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4286A - Lamp for vehicle - Google Patents

Lamp for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4286A
KR20180054286A KR1020160152051A KR20160152051A KR20180054286A KR 20180054286 A KR20180054286 A KR 20180054286A KR 1020160152051 A KR1020160152051 A KR 1020160152051A KR 20160152051 A KR20160152051 A KR 20160152051A KR 20180054286 A KR20180054286 A KR 201800542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tern
vehicle
reflector
lamp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205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863788B1 (en
Inventor
한혜진
유진희
Original Assignee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520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3788B1/en
Publication of KR201800542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428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37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378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3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lectors
    • F21S41/32Optical layout thereof
    • F21S41/36Combinations of two or more separate refl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F21V7/0025Combination of two or more reflectors for a single light sour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2/00Exterior vehicle lighting devices for illuminating purp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3/00Exterior vehicle lighting devices for signalling purposes
    • F21W2103/60Projection of signs from lighting devices, e.g. symbols or information being projected onto the ro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ular lamp that allows pedestrians or surrounding vehicles to easily recognize a traveling direction of a vehicle. The vehicular lamp includes: a traveling direction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a traveling direction of a vehicle; a traveling direction display unit for forming a first pattern displaying the traveling direction and a second pattern containing at least one pattern region displaying the traveling direction on a road surface around the vehicle;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traveling direction display unit according to the detected traveling direction. The traveling direction display unit has at least one lamp module, and the lamp module has a reflection unit consisting of a light source and a reflector for reflecting a part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to form the first pattern and reflecting other parts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in a reflecting area of the reflector to form the second pattern.

Description

차량용 램프{Lamp for vehicle}Lamp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주변 차량이나 보행자가 차량의 진행 방향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mp for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lamp for a vehicle which enables a nearby vehicle or a pedestrian to easily recognize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vehicle.

일반적으로 차량은, 야간 주행시에 차량 주변에 위치한 대상물을 용이하게 확인하기 위한 조명 기능, 및 다른 차량이나 도로 이용자들에게 차량의 주행 상태를 알리기 위한 신호 기능을 가지는 램프를 구비한다. Generally, a vehicle has a lighting function for easily confirming an object located in the vicinity of the vehicle at nighttime driving, and a lamp having a signal function for notifying other vehicle or road users of the running state of the vehicle.

예를 들어, 헤드 램프 및 포그 램프 등은 주로 조명 기능을 목적으로 하며, 턴 시그널 램프, 백업 램프 및 브레이크 램프 등은 주로 신호 기능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For example, head lamps and fog lamps are mainly intended for lighting functions, and turn signal lamps, backup lamps, and brake lamps are mainly for signal functions.

이 중에서 턴 시그널 램프는 차량의 전방 및 후방에 설치되어 차량이 교차로 등지에서 좌회전 또는 우회전하여 진행하거나 주행 차선을 변경하는 것 등과 같이 차량의 진행 방향이 변경될 때 점멸되어 차량의 턴 방향을 주변 차량이나 보행자에게 알리는 역할을 하며, 백업 램프는 차량의 후진시에 점등되어 차량이 후진하는 것을 주변 차량이나 보행자에게 알려 이에 대비하도록 하는 것이다.Of these, a turn signal lamp is installed at the front and rear of the vehicle and is turned on when the direction of the vehicle is changed, such as the vehicle proceeding left or right at an intersection or turning right or changing the driving lane, And the back-up lamp is turned on when the vehicle is backward, so that the back-up of the vehicle is informed to the surrounding vehicles or pedestrians so as to be prepared.

이때, 턴 시그널 램프가 점멸되어 차량의 턴 방향을 알리는 경우라도 주변 차량이나 보행자의 위치에 따라 이를 인지하기 어려운 경우가 발생하고, 백업 램프가 점등되어 차량의 후진을 알리는 경우에도 차량의 측방에 위치한 주변 차량이나 보행자는 이를 인지하기 어려운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At this time, even if the turn signal lamp flashes to inform the turning direction of the vehicle, it is difficult to recognize the turn direction of the vehicle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nearby vehicle or the pedestrian. Even if the backup lamp is turned on to inform the vehicle backward, It may be difficult for the surrounding vehicles or pedestrians to recognize this.

따라서, 주변 차량이나 보행자가 턴 시그널 램프의 점멸이나 백업 램프의 점등을 용이하게 인지하기 어려운 상황에서도 차량의 진행 방향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Accordingly, there is a demand for a method of easily recognizing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vehicle even in a situation where it is difficult for a nearby vehicle or a pedestrian to easily recognize the flashing of the turn signal lamp or the back-up lamp.

일본특허공보 제2778270호 (1998.05.08)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2778270 (1998.05.08)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차량 주변의 노면에 차량의 진행 방향을 표시하는 패턴을 형성하여 주변 차량이나 보행자가 차량의 진행 방향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램프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ehicle occupant protection apparatus, A lamp for a vehicle is provided.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차량의 진행 방향을 감지하는 진행 방향 감지부, 상기 진행 방향을 표시하는 제1 패턴 및 상기 차량 주변의 노면에 상기 진행 방향을 표시하는 적어도 하나의 패턴 영역을 포함하는 제2 패턴을 형성하는 진행 방향 표시부, 및 상기 감지된 진행 방향에 따라 상기 진행 방향 표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진행 방향 표시부는, 적어도 하나의 램프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램프 모듈 각각은, 광원, 및 상기 광원으로부터 발생된 광의 일부를 반사시켜 상기 제1 패턴을 형성하는 리플렉터의 반사 영역 내에 상기 광원으로부터 발생된 광의 다른 일부를 반사시켜 상기 제2 패턴을 형성하는 리플렉터가 위치하는 반사부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vehicle la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raveling direction sensing unit for sensing a traveling direction of a vehicle, a first pattern for indicating a traveling direction,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traveling direction display unit in accordance with the sensed traveling direction, wherein the traveling direction display unit forms a second pattern including at least one pattern area indicating the traveling direction on the road surface around the vehicle, Wherein the progress direction display section includes at least one lamp module, each of the at least one lamp module includes a light source, and a light source that reflects a part of the light to generate a first pattern in a reflection area of the reflector And a reflector for reflecting a different part of the light generated from the light source to form the second pattern, .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The 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The vehicle lamp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effects.

차량 주변의 노면에 차량의 진행 방향을 표시하는 패턴을 형성하기 때문에 주변 차량이나 보행자가 차량의 진행 방향을 용이하게 인지하고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어 차량 사고 발생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Since a pattern indicating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vehicle is formed on the road surface around the vehicle, it is possible for the nearby vehicle or the pedestrian to easily recognize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vehicle and cope with it quickly, thereby reducing the possibility of a vehicle accident.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구성이 도시된 블럭도.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설치된 차량이 도시된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도시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도시된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광 경로가 도시된 개략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에 의해 형성되는 제1 패턴 및 제2 패턴이 도시된 개략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도시된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도시된 정면도.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에 의해 형성되는 제1 패턴 및 제2 패턴이 도시된 개략도.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패턴 영역을 형성하는 리플렉터가 도시된 개략도.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패턴 영역을 형성하는 리플렉터가 도시된 개략도.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3 패턴 영역을 형성하는 리플렉터가 도시된 개략도.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내지 제3 패턴 영역을 형성하는 리플렉터가 도시된 개략도.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내지 제3 패턴 영역이 도시된 개략도.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행 차선 변경시 제1 패턴 및 제2 패턴이 도시된 개략도.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차로에서 제1 패턴 및 제2 패턴이 도시된 개략도.
도 21 및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주차장에서의 진출시 제1 패턴 및 제2 패턴이 도시된 개략도.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vehicle la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to 4 are schematic views showing a vehicle in which a vehicle la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amp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ront view showing a lamp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 optical path of a lamp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and 9 are schematic diagrams showing a first pattern and a second pattern formed by a lamp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amp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front view showing a lamp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and 13 are schematic diagrams showing a first pattern and a second pattern formed by a lamp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reflector forming a first pattern reg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reflector forming a second pattern reg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reflector forming a third pattern reg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reflector forming first to third pattern region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 schematic view showing first to third pattern region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9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first pattern and a second pattern when changing a driving la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ure 20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first pattern and a second pattern at an inters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21 and 22 are schematic diagrams showing a first pattern and a second pattern when advancing in a parking lot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nner of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from and elucidat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after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fully disclose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공정 단계들, 잘 알려진 구조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Thus, in some embodiments, well known process steps, well-known structures, and well-known techniques are not specifically described to avoid an undue interpret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의미로 사용한다. 그리고,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ng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includes plural forms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specif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terms comprising and / or comprising the terms used in the specification do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steps and / or operations other than the stated components, steps and / . And "and / or" include each and any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 mentioned items.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사시도, 단면도, 측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Further,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erspective view, cross-sectional view, side view, and / or schematic views, which are ideal illust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Thus, the shape of the illustrations may be modified by manufacturing techniques and / or tolerances. Accordingl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specific forms shown, but also include changes in the shapes that are generated according to the manufacturing process. In addition, in the draw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constituent element may be somewhat enlarged or reduced in view of convenience of explana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차량용 램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for explaining a vehicle lamp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도시된 블럭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lamp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1)는 진행 방향 감지부(100), 진행 방향 표시부(200) 및 제어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 vehicle lamp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traveling direction sensing unit 100, a traveling direction display unit 200, and a control unit 300.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차량용 램프(1)가 차량의 턴 방향을 표시하는 턴 시그널 램프나 후진을 표시하는 백업 램프의 용도로 사용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는 차량에 설치되어 차량의 진행 방향을 표시하는 각종 램프의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se where the vehicle lamp 1 is used as a turn signal lamp for indicating the turning direction of the vehicle or a back-up lamp for indicating the backward direction will be described by way of example, The vehicle lamp 1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for various lamps installed in the vehicle to indicate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vehicle.

진행 방향 감지부(100)는 차량의 턴 방향이나 후진 등과 같은 차량의 진행 방향을 감지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진행 방향 감지부(100)는 변속단 등을 통해 후진을 감지하고, 핸들이나 바퀴의 회전 각도, 운전자의 턴 시그널 레버 조작, 차선 감지 등을 통해 차량의 턴 방향을 감지할 수 있으며, 진행 방향 감지부(100)는 차량의 진행 방향을 감지할 수 있는 각종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The traveling direction sensing unit 100 senses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vehicle such as a turn direction or a backward direction of the vehicl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traveling direction sensing unit 100 senses a backward travel through a speed change stage, The turning direction of the vehicle can be detected through the rotation angle of the steering wheel or the wheel, the turn signal lever operation of the driver, the lane detection, etc. The traveling direction sensing unit 100 includes various sensors for sensing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vehicle can do.

진행 방향 표시부(200)는 차량의 전방 및 후방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어 차량의 진행 방향을 표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The progress direction display unit 200 may be installed on at least one of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vehicle to display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vehicle.

예를 들어, 진행 방향 표시부(200)는 도 2와 같이 차량 전방의 헤드 램프(10) 부근에 설치될 수도 있고, 도 3과 같이 차량의 테일 램프(20) 부근에 설치될 수도 있으며, 도 4와 같이 차량의 아웃 사이드 미러(30) 부근에 설치될 수도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진행 방향 표시부(200)는 주변 차량이나 보행자 등이 차량의 진행 방향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는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progress direction display unit 200 may be installed near the head lamp 10 in front of the vehicle as shown in FIG. 2, or may be installed near the tail lamp 20 of the vehicle as shown in FIG. 3, Side mirror 30 of the vehicle. However, this is only one example for facilitating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veling direction display unit 200 may be configured such that a moving vehicle, And the like.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진행 방향 표시부(200)가 차량 전방 및 후방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차량의 턴 방향이나 후진을 표시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며, 차량의 진행 방향에 따라 차량의 전방 및 후방 양측에 각각 설치된 진행 방향 표시부(200) 중 적어도 하나가 동작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a case in which the traveling direction indicator 200 is installed on both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vehicle to indicate the turning direction or the backward direction of the vehicle will be described. And the progress direction display unit 200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rear direction may be operated.

또한, 진행 방향 표시부(200)는 차량의 턴 방향 및 후진을 각각 표시하도록 별도로 설치될 수도 있고, 차량의 진행 방향에 따라 차량의 턴 방향 및 후진을 표시하도록 공용될 수도 있다.The progress direction display unit 200 may be separately provided to display the turn direction and the reverse direction of the vehicle, or may be shared to indicate the turn direction and the reverse direction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vehicle.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도시된 정면도이다.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vehicle la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front view showing a lamp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행 방향 표시부(200)는 광원(201) 및 반사부(202)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5 and 6, the progress direction indicator 2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light source 201 and a reflector 202.

광원(201)은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의 용도에 맞는 광량이나 색상을 가지는 광이 발생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광원(201)으로 LED와 같은 반도체 발광 소자가 사용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The light source 201 may generate light having a light quantity or color suitable for the use of the vehicle lamp 1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element such as an LED is used as the light source 201 For example.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광원(201)은 반사부(202)의 상측에 위치하여 하측으로 광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반사부(202)는 광원(201)의 광 조사각을 고려하여 광원(201)으로부터 발생된 광을 충분히 반사시킬 수 있을 정도의 반사 영역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ight source 201 may be positioned on the upper side of the reflector 202 to generate light downward, and the reflector 202 may reflect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201 In order to sufficiently reflect the light generated from the light emitting element.

반사부(202)는 광원(201)으로부터 발생된 광의 일부를 반사시켜 제1 패턴을 형성하는 리플렉터(202a) 및 광원(210)으로부터 발생된 광의 다른 일부를 반사시켜 제2 패턴을 형성하는 리플렉터(202b)를 포함할 수 있다.The reflector 202 includes a reflector 202a that reflects a part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201 to form a first pattern and a reflector 202a that reflects another part of the light generated from the light source 210 to form a second pattern 202b.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패턴 및 제2 패턴은 광원(201)의 동작에 따라 소정 주기로 점멸되거나 점등 상태를 유지하는 등과 같은 다양한 점등 패턴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패턴 및 제2 패턴의 점등 패턴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pattern and the second pattern may have various lighting patterns such as flickering or maintaining the lighting state at a predetermined cycl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light source 201,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lighting patterns of the two patterns can be variously changed as needed.

제1 패턴을 형성하는 리플렉터(202a)는 복수의 반사면(F1)을 포함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패턴을 형성하는 리플렉터(202a)는 반사된 광의 스프레드 특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복수의 반사면(F1)이 볼록한 형상을 가지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The reflector 202a forming the first pattern includes a plurality of reflective surfaces F1 and the reflector 202a forming the first patter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reflectors 202a for improving the spreading property of the reflected light, A case in which the reflecting surface F1 has a convex shape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제2 패턴을 형성하는 리플렉터(202b)는 복수의 반사면(F2)을 포함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2 패턴을 형성하는 리플렉터(202b)는 차량 주변 노면의 소정 영역에 광이 집중될 수 있도록 복수의 반사면(F2)이 오목한 형상을 가지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The reflector 202b forming the second pattern includes a plurality of reflection surfaces F2.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flector 202b, which forms the second pattern, A case in which the plurality of reflecting surfaces F2 have a concave shape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또한, 제2 패턴을 형성하는 리플렉터(202b)는 제1 패턴을 형성하는 리플렉터(202a)의 반사 영역, 즉 복수의 반사면(F1)이 형성되는 영역 내에 위치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flector 202b forming the second pattern may be located within the reflection area of the reflector 202a forming the first pattern, that is, the area where the plurality of reflection surfaces F1 are formed.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패턴을 형성하는 리플렉터(202a)의 복수의 반사면(F1)은 광의 스프레드 특성이 향상되도록 각 반사면(F1) 간의 단차나 각 반사면(F1)의 곡률 등이 제2 패턴을 형성하는 리플렉터(202b)의 복수의 반사면(F2) 간의 단차나 각 반사면(F2)의 곡률 등보다 큰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At this tim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lurality of reflecting surfaces F1 of the reflector 202a forming the first pattern are formed so that the spread between the reflecting surfaces F1 and the curvature of each reflecting surface F1 And the like are larger than the step difference between the plurality of reflection surfaces F2 of the reflector 202b forming the second pattern and the curvature of each reflection surface F2 or the like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제2 패턴을 형성하는 리플렉터(202b)는 제1 패턴을 형성하는 리플렉터(202a)는 소정의 단차를 가지도록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제1 패턴을 형성하는 리플렉터(202a)에 의해 반사된 광 및 제2 패턴을 형성하는 리플렉터(202b)에 의해 반사된 광 간의 배광 각도가 다르기 때문이며, 이와 더불어 제1 패턴을 형성하는 리플렉터(202a) 및 제2 패턴을 형성하는 리플렉터(202b) 각각에 의해 반사된 광 사이의 광 간섭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The reflector 202b forming the second pattern may be formed by protruding the reflector 202a forming the first pattern so as to have a predetermined level difference, which is reflected by the reflector 202a forming the first pattern The reflectance of the light reflected by the reflector 202b forming the second pattern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light reflected by the reflector 202b forming the second pattern. In addition, the reflector 202a forming the first pattern and the reflector 202b forming the second pattern Thereby preventing optical interference between the reflected lights.

또한, 제2 패턴을 형성하는 리플렉터(202b)의 외곽 경계선은 제1 패턴을 형성하는 리플렉터(202a)의 외곽 경계선과 이격되며 제1 패턴을 형성하는 리플렉터(202a)의 외곽 경계선 내부에 위치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이는 반사부(202)에 의해 반사되어 진행하는 광의 조사 영역을 고려한 것이다.The outline boundary line of the reflector 202b forming the second pattern is spaced from the outline boundary line of the reflector 202a forming the first pattern and is located inside the outline boundary line of the reflector 202a forming the first pattern Will be described by way of example,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irradiation area of the light reflected by the reflection part 202.

즉, 광원(201)이 반사부(202)의 상측에 위치하는 경우 제2 패턴을 형성하는 리플렉터(202b)에 의해 반사되는 광은 차량 주변의 노면에 광이 조사될 수 있도록 지면에 수평한 선에 대하여 하측으로 경사지게 진행하게 되며, 이 경우 제2 패턴을 형성하는 리플렉터(202b)에 의해 반사되는 광이 차단되지 않고 진행될 수 있도록 제2 패턴을 형성하는 리플렉터(202b)의 외곽 경계선이 제1 패턴을 형성하는 리플렉터(202a)의 외곽 경계선 내부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light source 201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reflecting portion 202, the light reflected by the reflector 202b forming the second pattern is reflected by a horizontal line The outline boundary line of the reflector 202b, which forms the second pattern so that the light reflected by the reflector 202b forming the second pattern can proceed without being blocked, Is located inside the outer boundary line of the reflector 202a.

다시 말해서,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는 도 7과 같이 반사부(202)에 의해 반사된 광을 안내하는 동시에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의 내부를 가리는 역할을 하는 베젤(400)을 구비할 수 있으며, 베젤(400)은 반사부(202)에 의해 반사되는 광을 안내하는 개구부(410)가 형성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vehicle lamp 1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ezel 400 serving to guide light reflected by the reflector 202 and to cover the inside of the lamp 1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7 And an opening 410 for guiding light reflected by the reflective portion 202 may be formed on the bezel 400.

이때, 베젤(400)의 개구부(410) 외주단이 제2 패턴을 형성하는 리플렉터(202b)의 하측단에 정렬되는 경우 제2 패턴을 형성하는 리플렉터(202b)에 의해 반사된 광의 일부가 베젤(400)에 의해 차단되어 광 사용 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At this time, when the outer peripheral end of the opening 410 of the bezel 400 is aligned with the lower end of the reflector 202b forming the second pattern, a part of the light reflected by the reflector 202b forming the second pattern passes through the bezel 400, and the light use efficiency may be lowered.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2 패턴을 형성하는 리플렉터(202b)의 외곽 경계선이 제1 패턴을 형성하는 리플렉터(202a)의 외곽 경계선과 이격되며 제1 패턴을 형성하는 리플렉터(202a)의 외곽 경계선 내부에 위치하도록 하여 제2 패턴을 형성하는 리플렉터(202b)에 의해 반사된 광이 차단되지 않고 진행할 수 있도록 한다.Therefor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line boundary line of the reflector 202b forming the second pattern is spaced apart from the outline boundary line of the reflector 202a forming the first pattern and the outside of the reflector 202a forming the first pattern So that the light reflected by the reflector 202b forming the second pattern can proceed without being blocked.

또한, 제1 패턴을 형성하는 리플렉터(201)에 포함되는 복수의 반사면(F1) 중 제2 패턴을 형성하는 리플렉터(202b)의 하측에 위치하는 반사면은 광을 반사시키는 역할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의 외관을 향상시키는 더미 반사면의 역할을 할 수도 있다.The reflecting surface located below the reflector 202b forming the second one of the plurality of reflecting surfaces F1 included in the reflector 201 forming the first pattern serves not only to reflect light, Reflection surface that improves the appearance of the vehicle lamp 1 of the vehicle.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에 의해 형성되는 제1 패턴 및 제2 패턴이 도시된 개략도이다.8 and 9 are schematic diagrams showing a first pattern and a second pattern formed by the lamp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1)는 점멸 또는 점등되는 제1 패턴(P1)과 더불어 차량 주변의 노면에 점멸 또는 점등되는 노면 패턴인 제2 패턴(P2)을 형성할 수 있다.8 and 9, a vehicle lamp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irst pattern P1 that is blinked or lighted, a second pattern P1 that is a road surface pattern that flashes or lights on the road surface around the vehicle P2) can be formed.

제2 패턴(P2)을 형성하기 위하여 조사되는 광의 좌우 광조사각 및 상하 광조사각은 도로의 종류, 차선 폭 장애물 위치, 램프 구조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일 예로 제2 패턴(P2)을 형성하기 위하여 조사되는 광은 0 내지 45도의 좌우 광조사각을 가지며, 5 내지 60도의 상하 광조사각을 가질 수 있다.The left and right light reflection angles and the upper and lower light reflection angles of the light irradiated to form the second pattern P2 can be variously changed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road, the lane width obstacle location, the lamp structure, and the like. The light irradiated for forming has a left to right angle of incidence of 0 to 45 degrees and may have a top and bottom angle of incidence of 5 to 60 degrees.

이때, 좌우 광조사각은 차량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좌측 또는 우측으로 광이 조사되는 각도로 이해될 수 있고, 상하 광조사각은 지면을 기준으로 광이 조사되는 각도로 이해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left and right light emission angles can be understood as an angle at which the light is irradiated to the left or the right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hicle, and the upper and lower light emission angles can be understood as the angle at which the light is irradiated with respect to the ground.

이때, 도 8은 차량이 우회전하는 경우 차량 전방 및 후방의 우측에 설치된 진행 방향 표시부(200)에 의해 제1 패턴(P1) 및 제2 패턴(P2)이 형성된 경우의 일 예이고, 도 9는 차량이 후진하는 경우 차량 후방의 양측에 설치된 진행 방향 표시부(200)에 의해 제1 패턴(P1) 및 제2 패턴(P2)이 형성된 경우의 일 예이다.8 is an example of a case where the first pattern P1 and the second pattern P2 are formed by the progress direction display unit 200 provided on the right side of the front and rear of the vehicle when the vehicle is making a right turn, And the first pattern P1 and the second pattern P2 are formed by the progress direction display unit 200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rear of the vehicle when the vehicle is moving backward.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가 단일의 광원과 단일의 반사부를 포함하여 제2 패턴(P2)이 단일의 패턴 영역으로 구성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는 복수의 광원 및 복수의 반사부를 포함하여 제2 패턴(P2)이 복수의 패턴 영역으로 구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Although the vehicle lamp 1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ingle light source and a single reflector so that the second pattern P2 is composed of a single pattern area,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lamp 1 for a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lurality of light sources and a plurality of reflective portions so that the second pattern P2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pattern regions.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도시된 정면도이다.FIG.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amp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1 is a front view showing a lamp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1)는 복수의 램프 모듈(210, 220, 230)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0 and 11, the lamp 1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lurality of lamp modules 210, 220, and 230.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복수의 램프 모듈(210, 220, 230)을 각각 제1 램프 모듈(210), 제2 램프 모듈(220) 및 제3 램프 모듈(230)이라 칭하기로 하며, 제1 내지 제3 램프 모듈(210, 220, 230)은 차폭 방향으로 배치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plurality of lamp modules 210, 220 and 230 will be referred to as a first lamp module 210, a second lamp module 220 and a third lamp module 230, respectively, The case where the first to third lamp modules 210, 220 and 230 are arranged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차량용 램프(1)는 도 12 및 도 13과 같이 제1 패턴(P1) 및 제2 패턴(P2)을 형성할 수 있으며, 제2 패턴(P2)은 복수의 패턴 영역(P21, P22, P23)을 포함할 수 있다.The vehicle lamp 1 may form the first pattern P1 and the second pattern P2 as shown in FIGS. 12 and 13, and the second pattern P2 may form a plurality of pattern regions (P21, P22, P23).

예를 들어, 복수의 패턴 영역(P21, P22, P23)은 제1 램프 모듈(210)에 의해 형성되는 제1 패턴 영역(P21), 제2 램프 모듈(220)에 의해 형성되는 제2 패턴 영역(P22) 및 제3 램프 모듈(230)에 의해 형성되는 제3 패턴 영역(P23)을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plurality of pattern areas P21, P22, and P23 may include a first pattern area P21 formed by the first lamp module 210, a second pattern area P21 formed by the second lamp module 220, And a third pattern area P23 formed by the third lamp module P22 and the third lamp module 230. [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1 패턴 영역(P21)이 차량에 가장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며, 제3 패턴 영역(P23)으로 갈수록 차량으로부터 거리가 멀어지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se where the first pattern region P21 is formed nearest to the vehicle and the distance from the vehicle to the third pattern region P23 is increased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2 패턴(P2)이 3개의 패턴 영역(P21, P22, P23)을 포함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2 패턴(P2)에 포함되는 패턴 영역의 개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pattern P2 includes three pattern areas P21, P22 and P23.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The number of regions may be varied.

제1 램프 모듈(210)은 제1 광원(211) 및 제1 반사부(212)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lamp module 210 may include a first light source 211 and a first reflector 212.

제1 광원(211)은 제1 반사부(212)의 상측에 위치하여 하측으로 광이 발생될 수 있으며, 제1 반사부(212)는 제1 광원(211)으로부터 발생된 광의 일부를 반사시켜 제1 패턴(P1)을 형성하는 리플렉터(212a) 및 제1 광원(211)으로부터 발생된 광의 다른 일부를 반사시켜 제2 패턴(P2) 내의 제1 패턴 영역(P21)을 형성하는 리플렉터(212b)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light source 211 may be position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reflector 212 and generate light downward. The first reflector 212 reflects a part of the light generated from the first light source 211 A reflector 212b that forms a first pattern P1 and a reflector 212b that reflects another part of light generated from the first light source 211 to form a first pattern area P21 in the second pattern P2, . ≪ / RTI >

제1 패턴(P1)을 형성하는 리플렉터(212a) 및 제1 패턴 영역(P21)을 형성하는 리플렉터(212b)는 각각 복수의 반사면(F11, F12)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패턴 영역(P21)을 형성하는 리플렉터(212b)의 복수의 반사면(F12)은 도 14와 같이 제1 패턴 영역(P21)에 광이 집중되도록 하여 시인성이 향상될 수 있다.The reflector 212a for forming the first pattern P1 and the reflector 212b for forming the first pattern region P21 may each include a plurality of reflective surfaces F11 and F12, The plurality of reflecting surfaces F12 of the reflector 212b forming the first pattern regions P21 and P21 may concentrate light in the first pattern region P21 as shown in FIG. 14, thereby improving the visibility.

또한, 제1 패턴(P1)을 형성하는 리플렉터(212a)의 복수의 반사면(F11)은 볼록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스프레드 특성을 향상시키게 되며, 제1 패턴 영역(P21)을 형성하는 리플렉터(212b)의 복수의 반사면(F12)은 오목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집광성을 향상시키게 된다.The plurality of reflecting surfaces F11 of the reflector 212a forming the first pattern P1 are formed in a convex shape to improve the spread characteristics and the reflector 212b of the reflector 212b forming the first pattern region P21 The plurality of reflecting surfaces F12 are formed in a concave shape to improve the light condensing property.

제2 램프 모듈(220)은 제2 광원(221) 및 제2 반사부(222)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lamp module 220 may include a second light source 221 and a second reflector 222.

제2 광원(221)은 제2 반사부(222)의 상측에 위치하여 하측으로 광이 발생될 수 있으며, 제2 반사부(222)는 제2 광원(221)으로부터 발생된 광의 일부를 반사시켜 제1 패턴(P1)을 형성하는 리플렉터(222a) 및 제2 광원(221)으로부터 발생된 광의 다른 일부를 반사시켜 제2 패턴(P2) 내의 제2 패턴 영역(P22)을 형성하는 리플렉터(222b)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light source 221 may be positioned on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reflector 222 to generate light downward and the second reflector 222 may reflect a part of the light generated from the second light source 221 A reflector 222b that forms a first pattern P1 and a reflector 222b that reflects another part of light generated from the second light source 221 and forms a second pattern area P22 in the second pattern P2, . ≪ / RTI >

제1 패턴(P1)을 형성하는 리플렉터(222a) 및 제2 패턴 영역(P22)을 형성하는 리플렉터(222b)는 각각 복수의 반사면(F21, F22)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패턴 영역(P22)을 형성하는 리플렉터(222b)의 복수의 반사면(F22)은 도 15와 같이 제1 패턴 영역(P22)에 광이 집중되도록 하여 시인성이 향상될 수 있다.The reflector 222a forming the first pattern P1 and the reflector 222b forming the second pattern region P22 may each include a plurality of reflecting surfaces F21 and F22 and the first pattern region The plurality of reflecting surfaces F22 of the reflector 222b forming the first pattern region P22 can concentrate light in the first pattern region P22 as shown in FIG. 15, so that the visibility can be improved.

또한, 제1 패턴(P1)을 형성하는 리플렉터(222a)의 복수의 반사면(F21)은 볼록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스프레드 특성을 향상시키게 되며, 제2 패턴 영역(P22)을 형성하는 리플렉터(222b)의 복수의 반사면(F22)은 오목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집광성을 향상시키게 된다.The plurality of reflecting surfaces F21 of the reflector 222a forming the first pattern P1 are formed in a convex shape to improve the spread characteristic and the reflector 222b of the reflector 222b forming the second pattern region P22 The plurality of reflecting surfaces F22 are formed in a concave shape to improve the light condensing property.

제3 램프 모듈(230)은 제3 광원(231) 및 제3 반사부(232)를 포함할 수 있다.The third lamp module 230 may include a third light source 231 and a third reflector 232.

제3 광원(231)은 제3 반사부(232)의 상측에 위치하여 하측으로 광이 발생될 수 있으며, 제3 반사부(232)는 제3 광원(231)으로부터 발생된 광의 일부를 반사시켜 제1 패턴(P1)을 형성하는 리플렉터(232a) 및 제3 광원(231)으로부터 발생된 광의 다른 일부를 반사시켜 제2 패턴(P2) 내의 제3 패턴 영역(P23)을 형성하는 리플렉터(232b)를 포함할 수 있다.The third light source 231 may be positioned above the third reflector 232 to generate light downward and the third reflector 232 may reflect a part of the light generated from the third light source 231 A reflector 232b that forms the first pattern P1 and a reflector 232b that reflects another part of the light generated from the third light source 231 and forms a third pattern area P23 in the second pattern P2, . ≪ / RTI >

제1 패턴(P1)을 형성하는 리플렉터(232a) 및 제2 패턴 영역(P23)을 형성하는 리플렉터(232b)는 각각 복수의 반사면(F31, F32)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패턴 영역(P23)을 형성하는 리플렉터(232b)의 복수의 반사면(F32)은 도 16과 같이 제3 패턴 영역(P23)에 광이 집중되도록 하여 시인성이 향상될 수 있다.The reflector 232a forming the first pattern P1 and the reflector 232b forming the second pattern region P23 may each include a plurality of reflecting surfaces F31 and F32 and the first pattern region The plurality of reflecting surfaces F32 of the reflector 232b forming the second pattern region P23 can concentrate light in the third pattern region P23 as shown in FIG.

또한, 제1 패턴(P1)을 형성하는 리플렉터(232a)의 복수의 반사면(F31)은 볼록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스프레드 특성을 향상시키게 되며, 제3 패턴 영역(P23)을 형성하는 리플렉터(232b)의 복수의 반사면(F23)은 오목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집광성을 향상시키게 된다.The plurality of reflecting surfaces F31 of the reflector 232a forming the first pattern P1 are formed in a convex shape to improve the spread characteristics and the reflector 232b forming the third pattern region P23 The plurality of reflecting surfaces F23 are formed in a concave shape to improve the light condensing property.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1 내지 제3 램프 모듈(210, 220, 230) 각각의 제1 패턴을 형성하는 리플렉터(212a, 222a, 232a)가 각각 형성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내지 제3 램프 모듈(210, 220, 230) 각각의 제1 패턴을 형성하는 리플렉터(212a, 222a, 232a)는 서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lectors 212a, 222a and 232a forming the first patterns of the first to third lamp modules 210, 220 and 230 are formed, respectively. However, The reflectors 212a, 222a and 232a forming the first patterns of the first to third lamp modules 210, 220 and 230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each other.

전술한 제1 내지 제3 램프 모듈(210, 220, 230)은 서로 다른 위치에 각각 제1 내지 제3 패턴 영역(P21, P22, P23)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를 위해 제1 내지 제3 램프 모듈(210, 222, 230) 각각은 제2 패턴(P2)을 형성하는 리플렉터(212b, 222b, 232b)가 도 17과 같이 각 광원(211, 221, 231)의 광축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각도(θ1, θ2, θ3)를 가지도록 위치할 수 있다.The first through third lamp modules 210, 220 and 230 form the first through third pattern regions P21, P22 and P23 at different positions. For this purpose, the first through third lamp modules 210, The reflectors 212b, 222b and 232b forming the second pattern P2 are arranged at different angles? 1 (? 1,? 2) with respect to the optical axis of the light sources 211, 221 and 231 , [theta] 2, [theta] 3).

이때, 각 광원(211, 221, 231)의 광축은 각 광원(211, 221, 231)의 발광면에 수직하며 발광면의 중심을 관통하는 선으로 이해될 수 있다.The optical axis of each of the light sources 211, 221 and 231 may be understood as a line perpendicular to the light emitting surfaces of the light sources 211, 221 and 231 and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light emitting surface.

예를 들어, 제1 램프 모듈(210)이 차량으로부터 가장 가까운 위치에 제1 패턴 영역(P21)을 형성하기 때문에 제1 광원(211)의 광축과 제2 패턴(P2)을 형성하는 리플렉터(212b) 사이의 각도(θ1)가 가장 작게 되고, 제3 램프 모듈(230)이 차량으로부터 가장 먼 위치에 제3 패턴 영역(P23)을 형성하기 때문에 제3 광원(231)의 광축과 제2 패턴(P2)을 형성하는 리플렉터(232b) 사이의 각도(θ3)가 가장 크게 되며, 제2 램프 모듈(220)이 제1 패턴 영역(P21) 및 제3 패턴 영역(P22)의 중간에 위치하는 제2 패턴 영역(P22)을 형성하기 때문에 제2 광원(221)의 광축과 제2 패턴(P2)을 형성하는 리플렉터(222b) 사이의 각도(θ2)가 θ1 및 θ3 사이의 각도를 가지게 되어 제1 내지 제3 램프 모듈(210, 220, 230)에서 제2 패턴(P2)을 형성하는 리플렉터(212b, 222b, 232b)가 각각 광원(211, 221, 231)의 광축과 이루는 각도는 θ1<θ2<θ3가 될 수 있다.For example, since the first lamp module 210 forms the first pattern area P21 at the position closest to the vehicle, the reflector 212b (which forms the second pattern P2) and the optical axis of the first light source 211 Since the third lamp module 230 forms the third pattern region P23 at the farthest position from the vehicle, the optical axis of the third light source 231 and the optical axis of the second pattern And the reflector 232b forming the first pattern region P21 and the second pattern region P22 are the largest and the second lamp module 220 is positioned at the middle of the first pattern region P21 and the third pattern region P22, The angle? 2 between the optical axis of the second light source 221 and the reflector 222b forming the second pattern P2 has an angle between? 1 and? 3 since the pattern area P22 is formed, The angle formed by the reflectors 212b, 222b and 232b forming the second pattern P2 in the third lamp modules 210, 220 and 230 with the optical axes of the light sources 211, 221 and 231, respectively, &amp;thetas; 1 <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내지 제3 램프 모듈(210, 220, 230) 각각에서 제1 내지 제3 광원(211, 221, 231)과 제2 패턴을 형성하는 리플렉터(212b, 222b, 232b)가 이루는 각도는 제1 내지 제3 광원(211, 221, 231)의 광축과 제2 패턴을 형성하는 리플렉터(212b, 222b, 232b)의 상하단을 잇는 선 사이의 각도인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At this tim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to third light sources 211, 221 and 231 in the first to third lamp modules 210, 220 and 230 and the reflectors 212b, 222b, 232b are angles between the optical axis of the first to third light sources 211, 221, and 231 and the lines connecting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reflectors 212b, 222b, and 232b forming the second pattern. For example, I will explain.

한편, 제1 내지 제3 램프 모듈(210, 220, 230)에 의해 제1 내지 제3 패턴 영역(P21, P22, P23)의 사이의 간격은 θ1, θ2, θ3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도 18과 같이 제1 및 제2 패턴 영역(P21, P22) 사이의 간격(d1)과 제2 및 제3 패턴 영역(P22, P23) 사이의 간격(d2)이 동일해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θ2-θ1)>(θ3-θ2)의 관계를 가질 수 있다.The intervals between the first through third pattern regions P21, P22 and P23 may vary depending on the angles? 1,? 2 and? 3 by the first to third lamp modules 210, 220 and 230, (? 2 -? 1) in order to make the distance d1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pattern regions P21 and P22 equal to the distance d2 between the second and third pattern regions P22 and P23, > ([theta] 3 - [theta] 2).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1 내지 제3 패턴 영역(P21, P22, P23) 사이의 간격(d1, d2)이 동일해지도록 하는 시인성이 확보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시인성이 확보되는 조건 하에서 제1 내지 제3 패턴 영역(P21, P22, P23) 중 서로 인접한 패턴 영역 사이의 간격은 차량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증가할 수도 있으며, 일 예로 제2 및 제3 패턴 영역(P22, P23) 사이의 간격(d2)이 제1 및 제2 패턴 영역(P21, P22) 사이의 간격(d1)보다 클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ensure visibility such that the distances d1 and d2 between the first to third pattern regions P21, P22 and P23 are equal to each oth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The interval between the adjacent pattern regions of the first to third pattern regions P21, P22 and P23 may increase as the distance from the vehicle is increased. For example, the interval between the second and third pattern regions P22 and P23 The distance d2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pattern regions P21 and P22 may be larger than the distance d1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pattern regions P21 and P22.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1 내지 제3 패턴 영역(P21, P22, P23)의 시인성이 확보된다는 것은 제1 내지 제3 패턴 영역(P21, P22, P23)이 제2 패턴(P2)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인식될 수 있을 정도의 간격을 가지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The visibility of the first to third pattern regions P21, P22 and P23 is ensured in the 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ecause the first to third pattern regions P21, P22 and P23 are included in the second pattern P2 It can be understood that it has an interval that can be perceived as being.

한편, (θ2-θ1)<(θ3-θ2)인 경우에는 경우에 따라 제3 패턴 영역(P23)이 제2 패턴 영역(P22)으로부터 과도하게 이격되어 형성되어 제2 패턴(P2) 내의 패턴 영역으로 인식되기 어려울 수 있기 때문에 (θ2-θ1)>(θ3-θ2)인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when (? 2 -? 1) <? 3 -? 2, the third pattern region P23 is excessively spaced from the second pattern region P22, (? 2 -? 1) > (? 3 -? 2).

제어부(300)는 진행 방향 감지부(100)의 감지 결과에 따라 차량 전방 및 후방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된 진행 방향 표시부(200)를 제어하여 차량의 진행 방향을 표시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300 may control the progress direction display unit 200 installed in at least one of the front and rear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detection result of the progress direction sensing unit 100 to display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vehicle.

예를 들어, 제어부(300)는 감지된 차량의 진행 방향에 따라 차량의 전방이나 후방의 적어도 일측에 설치된 진행 방향 표시부(200) 중 적어도 하나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여 전술한 제1 패턴(P1) 및 제2 패턴(P2)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다.For example, the control unit 300 may supply power to at least one of the progress direction display units 200 install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front or rear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detected direction of the vehicle, So that the second pattern P2 is formed.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300)가 차량의 진행 방향에 따라 제1 패턴(P1) 및 제2 패턴(P2)을 형성하는 경우에 대하여 도 19 내지 도 22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the case where the controller 300 forms the first pattern P1 and the second pattern P2 according to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vehicl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9 to 22 Let's look at it.

이때, 도 19 내지 도 22는 제2 패턴(P2)이 복수의 패턴 영역(P21, P22, P23)을 포함하는 경우의 일 예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2 패턴(P2)이 단일의 패턴 영역을 포함하는 경우에도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19 to 22 illustrate a case where the second pattern P2 includes a plurality of pattern regions P21, P22 and P23,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second pattern P2 may be a single pattern reg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imilarly applied.

도 19는 차량이 주행 차선을 변경하는 경우의 일 예로서, 도 19를 참조하면, 후방에 위치한 차량이 제1 패턴(P1)과 더불어 형성되는 제2 패턴(P2)을 통해 앞서 주행하는 차량이 변경하려는 차선을 용이하게 인지하고 안전 거리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19 shows an example of a case in which the vehicle changes the driving lane. Referring to Fig. 19, it is assumed that a vehicle that is traveling ahead through the second pattern P2, which is formed with the first pattern P1, The lane to be changed can be easily recognized and the safety distance can be maintained.

도 20은 차량이 교차로 등지에서 턴 방향을 표시하는 경우의 일 예로서, 도 20을 참조하면, 차량이 교차로에서 우회전하여 진행하는 경우 제어부(300)는 차량의 전방 우측에 설치된 진행 방향 표시부(200)에 의해 제1 패턴(P1) 및 제2 패턴(P2)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20, when the vehicle turns right at an intersection and proceeds, the control unit 300 displays the progress direction display unit 200 (see FIG. 20) provided on the front right side of the vehicle, The first pattern P1 and the second pattern P2 can be formed.

따라서, 교차로 등지에서 차량의 턴 방향으로부터 마주오는 다른 차량이 차량의 진행 방향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easily recognize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vehicle from the opposite direction from the turn direction of the vehicle at an intersection or the like.

도 21은 차량이 주차장에서 전진하여 진출할 때 턴 방향을 표시하는 경우의 일 예로서, 도 21을 참조하면, 차량이 주차장에서 우회전하여 진행하는 경우 제어부(300)는 차량의 전방 우측에 설치된 진행 방향 표시부(200)에 의해 제1 패턴(P1) 및 제2 패턴(P2)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1, when the vehicle turns right in the parking lot, the control unit 300 determines whether the vehicle is moving forward in the front right side of the vehicle The first pattern P1 and the second pattern P2 may be formed by the direction display unit 200. [

이때, 도 21에서 제2 패턴(P2)은 차량 주변에 대형 차량이 주차되어 있는 상황에서도 차량의 턴 방향에서 마주오는 주변 차량이나 보행자 등에게 차량의 진행 방향을 표시할 수 있기 때문에 차량의 진출을 인지하지 못하여 차량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second pattern P2 in FIG. 21 can display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vehicle to a neighboring vehicle or a pedestrian, which is opposite from the turn direction of the vehicle, even when a large vehicle is parked around the vehicle, It is possible to prevent a vehicle accident from occurring in advance.

도 22는 차량이 주차장에서 후진으로 진출하는 경우의 일 예로서, 도 22를 참조하면, 차량이 주차장에서 후진하여 진행하는 경우 제어부(300)는 차량의 후방 양측에 설치된 진행 방향 표시부(200)에 의해 각각 제1 패턴(P1) 및 제2 패턴(P2)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22, when the vehicle moves backward from the parking lot, the control unit 300 controls the traveling direction display unit 200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rear of the vehicle The first pattern P1 and the second pattern P2 can be formed by the first pattern P1 and the second pattern P2, respectively.

이때, 도 22에서 제2 패턴(P2)은 차량 주변에 대형 차량이 주차되어 있는 경우에도 제2 패턴(P2)에 의해 차량의 후진을 주변 차량이나 보행자 등에게 알릴 수 있기 때문에 차량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second pattern P2 in FIG. 22 can notify the surrounding vehicles or pedestrians of the backward movement of the vehicle by the second pattern P2 even when a large vehicle is parked around the vehicle, So that it can be prevented in advance.

한편, 전술한 실시예들에서는 제2 패턴(P2) 내의 제1 내지 제 3패턴 영역(P21, P22, P23)이 서로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내지 제 3패턴 영역(P21, P22, P23)의 크기는 서로 다를 수도 있다.Meanwhile, although the first through third pattern regions P21, P22, and P23 in the second pattern P2 are formed to have the same size as each other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1 to the third pattern regions P21, P22, and P23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예를 들어, 제1 내지 제3 램프 모듈(210, 220, 230)에서 제2 패턴(P2)을 형성하는 리플렉터(212b, 222b, 232b)의 반사면의 크기나 반사 각도 등을 통해 제1 내지 제 3패턴 영역(P21, P22, P23)의 크기는 달라질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to third lamp modules 210, 220, and 230 may reflect light from the first to the third lamp modules 210, 220, and 230 through the reflector 212b, 222b, and 232b forming the second pattern P2, The sizes of the third pattern regions P21, P22 and P23 may be different.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는 차량의 턴 방향이나 후진을 점등 패턴 또는 점멸 패턴 등과 같은 제1 패턴(P1)을 통해 표시할뿐만 아니라 차량 주변의 노면에 형성되는 패턴인 제2 패턴(P2)을 통해 표시하기 때문에 주변 차량이나 보행자 등이 제1 패턴(P1)을 인지하기 어려운 위치에서도 차량의 진행 방향을 용이하게 인지하고 이에 대처할 수 있기 때문에 차량 사고나 인명 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vehicle lamp 1 of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displays the turn direction or the backward direction of the vehicle through the first pattern P1 such as the lighting pattern or the blinking pattern, Since the vehicle is displayed through the pattern P2,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vehicle can be easily recognized even in a position where the nearby vehicle or a pedestrian can not recognize the first pattern P1, and the vehicle can cope with it. .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 equivalents thereof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100: 진행 방향 감지부
200: 진행 방향 표시부
300: 제어부
100:
200: progress direction indicator
300:

Claims (10)

차량의 진행 방향을 감지하는 진행 방향 감지부;
상기 진행 방향을 표시하는 제1 패턴 및 상기 차량 주변의 노면에 상기 진행 방향을 표시하는 적어도 하나의 패턴 영역을 포함하는 제2 패턴을 형성하는 진행 방향 표시부; 및
상기 감지된 진행 방향에 따라 상기 진행 방향 표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진행 방향 표시부는,
적어도 하나의 램프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램프 모듈 각각은,
광원; 및
상기 광원으로부터 발생된 광의 일부를 반사시켜 상기 제1 패턴을 형성하는 리플렉터의 반사 영역 내에 상기 광원으로부터 발생된 광의 다른 일부를 반사시켜 상기 제2 패턴을 형성하는 리플렉터가 위치하는 반사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A traveling direction sensing unit for sensing a traveling direction of the vehicle;
A traveling direction display unit for forming a first pattern indicating the traveling direction and a second pattern including at least one pattern area indicating the traveling direction on the road surface around the vehicle; And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progress direction display unit according to the sensed progress direction,
The progress direction display unit displays,
Comprising at least one lamp module,
Wherein each of the at least one lamp module comprises:
Light source; And
And a reflector for reflecting a part of the light generated from the light source and forming a second pattern by reflecting another part of the light generated from the light source in a reflection area of the reflector forming the first pattern,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상기 반사부의 상측에 위치하며,
상기 반사부는,
상기 광원으로부터 하측으로 발생되는 광을 반사시키는 차량용 램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ight source includes:
An upper portion of the reflecting portion,
The reflector includes:
And reflects light generated downward from the light sour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패턴을 형성하는 리플렉터는,
복수의 반사면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반사면 각각은,
볼록한 형상을 가지는 차량용 램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eflector forming the first pattern comprises:
A plurality of reflective surfaces,
Wherein each of the plurality of reflection surfaces comprises:
A lamp for a vehicle having a convex shap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패턴을 형성하는 리플렉터는,
복수의 반사면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반사면 각각은,
오목한 형상을 가지는 차량용 램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eflector forming the second pattern comprises:
A plurality of reflective surfaces,
Wherein each of the plurality of reflection surfaces comprises:
A lamp for a vehicle having a concave shap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패턴을 형성하는 리플렉터의 외곽 경계선은,
상기 제1 패턴을 형성하는 리플렉터의 외곽 경계선과 이격되도록 위치하며, 상기 제1 패턴을 형성하는 리플렉터의 외곽 경계선 내부에 위치하는 차량용 램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outline boundary line of the reflector forming the second pattern is formed so that,
The lamp is located inside the outer boundary line of the reflector forming the first pattern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outer boundary line of the reflector forming the first patter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패턴은,
복수의 패턴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램프 모듈은,
상기 복수의 패턴 영역을 각각 형성하는 복수의 램프 모듈을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pattern may include a first pattern,
A plurality of pattern regions,
Wherein the at least one lamp module comprises:
And a plurality of lamp modules each forming the plurality of pattern regions.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램프 모듈 각각의 상기 제1 패턴을 형성하는 리플렉터는,
일체로 형성되는 차량용 램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reflector forming the first pattern of each of the plurality of lamp modules comprises:
A lamp for a vehicle formed integrally.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램프 모듈 각각은,
상기 제2 패턴을 형성하는 리플렉터와 상기 광원의 광축이 이루는 각도가 서로 다른 차량용 램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each of the plurality of lamp modules comprises:
Wherein an angle formed by the reflector forming the second pattern and the optical axis of the light source is different.
제 6 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패턴 영역 중 서로 인접한 패턴 영역 사이의 간격은,
차량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동일하거나 증가하는 차량용 램프.
In the sixth aspect,
Wherein an interval between pattern areas adjacent to each other among the plurality of pattern areas is set to be a distance
Automotive lamps that are the same or increase the further away from the vehicl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램프 모듈 중 서로 인접한 패턴 영역을 형성하는 램프 모듈 간의 상기 제2 패턴을 형성하는 리플렉터와 상기 광원의 광축이 이루는 각도 차이는,
상기 인접한 패턴 영역이 형성되는 위치가 차량으로부터 멀어질수록 감소하는 차량용 램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angle difference between the reflector forming the second pattern and the optical axis of the light source, between the lamp modules forming the pattern area adjacent to each other among the plurality of lamp modules,
Wherein a position where the adjacent pattern region is formed is reduced as the position is further away from the vehicle.
KR1020160152051A 2016-11-15 2016-11-15 Lamp for vehicle KR10186378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2051A KR101863788B1 (en) 2016-11-15 2016-11-15 Lamp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2051A KR101863788B1 (en) 2016-11-15 2016-11-15 Lamp for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4286A true KR20180054286A (en) 2018-05-24
KR101863788B1 KR101863788B1 (en) 2018-06-01

Family

ID=622966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2051A KR101863788B1 (en) 2016-11-15 2016-11-15 Lamp for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3788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6486A (en) * 2019-04-30 2020-11-0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Optical module of lamp for vehicle and lamp for vehicle using the same
WO2021018808A1 (en) * 2019-07-31 2021-02-04 Valeo Vision Turn signal indicator lighting device with controlled caustic generator surface forming a pattern on a target surface
EP3781439B1 (en) * 2018-04-20 2023-01-11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Method for the communication of a motor vehicle with a road user, and motor vehicle for carrying out the method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78270B2 (en) 1991-03-07 1998-07-23 日産自動車株式会社 Travel direction display device for vehicles
JPH117808A (en) * 1997-06-18 1999-01-12 Koito Mfg Co Ltd Vehicle lamp
JP2010095048A (en) * 2008-10-14 2010-04-30 Toyota Central R&D Labs Inc Vehicular illumination device
KR20130006067A (en) * 2011-07-08 2013-01-16 에스엘 주식회사 Automotive turn signal lamp and cotrolling method for the same
KR20150017219A (en) * 2013-08-06 2015-02-1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Lamp making image for vehicl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78270B2 (en) 1991-03-07 1998-07-23 日産自動車株式会社 Travel direction display device for vehicles
JPH117808A (en) * 1997-06-18 1999-01-12 Koito Mfg Co Ltd Vehicle lamp
JP2010095048A (en) * 2008-10-14 2010-04-30 Toyota Central R&D Labs Inc Vehicular illumination device
KR20130006067A (en) * 2011-07-08 2013-01-16 에스엘 주식회사 Automotive turn signal lamp and cotrolling method for the same
KR20150017219A (en) * 2013-08-06 2015-02-1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Lamp making image for vehicl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781439B1 (en) * 2018-04-20 2023-01-11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Method for the communication of a motor vehicle with a road user, and motor vehicle for carrying out the method
KR20200126486A (en) * 2019-04-30 2020-11-0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Optical module of lamp for vehicle and lamp for vehicle using the same
WO2021018808A1 (en) * 2019-07-31 2021-02-04 Valeo Vision Turn signal indicator lighting device with controlled caustic generator surface forming a pattern on a target surface
FR3099543A1 (en) * 2019-07-31 2021-02-05 Valeo Vision LUMINOUS DEVICE OF DIRECTION CHANGE INDICATOR WITH CONTROLLED CAUSTIC-GENERATING SURFACE FORMING A PATTERN ON A TARGET SURFA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3788B1 (en) 2018-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864355B (en) Lamps apparatus for vehicle
KR101295833B1 (en) Automotive turn signal lamp and cotrolling method for the same
US10076995B2 (en) Automotive lamp
JP5341465B2 (en) Vehicle headlamp
US9889792B2 (en) Automotive lamp
EP3178698A1 (en) Automotive lamp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1863788B1 (en) Lamp for vehicle
US9328886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head lamp for vehicle
KR20120050822A (en) Head lamp assembly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EP2230128B1 (en) Automotive headlamp apparatus for controlling light distribution pattern
JP2008013062A (en) Vehicular lighting system
KR102236476B1 (en) Lamp for vehicle
WO2017051558A1 (en) Motorcycle and motorcycle lighting device
KR20170062103A (en) Lamp for vehicle
KR101863789B1 (en) Automotive lamp and cotrolling method for the same
KR20130136107A (en) An automobile
KR102415521B1 (en) Lamp for vehicle
KR102397538B1 (en) Lamp for vehicle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KR20210022794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guide lamp of vehicle
US9267656B2 (en) Head lamp for vehicle
KR101224515B1 (en) Head lamp assembly
KR20160074904A (en) Lamp for vehicle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KR20190081720A (en) Lamp for vehicle
KR20180070018A (en) Lamp for vehicle
KR20220048661A (en) Pedestrian traffic ligh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