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9312A - 인플라마좀 매개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 Google Patents

인플라마좀 매개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9312A
KR20180059312A KR1020160158736A KR20160158736A KR20180059312A KR 20180059312 A KR20180059312 A KR 20180059312A KR 1020160158736 A KR1020160158736 A KR 1020160158736A KR 20160158736 A KR20160158736 A KR 20160158736A KR 20180059312 A KR20180059312 A KR 201800593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ease
inflammatory
syndrome
present
pediat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87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37660B1 (ko
Inventor
유제욱
양정민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1587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7660B1/ko
Publication of KR201800593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93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76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76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498Pyrazines or piperazines ortho- and peri-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 systems, e.g. quinoxaline, phenazin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nervous system or on mental func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immune syste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yc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플라마좀 매개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5-메틸페나진-1-온(5-Methylphenazin-1-one)을 사용하는 경우 체내 ASC 중합체 형성을 억제하는 과정을 통하여 인플라마좀 활성 억제를 촉진시켜 상기 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에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Description

인플라마좀 매개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INFLAMMASOME MEDIATED INFLAMMATORY DISEASE}
본 발명은 인플라마좀 매개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은 사람을 포함한 포유동물에서 질병을 유발하는, 비교적 흔하게 접할 수 있는 세균이다. 상기 녹농균은 주변 토양, 물, 피부 등에서 널리 분포하며 비교적 산소가 적은 상태에서도 생육 가능하기 때문에 다양한 환경에서 발견된다. 동물에 감염되면 염증과 패혈증을 유발할 수 있으며, 특히 폐나 신장 등 인체 장기에 감염될 경우 치명적일 수 있다. 습윤한 표면에서 빠르게 증식하며 의료용 설비와 장치에서 빈번히 검출되므로 병원에서의 교차 감염을 유발하는 주요 세균으로 인식되고 있다. 환경분야에서는 탄화수소를 분해하는 능력을 이용하여 해상 기름유출사고가 벌어졌을 때 타르볼을 제거하는 미생물제로도 사용되고 있다.
한편, 다른 그람 음성균에서와 같이 녹농균에서도 병독성에 관여하는 많은 인자들이 쿼럼 센싱(Quorum sensing; QS)이라는 세포간 신호전달 기전에 의해 그 발현이 조절된다고 알려져 왔다(Fuqua et al.,2001; Welch et al., 2005; Coggan and Wolfgang, 2012). 일반적으로 쿼럼 센싱 기전은 확산 가능한 신호물질, 이를 합성하는 효소, 그리고 이를 수용하는 수용체 단백질에 의해 조절된다(Henke and Bassler, 2004; Welch et al., 2005). QS 신호물질은 세균에 따라 그 구조와 종류가 매우 다양하여, 그람 양성균의 경우 작은 펩타이드 종류를 신호물질로 사용하고, 그람 음성균은 대부분 아실 호모세린 락톤(acyl homoserine lactone;acyl-HSL) 계열의 물질을 주로 사용하며, 일부 비브리오(Vibrio) 균들과 장내세균들은 AI-2 (furanosyl borate diester)라는 퓨라논(furanone) 계열의 물질을 사용하기도 한다 (Fuqua et al., 2001; Henke and Bassler, 2004; Reading and Sperandio, 2006).
한편, 인플라마좀(inflammasomes)은 세포의 감염이나 스트레스 등 선천성 면역 방어체계(innate immune defenses)와 관련된 IL-1와 같은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성숙을 유도하는 물질로, 부적절한 인플라마좀의 작용과 선천적 및 후천적 염증성 질환의 관련성이 면역반응 조절기작에서 중요하게 부각되고, 그를 타겟으로 하는 치료제 개발 등이 활발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5-메틸페나진-1-온(5-Methylphenazin-1-one)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인플라마좀 매개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5-메틸페나진-1-온(5-Methylphenazin-1-one)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인플라마좀 매개 염증성 질환의 개선 또는 예방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NLRP3(NOD-like receptor family, pyrin domain-containing 3) 활성을 매개로 하는 염증성 질환에 5-메틸페나진-1-온(5-Methylphenazin-1-one)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을 투여하는 경우, NLRP3 인플라마좀 활성을 효과적을 억제하여 상기 질환을 치료할 수 있음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서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5-메틸페나진-1-온(5-Methylphenazin-1-one)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인플라마좀 매개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본 발명에서 상기 5-메틸페나진-1-온(5-Methylphenazin-1-one)은 그람 음성 박테리아인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이 박테리아 상호간의 교신을 위한 쿼럼 센싱(quorum sensing)을 통해 생성하는 대표적인 물질로, 세포막을 용이하게 투과할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세포신호전달물질로 사용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약학 조성물은 인플라마좀 활성을 억제하는 것일 수 있다.
단, 본 발명에서 상기 인플라마좀 활성 억제는 목적하는 세포 등의 인플라마좀 활성화의 저하를 야기하는 생체 내 변형을 의미하며, 본 발명의 목적상 상기 인플라마좀 생성 억제, 인플라마좀으로 인한 사이토카인 생성 억제 또는 ASC(adaptor protein apoptosis-associated spec-like protein containing a caspase-recruitment domain) 중합체(oligomer) 형성 억제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약학 조성물은 인플라마좀 생성 전 단계에 해당하는 ASC 중합체(oligomer) 형성 억제를 통한 인플라마좀 활성을 억제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인플라마좀(inflammasomes)은 카스파제-1-활성화 복합 단백질 복합체로, 1) 감각 단백질(sensor protein)인 NLRP3(NOD-like receptor family, pyrin domain-containing 3), 2) 연결 단백질(adaptor protein)인 ASC(adaptor protein apoptosis-associated spec-like protein containing a caspase-recruitment domain) 및 3) 이펙터 단백질인 프로카스파제-1(caspase-1)으로 구성된다. 상기한 인플라마좀 구성 성분들은 미생물의 감염이나 조직의 상해가 발생한 경우에 조립되는데, 사이토졸에서 조립에 의해 활성화된 인플라마좀은 카스파제-1을 활성화시켜 인터루킨 (IL)-1β 또는 인터루킨-18을 분비하여 숙주의 선천 면역 방어기능을 수행한다 (Schroder K, Tschopp J, Cell 140:821-832(2010); Franchi L, Munoz-Planillo R, Nunex, Nat Immunol 13:325-332(2012)). 바람직하게는, 상기 인플라마좀은 NLRP3 인플라마좀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상기 NLRP3 인플라마좀은 과도하게 활성 되는 경우에는 인플라마좀 매개 염증성 질환의 발병을 유도 및/또는 촉진할 수 있다(Henao-Mejia J, Elinav Em Thaiss CA, Flavell RA(2014) Inflammasomes and metabolic disease. Annu Rev Physiol 76:57-78; Wen H, TingJP, eil LA 2012) A role for the NLRP3 inflammasome in metabolic diseases-did Warburg miss inflammation Nat Immunol 13:352-357.).
단, 본 발명에서 상기 인플라마좀 매개 염증성 질환이란, 인플라마좀이 비 정상적으로 과도하게 활성화된 경우 발생하는 이상질환으로, 바람직하게는 자가 염증성 질환 또는 신경 염증성 질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단, 본 발명에서 상기 자가 염증성 질환은 자가 면역 질환(autoimmune disease)과 달리 자가 항체나 항원 특이 T 세포가 발견되지 않는 상태에서 전신 염증이 자주 반복되는 양상을 보이는 질환 군으로 분류되고, 주로 선천 면역(innate immunity)의 조절 장애로 일어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journal of Rheumatic Disease Vol. 21. No. 5. October, 2014). 또한, 상기 자가 염증성 질환은 카스파제-1 및 인터루킨-1β의 활성화를 통한 NLRP3 인플라마좀 활성이 선천성 면역과 자가면역 질환의 상관관계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Am J Hum Genet. 2002 Jul;71(1):198-203., Annu Rev Immunol. 2009; 27():229-65., Cell. 2010 Mar 19; 140(6): 784-790.).
바람직하게는, 상기 자가 염증성 질환은 머클-웰스 증후군(Muckle-Wells syndrome; MWS), LADA (성인형 지연성 자가면역 당뇨병), 가족성 한랭 자가 염증성 증후군 (FCAS), 크리오피린-관련 주기성 증후군 (CAPS), 신생아-발병 다기관 염증성 증후군 (NOMID), 만성 영아 신경 피부 관절 (CINCA) 증후군, 가족성 지중해열 (FMF), 및/또는 전신 발병 소아 특발성 관절염 (SJIA)과 같은 특정 형태의 소아 관절염, 전신 발병 소아 특발성 류마티스 관절염과 같은 특정 형태의 소아 류마티스 관절염, 및/또는 특정 형태의 성인 류마티스 관절염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신경 염증성 질환은 염증 반응에 의해 신경 조직의 손상으로 초래된 질환을 의미하며, 바람직하게는 알츠하이머병, 파킨슨병, 헌틴턴병, 루게릭병, 크로이츠펠트야콥병, 다발성 경화증, 근위축성 측삭 경화증, 미만성 루이소체병, 백색질뇌염, 측두엽간질 및 염증성 척수손상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질병일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알츠하이머병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알츠하이머병은 미세아교세포(microglia)의 NLRP3 인플라마좀 활성화가 중요한 메커니즘으로 보고되어 있으며, 알츠하이머병의 동물모델에서도 상기 미세아교세포에서 인플라마좀으로 인해 발생되는 사이토카인인 카스파제-1 및 IL-1의 양이 증가된다(Immunol Rev. 2015 May; 265(1):63-74.).
최근 연구에 따르면, MCC950 또는 케톤 메타볼라이트 β -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ketone metabolite β-hydroxybutyrate), 글리벤트라마이드(Glibenclamide)와 같은 NLRP3 인플라마좀 형성을 억제하는 화합물이 자가 염증성 질환인 머클-웰 신드롬 또는 신경 염증성 질환인 알츠하이머 및 CNS 손상 등에서 상기 질환을 경감시키는 과정을 통하여 치료 효과를 발휘한다고 보고되었다(Nature Medicine Volume: 21, Pages:248-255 Year published:(2015) DOI:doi:10.1038/nm.3806, Nature Medicine Volume: 21, Pages:263-269 Year published:(2015) DOI:doi:10.1038/nm.3804).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NLRP3 인플라마좀 형성을 억제하는 5-메틸페나진-1-온(5-Methylphenazin-1-one)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은 NLRP3 인플라마좀 형성을 현저하게 억제함으로써, NLRP3 인플라마좀 연관 질환(NLRP3 inflammasome-mediate inflammatory disease)인 상기 자가 염증성 질환 및 신경 염증성 질환의 치료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예방"은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을 이용하여 비만 또는 지질 관련 대사성 질환의 증상을 차단하거나, 그 증상을 억제 또는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라면 제한없이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치료"는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을 이용하여 비만 또는 지질 관련 대사성 질환의 증상이 호전되거나 이롭게 되는 모든 행위라면 제한없이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약학 조성물은 캡슐, 정제, 과립, 주사제, 연고제, 분말 또는 음료 형태임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며, 상기 약학 조성물은 인간을 대상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캡슐, 정제, 수성 현탁액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 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경구 투여 시에는 결합제, 활탁제, 붕해제, 부형제, 가용화제, 분산제, 안정화제, 현탁화제, 색소, 향료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주사제의 경우에는 완충제, 보존제, 무통화제, 가용화제, 등장제, 안정화제 등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고, 국소 투여용의 경우에는 기제, 부형제, 윤활제, 보존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의 제형은 상술한 바와 같은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와 혼합하여 다양하게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구 투여 시에는 정제, 트로키, 캡슐, 엘릭서(elixir), 서스펜션, 시럽, 웨이퍼 등의 형태로 제조할 수 있으며, 주사제의 경우에는 단위 투약 앰플 또는 다수회 투약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기타, 용액, 현탁액, 정제, 캡슐, 서방형 제제 등으로 제형화 할 수 있다.
한편, 제제화에 적합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의 예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즈,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디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즈, 폴리비닐피롤리돈, 물, 메틸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또는 광물유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충진제, 항응집제, 윤활제, 습윤제, 향료, 유화제, 방부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의 투여 경로는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구강, 정맥내, 근육내, 동맥내, 골수내, 경막내, 심장내, 경피, 피하, 복강내, 비강내, 장관, 국소, 설하 또는 직장이 포함된다.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비경구"는 피하, 피내, 정맥내, 근육내, 관절내, 활액낭내, 흉골내, 경막내, 병소내 및 두개골내 주사 또는 주입 기술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또한 직장 투여를 위한 좌제의 형태로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사용된 특정 화합물의 활성, 연령, 체중, 일반적인 건강, 성별, 정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출율, 약물 배합 및 예방 또는 치료될 특정 질환의 중증을 포함한 여러 요인에 따라 다양하게 변할 수 있고, 상기 약학 조성물의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무 형태, 투여 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고, 1일 0.0001 내지 50mg/kg 또는 0.001 내지 50mg/kg으로 투여할 수 있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의약 조성물은 환제, 당의정, 캡슐, 액제, 겔, 시럽, 슬러리, 현탁제로 제형화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 예에 따르면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5-메틸페나진-1-온(5-Methylphenazin-1-one)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인플라마좀 매개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2
본 발명에서 상기 5-메틸페나진-1-온은 NLRP3 인플라마좀의 활성을 억제함으로써 인플라마좀 매개 염증성 질환을 예방 또는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에서 상기 5-메틸페나진-1-온(5-Methylphenazin-1-one), 인플라마좀 매개 염증성 질환, 예방 및 인플라마좀에 관한 내용은 상기 약학 조성물에서 기재한 바와 중복되어, 이하 구체적인 기재를 생략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개선"은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을 이용하여 자가 염증성 질환 또는 신경 염증성 질환의 증상이 호전 또는 이롭게 변경되는 모든 행위라면 제한없이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식품 조성물은 각종 식품류, 예를 들어,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분말, 과립, 정제, 캡슐, 과자, 떡, 빵 등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발명의 상기 화합물이 식품 조성물에 포함될 때 그 양은 전체 중량의 0.1 내지 50%의 비율로 첨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식품 조성물이 음료 형태로 제조되는 경우 지시된 비율로 상기 식품 조성물을 함유하는 것 외에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즉, 천연 탄수화물로서 포도당 등의 모노사카라이드, 과당 등의 디사카라이드, 슈크로스 등의 및 폴리사카라이드,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향미제로서는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 등을 들 수 있다.
그 외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본 발명의 핵심적인 요소에 해당하지 아니하지만,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1 내지 약 5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밀크 또는 유장계 발효 유제품과 같은 식품 또는 영양 제품으로서 또는 식품 보조제 또는 건강기능성 식품으로 섭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제품, 음료수, 주스, 수프 또는 어린이용 식품과 같은 식품을 예로 들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유제품은 다양한 지방 함량을 갖는 임의의 액체 또는 반고체 밀크 또는 유장계 제품을 의미한다. 상기 유제품은 예를 들어 우유, 염소의 젖, 양의 젖, 크림, 전지유(full-fat milk), 전유(whole milk), 저지방유(low-fat milk) 또는 탈지유(skim milk), 한외 여과유, 이중 여과유(diafilteredmilk), 미세 여과유(microfiltered milk), 임의의 가공을 통해 분유 또는 유장으로부터 얻은 재조합유, 가공 제품, 예를 들어, 요거트, 응유, 산유, 산전유(sour whole milk), 버터유, 기타 발효유 제품, 예를 들어 빌리(viili), 스낵바의 필링(filling of snack bars)등 일 수 있다. 또 다른 중요한 그룹은 유음료(milk beverage), 예를 들어, 유장 음료, 발효유, 농축유, 유아 및 아기용 밀크, 아이스크림, 단것과 같은 유함유 식품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인 5-메틸페나진-1-온(5-Methylphenazin-1-one)을 사용하는 경우 체내 ASC(adaptor protein apoptosis-associated spec-like protein containing a caspase-recruitment domain) 중합체 형성을 억제하여, 인플라마좀 활성 억제를 촉진시켜 인플라마좀 매개 염증성 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에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1은 실험예 1에서 5-메틸페나진-1-온 (5-Methylphenazin-1-one)을 골수 유래 대식세포에 투여한 뒤, 웨스턴 블롯 분석을 통해 단백질 발현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실험예 2 에서 5-메틸페나진-1-온 (5-Methylphenazin-1-one)을 골수 유래 대식세포에 투여한 뒤, 방출된 인터루킨(IL)-1β에 대해 ELISA를 통해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실험예 3에서 5-메틸페나진-1-온 (5-Methylphenazin-1-one)을 골수 유래 대식세포에 투여한 뒤, 웨스턴 블롯 분석을 통해 단백질 중합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 준비예 ] 마우스 골수유래 대식세포 분리 및 배양
C57BL/6 생쥐로부터 생쥐 골수 유래 대식세포(mouse bone marrow-derived macrophages, BMDMs)를 얻었다(Fernandes-Alnemri T, et al. (2010) The AIM2 inflammasome is critical for innate immunity to Francisella turlarensis. Nat Immunol 11:385-393.). 모든 생쥐들을 특정한 무병 조건하에서 생육하였으며, 동물 실험을 위한 프로토콜은 연세대학교 윤리 위원회로부터 승인을 받았다. 모든 BMDMs를 10% FBS와 100 U/ml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이 보충된 L929-조정 DMEM으로 37℃, 5 %, CO2 배양기 내에서 배양을 실시하였다.
[ 실험예 1] 마우스 골수유래 대식세포에서의 인플라마좀 활성 억제
5-메틸페나진-1-온(5-Methylphenazin-1-one, '이하 피오시아닌 (pyocyanin) 이라 함')이 NLRP3 인플라마좀 활성 억제 효과를 하기 방법으로 확인하였다.
상기 준비예의 BMDMs에 피오시아닌 (20, 50, 100 μM)을 30분 전처리 한 뒤, LPS (0.25 ㎍/ml, 3 시간) 처리 후, ATP (2.5 mM, 40분) 를 처리하여 NLRP3 인플라마좀을 활성화 시켰다. 이후 세포 배양액 (culture supernatant)을 얻고, 메탄올/클로로프롬(methanol/chloroform) 방법을 이용하여 단백질 침전 후 세포 용해물 및 상층액 각각의 단백질 발현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웨스턴 블롯 분석을 수행하였다.
상기 웨스턴 블롯 분석에 사용된 세포 용해물의 준비 방법은 하기와 같다. 상기 BMDMs에 PBS를 처리하여 수득(harvest)하고, PBS로 세척 후 단백질 분해 억제제가 포함되어 있는 세포 용해 버퍼(cell lysis buffer)인 RIPA버퍼를 이용하여 용해시켰다. 상기 용해된 용액을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분획한 뒤, 단백질이 포함된 용액 만을 추출하였다. 상기 세포 배양액 및 세포 용해물 단백질은 브래드포드(Bradford) 방법에 의해 정량화 하였다. 정량화를 통해 얻은 동일 농도의 단백질을 SDS-폴리아크릴아미드(polyacrylamide) 겔 전기 영동을 통해 분리한 뒤, PVDF 막에 옮겼다. 단백질이 옮겨진 막은 비 특이적 결합을 줄이기 위하여 5% 탈지유(non-fat milk)가 포함된 TBS-T(Tris-buffered saline/0.1% Tween-20)용액으로 상온에서 1시간 동안 차단(blocking)한 후, 5% BSA 용액에 희석된 1차 항체를 4℃ 조건에서 12시간 이상 동안 반응시킨 뒤, 2차 항체를 1시간 동안 상온에서 반응시켰다. 시각화를 위해서는 강화된 화학 발광 시스템(Enhanced chemiluminescence system)을 이용하였다.
상기한 웨스턴 블롯 분석으로 프로카스파제-1(Procasp-1), 활성화된 카스파제-1(caspase-1)인 p20, 인터루킨(IL)-1β 및 프로-인터루킨(pro-IL)-1β의 발현량을 측정하였고, 그 결과는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LPS 및 ATP를 함께 처리하였을 때, 활성화 형태인 인터루킨-1β 및 활성화된 카스파제-1 인(caspase-1) p20의 세포 배양액으로의 분비가 증가 된 것으로 보아, NLRP3 인플라마좀 활성이 잘 유도 된 것을 알 수 있었다.
상기와 같이, NLRP3 인플라마좀 유도시 피오시아닌을 처리한 경우에 50μM 및 100μM에서 인터루킨-1β 의 세포 배양액으로 분비가 현저하게 억제되었다. 또한, p20의 세포 배양액으로 분비 역시 현저하게 감소되었다.
상기 결과를 통해, 피오시아닌은 NLRP3 인플라마좀 활성을 현저하게 억제하는 것을 알 수 있다.
[ 실험예 2] 마우스 골수유래 대식세포에서의 인터루킨- 분비 억제 확인
상기에서 확인한 피오시아닌의 NLRP3 인플라마좀 활성 억제를 검증하기 위해 LPS, nigericin 자극에 의해 분비된 인터루킨-1β를 ELISA(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방법을 통해 정량 분석하였다
상기 준비예의 BMDMs에 피오시아닌 (25,75 μM)을 30분 전처리 한 뒤, LPS (0.25 ㎍/ml, 3 시간) 처리 후, 니게리신(Nigericin) (5μM, 40분)을 처리하여 NLRP3 인플라마좀을 활성화 시킨 뒤, 각각의 세포 배양액을 얻었다.
상기 ELISA는 인터루킨-1β 항체가 코팅되어 있는 96웰 플레이트에 상기 세포 배양액을 100㎕씩 각 well에 넣고, 상온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그 뒤, PBS로 4회 세척 과정을 거친 후 발색을 위한 효소가 결합되어 있는 이차 항체와 상온에서 1시간 동안 반응 시킨 뒤에 암실에서 기질 완충 용액(3,3', 5,5'-Tetramethylbenzidine (TMB) 및 과산화수소수)을 첨가하여 발색 후, 2N 황산으로 발색을 중지시키고 45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LPS 및 니게리신을 함께 처리하였을 때 약 2000pg/ml까지 증가된 인터루킨-1β 의 값이 피오시아닌의 투여 농도에 따라 1000pg/ml 및 10pg/ml로 세포 배양액으로의 분비가 현저하게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결과를 통해, 피오시아닌은 NLRP3 인플라마좀 활성화 자극에 의한 인터루킨-1β 의 세포 배양액으로의 분비를 감소시키는 것을 통하여 NLRP3 인플라마좀 활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을 알 수 있다.
[ 실험예 3] 마우스 골수유래 대식세포에서 ASC 중합 저해 확인
피오시아닌의 NLRP3 인플라마좀 활성 억제 효과가 ASC 중합을 억제하는 과정을 통하여 일어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하기의 웨스턴 블롯 분석을 하였다.
상기 준비예의 BMDMs에 피오시아닌 (100 μM)을 30분 전처리 한 뒤, LPS (0.25 ㎍/ml, 3 시간) 처리 후, 니게리신(Nigericin) (5μM, 40분)을 처리하여 NLRP3 인플라마좀을 활성화 시킨 뒤, 이후 세포 용해물은 DSS (Disuccinimidyl suberate)를 이용하여 용해물에 존재하는 결합된 단백질의 교차결합 (cross-linking)을 유도 한 후 상기 실험예 1의 방법과 같이 웨스턴 블롯을 수행하였다.
웨스턴 블롯 분석을 통해 ASC 단백질의 중합을 확인하였고, 그 결과는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LPS, 니게리신 자극에 의해 세포 용해물에서 ASC 의 중합체(dimer, oligomer)의 생성이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고, 피오시아닌을 처리한 경우 ASC 중합체의 생성이 현저하게 감소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결과를 통하여, 피오시아닌은 ASC 중합체 생성을 억제하여 자가 염증성 질환 또는 신경 염증성 질환을 유도하는 NLRP3 인플라마좀 활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Claims (12)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인플라마좀(inflammasome) 매개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at00003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인플라마좀 활성을 억제하는 것인, 약학 조성물.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인플라마좀은 NLRP3(NOD-like receptor family, pyrin domain-containing 3)인 것인, 약학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플라마좀 매개 염증성 질환은 자가 염증성 질환 또는 신경 염증성 질환인 것인, 약학 조성물.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자가 염증성 질환은 머클-웰스 증후군(Muckle-Wells syndrome; MWS), 성인형 지연성 자가면역 당뇨병(LADA), 가족성 한랭 자가 염증성 증후군 (FCAS), 크리오피린-관련 주기성 증후군 (CAPS), 신생아-발병 다기관 염증성 증후군 (NOMID), 만성 영아 신경 피부 관절 (CINCA) 증후군, 가족성 지중해열 (FMF), 전신 발병 소아 특발성 관절염 (SJIA)과 같은 특정 형태의 소아 관절염, 전신 발병 소아 특발성 류마티스 관절염과 같은 특정 형태의 소아 류마티스 관절염, 및/ 특정 형태의 성인 류마티스 관절염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약학 조성물.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신경 염증성 질환은 알츠하이머병, 파킨슨병, 헌팅턴병, 루게릭병, 크로이츠펠트야콥병, 다발성 경화증, 근위축성 측삭 경화증, 미만성루이소체병, 백색질뇌염, 측두엽간질 및 염증성 척추손상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약학 조성물.
  7.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인플라마좀(inflammasome) 매개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at00004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인플라마좀 활성을 억제하는 것인, 식품 조성물.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인플라마좀은 NLRP3(NOD-like receptor family, pyrin domain-containing 3)인 것인, 식품 조성물.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인플라마좀 매개 염증성 질환은 자가 염증성 질환 또는 신경 염증성 질환인 것인, 식품 조성물.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자가 염증성 질환은 머클-웰스 증후군(Muckle-Wells syndrome; MWS), LADA (성인형 지연성 자가면역 당뇨병), 가족성 한랭 자가 염증성 증후군 (FCAS), 크리오피린-관련 주기성 증후군 (CAPS), 신생아-발병 다기관 염증성 증후군 (NOMID), 만성 영아 신경 피부 관절 (CINCA) 증후군, 가족성 지중해열 (FMF), 전신 발병 소아 특발성 관절염 (SJIA)과 같은 특정 형태의 소아 관절염, 전신 발병 소아 특발성 류마티스 관절염과 같은 특정 형태의 소아 류마티스 관절염, 및/ 특정 형태의 성인 류마티스 관절염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식품 조성물.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신경 염증성 질환은 알츠하이머병, 파킨슨병, 헌팅턴병, 루게릭병, 크로이츠펠트야콥병, 다발성 경화증, 근위축성 측삭 경화증, 미만성루이소체병, 백색질뇌염, 측두엽간질 및 염증성 척추손상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인, 식품 조성물.
KR1020160158736A 2016-11-25 2016-11-25 인플라마좀 매개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19376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8736A KR101937660B1 (ko) 2016-11-25 2016-11-25 인플라마좀 매개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8736A KR101937660B1 (ko) 2016-11-25 2016-11-25 인플라마좀 매개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9312A true KR20180059312A (ko) 2018-06-04
KR101937660B1 KR101937660B1 (ko) 2019-01-14

Family

ID=62628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8736A KR101937660B1 (ko) 2016-11-25 2016-11-25 인플라마좀 매개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766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9504A (ko) * 2019-12-03 2021-06-11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Nlrp3 인플라마좀 억제제를 포함하는 노인성 치주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그의 방법
KR20220039407A (ko) * 2020-09-22 2022-03-29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Nlrp3 인플라마좀 억제제 및 이의 용도
KR20220039977A (ko) * 2020-09-22 2022-03-30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Nlrp3 인플라마좀 억제제 및 이의 용도
CN117298086A (zh) * 2023-11-29 2023-12-29 中国中医科学院中药研究所 索法酮在制备预防和/或治疗nlrp3炎性小体介导的疾病的药物中的应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2100006065A1 (it) * 2021-03-15 2022-09-15 Univ Degli Studi Padova Composto per l’uso nel metodo di trattamento delle malattie mitocondriali da disfunzione dei complessi i, ii, iii della catena respiratoria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89283A1 (en) 2007-01-16 2008-07-24 Jj Pharma, Inc. Phenazine compounds and use thereof in autoimmune and inflammatory diseases
EP2200613B1 (en) 2007-09-21 2018-09-05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henazine derivatives and uses thereof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9504A (ko) * 2019-12-03 2021-06-11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Nlrp3 인플라마좀 억제제를 포함하는 노인성 치주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그의 방법
KR20220039407A (ko) * 2020-09-22 2022-03-29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Nlrp3 인플라마좀 억제제 및 이의 용도
KR20220039977A (ko) * 2020-09-22 2022-03-30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Nlrp3 인플라마좀 억제제 및 이의 용도
CN117298086A (zh) * 2023-11-29 2023-12-29 中国中医科学院中药研究所 索法酮在制备预防和/或治疗nlrp3炎性小体介导的疾病的药物中的应用
CN117298086B (zh) * 2023-11-29 2024-03-08 中国中医科学院中药研究所 索法酮在制备预防和/或治疗nlrp3炎性小体介导的疾病的药物中的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7660B1 (ko) 2019-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7660B1 (ko) 인플라마좀 매개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1878830B1 (ko) N-아실 호모세린 락톤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인플라마좀 매개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20150050239A (ko) 투센다닌을 함유하는 구강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U2018368258A1 (en) Novel lactic acid bacteria and use thereof
KR20190058091A (ko) 블루베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KR101869353B1 (ko) 눈개승마 추출물에서 분리된 신규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항염증 조성물
KR101940024B1 (ko) N-아실 호모세린 락톤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인플라마좀 매개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1666524B1 (ko) 초과(Amomi Tsao-ko)로부터 분리된 화합물 및 이의 항염 용도
KR101917152B1 (ko) 녹농균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인플라마좀 매개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20200074367A (ko) 안전성 및 면역 개선력이 향상된 홍도라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면역 증진용 조성물
KR20190032790A (ko) Nlrp3 억제제
WO2021177335A1 (ja) 脳機能改善用組成物
KR101184343B1 (ko) 피페린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JP7462321B2 (ja) 炎症性サイトカイン産生抑制剤
WO2019078233A1 (ja) 学習記憶能力増強組成物
JP6516445B2 (ja) メイシンを含む免疫増強用医薬組成物
KR102472137B1 (ko) Nlrp3 인플라마좀 억제제 및 이의 용도
KR102588274B1 (ko) D-리모넨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뇌전증 또는 발작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KR102211732B1 (ko) 리카니아 매크로카르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349724B1 (ko) Kahweol을 포함하는 항비만 조성물
KR101937435B1 (ko) 글리시리직애씨드 및 이의 용도
KR20240020445A (ko) 말톨을 포함하는 인플라마좀 매개 염증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230139655A (ko) 청각 에탄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질환 또는 면역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JP2022000008A (ja) アレルギー疾患抑制用組成物
KR101803187B1 (ko) 돼지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IL-1β 관련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