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0044A - 프로파일 다운로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프로파일 다운로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0044A
KR20180070044A KR1020160172258A KR20160172258A KR20180070044A KR 20180070044 A KR20180070044 A KR 20180070044A KR 1020160172258 A KR1020160172258 A KR 1020160172258A KR 20160172258 A KR20160172258 A KR 20160172258A KR 20180070044 A KR20180070044 A KR 201800700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information
subscription plan
provider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22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97592B1 (ko
Inventor
백영교
이덕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722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7592B1/ko
Priority to CN201711347003.2A priority patent/CN108206857B/zh
Priority to US15/843,287 priority patent/US10341848B2/en
Priority to EP17207737.2A priority patent/EP3337205B1/en
Publication of KR201800700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00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75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75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1Discovery or management thereof, e.g. service location protocol [SLP] or web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18Processing of user or subscriber data, e.g. subscribed services, user preferences or user profiles; 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04W8/20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04W8/205Transfer to or from user equipment or user record carri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6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file transfer, e.g. file transfer protocol [FT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30Security of mobile devices; Security of mobile applications
    • H04W12/35Protecting application or service provisioning, e.g. securing SIM application provisio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40Security arrangements using identity modu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60Subscription-based services using application servers or record carriers, e.g. SIM application toolk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18Processing of user or subscriber data, e.g. subscribed services, user preferences or user profiles; 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04W8/183Processing at user equipment or user record carri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04W8/24Transfer of terminal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6Network addressing or numbering for mobility suppo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42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20Services signaling; Auxiliary data signalling, i.e. transmitting data via a non-traffic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8Selecting a network or a communication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18Processing of user or subscriber data, e.g. subscribed services, user preferences or user profiles; 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Abstract

본 개시는 4G 시스템 이후 보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지원하기 위한 5G 통신 시스템을 IoT 기술과 융합하는 통신 기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는 5G 통신 기술 및 IoT 관련 기술을 기반으로 지능형 서비스 (예를 들어, 스마트 홈, 스마트 빌딩, 스마트 시티, 스마트 카 혹은 커넥티드 카, 헬스 케어, 디지털 교육, 소매업, 보안 및 안전 관련 서비스 등)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단말의 방법에 있어서, 마켓 서버로, 적어도 하나의 사업자의 가입 플랜(subscription plan) 정보를 요청하는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마켓 서버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업자의 가입 플랜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한 적어도 하나의 사업자의 가입 플랜 정보에 기반하여 가입 플랜 리스트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입 플랜 리스트는, 상기 단말이 접속한 사업자 정보에 기반한 우선 순위에 따라 표시될 수 있다.

Description

프로파일 다운로드 방법 및 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DOWNLOADING A PROFILE}
본 발명은 통신 시스템에서 마켓 서버를 활용하여 프로파일을 다운로드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4G 통신 시스템 상용화 이후 증가 추세에 있는 무선 데이터 트래픽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개선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은 4G 네트워크 이후 (Beyond 4G Network) 통신 시스템 또는 LTE 시스템 이후 (Post LTE) 이후의 시스템이라 불리어지고 있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달성하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은 초고주파(mmWave) 대역 (예를 들어, 60기가(60GHz) 대역과 같은)에서의 구현이 고려되고 있다. 초고주파 대역에서의 전파의 경로손실 완화 및 전파의 전달 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빔포밍(beamforming), 거대 배열 다중 입출력(massive MIMO), 전차원 다중입출력(Full Dimensional MIMO: FD-MIMO), 어레이 안테나(array antenna), 아날로그 빔형성(analog beam-forming), 및 대규모 안테나 (large scale antenna) 기술들이 논의되고 있다. 또한 시스템의 네트워크 개선을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진화된 소형 셀, 개선된 소형 셀 (advanced small cell),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cloud radio access network: cloud RAN), 초고밀도 네트워크 (ultra-dense network), 기기 간 통신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D2D), 무선 백홀 (wireless backhaul), 이동 네트워크 (moving network), 협력 통신 (cooperative communication), CoMP (Coordinated Multi-Points), 및 수신 간섭제거 (interference cancellation) 등의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 밖에도, 5G 시스템에서는 진보된 코딩 변조(Advanced Coding Modulation: ACM) 방식인 FQAM (Hybrid FSK and QAM Modulation) 및 SWSC (Sliding Window Superposition Coding)과, 진보된 접속 기술인 FBMC(Filter Bank Multi Carrier), NOMA(non orthogonal multiple access), 및SCMA(sparse code multiple access) 등이 개발되고 있다.
한편, 인터넷은 인간이 정보를 생성하고 소비하는 인간 중심의 연결 망에서, 사물 등 분산된 구성 요소들 간에 정보를 주고 받아 처리하는 IoT(Internet of Things, 사물인터넷) 망으로 진화하고 있다. 클라우드 서버 등과의 연결을 통한 빅데이터(Big data) 처리 기술 등이 IoT 기술에 결합된 IoE (Internet of Everything) 기술도 대두되고 있다. IoT를 구현하기 위해서, 센싱 기술, 유무선 통신 및 네트워크 인프라, 서비스 인터페이스 기술, 및 보안 기술과 같은 기술 요소 들이 요구되어, 최근에는 사물간의 연결을 위한 센서 네트워크(sensor network), 사물 통신(Machine to Machine, M2M),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등의 기술이 연구되고 있다. IoT 환경에서는 연결된 사물들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수집, 분석하여 인간의 삶에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지능형 IT(Internet Technology)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IoT는 기존의 IT(information technology)기술과 다양한 산업 간의 융합 및 복합을 통하여 스마트홈, 스마트 빌딩, 스마트 시티, 스마트 카 혹은 커넥티드 카, 스마트 그리드, 헬스 케어, 스마트 가전, 첨단의료서비스 등의 분야에 응용될 수 있다.
이에, 5G 통신 시스템을 IoT 망에 적용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센서 네트워크(sensor network), 사물 통신(Machine to Machine, M2M),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등의 기술이 5G 통신 기술인 빔 포밍, MIMO, 및 어레이 안테나 등의 기법에 의해 구현되고 있는 것이다. 앞서 설명한 빅데이터 처리 기술로써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cloud RAN)가 적용되는 것도 5G 기술과 IoT 기술 융합의 일 예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UICC (Universal Integrated Circuit Card)는 이동 통신 단말기 등에 삽입하여 사용하는 스마트카드 (smart card)이고 UICC 카드라고도 부른다. 상기 UICC에 이동통신 사업자의 망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 제어 모듈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접속 제어 모듈의 예로는 USIM (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Subscriber Identity Module), ISIM (IP Multimedia Service Identity Module) 등이 있다. USIM이 포함된 UICC를 통상 USIM 카드라고 부르기도 한다. 마찬가지로 SIM 모듈이 포함된 UICC를 통상적으로 SIM카드라고 부르기도 한다. 본 발명의 이후 설명에서 SIM 카드라 함은 UICC 카드, USIM 카드, ISIM이 포함된 UICC 등을 포함하는 통상의 의미로 사용하도록 하겠다. 즉 SIM 카드라 하여도 그 기술적 적용이 USIM 카드 또는 ISIM 카드 또는 일반적인 UICC 카드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기 SIM 카드는 이동 통신 가입자의 개인정보를 저장하고, 이동통신 네트워크에 접속 시 가입자 인증 및 트래픽 (traffic) 보안 키(key) 생성을 수행하여 안전한 이동통신 이용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SIM 카드는 본 발명을 제안하는 시점에서 일반적으로 카드 제조 시 특정 이동통신 사업자의 요청에 의해 해당 사업자를 위한 전용 카드로 제조되며, 해당 사업자의 네트워크 접속을 위한 인증 정보, 예를 들어, USIM (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어플리케이션 및 IMSI (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 K 값, OPc 값 등이 사전에 탑재되어 출고된다. 따라서 제조된 상기 SIM 카드는 해당 이동통신 사업자가 납품 받아 가입자에게 제공하며, 이후 필요시에는 OTA (Over The Air) 등의 기술을 활용하여 상기 SIM 카드 내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수정, 삭제 등의 관리도 수행할 수 있다. 가입자는 소유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상기 SIM 카드를 삽입하여 해당 이동통신 사업자의 네트워크 및 응용 서비스의 이용이 가능하며, 단말기 교체 시 상기 SIM 카드를 기존 단말기에서 새로운 단말기로 이동 삽입함으로써 상기 SIM 카드에 저장된 인증정보, 이동통신 전화번호, 개인 전화번호부 등을 새로운 단말기에서 그대로 사용이 가능하다.
그러나 상기 SIM카드는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다른 이동통신사의 서비스를 제공받는데 있어 불편한 점이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는 이동통신사업자로부터 서비스를 받기 위해 SIM 카드를 물리적으로 획득해야 되는 불편함이 있다. 예를 들면, 다른 나라로 여행을 했을 때 현지 이동통신 서비스를 받기 위해서는 현지 SIM 카드를 구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로밍 서비스의 경우 상기 불편함을 어느 정도 해결해 주지만, 비싼 요금 및 통신사간 계약이 되어 있지 않은 경우 서비스를 받을 수 없는 문제도 있다.
한편, SIM 카드에 상기 SIM 모듈을 원격으로 다운로드 받아서 설치할 경우, 이러한 불편함을 상당부분 해결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원하는 시점에 사용하고자 하는 이동통신 서비스의 SIM 모듈을 SIM 카드에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이러한 SIM 카드는 또한 복수개의 SIM 모듈을 다운로드 받아서 설치하고 그 중의 한 개의 SIM 모듈만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SIM 카드는 단말에 고정하거나 고정하지 않을 수 있다. 특히 단말에 고정하여 사용하는 UICC를 eUICC(embedded UICC)라고 하는데, 통상적으로 eUICC는 단말에 고정하여 사용하고, 원격으로 SIM 모듈을 다운로드 받아서 선택할 수 있는 UICC 카드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는 원격으로 SIM 모듈을 다운로드 받아 선택할 수 있는 SIM 카드를 eUICC 또는 eSIM(embedded SIM)로 기재하도록 한다. 즉 원격으로 SIM 모듈을 다운로드 받아 선택할 수 있는 SIM 카드 중 단말에 고정하거나 고정하지 않는 SIM 카드를 eUICC 또는 eSIM 으로 사용하겠다.
eSIM을 장착한 오픈마켓향 단말이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프로파일이 없는 경우에, 단말은 eSIM 서버 예를 들어 SM-DP+(Subscription Manager Data Preparation plus) 또는 SM-DS(Subscription Manager Discovery Service)에 접속하여 SIM 프로파일을 다운받아야 이동통신 사업자 예를 들어 MNO(Mobile network operator)가 제공하는 정상적인 셀룰라 망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은 SIM 프로파일을 저장하고 있는 Provisioning 서버인 SM-DP+에 접속해서 SIM 프로파일을 다운받을 수 있다. 또는, 단말은 특정 단말의 SIM 프로파일을 저장하고 있는 provisioning 서버인 SM-DP+의 주소정보를 찾아주는 서버인 SM-DS에 접속하여 어떤 SM-DP+에서 단말의 SIM프로파일을 저장하고 있는지 주소정보를 알아낸 후, 알아낸 SM-DP+에 접속하여 SIM프로파일을 다운로드 받을 수도 있다. 이 경우, 단말로 하여금 eSIM 서버에 접속하게 하기 위한 PDN(Packet Data Network) connectivity 또는 PDU(Packet Data Unit) connectivity를 셀룰라 망을 통해 제공하는 방안이 요구된다.
특히, 어떤 통신사에도 가입되지 않은 단말의 경우, 사용자가 단말을 켜서 특정 통신사를 선택해서 통신사 플랜에 가입하면서 SIM 프로파일을 프로비져닝을 받을 수도 있다. 이 때, 사용자가 통신사들의 플랜에 대한 상황을 알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조사 혹은 사업자들의 연합 또는 3rd party 사업자 등에서 각 통신사들의 플랜을 보여주고 사용자들이 고를 수 있도록 하는 통신사 플랜에 대한 마켓을 운영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하는 기술적 과제는, SIM 프로파일이 없는 단말이 셀룰라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복수의 통신사들의 플랜을 보여주는 마켓 또는 마켓서버를 통해서 알맞은 플랜을 선택하고, 이에 따라 원활하게 SIM프로파일을 프로비져닝받도록 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단말의 방법은, 마켓 서버로, 적어도 하나의 사업자의 가입 플랜(subscription plan) 정보를 요청하는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마켓 서버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업자의 가입 플랜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한 적어도 하나의 사업자의 가입 플랜 정보에 기반하여 가입 플랜 리스트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가입 플랜 리스트는, 상기 단말이 접속한 사업자 정보에 기반한 우선 순위에 따라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단말은, UICC(universal integrated circuit card); 표시부; 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및 마켓 서버로, 적어도 하나의 사업자의 가입 플랜(subscription plan) 정보를 요청하는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마켓 서버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업자의 가입 플랜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며, 상기 수신한 적어도 하나의 사업자의 가입 플랜 정보에 기반하여 가입 플랜 리스트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가입 플랜 리스트는, 상기 단말이 접속한 사업자 정보에 기반한 우선 순위에 따라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단말이 마켓서버에 접속하여 마켓에 입점되어 있는 다양한 통신사들의 다양한 플랜들을 선택해서 SIM 프로파일을 프로비져닝 받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통일성 있고 자동화된 SIM 프로파일 프로비저닝을 통해서 개선된 UI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이 접속한 망에 대한 사업자 정보를 기반으로 마켓 서버에서 통신사 플랜을 사용자들에게 디스플레이 해줄 때 접속한 망에 대한 우선순위를 둬서 플랜들을 제시할 수 있게 되어, 사업자들의 마켓서버로의 입점을 촉진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eSIM 장착 단말이 SIM 프로파일 provisioning을 하기 위한 네트워크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a 및 2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eSIM 장착 단말이 마켓 서버에 접속하여 가입 플랜(subscription plan)을 선택하고 선택된 가입 플랜 관련 프로파일을 provisioning받는 방법의 한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 및 3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eSIM 장착 단말이 마켓 서버에 접속하여 가입 플랜(subscription plan)을 선택하고 선택된 가입 플랜 관련 프로파일을 provisioning받는 방법의 한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마켓 서버에 접속하여 가입 플랜(subscription plan)을 선택하는 eSIM 장착 단말의 내부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마켓 서버를 활용하여 SIM profile을 provisioning 받는 단말 동작의 순서도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개략적인 구성이다.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마켓 서버의 개략적인 구성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자세한 설명에 앞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몇 가지 용어들에 대해 해석 가능한 의미의 예를 제시한다. 하지만, 아래 제시하는 해석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eSIM을 장착한 오픈마켓향 단말이 SIM 프로파일이 없는 경우에, 단말은 eSIM서버 예를 들어 SM-DP+ 또는 SM-DS에 접속하여 SIM 프로파일을 다운받아야 정상적인 셀룰라망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이 SIM프로파일을 저장하고 있는 Provisioning 서버(eSIM 서버 또는 프로파일 서버로 지칭)인 SM-DP+에 접속해서 SIM 프로파일을 다운받거나, 특정 단말의 SIM 프로파일을 저장하고 있는 provisioning서버인 SM-DP+의 주소정보를 찾아주는 서버인 SM-DS에 접속하여 어떤 SM-DP+에서 단말의 SIM프로파일을 저장하고 있는지 주소정보를 알아낸 후 알아낸 SM-DP+에 접속하여 SIM프로파일을 다운로드받는 받을 수도 있다.
이때, 단말에게 eSIM서버에 접속하기 위한 PDN connectivity 또는 PDU connectivity를 셀룰라 망을 통해 제공하기 위한 방안이 필요하다. 기존의 방식에 의하면, SIM 프로파일이 없는 단말은 WiFi망 또는 테더링 등의 방법을 통해서 connectivity를 획득할 수 있다. 그러나, 기연결된 connectivity가 없는 상황에서 단말은 connectivity을 갖을 수 없다. 또는, 단말 제조사등에서 제공하는 프로비져닝 프로파일을 eSIM내부에 미리 저장한 후에, 제조사가 단말을 판매하는 경우에 프로비져닝 프로파일을 통해 셀룰라망에서 제한적인 connectivity를 획득하고, 이를 통해 eSIM서버로부터 SIM 프로파일을 다운받고, 다운받은 SIM프로파일로 셀룰라망 서비스를 받는 방법이 있을 수 있으나, 단말가격 상승 등의 문제 등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단말의 셀룰라 망 접속과정에서 단말이 접속하고자 하는 사업자의 망을 먼저 고르게 되는데, 이 경우 사용자는 해당 접속한 사업자의 플랜만 제공받을 수 있기 때문에, 다른 사업자들의 플랜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없어서 효율적인 플랜 선택을 할 수 없다. 또한, 통신 사업자 별로 subscription portal에 대한 UI가 다르기 때문에 사용자는 통일성 있는 UI를 제공받기가 힘들고, subscription portal에서 플랜을 선택하고 SIM 프로파일을 다운로드 받은 후에 상기 SIM profile을 활성화시킬 때 수동으로 수행해야 하는 등의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는, SIM 프로파일이 없는 eSIM 장착 단말이 셀룰라 망을 통해서 마켓 서버에 접속하여 원하는 사업자/플랜을 선택한 후에 상기 마켓서버에서 제공하는 정보를 통해서 원활하게 SIM프로파일을 다운받아서 활성화 시키는 방안을 제안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eSIM 장착 단말(예컨대, 100)이 마켓 서버(예컨대, 300)를 활용하여 SIM 프로파일 provisioning을 하기 위한 네트워크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단말(UE; User Equipment)(100)는 eSIM을 사용하기 위해 eUICC(embedded Universal Integrated Circulated Card)(105)를 장착하고 단말 내 SIM 프로비져닝을 위한 앱(APP, Application)인 마켓 앱이 설치되어있다.
단말(100)은 패킷 코어 네트워크(Packet Core Network)(200)에 접속하여 connectivity를 확보한 후, 마켓 서버(300)에 접속하여 가입할 통신사와 가입 플랜(subscription plan)을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단말(100)은 현재 접속된 PLMN 정보를 마켓 서버(300)에 전달함으로써 마켓 서버(300)로부터 접속된 통신사의 가입 플랜을 다른 통신사의 가입 플랜과 차별화하여 제공받을 수 있다.
단말(100)은 선택한 가입 플랜에 대해서 알맞은 eSIM 서버(provisioning 서버 또는 프로파일 서버라는 용어로 대체될 수 있음)(예컨대, SM-DP+서버(405, 410, 415) 및 SM-DS 서버(420)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확보하고, 단말(100)의 eUICC(105)는 상기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단말의 SIM profile을 저장하고 있는 eSIM서버(예를 들어 SM-DP+서버)로부터 데이터서비스를 이용할 MNO(Mobile Network Operator)에 해당하는 SIM profile을 프로비져닝 받을 수 있다.
상기 단말(100)이 connectivity를 확보하기 위해 접속하는 패킷 코어 네트워크(200)는 예를 들어 데이터 통신을 제공하는 셀룰라 네트워크로서, 예를 들어 LTE망서비스를 제공하는 EPS(Evolved Packet system) 또는 5G 네트워크 일수 있다. 예컨대 LTE 망의 경우, 패킷 코어 네트워크(200)에는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 와 GW(gateway)가 포함될 수 있다. 예컨대 5G 망의 경우, 패킷 코어 네트워크(200)에는 이동성 관리(Mobility management)나 세션 관리(session management) 등 제어(Control) 관련 기능을 담당하는 CP(Control Plane) function(205)과 user data의 포워딩 등 패킷 데이터 게이트웨이(packet data gateway)와 같은 User plane관련 기능을 담당하는 UP(User plane) function(210)이 포함될 수 있다. CP function(205)은 EAP(Extensible authentication protocol) 인증과정에서 EAP과정을 트리거링하는 authenticator를 수행할 수 있고, 인증 이후에 시그널링 메시지를 암호화하기 위한 security context를 관리하는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User data Repository(215)는 사용자의 가입정보 예를 들어 가입된 사용자 단말의 eUICC의 ID(즉 EID)와 해당 EID에 대한 SIM profile을 저장하고 있는 eSIM 서버(예컨대, SM-DP+)의 주소정보 등을 저장하고 있을 수 있고, 또한 User data Repository(215)는 허용된 eUICC의 정보의 리스트인 EID의 whitelist를 저장하고 있거나, 허용되지 않은 eUICC의 정보의 list인 EID의 blacklist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그리고, User data Repository(215)는 상기 저장된 정보를 기반으로 SIM profile을 저장하고 있는 SM-DP+의 주소정보를 제공하거나, 허용된 eUICC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엔티티(entity)이다.
Subscription portal(220)은 가입 포탈 서버로서, 사용자가 접속하여 원하는 가입 플랜을 선택할 수 있는 서버이다. AAA 서버(225)는 eUICC를 인증하기 위한 서버로서, 자신의 인증서 및 개인키 그리고 루트CA(root Certificate Authority)의 인증서를 가지고 있다.
통신사업자(MNO)의 eUICC에 대한 인증 정책에 따라서, 상기 AAA 서버(225)는 인증서 기반이 아닌 다른 방식으로 eUICC와 공유된 신뢰(shared trust)에 기반을 둔 서버일 수도 있다. 상기 AAA 서버(225)는, 통신사업자(MNO)의 망에서 인증을 하지 않는 경우에는 사용되지 않을 수도 있다.
eUICC(105)도 또한 자신의 인증서 및 개인키 그리고 루트CA(root Certificate Authority)의 인증서를 가지고 있다.
도 2a 및 2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eSIM 장착 단말(예컨대, 230)이 마켓 서버(250)에 접속하여 가입 플랜(subscription plan)을 선택하고 선택된 가입 플랜 관련 프로파일을 provisioning받는 방법의 한 예시를 나타낸다.
도 2a 및 2b를 참조하면, SIM 프로파일이 없는 단말(230)은 셀룰라 망(240)에 접속하여 connectivity를 획득하고 마켓 서버(250)에 접속하여 가입 플랜(subscription plan)을 선택한 후 eSIM서버(Provisioning Server 또는 Profile Server로 지칭할 수 있음)(260)를 통해 SIM 프로파일을 프로비져닝 받을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셀룰라 망(240)은 LTE 망 또는 5G 망을 포함할 수 있다. LTE 망의 경우 MME, GW 및 PCRF(Policy and charging rules function) 를 포함할 수 있다. 5G 망의 경우 CPF, UPF, PCF(Policy control function)를 포함할 수 있다. MME는 단말의 등록(registration), 인증 및 mobility management(이동성 관리)를 담당하는 entity일 뿐만 아니라, PDN connection에 대한 제어를 담당하는 session management기능을 담당하는 entity이다. 5G망의 경우 CPF(control plan function)에서 해당 기능을 수행하고, CPF는 인증을 담당하는 AUF(authentication function), 등록(registration) 및 mobility management(이동성 관리)를 담당하는 AMF(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와 PDU connection에 대한 제어를 담당하는 SMF(session management function)를 포함할 수 있다.
GW는 단말의 User data packet을 데이터 네트워크로 보내고, 수신된 데이터를 알맞은 단말에 전달하기 위해 패킷 필터링을 수행하는 등 gateway의 역할을 하고, 단말의 IP address를 할당하는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다. 5G망의 경우 UPF(userplane function)가 단말의 User data packet을 데이터 네트워크로 보내고, 수신된 데이터를 알맞은 단말에 전달하기 위해 패킷 필터링을 수행하는 등, gateway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하지만, LTE망과는 달리 단말의 IP address를 할당하는 기능은 상기 SMF에서 수행할 수 있다. PCRF는 GW에게 QoS정책 이나 charging정책을 전달하는 등 통신망에서의 QoS와 과금 정책등을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PCF도 SMF를 통해서 UPF가 QoS나 charging을 잘 수행하도록 정책을 전달하는 등 통신망에서의 QoS와 과금 정책등을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아래의 설명에서는 5G 망의 구성을 예시로 동작을 설명하겠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는 LTE 망에도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단계 201에서 단말(230)은 켜졌을 때(Power On) SIM profile을 확인하고, SIM profile이 없는 경우 SIM profile을 provisioning받아야 함을 인식하게 되며, provisioning을 받기 위해 PDU connection을 획득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상기 단말(230)이 셀룰라 망(240)을 통해서 PDU connection을 받도록 결정하거나 미리 설정된 경우, 상기 단말(230)은 cell search를 통해서 감지되는 PLMN의 list를 기반으로 available PLMN의 list를 provisioning을 담당하는 단말의 어플리케이션 혹은 엔티티(entity)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단말(230)은 상기 전달된 available PLMN list를 기반으로 provisioning을 하기 위해 접속할 PLMN을 선택할 수 있다.
PLMN을 선택하는 방법은, 사용자의 입력을 통한 선택의 방법이나 단말 내부의 일정 우선순위 규칙(priority rule)에 따른 우선처리 순서에 따라서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이미 가입할 PLMN을 결정한 경우, provisioning 앱은 UI를 통해서 선택할 수 있는 PLMN의 list를 제시하고, 사용자는 상기 가입할 PLMN을 선택할 수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 단말에 가입할 PLMN의 정보가 미리 설정 된 경우 단말은 가입할 PLMN을 선택 할 수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 단말은 available PLMN 중에서 가장 신호의 세기가 센 PLMN을 선택하거나 available PLMN 중에서 랜덤하게 선택하는 등 단말 자체적인 우선순위 규칙(priority rule)에 따라 가장 높은 우선순위(priority)에 해당하는 PLMN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provisioning 앱은 마켓 서버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어플리케이션으로서, 마켓 서버 앱이라고도 칭할 수 있도록 한다.
단계 202에서 단말(230)은 상기 선택된 PLMN을 이용하여 attach request를 CPF(CP function)(241)에 보내면서 망 접속을 요청할 수 있다. 이 때 단말(230)은, 서비스 플랜(service plan)에 가입하고 해당 SIM profile을 provisioning받아야 하기 때문에 접속함을 나타내기 위해서, attach type을 별도로 나타낸다. 예를 들어, attach type = 'subscription'으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단말(230)의 NAS(non-access stratum)은 AS(access stratum)에 attach request메시지를 전달할 때, SIM provisioning을 위한 것임을 나타낼 수도 있다. 상기 SIM provisioning임을 나타내는 정보는 기지국에 전달되어 기지국이 알맞은 CP function을 고르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attach request 메시지는 단말(230)의 식별자(identity)(UE ID) 예를 들어 IMEI(International Mobile Station Equipment Identity)를 포함할 수도 있다. 아니면, 단계 203 및 단계 204에서 상기 Attach request를 수신한 CP function(241)이 단말(230)에게 단말의 identity(UE ID)를 요청하여 받아올 수 도 있다.
단계 205에서 상기 attach request를 받은 CP function(241) 또는 authenticator(미도시)는 eUICC와 네트워크 간에 인증과정을 수행하여 Remote SIM provisioning을 위한 인증 절차를 수행할 수도 있다.
단계 206에서, 상기 CP function(241) 또는 authenticator는 인증절차 및 보안 키(security key)에 대한 셋업(setup)이 마치게 되면, attach accept 메시지를 단말(230)에게 보내서 성공적으로 망에 접속했음을 알릴 수 있다. 상기 attach accept 메시지는 단말이 subscription에 가입하기 위해서 접속해야 할 subscription portal의 주소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207에서, 상기 단말은 CP function(241)에 SIM provisioning을 하기 위한 PDU 세션 생성(session establishment)을 위해 PDU connection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PDU connection 요청 메시지는 SIM provisioning을 하기 위한 PDU connection임을 알리기 위해서 별도의 type을 설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type='provisioning'으로 설정할 수 있다.
한편, 단말은 단계 202에서 상기 Attach request 메시지에 상기 PDU connection 요청 메시지를 피기 백(piggy back)해서 함께 보낼 수도 있다.상기 Attach request메시지의 access type이 subscription 용인 경우에는 PDU connection 요청 메시지가 함께 전달되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SIM provisioning을 하기 위한 PDU connection을 만들기 위한 상기 단계 207의 세션 생성 과정을 진행할 수 있다.
상기 CP function(241)이 상기 PDU connection 요청 메시지를 처리할 때 상기 CP function(241)의 session management function은 UPF(UP function)(242)을 고르게 되는데, 이때 SIM provisioning임을 참고하여 UP function(242)을 고를 수도 있고, 선택된 Network Slice의 알맞은 UP function(242)을 고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session management function은 단말에 IP address를 할당할 수 있다.
상기 PDU connection 요청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이전 단계에서 단말(230)로부터 수신한 단말의 identity(UE ID) 예를 들어 IMEI 값으로부터 단말 제조사를 확인하게 되면, UP function(242)에서 상기 단말 제조사와 사전 계약된 마켓 서버(250)에 접속이 가능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즉, 단말 제조사 별로 별도의 마켓 서버를 구비할 수 있다. 또는 통신사에서 별도의 마켓 서버를 운영하여 단말 제조사에 대한 정보와 별개로 해당 마켓 서버의 접속이 가능하도록 설정을 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마켓 서버(250)로의 접속이 가능하도록 하는 방법은 예를 들어 packet filter의 uplink/downlink packet filter가 상기 마켓 서버용 주소를 포함하도록 하면 된다.
또한, 이때 생성된 PDU connection이 SIM provisioning을 위한 트래픽 용도로만 이용할 수 있도록, PDU 세션 생성 시 provisioning을 위한 SM-DP+서버주소, SM-DP+를 찾기 위한 SM-DS서버 주소, DNS서버 주소, subscription portal 주소에만 접속이 가능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packet filter의 uplink/downlink packet filter를 특정 provisioning 용 주소(예를 들어, provisioning을 위한 SM-DP+서버주소, SM-DP+를 찾기 위한 SM-DS서버 주소, DNS서버 주소, subscription portal 주소 등)를 포함하여 해당 destination/source IP address로 전송되는 경우에만 통신이 가능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단계 208에서, PDU connectivity를 획득한 단말(230)의 마켓 서버 앱은 적어도 하나의 통신사의 가입 플랜(Subscription plan)들에 대한 열람을 마켓 서버(250)에 요청할 수 있고, 이 때 상기 요청은 단말(230)이 접속한 망의 정보 예를 들어 access PLMN ID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요청은, 단말(230)에 장착된 eUICC의 ID (EID)등의 정보 또는 단말 제조사의 정보를 포함하여 상기 마켓 서버(250)에 전달될 수 있다.
단계 209에서 마켓 서버(250)는 상기 수신된 access PLMN ID 정보에 기반하여 가입 플랜들에 우선 순위를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마켓 서버(250)는 상기 수신된 access PLMN ID 정보에 상응하는 PLMN에서 제공하는 가입 플랜(subscription plan)에 우선 순위를 둘 수 있다. 또한, 마켓 서버(250)는, 마켓 서버 앱이 특정 제조사에서 제공되는 시나리오와 달리, 범용 마켓 서버 앱이 사용되는 경우, 단말의 제조사 정보도 함께 고려하여 가입 플랜(subscription plan)의 우선 순위를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단말의 제조사와 미리 계약되어 있는 통신사의 가입 플랜에 우선 순위를 둘 수 있다. 단계 210에서 마켓 서버(250)는 상기 우선 순위가 부여된 가입 플랜 정보를 단말(230)에게 응답할 수 있다. 예컨대, 마켓 서버(250)는 저장하고 있는 가입 플랜들 중 상기 우선 순위에 따라 필터링된 소정 개수의 가입 플랜 정보를 단말(230)에게 전달할 수 있다.
단계 211에서 사용자 입력 또는 설정에 의해서 단말(230)에게 전달된 가입 플랜(subscription plan) 정보들 중 적어도 하나가 선택될 수 있다. 그리고 단계 212에서, 선택된 가입 플랜(subscription plan) 정보 예를 들어 PLMN ID 및 가입 플랜 식별자(subscription plan identifier)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마켓 서버(250)에 전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계 213에서 상기 마켓 서버(250)는 remote provisioning을 위한 provisioning 서버(260)의 정보 예를 들어 선택된 PLMN의 SM-DS서버 혹은 SM-DP+서버의 주소 정보를 단말(230)의 마켓 서버 앱으로 전달할 수 있다.
단계 214에서 단말(230)은 현재 접속된 PLMN(access PLMN)과 단계 211을 통해 선택된 PLMN(selected PLMN)이 상응하는지 여부(예컨대, 동일하거나, 서로 연관성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만약, 접속된 PLMN(access PLMN)과 선택된 PLMN(selected PLMN)이 상응하는 경우에는, 단계 215에서 단말(230)은 상기 단계 213에서 획득한 provisioning 서버의 주소를 이용하여 provisioning 서버(260)에 접속하여 eSIM profile 을 provisioning받을 수 있다. 반면에, 접속된 PLMN(access PLMN)과 선택된 PLMN(selected PLMN)이 다른 경우에는 216 단계에서 단말(230)은 접속된 PLMN으로부터 접속 해제(detach)한 후에, 접속(attach과정)을 다시 시작하고 단계 201과 같이 PLMN 선택 수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단계 211에서 선택된 PLMN으로 접속(attach)할 수 있는데, attach type을 'subscription'으로 설정해서 단말이 SIM profile을 provisioning받아야 하기 때문에 접속함을 나타낼 수 있다. 접속이 된 후에 단계 217에서 상기 단말(230)은, 상기 단계 213에서 획득한 provisioning 서버의 주소를 이용하여 provisioning 서버(260)에 접속하여 eSIM profile 을 provisioning받을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eSIM 장착 단말(예컨대, 330)이 마켓 서버(350)에 접속하여 가입 플랜(subscription plan)을 선택하고 선택된 가입 플랜 관련 프로파일을 provisioning받는 방법의 다른 예시를 나타낸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SIM 프로파일이 없는 단말(330)은 셀룰라 망(340)에 접속하여 connectivity를 획득하고 마켓 서버(350)에 접속하여 가입 플랜(subscription plan)을 선택한 후 eSIM 서버(Provisioning Server 또는 Profile Server로 지칭할 수 있음)(360)를 통해 SIM 프로파일을 프로비져닝 받을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셀룰라 망(340)은 LTE 망 또는 5G 망을 포함할 수 있다. LTE 망의 경우 MME, GW 및 PCRF(Policy and charging rules function) 를 포함할 수 있다. 5G 망의 경우 CPF, UPF, PCF(Policy control function)를 포함할 수 있다. MME는 단말의 등록(registration), 인증 및 mobility management(이동성 관리)를 담당하는 entity일 뿐만 아니라, PDN connection에 대한 제어를 담당하는 session management기능을 담당하는 entity이다. 5G망의 경우 CPF(control plan function)에서 해당 기능을 수행하고, CPF는 인증을 담당하는 AUF(authentication function), 등록(registration) 및 mobility management(이동성 관리)를 담당하는 AMF(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와 PDU connection에 대한 제어를 담당하는 SMF(session management function)를 포함할 수 있다.
GW는 단말의 User data packet을 데이터 네트워크로 보내고, 수신된 데이터를 알맞은 단말에 전달하기 위해 패킷 필터링을 수행하는 등 gateway의 역할을 하고, 단말의 IP address를 할당하는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다. 5G망의 경우 UPF(userplane function)가 단말의 User data packet을 데이터 네트워크로 보내고, 수신된 데이터를 알맞은 단말에 전달하기 위해 패킷 필터링을 수행하는 등, gateway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하지만, LTE망과는 달리 단말의 IP address를 할당하는 기능은 상기 SMF에서 수행할 수 있다. PCRF는 GW에게 QoS정책 이나 charging정책을 전달하는 등 통신망에서의 QoS와 과금 정책등을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PCF도 SMF를 통해서 UPF가 QoS나 charging을 잘 수행하도록 정책을 전달하는 등 통신망에서의 QoS와 과금 정책등을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아래의 설명에서는 5G 망의 구성을 예시로 동작을 설명하겠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는 LTE 망에도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단계 301에서 단말(330)은 켜졌을 때(Power On) SIM profile을 확인하고, SIM profile이 없는 경우 SIM profile을 provisioning받아야 함을 인식하게 되며, provisioning을 받기 위해 PDU connection을 획득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상기 단말(330)이 셀룰라 망(340)을 통해서 PDU connection을 받도록 결정하거나 미리 설정된 경우, 상기 단말(330)은 cell search를 통해서 감지되는 PLMN의 list를 기반으로 available PLMN의 list를 provisioning을 담당하는 단말의 어플리케이션 혹은 엔티티(entity)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단말(330)은 전달된 available PLMN list를 기반으로 provisioning을 하기 위해 접속할 PLMN을 선택할 수 있다.
PLMN을 선택하는 방법은, 사용자의 입력을 통한 선택의 방법이나 단말 내부의 일정 우선순위 규칙(priority rule)에 따른 우선처리 순서에 따라서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이미 가입할 PLMN을 결정한 경우, provisioning 앱은 UI를 통해서 선택할 수 있는 PLMN의 list를 제시하고, 사용자는 가입할 PLMN을 선택할 수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 단말에 가입할 PLMN의 정보가 미리 설정 된 경우 단말은 상기 가입할 PLMN을 선택 할 수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 available PLMN 중에서 가장 신호의 세기가 센 PLMN을 선택하거나 available PLMN 중에서 랜덤하게 선택하는 등 단말 자체적인 우선순위 규칙(priority rule)에 따라 가장 높은 우선순위(priority)에 해당하는 PLMN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provisioning 앱은 마켓 서버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어플리케이션으로서, 마켓 서버 앱이라고도 칭할 수 있도록 한다.
단계 302에서 단말(330)은 상기 선택된 PLMN을 이용하여 attach request를 CPF(CP function)(341)에 보내면서 망 접속을 요청할 수 있다. 이 때 단말(330)은, 서비스 플랜(service plan)에 가입하고 해당 SIM profile을 provisioning받아야 하기 때문에 접속함을 나타내기 위해서, attach type을 별도로 나타낸다. 예를 들어, attach type = 'subscription'으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단말(330)의 NAS(non-access stratum)은 AS(access stratum)에 attach request메시지를 전달할 때, SIM provisioning을 위한 것임을 나타낼 수도 있다. 상기 SIM provisioning임을 나타내는 정보는 기지국에 전달되어 기지국이 알맞은 CP function을 고르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attach request 메시지는 단말(330)의 identity (UE ID) 예를 들어 IMEI(International Mobile Station Equipment Identity)를 포함할 수도 있다. 아니면, 단계 303 및 단계 304에서 상기 Attach request를 수신한 CP function(341)은 단말에게 단말의 identity(UE ID)를 요청하여 받아올 수 도 있다.
단계 305에서 상기 attach request를 받은 CP function(341) 또는 authenticator(미도시)는 eUICC와 네트워크 간에 인증과정을 수행하여 Remote SIM provisioning을 위한 인증절차를 수행할 수도 있다.
단계 306에서, 상기 CP function(341) 또는 authenticator는 인증절차 및 보안 키(security key)에 대한 셋업(setup)이 마치게 되면, attach accept 메시지를 단말(330)에게 보내서 성공적으로 망에 접속했음을 알릴 수 있다. 상기 attach accept 메시지는 단말이 subscription에 가입하기 위해서 접속해야 할 subscription portal의 주소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307에서, 상기 단말은 CP function(341)에 SIM provisioning을 하기 위한 PDU 세션 생성(session establishment)을 위해 PDU connection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PDU connection 요청 메시지는 SIM provisioning을 하기 위한 PDU connection임을 알리기 위해서 별도의 type을 설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type= 'provisioning'으로 설정할 수 있다.
한편, 단말은 단계 302에서 Attach request 메시지에 상기 PDU connection 요청 메시지를 피기 백(piggy back)해서 함께 보낼 수도 있다. 상기 Attach request메시지의 access type이 subscription 용인 경우에는 PDU connection 요청 메시지가 함께 전달되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SIM provisioning을 하기 위한 PDU connection을 만들기 위한 상기 단계 307의 세션 생성 과정을 진행할 수 있다.
상기 CP function(341)이 상기 PDU connection 요청 메시지를 처리할 때 상기 CP function(341)의 session management function은 UPF(UP function)(342)을 고르게 되는데, 이때 SIM provisioning임을 참고하여 UP function(342)를 고를 수도 있고, 선택된 Network Slice의 알맞은 UP function(342)을 고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session management function은 단말에 IP address를 할당할 수 있다.
상기 PDU connection 요청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이전 단계에서 단말(330)로부터 수신한 단말의 identity(UE ID) 예를 들어 IMEI 값으로부터 단말 제조사를 확인하게 되면, UP function(342)에서 상기 단말 제조사와 사전 계약된 마켓 서버(350)에 접속이 가능하도록 설정을 할 수 있다. 즉, 단말 제조사 별로 별도의 마켓 서버를 구비할 수 있다. 또는, 통신사에서 별도의 마켓 서버를 운영하여 단말 제조사에 대한 정보와 별개로 해당 마켓서버의 접속이 가능하도록 설정을 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마켓 서버(350)로의 접속이 가능하도록 하는 방법은 예를들어 packet filter의 uplink/downlink packet filter가 상기 마켓 서버용 주소를 포함하도록 하면 된다.
또한, 이때 생성된 PDU connection이 SIM provisioning을 위한 트래픽 용도로만 이용할 수 있도록, PDU 세션 생성 시 provisioning을 위한 SM-DP+서버주소, SM-DP+를 찾기 위한 SM-DS서버 주소, DNS서버 주소, subscription portal 주소에만 접속이 가능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packet filter의 uplink/downlink packet filter를 특정 provisioning 용 주소(예를 들어, provisioning을 위한 SM-DP+서버주소, SM-DP+를 찾기 위한 SM-DS서버 주소, DNS서버 주소, subscription portal 주소 등)를 포함하여 해당 destination/source IP address로 전송되는 경우에만 통신이 가능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단계 308에서, PDU connectivity를 획득한 단말(330)의 마켓 서버 앱은 적어도 하나의 통신사의 가입 플랜(Subscription plan)들에 대한 열람을 마켓 서버(350)에 요청할 수 있고, 이 때 상기 요청은 단말(330)이 접속한 망의 정보 예를 들어 access PLMN ID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요청은, 단말(330)에 장착된 eUICC의 ID (EID)등의 정보 또는 단말 제조사의 정보를 포함하여 상기 마켓 서버(350)에 전달될 수 있다.
단계 309에서 마켓 서버(350)는 상기 수신된 access PLMN ID 정보에 기반하여 가입 플랜들에 우선 순위를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마켓 서버(350)는 상기 수신된 access PLMN ID 정보에 상응하는 PLMN에서 제공하는 가입 플랜(subscription plan)에 우선 순위를 둘 수 있다. 또한, 마켓 서버(350)는 마켓 서버 앱이 특정 제조사에서 제공되는 시나리오와 달리, 범용 마켓 서버 앱이 사용되는 경우, 단말의 제조사 정보도 함께 고려하여 가입 플랜(subscription plan)의 우선 순위를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단말의 제조사와 미리 계약되어 있는 통신사의 가입 플랜에 우선 순위를 둘 수 있다. 단계 310에서 마켓 서버(350)는 상기 우선 순위가 부여된 가입 플랜 정보를 단말(330)에게 응답할 수 있다. 예컨대, 마켓 서버(350)는 저장하고 있는 가입 플랜들 중 상기 우선 순위에 따라 필터링된 소정 개수의 가입 플랜 정보를 단말(330)에게 전달할 수 있다.
단계 311에서사용자 입력 또는 설정에 의해서 단말(230)에게 전달된 가입 플랜(subscription plan) 정보들 중 적어도 하나가 선택될 수 있다. 그리고 단계 312에서, 선택된 가입 플랜(subscription plan) 정보 예를 들어 PLMN ID 및 가입 플랜 식별자(subscription plan identifier)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마켓 서버(350)에 전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계 313에서 상기 마켓 서버(350)는 remote provisioning을 위한 provisioning 서버(360)의 정보 예를 들어 선택된 PLMN의 SM-DS서버 혹은 SM-DP+서버의 주소 정보를 단말(330)의 마켓 서버 앱으로 전달할 수 있다.
단계 314에서 단말(330)은 현재 접속된 PLMN(access PLMN)과 단계 311을 통해 선택된 PLMN(selected PLMN)이 상응하는지 여부(예컨대, 동일하거나, 서로 연관성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단계 314에서 마켓 서버(350)는 단말(330)에 의해 현재 접속된 PLMN(access PLMN)과 단계 311을 통해 선택된 PLMN(selected PLMN)이 상응하는지 여부(예컨대, 동일하거나, 서로 연관성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만약, 접속된 PLMN(access PLMN)과 선택된 PLMN(selected PLMN)이 상응하는 경우에는, 단계 316에서 단말(330)은 상기 313 단계에서 획득한 provisioning 서버의 주소를 이용하여 provisioning 서버(360)에 접속하여 eSIM profile 을 provisioning받을 수 있다.
반면에, 접속된 PLMN(access PLMN)과 선택된 PLMN(selected PLMN)이 다른 경우에는, 단계 317에서 마켓 서버(350)는 접속된 PLMN(access PLMN)에서 선택된 PLMN(selected PLMN)을 위한 Provisioning data를 다운로드 할 수 있도록 SIM provisioning시 발생될 service flow에 대한 정보를 PCF(343)에게 전달할 수 있다. 단계 318에서 PCF(343)는 CPF(341)를 통해서 UPF(342)에게 packet filter를 설치해서 선택된 PLMN(selected PLMN)의 provisioning server(360)에 접속해서 다운받을 수 있도록 베어러를 활성화시키거나 flow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한편, 단계 319에서 접속된 PLMN(access PLMN)이 선택된 PLMN(selected PLMN) 용 SIM provisioning을 위한 IP connectivity를 제공해 주는 대가를 측정하기 위해서, 상기 단계 318에서 이뤄지는 베어러 활성화(bearer activation)또는 flow 활성화에 대해서 새로운 charging ID를 할당할 수 있다. 그리고, 단계 320에서 단말(330)은 새로 생성된 flow 또는 베어러(bearer)를 통해서 eSIM profile을 provisioning받을 수 있다. 상기 UPF(342)는 charging ID와 EID간의 mapping을 통해서 해당 EID에 대하여 remote SIM provisioning을 위해 사용한 데이터 소모량 자료를 과금 정보로 획득할 수 있다. 상기 UPF(342)는 선택된 PLMN(selected PLMN) 측에 해당 과금 정보를 제시함으로써, 해당 비용이 선택된 PLMN(selected PLMN)에 의해 직접 혹은 상기 단말의 사용자에게 과금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마켓 서버에 접속하여 가입 플랜(subscription plan)을 선택하는 eSIM 장착 단말의 내부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SIM 프로파일이 없는 단말(410)은 셀룰라 망(420)에 접속하여 마켓 서버(430)를 통해 가입 플랜(subscription plan)을 선택하고, 선택된 가입 플랜에 상응하는 SIM profile을 provisioning받을 수 있다.
단말(410)은 내부에 마켓 서버(430)와의 통신을 통해서 가입 플랜(subscription plan) 제시/선택을 관장하는 마켓 서버 앱(411) 과 eUICC(414)와 eUICC에 eSIM profile을 provisioning 받는 과정에서 네트워크의 통신에 도움을 주는 LPA(local profile assistant)(413)와 모뎀(412)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단말(410) 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마켓 서버 앱(411) 및 LPA(413)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통신부는 상기 모뎀(412)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단계 1에서, 단말(410)이 켜졌을 때 SIM profile이 없는 상황을 인식한 마켓 서버 앱(411)은 접속할 PLMN을 선택하기 위해서 모뎀(412)에 단말이 감지하는 available PLMN에 대한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그리고, 단계 2에서 상기 모뎀(412)은 cell scanning 등의 방식을 통해 available PLMN의 정보들을 모으고, 단계 3에서 마켓 서버 앱(411)에게 available PLMN list를 전달할 수 있다.. 단계 4에서, 상기 전달된 available PLMN의 list는 사용자에게 display된다.
하나의 PLMN이 선택되면, 단계 5에서 마켓 서버 앱(411)은, 단말이 SIM profile을 provisioning받기 위해 선택된 PLMN으로 접속할 수 있도록 모뎀(412)에게 요청할 수 있다. 즉, 선택된 PLMN ID와 함께 subscription을 위한 접속(attach)이 필요하다고 상기 모뎀(412)에게 요청할 수 있다. 따라서, 단계 6에서 모뎀(412)은 해당 PLMN의 통신망(420)에 접속(attach)을 하되, 이때 attach type =”subscription”으로 설정하여 접속할 수 있다. 접속하는 과정에서 단말의 IMEI정보를 통해 망 사업자는 단말기 제조사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여, 알맞은 마켓 서버(430)에 접속이 가능하도록 통신망 설정 등을 할 수 있다. 한편 단계 7에서, 마켓 서버 앱(411)은 LPA(413)을 통해서 eUICC(414)에 포함된 EID정보 및 SM-DS+서버(440)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마켓 서버(430)와의 통신시 상기 EID정보 또는 SM-DS+서버(440)의 정보를 포함시키거나 이용할 수 있다.
망 접속에 성공하고 IP 연결 획득을 인식한 상기 마켓 서버 앱(411)은 단계 8에서 마켓 서버(430))에 접속하여 가입 플랜(subscription plan)에 대한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이때, 가입 플랜 정보에 대한 요청메시지는 access PLMN의 ID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9에서 마켓 서버(430)는 상기 가입 플랜 정보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가능한 가입 플랜 정보(subscription plan list)를 마켓 서버 앱에게 전달할 수 있다. 한 예시로써, 마켓 서버(430)가 access PLMN ID를 알게 되면, 해당 PLMN에 대해 더 좋은 조건으로 가입 플랜 정보를 전달하거나, 상기 access PLMN ID에 해당하는 가입 플랜 정보만 전달하는 등, 마켓 서버 앱(411)에 맞춤형으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단계 10에서 상기 단말(410)이 전달받은 가입 플랜 정보들은 사용자에게 display된다. 마켓 서버 앱(411)은 전달받은 가입 플랜 정보를 access PLMN ID에 따라서 사용자에게 일부만 보여주거나, access PLMN의 가입 플랜에 우선 순위를 부여하여 display할 수도 있다. 한 예시로, 단말(410)이 access PLMN의 ID를 마켓 서버(430)로 전달하지 않은 경우, 마켓 서버(430)로부터 가입 플랜 정보(subscription plan list)를 수신하면, 마켓 서버 앱(411)은 access PLMN ID에 따라서 사용자에게 수신한 가입자 플랜 정보의 일부만 보여주거나, access PLMN의 가입 플랜에 우선 순위를 부여하여 display할 수도 있다.한편, 사용자가 가입 플랜(subscription plan)을 선택하면, 단계 11에서 그 선택된 가입 플랜 정보가 마켓 서버(430)에 전달되고, 단계 12에서 선택된 가입 플랜 정보에 따라 접속해야 할 provisioning 서버 예를들어 SM-DP+(440)의 주소 정보가 마켓 서버 앱(411)에게 그 응답으로 전달될 수 있다. 단계 13에서 상기 SM-DP+(440)의 주소 정보는 상기 LPA(413)를 통해서 eUICC(414)에게 전달되고, eUICC(414)는 상기 SM-DP+(440)의 주소 정보를 이용하여 SM-DP+(440)에서 해당되는 SIM profile을 provisioning받을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마켓 서버를 활용하여 SIM profile을 provisioning 받는 단말 동작의 순서도를 나타낸다.
단계 500에서 마켓 서버를 통하여 SIM profile provisioning 받도록 eUICC가 장착되고 마켓 서버 앱이 설치된 단말의 경우, 전원이 켜지고 단말이 통신망을 접속을 위한 SIM profile이 없다는 사실을 인식하면, 단말(예컨대, 단말의 마켓 서버 앱)은 SIM profile provisioning이 필요함을 인식할 수 있다.
단계 505에서 단말은 IP connectivity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단말이 IP connectivity가 있다면, 단말의 마켓 서버 앱은 바로 520 단계와 같이 마켓 서버에 접속하여 가입 플랜(subscription plan)에 대한 열람을 요청할 수 있다. 하지만, 단말이 IP connectivity를 가지고 있지 않고, 셀룰라 망을 통해서 IP connectivity를 획득해야 하는 경우에는, 단말의 마켓 서버 앱은 단계 510과 같이 모뎀과 연동하여 access할 PLMN을 선택하고, 셀룰라 망에 접속한다. 이 과정에서 마켓 서버 앱은 access PLMN의 ID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단계 515에서 단말이 access PLMN에서 SIM profile provisioning을 위한 IP connectivity를 획득하고, 마켓 서버 앱이 IP connectivity 획득을 인지할 수 있다. 그러면, 단말의 마켓 서버 앱은 520 단계와 같이 획득한 IP connectivity를 통해서 마켓 서버에 접속하여 가입 플랜(subscription plan)에 대한 열람을 요청할 수 있다.
마켓 서버 앱은 열람 요청 시 열람 요청 메시지에 access PLMN ID 정보를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을 수 있는데, 단계 525에서 마켓 서버 앱은 상기 열람 요청 메시지에 상기 access PLMN ID 정보의 포함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만약 열람 요청 메시지에 access PLMN ID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라면, 단계 530에서 마켓 서버에서 상기 access PLMN ID의 정보에 기반한 우선순위가 반영된 가입 플랜 정보를 수신하는 마켓 서버 앱은, 상기 수신된 가입 플랜 정보에 기반하여 가입 플랜 리스트를 사용자에게 display 할 수 있다.
반면에, 열람 요청 메시지에 access PLMN ID 정보가 포함되지 않는 경우라면, 단계 535에서 상기 마켓 서버 앱은 마켓 서버로부터 수신된 가입 플랜 정보에 미리 획득한 access PLMN ID를 기반으로 우선순위를 설정할 수 있고, 상기 우선순위에 따라 가입 플랜 리스트를 display할 수 있다.
단계 540에서 단말은 상기 표시된 가입 플랜 리스트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가입 플랜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또는 마켓 서버 앱 설정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가입 플랜이 선택될 수 있다.
단계 545에서 상기 마켓 서버 앱은 선택된 가입 플랜 정보를 마켓 서버에 전달하고, 그 응답으로 SIM profile provisioning서버의 주소, 예를 들어 SM-DP+ 혹은 SM-DS서버의 IP주소를 마켓서버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단계 550에서 단말은 선택한 가입 플랜의 PLMN과 access PLMN이 상응하는(동일하거나 연관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만약, 선택한 가입 플랜의 PLMN과 access PLMN이 상응하는(동일하거나 연관된) 경우에는, 단계 560과 같이 상기 단말의 마켓 서버 앱 또는 eUICC 또는 LPA가 상기 수신된 SIM profile provisioning 서버의 주소를 이용하여 SIM profile provisioning을 수행할 수 있다. 단말은 상기 과정을 통해서 설치된 SIM profile을 기반으로 셀룰라 망에 다시 접속할 수 있다.
반면에, 선택한 가입 플랜의 PLMN과 access PLMN이 다른 경우에는, 단계 555에서 단말은 선택된 PLMN에서의 SIM profile provisioning 서버에 대한 접속권한을 획득하기 위하여, i) 현재 접속해 있는 access PLMN에서 접속 해지(detach)를 하고 선택된 가입 플랜의 PLMN으로 재접속을 수행하거나 (도 2a 및 도 2b의 실시 예에 따름), ii) access PLMN의 네트워크가, 선택된 PLMN의 가입 플랜을 위한 SIM profile provisioning을 지원하기 위한 별도의 bearer setup또는 service flow setup이 완료할 때까지 대기(도 3a 및 3b의 실시 예에 따름)할 수 있다.
따라서, 단계 560에서 상기 단말의 마켓 서버 앱 또는 eUICC 또는 LPA는 상기 수신된 SIM profile provisioning서버의 주소를 이용하여 SIM profile provisioning을 수행할 수 있다. 단말은 상기 과정을 통해서 설치된 SIM profile을 기반으로 셀룰라망에 다시 접속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개략적인 구성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은, 통신부(610), 제어부(620), UICC(630), 입력부(640) 및 표시부(65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610)는 상기 제어부(620)의 제어에 의해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UICC(630)는 eUIC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640)는 상기 제어부(620)의 제어에 의해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는 모듈이고, 상기 표시부(650)는 상기 제어부(620)의 제어에 의해 출력을 디스플레이하는 모듈이다. 상기 입력부(640) 및 상기 표시부(650)는 예컨대 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62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62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을 구현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어부(620)는 마켓 서버로, 적어도 하나의 사업자의 가입 플랜(subscription plan) 정보를 요청하는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마켓 서버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업자의 가입 플랜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며, 상기 수신한 적어도 하나의 사업자의 가입 플랜 정보에 기반하여 가입 플랜 리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가입 플랜 리스트는, 상기 단말이 접속한 사업자 정보에 기반한 우선 순위에 따라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요청 메시지에 상기 단말이 접속한 사업자 정보가 포함된 경우라면, 상기 수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사업자의 가입 플랜 정보에는 상기 단말이 접속한 사업자 정보에 기반한 상기 우선 순위가 부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요청 메시지에 상기 단말이 접속한 사업자 정보가 포함되지 않는 경우라면, 상기 단말이 상기 수신한 적어도 하나의 사업자의 가입 플랜 정보에 상기 단말이 접속한 사업자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우선 순위를 부여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620)는 상기 표시된 가입 플랜 리스트에서 하나의 가입 플랜을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620)는 상기 선택된 가입 플랜 관련 정보를 상기 마켓 서버로 전달하고, 상기 마켓 서버로부터, 상기 선택된 가입 플랜에 상응하는 프로파일 서버의 주소 정보를 수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 선택된 가입 플랜의 사업자가 상기 단말이 접속한 사업자와 상응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620)는 상기 수신한 프로파일 서버의 주소 정보를 이용하여 프로파일을 다운로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선택된 가입 플랜의 사업자가 상기 단말이 접속한 사업자와 상응하지 않는 경우, 한 예시로써, 상기 제어부(620)는 상기 단말이 접속한 사업자에 대한 접속을 해지하고 상기 선택된 가입 플랜의 사업자에 대한 접속을 수행하고, 상기 선택된 가입 플랜의 사업자에 대한 접속 이후, 상기 수신한 프로파일 서버의 주소 정보를 이용하여 프로파일을 다운로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선택된 가입 플랜의 사업자가 상기 단말이 접속한 사업자와 상응하지 않는 경우, 한 예시로써, 상기 제어부(620)는 상기 단말이 접속한 사업자의 네트워크가 상기 선택된 가입 플랜의 사업자의 네트워크와 소정 베어러를 설정한 이후, 상기 수신한 프로파일 서버의 주소 정보를 이용하여 프로파일을 다운로드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마켓 서버의 개략적인 구성이다.
상기 마켓 서버는 통신부(710) 및 제어부(7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710)는 상기 제어부(720)의 제어에 의해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72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62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마켓 서버의 동작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720)는 단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사업자의 가입 플랜(subscription plan) 정보를 요청하는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요청 메시지는 상기 단말이 접속한 사업자 정보가 포함될 수도 있고,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제어부(720)는 상기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업자의 가입 플랜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단말에게 전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요청 메시지가 상기 단말이 접속한 사업자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720)는 상기 단말이 접속한 사업자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업자의 가입 플랜 정보에 우선 순위를 부여하여 단말로 전달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엔터티, 기지국 또는 단말 장치의 다양한 구성부들과, 모듈 (module)등은 하드웨어 (hardware) 회로, 일 예로 상보성 금속 산화막 반도체 (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기반 논리 회로와, 펌웨어 (firmware)와, 소프트웨어 (software) 및/혹은 하드웨어와 펌웨어 및/혹은 머신 판독 가능 매체에 삽입된 소프트웨어의 조합과 같은 하드웨어 회로를 사용하여 동작될 수도 있다. 일 예로, 다양한 전기 구조 및 방법들은 트랜지스터 (transistor)들과, 논리 게이트 (logic gate)들과, 주문형 반도체와 같은 전기 회로들을 사용하여 실시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20)

  1. 단말의 방법에 있어서,
    마켓 서버로, 적어도 하나의 사업자의 가입 플랜(subscription plan) 정보를 요청하는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마켓 서버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업자의 가입 플랜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한 적어도 하나의 사업자의 가입 플랜 정보에 기반하여 가입 플랜 리스트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가입 플랜 리스트는, 상기 단말이 접속한 사업자 정보에 기반한 우선 순위에 따라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 메시지에 상기 단말이 접속한 사업자 정보가 포함된 경우, 상기 수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사업자의 가입 플랜 정보에는 상기 단말이 접속한 사업자 정보에 기반한 상기 우선 순위가 부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 메시지에 상기 단말 관련 제조사 정보가 포함된 경우, 상기 우선 순위는 상기 단말 관련 제조사 정보에 더 기반하여 부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 메시지에 상기 단말이 접속한 사업자 정보가 포함되지 않는 경우, 상기 단말이 상기 수신한 적어도 하나의 사업자의 가입 플랜 정보에 상기 단말이 접속한 사업자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우선 순위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우선 순위는, 상기 단말 관련 제조사 정보에 더 기반하여 부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된 가입 플랜 리스트에서 하나의 가입 플랜을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단말의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가입 플랜 관련 정보를 상기 마켓 서버로 전달하는 단계;
    상기 마켓 서버로부터, 상기 선택된 가입 플랜에 상응하는 프로파일 서버의 주소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단말의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가입 플랜의 사업자가 상기 단말이 접속한 사업자와 상응하는 경우, 상기 수신한 프로파일 서버의 주소 정보를 이용하여 프로파일을 다운로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단말의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가입 플랜의 사업자가 상기 단말이 접속한 사업자와 상응하지 않는 경우, 상기 단말이 접속한 사업자에 대한 접속을 해지하고 상기 선택된 가입 플랜의 사업자에 대한 접속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가입 플랜의 사업자에 대한 접속 이후, 상기 수신한 프로파일 서버의 주소 정보를 이용하여 프로파일을 다운로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단말의 방법.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가입 플랜의 사업자가 상기 단말이 접속한 사업자와 상응하지 않는 경우, 상기 단말이 접속한 사업자의 네트워크가 상기 선택된 가입 플랜의 사업자의 네트워크와 소정 베어러를 설정한 이후, 상기 수신한 프로파일 서버의 주소 정보를 이용하여 프로파일을 다운로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단말의 방법.
  11. 단말에 있어서,
    UICC(universal integrated circuit card);
    표시부;
    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및
    마켓 서버로, 적어도 하나의 사업자의 가입 플랜(subscription plan) 정보를 요청하는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마켓 서버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업자의 가입 플랜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며,
    상기 수신한 적어도 하나의 사업자의 가입 플랜 정보에 기반하여 가입 플랜 리스트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가입 플랜 리스트는, 상기 단말이 접속한 사업자 정보에 기반한 우선 순위에 따라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 메시지에 상기 단말이 접속한 사업자 정보가 포함된 경우, 상기 수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사업자의 가입 플랜 정보에는 상기 단말이 접속한 사업자 정보에 기반한 상기 우선 순위가 부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 메시지에 상기 단말 관련 제조사 정보가 포함된 경우, 상기 우선 순위는 상기 단말 관련 제조사 정보에 더 기반하여 부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요청 메시지에 상기 단말이 접속한 사업자 정보가 포함되지 않는 경우, 상기 수신한 적어도 하나의 사업자의 가입 플랜 정보에 상기 단말이 접속한 사업자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우선 순위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우선 순위는, 상기 단말 관련 제조사 정보에 더 기반하여 부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6. 제 11 항에 있어서,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표시된 가입 플랜 리스트에서 하나의 가입 플랜을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도록 제어하는 단말.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선택된 가입 플랜 관련 정보를 상기 마켓 서버로 전달하고, 상기 마켓 서버로부터, 상기 선택된 가입 플랜에 상응하는 프로파일 서버의 주소 정보를 수신하도록 제어하는 단말.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선택된 가입 플랜의 사업자가 상기 단말이 접속한 사업자와 상응하는 경우, 상기 수신한 프로파일 서버의 주소 정보를 이용하여 프로파일을 다운로드하도록 제어하는 단말.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선택된 가입 플랜의 사업자가 상기 단말이 접속한 사업자와 상응하지 않는 경우, 상기 단말이 접속한 사업자에 대한 접속을 해지하고 상기 선택된 가입 플랜의 사업자에 대한 접속을 수행하고,
    상기 선택된 가입 플랜의 사업자에 대한 접속 이후, 상기 수신한 프로파일 서버의 주소 정보를 이용하여 프로파일을 다운로드하도록 제어하는 단말.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선택된 가입 플랜의 사업자가 상기 단말이 접속한 사업자와 상응하지 않는 경우, 상기 단말이 접속한 사업자의 네트워크가 상기 선택된 가입 플랜의 사업자의 네트워크와 소정 베어러를 설정한 이후, 상기 수신한 프로파일 서버의 주소 정보를 이용하여 프로파일을 다운로드하도록 제어하는 단말.
KR1020160172258A 2016-12-16 2016-12-16 프로파일 다운로드 방법 및 장치 KR1024975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2258A KR102497592B1 (ko) 2016-12-16 2016-12-16 프로파일 다운로드 방법 및 장치
CN201711347003.2A CN108206857B (zh) 2016-12-16 2017-12-15 简档设置方法和装置
US15/843,287 US10341848B2 (en) 2016-12-16 2017-12-15 Profile provisioning method and apparatus
EP17207737.2A EP3337205B1 (en) 2016-12-16 2017-12-15 Profile provisioning method and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2258A KR102497592B1 (ko) 2016-12-16 2016-12-16 프로파일 다운로드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0044A true KR20180070044A (ko) 2018-06-26
KR102497592B1 KR102497592B1 (ko) 2023-02-08

Family

ID=60937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2258A KR102497592B1 (ko) 2016-12-16 2016-12-16 프로파일 다운로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341848B2 (ko)
EP (1) EP3337205B1 (ko)
KR (1) KR102497592B1 (ko)
CN (1) CN108206857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22404B2 (en) 2018-08-08 2021-09-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external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managing embedded subscriber identity modules of external electronic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0231B1 (ko) * 2013-04-15 2019-11-06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에서 가입 사업자 변경 제한 정책을 지원하는 정책 적용 방법 및 장치
KR102449475B1 (ko) * 2016-10-21 2022-09-30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지원 가능한 네트워크 정보에 기반한 단말의 네트워크 접속 방법 및 장치
US10904743B2 (en) * 2017-04-12 2021-01-2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s for automatic bootstrapping of a device
KR102504960B1 (ko) 2017-05-02 2023-03-03 삼성전자 주식회사 사업자 특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US10356604B2 (en) 2017-07-20 2019-07-16 T-Mobile Usa, Inc. eSIM profile reuse for eUICCs
US10477383B2 (en) 2017-07-20 2019-11-12 T-Mobile Usa, Inc. ESIM profile metadata provisioning
US10362475B2 (en) * 2017-07-20 2019-07-23 T-Mobile Usa, Inc. Subscription management service data feeds
US10368230B2 (en) * 2017-07-20 2019-07-30 T-Mobile Usa, Inc. Data enhancements for eSIM profile operation callbacks
US10764789B2 (en) 2017-08-11 2020-09-01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Application-initiated network slices in a wireless network
US10797894B2 (en) * 2017-12-28 2020-10-06 Ofinno, Llc Service type and device type-based policy and charging control
US10999133B2 (en) * 2018-03-14 2021-05-04 Qualcomm Incorporated Device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optimization of public land mobility network configuration for a system information block
US11722891B2 (en) * 2018-04-05 2023-08-08 Nokia Technologies Oy User authentication in first network using subscriber identity module for second legacy network
US10798564B2 (en) 2018-10-05 2020-10-06 T-Mobile USA, Inc Machine-readable code-based embedded subscriber identity module (ESIM) profile download
US10951731B2 (en) 2018-10-12 2021-03-16 Qualcomm Incorporated Profile switch feature in subsidy locked devices with eUICC
US10455536B1 (en) * 2018-11-09 2019-10-2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rovisional device registration
CN113196811A (zh) * 2018-12-19 2021-07-30 高通股份有限公司 没有默认sim简档的情况下的调制解调器辅助式网络附连规程
EP3900262A1 (en) * 2018-12-20 2021-10-2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Functions and methods for handling pre-configured profiles for sets of detection and enforcement rules
US11310641B2 (en) * 2019-02-10 2022-04-19 Hewlett Packard Enterprise Development Lp Entitlement server connected eSIMS
CN111669719B (zh) * 2019-03-07 2021-08-13 华为技术有限公司 对网络切片客户进行计费处理的方法、***及相关设备
KR20200114392A (ko) 2019-03-28 2020-10-07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입자 프로파일을 설치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EP3949471A4 (en) * 2019-04-05 2022-06-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NETWORK CONNECTIVITY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0687204B1 (en) * 2019-05-20 2020-06-16 T-Mobile Usa, Inc. Intelligent SIM profile procurement
US11039296B2 (en) * 2019-07-08 2021-06-15 Motorola Mobility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disabling a carrier eSIM profile
GB201915748D0 (en) * 2019-10-30 2019-12-11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ally selecting a network
JP7441051B2 (ja) 2020-01-16 2024-02-29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管理装置およびそれらの制御方法
CN111954318B (zh) * 2020-07-20 2022-06-10 广东工贸职业技术学院 一种设备互联的方法、装置及***
US11540110B2 (en) * 2020-11-24 2022-12-27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Systems and methods for scalable remote SIM provisioning
US11678171B2 (en) * 2020-12-21 2023-06-13 Dish Network L.L.C. Internet gateway provisioning and evaluation of embedded subscriber identity module privileges
CN112566095B (zh) * 2020-12-25 2021-09-14 深圳杰睿联科技有限公司 Sim卡的无网开卡方法、终端设备及运营商服务器
GB2614088A (en) * 2021-04-01 2023-06-28 Pismo Labs Technology Ltd Establishing and maintaining cellular data communication using remote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profile
CN115175163A (zh) * 2021-04-01 2022-10-11 思博控股有限公司 应用于可携式设备的vSIM模块
US20220386104A1 (en) * 2021-05-28 2022-12-01 Apple Inc. On-device physical sim to esim conversion
CN113709234B (zh) * 2021-08-25 2023-04-07 中国联合网络通信集团有限公司 服务提供方法及服务功能实体
CN113676877B (zh) * 2021-08-25 2022-08-23 中国联合网络通信集团有限公司 通信方法、基站、服务器和通信***
CN113784336B (zh) * 2021-09-17 2024-04-09 捷开通讯(深圳)有限公司 码号下载方法、***、终端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11910481B2 (en) 2021-10-25 2024-02-20 T-Mobile Innovation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sioning user equipment with an eSIM profile
EP4240042A1 (en) * 2022-03-01 2023-09-06 Telit Cinterion Deutschland GmbH Subscription selection using central cloud intelligenc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007188A1 (en) * 2014-09-17 2016-01-07 Simless, Inc. Apparatuses, methods and systems for implementing a trusted subscription management platform
US20160020804A1 (en) * 2014-07-19 2016-01-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management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68343A1 (en) * 2006-12-07 2008-06-12 Inbev S.A. Use of a primary liquid filtration/stabilization installation for triple purpose.
US9858559B2 (en) * 2009-01-28 2018-01-02 Headwater Research Llc Network service plan design
GB0908694D0 (en) * 2009-05-20 2009-07-01 Vodafone Plc Terminating SMS messages in LTE
US8713592B2 (en) * 2010-06-29 2014-04-29 Google Inc. Self-service channel marketplace
WO2013027085A1 (en) * 2011-08-22 2013-02-28 Nokia Corporation Multi-sim enabling application and use of euicc in legacy terminals
KR102001869B1 (ko) * 2011-09-05 2019-07-19 주식회사 케이티 eUICC의 프로파일 관리방법 및 그를 이용한 eUICC, eUICC 탑재 단말과, 프로비저닝 방법 및 MNO 변경 방법
US8989806B2 (en) * 2011-09-16 2015-03-24 Alcatel Lucent Network operator-neutral provisioning of mobile devices
KR102133450B1 (ko) * 2013-05-30 2020-07-13 삼성전자 주식회사 프로파일 설정 방법 및 장치
CN106851628B (zh) * 2013-12-05 2020-08-07 华为终端有限公司 下载运营商的文件的方法及设备
KR102209031B1 (ko) * 2014-03-25 2021-01-28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망에 가입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WO2015157933A1 (en) * 2014-04-16 2015-10-22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s for dynamic sim provisioning on a dual-sim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KR102200209B1 (ko) * 2014-04-22 2021-01-08 삼성전자 주식회사 프로파일 설치 방법 및 장치
KR102231948B1 (ko) * 2014-07-17 2021-03-25 삼성전자 주식회사 프로파일 관리서버의 업데이트 방법 및 장치
US9894009B2 (en) * 2014-08-29 2018-02-1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lient device and host device subscriptions
KR102331695B1 (ko) * 2014-10-27 2021-11-26 삼성전자 주식회사 식별 모듈을 활용한 프로파일 변경 방법 및 이를 구현한 전자장치
US9940141B2 (en) * 2015-02-23 2018-04-10 Appl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bootstrap ESIMs
US10470078B2 (en) * 2016-02-19 2019-11-05 Viavi Solutions Uk Limited Network optimization based on characteristic information regarding a network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020804A1 (en) * 2014-07-19 2016-01-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management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US20160007188A1 (en) * 2014-09-17 2016-01-07 Simless, Inc. Apparatuses, methods and systems for implementing a trusted subscription management platfor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22404B2 (en) 2018-08-08 2021-09-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external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managing embedded subscriber identity modules of external electronic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341848B2 (en) 2019-07-02
CN108206857B (zh) 2022-03-01
KR102497592B1 (ko) 2023-02-08
EP3337205B1 (en) 2020-02-05
CN108206857A (zh) 2018-06-26
US20180176768A1 (en) 2018-06-21
EP3337205A1 (en) 2018-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97592B1 (ko) 프로파일 다운로드 방법 및 장치
US2023016454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ccessing cellular network for sim profile
US982656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bscribing electronic device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20210329435A1 (en) Method and device for selective communication service in communication system
US11716246B2 (en)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edge computing servi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3170328B1 (en) Method and device for updating profile management server
JP6574236B2 (ja) Ueベースのネットワークサブスクリプション管理
CN111052777A (zh) 支持无线通信***中设备间简档转移的方法和装置
KR20180038304A (ko) 네크워크 슬라이스를 지원하는 로밍 환경에서 단말의 attach 및 home routed PDU session 생성 방법
CN111263334A (zh) 向移动无线设备配置电子用户身份模块
EP4007326A1 (en) Method and device for activating 5g user
CN105684546A (zh) 在可信wlan接入和网络中基于流量检测和dscp映射的wifi qos的移动网络运营商(mno)控制
CN116782188A (zh) 用于提供运营商专用服务的设备和方法
WO2014029113A1 (zh) 切换运营商网络的方法及终端
EP3155866B1 (en) Method and device for selective communication service in communication system
AU2018265334A1 (en) Selection of IP version
US11706591B2 (en) Methods to enable Wi-Fi onboarding of user equipment by utilizing an eSIM
WO2022136128A1 (en) Dual-connection device enabling service advertisement and discovery of services between networks, user device and system
KR20210138322A (ko) 5g 비공중망 접속 제어를 수행하는 인증 서버, 접속 제어 방법 및 단말의 접속 방법
KR20210040776A (ko) 5g 사용자 활성화 방법 및 장치
US20220167114A1 (en) System and method for geo-fencing of fixed wireless acces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