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7172A - 서비스 별 네트워크 혼잡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서비스 별 네트워크 혼잡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7172A
KR20180047172A KR1020160142993A KR20160142993A KR20180047172A KR 20180047172 A KR20180047172 A KR 20180047172A KR 1020160142993 A KR1020160142993 A KR 1020160142993A KR 20160142993 A KR20160142993 A KR 20160142993A KR 20180047172 A KR20180047172 A KR 201800471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gestion
slice
session
network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29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80332B1 (ko
Inventor
정상수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429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0332B1/ko
Publication of KR201800471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71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03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03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24Traffic characterised by specific attributes, e.g. priority or QoS
    • H04L47/2408Traffic characterised by specific attributes, e.g. priority or QoS for supporting different services, e.g. a differentiated services [DiffServ] type of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11Identifying conges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12Avoiding congestion; Recovering from conges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29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using a combination of threshol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32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by discarding or delaying data units, e.g. packets or fr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0/00Affiliation to network, e.g. registration; Terminating affiliation with the network, e.g. de-regist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서비스 별 네트워크 혼잡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네트워크 슬라이싱 기반의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슬라이스 내 네트워크 기능들에 혼잡이 발생하는 경우, 각 기능의 상이한 특성을 고려하여 사용자 체감 서비스 품질을 향상시키면서 네트워크를 혼잡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서비스 별 네트워크 혼잡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ongestion in Communication Systems with Services}
본 실시예는 하나의 물리적 네트워크가 사용자 가입 서비스의 종류에 따라 분리되어 별도의 논리적 네트워크들로 구성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혼잡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종래 이동통신 시스템은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보다는 특정 서비스에 최적화되어 왔다. 예를 들어, 종래에는 휴대전화 단말기에만 최적화된 구조로 네트워크가 구성되었다. 그러나,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는 휴대전화 단말기뿐만 아니라 서로 다른 속성을 갖는 다양한 단말기들을 대상으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네트워크 구조가 요구되고 있다.
예를 들어,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대표적인 유스케이스(Use Case)로 제시되고 있는 Enhanced Mobile Broadband(예: UHD, VR 영상 등), 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s(예: 스마트 시티, 스마트 홈 등), Ultra-reliable and Low Latency Communications(예: 자율주행 차, 공장 자동화 등)은 이동성, 과금, 보안, 레이턴시(latency), 신뢰도 등의 측면에서 서비스 속성과 네트워크 요구사항이 상이하다.
이에 따라, 각각의 서비스 유형 별로 적절하게 네트워크를 구성하기 위한 기술로서 네트워크 슬라이싱(Network Slicing)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네트워크 슬라이싱은 하나의 물리적 네트워크를 서비스 유형에 따라 논리적으로 분리하여 각각의 서비스에 특화된 복수의 전용 네트워크(Dedicated Network)를 제공하는 기술이다. 여기서, 논리적으로 분리된 각각의 네트워크는 네트워크 슬라이스라 칭한다.
네트워크 슬라이싱을 적용하는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는 네트워크 내의 다양한 기능들이 가상화되어 하나의 장치에서 구현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의 단일 네트워크에서 혼잡(congestion)이 발생하는 경우와는 다르게 각각의 네트워크 기능에서 혼잡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는 각각의 네트워크 기능의 특성을 고려한 혼잡 제어 방법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네트워크 슬라이싱 기반의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슬라이스 내 네트워크 기능들에 혼잡이 발생하는 경우, 각 기능의 상이한 특성을 고려하여 사용자 체감 서비스 품질을 향상시키면서 네트워크를 혼잡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아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하나의 물리적 네트워크가 서비스 유형에 따라 분리되어 논리적 네트워크인 복수의 슬라이스들로 구성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장치가 네트워크 혼잡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슬라이스들 내 이동성 관리 노드들로부터 혼잡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단말장치로부터 수신한 특정 유형의 슬라이스에 대한 등록 요청 메시지에 따라 특정 슬라이스를 선택하고, 선택한 특정 슬라이스 내 이동성 관리 노드의 혼잡상태를 혼잡정보에 기반하여 확인하는 단계, 및 선택한 특정 슬라이스 내 이동성 관리 노드의 혼잡 발생 여부에 따라 선택한 특정 슬라이스로 등록절차를 수행하거나, 백오프 타이머(back off timer)가 포함된 등록 거절 메시지를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혼잡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하나의 물리적 네트워크가 서비스 유형에 따라 분리되어 논리적 네트워크인 복수의 슬라이스들로 구성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장치가 네트워크 혼잡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접속할 슬라이스 유형을 선택하고, 선택한 유형의 슬라이스에 대한 등록 요청 메시지를 네트워크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선택한 유형의 슬라이스 내 이동성 관리 노드의 혼잡으로 인하여 백오프 타이머가 포함된 등록 거절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등록 거절 메시지에 따라 백오프 타이머가 만료될 때까지 등록 요청을 하지 않고 대기하거나, 기 설정된 슬라이스 유형에 대한 등록 요청 메시지를 네트워크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혼잡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하나의 물리적 네트워크가 서비스 유형에 따라 분리되어 논리적 네트워크인 복수의 슬라이스들로 구성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장치가 네트워크 혼잡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각각의 슬라이스 내 하나 이상의 세션관리 노드들로부터 혼잡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단말장치로부터 특정 유형의 슬라이스 내 특정 유형의 세션에 대한 세션수립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세션수립 요청 메시지에 상기 특정 유형의 슬라이스 내 특정 세션관리 노드를 선택하고, 선택한 특정 세션관리 노드의 혼잡상태를 혼잡정보에 기반하여 확인하는 단계. 및 선택한 특정 세션관리 노드의 혼잡 발생 여부에 따라 특정 세션관리 노드로 세션수립 절차를 수행하거나, 백오프 타이머(back off timer)가 포함된 세션 거절 메시지를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혼잡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하나의 물리적 네트워크가 서비스 유형에 따라 분리되어 논리적 네트워크인 복수의 슬라이스들로 구성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장치가 네트워크 혼잡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특정 유형의 슬라이스 내 특정 유형의 세션에 대한 세션수립 요청 메시지를 네트워크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세션수립 요청 메시지에 따라 선택된 특정 유형의 슬라이스 내 특정 세션관리 노드의 혼잡으로 인하여 백오프 타이머가 포함된 세션 거절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세션 거절 메시지에 따라 백오프 타이머가 만료될 때까지 특정 유형의 슬라이스로 등록요청을 하지 않고 대기하거나, 기 설정된 슬라이스 유형에 대한 등록 요청 메시지를 네트워크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혼잡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하나의 물리적 네트워크가 서비스 유형에 따라 분리되어 논리적 네트워크인 복수의 슬라이스들로 구성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장치가 네트워크 혼잡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특정 슬라이스 내 하나 이상의 세션 관리 노드들과 연동된 하나 이상의 사용자평면 노드들로부터 혼잡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단말장치로부터 특정 유형의 슬라이스 내 특정 유형의 세션에 대한 세션수립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세션수립 요청 메시지에 따라 특정 세션관리 노드와 연동되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평면 노드들의 혼잡상태를 혼잡정보에 기반하여 확인하고, 혼잡이 발생하지 않은 사용자평면 노드를 선택하는 단계, 및 선택한 사용자평면 노드에 대한 정보를 기지국장치에 전송하고 기지국장치에 대한 정보를 선택한 사용자평면 노드에 전송하여 세션수립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혼잡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네트워크 슬라이싱 기반의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슬라이스 내 네트워크 기능들에 혼잡이 발생하는 경우, 각 기능의 상이한 특성을 고려하여 사용자 체감 서비스 품질을 향상시키면서 네트워크를 혼잡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네트워크 슬라이싱이 적용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혼잡이 발생한 네트워크 기능의 특성에 따라 혼잡을 제어함으로써 전체 네트워크 자원의 사용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네트워크 혼잡 상황에서 단말장치의 서비스 사용 상태 및 가입된 서비스 종류를 고려하여 최적의 네트워크 슬라이스 및 QoS를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네트워크 슬라이싱 기반 이동통신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슬라이스 내 이동성 관리 노드에서 혼잡이 발생한 경우에 네트워크 장치 및 단말장치의 혼잡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슬라이스 내 세션관리 노드에서 혼잡이 발생한 경우에 네트워크 장치 및 단말장치의 혼잡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슬라이스 내 사용자평면 노드에서 혼잡이 발생한 경우에 네트워크 장치 및 단말장치의 혼잡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슬라이스 내 사용자평면 노드에서 혼잡이 발생한 경우에 네트워크 장치 및 단말장치의 혼잡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네트워크 슬라이싱 기반의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슬라이스 내 네트워크 기능들에 혼잡이 발생하는 경우, 각 기능의 상이한 특성을 고려하여 사용자 체감 서비스 품질을 향상시키면서 네트워크를 혼잡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안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네트워크 슬라이싱 기반 이동통신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네트워크 슬라이싱 기반 이동통신 시스템(100)은 복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110), 단말장치(UE, 150), RAN(Radio Access Network, 140), 및 PDN(Public Data Network, 160)을 포함한다. 도 1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하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만을 도시하였으나, 이동통신 시스템(100)은 각각의 서비스 유형에 특화된 복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포함한다. 네트워크 슬라이스(이하, '슬라이스'라 칭함)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각각의 슬라이스는 특정 서비스에 할당(dedicated)되는 독립적인 논리적 네트워크로, 단말장치(150)가 네트워크에 접속할 경우, 사용자의 가입정보(subscription)에 따라서 복수의 슬라이스 중 적합한 슬라이스가 선택된다.
하나의 슬라이스 구조는 제어평면(Control Plane, 120) 및 사용자평면(User Plane, 130)으로 나뉘며, 제어평면(120)에는 이동성 관리 노드(MM: Mobility Management, 122) 및 세션관리 노드(SM: Session Management, 124) 등이 포함되고 사용자평면(130)에는 사용자평면 노드(UPGW: User Plane Gateway, 13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동성 관리 노드(122), 세션관리 노드(124) 및 사용자평면 노드(132)는 가상화된 하나의 네트워크 장치에 각각의 네트워크 기능에 대한 소프트웨어가 탑재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즉, 물리적 노드(Physical Node)가 아닌 가상 노드(Virtualized Node)로서 각각의 기능을 제공하는 노드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장치에는 복수의 슬라이스가 구현될 수 있고, 각각의 슬라이스 내에는 이동성 관리 노드(122), 하나 이상의 세션관리 노드(124) 및 하나 이상의 사용자평면 노드(132)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 장치는 각각의 네트워크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단말장치 및 기지국장치와의 통신을 위해 송수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이동성 관리 노드(122)에는 하나 이상의 세션관리 노드(124)가 연동되고, 하나의 세션관리 노드(124) 각각에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평면 노드(132)가 연동될 수 있다. 즉, 하나의 슬라이스는 하나의 이동성 관리 노드(122)에 다수의 세션관리 노드(124)가, 다시 하나의 세션관리 노드(124)에는 다수의 사용자평면 노드(132)가 연동되는 다층(Hierarchical)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세션관리 노드(124)는 트래픽 특성 또는 서비스 특성 별로 정의될 수 있다.
이동성 관리 노드(122)는 인증, 접속관리, 이동성관리 등 전반적인 단말장치(150)의 상태를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세션관리 노드(124)는 세션관리, QoS 관리 등 세션 기반의 트래픽 전송을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사용자평면 노드(132)는 사용자 데이터(User Data) 패킷을 한 노드에서 다른 노드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네트워크 슬라이싱 기반의 이동통신 시스템(100)에서는 논리적인 네트워크인 각각의 슬라이스 내 네트워크 기능들(즉, MM, SM, UPGW 등)에서 혼잡(congestion)이 발생할 수 있다. 각 네트워크 기능들은 하나의 네트워크 장치 내에 탑재되므로 물리적으로 한정된 컴퓨팅, 메모리, 네트워크 등의 자원을 이용하게 된다. 이에 따라, 각 네트워크 기능이 할당 받은 자원에 비하여 처리해야 할 양이 더 많은 경우 혼잡이 발생하게 된다.
여기서, 각 기능들의 처리량은 이동성 관리 노드(122)의 경우에는 접속한 단말장치의 개수, 세션관리 노드(124)의 경우에는 관리하는 세션의 개수, 사용자평면 노드(132)의 경우에는 세션의 개수뿐만 아니라 실제로 처리하는 패킷의 개수로 표현될 수 있다.
슬라이스 내 각 기능에 혼잡이 발생한 경우, 혼잡제어를 적절히 수행하지 못하면 네트워크가 혼잡으로 인하여 오동작할 수 있고, 과도하게 혼잡제어를 수행하면 사용자 체감 서비스 품질이 오히려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슬라이스 내 각 기능의 상이한 특성을 고려하여 사용자 체감 서비스 품질을 높임과 동시에 네트워크가 적절히 동작하도록 혼잡을 제어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이하,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슬라이스 내 각각의 네트워크 기능에 혼잡이 발생한 경우에 각 경우에 따라 혼잡을 제어하는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슬라이스 내 이동성 관리 노드(122)에서 혼잡이 발생한 경우에 네트워크 장치 및 단말장치의 혼잡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의 네트워크 장치(미도시)에는 슬라이스 선택 노드, 및 각 슬라이스(슬라이스 1, 슬라이스 2, … , 슬라이스 n)에 포함된 이동성 관리 노드들의 기능이 구현된다. 다만, 슬라이스 선택 노드는 기지국장치(미도시)에 구현될 수도 있다. 슬라이스 선택 노드는 단말장치(150)가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경우에 단말장치(150)의 가입자 정보(subscription)에 따라서 적절한 슬라이스를 선택한다.
전술한 네트워크 구조에서 이동성 관리 노드(122)는 단말장치(150)의 슬라이스 접속을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모든 세션관리 노드들(124)로의 세션수립 요청은 이동성 관리 노드(122)를 통해서만 송수신된다. 이동성 관리 노드(122)는 슬라이스 접속을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므로, 혼잡이 발생하게 되면 슬라이스로의 추가적인 접속은 허용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단말장치(150)가 이동성 관리 노드(122)의 혼잡이 해소될 때까지 접속 요청을 중지하고 대기하도록 하거나 다른 슬라이스로 접속하도록 제어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장치는 복수의 슬라이스들 내 이동성 관리 노드들로부터 혼잡정보를 획득한다(S210). 도 2에는 간단히 슬라이스 1 내의 이동성 관리 노드만이 혼잡정보를 전송하는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나머지 슬라이스 내의 이동성 관리 노드들도 슬라이스 선택 노드로 혼잡정보를 전송한다.
슬라이스 내 이동성 관리 노드(122)는 혼잡이 발생한 것을 감지하여 슬라이스 선택 노드로 혼잡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혼잡정보는 이동성 관리 노드(122)에 접속 가능한 최대 단말장치 수 및 접속상태에 있는 단말장치 수에 근거하여 혼잡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로서, 혼잡레벨 및 혼잡발생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낼 수 있다.
예컨대, 혼잡레벨은 접속 가능한 최대 단말장치 수에 대한 현재 접속상태에 있는 단말장치 수의 비율로 나타낼 수 있으며, 혼잡발생여부는 혼잡/비혼잡을 나타내는 비트(bit)로 간단히 나타낼 수 있다.
단말장치(150)는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경우에 서비스 유형에 따라 접속할 슬라이스 유형을 선택하고(S212), 슬라이스 선택 노드로 등록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S214). 등록 요청 메시지에는 선택한 슬라이스 유형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다.
슬라이스 선택 노드는 단말장치(150)로부터 수신한 등록요청 메시지에 따라 복수의 슬라이스 중 요청된 유형의 특정 슬라이스를 선택하고, 선택한 특정 슬라이스 내 이동성 관리 노드의 혼잡상태를 혼잡정보에 기반하여 확인한다(S216). 도 2의 예에서는 슬라이스 1의 이동성 관리 노드가 선택되어 혼잡상태를 확인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단계 S216에서 슬라이스 선택 노드는 혼잡정보에 포함된 혼잡여부를 나타내는 비트 또는 혼잡레벨을 확인하여 혼잡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혼잡여부를 나타내는 비트는 혼잡의 경우 1, 비혼잡의 경우 0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혼잡여부를 나타내는 비트가 1인 경우에는 해당 슬라이스 내 이동성 관리 노드에 혼잡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반대의 경우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다른 예로서, 혼잡레벨(즉, 혼잡정도를 나타내는 수치 값)이 기 설정된 임계치 이상인 경우 혼잡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슬라이스 선택 노드는 단계 S216에서 판단한 이동성 관리 노드의 혼잡 발생 여부에 따라서, 선택한 특정 슬라이스로 등록절차를 수행하거나 백오프 타이머(back off timer)가 포함된 등록 거절 메시지를 단말장치(150)로 전송할 수 있다. 해당 이동성 관리 노드에 혼잡이 발생한 것으로 확인되면, 슬라이스 선택 노드는 단말장치(150)의 등록요청을 거절하기 위해 등록 거절 메시지를 전송한다(S218). 이 때, 등록 거절 메시지에는 백오프 타이머와 함께 혼잡으로 인하여 요청이 거절되었음을 나타내는 사유(cause)가 포함될 수 있다.
백오프 타이머의 시간 값은 이동성 관리 노드로부터 수신한 혼잡정보에 기반하여 슬라이스 선택 노드에 의하여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혼잡정보에 의하여 혼잡이 발생한 것으로 확인되면 기 설정된 소정의 시간으로 백오프 타이머를 설정하거나, 혼잡레벨에 따라서 백오프 타이머를 가변적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백오프 타이머는 전술한 것과 같이 슬라이스 선택 노드에서 설정될 수도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동성 관리 노드가 직접 혼잡상태를 감지하여 혼잡레벨에 따라 백오프 타이머를 설정하여 혼잡정보와 함께 전달할 수도 있다.
단말장치(150)가 슬라이스 선택 노드로부터 등록 거절 메시지를 수신하면, 등록 거절 메시지에 포함된 백오프 타이머가 동작(start)하고, 백오프 타이머가 만료(expire)될 때까지 소정의 시간 동안 슬라이스에 대한 등록 요청을 하지 않고 대기하거나, 등록 거절된 슬라이스와 다른 슬라이스 유형을 선택한다(S220).
등록 거절된 슬라이스와 다른 슬라이스 유형을 선택하는 경우는 단말장치(150)가 다른 슬라이스 선택을 위한 정보를 가지고 있는 경우이다. 이 경우, 단말장치(150)가 선택한 다른 슬라이스 유형은 기 설정된 슬라이스 유형으로서, 예를 들어, 디폴트 슬라이스 유형(default slice type)으로 설정되거나 슬라이스 유형에 대한 우선순위 리스트에 따라 다음 우선순위의 슬라이스를 선택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디폴트 슬라이스 유형은 예컨대, 긴급전화 등 최소한의 필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슬라이스 유형일 수 있다.
단말장치(150)는 선택한 다른 슬라이스 유형(즉, 기 설정된 슬라이스 유형)에 대한 등록 요청 메시지를 슬라이스 선택 노드로 전송한다(S222). 슬라이스 선택 노드는 단말장치(150)의 두 번째 등록 요청에 따라 다시 슬라이스를 선택하여 해당 슬라이스 내 이동성 관리 노드의 혼잡상태를 확인하고(S224), 확인 결과 혼잡하지 않은 경우에 해당 이동성 관리 노드(예: 슬라이스 n 내 이동성 관리 노드)로 등록 요청 메시지를 전달한다(S226). 이후, 본 실시예의 네트워크 장치는 단말장치와 나머지 등록절차를 수행한다(S228).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슬라이스 내 세션관리 노드에서 혼잡이 발생한 경우에 네트워크 장치 및 단말장치의 혼잡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의 네트워크 장치(미도시)에는 복수의 슬라이스 내 이동성 관리 노드 및 이와 연동되는 하나 이상의 세션관리 노드들의 기능이 구현된다. 도 3에는 설명의 명확성을 위해 복수의 슬라이스 중 특정 슬라이스 내 이동성 관리 노드만을 도시하였다.
종래의 이동통신 시스템에서는 단말장치가 네트워크에 등록(attach)된 경우에 세션(즉, PDN 연결)을 무조건 생성하여 서비스를 제공하였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100)에서는 무조건 세션을 생성하는 것이 아니라 특정 서비스에 대해서는 필요한 경우에만 세션을 생성하여 해당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혼잡제어 방법은 세션수립을 필수적(mandatory)으로 하는 서비스와 선택적(optional)으로 하는 서비스를 구분하여, 각 서비스에 따라서 혼잡이 발생한 세션관리 노드(124)를 제어하는 방법을 달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장치가 반드시 세션수립을 요구하는 서비스를 위하여 특정 슬라이스에 접속요청을 한 경우, 해당 세션을 관리하는 세션관리 노드에 혼잡이 발생하였다면 해당 슬라이스에 접속하는 것이 더 이상 의미가 없으므로 다른 슬라이스를 선택하거나 혼잡이 해소될 때까지 대기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와 반대의 경우로, 단말장치가 슬라이스를 선택하여 등록절차를 수행하는 과정 중에는 세션수립이 불필요한 서비스(즉, 데이터 송수신이 필요한 때에만 세션을 생성하면 되는 서비스)가 있다. 이 경우에는 슬라이스에 접속하는 과정 중 필요로 하는 세션관리 노드에 혼잡이 발생하더라도 해당 슬라이스로 접속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150)는 슬라이스를 선택하여 접속을 요청할 경우에 세션관리 노드(124)로 등록이 필요한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세션관리 노드(124)로 등록이 필요한지 여부에 대한 정보는 세션수립(또는 세션관리 노드의 할당)의 필수여부에 대한 정보 및 어떤 세션관리 노드에 등록해야 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네트워크 장치는 각각의 슬라이스 내 하나 이상의 세션관리 노드들로부터 혼잡정보를 획득한다(S310). 세션관리 노드들은 혼잡이 발생한 것을 감지하여 이동성 관리 노드로 혼잡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혼잡정보는 세션관리 노드가 관리 가능한 최대 세션 수 및 관리 중인 세션 수에 근거하여 혼잡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로서, 혼잡레벨 및 혼잡발생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낼 수 있다.
예컨대, 혼잡레벨은 관리 가능한 최대 세션 수에 대한 현재 관리 중인 세션 수의 비율로 나타낼 수 있으며, 혼잡발생여부는 혼잡/비혼잡을 나타내는 비트(bit)로 간단히 나타낼 수 있다.
단말장치는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경우에 서비스 유형에 따라 접속할 슬라이스 유형을 선택하고(S312), 선택한 특정 유형의 슬라이스 내 특정 유형의 세션에 대한 세션수립 요청 메시지를 해당 이동성 관리 노드로 전송한다(S314). 여기서, 세션수립 요청 메시지는 특정 유형의 슬라이스에 대한 등록 요청 메시지에 포함되어 이동성 관리 노드까지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세션수립 요청 메시지에는 세션수립이 필수적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가 포함될 수 있다.
이동성 관리 노드는 단말장치로부터 수신한 세션수립 요청 메시지에 따라 특정 유형의 슬라이스 내 특정 세션관리 노드를 선택하고, 선택한 특정 세션관리 노드의 혼잡상태를 혼잡정보에 기반하여 확인한다(S316).
단계 S316에서 이동성 관리 노드는 혼잡정보에 포함된 혼잡여부를 나타내는 비트 또는 혼잡레벨을 확인하여 혼잡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혼잡여부를 나타내는 비트는 혼잡의 경우 1, 비혼잡의 경우 0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혼잡여부를 나타내는 비트가 1인 경우에는 해당 세션관리 노드에 혼잡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반대의 경우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다른 예로서, 혼잡레벨(즉, 혼잡정도를 나타내는 수치 값)이 기 설정된 임계치 이상인 경우 혼잡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이동성 관리 노드는 단계 S316에서 판단한 세션관리 노드의 혼잡 발생 여부에 따라서, 특정 세션관리 노드로 세션수립 절차를 수행하거나 백오프 타이머(back off timer)가 포함된 세션 거절 메시지를 단말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해당 세션관리 노드에 혼잡이 발생한 것으로 확인되면, 이동성 관리 노드는 단말장치의 세션수립 요청을 거절하기 위해 세션 거절 메시지를 전송한다(S318). 이 때, 세션 거절 메시지에는 백오프 타이머와 함께 혼잡으로 인하여 요청이 거절되었음을 나타내는 사유(cause)가 포함될 수 있다.
백오프 타이머의 시간 값은 세션관리 노드로부터 수신한 혼잡정보에 기반하여 이동성 관리 노드에 의하여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혼잡정보에 의하여 혼잡이 발생한 것으로 확인되면 기 설정된 소정의 시간으로 백오프 타이머를 설정하거나, 혼잡레벨에 따라서 백오프 타이머를 가변적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백오프 타이머는 전술한 것과 같이 이동성 관리 노드에서 설정될 수도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세션관리 노드가 직접 혼잡상태를 감지하여 혼잡레벨에 따라 백오프 타이머를 설정하여 혼잡정보와 함께 전달할 수도 있다.
단말장치가 이동성 관리 노드로부터 세션 거절 메시지를 수신하면, 세션 거절 메시지에 포함된 백오프 타이머가 동작(start)하고, 백오프 타이머가 만료(expire)될 때까지 소정의 시간 동안 슬라이스에 대한 등록 요청을 하지 않고 대기하거나, 등록 거절된 슬라이스와 다른 슬라이스 유형을 선택한다(S320 및 S322).
구체적으로, 세션수립이 필수적인 서비스의 경우(즉, 세션관리 노드로의 등록이 필수적인 서비스의 경우)에는 세션 거절 메시지에 백오프 타이머가 포함되면 단말장치는 백오프 타이머에 의한 제약으로 인하여 해당 슬라이스에 대해 등록 요청을 할 수 없게 된다. 이에 따라, 단말장치는 백오프 타이머가 만료될 때까지 대기하였다가 다시 해당 슬라이스에 대한 등록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
세션수립이 필수적인 경우, 실시예에 따라서 단말장치는 등록 거절된 슬라이스와 다른 유형의 슬라이스를 선택할 수 있다. 이 경우는 단말장치가 다른 슬라이스 선택을 위한 정보를 가지고 있는 경우이다. 단말장치가 선택한 다른 슬라이스 유형은 기 설정된 슬라이스 유형으로서, 예를 들어, 디폴트 슬라이스 유형(default slice type)으로 설정되거나 슬라이스 유형에 대한 우선순위 리스트에 따라 다음 우선순위의 슬라이스를 선택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디폴트 슬라이스 유형은 예컨대, 긴급전화 등 최소한의 필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슬라이스 유형일 수 있다.
단말장치는 선택한 다른 슬라이스 유형(즉, 기 설정된 슬라이스 유형)에 대한 등록 요청 메시지(세션유형 및 세션수립의 필수여부에 대한 정보 포함)를 네트워크 장치로 전송한다. 단말장치의 두 번째 등록 요청에 따라 네트워크 장치 내 해당 슬라이스의 이동성 관리 노드는 다시 해당 세션관리 노드의 혼잡상태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 혼잡하지 않은 경우에 해당 세션관리 노드로 등록절차를 수행한다.
반면에, 세션수립이 선택적인 서비스의 경우(즉, 세션관리 노드로의 등록이 선택적인 서비스의 경우)에는 슬라이스 접속과정에서의 세션수립이 필수적이지 않기 때문에 세션 거절 메시지를 수신하더라도 다른 슬라이스를 선택하여 등록요청을 시도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단말장치는 세션 거절 메시지에 포함된 백오프 타이머가 만료될 때까지 등록요청을 하지 않고 대기하면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는 이동성 관리 노드 및 하나 이상의 세션관리 노드 별로 백오프 타이머를 가질 수 있다. 즉, 슬라이스 및 서비스 별로 하나 이상의 백오프 타이머를 가질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슬라이스 내 사용자평면 노드에서 혼잡이 발생한 경우에 네트워크 장치 및 단말장치의 혼잡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슬라이스 내 사용자평면 노드에서 혼잡이 발생한 경우에 네트워크 장치 및 단말장치의 혼잡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의 네트워크 장치(미도시)에는 복수의 슬라이스 내 이동성 관리 노드, 각 이동성 관리 노드와 연동되는 하나 이상의 세션관리 노드들 및 각 세션관리 노드와 연동되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평면 노드(사용자평면 노드 1, … , 사용자평면 노드 n)의 기능이 구현된다. 도 4 및 도 5에는 설명의 명확성을 위 하여 복수의 슬라이스 중 특정 슬라이스 내 이동성 관리 노드와 연동되는 특정 세션관리 노드만을 도시하였다.
사용자평면 노드(UPGW)는 사용자 패킷을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혼잡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패킷을 처리할 수 없기 때문에 해당 패킷을 폐기(discard)하게 되어 사용자가 체감하는 서비스 품질을 저하시킨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자평면 노드에 혼잡이 발생한 경우에는 세션관리 노드가 혼잡이 발생하지 않은 사용자평면 노드를 선택하여 단말장치에 할당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하나의 세션관리 노드에는 다수의 사용자평면 노드가 연동되기 때문에 하나의 사용자평면 노드에 혼잡이 발생하더라도 혼잡이 발생하지 않은 다른 사용자평면 노드를 단말장치에 할당함으로써 혼잡이 심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장치는 특정 슬라이스 내 하나 이상의 세션 관리 노드들과 연동된 하나 이상의 사용자평면 노드들로부터 혼잡정보를 획득한다(S410). 도 4에는 간단히 사용자평면 노드 1만이 혼잡정보를 전송하는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나머지 사용자평면 노드들도 세션관리 노드로 혼잡정보를 전송한다.
사용자평면 노드들은 혼잡이 발생한 것을 감지하여 세션관리 노드로 혼잡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혼잡정보는 사용자평면 노드가 처리 가능한 최대 패킷 수 및 처리 중인 패킷 수에 근거하거나, 폐기되는 패킷 수에 근거하여 혼잡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혼잡정보는 혼잡레벨 및 혼잡발생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혼잡레벨은 처리 가능한 최대 패킷 수에 대한 현재 처리 중인 패킷 수의 비율 또는 사용자평면 노드에 도달한 전체 패킷 수에 대한 폐기(discard)된 패킷의 수의 비율로 나타낼 수 있으며, 혼잡발생여부는 혼잡/비혼잡을 나타내는 비트(bit)로 간단히 나타낼 수 있다.
단말장치는 네트워크 접속을 위해 서비스 유형에 따라 특정 유형의 슬라이스를 선택하고(S412), 세션생성이 필요한 경우에 선택한 유형의 슬라이스 내 특정 유형의 세션에 대한 세션수립 요청 메시지를 네트워크 장치로 전송한다(S414). 세션수립 요청 메시지는 세션관리 노드까지 전달되며, 요청하는 세션유형에 대한 정보 및 세션수립(즉, 세션관리 노드의 할당)이 필수적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가 포함될 수 있다.
세션관리 노드는 단말장치로부터 수신한 세션수립 요청 메시지에 따라 특정 유형의 슬라이스 내 특정 세션관리 노드와 연동되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평면 노드들의 혼잡상태를 혼잡정보에 기반하여 확인하고, 혼잡이 발생하지 않은 사용자평면 노드를 선택한다(S416). 도 4에서는 사용자평면 노드 n이 혼잡이 발생하지 사용자평면 노드로서 선택된 경우를 예시한다.
단계 S416에서 세션관리 노드는 혼잡정보에 포함된 혼잡여부를 나타내는 비트 또는 혼잡레벨을 확인하여 혼잡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혼잡여부를 나타내는 비트는 혼잡의 경우 1, 비혼잡의 경우 0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혼잡여부를 나타내는 비트가 1인 경우에는 해당 사용자평면 노드에 혼잡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반대의 경우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다른 예로서, 혼잡레벨(즉, 혼잡정도를 나타내는 수치 값)이 기 설정된 임계치 이상인 경우 혼잡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 혼잡이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사용자평면 노드가 다수 개 존재하는 경우에는 혼잡레벨을 상호 비교하는 방식으로 혼잡 정도가 가장 양호한 사용자평면 노드를 선택할 수도 있다.
세션관리 노드는 단계 S416에서 선택한 혼잡이 발생하지 않은 사용자평면 노드에 대한 정보를 기지국장치에 전송하고(S418), 기지국장치에 대한 정보를 해당 사용자평면 노드로 전송하여(S420) 세션수립 절차를 수행한다. 세션관리 노드의 기지국장치 및 사용자평면 노드로의 각각의 정보 전달은 반드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시계열적 순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세션수립 절차에 의하여 단말장치와 혼잡이 발생하지 않은 사용자평면 노드 간에는 사용자 평면 터널(즉, 세션)이 생성되어 트래픽의 전송이 가능하게 된다(S422).
한편, 이미 특정 사용자평면 노드와 세션이 수립된 상태에서 해당 사용자평면 노드에 혼잡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 경우에 세션관리 노드는 신규 세션수립 절차를 수행하지 않고 이미 수립되어 있는 세션을 혼잡하지 않은 다른 사용자평면 노드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는 사용자평면 노드 1과 단말장치 간에 이미 세션이 수립되어 있는 상태(S510)를 예시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평면 노드 1에 혼잡이 감지되면, 사용자평면 노드 1은 세션관리 노드로 혼잡발생 및 혼잡레벨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혼잡정보를 세션관리 노드로 전송할 수 있다(S512).
세션관리 노드는 획득한 혼잡정보를 기반으로 혼잡이 발생한 사용자평면 노드 1의 세션 중 적어도 일부를 이동시키기 위해 혼잡이 발생하지 않은 다른 사용자평면 노드(예: 사용자평면 노드 n)를 결정할 수 있다(S514). 예를 들어, 혼잡발생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를 확인하여 혼잡이 발생하지 않은 사용자평면 노드를 선택하거나, 혼잡이 발생하지 않은 사용자평면 노드가 다수 개이면 혼잡레벨을 상호 비교하여 혼잡 정도가 가장 양호한 노드를 선택하는 등으로 다른 사용자평면 노드를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
세션관리 노드는 기존 세션을 이동시키기 위하여 단계 S514에서 결정된 사용자평면 노드에 대한 정보 및 기존 세션 정보를 기지국장치에 전송하고(S516), 기지국장치에 대한 정보 및 기존 세션 정보를 결정된 사용자평면 노드에 전송하여(S518) 세션이동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단계 S516 및 S518은 도 5에 도시된 시계열적 순서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세션이동 절차에 의하여 단말장치는 혼잡이 발생하지 않은 새로운 사용자평면 노드와 사용자평면 터널을 형성하여 트래픽 전송을 할 수 있다(S520).
도 2 내지 도 5에서는 각 과정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시 말해, 도 2 내지 도 5에 기재된 과정을 변경 또는 생략하여 실행하거나 하나 이상의 과정을 병렬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적용 가능할 것이므로, 도 2 내지 도 5는 시계열적인 순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 내지 도 5에 기재된 본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장치 및 단말장치의 혼잡 제어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혼잡 제어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팅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이동통신 시스템
110: 네트워크 슬라이스
122: 이동성 관리 노드
124: 세션관리 노드
132: 사용자평면 노드

Claims (16)

  1. 하나의 물리적 네트워크가 서비스 유형에 따라 분리되어 논리적 네트워크인 복수의 슬라이스들로 구성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장치가 네트워크 혼잡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슬라이스들 내 이동성 관리 노드들로부터 혼잡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단말장치로부터 수신한 특정 유형의 슬라이스에 대한 등록 요청 메시지에 따라 특정 슬라이스를 선택하고, 선택한 특정 슬라이스 내 이동성 관리 노드의 혼잡상태를 상기 혼잡정보에 기반하여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한 특정 슬라이스 내 이동성 관리 노드의 혼잡 발생 여부에 따라 상기 선택한 특정 슬라이스로 등록절차를 수행하거나, 백오프 타이머(back off timer)가 포함된 등록 거절 메시지를 상기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혼잡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잡정보는 상기 이동성 관리 노드에 접속 가능한 최대 단말장치 수 및 접속상태에 있는 단말장치 수에 근거하여 혼잡상태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혼잡 제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잡상태를 상기 혼잡정보에 기반하여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혼잡정보에 포함된 혼잡여부를 나타내는 비트 또는 혼잡레벨을 확인하여, 상기 비트가 혼잡상태를 나타내거나 상기 혼잡레벨이 기 설정된 임계치 이상인 경우 혼잡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혼잡 제어 방법.
  4. 하나의 물리적 네트워크가 서비스 유형에 따라 분리되어 논리적 네트워크인 복수의 슬라이스들로 구성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장치가 네트워크 혼잡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접속할 슬라이스 유형을 선택하고, 선택한 유형의 슬라이스에 대한 등록 요청 메시지를 네트워크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상기 선택한 유형의 슬라이스 내 이동성 관리 노드의 혼잡으로 인하여 백오프 타이머가 포함된 등록 거절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등록 거절 메시지에 따라 상기 백오프 타이머가 만료될 때까지 등록 요청을 하지 않고 대기하거나, 기 설정된 슬라이스 유형에 대한 등록 요청 메시지를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혼잡 제어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슬라이스 유형은 상기 단말장치가 등록 요청할 슬라이스 유형들의 우선순위에 근거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혼잡 제어 방법.
  6. 하나의 물리적 네트워크가 서비스 유형에 따라 분리되어 논리적 네트워크인 복수의 슬라이스들로 구성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장치가 네트워크 혼잡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각각의 슬라이스 내 하나 이상의 세션관리 노드들로부터 혼잡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단말장치로부터 특정 유형의 슬라이스 내 특정 유형의 세션에 대한 세션수립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세션수립 요청 메시지에 따라 상기 특정 유형의 슬라이스 내 특정 세션관리 노드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한 특정 세션관리 노드의 혼잡상태를 상기 혼잡정보에 기반하여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한 특정 세션관리 노드의 혼잡 발생 여부에 따라 상기 특정 세션관리 노드로 세션수립 절차를 수행하거나, 백오프 타이머(back off timer)가 포함된 세션 거절 메시지를 상기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혼잡 제어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혼잡정보는 상기 세션관리 노드가 관리 가능한 최대 세션 수 및 관리 중인 세션 수에 근거하여 혼잡상태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혼잡 제어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혼잡상태를 상기 혼잡정보에 기반하여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혼잡정보에 포함된 혼잡여부를 나타내는 비트 또는 혼잡레벨을 확인하여, 상기 비트가 혼잡상태를 나타내거나 상기 혼잡레벨이 기 설정된 임계치 이상인 경우 혼잡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혼잡 제어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세션수립 요청 메시지는 세션 수립이 필수적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혼잡 제어 방법.
  10. 하나의 물리적 네트워크가 서비스 유형에 따라 분리되어 논리적 네트워크인 복수의 슬라이스들로 구성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장치가 네트워크 혼잡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특정 유형의 슬라이스 내 특정 유형의 세션에 대한 세션수립 요청 메시지를 네트워크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상기 세션수립 요청 메시지에 따라 선택된 특정 유형의 슬라이스 내 특정 세션관리 노드의 혼잡으로 인하여 백오프 타이머가 포함된 세션 거절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세션 거절 메시지에 따라 상기 백오프 타이머가 만료될 때까지 상기 특정 유형의 슬라이스로 등록요청을 하지 않고 대기하거나, 기 설정된 슬라이스 유형에 대한 등록 요청 메시지를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혼잡 제어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슬라이스 유형은 상기 단말장치가 등록 요청할 슬라이스 유형들의 우선순위에 근거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혼잡 제어 방법.
  12. 하나의 물리적 네트워크가 서비스 유형에 따라 분리되어 논리적 네트워크인 복수의 슬라이스들로 구성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장치가 네트워크 혼잡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특정 슬라이스 내 하나 이상의 세션 관리 노드들과 연동된 하나 이상의 사용자평면 노드들로부터 혼잡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단말장치로부터 특정 유형의 슬라이스 내 특정 유형의 세션에 대한 세션수립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세션수립 요청 메시지에 따라 특정 세션관리 노드와 연동되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평면 노드들의 혼잡상태를 상기 혼잡정보에 기반하여 확인하고, 혼잡이 발생하지 않은 사용자평면 노드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한 사용자평면 노드에 대한 정보를 기지국장치에 전송하고 상기 기지국장치에 대한 정보를 상기 선택한 사용자평면 노드에 전송하여 세션수립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혼잡 제어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혼잡정보는 상기 사용자평면 노드가 처리 가능한 최대 패킷 수 및 처리 중인 패킷 수에 근거하거나, 상기 사용자평면 노드에 도달한 전체 패킷 수 및 폐기되는 패킷 수에 근거하여 혼잡상태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혼잡 제어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혼잡상태를 상기 혼잡정보에 기반하여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혼잡정보에 포함된 혼잡여부를 나타내는 비트 또는 혼잡레벨을 확인하여, 상기 비트가 혼잡상태를 나타내거나 상기 혼잡레벨이 기 설정된 임계치 이상인 경우 혼잡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혼잡 제어 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세션수립 요청 메시지는 세션 수립이 필수적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혼잡 제어 방법.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장치와 세션이 수립된 사용자평면 노드로부터 혼잡발생 및 혼잡레벨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혼잡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혼잡정보를 기반으로 혼잡이 발생한 상기 사용자평면 노드의 세션 중 적어도 일부를 이동시키기 위해 혼잡이 발생하지 않은 다른 사용자평면 노드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사용자평면 노드에 대한 정보 및 기존 세션 정보를 상기 기지국장치에 전송하고 상기 기지국장치에 대한 정보 및 상기 기존 세션 정보를 상기 결정된 사용자평면 노드에 전송하여 세션이동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혼잡 제어 방법.
KR1020160142993A 2016-10-31 2016-10-31 서비스 별 네트워크 혼잡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5803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2993A KR102580332B1 (ko) 2016-10-31 2016-10-31 서비스 별 네트워크 혼잡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2993A KR102580332B1 (ko) 2016-10-31 2016-10-31 서비스 별 네트워크 혼잡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7172A true KR20180047172A (ko) 2018-05-10
KR102580332B1 KR102580332B1 (ko) 2023-09-18

Family

ID=621847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2993A KR102580332B1 (ko) 2016-10-31 2016-10-31 서비스 별 네트워크 혼잡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0332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7502A (ko) * 2017-06-19 2020-02-18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단말 장치 및 코어 네트워크 장치
WO2021167234A1 (ko) * 2020-02-18 2021-08-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네트워크 슬라이스와 관련된 통신
WO2021187828A1 (ko) * 2020-03-17 2021-09-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네트워크 슬라이스와 관련된 통신
WO2021187829A1 (ko) * 2020-03-17 2021-09-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네트워크 슬라이스와 관련된 통신
WO2022015014A1 (en) * 2020-07-13 2022-01-20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 cell selection or a cell reselection considering a network slic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22014944A1 (ko) * 2020-07-14 2022-0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Nssaa 실패로 인한 거절된 nssai 처리
WO2024090901A1 (ko) * 2022-10-27 2024-05-02 삼성전자 주식회사 가상 노드를 이용한 노드 관리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0672A (ko) * 2003-03-14 2005-11-23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셀룰러 통신 시스템에서 연기 가능한 데이터 서비스들을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30080836A (ko) * 2010-06-07 2013-07-15 인터디지탈 패튼 홀딩스, 인크 혼잡한 네트워크에서 서비스 요청 메시지들을 송신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50067041A (ko) * 2013-12-06 2015-06-17 주식회사 케이티 부하 분산을 위한 m2m 시스템에서의 등록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60107825A (ko) * 2015-03-05 2016-09-1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플로우 제어 관리방법 및 그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0672A (ko) * 2003-03-14 2005-11-23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셀룰러 통신 시스템에서 연기 가능한 데이터 서비스들을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30080836A (ko) * 2010-06-07 2013-07-15 인터디지탈 패튼 홀딩스, 인크 혼잡한 네트워크에서 서비스 요청 메시지들을 송신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50067041A (ko) * 2013-12-06 2015-06-17 주식회사 케이티 부하 분산을 위한 m2m 시스템에서의 등록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60107825A (ko) * 2015-03-05 2016-09-1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플로우 제어 관리방법 및 그 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S2-162981* *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7502A (ko) * 2017-06-19 2020-02-18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단말 장치 및 코어 네트워크 장치
WO2021167234A1 (ko) * 2020-02-18 2021-08-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네트워크 슬라이스와 관련된 통신
WO2021187828A1 (ko) * 2020-03-17 2021-09-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네트워크 슬라이스와 관련된 통신
WO2021187829A1 (ko) * 2020-03-17 2021-09-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네트워크 슬라이스와 관련된 통신
WO2022015014A1 (en) * 2020-07-13 2022-01-20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 cell selection or a cell reselection considering a network slic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22014944A1 (ko) * 2020-07-14 2022-0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Nssaa 실패로 인한 거절된 nssai 처리
WO2024090901A1 (ko) * 2022-10-27 2024-05-02 삼성전자 주식회사 가상 노드를 이용한 노드 관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0332B1 (ko) 2023-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602452B (zh) 用于多播-广播会话释放和修改的方法和***
US11917498B2 (en) Communication method and communications apparatus
CN110771203B (zh) 通信方法及接入网设备、核心网设备
CN113225782B (zh) 用于会话管理的方法、设备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9151906B (zh) 通信方法、网络设备、终端设备和***
KR20180047172A (ko) 서비스 별 네트워크 혼잡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CN110831075A (zh) 数据传输方法及装置,业务切换方法及装置
KR20090031778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정책 실행을 위한 방법 및 장치
CN110915264B (zh) 无线通信中的会话处理方法及终端设备
WO2019165882A1 (zh) 一种切片信息的获取方法和中继装置
US20180084565A1 (en) Bearer setup method and apparatus
EP3496432A1 (en) Communication method and device
JP7238936B2 (ja) 第1の装置及び方法
CN110446274B (zh) 一种隧道建立的方法及装置
CN113747479A (zh) 获取网络资源的方法、设备及***
RU2653298C2 (ru) Способ конфигурирования, сетевое устройство и абонентское устройство
US8750208B1 (en) Processing an access request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15802320A (zh) 一种业务处理方法、装置和***
KR101790192B1 (ko) 애플리케이션 관리 방법 및 장치
US9420470B2 (en) Application aware communication system
CN107306437B (zh) 关联消息处理装置及方法
JP2017034562A (ja) 通信装置および再接続方法
CN117202219A (zh) 一种基于流量模式的通信方法和相关设备
EP4298773A1 (en) Adaptive forwarding handling of data packets
KR20150057895A (ko) 접속 제어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