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8851A - 복수의 블레이드 세트가 하나로 연결된 미용가위 - Google Patents

복수의 블레이드 세트가 하나로 연결된 미용가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8851A
KR20180038851A KR1020160130006A KR20160130006A KR20180038851A KR 20180038851 A KR20180038851 A KR 20180038851A KR 1020160130006 A KR1020160130006 A KR 1020160130006A KR 20160130006 A KR20160130006 A KR 20160130006A KR 20180038851 A KR20180038851 A KR 201800388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blades
twenty
grip
trai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00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97675B1 (ko
Inventor
류석규
Original Assignee
류석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석규 filed Critical 류석규
Priority to KR10201601300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7675B1/ko
Publication of KR201800388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88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76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76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3/00Hand shears; Scissors
    • B26B13/06Hand shears; Sciss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blades
    • B26B13/08Hand shears; Sciss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blades with cutting edges wavy or toothed in the plane of the bla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3/00Hand shears; Scissors
    • B26B13/22Hand shears; Scissors combined with auxiliary implements, e.g. with cigar cutter, with manicure instrument
    • B26B13/24Hand shears; Scissors combined with auxiliary implements, e.g. with cigar cutter, with manicure instrument to aid hair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3/00Hand shears; Scissors
    • B26B13/28Joi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cissors And Nip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힌지축을 형성해 티닝날과 컷팅날로 이루어지는 블레이드 세트를 복수 개 구비하여 서로 엇물리게 형성하되, 상기 연동수단을 포함하여 상기 블레이드 세트를 연동하는 제1 그립 및 제2 그립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제1 그립과 연결되는 제11, 제12 블레이드와 상기 제2 그립과 연결되는 제21, 제22 블레이드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 그립에 연결되는 두 개의 날 중 하나는 티닝날로, 하나는 절삭날로 형성되고, 상기 제2 그립에 연결되는 두 개의 날 중 하나는 티닝날로, 하나는 절삭날로 형성되되, 상기 티닝날은 상기 제1 그립과 상기 제2 그립에 각각 하나씩 배치되어 티닝날이 엇갈린 형태로 배치된 미용가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복수의 블레이드 세트가 하나로 연결된 미용가위{A connected Haircutting scissors}
본 발명은 미용가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헤어스타일 시술을 위하여 서로 다른 다듬기, 숱치기 또는 층내기를 한 번의 가위질로 얻을 수 있도록 복수의 블레이드 세트를 하나로 연결하여 사용하는 미용가위에 관한 것이다.
다양하고, 보다 편리한 헤어스타일 시술을 위하여 개량된 미용가위가 제안되고, 그 중 일부는 현장에서 각광받으며 사용되고 있다.
대표적인 이미용 가위의 종류로는 단순히 머리카락을 자르기 위한 절단가위와, 머리카락을 부분적으로 잘라 솎아내어 숱 양을 줄이는 용도로 사용되는 숱가위가 있으며, 또 서로 다른 두발의 다듬기, 숱치기, 층내기를 한 번의 가위질로 얻어지도록 둘 이상의 블레이드 세트를 하나의 손잡이에 연결한 다중날 가위가 있다.
그러나, 종래에 미용가위에 손잡이를 기준으로 볼 때에 특히 블레이드 부분의 하중이 균형 있게 손잡이에 분산되지 않고, 두발의 숱치기, 층내기가 가능한 빗살모양의 홈이 형성된 블레이드가 한쪽으로 치우쳐 동일한 방향으로만 잘리게 됨에 따라 모발이 한쪽으로만 휘어져 뻗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457026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두 개의 블레이드 세트로 형성된 다중날 가위를 이용하되, 상기 두 개의 블레이드 세트가 갖는 블레이드의 형태는 빗살모양의 홈이 형성된 티닝날과 빗살형태가 형성되지 않은 절삭날로 형성되며, 상기 티닝날이 양쪽 최외곽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티닝날과 대응되는 절삭날은 안쪽에 형성되거나, 상기 티닝날이 안쪽에 형성되고, 상기 티닝날과 대응되는 절삭날을 양쪽 최외곽에 각각 형성시킴으로써 상기 두 개의 블레이드 세트를 하나로 회동 가능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블레이드 세트 간의 사이를 이격시키고 연동을 위해 힌지축을 통해 연동 가능하게 하며, 상기 이격된 거리를 연결하는 연동수단을 각각 두어 연동성을 향상시키고, 정밀한 블레이드의 엇물림을 가능하게 하며, 상기 빗살모양의 홈이 형성된 티닝날을 엇갈리게 배치시킴에 따라 모발의 배열형태를 일률적으로 커팅하지 않고 자연스럽게 다듬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서로 다른 형태를 갖는 블레이드가 엇물리게 형성되어 쌍을 이루며, 복수 개로 구비된 블레이드 세트가 연결되는 미용 가위에 있어서, 상기 미용 가위는 상기 복수 개의 블레이드 세트를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힌지축과 상기 블레이드 세트를 연동하는 연동수단 및 상기 연동수단을 포함하여 상기 블레이드 세트를 연동하는 제1 및 제2 그립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제1 그립과 연결되는 제11, 제12 블레이드와 상기 제2 그립과 연결되는 제21, 제22 블레이드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 그립에 연결되는 두 개의 날 중 하나는 티닝날로, 하나는 절삭날로 형성되고, 상기 제2 그립에 연결되는 두 개의 날 중 하나는 티닝날로, 하나는 절삭날로 형성되되, 상기 티닝날은 상기 제1 그립과 상기 제2 그립에 각각 하나씩 배치되어 티닝날이 엇갈린 형태로 배치된다.
블레이드가 배치된 순서는 제11 블레이드, 제21 블레이드, 제12 블레이드, 제22블레이드가 차례로 배치됨에 따라, 상기 제11 블레이드와 상기 제22 블레이드가 최외곽에 배치되고, 상기 제21 블레이드와 상기 제12 블레이드가 안쪽에 배치되며, 상기 제11 블레이드와 제21 블레이드는 제1 블레이드 세트이고, 상기 제12 블레이드와 제22 블레이드는 제2 블레이드 세트로 이루어진 상태에서, 상기 제11 블레이드와 상기 제22 블레이드에는 티닝날이 배치되고, 상기 제21 블레이드와 상기 제12 블레이드에는 절삭날이 배치되는 A형태와, 상기 제11 블레이드와 상기 제22 블레이드에는 절삭날이 배치되고, 상기 제21 블레이드와 상기 제12 블레이드에는 티닝날이 배치되는 B형태 중 하나의 형태로 형성되어 티닝날이 서로 엇갈린 형태로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1 블레이드 세트와 제2 블레이드 세트는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형성된다.
더불어, 상기 블레이드에 형성되는 티닝날은, 서로 소정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티닝날 단부의 커팅부는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경사지게 형성된 티닝날의 경사방향은, 상기 미용가위의 힌지축에 가까운 방향을 안쪽이라 하고, 먼 방향을 바깥쪽으로 할 때, 상기 제1 블레이드 세트에 형성된 티닝날 커팅부의 경사방향은 안쪽 끝 부분이 상기 절삭날에 먼저 닿는 형태로 형성되어,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2 블레이드 세트에 형성된 티닝날 커팅부의 경사방향은 바깥쪽 끝 부분이 상기 절삭날에 먼저 닿는 형태로 형성되어,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되어 모발을 컷팅한다.
여기서 상기 제2 블레이드 세트에 형성된 티닝날 커팅부의 경사방향은 상기 제1 블레이드 세트에 형성된 티닝날의 경사방향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때, 상기 티닝날의 커팅부는 복수 개의 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블레이드 세트와 제2 블레이드 세트 사이의 이격거리와, 상기 티닝날 사이의 폭, 상기 티닝날의 커팅부의 각도 중 하나 이상을 조절하여 형성시킴에 따라 머리카락의 컷팅형태를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블레이드 세트가 하나로 연결된 미용가위는 두 개의 블레이드 세트를 하나로 결합시킴으로써, 시술자가 느끼는 하중이 하나의 가위를 사용하는 것과 차이가 없도록 하는 구조를 제공하고, 블레이드 세트 간의 연동성을 향상시키며, 정밀한 블레이드의 엇물림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상기 미용가위에 티닝날이 형성된 두 개의 블레이드가 적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고, 상기 미용가위의 아래쪽과 위쪽에 각각 엇갈리게 형성하며, 상기 티닝날의 커팅날의 방향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형성됨으로써, 모발이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고, 이격되어 다양한 형태로 컷팅됨에 따라 상기 모발의 형태가 일률적이지 않고 자연스러운 형태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종래의 미용가위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용가위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A형태로 형성된 미용가위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B형태로 형성된 미용가위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용가위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용가위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용가위의 제1 블레이드세트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용가위의 제2 블레이드세트의 단면도이다.
도 9는 종래의 미용가위를 사용해 모발을 자른 모발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용가위를 사용해 모발을 자른 모발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용가위가 형성될 수 있는 형태의 유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아울러,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고안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블레이드 세트가 하나로 연결된 미용가위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블레이드'와 '날'(절삭날, 티닝날)은 편의상 혼용하여 사용한다.
도 1은 종래의 미용가위의 사시도이다.
상기 종래의 미용가위는 빗살모양의 티닝날이 형성된 블레이드가 한쪽으로만 형성되어, 상기 미용가위를 사용하여 모발을 자르는 경우, 일 방향으로만 치우쳐 랜덤으로 짤리지 않고 동일한 방향으로만 잘리게 됨에 따라 모발이 한쪽으로만 휘어져 뻗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용가위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A형태로 형성된 미용가위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B형태로 형성된 미용가위의 사시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용가위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용가위가 벌어져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2 내지 도 6를 참조하면, 상기 미용 가위(100)는 상기 복수 개의 블레이드 세트를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힌지축(110), 상기 블레이드 세트(S1, S2)를 연동하는 연동수단(120), 상기 연동수단(120)을 포함하여 상기 블레이드 세트를 연동하는 제1 그립(130)과 제 2 그립(140)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제1 그립(130)과 연결되어 연동하는 제11(131), 제12 블레이드(132)와 상기 제2 그립(140)과 연결되어 연동하는 제21(141), 제22 블레이드(142)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 그립(130)에 연결되는 두 개의 날 중 하나는 티닝날로, 하나는 절삭날로 형성되고, 상기 제2 그립(140)에 연결되는 두 개의 날 중 하나는 티닝날로, 하나는 절삭날로 형성되되, 상기 티닝날은 상기 제1 그립(130)과 상기 제2 그립(140)에 각각 하나씩 배치되어 티닝날이 엇갈린 형태로 배치된다.
블레이드가 배치된 순서는 제11 블레이드(131), 제21블레이드(141), 제12 블레이드(132), 제22블레이드(142)가 차례로 배치됨에 따라, 상기 제11 블레이드(131)와 상기 제22 블레이드(142)가 최외곽에 배치되고, 상기 제21 블레이드(142)와 상기 제12 블레이드(132)가 안쪽에 배치되며, 상기 제11 블레이드(131)와 제21 블레이드(141)는 제1 블레이드 세트(S1)이고, 상기 제12 블레이드(132)와 제22 블레이드(142)는 제2 블레이드 세트(S2)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11 블레이드(131)와 상기 제22 블레이드(142)에는 티닝날이 배치되고, 상기 제21 블레이드(141)와 상기 제12 블레이드(132)에는 절삭날이 배치되는 A형태(A)와, 상기 제11 블레이드(131)와 상기 제22 블레이드(142)에는 절삭날이 배치되고, 상기 제21 블레이드(141)와 상기 제12 블레이드(132)에는 티닝날이 배치되는 B형태(B) 중 하나의 형태로 형성되어 티닝날이 서로 엇갈린 형태로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미용가위는 A와, B형태 중 하나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 3은 A형태의 미용가위가 도시되어있고, 도 4에는 B형태의 미용가위가 도시되어있다.
상기 도 5에서는 A형태의 형상을 갖는 미용가위에서, 상기 제11 블레이드(131)와 제21 블레이드(141)는 티닝날과 절삭날의 형태를 각각 갖는 제1 블레이드 세트(S1)이고, 상기 도 6에서는 제12 블레이드(132)와 제22블레이드(142)는 서로 다른 형태를 갖는 제2 블레이드 세트(S2)가 힌지축을 중심으로 결합되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1 블레이드 세트(S1) 및 제2 블레이드 세트(S2)를 이루는 블레이드의 형태는 일 실시예에 해당하고 만드는 사람에 따라 절삭날과 티닝날의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레이드 세트는 날과 날이 힌지축(110)을 중심으로 엇물리면서 절단 동작을 수행하는데, 도시된 형태는 두발의 숱치기 및 층내기와 다듬기를 가능하게 하는 티닝날 2개가 힌지축에 결합된 형태이다.
더불어, 상기 미용가위를 연동하는 제1 그립(130)의 제11 블레이드(131)와 제12 블레이드는 연동수단(120a)에 의해 연동되고, 제2 그립의 제21 블레이드(141)와 제22 블레이드(142)는 연동수단(120b)에 의해 연동된다.
이때, 상기 블레이드 세트를 이루는 블레이드(131,132,141,142)의 절삭날과 티닝날의 형태 및 크기는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미용가위는 상기 제1 그립(130) 및 제2 그립(140)과 연결된 상기 블레이드 세트(S1,S2) 사이를 이격시키고, 상기 연동을 위해 힌지축(110)을 통해 연동이 가능하게 하며, 상기 이격된 거리(h)만큼 둠으로써, 다양하게 커팅을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그립(130) 및 제2 그립(140)과 연결된 상기 블레이드 세트(S1, S2) 사이의 이격거리(h)는 한정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이격거리를 다양하게 변화시켜 제작함으로써, 모발에 다양한 효과를 줄 수 있다.
이는 피시술자가 시술하는 두발 부위가 헤어스타일 형태에 따라 가위 위치를 다양하게 변화하는 경우 필연적으로 가윗날의 하중이 가위 자세에 따라 편중되므로 시술자의 원활한 시술 작업을 위해 밸런스가 맞는 그립을 구비하는데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블레이드세트(S1,S2)에 형성되는 티닝날의 크기 및 길이는 서로 같거나 다르게 형성될 수 있고, 빗살형태의 홈이 형성된 티닝날에서 상기 홈의 폭(w1)이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블레이드세트(S1,S2) 사이의 이격거리를 다양하게 만들어 다양한 헤어스타일 연출이 가능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용가위의 제1 블레이드세트의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용가위의 제2 블레이드세트의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A형태로 형성된 미용가위의 제1 블레이드 세트(S1)와 제2 블레이드 세트(S2)의 단면도를 볼 수 있다.
이때, 상기 블레이드에 형성되는 티닝날은, 서로 소정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티닝날 단부의 커팅부(b1,b2)는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도 7에 (a)에서 상기 경사지게 형성된 티닝날의 경사방향은, 상기 미용가위의 힌지축에 가까운 방향을 안쪽이라 하고, 먼 방향을 바깥쪽으로 할 때, 상기 제1 블레이드 세트(S1)에 형성된 티닝날 커팅부(b1)의 경사방향은 안쪽 끝 부분이 상기 절삭날(a1)에 먼저 닿는 형태로 형성되어,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되어 모발이 다양한 형태로 컷팅된다.
반면에, 도 7에 (b)에서 상기 경사지게 형성된 티닝날의 경사방향은, 상기 미용가위의 힌지축에 가까운 방향을 안쪽이라 하고, 먼 방향을 바깥쪽으로 할 때, 상기 제2 블레이드 세트(S2)에 형성된 티닝날 커팅부(b2)의 경사방향은 바깥쪽 끝 부분이 상기 절삭날(a2)에 먼저 닿는 형태로 형성되어,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되어 모발이 다양한 형태로 컷팅된다.
이때, 상기 빗살모양의 티닝날들은 상기 티닝날과 티닝날 사이에 적정 간격(w2)을 두고 형성된다.
이때, 상기 빗살모양의 티닝날들은 상기 티닝날과 티닝날 사이에 적정 간격(w2)을 두고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1 블레이드(131)와 제22 블레이드(142)에 형성된 상기 티닝날의 커팅부에는 복수 개의 홈이 형성된다.
더불어, 상기 블레이드세트(S1,S2)에 형성된 티닝날(131,142) 단부의 커팅날의 경사진 방향과 경사진 각도는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방향 및 기울기의 각도로 제한하지 않고, 다양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티닝날(131,142)의 크기 및 길이와 상기 티닝날의 폭(w1)과 상기 티닝날과 티닝날 사이에 폭(w2)은 서로 같거나 다르게 형성될 수 있고,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B형태로 형성된 미용가위의 제1 블레이드 세트(S1)와 제2 블레이드 세트(S2)의 단면도를 볼 수 있다.
이때, 상기 블레이드에 형성되는 티닝날은, 서로 소정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티닝날 단부의 커팅부(b3,b4)는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도 8에 (a)에서 상기 경사지게 형성된 티닝날의 경사방향은, 상기 미용가위의 힌지축에 가까운 방향을 안쪽이라 하고, 먼 방향을 바깥쪽으로 할 때, 상기 제1 블레이드 세트(S1)에 형성된 티닝날 커팅부(b3)의 경사방향은 안쪽 끝 부분이 상기 절삭날(a3)에 먼저 닿는 형태로 형성되어,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되어 모발이 다양한 형태로 컷팅된다.
반면에, 도 8에 (b)에서 상기 경사지게 형성된 티닝날의 경사방향은, 상기 미용가위의 힌지축에 가까운 방향을 안쪽이라 하고, 먼 방향을 바깥쪽으로 할 때, 상기 제2 블레이드 세트(S2)에 형성된 티닝날 커팅부(b4)의 경사방향은 바깥쪽 끝 부분이 상기 절삭날(a4)에 먼저 닿는 형태로 형성되어,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되어 모발이 다양한 형태로 컷팅된다.
이때, 상기 빗살모양의 티닝날들은 상기 티닝날과 티닝날 사이에 적정 간격(w2)을 두고 형성된다.
이때, 상기 빗살모양의 티닝날들은 상기 티닝날과 티닝날 사이에 적정 간격(w2)을 두고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1 블레이드(131)와 제12 블레이드(142)에 형성된 상기 티닝날의 커팅부(b3,b4)에는 복수 개의 홈이 형성된다.
더불어, 상기 블레이드세트(S1,S2)에 형성된 티닝날(141,132) 단부의 커팅날의 경사진 방향과 경사진 각도는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방향 및 기울기의 각도로 제한하지 않고, 다양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티닝날(141,132)의 크기 및 길이와 상기 티닝날의 폭(w1)과 상기 티닝날과 티닝날 사이에 폭(w2)은 서로 같거나 다르게 형성될 수 있고,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9는 종래의 미용가위를 사용해 모발을 자른 모발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용가위를 사용해 모발을 자른 모발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시술자가 피시술자의 모발을 미용가위를 이용해 자른 후, 일부 모발의 상태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도 1에 도시된 종래에 사용하는 일반적인 미용가위를 사용해 피시술자의 모발을 자른 후, 전체 모발에서 잘린 모발 중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로써, 티닝날이 한쪽에만 형성되고, 티닝날의 단부가 경사진 방향이 동일한 방향으로만 형성되어 있어 모발이 도면에 도시된 굵은 선처럼 일률적(규칙적)으로 형성됨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시술자가 티닝날이 양쪽으로 형성되는 본 발명의 미용가위를 사용해 모발을 자른 후, 전체모발에서 잘린 모발 중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로써, 머리카락이 일률적으로 커팅되지 않고 자연스럽게 커팅됨을 예측할 수 있다.
여기서 일률적이란 머리카락이 가위질에 따라 정리된 형태를 지칭하는데, 머리카락은 가위질의 흔적이 남도록 정리된 형태보다 가위질의 흔적이 남지 않도록 커팅하는 것이 자연스러운 커팅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가위는 블레이드세트가 2개이면서 티닝부를 서로 엇갈리도록 배치하여 양쪽에서 티닝을 함으로써 가위질의 흔적이 남지 않도록 커팅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이에 반하여 도 1과 같은 종래의 가위는 티닝부가 한쪽으로 배치되어 한쪽방향으로만 티닝이 일률적으로 됨으로 인해 가위질의 흔적이 남을 확률이 높아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가위의 형태보다 부자연스러운 커팅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확대도에 도시된 굵은 빨간선으로 도시된 잘린 모발(200a)과 굵은 파란선으로 도시된 잘린 모발(200b)은 상기 미용가위의 제1 블레이드 세트(S1)와 제2 블레이드 세트(S2)가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티닝날의 단부가 지그재그 형상으로 형성됨에따라, 서로 모발이 잘려진 방향이 겹치지 않고 자연스럽게 커팅되어 가위질의 흔적이 남지 않아 모발(200)에 자연스러운 형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 2블레이드 세트에 의해 잘린 모발이 휘는 방향은 예시일 뿐이며, 정해진 것은 아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용가위가 형성될 수 있는 A형태, B형태 유형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도 11의 (a)와 (b)는 도 3과 도 4에 각각 도시된 가위가 형성될 수 있는 형태의 유형들을 간략하게 정리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상기 도면에서 빨간색으로 표시된 선은 티닝날을 나타낸 것이고, 검정색으로 표시된 선은 절삭날을 나타낸 것이다.
도 11의 A형태(a)와 B형태(b)에서 블레이드가 배치된 순서는 제11 블레이드(131), 제21블레이드(141), 제12 블레이드(132), 제22블레이드(142)가 차례로 배치됨에 따라, 상기 제11 블레이드(131)와 상기 제22 블레이드(142)가 최외곽에 배치되고, 상기 제21 블레이드(141)와 상기 제12 블레이드(132)가 안쪽에 배치되며, 상기 제11 블레이드(131)와 제21 블레이드(141)는 제1 블레이드 세트(S1)이고, 상기 제12 블레이드(132)와 제22 블레이드(142)는 제2 블레이드 세트(S2)로 이루어진다.
이때, A형태(도 11의 a)는 상기 제11 블레이드(131)와 상기 제22 블레이드(142)에는 티닝날이 배치되고, 상기 제21 블레이드(141)와 상기 제12 블레이드(132)에는 절삭날이 배치되고, B형태(도 11의 b)는 상기 제11 블레이드(131)와 상기 제22 블레이드(142)에는 절삭날이 배치되고, 상기 제21 블레이드(141)와 상기 제12 블레이드(132)에는 티닝날이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미용가위는 A형태 또는 B형태 중 하나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100 : 미용가위 110 : 힌지축
120 : 연동수단 130 : 제1 그립
131 : 제11 블레이드 132 : 제12 블레이드
140 : 제2 그립 141 : 제21 블레이드
142 : 제22 블레이드 200 : 모발
S1 : 제1 블레이드 세트 S2 : 제2 블레이드 세트

Claims (5)

  1. 서로 다른 형태를 갖는 블레이드가 엇물리게 형성되어 쌍을 이루며, 복수 개로 구비된 블레이드 세트가 연결되는 미용가위에 있어서,
    상기 미용 가위는,
    상기 복수 개의 블레이드 세트를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힌지축;
    상기 블레이드 세트를 연동하는 연동수단;
    상기 연동수단을 포함하여 상기 블레이드 세트를 연동하는 제 1 그립 및 제 2 그립; 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제1 그립과 연결되는 제11, 제12 블레이드와 상기 제2 그립과 연결되는 제21, 제22 블레이드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 그립에 연결되는 두 개의 날 중 하나는 티닝날로, 하나는 절삭날로 형성되고,
    상기 제2 그립에 연결되는 두 개의 날 중 하나는 티닝날로, 하나는 절삭날로 형성되되,
    상기 티닝날은 상기 제1 그립과 상기 제2 그립에 각각 하나씩 배치되어 티닝날이 엇갈린 형태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블레이드 세트가 하나로 연결된 미용가위.
  2. 제1항에 있어서,
    블레이드가 배치된 순서는 제11 블레이드, 제 21블레이드, 제12 블레이드, 제22블레이드가 차례로 배치됨에 따라,
    상기 제11 블레이드와 상기 제22 블레이드가 최외곽에 배치되고,
    상기 제21 블레이드와 상기 제12 블레이드가 안쪽에 배치되며,
    상기 제11 블레이드와 제21 블레이드는 제1 블레이드 세트이고,
    상기 제12 블레이드와 제22 블레이드는 제2 블레이드 세트로 이루어진 상태에서,
    상기 제11 블레이드와 상기 제22 블레이드에는 티닝날이 배치되고,
    상기 제21 블레이드와 상기 제12 블레이드에는 절삭날이 배치되는 A형태와,
    상기 제11 블레이드와 상기 제22 블레이드에는 절삭날이 배치되고,
    상기 제21 블레이드와 상기 제12 블레이드에는 티닝날이 배치되는 B형태 중 하나의 형태로 형성되어 티닝날이 서로 엇갈린 형태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블레이드 세트가 하나로 연결된 미용가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블레이드 세트와 제2 블레이드 세트는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블레이드 세트가 하나로 연결된 미용가위.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에 형성되는 티닝날은,
    서로 소정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티닝날의 커팅부는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블레이드 세트가 하나로 연결된 미용가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블레이드 세트와 제2 블레이드 세트 사이의 이격거리와, 상기 티닝날 사이의 폭, 상기 티닝날의 커팅부의 각도 중 하나 이상을 조절하여 형성시킴에 따라 머리카락의 컷팅형태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블레이드 세트가 하나로 연결된 미용가위.







KR1020160130006A 2016-10-07 2016-10-07 복수의 블레이드 세트가 하나로 연결된 미용가위 KR1018976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0006A KR101897675B1 (ko) 2016-10-07 2016-10-07 복수의 블레이드 세트가 하나로 연결된 미용가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0006A KR101897675B1 (ko) 2016-10-07 2016-10-07 복수의 블레이드 세트가 하나로 연결된 미용가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8851A true KR20180038851A (ko) 2018-04-17
KR101897675B1 KR101897675B1 (ko) 2018-09-12

Family

ID=62083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0006A KR101897675B1 (ko) 2016-10-07 2016-10-07 복수의 블레이드 세트가 하나로 연결된 미용가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767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18970A (zh) * 2019-01-09 2019-04-16 深圳市日月辉电子有限公司 宠物电子梳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50024A (ko) * 2007-04-20 2007-05-14 서정래 즐인(櫛刃)과 봉인(捧刃)의 구분이 없는 이,미용 틴닝가위
KR20110072046A (ko) * 2009-12-22 2011-06-29 안달호 다중 홈으로 이루어진 이중 미용 가위
KR200457026Y1 (ko) 2010-10-14 2011-12-02 류석규 밸런스 그립을 구비한 다중날 미용가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50024A (ko) * 2007-04-20 2007-05-14 서정래 즐인(櫛刃)과 봉인(捧刃)의 구분이 없는 이,미용 틴닝가위
KR20110072046A (ko) * 2009-12-22 2011-06-29 안달호 다중 홈으로 이루어진 이중 미용 가위
KR200457026Y1 (ko) 2010-10-14 2011-12-02 류석규 밸런스 그립을 구비한 다중날 미용가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18970A (zh) * 2019-01-09 2019-04-16 深圳市日月辉电子有限公司 宠物电子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7675B1 (ko) 2018-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93500B1 (en) Clipper attachment
TWI556926B (zh) 削薄頭部之毛髮的萬用毛髮削薄方法
US20040250667A1 (en) Food bar cutter
US20150320172A1 (en) Razor comb hair tool
US9289906B2 (en) Device for cutting hairs
JP2007513732A (ja) 中指ガイドを有する鋏
JP3581845B2 (ja) 整髪用鋏組合せ構造
KR101897675B1 (ko) 복수의 블레이드 세트가 하나로 연결된 미용가위
KR101978257B1 (ko) 만곡형상 블레이드 구비형 헤어 커터
US20070044319A1 (en) Hairdressing scissors
US687723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utting hair
US9492932B2 (en) Scissors with bendable and shape-retaining blades
GB2569866A (en) Hair cutting comb
US4602431A (en) Haircutting shears
US20190176351A1 (en) Hair texturing scissors
US6751870B2 (en) Haircutting instrument and method of use
TWI276519B (en) A stackable barber scissors
US3304606A (en) Eyelash thinner
KR101663749B1 (ko) 다수의 미용가위가 탈착되는 미용가위조립체
KR200337267Y1 (ko) 가위
GB2414955A (en) Hairdressing scissors having multiple blades
JP3822189B2 (ja) 間隙調整可能な組合せ式整髪用鋏
TWI276520B (en) A stackable barber scissors
TWM649157U (zh) 弧形打薄髮剪
JP4020404B2 (ja) ヘアーカット用剃刀およびヘアーカット交換用剃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