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3409A - 패널 - Google Patents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3409A
KR20180043409A KR1020187011186A KR20187011186A KR20180043409A KR 20180043409 A KR20180043409 A KR 20180043409A KR 1020187011186 A KR1020187011186 A KR 1020187011186A KR 20187011186 A KR20187011186 A KR 20187011186A KR 20180043409 A KR20180043409 A KR 201800434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x portion
panel
load
load point
ridge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11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루 요네바야시
요시아키 나카자와
Original Assignee
신닛테츠스미킨 카부시키카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닛테츠스미킨 카부시키카이샤 filed Critical 신닛테츠스미킨 카부시키카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434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34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 B62D25/2054Load carrying floors for commercial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08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of metal, e.g. sheet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3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 E04C2/3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formed of corrugated or otherwise indented sheet-like material; composed of such layers with or without layers of flat sheet-like material
    • E04C2/32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formed of corrugated or otherwise indented sheet-like material; composed of such layers with or without layers of flat sheet-like material with corrugations, incisions or reliefs in more than one direction of the el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Superstructure Of Vehicle (AREA)
  • Shaping Metal By Deep-Drawing, Or The Like (AREA)

Abstract

하중에 따라서 적절하게 면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패널을 제공한다. 패널은, 외부로부터 하중이 부하되는 하중점과, 상기 패널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하중점의 주위에 연속 또는 비연속으로 형성된 볼록부를 구비하고, 상기 볼록부가, 상기 하중점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가상 직선의 각각에 대하여 복수의 위치에서 교차한다.

Description

패널{PANEL}
본 발명은, 패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외부로부터 하중이 부하되는 하중점을 갖는 패널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자동차 등에 사용되는 패널에는, 경량화가 요구되고 있다. 경량화를 실현하는 방법으로서, 예를 들어 판 두께를 얇게 하는 것이 고려된다. 그러나, 판 두께를 얇게 하면, 강성이 저하된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판 두께를 증가시키지 않고 강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패널에 요철을 형성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요철은, 타부품과의 간섭을 억제하기 위해서, 가능한 한 작은 깊이로 형성하는 것이 요구된다.
일본 특허 제5218633호 공보에는, 복수의 볼록부와 복수의 오목부를 구비하는 패널이 개시되어 있다. 각 볼록부는 평탄한 정상면을 갖는다. 각 오목부는 평탄한 저면을 갖는다. 볼록부와 오목부가 행 및 열로 교대로 배치된다.
일본 특허공개 제2012-148290호 공보에는, 요철부를 갖는 판재가 개시되어 있다. 이 판재에 있어서는, 가상의 정사각형의 다수가 종횡으로 조합되어 판면이 구성됨과 함께, 그 판면에 요철 형상이 형성되어 있다. 가상의 정사각형에 제1 및 제2 영역이 형성되어 있는 기본 형상과, 그것으로부터 파생된 각종 기본 형상 중 복수가, 각각의 주연부에 위치하는 제1 및 제2 영역이 서로 일치하도록 조합되고, 판면의 전체 형상이 구성된다. 또한, 제1 영역을 상방으로 돌출시키는 한편, 제2 영역을 하방으로 움푹 들어가게 함으로써, 판면 전체에 요철 형상이 형성되도록 판재가 구성된다.
일본 특허공개 제2009-286249호 공보에는, 볼록부가 형성된 플로어 패널이 개시되어 있다. 볼록부는, 삼각 평면이 각도를 갖도록 조합되어 있다. 볼록부의 주위에는, 평탄면이 형성되어 있다.
일본 특허공개 제2006-297966호 공보에는, 차체의 플로어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이 플로어 구조는, 플로어 패널을 포함한다. 플로어 패널에는, 비드가 형성되어 있다. 비드는, 사이드 실과 크로스 멤버가 교차하는 부위를 중심으로 하는 동심 원호 형상을 갖는다.
일본 특허 제5218633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제2012-148290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제2009-286249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제2006-297966호 공보
상기의 패널에는, 자동차의 플로어 패널과 같이, 중량물이 적재되는 것이 있다. 이와 같은 패널에 있어서는, 높은 면 강성이 필요하게 된다. 여기서, 면 강성은, 면을 누르는 힘에 대하여, 얼마만큼 휘지 않고 견딜 수 있는지를 나타낸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인용 문헌에 기재된 요철을 구비하는 패널의 면 강성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그 결과, 어느 쪽의 패널에 있어서도, 면 강성을 향상시키는데 충분하지 않은 것이 판명되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인용 문헌에 기재된 패널에 형성된 요철은, 하중이 부하되는 점을 고려하여 설계된 것이 아니기 때문에, 면 강성의 향상이 충분하다고는 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하는 바는, 하중에 따라서 적절하게 면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패널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어느 한 관점에 의하면, 외부로부터 하중이 부하되는 하중점과, 상기 패널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하중점의 주위에 연속 또는 비연속으로 형성된 볼록부를 구비하고, 상기 볼록부가, 상기 하중점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가상 직선의 각각에 대하여 복수의 위치에서 교차하는, 패널이 제공된다.
상기 하중점이, 다른 부재와의 접합점이어도 된다.
상기 패널이 상기 하중점을 복수 구비하고, 상기 하중점에 부하되는 상정 하중에 따라서, 상기 볼록부의 밀도, 형성 범위 및 단면 형상 중 적어도 하나가 상이해도 된다.
복수의 상기 하중점의 주위에 각각 형성된 상기 볼록부가 교차하는 경계 부분에서는, 상기 볼록부의 측면이 곡면을 개재해서 연속해도 된다.
상기 볼록부의 능선은, 상기 복수의 직선과 수직으로 교차해도 된다.
상기 복수의 가상 직선은, 상기 하중점과 상기 패널의 복수의 정점을 연결하는 직선이어도 된다.
상기 볼록부는, 상기 패널의 표면과 평행한 정상면을 포함해도 된다.
상기 볼록부는, 동심상으로 형성된 복수의 환상의 볼록부를 포함하고, 상기 환상의 볼록부의 중심은, 상기 하중점과 일치해도 된다.
상기 볼록부는, 상기 하중점을 기점으로 하는 스파이럴 형상의 볼록부를 포함해도 된다.
상기 패널이, 강판으로 이루어져도 된다.
상기 패널이, 자동차의 플로어 패널이어도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패널에 의하면, 하중에 따라서 적절하게 면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패널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있어서의 Ⅱ-Ⅱ 단면도이다.
도 3은,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패널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있어서의 Ⅳ-Ⅳ 단면도이다.
도 5는,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패널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있어서의 Ⅵ-Ⅵ 단면도이다.
도 7은,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패널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있어서의 Ⅷ-Ⅷ 단면도이다.
도 9는,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패널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9에 있어서의 Ⅹ-Ⅹ 단면도이다.
도 11은, 제6 실시 형태에 따른 패널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있어서의 ⅩⅡ-ⅩⅡ 단면도이다.
도 13은, 제7 실시 형태에 따른 패널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있어서의 ⅩⅣ-ⅩⅣ 단면도이다.
도 15는, 제8 실시 형태에 따른 패널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6은, 도 15에 있어서의 ⅩⅥ-ⅩⅥ 단면도이다.
도 17은, 볼록부의 주위 방향 길이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18은, 제9 실시 형태에 따른 패널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9는, 도 17에 있어서의 ⅩⅥ-ⅩⅥ 단면도이다.
도 20은, 제10 실시 형태에 따른 패널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1은, 제10 실시 형태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2는, 제11 실시 형태에 따른 패널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3은, 제11 실시 형태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4는, 제12 실시 형태에 따른 패널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5는, 비교예 1에 따른 패널이 구비하는 볼록부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6은, 비교예 2에 따른 패널이 구비하는 볼록부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7은, 비교예 1, 2 및 실시예 1 내지 9에 대한 면 강성의 FEM 해석의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며, 하중을 부여한 범위가 20㎜ 각의 정사각형인 경우의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8은, 비교예 1, 2 및 실시예 1 내지 9에 대한 면 강성의 FEM 해석의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며, 하중을 부여한 범위가 50㎜ 각의 정사각형인 경우의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9는, 비교예 1, 2 및 실시예 1 내지 9에 대한 면 강성의 FEM 해석의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며, 하중을 부여한 범위가 100㎜ 각의 정사각형인 경우의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0은, 비교예 1, 2 및 실시예 1 내지 9에 대한 면 강성의 FEM 해석의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며, 하중을 부여한 범위가 150㎜ 각의 정사각형인 경우의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1은, 비교예 1, 실시예 1 및 실시예 8에 대한 면 강성의 FEM 해석의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며, 하중을 부여한 범위가 20㎜ 각의 정사각형인 경우의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2는, 비교예 1, 실시예 1 및 실시예 8에 따른 면 강성의 FEM 해석의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며, 하중을 부여한 범위가 50㎜ 각의 정사각형인 경우의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3은, 비교예 1, 실시예 1 및 실시예 8에 대한 면 강성의 FEM 해석의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며, 하중을 부여한 범위가 100㎜ 각의 정사각형인 경우의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4는, 비교예 1, 실시예 1 및 실시예 8에 대한 면 강성의 FEM 해석의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며, 하중을 부여한 범위가 150㎜ 각의 정사각형인 경우의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에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도면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 구성을 갖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번호를 부여함으로써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도면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 구성을 갖는 복수의 구성 요소를, 동일한 부호의 뒤에 상이한 알파벳을 붙여서 구별하는 경우도 있다. 단,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 구성을 갖는 복수의 구성 요소의 각각을 특별히 구별할 필요가 없는 경우, 동일 부호만을 부여한다.
<<1. 제1 실시 형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서,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패널(1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패널(10)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있어서의 Ⅱ-Ⅱ 단면도이다.
<1-1. 패널의 전체 구성>
패널(10)은, 평면에서 볼 때 정사각 형상을 갖는다. 즉, 패널(10)은, 평면에서 볼 때, 4개의 정점 V11, V12, V13, V14와, 4개의 변 S11, S12, S13, S14를 갖는다. 변 S11은, 정점 V11과, 정점 V12를 연결한다. 변 S12는, 정점 V12와, 정점 V13을 연결한다. 변 S13은, 정점 V13과, 정점 V14를 연결한다. 변 S14은, 정점 V14와, 정점 V11을 연결한다. 이 패널(10)은 하중점 PL과, 보강부(12)와, 주연부(14)를 구비한다.
패널(10)은, 예를 들어 중량물을 지지하는 지지판이다. 구체적으로는, 자동차용의 플로어 패널, 트렁크 리드 이너 패널, 건축 재료용의 바닥, 복사기나 냉장고에 사용되는 지지판, 아타셰 케이스의 하우징 등이 예시된다. 또한, 패널(10)의 재료는, 예를 들어 철강, 알루미늄 합금, 티타늄, 스테인리스 등의 금속이어도 되고, 합성 수지이어도 된다. 패널(10)이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패널(10)은, 예를 들어 프레스 가공에 의해 제조된다. 온간 성형이나 핫 스탬프와 같이, 가열해서 패널(10)의 성형성을 향상시키면, 프레스 가공에 의해서도 용이하게 성형할 수 있다. 패널(10)이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경우, 패널(10)은, 예를 들어 사출 성형에 의해 제조된다.
보강부(12)는, 전체적으로 평면에서 볼 때 패널(10)보다도 한 단계 작은 정사각 형상을 갖는다. 주연부(14)는, 보강부(12)의 주위에 형성된다. 패널(10)은, 주연부(14)에 있어서, 다른 부재에 설치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주연부(14) 중, 패널(10)의 네 코너에 상당하는 위치 등에 있어서, 다른 부재에 설치된다.
보강부(12)에는, 하중점 PL의 주위에 복수의 볼록부(16)가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볼록부(16)는, 제1 볼록부(161)와, 복수(본 실시 형태에서는, 2개)의 제2 볼록부(162)와, 복수(본 실시 형태에서는, 4개)의 제3 볼록부(163)를 포함한다. 또한, 제2 볼록부(162) 및 제3 볼록부(163)의 수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적어도 하중점 PL에 부하되는 상정 하중에 대한 면 강성을 고려하여, 적당히 설정된다.
또한, 패널(10)의 평면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라, 다양한 형상이어도 된다. 패널(10)의 평면 형상은, 정사각형이 아니라, 직사각형이어도 되고, 직사각형의 4개의 각 중, 1개의 각이 잘라 떨어진 형상이어도 된다.
<1-2. 하중점>
하중점 PL은, 패널(10)에 대하여 외부로부터 하중이 부하되는 위치를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패널(10)에 대하여 부하되는 하중이란, 패널(10)이 연장되는 면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으로부터 패널(10)에 대하여 부하되는 하중을 의미한다. 따라서, 패널(10)에 대하여 패널(10)이 연장되는 면을 따르는 방향으로부터 하중이 부하되는 위치는, 하중점 PL에는 포함되지 않는다.
하중점 PL은, 대표적으로는, 다른 부재와의 접합점으로서 구성된다. 예를 들어, 패널(10)이 차량의 플로어 패널인 경우, 차 실내의 시트가 적재되는 지지 부재가 접합되는 위치가 하중점 PL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예의 경우, 플로어 패널의 하중점 PL에는 나사 구멍이 설치되고, 지지 부재가 볼트 등을 사용해서 플로어 패널에 접합된다. 이에 의해, 플로어 패널에서는, 하중점 PL에 대하여 하중이 부하된다.
단, 패널(10)의 하중점 PL과 다른 부재와의 접합 방법은, 볼트 등을 사용한 접합 방법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용접에 의한 접합이나, 접착제를 사용한 접합이어도 된다. 또한, 패널(10)의 하중점 PL에 대하여 다른 부재가 접합되지 않아도 된다. 예를 들어, 패널(10)과 다른 부재가 하중점 PL에 있어서 접촉함으로써, 하중점 PL에 대하여 하중이 부하되어도 된다.
<1-3. 제1 볼록부>
제1 볼록부(161)는, 패널(10)의 표면(101)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패널(10)은 제1 볼록부(161)가 형성된 위치에 있어서, 이면측에 개구하는 오목부를 갖는다. 오목부는, 제1 볼록부(161)에 대응한 형상을 갖는다. 제1 볼록부(161)는 평면에서 볼 때, 패널(10)의 하중점 PL과 동심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볼록부(161)는 정상면(18)과, 측면(20)을 포함한다.
정상면(18)은 평면에서 볼 때 원형이다. 패널(10)의 두께 방향에서 볼 때, 정상면(18)의 중심이 하중점 PL과 일치하고 있다. 정상면(18)은, 패널(10)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표면(101)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정상면(18)은, 표면(101)과 평행하다. 제1 볼록부(161)의 돌출 높이, 즉, 패널(10)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정상면(18)과 표면(101)의 거리는, 예를 들어 0.5 내지 50㎜이다. 제1 볼록부(161)의 돌출 높이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적어도 하중점 PL에 부하되는 상정 하중에 대한 면 강성을 고려하여, 적당히 설정된다.
측면(20)은, 평면에서 볼 때 원환상을 갖는다. 측면(20)의 내주연은, 측면(20)의 외주연보다도, 표면(101)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측면(20)의 내주연은, 정상면(18)의 테두리에 접속되어 있다. 측면(20)의 외주연은, 표면(101)에 접속되어 있다. 표면(101)에 대한 측면(20)의 경사 각도 θ가 클수록, 면 강성은 향상된다. 그러나, 표면(101)에 대한 측면(20)의 경사 각도 θ가 클수록, 성형 시에 국소적인 판 두께 감소나 깨짐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경사 각도 θ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적어도 하중점 PL에 부하되는 상정 하중에 대한 면 강성을 고려하여, 적당히 설정된다. 그 때, 재료의 성형의 용이성도 고려할 수 있다. 철강 재료의 경우, 경사 각도 θ는,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60도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45도이다.
정상면(18)과 측면(20)의 경계로서 형성되는 능선(181)은, 평면에서 볼 때 원형을 갖는다. 능선(181)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4개의 가상 직선 L11, L12, L13, L14와 수직으로 교차한다. 가상 직선 L11은, 평면에서 볼 때 하중점 PL과 정점 V11을 연결한다. 가상 직선 L12는, 평면에서 볼 때 하중점 PL과 정점 V12를 연결한다. 가상 직선 L13은, 평면에서 볼 때 하중점 PL과 정점 V13을 연결한다. 가상 직선 L14는, 평면에서 볼 때 하중점 PL과 정점 V14를 연결한다. 즉, 4개의 가상 직선 L11, L12, L13, L14는, 하중점 PL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도시는 하지 않았지만, 능선(181)은 하중점 PL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가상 직선의 모두에 대하여, 수직으로 교차한다.
<1-4. 제2 볼록부>
2개의 제2 볼록부(162)는, 각각, 표면(101)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2개의 제2 볼록부(162)는, 각각, 평면에서 볼 때 원환상을 갖는다. 2개의 제2 볼록부(162)는, 하중점 PL에 대하여 동심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패널(10)은 제2 볼록부(162)가 형성된 위치에 있어서, 이면측에 개구하는 오목부를 갖는다. 오목부는, 제2 볼록부(162)에 대응한 형상을 갖는다. 이하, 2개의 제2 볼록부(162) 중, 하중점 PL에 가까운 쪽을 제1 환상 볼록부(22)라 하고, 하중점 PL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쪽을 제2 환상 볼록부(24)라 한다.
<1-4-1. 제1 환상 볼록부>
제1 환상 볼록부(22)는, 정상면(26)과, 측면(28)과, 측면(30)을 포함한다. 정상면(26)은, 평면에서 볼 때 원환상을 갖는다. 정상면(26)의 내경은, 정상면(18)의 직경보다도 크다. 패널(10)의 두께 방향에서 볼 때, 정상면(26)의 중심은, 하중점 PL과 일치하고 있다. 정상면(26)은, 패널(10)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표면(101)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정상면(26)은, 표면(101)과 평행하다. 제1 환상 볼록부(22)의 돌출 높이, 즉, 패널(10)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정상면(26)과 표면(101)의 거리는, 예를 들어 0.5 내지 50㎜이다. 제1 환상 볼록부(22)의 돌출 높이는, 제1 볼록부(161)의 돌출 높이와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제1 환상 볼록부(22)의 돌출 높이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적어도 하중점 PL에 부하되는 상정 하중에 대한 면 강성을 고려하여, 적당히 설정된다.
측면(28)은, 정상면(26)보다도 하중점 PL의 근처에 위치한다. 측면(28)은 평면에서 볼 때 원환상을 갖는다. 측면(28)의 외주연은, 측면(28)의 내주연보다도, 표면(101)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측면(28)의 내주연은, 표면(101)에 접속되어 있다. 측면(28)의 외주연은, 정상면(26)의 내주연에 접속되어 있다. 표면(101)에 대한 측면(28)의 경사 각도 θ는, 측면(20)의 경사 각도 θ와 마찬가지로 설정된다. 표면(101)에 대한 측면(28)의 경사 각도 θ는, 측면(20)의 경사 각도 θ와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표면(101)에 대한 측면(28)의 경사 각도 θ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적어도 하중점 PL에 부하되는 상정 하중에 대한 면 강성을 고려하여, 적당히 설정된다. 그 때, 하중점 PL로부터의 거리 및 재료의 성형의 용이성도 고려할 수 있다.
정상면(26)과 측면(28)의 경계로서 형성되는 능선(261)은, 평면에서 볼 때 원형을 갖는다. 능선(261)은, 능선(181)보다도 큰 직경을 갖는다. 능선(261)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4개의 가상 직선 L11, L12, L13, L14와 수직으로 교차한다. 또한, 도시는 하지 않았지만, 능선(261)은, 하중점 PL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가상 직선의 모두에 대하여 수직으로 교차한다.
측면(30)은, 정상면(26)보다도 하중점 PL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측면(30)은, 평면에서 볼 때 원환상을 갖는다. 측면(30)의 내주연은, 측면(30)의 외주연보다도, 표면(101)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측면(30)의 내주연은, 정상면(26)의 외주연에 접속되어 있다. 측면(30)의 외주연은, 표면(101)에 접속되어 있다. 표면(101)에 대한 측면(30)의 경사 각도 θ는, 측면(20)의 경사 각도 θ와 마찬가지로 설정된다. 표면(101)에 대한 측면(30)의 경사 각도 θ는, 측면(20) 및 측면(28)의 경사 각도 θ와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표면(101)에 대한 측면(30)의 경사 각도 θ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적어도 하중점 PL에 부하되는 상정 하중에 대한 면 강성을 고려하여, 적당히 설정된다. 그 때, 하중점 PL로부터의 거리 및 재료의 성형의 용이성도 고려할 수 있다.
정상면(26)과 측면(30)의 경계로서 형성되는 능선(262)은 평면에서 볼 때 원형을 갖는다. 능선(262)은, 능선(261)보다도 큰 직경을 갖는다. 능선(262)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4개의 가상 직선 L11, L12, L13, L14와 수직으로 교차한다. 능선(262)과 능선(261)의 거리, 즉, 정상면(26)의 폭은, 예를 들어 0.5 내지 50㎜이다. 또한, 도시는 하지 않았지만, 능선(262)은 하중점 PL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가상 직선의 모두에 대하여 수직으로 교차한다.
<1-4-2. 제2 환상 볼록부>
*제2 환상 볼록부(24)는, 정상면(32)과, 측면(34)과, 측면(36)을 포함한다. 정상면(32)은 평면에서 볼 때 원환상을 갖는다. 패널(10)의 두께 방향에서 볼 때, 정상면(32)의 중심이 하중점 PL과 일치하고 있다. 정상면(32)은, 패널(10)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표면(101)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정상면(32)은, 표면(101)과 평행하다. 제2 환상 볼록부(24)의 돌출 높이, 즉, 패널(10)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정상면(32)과 표면(101)의 거리는, 예를 들어 0.5 내지 50㎜이다. 제2 환상 볼록부(24)의 돌출 높이는, 제1 볼록부(161) 및 제1 환상 볼록부(22)의 돌출 높이와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제2 환상 볼록부(24)의 돌출 높이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적어도 하중점 PL에 부하되는 상정 하중에 대한 면 강성을 고려하여, 적당히 설정된다.
측면(34)은, 정상면(32)보다도 하중점 PL의 근처에 위치한다. 측면(34)은 평면에서 볼 때 원환상을 갖는다. 측면(34)의 외주연은, 측면(34)의 내주연보다도, 표면(101)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측면(34)의 내주연은, 표면(101)에 접속되어 있다. 측면(34)의 외주연은, 정상면(32)의 내주연에 접속되어 있다. 표면(101)에 대한 측면(34)의 경사 각도 θ는, 측면(20)의 경사 각도 θ와 마찬가지로 설정된다. 표면(101)에 대한 측면(34)의 경사 각도 θ는, 측면(20), 측면(28) 및 측면(30)의 경사 각도 θ와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표면(101)에 대한 측면(34)의 경사 각도 θ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적어도 하중점 PL에 부하되는 상정 하중에 대한 면 강성을 고려하여, 적당히 설정된다. 그 때, 하중점 PL로부터의 거리 및 재료의 성형의 용이성도 고려할 수 있다.
정상면(32)과 측면(34)의 경계로서 형성되는 능선(321)은, 평면에서 볼 때 원형을 갖는다. 능선(321)은, 능선(262)보다도 큰 직경을 갖는다. 능선(321)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4개의 가상 직선 L11, L12, L13, L14와 수직으로 교차한다. 또한, 도시는 하지 않았지만, 능선(321)은, 하중점 PL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가상 직선의 모두에 대하여 수직으로 교차한다.
측면(36)은, 정상면(32)보다도 하중점 PL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측면(36)은 평면에서 볼 때 원환상을 갖는다. 측면(36)의 내주연은, 측면(36)의 외주연보다도, 표면(101)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측면(36)의 내주연은, 정상면(32)의 외주연에 접속되어 있다. 측면(36)의 외주연은, 표면(101)에 접속되어 있다. 표면(101)에 대한 측면(36)의 경사 각도 θ는, 측면(20)의 경사 각도 θ와 마찬가지로 설정된다. 표면(101)에 대한 측면(36)의 경사 각도 θ는, 측면(20), 측면(28), 측면(30) 및 측면(34)의 경사 각도 θ와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표면(101)에 대한 측면(36)의 경사 각도 θ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적어도 하중점 PL에 부하되는 상정 하중에 대한 면 강성을 고려하여, 적당히 설정된다. 그 때, 하중점 PL로부터의 거리 및 재료의 성형의 용이성도 고려할 수 있다.
정상면(32)과 측면(36)의 경계로서 형성되는 능선(322)은 평면에서 볼 때 원형을 갖는다. 능선(322)은, 능선(321)보다도 큰 직경을 갖는다. 능선(322)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4개의 가상 직선 L11, L12, L13, L14와 수직으로 교차한다. 또한, 도시는 하지 않았지만, 능선(322)은, 하중점 PL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가상 직선의 모두에 대하여, 수직으로 교차한다.
능선(322)과 능선(321)의 거리, 즉, 정상면(32)의 폭은, 예를 들어 1 내지 50㎜이다. 정상면(32)의 폭은, 정상면(26)의 폭과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1-5. 제3 볼록부>
4개의 제3 볼록부(163)는 각각, 표면(101)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4개의 제3 볼록부(163)는 각각, 평면에서 볼 때 대략 삼각 형상을 갖는다. 4개의 제3 볼록부(163)는 보강부(12)의 네 코너에 위치한다. 4개의 제3 볼록부(163)는 하중점 PL을 중심으로 하는 원 위에 위치한다. 또한, 패널(10)에는, 제3 볼록부(163)가 형성된 위치에 있어서, 이면측에 개구하는 오목부를 갖는다. 오목부는, 제3 볼록부(163)에 대응한 형상을 갖는다. 4개의 제3 볼록부(163)는 각각, 정상면(38)과, 측면(40)과, 측면(42)을 포함한다.
정상면(38)은, 평면에서 볼 때 대략 사다리꼴 형상을 갖는다. 정상면(32)은 패널(10)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표면(101)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정상면(38)은 표면(101)과 평행하다. 제3 볼록부(163)의 돌출 높이, 즉, 패널(10)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정상면(38)과 표면(101)과의 거리는, 예를 들어 0.5 내지 50㎜이다. 제3 볼록부(163)의 돌출 높이는, 제1 볼록부(161), 제1 환상 볼록부(22) 및 제2 환상 볼록부(24)의 돌출 높이와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제3 볼록부(163)의 돌출 높이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적어도 하중점 PL에 부하되는 상정 하중에 대한 면 강성을 고려하여, 적당히 설정된다.
측면(40)은, 정상면(38)보다도 하중점 PL의 근처에 위치한다. 측면(40)은, 평면에서 볼 때 대략 사다리꼴 형상을 갖는다. 측면(40)의 하단부 테두리는, 표면(101)에 접속되어 있다. 측면(40)의 상단부 테두리는, 정상면(38)에 접속되어 있다. 표면(101)에 대한 측면(40)의 경사 각도 θ는, 측면(20), 측면(28), 측면(30), 측면(34) 및 측면(36)의 경사 각도 θ와 마찬가지로 설정된다. 표면(101)에 대한 측면(40)의 경사 각도 θ는, 측면(20), 측면(28), 측면(30), 측면(34) 및 측면(36)의 경사 각도 θ와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표면(101)에 대한 측면(40)의 경사 각도 θ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적어도 하중점 PL에 부하되는 상정 하중에 대한 면 강성을 고려하여, 적당히 설정된다. 그 때, 하중점 PL로부터의 거리 및 재료의 성형의 용이성도 고려할 수 있다.
측면(42)은, 정상면(38)보다도 하중점 PL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측면(42)은, 평면에서 볼 때 대략 사다리꼴 형상을 갖는다. 측면(42)의 하단부 테두리는, 표면(101)에 접속되어 있다. 측면(42)의 상단부 테두리는, 정상면(38)에 접속되어 있다. 표면(101)에 대한 측면(42)의 경사 각도 θ는, 측면(20), 측면(28), 측면(30), 측면(34), 측면(36) 및 측면(40)의 경사 각도 θ와 마찬가지로 설정된다. 표면(101)에 대한 측면(42)의 경사 각도 θ는, 측면(20), 측면(28), 측면(30), 측면(34), 측면(36) 및 측면(40)의 경사 각도 θ와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표면(101)에 대한 측면(42)의 경사 각도 θ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적어도 하중점 PL에 부하되는 상정 하중에 대한 면 강성을 고려하여, 적당히 설정된다. 그 때, 하중점 PL로부터의 거리 및 재료의 성형의 용이성도 고려할 수 있다.
각 제3 볼록부(163)에 있어서, 정상면(38)과 측면(40)의 경계로서 형성되는 능선(381)은, 4개의 가상 직선 L11, L12, L13, L14 중 어느 하나와 수직으로 교차한다. 또한, 각 제3 볼록부(163)에 있어서, 정상면(38)과 측면(42)의 경계로서 형성되는 능선(382)은, 4개의 가상 직선 L11, L12, L13, L14 중 어느 하나와 수직으로 교차한다.
능선(382)과 능선(381)의 거리, 즉, 정상면(38)의 폭은, 예를 들어 1 내지 50㎜이다. 정상면(38)의 폭은, 정상면(26) 및 정상면(32)의 폭과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1-6. 복수의 볼록부의 형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패널(10)에서는, 제1 볼록부(161), 제2 볼록부(162) 및 제3 볼록부(163)의 형태가, 하중점 PL에 부하되는 상정 하중에 대한 면 강성을 고려하여 설정된다.
예를 들어, 제1 볼록부(161), 제2 볼록부(162) 및 제3 볼록부(163)의 높이는, 상정 하중이 클수록 높게 해도 된다. 또한, 제1 볼록부(161), 제2 볼록부(162) 및 제3 볼록부(163)를 구성하는 측면(20, 28, 30, 34, 36, 40, 42)의 경사 각도 θ는, 상정 하중이 클수록 크게 할 수 있다. 제1 볼록부(161), 제2 볼록부(162) 및 제3 볼록부(163)의 높이나 측면(20, 28, 30, 34, 36, 40, 42)의 경사 각도 θ는, 제1 볼록부(161), 제2 볼록부(162) 및 제3 볼록부(163) 각각의 단면 형상의 요소이다. 이러한 단면 형상의 요소는, 각 제1 볼록부(161), 제2 볼록부(162) 및 제3 볼록부(163) 각각의 면 강성의 크기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제1 볼록부(161), 제2 볼록부(162) 및 제3 볼록부(163)의 높이가 높을수록, 또한 측면(20, 28, 30, 34, 36, 40, 42)의 경사 각도 θ가 클수록, 재료의 성형이 곤란해진다. 특히, 철강 재료로 이루어지는 판재를 프레스 성형할 경우에는, 판 두께가 얇아지거나, 판재의 깨짐이 발생하거나 하기 쉬워진다. 패널(10)에서는, 상정 하중의 크기에 따라서, 제1 볼록부(161), 제2 볼록부(162) 및 제3 볼록부(163)의 높이나, 측면(20, 28, 30, 34, 36, 40, 42)의 경사 각도 θ가 설정된다. 이에 의해, 상정 하중에 따라서 적절한 면 강성이 얻어지는 패널(10)을 높은 수율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정상면(18, 26, 32, 38)의 폭이나, 제1 볼록부(161), 제2 볼록부(162) 및 제3 볼록부(163)의 간격은, 상정 하중이 클수록 작게 해도 된다. 정상면(18, 26, 32, 38)의 폭이나, 제1 볼록부(161), 제2 볼록부(162) 및 제3 볼록부(163)의 간격은, 모두 패널(10)의 볼록부(16)의 밀도에 영향을 미친다. 볼록부(16)의 밀도는, 패널(10)의 각각의 영역의 면 강성의 크기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정상면(18, 26, 32, 38)의 폭이 작을수록, 또한 제1 볼록부(161), 제2 볼록부(162) 및 제3 볼록부(163)의 간격이 작을수록, 재료의 성형이 곤란해진다. 특히, 철강 재료로 이루어지는 판재를 프레스 성형할 경우에는, 판 두께가 얇아지거나, 판재의 깨짐이 발생하거나 하기 쉬워진다. 패널(10)에서는, 상정 하중의 크기에 따라서, 정상면(18, 26, 32, 38)의 폭이나, 제1 볼록부(161), 제2 볼록부(162) 및 제3 볼록부(163)의 간격이 설정된다. 이에 의해, 상정 하중에 따라서 적절한 면 강성이 얻어지는 패널(10)을 높은 수율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제1 볼록부(161), 제2 볼록부(162) 및 제3 볼록부(163)의 높이는, 모두 동일해도 되고, 일부 혹은 전부가 상이해도 된다. 또한, 제1 볼록부(161), 제2 볼록부(162) 및 제3 볼록부(163)를 구성하는 측면(20, 28, 30, 34, 36, 40, 42)의 경사 각도 θ는, 모두 동일해도 되고, 각각 일부 혹은 전부가 상이해도 된다. 또한, 정상면(18, 26, 32, 38)의 폭이나, 제1 볼록부(161), 제2 볼록부(162) 및 제3 볼록부(163)의 간격에 대해서도, 모두 동일해도 되고, 각각 일부 혹은 전부가 상이해도 된다.
또한, 제3 볼록부(163)의 유무나, 제2 볼록부(162)의 수에 대해서도, 상정 하중의 크기에 따라서 설정해도 된다. 제3 볼록부(163)의 유무나 제2 볼록부(162)의 수는, 볼록부(16)의 형성 범위에 영향을 미친다. 볼록부(16)의 형성 범위는, 패널(10) 전체의 면 강성의 크기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볼록부(16)의 형성 범위를 서로 다르게 함으로써도, 상정 하중에 따라서 적절한 면 강성이 얻어지는 패널(10)로 할 수 있다.
<1-7. 제1 실시 형태의 효과>
이상 설명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패널(10)에 있어서는, 하중점 PL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가상 직선 L11, L12, L13, L14에 대하여, 능선(181, 261, 262, 321, 322, 381, 382)이 복수의 위치에서 교차한다. 그로 인해, 각 가상 직선 L11, L12, L13, L14로 절단한 단면의 단면 2차 모멘트가 커지게 된다. 그 결과, 패널(10)의 면 강성이 향상된다. 특히, 능선(181, 261, 262, 321, 322, 381, 382)을 형성하는 복수의 볼록부(16)가 하중점 PL을 중심으로, 하중점 PL의 주위에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하중에 대한 단면 2차 모멘트의 이방성을 저감할 수 있다. 따라서, 패널(10)이 받을 수 있는 하중에 대하여 적절한 면 강성이 부여되어 있다.
패널(10)에 있어서는, 제1 환상 볼록부(22), 제2 환상 볼록부(24) 및 제3 볼록부(163)가 정상면(26, 32, 38)을 갖는다. 그로 인해, 하중점 PL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가상 직선과 교차하는 능선의 수가 증가한다. 그 결과, 단면 2차 모멘트가 더욱 커지게 되어, 패널(10)이 받을 수 있는 하중에 대하여 적절한 면 강성을 부여하기 쉬워진다.
패널(10)에 있어서는, 하중점 PL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가상 직선 중, 하중점 PL과 패널(10)의 정점 V11, V12, V13, V14를 연결하는 가상 직선 L11, L12, L13, L14에 대하여 능선 181, 261, 262, 321, 322, 381, 382가 수직으로 교차한다. 그로 인해, 하중점 PL과 정점 V11, V12, V13, V14의 사이에 있어서, 가상 직선 L11, L12, L13, L14와 교차하는 능선의 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그 결과, 가상 직선 L11, L12, L13, L14로 절단한 단면의 단면 2차 모멘트를 더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패널(10)에 있어서의 볼록부(16)의 형상, 보다 구체적으로는, 능선(181, 261, 262, 321, 322, 381, 382)의 평면에서 볼 때의 형상은, 원형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제2 내지 제9 실시 형태에 있어서, 볼록부의 변형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2. 제2 실시 형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서,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패널(5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패널(50)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있어서의 Ⅳ-Ⅳ 단면도이다.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패널(50)은, 제1 실시 형태의 패널(10)과는, 복수의 볼록부(52)의 구성이 상이하다. 이하, 주로 볼록부(52)의 구성에 대하여, 제1 실시 형태의 볼록부(16)와 상이한 점에 대하여 설명한다.
볼록부(52)는 제1 볼록부(521)와, 복수(본 실시 형태에서는, 2개)의 제2 볼록부(522)를 포함한다. 또한, 제2 볼록부(522)의 수는, 제1 실시 형태의 패널(10)과 마찬가지로, 적어도 하중점 PL에 부하되는 상정 하중에 대한 면 강성을 고려하여, 적당히 설정된다.
<2-1. 제1 볼록부>
제1 볼록부(521)는, 패널(50)의 표면(501)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제1 볼록부(521)는, 평면에서 볼 때, 패널(50)의 하중점 PL과 동심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볼록부(521)는, 정상면(54)을 포함한다. 정상면(54)은, 평면에서 볼 때 정사각형이다. 패널(50)의 두께 방향에서 볼 때, 정상면(54)의 중심이 하중점 PL과 일치하고 있다.
제1 볼록부(521)는, 능선(541)을 포함한다. 능선(541)은 평면에서 볼 때 정사각 형상을 갖는다. 능선(541)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4개의 가상 직선 L11, L12, L13, L14와 교차한다. 또한, 도시는 하지 않았지만, 능선(541)은, 하중점 PL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가상 직선의 모두에 대하여 45 내지 90도의 범위 내에서 교차한다. 즉, 능선(541)과, 하중점 PL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가상 직선이 이루는 각도 중, 예각의 각도는, 45 내지 90도 미만의 범위 내에 있다.
<2-2. 제2 볼록부>
2개의 제2 볼록부(522)는, 각각, 표면(501)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2개의 제2 볼록부(522)는, 각각, 평면에서 볼 때 정사각형의 프레임형상을 갖는다. 2개의 제2 볼록부(522)는 하중점 PL에 대하여 동심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하, 2개의 제2 볼록부(522) 중, 하중점 PL에 가까운 쪽을 제1 환상 볼록부(56)라 하고, 하중점 PL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쪽을 제2 환상 볼록부(58)라 한다.
<2-2-1. 제1 환상 볼록부>
제1 환상 볼록부(56)는, 정상면(60)을 포함한다. 정상면(60)은, 평면에서 볼 때 정사각형의 프레임형상을 갖는다. 제1 환상 볼록부(56)는, 능선(601) 및 능선(602)을 포함한다. 능선(601)은, 능선(602)보다도 하중점 PL의 근처에 위치한다. 능선(601) 및 능선(602)은, 평면에서 볼 때 정사각 형상을 갖는다. 능선(601) 및 능선(602)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4개의 가상 직선 L11, L12, L13, L14와 교차한다. 또한, 도시는 하지 않았지만, 능선(601) 및 능선(602)은, 하중점 PL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가상 직선의 모두에 대하여 45 내지 90도의 범위 내에서 교차한다. 즉, 능선(601)과, 하중점 PL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가상 직선이 이루는 각도 중, 예각의 각도는, 45 내지 90도 미만의 범위 내에 있다. 또한, 능선(602)과, 하중점 PL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가상 직선이 이루는 각도 중, 예각의 각도는, 45 내지 90도 미만의 범위 내에 있다.
<2-2-2. 제2 환상 볼록부>
제2 환상 볼록부(58)는, 정상면(62)을 포함한다. 정상면(62)은, 평면에서 볼 때 정사각형의 프레임형상을 갖는다. 제2 환상 볼록부(58)는, 능선(621) 및 능선(622)을 포함한다. 능선(621)은, 능선(622)보다도 하중점 PL의 근처에 위치한다. 능선(621) 및 능선(622)은, 평면에서 볼 때 정사각 형상을 갖는다. 능선(621) 및 능선(622)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4개의 가상 직선 L11, L12, L13, L14와 교차한다. 또한, 도시는 하지 않았지만, 능선(621) 및 능선(622)은 하중점 PL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가상 직선의 모두에 대하여, 45 내지 90도의 범위 내에서 교차한다. 즉, 능선(621)과, 하중점 PL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가상 직선이 이루는 각도 중, 예각의 각도는, 45 내지 90도 미만의 범위 내에 있다. 또한, 능선(622)과, 하중점 PL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가상 직선이 이루는 각도 중, 예각의 각도는, 45 내지 90도 미만의 범위 내에 있다.
<2-3. 복수의 볼록부의 형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패널(50)에서는, 제1 볼록부(521) 및 제2 볼록부(522)의 형태가, 하중점 PL에 부하되는 상정 하중에 대한 면 강성을 고려하여 설정된다. 즉,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패널(10)과 마찬가지로, 제1 볼록부(521) 및 제2 볼록부(522)의 높이나, 제1 볼록부(521) 및 제2 볼록부(522)를 구성하는 측면의 경사 각도 θ는, 상정 하중의 크기에 따라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패널(10)과 마찬가지로, 정상면(54, 60, 62)의 폭이나, 제1 볼록부(521) 및 제2 볼록부(522)의 간격은, 상정 하중의 크기에 따라서 설정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정 하중에 따라서 적절한 면 강성이 얻어지는 패널(50)을 높은 수율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제1 볼록부(521) 및 제2 볼록부(522)의 높이나, 제1 볼록부(521) 및 제2 볼록부(522)를 구성하는 측면의 경사 각도 θ는, 모두 동일해도 되고, 각각 일부 혹은 전부가 상이해도 된다. 또한, 정상면(54, 60, 62)의 폭이나, 제1 볼록부(521) 및 제2 볼록부(522)의 간격에 대해서도, 모두 동일해도 되고, 각각 일부 혹은 전부가 상이해도 된다. 또한, 제2 볼록부(522)의 수에 대해서도, 상정 하중의 크기에 따라서 설정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패널(50)에 의해서도, 제1 실시 형태의 패널(10)과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3. 제3 실시 형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서,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패널(7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패널(70)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있어서의 Ⅵ-Ⅵ 단면도이다.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패널(70)은, 제1 실시 형태의 패널(10)과는, 복수의 볼록부(72)의 구성이 상이하다. 이하, 주로 볼록부(72)의 구성에 대하여, 제1 실시 형태의 볼록부(16)와 상이한 점에 대하여 설명한다.
볼록부(72)는, 제1 볼록부(721)와, 복수(본 실시 형태에서는, 2개)의 제2 볼록부(722)와, 복수(본 실시 형태에서는, 4개)의 제3 볼록부(723)를 포함한다. 또한, 제2 볼록부(722) 및 제3 볼록부(723)의 수는, 제1 실시 형태의 패널(10)과 마찬가지로, 적어도 하중점 PL에 부하되는 상정 하중에 대한 면 강성을 고려하여, 적당히 설정된다.
<3-1. 제1 볼록부>
제1 볼록부(721)는, 패널(70)의 표면(701)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제1 볼록부(721)는, 평면에서 볼 때, 패널(70)의 하중점 PL과 동심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볼록부(721)는 정상면(74)을 포함한다. 정상면(74)은, 평면에서 볼 때 정사각형이다. 패널(70)의 두께 방향에서 볼 때, 정상면(74)의 중심이 하중점 PL과 일치하고 있다.
제1 볼록부(721)는, 능선(741)을 포함한다. 능선(741)은, 평면에서 볼 때 정사각 형상을 갖는다. 능선(741)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4개의 가상 직선 L11, L12, L13, L14와 수직으로 교차한다. 또한, 도시는 하지 않았지만, 능선(741)은, 하중점 PL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가상 직선의 모두에 대하여 45 내지 90도의 범위 내에서 교차한다. 즉, 능선(741)과, 하중점 PL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가상 직선이 이루는 각도 중, 예각의 각도는, 45 내지 90도 미만의 범위 내에 있다.
<3-2. 제2 볼록부>
2개의 제2 볼록부(722)는, 각각, 표면(701)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2개의 제2 볼록부(722)는, 각각, 평면에서 볼 때 정사각형의 프레임형상을 갖는다. 2개의 제2 볼록부(722)는 하중점 PL에 대하여 동심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하, 2개의 제2 볼록부(722) 중, 하중점 PL에 가까운 쪽을 제1 환상 볼록부(76)라 하고, 하중점 PL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쪽을 제2 환상 볼록부(78)라 한다.
<3-2-1. 제1 환상 볼록부>
제1 환상 볼록부(76)는, 정상면(80)을 포함한다. 정상면(80)은, 평면에서 볼 때 정사각형의 프레임형상을 갖는다. 제1 환상 볼록부(76)는, 능선(801) 및 능선(802)을 포함한다. 능선(801)은, 능선(802)보다도 하중점 PL의 근처에 위치한다. 능선(801) 및 능선(802)은, 평면에서 볼 때 정사각 형상을 갖는다. 능선(801) 및 능선(802)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4개의 가상 직선 L11, L12, L13, L14와 수직으로 교차한다. 또한, 도시는 하지 않았지만, 능선(801) 및 능선(802)은, 하중점 PL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가상 직선의 모두에 대하여 45 내지 90도의 범위 내에서 교차한다. 즉, 능선(801)과, 하중점 PL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가상 직선이 이루는 각도 중, 예각의 각도는, 45 내지 90도 미만의 범위 내에 있다. 또한, 능선(802)과, 하중점 PL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가상 직선이 이루는 각도 중, 예각의 각도는, 45 내지 90도 미만의 범위 내에 있다.
<3-2-2. 제2 환상 볼록부>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2 환상 볼록부(78)는, 복수(본 실시 형태에서는, 4개)의 정상면(82)을 포함한다. 정상면(82)은, 평면에서 볼 때 사다리꼴 형상을 갖는다. 제2 환상 볼록부(78)는, 4개의 능선(821) 및 4개의 능선(822)을 포함한다. 능선(821)은, 능선(822)보다도 하중점 PL의 근처에 위치한다. 능선(821) 및 능선(822)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4개의 가상 직선 L11, L12, L13, L14와 수직으로 교차한다. 또한, 도시는 하지 않았지만, 능선(821) 및 능선(822)은, 하중점 PL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가상 직선의 모두에 대하여 45 내지 90도의 범위 내에서 교차한다. 즉, 능선(821)과, 하중점 PL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가상 직선이 이루는 각도 중, 예각의 각도는, 45 내지 90도 미만의 범위 내에 있다. 또한, 능선(822)과, 하중점 PL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가상 직선이 이루는 각도 중, 예각의 각도는, 45 내지 90도 미만의 범위 내에 있다.
<3-3. 제3 볼록부>
4개의 제3 볼록부(723)는 각각, 표면(701)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4개의 제3 볼록부(723)는 각각, 평면에서 볼 때 대략 삼각 형상을 갖는다. 4개의 제3 볼록부(723)는 하중점 PL을 중심으로 하여, 그 주위에 위치하고 있다. 4개의 제3 볼록부(723)는, 제2 환상 볼록부(78)보다도 하중점 PL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제3 볼록부(723)는, 정상면(84)을 포함한다. 정상면(84)은, 평면에서 볼 때 사다리꼴 형상을 갖는다. 제3 볼록부(723)는, 능선(841) 및 능선(842)을 포함한다. 능선(841)은, 능선(842)보다도 하중점 PL의 근처에 위치한다. 능선(841) 및 능선(842)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4개의 가상 직선 L11, L12, L13, L14 중 어느 하나와 수직으로 교차한다.
<3-4. 복수의 볼록부의 형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패널(70)에서는, 제1 볼록부(721), 제2 볼록부(722) 및 제3 볼록부(723)의 형태가, 하중점 PL에 부하되는 상정 하중에 대한 면 강성을 고려하여 설정된다. 즉,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패널(10)과 마찬가지로, 제1 볼록부(721), 제2 볼록부(722) 및 제3 볼록부(723)의 높이나, 제1 볼록부(721), 제2 볼록부(722) 및 제3 볼록부(723)를 구성하는 측면의 경사 각도 θ는, 상정 하중의 크기에 따라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패널(10)과 마찬가지로, 정상면(74, 80, 82, 84)의 폭이나, 제1 볼록부(721), 제2 볼록부(722) 및 제3 볼록부(723)의 간격은, 상정 하중의 크기에 따라서 설정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정 하중에 따라서 적절한 면 강성이 얻어지는 패널(70)을 높은 수율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제1 볼록부(721), 제2 볼록부(722) 및 제3 볼록부(723)의 높이나, 제1 볼록부(721), 제2 볼록부(722) 및 제3 볼록부(723)를 구성하는 측면의 경사 각도 θ는, 모두 동일해도 되고, 각각 일부 혹은 전부가 상이해도 된다. 또한, 정상면(74, 80, 82, 84)의 폭이나, 제1 볼록부(721), 제2 볼록부(722) 및 제3 볼록부(723)의 간격에 대해서도, 모두 동일해도 되고, 각각 일부 혹은 전부가 상이해도 된다. 또한, 제2 볼록부(722) 및 제3 볼록부(723)의 수에 대해서도, 상정 하중의 크기에 따라서 설정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패널(70)에 의해서도, 제1 실시 형태의 패널(10)과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4. 제4 실시 형태>>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서,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패널(9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패널(90)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있어서의 Ⅷ-Ⅷ 단면도이다.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패널(90)은, 제1 실시 형태의 패널(10)과는, 복수의 볼록부(92)의 구성이 상이하다. 이하, 주로 볼록부(92)의 구성에 대하여, 제1 실시 형태의 볼록부(16)와 상이한 점에 대하여 설명한다.
볼록부(92)는, 제1 볼록부(921)와, 제2 볼록부(922)와, 복수(본 실시 형태에서는, 4개)의 제3 볼록부(923)와, 복수(본 실시 형태에서는, 4개)의 제4 볼록부(924)를 포함한다. 또한, 제2 볼록부(922), 제3 볼록부(923) 및 제4 볼록부(924)의 수는, 제1 실시 형태의 패널(10)과 마찬가지로, 적어도 하중점 PL에 부하되는 상정 하중에 대한 면 강성을 고려하여, 적당히 설정된다.
<4-1. 제1 볼록부>
제1 볼록부(921)는, 패널(90)의 표면(901)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제1 볼록부(921)는 평면에서 볼 때, 패널(90)의 하중점 PL과 동심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볼록부(921)는, 정상면(93)을 포함한다. 정상면(93)은, 평면에서 볼 때 대략 정사각형이다. 패널(90)의 두께 방향에서 볼 때, 정상면(93)의 중심이 하중점 PL과 일치하고 있다.
제1 볼록부(921)는, 능선(931)을 포함한다. 능선(931)은, 평면에서 볼 때 대략 정사각 형상을 갖는다. 능선(931)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4개의 가상 직선 L11, L12, L13, L14와 수직으로 교차한다. 또한, 도시는 하지 않았지만, 능선(931)은, 하중점 PL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가상 직선의 모두에 대하여 45 내지 90도의 범위 내에서 교차한다. 즉, 능선(931)과, 하중점 PL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가상 직선이 이루는 각도 중, 예각의 각도는, 45 내지 90도 미만의 범위 내에 있다.
<4-2. 제2 볼록부>
제2 볼록부(922)는, 표면(901)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제2 볼록부(922)는, 하중점 PL에 대하여 동심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제2 볼록부(922)의 중심은, 평면에서 볼 때 하중점 PL과 일치하고 있다. 제2 볼록부(922)는, 4개의 정상면(94)을 포함한다. 제2 볼록부(922)는, 4개의 능선(941) 및 4개의 능선(942)을 포함한다. 능선(941)은, 능선(942)보다도 하중점 PL의 근처에 위치한다. 능선(941) 및 능선(942)은 각각, 중점이, 능선(941) 또는 능선(942)의 양단을 연결하는 직선보다도 하중점 PL의 근처에 위치한다. 즉, 능선(941) 및 능선(942)은 평면에서 볼 때 하중점 PL을 향해서 볼록해지는 원호 형상을 갖는다. 능선(941) 및 능선(942)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4개의 가상 직선 L11, L12, L13, L14와 수직으로 교차한다.
<4-3. 제3 볼록부>
4개의 제3 볼록부(923)는 표면(901)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4개의 제3 볼록부(923)는, 하중점 PL을 중심으로 하여, 그 주위에 위치한다. 제3 볼록부(923)는, 제2 볼록부(922)보다도 하중점 PL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제3 볼록부(923)는, 정상면(96)을 포함한다. 제3 볼록부(923)는, 능선(961) 및 능선(962)을 포함한다. 능선(961)은, 능선(962)보다도 하중점 PL의 근처에 위치한다. 능선(961) 및 능선(962)은, 각각, 중점이, 능선(961) 및 능선(962)의 양단을 연결하는 직선보다도 하중점 PL의 근처에 위치한다. 즉, 능선(961) 및 능선(962)은 평면에서 볼 때 하중점 PL을 향해서 볼록해지는 원호 형상을 갖는다. 능선(961) 및 능선(962)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4개의 가상 직선 L11, L12, L13, L14 중 어느 하나와 수직으로 교차한다.
<4-4. 제4 볼록부>
4개의 제4 볼록부(924)는 표면(901)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4개의 제4 볼록부(924)는, 하중점 PL을 중심으로 하여, 그 주위에 위치한다. 제4 볼록부(924)는 제3 볼록부(923)보다도 하중점 PL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제4 볼록부(924)는 정상면(98)을 포함한다. 제4 볼록부(924)는, 능선(981) 및 능선(982)을 포함한다. 능선(981)은, 능선(982)보다도 하중점 PL의 근처에 위치한다. 능선(981) 및 능선(982)은, 각각, 중점이, 능선(981) 및 능선(982)의 양단을 연결하는 직선보다도 하중점 PL의 근처에 위치한다. 즉, 능선(981) 및 능선(982)은, 평면에서 볼 때 하중점 PL을 향해서 볼록해지는 원호 형상을 갖는다. 능선(981) 및 능선(982)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4개의 가상 직선 L11, L12, L13, L14 중 어느 하나와 수직으로 교차한다.
<4-5. 복수의 볼록부의 형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패널(90)에서는, 제1 볼록부(921), 제2 볼록부(922), 제3 볼록부(923) 및 제4 볼록부(924)의 형태가, 하중점 PL에 부하되는 상정 하중에 대한 면 강성을 고려하여 설정된다. 즉,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패널(10)과 마찬가지로, 제1 볼록부(921), 제2 볼록부(922), 제3 볼록부(923) 및 제4 볼록부(924)의 높이나, 제1 볼록부(921), 제2 볼록부(922), 제3 볼록부(923) 및 제4 볼록부(924)를 구성하는 측면의 경사 각도 θ는, 상정 하중의 크기에 따라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패널(10)과 마찬가지로, 정상면(93, 94, 96, 98)의 폭이나, 제1 볼록부(921), 제2 볼록부(922), 제3 볼록부(923) 및 제4 볼록부(924)의 간격은, 상정 하중의 크기에 따라서 설정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정 하중에 따라서 적절한 면 강성이 얻어지는 패널(90)을 높은 수율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제1 볼록부(921), 제2 볼록부(922), 제3 볼록부(923) 및 제4 볼록부(924)의 높이나, 제1 볼록부(921), 제2 볼록부(922), 제3 볼록부(923) 및 제4 볼록부(924)를 구성하는 측면의 경사 각도 θ는, 모두 동일해도 되고, 각각 일부 혹은 전부가 상이해도 된다. 또한, 정상면(93, 94, 96, 98)의 폭이나, 제1 볼록부(921), 제2 볼록부(922), 제3 볼록부(923) 및 제4 볼록부(924)의 간격에 대해서도, 모두 동일해도 되고, 각각 일부 혹은 전부가 상이해도 된다. 또한, 제2 볼록부(922), 제3 볼록부(923) 및 제4 볼록부(924)의 수에 대해서도, 상정 하중의 크기에 따라서 설정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패널(90)에 의해서도, 제1 실시 형태의 패널(10)과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5. 제5 실시 형태>>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서,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패널(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는, 패널(100)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9에 있어서의 Ⅹ-Ⅹ 단면도이다.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패널(100)은, 제1 실시 형태의 패널(10)과는, 복수의 볼록부(102)의 구성이 상이하다. 이하, 주로 볼록부(102)의 구성에 대하여, 제1 실시 형태의 볼록부(16)와 상이한 점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패널(100)은, 볼록부(102)로서, 2개의 볼록부(1021)를 구비한다. 볼록부(1021)의 수는, 1개여도 된다.
각 볼록부(1021)는, 표면(1001)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각 볼록부(1021)는, 평면에서 볼 때 스파이럴 형상을 갖는다. 각 볼록부(1021)는, 정상면(104)을 포함한다. 각 볼록부(1021)는, 능선(1041) 및 능선(1042)을 포함한다. 능선(1041) 및 능선(1042)은, 평면에서 볼 때 스파이럴 형상을 갖는다. 임의의 위치의 볼록부(1021)에 있어서, 능선(1041)은, 능선(1042)보다도 하중점 PL의 근처에 위치한다. 능선(1041) 및 능선(1042)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4개의 가상 직선 L11, L12, L13, L14와 복수의 위치에서 교차한다.
또한, 도시는 하지 않았지만, 능선(1041) 및 능선(1042)은, 하중점 PL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가상 직선의 모두에 대하여 45 내지 90도의 범위 내에서 교차한다. 즉, 능선(1041)과, 하중점 PL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가상 직선이 이루는 각도 중, 예각의 각도는, 45 내지 90도 미만의 범위 내에 있다. 또한, 능선(1042)과, 하중점 PL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가상 직선이 이루는 각도 중, 예각의 각도는, 45 내지 90도 미만의 범위 내에 있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패널(100)에서는, 각 볼록부(1021)의 형태가, 하중점 PL에 부하되는 상정 하중에 대한 면 강성을 고려하여 설정된다. 즉,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패널(10)과 마찬가지로, 볼록부(1021)의 높이나, 볼록부(1021)를 구성하는 측면의 경사 각도 θ는, 상정 하중의 크기에 따라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패널(10)과 마찬가지로, 정상면(104)의 폭이나, 볼록부(1021)의 간격은, 상정 하중의 크기에 따라서 설정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정 하중에 따라서 적절한 면 강성이 얻어지는 패널(100)을 높은 수율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볼록부(1021)의 높이나, 볼록부(1021)를 구성하는 측면의 경사 각도 θ는, 전 범위에 걸쳐서 동일해도 되고, 일부 혹은 전부가 상이해도 된다. 또한, 정상면(104)의 폭이나, 볼록부(1021)의 간격에 대해서도, 전 범위에 걸쳐서 동일해도 되고, 일부 혹은 전부가 상이해도 된다. 또한, 볼록부(1021)의 수에 대해서도, 상정 하중의 크기에 따라서 설정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패널(100)에 의해서도, 제1 실시 형태의 패널(10)과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6. 제6 실시 형태>>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서, 제6 실시 형태에 따른 패널(11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패널(110)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있어서의 ⅩⅡ-ⅩⅡ 단면도이다. 제6 실시 형태에 따른 패널(110)은, 제1 실시 형태의 패널(10)과는, 복수의 볼록부(112)의 구성이 상이하다. 이하, 주로 볼록부(112)의 구성에 대하여, 제1 실시 형태의 볼록부(16)과 상이한 점에 대하여 설명한다.
볼록부(112)는, 복수(본 실시 형태에서는, 2개)의 제1 볼록부(1121)와, 복수(본 실시 형태에서는, 6개)의 제2 볼록부(1122)를 포함한다. 또한, 제1 볼록부(1121) 및 제2 볼록부(1122)의 수는, 제1 실시 형태의 패널(10)과 마찬가지로, 적어도 하중점 PL에 부하되는 상정 하중에 대한 면 강성을 고려하여, 적당히 설정된다.
<6-1. 제1 볼록부>
제1 볼록부(1121)는, 표면(1101)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제1 볼록부(1121)는, 평면에서 볼 때, 하중점 PL을 기점으로 하여, 하중점 PL의 둘레를 둘러싸는 스파이럴 형상을 갖는다. 제1 볼록부(1121)는, 정상면(114)과, 정상면(116)을 포함한다. 제1 볼록부(1121)는, 능선(1141), 능선(1142), 능선(1161) 및 능선(1162)을 포함한다.
능선(1141) 및 능선(1142)은, 평면에서 볼 때 스파이럴 형상을 갖는다. 능선(1141) 및 능선(1142)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4개의 가상 직선 L11, L12, L13, L14와 수직으로 교차하는 부분을 갖는다. 또한, 도시는 하지 않았지만, 능선(1141) 및 능선(1142)은, 하중점 PL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가상 직선의 모두에 대하여 45 내지 90도의 범위 내에서 교차한다. 즉, 능선(1141)과, 하중점 PL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가상 직선이 이루는 각도 중, 예각의 각도는, 45 내지 90도 미만의 범위 내에 있다. 능선(1142)과, 하중점 PL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가상 직선이 이루는 각도 중, 예각의 각도는, 45 내지 90도 미만의 범위 내에 있다.
능선(1161) 및 능선(1162)은, 평면에서 볼 때 서로 평행하다. 2개의 제1 볼록부(1121) 중 한쪽이 갖는 능선(1161) 및 능선(1162)은, 가상 직선 L11과 수직으로 교차한다. 2개의 제1 볼록부(1121)의 다른 쪽이 갖는 능선(1161) 및 능선(1162)은, 가상 직선 L13과 수직으로 교차한다.
<6-2. 제2 볼록부>
6개의 제2 볼록부(1122)는, 표면(1101)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제2 볼록부(1122)는, 제1 볼록부(1121)보다도 하중점 PL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제2 볼록부(1122)는, 정상면(118)을 포함한다. 제2 볼록부(1122)는, 능선(1181) 및 능선(1182)을 포함한다. 능선(1181)은, 능선(1182)보다도 하중점 PL의 근처에 위치한다.
6개의 제2 볼록부(1122) 중, 1개의 제2 볼록부(1122)는, 가상 직선 L11과 교차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이러한 제2 볼록부(1122)에 있어서, 능선(1181) 및 능선(1182)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상 직선 L11과 수직으로 교차한다. 6개의 제2 볼록부(1122) 중, 2개의 제2 볼록부(1122)는, 가상 직선 L12와 교차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이러한 제2 볼록부(1122)에 있어서, 능선(1181) 및 능선(1182)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상 직선 L12와 수직으로 교차한다.
6개의 제2 볼록부(1122) 중, 1개의 제2 볼록부(1122)는, 가상 직선 L13과 교차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이러한 제2 볼록부(1122)에 있어서, 능선(1181) 및 능선(1182)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상 직선 L13과 수직으로 교차한다. 6개의 제2 볼록부(1122) 중, 2개의 제2 볼록부(1122)는, 가상 직선 L14와 교차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이러한 제2 볼록부(1122)에 있어서, 능선(1181) 및 능선(1182)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상 직선 L14와 수직으로 교차한다.
<6-3. 복수의 볼록부의 형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패널(110)에서는, 제1 볼록부(1121) 및 제2 볼록부(1122)의 형태가, 하중점 PL에 부하되는 상정 하중에 대한 면 강성을 고려하여 설정된다. 즉,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패널(10)과 마찬가지로, 제1 볼록부(1121) 및 제2 볼록부(1122)의 높이나, 제1 볼록부(1121) 및 제2 볼록부(1122)를 구성하는 측면의 경사 각도 θ는, 상정 하중의 크기에 따라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패널(10)과 마찬가지로, 정상면(114, 116, 118)의 폭이나, 제1 볼록부(1121) 및 제2 볼록부(1122)의 간격은, 상정 하중의 크기에 따라서 설정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정 하중에 따라서 적절한 면 강성이 얻어지는 패널(110)을 높은 수율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제1 볼록부(1121) 및 제2 볼록부(1122)의 높이나, 제1 볼록부(1121) 및 제2 볼록부(1122)를 구성하는 측면의 경사 각도 θ는, 모두 동일해도 되고, 각각 일부 혹은 전부가 상이해도 된다. 또한, 정상면(114, 116, 118)의 폭이나, 제1 볼록부(1121) 및 제2 볼록부(1122)의 간격에 대해서도, 모두 동일해도 되고, 각각 일부 혹은 전부가 상이해도 된다. 또한, 제1 볼록부(1121) 및 제2 볼록부(1122)의 수에 대해서도, 상정 하중의 크기에 따라서 설정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제6 실시 형태에 따른 패널(110)에 의해서도, 제1 실시 형태의 패널(10)과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7. 제7 실시 형태>>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서, 제7 실시 형태에 따른 패널(12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3은, 패널(120)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있어서의 ⅩⅣ-ⅩⅣ 단면도이다. 제7 실시 형태에 따른 패널(120)은, 제1 실시 형태의 패널(10)과는, 복수의 볼록부(122)의 구성이 상이하다. 이하, 주로 볼록부(122)의 구성에 대하여, 제1 실시 형태의 볼록부(16)과 상이한 점에 대하여 설명한다.
볼록부(122)는, 제1 볼록부(1221)와, 복수(본 실시 형태에서는, 2개)의 제2 볼록부(1222)와, 복수(본 실시 형태에서는, 4개)의 제3 볼록부(1223)를 포함한다. 또한, 제2 볼록부(1222) 및 제3 볼록부(1223)의 수는, 제1 실시 형태의 패널(10)과 마찬가지로, 적어도 하중점 PL에 부하되는 상정 하중에 대한 면 강성을 고려하여, 적당히 설정된다.
<7-1. 제1 볼록부>
제1 볼록부(1221)는, 패널(120)의 표면(1201)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제1 볼록부(1221)는, 평면에서 볼 때, 패널(120)의 하중점 PL과 동심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볼록부(1221)는, 정상면(124)을 포함한다. 정상면(124)은 평면에서 볼 때 정팔각형이다. 패널(120)의 두께 방향에서 볼 때, 정상면(124)의 중심이 하중점 PL과 일치하고 있다.
제1 볼록부(1221)는, 능선(1241)을 포함한다. 능선(1241)은, 평면에서 볼 때 정사각 형상을 갖는다. 능선(1241)은,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4개의 가상 직선 L11, L12, L13, L14와 수직으로 교차한다. 또한, 도시는 하지 않았지만, 능선(1241)은, 하중점 PL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가상 직선의 모두에 대하여 45 내지 90도의 범위 내에서 교차한다. 즉, 능선(1241)과, 하중점 PL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가상 직선이 이루는 각도 중, 예각의 각도는, 45 내지 90도 미만의 범위 내에 있다.
<7-2. 제2 볼록부>
2개의 제2 볼록부(1222)는, 각각, 표면(1201)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2개의 제2 볼록부(1222)는, 하중점 PL에 대하여 동심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하, 2개의 제2 볼록부(1222) 중, 하중점 PL에 가까운 쪽을 제1 환상 볼록부(126)라 하고, 하중점 PL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쪽을 제2 환상 볼록부(128)라 한다.
<7-2-1. 제1 환상 볼록부>
제1 환상 볼록부(126)는 정상면(130)을 포함한다. 정상면(130)은 평면에서 볼 때 정팔각형의 프레임형상을 갖는다. 제1 환상 볼록부(126)는, 능선(1301) 및 능선(1302)을 포함한다. 능선(1301)은, 능선(1302)보다도 하중점 PL의 근처에 위치한다. 능선(1301) 및 능선(1302)은, 평면에서 볼 때 정팔각형을 갖는다. 능선(1301) 및 능선(1302)은,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4개의 가상 직선 L11, L12, L13, L14와 수직으로 교차한다. 또한, 도시는 하지 않았지만, 능선(1301) 및 능선(1302)은, 하중점 PL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가상 직선의 모두에 대하여 45 내지 90도의 범위 내에서 교차한다. 즉, 능선(1301)과, 하중점 PL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가상 직선이 이루는 각도 중, 예각의 각도는, 45 내지 90도 미만의 범위 내에 있다. 능선(1302)과, 하중점 PL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가상 직선이 이루는 각도 중, 예각의 각도는, 45 내지 90도 미만의 범위 내에 있다.
<7-2-2. 제2 환상 볼록부>
제2 환상 볼록부(128)는 정상면(132)을 포함한다. 정상면(132)은, 평면에서 볼 때 정팔각형의 프레임형상을 갖는다. 제2 환상 볼록부(128)는, 능선(1321) 및 능선(1322)을 포함한다. 능선(1321)은, 능선(1322)보다도 하중점 PL의 근처에 위치한다. 능선(1321) 및 능선(1322)은, 평면에서 볼 때 정팔각형을 갖는다. 능선(1321) 및 능선(1322)은,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4개의 가상 직선 L11, L12, L13, L14와 수직으로 교차한다. 또한, 도시는 하지 않았지만, 능선(1321) 및 능선(1322)은, 하중점 PL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가상 직선의 모두에 대하여 45 내지 90도의 범위 내에서 교차한다. 즉, 능선(1321)과, 하중점 PL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가상 직선이 이루는 각도 중, 예각의 각도는, 45 내지 90도 미만의 범위 내에 있다. 능선(1322)과, 하중점 PL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가상 직선이 이루는 각도 중, 예각의 각도는, 45 내지 90도 미만의 범위 내에 있다.
<7-3. 제3 볼록부>
제3 볼록부(1223)는, 표면(1201)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제3 볼록부(1223)는, 평면에서 볼 때 대략 사다리꼴 형상을 갖는다. 제3 볼록부(1223)는, 제2 환상 볼록부(128)보다도 하중점 PL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제3 볼록부(1223)는, 정상면(134)을 포함한다. 정상면(134)은, 평면에서 볼 때 사다리꼴 형상을 갖는다. 환상 제3 볼록부(1223)는, 능선(1341) 및 능선(1342)을 포함한다. 능선(1341)은, 능선(1342)보다도 하중점 PL의 근처에 위치한다. 능선(1341) 및 능선(1342)은,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4개의 가상 직선 L11, L12, L13, L14 중 어느 하나와 수직으로 교차한다.
<7-4. 복수의 볼록부의 형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패널(120)에서는, 제1 볼록부(1221), 제2 볼록부(1222) 및 제3 볼록부(1223)의 형태가, 하중점 PL에 부하되는 상정 하중에 대한 면 강성을 고려하여 설정된다. 즉,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패널(10)과 마찬가지로, 제1 볼록부(1221), 제2 볼록부(1222) 및 제3 볼록부(1223)의 높이나, 제1 볼록부(1221), 제2 볼록부(1222) 및 제3 볼록부(1223)를 구성하는 측면의 경사 각도 θ는, 상정 하중의 크기에 따라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패널(10)과 마찬가지로, 정상면(124, 130, 132, 134)의 폭이나, 제1 볼록부(1221), 제2 볼록부(1222) 및 제3 볼록부(1223)의 간격은, 상정 하중의 크기에 따라서 설정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정 하중에 따라서 적절한 면 강성이 얻어지는 패널(120)을 높은 수율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제1 볼록부(1221), 제2 볼록부(1222) 및 제3 볼록부(1223)의 높이나, 제1 볼록부(1221), 제2 볼록부(1222) 및 제3 볼록부(1223)를 구성하는 측면의 경사 각도 θ는, 모두 동일해도 되고, 각각 일부 혹은 전부가 상이해도 된다. 또한, 정상면(124, 130, 132, 134)의 폭이나, 제1 볼록부(1221), 제2 볼록부(1222) 및 제3 볼록부(1223)의 간격에 대해서도, 모두 동일해도 되고, 각각 일부 혹은 전부가 상이해도 된다. 또한, 제2 볼록부(1222) 및 제3 볼록부(1223)의 수에 대해서도, 상정 하중의 크기에 따라서 설정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제7 실시 형태에 따른 패널(90)에 의해서도, 제1 실시 형태의 패널(10)과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8. 제8 실시 형태>>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서, 제8 실시 형태에 따른 패널(14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5는, 패널(140)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6은, 도 15에 있어서의 ⅩⅥ-ⅩⅥ 단면도이다. 제8 실시 형태에 따른 패널(140)은, 제1 실시 형태의 패널(10)과는, 복수의 볼록부(142)의 구성이 상이하다. 이하, 주로 볼록부(142)의 구성에 대하여, 제1 실시 형태의 볼록부(16)와 상이한 점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시계 방향의 방향, 즉, 우회전의 방향에 있어서, 시점측을 주위 방향의 일단부라 하고, 종점측을 주위 방향의 타단부라 하고 있다.
볼록부(142)는, 제1 볼록부(1421)와, 복수(본 실시 형태에서는, 2개)의 제2 볼록부(1422)와, 복수(본 실시 형태에서는, 2개)의 제3 볼록부(1423)와, 복수(본 실시 형태에서는, 2개)의 제4 볼록부(1424)와, 복수(본 실시 형태에서는, 2개)의 제5 볼록부(1425)와, 복수(본 실시 형태에서는, 4개)의 제6 볼록부(1426)와, 복수(본 실시 형태에서는, 4개)의 제7 볼록부(1427)를 포함한다. 또한, 제1 볼록부(1421) 내지 제7 볼록부(1427)의 수는, 제1 실시 형태의 패널(10)과 마찬가지로, 적어도 하중점 PL에 부하되는 상정 하중에 대한 면 강성을 고려하여, 적당히 설정된다.
<8-1. 제1 볼록부>
제1 볼록부(1421)는, 하중점 PL 위에 위치한다. 제1 볼록부(1421)는, 정상면(143)을 포함한다. 제1 볼록부(1421)는, 능선(1431)을 포함한다. 정상면(143) 및 능선(1431)은, 평면에서 볼 때 원 형상을 갖는다. 패널(140)의 두께 방향에서 볼 때, 정상면(143) 및 능선(1431)의 중심이 하중점 PL과 일치하고 있다.
<8-2. 제2 볼록부>
2개의 제2 볼록부(1422)는, 하중점 PL을 중심으로 하는 제1 원 위에 위치한다. 제2 볼록부(1422)는, 정상면(144)을 포함한다. 제2 볼록부(1422)는, 능선(1441) 및 능선(1442)을 갖는다. 능선(1441)은, 능선(1442)보다도 하중점 PL의 근처에 위치한다. 능선(1441) 및 능선(1442)은, 각각, 중점이, 능선(1441) 및 능선(1442)의 양단을 연결하는 직선보다도 하중점 PL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즉, 능선(1441) 및 능선(1442)은, 평면에서 볼 때 하중점 PL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을 향해서 볼록해지는 원호 형상을 갖는다. 능선(1441) 및 능선(1442)은,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4개의 가상 직선 L11, L12, L13, L14 중 어느 2개와 수직으로 교차한다.
2개의 제2 볼록부(1422) 중, 한쪽을 제2 볼록부(1422A)라 하고, 다른 쪽을 제2 볼록부(1422B)라 한다. 제2 볼록부(1422A)의 주위 방향 일단부는, 가상 직선 L11과 수직으로 교차한다. 제2 볼록부(1422A)의 주위 방향 타단부는, 가상 직선 L12와 수직으로 교차한다. 제2 볼록부(1422B)의 주위 방향 일단부는, 가상 직선 L13과 수직으로 교차한다. 제2 볼록부(1422B)의 주위 방향 타단부는, 가상 직선 L14와 수직으로 교차한다.
<8-3. 제3 볼록부>
2개의 제3 볼록부(1423)는, 하중점 PL을 중심으로 하는 제2 원 위에 위치한다. 제2 원은, 제1 원보다도 큰 직경을 갖는다. 제3 볼록부(1423)는, 정상면(146)을 포함한다. 제3 볼록부(1423)는, 능선(1461) 및 능선(1462)을 갖는다. 능선(1461)은, 능선(1462)보다도 하중점 PL의 근처에 위치한다. 능선(1461) 및 능선(1462)은, 각각, 중점이, 능선(1461) 및 능선(1462)의 양단을 연결하는 직선보다도 하중점 PL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즉, 능선(1461) 및 능선(1462)은, 평면에서 볼 때 하중점 PL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을 향해서 볼록해지는 원호 형상을 갖는다. 능선(1461) 및 능선(1462)은,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4개의 가상 직선 L11, L12, L13, L14 중 어느 2개와 수직으로 교차한다.
2개의 제3 볼록부(1423) 중, 한쪽을 제3 볼록부(1423A)라 하고, 다른 쪽을 제3 볼록부(1423B)라 한다. 제3 볼록부(1423A)의 주위 방향 일단부는, 가상 직선 L14와 수직으로 교차한다. 제3 볼록부(1423A)의 주위 방향 타단부는, 가상 직선 L11과 수직으로 교차한다. 제3 볼록부(1423B)의 주위 방향 일단부는, 가상 직선 L12와 수직으로 교차한다. 제3 볼록부(1423B)의 주위 방향 타단부는, 가상 직선 L13과 수직으로 교차한다.
제3 볼록부(1423A)의 주위 방향 일단부는, 가상 직선 L14가 연장되는 방향에서 볼 때, 제2 볼록부(1422B)의 주위 방향 타단부와 겹친다. 제3 볼록부(1423A)의 주위 방향 타단부는, 가상 직선 L11이 연장되는 방향에서 볼 때, 제2 볼록부(1422A)의 주위 방향 일단부와 겹친다. 제3 볼록부(1423B)의 주위 방향 일단부는, 가상 직선 L12가 연장되는 방향에서 볼 때, 제2 볼록부(1422A)의 주위 방향 타단부와 겹친다. 제3 볼록부(1423B)의 주위 방향 타단부는, 가상 직선 L13이 연장되는 방향에서 볼 때, 제2 볼록부(1422B)의 주위 방향 일단부와 겹친다.
<8-4. 제4 볼록부>
2개의 제4 볼록부(1424)는, 하중점 PL을 중심으로 하는 제3 원 위에 위치한다. 제3 원은, 제2 원보다도 큰 직경을 갖는다. 제4 볼록부(1424)는, 정상면(148)을 갖는다. 제4 볼록부(1424)는, 능선(1481) 및 능선(1482)을 갖는다. 능선(1481)은, 능선(1482)보다도 하중점 PL의 근처에 위치한다. 능선(1481) 및 능선(1482)은, 각각, 중점이, 능선(1481) 및 능선(1482)의 양단을 연결하는 직선보다도 하중점 PL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즉, 능선(1481) 및 능선(1482)은, 평면에서 볼 때 하중점 PL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을 향해서 볼록해지는 원호 형상을 갖는다. 능선(1481) 및 능선(1482)은,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4개의 가상 직선 L11, L12, L13, L14 중 어느 2개와 수직으로 교차한다.
2개의 제4 볼록부(1424) 중, 한쪽을 제4 볼록부(1424A)라 하고, 다른 쪽을 제4 볼록부(1424B)라 한다. 제4 볼록부(1424A)의 주위 방향 일단부는, 가상 직선 L11과 수직으로 교차한다. 제2 볼록부(1422A)의 주위 방향 타단부는, 가상 직선 L12와 수직으로 교차한다. 제4 볼록부(1424B)의 주위 방향 일단부는, 가상 직선 L13과 수직으로 교차한다. 제4 볼록부(1424B)의 주위 방향 타단부는, 가상 직선 L14와 수직으로 교차한다.
제4 볼록부(1424A)의 주위 방향 일단부는, 가상 직선 L11이 연장되는 방향에서 볼 때, 제3 볼록부(1423A)의 주위 방향 타단부와, 제2 볼록부(1422A)의 주위 방향 일단부에 겹친다. 제4 볼록부(1424A)의 주위 방향 타단부는, 가상 직선 L12가 연장되는 방향에서 볼 때, 제3 볼록부(1423B)의 주위 방향 일단부와, 제2 볼록부(1422A)의 주위 방향 타단부에 겹친다. 제4 볼록부(1424B)의 주위 방향 일단부는, 가상 직선 L13이 연장되는 방향에서 볼 때, 제3 볼록부(1423B)의 주위 방향 타단부와, 제2 볼록부(1422B)의 주위 방향 일단부에 겹친다. 제4 볼록부(1424B)의 주위 방향 타단부는, 가상 직선 L14가 연장되는 방향에서 볼 때, 제3 볼록부(1423A)의 주위 방향 타단부와, 제3 볼록부(1423B)의 주위 방향 일단부에 겹친다.
<8-5. 제5 볼록부>
2개의 제5 볼록부(1425)는, 하중점 PL을 중심으로 하는 제4 원 위에 위치한다. 제4 원은, 제3 원보다도 큰 직경을 갖는다. 제5 볼록부(1425)는, 정상면(150)을 포함한다. 제5 볼록부(1425)는, 능선(1501) 및 능선(1502)을 갖는다. 능선(1501)은, 능선(1502)보다도 하중점 PL의 근처에 위치한다. 능선(1501) 및 능선(1502)은, 각각, 중점이, 능선(1501) 및 능선(1502)의 양단을 연결하는 직선보다도 하중점 PL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즉, 능선(1501) 및 능선(1502)은, 평면에서 볼 때 하중점 PL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을 향해서 볼록해지는 원호 형상을 갖는다. 능선(1501) 및 능선(1502)은,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4개의 가상 직선 L11, L12, L13, L14 중 어느 2개와 수직으로 교차한다.
2개의 제5 볼록부(1425) 중, 한쪽을 제5 볼록부(1425A)라 하고, 다른 쪽을 제5 볼록부(1425B)라 한다. 제5 볼록부(1425A)의 주위 방향 일단부는, 가상 직선 L14와 수직으로 교차한다. 제5 볼록부(1425A)의 주위 방향 타단부는, 가상 직선 L11과 수직으로 교차한다. 제5 볼록부(1425B)의 주위 방향 일단부는, 가상 직선 L12와 수직으로 교차한다. 제5 볼록부(1425B)의 주위 방향 타단부는, 가상 직선 L13과 수직으로 교차한다.
제5 볼록부(1425A)의 주위 방향 일단부는, 가상 직선 L14가 연장되는 방향에서 볼 때, 제4 볼록부(1424B)의 주위 방향 타단부와, 제3 볼록부(1423A)의 주위 방향 일단부와, 제3 볼록부(1423B)의 주위 방향 타단부에 겹친다. 제5 볼록부(1425A)의 주위 방향 타단부는, 가상 직선 L11이 연장되는 방향에서 볼 때, 제4 볼록부(1424A)의 주위 방향 일단부와, 제3 볼록부(1423A)의 주위 방향 타단부와, 제2 볼록부(1422A)의 주위 방향 일단부에 겹친다. 제5 볼록부(1425B)의 주위 방향 일단부는, 가상 직선 L12가 연장되는 방향에서 볼 때, 제4 볼록부(1424A)의 주위 방향 타단부와, 제3 볼록부(1423B)의 주위 방향 일단부와, 제2 볼록부(1422A)의 주위 방향 타단부에 겹친다. 제5 볼록부(1425B)의 주위 방향 타단부는, 가상 직선 L13이 연장되는 방향에서 볼 때, 제4 볼록부(1424B)의 주위 방향 일단부와, 제3 볼록부(1423B)의 주위 방향 타단부와, 제2 볼록부(1422B)의 주위 방향 일단부에 겹친다.
<8-6. 제6 볼록부>
4개의 제6 볼록부(1426)는, 하중점 PL을 중심으로 하는 제5 원 위에 위치한다. 제5 원은, 제4 원보다도 큰 직경을 갖는다. 제6 볼록부(1426)는, 정상면(152)을 포함한다. 제6 볼록부(1426)는, 능선(1521) 및 능선(1522)를 갖는다. 능선(1521)은, 능선(1522)보다도 하중점 PL의 근처에 위치한다. 능선(1521) 및 능선(1522)은, 각각, 중점이, 능선(1521) 및 능선(1522)의 양단을 연결하는 직선보다도 하중점 PL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즉, 능선(1521) 및 능선(1522)은, 평면에서 볼 때 하중점 PL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을 향해서 볼록해지는 원호 형상을 갖는다. 능선(1521) 및 능선(1522)은,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4개의 가상 직선 L11, L12, L13, L14 중 어느 하나와 수직으로 교차한다.
4개의 제6 볼록부(1426) 중, 제6 볼록부(1426A)의 주위 방향 일단부는, 가상 직선 L11과 수직으로 교차한다. 제6 볼록부(1426A)의 주위 방향 타단부는, 보강부(12)와 주연부(14)의 경계에 위치한다. 제6 볼록부(1426A)의 주위 방향 일단부는, 가상 직선 L11이 연장되는 방향에서 볼 때, 제5 볼록부(1425A)의 주위 방향 타단부와, 제4 볼록부(1424A)의 주위 방향 일단부와, 제3 볼록부(1423A)의 주위 방향 타단부와, 제2 볼록부(1422A)의 주위 방향 일단부에 겹친다.
4개의 제6 볼록부(1426) 중, 제6 볼록부(1426B)의 주위 방향 일단부는, 보강부(12)와 주연부(14)의 경계에 위치한다. 제6 볼록부(1426B)의 주위 방향 타단부는, 가상 직선 L12와 수직으로 교차한다. 제6 볼록부(1426B)의 주위 방향 타단부는, 가상 직선 L12가 연장되는 방향에서 볼 때, 제5 볼록부(1425B)의 주위 방향 일단부와, 제4 볼록부(1424A)의 주위 방향 타단부와, 제3 볼록부(1423B)의 주위 방향 일단부와, 제2 볼록부(1422A)의 주위 방향 타단부에 겹친다.
4개의 제6 볼록부(1426) 중, 제6 볼록부(1426C)의 주위 방향 일단부는, 가상 직선 L13과 수직으로 교차한다. 제6 볼록부(1426C)의 주위 방향 타단부는, 보강부(12)와 주연부(14)의 경계에 위치한다. 제6 볼록부(1426C)의 주위 방향 일단부는, 가상 직선 L13이 연장되는 방향에서 볼 때, 제5 볼록부(1425B)의 주위 방향 타단부와, 제4 볼록부(1424B)의 주위 방향 일단부와, 제3 볼록부(1423B)의 주위 방향 타단부와, 제2 볼록부(1422B)의 주위 방향 일단부에 겹친다.
4개의 제6 볼록부(1426) 중, 제6 볼록부(1426D)의 주위 방향 일단부는, 보강부(12)와 주연부(14)의 경계에 위치한다. 제6 볼록부(1426D)의 주위 방향 타단부는, 가상 직선 L14와 수직으로 교차한다. 제6 볼록부(1426D)의 주위 방향 타단부는, 가상 직선 L14가 연장되는 방향에서 볼 때, 제5 볼록부(1425A)의 주위 방향 일단부와, 제4 볼록부(1424B)의 주위 방향 타단부와, 제3 볼록부(1423A)의 주위 방향 일단부와, 제2 볼록부(1422B)의 주위 방향 타단부에 겹친다.
<8-7. 제7 볼록부>
4개의 제7 볼록부(1427)는, 하중점 PL을 중심으로 하는 제6 원 위에 위치한다. 제6 원은, 제5 원보다도 큰 직경을 갖는다. 제7 볼록부(1427)는, 정상면(154)을 포함한다. 제7 볼록부(1427)는, 능선(1541) 및 능선(1542)을 갖는다. 능선(1541)은, 능선(1542)보다도 하중점 PL의 근처에 위치한다. 능선(1541) 및 능선(1542)은, 각각, 중점이, 능선(1541) 및 능선(1542)의 양단을 연결하는 직선보다도 하중점 PL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즉, 능선(1541) 및 능선(1542)은, 평면에서 볼 때 하중점 PL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을 향해서 볼록해지는 원호 형상을 갖는다. 능선(1541) 및 능선(1542)은,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4개의 가상 직선 L11, L12, L13, L14 중 어느 하나와 수직으로 교차한다.
4개의 제7 볼록부(1427) 중, 제7 볼록부(1427A)의 주위 방향 일단부는, 보강부(12)와 주연부(14)의 경계에 위치한다. 제7 볼록부(1427A)의 주위 방향 타단부는, 가상 직선 L11과 수직으로 교차한다. 제7 볼록부(1427)의 주위 방향 타단부는, 가상 직선 L11이 연장되는 방향에서 볼 때, 제6 볼록부(1426A)의 주위 방향 일단부와, 제5 볼록부(1425A)의 주위 방향 타단부와, 제4 볼록부(1424A)의 주위 방향 일단부와, 제3 볼록부(1423A)의 주위 방향 타단부와, 제2 볼록부(1422A)의 주위 방향 일단부에 겹친다.
4개의 제7 볼록부(1427) 중, 제7 볼록부(1427B)의 주위 방향 일단부는, 가상 직선 L12와 수직으로 교차한다. 제7 볼록부(1427A)의 주위 방향 타단부는, 보강부(12)와 주연부(14)의 경계에 위치한다. 제7 볼록부(1427B)의 주위 방향 일단부는, 가상 직선 L12가 연장되는 방향에서 볼 때, 제6 볼록부(1426B)의 주위 방향 타단부와, 제5 볼록부(1425B)의 주위 방향 일단부와, 제4 볼록부(1424A)의 주위 방향 타단부와, 제3 볼록부(1423B)의 주위 방향 일단부와, 제2 볼록부(1422A)의 주위 방향 타단부에 겹친다.
4개의 제7 볼록부(1427) 중, 제7 볼록부(1427C)의 주위 방향 일단부는, 보강부(12)와 주연부(14)의 경계에 위치한다. 제7 볼록부(1427C)의 주위 방향 타단부는, 가상 직선 L13과 수직으로 교차한다. 제7 볼록부(1427C)의 주위 방향 타단부는, 가상 직선 L13이 연장되는 방향에서 볼 때, 제6 볼록부(1426C)의 주위 방향 일단부와, 제5 볼록부(1425B)의 주위 방향 타단부와, 제4 볼록부(1424B)의 주위 방향 일단부와, 제3 볼록부(1423B)의 주위 방향 타단부와, 제2 볼록부(1422B)의 주위 방향 일단부에 겹친다.
4개의 제7 볼록부(1427) 중, 제7 볼록부(1427D)의 주위 방향 일단부는, 가상 직선 L14와 수직으로 교차한다. 제7 볼록부(1427D)의 주위 방향 타단부는, 보강부(12)와 주연부(14)의 경계에 위치한다. 제7 볼록부(1427D)의 주위 방향 일단부는, 가상 직선 L14가 연장되는 방향에서 볼 때, 제6 볼록부(1426D)의 주위 방향 타단부와, 제5 볼록부(1425A)의 주위 방향 일단부와, 제4 볼록부(1424B)의 주위 방향 타단부와, 제3 볼록부(1423A)의 주위 방향 일단부와, 제2 볼록부(1422B)의 주위 방향 타단부에 겹친다.
<8-8. 복수의 볼록부의 형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패널(140)에서는, 제1 볼록부(1421) 내지 제7 볼록부(1427)의 형태가, 하중점 PL에 부하되는 상정 하중에 대한 면 강성을 고려하여 설정된다. 즉,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패널(10)과 마찬가지로, 제1 볼록부(1421) 내지 제7 볼록부(1427)의 높이나, 제1 볼록부(1421) 내지 제7 볼록부(1427)를 구성하는 측면의 경사 각도 θ는, 상정 하중의 크기에 따라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패널(10)과 마찬가지로, 정상면(143, 144, 146, 148, 150, 152, 154)의 폭이나, 제1 볼록부(1421) 내지 제7 볼록부(1427)의 간격은, 상정 하중의 크기에 따라서 설정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정 하중에 따라서 적절한 면 강성이 얻어지는 패널(140)을 높은 수율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제1 볼록부(1421) 내지 제7 볼록부(1427)의 높이나, 제1 볼록부(1421) 내지 제7 볼록부(1427)를 구성하는 측면의 경사 각도 θ는, 모두 동일해도 되고, 각각 일부 혹은 전부가 상이해도 된다. 또한, 정상면(143, 144, 146, 148, 150, 152, 154)의 폭이나, 제1 볼록부(1421) 내지 제7 볼록부(1427)의 간격에 대해서도, 모두 동일해도 되고, 각각 일부 혹은 전부가 상이해도 된다. 또한, 제1 볼록부(1421) 내지 제7 볼록부(1427)의 수에 대해서도, 상정 하중의 크기에 따라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가상 직선 L11이 연장되는 방향에서 볼 때, 당해 방향에서 인접하는 2개의 볼록부에 있어서 서로 겹치는 부분의 주위 방향 길이는, 하중점 PL에 대하여 부하되는 상정 하중에 대한 면 강성에 따라서, 적당히 설정된다. 이때, 서로 겹치는 부분의 주위 방향 길이는,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중점 PL의 근처에서 인접하는 2개의 볼록부와, 하중점 PL로부터 멀리 떨어져서 인접하는 2개의 볼록부가, 동일하여도 된다. 즉, 가상 직선 L11이 연장되는 방향에서 인접하는 2개의 볼록부에 있어서, 가상 직선 L11과 교차하는 주위 방향 단부의 테두리는, 가상 직선 L11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어도 된다.
또는,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겹치는 부분의 주위 방향 길이는, 하중점 PL의 근처에서 인접하는 2개의 볼록부보다도, 하중점 PL로부터 멀리 떨어져서 인접하는 2개의 볼록부의 쪽이 커져 있어도 된다. 즉, 가상 직선 L11이 연장되는 방향에서 인접하는 2개의 볼록부에 있어서, 가상 직선 L11과 교차하는 주위 방향 단부의 테두리는, 하중점 PL을 통과하고, 가상 직선 L11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한쪽의 테두리와 다른 쪽의 테두리가 이루는 각도 φ는, 하중점 PL에 부하되는 상정 하중에 대한 면 강성에 따라서, 적당히 설정된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지만, 가상 직선 L12가 연장되는 방향에서 볼 때, 당해 방향에서 인접하는 2개의 볼록부에 있어서 서로 겹치는 부분의 주위 방향 길이에 대해서도,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할 수 있다. 또한, 가상 직선 L13이 연장되는 방향에서 볼 때, 당해 방향에서 인접하는 2개의 볼록부에 있어서 서로 겹치는 부분의 주위 방향 길이에 대해서도,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할 수 있다. 또한, 가상 직선 L14가 연장되는 방향에서 볼 때, 당해 방향에서 인접하는 2개의 볼록부에 있어서 서로 겹치는 부분의 주위 방향 길이에 대해서도,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제8 실시 형태에 따른 패널(140)에 의해서도, 제1 실시 형태의 패널(10)과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9. 제9 실시 형태>>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면서, 제9 실시 형태에 따른 패널(16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8은, 패널(160)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9는, 도 18에 있어서의 ⅩⅥ-ⅩⅥ 단면도이다. 제9 실시 형태에 따른 패널(160)은 제8 실시 형태의 패널(140)과는, 복수의 제2 볼록부(162)의 구성이 상이하다. 이하, 주로 제2 볼록부(162)의 구성에 대하여, 제8 실시 형태의 볼록부(142)와 상이한 점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시계 방향의 방향, 즉, 우회전의 방향에 있어서, 시점측을 주위 방향의 일단부라 하고, 종점측을 주위 방향의 타단부라 하고 있다.
패널(160)은, 제8 실시 형태의 패널(140)에 대하여 복수(본 실시 형태에서는, 2개)의 제8 볼록부(1621)와, 복수(본 실시 형태에서는, 2개)의 제9 볼록부(1622)와, 복수(본 실시 형태에서는, 2개)의 제10 볼록부(1623)와, 복수(본 실시 형태에서는, 2개)의 제11 볼록부(1624)가 추가된 것이다. 또한, 제8 볼록부(1621) 내지 제11 볼록부(1624)의 수는, 제1 실시 형태의 패널(10)과 마찬가지로, 적어도 하중점 PL에 부하되는 상정 하중에 대한 면 강성을 고려하여, 적당히 설정된다.
<9-1. 제8 볼록부>
제8 볼록부(1621)는, 표면(1601)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제8 볼록부(1621)는, 정상면(164)을 포함한다. 정상면(164)은, 평면에서 볼 때 원 형상을 갖는다. 제8 볼록부(1621)은, 능선(1641)을 갖는다. 능선(1641)은, 평면에서 볼 때 원 형상을 갖는다. 제8 볼록부(1621)는, 제2 볼록부(1422)와 마찬가지로, 제1 원 위에 위치한다. 제8 볼록부(1621)는, 주위 방향에서 인접하는 2개의 제2 볼록부(1422)의 사이에 위치한다.
<9-2. 제9 볼록부>
제9 볼록부(1622)는, 표면(1601)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제9 볼록부(1622)는, 정상면(166)을 포함한다. 정상면(166)은 평면에서 볼 때 원 형상을 갖는다. 제9 볼록부(1622)는, 능선(1661)을 갖는다. 능선(1661)은, 평면에서 볼 때 원 형상을 갖는다. 제9 볼록부(1622)는, 제3 볼록부(1423)와 마찬가지로, 제2 원 위에 위치한다. 제9 볼록부(1622)는, 주위 방향에서 인접하는 2개의 제3 볼록부(1423)의 사이에 위치한다.
<9-3. 제10 볼록부>
제10 볼록부(1623)는, 표면(1601)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제10 볼록부(1623)는, 정상면(168)을 포함한다. 정상면(168)은 평면에서 볼 때 원 형상을 갖는다. 제10 볼록부(1623)는, 능선(1681)을 갖는다. 능선(1681)은, 평면에서 볼 때 원 형상을 갖는다. 제10 볼록부(1623)는, 제4 볼록부(1424)와 마찬가지로, 제3 원 위에 위치한다. 제10 볼록부(1623)는, 주위 방향에서 인접하는 2개의 제4 볼록부(1424)의 사이에 위치한다.
<9-4. 제11 볼록부>
제11 볼록부(1624)는,, 표면(1601)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제11 볼록부(1624)는, 정상면(170)을 포함한다. 정상면(170)은 평면에서 볼 때 원 형상을 갖는다. 제11 볼록부(1624)는, 능선(1701)을 갖는다. 능선(1701)은, 평면에서 볼 때 원 형상을 갖는다. 제11 볼록부(1624)는, 제5 볼록부(1425)와 마찬가지로, 제4 원 위에 위치한다. 제11 볼록부(1624)는, 주위 방향에서 인접하는 2개의 제5 볼록부(1425)의 사이에 위치한다.
<9-5. 복수의 볼록부의 형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패널(160)에서는, 제1 볼록부(1421) 내지 제11 볼록부(1624)의 형태가, 하중점 PL에 부하되는 상정 하중에 대한 면 강성을 고려하여 설정된다. 즉,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패널(10)과 마찬가지로, 제1 볼록부(1421) 내지 제11 볼록부(1624)의 높이나, 제1 볼록부(1421) 내지 제11 볼록부(1624)를 구성하는 측면의 경사 각도 θ는, 상정 하중의 크기에 따라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패널(10)과 마찬가지로, 정상면(143, 144, 146, 148, 150, 152, 154, 164, 166, 168, 170)의 폭이나, 제1 볼록부(1421) 내지 제11 볼록부(1624)의 간격은, 상정 하중의 크기에 따라서 설정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정 하중에 따라서 적절한 면 강성이 얻어지는 패널(160)을 높은 수율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제1 볼록부(1421) 내지 제11 볼록부(1624)의 높이나, 제1 볼록부(1421) 내지 제11 볼록부(1624)를 구성하는 측면의 경사 각도 θ는, 모두 동일해도 되고, 각각 일부 혹은 전부가 상이해도 된다. 또한, 정상면(143, 144, 146, 148, 150, 152, 154, 164, 166, 168, 170)의 폭이나, 제1 볼록부(1421) 내지 제11 볼록부(1624)의 간격에 대해서도, 모두 동일해도 되고, 각각 일부 혹은 전부가 상이해도 된다. 또한, 제2 볼록부(1422) 내지 제11 볼록부(1624)의 수에 대해서도, 상정 하중의 크기에 따라서 설정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제9 실시 형태에 따른 패널(160)에 의해서도, 제1 실시 형태의 패널(10)과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0. 제10 실시 형태>>
도 20을 참조하면서, 제10 실시 형태에 따른 패널(20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0은, 패널(2000)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제10 실시 형태에 따른 패널(2000)은 복수의 하중점 PL1, PL2를 갖는다. 각각의 하중점 PL1, PL2의 주위에, 각 하중점 PL1, PL2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가상 직선의 각각에 대하여 복수의 위치에서 교차하는 볼록부가 구비되어 있다. 이하, 볼록부로서,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패널(10)에 형성된 볼록부(16)를 구비한 패널(2000)을 예로 채택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패널(2000)은, 평면에서 볼 때 직사각 형상을 갖는다. 패널(2000)은, 좌측 절반의 영역(2000L)의 중앙에 하중점 PL1을 갖고, 우측 절반의 영역(2000R)의 중앙에 하중점 PL2를 갖는다. 패널(2000)의 좌측 절반의 영역(2000L)에는, 하중점 PL1의 주위에 형성된 볼록부(16L)가 형성되어 있다. 볼록부(16L)는, 제1 볼록부(161L), 제2 볼록부(162L) 및 제3 볼록부(163L)를 포함한다.
한편, 패널(2000)의 우측 절반 영역(2000R)에는, 하중점 PL2의 주위에 형성된 볼록부(16R)가 형성되어 있다. 볼록부(16R)는 제1 볼록부(161R), 제2 볼록부(162R) 및 제3 볼록부(163R)를 포함한다. 좌측 절반의 영역(2000L)과 우측 절반의 영역(2000R)의 경계 부분 B에서는, 좌우의 제3 볼록부(163L, 163R)의 정상면(38L, 38R), 측면(40L, 40R), 측면(42L, 42R), 표면(101)끼리가 연속하고 있다.
또한, 도 20에 도시한 패널(2000)은 제3 볼록부(163L, 163R)와의 경계 부분 B에 있어서, 측면(40L, 40R) 또는 측면(42L, 42R)끼리의 접속 개소가 예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반하여,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면(40L, 40R) 또는 측면(42L, 42R)끼리의 접속 개소에 곡면을 설치하고, 측면(40L, 40R) 또는 측면(42L, 42R)끼리가 곡면을 개재해서 연속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이에 의해, 하중점 PL1, PL2의 각각에 대하여 하중이 부하된 상태에서, 좌측 절반의 영역(2000L)과 우측 절반의 영역(2000R)의 경계 부분 B에 있어서의, 국소적인 응력 집중을 완화시킬 수 있다.
패널(2000)에서는, 각 볼록부(16L, 16R)의 형태가, 각각의 하중점 PL1, PL2에 부하되는 상정 하중에 대한 면 강성을 고려하여 설정된다. 즉,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패널(10)과 마찬가지로, 각 볼록부(16L, 16R)의 높이나, 각 볼록부(16L, 16R)를 구성하는 측면의 경사 각도 θ는, 상정 하중의 크기에 따라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패널(10)과 마찬가지로, 각 볼록부(16L, 16R)의 정상면의 폭이나, 각 볼록부(16L, 16R)의 간격은, 상정 하중의 크기에 따라서 설정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정 하중에 따라서 적절한 면 강성이 얻어지는 패널(2000)을 높은 수율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각 볼록부(16L, 16R)의 높이나, 각 볼록부(16L, 16R)를 구성하는 측면의 경사 각도 θ는, 모두 동일해도 되고, 각각 일부 혹은 전부가 상이해도 된다. 또한, 각 볼록부(16L, 16R)의 정상면의 폭이나, 각 볼록부(16L, 16R)의 간격에 대해서도, 모두 동일해도 되고, 각각 일부 혹은 전부가 상이해도 된다. 또한, 제2 볼록부(162L, 162R) 및 제3 볼록부(163L, 163R)의 수에 대해서도, 상정 하중의 크기에 따라서 설정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제10 실시 형태에 따른 패널(2000)에 의하면, 패널(2000)의 복수의 위치에 대하여 외부로부터 하중이 부하되는 경우에도,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패널(10)과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패널(2000)에 의하면, 각각의 하중점 PL1, PL2에 부하되는 상정 하중에 대하여 적절하게 면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패널(2000)에 있어서의 볼록부(16L, 16R)의 형상, 보다 구체적으로는, 볼록부(16L, 16R)의 평면에서 볼 때의 형상은, 원형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제1 실시 형태의 패널(10)에 있어서의 볼록부(16)의 형상 대신에 제2 내지 제9 실시 형태 중 어느 하나의 패널의 볼록부의 형상으로 해도 된다. 좌측 절반의 영역(2000L)에 형성하는 볼록부의 형상과, 우측 절반의 영역(2000R)에 형성하는 볼록부의 형상이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패널(2000)에서는, 각각의 하중점 PL1, PL2의 주위에 형성되는 볼록부(16L, 16R)의 단면 형상이나 밀도, 형성 범위가, 동일하게 되어 있지만, 하중점 PL1, PL2의 각각에 부하되는 상정 하중에 따라서, 볼록부(16L, 16R)의 단면 형상이나 밀도, 형성 범위를 상이하게 해도 된다. 이하, 제11 내지 제12 실시 형태에 있어서, 좌우의 영역에 형성되는 볼록부의 형성 범위 및 밀도를 상이하게 한 변형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11. 제11 실시 형태>>
도 22를 참조하면서, 제11 실시 형태에 따른 패널(2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2는, 패널(2100)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제11 실시 형태에 따른 패널(2100)은 좌우의 영역(2100L, 2100R)의 범위, 즉, 볼록부(16L, 16R)가 각각 형성되는 범위가 상이하다. 이하, 제10 실시 형태 패널(2000)과 상이한 점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패널(2100)은 하중점 PL1에 부하되는 상정 하중이, 하중점 PL2에 부하되는 상정 하중보다도 큰 패널의 예이다. 이러한 패널(2100)에서는, 하중점 PL1에 부하되는 하중에 대한 면 강성이 상대적으로 커지도록, 하중점 PL1의 주위에 형성되는 볼록부(16L)의 형성 범위가, 하중점 PL2의 주위에 형성되는 볼록부(16R)의 형성 범위보다도 커져 있다. 볼록부(16L)가 형성되는 영역(2100L)과 볼록부(16R)가 형성되는 영역(2100R)의 경계 부분 B에서는, 서로의 볼록부(16L, 16R)가 간섭하지 않도록, 볼록부(16R)의 제2 볼록부(162R)의 단부가 형성되어 있다.
제11 실시 형태에 따른 패널(2100)에서는, 볼록부(16L, 16R)의 형성 범위가, 각각의 하중점 PL1, PL2에 부하되는 상정 하중에 대한 면 강성을 고려하여 설정되고, 상정 하중이 큰 하중점 PL1의 주위에 형성되는 볼록부(16L)의 형성 범위가 크게 되어 있다. 이에 의해, 하중점 PL1을 중심으로 하는 면 강성을 상대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고, 각각의 하중점 PL1, PL2에 부하되는 상정 하중에 대하여 적절하게 면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 22에 도시한 패널(2100)에서는, 패널(2100) 전방면에 볼록부(16L, 16R)를 형성하는 데 있어서, 각각의 볼록부(16L, 16R)의 형성 범위가, 하중점 PL1, PL2에 부하되는 상정 하중에 따라서 설정되어 있었다. 이에 반하여,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중점 PL1을 포함하는 좌측 절반의 영역(2100L) 및 하중점 PL2를 포함하는 우측 절반의 영역(2100R)의 범위 내에 있어서, 각각 상정 하중에 따라서 볼록부(16L, 16R)의 형성 범위를 상이하게 해도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패널(2100)에 있어서의 볼록부(16L, 16R)의 형상, 보다 구체적으로는, 볼록부(16L, 16R)의 평면에서 볼 때의 형상은, 원형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제1 실시 형태의 패널(10)에 있어서의 볼록부(16)의 형상 대신에 제2 내지 제9 실시 형태 중 어느 하나의 패널의 볼록부 형상으로 해도 된다. 좌측 절반의 영역(2100L)에 형성하는 볼록부의 형상과, 우측 절반의 영역(2100R)에 형성하는 볼록부의 형상이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12. 제12 실시 형태>>
도 24를 참조하면서, 제12 실시 형태에 따른 패널(23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4는, 패널(2300)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제12 실시 형태에 따른 패널(2300)은 좌우의 영역(2300L, 2300R) 각각에 형성되는 볼록부(16L, 16R)의 밀도가 상이하다. 이하, 제12 실시 형태 패널(2000)과 상이한 점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패널(2300)은, 하중점 PL1에 부하되는 상정 하중이, 하중점 PL2에 부하되는 상정 하중보다도 큰 패널의 예이다. 이러한 패널(2100)에서는, 하중점 PL1에 부하되는 하중에 대한 면 강성이 상대적으로 커지도록, 하중점 PL1의 주위에 형성되는 볼록부(16L)의 밀도가, 하중점 PL2의 주위에 형성되는 볼록부(16R)의 밀도보다도 높아져 있다. 볼록부(16L)가 형성되는 영역(2300L)과 볼록부(16R)가 형성되는 영역(2300R)의 경계 부분 B에서는, 좌우의 제3 볼록부(163L, 163R)의 정상면(38L, 38R), 측면(40L, 40R), 측면(42L, 42R), 표면(101)끼리가 연속하도록, 경계 부분 B의 위치가 설정되어 있다.
제12 실시 형태에 따른 패널(2300)에서는, 볼록부(16L, 16R)의 밀도가, 각각의 하중점 PL1, PL2에 부하되는 상정 하중에 대한 면 강성을 고려하여 설정되고, 상정 하중이 큰 하중점 PL1의 주위에 형성되는 볼록부(16L)의 밀도가 높게 되어 있다. 이에 의해, 하중점 PL1을 중심으로 하는 면 강성을 상대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고, 각각의 하중점 PL1, PL2에 부하되는 상정 하중에 대하여 적절하게 면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패널(2300)에 있어서의 볼록부(16L, 16R)의 형상, 보다 구체적으로는, 볼록부(16L, 16R)의 평면에서 볼 때의 형상은, 원형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제1 실시 형태의 패널(10)에 있어서의 볼록부(16)의 형상 대신에 제2 내지 제9 실시 형태 중 어느 하나의 패널의 볼록부 형상으로 해도 된다. 좌측 절반의 영역(2300L)에 형성하는 볼록부의 형상과, 우측 절반의 영역(2300R)에 형성하는 볼록부의 형상이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볼록부(16L, 16R)의 밀도로 맞추고, 볼록부(16L, 16R)의 형성 범위를, 상정 하중에 따라서 설정해도 된다.
[실시예]
<평가 1>
제1 내지 제9 실시 형태에 의한 패널(10, 50, 70, 90, 100, 110, 120, 140, 160)의 각각에 대하여, FEM 해석에 의해 면 강성을 평가하였다(실시예 1 내지 9). 비교를 위해서, 도 25에 도시한 패널(180)(비교예 1) 및 도 26에 도시한 패널(190)(비교예 2)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FEM 해석에 의해 면 강성을 평가하였다.
(FEM 해석의 조건)
FEM 해석은, 시판 중인 범용 프로그램 코드 LS-DYNA ver. 971 rev 6.1.1을 사용하였다. 정적 음해법에 의해, 계산을 실시하였다. 패널은, 15㎜의 플랜지를 갖는 285㎜ 각의 정사각형 판재로 하였다. 플랜지는, 패널의 단부 테두리부를 수직으로 절곡함으로써 형성하였다. 패널의 재료는, 철강 재료(영률: 206.5GPa, 포와송비: 0.3, 밀도: 7.85g/㎤)로 하였다. 판 두께는, 0.6㎜로 하였다. 패널의 네 코너와, 패널의 각 변 중앙을 구속하고, 패널의 중앙에 하중(10N)을 부여했을 때의 변위를 계산하였다. 하중을 부여한 범위는, 정사각형으로 하였다. 하중을 부여한 범위(정사각형)의 각 변의 길이는, 20㎜, 50㎜, 100㎜ 및 150㎜의 4종류였다.
실시예 1 내지 9에 따른 패널에 있어서, 볼록부의 정상면의 폭은 2㎜로 하고, 패널의 표면에 대한 볼록부의 측면 경사 각도 θ를 45도로 하고, 하중을 부여한 범위(하중점)로부터 외측을 향하는 방향에서 인접하는 2개의 볼록부(한쪽의 볼록부가 갖는 정상면과 다른 쪽의 볼록부가 갖는 정상면과의 간격)의 간격은 10㎜로 하고, 요철 깊이는 3㎜로 하였다. 실시예 1에 대해서는, 하중점 PL 위에 위치하는 볼록부의 정상면의 직경을 3㎜로 하였다. 실시예 2, 3, 4에 대해서는, 하중점 PL 위에 위치하는 볼록부의 정상면의 1변의 길이를 6㎜로 하였다. 실시예 8, 9에 대해서는, 도 17에 도시한 각도 φ를 30도로 하였다.
(비교예 1의 패널)
비교예 1에 따른 패널(180)은,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볼록부(182)를 갖는다. 여기서, 도 25는, 볼록부(182)의 정상면의 형상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실제로는, 볼록부(182)의 테두리 부분에,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다.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도 25에서는, 볼록부(182)에 해칭을 넣었다. 패널(180)의 표면(1801)에 대한 경사면의 경사 각도는, 45도로 하였다. 볼록부(182)의 표면(1801)으로부터의 돌출 높이[패널(180)의 요철 깊이]는, 3㎜로 하였다.
볼록부(182)에 있어서, 치수 D1은 24㎜로 하였다. 치수 D2는 40㎜로 하였다. 치수 D3은 8㎜로 하였다. 치수 D4는 8㎜로 하였다. 치수 D5는 8㎜로 하였다. 치수 D6은 24㎜로 하였다. 치수 D7은 20㎜로 하였다. 치수 D8은 24㎜로 하였다. 치수 D9는 3㎜로 하였다. 치수 D10은 3㎜로 하였다. 치수 D11은 15㎜로 하였다. 치수 D12는 24㎜로 하였다. 치수 D13은 3㎜로 하였다. 치수 D14는 8㎜로 하였다. 치수 D15는 24㎜로 하였다. 치수 D16은 40㎜로 하였다.
(비교예 2의 패널)
비교예 2에 따른 패널(190)은, 도 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볼록부(192)를 갖는다. 여기서, 도 26은, 볼록부(192)의 정상면의 형상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실제로는, 볼록부(192)의 테두리 부분에,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다.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도 26에서는, 볼록부(192)에 해칭을 넣었다. 패널(190)의 표면(1901)에 대한 경사면의 경사 각도는, 45도로 하였다. 볼록부(192)의 표면(1901)으로부터의 돌출 높이[패널(190)의 요철 깊이]는, 3㎜로 하였다.
볼록부(192)에 있어서, 치수 D1은 24㎜로 하였다. 치수 D2는 40㎜로 하였다. 치수 D3은 8㎜로 하였다. 치수 D4는 3㎜로 하였다. 치수 D5는 11㎜로 하였다. 치수 D6은 24㎜로 하였다. 치수 D7은 18㎜로 하였다. 치수 D8은 40㎜로 하였다. 치수 D9는 48㎜로 하였다. 치수 D10은 3㎜로 하였다. 치수 D11은 18㎜로 하였다. 치수 D12는 12㎜로 하였다.
(해석 결과)
도 27 내지 도 30은, 해석 결과를 나타낸다. 도 27은, 하중을 부여한 범위가 20㎜ 각의 정사각형인 경우의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8은, 하중을 부여한 범위가 50㎜ 각의 정사각형인 경우의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9는, 하중을 부여한 범위가 100㎜ 각의 정사각형인 경우의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0은, 하중을 부여한 범위가 150㎜ 각의 정사각형인 경우의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7 내지 도 30에 있어서, 종축은, 평판에 대한 면 강성의 증가율을 나타낸다. 당해 증가율은, 이하와 같이 하여 구하였다. 우선, 상기와 마찬가지로 하여, 평판에 하중을 가했을 때의 변위를 계산하였다. 그리고, 평판에 하중을 가했을 때의 변위를, 볼록부를 갖는 패널에 하중을 가했을 때의 변위로 나눔으로써, 상기 증가율을 구하였다.
도 27 내지 도 3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9는, 비교예 1, 2보다도, 면 강성이 향상되었다. 실시예 1, 3, 6 내지 9는, 실시예 2, 4, 5보다도, 면 강성이 향상되었다. 하중점 PL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가상 직선과 수직으로 교차하는 능선이 많을수록, 면 강성이 향상되었다. 하중점 PL과 패널의 정점을 연결하는 직선에 대하여 수직으로 교차하는 능선이 존재하면, 면 강성이 향상되었다.
<평가 2>
상기의 실시예 8에 따른 패널에 대하여, 도 17에 도시한 각도 φ가 서로 다른 경우의 면 강성을, FEM 해석에 의해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는, 각도 φ로서, 5도, 10도, 20도, 30도, 40도의 경우를 상정하였다. 또한, 비교를 위해서, 상기 실시예 1에 따른 패널 및 상기 비교예 1에 따른 패널에 대해서도, FEM 해석에 의해, 면 강성을 평가하였다. 여기서, 상기 실시예 1에 따른 패널은, 각도 φ가 90도인 경우에 상당한다. 해석 조건은, 평가 1의 경우와 동일하게 하였다.
(해석 결과)
도 31 내지 도 34는, 해석 결과를 나타낸다. 도 31은, 하중을 부여한 범위가 20㎜ 각의 정사각형인 경우의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2는, 하중을 부여한 범위가 50㎜ 각의 정사각형인 경우의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3은, 하중을 부여한 범위가 100㎜ 각의 정사각형인 경우의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4는, 하중을 부여한 범위가 150㎜ 각의 정사각형인 경우의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1 내지 도 3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도 φ가 클수록, 면 강성이 향상되었다.
이상,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의 분야에 있어서의 통상의 지식을 갖는 사람이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각종 변경예 또는 수정예에 상도할 수 있는 것은 명백하며, 이들에 대해서도, 당연히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하는 것이라고 이해된다.
예를 들어, 패널은, 볼록부가 형성된 영역(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보강부)의 주위에 있어서, 패널을 다른 부재에 설치하기 위한 주연부를 구비하지 않아도 된다. 볼록부가 형성된 영역(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보강부)은, 평탄한 면에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곡면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능선이 형성되어 있는 부분에, 필렛 가공이 실시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상기의 실시 형태에서는, 복수의 볼록부가, 하중점 PL을 통과하는 소정 단면에 있어서,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는 형태를 예시하였다. 하중을 균등하게 받기 위해서는, 이들 실시 형태와 같이, 하중점 PL을 통과하는 소정 단면에 있어서, 복수의 볼록부가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패널에 요구되는 특성이 허용되는 범위에 있어서는, 볼록부의 간격은, 패널의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상이해도 된다. 또한, 설계 등의 사정에 의해, 부분적으로 볼록부가 설치되지 않아도 된다. 예를 들어, 패널에 요구되는 특성이 허용되는 범위에 있어서, 볼록부가 부분적으로 빠져 있어도 된다.
10: 패널
12: 보강부
14: 주연부
16: 볼록부
18, 26, 32, 38: 정상면
20, 28, 30, 34, 36, 40, 42: 측면
22: 제1 환상 볼록부
24: 제2 환상 볼록부
161: 제1 볼록부
162: 제2 볼록부
163: 제3 볼록부
181, 261, 262, 321, 322, 381, 382: 능선
L11, L12, L13, L14: 가상 직선
PL: 하중점

Claims (11)

  1. 다른 부재와 접합 또는 맞닿아지고, 상기 다른 부재를 통해서 외부로부터 하중이 부하되는 하중점과,
    패널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하중점의 주위에 연속 또는 비연속으로 형성된 볼록부를 구비하고,
    상기 하중점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모든 가상 직선의 각각이 상기 볼록부의 능선에 대하여 복수의 위치에서 45 내지 90°의 각도로 교차하는, 패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는 상기 하중점의 전체 주위를 둘러싸도록 상기 하중점의 주위에 연속 또는 비연속으로 형성되는, 패널.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중점을 복수 구비하고,
    상기 하중점에 부하되는 상정 하중에 따라서, 상기 볼록부의 밀도, 형성 범위 및 단면 형상 중 적어도 하나가 상이한, 패널.
  4. 제3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하중점의 주위에 각각 형성된 상기 볼록부가 교차하는 경계 부분에서는, 상기 볼록부의 측면이 곡면을 개재해서 연속하는, 패널.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의 능선은, 복수의 상기 가상 직선과 수직으로 교차하는, 패널.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가상 직선은, 상기 하중점과 상기 패널의 복수의 정점을 연결하는 직선인, 패널.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는, 상기 패널의 표면과 평행한 정상면을 포함하는, 패널.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는, 동심상으로 형성된 복수의 환상의 볼록부를 포함하고,
    상기 환상의 볼록부의 중심은, 상기 하중점과 일치하는, 패널.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는, 상기 하중점을 기점으로 하는 스파이럴 형상의 볼록부를 포함하는, 패널.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이, 강판으로 이루어지는, 패널.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이, 자동차의 플로어 패널인, 패널.
KR1020187011186A 2014-03-14 2015-03-13 패널 KR2018004340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052405 2014-03-14
JPJP-P-2014-052405 2014-03-14
PCT/JP2015/057467 WO2015137482A1 (ja) 2014-03-14 2015-03-13 パネル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4298A Division KR20160117576A (ko) 2014-03-14 2015-03-13 패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3409A true KR20180043409A (ko) 2018-04-27

Family

ID=5407191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1186A KR20180043409A (ko) 2014-03-14 2015-03-13 패널
KR1020167024298A KR20160117576A (ko) 2014-03-14 2015-03-13 패널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4298A KR20160117576A (ko) 2014-03-14 2015-03-13 패널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10272954B2 (ko)
JP (1) JP6319422B2 (ko)
KR (2) KR20180043409A (ko)
CN (1) CN106103250B (ko)
MX (1) MX2016009373A (ko)
WO (1) WO201513748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6008423A1 (de) * 2016-07-11 2018-01-1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Unterbau für ein Kraftfahrzeug
FR3084323B1 (fr) * 2018-07-24 2020-09-18 Psa Automobiles Sa Plancher topographique de vehicule automobile
JP7411522B2 (ja) * 2020-09-04 2024-01-1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体構造
IT202100006158A1 (it) 2021-03-16 2022-09-16 Easy House System Modulo di copertura per edifici resistente per forma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18633A (ja) 1992-01-30 1993-08-27 Ibiden Co Ltd プリント回路基板におけるピン立て方法およびそのためのピン立て用孔部を設けたプリント回路基板
US6793276B2 (en) * 2001-07-30 2004-09-21 Mazda Motor Corporation Automobile floor structure
CN100434624C (zh) 2002-04-30 2008-11-19 邱则有 一种钢筋砼用立体承力模壳
US7036860B1 (en) * 2004-10-29 2006-05-0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utomotive rear load floor
JP4283780B2 (ja) 2005-04-15 2009-06-2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体のフロア構造
JP2008279797A (ja) 2007-05-08 2008-11-20 Honda Motor Co Ltd 車体後部構造
JP4607142B2 (ja) 2007-03-30 2011-01-0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体後部構造
WO2008126432A1 (ja) 2007-03-30 2008-10-23 Honda Motor Co., Ltd. 車体後部構造
JP4302151B2 (ja) * 2007-04-20 2009-07-2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フロアパネル
JP4302152B2 (ja) 2007-04-20 2009-07-2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フロア構造
JP4402704B2 (ja) 2007-04-20 2010-01-2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フロアパネル
WO2008132909A1 (ja) * 2007-04-20 2008-11-06 Honda Motor Co., Ltd. 車両用フロア構造
JP2009286249A (ja) 2008-05-29 2009-12-10 Toyota Motor Corp 車体パネル構造及びフロアパネル
BR112012016859A2 (pt) 2010-01-13 2023-11-21 Nippon Steel Corp "painel"
CN102822040B (zh) 2010-03-26 2015-01-14 丰田自动车株式会社 车辆用机罩结构
EP2594347A4 (en) 2010-07-12 2014-01-08 Sumitomo Light Metal Ind UNPACKED PLATE AND VEHICLE PLATE AND LAMINATED STRUCTURE THEREWITH
JP5722640B2 (ja) 2011-01-17 2015-05-27 株式会社Uacj 凹凸部を有する板材並びにそれを用いた車両パネル及び積層構造体
JP5354225B2 (ja) 2012-01-05 2013-11-27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車両の後部車体構造
US9097492B2 (en) * 2012-05-31 2015-08-04 Foster-Miller, Inc. Blast/impact mitigation shield
JP6148134B2 (ja) * 2013-09-20 2017-06-1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体のフロアパネル構造
DE102016002634A1 (de) * 2016-03-03 2017-09-0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 d. Ges. d. Staates Delaware) Karosseriebauteil für ein Kraftfahrzeu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X2016009373A (es) 2016-09-16
US20160347376A1 (en) 2016-12-01
JPWO2015137482A1 (ja) 2017-04-06
KR20160117576A (ko) 2016-10-10
US20190202502A1 (en) 2019-07-04
JP6319422B2 (ja) 2018-05-09
WO2015137482A1 (ja) 2015-09-17
CN106103250A (zh) 2016-11-09
US10272954B2 (en) 2019-04-30
CN106103250B (zh) 2019-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43409A (ko) 패널
CN105939939A (zh) 能够叠放的合成材料容器
US9902260B2 (en) Fuel tank structure
JPWO2012107989A1 (ja) 自動車用ホイール
US9718581B2 (en) Pallet-like underframe for transport and storage containers for liquids
US20100025284A1 (en) Polygonal drawn container and a forming method thereof
JP2002097754A (ja) 屋根葺き構造並びに受金具及び屋根材
JP5412455B2 (ja) プレス成形品
JP5793009B2 (ja) 地下構造物用蓋と受枠との嵌合構造
JP4974241B2 (ja) ホイール積載盤
JP6475004B2 (ja) フロアパネル
JPWO2021157648A5 (ko)
JP3286484B2 (ja) 金属積層形シリンダヘッドガスケット
JP6415203B2 (ja) ボルト・ナットカバー
JP5674549B2 (ja) 車両用パネル
JP6106473B2 (ja) 電線の保護構造及び電線保護用シート
JP2014151949A (ja) 角形状缶
JP2017185958A (ja) 車両のフロア構造
US9931686B2 (en) Protective cover for vibrating compac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018177270A (ja) 緩衝プレート
JP5991302B2 (ja) サスペンションタワー
JP6538407B2 (ja) ペダルアーム
JP2011157032A (ja) 車両用内装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4133570A (ja) 角形状缶
JP2013086859A (ja) 折り曲げ式容器形成用ブランク及びこれを用いた折り曲げ式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