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5270A -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5270A
KR20180035270A KR1020160124764A KR20160124764A KR20180035270A KR 20180035270 A KR20180035270 A KR 20180035270A KR 1020160124764 A KR1020160124764 A KR 1020160124764A KR 20160124764 A KR20160124764 A KR 20160124764A KR 20180035270 A KR20180035270 A KR 201800352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s
output
wirings
disposed
dumm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47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병두
박성동
이종국
장세희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247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35270A/ko
Publication of KR201800352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52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G02F1/13452Conductors connecting driver circuitry and terminals of pan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G02F1/13458Terminal pa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77Bendability or stretchability details
    • H05K1/028Bending or folding regions of flexible printed circuits
    • H05K1/0281Reinforcement details thereof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4Structural association of two or more printed circuits
    • H05K1/147Structural association of two or more printed circuits at least one of the printed circuits being bent or folded, e.g. by using a flexible printed circui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613Details of electrical connections of non-printed components, e.g. special leads
    • H05K2201/10621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ir electrical contacts
    • H05K2201/10681Tape Carrier Package [TCP]; Flexible sheet connect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는, 중심선을 기준으로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이 구분된 베이스 필름, 제1 패드부, 제2 패드부, 제1 칩 패드들을 포함하는 제1 칩 패드부, 및 제2 칩 패드들을 포함하는 제2 칩 패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칩 패드들은 제1 패드들로부터 연장하는 제1 출력 배선들과 연결되는 제1 출력 패드들 및 상기 제1 출력 배선들과 연결되지 않는 더미 패드들로 구분되고, 상기 제1 출력 패드들과 상기 더미 패드들은 상기 중심선을 기준으로 비대칭하도록 배열되고, 상기 제1 출력 배선들은 상기 중심선을 기준으로 비대칭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Description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TAPE CARRIER PACKAGE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밴딩될 때 스트레스가 감소될 수 있는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표시 장치로는 액정 표시 장치, 전계방출 표시 장치, 플라즈마 표시 장치, 및 유기전계발광 표시 장치 등이 있다. 표시 장치를 동작시키기 위해 여러 가지 제어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 등을 생성하는 부품들이 표시 장치가 형성되는 기판의 소정 영역에 실장 될 수 있다. 부품들을 실장하는 방법에 따라 COG(Chip On Glass) 또는 COF(Chip On FPC(Flexible Printed Circuit))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COG 방식은 기판 상에 직접 IC(Integrated Circuit) 칩과 같은 부품을 실장하는 방법이고, COF 방식은 IC 칩이 실장된 필름을 기판에 실장하는 방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밴딩 스트레스가 감소된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는 제1 방향의 폭의 중심을 지나며,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하는 중심선을 기준으로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이 구분된 베이스 필름, 상기 베이스 필름 위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제1 패드들을 포함하는 제1 패드부, 상기 베이스 필름 위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제2 패드들을 포함하는 제2 패드부, 상기 베이스 필름 위에 배치되며 상기 제1 패드부와 상기 제2 패드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제1 칩 패드들을 포함하는 제1 칩 패드부, 및 상기 베이스 필름 위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칩 패드부와 상기 제2 패드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제2 칩 패드들을 포함하는 제2 칩 패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칩 패드들은 상기 제1 패드들로부터 연장하는 제1 출력 배선들과 연결되는 제1 출력 패드들 및 상기 제1 출력 배선들과 연결되지 않는 더미 패드들로 구분되고, 상기 제1 출력 패드들과 상기 더미 패드들은 상기 중심선을 기준으로 비대칭하도록 배열되고, 상기 제1 출력 배선들은 상기 중심선을 기준으로 비대칭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더미 패드들 중 상기 제1 영역에 배치된 더미 패드들의 수와 상기 제2 영역에 배치된 더미 패드들의 수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상기 더미 패드들로부터 연장하는 더미 배선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더미 배선들은 상기 제1 출력 배선들과 중첩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제2 칩 패드들은 상기 제1 패드들로부터 연장하는 제2 출력 배선들과 연결되는 제2 출력 패드들 및 상기 제2 패드들로부터 연장하는 입력 배선들과 연결되는 입력 패드들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제2 출력 패드들과 상기 입력 패드들은 상기 중심선을 기준으로 대칭하도록 배열되고, 상기 제2 출력 배선들은 상기 중심선을 기준으로 대칭인 형상을 갖고, 상기 입력 배선들은 상기 중심선을 기준으로 대칭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출력 패드들과 상기 입력 패드들은 상기 중심선을 기준으로 비대칭하도록 배열되고, 상기 제2 출력 배선들은 상기 중심선을 기준으로 비대칭인 형상을 갖고, 상기 입력 배선들은 상기 중심선을 기준으로 비대칭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출력 패드들 중 상기 제1 영역에 배치된 제1 출력 패드들의 수와 상기 제2 출력 패드들 중 상기 제1 영역에 배치된 제2 출력 패드들의 수의 합은 상기 제1 출력 패드들 중 상기 제2 영역에 배치된 제1 출력 패드들의 수와 상기 제2 출력 패드들 중 상기 제2 영역에 배치된 제2 출력 패드들의 수의 합과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제1 출력 패드들 중 상기 제1 영역에 배치된 제1 출력 패드들의 수와 상기 제2 출력 패드들 중 상기 제1 영역에 배치된 제2 출력 패드들의 수의 합은 상기 제1 출력 패드들 중 상기 제2 영역에 배치된 제1 출력 패드들의 수와 상기 제2 출력 패드들 중 상기 제2 영역에 배치된 제2 출력 패드들의 수의 합과 상이할 수 있다.
상기 입력 배선들의 폭은 상기 제1 출력 배선들의 폭보다 클 수 있다.
상기 더미 패드들이 배치된 더미 영역은 상기 중심선과 비중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는 제1 방향의 폭의 중심을 지나며,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하는 중심선이 정의된 베이스 필름, 상기 베이스 필름 위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방향으로 배열된 제1 패드들을 포함하는 제1 패드부, 상기 베이스 필름 위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방향으로 배열된 제2 패드들을 포함하는 제2 패드부, 상기 제1 패드들로부터 연장하는 출력 배선들, 상기 제2 패드들로부터 연장하는 입력 배선들, 상기 베이스 필름 위에 배치되며, 상기 출력 배선들과 연결되는 제1 출력 패드들 및 상기 제1 출력 패드들 사이에 정의된 더미 영역에 배치된 더미 패드들을 포함하는 제1 칩 패드부, 및 상기 베이스 필름 위에 배치되며, 상기 출력 배선들과 연결되는 제2 출력 패드들 및 상기 제2 출력 패드들 사이에 정의된 입력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입력 배선들과 연결되는 입력 패드들을 포함하는 제2 칩 패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더미 영역의 상기 제1 방향의 폭의 중심은 상기 중심선과 비중첩하고, 상기 출력 배선들 중 상기 제1 출력 패드들과 연결된 출력 배선들은 상기 중심선을 기준으로 비대칭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출력 배선들 중 상기 제2 출력 패드들과 연결된 출력 배선들은 상기 중심선을 기준으로 대칭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입력 배선들의 폭은 상기 출력 배선들의 폭보다 클 수 있다.
상기 더미 영역의 상기 제1 방향의 폭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하는 선과 상기 입력 영역의 상기 제1 방향의 폭의 중심은 서로 중첩할 수 있다.
상기 입력 영역의 상기 제1 방향의 폭의 중심은 상기 중심선과 비중첩하고, 상기 출력 배선들 중 상기 제2 출력 패드들과 연결된 출력 배선들은 상기 중심선을 기준으로 비대칭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더미 패드들로부터 연장하는 더미 배선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더미 배선들은 상기 출력 배선들과 중첩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들을 제공하는 인쇄회로기판,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부착되어,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서로 연결하고, 상기 표시 패널의 배면을 향해 밴딩되는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 및 상기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에 실장된 구동칩을 포함하고, 상기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는 제1 방향의 폭의 중심을 지나며,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하는 중심선이 정의된 베이스 필름, 상기 베이스 필름 위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방향으로 배열된 제1 패드들을 포함하는 제1 패드부, 상기 베이스 필름 위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방향으로 배열된 제2 패드들을 포함하는 제2 패드부, 상기 제1 패드들로부터 연장하는 출력 배선들, 상기 제2 패드들로부터 연장하는 입력 배선들, 상기 베이스 필름 위에 배치되며, 상기 출력 배선들과 연결되는 제1 출력 패드들 및 상기 제1 출력 패드들 사이에 정의된 더미 영역에 배치된 더미 패드들을 포함하는 제1 칩 패드부, 및 상기 베이스 필름 위에 배치되며, 상기 출력 배선들과 연결되는 제2 출력 패드들 및 상기 제2 출력 패드들 사이에 정의된 입력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입력 배선들과 연결되는 입력 패드들을 포함하는 제2 칩 패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더미 영역의 상기 제1 방향의 폭의 중심은 상기 중심선과 비중첩하고, 상기 출력 배선들 중 상기 제1 출력 패드들과 연결된 출력 배선들은 상기 중심선을 기준으로 비대칭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는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입력 영역의 상기 제1 방향의 폭의 중심은 상기 중심선과 비중첩하고, 상기 출력 배선들 중 상기 제2 출력 패드들과 연결된 출력 배선들은 상기 중심선을 기준으로 비대칭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더미 패드들로부터 연장하는 더미 배선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더미 배선들은 상기 출력 배선들과 중첩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구동칩이 실장되는 출력 패드들이 베이스 필름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비대칭하게 배열되고, 출력 패드들로부터 연장하는 출력 배선들도 중심선을 기준으로 비대칭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 결과,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가 밴딩 시에 발생하는 스트레스가 한 곳으로 집중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고, 출력 배선들에 크랙이 발생될 확률이 감소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의 평면도이다.
도 6a는 도 5의 AA` 영역을 확대한 평면도이다.
도 6b는 도 5의 BB` 영역을 확대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도 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또는 영역, 층, 부분 등)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 "연결 된다", 또는 "결합 된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연결/결합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3의 구성요소가 배치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 비율, 및 치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및/또는"은 연관된 구성들이 정의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조합을 모두 포함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아래에", "하측에", "위에", "상측에" 등의 용어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들의 연관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용어들은 상대적인 개념으로, 도면에 표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설명된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DD)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DD)는 액정 표시 장치, 전계 방출 표시 장치, 플라즈마 표시 장치, 또는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일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으로 나열한 것으로 표시 장치(DD)가 상기 나열한 표시 장치의 종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에서 표시 장치(DD)의 일 예로 평판 표시 장치를 도시하였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표시 장치(DD)는 폴더블 표시 장치, 롤러블 표시 장치 또는 밴디드 표시 장치일 수 있고,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표시 장치(DD)는 텔레비전, 모니터 등과 같은 대형 전자장치를 비롯하여, 휴대 전화, 태블릿, 자동차 네비게이션, 게임기, 스마트 와치 등과 같은 중소형 전자장치 등에 사용될 수 있다.
표시 장치(DD)는 제1 방향(DR1)과 제2 방향(DR2)이 정의하는 면과 평행한 이미지(IM)가 표시되는 표시면(IS)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장치(DD)의 표시면(IS)은 복수 개의 영역들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장치(DD)는 이미지(IM)가 표시되는 표시영역(DD-DA) 및 표시영역(DD-DA)에 인접한 비표시영역(DD-NDA)을 포함한다. 비표시영역(DD-NDA)은 이미지가 표시되지 않는 영역이다.
도 1에는 이미지(IM)의 일 예로 화병을 도시하였다. 일 예로써, 표시영역(DD-DA)은 사각형상일 수 있다. 비표시영역(DD-NDA)은 표시영역(DD-DA)을 둘러쌀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표시영역(DD-DA)의 형상과 비표시영역(DD-NDA)의 형상은 상대적으로 디자인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DD)는 표시 패널(DP),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TCP), 구동칩(IC) 및 인쇄회로기판(PCB)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DP)은 평면상에서 표시영역(DA)과 비표시영역(NDA)을 포함한다. 표시 패널(DP)의 표시영역(DA) 및 비표시영역(NDA)은 표시 장치(DD)의 표시영역(DD-DA, 도 1 참조) 및 비표시영역(DD-NDA, 도 1 참조)에 각각 대응한다. 표시 패널(DP)의 표시영역(DA) 및 비표시영역(NDA)은 표시 장치(DD)의 표시영역(DD-DA, 도 1 참조) 및 비표시영역(DD-NDA, 도 1 참조)과 반드시 동일할 필요는 없고, 표시 패널(DP)의 구조 및/또는 디자인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표시 패널(DP)은 복수 개의 화소들(PX)을 포함한다. 복수 개의 화소들(PX)이 배치된 영역이 표시영역(DA)으로 정의된다. 본 실시예에서 비표시영역(NDA)은 표시영역(DA)의 테두리를 따라 정의될 수 있다.
표시 패널(DP)은 게이트 라인들(GL), 데이터 라인들(DL), 발광 라인들(EL), 제어신호 라인(SL-D), 초기화 전압 라인(SL-Vint), 및 전압 라인(SL-VDD)을 포함할 수 있다.
게이트 라인들(GL)은 복수 개의 화소들(PX) 중 대응하는 화소(PX)에 각각 연결되고, 데이터 라인들(DL)은 복수 개의 화소들(PX) 중 대응하는 화소(PX)에 각각 연결된다. 발광 라인들(EL) 각각은 게이트 라인들(GL) 중 대응하는 게이트 라인에 나란하게 배열될 수 있다. 제어신호 라인(SL-D)은 게이트 구동회로(GDC)에 제어신호들을 제공할 수 있다. 초기화 전압 라인(SL-Vint)은 복수 개의 화소들(PX)에 초기화 전압을 제공할 수 있다. 전압 라인(SL-VDD)은 복수 개의 화소들(PX)에 연결되며, 복수 개의 화소들(PX)에 제1 전압을 제공할 수 있다. 전압 라인(SL-VDD)은 제1 방향(DR1)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라인들 및 제2 방향(DR2)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라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비표시영역(NDA)의 일 측에는 게이트 라인들(GL) 및 발광 라인들(EL)이 연결된 게이트 구동회로(GDC)가 배치될 수 있다.
게이트 라인들(GL), 데이터 라인들(DL), 발광 라인들(EL), 제어신호 라인(SL-D), 초기화 전압 라인(SL-Vint), 전압 라인(SL-VDD) 중 일부는 동일한 층에 배치되고, 일부는 다른 층에 배치될 수 있다.
비표시영역(NDA)에는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TCP)가 부착될 수 있다.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TCP)는 데이터 라인들(DL)의 말단으로부터 연장되며 비표시영역(NDA)에 배치되는 데이터 배선부(DL-L), 제어신호 라인(SL-D), 초기화 전압 라인(SL-Vint), 및 전압 라인(SL-VDD)의 말단에 연결될 수 있다.
구동칩(IC)은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TCP)의 일면에 실장될 수 있다. 구동칩(IC)은 표시영역(DA)의 화소들(PX)에 구동신호 및 데이터를 전기신호로 제공할 수 있다. 구동칩(IC)과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TCP)는 이방성 도전 필름(Anisotropic Conductive Film, ACF)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구동칩(IC)과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TCP)는 솔더 범프에 의해 본딩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PCB)은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TCP)에 부착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PCB)과 표시 패널(DP)은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TCP)에 의해 전기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PCB)은 표시 패널(DP)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신호 등을 전달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PCB)에는 신호를 제어하는 타이밍 컨트롤러 등이 배치될 수 있다.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TCP)는 플렉서블한 성질을 가질 수 있다.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TCP)는 표시 패널(DP)의 배면으로 밴딩 될 수 있다. 따라서, 인쇄회로기판(PCB)은 표시 패널(DP)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TCP)가 표시 패널(DP)의 배면으로 밴딩 됨에 따라,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TCP)의 배선들 중 제1 및 제2 밴딩 영역들(BDA1, BDA2)에 배치된 배선들에는 스트레스가 작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 및 제2 밴딩 영역들(BDA1, BDA2)에 배치된 배선들에 작용되는 스트레스를 완화할 수 있는 구조가 제안된다.
도 2에 도시된 표시 패널(DP)은 휴대 전화, 태블릿, 자동차 네비게이션, 게임기, 스마트 와치 등과 같은 중소형 전자장치의 표시 패널(DP)일 수 있다. 이 경우, 표시 패널(DP)이 중소형 이기 때문에, 표시 패널(DP)은 하나의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TCP)를 통해 인쇄회로기판(PCB)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DDa)는 표시 패널(DPa), 복수의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들(TCPa), 복수의 구동칩들(ICa) 및 인쇄회로기판(PCBa)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표시 패널(DPa)은 텔레비전, 모니터 등과 같은 대형 전자장치의 표시 패널(DPa)일 수 있다. 이 경우, 표시 패널(DPa)이 대형이기 때문에, 표시 패널(DPa)은 복수의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들(TCPa)을 통해 인쇄회로기판(PCBa)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4에서는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들(TCPa)이 4 개인 것을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표시 패널(DPa)의 크기, 표시 패널(DPa)의 해상도에 따라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들(TCPa)의 개수가 달라질 수 있다.
도 4에서는 표시 패널(DPa)의 일 측면에만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들(TCPa)이 부착된 것을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표시 패널(DPa)의 복수의 측면에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들(TCPa)이 부착될 수도 있다. 예컨대, 도 4에서는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들(TCPa)이 제1 방향(DR1)으로 연장하는 표시 패널(DPa)의 하나의 모서리에 인접하여 부착된 것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추가하여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들(TCPa)은 제2 방향(DR2)으로 연장하는 표시 패널(DPa)의 하나의 모서리에 인접하여 부착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의 평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TCP)는 베이스 필름(BS), 제1 패드부(PAD1), 제2 패드부(PAD2), 제1 칩 패드부(CPAD1), 제2 칩 패드부(CPAD2), 출력 배선들(OL), 및 입력 배선들(IL)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필름(BS)은 단일층 또는 다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베이스 필름(BS)은 플렉서블한 성질을 갖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베이스 필름(BS)은 예를 들어, 폴리에테르술폰(PES, polyethersulfone),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 폴리에테르이미드(PEI, polyetherimide),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polyethylenenaphthalate),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polyethyleneterephthalate), 폴리페닐렌설파이드(PPS, polyphenylene sulfide), 폴리아릴레이트(polyarylate), 폴리이미드(PI, polyimide), 폴리카보네이트(PC, polycarbonate), 폴리아릴렌에테르술폰(poly(arylene ethersulfone))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플라스틱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베이스 필름(BS)은 제1 방향(DR1)의 폭의 중심을 지나며, 제1 방향(DR1)과 교차하는 제2 방향(DR2)으로 연장하는 중심선(CL)을 기준으로 제1 영역(BSA1) 및 제2 영역(BSA2)으로 구분될 수 있다. 중심선(CL)을 기준으로 좌측에 배치된 영역을 제1 영역(BSA1)이라 지칭하고, 중심선(CL)을 기준으로 우측에 배치된 영역을 제2 영역(BSA2)이라 지칭한다. 베이스 필름(BS)의 제1 영역(BSA1)과 제2 영역(BSA2)은 중심선(CL)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패드부(PAD1), 제2 패드부(PAD2), 제1 칩 패드부(CPAD1), 및 제2 칩 패드부(CPAD2)는 베이스 필름(BS)의 동일한 면 위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1 패드부(PAD1), 제2 패드부(PAD2), 제1 칩 패드부(CPAD1), 및 제2 칩 패드부(CPAD2) 중 일부는 동일한 면 위에 배치되고, 다른 일부는 다른 면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서로 다른 면 위에 배치된 구성 요소들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해 베이스 필름(BS)에는 비아홀이 정의될 수 있다.
제1 패드부(PAD1)는 표시 패널(DP)과 결합될 수 있다. 제1 패드부(PAD1)와 표시 패널(DP)은 이방성 도전 필름(Anisotropic Conductive Film, ACF)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패드부(PAD1)는 제1 방향(DR1)으로 나란히 배열된 복수의 제1 패드들(PD1)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제1 패드들(PD1)은 표시 패널(DP)의 데이터 배선부(DL-L), 제어신호 라인(SL-D), 초기화 전압 라인(SL-Vint), 및 전압 라인(SL-VDD)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패드부(PAD2)는 제1 패드부(PAD1)와 제2 방향(DR2)으로 이격될 수 있다. 제2 패드부(PAD2)와 인쇄회로기판(PCB)은 이방성 도전 필름(Anisotropic Conductive Film, ACF)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패드부(PAD2)는 제1 방향(DR1)으로 나란히 배열된 복수의 제2 패드들(PD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칩 패드부(CPAD1) 및 제2 칩 패드부(CPAD2)는 제1 패드부(PAD1)와 제2 패드부(PAD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칩 패드부(CPAD1)는 제1 패드부(PAD1)와 제2 칩 패드부(CPAD2) 사이에 배치되고, 제2 칩 패드부(CPAD2)는 제1 칩 패드부(CPAD1)와 제2 패드부(PAD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칩 패드부(CPAD1) 및 제2 칩 패드부(CPAD2) 위에는 구동칩(IC, 도 2 참조)이 실장 될 수 있다.
제1 칩 패드부(CPAD1)는 제1 방향(DR1)으로 배열된 복수의 제1 칩 패드들(CPD1)을 포함하고, 제2 칩 패드부(CPAD2)는 제1 방향(DR1)으로 배열된 복수의 제2 칩 패드들(CPD2)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필름(BS) 위에는 복수의 배선들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 필름(BS) 위에는 출력 배선들(OL), 입력 배선들(IL), 및 연결 배선들(BL)이 배치될 수 있다.
출력 배선들(OL)은 제1 패드들(PD1)로부터 제1 칩 패드부(CPAD1)를 향해 연장하는 제1 출력 배선들(OL1) 및 제1 패드들(PD1)로부터 제2 칩 패드부(CPAD2)를 향해 연장하는 제2 출력 배선들(OL2)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배선들(IL)은 제2 패드들(PD2)로부터 제2 칩 패드부(CPAD2)를 향해 연장할 수 있다. 연결 배선들(BL)은 제1 패드들(PD1)로부터 제2 패드들(PD2)로 연장할 수 있다.
입력 배선들(IL)은 인쇄회로기판(PCB, 도 2 참조)으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구동칩(IC, 도 2 참조)으로 전달할 수 있다. 출력 배선들(OL)은 구동칩(IC, 도 2 참조)으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표시 패널(DP, 도 2 참조)로 전달할 수 있다. 출력 배선들(OL)에 연결된 제1 패드들(PD1)은 표시 패널(DP, 도 2의 참조)의 데이터 라인(DL, 도 2 참조)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연결 배선들(BL)은 인쇄회로기판(PCB, 도 2 참조)으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표시 패널(DP, 도 2 참조)의 게이트 구동 회로(GDC, 도 2 참조)로 전달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구동칩(IC, 도 2 참조)이 게이트 구동 회로를 포함하는 경우, 출력 배선들(OL)은 표시 패널(DP, 도 2 참조)의 게이트 라인(GL, 도 2 참조)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제1 칩 패드들(CPD1)은 제1 출력 배선들(OL1)과 연결되는 제1 출력 패드들(OPD1), 및 제1 출력 배선들(OL1)과 연결되지 않는 더미 패드들(DPD)을 포함할 수 있다. 더미 패드들(DPD)은 제1 출력 패드들(OPD1) 사이에 정의된 더미 영역(DMA)에 배치될 수 있다. 더미 패드들(DPD)에는 더미 배선들(DML)이 연결될 수 있다. 더미 배선들(DML)은 제1 출력 배선들(OL1)과 비중첩하며, 제1 출력 배선들(OL1)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더미 배선들(DML)의 폭 및 더미 배선들(DML)을 구성하는 물질은 출력 배선들(OL)과동일한 폭 또는 동일한 물질일 수도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더미 배선들(DML)의 폭 또는 이를 구성하는 물질은 출력 배선들(OL)과 상이할 수 도 있다. 더미 배선들(DML)의 폭이나 이를 구성하는 물질들을 조정하여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TCP)를 밴딩 시에 제1 밴딩 영역(BDA1)에 집중되는 스트레스를 완화할 수 있다. 하지만, 더미 배선들(DML)은 필수적인 구성 요소는 아니고 경우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다.
더미 영역(DMA)의 제1 방향(DR1)의 폭의 중심(DM-C)은 중심선(CL)과 비중첩할 수 있다. 즉, 제1 출력 패드들(OPD1)과 더미 패드들(DPD)은 중심선(CL)을 기준으로 비대칭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더미 패드들(DPD)의 우측에 배치된 제1 출력 패드들(OPD1)의 수와 더미 패드들(DPD)의 좌측에 배치된 제1 출력 패드들(OPD1)의 수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도 5에서는 8개의 더미 패드들(DPD)과 18개의 제1 출력 패드들(OPD1)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고, 더미 영역(DMA)을 기준으로 좌측에 5 개의 제1 출력 패드들(OPD1), 우측에 13 개의 제1 출력 패드들(OPD1)이 배치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다. 도 5에서는 중심선(IL)을 기준으로 더미 패드들(DPD)이 좌측으로 치우쳐져 배치된 것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더미 패드들(DPD)은 우측으로 치우쳐져 배치될 수도 있다.
제1 영역(BSA1)에 배치된 제1 출력 패드들(OPD1)의 수와 제2 영역(BSA2)에 배치된 제1 출력 패드들(OPD1)의 수가 상이하기 때문에, 제1 패드들(PD1)로부터 연장하는 제1 출력 배선들(OL1)은 중심선(CL)을 기준으로 서로 비대칭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밴딩 영역(BDA1)에 배치된 제1 출력 배선들(OL1)이 비대칭하는 형상을 가지기 때문에 제1 출력 배선들(OL1)이 대칭하는 형상을 갖는 경우보다 밴딩 스트레스가 한 곳으로 집중되는 현상이 완화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1 출력 배선들(OL1)에 크랙 또는 단선이 발생될 확률이 감소될 수 있다.
제2 칩 패드들(CPD2)은 제2 출력 배선들(OL2)과 연결되는 제2 출력 패드들(OPD2) 및 입력 배선들(IL)과 연결되는 입력 패드들(IPD)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패드들(IPD)은 제2 출력 패드들(OPD2) 사이에 정의된 입력 영역(IPA)에 배치될 수 있다.
입력 영역(IPA)의 제1 방향(DR1)의 폭의 중심(IP-C)은 중심선(CL)과 중첩할 수 있다. 즉, 제2 출력 패드들(OPD2)과 입력 패드들(IPD)은 중심선(CL)을 기준으로 대칭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예컨대, 도 5에서는 입력 패드들(IPD)의 우측에 배치된 제2 출력 패드들(OPD2)의 수와 입력 패드들(IPD)의 좌측에 배치된 제2 출력 패드들(OPD2)의 수는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제1 영역(BSA1)에 배치된 제2 출력 패드들(OPD2)의 수와 제2 영역(BSA2)에 배치된 제2 출력 패드들(OPD2)의 수가 서로 동일하기 때문에, 제1 패드들(PD1)로부터 연장하는 제2 출력 배선들(OL2)은 중심선(CL)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패드들의 수는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제1 패드들(PD1), 제2 패드들(PD2), 제1 칩 패드들(CPD1), 및 제2 칩 패드들(CPD2) 각각은 수백 내지 수천 개일 수 있다. 또한, 더미 패드들(DPD)의 수와 입력 패드들(IPD)의 수가 동일한 것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더미 패드들(DPD)과 입력 패드들(IPD)의 수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도 6a는 도 5의 AA` 영역을 확대한 평면도이고, 도 6b는 도 5의 BB` 영역을 확대한 평면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출력 배선들(OL) 중 하나의 출력 배선의 일부 영역(AA`) 및 입력 배선들(IL) 중 하나의 입력 배선의 일부 영역(BB`)을 동일한 배율로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출력 배선들(OL)의 수가 입력 배선들(IL)의 수보다 많기 때문에, 출력 배선들(OL)의 제1 폭(WT1)은 입력 배선들(IL)의 제2 폭(WT2)보다 작을 수 있다.
예컨대, 출력 배선들(OL)의 수가 수천개일 때, 입력 배선들(IL)의 수는 수백개일 수 있다. 따라서, 제2 폭(WT2)은 제1 폭(WT1)보다 10배 이상의 두께를 가질 수도 있다. 즉, 입력 배선들(IL)의 제2 폭(WT2)이 제1 출력 배선들(OL1)의 제1 폭(WT1)보다 크기 때문에 입력 배선들(IL)은 출력 배선들(OL)에 비해 크랙에 강할 수 있다. 따라서, 입력 패드들(IPD, 도 5 참조)은 중심선(CL, 도 5 참조)을 기준으로 대칭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의 평면도이다. 도 7을 설명함에 있어서, 도 5와 중복되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로 표기하고,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 된다.
도 7을 참조하면,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TCPa)의 제2 칩 패드부(CPAD2a)는 제1 방향(DR1)으로 배열된 복수의 제2 칩 패드들(CPD2a)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칩 패드들(CPD2a)은 제2 출력 배선들(OL2a)과 연결되는 제2 출력 패드들(OPD2a) 및 입력 배선들(ILa)과 연결되는 입력 패드들(IPDa)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패드들(IPDa)은 제2 출력 패드들(OPD2a) 사이에 정의된 입력 영역(IPAa)에 배치될 수 있다.
입력 영역(IPAa)의 제1 방향(DR1)의 폭의 중심(IP-C)은 중심선(CL)과 비중첩할 수 있다. 즉, 제2 출력 패드들(OPD2a)과 입력 패드들(IPDa)은 중심선(CL)을 기준으로 비대칭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예컨대, 도 7에서 입력 패드들(IPDa) 우측에 배치된 제2 출력 패드들(OPD2a)의 수와 입력 패드들(IPD)의 좌측에 배치된 제2 출력 패드들(OPD2a)의 수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출력 배선들(OL1a)뿐만 아니라, 제2 출력 배선들(OL2a) 및 입력 배선들(ILa)도 중심선(CL)을 기준으로 비대칭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7에서 제1 출력 패드들(OPD1) 중 제1 영역(BSA1)에 배치된 제1 출력 패드들(OPD1)의 수와 제2 출력 패드들(OPD2a) 중 제1 영역(BSA1)에 배치된 제2 출력 패드들(OPD2a)의 수의 합은 제1 출력 패드들(OPD1) 중 제2 영역(BSA2)에 배치된 제1 출력 패드들(OPD1)의 수와 제2 출력 패드들(OPD2a) 중 제2 영역(BSA2)에 배치된 제2 출력 패드들(OPD2a)의 수의 합과 동일할 수 있다.
도 7의 출력 배선들(OLa)의 배치 위치는 도 5의 출력 배선들(OL)의 배치 위치와 상이할 수 있다. 따라서, 더미 패드(DPD)에 연결된 더미 배선들(DMLa)은 도 5와 상이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의 평면도이다. 도 8을 설명함에 있어서, 도 5와 중복되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로 표기하고,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 된다.
도 8을 참조하면,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TCPb)는 구동칩(IC, 도 2 참조)이 실장되는 제1 칩 패드부(CPAD1) 및 제2 칩 패드부(CPAD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칩 패드부(CPAD1)는 제1 출력 배선들(OL1b)과 연결되는 제1 출력 패드들(OPD1) 및 제1 출력 배선들(OL1b)과 연결되지 않는 더미 패드들(DPD)을 포함할 수 있다. 더미 패드들(DPD)은 더미 배선들(DMLb)과 연결될 수 있다. 더미 배선들(DMLb)은 제1 출력 배선들(OL1b) 사이의 빈 공간에 배치될 수 있고, 경우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다.
제2 칩 패드부(CPAD2b)는 복수의 제2 칩 패드들(CPD2b)을 포함하고, 복수의 제2 칩 패드들(CPD2b)은 입력 배선들(ILb)과 연결되는 입력 패드들(IPDb) 및 제2 출력 배선들(OL2b)과 연결되는 제2 출력 패드들(OPD2b)로 구분될 수 있다. 입력 패드들(IPDb)은 제2 출력 패드들(OPD2b) 사이에 정의된 입력 영역(IPAb)에 배치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도 7과 비교하였을 때, 도 8은 입력 영역(IPAb)의 위치에 차이가 있다. 도 8에서, 더미 영역(DMA)의 제1 방향(DR1)의 중심(DM-C)과 입력 영역(IPAb)의 제1 방향(DR1)의 중심(IP-C)은 제2 방향(DR2)으로 보았을 때 서로 중첩할 수 있다. 예컨대, 더미 영역(DMA)의 중심(DM-C)을 지나며 제2 방향(DR2)으로 연장하는 선 상에 입력 영역(IPAb)의 중심(IP-C)이 배치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더미 패드들(DPD)과 입력 패드들(IPDb)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더미 패드들(DPD)과 입력 패드들(IPDb)은 베이스 필름(BS) 상에 배치된 배선(미도시)에 의해서 서로 연결될 수도 있고, 구동칩(IC, 도 2의 참조) 내부의 회로에 의해서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중심선(CL)을 기준으로 제1 칩 패드들(CPD1) 및 제2 칩 패드들(CPD2b) 각각을 구성하는 패드들이 비대칭하게 배치된다. 즉, 제1 칩 패드들(CPD1)의 더미 패드들(DPD)을 기준으로 좌측에 배치된 제1 출력 패드들(OPD1)의 수와 우측에 배치된 제2 출력 패드들(OPD2)의 수가 상이하다. 또한, 제2 칩 패드들(CPD2b)의 입력 패드들(IPDb)을 기준으로 좌측에 배치된 제2 출력 패드들(OPD2b)의 수와 우측에 배치된 제2 출력 패드들(OPD2b)의 수는 상이하다. 제1 및 제2 밴딩 영역들(BDA1, BDA2)에 배치된 출력 배선들(OLb), 입력 배선들(ILb)은 모두 중심선(CL)을 기준으로 비대칭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의 평면도이다. 도 9를 설명함에 있어서, 도 5와 중복되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로 표기하고,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 된다.
도 9를 참조하면,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TCPc)는 구동칩(IC, 도 2 참조)이 실장되는 제1 칩 패드부(CPAD1a) 및 제2 칩 패드부(CPAD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칩 패드부(CPAD1a)는 제1 칩 패드들(CPD1a)를 포함하고, 제1 칩 패드들(CPD1a)은 제1 출력 배선들(OL1c)과 연결되는 제1 출력 패드들(OPD1a) 및 제1 출력 배선들(OL1c)과 연결되지 않는 더미 패드들(DPDa)로 구분될 수 있다. 더미 패드들(DPDa)은 더미 배선들(DMLc)과 연결될 수 있다. 더미 배선들(DMLc)은 제1 출력 배선들(OL1c) 사이의 빈 공간에 배치될 수 있고, 경우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다.
더미 패드들(DPDa)은 더미 영역(DMAa)에 배치될 수 있다. 더미 영역(DMAa)은 제1 칩 패드부(CPAD1a)의 양 끝 단 중 어느 하나의 끝 단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즉, 더미 영역(DMAa)을 중심으로 일 측에는 제1 출력 패드들(OPD1a)이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의 평면도이다. 도 10을 설명함에 있어서, 도 5와 중복되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로 표기하고,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 된다.
도 10을 참조하면,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TCPd)는 도 5의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TCP)와 비교하였을 때, 더미 배선들(DMLd)의 형상에 차이가 있다.
도 10은 더미 배선들(DMLd)이 다양하게 변형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을 예로 들기 위해 도시한 것이다. 더미 배선들(DMLd)은 더미 패드들(DPD) 중 일부 더미 패드들(DPD)을 서로 연결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TCP: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 BS: 베이스 필름
PAD1: 제1 패드부 PAD2: 제2 패드부
CPAD1: 제1 칩 패드부 CPAD2: 제2 칩 패드부
OL: 출력 배선 IL: 입력 배선

Claims (20)

  1. 제1 방향의 폭의 중심을 지나며,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하는 중심선을 기준으로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이 구분된 베이스 필름;
    상기 베이스 필름 위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제1 패드들을 포함하는 제1 패드부;
    상기 베이스 필름 위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제2 패드들을 포함하는 제2 패드부;
    상기 베이스 필름 위에 배치되며 상기 제1 패드부와 상기 제2 패드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제1 칩 패드들을 포함하는 제1 칩 패드부; 및
    상기 베이스 필름 위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칩 패드부와 상기 제2 패드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제2 칩 패드들을 포함하는 제2 칩 패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칩 패드들은 상기 제1 패드들로부터 연장하는 제1 출력 배선들과 연결되는 제1 출력 패드들 및 상기 제1 출력 배선들과 연결되지 않는 더미 패드들로 구분되고,
    상기 제1 출력 패드들과 상기 더미 패드들은 상기 중심선을 기준으로 비대칭하도록 배열되고, 상기 제1 출력 배선들은 상기 중심선을 기준으로 비대칭인 형상을 갖는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 패드들 중 상기 제1 영역에 배치된 더미 패드들의 수와 상기 제2 영역에 배치된 더미 패드들의 수는 서로 상이한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 패드들로부터 연장하는 더미 배선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더미 배선들은 상기 제1 출력 배선들과 중첩하지 않는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칩 패드들은 상기 제1 패드들로부터 연장하는 제2 출력 배선들과 연결되는 제2 출력 패드들 및 상기 제2 패드들로부터 연장하는 입력 배선들과 연결되는 입력 패드들로 구분되는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출력 패드들과 상기 입력 패드들은 상기 중심선을 기준으로 대칭하도록 배열되고, 상기 제2 출력 배선들은 상기 중심선을 기준으로 대칭인 형상을 갖고, 상기 입력 배선들은 상기 중심선을 기준으로 대칭인 형상을 갖는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출력 패드들과 상기 입력 패드들은 상기 중심선을 기준으로 비대칭하도록 배열되고, 상기 제2 출력 배선들은 상기 중심선을 기준으로 비대칭인 형상을 갖고, 상기 입력 배선들은 상기 중심선을 기준으로 비대칭인 형상을 갖는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
  7.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출력 패드들 중 상기 제1 영역에 배치된 제1 출력 패드들의 수와 상기 제2 출력 패드들 중 상기 제1 영역에 배치된 제2 출력 패드들의 수의 합은 상기 제1 출력 패드들 중 상기 제2 영역에 배치된 제1 출력 패드들의 수와 상기 제2 출력 패드들 중 상기 제2 영역에 배치된 제2 출력 패드들의 수의 합과 동일한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
  8.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출력 패드들 중 상기 제1 영역에 배치된 제1 출력 패드들의 수와 상기 제2 출력 패드들 중 상기 제1 영역에 배치된 제2 출력 패드들의 수의 합은 상기 제1 출력 패드들 중 상기 제2 영역에 배치된 제1 출력 패드들의 수와 상기 제2 출력 패드들 중 상기 제2 영역에 배치된 제2 출력 패드들의 수의 합과 상이한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
  9.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배선들의 폭은 상기 제1 출력 배선들의 폭보다 큰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 패드들이 배치된 더미 영역은 상기 중심선과 비중첩하는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
  11. 제1 방향의 폭의 중심을 지나며,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하는 중심선이 정의된 베이스 필름;
    상기 베이스 필름 위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방향으로 배열된 제1 패드들을 포함하는 제1 패드부;
    상기 베이스 필름 위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방향으로 배열된 제2 패드들을 포함하는 제2 패드부;
    상기 제1 패드들로부터 연장하는 출력 배선들;
    상기 제2 패드들로부터 연장하는 입력 배선들;
    상기 베이스 필름 위에 배치되며, 상기 출력 배선들과 연결되는 제1 출력 패드들 및 상기 제1 출력 패드들 사이에 정의된 더미 영역에 배치된 더미 패드들을 포함하는 제1 칩 패드부; 및
    상기 베이스 필름 위에 배치되며, 상기 출력 배선들과 연결되는 제2 출력 패드들 및 상기 제2 출력 패드들 사이에 정의된 입력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입력 배선들과 연결되는 입력 패드들을 포함하는 제2 칩 패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더미 영역의 상기 제1 방향의 폭의 중심은 상기 중심선과 비중첩하고, 상기 출력 배선들 중 상기 제1 출력 패드들과 연결된 출력 배선들은 상기 중심선을 기준으로 비대칭인 형상을 갖는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배선들 중 상기 제2 출력 패드들과 연결된 출력 배선들은 상기 중심선을 기준으로 대칭인 형상을 갖는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
  13.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배선들의 폭은 상기 출력 배선들의 폭보다 큰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
  14.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 영역의 상기 제1 방향의 폭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하는 선과 상기 입력 영역의 상기 제1 방향의 폭의 중심은 서로 중첩하는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
  15.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영역의 상기 제1 방향의 폭의 중심은 상기 중심선과 비중첩하고, 상기 출력 배선들 중 상기 제2 출력 패드들과 연결된 출력 배선들은 상기 중심선을 기준으로 비대칭인 형상을 갖는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
  16.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 패드들로부터 연장하는 더미 배선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더미 배선들은 상기 출력 배선들과 중첩하지 않는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
  17.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들을 제공하는 인쇄회로기판;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부착되어,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서로 연결하고, 상기 표시 패널의 배면을 향해 밴딩되는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 및
    상기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에 실장된 구동칩을 포함하고,
    상기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는
    제1 방향의 폭의 중심을 지나며,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하는 중심선이 정의된 베이스 필름;
    상기 베이스 필름 위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방향으로 배열된 제1 패드들을 포함하는 제1 패드부;
    상기 베이스 필름 위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방향으로 배열된 제2 패드들을 포함하는 제2 패드부;
    상기 제1 패드들로부터 연장하는 출력 배선들;
    상기 제2 패드들로부터 연장하는 입력 배선들;
    상기 베이스 필름 위에 배치되며, 상기 출력 배선들과 연결되는 제1 출력 패드들 및 상기 제1 출력 패드들 사이에 정의된 더미 영역에 배치된 더미 패드들을 포함하는 제1 칩 패드부; 및
    상기 베이스 필름 위에 배치되며, 상기 출력 배선들과 연결되는 제2 출력 패드들 및 상기 제2 출력 패드들 사이에 정의된 입력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입력 배선들과 연결되는 입력 패드들을 포함하는 제2 칩 패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더미 영역의 상기 제1 방향의 폭의 중심은 상기 중심선과 비중첩하고, 상기 출력 배선들 중 상기 제1 출력 패드들과 연결된 출력 배선들은 상기 중심선을 기준으로 비대칭인 형상을 갖는 표시 장치.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는 복수 개로 제공되는 표시 장치.
  19.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영역의 상기 제1 방향의 폭의 중심은 상기 중심선과 비중첩하고, 상기 출력 배선들 중 상기 제2 출력 패드들과 연결된 출력 배선들은 상기 중심선을 기준으로 비대칭인 형상을 갖는 표시 장치.
  20.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 패드들로부터 연장하는 더미 배선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더미 배선들은 상기 출력 배선들과 중첩하지 않는 표시 장치.
KR1020160124764A 2016-09-28 2016-09-28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18003527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4764A KR20180035270A (ko) 2016-09-28 2016-09-28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4764A KR20180035270A (ko) 2016-09-28 2016-09-28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5270A true KR20180035270A (ko) 2018-04-06

Family

ID=619736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4764A KR20180035270A (ko) 2016-09-28 2016-09-28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35270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80484A (zh) * 2018-11-09 2020-05-19 乐金显示有限公司 显示装置
WO2020133844A1 (zh) * 2018-12-24 2020-07-02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芯片结构及显示装置
US11016622B2 (en) 2019-03-26 2021-05-25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WO2024120485A1 (zh) * 2022-12-09 2024-06-13 颀中科技(苏州)有限公司 可挠性线路板、薄膜覆晶封装结构及显示装置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80484A (zh) * 2018-11-09 2020-05-19 乐金显示有限公司 显示装置
US11985884B2 (en) 2018-11-09 2024-05-14 L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WO2020133844A1 (zh) * 2018-12-24 2020-07-02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芯片结构及显示装置
US11016622B2 (en) 2019-03-26 2021-05-25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S11429236B2 (en) 2019-03-26 2022-08-30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WO2024120485A1 (zh) * 2022-12-09 2024-06-13 颀中科技(苏州)有限公司 可挠性线路板、薄膜覆晶封装结构及显示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10410B2 (en) Flexible array substrate, flexibl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CN107195249B (zh) 显示装置
US9230467B2 (en) Display module and assembly method thereof
CN106686879B (zh) 柔性印刷电路板以及具有其的显示设备
KR102529828B1 (ko) 표시장치 및 다면 표시장치
US10649411B2 (en) Display device and smart watch
US11758663B2 (en) Display device
CN111142295B (zh) 显示装置
KR20180035270A (ko)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9078362B2 (en) Flexible display device
US10431141B2 (en) Display device
CN106057082B (zh) 显示装置
US20180350892A1 (en) Display device
US11626061B2 (en) Display device
US10896943B2 (en) Display device
KR20170051667A (ko)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KR20230093229A (ko) 표시 장치
CN113113421A (zh) 柔性显示面板及显示装置
US11520200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10741516B2 (en) Drive integrated circuit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210027703A (ko) 표시 장치
KR102662960B1 (ko) 면적이 감소된 연성필름 및 이를 구비한 표시장치
US20230269878A1 (en) Display device
US20240145487A1 (en) Display device
CN219697984U (zh) 电路板和包括电路板的显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