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2794A - Air Wash apparatus - Google Patents

Air Wash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2794A
KR20180052794A KR1020160149299A KR20160149299A KR20180052794A KR 20180052794 A KR20180052794 A KR 20180052794A KR 1020160149299 A KR1020160149299 A KR 1020160149299A KR 20160149299 A KR20160149299 A KR 20160149299A KR 20180052794 A KR20180052794 A KR 201800527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module
space
foreign matter
sh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929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70624B1 (en
Inventor
정재덕
김명상
박봉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492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0624B1/en
Publication of KR201800527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279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06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062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9/00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e.g. air curt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e.g. blowing-out cavit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5Electronic processing for selecting an operating mo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4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 F24F11/77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by controlling the speed of ventil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082Grilles, registers or gu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24F3/1603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08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dry filter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9/00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e.g. air curtains
    • F24F2009/007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e.g. air curtains using more than one jet or band in the air curta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2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users or occupants
    • F24F2120/10Occupanc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2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users or occupants
    • F24F2120/10Occupancy
    • F24F2120/14Activity of occupa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An air wash apparatus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irst air module for blowing curtain air that separates an interior space of a house into an indoor space and an entrance space; a second air module for blowing shower air to a user entering the entrance space to brush off foreign matters remaining on clothing, inside the entrance space; a suction module for sucking foreign matters brushed off by the shower air inside the entrance space; a sensing unit for sensing whether a user entering the inside of the entrance space enters or exits and whether a door is open or closed;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first air module, the second air module, and the suction module based on the information sensed by the sens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l the foreign matters attached to clothing from the outdoor space can be brushed off in the entrance space. In addition, foreign matters brushed off by the shower air in the entrance space can be sucked by the suction module, thereby removing all foreign matters remaining in the entrance space. In addition, the operation of the curtain air is stopped after the operation of the shower air and the suction module is stopped, so that foreign matters being introduced into the indoor space can be prevented to the maximum extent.

Description

에어 워시 장치{Air Wash apparatus}[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wash apparatus,

본 발명은 에어 워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wash apparatus.

통상적으로 단독주택을 비롯하여 아파트 및 오피스텔과 같은 공동주택에 설치된 현관을 출입할 때에는 거의 아무런 위생관념이 없이 출입하였다.In general, when entering or leaving a single-family house or a public house such as an apartment or an office building, they entered the house without any hygiene.

특히, 외출한 후에 귀가하여 실내로 들어올 때에는 옷과 신발 및 손과 발에는 외부의 미세 먼지를 비롯하여 여러 병원균과 화학물질 등 각종 유해성 이물들이 부착된 상태에서 현관을 통해 실내로 들어오게 된다.Especially, when coming home after going out, various harmful foreign matters including clothes, shoes, hands and feet are adhered to the room through the entrance.

따라서, 현관에는 의복이나 손발에 부착된 유해성 이물들을 제거할 수 있는 장치가 전혀 설치되어 있지 않으므로 외출에서 귀가할 때에 의복이나 손발에 부착된 유해성 이물들을 제거하지 않은 상태에서 실내로 들어오게 된다.Therefore, since there is no device for removing harmful foreign objects attached to the clothes or limbs, the entrance door comes into the room without removing the harmful foreign matter attached to clothes or limbs when going out from home.

이와 같이 의복이나 손발에 부착되어 실내로 유입되는 유해성 이물에 의해 실내를 오염시키게 되며, 심지어 병원균에 감염되어 병을 얻게(앓게) 되는 등 위생문제를 유발시킨다.As a result, harmful foreign matter adhering to the clothes and hands and feet to enter the room pollutes the inside of the room and even causes hygiene problems such as infection with pathogens and sickness.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10-242993호, “방충 방진용 에어워시장치”를 살펴보면, 외부공간으로부터 실내공간으로 유입되는 유충이나 먼지 등을 털어내는 에어워시장치가 개시된다. For example, 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2010-242993 discloses an air wash apparatus for blowing out larvae or dusts that flow into an indoor space from an external space.

상기되는 종래기술에 따르면, 유충이나 먼지 등을 외부로 털어낼 수 있으나, 밀폐된 현관 공간일 경우, 털어내진 유충이나 먼지 등이 현관 공간의 내부에서 순환하며 사용자의 호흡기로 흡입되어 사용자의 건강을 해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prior art, larvae or dusts can be shaken to the outside. However, in the case of the closed entrance space, the larvae or dusts that are blown out are circulated in the inside of the entrance space and sucked into the respiratory apparatus of the user, Harmful problems can occur.

또한, 밀폐된 현관 공간 내에서 털어내진 유충이나 먼지 등이 사용자의 호흡기로 유입되지 않으면서도, 실내공간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에어워시장치를 작동하기 위한 별도의 방법이 제시되지 않고 있다.Further, there is no separate method for operating the air-wash apparatus so that the larva or dust that has been blown out from the closed front space is not introduced into the user's respiratory apparatus but flows into the indoor space.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10-242993호, “방충 방진용 에어워시장치”Japanese Unexamined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10-242993, " Air Washing Device for Insect Dustproofing &

본 발명은, 실외공간으로부터 의류에 부착되는 이물이 실내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의류에 부착된 이물을 현관공간에서 털어낼 수 있는 에어워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n air wash apparatus capable of removing foreign matter adhering to clothes from a doorway space to prevent foreign matter adhering to the clothes from entering the interior space from the outdoor space.

본 발명은, 현관 공간에서 에어에 의하여 털어내진 이물이 사용자의 호흡기로 흡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에어워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n air wash apparatus capable of preventing a foreign object blown off by air from a mouthpiece space from being sucked into a user's respiratory apparatus.

본 발명은, 사용자가 실외공간에서 실내공간으로 출입하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의류에 잔존하는 이물을 단계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propose a method for stepwise removing foreign matter remaining in a user's garment in a process of a user entering and leaving the outdoor space from the outdoor space.

본 발명에 따른 에어워시장치는, 실내공간과 현관공간을 구분하기 위하여 커튼용 에어를 분사하는 제1에어모듈을 포함하여, 현관공간의 공기가 상기 실내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air wash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air module for spraying air for curtains to distinguish between an indoor space and a front door space, thereby preventing air in the door space from being introduced into the indoor space.

또한, 상기 현관공간에 배치되고, 사용자를 향해 샤워용 에어를 분사하는 제2에어모듈을 포함하여, 사용자의 의류에 잔존하는 이물을 털어낼 수 있다.The second air module is disposed in the front space and ejects shower air toward the user, so that foreign matter remaining in the user's clothes can be blown away.

또한, 상기 현관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샤워용 에어에 의하여 털어내진 이물을 흡입하는 흡입모듈을 포함하여, 상기 현관공간 상에서 비산되는 이물을 흡입할 수 있다.Further, a suction module, which is disposed in the door space and that sucks foreign matter blown out by the shower air, may be sucked in.

또한, 상기 현관공간과 상기 실내공간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의 개방여부를 파악하거나, 사용자가 상기 현관공간으로 출입하는 여부를 파악할 수 있는 감지부를 포함하여, 도어의 개방여부 및 사용자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And a sensing unit for sensing whether or not a door that selectively opens and closes the interior space and the interior space is opened or whether a user enters or exits the interior space, can do.

또한,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되는 도어의 개방여부 및 사용자의 개방여부에 기초하여 제1,2에어모듈 및 흡입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유동적으로 변화되는 상황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first and second air modules and the suction module based on whether the door detected by the sensing unit is opened or not, and can actively respond to a situation where the first and second air modules and the suction module are fluidly changed.

또한, 도어가 개방되는 경우, 상기 제1에어모듈은 상기 제2에어모듈보다 우선으로 작동하여, 상기 도어를 개방하여 실외공간의 공기가 실내공간으로 급속도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door is opened, the first air module operates in preference to the second air module, so that the door can be opened to prevent the air in the outdoor space from being rapidly introduced into the indoor space.

또한, 상기 커튼용 에어의 풍량은 상기 샤워용 에어에서 분사되는 풍량보다 크게 분사되거나, 상기 샤워용 에어에 대응되는 풍량으로 분사되어, 상기 샤워용 에어에 의하여 의류로부터 털어내진 이물이 상기 샤워용 에어를 통과하여 실내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irflow rate of the curtain air may be larger than the airflow rate of the air for showering, or the airflow may be jetted at a flow rate corresponding to the showering air, So that it can be prevented from flowing into the indoor space.

또한, 상기 흡입모듈은 상기 샤워용 에어에서 분사되는 풍량과 대응되는 풍향을 흡입하거나, 상기 샤워용 에어의 풍량보다 큰 풍량을 흡입하여, 상기 현관공간에서 비산되는 이물을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ction module sucks the wind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air amount blown from the shower air, or sucks air volume larger than the air volume of the shower air, so that foreign matter scattered in the front space can be quickly removed.

또한, 상기 흡입모듈은 상기 샤워용 에어보다 나중에 오프 작동하여, 상기 샤워용 에어에 의하여 상기 현관공간에서 비산되어 있는 이물을 모두 제거한 후 작동을 종료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ction module may be operated off later than the shower air so as to remove all foreign matter scattered in the door space by the shower air, and then terminate the operation.

본 발명에 따르면, 실외공간에서 의류에 부착된 이물을 현관공간에서 모두 제거할 수 있으므로, 깨끗한 실내공간을 유지할 수 있다.INDUSTRIAL APPLICAB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move all the foreign materials attached to clothes in the outdoor space, so that a clean indoor space can be maintained.

본 발명에 따르면, 샤워용 에어에 의하여 현관 공간으로 털어내진 이물을 흡입하는 흡입모듈을 구비함으로써, 사용자의 호흡기로 흡입될 수 있는 이물을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uction module is provided for sucking the foreign object blown out into the opening space by the air for showering, the foreign matter which can be sucked into the respirator of the user can be quickly removed.

본 발명에 따르면, 커튼용 에어를 샤워용 에어보다 우선으로 분사함으로써, 현관공간의 내부에서 비산되는 이물이 실내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oreign matter scattered in the interior of the interior space from flowing into the interior space by jetting the air for curtain in preference to the air for showering.

본 발명에 따르면, 샤워용 에어에 의하여 털어내진 이물 이외에도, 현관공간에 미리 존재하는 이물을 흡입모듈로 흡입함으로써, 깨끗한 현관공간을 유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foreign object blown out by the air for showering, the pre-existing foreign object in the entrance space is sucked into the suction module, so that a clean entrance space can be maintained.

본 발명에 따르면, 감지부에 의하여 도어의 개폐여부 및 사용자의 출입여부를 감지함으로써, 유동적으로 변화되는 도어 및 현관공간의 상황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ositively cope with the situation of door and front door space which are fluidically changed by detecting whether the door is opened or closed and whether or not the user is in or out by the sensing unit.

본 발명에 따르면, 샤워용 에어를 분사하는 제2에어모듈과 흡입모듈의 작동이 오프된 이후, 커튼용 에어의 작동을 오프함으로써, 상기 현관공간에서 미처 제거되지 못한 이물이 실내공간으로 유입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fter the operation of the second air module for spraying the shower air and the operation of the suction module are turned off, the operation of the curtain air is turned off, so that the foreign matter that can not be removed from the interior space flows into the interior space Can be prevented.

도 1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에어워시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에어워시장치의 작동을 나타내는 작동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워시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워시장치의 제어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워시장치의 작동을 나타낸 작동도.
1 is a view showing an air wash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2 is an operation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air wash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3 is a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n air wash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trol configuration of an air wash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to 7 are operation diagrams showing operation of an air wash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에어워시장치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air wash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에어워시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n air wash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에어워시장치(100)는 제1에어모듈(110), 제2에어모듈(120) 및 흡입모듈(1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어워시장치(100)는 현관공간(S2)에 배치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an air wash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irst air module 110, a second air module 120, and a suction module 130. The air wash apparatus 100 may be disposed in the door space S2.

상기 현관공간(S2)은 주택의 실내공간(S1)과 주택의 실외공간(S3)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현관공간(S2)에서 사용자는 신발을 벗거나, 신는 등의 행동을 취할 수 있다. 상기 현관공간(S2)과 상기 실내공간(S1)은 도어(10)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서로 연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도어(10)가 닫힐 경우, 상기 현관공간(S2)은 상기 실외공간(S3)과 구획될 수 있다.The door space S2 may be disposed between the indoor space S1 of the house and the outdoor space S3 of the house. In the door space S2, the user can take actions such as taking off shoes, wearing shoes, and the like. The door space S2 and the indoor space S1 can be selectively communicated with each other by the door 10. [ For example, when the door 10 is closed, the door space S2 may be partitioned from the outdoor space S3.

상기 현관공간(S2)은 주택의 출입공간으로써, 상기 실외공간(S3)으로부터 이물 등이 부착된 사용자가 상기 도어(10)를 통하여 출입함으로써, 상기 이물 등이 유입될 수 있다. 이때, 이물에는 사용자의 건강을 해치는 미세먼지, 중금속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entrance space S2 is an entrance and exit space of a house, and a user with a foreign object or the like attached thereto from the outdoor space S3 can enter and exit through the door 10, so that the foreign object or the like can be introduced. At this time, foreign matter may include fine dusts, heavy metals, etc., which harm the health of the user.

따라서, 상기 현관공간(S2)에는 상기 실외공간(S3)으로부터 상기 실내공간(S1)으로 출입하는 사용자에게서 상기 이물 등을 제거하기 위한 에어워시장치(100)가 배치될 수 있다.Therefore, in the door space S2, an air wash apparatus 100 for removing the foreign object from the outdoor space S3 may be disposed in the user entering and leaving the indoor space S1.

상기 에어워시장치(100)는 에어를 분사하는 상기 제1에어모듈(110), 상기 제2에어모듈(120) 및 에어를 흡입하는 상기 흡입모듈(130)이 하나의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The air wash apparatus 100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first air module 110 for blowing air, the second air module 120 and the suction module 130 for sucking air are installed in one housing However, there is no limitation.

상기 제1에어모듈(110)과 상기 제2에어모듈(120)은 실내 공기 또는 실외 공기를 흡입하여, 현관 내에 위치한 사람에게 에어(Air)를 분사할 수 있도록, 에어 분사 장치(미도시) 및 에어 흡입 장치(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air module 110 and the second air module 120 are connected to an air injection device (not shown) and a second air module (not shown) so as to suck indoor air or outdoor air, And an air suction device (not shown).

상기 흡입모듈(130)은 상기 제1에어모듈(110)과 상기 제2에어모듈(12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서 분사된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제1에어모듈(110)과 상기 제2에어모듈(12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입모듈(130)은 흡입된 공기에서 이물 등을 걸러내는 필터, 살균장치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uction module 130 sucks the air injected from at least one of the first air module 110 and the second air module 120 so that the first air module 110 and the second air module 120, (120). ≪ / RTI > In addition, the suction module 130 may further include a filter, a sterilizing device, and the like for filtering foreign matter from the sucked air.

상기 제1에어모듈(110)은 상기 실내공간(S1)에 인접한 상기 현관공간(S2)의 상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에어모듈(110)은 상기 현관공간(S2)과 상기 실내공간(S1)을 에어를 분사하여 구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에어모듈(110)에서 분사하는 에어를 커튼용 에어이라 할 수 있다. 상기 제1에어모듈(110)에서 분사되는 커튼용 에어에 의하여 상기 현관공간(S2), 상기 실외공간(S3) 등의 이물 등이 상기 실내공간(S1)으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The first air module 110 may be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oor space S2 adjacent to the indoor space S1. The first air module 110 can divide the indoor space S2 and the indoor space S1 by injecting air. At this time, the air ejected from the first air module 110 may be referred to as curtain air. It is possible to prevent a foreign object such as the door space S2 and the outdoor space S3 from being introduced into the indoor space S1 by the curtain air injected from the first air module 110. [

상기 제2에어모듈(120)은 상기 제1에어모듈(110)과 상기 도어(10)의 사이에서 상기 현관공간(S2)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에어모듈(120)은 상기 현관공간(S2)으로 출입하는 사용자의 의류에 부착된 이물 등을 털어내기 위한 에어를 분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에어모듈(120)에서 분사되는 에어를 샤워용 에어라 할 수 있다. 상기 제2에어모듈(120)에서 분사되는 샤워용 에어에 의하여 상기 현관공간(S2)을 출입하는 사용자에게 부착된 이물 등은 털어내질 수 있다.The second air module 120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oor space S2 between the first air module 110 and the door 10. [ The second air module 120 can blow air for blowing foreign matter adhering to the clothes of the user entering and exiting the entrance space S2. At this time, the air injected from the second air module 120 may be referred to as shower air. Foreign matter adhered to the user entering and exiting the door space S2 can be blown off by the air for shower sprayed from the second air module 120. [

상기 흡입모듈(130)은 상기 실외공간(S3)에 인접한 상기 현관공간(S2)의 상면에 설치될 수 있다. 또는, 상기 흡입모듈(130)은 상기 제2에어모듈(120)과 상기 도어(1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흡입모듈(130)은 상기 제2에어모듈(120)에 의하여 사용자로부터 털어내진 이물 등을 흡입할 수 있다.The suction module 130 may be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oor space S2 adjacent to the outdoor space S3. Alternatively, the suction module 13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second air module 120 and the door 10. The suction module 130 can suck foreign matter or the like that has been blown away from the user by the second air module 120.

상기 제1에어모듈(110), 상기 제2에어모듈(120) 및 상기 흡입모듈(130)은 제어 모듈에 제어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에어모듈(110) 및 상기 제2에어모듈(120) 각각에서 분사되는 에어의 풍량은 상기 제어 모듈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The first air module 110, the second air module 120, and the suction module 130 may be controlled by a control module. The amount of air blown from each of the first air module 110 and the second air module 120 can be controlled by the control module.

상기 제2에어모듈(120)은 상기 제1에어모듈(110) 및 상기 흡입모듈(130)의 사이에서 현관의 상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상기 제1에어모듈(110), 상기 제2에어모듈(120) 및 상기 흡입모듈(130)이 서로 이격되어 별도의 하우징에 각각 구성되는 것 또한 가능할 것이다. 이러한 사상에 제한되지 않는다.The second air module 120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ront door between the first air module 110 and the suction module 130. The first air module 110, It will also be possible for the module 120 and the suction module 130 to be spaced apart from one another and configured in separate housings, respectively. It is not limited to this idea.

다만, 상기 제1에어모듈(110)은 상기 제2에어모듈(120) 및 상기 흡입모듈(130)보다 상기 실내공간(S1)에 인접한 상기 현관공간(S2)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상기 제1에어모듈(110)에 의하여 상기 현관공간(S2)에서 상기 제2에어모듈(120)에 의하여 털어내진 이물 등이 상기 실내공간(S1)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The first air module 110 may be disposed in the door space S2 adjacent to the indoor space S1 than the second air module 120 and the suction module 130. [ According to this, it is possible to prevent foreign matter or the like, which has been blown off by the second air module 120, from entering the interior space S1 by the first air module 110 to be.

한편, 상기 현관공간(S2)과 상기 실외공간(S3)을 구획하는 상기 도어(10)는 힌지(Hinge)에 의하여 회동하거나, 슬라이딩(Sliding)에 의하여 이동하는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도어(10)는 문기둥(20)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문기둥(20)은 상기 도어(10)를 고정하기 위한 구조물로써 이해할 수 있다.Meanwhile, the door 10 partitioning the door space S2 and the outdoor space S3 may be provided in such a manner as to be rotated by a hinge or moved by sliding. The door 10 may be installed on the door pillar 20. The door post (20) can be understood as a structure for fixing the door (10).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에어워시장치의 작동을 나타내는 작동도이다.2 is an operational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air wash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에어워시장치(100)는 사용자가 현관공간(S2)으로 출입하면, 작동이 시작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the operation of the air wash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started when a user enters or exits the front space S2.

예를 들어, 실외공간(S3)에서 사용자가 도어(10)를 개방하여 상기 현관공간(S2)으로 진입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도어(10)를 오픈하거나, 사용자가 상기 현관공간(S2)으로 진입하는 것이 확인되면, 상기 에어워시장치(100)가 작동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상기 현관공간(S2)으로 진입하고, 상기 도어(10)를 폐쇄하면, 상기 에어워시장치(100)가 작동할 수 있다. 이러한 사상에 제한되지 않는다.For example, in the outdoor space S3, the user can open the door 10 to enter the entrance space S2. When the user confirms that the door 10 is opened or the user enters the interior space S2, the air wash apparatus 100 can be operated. Alternatively, when the user enters the door space S2 and closes the door 10, the air wash apparatus 100 can be operated. It is not limited to this idea.

상기 에어워시장치(100)가 작동하면, 상기 제1에어모듈(110)이 우선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 상기 제1에어모듈(110)에 작동하면, 실내공간(S1)과 상기 현관공간(S2)을 구분하는 샤워용 에어를 분사할 수 있다. 상기 제1에어모듈(110)이 작동하면, 상기 제2에어모듈(120) 및 흡입모듈(130)이 작동할 수 있다.When the air wash apparatus 100 is operated, the first air module 110 can operate preferentially. When the first air module 110 is operated, it is possible to inject shower air that distinguishes between the indoor space S1 and the door space S2. When the first air module 110 operates, the second air module 120 and the suction module 130 may operate.

상기 제2에어모듈(120)은 상기 현관공간(S2)으로 진입하는 사용자를 향하여 샤워용 에어를 분사할 수 있다. 상기 제2에어모듈(120)에서 분사되는 에어는 사용자의 의류 등에 부착된 이물 등을 털어낼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에어모듈(120)은 사용자의 머리로부터 발을 향하여 상하방향으로 에어를 유동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제2에어모듈(120)에서 분사되는 에어는 상하방향으로 유동하며 사용자에게 부착된 이물 등을 털어낼 수 있다. The second air module 120 may inject air for shower toward a user entering the entrance space S2. The air blown from the second air module 120 can blow off foreign matter adhered to clothes or the like of the user. At this time, the second air module 120 can flow the air in the vertical direction from the user's head toward the feet. That is, the air injected from the second air module 120 flows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can remove foreign matter adhered to the user.

상기 제2에어모듈(120)에서 분사되는 에어는 사용자의 의류에 부착된 이물 등을 털어내기 위하여 일정한 세기 이상의 풍량으로 분사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에어모듈(120)에서 분사되는 에어는 상기 제1에어모듈(110)을 향하는 방향으로 분사되지 않도록 분사되는 방향이 제한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2에어모듈(120)에서 분사되는 에어가 상기 제1에어모듈(110)에서 분사되는 에어를 향하여 분사되면, 상기 현관공간(S2)의 내부에서 비산되는 이물 등이 상기 제1에어모듈(110)을 통과하여 상기 실내공간(S1)으로 유입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에어모듈(120)에서 분사되는 에어는 상기 제1에어모듈(110)을 향하는 방향으로의 유동이 제한될 수 있다.The air injected from the second air module 120 may be blown with air of a predetermined intensity or more to shake off foreign matter adhered to the wearer's clothing. At this time, the direction of the air injected from the second air module 120 may be limited so that the air is not injected toward the first air module 110. In other words, when the air injected from the second air module 120 is injected toward the air injected from the first air module 110, a foreign matter or the like scattered in the interior space S2 passes through the first The air may pass through the air module 110 and enter the indoor space S1. Therefore, the flow of air from the second air module 120 toward the first air module 110 can be restricted.

상기 제2에어모듈(120)에서 털어내진 이물 등은 상기 현관공간(S2)이 내부에서 비산할 수 있다. 비산된 이물 등은 상기 흡입모듈(130)에 의하여 흡입될 수 있다. The front space S2 may be scattered from the inside of the second air module 120. The scattered foreign object or the like can be sucked by the suction module 130.

상기 흡입모듈(130)은 상기 제2에어모듈(120)과 동시에 작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입모듈(130)은 상기 제2에어모듈(120)의 풍량보다 센 흡입력으로 비산된 이물 등을 흡입할 수 있다. The suction module 130 may operate simultaneously with the second air module 120. In addition, the suction module 130 can suck foreign matter scattered by the suction force of the air more than the air amount of the second air module 120.

상기 흡입모듈(130)은 상기 현관공간(S2)에서 비산된 이물 등을 걸러내는 필터, 살균모듈 등을 더 구비하여, 상기 이물 등이 포함된 공기를 정화할 수 있다. 정화된 공기는 상기 제1에어모듈(110)과 상기 제2에어모듈(120) 등으로 전달될 수 있다. 전달된 공기는 상기 제1에어모듈(110)과 상기 제2에어모듈(120)을 통하여 다시 분사될 수 있다.The suction module 130 further includes a filter, a sterilizing module, and the like for filtering out foreign matter scattered in the interior space S2, thereby purifying the air including the foreign matter. The purified air can be transferred to the first air module 110, the second air module 120, and the like. The delivered air can be injected again through the first air module 110 and the second air module 120.

즉, 사용자가 상기 실외공간(S3)으로부터 이물 등이 부착된 의류를 착용한 상태에서 주택으로 진입하여도 상기 현관공간(S2)에서 상기 에어워시장치(100)에 의하여 이물 등을 제거할 수 있다.That is, even if the user enters the house while wearing clothes attached with foreign objects from the outdoor space S3, the foreign matter can be removed from the interior space S2 by the air wash apparatus 100 .

상기 에어워시장치(100)에 의하여 이물 등이 제거된 상태에서 상기 실내공간(S1)으로 사용자가 진입함으로써, 청결한 실내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10)를 폐쇄한 상기 현관공간(S2)에서 상기 에어워시장치(100)가 작동됨으로써, 추가적으로 실외공간(S3)에서 유입될 수 있는 이물 등을 방지할 수 있다.A clean room can be formed by the user entering the indoor space S1 in a state in which the foreign object or the like is removed by the air wash apparatus 100. [ In addition, since the air wash apparatus 100 is operated in the door space S2 in which the door 10 is closed, it is possible to further prevent foreign objects or the like that may flow into the outdoor space S3.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워시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3 is a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n air wash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에어워시장치(100)는 다수의 모듈이 하나의 하우징 내부에 배치될 수 있고, 다수의 모듈 각각이 분리되어 상기 에어워시장치(100)를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사상에 제한되지 않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다수의 모듈이 각각 분리되어 제공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Referring to FIG. 3, in the air wash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 plurality of modules can be disposed in one housing, and each of the plurality of modules is separated to constitute the air wash apparatus 100 . Although not limited to this concept, it is assumed that a plurality of modules are separately provided in the present embodiment.

상기 에어워시장치(100)는 제1에어모듈(110), 제2에어모듈(120) 및 흡입모듈(1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어워시장치(100)는 현관공간(S2)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어워시장치(100)의 상기 현관공간(S2)의 상면 이외의 측면, 하면에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사상에 제한되지 않는다.The air wash apparatus 100 may include a first air module 110, a second air module 120, and a suction module 130. The air wash apparatus 100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oor space S2. Further, it may be provided on a side surface and a bottom surface other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door space S2 of the air wash apparatus 100. [ It is not limited to this idea.

상기 제1에어모듈(110)에는 상기 제1에어모듈(110)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제1흡입구(111)와, 상기 제1흡입구(111)에서 흡입된 공기를 상기 현관공간(S2)으로 토출하는 제1토출구(112)와, 상기 제1흡입구(111)에서 상기 제1토출구(112)로 유동하는 에어를 발생시키는 제1송풍팬(113)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송풍팬(113)을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air module 110 includes a first inlet 111 through which air can flow into the first air module 110 and a second inlet 111 through which air sucked from the first inlet 111 flows into the front space And a first blowing fan 113 for generating air flowing from the first suction port 111 to the first discharge port 112. The first blowing fan 113 may be a fan, In addition, a motor for rotating the first blowing fan 113 may be further included.

상기 제2에어모듈(120)에는 상기 제2에어모듈(120)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제2흡입구(121)와, 상기 제2흡입구(121)에서 흡입된 공기를 상기 현관공간(S2)으로 토출하는 제2토출구(122)와, 상기 제2흡입구(121)에서 상기 제2토출구(122)로 유동하는 에어를 발생시키는 제2송풍팬(123)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송풍팬(123)을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토출구(122)에는 상기 현관공간(S2)으로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가이드부(124)가 제공될 수 있다. The second air module 120 includes a second suction port 121 through which air can be introduced into the second air module 120 and a second suction port through which the air sucked from the second suction port 121 flows into the front space And a second blowing fan 123 for generating air flowing from the second suction port 121 to the second discharge port 122. [ Further, it may further include a motor for rotating the second blowing fan 123. In addition, the second discharge port 122 may be provided with a guide part 124 capable of adjusting the flow direction of the air discharged into the interior space S2.

상기 흡입모듈(130)에는 상기 현관공간(S2)으로부터 이물 등이 포함된 공기를 상기 흡입모듈(130)의 내부로 흡입하는 제3흡입구(131)와, 상기 제3흡입구(131)에서 흡입된 공기를 상기 흡입모듈(130)의 외부로 토출하는 제3토출구(132)와, 상기 제3흡입구(131)에서 상기 제3토출구(132)로 유동하는 에어를 발생시키는 제3송풍팬(133)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3송풍팬(133)을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uction module 130 is provided with a third suction port 131 for sucking air containing foreign matter and the like from the inlet space S2 into the suction module 130 and a third suction port 131 for sucking A third discharge port 132 for discharging air to the outside of the suction module 130 and a third fan 133 for generating air flowing from the third suction port 131 to the third discharge port 132, May be included. Further, it may further include a motor for rotating the third blowing fan 133.

상기 제1에어모듈(110)은 실내공간(S1) 또는 현관공간(S2)으로부터 상기 제1흡입구(111)를 통하여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그리고, 흡입된 공기는 상기 제1토출구(112)로 토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에어모듈(110)은 실내공간(S1) 또는 현관공간(S2)의 공기를 사용하여 작동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흡입구(111)는 실내공간(S1)의 공기를 흡입하도록 상기 실내공간(S1)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사상에 제한되지 않고, 상기 제1흡입구(111)는 상기 제1에어모듈(110)의 모든 면에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air module 110 may suck air from the indoor space S1 or the front space S2 through the first suction port 111. [ The sucked air can be discharged to the first discharge port (112). Accordingly, the first air module 110 can operate using the air in the indoor space S1 or the indoor space S2. Preferably, the first suction port 111 may be disposed to face the indoor space S1 to suck air in the indoor space S1. The first air inlet 111 may be disposed on all the surfaces of the first air module 110. [

상기 제2에어모듈(120)은 실내공간(S1) 또는 현관공간(S2)으로부터 상기 제2흡입구(121)를 통하여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그리고, 흡입된 공기는 상기 제2토출구(122)로 토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에어모듈(120)은 실내공간(S1) 또는 현관공간(S2)의 공기를 사용하여 작동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에어모듈(120)은 상기 제1에어모듈(110)에 의하여 실내공간(S1)과 구획된 현관공간(S2) 상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현관공간(S2)의 공기를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흡입구(121)는 현관공간(S2)의 공기를 흡입하도록 상기 현관공간(S2)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사상에 제한되지 않고, 상기 제2흡입구(121)는 상기 제2에어모듈(120)의 모든 면에 배치될 수 있다.The second air module 120 can suck air from the indoor space S1 or the front space S2 through the second suction port 121. [ The sucked air can be discharged to the second discharge port 122. Accordingly, the second air module 120 can operate using the air in the indoor space S1 or the indoor space S2. Preferably, the second air module 120 is disposed on the door space S2 partitioned by the first air module 110 from the indoor space S1, so that the air in the door space S2 can be used . Accordingly, the second suction port 121 may be disposed to face the interior space S2 to suck air in the interior space S2. The second air inlet 121 may be disposed on all sides of the second air module 120. [

상기 제1에어모듈(110), 제2에어모듈(120)에서 사용되는 공기는 실내공간(S1) 또는 현관공간(S2)의 공기 이외에도 별도의 덕트를 통하여 외부로부터 공급받을 수도 있다.The air used in the first air module 110 and the second air module 120 may be supplied from the outside through a separate duct in addition to the air in the indoor space S1 or the indoor space S2.

상기 흡입모듈(130)은 상기 현관공간(S2)의 공기를 제3흡입구(131)를 통하여 흡입할 수 있다. 상기 제3흡입구(131)는 상기 흡입모듈(130)의 모든 면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흡입구(131)는 상기 흡입모듈(130)의 적어도 일면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3흡입구(131)로 흡입된 공기는 상기 제3토출구(132)로 토출될 수 있다. The suction module 130 may suck air from the inlet space S2 through the third suction port 131. [ The third suction port 131 may be provided on all surfaces of the suction module 130. Also, the third suction port 131 may be provid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suction module 130. The air sucked into the third suction port (131) can be discharged to the third discharge port (132).

이때, 상기 제2에어모듈(120)의 제2흡입구(121)와, 상기 흡입모듈(130)의 제3토출구(132)는 서로 마주보도록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흡입구(121)와 상기 제3토출구(132)는 서로 연통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에어모듈(120)에서 토출되는 공기는 상기 흡입모듈(130)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사용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econd suction port 121 of the second air module 120 and the third discharge port 132 of the suction module 130 may be provided so as to face each other. The second suction port 121 and the third discharge port 132 may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at is, the air discharged from the second air module 120 can use the air sucked from the suction module 130.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한정된 현관공간(S2) 내부에서 이물 등을 제거하기 위한 공기순환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With such a configuration, an air circulation flow path for removing foreign matter or the like can be formed within the limited front space S2.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워시장치의 제어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trol configuration of an air wash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에어워시장치(100)는 제1에어모듈(110), 제2에어모듈(120) 및 흡입모듈(13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에어워시장치(100)는 감지부(140) 및 제어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4, the air wash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first air module 110, a second air module 120, and a suction module 130. The air wash apparatus 100 may further include a sensing unit 140 and a controller 150.

상기 제1에어모듈(110)은 상기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작동하여, 커튼용 에어(Air_1)를 분사할 수 있다. 상기 제2에어모듈(120)은 상기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작동하며, 샤워용 에어(Air_2)를 분사할 수 있다. 상기 흡입모듈(130)은 상기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작동하며, 현관공간(S2)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용 에어(Air_3)를 제공할 수 있다.The first air module 110 may operat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50 to emit the curtain air Air_1. The second air module 120 operates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50, and can spray air (Air_2) for showering. The suction module 130 is operat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50 and may provide air Su for sucking air in the inlet space S2.

상기 커튼용 에어(Air_1)는 상기 현관공간(S2)의 상부에서 하부를 향하는 방향, 즉 수직방향으로 분사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튼용 에어(Air_1)의 풍량은 제2에어모듈(120)에서 분사되는 상기 샤워용 에어(Air_2)와 대응되거나, 상기 샤워용 에어(Air_2)의 풍량보다 클 수 있다.The curtain air (Air_1) may be sprayed in a downward direction, that is, a vertical direction, from an upper portion of the door space (S2). The air volume of the curtain air Air_1 may correspond to the shower air Air_2 emitted from the second air module 120 or may be larger than the air volume of the shower air Air_2.

상기 샤워용 에어(Air_2)는 상기 현관공간(S2)의 상부에서 하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수직 방향으로 분사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샤워용 에어(Air_2)는 상기 가이드부(124)에 의하여 경사지도록 분사될 수 있다. 상기 샤워용 에어(Air_2)의 풍량은 사용자의 의류 등에 잔존하는 이물 등을 털어낼 수 있는 일정한 풍량으로 분사될 수 있다.The shower air (Air_2) may be injected in a vertical direction in a downward direction from an upper portion of the door space (S2). Alternatively, the shower air (Air_2) may be injected so as to be inclined by the guide part (124). The air flow rate of the shower air (Air_2) can be blown at a constant air flow rate capable of blowing foreign matter remaining on the user's clothes.

상기 흡입용 에어(Air_3)는 상기 현관공간(S2)의 공기를 흡입하며, 상기 현관공간(S2)에서 상기 흡입모듈(130)을 향하는 방향으로 유동하는 에어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흡입용 에어(Air_3)는 상기 샤워용 에어(Air_2)의 풍량과 대응되는 풍량을 흡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입용 에어(Air_3)는 상기 샤워용 에어(Air_2)의 풍량보다 큰 풍량을 흡입할 수 있다. 이러한 사상에 제한되지 않는다.The suction air (Air_3) sucks air in the inlet space (S2) and can form air flowing in the direction toward the suction module (130) from the inlet space (S2). The suction air (Air_3) can suck the air volume corresponding to the air volume of the shower air (Air_2). In addition, the suction air (Air_3) can suck air volume larger than the air volume of the shower air (Air_2). It is not limited to this idea.

상기 제1에어모듈(110) 및 상기 제2에어모듈(120)은 상기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동일한 시점에 온 작동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에어모듈(110)이 상기 제2에어모듈(120)보다 우선으로 에어를 분사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에어모듈(110)의 커튼용 에어(Air_1)는 상기 제2에어모듈(120)의 샤워용 에어(Air_2)보다 우선으로 분사될 수 있다. The first air module 110 and the second air module 120 may be operated at the same time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50. [ Alternatively, the first air module 110 may inject air prior to the second air module 120. That is, the curtain air (Air_1) of the first air module (110) may be injected prior to the shower air (Air_2) of the second air module (120).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커튼용 에어(Air_1)가 상기 샤워용 에어(Air_2)보다 우선 분사되거나, 풍량이 더 큼으로써, 실내공간(S1)과 상기 현관공간(S2)이 구획된 상태에서 상기 샤워용 에어(Air_2)가 사용자로부터 이물 등을 털어낼 수 있다. 즉, 상기 실내공간(S1)으로 상기 현관공간(S2)의 이물 등이 투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According to such a configuration, the curtain air (Air_1) is injected prior to the shower air (Air_2) or the airflow is larger, so that the indoor space (S1) and the front door space (S2) Air (Air_2) can be used to blow out foreign matters from the user. That is, foreign matter or the like in the interior space S2 can be prevented from being introduced into the interior space S1.

상기 제1에어모듈(110) 및 상기 제2에어모듈(120)은 상기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동일한 시점에 오프 작동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2에어모듈(120)이 상기 제1에어모듈(110)보다 우선으로 오프 작동할 수 있다. 즉, 상기 샤워용 에어(Air_2)는 상기 커튼용 에어(Air_1)보다 우선으로 오프 작동할 수 있다.The first air module 110 and the second air module 120 may be turned off at the same time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50. Alternatively, the second air module 120 may be turned off prior to the first air module 110. That is, the shower air (Air_2) can be turned off prior to the curtain air (Air_1).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샤워용 에어(Air_2)가 상기 커튼용 에어(Air_1)보다 우선으로 오프 됨으로써, 상기 현관공간(S2)에서 비산된 이물 등이 상기 커튼용 에어(Air_1)에 의하여 상기 실내공간(S1)으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According to such a configuration, the shower air (Air_2) is turned off prior to the curtain air (Air_1), so that foreign matter scattered in the interior space (S2) is blown by the curtain air (S1).

상기 흡입모듈(130)은 상기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1에어모듈(110) 및 상기 제2에어모듈(120)과 동일한 시점에 온 작동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에어모듈(110) 및 상기 제2에어모듈(120)보다 우선적으로 온 작동할 수 있다. 이러한 사상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만, 상기 흡입모듈(130)은 상기 샤워용 에어(Air_2)에 의하여 털어내진 이물 등을 흡입하여야 함으로, 상기 샤워용 에어(Air_2)와 동일한 시점 또는 상기 샤워용 에어(Air_2)보다 우선적으로 작동하여, 털어내진 이물이 용이하게 흡입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uction module 130 may be turned on at the same time as the first air module 110 and the second air module 12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50. [ Alternatively, the first air module 110 and the second air module 120 may be turned on preferentially. It is not limited to this idea. However, since the suction module 130 needs to suck foreign matter blown out by the shower air (Air_2), the suction module 130 preferentially operates at the same time as the shower air (Air_2) or prior to the shower air (Air_2) , It is preferable that foreign matter that is blown out is easily sucked.

또한, 상기 흡입모듈(130)은 상기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1에어모듈(110) 및 상기 제2에어모듈(120)과 동일한 시점에 오프 작동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에어모듈(110)과 상기 제2에어모듈(120)보다 우선적으로 오프 작동할 수 있다. 이러한 사상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만, 상기 샤워용 에어(Air_2)에 의하여 이물 등이 상기 현관공간(S2)에서 비산되고 있으므로, 상기 흡입모듈(130)은 상기 샤워용 에어(Air_2)보다 나중에 오프되도록 작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uction module 130 may be turned off at the same time as the first air module 110 and the second air module 12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50. Alternatively, the first air module 110 and the second air module 120 may be turned off preferentially. It is not limited to this idea. However, since the foreign object or the like is scattered in the door space S2 by the shower air (Air_2), the suction module 130 preferably operates to be later than the shower air (Air_2).

상기 감지부(140)는 상기 현관공간(S2)으로 출입하는 사용자의 출입여부를 인식하거나, 도어(10)의 개방여부를 인식할 수 있다. 상기 감지부(140)는 상기 현관공간(S2)을 촬영하는 카메라 또는 상기 도어(10)의 개방여부를 확인하는 센서 등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감지부(140)는 상기 카메라를 통하여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기 위한 영상분석부 또는 상기 센서를 통하여 측정된 센서값을 판단하기 위한 센서판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사상에 제한되지 않는다.The sensing unit 140 recognizes whether the user enters or exits the entrance space S2 or recognizes whether the door 10 is opened or closed. The sensing unit 140 may be a camera for photographing the door S2 or a sensor for checking whether the door 10 is opened. The sensing unit 140 may further include an image analyzing unit for analyzing an image photographed through the camera or a sensor determining unit for determining a sensor value measured through the sensor. It is not limited to this idea.

상기 감지부(140)는 상기 현관공간(S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부(140)는 상기 실내공간(S1)에서 상기 현관공간(S2)을 향하는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부(140)는 상기 문기둥(20), 상기 도어(10) 등에 직접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사상에 제한되지 않는다.The sensing unit 140 may be disposed on the door space S2. Also, the sensing unit 140 may be disposed in a direction from the indoor space S1 to the door space S2. Also, the sensing unit 140 may be provided directly to the door pillar 20, the door 10, and the like. It is not limited to this idea.

상기 감지부(140)가 사용자의 출입여부, 도어의 개방여부를 인식하면, 상기 감지부(140)는 상기 출입여부 및 개방여부를 포함하는 정보를 상기 제어부(150)로 전달할 수 있다.When the sensing unit 140 recognizes whether or not the user enters or exits the door or whether the door is opened, the sensing unit 140 may transmit the information includ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to the controller 150.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감지부(140)로부터 전달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에어모듈(110), 상기 제2에어모듈(120) 및 상기 흡입모듈(130)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제1에어모듈(110), 상기 제2에어모듈(120), 및 상기 흡입모듈(130)을 각각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제1에어모듈(110), 상기 제2에어모듈(120), 및 상기 흡입모듈(130)을 일정한 시간 동안 작동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사상에 제한되지 않는다.The control unit 150 may control the first air module 110, the second air module 120, and the suction module 130 based on th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sensing unit 140. The control unit 150 may control the first air module 110, the second air module 120, and the suction module 130, respectively. Also, the controller 150 may operate the first air module 110, the second air module 120, and the suction module 130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It is not limited to this idea.

한편, 상기 에어워시장치(100)는 상기 에어워시장치(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 설정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외부로부터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부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사상에 제한되지 않는다.The air wash apparatus 100 may further include a power source for supplying power to the air wash apparatus 100, a memory unit for storing the set information, and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from the outside. It is not limited to this idea.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워시장치의 작동을 나타낸 작동도이다.5 to 7 are operation diagrams showing operation of an air wash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사용자에 의해 도어가 열림 상태인 경우를 나타낸다.5 shows a case where the door is opened by the user.

상기 도어(10)가 열림 상태가 되면, 감지부(140)는 상기 도어(10)가 열림을 인식하고 제어부(150)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50)로 전달되는 정보는 상기 도어(10)의 개방여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10)의 개방여부를 포함하는 정보를 제1정보라 칭할 수 있다. When the door 10 is opened, the sensing unit 140 recognizes that the door 10 is opened and can transmit information to the controller 150. At this time, the information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150 may include whether or not the door 10 is opened. Information including whether or not the door 10 is open can be referred to as first information.

상기 제어부(150)에 상기 제1정보가 전달되면, 상기 제어부(150)는 제1에어모듈(110)을 가동하여, 커튼용 에어(Air_1)를 분사할 수 있다. When the first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150, the controller 150 may operate the first air module 110 to emit the curtain air Air_1.

즉, 상기 도어(10)가 개방되면, 외부로부터 이물 등을 포함한 공기가 실내공간(S1)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커튼용 에어(Air_1)가 작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도어(10)가 개방되어 상기 실외공간(S3)의 공기가 상기 실내공간(S1)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공기차단모드라 칭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door 10 is opened, the curtain air Air_1 may be operated to prevent air including foreign matter from entering the interior space S1 from the outside. At this time, the door 10 may be opened to prevent the air in the outdoor space S3 from entering the indoor space S1.

도 6은 사용자가 현관공간으로 출입하여 도어가 닫힘 상태인 경우를 나타낸다.6 shows a case in which the user enters and exits the door space and the door is in a closed state.

상기 도어(10)가 닫히는 경우, 상기 감지부(140)는 상기 도어(10)의 닫힘 상태를 인식하여 상기 제어부(150)로 제1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When the door 10 is closed, the sensing unit 140 recognizes the closed state of the door 10 and can transmit the first information to the controller 150.

그리고, 상기 감지부(140)는 현관공간(S2)으로 사용자가 출입여부를 인식하고 상기 제어부(150)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50)로 전달되는 정보에는 사용자의 출입여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의 출입여부를 포함하는 정보를 제2정보라 칭할 수 있다.The sensing unit 140 recognizes whether or not the user enters or exits into the entrance space S2 and can transmit the information to the controller 150. [ At this time, the information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150 may include whether or not the user enters or exits. The information including whether or not the user enters or exits can be referred to as second information.

상기 제어부(150)에 상기 제2정보가 전달되면, 상기 제어부(150)는 제2에어모듈(120)을 가동하여, 샤워용 에어(Air_2)를 분사할 수 있다. When the second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150, the controller 150 may operate the second air module 120 to inject shower air Air_2.

즉, 상기 도어(10)가 폐쇄된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이물 등이 부착된 의류를 입고 있는 사용자에게 상기 샤워용 에어(Air_2)를 분사하여, 이물 등을 털어낼 수 있다. 이때, 상기 샤워용 에어(Air_2)를 분사하여 의류에 부착된 이물 등을 제거하는 것을 이물차단모드라 칭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door 10 is closed, the shower air (Air_2) is sprayed to a user wearing clothes with foreign objects or the like attached thereto from the outside. At this time, spraying the shower air (Air_2) to remove foreign matter adhering to the clothes may be referred to as a foreign matter blocking mode.

상기 이물차단모드가 작동하면, 상기 제2에어모듈(120)은 상기 샤워용 에어(Air_2)의 풍량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샤워용 에어(Air_2)의 토출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샤워용 에어(Air_2)의 토출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When the foreign matter blocking mode is activated, the second air module 120 can adjust the air volume of the shower air Air_2. Further, the discharge pressure of the shower air (Air_2) can be adjusted. In addition, the discharge direction of the shower air (Air_2) can be adjusted.

이때, 상기 이물차단모드는 상기 공기차단모드가 작동된 상태에서 작동할 수 있다. 즉, 상기 공기차단모드가 작동된 상태에서 상기 현관공간(S2) 내부에서 상기 샤워용 에어(Air_2)가 의류에 잔존하는 이물 등을 털어냄으로써, 이물 등이 상기 실내공간(S1)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oreign matter cut-off mode can be operated in the air cut-off mode. That is, in the state in which the air cutoff mode is activated, the shower air (Air_2) blows out foreign matter remaining in the clothes in the interior space S2 so that foreign matter or the like flows into the indoor space S1 Can be blocked.

도 7은 도어가 닫힘 상태에서 흡입모듈이 작동하는 경우를 나타낸다.Fig. 7 shows a case in which the suction module operates when the door is closed.

상기 이물차단모드가 작동하면, 상기 샤워용 에어(Air_2)에 의하여 의류에 잔존하는 이물 등은 비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현관공간(S2) 내부에서 비산되는 이물 등을 흡입하기 위한 흡입모듈(130)이 작동할 수 있다.If the foreign object blocking mode is activated, foreign matter remaining in the clothes by the showering air (Air_2) can be scattered. At this time, a suction module 130 for sucking foreign matter scattered in the interior space S2 may be operated.

상기 흡입모듈(130)은 제어부(150)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작동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이물차단모드가 작동된 후 상기 상기 흡입모듈(130)을 작동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이물차단모드가 작동한 후 일정한 시간 이후에 작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흡입모듈(130)이 상기 현관공간(S2)으로부터 이물 등이 포함된 공기를 흡입하는 것을 이물제거모드라 칭할 수 있다.The suction module 130 may be operated by a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150. [ The control unit 150 may operate the suction module 130 after the foreign object blocking mode is activated. Alternatively, the controller 150 may operate after a predetermined time after the foreign matter blocking mode is activated. At this time, the suction module 130 sucking the air including foreign matter from the inlet space S2 may be referred to as a foreign matter removal mode.

즉, 상기 이물제거모드는 상기 이물차단모드와 함께 작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물제거모드는 상기 이물차단모드와 일정 시간동안 교번하여 작동할 수 있다. That is, the foreign object removal mode may operate together with the foreign object blocking mode. The foreign matter removing mode may alternately operate for a predetermined time with the foreign matter blocking mode.

상기 이물제거모드는 상기 현관공간(S2)의 내부에서 비산되는 이물 등을 흡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물제거모드는 상기 이물차단모드가 작동을 멈춘 이후에도 계속 작동할 수 있다.The foreign object removal mode may be to suck foreign matter scattered in the interior space S2. Therefore, the foreign object removal mode can continue to operate even after the foreign object interruption mode is stopped.

한편, 상기 공기차단모드는 상기 이물제거모드 및 상기 이물차단모드가 작동을 멈춘 이후에 작동을 정지할 수 있다. 즉, 상기 현관공간(S2) 내부에서 비산되는 이물 등이 상기 이물제거모드에 의하여 모두 제거된 이후, 상기 공기차단모드의 작동을 정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이물 등이 제거된 현관공간(S2)과 실내공간(S1)을 서로 연통하여 깨끗한 실내공간(S1)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Meanwhile, the air cutoff mode may be stopped after the foreign matter removal mode and the foreign matter cutoff mode are stopped. That is, after the foreign matter scattered in the interior space S2 is removed by the foreign matter removing mode, the operation of the air cutoff mode can be stopped.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clean indoor space S1 to the user by communicating the interior space S1 with the interior space S2 from which the foreign object or the like is removed.

S1 실내공간 S2 현관공간
S3 실외공간 10 도어
20 문기둥 100 에어워시장치
110 제1에어모듈 120 제2에어모듈
130 흡입모듈 140 감지부
150 제어부
S1 Indoor space S2 Entrance space
S3 outdoor space 10 doors
20 door pillar 100 air wash device
110 first air module 120 second air module
130 suction module 140 sensing part
150 control unit

Claims (11)

주택 내부의 공간을 실내공간과 현관공간으로 구분하는 커튼용 에어를 분사하는 제1에어모듈;
상기 현관공간 내에서, 상기 현관공간으로 진입하는 사용자에게 샤워용 에어를 분사하여 의류에 잔존하는 이물을 털어내는 제2에어모듈;
상기 현관공간 내에서, 상기 샤워용 에어에 의하여 털어내진 이물을 흡입하는 흡입모듈;
상기 현관공간의 내부로 진입하는 사용자의 출입여부 및 도어의 개폐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로부터 감지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에어모듈, 상기 제2에어모듈 및 상기 흡입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에어워시장치.
A first air module for injecting curtain air dividing a space inside the house into an indoor space and a front space;
A second air module for spraying shower air to the user entering the entrance space in the doorway space to remove foreign matter remaining in the clothes;
A suction module for sucking foreign matter blown out by the shower air in the interior space;
A sensing unit for sensing whether or not a user entering the inside of the doorway space is open and closed; And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first air module, the second air module, and the suction module based on information sensed by the sensing unit.
제 1 항에 있어서,
도어가 개방되는 경우, 상기 제1에어모듈은, 상기 제2에어모듈보다 우선으로 온 작동하고, 상기 제2에어모듈 및 상기 흡입모듈보다 나중에 오프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워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when the door is opened, the first air module is activated first prior to the second air module, and is operated later than the second air module and the suction modul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커튼용 에어는, 상기 샤워용 에어에 대응되는 풍량으로 분사되거나, 상기 샤워용 에어보다 큰 풍량으로 분사되는 에어워시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curtain air is sprayed in an air volume corresponding to the shower air or in a larger air volume than the shower ai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모듈은, 상기 샤워용 에어의 풍량과 대응되는 풍량으로 공기를 흡입하거나, 상기 샤워용 에어의 풍량보다 큰 풍량으로 공기를 흡입하는 에어워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uction module sucks air with an air volume corresponding to the air volume of the shower air or sucks air with air volume larger than the air volume of the shower air.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모듈은, 상기 샤워용 에어와 동일한 시점에 온 작동하거나, 상기 샤워용 에어보다 우선적으로 온 작동하는 에어워시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suction module is activated at the same time as the air for showering, or is preferentially turned on prior to the showering air.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모듈은, 상기 샤워용 에어보다 나중에 오프 작동하는 에어워시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suction module is operated off later than the shower ai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에어모듈은, 상기 현관공간에 위치하는 사용자를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샤워용 에어의 풍향을 조절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에어워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cond air module further comprises a guide portion for adjusting a direction of the air for showering in a direction toward a user located in the entrance spa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도어가 개방되면 상기 커튼용 에어를 제어하여 상기 실내공간으로 이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공기차단모드를 수행하는 에어워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curtain air when the door is opened to perform an air interruption mode to prevent foreign matter from entering the indoor space.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차단모드가 작동된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출입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샤워용 에어를 제어하여 상기 현관공간에 위치하는 사용자의 의류에 잔존하는 이물을 제거하는 이물차단모드를 수행하는 에어워시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In the state in which the air cutoff mode is activated,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shower air based on whether or not the user goes in or out, and performs a foreign matter blocking mode in which foreign matter remaining in the clothes of the user located in the entrance space is removed Air wash device.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물차단모드가 작동되면 상기 흡입모듈을 온 작동하여 이물제거모드를 수행하는 에어워시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control unit turns on the suction module to perform a foreign matter removal mode when the foreign matter blocking mode is activated.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물차단모드 및 상기 이물제거모드가 종료되면, 상기 공기차단모드가 종료되는 에어워시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control unit terminates the air shutoff mode when the foreign matter isolation mode and the foreign matter removal mode are terminated.
KR1020160149299A 2016-11-10 2016-11-10 Air Wash apparatus KR10257062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9299A KR102570624B1 (en) 2016-11-10 2016-11-10 Air Wash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9299A KR102570624B1 (en) 2016-11-10 2016-11-10 Air Wash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2794A true KR20180052794A (en) 2018-05-21
KR102570624B1 KR102570624B1 (en) 2023-08-28

Family

ID=624531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9299A KR102570624B1 (en) 2016-11-10 2016-11-10 Air Wash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0624B1 (e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20916A (en) * 2019-03-19 2020-09-29 Lg电子株式会社 Air filtration system
EP3760937A4 (en) * 2018-07-04 2021-04-14 Purium Co., Ltd. Air shower gate
KR20220022041A (en) 2020-08-16 2022-02-23 주식회사 제이영컴퍼니 Stand type air shower sterilizable system
CN115179848A (en) * 2022-07-12 2022-10-14 浩添(厦门)储能股份有限公司 Intelligent refrigerator car air curtain
US11566800B2 (en) 2019-03-19 2023-01-31 Lg Electronics Inc. Air purifier and air purifying system
US11623173B2 (en) 2019-03-19 2023-04-11 Lg Electronics Inc. Air purifier, air purifying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air purifying syste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95890A (en) * 2008-02-23 2009-09-03 Tornex Inc Ceiling air cleaner with air curtain
JP2009293862A (en) * 2008-06-05 2009-12-17 Hitachi Industrial Equipment Systems Co Ltd Air shower device
JP2010242993A (en) 2009-04-01 2010-10-28 Fulta Electric Machinery Co Ltd Air shower device for protection from insect and dust prevention
JP2012149864A (en) * 2011-01-15 2012-08-09 Tornex Inc Contamination blocking air gat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95890A (en) * 2008-02-23 2009-09-03 Tornex Inc Ceiling air cleaner with air curtain
JP2009293862A (en) * 2008-06-05 2009-12-17 Hitachi Industrial Equipment Systems Co Ltd Air shower device
JP2010242993A (en) 2009-04-01 2010-10-28 Fulta Electric Machinery Co Ltd Air shower device for protection from insect and dust prevention
JP2012149864A (en) * 2011-01-15 2012-08-09 Tornex Inc Contamination blocking air gate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760937A4 (en) * 2018-07-04 2021-04-14 Purium Co., Ltd. Air shower gate
CN111720916A (en) * 2019-03-19 2020-09-29 Lg电子株式会社 Air filtration system
US11566800B2 (en) 2019-03-19 2023-01-31 Lg Electronics Inc. Air purifier and air purifying system
US11623173B2 (en) 2019-03-19 2023-04-11 Lg Electronics Inc. Air purifier, air purifying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air purifying system
US11629873B2 (en) 2019-03-19 2023-04-18 Lg Electronics Inc. Air purifying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air purifying system
KR20220022041A (en) 2020-08-16 2022-02-23 주식회사 제이영컴퍼니 Stand type air shower sterilizable system
CN115179848A (en) * 2022-07-12 2022-10-14 浩添(厦门)储能股份有限公司 Intelligent refrigerator car air curtain
CN115179848B (en) * 2022-07-12 2023-09-22 浩添(厦门)储能股份有限公司 Intelligent refrigerator car air curtai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0624B1 (en) 2023-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52794A (en) Air Wash apparatus
KR101956143B1 (en) Air shower gate
KR102539677B1 (en) Air wash apparatus
KR20180052793A (en) Air Wash apparatus
KR102473046B1 (en) Air wash apparatus
KR101975918B1 (en) Air shower system for individual house
KR200471708Y1 (en) Shoes clean air shower device
KR102303659B1 (en) Prevention gate
KR20090008761U (en) A Air cleanner and disinfection function has a front door
KR102270838B1 (en) Air Shower Gate for Sterilization
JP4713239B2 (en) Air shower equipment for bio-related laboratories
KR20160011020A (en) Dust removal apparatus
KR102356153B1 (en) Air shower system
KR200488804Y1 (en) Household exterior dust removing device
KR20180085420A (en) Air Shower Apparatus And Air Shower System Having The Same
KR20150095489A (en) Smoking booth for air circulation system
KR20180051818A (en) Air wash apparatus
KR102539682B1 (en) Air wash apparatus
KR20180059014A (en) Air wash apparatus
JP2020139670A (en) Air shower device
KR102450800B1 (en) Stand type air shower sterilizable system
KR20180136046A (en) One-stop air shower booth using air mat
KR102268973B1 (en) Apartment air shower system
KR20180052266A (en) Air Wash apparatus
KR100781089B1 (en) Robot clea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