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7674A - 자동차 조향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조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7674A
KR20180047674A KR1020160144257A KR20160144257A KR20180047674A KR 20180047674 A KR20180047674 A KR 20180047674A KR 1020160144257 A KR1020160144257 A KR 1020160144257A KR 20160144257 A KR20160144257 A KR 20160144257A KR 20180047674 A KR20180047674 A KR 201800476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bearing
deformed
rack housing
circumferentia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42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04378B1 (ko
Inventor
이인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1601442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4378B1/ko
Publication of KR201800476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76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43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43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00Steering gears
    • B62D3/02Steering gears mechanical
    • B62D3/12Steering gears mechanical of rack-and-pinion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9/00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 F16H19/02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 F16H19/04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comprising a ra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Power Steering Mechanism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조향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측 내주면에 피니언샤프트를 지지하는 베어링이 결합되는 베어링 결합부가 형성되며, 베어링 결합부에서 내측으로 돌출되되 베어링의 외륜의 상측에 위치되게 돌출되는 변형부가 형성되는 랙하우징, 피니언샤프트가 관통되는 중공형상으로, 하측단에 베어링을 하측으로 지지하는 지지부가 형성되며, 랙하우징의 내주면에 결합되면서 지지부가 변형부를 변형시키되, 변형된 변형부와의 결합으로 베어링의 외륜을 하측으로 지지하는 플러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자동차 조향장치{Steering System Of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의 조향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랙하우징에 플러그를 압입 결합하여 고정시킬 수 있어서 공정이 간단해지며 조립시간이 단축될 수 있고 플러그의 나사부를 삭제할 수 있어 원가와 조립 비용가 절감되는 자동차 조향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자동차 조향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자동차 조향장치(100)는 랙하우징(150); 조향축(미도시)으로부터 회전운동을 입력받으며 하부 외주면에 피니언기어(107)가 형성되는 피니언샤프트(101); 피니언기어(107)와 치합되는 랙기어(122)가 형성되어 조향축(미도시)으로부터 입력받은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랙바(120); 랙하우징(150)의 내부에 구비되며 피니언샤프트(101)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피니언샤프트(101)를 지지하는 베어링(103), 상측이 피니언샤프트(101)의 외주면에 안착되고 타측이 베어링(103)의 상측면에 안착되어 압입됨으로써, 베어링(103)을 지지하는 스톱링(102), 랙하우징(150)의 상측 내주면에 결합되되 베어링(103)의 상부에 구비되며 피니언샤프트(101)가 관통되는 플러그(130), 피니언샤프트(101)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플러그(130)의 상부 내주면에 구비되는 더스트씰(104), 플러그(130)와 랙하우징(150) 사이에 구비되어 누유를 방지하는 오링(109); 및 외부로부터 랙하우징(150) 내부로 먼지 또는 물 등의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랙하우징(150)의 상부에 결합되는 더스트캡(11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특히 플러그(130)는 베어링(103)의 외륜의 상측을 지지함으로써 베어링(103)이 외부로 이탈하지 않게 랙하우징(150)과 나사 결합하는데 내구 및 진동이 지속됨에 따라 나사결합이 풀려 베어링(103)이 이탈될 수 있어 풀림을 방지하도록 플러그(130)에 수밀마감재를 도포한 후 조립하는 본딩공정을 적용하거나 랙하우징(150)에 플러그(130)를 나사조립한 후 공구를 이용해 추가로 조여주는 확인공정을 적용한다.
그러나, 조립시 플러그의 풀림을 방지하도록 플러그에 수밀마감재를 도포하는 본딩공정이나 공구로 플러그의 체결상태를 보완하는 확인공정 등이 누락되는 경우가 발생하여 주행 도중 플러그가 풀릴 수 있으며 플러그와 랙하우징의 유격으로 소음이 야기되어 운전자가 불쾌감을 느끼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본딩공정이나 확인공정이 누락되지 않아도 내구 및 진동에 의해 플러그의 풀림 현상이 일어나게 되어, 조향력이 정확히 전달되지 않으며 조향감이 떨어지고 운전자가 쉽게 피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 랙하우징에 플러그를 압입 결합하여 고정시킬 수 있어서 공정이 간단해지며 조립시간이 단축될 수 있고 플러그의 나사부를 삭제할 수 있어 원가와 조립 비용가 절감되는 자동차 조향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종래 플러그의 나사체결로 인한 기어부에서 발생되는 진동과 노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으로 인해 나사가 풀리거나 본딩이 탈락되는 것을 방지하며, 플러그를 압입 결합시키면서 랙하우징을 변형시켜 플러그가 고정됨에 따라 종래 대비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어서 작동 환경이 심하더라도 플러그가 이탈되지 않고 고정될 수 있는 자동차 조향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측 내주면에 피니언샤프트를 지지하는 베어링이 결합되는 베어링 결합부가 형성되며, 베어링 결합부에서 내측으로 돌출되되 베어링의 외륜의 상측에 위치되게 돌출되는 변형부가 형성되는 랙하우징, 피니언샤프트가 관통되는 중공형상으로, 하측단에 베어링을 하측으로 지지하는 지지부가 형성되며, 랙하우징의 내주면에 결합되면서 지지부가 변형부를 변형시키되, 변형된 변형부와의 결합으로 베어링의 외륜을 하측으로 지지하는 플러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자동차 조향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랙하우징에 플러그를 압입 결합하여 고정시킬 수 있어서 공정이 간단해지며 조립시간이 단축될 수 있고 플러그의 나사부를 삭제할 수 있어 원가와 조립 비용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종래 플러그의 나사체결로 인한 기어부에서 발생되는 진동과 노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으로 인해 나사가 풀리거나 본딩이 탈락되는 것을 방지하며, 플러그를 압입 결합시키면서 랙하우징을 변형시켜 플러그가 고정됨에 따라 종래 대비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어서 작동 환경이 심하더라도 플러그가 이탈되지 않고 고정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 자동차 조향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 조향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 조향장치의 조립방법의 예시를 나타내는 확대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 조향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확대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 조향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플러그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 조향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 조향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 조향장치의 조립방법의 예시를 나타내는 확대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 조향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확대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 조향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플러그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 조향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들에 따른 자동차 조향장치는 상측 내주면에 피니언샤프트(201)를 지지하는 베어링(250)이 결합되는 베어링 결합부(211)가 형성되며, 베어링 결합부(211)에서 내측으로 돌출되되 베어링(250)의 외륜의 상측에 위치되게 돌출되는 변형부(213)가 형성되는 랙하우징(210), 피니언샤프트(201)가 관통되는 중공형상으로, 하측단에 베어링(250)을 하측으로 지지하는 지지부(231)가 형성되며, 랙하우징(210)의 내주면에 결합되면서 지지부(231)가 변형부(213)를 변형시키되, 변형된 변형부(213a)와의 결합으로 베어링(250)의 외륜을 하측으로 지지하는 플러그(2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랙하우징(210)의 하측은 피니언샤프트(201)의 하측 외주면에 형성되는 피니언기어(203)와 피니언기어(203)와 치합되는 랙기어가 형성되며 조향축으로부터 입력받은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랙바(205)를 둘러싼다.
또한, 랙하우징(210)에는 상측이 개구되어 피니언샤프트(201)의 외주면을 감싸는 베어링(250)이 결합되도록 베어링(250)이 결합되는 베어링 결합부(211)가 형성되며, 베어링(250)의 내륜을 지지하는 스톱링(207)과 베어링(250)의 외륜을 지지하는 플러그(230)가 구비되고 외주면에 더스트캡(미도시)이 결합된다.
더스트캡(미도시)은 엔진룸으로부터의 소음 및 이물질이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피니언샤프트(201)의 외주면을 감싸며 상측은 대시패널(미도시)에 지지되고 하측은 랙하우징(210)의 상측 외주면에 결합된다.
피니언샤프트(201)는 외주측에 베어링(250)이 결합되어 회전 지지되고, 베어링(250)은 랙하우징(210)의 내주면에 형성된 베어링 결합부(211)에 결합되어 고정된다.
스톱링(207)은 일측이 피니언샤프트(201)의 외주면에 안착되고 타측이 베어링(250)의 내륜의 상측면에 안착되어 압입됨으로써, 베어링(250)의 내륜을 지지한다.
플러그(230)는 피니언샤프트(201)가 관통되는 중공형상으로 형성되며 랙하우징(210)의 베어링 결합부(211)에 결합되어 베어링(250)의 외륜을 하측으로 지지한다.
또한, 플러그(230)는 내주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씰안착부(237)가 형성되는데 씰안착부(237)의 내측끝단이 피니언샤프트(201)와 접촉하지않도록 씰안착부(237)의 내주면은 피니언샤프트(201)의 외주면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된다.
이러한 씰안착부(237)에는 더스트씰(209)이 결합되며, 더스트씰(209)은 플러그(230)의 씰안착부(237)에 구비되며 중앙으로 피니언샤프트(201)가 삽입 관통하고 플러그(230)에 압입되어 랙하우징(210) 내부에 존재하는 오일이 외부로 누유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외부로부터 각종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플러그(230)는 랙하우징(210)의 베어링 결합부(211)에 결합되는데, 베어링 결합부(211)에 압입되어 결합되어 베어링(250)의 외륜을 하측으로 지지한다.
이때, 압입되어 결합된 후 플러그(230)가 베어링 결합부(21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베어링 결합부(211)에 베어링(250)의 외륜의 상측에 위치되게 내측으로 돌출되는 변형부(213)가 형성되며, 플러그(230)의 하측단에 변형부(213)를 변형시키면서 결합되어 베어링(250)을 하측으로 지지하는 지지부(231)가 형성된다.
이러한 플러그(230)는 강성이 랙하우징(210)의 강성보다 크도록 형성되어 랙하우징(210)에 플러그(230)가 압입 결합되면서 지지부(231)가 변형부(213)를 변형시킬 수 있으며, 변형부(213a)는 지지부(231)와 결합되어 플러그(230)를 고정시킨다.
이와 같이 변형부(213)가 변형되면서 수용되는 공간을 마련하도록, 지지부(231)에는 플러그(230)의 둘레를 따라 외주면에서 함몰되는 삽입홈(233)이 형성되어 지지부(231)로 인해 변형부(213)가 변형되면서 삽입홈(233)의 수용공간 내로 삽입되어 플러그(230)를 고정시킨다.
또한, 베어링 결합부(211)에 플러그(230)가 압입되기 용이하도록, 변형부(213)에는 내주면이 테이퍼지게 형성되는 테이퍼부(314)가 구비되어 상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커지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플러그(230)가 베어링 결합부(211)에 압입되어 결합되면서 지지부(231)가 변형부(213)를 서서히 변형시킬 수 있게 되며, 심한 경우 플러그(230)의 지지부(231)와 변형부(213)가 충돌되어 지지부(231)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플러그(230)가 압입 결합되는 과정을 도 3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3의 (a)는 플러그(230)가 압입되기 전을 나타내며, 도 3의 (b)는 플러그(230)가 압입된 후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3의 (a)에 도시된 것처럼, 베어링 결합부(211)의 변형부(213)는 내측으로 돌출되어 베어링(250)의 상측에 위치되며, 변형부(213) 내측으로 지지부(231)가 압입 결합되기 용이하도록 변형부(213)의 내주면에 테이퍼부(314)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3의 (b)에 도시된 것처럼, 플러그(230)가 베어링 결합부(211)로 압입 결합되면 지지부(231)가 테이퍼부(314)를 따라 변형부(213)를 점차 가압하며 변형부(213)가 삽입홈(233)의 수용공간(233a)으로 변형되면서 플러그(230)가 베어링(250) 외륜의 상측면에 안착된다.
이때, 삽입홈(233)에 변형된 변형부(213)가 삽입되어 있어서, 플러그(230)가 고정되며 베어링(250)의 외륜을 하측으로 지지해주게 된다.
이러한 삽입홈(233)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요홈 형상으로 형성되되 둥근홈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경사지는 경사면(235)이 형성되어 변형부(213)가 삽입홈(233)의 수용공간(233a)내로 용이하게 변형될 수 있게 하며, 즉, 플러그(230)가 베어링 결합부(211)에 용이하게 압입 결합될 수 있게 한다.
또한, 도 4의 (a)를 참조하면, 삽입홈(233)에는 지지부(231)의 하측단으로 갈수록 삽입홈(233)의 함몰되는 깊이가 얕아지게 형성되는 경사면(235)이 구비되어 지지부(231)가 변형부(213)를 가압함에 따라 변형부(213)가 삽입홈(233) 내로 용이하게 돌출될 수 있게 된다.
특히, 경사면(235)이 형성되어 지지부(231)의 하측단이 뾰족하게 형성됨에 따라 지지부(231)의 하측단으로 압입되는 변형부(213)가 삽입홈(233)의 수용공간 내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으며, 변형부(213)를 가압하는 지지부(231)로 인해 변형되어 삽입홈(233)에 삽입된 변형부(213a)는 경사면(235)을 지지하여 플러그(230)를 고정시키고, 이로 인해 플러그(230)가 베어링(250)의 외륜을 하측으로 지지한다.
도 4의 (b)를 참조하면, 삽입홈(233)은 변형된 변형부(213a)가 삽입홈(233)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단면이 둥근 홈 형상으로 형성되며, 지지부(231)가 변형부(213)를 가압하면 변형부(213a)가 삽입홈(233) 내로 돌출되는 형상으로 변형되며, 변형부(213a)가 삽입홈(233)에 삽입되어 있어서 플러그(230)가 고정된다.
도 4의 (c)에는 단면이 각지게 형성되는 삽입홈(233)이 형성되며, 지지부(231)가 변형부(213)를 가압하여 변형시키면 변형된 변형부(213a)가 삽입홈(233)으로 돌출되어 플러그(230)를 고정시키게 된다.
이러한 변형부(213a)가 삽입홈(233)에 삽입되어 플러그(230)가 베어링 결합부(211)에 결합되는데, 내구가 진행된 후에도 플러그(230)가 베어링 결합부(211)로부터 다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며 베어링 결합부(211)와 플러그(230) 사이의 슬립을 방지하도록 도 5와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마찰홈(517)이 형성되거나, 각진형상으로 형성되거나 랙하우징(210)에 변형리브부(619)가 형성되어 플러그(230)가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도 있다.
도 5의 (a)를 참조하면, 베어링 결합부(211) 중 플러그(230)가 결합되어 맞닿는 면과 플러그(230)의 외주면 중 어느 한쪽면 또는 양쪽면에는 원주방향의 등간격으로 이격되는 복수의 돌기(516)가 형성되어 베어링 결합부(211)와 플러그(230) 사이의 마찰을 높이며, 도면에는 플러그(230)의 외주면 돌기(516)가 형성되는 예를 도시하였다.
이러한 돌기(516)는 베어링 결합부(211)에 플러그(230)가 압입되어 결합된 후 서로 맞닿은 면의 마찰을 높여 베어링 결합부(211)와 플러그(230) 사이의 슬립을 방지하며 플러그(23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돌기(516)가 형성된 플러그(230)의 외경은 베어링 결합부(211)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돌기(516)가 베어링 결합부(211)를 변형시키면서 결합되며 베어링 결합부(211)가 변형되어 돌기(516) 사이로 돌출됨에 따라 베어링 결합부(211)에 돌기(516)가 압착되어 결합된다.
이에 따라 베어링 결합부(211)에 플러그(230)가 압입되어 결합되면서 지지부(231)가 변형부(213)를 변형시키는 동시에 돌기(516)가 베어링 결합부(211) 내측면을 변형시키면서 결합되게 된다.
도 5의 (b)를 참조하면, 베어링 결합부(211) 중 플러그(230)가 결합되어 맞닿는 면과 플러그(230)의 외주면 중 어느 한쪽면 또는 양쪽면에는 복수의 사선의 홈들이 교차되는 마찰홈(517)이 형성되어 베어링 결합부(211) 중 플러그(230)가 결합되어 맞닿는 면과 플러그(230)의 외주면 사이의 마찰을 높인다.
도면에는 플러그(230)의 외주면에 마찰홈(517)이 형성되는 예로 도시하였으나, 마찰홈(517)은 베어링 결합부(211)와 플러그(230)의 외주면 중 어느 한쪽면 또는 양쪽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베어링 결합부(211)와 플러그(230)의 외주면에 마찰홈(517)이 형성되어 압입되므로 서로 맞닿는 면이 마찰되어 플러그(23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5의 (c)를 참조하면, 베어링 결합부(211) 중 플러그(230)가 결합되어 맞닿는 면과 플러그(230)의 외주면은 각진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평면형상으로 형성되어 베어링 결합부(211)에 플러그(230)가 압입결합된 후 슬립되거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면에는 일예로, 베어링 결합부(211) 중 플러그(230)가 결합되어 맞닿는 면과 플러그(230)의 외주면이 육각형상으로 형성되는 예를 도시하였으나, 베어링 결합부(211)와 플러그(230)의 외주면은 일측에 평면형상이 형성되어 슬립을 방지하거나, 각진 형상으로 형성되어 슬립을 방지할 수도 있다.
또한, 베어링 결합부(211)는 랙하우징(210) 내측에서 단차지며 돌출되어 형성되고, 베어링 결합부(211)에서 내주면 직경이 커지는 단차부(215)가 형성되는데 단차부(215)의 상측면은 베어링 결합부(211)에 결합되는 플러그(230)의 상측면과 나란하게 형성된다.
이러한 단차부(215)에는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베어링 결합부(211)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는 변형리브부(619)가 형성되며, 베어링 결합부(211)에 플러그(230)가 압입 결합된 후 변형리브부(619)를 플러그(230)쪽으로 변형시켜 플러그(230)를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해서, 도 6의 (a)에 도시된 것처럼, 변형리브부(619)는 베어링 결합부(211)에서 상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변형리브부(619)를 도 6의 (b)에 도시된 것처럼, 플러그(230)쪽으로 변형시키며, 변형된 변형리브부(619)는 플러그(230)의 상측면을 지지하여 플러그(230)가 안정적으로 고정되고 상측으로의 이탈을 방지한다.
이러한 변형리브부(619)가 형성되어 플러그(230)가 베어링 결합부(211)에 압입되어 결합되면서 변형부(213)를 변형시키며, 변형부(213a)가 플러그(230)를 고정시키고, 변형리브부(619)가 변형되어 플러그(230)의 상측면을 지지하여 플러그(230)를 고정시킴에 따라 플러그(230)가 이탈되지 않고 랙하우징(210) 내측에 완전 고정되어 베어링(250)의 외륜을 하측으로 지지해줄 수 있게 된다.
또한, 변형리브부(619)는 베어링 결합부(211)가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둘레를 따라 링형상으로 돌출될 수도 있으며, 베어링 결합부(211)의 원주방향으로 두곳 이상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되 돌기형상으로 돌출 형성될 수도 있으며, 플러그(230)쪽으로 변형되어 플러그(230)의 상측면을 지지하고 플러그(230)를 고정시킨다.
또한, 변형리브부(619)를 플러그(230)쪽으로 변형시키기 용이하도록, 플러그(230)의 상측면 모서리에 챔퍼부(639)가 형성될 수도 있으며, 변형리브부(619)는 변형되면서 챔퍼부(639)를 감싸면서 플러그(230)의 상측면에 안착되며, 플러그(230)를 고정시킨다.
이러한 형상과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랙하우징에 플러그를 압입 결합하여 고정시킬 수 있어서 공정이 간단해지며 조립시간이 단축될 수 있고 플러그의 나사부를 삭제할 수 있어 원가와 조립 비용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종래 플러그의 나사체결로 인한 기어부에서 발생되는 진동과 노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으로 인해 나사가 풀리거나 본딩이 탈락되는 것을 방지하며, 플러그를 압입 결합시키면서 랙하우징을 변형시켜 플러그가 고정됨에 따라 종래 대비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어서 작동 환경이 심하더라도 플러그가 이탈되지 않고 고정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201: 피니언샤프트 207: 스톱링
209: 더스트씰 210: 랙하우징
211: 베어링 결합부 213: 변형부
215: 단차부 230: 플러그
231: 지지부 233: 삽입홈
235: 경사면 237: 씰안착부
517: 마찰홈 619: 변형리브부
639: 챔퍼부

Claims (9)

  1. 상측 내주면에 피니언샤프트를 지지하는 베어링이 결합되는 베어링 결합부가 형성되며, 상기 베어링 결합부에서 내측으로 돌출되되 상기 베어링의 외륜의 상측에 위치되게 돌출되는 변형부가 형성되는 랙하우징; 및
    상기 피니언샤프트가 관통되는 중공형상으로, 하측단에 상기 베어링을 하측으로 지지하는 지지부가 형성되며, 상기 랙하우징의 내주면에 결합되면서 상기 지지부가 상기 변형부를 변형시키되, 변형된 상기 변형부와의 결합으로 상기 베어링의 외륜을 하측으로 지지하는 플러그;
    를 포함하는 자동차 조향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가 상기 변형부를 변형시키도록, 상기 탑플러그의 강성은 상기 랙하우징의 강성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조향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부가 변형되면서 수용되는 공간을 마련하도록, 상기 지지부는 상기 플러그의 둘레를 따라 외주면에서 함몰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조향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변형된 상기 변형부가 상기 삽입홈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삽입홈은 단면이 둥근 홈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조향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변형된 상기 변형부가 상기 삽입홈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삽입홈에는 상기 지지부의 하측단으로 갈수록 상기 삽입홈의 함몰되는 깊이가 얕아지게 형성되는 경사면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조향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랙하우징의 변형부는 내주면이 테이퍼지게 형성되어 상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커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조향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가 결합되는 상기 베어링 결합부와 상기 플러그의 외주면 중 어느 한쪽면에는 마찰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조향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결합부는 상기 랙하우징 내측에서 단차지며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베어링 결합부에서 내주면 직경이 커지는 단차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조향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부의 상측면에는 상기 베어링 결합부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는 변형리브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조향장치.
KR1020160144257A 2016-11-01 2016-11-01 자동차 조향장치 KR1026043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4257A KR102604378B1 (ko) 2016-11-01 2016-11-01 자동차 조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4257A KR102604378B1 (ko) 2016-11-01 2016-11-01 자동차 조향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7674A true KR20180047674A (ko) 2018-05-10
KR102604378B1 KR102604378B1 (ko) 2023-11-23

Family

ID=621846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4257A KR102604378B1 (ko) 2016-11-01 2016-11-01 자동차 조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4378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62450A (ja) * 2005-08-29 2007-03-15 Jtekt Corp ラック軸支持装置
JP2007296923A (ja) * 2006-04-28 2007-11-15 Jtekt Corp 車両用操舵装置
KR101405633B1 (ko) * 2010-03-10 2014-06-13 주식회사 만도 랙과 피니언을 이용한 조향장치
KR20140082465A (ko) * 2012-12-24 2014-07-02 주식회사 만도 요크 유격 조절장치
KR20160015009A (ko) * 2014-07-30 2016-02-1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랙과 피니언 방식의 조향장치
KR101615263B1 (ko) * 2015-03-17 2016-04-25 이래오토모티브시스템 주식회사 자동차용 스티어링 기어
KR20160118713A (ko) * 2015-04-03 2016-10-12 주식회사 만도 자동차 조향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62450A (ja) * 2005-08-29 2007-03-15 Jtekt Corp ラック軸支持装置
JP2007296923A (ja) * 2006-04-28 2007-11-15 Jtekt Corp 車両用操舵装置
KR101405633B1 (ko) * 2010-03-10 2014-06-13 주식회사 만도 랙과 피니언을 이용한 조향장치
KR20140082465A (ko) * 2012-12-24 2014-07-02 주식회사 만도 요크 유격 조절장치
KR20160015009A (ko) * 2014-07-30 2016-02-1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랙과 피니언 방식의 조향장치
KR101615263B1 (ko) * 2015-03-17 2016-04-25 이래오토모티브시스템 주식회사 자동차용 스티어링 기어
KR20160118713A (ko) * 2015-04-03 2016-10-12 주식회사 만도 자동차 조향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4378B1 (ko) 2023-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R2611009B1 (fr) Butee de debrayage, notamment pour vehicule automobile
WO2011059026A1 (ja) 自動車用の閉塞栓
KR20150054046A (ko) 자동차의 조향장치
CN111033079B (zh) 索环
KR20180047674A (ko) 자동차 조향장치
US10077065B2 (en) Steering column assembly, casing tube for a steering column assembly, and vehicle having a steering column assembly
KR101615263B1 (ko) 자동차용 스티어링 기어
KR102591716B1 (ko) 전동식 조향장치
KR102242935B1 (ko) 자동차 조향장치
KR101405633B1 (ko) 랙과 피니언을 이용한 조향장치
KR20160025066A (ko)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장치의 웜휠 구조체
JP2008151339A (ja) 調節システムのギアユニットおよびハウジング
JP5278089B2 (ja) ファイナルドライブユニットのピニオン軸構造
KR102503696B1 (ko) 전동식 조향장치
KR101561952B1 (ko)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틸팅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
JP2014005915A (ja) 等速ジョイントの取り付け構造およびプロペラシャフト
KR20080058649A (ko) 랙-피니언 타입의 조향장치
KR102041105B1 (ko) 스티어링 기어박스의 일체형 더스트 캡
JP2001158368A (ja) 電動式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KR20150119633A (ko) 자동차의 조향장치
US10619718B2 (en) Worm reducer and method of assembling worm reducer
CN217225368U (zh) 环状密封件安装装置
KR20090087923A (ko) 축 방향 및 방사 방향으로 고정하는 베어링 시트 장치
KR101103461B1 (ko) 자동차용 자동변속기의 스테이터 샤프트의 조립구조
KR20110064009A (ko) 자동차용 전동식 조향장치의 베어링 커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