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2656A - Remote Control Method for Used of Smart Device - Google Patents

Remote Control Method for Used of Smart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2656A
KR20180042656A KR1020160135125A KR20160135125A KR20180042656A KR 20180042656 A KR20180042656 A KR 20180042656A KR 1020160135125 A KR1020160135125 A KR 1020160135125A KR 20160135125 A KR20160135125 A KR 20160135125A KR 20180042656 A KR20180042656 A KR 201800426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 device
authentication
providing terminal
information providing
ev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512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강정민
Original Assignee
(주)훌리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훌리악 filed Critical (주)훌리악
Priority to KR10201601351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42656A/en
Publication of KR201800426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265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04Q9/04Arrangements for synchronous ope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Provided is a customized event providing method in an event management server. The customized event providing method comprises the steps of: inputting event condition information to register an event; receiving an event entering message from a user terminal, and matching the same with the registered event to collect the same; performing an event lottery on the collected event entering message on the basis of the event condition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one of a winning result message and a discount coupon message to the user terminals which have transmitted the event entering message on the basis of an event lottery result. The event entering message is transmitted to an event management server through any one of an event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or a text message via a communications company system.

Description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원격 제어 방법 {Remote Control Method for Used of Smart Device}[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mote control method using a smart device,

본 발명은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원격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자세하게는 키오스크 또는 디지털 사이니지 디스플레이 등의 정보 제공 단말기의 조작 구조를 개선하여 사용자가 휴대하고 있는 스마트 기기로 무선 연결되어 스마트 기기 터치스크린 상의 문자, 마우스, 커서에 대한 원격 입출력 제어가 가능한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원격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mote control method using a smart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operation structure of an information providing terminal, such as a kiosk or a digital signage display, so as to wirelessly connect to a smart device carried by the user, And a remote control method using a smart device capable of remote input / output control for a mouse, a cursor, and the like.

최근에는 정부기관이나 지방자치단체, 등의 공공장소, 은행, 백화점, 전시장 등의 각종 상업공간, 지하철역, 버스 정류장, 버스 터미널 등의 각종 교통 시설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각종 컨텐츠와 화상 정보를 사용자에게 공간 및 시설에 대한 각종 정보와 광고를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의 직접 조작에 의해 각종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제공 단말기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Recently, various kinds of transportation facilities such as public institutions such as government agencies and local governments, various commercial spaces such as banks, department stores, exhibition halls, subway stations, bus stops, and bus terminals are wirelessly connected to provide various contents and image information to users An information providing terminal capable of providing various information and advertisement about a space and a facility and providing various information by a direct operation of a user has been developed and used.

이런, 정보 제공 단말기는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즉각적으로 찾아볼 수 있고, 각종 시설이나 공간에 대해서 다양한 정보와 광고에 대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것으로, 사용자의 편의 사항을 향상시키면서 광고효과를 누릴 수 있어 설치 위치와 장소가 증대되고 있다. The information providing terminal can instantly browse the information desired by the user and can provide various information and contents about the various facilities and the space and can enjoy the advertisement effect while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the user And installation location and place are increasing.

상술된 정보 제공 단말기에는 예를 들어, 다양한 정보와 광고를 제공하는 장치들은 광고와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지털 사이니지와 입력된 신호에 따라 각종 정보를 제공하는 키오스크 등이 사용된다. For example, in the above-mentioned information providing terminal, devices providing various information and advertisements use a digital signage for displaying advertisements and information, and a kiosk for providing various information according to inputted signals.

디지털 사이니지(Digital Signage)는 공공장소 및 상업 공간에 네트워크로 제어가 가능한 디지털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다양한 정보 및 광고 등을 전달하는 디지털 미디어를 말한다. 신호 체계를 의미하는 사이니지(Signage)에 디지털(Digital)이 접목된 용어로, 네트워크에 연결된 시각적 매체를 이용하여 정보를 전달하는 것을 의미한다.Digital signage refers to digital media that delivers a variety of information and advertisements through a network-controlled digital display in public and commercial spaces. Signage refers to signaling. Signing refers to the transfer of information using a visual medium connected to the network.

또한, 키오스크(KIOSK)는 정부기관이나 지방자치단체, 은행, 백화점, 전시장 등 공공장소에 설치된 무인 정보단말기로 동적 교통정보 및 대중교통정보, 경로 안내, 요금 카드 배포, 예약 업무, 각종 전화번호 및 주소 안내 정보제공, 행정절차나 상품정보, 시설물의 이용방법 등을 제공한다. 이런 키오스크는 입력 장치, 사운드. 그래픽. 통신카드 등 멀티미디어 기기를 활용하여 음성서비스, 동영상 구현 등 이용자에게 효율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무인 종합정보안내시스템이다.In addition, kiosk (KIOSK) is an unmanned information terminal installed in a public place such as a government agency, a local government, a bank, a department store, and an exhibition hall. It can provide dynamic traffic information and public transportation information, route guidance, Address information, administrative procedures, product information, and how to use the facilities. These kiosks are the input device, the sound. graphic. It is an unmanned comprehensive information guidance system that provides efficient information to users such as voice service and video implementation by utilizing multimedia devices such as communication cards.

이런, 정보 제공 단말기는 입력 신호에 따라서 다양한 형태의 정보를 제공함에 따라 기존에는 통상적인 입력 장치인 키보드와 마우스를 이용하여 조작을 실시하였으나, 조작이 어렵고, 파손 및 손실이 많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Since the information providing terminal provides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in accordance with the input signal, the conventional operation is performed using a keyboard and a mouse, which are conventional input devices, but the operation is difficult, and breakage and loss are generated .

이에 최근에는 터치 스크린 기술을 이용하여 정보 제공 단말기를 터치 스크린 형태로 제작하여 사용자가 터치에 의해 조작이 가능하여 조작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조작에 따라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을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어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Recently, a touch screen technology has been used to produce an information providing terminal in the form of a touch screen so that the user can operate the touch screen to improve the convenience of the operation and intuitively confirm the process of providing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It is widely used because it can improve convenience.

그러나, 이런 종래 기술의 터치식 정보 제공 단말기는 정보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가 외부 조작 신호를 터치로 인해 입력하는 입력 기능을 동시에 수행함에 따라 기존의 비터치식 정보 제공 단말기를 사용하지 못하고 교체하여야 함으로써, 교체에 따른 비용이 증대된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touch-based information providing terminal, since the display unit displaying information simultaneously performs an input function of inputting an external operation signal by touching, the existing non-touch information providing terminal must be used and replaced, The cost of replacement is increased.

또한, 종래 기술의 터치식 정보 제공 단말기에 경우에는 스크린에 터치에 의해 작동되는 소자들이 표면에 설치되어 외부 충격의 발생되거나, 먼지 등의 이물질이 유입하게 되어 고장이나 파손이 발생하게 되면 조작하는 입력 장치 자체가 작동하지 않음에 따라 수리 후에나 사용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touch-based information providing terminal, when elements that are operated by a touch on the screen are installed on the surface and an external shock is generated or foreign matter such as dust enter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device itself can not be operated and thus can be used after repair.

그리고, 종래 기술의 터치식 정보 제공 단말기는 정보를 제공하는 스크린 자체가 터치가 가능한 소자가 설치되어야 함에 따라 대형화됨에 따라 비용이 급격하게 증대함에 따라 제조 비용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touch-based information providing terminal has a problem that the manufacturing cost is increased because the screen itself providing information is enlarged due to installation of a touchable element, and the cost is increased sharply.

이에, 사용자들이 휴대하고 다니는 무선 통신이 가능한 휴대폰, 태블릿 등의 스마트 기기를 이용하여 정보 제공 단말기를 원격으로 조절함으로써, 터치 방식에서 탈피하여 제작 비용을 줄이면서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기술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Accordingly, there is an increasing need for a technology to improve ease of use while reducing manufacturing costs by moving away from the touch method by remotely controlling an information providing terminal using a smart device such as a mobile phone or tablet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carried by users .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키오스크 또는 디지털 사이니지 디스플레이 등의 정보 제공 단말기와 사용자가 휴대하고 있는 스마트 기기와 무선통신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스마트 기기에 실행되는 원격 제어 방법을 조작하여 정보 제공 단말기를 원격으로 조작할 수 있어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원격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nformation providing terminal such as a kiosk or a digital signage display and a remote control method executed on a smart device in a state of being connected to a smart device carried by the user via wireless communication And provides a remote control method using a smart device that can operate the information providing terminal remotely, thereby improving usability.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원격 제어 방법은 중앙 게이트 웨이 시스템과 무선으로 연결되어 제어 신호에 따라 전송받은 영상, 문자, 또는 이미지를 화면 상에서 디스플레이하여 정보를 표시하는 정보 제공 단말기의 제어 정보를 입력하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제공 단말기와 사용자가 휴대하고 있는 스마트 기기를 무선으로 연결하기 위해 인증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정보 제공 단말기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있는 상기 중앙 게이트 웨이 시스템에서 요청된 인증에 대해서 승인하면 인증을 요청한 상기 정보 제공 단말기와 상기 스마트 기기를 소켓 통신으로 연결하여 인증을 완료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 기기의 인증 후에 상기 정보 제공 단말기와의 소켓 통신을 통해서 상기 스마트 기기와 연결되면 상기 정보 제공 단말기를 제어하기 위해서 입력되는 키보드 형태의 터치에 의해 제어가 실시되는 원격 키보드를 화면에 구현하는 단계; 및 상기 스마트 기기에 구현된 상기 원격 키보드를 사용자가 터치 조작하여 발생된 조작 신호에 따라서 선택된 정보를 상기 정보 제공 단말기의 영상, 문자, 또는 이미지를 화면 상에서 디스플레이하여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remote control method using a smart device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displaying a video, text, or image transmitted on a screen in a wireless connection with a central gateway system, A method of inputting control information of an information providing terminal to display, the method comprising: requesting authentication to wirelessly connect a smart device carried by a user with the information providing terminal; And completing the authentication by connecting the information providing terminal, which has requested authentication, with the smart device through a socket communication when the central gateway system connected to the information providing terminal wirelessly approves the requested authentication; When the smart device is connected to the smart device through socket communication with the information providing terminal after authentication of the smart device, implementing a remote keyboard on the screen, the control being performed by a keyboard type touch input for controlling the information providing terminal ; And displaying information, selected on the basis of an operation signal generated by a user's touch operation of the remote keyboard implemented in the smart device, on the screen of the information providing terminal with information, .

또한, 상기 인증을 요청하는 단계에서, 상기 스마트 기기에서 시간에 따라 변경되는 QR코드의 인식을 통해서 인증을 요청하고, 요청된 인증 신호와 발송된 QR코드를 대비하여 인증을 실시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step of requesting authentication, the smart device may request authentication through recognition of a QR code changed in accordance with time, and perform authentication by comparing the requested authentication signal and the transmitted QR code.

그리고, 상기 인증을 요청하는 단계에서, 상기 스마트 기기에서 근거리 무선 통신(NFC) 태그의 인식을 통해서 인증을 요청하고, 요청된 인증 신호와 발송된 근거리 무선 통신(NFC) 태그를 대비하여 인증을 실시할 수 있다.In the step of requesting the authentication, the smart device requests authentication through recognition of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NFC) tag, and performs authentication by comparing the requested authentication signal with the transmitted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NFC) tag. can do.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된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bove and o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FIG.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owner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하나에 의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원격 제어 방법은 키오스크 또는 디지털 사이니지 디스플레이 등의 정보 제공 단말기와 사용자가 휴대하고 있는 스마트 기기와 무선통신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스마트 기기에 실행되는 원격 제어 방법을 조작하여 정보 제공 단말기를 원격으로 조작할 수 있어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emote control method using a smar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formation providing terminal such as a kiosk or a digital signage display, a smart device carried by a user, It is possible to remotely operate the information providing terminal by operating the remote control method executed in the smart device in a connected state, thereby providing an effect of improving the usability.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원격 제어 방법은 정보 제공 단말기에 무선 연결되는 스마트 기기의 터치 스크린을 이용하여 터치에 의해 조작을 실시함에 따라 터치 스크린이 설치되지 않은 정보 제공 단말기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어 제작 비용을 절감하고,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In addition, a remote control method using a smar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mart device that is wirelessly connected to an information providing terminal and is operated by a touch using a touch screen of the smart device, So that it is possible to reduce manufacturing cost and improve usability.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원격 제어 방법은 정보 제공 단말기의 무선으로 연결되는 스마트 기기를 인증을 통해서 선택적으로 제한함에 따라 해킹이나 내부 정보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보안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remote control method using the smart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lectively restricts the smart device connected to the wireless terminal of the information providing terminal through authentication, thereby preventing hacking or leakage of internal information, Can be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원격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공정도이다.1 is a process diagram illustrating a remote control method using a smar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certain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similarities.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embodiments,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addition, numerals (e.g., first, second, etc.) used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merely an identifier for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Also, in this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the elem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unless an opposite description is present, it may be connected or connected via another element in the middle.

본 명세서에서, 스마트 기기는 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하는 장치로서, 예를 들어,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PC,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태블릿 장치(tablet device),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일 수 있다.In this specification, a smart device is a device having a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for example,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PC, a laptop computer, a tablet device,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and the like.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원격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공정도이다.1 is a process diagram illustrating a remote control method using a smar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원격 제어 방법은 공공 장소, 상업공간, 및 교통 시설에 설치되어 각 시설과 공간 별로 이와 관련된 정보를 영상, 문자, 및 이미지 형태로 디스플레이하면서 제공하는 정보 제공 단말기를 사용자가 휴대하고 있는 스마트 기기를 통해서 원격으로 제어하는 방법이다.Referring to FIG. 1, a remote control method using a smar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public place, a commercial space, and a traffic facility, And remotely controls the provided information providing terminal through the smart device carried by the user.

즉, 정보 제공 단말기는 중앙 게이트 웨이 시스템과 데이터가 상호 송 수신 되도록 연결되어 설치되는 장소 별로 적합한 정보를 무인으로 제공하기 위해서 복수 위치에 설치되는 것으로, 사용자의 스마트 기기로 원격으로 연결되어 제어 신호를 발생하여 송신함에 따라 여타의 터치 기술을 이용하 입력 장치가 없어도 제어가 가능하다.That is, the information providing terminal is installed at a plurality of locations to provide unattended information suitable for each place where the central gateway system and data are connected to be transmitted and received, and is remotely connected to the user's smart device, So that it can be controlled even if there is no input device using other touch technology.

다시 말해서,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원격 제어 방법은 중앙 게이트 웨이 시스템과 무선으로 연결되어 제어 신호에 따라 전송받은 영상, 문자, 또는 이미지를 화면 상에서 디스플레이하여 정보를 표시하는 정보 제공 단말기의 제어 정보를 입력하여 방법이다.In other words, the remote control method using the smart device is connected to the central gateway system wirelessly, and inputs control information of the information providing terminal which displays the received image, text, or image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and displays the information on the screen Method.

이런,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원격 제어 방법은 스마트 기기의 인증 요청하는 인증 요청 단계(S10), 인증 완료 단계(S20), 원격 키보드 구현 단계(S30), 및 정보 표시 단계(S40)를 포함한다.The remote control method using the smart device includes an authentication request step S10 for requesting authentication of the smart device, an authentication completion step S20, a remote keyboard implementation step S30, and an information display step S40.

인증 요청 단계(S10)는 정보 제공 단말기와 사용자가 휴대하고 있는 스마트 기기를 무선으로 연결하기 위해 인증을 요청하는 단계이다.The authentication requesting step S10 is a step of requesting authentication to wirelessly connect the information providing terminal and the smart device carried by the user.

즉, 사용자가 정보 제공 단말기를 이용하기 위해서 사용자가 휴대하고 있는 스마트 기기를 조작하여 정보 제공 단말기의 사용할 권한을 인증하는 신호를 정보 제공 단말기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있는 중앙 게이트 웨이 시스템에서 요청한다.That is, in order to use the information providing terminal, the user operates the smart device carried by the user and requests a signal from the central gateway system connected wirelessly with the information providing terminal to authenticate the authority to use the information providing terminal.

이런, 인증 요청 단계(S10)에서 인증을 요청하는 하나의 실시예로써, 스마트 기기에서 시간에 따라 변경되는 QR코드의 인식을 통해서 인증을 요청하고, 요청된 인증 신호와 발송된 QR코드를 대비하여 인증을 실시할 수 있다.As one embodiment for requesting authentication in the authentication request step S10, the smart device requests authentication through recognition of a QR code changed with time, compares the requested authentication signal with the transmitted QR code Authentication can be performed.

또한, 인증 요청 단계(S10)에서 인증을 요청하는 다른 실시예로써, 스마트 기기에서 근거리 무선 통신(NFC) 태그의 인식을 통해서 인증을 요청하고, 요청된 인증 신호와 발송된 근거리 무선 통신(NFC) 태그를 대비하여 인증을 실시할 수 있다.As another embodiment of requesting authentication in the authentication request step S10, the smart device requests authentication through recognition of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NFC) tag, and transmits the requested authentication signal and the transmitted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NFC) You can authenticate against a tag.

인증 완료 단계(S20)는 정보 제공 단말기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있는 중앙 게이트 웨이 시스템에서 요청된 인증에 대해서 승인하면 인증을 요청한 정보 제공 단말기와 상기 스마트 기기를 소켓 통신으로 연결하여 인증을 완료하는 단계이다.The authentication completion step (S20) is a step of completing the authentication by connecting the information providing terminal, which has requested authentication, with the smart device through socket communication when the centralized gateway system wirelessly connected with the information providing terminal approves the requested authentication .

즉, 사용자가 사용할 정보 제공 단말기에 사용할 권한을 얻을 수 있는 인증을 요청하면 요청된 인증 신호가 정보 제공 단말기로 연결된 중앙 게이트 웨이 시스템에 전송되어 인증 승인 여부를 판단하고, 인증이 승인되면 정보 제공 단말기와 스마트 기기를 소켓 통신으로 연결하여 스마트 기기를 조작하여 정보 제공 단말기를 제어할 수 있다.In other words, when the user requests authentication to obtain the right to use for the information providing terminal to be used by the user, the requested authentication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central gateway system connected to the information providing terminal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authentication is approved. And the smart device can be connected to the socket communication so that the information providing terminal can be controlled by operating the smart device.

원격 키보드 구현 단계(S30)는 스마트 기기의 인증 후에 정보 제공 단말기와의 소켓 통신을 통해서 스마트 기기와 연결되면 정보 제공 단말기를 제어하기 위해서 입력되는 키보드 형태의 터치에 의해 제어가 실시되는 원격 키보드를 화면에 구현하는 단계이다.In the remote keyboard implementation step S30, when a smart device is connected to the smart device through socket communication with the information providing terminal after authentication of the smart device, a remote keyboard, which is controlled by a keyboard type touch input for controlling the information providing terminal, .

즉, 정보 제공 단말기와 스마트 기기가 소켓 통신으로 연결되면 스마트 기기에 정보 제공 단말기의 제어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서 입력 되는 원격 키보드가 실행된다. 이런, 원격 키보드는 정보 제공 단말기를 제어하도록 스마트 기기의 터치스크린 상의 문자, 마우스, 커서에 대한 원격 입출력 제어가 가능하도록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실행된다.That is, when the information providing terminal and the smart device are connected by socket communication, the remote keyboard that is input to generate the control signal of the information providing terminal is executed in the smart device. The remote keyboard is implemented as an application so that remote input / output control of characters, a mouse, and a cursor on the touch screen of the smart device can be controlled to control the information providing terminal.

정보 표시 단계(S40)는 스마트 기기에 구현된 원격 키보드를 사용자가 터치 조작하여 발생된 조작 신호에 따라서 선택된 정보를 상기 정보 제공 단말기의 영상, 문자, 또는 이미지를 화면 상에서 디스플레이하여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이다.The information display step S40 is a step of displaying information selected on the basis of an operation signal generated by a user touching a remote keyboard implemented in the smart device on the screen of the information providing terminal, to be.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The foregoing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illustrate rather than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3)

중앙 게이트 웨이 시스템과 무선으로 연결되어 제어 신호에 따라 전송받은 영상, 문자, 또는 이미지를 화면 상에서 디스플레이하여 정보를 표시하는 정보 제공 단말기의 제어 정보를 입력하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제공 단말기와 사용자가 휴대하고 있는 스마트 기기를 무선으로 연결하기 위해 인증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정보 제공 단말기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있는 상기 중앙 게이트 웨이 시스템에서 요청된 인증에 대해서 승인하면 인증을 요청한 상기 정보 제공 단말기와 상기 스마트 기기를 소켓 통신으로 연결하여 인증을 완료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 기기의 인증 후에 상기 정보 제공 단말기와의 소켓 통신을 통해서 상기 스마트 기기와 연결되면 상기 정보 제공 단말기를 제어하기 위해서 입력되는 키보드 형태의 터치에 의해 제어가 실시되는 원격 키보드를 화면에 구현하는 단계; 및
상기 스마트 기기에 구현된 상기 원격 키보드를 사용자가 터치 조작하여 발생된 조작 신호에 따라서 선택된 정보를 상기 정보 제공 단말기의 영상, 문자, 또는 이미지를 화면 상에서 디스플레이하여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원격 제어 방법.
A method of inputting control information of an information providing terminal, which is wirelessly connected to a central gateway system and displays information on a screen by displaying images, characters, or images transmitted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Requesting authentication to wirelessly connect the information providing terminal and the smart device carried by the user;
And completing the authentication by connecting the information providing terminal, which has requested authentication, with the smart device through a socket communication when the central gateway system connected to the information providing terminal wirelessly approves the requested authentication;
When the smart device is connected to the smart device through socket communication with the information providing terminal after authentication of the smart device, implementing a remote keyboard on the screen, the control being performed by a keyboard type touch input for controlling the information providing terminal ; And
And displaying information, selected on the basis of the operation signal generated by a user's touch operation on the remote keyboard implemented on the smart device, on the screen of the information providing terminal, and displaying the information on the screen
Remote control method using smart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을 요청하는 단계에서,
상기 스마트 기기에서 시간에 따라 변경되는 QR코드의 인식을 통해서 인증을 요청하고, 요청된 인증 신호와 발송된 QR코드를 대비하여 인증을 실시하는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원격 제어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requesting the authentication,
The smart device requests authentication through recognition of a QR code that changes according to time and performs authentication by comparing the requested authentication signal with the transmitted QR code
Remote control method using smart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을 요청하는 단계에서,
상기 스마트 기기에서 근거리 무선 통신(NFC) 태그의 인식을 통해서 인증을 요청하고, 요청된 인증 신호와 발송된 근거리 무선 통신(NFC) 태그를 대비하여 인증을 실시하는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원격 제어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requesting the authentication,
The smart device requests authentication through recognition of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NFC) tag, and performs authentication by comparing the requested authentication signal with a sent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NFC) tag
Remote control method using smart device.
KR1020160135125A 2016-10-18 2016-10-18 Remote Control Method for Used of Smart Device KR2018004265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5125A KR20180042656A (en) 2016-10-18 2016-10-18 Remote Control Method for Used of Smart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5125A KR20180042656A (en) 2016-10-18 2016-10-18 Remote Control Method for Used of Smart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2656A true KR20180042656A (en) 2018-04-26

Family

ID=620824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5125A KR20180042656A (en) 2016-10-18 2016-10-18 Remote Control Method for Used of Smart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42656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52961A1 (en) * 2020-06-11 2021-12-16 Darren David Remote controlled information display system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52961A1 (en) * 2020-06-11 2021-12-16 Darren David Remote controlled information display system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44394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information
KR102146388B1 (en) Methods, devices, systems and storage media for controlling intelligent equipment
JP5876190B2 (en) Technology for reliable communication by location applications and location providers
CN100368959C (en) Using No.2 computer system as input interface for No.1 computer system
WO2013191494A1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and data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using same
CN106415501A (en) Companion application for activity cooperation
CN106462454A (en) Activity continuation between electronic devices
BRPI1013570B1 (en) METHOD AND APPARATUS TO PROVIDE INTERACTION BETWEEN USERS VIA TRANSPONDERS
CN102194179A (en) System and method for issuing advertisement information
CN105608573A (en) Intelligent card information query method and apparatus thereof
CN102708329B (en) Data safet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CN102902451A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program, and coordination processing method
WO2012030162A2 (en) Card payment method, card payment system, and mobile terminal thereof
JP2010181988A (en) User registration system, reader/writer, server, user registration method, and program
KR20180042656A (en) Remote Control Method for Used of Smart Device
JPH11288402A (en) Internet terminal system
KR101958922B1 (en) System for searching member store of counseling service based on text, method thereof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having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on
KR102580848B1 (en) User equipment, service providing device, POS terminal, payment system comprising the same, control method thereof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having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for
KR20150055577A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in communication system
CN104335193B (en) Data transmission architecture
JP6293698B2 (en) Electronic coupon providing system, electronic coupon providing method, computer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recording computer program
TWI486005B (en) Data tranfer architecture
JP4839491B2 (en) Information transmission system
KR101569373B1 (en) Management system for allocation of cars using tag and management method for allocation of cars therefor
KR101644578B1 (en) Total service providing apparatus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