렌지 오일, 민트 오일, 계피, 케러웨이, 코냑, 자스민, 카모마일, 멘톨, 계피, 일랑일랑, 샐비어, 스피어민트, 생강, 고수 또는 커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습윤제는 글리세린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 등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obacco rod 310 may contain other additive materials such as flavorings, wetting agents and / or acetate compounds. For example, the flavorings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licorice, sucrose, fructose syrup, isosweet, cocoa, lavender, cinnamon, cardamom, celery, fenugreek, cascara, sandalwood, bergamot, geranium, Mint oil, cinnamon, keragene, cognac, jasmine, chamomile, menthol, cinnamon, ylang ylang, salvia, spearmint, ginger, coriander or coffee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wetting agent may include glycerin or propylene glycol.

일 예로서, 담배 로드(310)는 담배 각초들로 충전될 수 있다. 여기에서, 담배 각초들은 담배 시트를 잘게 분쇄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tobacco rod 310 may be charged with cigarette ore. Here, tobacco orchards can be produced by finely crushing a tobacco sheet.

넓은 담배 시트가 좁은 공간의 담배 로드(310)에 채워지기 위해서는, 담배 시트가 용이하게 접힐 수 있도록 하는 공정이 추가적으로 요구된다. 따라서, 담배 로드(310)를 담배 시트로 충전하는 것에 비하여, 담배 로드(310)를 담배 각초들로 충전하는 것이 더 용이하며, 담배 로드(310)를 생산하는 공정의 생산성 및 효율이 더 높아질 수 있다.In order for the wide tobacco sheet to be filled in the tobacco rod 310 in the narrow space, a process is further required to allow the tobacco sheet to be easily folded. Thus, it is easier to fill the tobacco rod 310 with cigarette ore, as compared to filling the tobacco rod 310 with a cigarette sheet, and the productivity and efficiency of the process of producing the tobacco rod 310 can be higher have.

다른 예로서, 담배 로드(310)는 담배 시트가 세절된 복수의 담배 가닥들로 충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담배 로드(310)는 복수의 담배 가닥들이 서로 같은 방향(평행)으로 또는 무작위로 합쳐져서 형성될 수 있다. 하나의 담배 가닥은 가로 길이가 1 mm, 세로 길이가 12mm, 두께(높이)가 0.1 mm인 직육면체 형상으로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As another example, the tobacco rod 310 can be filled with a plurality of cigarette strands that are cut into a cigarette sheet. For example, the tobacco rod 310 can be formed by combining a plurality of tobacco strands in the same direction (parallel) or randomly. One cigarette strand may be manufactured in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having a length of 1 mm, a length of 12 mm, and a thickness (height) of 0.1 mm, but is not limited thereto.

담배 로드(310)가 담배 시트로 충전되는 것과 비교하여, 담배 가닥들로 충전된 담배 로드(310)는 더 많은 양의 에어로졸이 발생될 수 있다. 동일한 공간에 충전되는 것을 가정하면, 담배 시트에 비하여, 담배 가닥들이 더 넓은 표면적을 보장한다. 넓은 표면적은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외부 공기와 접촉하는 기회가 더 많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담배 로드(310)가 담배 가닥들로 충전될 경우, 담배 시트로 충전된 것에 비하여 더 많은 에어로졸이 생성될 수 있다.Compared to the tobacco rod 310 being filled with a cigarette sheet, the tobacco rod 310 filled with tobacco strands can generate a greater amount of aerosol. Assuming that they are filled in the same space, the tobacco strands ensure a wider surface area than the tobacco sheet. A large surface area means that the aerosol product has a greater chance of contact with the outside air. Thus, when the tobacco rod 310 is filled with tobacco strands, more aerosol can be generated than when filled with the tobacco sheet.

또한, 궐련(3)을 홀더(1)에서 분리할 때, 담배 가닥들로 충전된 담배 로드(310)가 담배 시트로 충전된 것에 비하여 보다 더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담배 시트에 비교하여, 담배 가닥들이 히터(130)와 접촉하여 생성되는 마찰력이 더 작다. 따라서, 담배 로드(310)가 담배 가닥들로 충전될 경우, 담배 시트로 충전된 것에 비하여 홀더(1)로부터 더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Further, when the cigarette 3 is separated from the holder 1, the tobacco rod 310 filled with the cigarette strands can be separated more easily than the tobacco sheet 310 is filled with the cigarette sheet. Compared to a cigarette sheet, the tobacco strands are less frictional to contact with the heater 130. Thus, when the tobacco rod 310 is filled with the tobacco strands, it can be more easily separated from the holder 1 than it is filled with the tobacco sheet.

담배 시트는 담배 원료를 슬러리 형태로 분쇄한 후 슬러리를 건조시킴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슬러리에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15 내지 30% 첨가될 수 있다. 담배 원료는 담배 잎 조각, 담배 줄기, 담배 처리 중 발생된 담배 분진 및/또는 담배 잎의 주요 옆편 스트립일 수 있다. 또한, 담배 시트에는 목재 셀룰로오스 섬유와 같은 다른 첨가제가 함유될 수도 있다. The tobacco sheet may be formed by pulverizing the tobacco raw material into a slurry form and then drying the slurry. For example, 15 to 30% of the aerosol product may be added to the slurry. The tobacco raw materials may be tobacco leaf slices, tobacco stalks, tobacco dusts generated during tobacco processing, and / or major side strips of tobacco leaves. The tobacco sheet may also contain other additives such as wood cellulose fibers.

제 1 필터 세그먼트(321)은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필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필터 세그먼트(321)는 내부에 중공을 포함하는 튜브 형태일 수 있다. 제 1 필터 세그먼트(321)의 길이는 약 7mm 내지 15mm일 수 있거나, 바람직하게, 약 7 mm가 될 수 있다. 제1 필터 세그먼트(321)의 길이는 약 7mm보다 짧을 수 있으나, 적어도 하나의 궐련 요소(예를 들어, 냉각요소, 캡슐, 아세테이트 필터 등)의 기능이 훼손되지 않는 정도의 길이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필터 세그먼트(321)의 길이는 전술한 수치범위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제1 필터 세그먼트(321)의 길이는 확장 가능하며, 제1 필터 세그먼트(321)의 길이에 따라 궐련(3) 전체의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The first filter segment 321 may be a cellulose acetate filter. For example, the first filter segment 321 may be in the form of a tube containing hollows therein. The length of the first filter segment 321 may be about 7 mm to 15 mm, or preferably about 7 mm. The length of the first filter segment 321 may be less than about 7 mm, but preferably has a length such that the function of at least one cigarette element (e.g., cooling element, capsule, acetate filter, etc.) . The length of the first filter segment 321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numerical range. On the other hand, the length of the first filter segment 321 is expandable, and the length of the entire cigarette 3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first filter segment 321.

제 2 필터 세그먼트(323)도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필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필터 세그먼트(323)는 중공을 포함하는 리세스 필터로 제작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 2 필터 세그먼트(323)의 길이는 약 5mm 내지 15mm일 수 있거나, 바람직하게, 약 12mm가 될 수 있다. 제2 필터 세그먼트(323)의 길이는 전술한 수치범위에 한정되지 않는다. The second filter segment 323 may also be a cellulose acetate filter. For example, the second filter segment 323 may be made of a recess filter including a hollow,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length of the second filter segment 323 may be about 5 mm to 15 mm, or preferably about 12 mm. The length of the second filter segment 323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numerical range.

또한, 제 2 필터 세그먼트(323)에는 적어도 하나의 캡슐(324)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에서, 캡슐(324)은 향료를 포함하는 내용액을 피막으로 감싼 구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캡슐(324)은 구형 또는 원통형의 형상을 갖을 수 있다. 캡슐(324)의 직경은 2mm 이상일 수 있거나, 바람직하게 2~4mm일 수 있다.Also, at least one capsule 324 may be included in the second filter segment 323. Here, the capsule 324 may be a structure in which a content liquid containing a perfume is wrapped in a film. For example, the capsule 324 may have a spherical or cylindrical shape. The diameter of the capsule 324 may be 2 mm or more, or preferably 2 to 4 mm.

캡슐(324)의 피막을 형성하는 재료는 전분 및/또는 겔화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겔화제로서는 젤란 검이나 젤라틴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캡슐(324)의 피막을 형성하는 재료로서 겔화 조제(助劑)가 더 이용될 수도 있다. 여기에서, 겔화 조제로서는, 예를 들면, 염화 칼슘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캡슐(324)의 피막을 형성하는 재료로서 가소제가 더 이용될 수도 있다. 여기에서, 가소제로서는 글리세린 및/또는 소르비톨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캡슐(324)의 피막을 형성하는 재료로서 착색료가 더 이용될 수도 있다.The material forming the capsule of the capsule 324 may be starch and / or gelling agent. For example, as the gelling agent, gellan gum or gelatin may be used. Further, as a material for forming the film of the capsule 324, a gelling agent may further be used. Here, as the gelling agent, for example, calcium chloride may be used. Further, a plasticizer may be further used as a material for forming the film of the capsule 324. [ As the plasticizer, glycerin and / or sorbitol may be used. Further, a coloring agent may be further used as a material for forming the capsule of the capsule 324.

예를 들어, 캡슐의 내용액에 포함되는 향료로서는 멘톨, 식물의 정유(精油)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내용액에 포함되는 향료의 용매로서는, 예를 들면, 중쇄지방산 트리글리세리드(MCT)가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내용액은 색소, 유화제(乳化劑), 증점제(增粘劑) 등의 다른 첨가제를 함유할 수도 있다.For example, as the fragrance contained in the content liquid of the capsule, menthol, plant essential oil and the like can be used. As the solvent of the flavor included in the content liquid, for example, a medium chain fatty acid triglyceride (MCT) may be used. In addition, the content liquid may contain other additives such as coloring matters, emulsifying agents, thickening agents and the like.

냉각 구조물(322)은 히터(130)가 담배 로드(310)을 가열함으로써 생성된 에어로졸을 냉각시킨다. 따라서, 사용자는 적당한 온도로 냉각된 에어로졸을 흡입할 수 있다. 냉각 구조물(322)의 길이는 약 10mm 내지 20mm일 수 있거나, 바람직하게, 약 14mm가 될 수 있다. 냉각 구조물(322)의 길이는 전술한 수치범위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cooling structure 322 cools the aerosol generated by the heater 130 heating the tobacco rod 310. Thus, the user can inhale the cooled aerosol to a suitable temperature. The length of the cooling structure 322 may be about 10 mm to 20 mm, or preferably about 14 mm. The length of the cooling structure 322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numerical range.

예를 들어, 냉각 구조물(322)은 폴리락트 산으로 제작될 수 있다. 냉각 구조물(322)은 단위 면적 당 표면적(즉, 에어로졸과 접촉하는 표면적)을 늘리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들로 제작될 수 있다. 냉각 구조물(322)의 다양한 예들은 도 30a 내지 도 30f를 참조하여 후술한다.For example, the cooling structure 322 may be made of polylactic acid. The cooling structure 322 may be manufactured in various forms to increase the surface area per unit area (i.e., the surface area in contact with the aerosol). Various examples of the cooling structure 322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S. 30A to 30F.

담배 로드(310) 및 제 1 필터 세그먼트(321)은 제 1 래퍼(331)에 의하여 포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래퍼(331)는 내유성을 갖는 종이류 포장재로 제작될 수 있다.The tobacco rod 310 and the first filter segment 321 may be packaged by the first wrapper 331. For example, the first wrapper 331 may be made of a paper wrapping material having oil resistance.

냉각 구조물(322) 및 제 2 필터 세그먼트(323)는 제 2 래퍼(332)에 의하여 포장될 수 있다. 또한, 궐련(3) 전체는 제 3 래퍼(333)에 의하여 재포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래퍼(332) 및 제 3 래퍼(333)은 일반적인 종이류 포장재로 제작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 2 래퍼(332)는 내유하드 권지 또는 PLA 가향지일 수 있다. 또한, 제 2 래퍼(332)는 제 2 필터 세그먼트(323) 부분을 포장하고, 추가적으로 제 2 필터 세그먼트(323) 및 냉각 구조물(322)을 더 포장할 수 있다.The cooling structure 322 and the second filter segment 323 may be packaged by the second wrapper 332. [ Further, the entire cigarette 3 can be repackaged by the third wrapper 333. For example, the second wrapper 332 and the third wrapper 333 can be made of ordinary paper wrapping materials. Optionally, the second wrapper 332 may be an oil-resistant hard wrapper or a PLA liner. The second wrapper 332 may also wrap the second filter segment 323 portion and further package the second filter segment 323 and the cooling structure 322.

도 29b를 참조하면, 궐련(3)은 제 4 래퍼(334)를 포함할 수 있다. 담배 로드(310)와 제 1 필터 세그먼트(321) 중 적어도 하나는 제 4 래퍼(334)에 의하여 포장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담배 로드(310)만 제 4 래퍼(334)에 의하여 포장될 수도 있고, 담배 로드(310) 및 제 1 필터 세그먼트(321)가 제 4 래퍼(334)에 의하여 포장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 4 래퍼(334)는 종이류 포장재로 제작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9B, the cigarette 3 may include a fourth wrapper 334. At least one of the tobacco rod 310 and the first filter segment 321 may be packaged by a fourth wrapper 334. In other words, only the tobacco rod 310 may be packed by the fourth wrapper 334, and the tobacco rod 310 and the first filter segment 321 may be packed by the fourth wrapper 334. [ For example, the fourth wrapper 334 may be made of paper wrapping material.

제 4 래퍼(334)는 종이류 포장재의 일 표면 또는 양 표면에 소정의 물질이 도포(또는, 코팅)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소정의 물질의 예로서는 실리콘이 해당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리콘은 온도에 따른 변화가 적은 내열성, 산화되지 않는 내산화성, 각종 약품에 대한 저항성, 물에 대한 발수성, 또는 전기 절연성 등의 특성을 갖는다. 다만, 실리콘이 아니더라도, 상술한 특성들을 갖는 물질이라면 제한 없이 제 4 래퍼(334)에 도포(또는, 코팅)될 수 있다.The fourth wrapper 334 may be formed by coating (or coating) a predetermined material on one surface or both surfaces of the paper wrapper. Here, examples of a predetermined material may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silicon. Silicon has properties such as heat resistance with little change with temperature, oxidation resistance not oxidized, resistance to various chemicals, water repellency to water, or electrical insulation. However, even if it is not made of silicon, it can be applied (or coated) to the fourth wrapper 334 without restriction if it is a material having the above-mentioned characteristics.

한편, 도 29b에는 궐련(3)이 제 1 래퍼(331) 및 제 4 래퍼(334)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 궐련(3)이 제 1 래퍼(331) 및 제 4 래퍼(334) 중 어느 하나만 포함할 수도 있다.29B, the cigarette 3 includes both the first wrapper 331 and the fourth wrapper 334.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n other words, the cigarette 3 may include only one of the first wrapper 331 and the fourth wrapper 334.

제 4 래퍼(334)는 궐련(3)이 연소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담배 로드(310)가 히터(130)에 의하여 가열되면, 궐련(3)이 연소될 가능성이 있다. 구체적으로, 담배 로드(310)에 포함된 물질들 중 어느 하나의 발화점 이상으로 온도가 상승될 경우, 궐련(3)이 연소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제 4 래퍼(334)는 불연성 물질을 포함하므로, 궐련(3)이 연소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The fourth wrapper 334 can prevent the cigarette 3 from burning. For example, when the tobacco rod 310 is heated by the heater 130,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cigarette 3 is burned. Specifically, when the temperature rises above the ignition point of any one of the substances contained in the tobacco rod 310, the cigarette 3 can be burned. Even in this case, the fourth wrapper 334 includes a non-combustible material, so that burning of the cigarette 3 can be prevented.

또한, 제 4 래퍼(334)는 궐련(3)에서 생성되는 물질들에 의하여 홀더(1)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사용자의 퍼프에 의하여, 궐련(3) 내에서 액체 물질들이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궐련(3)에서 생성된 에어로졸이 외부 공기에 의하여 냉각됨으로써, 액체 물질들(예를 들어, 수분 등)이 생성될 수 있다. 제 4 래퍼(334)가 담배 로드(310) 및/또는 제 1 필터 세그먼트(321)를 포장함에 따라, 궐련(3) 내에서 생성된 액체 물질들이 궐련(3)의 외부로 새어 나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홀더(1)의 케이스(140) 등이 궐련(3)에서 생성된 액체 물질들에 의하여 오염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Further, the fourth wrapper 334 can prevent the holder 1 from being contaminated by the substances generated in the cigarette 3. [ By means of the puff of the user, liquid substances can be produced in the cigarette 3. For example, the aerosol generated in the cigarette 3 is cooled by the outside air, so that liquid substances (for example, water, etc.) can be generated. As the fourth wrapper 334 packs the tobacco rod 310 and / or the first filter segment 321, the liquid substances produced in the cigarette 3 are prevented from leaking out of the cigarette 3 . Therefore, the case 140 of the holder 1 and the like can be prevented from being contaminated by the liquid substances generated in the cigarette 3. [

도 30a 내지 도 30f는 궐련의 냉각 구조물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30A to 30F are views showing examples of a cooling structure of a cigarette.

예를 들어, 도 30a 내지 도 30f에 도시된 냉각 구조물은 순수한 폴리락트 산(PLA)으로 생산된 섬유들을 이용하여 제작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cooling structure shown in Figs. 30A to 30F can be fabricated using fibers produced with pure polylactic acid (PLA).

일 예로서, 필름(시트)를 충전하여 냉각 구조물을 필름(시트)을 제작하는 경우, 필름(시트)가 외부의 충격에 의하여 부스러질 수 있다. 이 경우, 냉각 구조물이 에어로졸을 냉각하는 효과가 감소된다. As one example, when a film (sheet) is filled and the cooling structure is made into a film (sheet), the film (sheet) may be broken by an external impact. In this case, the effect of the cooling structure cooling the aerosol is reduced.

다른 예로서, 압출 성형 등에 의하여 냉각 구조물을 제작하는 경우, 구조물의 절단 등의 공정이 추가됨에 따라 공정의 효율이 낮아진다. 또한, 냉각 구조물을 다양한 형상들로 제작하는 것에도 한계가 있다.As another example, when a cooling structure is manufactured by extrusion molding or the like, the efficiency of the process is lowered as a process such as cutting of the structure is added. Also, there are limitations in manufacturing the cooling structure in various shapes.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 구조물을 폴리락트 산 섬유들을 이용하여 제작함(예를 들어, 직조)에 따라, 냉각 구조물이 외부 충격에 의하여 변형되거나 기능을 상실하게 될 위험이 낮아질 수 있다. 또한, 섬유들을 조합하는 방식을 변경함으로써, 다양한 형상을 갖는 냉각 구조물을 제작할 수 있다.Depending upon the fabrication (e.g., weaving) of the cooling structur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using polylactic acid fibers, the risk that the cooling structure will be deformed or lost by external impact may be reduced. Further, by changing the manner of combining the fibers, a cooling structure having various shapes can be manufactured.

또한, 섬유들을 이용하여 냉각 구조물을 제작함으로써, 에어로졸과 접촉하는 표면적이 증대된다. 따라서, 냉각 구조물의 에어로졸 냉각 효과가 더욱 향상될 수 있다.Further, by making the cooling structure using the fibers, the surface area in contact with the aerosol is increased. Therefore, the effect of cooling the aerosol of the cooling structure can be further improved.

도 30a를 참조하면, 냉각 구조물(1310)은 원통형으로 제작될 수 있고, 냉각 구조물(1310)의 단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 통로(1311)가 형성되도록 제작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0A, the cooling structure 1310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at least one air passage 1311 may be formed in a cross section of the cooling structure 1310.

도 30b를 참조하면, 냉각 구조물(1320)은 복수의 섬유들이 서로 얽힌 구조물로 제작될 수 있다. 이때, 에어로졸은 섬유들 사이로 흐를 수 있고, 냉각 구조물(1320)의 형태에 따라 와류가 형성될 수도 있다. 형성된 와류는 냉각 구조물(1320)에서 에어로졸이 접촉하는 면적을 넓혀주고, 에어로졸이 냉각 구조물(1320) 내에 머무는 시간을 증가시켜 준다. 따라서, 가열된 에어로졸이 효과적으로 냉각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0B, the cooling structure 1320 can be made of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fibers are intertwined with each other. At this time, the aerosol may flow between the fibers and vortices may form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cooling structure 1320. [ The vortex formed expands the area of contact of the aerosol in the cooling structure 1320 and increases the residence time of the aerosol within the cooling structure 1320. Thus, the heated aerosol can be effectively cooled.

도 30c를 참조하면, 냉각 구조물(1330)은 복수 개의 다발(1331)들이 모아진 형태로 제작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30C, the cooling structure 1330 may be formed by collecting a plurality of bundles 1331.

도 30d를 참조하면, 냉각 구조물(1340)은 폴리락트 산, 각초 또는 숯 각각으로 제조된 과립들로 충전될 수 있다. 또한, 과립은 폴리락트 산, 각초 및 참숯의 혼합물로 제조될 수도 있다. 한편, 과립은 폴리락트 산, 각초 및/또는 숯 외에도 에어로졸의 냉각 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는 요소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30D, the cooling structure 1340 may be filled with granules made of polylactic acid, orchard or char, respectively. The granules may also be prepared from a mixture of polylactic acid, an orchard, and charcoal. On the other hand, the granules may further comprise, in addition to the polylactic acid, the orchards and / or charcoal, an element capable of increasing the cooling effect of the aerosol.

도 30e를 참조하면, 냉각 구조물(1350)은 제 1 단면(1351) 및 제 2 단면(1351)을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0E, the cooling structure 1350 may include a first end face 1351 and a second end face 1351.

제 1 단면(1351)은 제 1 필터 세그먼트(321)과 접경하며, 에어로졸이 유입되는 공극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단면(1352)은 제 2 필터 세그먼트(323)와 접경하며, 에어로졸이 방출될 수 있는 공극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단면(1351)과 제 2 단면(1352)은 직경이 동일한 단일 공극을 포함할 수 있으나, 제 1 단면(1351)과 제 2 단면(1352)에 포함되는 공극의 직경 및 수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The first end face 1351 is bounded by the first filter segment 321 and may include a cavity through which the aerosol flows. The second end face 1352 may be bounded by the second filter segment 323 and may include voids through which the aerosol may be released. For example, the first end face 1351 and the second end face 1352 may include a single cavity having the same diameter, but the diameter and the number of the cavities included in the first end face 1351 and the second end face 1352 Are not limited thereto.

더불어, 냉각 구조물(1350)은 제 1 단면(1351)과 제 2 단면(1352) 사이에, 복수의 공극들이 포함된 제 3 단면(1353)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3 단면(1353)에 포함된 복수의 공극들의 직경은 제 1 단면(1351) 및 제 2 단면(1352)에 포함된 공극의 직경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제 3 단면(1353)에 포함된 공극들의 수는 제 1 단면(1351) 및 제 2 단면(1352)에 포함된 공극의 수 보다 많을 수 있다.The cooling structure 1350 may include a third end face 1353 including a plurality of voids between the first end face 1351 and the second end face 1352. [ For example, the diameter of the plurality of voids included in the third section 1353 may be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void included in the first section 1351 and the second section 1352. In addition, the number of voids included in the third end face 1353 may be greater than the number of voids included in the first end face 1351 and the second end face 1352.

도 30f를 참조하면, 냉각 구조물(1360)은 제 1 필터 세그먼트(321)와 접경하는 제 1 단면(1361) 및 제 2 필터 세그먼트(323)와 접경하는 제 2 단면(136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냉각 구조물(1360)은 하나 이상의 관형 요소(1363)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형 요소(1363)는 제 1 단면(1361)과 제 2 단면(1362)을 관통할 수 있다. 또한, 관형 요소(1363)는 미세다공질 포장재로 포장될 수 있고, 에어로졸의 냉각 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는 충전재(예를 들어, 도 30d를 참조하여 상술한 과립)로 충전될 수 있다.30F, the cooling structure 1360 can include a first end face 1361 that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filter segment 321 and a second end face 1362 that is in contact with the second filter segment 323 . In addition, the cooling structure 1360 can include one or more tubular elements 1363. For example, the tubular element 1363 may penetrate the first end face 1361 and the second end face 1362. [ In addition, the tubular element 1363 can be packed with a microporous packaging material and filled with a filler (e.g., the granule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ure 30D) that can increase the cooling effect of the aerosol.

상술한 바에 따르면, 홀더는 궐련을 가열함으로써 에어로졸을 생성시킬 수 있다. 또한, 홀더가 독립적으로 또는 홀더가 크래들에 삽입되어 틸트된 상태에서도 에어로졸을 생성시킬 수 있다. 특히, 홀더가 틸트된 경우에는 크래들의 배터리의 전력에 의하여 히터가 가열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the holder can generate an aerosol by heating the cigarette. In addition, the holder can be produced independently or even when the holder is inserted into the cradle and tilted. In particular, when the holder is tilted, the heater can be heated by the electric power of the battery of the cradle.

한편, 상술한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방법에서 사용된 데이터의 구조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여러 수단을 통하여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램, USB,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Meanwhile, the above-described method can be implemented in a general-purpose digital computer that can be created as a program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and operates the program using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 addition, the structure of the data used in the above-described method can be recorded o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rough various means.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 storage medium such as a magnetic storage medium (e.g., ROM, RAM, USB, floppy disk, hard disk, etc.), optical reading medium (e.g. CD ROM, do.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된 기재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방법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Therefore, the disclosed methods should be considered from an illustrative point of view, not from a restrictive point of view.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by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all difference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thereof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7e: 단부 25p: 유로
7: 궐련 29: 바닥벽
7d: 바닥면 29p: 연결통로
7r: 외측면 30: 히터
7s: 외측면 31: 일측 단부
10: 케이스 32: 타측 단부
11: 내통 71: 전기 배선
12: 중간통 72: 전기공급장치
13: 외통 125t: 경사면
19: 베이스 125d: 접촉면
20f: 일단 210, 310: 케이스
20r: 타단 410, 510, 610, 710: 케이스
20: 통로 528, 628, 728: 단부돌기
21: 개구 25, 125, 225, 325, 425, 525, 625, 725: 돌기
22: 통공 226, 326, 426, 526, 626, 726: 바닥돌기
7e: end portion 25p: flow path
7: cigarette 29: bottom wall
7d: bottom surface 29p: connection passage
7r: outer surface 30: heater
7s: Outer side 31: One end
10: Case 32: other end
11: inner tube 71: electric wiring
12: Middle cylinder 72: Electric supply
13: outer tube 125t: inclined surface
19: base 125d: contact surface
20f: Once 210, 310: Case
20r: the other ends 410, 510, 610, 710: case
20: passage 528, 628, 728:
21: opening 25, 125, 225, 325, 425, 525, 625, 725:
22: through holes 226, 326, 426, 526, 626, 726:

Claims (15)

궐련을 수용하기 위한 통로와, 외부로부터 상기 궐련이 삽입되도록 상기 통로의 일단에서 외부로 개방된 개구와, 상기 통로의 타단에 연결된 통공과, 상기 통로에서 돌출되어 상기 궐련의 외측면의 일부분에 접촉하는 돌기를 구비하는 중공형상의 케이스; 및
일측 단부가 상기 통로에 수용되는 상기 궐련에 삽입되도록 상기 일측 단부가 상기 통공을 통과하여 상기 통로의 내부에 배치되어, 전기가 인가되면 상기 궐련을 가열하는 히터;를 구비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A passage for receiving the cigarette, an opening opened to the outside at one end of the passage so that the cigarette is inserted from the outside, a through hole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passage, and a contact portion A hollow case having a projection for receiving a projection; And
And a heater for heating the cigarette when the electricity is applied, the one end of the heater being disposed in the passage through the through hole so that one end thereof is inserted into the cigarette accommodated in the passag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상기 궐련의 외측면에서 상기 궐련의 중심에 대해 둘레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복수 개가 배치됨으로써 인접한 상기 돌기의 사이에 공기가 통과하는 유로를 형성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cigarette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igarette to form a flow passage through which air flows between the adjacent protrusion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상기 궐련의 외측면에서 상기 궐련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복수 개가 배치됨으로써 인접한 상기 돌기의 사이에 공기가 통과하는 유로를 형성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lurality of projection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igarette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igarette to form a flow passage through which air flows between the adjacent projection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상기 궐련의 중심에 대해 둘레 방향을 따라 상기 궐련의 외측면의 일부분과 접촉하도록 상기 궐련의 중심에 대해 둘레 방향으로 연장함으로써 공기가 통과하는 유로를 형성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rotrusions exten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cigarette so as to come into contact with a part of the outer surface of the cigarette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cigarette to thereby form a flow path through which the air pass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상기 통로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rojection extends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assag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궐련이 상기 통로에 수용되었을 때 상기 돌기가 상기 통로의 타단에 위치하는 상기 궐련의 단부의 외측면의 일부분에 접촉하도록 상기 돌기가 상기 통공의 상기 타단에서 내측으로 돌출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said protrusion protrudes inwardly from said other end of said through hole such that when said cigarette is received in said passage, said protrusion contacts a part of an outer surface of an end of said cigarette positioned at the other end of said passag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상기 궐련이 상기 통로에 삽입될 때에 상기 궐련의 상기 단부의 움직임을 안내하도록 상기 통로의 상기 일단에서 상기 통로의 상기 타단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통로의 중심을 향해 경사를 이루는 경사면을 구비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projection has an inclined surface inclined toward the center of the passage in the direction toward the other end of the passage from the one end of the passage so as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end portion of the cigarette when the cigarette is inserted into the passage ,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통로의 상기 타단을 덮는 바닥벽을 더 구비하고, 상기 바닥벽은 상기 통로에 수용된 상기 궐련의 단부의 바닥면에 접촉하며, 상기 통공은 상기 바닥벽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ase further comprises a bottom wall covering the other end of the passage, the bottom wall contacting a bottom surface of the end of the cigarette received in the passage, the through hole being formed to penetrate the bottom wall, Devic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벽은 상기 궐련의 외측면과 상기 통로의 사이의 공간과 연결된 연결통로를 구비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bottom wall has a connecting passage connected to a space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cigarette and the passag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벽은 상기 궐련의 상기 단부의 상기 바닥면을 지지하도록 돌출된 바닥돌기를 구비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bottom wall has a bottom protrusion protruding to support the bottom surface of the end of the cigaret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상기 통로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통로의 일단에서 상기 통로의 타단까지 연장하며, 상기 돌기가 상기 궐련의 외측면에서 상기 궐련의 중심에 대해 둘레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복수 개가 배치됨으로써 인접한 상기 돌기의 사이에 공기가 통과하는 유로를 형성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rotrusions extend from one end of the passage to the other end of the passag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assage and a plurality of the protrusions are dispos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igarette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cigarette, Thereby forming a flow passage through which air flows between the projections.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상기 통로에 수용된 상기 궐련의 단부의 바닥면에 접촉하도록 상기 통로의 중심을 향하여 돌출된 바닥돌출부를 구비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projection has a bottom projection projecting toward the center of the passage so as to contact the bottom surface of the end of the cigarette received in the passag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상기 통로의 내벽면에서 서로 이격되도록 복수 개가 배치되고,
상기 궐련이 상기 통로에 수용되었을 때 상기 통로의 타단에 위치하는 상기 궐련의 단부의 외측면의 일부분에 접촉하도록 상기 통로에서 돌출되는 단부돌기를 더 구비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plurality of the protrusions are disposed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an inner wall surface of the passage,
And an end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passage so as to come into contact with a part of the outer surface of the end of the cigarette which is located at the other end of the passage when the cigarette is received in the passage.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통로의 상기 타단을 덮는 바닥벽을 더 구비하고, 상기 바닥벽은 상기 통로에 수용된 상기 궐련의 단부의 바닥면에 접촉하며, 상기 통공은 상기 바닥벽을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바닥벽은 상기 궐련의 상기 단부의 상기 바닥면을 지지하도록 돌출된 바닥돌기를 구비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case further comprising a bottom wall covering the other end of the passage, the bottom wall contacting a bottom surface of the end of the cigarette received in the passage, the through-hole being formed to penetrate the bottom wall, Wherein the wall has a bottom protrusion protruding to support the bottom surface of the end of the cigarette.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돌기와 상기 바닥돌기는 서로 연결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15. The method of claim 14,
And the end projection and the bottom projection are connected to each other.
KR1020170119664A 2016-12-16 2017-09-18 Apparatus for generating aerosols KR102135893B1 (en)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8784164.8A EP3610741A4 (en) 2017-04-11 2018-04-10 Aerosol generating device
CN201880024276.XA CN110494053B (en) 2017-04-11 2018-04-10 Aerosol generating device
PCT/KR2018/004179 WO2018190606A1 (en) 2017-04-11 2018-04-10 Aerosol generating device
JP2019555204A JP6930687B2 (en) 2017-04-11 2018-04-10 Aerosol generator
US16/604,450 US11197497B2 (en) 2017-04-11 2018-04-10 Aerosol generat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60172889 2016-12-16
KR1020160172889 2016-12-16
KR1020170046938 2017-04-11
KR20170046938 2017-04-11
KR1020170077586A KR20180070436A (en) 2016-12-16 2017-06-19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generating aerosols
KR1020170077586 2017-06-19
KR1020170100888 2017-08-09
KR1020170100888 2017-08-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0454A true KR20180070454A (en) 2018-06-26
KR102135893B1 KR102135893B1 (en) 2020-07-21

Family

ID=62788542

Famil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1350A KR20180070452A (en) 2016-12-16 2017-08-09 Aerosol generating system
KR1020170101348A KR20180070451A (en) 2016-12-16 2017-08-09 Heater and system for heating an aerosol generating substrate
KR1020170119664A KR102135893B1 (en) 2016-12-16 2017-09-18 Apparatus for generating aerosols
KR1020180010838A KR102082948B1 (en) 2016-12-16 2018-01-29 Heater and system for heating an aerosol generating substrate
KR1020180010839A KR102065070B1 (en) 2016-12-16 2018-01-29 Aerosol generating system
KR1020190017391A KR102052714B1 (en) 2016-12-16 2019-02-14 Aerosol generating system
KR1020190018812A KR102033034B1 (en) 2016-12-16 2019-02-18 Heater and system for heating an aerosol generating substrate
KR1020190033721A KR102033038B1 (en) 2016-12-16 2019-03-25 Aerosol generating system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1350A KR20180070452A (en) 2016-12-16 2017-08-09 Aerosol generating system
KR1020170101348A KR20180070451A (en) 2016-12-16 2017-08-09 Heater and system for heating an aerosol generating substrate

Family Applications After (5)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0838A KR102082948B1 (en) 2016-12-16 2018-01-29 Heater and system for heating an aerosol generating substrate
KR1020180010839A KR102065070B1 (en) 2016-12-16 2018-01-29 Aerosol generating system
KR1020190017391A KR102052714B1 (en) 2016-12-16 2019-02-14 Aerosol generating system
KR1020190018812A KR102033034B1 (en) 2016-12-16 2019-02-18 Heater and system for heating an aerosol generating substrate
KR1020190033721A KR102033038B1 (en) 2016-12-16 2019-03-25 Aerosol generating system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8) KR20180070452A (en)
CN (1) CN208192126U (en)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09489A1 (en) * 2018-07-05 2020-01-09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WO2020089114A1 (en) * 2018-10-29 2020-05-07 Nerudia Limited Smoking substitute consumable
KR20210004699A (en) * 2019-07-05 2021-01-13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Aerosol generating device
CN112804894A (en) * 2018-10-12 2021-05-14 Jt国际股份公司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heating cavity thereof
CN112804895A (en) * 2018-10-12 2021-05-14 Jt国际股份公司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heating cavity thereof
CN112822952A (en) * 2018-10-12 2021-05-18 Jt国际股份公司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heating cavity thereof
CN112839535A (en) * 2018-10-12 2021-05-25 Jt国际股份公司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heating cavity thereof
CN113950259A (en) * 2019-06-13 2022-01-18 日本烟草国际股份有限公司 Aerosol-generating system, aerosol-generating device, and aerosol-generating article
CN114340419A (en) * 2019-09-06 2022-04-12 日本烟草国际股份有限公司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heating cavity thereof
WO2023085816A1 (en) * 2021-11-11 2023-05-19 Kt&G Corporation Aerosol generating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19122A1 (en) * 2018-07-23 2020-01-30 湖北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Electric heating cigarette appliance having temperature and period adjustment functions
JP7129485B2 (en) * 2018-09-11 2022-09-01 京セラ株式会社 Heater and heating tool with the same
CN109288139B (en) * 2018-11-27 2024-02-13 上海新型烟草制品研究院有限公司 Heating assembly for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aerosol generating device
KR102270185B1 (en) 2018-12-11 2021-06-28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Apparatus for generating aerosol
KR102219853B1 (en) * 2019-01-16 2021-02-24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Method for controlling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using multiple geomagnetic sensors and apparatus thereof
JP7153738B2 (en) * 2019-05-21 2022-10-14 雲南中煙工業有限責任公司 Hollow support element containing hollow temperature-reducing member, and tobacco stick containing such hollow support element
KR102269573B1 (en) 2019-06-17 2021-06-24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Heater assembly and aerosol generating device comprising thereof
KR102413551B1 (en) 2019-10-21 2022-06-27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Aerosol generating device including holder generating aerosol and cradle for holder, and cradle for holder generating aerosol
KR102431330B1 (en) 2019-11-12 2022-08-10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WO2021106199A1 (en) * 2019-11-29 2021-06-03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Suction device, terminal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KR20210073373A (en) * 2019-12-10 2021-06-18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Aerosol generating article comprising tobacco sheet and aerosol generating system using the same
KR102405812B1 (en) * 2020-06-19 2022-06-07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Heater and aerosol generating device comprising thereof
KR20230052172A (en) 2021-10-12 2023-04-19 주식회사 이노아이티 Metal fiber plane heater for aerosol generator
KR20230111934A (en) * 2022-01-19 2023-07-26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Device for generating aerosol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39433B2 (en) * 2009-02-07 2011-08-03 和彦 清水 Smokeless smoking jig
KR20140116055A (en) * 2011-12-30 2014-10-01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Aerosol generating device with improved temperature distribution
KR101667124B1 (en) 2011-11-21 2016-10-17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Extractor for an aerosol-generating device
KR101668175B1 (en) * 2012-06-21 2016-10-20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Smoking article for use with an internal heating element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6287B1 (en) 2005-07-29 2006-10-19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A electrical heater for heating tobacco
CA2695513A1 (en) * 2007-08-28 2009-03-05 Oglesby & Butler Research & Development Limited A gas powered heating unit and a heat not burn vaporising device
EP2253233A1 (en) * 2009-05-21 2010-11-24 Philip Morris Products S.A. An electrically heated smoking system
EP2316286A1 (en) * 2009-10-29 2011-05-04 Philip Morris Products S.A. An electrically heated smoking system with improved heater
GB201001944D0 (en) * 2010-02-05 2010-03-24 Kind Consumer Ltd A simulated smoking device
CA2886395C (en) * 2012-12-28 2020-10-27 Philip Morris Products S.A. Heating assembly for an aerosol generating system
GB2518598B (en) 2013-08-30 2016-06-01 Nicoventures Holdings Ltd Apparatus with battery power control
GB201413018D0 (en) * 2014-02-28 2014-09-03 Beyond Twenty Ltd Beyond 1A
KR101837885B1 (en) * 2014-05-02 2018-03-12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Non-combustion-type flavor inhaler and computer-readable medium
KR20160001476U (en) * 2014-10-28 2016-05-10 하기성 Electronic cigarette
CA2980426C (en) * 2015-04-02 2020-09-15 Japan Tobacco Inc. Flavor inhaler
JP3207506U (en) * 2016-06-22 2016-11-17 佐藤 雅昭 Portable charger case with heated cigarette storage roo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39433B2 (en) * 2009-02-07 2011-08-03 和彦 清水 Smokeless smoking jig
KR101667124B1 (en) 2011-11-21 2016-10-17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Extractor for an aerosol-generating device
KR20140116055A (en) * 2011-12-30 2014-10-01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Aerosol generating device with improved temperature distribution
KR101668175B1 (en) * 2012-06-21 2016-10-20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Smoking article for use with an internal heating element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09489A1 (en) * 2018-07-05 2020-01-09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JP2022504409A (en) * 2018-10-12 2022-01-13 ジェイティー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エス.エイ. Aerosol generator and heating chamber for it
CN112804894A (en) * 2018-10-12 2021-05-14 Jt国际股份公司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heating cavity thereof
CN112804895A (en) * 2018-10-12 2021-05-14 Jt国际股份公司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heating cavity thereof
CN112822952A (en) * 2018-10-12 2021-05-18 Jt国际股份公司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heating cavity thereof
CN112839535A (en) * 2018-10-12 2021-05-25 Jt国际股份公司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heating cavity thereof
WO2020089114A1 (en) * 2018-10-29 2020-05-07 Nerudia Limited Smoking substitute consumable
CN113950259A (en) * 2019-06-13 2022-01-18 日本烟草国际股份有限公司 Aerosol-generating system, aerosol-generating device, and aerosol-generating article
CN112930125A (en) * 2019-07-05 2021-06-08 韩国烟草人参公社 Aerosol generating device
KR20210004699A (en) * 2019-07-05 2021-01-13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Aerosol generating device
WO2021006508A1 (en) * 2019-07-05 2021-01-14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Aerosol generating device
CN112930125B (en) * 2019-07-05 2023-12-12 韩国烟草人参公社 aerosol generating device
US11974605B2 (en) 2019-07-05 2024-05-07 Kt&G Corporation Aerosol generating device providing an aerosol transfer amount and suction resistance
CN114340419A (en) * 2019-09-06 2022-04-12 日本烟草国际股份有限公司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heating cavity thereof
WO2023085816A1 (en) * 2021-11-11 2023-05-19 Kt&G Corporation Aerosol generat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2948B1 (en) 2020-04-28
KR20190020305A (en) 2019-02-28
KR102052714B1 (en) 2019-12-09
KR20180070451A (en) 2018-06-26
KR20180070513A (en) 2018-06-26
CN208192126U (en) 2018-12-07
KR102065070B1 (en) 2020-01-10
KR20190035643A (en) 2019-04-03
KR102135893B1 (en) 2020-07-21
KR20180070514A (en) 2018-06-26
KR102033038B1 (en) 2019-10-16
KR20180070452A (en) 2018-06-26
KR102033034B1 (en) 2019-10-16
KR20190019113A (en) 2019-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70454A (en) Apparatus for generating aerosols
US11197497B2 (en) Aerosol generating device
JP6930687B2 (en) Aerosol generator
KR20180070455A (en) Aerosols generating apparatus with rotating heater
US11246345B2 (en) Aerosol generating device provided with rotary heater
KR10203303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generating aerosols
KR102065071B1 (en)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US20200154776A1 (en) Device for holding smoking member, and smoking member system
KR102074931B1 (en)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EP3610740A2 (en) Aerosol generating device provided with rotary heater
KR102033036B1 (en)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US11252999B2 (en) Aerosol generating device
EP3610748A1 (en) Device for holding smoking member, and smoking member system
US20200154775A1 (en) Device for cleaning smoking member, and smoking member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