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6506A - 휴대용 내시경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내시경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6506A
KR20180066506A KR1020160167399A KR20160167399A KR20180066506A KR 20180066506 A KR20180066506 A KR 20180066506A KR 1020160167399 A KR1020160167399 A KR 1020160167399A KR 20160167399 A KR20160167399 A KR 20160167399A KR 20180066506 A KR20180066506 A KR 201800665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insertion portion
housing
lens
optical fi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73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혜진
양원주
윤지현
조민희
Original Assignee
박혜진
윤지현
양원주
조민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혜진, 윤지현, 양원주, 조민희 filed Critical 박혜진
Priority to KR10201601673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66506A/ko
Publication of KR201800665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65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163Optical arrangements
    • A61B1/00165Optical arrangements with light-conductive means, e.g. fibre optics
    • A61B1/00167Details of optical fibre bundles, e.g. shape or fibre distribu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163Optical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ombined with photographic or television appli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6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illuminating arrangements
    • A61B1/07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illuminating arrangements using light-conductive means, e.g. optical fib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0/00Constructional details of operational features of apparatus; Accessories for medical measuring apparatus
    • A61B2560/04Constructional details of apparatus
    • A61B2560/0431Portable apparatus, e.g. comprising a handle or cas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doscopes (AREA)
  • Instruments For Viewing The Inside Of Hollow Bodies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내시경 장치는, 체내에 삽입되도록 마련된 삽입부; 상기 삽입부 내에 배치되어 촬영 대상에 빛을 전달하는 광 전달부; 및 상기 삽입부 내에 배치되어 상기 광 전달부에서 전달된 빛으로부터 상기 촬영 대상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하는 광학부;를 포함하고, 상기 광 전달부는, 상기 광학부의 외측을 감싸도록 마련된 복수 개의 광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내시경 장치{PORTABLE ENDOSCOPY DEVICE}
본 발명은 휴대용 내시경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 단말기에 내장된 조명 장치 및 카메라 모듈을 이용하여 체내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 휴대용 내시경 장치에 관한 것이다.
고령화가 가속화됨에 따라 미래에는 헬스케어와 관련된 산업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내시경 장치는 몸의 내부를 직접 관찰할 수 있는 의료기구이다.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종류로는 이비인후경, 기관지경, 식도경 등이 있는데, 이 중에 귀, 코, 입을 진찰하는 이비인후 내시경 장치는 환자 셀프케어가 가능한 영역으로 개발할 수 있다.
또한, 의료서비스의 접근성을 높이기 위한 소형 의료기기의 개발은 질병의 조기발견을 유도하며, 의료 인프라가 구축되지 않은 지역의 환자들에게 의료혜택을 넓히는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에 따라 휴대용 내시경 장치에 대하여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2011년 8월 30일에 출원된 KR10-2011-0086855에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이와 구강 내시경'에 대하여 개시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사용자 단말기(스마트폰)에 내장된 조명 장치 및 카메라 모듈을 이용하여 이비인후 내부를 관찰할 수 있고, 별도의 조명 장치가 필요하지 않아 사용이 용이할 수 있는 휴대용 내시경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복수 개의 광섬유에 의해 삽입부 내에서 빛이 전달되고 복수 개의 광섬유가 하우징의 외측에 등간격으로 이격 배치되어 관찰 대상(촬영 대상)을 향하여 빛을 조사함으로써 광손실이 감소되고 빛의 밝기가 센 빛이 관찰 대상에 조사될 수 있는 휴대용 내시경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복수 개의 렌즈의 배치에 의해 초점 깊이가 커져 체내에서 보다 넓은 영역을 관찰할 수 있는 휴대용 내시경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고해상도로 관찰 대상의 이미지를 얻을 수 있으며, 경량화 및 소형화되어 휴대성이 높고 사용자 단말기에 탈부착이 용이한 구조로 마련된 휴대용 내시경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일상에서 두피 관찰을 하는 데 활용될 수 있고, 영유야의 이비인후 내의 이물질 여부를 용이하게 관찰할 수 있으며, 사용자들이 스스로 진단할 수 있어 의료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고, 질병의 조기 예방이 가능할 수 있는 휴대용 내시경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의료 인프라가 구축되지 않은 제3국이나 교외 지역에 왕진용 내시경으로 사용 가능하며, 원격 의료 서비스인 U-헬스케어 시스템에 맞추어 환자와 의사 간의 원격 진료 및 진단에 활용될 수 있는 휴대용 내시경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내시경 장치는, 체내에 삽입되도록 마련된 삽입부; 상기 삽입부 내에 배치되어 촬영 대상에 빛을 전달하는 광 전달부; 및 상기 삽입부 내에 배치되어 상기 광 전달부에서 전달된 빛으로부터 상기 촬영 대상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하는 광학부;를 포함하고, 상기 광 전달부는, 상기 광학부의 외측을 감싸도록 마련된 복수 개의 광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삽입부의 일단에는 플레이트가 장착되고, 상기 플레이트에는 광원을 마주보도록 배치된 제1 관통홀 및 카메라 렌즈와 마주보도록 배치된 제2 관통홀이 구비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복수 개의 광섬유는 상기 제1 관통홀의 내부를 채우도록 마련되며, 상기 복수 개의 광섬유는 상기 삽입부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삽입부의 타단을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광학부는, 상기 삽입부의 내부에서 상기 삽입부의 일단으로부터 타단을 향해 연장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 내에서 일렬로 이격 배치된 복수 개의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광섬유는 상기 제1 관통홀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외측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복수 개의 광섬유는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 등간격으로 이격 배치되고, 고무 재질로 마련된 고정 부재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복수 개의 렌즈는, 상기 제2 관통홀에 인접하게 배치된 제1 렌즈; 상기 제1 렌즈로부터 상기 삽입부의 타단을 향해 이격 배치된 제2 렌즈; 및 상기 제2 렌즈로부터 상기 삽입부의 타단을 향해 이격 배치된 제3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삽입부의 일단은 상기 삽입부의 타단보다 단면적의 크기가 크게 마련되고, 상기 제2 관통홀은 상기 삽입부의 타단과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1 관통홀은 상기 제2 관통홀로부터 일 측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내시경 장치는, 제1 관통홀 및 제2 관통홀이 형성된 플레이트; 일단이 상기 제1 관통홀에 고정되고 타단은 전방을 향하여 연장된 복수 개의 광섬유; 및 일단이 상기 제2 관통홀에 고정되고 타단은 전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광섬유의 타단은 상기 하우징의 타단 외측에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제1 관통홀은 광원에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상기 광원으로부터의 빛이 상기 복수 개의 광섬유를 통해 촬영 대상에 전달되고, 상기 제2 관통홀은 카메라 렌즈에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상기 촬영 대상으로부터 반사된 빛이 제2 관통홀을 통해 상기 카메라 렌즈에 전달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일단이 상기 제2 관통홀에 고정되고 타단은 전방을 향하여 연장된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 내에 상기 하우징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 배치된 복수 개의 렌즈;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렌즈는 상기 하우징의 타단보다 일단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초점 깊이가 깊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내시경 장치에 의하면, 사용자 단말기(스마트폰)에 내장된 조명 장치 및 카메라 모듈을 이용하여 이비인후 내부를 관찰할 수 있고, 별도의 조명 장치가 필요하지 않아 사용이 용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내시경 장치에 의하면, 복수 개의 광섬유에 의해 삽입부 내에서 빛이 전달되고 복수 개의 광섬유가 하우징의 외측에 등간격으로 이격 배치되어 관찰 대상(촬영 대상)을 향하여 빛을 조사함으로써 광손실이 감소되고 빛의 밝기가 센 빛이 관찰 대상에 조사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내시경 장치에 의하면, 복수 개의 렌즈의 배치에 의해 초점 깊이가 커져 체내에서 보다 넓은 영역을 관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내시경 장치에 의하면, 고해상도로 관찰 대상의 이미지를 얻을 수 있으며, 경량화 및 소형화되어 휴대성이 높고 사용자 단말기에 탈부착이 용이한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내시경 장치에 의하면, 일상에서 두피 관찰을 하는 데 활용될 수 있고, 영유야의 이비인후 내의 이물질 여부를 용이하게 관찰할 수 있으며, 사용자들이 스스로 진단할 수 있어 의료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고, 질병의 조기 예방이 가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내시경 장치에 의하면, 의료 인프라가 구축되지 않은 제3국이나 교외 지역에 왕진용 내시경으로 사용 가능하며, 원격 의료 서비스인 U-헬스케어 시스템에 맞추어 환자와 의사 간의 원격 진료 및 진단에 활용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내시경 장치가 사용자 단말기에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내시경 장치를 도시한다.
도 3은 제1 관통홀을 도시한다.
도 4는 복수 개의 광섬유의 배치를 도시한다.
도 5는 복수 개의 렌즈의 배치를 도시한다.
도 6(a) 및 (b)는 MTF 성능 및 이미지 시뮬레이션을 도시한다.
이하,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내시경 장치가 사용자 단말기에 장착된 모습을 도시하고,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내시경 장치를 도시하고, 도 3은 제1 관통홀을 도시하고, 도 4는 복수 개의 광섬유의 배치를 도시하고, 도 5는 복수 개의 렌즈의 배치를 도시하고, 도 6(a) 및 (b)는 MTF 성능 및 이미지 시뮬레이션을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내시경 장치(10)는 사용자 단말기(A)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A)는 예를 들어 스마트폰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내시경 장치(10)는 스마트폰에 내장된 조명장치 및 카메라 모듈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기(A)는 스마트폰에 국한되지 아니하며, 조명장치 및 카메라 모듈이 내장되어 있는 단말기라면 어느 것이든지 가능하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내시경 장치(10)는 사용자 단말기(A)의 배면에 장착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 탈부착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일상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내시경 장치(10)를 휴대하면서 필요한 경우 적절하게 사용자 단말기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도 2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내시경 장치(10)는 삽입부(1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삽입부(100)는 체내에 삽입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삽입부(100)는 전체적으로 이비인후에 삽입 가능하도록 가늘고 길쭉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삽입부(100)의 일단은 삽입부(100)의 타단보다 단면적이 크게 마련되고, 삽입부(100)의 일단은 플레이트(110)와 동일한 단면적을 갖도록 마련되며, 삽입부(100)의 단면적이 삽입부(100)의 타단의 단면적과 동일해지도록 급격하게 감소되는 구간이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삽입부(100)의 형상은 이에 국한되지 아니하며, 일단은 사용자 단말기에 장착 가능하고, 타단은 체내에 삽입 가능하다면 어느 것이든지 가능하다.
또한, 삽입부(100)의 일단에는 플레이트(110)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110)에는 광원을 마주보도록 배치된 제1 관통홀(112) 및 카메라 렌즈와 마주보도록 배치된 제2 관통홀(114)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광원은 사용자 단말기(A)에 내장된 조명 장치로서, 예를 들어 제1 관통홀(112)은 사용자 단말기(A)의 배면에 구비된 LED를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카메라 렌즈는 사용자 단말기(A)에 내장된 카메라 모듈로서, 예를 들어 제2 관통홀(114)은 사용자 단말기(A)의 배면에 구비된 카메라 렌즈를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자 단말기(A)의 배면에서 LED와 카메라 렌즈는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제1 관통홀(112) 및 제2 관통홀(114) 또한 서로 동일 평면 상에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 3을 참조하여, 제1 관통홀(112)은 예를 들어 다각형의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제1 관통홀(112)의 형상 및 크기는 제1 관통홀(112)에 채워질 복수 개의 광섬유의 형상 및 개수와 관련된 것으로서, 도 3에서 B는 각각의 광섬유의 형상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각각의 광섬유가 원형으로 마련되고 복수 개의 광섬유가 19개로 마련된 경우 제1 관통홀(112)은 육각형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그러나 제1 관통홀(112)의 형상 및 크기는 이에 국한되지 아니하며, 제1 관통홀 내에 채워지는 복수 개의 광섬유의 형상 및 개수에 따라서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고, 사용자 단말기(A)의 배면에 구비된 광원으로부터 복수 개의 광섬유에 빛 손실 없이 빛이 전달될 수 있다면 어느 것이든지 가능하다.
또한, 도 4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내시경 장치(10)는 광 전달부(200) 및 광학부(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 전달부(200)는 삽입부(100) 내에 배치되어 사용자 단말기(A)에 구비된 광원으로부터의 빛을 촬영 대상에 전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광 전달부(200)는 광학부(300)의 외측을 감싸도록 마련된 복수 개의 광 섬유(2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광 섬유(210)는 전술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110)에 구비된 제1 관통홀(112)의 내부를 채우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광 섬유(210)는 삽입부(100)의 일단으로부터 삽입부(100)의 일단을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 개의 광 섬유(210)의 일단은 제1 관통홀(112)의 내부에 배치되고, 복수 개의 광 섬유(210)의 타단은 제2 관통홀(114)에 장착된 하우징(310)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복수 개의 광 섬유(210)가 하우징(310)의 외측면에 등간격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도록 고무 재질로 마련된 고정 부재(22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고정 부재(220)는 링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고정 부재(220)의 내측면에 형성된 홈과 복수 개의 광 섬유(210)가 맞물려 복수 개의 광 섬유(210)가 일정 간격으로 하우징(310)의 외측면에 고정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복수 개의 광 섬유(210)로부터 하우징(310)의 단부에서 촬영 대상에 대하여 전방향으로 빛을 고르게 조사할 수 있고, 하우징(310)의 단부에서 광량의 비대칭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광학부(300)는 삽입부(100) 내에 배치되어 광 전달부(20)에서 전달된 빛으로부터 촬영 대상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특히, 도 5를 참조하여, 광학부(300)는 하우징(310), 제1 렌즈(320), 제2 렌즈(330) 및 제3 렌즈(3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310)은 예를 들어 양단이 개방된 원통형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삽입부(100)의 내부에서 삽입부(100)의 일단으로부터 타단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우징(310)의 일단은 플레이트(110)에 형성된 제2 관통홀(114)에 장착되고, 하우징(310)의 타단은 삽입부(100)의 타단과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렌즈(320), 제2 렌즈(330) 및 제3 렌즈(340)는 하우징(310) 내에서 일렬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 개의 렌즈가 하우징(310) 내에 배치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렌즈의 개수는 이에 국한되지 아니하며 다양한 개수로 마련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하에서는 복수 개의 렌즈가 세 개로 마련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구체적으로, 제1 렌즈(320)는 하우징(310)의 일단에서 제2 관통홀(114)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 렌즈(330)는 제1 렌즈(320)로부터 삽입부(100)의 타단 또는 하우징(310)의 타단을 향해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제3 렌즈(340)는 제2 렌즈(330)로부터 삽입부(100)의 타단 또는 하우징(310)의 타단을 향해 이격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렌즈(330)의 폭은 제1 렌즈(320) 및 제3 렌즈(340)의 폭보다 작게 마련될 수 있고, 제1 렌즈(320) 및 제3 렌즈(340)는 서로 동일하거나 다른 폭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제1 렌즈(320), 제2 렌즈(330) 및 제3 렌즈(340)는 스페이서(S)에 의해 하우징(310) 내에서 이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렌즈(320), 제2 렌즈(330) 및 제3 렌즈(340)는 등간격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렌즈(320), 제2 렌즈(330) 및 제3 렌즈(340)가 하우징(310)의 일단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제3 렌즈(340) 및 삽입부(100)의 타단 사이의 거리 또는 제3 렌즈(340) 및 하우징(310)의 타단 사이의 거리가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렌즈(320), 제2 렌즈(330) 및 제3 렌즈(340)의 배치에 의해 광학부(300)의 초점 거리가 깊어질 수 있다.
실제 내시경 장치를 사용할 때, 내시경 장치와 촬영 대상까지의 거리가 사람마다 다르기 때문에 높은 DOF(depth of focus)가 요구된다.
이때,
Figure pat00001
이므로, F/#값에 의해 DOF가 조절될 수 있다. 다만, F/#값이 커지면 광량이 감소하고 F/#값 작아지면 DOF가 줄어드므로, 광량과 DOF를 모두 만족시킬 수 있는 F/#값을 설정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제1 렌즈(320), 제2 렌즈(330) 및 제3 렌즈(340)는 사전에 광학 설계를 통하여 MTF 성능 및 이미지 시뮬레이션이 수행한 다음에 제작될 수 있다.
특히, 도 6(a) 및 (b)를 참조하여, 50L/S에서 0.5이상의 MTF 값을 만족하였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미지 또한 선명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제1 렌즈(320), 제2 렌즈(330) 및 제3 렌즈(340)는 낮은 가격과 가벼운 무게라는 장점을 갖는 PMMA, E48R 또는 PC를 이용하여 수차를 줄일 수 있다. 이때, 제1 렌즈(320), 제2 렌즈(330) 및 제3 렌즈(340)는 왜곡과 수차를 줄이기 위하여 서로 다른 매질로 설정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내시경 장치는, 복수 개의 렌즈의 배치에 의해 초점 깊이가 커져 체내에서 보다 넓은 영역을 관찰할 수 있고, 고해상도로 관찰 대상의 이미지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일상에서 두피 관찰을 하는 데 활용될 수 있고, 영유야의 이비인후 내의 이물질 여부를 용이하게 관찰할 수 있으며, 사용자들이 스스로 진단할 수 있어 의료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고, 질병의 조기 예방이 가능할 수 있다.
게다가, 의료 인프라가 구축되지 않은 제3국이나 교외 지역에 왕진용 내시경으로 사용 가능하며, 원격 의료 서비스인 U-헬스케어 시스템에 맞추어 환자와 의사간의 원격 진료 및 진단에 활용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휴대용 내시경 장치
100: 삽입부
110: 플레이트
112: 제1 관통홀
114: 제2 관통홀
200: 광 전달부
210: 복수 개의 광섬유
220: 고정 부재
300: 광학부
310: 하우징
320: 제1 렌즈
330: 제2 렌즈
340: 제3 렌즈
A: 사용자 단말기

Claims (10)

  1. 체내에 삽입되도록 마련된 삽입부;
    상기 삽입부 내에 배치되어 촬영 대상에 빛을 전달하는 광 전달부; 및
    상기 삽입부 내에 배치되어 상기 광 전달부에서 전달된 빛으로부터 상기 촬영 대상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하는 광학부;
    를 포함하고,
    상기 광 전달부는,
    상기 광학부의 외측을 감싸도록 마련된 복수 개의 광섬유;
    를 포함하는 휴대용 내시경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의 일단에는 플레이트가 장착되고,
    상기 플레이트에는 광원을 마주보도록 배치된 제1 관통홀 및 카메라 렌즈와 마주보도록 배치된 제2 관통홀이 구비되는 휴대용 내시경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광섬유는 상기 제1 관통홀의 내부를 채우도록 마련되며, 상기 복수 개의 광섬유는 상기 삽입부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삽입부의 타단을 향하여 연장되는 휴대용 내시경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부는,
    상기 삽입부의 내부에서 상기 삽입부의 일단으로부터 타단을 향해 연장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 내에서 일렬로 이격 배치된 복수 개의 렌즈;
    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광섬유는 상기 제1 관통홀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외측을 따라 연장되는 휴대용 내시경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광섬유는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 등간격으로 이격 배치되고, 고무 재질로 마련된 고정 부재에 의해 고정되는 휴대용 내시경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렌즈는,
    상기 제2 관통홀에 인접하게 배치된 제1 렌즈;
    상기 제1 렌즈로부터 상기 삽입부의 타단을 향해 이격 배치된 제2 렌즈; 및
    상기 제2 렌즈로부터 상기 삽입부의 타단을 향해 이격 배치된 제3 렌즈;
    를 포함하는 휴대용 내시경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의 일단은 상기 삽입부의 타단보다 단면적의 크기가 크게 마련되고, 상기 제2 관통홀은 상기 삽입부의 타단과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1 관통홀은 상기 제2 관통홀로부터 일 측으로 이격 배치되는 휴대용 내시경 장치.
  8. 제1 관통홀 및 제2 관통홀이 형성된 플레이트;
    일단이 상기 제1 관통홀에 고정되고 타단은 전방을 향하여 연장된 복수 개의 광섬유; 및
    일단이 상기 제2 관통홀에 고정되고 타단은 전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하우징;
    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광섬유의 타단은 상기 하우징의 타단 외측에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고정되는 휴대용 내시경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관통홀은 광원에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상기 광원으로부터의 빛이 상기 복수 개의 광섬유를 통해 촬영 대상에 전달되고,
    상기 제2 관통홀은 카메라 렌즈에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상기 촬영 대상으로부터 반사된 빛이 제2 관통홀을 통해 상기 카메라 렌즈에 전달되는 휴대용 내시경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제2 관통홀에 고정되고 타단은 전방을 향하여 연장된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 내에 상기 하우징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 배치된 복수 개의 렌즈;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렌즈는 상기 하우징의 타단보다 일단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초점 깊이가 깊어지는 휴대용 내시경 장치.
KR1020160167399A 2016-12-09 2016-12-09 휴대용 내시경 장치 KR2018006650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7399A KR20180066506A (ko) 2016-12-09 2016-12-09 휴대용 내시경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7399A KR20180066506A (ko) 2016-12-09 2016-12-09 휴대용 내시경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6506A true KR20180066506A (ko) 2018-06-19

Family

ID=627905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7399A KR20180066506A (ko) 2016-12-09 2016-12-09 휴대용 내시경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6650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9638A (ko) * 2019-05-09 2020-11-18 주식회사 아이오바이오 후드형 리트랙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9638A (ko) * 2019-05-09 2020-11-18 주식회사 아이오바이오 후드형 리트랙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72393B1 (ja) 内視鏡用樹脂製先端部品
EP2578140B1 (en) Digital diagnostic system and host
CN105555181A (zh) 识别受试者的耳朵中的对象的方法
KR101889914B1 (ko) 초소형 내시경 카메라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초소형 내시경
JP2003275171A (ja) カプセル内視鏡
EP1696787A1 (en) Optical device for endoscope
JP2009136387A (ja) 撮像レンズ及びカプセル内視鏡
MXPA04012215A (es) Dispositivo optico para endoscopio.
JP6760622B2 (ja) 内視鏡装置
JP2015045837A (ja) 内視鏡用レンズユニットおよびこれを備えた内視鏡
Kahrs et al. Intracochlear visualization: comparing established and novel endoscopy techniques
KR20180066506A (ko) 휴대용 내시경 장치
JP2014191222A (ja) 内視鏡用レンズユニットおよびこれを備えた内視鏡
JP2009136386A (ja) 撮像レンズ及びカプセル内視鏡
CN102488492A (zh) 一种便捷式可视数码检耳镜
WO2017124758A1 (zh) 医用显微镜
CN111095068B (zh) 内窥镜用物镜单元与内窥镜
CN111227777A (zh) 一种进入式***摄像***及其使用方法
KR20090103483A (ko) 소형 줌 광학계 및 이를 이용한 캡슐형 내시경
US11241149B2 (en) Imaging device attachment compatible with a mobile device
KR101804094B1 (ko) 이비인후과용 무선 의료 진단 장치
TWI589261B (zh) 可與手持式行動裝置結合的簡易式耳鏡
CN212913145U (zh) 一种进入式***摄像***
KR101191455B1 (ko) 휴대용 검이경
KR20170022575A (ko) 내시경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