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4752A - 거북목 교정용 의자 - Google Patents

거북목 교정용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4752A
KR20180064752A KR1020160165007A KR20160165007A KR20180064752A KR 20180064752 A KR20180064752 A KR 20180064752A KR 1020160165007 A KR1020160165007 A KR 1020160165007A KR 20160165007 A KR20160165007 A KR 20160165007A KR 20180064752 A KR20180064752 A KR 201800647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rest
user
seat plate
chair
headr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50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필
Original Assignee
이상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필 filed Critical 이상필
Priority to KR10201601650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64752A/ko
Publication of KR201800647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47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38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hea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2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24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the back-rest, or the back-rest and seat unit, having adjustable and lockable inclin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착석 자세에 연동하여 사용자의 척추를 이완시키면서 사용자 자중에 의해 견인력이 발생되는 특히 경추가 C-커브를 형성하도록 효과적으로 이완시킬 수 있는 거북목 교정용 의자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북목 교정용 의자는, 사용자의 하중을 지지하는 좌판부; 상기 좌판부와 소정의 각도를 형성하며 사용자의 등 부위를 지지하는 등받이부; 일단이 상기 좌판부에 고정되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등받이부 내부에 삽입되거나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등받이부에 가해지는 힘의 크기에 따라 변하는 상기 등받이부의 위치 또는 기울기에 의해 상기 등받이부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연결부; 상기 사용자의 머리를 지지하며 상기 연결부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등받이부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헤드레스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통해, 별도의 척추 이완 수단을 구비하지 않고도 사용자가 의자에 착석하거나 기대는 상태만으로도 효과적인 척추 이완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사용자의 척추 중에서 특히 경추가 C-커브를 이루면서 이완하도록 하여 효율적인 경추에 대한 교정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거북목 교정용 의자{CHAIR FOR CORRECTING TURTLE NECK}
본 발명은 거북목 교정용 의자에 관한 것으로, 자세하게는 사용자의 자세에 추종하여 사용자의 척추 중 특히 경추를 효과적으로 이완시킬 수 있는 거북목 교정용 의자에 관한 것이다.
척추(脊椎, spine)는 사람에서 목과 등, 허리, 엉덩이, 꼬리 부분에 이르기까지 주요 골격을 유지하도록 하는 뼈를 말한다. 사람에는 7개의 목뼈(경추), 12개의 가슴뼈(흉추), 5개의 허리뼈(요추), 5개의 엉치뼈(천추) 및 4개의 꼬리뼈(미추) 가 있다.
특히 경추는 7개의 등골뼈로 된 척추의 맨 윗부분으로서, 머리뼈와 등뼈 사이에 있으며, 척추동맥, 정맥 및 교감신경층이 지나가는 구멍을 가진다.
이러한 경추의 어딘가가 비뚤어지면 그에 관계되는 내장이나 신경에도 영향을 미쳐 여러 가지 증상이 나타나 많은 질병이 야기되는데 치료방법 중 하나로써 경추를 바로잡고자 하고 나아가 자세를 바로잡고자 하는 물리요법이 사용되곤 한다.
비단 경추질환으로부터 발생되는 질병을 치료하는 용도 이외에 원활한 신진대사를 위해 일반인들도 정기적으로 경추를 바로잡는 스트레칭 운동이 필요하다. 즉, 경추를 자극하거나 물리적 운동을 가함으로써 몸 전체를 이완시켜주고 피로를 풀 수 있을 뿐 아니라 요통, 어깨 결림, 관절염 또는 장기의 이상까지도 치료효과를 볼 수 있다.
그러나 바쁜 일상 속에서 건강한 일반인이 스스로 주기적으로 경추자극운동을 하기가 쉽지 않다. 또한 경추 스트레칭 운동을 보조하는 기구 또는 장비를 구입하는 것은 비용 또는 설치장소 면에서 부담스러운 것이 사실이다.
종래에는 경추 스트레칭을 위한 여러 가지 기구들이 제안되었는데, 그 중에서 한국등록특허 제10-0817886호와 제10-0801875호에서 개시하고 있는 경추 견인용 의자는 상기와 같은 문제를 개선하고자 하였으나, 별도의 동력원을 경추 견인용 의자에 부착하거나 경추를 견인하기 위한 턱받침대 또는 턱견인암(arm)을 별도로 구비된 동력원을 통하거나 수동으로 구동시켜야 하는 문제점이 있어 불편하거나, 온전한 이완에 이르기 어려운 점이 존재하였다.
또한, 상기 종래기술들은 단순히 경추의 견인만을 위한 구성을 개시하고 있어 자연스럽지 않을뿐더러 이를 위한 충분한 이완이 이루어지기 어려운 점이 있어, 정작 사용자에게 적절한 효과를 전달할 수 있을지 의문인 상황이다.
따라서, 상기 종래 기술들의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해결하면서도 사용자에게 경추는 물론이고 척추 전체에 교정 및 치료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의자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사용자의 착석 자세에 연동하여 헤드레스트의 위치가 저절로 조절되며, 각각의 사용자에 맞는 편안함을 통해 이완의 효과를 얻고, 기타 동력부의 사용 없이 오직 자중에 의해서 사용자의 척추를 견인시키면서 특히 경추가 C-커브를 형성하도록 유도, 고정함으로써 효과적으로 견인시킬 수 있는 거북목 교정용 의자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북목 교정용 의자는, 사용자의 하중을 지지하는 좌판부; 상기 좌판부와 소정의 각도를 형성하며 사용자의 등 부위를 지지하는 등받이부; 일단이 상기 좌판부에 고정되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등받이부 내부에 삽입되거나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등받이부에 가해지는 힘의 크기에 따라 변하는 상기 등받이부의 위치 또는 기울기에 의해 상기 등받이부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연결부; 상기 사용자의 머리를 지지하며 상기 연결부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등받이부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헤드레스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일단과 타단을 연결하고 상기 등받이부에 가해지는 힘의 크기에 따라 상기 등받이부와 접촉하는 위치가 가변되는 연결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의 연결 수단은, 그 일 단면 형상이 상기 좌판부와 등받이부가 만나는 지점으로부터 소정 거리를 유지하며 상기 좌판부, 등받이부 및 만나는 지점을 감싸는 형상을 가지고, 상기 등받이부의 위치 또는 기울기에 의해 상기 소정 거리가 변화하고 이에 따라 상기 연결 수단과 등받이부의 접촉하는 위치가 가변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소정의 각도가 형성된 상기 좌판부와 상기 등받이부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헤드레스트부는, 상기 사용자의 머리 하부가 끼워져서 고정되도록 하는 하부 고정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헤드레스트부는, 상기 연결부의 타단과 연결되어 상기 등받이부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제1 유닛과 상기 사용자 머리를 지지하기 위한 헤드레스트 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헤드레스트부는, 상기 제1 유닛과 헤드레스트 본체를 연결하며 상기 헤드레스트 본체가 상기 등받이부를 기준으로 상하 또는 전후 방향으로 가변될 수 있도록 하는 제2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별도의 척추 이완 수단을 구비하지 않고도 사용자가 의자에 착석하거나 기대는 상태만으로도 효과적인 척추 이완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의 척추 중에서 특히 경추가 C-커브를 이루면서 이완하도록 하여 효율적인 경추에 대한 교정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북목 교정용 의자에 외력이 가해지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북목 교정용 의자에 외력이 가해진 후의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북목 교정용 의자의 연결부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북목 교정용 의자의 연결부 구성과 등받이부의 연결 상태의 일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북목 교정용 의자의 헤드레스트부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북목 교정용 의자의 헤드레스트부가 회전 조정된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다음의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 또는 도면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본 명세서 또는 도면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떠한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떠한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또는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 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인접하는"과 "…에 직접 인접하는" 등의 표현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북목 교정용 의자의 전체 구성에 대해 도 1을 기초로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북목 교정용 의자에 외력이 가해지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북목 교정용 의자는 좌판부(10), 등받이부(20), 연결부(30) 및 헤드레스트부(40)를 포함한다.
좌판부(10)는 의자 사용자의 하중을 지지한다. 보통 좌판부(10)는 의자에 앉는 사용자의 허벅지 및 엉덩이에 의해 가해지는 하중 힘을 받는 부분이다. 바람직하게는 좌판부(10)는 기본적으로 지면과 수평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등받이부(20)는 좌판부(10)와 소정의 각도를 형성하며 사용자의 등 부위를 지지한다. 등받이부(20)는 지면과 보통 수평 상태를 유지하는 좌판부(10)와 초기 상태에서는 수직에 가까운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즉, 등받이부(20)는 1차적으로 사용자 등 부위를 지면과 수직에 가까운 방향으로 유지시키면서 지지한다.
또한, 등받이부(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연결 장치를 통해서 좌판부(10)와 연결될 수 있고 이를 통해 등받이부(20)와 좌판부(10) 사이의 각도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연결부(30)는 일단이 좌판부(10)에 고정되어 연결되고 타단이 등받이부(20) 내부에 삽입되거나 외부에 설치되어 등받이부(20)에 가해지는 힘의 크기에 따라 등받이부(2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연결부(3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31), 연결 수단(33) 및 타단(35)을 포함한다.
연결부의 일단(31)은 좌판부(10)와의 연결을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좌판부(10)와 같이 지면의 수평인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연결부의 연결 수단(33)은 일단(31)과 타단(35)을 연결하는 부분으로 등받이부(20)에 가해지는 사용자의 힘을 전달받아 타단(35)이 등받이부(2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부분이다. 일 예로, 연결 수단(33)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단면이 원 형상의 일부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러한 형상을 가짐으로 인해 힘을 받으면 반경의 변화가 생기고 이러한 반경의 변화에 따라 연결된 타단(35)이 이동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원 형상의 단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좌판부(10)와 등받이부(20)가 만나는 지점으로부터 소정 거리를 유지하며 좌판부(10), 등받이부(20) 및 만나는 지점을 감싸는 형상을 가지고 등받이부(20)의 위치 또는 기울기에 의해 소정 거리가 변화하고 이에 따라 연결 수단(33)과 등받이부(20)의 접촉하는 위치가 가변될 수 있는 형상이면 적용될 수 있다.
등받이부(20) 및 연결부(30)의 동작 과정에 대해서는 도 2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헤드레스트부(40)는 사용자의 머리를 지지하며 연결부(30)의 타단(35)에 연결되어 등받이부(2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헤드레스트부(40)에서 연결부(30)의 타단(35)과 연결되는 부분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유닛(43)이다. 이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도 5 내지 도 6에 기초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북목 교정용 의자에 사용자가 착석한 후 등받이부(20)에 힘이 작용하는 경우의 동작 과정에 대해 도 2 내지 도 4를 기초로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북목 교정용 의자에 외력이 가해진 후의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북목 교정용 의자의 연결부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북목 교정용 의자의 연결부 구성과 등받이부의 연결 상태의 일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먼저 도 2에 도시된 거북목 교정용 의자의 상태는 사용자에 의해 제공되는 힘(외력)이 등받이부(20)에 가해진 상태이고, 등받이부(20) 내부 또는 외부에 삽입되어 길이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부(30)의 타단(35)이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연결부(30)의 타단(35)은 등받이부(20)의 후면에 형성될 수 있는 레일 또는 슬라이딩 장치를 따라 등받이부(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받이부(20)와 연결부(30)가 접촉하여 연결되는 부분은 연결부(30)의 연결 수단(33)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돌출되거나 다른 여러 접촉 또는 비접촉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부(30)의 연결 수단(33)은 등받이부(20)에 가해지는 힘에 따라 등받이부(20)는 기울어지면서 좌판부(10)와 이루는 소정 각도가 변화하게 되고, 이러한 힘을 연결 수단(33)이 전달받아 등받이부(20)와 연결 또는 접촉한 부분의 위치 변화가 일어나게 된다. 이러한 위치 변화에 따라 연결 수단(33)에 연결된 타단(35)이 등받이부(20)의 길이 방향(윗 방향 또는 아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되며, 결국 이러한 타단(35)과 연결된 헤드레스트부(40)가 등받이부(2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최종적으로 사용자의 목 부분(특히 경추)을 C-커브로 유지하면서도 경추를 이완시켜주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수단(33)이 가지는 움직임 범위(A 구간)에 따라 타단(35)의 이동 범위(B)가 결정되고 이러한 타단(35)의 이동 범위(B)에 따라 최종적으로 헤드레스트부(40)의 이동 범위(C)가 결정될 수 있다. 다만, 도 2에 도시된 이동 범위는 의자에서 적용될 수 있는 일 상황만을 도시한 것으로 이동 범위의 크기 등은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북목 교정용 의자의 연결 수단(33)은 외력에 의해 이완과 수축이 가능하도록 탄성을 가지는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연결 수단(33)은 다양한 형태로 구비되되, 등받이부(20)와 접촉하는 부위 위치가 변경되도록 구비되면 다양한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다고 할 것이다.
일 예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수단(33)은 등받이부(20)의 후면부와 접촉하는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연결 수단(33)의 일부(37)가 굴곡이 있는 형상을 가지면서 등받이부(20)의 내부 일면에 미끄러지면서 접촉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도 3에는 따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연결 수단(33)의 일부(37)가 외력에 의해 등받이부(20) 내부 일면을 미끄러지면서 접촉 위치 변화가 생기면 이에 따라 타단(35)도 등받이부(2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자연스럽고 부드러운 이동이 일어날 수 있도록 추가적으로 연결 수단(33)과 타단(35) 사이에 별도의 연결 유닛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즉, 연결 수단(33)의 위치 변경에 따라 타단(35) 부분이 원활하게 등받이부(20)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려면 각각의 이동 각도 차이를 반영하여야 하며 일 예로 베어링 또는 기어를 구비하여 원활하게 연결 수단(33)의 힘이 타단에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등받이부(20)와 연결 수단(33)의 접촉부분 구조인 연결 수단의 일부(37)는 도 4와 같이 실시될 수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접촉 상태는 연결 수단(33)의 일부분에 회전 수단(바퀴 등)가 구비될 수 있고 이러한 회전 수단이 등받이부(20)의 후면부 접촉하며 등받이부(20)에 힘이 가해져서 위치 변화가 발생하면 이러한 위치 변화가 접촉부분인 연결 수단의 일부(37)의 위치 변화로 이어지게 된다.
다만 상기 일 예는 일 예시일 뿐이고, 다양한 방식(공기압 등의 유체압 방식, 기어 등의 기계적 방식 등)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사용자가 등받이부(20)에 기대어 소정 각도가 형성된 좌판부(10)와 등받이부(20)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수단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일반적인 의자에 적용되는 기술이므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해서는 생략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북목 교정용 의자의 헤드레스트부에 대해 도 5 내지 도 6을 기초로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북목 교정용 의자의 헤드레스트부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북목 교정용 의자의 헤드레스트부가 회전 조정된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북목 교정용 의자에서 헤드레스트부(40)는 기본적으로 사용자의 머리 부위를 정확하면서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구비된다. 또한, 헤드레스트부(40)는 구체적으로 목의 후위인 후두부를 고정하는 고정 수단(41), 제1 유닛(43), 헤드레스트 본체(45) 및 제2 유닛(47)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 수단(41)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머리 하부가 끼워져서 고정되는 부분으로 사용자의 머리 하부가 적절하게 끼워지도록 소정의 끼움 구조를 가지면서 헤드레스트 본체(45)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유닛(43)은 연결부(30)의 타단(35)과 연결되어 등받이부(2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타입으로 의자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헤드레스트 본체(45)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머리 전체를 지지하기 위해 구비된다.
또한, 제2 유닛(47)은 헤드레스트 본체(45)의 위치 변경을 위해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제2 유닛(47)은 헤드레스트 본체(45)가 제2 유닛(47)의 설치 위치를 중심으로 상하 또는 전후 방향으로 회전 또는 이동하여 위치가 가변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유닛(47)은 제1 유닛(43)과 헤드레스트 본체(45)를 연결하면서 소정의 회전 또는 이동 수단들을 구비하여 제1 유닛(43)의 중심으로 헤드레스트 본체(45)의 위치가 가변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레스트 본체(45)가 소정 각도로 회전하여 사용자의 머리와 연결된 목 부분이 젖혀질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용자의 경추가 C-커브 형상을 가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즉, 일자 형의 목을 C-커브로 유도하고 고정하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수단(41)은 사용자 목의 후위인 후두부를 보다 효과적으로 고정하기 위해 사용자 목 후위 부분 방향으로 인출될 수 있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상으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이다.
10 : 좌판부 20 : 등받이부
30 : 연결부 31 : 연결부 일단
33 : 연결 수단 35 : 연결부 타단
37 : 연결 수단의 일부 40 : 헤드레스트부
41 : 고정 수단 43 : 제1 유닛
45 : 헤드레스트 본체 47 : 제2 유닛

Claims (7)

  1. 사용자의 하중을 지지하는 좌판부;
    상기 좌판부와 소정의 각도를 형성하며 사용자의 등 부위를 지지하는 등받이부;
    일단이 상기 좌판부에 고정되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등받이부 내부에 삽입되거나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등받이부에 가해지는 힘의 크기에 따라 변하는 상기 등받이부의 위치 또는 기울기에 의해 상기 등받이부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연결부;
    상기 사용자의 머리를 지지하며 상기 연결부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등받이부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헤드레스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북목 교정용 의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일단과 타단을 연결하고 상기 등받이부에 가해지는 힘의 크기에 따라 상기 등받이부와 접촉하는 위치가 가변되는 연결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북목 교정용 의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연결 수단은, 그 일 단면 형상이 상기 좌판부와 등받이부가 만나는 지점으로부터 소정 거리를 유지하며 상기 좌판부, 등받이부 및 만나는 지점을 감싸는 형상을 가지고 상기 등받이부의 위치 또는 기울기에 의해 상기 소정 거리가 변화하고 이에 따라 상기 연결 수단과 등받이부의 접촉하는 위치가 가변됨을 특징으로 하는 거북목 교정용 의자.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각도가 형성된 상기 좌판부와 상기 등받이부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북목 교정용 의자.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레스트부는, 상기 사용자의 머리 하부가 끼워져서 고정되도록 하는 하부 고정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북목 교정용 의자.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레스트부는, 상기 연결부의 타단과 연결되어 상기 등받이부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제1 유닛과 상기 사용자 머리를 지지하기 위한 헤드레스트 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북목 교정용 의자.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레스트부는, 상기 제1 유닛과 헤드레스트 본체를 연결하며 상기 헤드레스트 본체가 상기 등받이부를 기준으로 상하 또는 전후 방향으로 가변될 수 있도록 하는 제2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북목 교정용 의자.
KR1020160165007A 2016-12-06 2016-12-06 거북목 교정용 의자 KR2018006475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5007A KR20180064752A (ko) 2016-12-06 2016-12-06 거북목 교정용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5007A KR20180064752A (ko) 2016-12-06 2016-12-06 거북목 교정용 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4752A true KR20180064752A (ko) 2018-06-15

Family

ID=626287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5007A KR20180064752A (ko) 2016-12-06 2016-12-06 거북목 교정용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6475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7727A (ko) * 2019-04-05 2020-10-14 안무업 거북목 증후군 예방 및 치료 장치
KR20210029510A (ko) * 2019-09-06 2021-03-16 이상필 등받이 장착형 거북목 교정기
KR102473998B1 (ko) * 2022-03-23 2022-12-05 박소영 자세 교정 및 허리 견인 기능성 의자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4458B1 (ko) * 1984-06-08 1993-05-27 하우저만 인코포레이티드 안락 의자
KR100817886B1 (ko) * 2007-08-31 2008-03-31 주식회사 나인텍 경추 견인용 의자
KR100886667B1 (ko) * 2008-12-02 2009-03-04 주식회사 나인텍 자중 경추견인의자
JP2009184597A (ja) * 2008-02-08 2009-08-20 Mazda Motor Corp 車両用シート装置
EP1911374B1 (de) * 2006-10-10 2010-08-11 Provenda Marketing AG Personensitz mit ergonomischen Lehnenteil
EP2187782B1 (de) * 2007-09-15 2011-10-19 König + Neurath AG Rückenlehne insbesondere eines bürostuhls
KR20120100786A (ko) * 2011-03-02 2012-09-12 남해현 다기능 헤드레스트
US9357849B2 (en) * 2013-10-10 2016-06-07 James E. Grove Dynamic lumbar support for a chair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4458B1 (ko) * 1984-06-08 1993-05-27 하우저만 인코포레이티드 안락 의자
EP1911374B1 (de) * 2006-10-10 2010-08-11 Provenda Marketing AG Personensitz mit ergonomischen Lehnenteil
KR100817886B1 (ko) * 2007-08-31 2008-03-31 주식회사 나인텍 경추 견인용 의자
EP2187782B1 (de) * 2007-09-15 2011-10-19 König + Neurath AG Rückenlehne insbesondere eines bürostuhls
JP2009184597A (ja) * 2008-02-08 2009-08-20 Mazda Motor Corp 車両用シート装置
KR100886667B1 (ko) * 2008-12-02 2009-03-04 주식회사 나인텍 자중 경추견인의자
KR20120100786A (ko) * 2011-03-02 2012-09-12 남해현 다기능 헤드레스트
US9357849B2 (en) * 2013-10-10 2016-06-07 James E. Grove Dynamic lumbar support for a chair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7727A (ko) * 2019-04-05 2020-10-14 안무업 거북목 증후군 예방 및 치료 장치
KR20210029510A (ko) * 2019-09-06 2021-03-16 이상필 등받이 장착형 거북목 교정기
KR102473998B1 (ko) * 2022-03-23 2022-12-05 박소영 자세 교정 및 허리 견인 기능성 의자
WO2023182797A1 (ko) * 2022-03-23 2023-09-28 박소영 자세 교정 및 허리 견인 기능성 의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37702A (en) Adjustable patient corrective support apparatus
US8931837B2 (en) Thoracic back support
CN110049751B (zh) 颈枕
JP2005516709A (ja) 腰掛装置
US20130226053A1 (en) Adjustable Postural Support Device
KR20180064752A (ko) 거북목 교정용 의자
JP6596764B2 (ja) 禅チェアー
KR100420965B1 (ko) 척추 교정용 의자
KR20180042963A (ko) 척추 및 경추 견인용 의자
KR101214848B1 (ko) 자세교정의자
KR20180001747U (ko) 척추 스트레칭 장치
EP2866768A1 (en) Headrest for massage table
JP3769656B1 (ja) 椅子
KR101647461B1 (ko) 안장형 척추 건강 의자
JPH11221257A (ja) 腰痛治療椅子
KR20160122526A (ko) 허리 가압수단이 구비된 안마의자
JP2000139977A (ja) 腰痛治療椅子
KR100371610B1 (ko) 의자를 이용한 척추 교정방법
JP2006101957A (ja) 頸椎牽引治療装置
RU2389470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массажа
KR20170068837A (ko) 척추부담을 줄인 자세교정기구
KR101187635B1 (ko) 골반 고정식 착석물
CN205286887U (zh) 一种多功能医用椅
CN104434458A (zh) 可调节靠垫牙科综合治疗椅
KR200474245Y1 (ko) 척추 교정과 허리 통증 완화용 받침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