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6749A - 음악 콘텐츠의 저작권을 관리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음악 콘텐츠의 저작권을 관리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6749A
KR20180066749A KR1020160167948A KR20160167948A KR20180066749A KR 20180066749 A KR20180066749 A KR 20180066749A KR 1020160167948 A KR1020160167948 A KR 1020160167948A KR 20160167948 A KR20160167948 A KR 20160167948A KR 20180066749 A KR20180066749 A KR 201800667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base
information
music
stored
auth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79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19041B1 (ko
Inventor
정연승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티스츠카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티스츠카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티스츠카드
Priority to KR10201601679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9041B1/ko
Publication of KR201800667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67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90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90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10Protecting distributed programs or content, e.g. vending or licensing of copyrighted material ;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6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audio data
    • G06F17/3074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10Protecting distributed programs or content, e.g. vending or licensing of copyrighted material ;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G06F21/107License processing; Key processing
    • G06F21/1073Conversion
    • G06F2221/0764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echnology Law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음악 콘텐츠의 저작권을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저작자(author)에 대한 정보를 제1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하나 이상의 음악 작품에 대한 정보를 제2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하나 이상의 음악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제3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제2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음악 작품과 상기 제1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저작자를 매칭하고, 상기 제3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음악 콘텐츠와 상기 제2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음악 작품을 매칭하는 단계, 상기 제3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제1 음악 콘텐츠에 대한 선택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제1 음악 콘텐츠와 매칭된 음악 작품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1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음악 작품과 매칭된 저작자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저작자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저작자에 대한 정보는 상기 저작자의 사망일을 포함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음악 콘텐츠의 저작권을 관리하는 방법 {METHOD FOR MANAGING COPYRIGHT OF MUSIC CONTENTS}
본 발명은 음악 콘텐츠의 저작권을 관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공유저작물(Public Domain)은 저작권이 만료된 저작물, 국가가 보유하면서 공개를 결정한 저작물, 저작권자가 공공의 사용을 목적으로 기증한 저작물 등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일반 사용자가 저작권 부담 없이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는 저작물을 의미한다.
저작권은 국내 저작권법 및 국제조약에 따라 권리의 유지기간이 결정된다. 저작권이 만료되는 경우, 저작권료를 지불하지 않고도 저작물을 이용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저작권이 만료된 저작물을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들이 개발되고 있다.
다만, 저작권은 국내 저작권법과 국제조약, 그리고 각 법 및 조약의 개정에 따른 경과규정 등을 다양하게 고려해야 하며, 저작권자뿐 아니라 다수의 저작인접권자까지 고려해야 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각 저작물의 저작권 만료여부를 일일이 판단하기에는 실질적 어려움이 따른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0-0040043호, 2000.12.05 공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음악 콘텐츠의 저작권을 관리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면에 따라 음악 콘텐츠의 저작권을 관리하는 방법은, 하나 이상의 저작자(author)에 대한 정보를 제1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하나 이상의 음악 작품에 대한 정보를 제2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하나 이상의 음악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제3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제2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음악 작품과 상기 제1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저작자를 매칭하고, 상기 제3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음악 콘텐츠와 상기 제2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음악 작품을 매칭하는 단계, 상기 제3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제1 음악 콘텐츠에 대한 선택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제1 음악 콘텐츠와 매칭된 음악 작품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1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음악 작품과 매칭된 저작자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저작자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저작자에 대한 정보는 상기 저작자의 사망일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저작권법과 국제조약의 경과규정에 따라 상기 저작자의 사후 저작권 존속기간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저작자의 사망일과 상기 획득된 저작권 존속기간에 따라 상기 제1 음악 콘텐츠의 공유 저작물(public domain)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공유 저작물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 데이터베이스에 제1 식별자를 저장하고, 상기 제3 데이터베이스에 제2 식별자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식별자는 상기 제2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음악 작품과 매칭된 하나 이상의 저작자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1 데이터베이스에서 획득하기 위하여 이용되고, 상기 제2 식별자는 상기 제3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음악 콘텐츠와 매칭된 하나 이상의 음악 작품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2 데이터베이스에서 획득하기 위하여 이용된다.
또한, 상기 제1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는, 하나 이상의 실연자(performer)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1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매칭하는 단계는, 상기 제3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음악 콘텐츠에 대한 정보와 상기 제1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실연자에 대한 정보를 매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음악 콘텐츠와 매칭된 실연자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실연자에 대한 정보는 상기 실연자의 사망일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매칭하는 단계는, 상기 제3 데이터베이스에 제3 식별자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식별자는 상기 제3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음악 콘텐츠와 매칭된 하나 이상의 실연자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1 데이터베이스에서 획득하기 위하여 이용된다.
또한, 상기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저작권법과 국제조약의 경과규정에 따라 상기 저작자의 사후 저작권 존속기간 및 상기 실연자의 사후 저작인접권 존속기간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저작자와 상기 실연자의 사망일, 상기 획득된 상기 저작권 존속기간 및 상기 저작인접권 존속기간에 따라 상기 제1 음악 콘텐츠의 공유 저작물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공유 저작물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3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음악 콘텐츠에 대한 정보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음악 콘텐츠의 녹음시점 및 출판시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존속기간을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음악 콘텐츠의 녹음시점 또는 출판시점에 따라 상기 제1 음악 콘텐츠에 적용될 상기 경과규정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공유 저작물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저작자와 상기 실연자의 사망일, 상기 제1 음악 콘텐츠의 녹음시점과 출판시점 및 상기 결정된 경과규정에 따라 상기 제1 음악 콘텐츠의 공유 저작물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공유 저작물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저작자와 상기 실연자의 사망일, 상기 제1 음악 콘텐츠의 녹음시점과 출판시점 및 저작권법과 국제조약에 따라 상기 제1 음악 콘텐츠의 저작권 및 저작 인접권 만료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3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음악 콘텐츠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음악 콘텐츠의 공유 저작물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제4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제4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제1 음악 콘텐츠의 공유 저작물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음악 콘텐츠가 공유 저작물이 아닌 경우, 상기 제1 음악 콘텐츠가 공유 저작물이 되기까지 남은 시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개시된 실시 예에 따르면,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각 저작물의 저작권 만료여부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함으로써 각 데이터베이스에 정보를 추가하는 것 만으로도 각 저작물의 저작권 만료여부에 대한 정보가 함께 업데이트된다.
따라서, 저작권이 만료된 공유 저작물들을 이용한 서비스를 용이하게 제공하여 수익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라 음악 콘텐츠의 저작권을 관리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데이터베이스 내지 제3 데이터베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라 제4 데이터베이스를 추가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제1 데이터베이스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제2 데이터베이스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제3 데이터베이스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개시된 실시 예에 따라 각 음악 콘텐츠의 공유저작물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는 제4 데이터베이스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저작권법”은 대한민국 저작권법을 의미한다. 다른 실시 예에서, “저작권법”은 해외 각국의 저작권법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조약”은 베른협약, 음반협약, WPPT 및 TRIPs 중 적어도 일부 또는 전부를 의미한다. 또한, 그 외의 다른 국제조약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라 음악 콘텐츠의 저작권을 관리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에 도시된 각 단계들은 음악 콘텐츠의 저작권을 관리하는 서버에 의하여 수행된다.
단계 S110에서, 서버는 하나 이상의 저작자에 대한 정보를 제1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개시된 실시 예에서, 데이터베이스는 서버에 저장되고, 이용이 용이하도록 통합적으로 관리되는 데이터의 집합을 의미한다.
일 실시 예에서, 데이터베이스는 테이블과 같은 자료구조로 구성된다. 하지만, 데이터베이스가 구성되는 방법은 제한되지 않는다.
제1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저작자에 대한 정보는 저작자의 사망일을 포함한다. 또한, 저작자의 이름, 생년월일, 국적, 출생지, 사망지 및 주 활동영역(작곡가, 작사가 등) 등에 대한 정보가 제1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저작자는 작곡가를 의미한다. 가사가 있는 음악 저작물의 경우, 저작자는 작곡가 및 작사가를 의미한다.
일 실시 예에서, 서버는 하나 이상의 실연자에 대한 정보를 제1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실연자는 저작권법 또는 조약에 따라 저작인접권을 가질 수 있다.
제1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실연자에 대한 정보는 실연자의 사망일을 포함한다. 또한, 실연자의 이름, 생년월일, 국적, 출생지, 사망지 및 주 활동영역(악기 등) 등에 대한 정보가 제1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다.
서버는 제1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저작자 또는 실연자에 대한 정보 각각에 대하여 소정의 고유번호를 부여한다.
단계 S120에서, 서버는 하나 이상의 음악 작품에 대한 정보를 제2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제2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음악 작품에 대한 정보는 각 음악 작품의 제목을 포함한다. 또한, 제2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음악 작품에 대한 정보는 각 음악 작품의 저작자명을 포함한다. 또한, 제2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음악 작품에 대한 정보는 각 음악 작품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서버는 제2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음악 작품에 대한 정보 각각에 대하여 소정의 고유번호를 부여한다.
단계 S130에서, 서버는 하나 이상의 음악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제3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개시된 실시 예에서, “음악 콘텐츠” 는 “음악 작품”이 녹음된 음원을 의미한다. 따라서, 하나의 “음악 작품” 에 대하여 서로 다른 복수의 “음악 콘텐츠” 가 존재할 수 있다.
제3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음악 콘텐츠에 대한 정보는 음악 콘텐츠의 제목 및 실연자명을 포함한다. 또한, 제3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음악 콘텐츠에 대한 정보는 각 음악 콘텐츠의 녹음 및 출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3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음악 콘텐츠에 대한 정보는 각 음악 콘텐츠가 녹음된 날짜, 녹음된 장소, 출판된 날짜, 출판된 국가 및 출판에 대한 권리자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서버는 제3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음악 콘텐츠에 대한 정보 각각에 대하여 소정의 고유번호를 부여한다.
단계 S140에서, 서버는 제2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음악 작품과 제1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저작자를 매칭한다.
음악 작품의 경우, 저작자의 이름이 함께 제공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저작자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는 제공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서버는 각 음악 작품의 저작자명을 이용하여, 제2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음악 작품과 제1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저작자에 대한 정보를 매칭한다.
서버는 제2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음악 작품과 매칭된 하나 이상의 저작자에 대한 정보를 제1 데이터베이스에서 획득하기 위한 식별자를 제2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예를 들어, 서버는 매칭된 하나 이상의 저작자 각각에 대한 제1 데이터베이스 내에서의 고유번호를 제2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단계 S150에서, 서버는 제3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음악 콘텐츠와 제2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음악 작품에 대한 정보를 매칭한다.
서버는 제3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음악 콘텐츠의 제목을 이용하여 제3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음악 콘텐츠와 제2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음악 작품을 매칭한다.
서버는 제3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음악 콘텐츠와 매칭된 하나 이상의 음악작품에 대한 정보를 제2 데이터베이스에서 획득하기 위한 식별자를 제3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예를 들어, 서버는 매칭된 하나 이상의 음악 작품 각각에 대한 제2 데이터베이스 내에서의 고유번호를 제3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단계 S155에서, 서버는 제3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음악 콘텐츠와 제1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실연자에 대한 정보를 매칭한다.
음악 콘텐츠의 경우, 실연자의 이름이 함께 제공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실연자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는 제공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서버는 각 음악 콘텐츠의 실연자명을 이용하여, 제3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음악 콘텐츠와 제1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실연자에 대한 정보를 매칭한다.
서버는 제3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음악 콘텐츠와 매칭된 하나 이상의 실연자에 대한 정보를 제1 데이터베이스에서 획득하기 위한 식별자를 제3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예를 들어, 서버는 매칭된 하나 이상의 실연자 각각에 대한 제1 데이터베이스 내에서의 고유번호를 제3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단계 S160에서, 서버는 제3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제1 음악 콘텐츠에 대한 선택정보를 수신한다.
일 실시 예에서, 서버는 사용자 클라이언트로부터 제1 음악 콘텐츠에 대한 선택정보를 수신한다. 다른 실시 예에서, 서버는 다른 서버 또는 동일한 서버 내의 시스템으로부터 제1 음악 콘텐츠에 대한 선택정보를 수신한다.
단계 S170에서, 서버는 제2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제1 음악 콘텐츠와 매칭된 음악 작품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제1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음악 작품과 매칭된 저작자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다.
일 실시 예에서, 서버는 제3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음악 작품의 고유번호를 이용하여 제2 데이터베이스에서 음악 작품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다. 서버는 제2 데이터베이스에서 획득된 음악 작품에 대한 정보에 포함된, 음악 작품의 저작자의 고유번호를 이용하여 제1 데이터베이스에서 저작자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다.
단계 S180에서, 서버는 저작자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되, 제공되는 저작자에 대한 정보는 저작자의 사망일을 포함한다.
또한, 서버는 저작자의 사망일 및 저작권법과 국제조약에 따라 제1 음악 콘텐츠의 공유 저작물 여부를 결정하고, 결정된 공유 저작물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서버는 실연자의 사망일 및 저작권법과 국제조약에 따라 제1 음악 콘텐츠의 공유 저작물 여부를 결정하고, 결정된 공유 저작물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서버는 제3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제1 음악 콘텐츠의 녹음시점과 출판시점 및 저작권법과 국제조약에 따라 제1 음악 콘텐츠의 공유 저작물 여부를 결정하고, 결정된 공유 저작물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서버는 저작자와 실연자의 사망일, 제1 음악 콘텐츠의 녹음시점과 출판시점 및 저작권법과 국제조약에 따라 제1 음악 콘텐츠의 저작권 및 저작 인접권 만료여부를 결정하고, 제1 음악 콘텐츠의 저작권 및 저작 인접권이 만료된 경우 제1 음악 콘텐츠가 공유 저작물인 것으로 결정한다.
제1 음악 콘텐츠가 공유 저작물이 아닌 경우, 서버는 제1 음악 콘텐츠가 공유 저작물이 되기까지 남은 시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데이터베이스 내지 제3 데이터베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제1 데이터베이스(200), 제2 데이터베이스(300) 및 제3 데이터베이스(400)는 서버에 저장된 데이터의 집합이다.
도 2에 도시된 제1 데이터베이스(200), 제2 데이터베이스(300) 및 제3 데이터베이스(400)는 각각 도1 과 관련하여 설명된 제1 데이터베이스, 제2 데이터베이스 및 제3 데이터베이스에 대응한다.
따라서, 도 2와 관련하여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도 1과 관련하여 설명된 제1 데이터베이스, 제2 데이터베이스 및 제3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내용은 도 2 이하에서 도시되는 제1 데이터베이스, 제2 데이터베이스 및 제3 데이터베이스에도 적용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데이터베이스, 제2 데이터베이스 및 제3 데이터베이스 사이의 관계가 도시되어 있다.
제1 데이터베이스(200)에는 저작자 정보가 저장된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데이터베이스(200)에는 실연자 정보가 저장된다.
제2 데이터베이스(300)에는 각 음악 작품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데이터베이스(300)에는 각 음악 작품의 제목 및 저작자명이 저장된다.
서버는 제2 데이터베이스(300)의 저작자명을 이용하여 제1 데이터베이스(200)로부터 저작자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획득한다. 제2 데이터베이스(300)에는 제1 데이터베이스(200)에 저장된 저작자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식별자가 저장된다.
다른 실시 예에서, 제2 데이터베이스(300)에는 제1 데이터베이스(200)로부터 획득된 저작자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제3 데이터베이스(400)에는 각 음악 콘텐츠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다.
일 실시 예에서, 제3 데이터베이스(400)에는 각 음악 콘텐츠의 제목, 녹음 정보, 출판 정보 및 실연자명이 저장된다.
서버는 제3 데이터베이스(400)에 저장된 각 음악 콘텐츠의 제목을 이용하여 제2 데이터베이스(300)로부터 음악 작품 정보를 획득한다. 또한, 서버는 제2 데이터베이스(300)에 저장된 음악 작품 정보와 링크된 제1 데이터베이스(200)로부터 저작자 정보를 획득한다. 제3 데이터베이스(400)에는 제2 데이터베이스(300)에 저장된 음악 작품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식별자가 저장된다.
다른 실시 예에서, 제3 데이터베이스(400)에는 제2 데이터베이스(300)로부터 획득된 음악 작품 정보 및 제1 데이터베이스(200)로부터 획득된 저작자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서버는 제3 데이터베이스(400)에 저장된 각 음악 콘텐츠의 실연자명을 이용하여 제1 데이터베이스(200)로부터 실연자 정보를 획득한다. 제3 데이터베이스(400)에는 제1 데이터베이스(200)에 저장된 실연자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식별자가 저장된다.
다른 실시 예에서, 제3 데이터베이스(400)에는 제1 데이터베이스(200)로부터 획득된 저작자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라 제4 데이터베이스를 추가로 도시한 도면이다.
일 실시 예에서, 서버는 제3 데이터베이스(400)에 저장된 각 음악 콘텐츠에 대한 정보와 각 음악 콘텐츠의 공유 저작물 여부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는 제4 데이터베이스(500)를 생성한다.
제4 데이터베이스(500)는 각 음악 콘텐츠의 공유 저작물 여부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다. 따라서, 서버는 각 음악 콘텐츠의 공유 저작물 여부에 대한 확인 요청이 수신되면, 제4 데이터베이스(500)를 검색함으로써 각 음악 콘텐츠의 공유 저작물 여부를 확인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제4 데이터베이스(500)에는 각 음악 콘텐츠의 공유 저작물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정보들이 추가적으로 저장된다. 예를 들어, 제4 데이터베이스(500)에는 각 음악 콘텐츠의 저작자 정보, 실연자 정보, 녹음 정보 및 출판 정보 등이 저장된다.
서버는 저작권법 및 국제조약에 기초하여 각 음악 콘텐츠의 공유 저작물 여부를 결정한다.
서버가 각 음악 콘텐츠의 공유 저작물 여부를 결정하는 구체적인 방법은 이하 도 4 내지 7에 도시된 예시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개시된 실시 예에서는 임의로 설정된 규정에 따라 각 음악 콘텐츠의 공유 저작물 여부를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하지만 이는 예시를 위하여 제공된 것이고, 개시된 실시 예의 적용시점 및 적용국가에 따라 구체적인 방법은 달라질 수 있다.
도 4는 제1 데이터베이스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1 데이터베이스(200)에는 저작자 또는 실연자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다. 개시된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데이터베이스(200)에는 각 저작자 또는 실연자의 이름, 사망일, 활동분야 및 각 저작자 또는 실연자의 고유번호가 저장된다.
일 실시 예에서, 서버는 각 저작자 또는 실연자에 대한 저작권 또는 저작인접권 만료여부를 산출하기 위하여 각 저작자 또는 실연자의 사망일자를 숫자로 환산한다. 예를 들어, 서버는 다음 표 1과 같은 규칙에 따라 각 저작자 또는 실연자의 사망일자를 숫자로 환산한다.
설명 Data 환산 데이터명
연도 정보를 숫자로 변환시킴 1750. 7. 28 1750 author_death
perform_death
살아있거나 정보가 없을시에는 9999로 환산 NULL 9999
정보가 부정확할시 가장 높은숫자를 대입 198X 1989
표 1에서, '데이터명'은 이하 수식에서 각각의 환산수치를 나타내기 위하여 이용된다.
제1 데이터베이스(200)의 '비고' 란에는 각 저작자 또는 실연자의 주 활동분야가 저장된다. 다른 실시 예에서, 제1 데이터베이스(200)에는 각 저작자 또는 실연자의 활동분야가 하나 이상 저장된다. 하지만, 각 저작자 또는 실연자의 활동분야는 제1 데이터베이스(200)에 저장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작곡가가 동시에 피아니스트가 될 수도 있고, 실연자가 작곡가 또는 작사가가 될 수도 있으며, 복수의 악기를 연주할 수도 있다. 따라서, 각 저작자 또는 실연자의 활동분야는 제1 데이터베이스(200)에 저장된 활동분야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5는 제2 데이터베이스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2 데이터베이스(300)에는 음악 작품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다. 개시된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데이터베이스(300)에는 각 음악작품의 제목, 저작자명 및 각 음악작품의 고유번호가 저장된다.
또한, 제2 데이터베이스(300)에는 각 음악 작품의 저작자 정보를 제1 데이터베이스(200)로부터 획득하기 위한 식별자가 저장된다.
도 6은 제3 데이터베이스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3 데이터베이스(400)에는 음악 콘텐츠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다. 개시된 실시 예에 따르면, 제3 데이터베이스(400)에는 각 음악 콘텐츠의 제목, 녹음일, 출판일, 실연자명 및 각 음악 콘텐츠의 고유번호가 저장된다.
또한, 제3 데이터베이스(400)에는 각 음악 콘텐츠에 대응하는 음악 작품 정보 및 저작자 정보를 각각 제2 데이터베이스(300) 및 제1 데이터베이스(200)로부터 획득하기 위한 식별자가 저장된다.
일 실시 예에서, 서버는 저작인접권 만료여부를 산출하기 위하여 각 녹음일 또는 출판일을 숫자로 환산한다. 예를 들어, 서버는 다음 표 2와 같은 규칙에 따라 각 녹음일 또는 출판일을 숫자로 환산한다.
분류 설명 Data 환산1(year) 환산2(date) 데이터명
녹음 연도(월) 정보를 숫자로 변환시킴 1973. 8. 7 1973 197308 rec_year
rec_date
복수 기간일시 가장 말일을 변환 1954. 8. 30 ~ 9. 2 1954 195409
출판 연도(월) 정보를 숫자로 변환시킴 1967. 7. 20 1967 196707 publish_year
publish_date
연도 외 정보가 없을경우 가장 말월로 환산 1980 1980 198012
표 2에서, '데이터명'은 이하 수식에서 각각의 환산수치를 나타내기 위하여 이용된다.
일 실시 예에서, 저작권 및 저작인접권 보호기간이 50년인 국가에 대하여 서버는 다음 표 3과 같은 방법으로 각 음악 콘텐츠의 공유저작물 여부를 판단한다. 저작권 및 저작인접권 보호기간, 저작인접권 보호여부 등은 국가에 따라 달라지며, 아래 표 3은 예시를 위하여 제공된 것이다.
저작권종류 공유저작물 사유 수식 예
저작권 저작자 사후 50년 경과 year(today())-50>author_death
저작인접권 녹음 및 발행 이후 50년 경과 year(today())-50>rec_year && year(today())-50>publish_year
표 3에 표시된 수식에서, year(today())는 금일의 연도를 나타내는 수식이다. author_death 는 저작자의 사망연도를 나타내며, rec_year 및 publish_year는 상기 표 1 및 표 2의 정의에 따른다.
마찬가지로, 저작권 및 저작인접권 보호기간이 70년인 국가에서는 표 3에 표시된 수식에서 50을 70으로 바꿔서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대한민국의 저작권법을 추가로 적용하는 경우 서버는 아래 표 4의 방법으로 공유저작물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저작권법을 적용하는 경우, 국내 저작권법과 국제조약, 그리고 각 법 및 조약의 개정에 따른 경과규정 등을 다양하게 고려하여야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서버는 음악 콘텐츠의 녹음일 또는 출판일에 기초하여 적용될 경과규정을 결정한다.
저작권종류 공유저작물 사유 수식 예
pd_copyright_kor
(저작권)
1962년 이전 사망한 저작자의 작품으로 저작권이 만료됨 author_death<1963
pd_neighboring_kor
(저작인접권)
녹음 이후 50년이 경과한 2009.3.18. 이전 발행된 해외 음반으로 저작인접권이 만료됨 rec_year<year(today())-50 && publish_date<200903
1982.12.31. 이전 발행 및 연주자가 사망한 해외 음반으로 저작인접권이 만료됨 publish_year<1983 && perform_death<1983
1987.6.30.이전 녹음 되었으며, 1987.7.1.이후(2007.6.28.이전) 발행된 해외 음반으로 저작인접권이 만료됨 rec_date<198707 && publish_date>198706 && publish_date<200706
1982.12.31.이전 발행 되었으며, 1972.2.14.이전 녹음된 미국 음반으로 저작인접권이 만료됨 publish_year<1983 && rec_date<197202
표 4에 표시된 수식에 포함된 각 데이터는 표 1 및 표 2의 정의에 따른다.
표 4에 표시된 공유저작물 사유들은 출원일 당시의 대한민국의 저작권법 및 대한민국이 가입한 협약에 근거하여 작성된 것이나, 이는 예시로서 제공된 것일 뿐이다.
도 7은 개시된 실시 예에 따라 각 음악 콘텐츠의 공유저작물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3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된 4개의 음악콘텐츠의 공유저작물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타임테이블이 도시되어 있다.
서버는 제3 데이터베이스의 101번 음악 콘텐츠에 대하여, 음악 작품 정보 식별자(#13)를 통해 제2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음악 작품에 대한 정보 및 저작자 정보의 식별자(#2)를 획득하고, 저작자 정보의 식별자(#2)를 이용하여 저작자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다. 또한, 실연자 정보의 식별자(#4)를 이용하여 실연자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다.
서버는 획득된 정보들 및 제3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들을 이용하여 101번 음악 콘텐츠의 공유저작물 여부를 판단한다.
101번 음악 콘텐츠의 경우, 저작자가 1750년에 사망하였으므로 저작권은 소멸하였다. 저작 인접권의 경우, 녹음된 지 50년이 경과하였고, 2009년 3월 18일 이전에 출판된 바 저작인접권이 소멸하여 공유저작물에 해당한다.
서버는 같은 방법으로 나머지 음악 콘텐츠들에 대한 공유저작물 여부를 판단한다.
각 음악 콘텐츠의 저작권 또는 저작인접권 만료 여부와 공유저작물 여부를 저장하는 제4 데이터베이스의 예시가 도 8 및 도 9에 도시되어 있다.
102번 음악 콘텐츠의 경우, 저작자가 1750년에 사망하였으므로 저작권은 소멸하였다. 반면, 저작인접권 만료사항에는 해당하는 바 없어 공유저작물이 아니다.
103번 음악 콘텐츠의 경우, 저작자가 1750년에 사망하였으므로 저작권은 소멸하였다. 또한, 1982년 이전에 출판되었고 실연자가 1982년 이전에 사망한 바 저작인접권이 소멸되어 공유저작물에 해당한다.
104번 음악 콘텐츠의 경우, 저작자가 생존하고 있는 바 저작권이 소멸하지 않았다. 마찬가지로 저작인접권도 소멸되지 아니한 바 공유저작물에 해당하지 않는다.
서버는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제3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음악 콘텐츠의 공유저작물 여부를 판단한다. 또한, 서버는 제3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음악 콘텐츠의 공유저작물 여부를 제4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200: 제1 데이터베이스
300: 제2 데이터베이스
400: 제3 데이터베이스

Claims (10)

  1. 음악 콘텐츠의 저작권을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저작자(author)에 대한 정보를 제1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하나 이상의 음악 작품에 대한 정보를 제2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하나 이상의 음악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제3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제2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음악 작품과 상기 제1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저작자에 대한 정보를 매칭하고, 상기 제3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음악 콘텐츠와 상기 제2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음악 작품에 대한 정보를 매칭하는 단계;
    상기 제3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제1 음악 콘텐츠에 대한 선택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제1 음악 콘텐츠와 매칭된 음악 작품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1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음악 작품과 매칭된 저작자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저작자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저작자에 대한 정보는 상기 저작자의 사망일을 포함하는,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저작권법과 국제조약의 경과규정에 따라 상기 저작자의 사후 저작권 존속기간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저작자의 사망일과 상기 획득된 저작권 존속기간에 따라 상기 제1 음악 콘텐츠의 공유 저작물(public domain)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공유 저작물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매칭하는 단계는,
    상기 제2 데이터베이스에 제1 식별자를 저장하고, 상기 제3 데이터베이스에 제2 식별자를 저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식별자는 상기 제2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음악 작품과 매칭된 하나 이상의 저작자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1 데이터베이스에서 획득하기 위하여 이용되고,
    상기 제2 식별자는 상기 제3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음악 콘텐츠와 매칭된 하나 이상의 음악 작품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2 데이터베이스에서 획득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는,
    하나 이상의 실연자(performer)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1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매칭하는 단계는,
    상기 제3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음악 콘텐츠에 대한 정보와 상기 제1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실연자에 대한 정보를 매칭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음악 콘텐츠와 매칭된 실연자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실연자에 대한 정보는 상기 실연자의 사망일을 포함하는, 방법.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매칭하는 단계는,
    상기 제3 데이터베이스에 제3 식별자를 저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식별자는 상기 제3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음악 콘텐츠와 매칭된 하나 이상의 실연자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1 데이터베이스에서 획득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방법.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저작권법과 국제조약의 경과규정에 따라 상기 저작자의 사후 저작권 존속기간 및 상기 실연자의 사후 저작인접권 존속기간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저작자와 상기 실연자의 사망일, 상기 획득된 상기 저작권 존속기간 및 상기 저작인접권 존속기간에 따라 상기 제1 음악 콘텐츠의 공유 저작물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공유 저작물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음악 콘텐츠에 대한 정보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음악 콘텐츠의 녹음시점 및 출판시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존속기간을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음악 콘텐츠의 녹음시점 또는 출판시점에 따라 상기 제1 음악 콘텐츠에 적용될 상기 경과규정을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공유 저작물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저작자와 상기 실연자의 사망일, 상기 제1 음악 콘텐츠의 녹음시점과 출판시점 및 상기 결정된 경과규정에 따라 상기 제1 음악 콘텐츠의 공유 저작물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 저작물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저작자와 상기 실연자의 사망일, 상기 제1 음악 콘텐츠의 녹음시점과 출판시점 및 저작권법과 국제조약에 따라 상기 제1 음악 콘텐츠의 저작권 및 저작 인접권 만료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음악 콘텐츠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음악 콘텐츠의 공유 저작물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제4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제4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제1 음악 콘텐츠의 공유 저작물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음악 콘텐츠가 공유 저작물이 아닌 경우, 상기 제1 음악 콘텐츠가 공유 저작물이 되기까지 남은 시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KR1020160167948A 2016-12-09 2016-12-09 음악 콘텐츠의 저작권을 관리하는 방법 KR1019190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7948A KR101919041B1 (ko) 2016-12-09 2016-12-09 음악 콘텐츠의 저작권을 관리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7948A KR101919041B1 (ko) 2016-12-09 2016-12-09 음악 콘텐츠의 저작권을 관리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6749A true KR20180066749A (ko) 2018-06-19
KR101919041B1 KR101919041B1 (ko) 2018-11-15

Family

ID=62790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7948A KR101919041B1 (ko) 2016-12-09 2016-12-09 음악 콘텐츠의 저작권을 관리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904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0043A (ko) 1998-12-17 2000-07-05 김순택 액정표시장치의 배향방법
KR20060113869A (ko) * 2006-10-16 2006-1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의 메타데이터 포맷 및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0043A (ko) 1998-12-17 2000-07-05 김순택 액정표시장치의 배향방법
KR20060113869A (ko) * 2006-10-16 2006-1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의 메타데이터 포맷 및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9041B1 (ko) 2018-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Noone et al. Cancer‐attributable mortality among solid organ transplant recipients in the United States: 1987 through 2014
US20200167385A1 (en) Method for managing copyright of music contents
Jackson et al. Finding smoking hot‐spots: a cross‐sectional survey of smoking patterns by housing tenure in England
KR101919041B1 (ko) 음악 콘텐츠의 저작권을 관리하는 방법
Jørgensen et al. Potential for prevention of dementia in Denmark
Chen et al. Trajectories of sickness absence and disability pension in the 2 years before and 3 years after breast cancer diagnosis: A Swedish longitudinal population‐based cohort study
Sohn Suicides around major public holidays in South Korea
Brooks Survey of reissues of US recordings
Bevilacqua et al. How a quartet of theatres plays under an acoustic perspective: A comparison between horseshoe shaped plans in Campania
Bradrick Copyright-Don't Forget About the Orphans: A Look at a (Better) Legislative Solution to the Orphan Works Problem
Landau Publication, Musical Compositions, and the Copyright Act Of 1909: Still Crazy After All These Years
JP2014026324A (ja) 音楽に関する情報の交換システム
Brown It Takes a Village to Make a Difference: Continuing the Spirit of Copyright
Sas et al. Intellectual property and assessing its financial value
Di Lucente et al. Efficacy of soluble epoxide hydrolase inhibition in a rat model of Alzheimer’s disease
KR101890598B1 (ko) 음악 콘텐츠의 키워드를 이용한 광고 제공 방법
Viney The obsession with compression
Heidenreich Heterogeneity of cancer risk due to stochastic effects
Gadd et al. RoMEO studies 5: IPR issues facing OAI data and service providers
Klar et al. Validity of a new brief assessment of apathy: Caregiver version of the apathy motivation index: Neuropsychiatry and behavioral neurology/assessment/measurement of neuropsychiatric/behavioral and psychological symptoms
Bertoni et al. Requirements for Diligent Search in 20 European Countries
Goebel IDEAMA–The International Digital Electroacoustic Music Archive
Jiang If It Is Baroque, Fix It: The Need for More Certainty of Copyright Status for Classical Music Works Published between 1925 and 1978
Rentoumi et al. LangAware: A robust ML‐based platform for the quick and accurate assessment of neurodegenerative diseases: Neuropsychology/computerized neuropsychological assessment
Cooper et al. The international HTA database returned incomplete search results for NICE technology appraisals: An exploratory study and discussion of the implic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