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1449A - Air Mattress - Google Patents

Air Mattres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1449A
KR20180031449A KR1020160120089A KR20160120089A KR20180031449A KR 20180031449 A KR20180031449 A KR 20180031449A KR 1020160120089 A KR1020160120089 A KR 1020160120089A KR 20160120089 A KR20160120089 A KR 20160120089A KR 20180031449 A KR20180031449 A KR 201800314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inlet
unit
cover
m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008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913785B1 (en
Inventor
천용희
Original Assignee
레이캅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레이캅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레이캅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200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3785B1/en
Priority to JP2017170184A priority patent/JP2018047234A/en
Publication of KR201800314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144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37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378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4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4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 A47C21/042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for ventilating or cooling
    • A47C21/044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for ventilating or cooling with active means, e.g. by using air blowers or liquid pum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4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 A47C21/048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for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08Fluid mattresses or cushions
    • A47C27/081Fluid mattresses or cushions of pneumatic type
    • A47C27/082Fluid mattresses or cushions of pneumatic type with non-manual inflation, e.g. with electric pum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02Bed linen; Blankets; Counterpanes
    • A47G9/0238Bed line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3/00Thermomet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01K13/02Thermomet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measuring temperature of moving fluids or granular materials capable of flow
    • G01K13/024Thermomet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measuring temperature of moving fluids or granular materials capable of flow of moving g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8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with domestic apparatus
    • G01K2013/024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Disclosed is an air mattress. The air mattress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mat portion formed with porous material such that air can be freely entered thereto; and an air transfer portion including a lower portion frame formed with an inlet through which air is introduced and formed with an inner portion space opened toward an upper portion thereof, and a support portion supporting a load applied from the top of the mat portion by being accommodated into the inner portion space while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is able to move to the mat portion, wherein the air moved through the air transfer portion reaches a user located at the top of the mat portion.

Description

에어 매트리스{Air Mattress}Air Mattress

본 발명은 에어 매트리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눕는 매트부로 공기를 이송하는 송풍 기능을 갖는 에어 매트리스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mattress,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ir mattress having a blowing function of conveying air to a mattress on which a user lies.

종래 침실용 침대는 나무, 황토 등의 흙을 이용한 매트리스, 스프링, 고무 등 탄성재료를 이용한 매트리스 등 여러 형태의 매트리스를 침대 프레임상에 배치하여 사용한다. 이러한 매트리스는 사용자의 수면 시 보다 쾌적하고 안락하게 수면을 유도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Conventionally, a bed for a bedroom is used by arranging various types of mattresses such as a mattress using earth such as wood, an ocher, a mattress using an elastic material such as a spring and a rubber, or the like on a bed frame. Such a mattress is designed to induce sleeping more comfortably and comfortably at the time of user's sleeping.

그러나 이러한 형태의 일반적 침대 매트리스는 사용자 수면 시 주변 온도에 관계없이 온도가 주변 온도에 따라 유지된다. 따라서 주변온도가 높아지면 매트리스의 온도 또한 높아지고 주변온도가 낮아지면 매트리스의 온도 또한 낮아지게 되므로 한 여름이나 한 겨울에는 너무 덥거나 너무 춥기 때문에 사용자가 쾌적한 수면을 하기 곤란하다.However, in this type of general bed mattress, the temperature is maintained at ambient temperature regardless of the ambient temperature at user sleep. Therefore, the higher the ambient temperature, the higher the temperature of the mattress, and the lower the ambient temperature, the lower the mattress temperature, so it is too hot or too cold in summer or winter, making it difficult for the user to sleep comfortably.

이러한 종래의 침대용 매트리스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내부에 전열선을 소정 형태로 배치하고 전원을 연결하여 전기를 공급함으로써 매트리스를 가열할 수 있는 전기 매트리스나 물을 담을 수 있는 판 형태의 튜브로 내부에 물을 공급하고 따라서 매트리스의 온도를 시원하게 유지할 수 있는 형태의 수(水) 매트리스 등이 개발되었다.In order to compensate for the disadvantages of such conventional bed mattresses, an electric mattress which can heat the mattress by arranging the heating wires in a predetermined form inside thereof and connecting the electric power by connecting the electric power, or a plate type tube which can hold water, And water mattresses of the type that can keep the temperature of the mattress cool can be maintained.

이러한 형태의 매트리스는 한여름이나 한겨울에 온도를 적정하게 유지할 수 있어 보다 쾌적한 수면을 유지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is type of mattress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keep the temperature in the middle of the summer or in the middle of winter, so that it can maintain a more comfortable sleeping surface.

그러나 전기 매트리스는 전자파가 많이 발생하여 건강에 해로울 수 있으며, 전기저항을 이용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전력소모가 많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전기 매트리스는 포개어지는 경우 내부에 배치된 전열선간 합선위험이 있고 이 경우 화재까지 발생할 수 있는 등 심각한 단점을 갖는다.Electric mattresses, however, are disadvantageous in that they generate a large amount of electromagnetic waves, which can be detrimental to health and electric power consumption. In addition, electric mattresses have a serious shortcoming, such as the possibility of a short circuit between the heating wires arranged inside when the electric mattress is piled up, and in this case, the fire can occur.

수 매트리스는 판 형태의 튜브내부에 물을 채우고 온도를 냉각시키거나 가열시키기 위해 역시 열선을 이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이런 경우 상기한 전기 매트리스와 마찬가지의 문제점을 갖는다.The water mattress is most often used to fill water inside a plate-shaped tube and also to heat or cool the temperature, and in this case, it has the same problems as the electric mattress described above.

더하여, 수 매트리스는 내부에 물을 담고 있으므로 튜브가 찢어지거나 터질 경우 감전의 위험이 크다는 문제점을 갖는다.In addition, the water mattress has a problem in that when the tube is torn or broken, there is a large risk of electric shock because the water mattress contains water therein.

등록실용 20-0344886Registration Practice 20-0344886 공개특허 10-2009-0116323Patent Document 10-2009-0116323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overcom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첫째, 본 발명은 사용자가 눕는 매트부로 공기를 이송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쾌적함을 느낄 수 있게 하는 에어 매트리스를 제공하고자 한다.First,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 mattress which allows a user to feel comfort by transporting air to a lying-down mat.

둘째, 본 발명은 설치되는 공간의 특성에 따라 송풍기의 위치를 달리 할 수 있는 에어 매트리스를 제공하고자 한다.Second,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 mattress which can change the position of the blower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stalled space.

셋째, 본 발명은 정화된 공기를 사용자에게 송풍하는 에어 매트리스를 제공하고자 한다.Thir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ir mattress for blowing purified air to a user.

넷째, 본 발명은 체압을 분산하여 사용자가 쾌적한 수면을 취할 수 있는 에어 매트리스를 제공하고자 한다.Fourth,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 mattress in which a user can take a comfortable sleep by dispersing body pressure.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에어 매트리스는 매트부 및 공기 이송부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 air mattress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t portion and an air transfer portion.

상기 매트부는 사용자가 누울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며, 다공질로 형성되어 공기가 자유롭게 드나들 수 있도록 형성된다.The mat portion provides a space in which the user can lie down, and is formed of porous material so that air can freely move.

상기 하부프레임은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며 상부를 향하여 개구된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하부 프레임, 및 상기 내부공간에 수용되어 상기 매트부의 상부에서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상기 매트부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지지부를 포함한다.The lower frame includes a lower frame formed with an inflow port through which air is introduced and opened toward the upper portion, a lower frame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and supporting a load applied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mat portion, And a support portion formed to allow air to move to the mat portion.

이로써, 상기 공기 이송부를 통하여 이동한 공기가 상기 매트부의 상부에 위치하는 사용자에게까지 도달한다.Thus, the air moved through the air conveyance unit reaches the user locat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mat unit.

상기 지지부는 함몰부와 돌출부가 교대로 형성되는 올록볼록한 형상을 가지고, 상기 함몰부와 상기 돌출부에는 공기가 이동할 수 있는 공기이동홀이 형성되며, 상기 함몰부는 상기 하부 프레임과 맞닿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매트부와 맞닿게 설치될 수 있다.Wherein the supporting portion has an oblique convex shape in which depressions and protrusions are alternately formed and air depressions are formed in the depressions and the protrusions so that air can move, the depressions are in contact with the lower frame, And may be provided so as to abut the mat portion.

또는, 상기 지지부는 커버 프레임 및 지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support portion may include a cover frame and a support member.

상기 커버 프레임은 상기 지지부는 상기 하부 프레임의 상부에서 상기 내부공간을 덮도록 구비되며,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다수의 배출홀이 형성될 수 있다.The support frame may be formed to cover the inner space at an upper portion of the lower frame, and a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through which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하부 프레임과 상기 커버 프레임 사이의 내부공간에 마련되어 상기 커버 프레임에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The support member may be provided in an inner space between the lower frame and the cover frame to support a load applied to the cover frame.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커버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수용공간 내부로 돌출되어 상기 하부 프레임과 맞닿을 수 있다.The support member may protrude from the cover frame into the receiving space and abut the lower frame.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내부공간을 복수 개의 분할공간으로 구획하는 격벽 구조를 가지며, 상기 지지부재에는 상호 인접한 상기 구획공간을 연통하여 공기가 이동할 수 있는 유동홀이 형성될 수 있다.The supporting member may have a partition structure dividing the internal space into a plurality of divided spaces, and the supporting member may be formed with a flow hole through which the air can move by communicating with the adjacent compartment spaces.

그리고, 상기 공기 이송부는 중앙에 공기가 이동하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유동부재가 더 포함하며, 상기 유동부재는 상기 유동홀에 끼워져 상기 지지부재를 보강할 수 있다.The air transferr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flow member having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air moves, the flow member being inserted into the flow hole to reinforce the support member.

또는, 상기 내부공간에 지그재그형 또는 격자형으로 배치되는 관체인 공기이동통로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재는 충전재로서 상기 수용공간에 채워져 상기 공기이동통로의 이동을 방지하는 동시에 상기 커버 프레임에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할 수도 있다.Wherein the support member is fill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as a filler to prevent the movement of the air movement passage and at the same time to prevent the movement of the air passage, which is applied to the cover frame The load may be supported.

한편, 본 실시예의 에어 매트리스에는 상기 유입구와 대응되는 부분에 선택적으로 오픈할 수 있는 제 1 절개부가 형성되며, 상기 공기이송부 및 상기 매트부를 외측에서 감싸는 제 1 커버가 더 구비될 수 있다.The air mattress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first cover formed with a first cut portion selectively openable to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inflow port, and a first cover covering the air transmission portion and the mat portion from the outside.

상기 제 1 커버는 하부에 공기가 통하지 않는 재질로 형성되는 바닥부 및 상부에 통기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는 통기부를 포함하여, 상기 통기부를 통해서만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The first cover includes a bottom portion formed of a material that does not allow air to pass through at a lower portion thereof, and a vent portion form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air permeable material, so that air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nly through the vent portion.

또한, 본 실시예의 에어 매트리스에는 통기성을 가지며 물세탁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유입구 및 상기 제 1 절개부와 대응되는 부분에 제 2 절개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 1 커버의 외측에 씌워지는 제 2 커버가 더 구비될 수 있다.The air mattress of this embodiment is made of a material that is breathable and water washable and has a second incision formed at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inlet and the first incision to form a second cover May be further included.

한편, 상기 공기 이송부에는 상기 유입구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a plurality of the inflow ports may be formed in the air transfer section.

그리고, 상기 유입구를 개폐하는 캡이 구비되어, 사용하지 않는 유입구는 상기 캡으로 막아 공기의 이동을 차단할 수 있다.In addition, a cap for opening and closing the inflow port is provided, and an unused inflow port is blocked by the cap to block the movement of air.

상기 매트부는 와이어가 불규칙하게 얽혀 형성되는 망상 구조체일 수 있다.The mat portion may be a network structure in which the wires are irregularly entangled.

또한, 상기 하부 프레임의 둘레부는 상기 커버 프레임보다 높게 상부로 연장되어, 상기 커버 프레임의 상부에 상기 매트부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매트부의 측면으로 공기가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eriphery of the lower frame may extend upwardly higher than the cover frame to form a space for accommodating the mat portion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over frame, and to prevent air from being discharg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mat portion.

한편, 본 발명의 에어 매트리스는 상기 유입구와 연통되어 상기 유입구로 공기를 전달하는 송풍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air mattres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blower communicating with the inlet and delivering air to the inlet.

상기 송풍기는 하우징, 송풍부 및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blower may include a housing, a blower, and a control unit.

상기 하우징에는 외부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 상기 흡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배출구는 상기 유입구와 연통될 수 있다.The housing may have a suction port for sucking outside air and a discharge port for discharging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suction port to the outside, and the discharge port may communicate with the inlet port.

상기 송풍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배출구 측으로 공기의 흐름을 강제로 유도하는 송풍팬을 포함할 수 있다.The blower may include a blowing fan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for forcibly guiding a flow of air to the outlet.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송풍부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blowing unit.

상기 송풍기는 상기 흡입구와 상기 배출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흡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열교환을 통해 냉각하며, 상기 제어부에 의해 냉각 정도가 조절되는 냉각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blower may further include a cooling unit disposed between the suction port and the discharge port to cool the air flowing through the suction port through heat exchange and to control the degree of cooling by the control unit.

또한, 상기 송풍기는 상기 흡입구와 상기 배출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흡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하며, 상기 제어부에 의해 가열 정도가 조절되는 가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blower may further include a heating unit disposed between the suction port and the discharge port to heat the air flowing through the suction port and adjust the degree of heating by the control unit.

또한, 상기 송풍기는 상기 매트부 내부의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측정 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 측정 센서로부터 입력된 값과 사용자로부터 기 설정된 값을 실시간으로 비교하여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The air blower further includes a temperature measuring sensor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air inside the mat unit. The controller compares the value input from the temperature measuring sensor with a predetermined value from the user in real time, The temperature of the discharged air can be adjusted.

또한, 상기 흡입구에 구비되어 상기 흡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는 필터가 설치되는 필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ir conditioner may further include a filter unit provided in the suction port and provided with a filter for filtering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air flowing through the suction port.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배출구가 서로 다른 위치에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A plurality of the discharge ports may be formed at different positions in the housing.

상기 배출구와 상기 유입구 사이에는 상기 배출구와 상기 유입구를 연결하는 연결부재가 마련되며, 상기 연결부재의 적어도 일부는 주름관으로 형성될 수 있다.Between the outlet and the inlet, a connecting member for connecting the outlet and the inlet is provided, and at least a part of the connecting member may be formed as a bellows.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첫째,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에어 매트리스는 송풍기, 송풍기로부터 공급된 공기가 이동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 이송부, 공기 이송부의 상부에 위치하여 사용자가 누울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며 다공질의 망상 구조체로 형성되는 매트부를 포함하여 공기 이송부에서 배출된 공기가 사용자에게까지 도달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쾌적함을 느끼게 할 수 있다.First, the air mattress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ir conveying unit that moves air supplied from a blower, a blower, and the like to an outside, and a space that the user can lie down on the air conveying unit. The air discharged from the air conveyance portion reaches the user, thereby making the user feel comfortable.

둘째,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에어 매트리스는 공기 이송부에 유입구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복수 개 형성되며, 송풍기에도 배출구가 복수 개 형성되고, 송풍기의 배출구와 공기 이송부의 유입구를 연결하는 주름관 형태의 연결부재가 구비되어, 송풍기가 설치되는 공간의 모양, 높낮이 등의 특성에 구애받지 않고 주름관 형태의 연결부재에 의해 어디든지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air mattress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air outlets are formed in different directions in the air transfer part, a plurality of outlets are formed in the blower, and a plurality of air outlets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connecting member can be installed anywhere by the connecting member in the form of a corrugated tube regardless of the shape of the space in which the blower is installed, the height, and the like.

셋째,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에어 매트리스는 송풍기의 내부에 필터부, 살균램프 등이 구비되어 매트부로 정화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Third, in the air mattress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lter unit, a sterilizing lamp, and the like are provided in the blower to supply purified air to the mat unit.

넷째,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에어 매트리스는 체압 분산이 가능하여 사용자의 척추가 측면에서 바라보았을 경우 S자의 굴곡을 유지하고, 등 쪽에서 바라보았을 경우 일자를 유지하여 척추의 통증을 방지하고, 사용자에게 쾌적한 수면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Fourth, the air mattress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dispersing body pressure so that when the user's spine is viewed from the side, the S-shaped curvature is maintained, and when viewed from the back side, A comfortable sleeping environment can be provided to the user.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아래에서 설명하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뿐만 아니라 위에서 설명한 요약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해서 읽을 때에 더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도면에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출원은 도시된 정확한 배치와 수단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에어 매트리스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에어 매트리스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매트부의 특성에 따른 사용자의 척추의 굴곡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에어 매트리스의 송풍기가 도 1과 다른 위치에 설치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에어 매트리스의 송풍기가 복수 개 설치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에어 매트리스의 송풍기가 눕혀서 설치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에어 매트리스가 송풍기에 비하여 높은 위치에 설치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에어 매트리스의 지지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에어 매트리스의 제 1 커버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에어 매트리스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에어 매트리스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에어 매트리스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에어 매트리스를 나타내는 단면도;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에어 매트리스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The foregoing summary, as well as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application set forth below, may be better understood when read in conjunction with the appended drawings.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ng the invention, there are shown preferred embodiments in the figures.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is application is not limited to the precise arrangements and instrumentalities shown.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ir mattres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n air mattres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view showing the bending of the user's spin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t portion; Fig.
FIG. 4 is a view showing a blower of an air mattres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ed at a position different from that of FIG. 1;
5 is a view showing a state where a plurality of blowers of an air mattres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stalled;
6 is a view showing a blower of an air mattres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ed in a lying position;
7 is a view showing an air mattres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ed at a higher position than the air blower;
8 is a view showing a support portion of an air mattres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shows a first cover of an air mattres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n air mattres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n air mattress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sectional view showing still another example of the air mattress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n air mattress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1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air mattress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쉽게 개시하기 위하여 설명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첨부된 도면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appended drawings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more easi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You will know.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부호를 사용할 뿐 실질적으론 종래기술의 구성요소와 완전히 동일하지 않음을 미리 밝힌다.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to be noted that elements having the same function are denoted by the same names and numerals, but are substantially not identical to elements of the prior art.

또한,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Also,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are used only to describe certain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or "having" and the like are used to specify that there is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component or a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에어 매트리스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n air mattres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FIG.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에어 매트리스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에어 매트리스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ir mattres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n air mattres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에어 매트리스는 크게 매트부(200), 공기 이송부(100) 및 송풍기(300)를 포함한다.1 and 2, the air mattres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inly includes a mat unit 200, an air transfer unit 100, and a blower 300.

매트부(200)는 사용자가 누울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부분으로서, 공기가 자유롭게 드나들 수 있도록 다공질로 형성되어 통기성을 가질 수 있다. 이로써, 공기 이송부(100)를 통하여 이동한 공기가 매트부(200)의 상부에 위치하는 사용자에게까지 도달하여 사용자가 쾌적한 수면을 취할 수 있다. 특히, 매트부(200)로는 와이어가 불규칙하게 얽혀 형성되는 망상 구조체가 적용될 수 있다.The mat unit 200 is a part providing a space for the user to lie down, and may be made porous and air permeable so that air can freely move. Thus, the air moved through the air conveyance unit 100 reaches the user locat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mat unit 200, so that the user can take a comfortable sleep. In particular, as the mat portion 200, a network structure in which wires are irregularly entangled can be applied.

이와 같이 매트부(200)가 망상 구조체로 형성됨으로써 매트부(200)가 탄성력을 가짐으로써 사용자가 누웠을 때 사용자의 몸체를 받쳐주고, 사용자가 일어나면 다시 원상복귀 될 수 있다. 또한, 매트부(200)에 의해 체압이 분산되어 욕창 방지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쾌적한 수면에 일조할 수 있다.Since the mat unit 200 is formed as a mesh structure, the mat unit 200 has an elastic force to support the user's body when laid down, and can be returned to the original state when the user is awake. In addition, the body part is dispersed by the mat part 200, so that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bedsore can be expected, and a comfortable sleeping surface can be provided.

여기서, 체압이란 사용자의 신체가 대상물에 접촉 시 대상물의 접촉면에 발생하는 압력으로서, 체압 분포는 신체의 안락함에 영향을 주며, 특히 체압 분산이 수면의 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 될 수 있다.Here, the body pressure is a pressure generated on the contact surface of the object when the user's body touches the object, and the body pressure distribution affects the comfort of the body. Particularly, the body pressure dispersion can be an important factor for determining the quality of the sleep.

일반적으로 모든 수면 자세에서 엉덩이 부분의 체압이 가장 높으며, 특히 바로 누운 자세에서는 엉덩이 부분의 체압이 40% 이상을 차지한다. 그리고, 체압이 머리, 몸통, 엉덩이, 다리 부위에 적절하게 분포되지 않으면 허리, 척추가 과도하게 굴곡되거나 편평해져서 사용자가 불편함을 느낄 수 있다.In general, the body pressure of the hip part is the highest in all sleeping positions, and the body pressure of the hip part occupies more than 40% especially in the lying position. And, if the body pressure is not appropriately distributed in the head, trunk, hips, and legs, the waist and spine become excessively bent or flattened, and the user may feel inconvenience.

도 3은 매트부의 특성에 따른 사용자의 척추의 굴곡을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3 is a view showing the bending of the user's spin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t portion. Fig.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트부의 강도에 따라 체압 분산 효과가 달라지면서 척추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매트부가 너무 부드러운 경우에는 도 3(a)와 같이 사용자가 누웠을 경우 매트부 전체가 휘어져 사용자의 신체를 제대로 지지할 수 없으며, 매트부가 너무 단단한 경우에는 도 3(b)와 같이 사용자가 누웠을 경우 매트부가 신체의 굴곡에 대응되지 못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허리 통증을 느낄 수 있다.As shown in FIG. 3, depending on the strength of the mat portion, the body pressure dispersion effect may vary, and the spine may be affected. When the mat portion is too soft, the entire mat portion is bent when the user lies down as shown in Fig. 3 (a), so that the user can not support the user's body properly. If the mat portion is too hard, The user can feel the back pain because it can not cope with the bending of the additional body.

따라서, 본 실시예의 매트부(200)는 도 3(c)와 같이 사용자의 신체 굴곡에 따라 대응될 수 있는 강도를 가짐으로써 체압이 적절히 분산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매트부(200)는 사용자가 바로 누웠을 경우에는 척추가 S자를 유지하도록 하고, 옆으로 누웠을 경우에는 척추가 일자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안락함을 느끼게 하여 수면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3 (c), the mat unit 200 of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strength that can be handled according to the bending of the user's body, so that the body pressure can be appropriately dispersed. The mat unit 200 of the present embodiment allows the vertebrae to maintain the S-shape if the user lies directly, and the vertebrae to maintain the position when the user is lying sideways. This makes the user feel comfortable and can improve the sleep quality.

매트부(200)는 지지부(120)의 상부에 놓일 수 있다. 특히, 하부 프레임(110)의 둘레부(114)는 후술할 지지부(120)보다 높게 상부로 연장되어, 지지부(120)의 상부에 매트부(200)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매트부(200)의 측면을 가로막아 매트부(200)의 측면으로 공기가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mat portion 200 may be plac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portion 120. Particularly, the peripheral portion 114 of the lower frame 110 may extend upwardly above the supporting portion 120 to form a space for receiving the mat portion 200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ing portion 120. At the same time, it is possible to prevent air from being discharged to the side of the mat unit 200 when the side surface of the mat unit 200 is intercepted.

공기 이송부(100)는 하부 프레임(110) 및 지지부(120)를 포함한다.The air transfer part 100 includes a lower frame 110 and a support part 120.

하부 프레임(110)은 사각의 박스 형태로 침대 프레임의 상부에 놓이거나, 바닥에 놓일 수 있다. 하부 프레임(110)의 적어도 일측에는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112)가 형성되며, 상부를 향하여 개구된 내부공간이 형성된다.The lower frame 110 may be placed on top of the bed frame in the form of a square box, or may be placed on the floor. At least one side of the lower frame 110 is formed with an inflow opening 112 through which air flows, and an inner space opened toward the upper side is formed.

본 실시예에서 유입구(112)는 하부 프레임(110)에 서로 다른 방향으로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각 박스 형태의 하부 프레임(110)의 각 측면에 모두 유입구(112)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일 측면에 복수 개의 유입구(112)가 형성될 수도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a plurality of inlet ports 112 may be formed in the lower frame 110 in different directions. For example, an inlet 112 may be formed on each side of the lower frame 110 in the form of a rectangular box. A plurality of inlet ports 112 may be formed on one side surface.

유입구(112)에는 후술할 송풍기(300)가 연결되어 외부 공기가 유입구(112)를 통해 유입되어 공기 이송부(100) 전체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로써 유입구(112)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복수 개가 형성됨으로써 공간의 특성에 구애받지 않고 송풍기(300)를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 blower 300 to be described later is connected to the inlet 112 to allow the outside air to flow through the inlet 112 and to move to the entire air conveying unit 100. As a result, a plurality of the inlet 112 are formed in different directions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blower 300 can be installed regardles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ace.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에어 매트리스의 송풍기가 도 1과 다른 위치에 설치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에어 매트리스의 송풍기가 복수 개 설치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에어 매트리스의 송풍기가 눕혀서 설치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에어 매트리스가 송풍기에 비하여 높은 위치에 설치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4 is a view showing a blower of an air mattres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ed at a position different from that of FIG. 1, and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blower of an air mattres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view showing a state where a blower of an air mattres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aid down. FIG. 7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air mattres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at a higher position than the blower.

본 실시예의 에어 매트리스가 설치되는 공간의 모양에 따라 어떤 공간에서는 송풍기(300)를 머리맡에 두어야 하고, 어떤 공간에서는 송풍기(300)를 발 밑에 두어야 한다. 또, 어떤 경우에는 침대가 송풍기에 비하여 높거나 낮을 수도 있다. 만약, 유입구(112)가 하나만 형성된다면 송풍기(300)와 공기 이송부(100)를 연결하기 위하여 매우 긴 연결부재(390)가 필요할 수도 있다.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space in which the air mattress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installed, the ventilator 300 should be placed in the bedside in some space and the ventilator 300 should be placed under the floor in some space. In some cases, the bed may be higher or lower than the blower. If only one inlet 112 is formed, a very long connecting member 390 may be required to connect the blower 300 and the air transfer unit 100.

그러나, 본 실시예와 같이 하부 프레임(110)에 유입구(112)가 여러 방향으로 복수 개 형성됨으로써 도 1,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간의 모양에 관계 없이 송풍기(300)를 설치할 수 있다.However, since a plurality of inflow openings 112 are formed in the lower frame 110 in various directions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blower 300 is installed regardless of the shape of the space as shown in FIGS. 1, 4 to 7 .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이송부에 송풍기가 하나만 연결될 수도 있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풍기가 도 1과는 다른 위치에 설치될 수도 있으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공기 이송부(100)에 복수 개의 송풍기(300)를 동시에 연결하여 유량을 증가시킬 수도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풍기가 눕혀서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대의 높이가 송풍기의 높이보다 높은 경우에도 주름관을 포함하는 연결부재에 의해 높낮이 보상이 가능하여 다양한 공간 및 높이에 대응되어 설치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1, only one blower may be connected to the air transfer part, and the blower may be installed at a position different from that shown in FIG. 1 as shown in FIG. 4, A plurality of blowers 300 may be simultaneously connected to one air conveyance unit 100 to increase the flow rate. Further, the blower may be laid down as shown in Fig. Further, even when the height of the bed is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blower as shown in FIG. 7, it is possible to compensate for the height by the connecting member including the corrugated pipe, and thus it can be installed in various spaces and heights.

또한, 여기서, 공기 이송부(100)에는 유입구(112)를 개폐하는 캡(118)이 구비되어, 복수 개의 유입구(112) 중 사용하지 않는 유입구(112)는 캡(118)으로 막아 공기의 이동을 차단할 수 있다. 캡(118)은 하부 프레임(110)의 유입구(112) 주변에 와이어(미도시) 등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이로써, 캡(118)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다.The air transfer unit 100 is provided with a cap 118 for opening and closing the inlet 112 so that the unused inlet 112 of the plurality of the inlet 112 is blocked by the cap 118, Can be blocked. The cap 118 may be connected by a wire (not shown) or the like around the inlet 112 of the lower frame 110. Thus, the cap 118 can be prevented from being lost.

하부 프레임(110)의 내부공간은 유입구(112)와 연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에어 매트리스에서는 하부 프레임(110)에 유입구(112)가 복수 개 형성되므로, 내부공간은 복수 개의 각 유입구(112)와 모두 연통될 수 있다.The inner space of the lower frame 110 can communicate with the inlet 112. In the air mattress of this embodiment, a plurality of inflow ports 112 are formed in the lower frame 110, so that the inner space can communicate with the plurality of inflow ports 112.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에어 매트리스의 지지부(12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8 is a view showing a support portion 120 of the air mattres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지지부(120)는 하부 프레임(110)의 내부공간에 수용되어 매트부(200)의 상부에서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한다. 그리고, 이와 동시에 유입구(112)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매트부(200)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로써, 유입구(112)를 통해 유입되어 공기 이송부(100)를 통하여 이동한 공기가 매트부(200)의 상부에 위치하는 사용자에게까지 도달할 수 있다.The support portion 120 is received in the inner space of the lower frame 110 to support a load applied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mat portion 200. At the same time,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112 is formed to be able to move to the mat unit 200. Thus,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112 and moved through the air conveyance unit 100 can reach the user locat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mat unit 200.

본 실시예에서, 지지부(120)는 함몰부(122)와 돌출부(124)가 교대로 형성되는 올록볼록한 계란판과 유사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함몰부(122)는 하부 프레임(110)과 맞닿으며, 돌출부(124)는 매트부(200)와 맞닿게 설치될 수 있다. 함몰부(122)의 함몰 깊이는 돌출부(124)의 돌출 높이보다 깊게 형성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support portion 120 may have a shape similar to an oblique convex egg plate in which the depression 122 and the protrusion 124 are alternately formed. The depression 122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frame 110 and the protrusion 124 is in contact with the mattress 200. The depression depth of the depression 122 may be formed deeper than the protrusion height of the protrusion 124.

또한, 함몰부(122)와 돌출부(124)에는 공기가 이동할 수 있는 공기이동홀(126)이 형성될 수 있다. 즉, 공기는 유입구(112)를 통해 함몰부(122)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되고, 다시 함몰부(122) 및 돌출부(124)에 형성된 공기이동홀(126)을 통하여 매트부(200)로 이동하여 사용자에게까지 도달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쾌적한 수면을 취할 수 있다.The depression 122 and the protrusion 124 may be formed with an air movement hole 126 through which air can move. That is, the air is introduced into the space between the depressions 122 through the inlet 112 and then moved to the mat unit 200 through the air transfer holes 126 formed in the depression 122 and the projection 124 To reach the user. Thereby, the user can take a comfortable sleep.

본 실시예의 에어 매트리스는 공기 이송부(110) 및 매트부(200)를 외측에서 감싸는 제 1 커버(400) 및 제 2 커버(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ir mattress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first cover 400 and a second cover 500 that surround the air conveying portion 110 and the mat portion 200 from the outside.

도 9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에어 매트리스의 제 1 커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9 is a view showing a first cover of an air mattres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커버(400)는 공기 이송부(100)와 매트부(200)를 외측에서 직접적으로 감싸는 것으로서, 유입구(112)와 대응되는 부분에 선택적으로 오픈할 수 있는 제 1 절개부(430)가 형성될 수 있다. 제 1 절개부(430)는 지퍼에 의해 개폐될 수도 있고, 벨크로 등에 의해서 개폐될 수도 있다.9, the first cover 400 is an outer cover that directly surrounds the air conveyance unit 100 and the mat unit 200, and is configured to selectively open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inlet 112, One incision 430 may be formed. The first incision part 430 may be opened or closed by a zipper or may be opened or closed by a velcro or the like.

제 1 커버(400)는 하부에 공기가 통하지 않는 재질로 형성되는 바닥부(420) 및 상부에 통기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는 통기부(410)를 포함할 수 있다. 통기부(410)는 사용자가 눕는 부분이기 때문에 통기성이 뛰어나면서도 폭신폭신한 재질이 적용될 수 있다. 이로써, 통기부(410)를 통해서만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The first cover 400 may include a bottom portion 420 formed of a material that does not allow air to pass through and a vent portion 410 formed of an air permeable material. Since the vent portion 410 is a portion where the user lays down, a material that is excellent in breathability and can be made of a mildew may be applied. Thus, the air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vent portion 410 only.

이와 같이 제 1 커버(400)가 구비됨으로써 망상 구조체로 형성되는 매트부(200) 및 다수의 공기이동홀(126)를 통해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provision of the first cover 400 prevents foreign matter from entering through the mat portion 200 and the plurality of air movement holes 126 formed by the network structure.

제 1 커버(400)는 매트부(200) 및 공기 이송부(100)를 직접적으로 커버하는 것이기 때문에 잦은 세탁이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제 1 커버(400)의 외측에 제 2 커버(500)를 한겹 더 씌워 제 1 커버(400)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Since the first cover 400 directly covers the mat unit 200 and the air transfer unit 100, frequent washing may be difficult.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irst cover 400 from being contaminated by covering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cover 400 with a second cover 500.

제 2 커버(500)는 제 1 커버(400)에 비하여 잦은 세탁이 필요하기 때문에, 통기성을 가지면서도 물세탁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며, 유입구(112) 및 제 1 절개부(430)와 대응되는 부분에 제 2 절개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Since the second cover 500 needs frequent washing as compared with the first cover 400, the second cover 500 is formed of a material that is breathable and water washable, and has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inlet 112 and the first cut- A second cutout (not shown) may be formed.

한편, 송풍기(300)는 공기 이송부(100)의 유입구(112)와 연통되어 유입구(112)로 공기를 전달하는 구성요소로서, 하우징(320), 필터부(330), 냉각부(340), 송풍부(350), 가열부(360), 제어부(370)를 포함할 수 있다.The blower 300 communicates with the inlet 112 of the air conveyance unit 100 and transmits air to the inlet 112. The blower 300 includes a housing 320, a filter unit 330, a cooling unit 340, A blowing unit 350, a heating unit 360, and a control unit 370.

여기서, 송풍기(3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는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한 공지된 배터리와 공지된 전원공급수단을 택일하여 구성되고 별도의 설명은 생략한다.Here, the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power to the blower 300 is constructed by using a known battery which is easy to carry and store, and a known power supply unit,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면에서 하우징(320)은 사각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하우징(320)은 환경 및 목적 등에 따라서 다양한 크기 및 형상을 가질 수 있다.Although the housing 320 is illustrated as being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in the drawing, the housing 320 may have various sizes and shapes depending on environment, purpose, and the like.

하우징(320)의 내부에는 수용공간(322)이 형성되고 외면에는 후술할 필터부(330)가 장착되는 흡입구(324)와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구(326)가 형성될 수 있다. 즉, 하우징(320)은 내부의 수용공간(322)으로 냉각부(340)와 송풍부(350) 및 가열부(360)를 설치하고, 외면에는 필터부(330)와 제어부(370)를 장착하며, 적어도 일 측에는 송풍, 냉풍, 온풍을 배출하는 배출구(326)가 형성될 수 있다.A housing space 322 is formed in the housing 320 and a suction port 324 and a discharge port 326 for discharging the air ar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320. That is, the housing 320 is provided with a cooling part 340, a blowing part 350 and a heating part 360 as an inner accommodation space 322, and a filter part 330 and a control part 370 are mounted on the outer surface thereof And an outlet 326 for discharging air, wind, and warm air may be formed on at least one side.

배출구(326)는 공기 이송부(100)의 유입구(112)와 연통되어 흡입구(324)를 통해 흡입된 공기가 배출구(326)를 통해 공기 이송부(100)로 이동할 수 있다.The outlet port 326 communicates with the inlet port 112 of the air conveyance section 100 so that the air sucked through the inlet port 324 can be moved to the air conveyance section 100 through the outlet port 326.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하우징(320) 일면의 상, 하부에 각각 배출구(326)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하지 않는 배출구(326)를 덮는 커버(328)가 구비될 수 있다.Particularly, in this embodiment, the discharge port 326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housing 320, respectively. And a cover 328 covering the unused outlet 326 may be provided.

또한, 송풍기(300)의 배출구(326)와 공기 이송부(100)의 유입구(112) 사이에는 배출구(326)와 유입구(112)를 연결하는 연결부재(390)가 마련되며, 연결부재(390)의 적어도 일부는 주름관으로 형성될 수 있다.A connecting member 390 for connecting the outlet 326 and the inlet 112 is provided between the outlet 326 of the blower 300 and the inlet 112 of the air conveying unit 100, May be formed as a corrugated pipe.

이로써, 유입구(112)와 송풍기(300) 사이의 거리가 먼 경우 연결부재(390)를 유입구(112)와 배출구(326) 사이에 연결부재(390)를 설치하여 공기가 원활히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연결부재(390)의 적어도 일부가 주름관으로 형성됨으로써, 유입구(112)와 배출구(326)의 높이가 동일하지 않더라도 주름관 형태의 연결부재(390)로서 이를 보상할 수 있다. 또한, 배출구(326)가 하우징(320)의 상, 하부에 각각 형성됨으로써 유입구(112)와 배출구(326)의 높이 차가 심한 경우에는 유입구(112)와 더 가까운 배출구(326)에 연결부재(390)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Thus,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inlet 112 and the blower 300 is long, a connecting member 390 is provided between the inlet 112 and the outlet 326 to allow the air to move smoothly . At least a part of the connecting member 390 is formed as a corrugated pipe so that the connection member 390 having a corrugated pipe shape can compensate the corrugated pipe shape even if the height of the inlet port 112 and the outlet port 326 is not the same. The outlet 326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320 so that the connecting member 390 is connected to the outlet 326, which is closer to the inlet 112 when the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inlet 112 and the outlet 326 is large. ) Can be used by connecting them.

즉, 본 실시예의 에어 매트리스는 공간의 특성에 구애받지 않고 설치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That is, the air mattress of this embodiment is advantageous in that it can be installed without regard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ace.

필터부(330)는 하우징(320)에 장착되고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먼지를 필터링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필터부(330)는 필터 케이스(332)와 필터 케이스(332)의 내부에 장착되는 필터(334) 및 살균램프(336)로 구성될 수 있다. The filter unit 330 is installed in the housing 320 and can filter the dust contained in the introduced air. The filter unit 330 may include a filter case 332 and a filter 334 and a sterilizing lamp 336 mounted inside the filter case 332. [

여기서 필터부(330)를 구성하는 필터(334)는 공기에 포함된 먼지를 걸러낼 수 있는 필터이면 모두 사용이 가능하고, 본 실시예에서 필터부(330)의 필터(334)는 방사성 물질을 취급하는 시설이나 클린룸 등에 고도의 청정환경을 만들 때 미세입자를 고효율로 여과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마이크로 HEPA 필터가 사용될 수 있다.Here, the filter 334 constituting the filter unit 330 can be used as long as it can filter out the dust contained in the air. In this embodiment, the filter 334 of the filter unit 330 is made of the radioactive material Micro HEPA filters can be used that are used to filter fine particles with high efficiency when creating a highly clean environment for handling facilities and clean rooms.

또한, 살균램프(336)는 필터 케이스(332)의 내부에 장착되고 필터(334)에 집진된 먼지 속 세균을 살균할 수 있다. 즉, 필터부(330)는 필터 케이스(332)를 유입되는 공기 속에 포함된 먼지와 유해물질을 필터(334)를 통해 여과하고, 필터(334)의 전방이나 후방에 장착되는 살균램프(336)를 통해 필터(334)에 집진된 먼지 속 세균을 살균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erilizing lamp 336 can sterilize dust bacteria that are mounted inside the filter case 332 and collected in the filter 334. That is, the filter unit 330 filters the dust and harmful substances contained in the air entering the filter case 332 through the filter 334 and the sterilizing lamp 336 mounted on the front or rear of the filter 334, It is possible to sterilize bacteria in the dust collected in the filter 334 through the filter 334.

송풍부(350)는 하우징(320)의 수용공간(322)에 장착되고 필터부(330)를 거쳐 하우징(320)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하우징(320)의 배출구(326) 방향으로 전달할 수 있다.The blowing unit 350 is installed in the housing space 322 of the housing 320 and can transmit the air introduced into the housing 320 through the filter unit 330 toward the outlet 326 of the housing 320 have.

그리고, 송풍부(350)는 일 측에 송풍 유입구(352)가 형성되고 반대 측에는 하우징(320)의 배출구(326)와 연결되는 연결통로(353)가 형성되는 송풍 케이스(351), 송풍 케이스(351)의 일 측에 장착되는 구동모터(354), 및 구동모터(35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구동모터(354)의 작동 시 필터부(330)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연결통로(353)로 유도하는 송풍팬(355)을 포함할 수 있다.The blowing unit 350 has a blowing inlet 352 formed at one side thereof and a blowing case 351 formed at the opposite side thereof with a connecting passage 353 connected to the outlet 326 of the housing 320, And a driving motor 354 which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riving motor 354 and drives the driving motor 354 to drive the air flowing through the filter unit 330 to the connection passage 353 And an air blowing fan 355 for inducing air.

즉, 송풍부(350)는 필터부(330)를 통해 유입되는 여과된 공기를 송풍팬(355)을 이용하여 송풍 유입구(352)를 통해 흡입한 후, 연결통로(353)를 통하여 배출구(326)로 배출하도록 강제로 공기의 흐름을 유도할 수 있다.That is, the blowing unit 350 sucks the filtered air flowing through the filter unit 330 through the blowing inlet 352 using the blowing fan 355 and then blows the air through the blowing inlet 352 through the connecting passage 353 to the discharge port 326 Lt; RTI ID = 0.0 > air). ≪ / RTI >

본 실시예에서는 배출구(326)가 하우징(320) 일면의 상, 하부에 각각 형성되므로 연결통로(353) 또한 각각의 배출구(326)와 연결되도록 두 갈래로 형성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since the discharge port 326 is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one side of the housing 320, the connection passage 353 may also be formed in a bifurcation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respective discharge ports 326.

여기서, 연결통로(353)는 송풍 케이스(35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지만 후술할 가열부(360)와 공기정화부(380)의 장착을 위해 분리 구성될 수 있다.Here, the connection passage 353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air blowing case 351, but may be configured separately for mounting the heating unit 360 and the air purifying unit 38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냉각부(340)는 하우징(320)의 수용공간(322)에 장착되고 송풍부(350)에서 공급되는 공기를 열교환시켜 냉각할 수 있다. The cooling unit 340 is installed in the housing space 322 of the housing 320 and can cool the air supplied from the blowing unit 350 by heat exchange.

공기정화부(380)는 송풍부(350)의 연결통로(353)에 장착되며, UV 램프(382) 및 광촉매필터(384)와 플라즈마 크러스트(386)를 포함할 수 있다. 즉, 공기정화부(380)는 연결통로(353)에 장착되어 송풍부(350)의 작동시 전달되는 공기를 UV 램프(382) 및 광촉매필터(384)를 통해 살균하고 플라즈마 크러스트(386)를 이용하여 탈취할 수 있다.The air purifier 380 is mounted in the connection passage 353 of the airflow 350 and may include a UV lamp 382 and a photocatalytic filter 384 and a plasma crust 386. The air purifier 380 is installed in the connection passage 353 and sterilizes the air delivered during the operation of the air supply unit 350 through the UV lamp 382 and the photocatalytic filter 384 and the plasma crush 386 And can be deodorized.

여기서, 연결통로(353)에 UV 램프(382)와 광촉매필터(384)를 함께 장착한 것은 자외선이 조사된 광촉매 표면의 강력한 산화-환원력을 이용하여 공기에 함유된 균을 살균처리하기 위한 것이다. The reason why the UV lamp 382 and the photocatalytic filter 384 are mounted together in the connection passage 353 is to sterilize the bacteria contained in the air using the strong oxidation-reduction power of the surface of the photocatalyst irradiated with ultraviolet rays.

제어부(370)는 하우징(320)의 일 측에 장착되고 냉각부(340), 송풍부(350), 가열부(360) 및 공기정화부(38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370)는 하우징(320)의 일 측에 장착되어 냉각부(340), 송풍부(350), 가열부(360), 공기정화부(380)의 온/오프 작동과 가열부(360)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370 is mount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320 and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cooling unit 340, the blowing unit 350, the heating unit 360 and the air purifying unit 380. That is, the control unit 370 is mount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320 and controls the ON / OFF operation of the cooling unit 340, the blowing unit 350, the heating unit 360, and the air purifying unit 380, 360 can be controlled.

또한, 제어부(370)는 공기정화부(380)의 UV 램프(382)와 플라즈마 크러스트(386)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키고, 송풍부(350)의 작동시 UV 램프(382)와 플라즈마 크러스트(386)가 동시에 작동시킬 수 있다.The control unit 370 selectively activates the UV lamp 382 and the plasma crush 386 of the air purifying unit 380 and selectively activates the UV lamp 382 and the plasma crush 386, Can be operated simultaneously.

여기서, 제어부(370)는 송풍기(300)의 구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도시된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일 측에는 원격 제어를 위하여 무선접속장치가 선택적으로 장착될 수도 있다.Since the controller 370 may vary depending on the configuration of the blower 300, the controller 370 is not limited to the drawings, and a wireless connection device may be selectively installed on one side for remote control.

한편, 송풍기(300)는 사용자에게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여 제어부(370)로 전달하는 온도 측정 센서(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온도 측정 센서(미도시)는 다공질로 형성되는 매트부(200)의 내부에 설치될 수도 있고, 송풍부(350) 주변에 설치될 수도 있으며, 매트부(200) 주변에 설치될 수도 있다.The blower 300 may further include a temperature sensor (not shown)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air discharged to the user and transmitting the measured temperature to the controller 370. The temperature measuring sensor (not shown) may be installed inside the mat unit 200, formed around the porous unit 350, around the blower unit 350, or around the mat unit 200.

그리고, 제어부(370)는 온도 측정 센서(미도시)로부터 입력된 값과 사용자로부터 기 설정된 값을 실시간으로 비교하여 배출구(326)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370 can compare the value input from the temperature measurement sensor (not shown) with a predetermined value from the user in real time and adjust the temperature of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326.

예를 들면, 겨울에는 배출구(326)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온도가 사람이 쾌적한 수면을 취할 수 있는 최적의 온도인 33도로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온도 측정 센서로부터 입력된 값이 33도보다 낮은 경우에는 가열부(360)를 구동하여 배출구(326)를 통해 배출되는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For example, in winter, the temperature of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326 may be set to 33 degrees, which is an optimum temperature at which a person can take a comfortable sleep. If the value input from the temperature measurement sensor is lower than 33 degrees, the temperature of the exhaust gas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326 may be increased by driving the heating unit 360. [

그리고, 온도 측정 센서로부터 입력된 값이 33도보다 높은 경우에는, 가열부(360)의 구동을 정지하고 송풍 기능만 작동되게 함으로써 공기의 온도를 낮출 수 있다.When the value inputted from the temperature measurement sensor is higher than 33 degrees, the temperature of the air can be lowered by stopping the driving of the heating unit 360 and activating only the blowing function.

이상으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에어 매트리스의 구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The structure of the air mattres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송풍기(300)의 조립 과정에 대하여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assembly process of the blower 30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먼저, 사각형 형상으로 내부에 수용공간(322)이 형성되고 외면에는 흡입구(324)와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구(326)가 형성되는 하우징(320)을 형성한 후 흡입구(324)에 필터 케이스(332)와 필터 케이스(332)의 내부에 장착되는 HEPA 필터(334)로 구성되는 필터부(330)를 장착한다.A housing 320 having a suction port 324 and a discharge port 326 for discharging air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320 and a filter case 332 And a HEPA filter 334 mounted in the inside of the filter case 332 are mounted.

그리고, 하우징(320)의 수용공간(322)으로 일 측에 송풍 유입구(352)가 형성되는 송풍 케이스(351)와 송풍 케이스(351)의 일 측에 장착되는 구동모터(354) 및 구동모터(354)와 결합되면서 구동시 필터부(330)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송풍 케이스(351)의 내부에 흡입하여 연결통로(353)에 송풍시키는 송풍팬(355)으로 구성되는 송풍부(350)를 장착한다. An air blowing case 351 having a blowing inlet 352 formed on one side thereof and a driving motor 354 and a driving motor 352 mounted on one side of the air blowing case 351 are formed in the housing space 322 of the housing 320, And a blowing fan 355 for blowing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filter part 330 into the blowing case 351 and blowing the air into the connecting path 353 when the blowing fan 355 is driven, .

다음으로, 연결통로(353)의 내부로 PTC 히터로 구성되는 가열부(360)와 UV 램프(382) 및 광촉매필터(384)와 플라즈마 크러스트(386)로 이루어진 공기정화부(380)를 순차적으로 장착한 후 송풍 케이스(351)와 하우징(320)의 배출구(326) 사이에 가열부(360)와 공기정화부(380)가 장착된 연결통로(353)를 장착한다. Next, a heating unit 360 composed of a PTC heater, an UV lamp 382, and an air purifying unit 380 including a photocatalytic filter 384 and a plasma crust 386 are sequentially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assage 353 The connecting passage 353 to which the heating section 360 and the air purifying section 380 are mounted is mounted between the air blowing case 351 and the outlet port 326 of the housing 320.

그리고, 하우징(320)의 수용공간(322)으로 냉동기(342)와 냉동기(342)의 일 측에 연결되고 열교환부(346)가 송풍부(350)의 연결통로(353) 내부에 배치되는 냉매관(344)으로 이루어진 냉각부(340)를 장착한다. The heat exchanger 346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refrigerator 342 and the freezer 342 in the accommodation space 322 of the housing 320 and the refrigerant And a cooling section 340 composed of a tube 344 is mounted.

다음으로, 하우징(320)의 외면으로 냉각부(340), 송풍부(350), 가열부(360) 및 공기정화부(380)를 조절하는 제어부(370)를 장착하면 송풍기(300)의 조립이 완료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370 for controlling the cooling unit 340, the blowing unit 350, the heating unit 360 and the air purifying unit 380 is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320 to assemble the blower 300 Can be completed.

그러나, 송풍기(300)의 조립순서는 상술한 것과 다르게 구성될 수 있음을 밝힌다.However, it is noted that the assembling procedure of the blower 300 may be configured differently from the above.

다음으로 송풍기(300)를 통해 송풍, 냉풍, 온풍을 공급하고자 할 경우에는 하기와 같다. Next, blowing, cooling and warm air are supplied through the blower 300 as follows.

먼저, 제어부(370)에서 송풍 신호가 출력되면, 송풍부(350)는 필터부(330)를 거쳐 공급되는 공기를 유입한 후 공기정화부(380)가 장착된 연결통로(353)를 거쳐 배출구(326)를 통해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First, when a blowing signal is outputted from the control unit 370, the blowing unit 350 blows air supplied through the filter unit 330, and then, through the connection passage 353 in which the air purifying unit 380 is mounted, And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pening 326.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송풍부(350)는 제어부(370)의 작동신호에 따라 구동모터(354)가 작동되면, 구동모터(354)는 송풍팬(355)을 회전시키고, 송풍팬(355)은 필터부(330)를 거쳐 공급되는 필터링된 공기를 송풍 케이스(351)의 송풍 유입구(352)로 흡입한 후, 흡입된 공기를 공기정화부(380)를 통해 살균 및 탈취시킨 다음, 연결통로(353)를 통해 하우징(320)의 배출구(326)로 전달하여 공기 이송부(100)로 배출한다. 즉, 송풍기(300)는 송풍기능의 작동시 냉각부(340)와 가열부(360)를 정지시키고 송풍부(350)와 공기정화부(380)만 작동시킨다.The drive motor 354 rotates the blowing fan 355 and the blowing fan 355 rotates the blowing fan 355 so that the blowing fan 355 rotates the blowing fan 355. [ Sucks the filtered air supplied through the filter unit 330 into the air inlet 352 of the air blowing case 351 and then sterilizes and deodorizes the sucked air through the air purifying unit 380, The air is transferred to the outlet 326 of the housing 320 through the passage 353 and is discharged to the air transfer unit 100. That is, the blower 300 stops the cooling unit 340 and the heating unit 360 and operates only the blowing unit 350 and the air purifying unit 380 when the blowing function is operated.

그리고, 제어부(370)에서 냉풍 신호가 출력되면, 냉각부(340)는 냉동기(342)의 작동에 따라 냉매가 냉매관(344)을 따라 이동하고, 송풍팬(355)은 필터부(330)를 거쳐 공급되는 필터링된 공기를 송풍 케이스(351)의 송풍 유입구(352)를 통해 흡입한 후, 흡입된 공기를 공기정화부(380)를 통해 살균 및 탈취시킨 다음, 흡입된 공기를 배출구(326)로 전달하여 공기 이송부(100)로 배출한다.When the cold air signal is outputted from the control unit 370, the cooling unit 340 moves the refrigerant along the refrigerant pipe 344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refrigerator 342 and the blowing fan 355 moves the filter unit 330, And then sucked air is sterilized and deodorized through the air purifying unit 380 and then the sucked air is suck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326 of the air blowing case 351. Then, And discharges the air to the air transfer unit 100. [

이때, 배출구(326)로로 이동하는 공기는 냉매관(344)의 열교환부(346)를 통과하면서 온도가 낮아진 상태로 이동한다. 즉, 송풍기(300)는 냉방기능의 작동시 가열부(360)만 정지시키고 냉각부(340)와 송풍부(350) 및 공기정화부(380)를 작동시킨다. At this time, the air moving to the discharge port 326 passes through the heat exchanging part 346 of the refrigerant pipe 344 and moves to the lowered temperature state. That is, the blower 300 stops only the heating unit 360 and operates the cooling unit 340, the blowing unit 350, and the air purifying unit 380 when the cooling function is operated.

다음으로, 제어부(370)에서 온풍 신호가 출력되면, 송풍부(350)는 필터부(330)를 통해 공기를 유입한 후 흡입된 공기를 연결통로(353)에 전달하고, 가열부(360)는 공기정화부(380)로 이동하는 흡입된 공기를 가열하며, 가열된 공기는 공기정화부(380)를 거쳐 배출구(326)로 이동된 후 외부로 배출한다.When the warm air signal is outputted from the control unit 370, the air blowing unit 350 introduces the air through the filter unit 330, transfers the sucked air to the connection passage 353, And the heated air is moved to the discharge port 326 through the air purifying unit 380 an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가열부(360)는 제어부(370)의 작동에 따라 가열되고, 송풍부(350)는 제어부(370)의 작동신호에 따라 구동모터(354)가 작동되면서 송풍팬(355)을 회전시킨다. 이어서, 송풍팬(355)은 필터부(330)를 거쳐 공급되는 필터링된 공기를 송풍 케이스(351)의 송풍 유입구(352)를 통해 흡입하고, 흡입된 공기는 가열부(360)를 거치면서 온도가 상승된 후 공기정화부(380)를 통해 살균 및 탈취된 다음, 연결통로(353)를 통해 하우징(320)의 배출구(326)로 전달하여 공기 이송부(100)로 배출한다.The heating unit 360 is heat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unit 370 and the blowing unit 350 is operated by the driving motor 354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signal of the control unit 370, 355). The blowing fan 355 sucks the filtered air supplied through the filter unit 330 through the blowing inlet 352 of the blowing case 351 and the sucked air passes through the heating unit 360 And is then sterilized and deodorized through the air purifying unit 380 and then transferred to the discharge port 326 of the housing 320 through the connection passage 353 and discharged to the air transfer unit 100.

이상으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에어 매트리스에 대하여 설명하였다.The air mattres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이하,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에어 매트리스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n air mattres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에어 매트리스는 공기 이송부(100), 매트부(200) 및 송풍기(300)를 포함한다.10, the air mattres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ir transfer part 100, a mat part 200 and a blower 300. [

여기서, 공기 이송부(100)의 지지부(120)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Here, the remaining components except for the supporting portion 120 of the air conveyance unit 100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us description of the same components will be omitted.

다만, 본 실시예의 지지부(120)는 커버프레임 및 지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서는 유입구(112)와 내부공간이 연통될 수 있다.However, the support portion 120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cover frame and a support member.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let 112 may communicate with the inner space.

커버 프레임(130)은 하부 프레임(110)의 상부에서 내부공간을 덮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커버 프레임(130)에는 공기이동통로(150)를 통해 이동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다수의 배출홀(132)이 형성된다. 여기서, 배출홀(132)은 커버 프레임(130)의 전 영역에 걸쳐 고르게 분포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cover frame 130 is provided to cover the inner space at an upper portion of the lower frame 110. The cover frame 130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132 through which the air moved through the air transfer passage 15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Here, the discharge hole 132 may be formed so as to be evenly distributed over the entire area of the cover frame 130.

커버 프레임(130)은 판 형상을 가지며, 여기에 다수의 배출홀(132)이 형성될 수도 있고, 커버 프레임(130) 전체가 메쉬(mesh)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커버 프레임(130)은 상부에서 사용자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단단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The cover frame 130 has a plate shape, and a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132 may be formed therein, or the entire cover frame 130 may be formed of a mesh material. In addition, the cover frame 130 may be formed of a rigid material to support a load applied from a user at an upper portion thereof.

그리고, 지지부재(140)는 하부 프레임(110)과 커버 프레임(130) 사이의 내부공간에 마련되어 커버 프레임(130)에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한다.The support member 140 is provided in an inner space between the lower frame 110 and the cover frame 130 to support a load applied to the cover frame 130.

본 실시예의 지지부재(140)는 커버 프레임(130)으로부터 수용공간(322) 내부로 돌출되어 하부 프레임(110)과 맞닿을 때까지 연장됨으로써 커버 프레임(130)에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The support member 140 of this embodiment can support a load applied to the cover frame 130 by being extended from the cover frame 130 into the receiving space 322 until it abuts the lower frame 110 .

만약, 지지부재(140)가 구비되는 않는다면 사용자가 누웠을 때 커버 프레임(130)에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할 수 없어 커버 프레임(130)이 주저앉을 수 있다.If the support member 140 is not provided, the load applied to the cover frame 130 can not be supported by the user, so that the cover frame 130 can sit down.

본 실시예에서 지지부재(140)는 복수 개의 블록이 적용될 수 있다. 하부 프레임(110)과 커버 프레임(130) 사이에 복수 개의 블록이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됨으로써, 지지부재(140)를 제외한 수용공간(322)이 공기이동통로(150)가 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support member 140 may be a plurality of blocks. A plurality of blocks ar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etween the lower frame 110 and the cover frame 130 so that the accommodation space 322 excluding the support member 140 can be the air movement passage 150.

또는, 지지부재(140)는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단, 이 경우에는 모든 공기이동통로(150)가 유입구(112)와 연통되어야 한다.Alternatively, the support member 140 may be arranged in a zigzag shape. In this case, however, all of the air moving passages 150 should communicate with the inlet 112.

본 실시예의 도면에는 지지부재(140)가 단면이 'U' 형상을 가지는 복수 개의 블록인 것을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지지부재(140)의 형상은 도면에 도시된 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커버 프레임(130)에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떤 것이든 적용될 수 있다.Although the support member 140 is illustrated as being a plurality of blocks having a U-shaped cross section, the shape of the support member 140 is not limited to that shown in the drawings, 130 can be supported as long as it is capable of supporting the load applied to the load.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에어 매트리스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n air mattress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에어 매트리스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에어 매트리스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FIG. 11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n air mattress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2 is a sectional view showing still another example of the air mattress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에어 매트리스는 공기 이송부(100), 매트부(200) 및 송풍기(300)를 포함한다.11 and 12, an air mattress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ir transfer part 100, a mat part 200, and a blower 300. As shown in FIG.

여기서, 공기 이송부(100)의 지지부재(140)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Here, the remaining components except for the support member 140 of the air conveyance unit 100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o that the description of the same components will be omitted.

다만, 본 실시예의 지지부재(140)는 내부공간을 복수 개의 분할공간으로 구획하는 격벽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지지부재(140)에는 상호 인접한 구획공간을 연통하여 공기가 이동할 수 있는 유동홀(142)이 형성될 수 있다.However, the support member 140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have a partition structure that divides the internal space into a plurality of divided spaces. The supporting member 140 may be formed with a flow hole 142 through which the air can move by communicating with adjacent compartment spaces.

또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에 공기가 이동하는 관통홀(146)이 형성되는 유동부재(144)가 유동홀(142)에 끼워져 공기를 이동시키는 동시에, 유동홀(142)의 형성으로 인해 구조적으로 취약해진 지지부재(140)를 보강할 수 있다.Alternatively, as shown in FIG. 12, a flow member 144 in which a through hole 146 through which air moves in the center is inserted into the flow hole 142 to move air, and at the same time, by the formation of the flow hole 142 So that the support member 140 structurally weakened can be reinforced.

이하, 도 13 및 도 14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에어 매트리스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n air mattress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3 and 14. Fig.

도 13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에어 매트리스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에어 매트리스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FIG. 13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n air mattress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4 is a sectional view showing still another example of the air mattress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에어 매트리스는 공기 이송부(100), 매트부(200) 및 송풍기(300)를 포함한다.13 and 14, the air mattress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ir transfer part 100, a mat part 200 and a blower 300. [

여기서, 공기 이송부(100)의 공기이동통로(150) 및 지지부재(140)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Here, the remaining components except for the air movement path 150 and the support member 140 of the air conveyance unit 100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us description of the same components will be omitted.

다만, 본 실시예의 공기이동통로(150)는 별도의 관체로서 내부공간에 지그재그형 또는 격자형으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공기이동통로(150)에는 커버 프레임(130)의 배출홀(132)과 연통되는 복수의 홀(152)이 형성될 수 있다.However, the air moving passages 150 of this embodiment may be arranged in a zigzag or lattice form in the inner space as separate tubes. A plurality of holes 152 may be formed in the air movement passage 150 to communicate with the discharge hole 132 of the cover frame 130.

그리고, 지지부재(140)는 충전재로서 공기이동통로(150)를 제외한 수용공간(322)에 채워져 공기이동통로(150)의 이동을 방지하는 동시에 커버 프레임(130)에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여기서, 지지부재(140)로는 단열 가능한 재질이 적용될 수 있다.The support member 140 is fill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322 except the air movement passage 150 as a filler to prevent the movement of the air movement passage 150 and to support the load applied to the cover frame 130 have. Here, as the support member 140, a heat-insulating material may be applied.

본 실시예에서 지지부재(140)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이동통로(150)가 먼저 배치된 나머지 공간에 채워질 수도 있고,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재(140)가 먼저 채워진 후, 지지부재(140)에 공기이동통로(150)가 설치될 설치홈(148)을 형성하고, 설치홈(148)에 공기이동통로(150)를 배치할 수도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support member 140 may be filled in the remaining space in which the air movement path 150 is first disposed, as shown in FIG. 13, and after the support member 140 is first filled as shown in FIG. 14 The support member 140 may be provided with an installation groove 148 in which the air movement passage 150 is to be installed and the air movement passage 150 may be disposed in the installation groove 148.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It is obvious to them. Therefor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to be considered as illustrative rather than restrictiv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but may be modified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equivalents thereof.

100: 공기 이송부 110: 하부 프레임
112: 유입구 120: 지지부
130: 커버 프레임 132: 배출홀
140: 지지부재 200: 매트부
300: 송풍기 320: 하우징
330: 필터부 340: 냉각부
350: 송풍부 360: 가열부
370: 제어부 380: 공기정화부
390: 연결부재 400: 제 1 커버
500: 제 2 커버
100: air transfer part 110:
112: inlet 120: support
130: cover frame 132: discharge hole
140: support member 200:
300: blower 320: housing
330: filter unit 340: cooling unit
350: convection section 360: heating section
370: control unit 380: air purifying unit
390: connecting member 400: first cover
500: second cover

Claims (22)

사용자가 누울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며, 다공질로 형성되어 공기가 자유롭게 드나들 수 있도록 형성되는 매트부;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며 상부를 향하여 개구된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하부 프레임, 및 상기 내부공간에 수용되어 상기 매트부의 상부에서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상기 매트부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공기 이송부;
를 포함하여, 상기 공기 이송부를 통하여 이동한 공기가 상기 매트부의 상부에 위치하는 사용자에게까지 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매트리스.
A mat portion formed to be porous and formed so as to allow air to freely move;
A lower frame formed with an inlet opening through which air flows and formed with an inner space opened toward the upper portion and a lower frame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to support a load applied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mat portion, An air conveyance part including a support part formed to be able to move to a lower part;
Wherein the air moved through the air conveyance portion reaches the user locat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mat por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함몰부와 돌출부가 교대로 형성되는 올록볼록한 형상을 가지고, 상기 함몰부와 상기 돌출부에는 공기가 이동할 수 있는 공기이동홀이 형성되며, 상기 함몰부는 상기 하부 프레임과 맞닿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매트부와 맞닿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매트리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upporting portion has an oblique convex shape in which depressions and protrusions are alternately formed and air depressions are formed in the depressions and the protrusions so that air can move, the depressions are in contact with the lower frame, Wherein the air mattress is provided so as to abut on the mat por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하부 프레임의 상부에서 상기 내부공간을 덮도록 구비되며,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다수의 배출홀이 형성되는 커버 프레임; 및
상기 하부 프레임과 상기 커버 프레임 사이의 내부공간에 마련되어 상기 커버 프레임에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하는 지지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매트리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upport portion
A cover frame covering the inner space at an upper portion of the lower frame and having a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through which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And
A support member provided in an inner space between the lower frame and the cover frame to support a load applied to the cover frame;
Wherein the air mattress comprises: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커버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수용공간 내부로 돌출되어 상기 하부 프레임과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매트리스.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support member comprises:
And the lower frame is protruded from the cover frame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내부공간을 복수 개의 분할공간으로 구획하는 격벽 구조를 가지며, 상기 지지부재에는 상호 인접한 상기 구획공간을 연통하여 공기가 이동할 수 있는 유동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매트리스.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support member comprises:
Wherein the supporting member has a flow hole through which air can move through the partition space adjacent to each other, wherein the flow hole is formed by dividing the inner space into a plurality of divided spaces.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이송부는 중앙에 공기가 이동하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유동부재가 더 포함하며, 상기 유동부재는 상기 유동홀에 끼워져 상기 지지부재를 보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매트리스.
6. The method of claim 5,
The air mattress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further comprising a flow member having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air moves, the air transferring part being inserted into the flow hole to reinforce the support member.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공간에 지그재그형 또는 격자형으로 배치되는 관체인 공기이동통로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재는 충전재로서 상기 수용공간에 채워져 상기 공기이동통로의 이동을 방지하는 동시에 상기 커버 프레임에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매트리스.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support member is fill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as a filler to prevent the movement of the air movement passage and a load applied to the cover frame Wherein the air mattress is supported by the air mattres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와 대응되는 부분에 선택적으로 오픈할 수 있는 제 1 절개부가 형성되며, 상기 공기이송부 및 상기 매트부를 외측에서 감싸는 제 1 커버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매트리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first cover formed at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inlet, the first cover being selectively openable, and a first cover covering the air transmission portion and the mat portion from the outside.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커버는,
하부에 공기가 통하지 않는 재질로 형성되는 바닥부 및 상부에 통기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는 통기부를 포함하여, 상기 통기부를 통해서만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매트리스.
9. The method of claim 8,
The first cover
And a vent portion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ir permeability at an upper portion of the air mattress, wherein ai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nly through the vent portion.
제 8항에 있어서,
통기성을 가지며 물세탁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유입구 및 상기 제 1 절개부와 대응되는 부분에 제 2 절개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 1 커버의 외측에 씌워지는 제 2 커버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매트리스.
9. The method of claim 8,
And a second cover formed of a material capable of being washed with water and having a breathable property and having a second incision formed at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inlet and the first incision to cover the outside of the first cover air mattres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이송부에는,
상기 유입구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복수 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매트리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air conveying portion,
Wherein a plurality of the inflow ports are formed in different directions.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를 개폐하는 캡이 구비되어, 사용하지 않는 유입구는 상기 캡으로 막아 공기의 이동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매트리스.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a cap for opening and closing the inlet port is provided, and an unused inlet port is blocked by the cap to block the movement of ai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부는,
와이어가 불규칙하게 얽혀 형성되는 망상 구조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 기능을 갖는 에어 매트리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at portion
Wherein the mesh is a network structure in which wires are irregularly intertwin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프레임의 둘레부는 상기 커버 프레임보다 높게 상부로 연장되어, 상기 커버 프레임의 상부에 상기 매트부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매트부의 측면으로 공기가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매트리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periphery of the lower frame extends upward to a height higher than the cover frame to form a space for accommodating the mat portion on an upper portion of the cover frame and to prevent air from being discharged to a side surface of the mat portion. mattres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와 연통되어 상기 유입구로 공기를 전달하는 송풍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매트리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blower communicating with the inlet and delivering air to the inlet.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기는,
외부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 상기 흡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배출구 측으로 공기의 흐름을 강제로 유도하는 송풍팬을 포함하는 송풍부; 및
상기 송풍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배출구는 상기 유입구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매트리스.
16. 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the blower comprises:
A housing having a suction port for sucking outside air and a discharge port for discharging air introduced through the suction port to the outside;
A blowing fan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for forcibly guiding a flow of air to the discharge port side; And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blowing unit,
And the outlet port communicates with the inlet port.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기는,
상기 흡입구와 상기 배출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흡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열교환을 통해 냉각하며, 상기 제어부에 의해 냉각 정도가 조절되는 냉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매트리스.
17. 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the blower comprises:
Further comprising a cooling unit disposed between the suction port and the discharge port to cool the air flowing through the suction port through heat exchange and to control the degree of cooling by the control unit.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기는,
상기 흡입구와 상기 배출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흡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하며, 상기 제어부에 의해 가열 정도가 조절되는 가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매트리스.
17. 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the blower comprises:
Further comprising a heating unit disposed between the suction port and the discharge port to heat the air flowing through the suction port and adjust the degree of heating by the control unit.
제 17항 또는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기는 상기 매트부 내부의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측정 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 측정 센서로부터 입력된 값과 사용자로부터 기 설정된 값을 실시간으로 비교하여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매트리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7 or 18,
Wherein the blower further comprises a temperature measuring sensor for measuring a temperature of air inside the mat unit,
Wherein the controller compares a value input from the temperature measurement sensor with a predetermined value from a user in real time to adjust a temperature of air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에 구비되어 상기 흡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는 필터가 설치되는 필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매트리스.
17. The method of claim 16,
Further comprising a filter unit installed at the suction port and provided with a filter for filtering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suction port.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배출구가 서로 다른 위치에 복수 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매트리스.
17. The method of claim 16,
In the housing,
Wherein a plurality of the discharge ports are formed at different positions.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와 상기 유입구 사이에는 상기 배출구와 상기 유입구를 연결하는 연결부재가 마련되며, 상기 연결부재의 적어도 일부는 주름관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매트리스.
17. 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a connecting member for connecting the outlet and the inlet is provided between the outlet and the inlet, and at least a part of the connecting member is formed as a bellows.
KR1020160120089A 2016-09-20 2016-09-20 Air Mattress KR101913785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0089A KR101913785B1 (en) 2016-09-20 2016-09-20 Air Mattress
JP2017170184A JP2018047234A (en) 2016-09-20 2017-09-05 Air mattres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0089A KR101913785B1 (en) 2016-09-20 2016-09-20 Air Mattres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1449A true KR20180031449A (en) 2018-03-28
KR101913785B1 KR101913785B1 (en) 2018-11-02

Family

ID=617656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0089A KR101913785B1 (en) 2016-09-20 2016-09-20 Air Mattress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18047234A (en)
KR (1) KR101913785B1 (en)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9344A (en) * 2018-08-14 2020-02-24 김형석 Plasma Providing Apparatus
USD919333S1 (en) 2019-08-27 2021-05-18 Casper Sleep Inc. Mattress
WO2021140454A1 (en) * 2020-01-07 2021-07-15 Materassificio Montalese S.P.A. Method and system for conditioning used mattresses
USD927889S1 (en) 2019-10-16 2021-08-17 Casper Sleep Inc. Mattress layer
US11116326B2 (en) 2017-08-14 2021-09-14 Casper Sleep Inc. Mattress containing ergonomic and firmness-regulating endoskeleton
US11202517B2 (en) 2014-04-21 2021-12-21 Casper Sleep Inc. Mattress
KR102356547B1 (en) * 2020-08-14 2022-02-07 최동민 Mattress with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function
US11241100B2 (en) 2018-04-23 2022-02-08 Casper Sleep Inc. Temperature-regulating mattress
KR102367511B1 (en) * 2021-08-13 2022-02-25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Ventilation pad and ventilation pad system including the same
KR102529945B1 (en) * 2022-07-25 2023-05-10 (주)햇빛부자 Heating mat with plasma sterilization func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103823A (en) * 2018-12-28 2020-07-09 シャープ株式会社 Blower
JP2020185350A (en) * 2019-05-29 2020-11-19 株式会社アテックス mat
KR20220081686A (en) 2020-12-09 2022-06-16 코웨이 주식회사 Blower Mattress
KR20220082156A (en) 2020-12-09 2022-06-17 코웨이 주식회사 Blower Bed
KR20230021444A (en) 2021-08-05 2023-02-14 코웨이 주식회사 Blower bed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230100429A (en) 2021-12-28 2023-07-05 코웨이 주식회사 Bed with air blowing function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90261U (en) * 1985-05-20 1986-11-27
JPH07460A (en) * 1991-06-06 1995-01-06 Kyowa Sobi Kk Bedsore preventing mattress
JP2777785B2 (en) * 1995-09-14 1998-07-23 極東興産株式会社 Healthy bedding
US6006524A (en) * 1996-04-18 1999-12-28 Ace Bed Co., Ltd. Temperature controller for bedding
JPH1156537A (en) * 1997-08-20 1999-03-02 Nishiyama Denki Seisakusho:Kk Mat for bedding or bed
JP3056220U (en) * 1998-07-27 1999-02-12 株式会社サン・フレックス Sheet support structure
JP2002085205A (en) * 2000-09-19 2002-03-26 T S Tec Kk Bedding
JP2002320535A (en) * 2001-04-27 2002-11-05 Molten Corp Bedding cover
JP4409124B2 (en) * 2001-08-02 2010-02-03 ▲たかし▼ 丸岡 Nursing mat
JP3086075U (en) * 2001-11-16 2002-05-31 穀生 林 Cool and hot ventilation mat
JP2005192883A (en) * 2004-01-09 2005-07-21 Hitachi Hometec Ltd Thermotherapy apparatus
JP4683860B2 (en) * 2004-05-24 2011-05-18 三洋電機株式会社 Air control futon
KR100726095B1 (en) * 2005-03-14 2007-06-12 차찬열 Air mat with the function to blow a natural wind, artificial warm wind, or cold wind selectively
JP3968373B2 (en) * 2005-05-31 2007-08-29 清史 高木 Temperature adjustment mat
JP4739882B2 (en) * 2005-09-22 2011-08-03 株式会社ボンフォーム mattress
KR200414849Y1 (en) * 2006-01-27 2006-04-25 차찬열 Air mat with the function to blow air
JP2009125255A (en) * 2007-11-22 2009-06-11 Wataru Nakanishi Mattress
JP3157138U (en) * 2009-11-17 2010-01-28 洋 水越 Carbon dioxide discharge floor
KR101343142B1 (en) * 2012-03-06 2013-12-20 (주)에스티에너지 A Bed Having Cooling And Heating Apparatus
KR101560369B1 (en) * 2014-05-08 2015-10-19 김소연 Coldness and warmth mat

Cited B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22636B2 (en) 2014-04-21 2023-04-11 Casper Sleep Inc. Mattress
US11202517B2 (en) 2014-04-21 2021-12-21 Casper Sleep Inc. Mattress
US11116326B2 (en) 2017-08-14 2021-09-14 Casper Sleep Inc. Mattress containing ergonomic and firmness-regulating endoskeleton
US11241100B2 (en) 2018-04-23 2022-02-08 Casper Sleep Inc. Temperature-regulating mattress
WO2020036406A3 (en) * 2018-08-14 2020-04-09 김형석 Plasma supply device
KR20200019344A (en) * 2018-08-14 2020-02-24 김형석 Plasma Providing Apparatus
USD919333S1 (en) 2019-08-27 2021-05-18 Casper Sleep Inc. Mattress
USD993673S1 (en) 2019-08-27 2023-08-01 Casper Sleep Inc. Mattress
USD992933S1 (en) 2019-08-27 2023-07-25 Casper Sleep Inc. Mattress
USD992932S1 (en) 2019-08-27 2023-07-25 Casper Sleep Inc. Mattress
USD990935S1 (en) 2019-08-27 2023-07-04 Casper Sleep Inc. Mattress
USD927889S1 (en) 2019-10-16 2021-08-17 Casper Sleep Inc. Mattress layer
USD932809S1 (en) 2019-10-16 2021-10-12 Casper Sleep Inc. Mattress layer
WO2021140454A1 (en) * 2020-01-07 2021-07-15 Materassificio Montalese S.P.A. Method and system for conditioning used mattresses
KR102356547B1 (en) * 2020-08-14 2022-02-07 최동민 Mattress with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function
WO2023017985A1 (en) * 2021-08-13 2023-02-16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Ventilation pad and ventilation pad system comprising same
KR102367511B1 (en) * 2021-08-13 2022-02-25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Ventilation pad and ventilation pad system including the same
KR102529945B1 (en) * 2022-07-25 2023-05-10 (주)햇빛부자 Heating mat with plasma sterilization fun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3785B1 (en) 2018-11-02
JP2018047234A (en) 2018-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3785B1 (en) Air Mattress
US9854921B2 (en) Active airflow temperature controlled bedding systems
US20210322237A1 (en) Climate-Controlled Topper Member for Beds
US20180344044A1 (en) System and method for thermoelectric personal comfort controlled bedding
US10047981B2 (en) System and method for thermoelectric personal comfort controlled bedding
EP1380276B1 (en) Neonatal bubble
EP3737265B1 (en) Active comfort controlled bedding systems
KR101851522B1 (en) A blowing module for a cool sheet and a cool sheet for a baby using the same
KR20210151666A (en) Heat exchanger with sterilization function and ventilation method using the same
KR101955968B1 (en) A blowing module for a cool sheet and a cool sheet for a baby using the same
KR200308486Y1 (en) Bed having air-cleaner
CN214307457U (en) Distributed ventilation system for ward
JP2023071590A (en) Energy saving type air purification clean ventilation system linked to weather information
JP2009131303A (en) Bed with air conditioner
KR20170119587A (en) Air blower
KR200252907Y1 (en) mattress
TWI812280B (en) Mattress with air conditioner
JP2019038273A (en) Air-conditioning blower
KR200231216Y1 (en) mattress
JP2007215909A (en) Air conditioning system
KR100374006B1 (en) mattress
KR200162165Y1 (en) A bed structure having a ventilation apparatus
JP2003289990A (en) Apparatus for improving sleep environment
KR200240434Y1 (en) Bed for burn pati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