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3906A - 지중케이블용 파형관 - Google Patents

지중케이블용 파형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3906A
KR20180043906A KR1020160137285A KR20160137285A KR20180043906A KR 20180043906 A KR20180043906 A KR 20180043906A KR 1020160137285 A KR1020160137285 A KR 1020160137285A KR 20160137285 A KR20160137285 A KR 20160137285A KR 20180043906 A KR20180043906 A KR 201800439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derground cable
corrugated pipe
present
hermetic
corrug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72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완
정현준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601372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43906A/ko
Publication of KR201800439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39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6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underground tubes or conduits; Tubes or conduit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5/00Constructive types of pipe joi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L13/00 - F16L23/00 ; Details of pipe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ally conducting or insulating means
    • F16L25/0036Joints for corrugated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9/00Rigid pipes
    • F16L9/006Rigid pipes specially profile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62Tubings, i.e. having a closed section
    • H02G3/0468Corrugate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2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laid directly in or on the ground, river-bed or sea-bottom; Coverings therefor, e.g. tile
    • H02G9/025Coverings therefor, e.g. ti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지중케이블용 파형관은 복수의 굴곡이 반복적으로 형성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일 측에 형성되고 제1크기의 지름을 갖는 제1단부; 및 상기 몸체부의 타 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1크기와 다른 제2크기의 지름을 갖는 제2단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지중케이블용 파형관{Corrugated Pipe for Underground Cable}
본 발명은 파형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이음관 없이도 연결될 수 있는 지중케이블용 파형관에 관한 것이다.
고압 전력케이블의 설치는 토사를 굴착한 후 파형 경질 폴리에틸렌 전선관(ELP 전선관이라고도 함)을 매설한 후, 해당 ELP 전선관에 전력케이블을 인입시키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사용되는 ELP 전선관은 파형으로 압출되어 있어 전력케이블과의 마찰이 적을 뿐만 아니라 자유롭게 구부러지는 특성을 가지므로, 직선형태의 시공뿐만 아니라 우회시공도 용이하다.
위와 같은 ELP 전선관은 규격이 정해져 있으므로, 인접한 ELP 전선관을 연결하기 위해서는 조립식 이음관이나 발열수축 이음관 등을 사용해야 한다.
그러나 조립식 이음관 및 발열수축 이음관을 이용한 ELP 전선관의 연결작업은 작업시간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ELP 전선관의 매설에 필요한 비용을 증대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별도의 이음관 없이도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된 새로운 형태의 ELP 전선관(즉, 파형관)의 개발이 요청된다.
참고로,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특허문헌 1이 있다.
KR 10-1369988 B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인접한 파형관을 신속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된 지중케이블용 파형관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중케이블용 파형관은 복수의 굴곡이 반복적으로 형성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일 측에 형성되고 제1크기의 지름을 갖는 제1단부; 및 상기 몸체부의 타 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1크기와 다른 제2크기의 지름을 갖는 제2단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중케이블용 파형관은 상기 제1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단부의 반경 중심을 향해 돌출되는 제1돌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중케이블용 파형관은 상기 제2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2단부의 반경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2돌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중케이블용 파형관에서 상기 제1단부 및 상기 제2단부는 타원형태의 단면 형상을 갖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중케이블용 파형관은 상기 제1단부 및 상기 제2단부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는 기밀 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중케이블용 파형관에서 상기 기밀 부재는, 상기 제1단부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결합 돌기; 및 상기 제1단부의 반경 중심으로 돌출되는 쐐기형 돌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중케이블용 파형관은 상기 제1단부 및 상기 제2단부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는 밀폐 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중케이블용 파형관에서 상기 밀폐 부재는 상기 기밀 부재와 상기 기밀 부재 사이에 배치된다.
본 발명은 이음관 없이도 인접한 파형관의 연결이 가능하므로, 파형관을 지중에 매설하는데 소요되는 작업시간을 현저하게 단축시킬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이음관이 필요 없으므로 파형관을 매설하는데 필요한 작업공정 및 작업비용을 경감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중케이블용 파형관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지중케이블용 파형관의 단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지중케이블용 파형관의 A-A 단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지중케이블용 파형관의 B-B 단면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지중케이블용 파형관의 C-C 단면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지중케이블용 파형관의 결합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지중케이블용 파형관의 단면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D 부분의 확대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지중케이블용 파형관의 단면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지중케이블용 파형관의 결합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지칭하는 용어들은 각각의 구성요소들의 기능을 고려하여 명명된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아울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과 '연결'되어 있다 함은 이들 구성들이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일 실시 예에 따른 지중케이블용 파형관을 설명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지중케이블용 파형관(100)은 대체로 합성수지로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파형관(100)은 고밀도 폴리에틸렌을 주원료로 하여 제작될 수 있다. 그러나 지중케이블용 파형관(100)의 재질이 폴리에틸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지중케이블용 파형관(100)은 성형이 용이한 다른 재질에서 선택될 수 있다.
지중케이블용 파형관(100)은 지중매설 시 쉽게 부식되지 않도록 내식성을 갖는 재질로 피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중케이블용 파형관(100)의 외부 및 내부 표현은 내식성을 갖는 물질로 코팅될 수도 있다.
지중케이블용 파형관(100)은 3 부분으로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중케이블용 파형관(100)은 길이방향을 따라 몸체부(110), 제1단부(120), 제2단부(130)로 구분될 수 있다. 그러나 지중케이블용 파형관(100)이 3부분만으로 구분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지중케이블용 파형관(100)의 몸체부(110)가 2개 이상의 부분으로 구분될 수도 있다.
몸체부(110)는 지중케이블용 파형관(100)에서 굴곡이 형성된 부분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몸체부(110)는 제1단부(120)가 끝나는 부분에서 제2단부(130)가 시작되는 부분까지의 부분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110)는 쉽게 휘어지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몸체부(110)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다수의 굴곡이 형성되어 파형관(100)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용이하게 구부러질 수 있다.
몸체부(110)의 굴곡은 일정한 형태가 연속되는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몸체부(110)의 굴곡은 나선 형태일 수 있다. 몸체부(110)의 굴곡은 서로 다른 형상이 반복되는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몸체부(110)의 굴곡은 상이한 지름을 갖는 원형 형상이 순차적으로 반복되는 형상일 수 있다. 그러나 몸체부(110)의 굴곡이 전술된 2가지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단부(120)는 몸체부(110)의 일 측에 형성된다. 제1단부(120)는 대체로 굴곡이 없는 형태를 가지며, 소정의 제1길이(L1)로 형성될 수 있다. 제1단부(120)에는 하나 이상의 제1돌기(122)가 형성된다. 제1돌기(122)는 제1단부(120)의 내측 표면에서 제1단부(120)의 반경 중심을 향해 돌출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제1돌기(122)는 다른 지중케이블용 파형관의 단부와 결합하여, 기밀성 및 결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2단부(130)는 몸체부(110)의 타 측에 형성된다. 제2단부(130)는 대체로 굴곡이 없는 형태를 가지며, 소정의 제2길이(L2)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2길이(L2)는 제1단부(120)의 제1길이(L1)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조건은 지중케이블용 파형관(100)의 제1단부(120)와 다른 지중케이블용 파형관의 제2단부(130) 간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고 결속력을 향상시키는데 유리할 수 있다.
제2단부(130)에는 제1단부(120)와 마찬가지로 하나 이상의 제2돌기(132)가 형성된다. 제2돌기(132)는 제2단부(130)의 외측 표면에서 제2단부(130)의 반경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제2돌기(132)는 다른 지중케이블용 파형관의 단부와 결합하여, 기밀성 및 결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지중케이블용 파형관(100)은 기밀 부재(140)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지중케이블용 파형관(100)의 제1단부(120)에는 하나 이상의 기밀 부재(140)가 형성될 수 있다.
기밀 부재(140)는 몸체부(110)와 다른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밀 부재(140)는 탄성 변형률이 우수한 에폭시 수지로 제작될 수 있다. 그러나 기밀 부재(140)의 재질이 에폭시 수지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기밀 부재(140)는 제1단부(1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 예에서는 3개의 기밀 부재(142, 144, 146)가 제1단부(1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그러나 제1단부(120)에 배치되는 기밀 부재(140)의 수가 3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단부(120)에 2개 이하 또는 4개 이상의 기밀 부재(140)를 배치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배치된 기밀 부재(140)는 제1단부(120)와 제1단부(120)에 삽입되는 단부 간의 틈새를 차단하여 파형관(100)과 파형관의 연결부위로 수분이 침투하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지중케이블용 파형관의 제1단부의 횡단면 형태를 설명한다.
제1단부(1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체로 원형의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제1단부(120)의 장축 지름(D1max)과 제1단부(120)의 단축 지름(D1min)은 대체로 동일할 수 있다. 그러나 제1단부(120)의 장축 지름(D1max)과 제1단부(120)의 단축 지름(D1min)이 반드시 동일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단부(120)의 장축 지름(D1max)과 제1단부(120)의 단축 지름(D1min)은 서로 다른 크기로 형성되어, 제1단부(120)의 단면이 타원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재차 참조하여 지중케이블용 파형관의 제1단부에 배치되는 기밀 부재의 형태를 설명한다.
복수의 기밀 부재(140: 142, 144, 146)는 서로 다른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단부(120)의 최외곽에 배치되는 제1기밀 부재(14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체로 원 형태로 제작되고, 제1기밀 부재(142)와 이웃한 제2기밀 부재(144)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채꼴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그리고 제2기밀 부재(144)와 이웃한 제3기밀 부재(146)는 제1기밀 부재(142)와 마찬가지로 원 형태로 제작되거나 또는 제2기밀 부재(144)와 마찬가지로 부채꼴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위와 같이 서로 다른 형태로 제작되는 복수의 기밀 부재(140)는 제1단부(120)와 다른 판형관의 제2단부 간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면서 이들 단부 간의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지중케이블용 파형관의 제2단부의 횡단면 형태를 설명한다.
제2단부(1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체로 원형의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제2단부(130)의 장축 지름(D2max)과 제2단부(130)의 단축 지름(D2min)은 대체로 동일할 수 있다. 그러나 제2단부(130)의 장축 지름(D2max)과 제2단부(130)의 단축 지름(D2min)이 반드시 동일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2단부(130)의 장축 지름(D2max)과 제2단부(130)의 단축 지름(D2min)은 서로 다른 크기로 형성되어, 제2단부(130)의 단면이 타원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제2단부(130)는 대체로 제1단부(120)보다 작은 단면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단부(130)의 장축 지름(D2max)은 제1단부(120)의 장축 지름(D1max)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제2단부(130)의 단축 지름(D2min)은 제1단부(120)의 단축 지름(D1min)보다 작을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제2단부(130)는 다른 파형관(100)의 제1단부(120)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지중케이블용 파형관의 결합 형태를 설명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지중케이블용 파형관(10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이음관 없이도 다른 지중케이블용 파형관과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중케이블용 파형관(100)의 제1단부(120)에는 다른 지중케이블용 파형관(100)의 제2단부(130)가 삽입될 수 있다. 즉, 본 실시 예에 따른 지중케이블용 파형관(1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제1단부(120)와 제2단부(130)가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지므로, 하나의 지중케이블용 파형관(100)에 다른 지중케이블용 파형관이 쉽게 끼워질 수 있다.
아울러, 제1단부(120)에는 복수의 기밀 부재(140)가 배치되어 있으므로, 제1단부(120)와 제2단부(130)의 결합부위로 수분 등의 침투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 따르면 별도의 이음관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복수의 지중케이블용 파형관(100)을 신속하게 연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파형관(100)의 연결부위에서의 결합성 및 수밀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지중케이블용 파형관을 설명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지중케이블용 파형관(102)은 돌기 및 기밀 부재의 형상에 있어서 전술된 실시 예와 구별된다.
예를 들어, 본 실시 예에서 제1돌기(122) 및 제2돌기(132)는 소정의 경사각을 갖는 쐐기 형태일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제1돌기(122)는 하방으로 돌출된 쐐기 형상이고, 제2돌기(132)는 상방으로 돌출된 쐐기 형태일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제1돌기(122) 및 제2돌기(132)는 제2단부(130)가 제1단부(120)의 내측으로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기밀 부재(140)는 다수의 결합 돌기(1402, 1404)를 포함한 형태이다. 예를 들어, 기밀 부재(140)의 일 측에는 제1단부(120)와의 결속을 강화하기 위한 제1결합 돌기(1402)가 형성된다. 그리고 기밀 부재(140)의 타 측 경사면에는 제1단부(120)에 삽입되는 다른 파형관(102)의 제2단부(130)와 결속하기 위한 제2결합 돌기(1404)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기밀 부재(140)는 제1단부(120)에 견고하게 고정될 뿐만 아니라 제1단부(120)에 삽입되는 제2단부(130)와도 견고하게 결합하므로, 파형관(102) 간의 결속력 및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지중케이블용 파형관을 설명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지중케이블용 파형관(104)은 제1단부(120) 및 제2단부(130)에 각각 복수의 기밀 부재(140)가 배치된다는 점에서 전술된 실시 예들과 구별된다.
부연 설명하면, 제1단부(120)에는 복수의 기밀 부재(140)가 파형관(104)의 단면 중심을 향해 돌출되도록 배치되고, 제2단부(130)에는 복수의 기밀 부재(140)가 파형관(104)의 바깥쪽을 향해 돌출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아울러, 본 실시 예에 따른 지중케이블용 파형관(104)은 제1단부(120) 및 제2단부(130)에 각각 복수의 밀폐 부재(150)가 배치된다는 점에서 전술된 실시 예들과 구별된다.
부연 설명하면, 제1단부(120)에는 복수의 밀폐 부재(150)가 기밀 부재(140)와 기밀 부재(140) 사이에 배치되고, 제2단부(130)에는 복수의 밀폐 부재(150)가 기밀 부재(140)와 기밀 부재(140)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밀폐 부재(150)는 제1단부(120)와 상기 제1단부(120)에 삽입된 제2단부(130) 사이의 틈새를 최소화 또는 완전히 밀폐하여 수분 및 외기의 침투를 차단하도록 기능한다. 이를 위해 밀폐 부재(150)는 수축성과 기밀성이 좋은 발포성 수지 등의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지중케이블용 파형관(104)은 상당히 우수한 결합력과 기밀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측 파형관(104)의 제1단부(120)와 타 측 파형관(104)의 제2단부(130)는 복수의 기밀 부재(140)에 의해 단단히 결속된다. 특히, 본 실시 예에 따른 파형관(104)은 제1단부(120)의 제2결합 돌기(1404)와 제2단부(130)의 제2결합 돌기(1404)가 상호 맞물려 결합하는 구조이므로, 별도의 이음관 없이도 다른 파형관과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다.
아울러, 본 실시 예에 따른 파형관(104)은 일 측 파형관(104)의 제1단부(120)와 타 측 파형관(104)의 제2단부(130) 사이의 공간들이 복수의 밀폐 부재(150)에 의해 차단되는 구조이므로, 수분 및 외기 등이 침투를 완전히 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전술된 실시형태에 기재된 다양한 특징사항은 그와 반대되는 설명이 명시적으로 기재되지 않는 한 다른 실시형태에 결합하여 적용될 수 있다.
100, 102 지중케이블용 파형관
110 몸체부
120 제1단부
122 제1돌기
130 제2단부
132 제2돌기
140, 142, 144, 146 기밀 부재
150 밀폐 부재
D1max, D1min (제1단부의) 지름
D2max, D2min (제2단부의) 지름

Claims (8)

  1. 복수의 굴곡이 반복적으로 형성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일 측에 형성되고 제1크기의 지름을 갖는 제1단부; 및
    상기 몸체부의 타 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1크기와 다른 제2크기의 지름을 갖는 제2단부;
    를 포함하는 지중케이블용 파형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단부의 반경 중심을 향해 돌출되는 제1돌기를 포함하는 지중케이블용 파형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2단부의 반경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2돌기를 포함하는 지중케이블용 파형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부 및 상기 제2단부는 타원형태의 단면 형상을 갖는 지중케이블용 파형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부 및 상기 제2단부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는 기밀 부재를 포함하는 지중케이블용 파형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기밀 부재는,
    상기 제1단부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결합 돌기; 및
    상기 제1단부의 반경 중심으로 돌출되는 쐐기형 돌기;
    를 포함하는 지중케이블용 파형관.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부 및 상기 제2단부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는 밀폐 부재를 포함하는 지중케이블용 파형관.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 부재는 상기 기밀 부재와 상기 기밀 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지중케이블용 파형관.
KR1020160137285A 2016-10-21 2016-10-21 지중케이블용 파형관 KR2018004390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7285A KR20180043906A (ko) 2016-10-21 2016-10-21 지중케이블용 파형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7285A KR20180043906A (ko) 2016-10-21 2016-10-21 지중케이블용 파형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3906A true KR20180043906A (ko) 2018-05-02

Family

ID=621838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7285A KR20180043906A (ko) 2016-10-21 2016-10-21 지중케이블용 파형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4390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727606B1 (en) Synthetic resin corrugated pipe having a concave-convex surface
US8607826B2 (en) Interlocking bend limiter and method of assembly
FI74337C (fi) Roerkoppling.
JP5463077B2 (ja) 更生管用セグメント
US11193611B2 (en) Pipe coupling apparatus
US20080105320A1 (en) Rehabilitating Pipe And Method For Repairing A Pipeline Installation Using Rehabilitating Pipe
KR20180043906A (ko) 지중케이블용 파형관
JP5101937B2 (ja) 管路の内張り構造
JP4743725B1 (ja) ライニング体及びそれを用いたライニング構造物
JP6982044B2 (ja) シース接続具及びコンクリートセグメントの設置方法
US8967676B1 (en) Two-piece split coupler for coupling large-diameter plastic corrugated pipe
KR102076918B1 (ko) 파형관 연결용 연결밴드조립체
JP5667673B2 (ja) 既設管の更生工法
KR102268285B1 (ko) 누수가 방지되는 t자 파형소켓 조립체
KR102146593B1 (ko) 밀봉 요소 및 장치
KR101144004B1 (ko) 파형관 이음재
KR20240016297A (ko) 파이프라인 조립체 및 그 제조 방법
JP2023063642A (ja) 内面部材連結材、これを備えた管路の内張り構造、及び管路の内張り方法
KR200456069Y1 (ko) 수도배관의 연결구조
JP2020014290A (ja) ケーブル保護管路
JP2009014149A (ja) 補修用管および配管補修方法
KR20010028595A (ko) 플랜지부가 형성된 배수관용 연결구
CZ17200U1 (cs) Elastický spojovací element pro spojování ohebných potrubí
JPH08170762A (ja) 多孔管
JP2020088895A (ja) 地中ケーブル用配管構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