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7485A - Block for vehicle - Google Patents

Block for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7485A
KR20180037485A KR1020160127710A KR20160127710A KR20180037485A KR 20180037485 A KR20180037485 A KR 20180037485A KR 1020160127710 A KR1020160127710 A KR 1020160127710A KR 20160127710 A KR20160127710 A KR 20160127710A KR 20180037485 A KR20180037485 A KR 201800374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body
hole plate
plate
side wall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771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정훈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277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37485A/en
Publication of KR201800374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748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14Bases; Cases composed as a modular blocks or assembly, i.e. composed of co-operating parts provided with contact members or holding contact members between the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r block. The car b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block body (50) and a through-hole plate (80). The through-hole plate (80) has a plurality of through-hole portions (82), through which a wire is guided to pass, and has a terminal support portion (84) to support a rear end of a terminal installed on the block body (50). The block body (50) is made from a material of relatively higher rigidity and the through-hole plate (80) is made from a material of relatively lower rigidity than the block body (50). A plurality of component mounting portions (60) are formed on the upper plate (58) of the block body (50). A lever slip (64) is formed on a second side wall (56) of the block body (50) to guide movement of an assembly lever (86) on the through-hole plate (80). A holding surface (90) is present on the upper end of the lever body (88) of the assembly lever (86) to be supported by a stop surface (75) of a first upper protrusion (74) present in the inner surface of a second wide wall (56) in a state of temporary assembly, thereby preventing random movement into a state of complete assembly. A first lower protrusion (66) and a second protrusion are present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side wall (54) and the second wide wall (56) of the block body (50) to make the through-hole plate (80) stably seated in the sates of temporary assembly and complet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hrough-hole plate (80) can be readily assembled and disassembled and made from relatively inexpensive material to reduce costs.

Description

자동차용 블럭{Block for vehicle}Block for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블럭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블럭몸체 내부에 다수개의 터미널과 버스바가 설치되고 블럭몸체 외면의 부품장착부에 퓨즈나 릴레이 등의 부품이 장착되는 자동차용 블럭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obile block,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utomobile block in which a plurality of terminals and a bus bar are installed inside a block body and components such as a fuse and a relay are mounted on a component mounting portion on an outer surface of the block body.

도 1과 도 2에는 종래기술의 자동차용 블럭중 하나가 개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자동차용 블럭의 골격을 블럭몸체(10)가 형성한다. 상기 블럭몸체(10)는 절연성 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블럭몸체(10)의 외면을 블럭측벽(12)이 형성한다. 상기 블럭측벽(12)에 의해 외부와 구획되어 상기 블럭몸체(10)의 내부에 내부공간(14)이 형성된다. 상기 내부공간(14)은 상기 블럭몸체(1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형성된다. 상기 내부공간(14)은 구획판(15)에 의해 구획되어 있고, 상기 구획판(15)에 의해 관통공(16)이 만들어진다. 상기 관통공(16)을 관통하여 터미널(46)에 연결되는 와이어가 통과한다. 상기 관통공(16)은 터미널(46)이 관통해서 아래에서 설명될 부품플레이트(30)의 터미널안착공간으로 진입하는 통로가 된다. 상기 관통공(16)의 출구 가장자리는 터미널(46)이 밀리지 않도록 지지하는 터미널지지부(18)가 된다.1 and 2 show one of the automobile blocks of the prior art. According to this, the block body 10 forms the skeleton of the automobile block. The block body 10 is made of an insulating material. The block side wall 12 forms the outer surface of the block body 10. And an inner space 14 is formed inside the block body 10 by being separated from the outside by the block side wall 12. The inner space 14 is formed at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block body 10, respectively. The inner space 14 is partitioned by a partition plate 15 and a through hole 16 is formed by the partition plate 15. [ Through which the wire connected to the terminal 46 passes. The through-hole 16 is a passage through which the terminal 46 penetrates into the terminal seating space of the component plate 30,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The exit edge of the through-hole 16 is a terminal support 18 for supporting the terminal 46 so as not to be pushed.

상기 블럭측벽(12)중에서 상대적으로 길이가 긴 서로 마주보는 2개의 블럭측벽(12)에는 다수개의 체결후크(20)가 있다. 상기 체결후크(20)는 상기 블럭측벽(12)의 일부를 형성하는 것으로, 블럭측벽(12)과는 별개로 탄성변형이 가능한 외팔보 형상이다. 상기 체결후크(20)의 선단에는 내부공간(14)을 향해 돌출되게 체결턱(22)이 형성된다.In the block sidewalls 12, there are a plurality of fastening hooks 20 on two opposing block side walls 12, which are relatively long. The locking hooks 20 form a part of the block side wall 12 and have a cantilever shape that can be elastically deformed separately from the block side wall 12. A fastening protrusion 22 is formed at the tip of the fastening hook 20 so as to protrude toward the internal space 14.

상기 체결후크(20)가 형성되지 않은 블럭측벽(12)의 내면에는 분리방지턱(24)이 있다. 상기 분리방지턱(24)은 상기 체결후크(20)가 없는 상대적으로 길이가 짧은 블럭측벽(12)에 2개씩 형성된다. 상기 분리방지턱(24)은 상기 블럭측벽(12)의 상단에 인접한 위치에 있다. 상기 분리방지턱(24)에는 상기 블럭측벽(12)의 상단쪽으로 안내면(25)이 있고, 상기 안내면(25)의 반대쪽에는 제1걸이면(26)이 있다. 상기 안내면(25)은 상기 구획판(15)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1걸이면(26)은 블럭측벽(12)의 내면에 직교하는 평면이다.On the inner surface of the block side wall 12 where the locking hooks 20 are not formed, there is a separation preventing jaw 24. The separation preventing jaws 24 are formed on two relatively short block side walls 12 without the fastening hooks 20. The separation preventing jaw 24 is located adjacent to the upper end of the block side wall 12. [ The separation preventing jaw 24 has a guide surface 25 toward the upper end of the block side wall 12 and a first blocking surface 26 opposite to the guide surface 25. The guide surface 25 is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partition plate 15 and the first back surface 26 is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inner surface of the block side wall 12.

상기 분리방지턱(24)의 사이에는 제1가이드리브(27)가 상기 블럭측벽(12)의 내면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구획판(15)쪽에서 상기 블럭측벽(12)의 상단을 향해 연장된다. 상기 제1가이드리브(27)는 상기 블럭측벽(12)의 내면에 직교하게 돌출된 제1가이드편(28)과 이에서 양측으로 연장되는 걸이편(29)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가이드리브(28)는 그 횡단면 형상이 'T'자로 된다. 상기 제1가이드편(28)은 아래에서 설명될 부품플레이트(30)의 제1가이드채널(42)에 안내된다. 상기 걸이편(29)은 상기 제1가이드채널(42)을 통해 부품플레이트(30)의 측벽(32) 내측에 걸어진다.A first guide rib 27 is formed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block sidewall 12 and extends from the partition plate 15 toward the upper end of the block sidewall 12 between the separation preventing jaws 24. The first guide rib 27 is composed of a first guide piece 28 protruding perpendicularly to the inner surface of the block side wall 12 and a hook piece 29 extending to both sides thereof. The first guide rib 28 has a cross-sectional shape of 'T'. The first guide piece 28 is guided to the first guide channel 42 of the part plate 30 to be described below. The hooking piece 29 is hooked inside the side wall 32 of the component plate 30 through the first guide channel 42.

상기 제1가이드리브(28)가 블럭측벽(12)에서 돌출된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상기 블럭측벽(12)의 내면에는 제2가이드리브(28')가 형성된다. 상기 제2가이드리브(28')는 상대적으로 길이가 긴 블럭측벽(12)의 내면에 한 쌍이 반대쪽의 블럭측벽(12)의 것과 마주보게 형성된다. A second guide rib 28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lock side wall 12 such that the first guide rib 28 protrude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guide rib 28 protrudes from the block side wall 12. The second guide rib 28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relatively long block side wall 12 so as to face the opposite side wall side wall 12.

상기 블럭몸체(10)의 내부공간(14)에 삽입되어 상기 구획판(15)에 안착되게 부품플레이트(30)가 설치된다. 상기 부품플레이트(30)는 상기 내부공간(14)에 삽입될 수 있는 대략 사각형의 판형상이다. 상기 부품플레이트(30)의 외측면을 측벽(32)이 형성한다.A component plate 30 is installed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14 of the block body 10 and to be seated on the partition plate 15. The part plate 30 is in the form of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late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14. [ The side wall 32 forms an outer side surface of the component plate 30.

상기 부품플레이트(30)의 표면에는 부품장착부(34)가 다수개 형성된다. 상기 부품장착부(34)에는 예를 들면, 릴레이, 퓨즈, 저항, 커넥터 등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부품장착부(34)에는 이들 부품의 레그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터미널(46)이 설치되는 터미널안착공간이 상기 부품플레이트(30)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상기 터미널안착공간에 터미널(46)이 안착되고 상기 부품장착부(34)에 장착된 부품의 레그가 터미널(46)에 삽입되어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진다.A plurality of component mounting portions 34 ar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component plate 30. For example, a relay, a fuse, a resistor, a connector, or the like may be mounted on the component mounting portion 34. [ The component mounting portion 34 is formed with a terminal seating space through which the component plate 30 is provided, in which a terminal 46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legs of these components is installed. A terminal 46 is seated in the terminal seating space, and a leg of a part mounted on the component mounting portion 34 is inserted into the terminal 46 to make an electrical connection.

상기 부품플레이트(30)의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상기 블럭몸체(10)와의 임시결합과 완전결합을 위한 구조 및 부품플레이트(30)가 블럭몸체(10)의 내부공간(14)에 삽입되는 것을 안내하는 구조들이 형성된다. 상기 부품플레이트(30)의 상면 가장자리와 측벽(32)에 걸쳐서 이들 구조가 형성된다.A structure for temporarily engaging and fully engaging with the block body 10 surrounding the edge of the part plate 30 and guiding the part plate 30 to be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14 of the block body 10 Structures are formed. These structures are formed over the top edge of the component plate 30 and the side wall 32.

먼저, 상기 블럭몸체(10)의 체결후크(20)와 대응되는 위치에 체결단(36)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단(36)은 상기 부품플레이트(30)의 표면에 홈형상으로 들어가게 형성된다. 상기 체결단(36)에 상기 체결후크(20)의 체결턱(22)이 안착되어 걸어짐에 의해 부품플레이트(30)가 블럭몸체(10)의 내부공간(14)에서 빠지지 않게 된다.First, a fastening end 36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astening hook 20 of the block body 10. The fastening end 36 is formed into a groove-like shape on the surface of the component plate 30. The fastening step 22 of the fastening hook 20 is seated and hooked on the fastening end 36 so that the part plate 30 does not come off from the internal space 14 of the block body 10. [

상기 체결단(36)의 하면에는 받침면(38)이 형성된다. 상기 받침면(38)에는 상기 체결후크(20)가 지지되어 부품플레이트(30)가 임시결합상태에서 블럭몸체(10)의 내부공간(14)으로 들어가지 못하도록 한다. 상기 받침면(38)의 하부에는 간섭회피홈(39)이 상기 측벽(32)에 오목하게 들어가게 형성된다.A bearing surface 38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astening end 36. The fastening hooks 20 are supported on the support surface 38 so that the component plate 30 can not enter the internal space 14 of the block body 10 in the temporarily engaged state. An interference avoiding groove 39 is formed in the bottom of the receiving surface 38 so as to be recessed in the side wall 32.

상기 분리방지턱(24)과 대응되는 상기 부품플레이트(30) 상의 위치에는 제1걸이단(40)이 형성된다. 상기 제1걸이단(40)은 상기 측벽(32)이 내부로 들어가게 홈형상으로 형성되어 만들어지는데, 상기 분리방지턱(24)의 제1걸이면(26)이 걸어져서 임시결합상태에서 부품플레이트(30)가 상기 블럭몸체(10)의 내부공간(14)에서 빠져나가는 것을 차단한다.A first hanging end (40) is formed at a position on the part plate (30) corresponding to the separation preventing jaw (24). The first hanging end 40 is formed in a groove shape in which the side wall 32 is inserted into the inside. The first hanging surface 26 of the separation preventing jaw 24 is hooked, 30 from escaping from the inner space 14 of the block body 10.

상기 제1걸이단(40)이 형성된 쪽의 부품플레이트(30)의 측벽(32)에는 제1가이드채널(42)이 형성된다. 상기 제1가이드채널(42)은 상기 측벽(32)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상기 제1가이드채널(42)에는 제1가이드리브(27)의 제1가이드편(28)이 위치되고, 상기 제1가이드채널(42)이 형성된 측벽(32)의 내측 양단에는 상기 걸이편(29)이 위치된다.A first guide channel 42 is formed on the side wall 32 of the component plate 30 on which the first hanging end 40 is formed. The first guide channel (42) is formed through the side wall (32). A first guide member 28 of the first guide rib 27 is positioned in the first guide channel 42 and opposite ends of the guide member 42 are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side wall 32 on which the first guide channel 42 is formed. 29 are positioned.

상기 체결단(36)이 형성된 쪽의 측벽(32), 즉 상기 제1가이드채널(42)의 개방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게 상기 측벽(32)에는 제2가이드채널(44)이 형성된다. 상기 제2가이드채널(44)은 서로 반대쪽 측벽(32), 즉 길이가 긴 양쪽의 측벽에 각각 한 쌍씩이 형성된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48는 버스바이다.A second guide channel 44 is formed in the side wall 32 so as to be form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opening direction of the first guide channel 42 on the side where the coupling end 36 is formed do. The second guide channels 44 are formed on the side walls 32 opposite to each other, that is, on the side walls of both long sides. In the figure, reference numeral 48 denotes a bus barrier.

이와 같은 자동차용 블럭에서는 상기 퓨즈플레이트(30)를 상기 블럭몸체(10)에 결합하고 분리하는 것이 번거롭고 어렵다. 이는 상기 다수개의 체결후크(20)가 상기 부품플레이트(30)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체결단(36)에 걸어져야 하고, 이를 해제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특히, 퓨즈플레이트(30)의 면적이 넓어지게 되면 한번에 퓨즈플레이트(30)를 블럭몸체(10)에 체결하는 것이 상대적으로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In such an automobile block, it is cumbersome and difficult to attach and detach the fuse plate 30 to the block body 10. This is because the plurality of fastening hooks 20 must be hooked to the fastening end 36 formed at the edge of the component plate 30 and must be released. Particularly, when the area of the fuse plate 30 is widened, it is relatively difficult to fasten the fuse plate 30 to the block body 10 at a time.

한편, 상기 관통공(16)은 단순하게 터미널(46)에 연결된 와이어가 관통하여 위치하는 부분이다. 따라서, 상기 관통공(16)을 형성하는 부분은 특별히 강성이 필요하지 않은 부분이다. 하지만, 블럭몸체(10)에 일체로 되어 있어 관통공(16)을 형성하는 부분이 블럭몸체(10)와 동일한 재질로 만들어져 있다.Meanwhile, the through-hole 16 is a portion where a wire connected to the terminal 46 is simply penetrated. Therefore, the portion forming the through hole 16 is a portion that does not need particularly rigidity. However, the block body 10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block body 10 so that the through-hole 16 is formed of the same material as the block body 10.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12615호Korean Patent No. 10-1512615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91660호Korean Patent No. 10-1091660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75933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2-0075933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자동차용 블럭을 구성하는 부품 사이의 결합과 분리가 간단하게 되도록 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to provide a simple structure for combining and separating parts constituting an automobile block.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자동차용 블럭의 골격을 구성하는 부품을 강성력 필요 유무에 따라 분리하여 만드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eparate parts constituting a skeleton of an automobile block according to whether rigidity force is required or not.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외부로 노출되어 부품장착부가 형성되고 부품장착부의 내부에 터미널이 위치되어 부품장착부에 장착된 부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블럭몸체와, 상기 블럭몸체의 내부공간에 위치되어 상기 터미널의 후단을 지지할 수 있고 상기 터미널에 연결된 와이어를 안내하며 상기 터미널을 상기 블럭몸체에 삽입할 수 있는 가조립상태와 상기 터미널의 후단을 지지하는 완전조립상태 사이에서 이동되며 상기 블럭몸체의 재질보다 강성이 낮은 재질로 만들어지는 통공플레이트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including a component mounting portion form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a terminal disposed inside the component mounting portion,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a component mounted on the component mounting portion, And a support structure for supporting a rear end of the terminal, the support structure being capable of supporting a rear end of the terminal and guiding a wire connected to the terminal and inserting the terminal into the block body, And a through-hole plate which is moved between the fully assembled state and made of a material having a stiffness lower than that of the material of the block body.

상기 블럭몸체는 서로 마주보는 한쌍의 제1측벽과 상기 제1측벽과 양단이 연결되고 한쌍이 있는 제2측벽과 상기 제1측벽 및 제2측벽에 동시에 연결되어 상면을 형성하는 상판으로 구획되어 상기 통공플레이트가 위치되는 내부공간이 형성된다.Wherein the block body is divided into a pair of first sidewalls facing each other, a second sidewall connected to the first sidewall and both ends thereof, and a top plate connected to the first sidewall and the second sidewall to form an upper surface, An inner space in which the through-hole plate is located is formed.

상기 제1측벽의 내면에는 상기 통공플레이트를 가조립상태에서 지지하여 블럭몸체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하단턱이 있고, 상기 제2측벽에는 레버슬릿이 제2측벽의 하단으로 개방되어 형성되며 상기 통공플레이트를 완전조립상태에서 지지하는 제2턱이 구비된다.Wherein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first side wall has a first lower step to prevent the through-hole plate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block body by supporting the through-hole plate in a state of being assembled, and a lever slit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second side wall on the second side wall, And a second step for supporting the through-hole plate in a completely assembled state.

상기 제2측벽에는 상기 제2턱에 비해 상기 상판에 가까운 위치에 상기 통공플레이트가 가조립상태에서 상기 상판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차단하는 스톱면을 가지는 제1상단턱이 형성된다.And the second side wall is formed with a first upper step having a stop surface that blocks movement of the through-hole plate in the direction from the upper plate to the lower plate at a position closer to the upper plate than the second step.

상기 레버슬릿을 따라 이동되는 슬릿네크를 구비하는 조립레버가 상기 통공플레이트의 양단에 구비되는데, 상기 조립레버의 레버몸체 상단에는 상기 스톱면에 선택적으로 지지되는 걸림면이 형성되고 상기 조립레버에 일체로 상기 제2측벽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누름버튼이 구비된다.The assembly lever is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through-hole plate with a slit neck that is moved along the lever slit. A latching surface, which is selectively supported on the stop surface, is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lever body of the assembly lever, And a push button that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second side wall.

상기 블럭몸체에는 상기 누름버튼과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작업자가 손으로 함께 잡는 손걸이가 구비된다.The block body is provided with a handgrip which is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ush button and is held together with a hand by an operator.

상기 손걸이는 상기 제2측벽에 돌출되어 형성되거나 상기 상판에 홈형상으로 형성된다.The handholder is protruded from the second side wall or formed in a groove shape on the upper plate.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블럭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the automobile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obtained.

본 발명에서는 자동차용 블럭을 블럭몸체와 통공플레이트로 나누어서 블럭몸체에 위치되어 블럭몸체의 부품장착부에 장착된 부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터미널을 통공플레이트로 지지하면서 터미널에 연결된 와이어를 안내하도록 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통공플레이트는 상기 블럭몸체에 결합되고 분리될 때 통공플레이트의 양단에 구비된 조립레버를 사용하면서 블럭몸체의 제1측벽과 제2측벽을 탄성변형시키도록 하였다. 따라서, 통공플레이트를 블럭몸체에 결합하고 분리하는 것이 간단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utomobile block is divided into a block body and a through-hole plate, and is disposed in the block body so as to guide a wire connected to the terminal while supporting a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ed to a component mounted on the component mounting portion of the block body. Wherein the through-hole plate is coupled to the block body and elastically deforms the first and second sidewalls of the block body while using a pair of assembly levers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through-hole plate. Therefore, there is an effect that it becomes simple to couple and separate the through-hole plate to the block body.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블럭몸체에는 주로 강성이 필요한 구조를 두고 상기 통공플레이트는 강성이 필요하지 않은 구조를 두었다. 따라서, 통공플레이트는 상대적으로 원가가 저렴한 재료를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전체적으로 자동차용 블럭의 원가를 낮출 수 있게 되는 효과도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lock body has a structure which requires mainly rigidity, and the through-hole plate does not require rigidity. Therefore, the through-hole plate can be made of a material which is relatively inexpensive, and the cost of the automobile block as a whole can be lowered.

-  -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자동차용 블럭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자동차용 블럭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블럭의 바람직한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실시례를 구성하는 통공플레이트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실시례에서 가조립상태를 보인 확대사시도.
도 7은 도 6의 구성을 다른 방향에서 보인 확대사시도.
도 8은 도 3에 도시된 실시례에서 완전조립상태를 보인 동작상태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n automobile block according to the prior art;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automobile block shown i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an automobile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through hole plate constituting the embodiment shown in Fig. 3;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FIG. 6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assembling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3; FIG.
7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FIG. 6 in another direction.
8 is an operational state view showing the fully assembled state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drawings,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whenever possible,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understanding wh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interpret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intended to distinguish the constituent elements from other constituent elements, and the terms do not limit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nstituent elements.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Quot; may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Quot;

도면들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자동차용 블럭은 블럭몸체(50)와 통공플레이트(80)를 포함한다. 상기 블럭몸체(50)의 상부나 하부를 차폐하기 위해 별도의 상부커버나 하부커버를 사용할 수도 있으나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As shown in the drawings, the automotive b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lock body 50 and a through-hole plate 80. A separate upper cover or lower cover may be used to shield the upper or lower portion of the block body 50, but this is not essential.

상기 블럭몸체(50)는 전체적으로 육면체의 형상을 가진다. 내부에 내부공간(52)이 형성되는데, 상기 내부공간(52)은 도면을 기준으로 블럭몸체(50)의 하부로 개방된다. 상기 블럭몸체(50)의 외관을 제1측벽(54), 제2측벽(56) 그리고 상판(58)이 형성한다.The block body 50 has a hexahedral shape as a whole. An internal space 52 is formed in the interior of the block body 50. The internal space 52 is open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block body 50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 The outer surface of the block body 50 is formed by the first sidewall 54, the second sidewall 56, and the upper plate 58.

상기 제1측벽(54)은 블럭몸체(50)에서 상대적으로 길이가 긴쪽의 외면을 구성하는 것으로, 양측에 나란히 구비된다. 상기 제2측벽(56)은 상기 제1측벽(54) 들의 양단을 연결하는 것으로 상대적으로 길이가 짧은쪽의 외면을 구성한다. 상기 상판(58)은 상기 제1측벽(54)과 제2측벽(56)의 상단에 동시에 연결되어 블럭몸체(50)의 도면상 상단을 형성한다. 상기 상판(58)에는 다수개의 부품장착부(60)가 있다. 상기 부품장착부(60)에는 퓨즈, 릴레이, 저항 등 여러가지 부품이 장착될 수 있다.The first side wall 54 constitutes an outer surface of a relatively long length in the block body 50 and is provided on both sides thereof. The second sidewall 56 connects both ends of the first sidewalls 54 to form an outer surface having a relatively short length. The upper plate 58 is simultaneously connected to the upper ends of the first side wall 54 and the second side wall 56 to form the upper end of the block body 50 in the figure. The upper plate (58) has a plurality of component mounting portions (60). Various components such as a fuse, a relay, and a resistor may be mounted on the component mounting portion 60.

상기 제2측벽(56)에는 손걸이(62)가 있다. 상기 손걸이(62)는 상기 제2측벽(56)의 외면에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손걸이(62)를 상기 제2측벽(56)에 인접한 상기 상판(58)에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손걸이(62)는 상기 상판(58)에서 돌출되지 않고 오목한 홈 형상으로 될 수 있다.The second side wall 56 has a hand hook 62. The hand hook 62 protrudes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side wall 56. However, the hand hook 62 may be formed on the upper plate 58 adjacent to the second side wall 56. In this case, the hand hook 62 may not be protruded from the upper plate 58 but may have a concave groove shape.

상기 제2측벽(56)에는 레버슬릿(64)이 형성된다. 상기 레버슬릿(64)은 상기 제2측벽(56)의 도면상 하단부로 개방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레버슬릿(64)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통공플레이트(80)의 조립레버(86)가 위치되어 안내된다.A lever slit (64) is formed in the second side wall (56). The lever slit 64 is formed to open at the lower end of the second side wall 56 in the drawing. The lever slit 64 is positioned and guided by the assembly lever 86 of the through-hole plate 80,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상기 제1측벽(54)의 내면에는 제1하단턱(6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하단턱(66)은 아래에서 설명될 통공플레이트(80)의 가조립상태를 유지하는 것으로, 통공플레이트(80)가 블럭몸체(50)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제1하단턱(66)에는 제1안내경사면(67)이 있다. 상기 제1안내경사면(67)은 상기 제1측벽(54)의 하단부를 향해 하향경사지게 만들어져 있다. 상기 제1하단턱(66)에서 상기 상판(58)의 저면과 마주보게 제1안착면(68)이 있다. 상기 제1안착면(68)에는 가조립상태에서, 통공플레이트(80)의 가장자리가 안착된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1하단턱(66)은 하나의 제1측벽(54)에 2개씩 형성된다. 상기 제1하단턱(66)의 갯수는 통공플레이트(80)의 대응되는 변의 길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하지만, 최소한 2개 이상의 제1하단턱(66)이 있는 것이 통공플레이트(80)의 안정적 지지를 위해 필요하다.A first lower step (66)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side wall (54). The first lower step 66 maintains the state of assembling the through-hole plate 80 to be described below, thereby preventing the through-hole plate 80 from coming off the block body 50. The first lower step (66) has a first guide sloped surface (67). The first guide sloping surface 67 is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lower end of the first side wall 54. There is a first seating surface 68 at the first lower step 66 fac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plate 58. An edge of the through-hole plate 80 is seated on the first seating surface 68 in a state of being assembled.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lower end protrusions 66 are formed on one first sidewall 54. The number of the first lower jaws 66 may vary depending on the length of the corresponding side of the through-hole plate 80. However, at least two first lower jaws 66 are required for stable support of the through-hole plate 80.

상기 제2측벽(56)의 내면에는 제2턱(7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턱(70)은 상기 제1하단턱(66)과 비교할 때, 상대적으로 상기 상판(58)의 저면에 더 가까운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제2턱(70)은 통공플레이트(80)의 가장자리가 완전조립상태에서 안착되는 부분이다.상기 제2턱(70)도 상기 제1하단턱(66)과 같이 제2측벽(56)의 하단부를 향해 하향경사지게 형성된 제2안내경사면(72)이 있고, 상기 상판(58)의 저면과 마주보는 제2안착면(71)이 있다. 상기 제2안착면(71)에 통공플레이트(80)의 가장자리가 안착된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2턱(70)은 하나의 제2측벽(56)에 2개씩 형성된다. 상기 제2턱(70)의 갯수는 통공플레이트(80)의 대응되는 변의 길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하지만, 최소한 2개 이상의 제2턱(70)이 있는 것이 통공플레이트(80)의 안정적 지지를 위해 필요하다.A second step 70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side wall 56. The second jaw 70 is formed at a position relatively closer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plate 58 as compared with the first lower jaw 66. The second jaw 70 is a portion where the edge of the through hole plate 80 is seated in a fully assembled state. The second jaw 70 is also a portion of the second side wall 56, like the first lower jaw 66, There is a second guiding sloped surface 72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lower end and a second seating surface 71 fac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plate 58. [ And the edge of the through hole plate 80 is seated on the second seating surface 71. In this embodiment, the second jaws 70 are formed on one second sidewall 56 by two. The number of the second jaws 70 may vary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corresponding side of the through-hole plate 80. However, at least two second jaws 70 are necessary for stable support of the through-hole plate 80. [

상기 제2측벽(56)에는 상기 제1하단턱(66)에서 상기 상판(58)쪽으로 떨어져서 제1상단턱(74)이 있다. 상기 제1상단턱(74)은 가조립상태에서 통공플레이트(80)가 더 이상 상기 상판(58)쪽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상단턱(74)에는 도 6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톱면(75)이 있다. 상기 스톱면(75)은 상기 상판(58)의 저면이 향하는 쪽을 향하도록 되어 있어서 아래에서 설명될 조립레버(86)의 레버몸체(88)에 있는 걸림면(90)이 걸어지는 부분이다.The second side wall 56 has a first upper jaw 74 spaced from the first lower jaw 66 toward the upper plate 58. The first upper step 74 prevents the through-hole plate 80 from moving toward the upper plate 58 in the assembled state. The first upper jaw 74 has a stop surface 75, as best seen in FIG. The stop surface 75 is directed toward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plate 58 and is engaged with the engagement surface 90 of the lever body 88 of the assembly lever 86 to be described below.

상기 제1상단턱(74)에서 상기 스톱면(75)과는 반대쪽에서 경사지게 형성되는 안내면(76)이 있다. 상기 안내면(76)은 내부공간(52)의 입구쪽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만들어진다. 상기 안내면(76)은 아래에서 설명될 통공플레이트(80)가 완전조립상태에서 가조립상태로 이동할 때, 상기 레버몸체(88)를 안내하여 탄성변형되게 하는 부분이다. 물론, 작업자가 레버몸체(88)에 있는 누름버튼(94)을 눌러줌에 의해서도 레버몸체(88)가 탄성변형될 수는 있다.There is a guide surface 76 which is inclined at the opposite side of the stop surface 75 from the first upper step 74. The guide surface 76 is made to be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inlet side of the inner space 52. The guide surface 76 is a portion that guides the lever body 88 and elastically deforms when the through-hole plate 80 to be described below moves from the fully assembled state to the assembled state. Of course, the operator can also elastically deform the lever body 88 by pressing the push button 94 on the lever body 88.

상기 블럭몸체(50)의 상판(58) 상면에는 상기 부품장착부(6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판(58)의 저면에는 구획을 위한 펜스(도면부호 부여않음)들이 만들어지면서 각각의 터미널이 위치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터미널이 위치되는 공간 내면에는 도 5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터미널랜스걸이부(78)가 있다. 상기 터미널랜스걸이부(78)는 터미널에 있는 랜스가 걸어지는 부분으로, 일종의 걸이턱과 같이 되어 있다.The component mounting portion 60 is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58 of the block body 50. A fence for a partition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plate 58, .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pace where the terminal is located, there is a terminal lance hanger portion 78 as shown in Fig. The terminal lance hooking portion 78 is a portion of the terminal where the lance is hooked, and is a kind of hook jaw.

상기 블럭몸체(50)의 내부공간(52)에는 통공플레이트(80)가 설치된다. 상기 통공플레이트(80)는 상기 블럭몸체(50)와는 다른 재질로 만들어진다. 즉, 상기 통공플레이트(80)는 상기 블럭몸체(50)보다는 강성이 낮은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이는 상기 통공플레이트(80)가 하는 역할이 터미널이 밀리지 않도록 지지하고 와이어를 안내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A through hole plate 80 is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52 of the block body 50. The through-hole plate 80 is made of a material different from that of the block body 50. That is, the through-hole plate 80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a lower rigidity than the block body 50. This is because the through-hole plate 80 plays the role of supporting the terminal so as not to be pushed and guiding the wire.

상기 통공플레이트(80)에는 다수개의 통공부(8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통공부(82)는 상기 통공플레이트(80)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통공부(82)에는 주로 터미널에 연결된 와이어가 위치된다. 상기 통공플레이트(80)의 통공부(82)는 펜스(도면부호 부여않음)에 의해 구획되게 만들어진다. 이와 같이 펜스가 있음에 의해 상기 통공부(82)의 입구에서 출구까지의 길이가 길어져서 와이어에 대한 안내가 보다 잘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펜스는 상기 통공플레이트(80)의 일측 표면에 돌출되어 형성된다. 물론, 모든 펜스가 상기 통공플레이트(80)의 일측 표면으로 돌출되는 것은 아니며, 도 4와 도 5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펜스가 통공플레이트(80)의 상면이나 하면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통공부(83)의 펜스 일측 단부에는 터미널지지부(84)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터미널지지부(84)는 상기 상판(58)의 저면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상판(58)에 형성된 공간에 위치된 터미널의 단부를 지지하게 된다.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82 are formed in the through-hole plate 80. The through-hole (82) is formed through the through-hole plate (80). A wire connected to the terminal is mainly located in the passage 82. The passage 82 of the through-hole plate 80 is made to be partitioned by a fence (not shown). As a result of the presence of the fence, the length from the inlet to the outlet of the passage 82 becomes longer, so that the guide to the wire can be performed more easily. The fence is protruded from one surface of the through-hole plate 80. 4 and 5, the fence protrudes from the upper surface or the lower surface of the through-hole plate 80, as shown in FIG. A terminal supporting portion 84 protrudes from one end of the passage 83 at one side of the fence. The terminal supporting portion 84 protrudes in the bottom surface direction of the upper plate 58 to support the end portion of the terminal located in the space formed in the upper plate 58.

한편, 상기 통공플레이트(80)의 양단에는 조립레버(86)가 있다. 상기 조립레버(86)는 상기 통공플레이트(80)의 단부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소정의 탄성변형이 가능하다. 상기 조립레버(86)의 골격을 레버몸체(88)가 형성하는데, 상기 레버몸체(88)는 외팔보 형상으로 통공플레이트(80)의 상면 상부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 레버몸체(88)의 끝부분은 걸림면(90)으로서 상대적으로 면적이 넓게 된다. 즉, 레버몸체(88)의 다른 부분의 횡단면보다는 면적이 넓게 되어 있다. 이는 도 4 등에서 잘 알 수 있다. 상기 걸림면(90)에는 도 7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통공플레이트(80)의 가조립상태에서 상기 제1상단턱(74)의 스톱면(75)이 걸어진다. 이와 같이 됨에 의해 통공플레이트(80)가 상판(58) 방향으로 임의로 이동되지 않게 된다.On the other hand, both ends of the through-hole plate 80 are provided with an assembling lever 86. The assembly lever 86 protrudes from the end of the through-hole plate 80 and is elastically deformable. A lever body 88 is formed on the skeleton of the assembly lever 86. The lever body 88 protrudes in the direc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through-hole plate 80 in a cantilevered manner. The end portion of the lever body 88 has a relatively large area as the engaging surface 90. That is, the area of the lever body 88 is wider than that of the other portions of the lever body 88. This is well known from FIG. 4 and the like. 7, the stop surface 75 of the first upper step 74 is engaged with the engagement surface 90 in a state where the through-hole plate 80 is assembled. As a result, the through hole plate 80 is not moved arbitrarily in the direction of the upper plate 58.

상기 레버몸체(88)의 선단에서 상기 통공플레이트(80)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슬릿네크(92)가 있고, 상기 슬릿네크(92)의 선단에 누름버튼(94)이 있다. 상기 슬릿네크(92)는 상기 레버슬릿(64)에 위치되는 부분이다. 따라서 상기 슬릿네크(92)의 두께는 상기 레버슬릿(64)의 폭보다는 약간 작게 만들어진다. 상기 슬릿네크(92)의 길이는 최소한 상기 레버몸체(88)의 탄성변형에 의해 걸림면(90)이 상기 제1상단턱(74)에서 빠질 수 있을 정도의 행정을 만들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A slit neck 92 protrudes outward from the through hole plate 80 at the tip of the lever body 88 and a push button 94 is provided at the tip of the slit neck 92. The slit neck 92 is a portion located at the lever slit 64. Therefore, the thickness of the slit neck 92 is made slightly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lever slit 64. The length of the slit neck 92 should be designed such that at least the stroke of the latching surface 90 due to the elastic deformation of the lever body 88 can cause a stroke to be displaced from the first upper step 74.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블럭이 사용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use of the automobile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에서 상기 통공플레이트(80)는 상기 블럭몸체(50)의 내부공간(52)에 가조립된 상태로 있으면서 터미널들이 상기 블럭몸체(50)에 설치된다. 즉 상기 통공플레이트(80)의 통공부(82)를 관통하여 블럭몸체(50)의 터미널랜스걸이부(78)에 터미널의 랜스가 걸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물론, 상기 터미널의 랜스가 상기 터미널랜스걸이부(78)에 걸어진 상태가 될 때까지 터미널이 삽입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hrough-hole plate 80 is installed in the block body 50 while being assembled in the internal space 52 of the block body 50. That is, the lance of the terminal is hooked to the terminal lance hooking portion 78 of the block body 50 through the passage 82 of the through-hole plate 80. Of course, the terminal need not be inserted until the lance of the terminal is hooked to the terminal lance hooking portion 78. [

상기 통공플레이트(80)는 가조립상태에서 상기 블럭몸체(50)에 대해서 유동되지 않는다. 이는 상기 블럭몸체(50)의 제1하단턱(66)에 의해 상기 통공플레이트(80)가 지지되어 블럭몸체(50)에서 상기 통공플레이트(80)가 빠지는 것이 차단된다. 가조립상태에서 상기 통공플레이트(80)가 상기 상판(58)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은 상기 레버몸체(88)의 걸림면(90)이, 도 6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상단턱(74)의 스톱면(75)에 걸어져 있기 때문이다.The through-hole plate 80 is not allowed to flow with respect to the block body 50 in the assembled state. This is because the through-hole plate 80 is supported by the first lower step 66 of the block body 50 so that the through-hole plate 80 is prevented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block body 50. The movement of the through-hole plate 80 in the direction of the upper plate 58 in the assembled state is such that the latching surface 90 of the lever body 88 is pushed by the first upper jaw (75) of the base plate (74).

도 6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공플레이트(80)의 가조립상태에서 와이어가 연결된 터미널이 상기 통공플레이트(80)의 통공부(82)를 관통하여 상기 블럭몸체(50)의 대응되는 공간으로 삽입된다. 상기 터미널들의 삽입이 끝나면, 상기 통공플레이트(80)를 상기 블럭몸체(50)에 대해 완전조립상태로 이동되게 한다. 6 and 7, a terminal to which the wire is connected in the state of assembling the through-hole plate 80 passes through the through-hole 82 of the through-hole plate 80, . When the insertion of the terminals is completed, the through-hole plate 80 is moved to the fully assembled state with respect to the block body 50.

이를 위해, 작업자는 예를 들면, 엄지손가락을 상기 손걸이(62)에 두고, 검지손가락으로 상기 누름버튼(94)을 눌러준다. 상기 누름버튼(94)이 눌러지면서 상기 레버몸체(88)가 탄성변형되어 상기 레버몸체(88) 단부의 걸림면(90)이 상기 제1상단턱(74)의 스톱면(75)을 벗어나게 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통공플레이트(80)는 상판(58)을 향해 이동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For this purpose, the operator puts his or her thumb on the hand grip 62 and presses the push button 94 with the index finger. The push button 94 is pressed and the lever body 88 is elastically deformed so that the latching surface 90 of the end portion of the lever body 88 is separated from the stop surface 75 of the first upper step 74 . The through hole plate 80 can be moved toward the upper plate 58. [

다음으로, 작업자가 상기 누름버튼(94)을 검지손가락으로 당기면 상기 슬릿네크(94)가 상기 레버슬릿(64)을 따라 이동하면서 통공플레이트(80)가 이동하게 된다. 물론, 상기 통공플레이트(80)의 가장자리는 상기 제2턱(70)의 제2안내경사면(72)을 따라 안내되면서 통공플레이트(80)와 제2측벽(56)에 탄성변형이 발생한다. 상기 통공플레이트(80)가 상기 제2안내경사면(72)을 통과하면 상기 제2턱(70)의 제2안착면(71)에 통공플레이트(80)의 가장자리가 안착된다. 이와 같이 되면, 통공플레이트(80)가 가조립상태로 임의로 이동되는 것이 방지된다.Next, when the operator pulls the push button 94 with the index finger, the through hole plate 80 moves along the slit neck 64 while moving the slit neck 94 along the lever slit 64. Of course, the edge of the through-hole plate 80 is guided along the second guide sloping surface 72 of the second step 70, so that the through-hole plate 80 and the second side wall 56 are elastically deformed. When the through-hole plate 80 passes through the second guide sloping surface 72, the edge of the through-hole plate 80 is seated on the second seating surface 71 of the second step 70. As a result, the through hole plate 80 is prevented from moving arbitrarily in the assembled state.

그리고, 상기 통공플레이트(80)의 터미널지지부(84)가 터미널의 후단부를 지지하여 터미널이 밀리지 않도록 한다. 참고로, 상기 터미널은 가조립상태에서는 블럭몸체(50)의 공간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는 아니었지만, 통공플레이트(80)의 터미널지지부(84)에 의해 밀리면서 터미널이 블럭몸체(50)의 공간에 정확하게 삽입되고, 터미널에 있는 랜스가 상기 터미널랜스걸이부(78)에 걸어지게 된다.The terminal supporting portion 84 of the through-hole plate 80 supports the rear end portion of the terminal so that the terminal is not pushed. The terminal is pushed by the terminal support portion 84 of the through hole plate 80 so that the terminal is not inserted into the space of the block body 50 And a lance in the terminal is hooked to the terminal lance hooking portion 78. [0050]

한편, 상기 통공플레이트(80)가 완전조립상태에서 다시 가조립상태로 되는 것을 설명한다. 이를 위해서는 상기 제2턱(70)을 상기 통공플레이트(80)가 타고 넘어야 한다. 상기 제2턱(70)의 제2안착면(71)에 있던 통공플레이트(80)의 가장자리가 제2안착면(71)을 벗어날 수 있도록 공구 등을 사용하여 상기 제2측벽(56)을 탄성변형시킨다. 2곳의 상기 제2측벽(56)을 공구로 탄성변형시켜서 제2턱(70)의 제2안착면(71)에서 통공플레이트(80)가 벗어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조립레버(86)의 누름버튼(94)을 누르면서 통공플레이트(80)가 상기 제1하단턱(66)의 제1안착면(68)에 걸어지도록 이동시킨다. 즉, 통공플레이트(80)가 가조립상태에 있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는 터미널을 교체하는 등의 작업을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the state in which the through-hole plate 80 is in a completely assembled state and is again assembled. For this purpose, the through-hole plate 80 must pass over the second jaw 70. The second side wall 56 is resiliently deformed using a tool or the like so that the edge of the through hole plate 80 on the second seating surface 71 of the second jaw 70 can be moved out of the second seating surface 71 . The second side wall 56 is resiliently deformed by the tool so that the through hole 80 is released from the second seating surface 71 of the second step 70, The vent plate 80 is moved to be hooked on the first seating surface 68 of the first lower step jaw 66 while the button 94 is pressed. That is, the through-hole plate 80 is in a state of coalescence. In this state, the terminal can be replaced or the like.

그리고, 상기 통공플레이트(80)를 상기 블럭몸체(50)에서 완전히 분리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1측벽(54)을 탄성변형시켜 상기 통공플레이트(80)의 가장자리가 상기 제1하단턱(65)의 제1안착면(68)에서 벗어나도록 하면 된다.In order to completely separate the through-hole plate 80 from the block body 50, the first side wall 54 is elastically deformed so that the edge of the through- 1 from the seating surface 68.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foregoing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limit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50: 블럭몸체 52: 내부공간
54: 제1측벽 56: 제2측벽
58: 상판 60: 부품장착부
62: 손걸이 64: 레버슬릿
66: 제1하단턱 67: 제1안내경사면
68: 제1안착면 70: 제2턱
71: 제2안착면 72: 제2안내경사면
74: 제1상단턱 75: 스톱면
76: 안내면 80: 통공플레이트
82: 통공부 84: 터미널지지부
86: 조립레버 88: 레버몸체
90: 걸림면 92: 슬릿네크
94: 누름버튼
50: block body 52: inner space
54: first side wall 56: second side wall
58: upper plate 60: part mounting part
62: Hand hook 64: Lever slit
66: first lower end jaw 67: first guide sloped surface
68: first seating surface 70: second jaw
71: second seat surface 72: second guide slope
74: first upper jaw 75: stop face
76: guide surface 80: through-hole plate
82: Passage 84: Terminal support
86: Assembly lever 88: Lever body
90: engaging surface 92: slit neck
94: Push button

Claims (7)

외부로 노출되어 부품장착부가 형성되고 부품장착부의 내부에 터미널이 위치되어 부품장착부에 장착된 부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블럭몸체와,
상기 블럭몸체의 내부공간에 위치되어 상기 터미널의 후단을 지지할 수 있고 상기 터미널에 연결된 와이어를 안내하며 상기 터미널을 상기 블럭몸체에 삽입할 수 있는 가조립상태와 상기 터미널의 후단을 지지하는 완전조립상태 사이에서 이동되며 상기 블럭몸체의 재질보다 강성이 낮은 재질로 만들어지는 통공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블럭.
A block body which is exposed to the outside to form a component mounting portion, a terminal is located inside the component mounting portion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 component mounted on the component mounting portion,
A block assembly which is positioned in an inner space of the block body and is capable of supporting a rear end of the terminal and guiding a wire connected to the terminal and inserting the terminal into the block body, And a through-hole plate that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a rigidity lower than that of the material of the block bod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럭몸체는 서로 마주보는 한쌍의 제1측벽과 상기 제1측벽과 양단이 연결되고 한쌍이 있는 제2측벽과 상기 제1측벽 및 제2측벽에 동시에 연결되어 상면을 형성하는 상판으로 구획되어 상기 통공플레이트가 위치되는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자동차용 블럭.
[2]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block body includes a pair of first sidewalls facing each other, a pair of second sidewalls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first sidewall, and a first sidewall and a second sidewall, And an inner space in which the through-hole plate is located is formed.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측벽의 내면에는 상기 통공플레이트를 가조립상태에서 지지하여 블럭몸체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하단턱이 있고, 상기 제2측벽에는 레버슬릿이 제2측벽의 하단으로 개방되어 형성되며 상기 통공플레이트를 완전조립상태에서 지지하는 제2턱이 구비되는 자동차용 블럭.
[3] The apparatus as claimed in claim 2, wherein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side wall has a first lower step to prevent the through-hole plate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block body by supporting the through-hole plate in an assembled state, And a second jaw which is opened to support the through-hole plate in a completely assembled stat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측벽에는 상기 제2턱에 비해 상기 상판에 가까운 위치에 상기 통공플레이트가 가조립상태에서 상기 상판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차단하는 스톱면을 가지는 제1상단턱이 형성되는 자동차용 블럭.
[6] The apparatus of claim 3, wherein the second side wall is formed with a first upper step having a stop surface that blocks movement of the through-hole plate in the direction from the upper plate to the lower plate at a position closer to the upper plate than the second step Blocks for cars.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슬릿을 따라 이동되는 슬릿네크를 구비하는 조립레버가 상기 통공플레이트의 양단에 구비되는데, 상기 조립레버의 레버몸체 상단에는 상기 스톱면에 선택적으로 지지되는 걸림면이 형성되고 상기 조립레버에 일체로 상기 제2측벽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누름버튼이 구비되는 자동차용 블럭.
[5] The apparatus as claimed in claim 4, wherein an assembly lever having a slit neck moved along the lever slit is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through-hole plate, wherein a latching face selectively supported on the stop face is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lever body And a push button that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second side wall integrally with the assembly lever.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블럭몸체에는 상기 누름버튼과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작업자가 손으로 함께 잡는 손걸이가 구비되는 자동차용 블럭.
[6] The automobile block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block body is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ush button, and is provided with a handgrip that a worker holds together by hand.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손걸이는 상기 제2측벽에 돌출되어 형성되거나 상기 상판에 홈형상으로 형성되는 자동차용 블럭.The automobile block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handholder is protruded from the second side wall or formed in a groove shape on the top plate.
KR1020160127710A 2016-10-04 2016-10-04 Block for vehicle KR2018003748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7710A KR20180037485A (en) 2016-10-04 2016-10-04 Block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7710A KR20180037485A (en) 2016-10-04 2016-10-04 Block for vehic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7485A true KR20180037485A (en) 2018-04-12

Family

ID=61969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7710A KR20180037485A (en) 2016-10-04 2016-10-04 Block for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37485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3785A (en) * 2018-10-18 2020-04-2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arts fastening apparatus and block for vehicle using the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3785A (en) * 2018-10-18 2020-04-2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arts fastening apparatus and block for vehicle us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45367B2 (en) Fastener
KR101342165B1 (en) connector assembly
JPH0553153U (en) connector
KR101396303B1 (en) Connector assembly
JP6390906B2 (en) Wire harness mounting structure and wiring unit
US11329403B2 (en) Conductor connection terminal
US9831647B2 (en) Receiving section and electrical junction box with same
US6903275B1 (en) Mounting device for a wire harness shield
KR20180037485A (en) Block for vehicle
CN109792117B (en) Connector with a locking member
US11640881B2 (en) Junction box assembly having a switch assembly
KR20140008642A (en) Connector assembly
KR101512615B1 (en) Box for vehicle
CN108767779B (en) Electrical junction box
KR20100013632A (en) Connector assembly
KR20220088042A (en) Rearholder and connector having the same
KR20100114366A (en) Connector assembly
KR20100070138A (en) Box for car
KR100948132B1 (en) Box for car
US10218089B2 (en) Contacting device for contacting an electrical conductor to an electrical conductor path
KR20130042161A (en) Connector having a spacer
KR20130071777A (en) Connector
KR200487874Y1 (en) Parts mounting apparatus
CN218414409U (en) Relay buckle pulling piece and connector
KR20160056244A (en) Box for veh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