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2927A - 무선 전력 송신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전력 송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2927A
KR20180032927A KR1020160122242A KR20160122242A KR20180032927A KR 20180032927 A KR20180032927 A KR 20180032927A KR 1020160122242 A KR1020160122242 A KR 1020160122242A KR 20160122242 A KR20160122242 A KR 20160122242A KR 20180032927 A KR20180032927 A KR 201800329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ssion
unit
power
current
imped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22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09116B1 (ko
Inventor
정인화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222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9116B1/ko
Priority to US15/432,139 priority patent/US10778036B2/en
Publication of KR201800329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29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91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91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3/00Non-retroactive 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variables by using an uncontrolled element, or an uncontrolled combination of elements, such element or such combination having self-regulating propert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02J50/12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of the resonant typ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02J7/00712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electric parameters
    • H02J7/025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H04B5/79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data transfer in combination with power transf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nsmitter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전력 송신 장치가 공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 장치는 전원을 입력하고, 송전 주파수에 따라 주기적으로 변화하는 송전 전류를 출력하는 전류 조정부, 및 상기 송전 전류를 입력하고, 상기 송전 주파수에 따라 전력을 무선으로 송신하는 송전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무선 전력 송신 장치{Wireless Power Transmitter}
본 출원은 무선 전력 수신 장치로 전력을 무선으로 송신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코일을 통하여 전력을 무선으로 송신하고, 무선으로 송신된 전력을 수신하는 무선 전력 전송 (Wireless power transfer) 기술은 스마트폰을 비롯한 다양한 통신 기기 및 여러 가지 가전 기기의 충전기 분야에 폭넓게 적용되고 있으며, 향후 전기 자동차 등에도 적용될 수 있는 등, 그 활용분야가 매우 넓은 기술이다. 무선 전력 전송 기술 분야에서는 충전 효율을 높이고, 제조 원가는 감소시키기 위한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4-0040570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충전 효율은 높이고 제조 원가는 절감할 수 있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 장치는 전류 조정부 및 송전부를 포함한다.
상기 전류 조정부는 전원을 입력하고, 송전 주파수에 따라 주기적으로 변화하는 송전 전류를 출력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전류 조정부는 전원이 입력되는 단자와 상기 송전부 사이에 연결되고, 송전 주파수에 따라 임피던스가 주기적으로 변화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전류 조정부는 직류 전원 전압이 인가되는 단자와 연결되며, 임피던스가 가변될 수 있다.
상기 송전부는 송전 전류를 입력할 수 있고, 송전 주파수에 따라 전력을 무선으로 송신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송전부는 상기 전류 조정부와 직렬로 연결되어 상기 전류 조정부를 통해 흐르는 송전 전류가 흐르는 송전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 장치는 충전 효율은 높이면서 제조 원가는 절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 장치는 무선으로 송신되는 전력의 송전 주파수를 보다 용이하게 가변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실시예의 블록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전류 조정부의 일실시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낸 전류 조정부의 제어전압 발생부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전류 조정부의 일실시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전류 조정부의 일실시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도 5에 나타낸 전류 조정부의 임피던스 제어부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7는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전류 조정부의 일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신호 파형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실시예의 블록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본 발명의 무선 전력 송신 장치는 전류 조정부(100) 및 송전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무선 전력 송신 장치는 전원부(300)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도 있다.
전류 조정부(100)는 시간에 따라 임피던스가 변화함으로써, 송전부(200)로 유입되는 송전 전류(i_c)의 크기를 변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전류 조정부(100)는 임피던스가 송전 주파수에 따라 주기적으로 변화함으로써, 송전부(200)로 송전 전류(i_c)의 크기를 송전 주파수에 따라 주기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전류 조정부(100)의 변화하는 임피던스는 저항값, 인덕턴스, 또는 저항값과 인덕턴스의 결합일 수 있다. 전류 조정부(100)로 입력되는 전원 전압(Vs)은 임의의 값을 가질 수 있다. 즉, 전류 조정부(100)는 입력되는 전원 전압(Vs)의 크기에 상관없이 필요한 크기와 주파수를 가지는 송전 전류(i_c)가 송전부(200)로 입력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송전 전류(i_c)는 임의의 직류 오프셋(DC offset)을 가질 수 있으며, 정현파 형태, 계단파 형태, 또는 기타 다양한 형태의 파형을 가질 수 있다.
송전부(200)는 송전 전류(i_c)를 입력받고, 전력을 무선으로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송신 주파수를 가지는 송전 전류(i_c)가 송전부(200)로 입력되면, 송전부(200)는 송신 주파수에 따라 전력을 무선으로 송신할 수 있다. 즉, 무선으로 송신되는 전력의 주파수가 송신 주파수일 수 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송전부(200)는 송전 커패시터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송전부(200)는 송전 코일(L_TX) 만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전원부(300)는 전원 전압(Vs)을 전류 조정부(100)로 공급한다. 전원 전압(Vs)은 임의의 크기를 가지는 직류 전압일 수 있다. 즉, 전원부(300)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교류 전압을 전원 전압(Vs)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어댑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류 조정부(100)에 의해 송전 코일(L_TX)을 통해 흐르는 송전 전류(i_c)의 크기가 직접 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송전부(200)는 송전 커패시터 또는 공진 커패시터 없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전원부(300)로 공급되는 전원 전압(Vs)의 크기에 상관없이 적절한 송전 전류(i_c)를 송전 코일(L_TX)로 공급할 수 있다. 즉, 전원부(300)는 직류-직류 변환기(DC-DC converter) 없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경우, 전류 조정부(100)의 임피던스 조정 만으로 송전 전류(i_c)의 크기를 제어할 수 있어,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제어가 단순해질 수 있다. 즉, 무선 전력 송신 장치는 무선으로 송신되는 전력의 송전 주파수를 가변하여야 할 경우가 많이 있으며, 상기 송전 주파수는 송전 코일(L_TX)을 통해 흐르는 송전 전류(i_c)의 주파수에 의해 결정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경우, 송전 코일(L_TX)을 통해 흐르는 송전 전류는 전류 조정부(100)를 통해 흐르는 전류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전류 조정부(100)를 통해 흐르는 전류는 임피던스의 조정 만으로 간단히 조정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경우, 전류 조정부(100)의 임피던스 조정 만으로 송전 주파수가 가변될 수 있어 제어가 단순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 장치가 전원부 없이 구현될 경우, 무선 전력 송신 장치는 어댑터와 연결되어 전력을 무선으로 송신할 수 있다. 이때, 무선 전력 송신 장치는 연결되는 어댑터의 출력 전압에 상관없이 전력을 무선으로 송신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전류 조정부의 일실시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전류 조정부(101)는 가변 인덕터(111) 및 제어전압 발생부(121)를 포함할 수 있다.
가변 인덕터(111)는 송전 코일(L_TX)과 직렬로 연결될 수 있으며, 제어 전압(V_c)에 따라 인덕턴스가 가변될 수 있다. 제어 전압(V_c)은 인덕터 코어에 커플된 2차 권선에 인가될 수 있다. 즉, 가변 인덕터는 인덕터 코어에 권선된 1차 권선과 인덕터 코어에 커플된 2차 권선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2차 권선에는 제어 전압(V_c)이 인가될 수 있다. 또한, 1차 권선은 송전 코일(L_TX)과 직렬로 연결될 수 있고, 1차 권선의 인덕턴스는 2차 권선에 인가되는 제어 전압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제어전압 발생부(121)는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제어 전압(V_c)을 출력한다. 제어 전압(V_c)은 송전 주파수에 따라 주기적으로 변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변 인덕터(111)의 인덕턴스도 송전 주파수에 따라 주기적으로 변화할 수 있고, 또한 송전 전류(i_c)의 크기도 송전 주파수에 따라 주기적으로 변화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송전 코일(L_TX)에 의해 송전 주파수를 가지는 무선 전력이 송신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도 2에 나타낸 전류 조정부(101)는 송전 전류(i_c)의 크기를 제한하기 위해, 가변 인덕터(111)와 직렬로 연결된 저항을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도 있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낸 전류 조정부의 제어전압 발생부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제어전압 발생부(121)는 복수개의 저항들(R1, R2, R3)과 스위치부(131)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저항들(R1, R2, R3)은 전원 전압(Vs)이 인가되는 단자와 접지 단자 사이에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스위치부(131)는 복수개의 저항들(R1, R2, R3) 사이의 노드들 중 하나를 제어전압 발생부(121)의 출력 단자와 연결함으로써, 복수개의 저항들(R1, R2, R3) 사이의 노드들 중 하나와 접지 단자 사이의 전압을 제어 전압(V_c)으로 출력할 수 있다.
도 3에는 제어전압 발생부(121)가 3개의 저항들(R1, R2, R3)을 포함하는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저항들의 개수는 필요에 따라 정해질 수 있다.
즉,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 장치는 인덕턴스를 주기적으로 변화시킴으로써 송전 코일(L_TX)를 통해 흐르는 송전 전류(i_c)의 크기를 주기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이때, 송전 전류(i_c)의 주파수는 인덕턴스가 변화하는 주파수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전류 조정부의 일실시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전류 조정부(102)는 가변 저항(112) 및 저항 제어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가변 저항(112)은 송전 코일(L_TX)와 직렬로 연결되며, 제어 신호(con)에 따라 저항값이 가변된다.
저항 제어부(122)는 상기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제어 신호는 임의의 전압 또는 전류를 가지는 아날로그 신호일 수도 있고, 임의의 비트들로 구성된 디지털 신호일 수도 있다.
즉, 도 1 및 도 5에 나타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 장치는 저항의 크기를 주기적으로 변화시킴으로써, 송전 코일(L_TX)를 통해 흐르는 송전 전류(i_c)의 크기를 주기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이때, 송전 전류(i_c)의 주파수는 저항의 크기가 변화하는 주파수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도 5는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전류 조정부의 일실시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전류 조정부(103)는 가변 임피던스부(113) 및 임피던스 제어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가변 임피던스부(113)는 송전 코일(L_TX)과 직렬로 연결되며, 제어 신호들(c1, c2, c3)에 응답하여 임피던스가 변화한다. 가변 임피던스부(103)는 복수개의 임피던스 소자들(Z1, Z2, Z3, Z4)과 복수개의 스위칭 소자들(S1, S2, S3)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임피던스 소자들(Z1, Z2, Z3) 각각과 복수개의 스위칭 소자들(S1, S2, S3) 각각은 전원 전압(Vs)이 인가되는 단자와 송전 코일(L_TX) 사이에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임피던스 소자(Z4)는 전원 전압(Vs)이 인가되는 단자와 송전 코일(L_TX)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복수개의 임피던스 소자들(Z1, Z2, Z3, Z4) 각각은 저항, 인덕터, 또는 저항과 인덕터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임피던스 소자들(Z1, Z2, Z3, Z4) 각각이 인덕터 만으로 구현되는 경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 장치는 송전 전류(i_c)의 크기를 제한하기 위해 가변 임피던스부(113)와 직렬로 연결되는 저항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스위칭 소자들(S1, S2, S3) 각각은 제어 신호들(c1, c2, c3) 각각에 응답하여 온 오프될 수 있다.
임피던스 제어부(123)는 제어 신호들(c1, c2, c3)을 출력할 수 있다.
도 6은 도 5에 나타낸 전류 조정부의 임피던스 제어부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임피던스 제어부(123)는 복수개의 비교기들(1231, 1232, 1233) 및 기준전압 발생기(1234)를 포함할 수 있다.
기준전압 발생기(1234)는 크기가 주기적으로 변화하는 기준 전압(v_ref)을 출력한다. 기준 전압(v_ref)은 항상 양의 값을 가질 수 있다. 또한, 기준 전압(v_ref)은 정현파 형태이거나 삼각파 형태일 수 있다. 상기 기준 전압(v_ref)의 주파수에 의해 송전 전류(i_c)의 주파수가 결정될 수 있으며, 송전 전류(i_c)의 주파수에 의해 무선으로 송신되는 전력의 주파수가 결정될 수 있다.
제1 비교기(1231)는 기준 전압(v_ref)과 제1 전압(V1)을 비교하여 제1 제어 신호(c1)를 출력한다. 제2 비교기(1232)는 기준 전압(v_ref)과 제2 전압(V2)을 비교하여 제2 제어 신호(c2)를 출력한다. 제3 비교기(1233)는 기준 전압(v_ref)과 제3 전압(V3)을 비교하여 제3 제어 신호(c3)를 출력한다. 제2 전압(V2)은 제1 전압(V1)보다 크고, 제3 전압(V3)은 제2 전압(V2)보다 클 수 있다.
도 7는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전류 조정부의 일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신호 파형도이다.
예를 들어, 임피던스 소자들(Z1, Z2, Z3, Z4)의 임피던스가 모두 동일한 값(z)이고, 순수한 저항 또는 인덕터라면, t1 구간에서 가변 임피던스부의 임피던스는 z이고, t2 구간에서 가변 임피던스부의 임피던스는 z/2이고, t3 구간에서 가변 임피던스부의 임피던스는 z/3이고, t4 구간에서 가변 임피던스부의 임피던스는 z/4이고, t5 구간에서 가변 임피던스부의 임피던스는 z/3이고, t6 구간에서 가변 임피던스부의 임피던스는 z/2이고, t7 구간에서 가변 임피던스부의 임피던스는 z이다.
이에 따라, 송전 전류(i_c)의 크기도 주기적으로 변화하게 된다.
도 6 및 도 7에서는 도 5의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가변 임피던스부(113)의 임피던스 소자들(Z1, Z2, Z3, Z4)의 임피던스가 동일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임피던스 소자들(Z1, Z2, Z3, Z4) 각각의 값은 상이할 수 있다. 또한, 임피던스 소자들(Z1, Z2, Z3, Z4)의 임피던스 값에 따라, 임피던스 제어부(123)도 다양한 구성을 가질 수 있으며, 따라서 제어 신호들(c1, c2, c3)도 도 7과 상이한 신호가 출력될 수 있다. 즉, 송전 전류(i_c)가 적절한 송전 주파수와 크기를 가지도록 하기 위해 임피던스 소자들(Z1, Z2, Z3, Z4)의 임피던스 값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으며, 제어 신호들(c1, c2, c3) 또한 다양하게 출력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 신호들(c1, c2, c3) 각각은 송전 주파수에 따라 주기적으로 변화할 수 있다.
또한, 도 5에는 가변 임피던스부(113)가 4개의 임피던스 소자들을 포함하는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임피던스 소자들의 개수는 필요에 따라 증가하거나 감소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100, 101, 102, 103 : 전류 조정부
200 : 송전부 300 : 전원부

Claims (14)

  1. 전원을 입력하고, 송전 주파수에 따라 주기적으로 변화하는 송전 전류를 출력하는 전류 조정부; 및
    상기 송전 전류를 입력하고, 상기 송전 주파수에 따라 전력을 무선으로 송신하는 송전부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조정부는
    상기 송전부와 직렬로 연결되며, 임피던스가 상기 송전 주파수에 따라 주기적으로 변화하는 가변 임피던스부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조정부는
    상기 송전 주파수에 따라 주기적으로 변화하는 제어 전압을 출력하는 제어전압 발생부; 및
    상기 송전부와 직렬로 연결되고, 상기 제어 전압에 따라 인턱턴스가 가변되는 가변 인덕터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조정부는
    상기 송전 주파수에 따라 주기적으로 변화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저항 제어부; 및
    상기 송전부와 직렬로 연결되고,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저항값이 가변되는 가변 저항을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조정부는
    일단이 상기 전원이 입력되는 단자와 연결된 복수개의 임피던스 소자들;
    상기 복수개의 임피던스 소자들 각각의 타단과 상기 송전부 사이에 연결된 복수개의 스위칭 소자들; 및
    상기 송전 주파수에 따라 주기적으로 변화하는 복수개의 제어 신호들 각각을 상기 복수개의 스위칭 소자들 각각으로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송전 주파수에 따라 주기적으로 변화하는 기준 신호를 출력하는 기준 신호 발생부; 및
    상기 기준 신호의 전압과 비교 전압을 비교하여 상기 복수개의 제어 신호들 중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각각 출력하는 복수개의 제어 신호 발생부들을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전력 송신 장치는
    직류 전원 전압을 상기 전원으로 출력하는 전원부를 더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
  8. 송전 주파수에 따라 전력을 무선으로 송신하는 송전부; 및
    전원이 입력되는 단자와 상기 송전부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송전 주파수에 따라 임피던스가 주기적으로 변화하는 전류 조정부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조정부는
    상기 송전 주파수에 따라 주기적으로 변화하는 제어 전압을 출력하는 제어전압 발생부; 및
    상기 송전부와 직렬로 연결되고, 상기 제어 전압에 따라 인턱턴스가 가변되는 가변 인덕터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조정부는
    상기 송전 주파수에 따라 주기적으로 변화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저항 제어부; 및
    상기 송전부와 직렬로 연결되고,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저항값이 가변되는 가변 저항을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조정부는
    일단이 상기 전원이 입력되는 단자와 연결된 복수개의 임피던스 소자들;
    상기 복수개의 임피던스 소자들 각각의 타단과 상기 송전부 사이에 연결된 복수개의 스위칭 소자들; 및
    상기 송전 주파수에 따라 주기적으로 변화하는 복수개의 제어 신호들 각각을 상기 복수개의 스위칭 소자들 각각으로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
  12. 직류 전원 전압이 인가되는 단자와 연결되며, 임피던스가 가변되는 전류 조정부;
    상기 전류 조정부와 직렬로 연결되어 상기 전류 조정부를 통해 흐르는 송전 전류가 흐르는 송전 코일을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조정부는
    임피던스가 송전 주파수에 따라 주기적으로 변화하고,
    상기 송전 코일은 상기 송전 주파수에 따라 전력을 무선으로 송신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전력 송신 장치는
    교류 전원 전압을 상기 직류 전원 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전원부를 더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
KR1020160122242A 2016-09-23 2016-09-23 무선 전력 송신 장치 KR1026091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2242A KR102609116B1 (ko) 2016-09-23 2016-09-23 무선 전력 송신 장치
US15/432,139 US10778036B2 (en) 2016-09-23 2017-02-14 Wireless power transmit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2242A KR102609116B1 (ko) 2016-09-23 2016-09-23 무선 전력 송신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2927A true KR20180032927A (ko) 2018-04-02
KR102609116B1 KR102609116B1 (ko) 2023-12-04

Family

ID=616857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2242A KR102609116B1 (ko) 2016-09-23 2016-09-23 무선 전력 송신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778036B2 (ko)
KR (1) KR10260911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9116B1 (ko) * 2016-09-23 2023-12-04 주식회사 위츠 무선 전력 송신 장치
CN110603712B (zh) * 2017-05-19 2023-06-06 欧姆龙株式会社 非接触供电装置
US20210137376A1 (en) * 2019-08-30 2021-05-13 Bradley J. Vargo Laryngoscop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34215A (ko) * 2008-09-23 2010-04-01 주식회사 에스티에프 차량의 무선 송신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안테나 구동 방법
KR20120129821A (ko) * 2011-05-18 2012-11-28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전력 전송 및 충전 시스템, 무선전력 전송 및 충전 시스템의 임피던스 제어 방법
KR20140040570A (ko) 2012-09-26 2014-04-0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무선전력 송신장치 및 그의 전력 제어 방법
WO2015097809A1 (ja) * 2013-12-26 2015-07-02 三菱電機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共振型送信電源装置及び共振型送信電源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12748B2 (en) * 2011-02-01 2019-06-04 Fu Da Tong Techology Co., Ltd. Signal analysis method and circuit
KR101930805B1 (ko) * 2012-07-10 2018-12-20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전력 수신 장치 및 방법
JP6169380B2 (ja) 2013-03-19 2017-07-26 日東電工株式会社 無線電力伝送装置、無線電力伝送装置の発熱制御方法、及び、無線電力伝送装置の製造方法
KR101949954B1 (ko) 2013-06-07 2019-02-19 삼성전자주식회사 고효율 에너지 주입을 위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
JP6110236B2 (ja) * 2013-07-02 2017-04-05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受電装置及び非接触給電システム
KR102609116B1 (ko) * 2016-09-23 2023-12-04 주식회사 위츠 무선 전력 송신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34215A (ko) * 2008-09-23 2010-04-01 주식회사 에스티에프 차량의 무선 송신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안테나 구동 방법
KR20120129821A (ko) * 2011-05-18 2012-11-28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전력 전송 및 충전 시스템, 무선전력 전송 및 충전 시스템의 임피던스 제어 방법
KR20140040570A (ko) 2012-09-26 2014-04-0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무선전력 송신장치 및 그의 전력 제어 방법
WO2015097809A1 (ja) * 2013-12-26 2015-07-02 三菱電機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共振型送信電源装置及び共振型送信電源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090994A1 (en) 2018-03-29
KR102609116B1 (ko) 2023-12-04
US10778036B2 (en) 2020-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69673B2 (en) Charge control circuitry in a wireless power receiver
US11056878B2 (en) Overvoltage protection circuit for wireless power receiver
KR101853913B1 (ko) 통신신호 크기를 제어하는 무선 전력 수신기
CN106575888A (zh) 能够调整谐振频率的磁共振无线功率传输装置
KR102609116B1 (ko) 무선 전력 송신 장치
WO2006016319A2 (en) Power converter and method for power conversion
JP2016149817A (ja) 定電圧直流電源装置
KR101695457B1 (ko) 무선 전력 수신기
CN103580491A (zh) 具有组合输入的可配置功率控制器
CN115693876A (zh) 一种充电装置、无线充电***、充电方法及介质
CN111404288A (zh) 一种无线充电设备
KR101730236B1 (ko) 무선 전력 송신 장치
US5109391A (en) Unbalanced transmitter and receiver
US9958886B2 (en) Tunable DC voltage generating circuit
KR102084427B1 (ko) 스위치를 이용하여 무선 전력을 조정하는 무선 전력 수신기
RU161624U1 (ru) Устройство питания блока приемоответчика
KR102079152B1 (ko) 스위치를 이용하여 무선 전력을 조정하는 무선 전력 수신기
EP3561993B1 (en) Wireless charger
WO2015083709A1 (ja) 非接触電力伝送装置
US20200127863A1 (en) Power transmission system, transmission device, and reception device
JP2015053765A (ja) Llc電流共振型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CN114356126A (zh) 具动态调整组态的多线圈鼠标垫
RU2244974C1 (ru) Защитная панель
JP2014090632A (ja) 送電機器及び非接触電力伝送装置
KR20160092093A (ko) 송신부 코일 임피던스 감지 무선충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