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9710A - 유해물질 배출 차량 관리 시스템과 이를 위한 차량관리장치 - Google Patents

유해물질 배출 차량 관리 시스템과 이를 위한 차량관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9710A
KR20180029710A KR1020160118153A KR20160118153A KR20180029710A KR 20180029710 A KR20180029710 A KR 20180029710A KR 1020160118153 A KR1020160118153 A KR 1020160118153A KR 20160118153 A KR20160118153 A KR 20160118153A KR 20180029710 A KR20180029710 A KR 201800297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vehicle
vehicle management
review
coll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81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인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디위즈오토모바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디위즈오토모바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디위즈오토모바일
Priority to KR10201601181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29710A/ko
Publication of KR201800297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97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20Point-of-sale [POS] network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80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 H04N23/81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for suppressing or minimising disturbance in the image signal generation
    • H04N5/217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해물질 배출 차량 관리 시스템과 이를 위한 차량관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관리 시스템은, 차량에 탑재된 장치와 통신채널을 연결하는 통신채널 연결수단과, 상기 통신채널을 통해 장치로부터 모듈구성정보, 운전자정보, 차량정보, 운수업체정보, 기준정보, 사용자정보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차량관리정보를 수신하는 관리정보 수신수단과, 상기 통신채널을 통해 장치로부터 차량운행정보, 위치정보, 센싱정보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수집정보를 수신하는 수집정보 수신수단과, 상기 수집정보에 포함된 상기 차량의 유해물질 배출상태 및 유해물질 배출이 측정된 위치/지역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차량의 특정 지역별 유해물질 배출상태에 대한 유해물질 검토정보를 생성하는 검토정보 생성수단과, 상기 생성된 유해물질 검토정보를 상기 차량관리장치, 지정된 통신단말, 제휴된 공공기관에 구비된 서버나 단말로 전송하는 검토정보 전송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유해물질 배출 차량 관리 시스템과 이를 위한 차량관리장치{System for Managing Harmful substances Emission Vehicle and Device for The Same}
본 발명은 차량에 탑재되는 차량관리장치를 통해 상기 차량이 특정 지역이나 위치에서 배출하는 유해물질정보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위치/지역 별 유해물질정보를 기반으로 유해물질 검토정보를 생성하여 차량 운전자, 정비소의 관리자, 공공기관 등으로 제공함으로써, 해당 차량의 유해물질 배출 여부를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유해물질 배출 차량 관리 시스템과 이를 위한 차량관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미세 먼지나 차량 배기가스 등의 매연 등으로 인한 환경오염문제가 대두되고, 이에 따른 국민 건강에 대한 우려와 관심이 높아지면서, 이에 대처하기 위한 노후 경유차 수도권 운행 제한, 친환경 버스 운행 등 다양한 대책들이 제기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00251호(2009년01월07일 공개)는 매연차량 자동판독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매연 배출 의심 차량의 차량 번호 및 배출가스를 촬영하여 매연 차량에 대한 경고 등을 수행하는 구성을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의 경우에는, 촬영 정보만으로 해당 차량의 매연 배출 여부를 명확하게 판단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특정 지역에서 준수하고 있는 기준치에 해당 차량의 매연 배출량이 만족하는지 여부에 대한 확인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오프라인 가맹점에 구비된 POS를 통해 현금카드를 소지한 고객이 요청하는 결제요청 및 출금요청에 대한 동시 처리를 수행하여, 고객이 소지한 현금카드와 연결된 금융계좌에서 결제요청금액과 출금요청금액을 합산한 금액을 출금하고 결제금액 처리 후 POS에서 출금요청금액을 고객에게 지급하거나, 출금요청금액을 출금하여 결제요청금액을 제한 나머지 금액을 POS에서 고객에게 지급해주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관리 시스템은, 차량에 탑재된 장치와 통신채널을 연결하는 통신채널 연결수단과, 상기 통신채널을 통해 장치로부터 모듈구성정보, 운전자정보, 차량정보, 운수업체정보, 기준정보, 사용자정보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차량관리정보를 수신하는 관리정보 수신수단과, 상기 통신채널을 통해 장치로부터 차량운행정보, 위치정보, 센싱정보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수집정보를 수신하는 수집정보 수신수단과, 상기 수집정보에 포함된 상기 차량의 유해물질 배출상태 및 유해물질 배출이 측정된 위치/지역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차량의 특정 지역별 유해물질 배출상태에 대한 유해물질 검토정보를 생성하는 검토정보 생성수단과, 상기 생성된 유해물질 검토정보를 상기 차량관리장치, 지정된 통신단말, 제휴된 공공기관에 구비된 서버나 단말로 전송하는 검토정보 전송수단을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차량운행정보는, 속도, 브레이크, 도어, 방향표시등, 경적, 상향등, 하향등, 분당엔진회전수(RPM)을 하나 이상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위치정보는, 위도, 경도, 고도, 행정구역명, 지명을 하나 이상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센싱정보는, 이산화탄소발생량, 매연발생량, 주유량, 공회전수, 공회전 소음을 하나 이상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관리 시스템은, 상기 생성된 유해물질 검토정보를 검토 결과 및 상황에 따라 제공할 단말 또는 서버를 판단하는 정보제공 판단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유해물질 검토정보는, 특정 지역/위치 별 유해물질 배출량 기준, 유해물질 배출에 따른 경고 기준, 유해물질 배출에 따른 범칙금/과태료 부과 기준, 유해물질 배출에 따른 운행제한 기준을 하나 이상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차량에 탑재되며, 운행기록모듈, 위치기록모듈 및 센서모듈을 구비하여 각 모듈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모듈로부터 수집되는 수집정보를 차량 관리 시스템으로 제공하는 차량관리장치는, 상기 운행기록모듈, 위치기록모듈 및 센서모듈 중 하나 이상의 모듈로부터 유해물질 검토정보 생성에 필요한 하나 이상의 정보를 획득하여 수집정보를 구성하는 수집정보 구성부와, 상기 구성된 수집정보를 수집시각 값, 수집간격 값, 수집주기 값, 수집위치/지역 값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구분하고 상기 차량관리장치에 구비된 메모리부에 차량의 차량관리정보와 연계된 수집정보 저장영역에 저장하는 정보 저장부와, 상기 구성 또는 저장된 수집정보를 차량 관리 시스템으로 무선통신을 통해 차량 관리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정보 전송부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차량관리장치는, 운행기록모듈을 통해 수집된 차량운행정보와 위치기록모듈을 통해 수집된 위치정보와 센서모듈을 통해 수집된 센싱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유해물질 배출상태 및 유해물질 배출이 측정된 위치/지역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차량의 특정 지역별 유해물질 배출상태에 대한 유해물질 검토정보를 생성하는 검토정보 생성부 및 유해물질 검토정보를 상기 차량관리장치에 구비되거나 또는 상기 차량관리장치와 연결되는 장치 등의 화면출력수단(별도 도시하지 않음)을 통해 출력하도록 하는 검토정보 출력부를 더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실시간 또는 배치타입으로 차량에서 배출되는 매연 등의 유해물질량을 위치나 지역 별로 확인할 수 있어, 해당 위치나 지역에서 준수해야 하는 기준치의 초과 여부를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는 이점과, 기준치 초과 여부에 따라 공공기관과 연계하여 적절한 경고나 범칙금 부과 등을 보다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차량 관리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차량관리장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른 유해물질 배출에 대한 차량 관리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른 유해물질 배출에 대한 차량 관리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면1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차량 관리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은 센서모듈, 위치기록모듈, 운행기록모듈을 하나 이상 구비(또는 케이블 연결)한 차량관리장치(200)로부터 각 모듈에서 수집되는 차량관리정보, 차량운행정보, 센싱정보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수집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수집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특정 지역별 유해물질 배출상태를 파악하고, 유해물질 배출상태에 대한 유해물질 검토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차량관리장치(200), 지정된 통신단말, 제휴된 공공기관에 구비된 서버나 단말로 전송하는 차량 관리 시스템(100)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구성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세분화되거나, 또는 합쳐진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1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차량 관리 시스템(100)은, 각 차량에 탑재된 차량관리장치(200)의 무선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차량관리장치(200)와 무선 통신이 연결되며, 상기 차량관리장치(200)와 이동식 저장장치의 매체를 공유하거나, 소정의 케이블을 통해 관리자 단말(155)과 통신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차량에 탑재되는 차량관리장치(200)는 각 장치 별, 모델 별, 제조사 별로 이종의 운행기록모듈, 위치기록모듈 및 무선통신모듈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이종의 운행기록모듈, 위치기록모듈 및 무선통신모듈을 통해 수집되는 각종 차량관리정보 및 차량운행정보는 동일한 정보 항목이라도 해당 정보가 수집되는 위치(또는 지역), 수집 주기가 서로 다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차량관리장치(200)는 하나 이상의 센서로부터 센싱되는 센싱정보를 수집하는 센서모듈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센서모듈을 통해 수집되는 센싱정보 역시 해당 센싱정보가 수집되는 위치(또는 지역), 수집 주기가 서로 다를 수 있다.
특히, 상기 센서는 상기 차량에서 배출되는 매연 등의 유해물질을 센싱하기 위해 상기 차량의 배기기관 등 유해물질 측정이 가능한 위치에 부착 및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센서모듈은 상기 센서에 의해 측정된 유해물질 배출량을 수집할 수 있으며, 상기 수집된 유해물질 배출정보를 상기 차량 관리 시스템(100)으로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차량관리장치(200)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로부터 획득되는 카메라영상정보를 수집하는 카메라모듈을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카메라모듈을 통해 수집되는 카메라영상정보 역시 각 카메라 규격에 따라 서로 다른 수집 주기와 해상도 및 프레임 수를 지닐 수 있다.
상기 차량관리장치(200)에 구비된 무선통신모듈 역시 각 장치 별, 모델 별, 제조사 별로 WiBro, HSDPA, HSUPA, GSM, Wifi, X-AN, WLAN, WCDMA, CDMA, LTE, RFID 중에서 하나 이상의 무선 통신 방식이 선택적으로 사용되어 서로 다를 수 있으며, 상기 무선통신모듈은 각 무선 통신망의 기지국과 상기 차량관리장치(200) 간 무선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무선 통신 구간을 연결할 수 있으며, 상기 기지국은 상기 무선 통신망 상의 유선 구간을 통해 상기 차량관리장치(200)와 상기 차량 서비스 제공 시스템 간 통신채널을 연결할 수 있다.
상기 관리자 단말(155)은 상기 차량관리장치(200)가 구비된 차량을 검사/관리/등록하는 자가 이용하는 단말의 총칭으로서, 유, 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차량 관리 시스템(100)과 통신 연결되며, 이동식 저장장치의 매체나 소정의 케이블을 통해 상기 차량관리장치(200)와 공유하여 상기 차량관리장치(200)에 저장된 각종 정보를 상기 유, 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차량 관리 시스템(1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이동식 저장장치가 USB 메모리인 경우, 상기 차량관리장치(200)와 관리자 단말(155)은 USB 포트를 구비하며, 상기 차량관리장치(200)에서 상기 USB 포트를 통해 상기 USB 메모리로 복사/이전한 저장정보는 상기 관리자 단말(155)에 구비된 USB 포트를 통해 상기 관리자 단말(155)로 복사/이전되며, 상기 관리자 단말(155)은 상기 복사/이전된 저장정보를 상기 유, 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차량 관리 시스템(1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관리장치(200)와 관리자 단말(155)에 직렬 또는 병렬 방식의 소정의 케이블 단자가 구비된 경우, 상기 차량관리장치(200)와 관리자 단말(155)은 소정의 케이블을 통해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케이블을 통해 상기 차량관리장치(200)의 저장정보는 상기 관리자 단말(155)로 복사/이전될 수 있으며, 상기 관리자 단말(155)은 상기 복사/이전된 저장정보를 상기 유, 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차량 관리 시스템(1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차량 관리 시스템(100)은, 상기 차량관리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차량운행정보와 수집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매체(150)를 구비하거나, 또는 통신 연결하여 관리하며, 상기 차량관리정보는 상기 차량에 구비된 차량관리장치(200)에 대응하는 모듈구성정보, 운전자정보, 차량정보, 운수업체정보, 기준정보, 사용자정보를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수집정보는 운행기록모듈을 통해 수집된 차량운행정보와 위치기록모듈을 통해 수집된 항법정보 및 위치정보와 센서모듈을 통해 수집된 센싱정보 및 카메라모듈을 통해 수집된 카메라영상정보를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듈구성정보는 상기 차량에 탑재된 차량관리장치(200)에 구비된 운행기록모듈, 위치기록모듈, 센서모듈 중 하나 이상의 모듈에 대한 모델명(또는 제조사), 장치스펙을 하나 이상 포함하며, 각 모듈을 통해 수집되는 정보의 속성과 수집 주기 및 정보 단위와 최저/최고 한계 값을 식별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모듈구성정보는 상기 센서모듈에 대한 하나 이상의 센서 정보와 각 센서와 연결된 센서모듈의 모델명(또는 제조사), 장치스펙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운전자정보는 상기 차량관리장치(200)가 탑재된 차량을 운전하는 운전자의 운전면허증정보, 보험정보, 상기 차량이 운수회사 소유인 경우 운전자사번, 상기 차량이 영업용인경우 영업증정보를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정보는 상기 차량관리장치(200)가 탑재된 차량의 차량번호, 차대번호, 차량등록번호를 하나 이상 포함하고, 차량의 제조사, 모델명, 년식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운수업체정보는 상기 차량이 운수회사 소유인 경우 운수회사의 사업자등록번호, 운수업종, 법인등록번호를 포함하고, 운수업종은 시내버스, 농어촌버스, 마을버스, 시외버스, 고속버스, 전세버스, 특수여객자동차, 법인택시, 개인택시, 일반화물자동차, 개별화물자동차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준정보는 상기 차량에 탑재된 차량관리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각종 수집정보의 단위와 코드(예컨대, 상기 수집정보가 20비트 정수 값임을 의미하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정보는 상기 차량관리장치(200)가 탑재된 차량을 운전 또는 관리하는 사용자의 소속, 성명, 주소, 권한을 하나 이상 포함한다.
상기 차량운행정보는 속도, 브레이크, 도어, 방향표시등, 경적, 상향등, 하향등, 분당엔진회전수(RPM)을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항법정보는 가속도, 각가속도, 롤각도, 요각도, 피치각, 분당엔진회전수(RPM), 안전띠착용을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위치정보는 위도, 경도, 고도를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싱정보는 상기 차량에 부착/장착되는 센서를 통해 수집되는 이산화탄소발생량, 매연발생량, 주유량, 공회전 소음 등의 유해물질을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카메라영상정보는 사진, 동영상을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차량 관리 시스템(100)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 각 차량에 탑재된 차량관리장치(200)와 통신채널을 연결하고, 상기 차량관리장치(200)로부터 하나 이상의 모듈을 통해 수집된 수집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무선 통신 주기를 확인하는 통신채널 관리수단(105)과, 상기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차량관리장치(200)로부터 모듈구성정보, 운전자정보, 차량정보, 운수업체정보, 기준정보-단위, 코드-, 사용자정보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차량관리정보를 수신하는 관리정보 수신수단(110)과, 상기 차량에 탑재된 차량관리장치(200)와 통신채널이 연결되고, 상기 무선 통신 주기가 확인되면, 상기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차량관리장치(200)로부터 각 수집 주기 별로 분류한 수집정보를 상기 무선 통신 주기에 따라 수신하는 수집정보 수신수단(115)과, 상기 수집정보에 포함된 상기 차량의 유해물질 배출상태 및 유해물질 배출이 측정된 위치/지역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차량의 특정 지역별 유해물질 배출상태에 대한 유해물질 검토정보를 생성하는 검토정보 생성수단(120)과, 상기 생성된 유해물질 검토정보를 검토 결과 및 상황에 따라 제공할 단말 또는 서버를 판단하는 정보제공 판단수단(125)과, 상기 생성된 유해물질 검토정보를 상기 차량관리장치(200), 지정된 통신단말, 제휴된 공공기관에 구비된 서버나 단말로 전송하는 검토정보 전송수단(130)과, 상기 차량관리정보, 수집정보, 유해물질 검토정보 및 유해물질 검토정보 전송내역을 저장하는 정보 저장수단(135)을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통신채널 관리수단(105)은, 상기 차량에 구비된 키 박스의 키 온(Key On)에 따라 상기 차량에 구비된 차량관리장치(200)에 구비된 무선통신모듈이 무선 통신망을 통해 통신채널 연결을 요청하면, 상기 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무선통신모듈과 각 무선 통신망 별 통신 파라미터를 교환하여 상기 차량에 탑재된 차량관리장치(200)와 통신채널을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채널 관리수단(105)은, 상기 차량관리장치(200)에 구비된 운행기록모듈, 위치기록모듈, 센서모듈 중 하나 이상의 모듈을 통해 각 수집 주기 별로 수집되는 수집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무선 통신 주기를 확인할 수 있으며, 상기 무선 통신 주기는 상기 차량관리장치(200)에 구비된 각 모듈에서 수집정보를 수집하는 수집 주기 중 어느 하나의 수집 주기에 대응할 수 있다.
상기 차량에 탑재된 차량관리장치(200)와 통신채널이 연결되면, 상기 관리정보 수신수단(110)은 상기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차량관리장치(200)로부터 모듈구성정보, 운전자정보, 차량정보, 운수업체정보, 기준정보(단위, 코드), 사용자정보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차량관리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관리정보 수신수단(110)은 상기 차량관리정보를 통신채널 연결과 동시에 일회 수신할 수 있고, 상기 차량관리정보에 변경 사항이 존재할 때마다 이를 확인하여 갱신하여 수신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관리정보 수신수단(110)은, 상기 차량관리장치(200)로부터 차량관리정보가 포함된 수집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상기 차량관리정보의 변경 사항이 존재할 때마다 이를 확인하여 갱신하여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수집정보 수신수단(115)은, 상기 통신채널 관리수단(105)에 의해 상기 차량에 탑재된 차량관리장치(200)와 통신채널이 연결되고, 상기 무선 통신 주기가 확인되면, 상기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차량관리장치(200)로부터 소정의 수집 주기 별로 분류한 수집정보를 상기 확인된 무선 통신 주기에 따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수집정보 수신수단(115)은 차량운행정보, 항법정보, 위치정보, 센싱정보 및 카메라영상정보 중 상기 차량 관리 시스템(100)으로 전송하도록 결정된 수집정보를 상기 무선 통신 주기에 따라 일괄 전송하는 프로토콜 포맷에 따라 상기 수집정보를 수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수집정보 수신수단(115)은 차량운행정보, 항법정보, 위치정보, 센싱정보 및 카메라영상정보 중 매칭/비례하는 수집 주기의 수집정보를 각 수집주기와 매칭되는 무선 통신 주기에 따라 분할하여 전송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토콜 포맷에 따라 상기 수집정보를 수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수집정보에 포함된 센싱정보는 상기 차량에 부착/장착되는 센서를 통해 수집되는 이산화탄소발생량, 매연발생량, 주유량, 공회전 소음 등의 유해물질에 대한 측정값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리정보 수신수단(110)을 통해 상기 차량에 탑재된 차량관리장치(200)로부터 모듈구성정보, 운전자정보, 차량정보, 운수업체정보, 기준정보(단위, 코드), 사용자정보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차량관리정보가 수신되고, 상기 수집정보 수신수단(115)을 통해 상기 차량에 탑재된 차량관리장치(200)로부터 차량운행정보, 항법정보, 위치정보, 센싱정보 및 카메라영상정보 등을 포함하는 수집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검토정보 생성수단(120)은 상기 차량관리정보와 상기 수집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특정 지역/위치별 유해물질 배출상태에 대한 유해물질 검토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차량 관리 시스템(100)과 연동하거나, 차량 관리 시스템(100)에 구비된 저장매체(150)에는 상기 유해물질 검토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검토기준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검토기준정보는 특정 지역/위치 별 유해물질 배출량 기준, 유해물질 배출에 따른 경고 기준, 유해물질 배출에 따른 범칙금/과태료 부과 기준, 유해물질 배출에 따른 운행제한 기준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검토정보 생성수단(120)은 상기 차량관리정보, 수집정보, 검토기준정보를 근거로 유해물질 검토정보를 생성하는데, 여기서 생성되는 유해물질 검토정보는 상기 차량의 특정 위치 별 유해물질 배출량, 상기 특정 위치에서의 유해물질 배출 기준량 초과 여부, 유해물질 배출 기준량 초과 시 범칙금/과태료 정보, 유해물질 배출 기준량 초과 시 경고(누적) 여부, 유해물질 배출 기준량 초과 시 운행제한 여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검토정보 생성수단(120)을 통해 상기와 같은 유해물질 검토정보가 생성되면, 상기 정보제공 판단수단(125)은 상기 생성된 유해물질 검토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유해물질 검토정보를 제공받을 단말이나 서버를 선택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차량의 특정 위치에서의 유해물질 배출량이 상기 특정 위치의 배출 기준치에 근접하는 경우에는 상기 차량의 차량관리장치(200)나 상기 차량의 운전자의 통신단말로 상기 유해물질 검토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차량의 특정 위치에서의 유해물질 배출량이 상기 특정 위치의 배출 기준치를 초과하거나, 상기 특정 위치의 배출 기준 조건을 벗어나는 경우, 상기 차량의 차량관리장치(200)나 상기 차량의 운전자의 통신단말 외에, 상기 생성된 유해물질 검토정보를 상기 특정 위치에서 상기 유해물질 배출 사항을 관리 및 감독하는 공공기관의 단말이나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검토정보 생성수단(120)을 통해 상기와 같은 유해물질 검토정보가 생성되고, 상기 정보제공 판단수단(125)을 통해 상기 유해물질 검토정보가 제공될 서버 또는 단말이 결정되면, 상기 검토정보 전송수단(130)은 상기 유해물질 검토정보를 차량관리장치(200), 지정된 통신단말, 제휴된 공공기관에 구비된 서버나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정보 저장수단(135)은 상기 관리정보 수신수단(110)을 통해 상기 차량에 탑재된 차량관리장치(200)로부터 모듈구성정보, 운전자정보, 차량정보, 운수업체정보, 기준정보(단위, 코드), 사용자정보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차량관리정보와, 상기 수집정보 수신수단(115)을 통해 상기 차량에 탑재된 차량관리장치(200)로부터 차량운행정보, 항법정보, 위치정보, 센싱정보 및 카메라영상정보 등을 포함하는 수집정보와, 상기 검토정보 생성수단(120)을 통해 생성된 유해물질 검토정보를 저장매체(150)에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유해물질 검토정보는 상기 수집정보를 근거로 상기 유해물질 배출량이 측정된 상기 차량의 위치나 지역 별로 구분되어 저장될 수 있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차량 관리 시스템(100)은, 상기 차량에 구비된 차량관리장치(200)와 상기 차량관리장치(200)가 구비된 차량을 검사/관리/등록하는 자가 이용하는 관리자 단말(155)이 이동식 저장장치의 매체나 소정의 케이블을 통해 공유 또는 연결되어 상기 관리자 단말(155)이 상기 차량관리장치(200)에 저장된 차량관리정보 및 수집정보를 획득하는 경우, 상기 관리자 단말(155)로부터 모듈구성정보, 운전자정보, 차량정보, 운수업체정보, 기준정보-단위, 코드-, 사용자정보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차량관리정보를 수신하여 확인하는 관리정보 확인수단(140)과, 상기 관리자 단말(155)로부터 각 수집 주기 별로 분류한 수집정보를 수신하여 확인하는 수집정보 확인수단(145)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관리정보 확인수단(140)을 통해 확인된 차량관리정보와 상기 수집정보 확인수단(145)을 통해 확인된 수집정보를 근거로 상기 검토정보 생성수단(120)은 상기 차량의 유해물질 배출상태 및 유해물질 배출이 측정된 위치/지역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차량의 특정 지역별 유해물질 배출상태에 대한 유해물질 검토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정보제공 판단수단(125)은 상기 생성된 유해물질 검토정보를 검토 결과 및 상황에 따라 제공할 단말 또는 서버를 판단하며, 상기 검토정보 전송수단(130)은 상기 생성된 유해물질 검토정보를 상기 차량관리장치(200), 지정된 통신단말, 제휴된 공공기관에 구비된 서버나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도면2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차량관리장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차량관리장치(200)는, 차량에 구비된 ECU로부터 차량운행정보를 수집하는 운행기록모듈(245)과, 차량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센서로부터 센싱되는 센신정보가 수집되는 위치/지역 확인을 위한 위치정보를 수집하는 위치기록모듈(250)과, 차량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센서로부터 센싱되는 센싱정보를 수집하는 센서모듈(255)과, 차량에 구비된 카메라로부터 카메라영상정보를 수집하는 카메라모듈(260)과, 무선통신모듈(265) 등을 하나 이상 구비하고, 차량관리정보를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240)와 상기 메모리부(240)에 저장되는 수집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복사/이전하기 위한 이동식 저장장치 인터페이스(270) 또는 케이블 통신 인터페이스(275)를 더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운행기록모듈(245)은 차량에 구비되어 있는 ECU로부터 속도, 브레이크, 도어, 방향표시등, 경적, 상향등, 하향등, 분당엔진회전수(RPM)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차량운행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위치기록모듈(250)은 센서모듈(255)이 각 센서로부터 센싱정보를 수집하는 시점에서 GPS 모듈을 통해 상기 차량의 위치/지역에 대한 위도, 경도, 고도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위치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상기 센서모듈(255)은 상기 ECU를 통해 수집되는 정보 이외에 차량에 부착된 각 센서로부터 이산화탄소발생량, 매연발생량, 주유량, 공회전 소음 등의 유해물질과 관련된 센싱값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센싱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모듈(260)은 차량 내부 또는 외부를 촬영하도록 구비된 카메라로부터 사진, 동영상을 수집할 수 있다.
상기 무선통신모듈(265)은 WiBro, HSDPA, HSUPA, GSM, Wifi, X-AN, WLAN, WCDMA, CDMA, LTE, RFID 중 어느 하나의 무선 통신 방식에 대응하는 통신모듈로서, 각 무선 통신 방식에 대응하는 통신 시스템을 구축한 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차량관리장치(200)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차량 관리 시스템 간 무선 통신채널을 연결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부(240)는 상기 차량관리장치(200)에 구비된 저장수단의 총칭으로서, 차량관리장치(200) 내의 메모리, 각 모듈에 구비된 메모리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메모리부(240)는 모듈구성정보, 운전자정보, 차량정보, 운수업체정보, 기준정보, 사용자정보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차량관리정보와, 상기 운행기록모듈(245), 위치기록모듈(250), 센서모듈(255) 중 하나 이상의 모듈로부터 수집되는 수집정보를 각 수집 주기에 따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부(240)는 상기 무선통신모듈(265)이 통신불가 상태인 경우, 상기 통신불가 상태에서 상기 모듈로부터 수집된 수집정보를 버퍼링하는 버퍼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장치 인터페이스(270)는 상기 메모리부(240)에 저장된 차량관리정보와 수집정보를 이동식 저장장치(예컨대, USB 메모리 장치)로 복사/이전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포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케이블 통신 인터페이스(275)는 상기 메모리부(240)에 저장된 차량관리정보와 수집정보를 케이블 통신을 통해 관리자 단말로 전송하기 위한 통신 포트(예컨대, USB 포트, RS-232c 포트 등)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차량관리장치(200)는, 상기 차량에 구비된 키 박스와 연결되거나, 또는 상기 ECU를 통해 상기 차량의 키 온(Key On)을 확인하고, 상기 키 온에 따라 상기 운행기록모듈(245), 위치기록모듈(250), 센서모듈(255) 중 하나 이상의 모듈에서 수집하는 수집정보를 획득하는 인터페이스부(205)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205)는 상기 차량의 키 온에 따라 상기 운행기록모듈(245), 위치기록모듈(250), 센서모듈(255)에 대한 각 모듈 별 및 각 수집정보 별 수집주기와 수집정보 포맷을 확인하고, 각 수집주기에 따라 상기 운행기록모듈(245), 위치기록모듈(250), 센서모듈(255)이 수집하는 수집정보를 각 수집정보 포맷에 맞게 획득할 수 있다.
만약 각 모듈 별로 수집정보가 수집 개시되는 시점이 다른 경우(예컨대, GPS 초기화 시간 동안에 운행기록모듈(245)이 차량운행정보를 수집 개시하는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부(205)는 우선 수집된 수집정보부터 획득할 수 있다.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차량관리장치(200)는, 상기 운행기록모듈(245)을 통해 수집되는 차량운행정보와 위치기록모듈(250)을 통해 수집되는 센싱 위치에 대한 위치정보와 센서모듈(255)을 통해 수집되는 각종 센싱정보와 카메라모듈(260)을 통해 수집되는 카메라영상정보 중 수집 가능한 정보를 각 정보 별 수집 주기에 따라 분류하여 수집정보를 구성하는 수집정보 구성부(210)와, 상기 수집정보를 각 수집주기 별로 차량관리정보와 연계하여 메모리부(240)에 저장하는 정보 저장부(220)를 구비한다.
상기 인터페이스부(205)가 상기 운행기록모듈(245), 위치기록모듈(250), 센서모듈(255) 및 카메라모듈(260) 중 하나 이상의 모듈로부터 수집정보를 획득하면, 상기 수집정보 구성부(210)는 각 수집정보 별 수집주기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수집주기에 대응하는 수집정보를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집정보 구성부(210)는 상기 인터페이스부(205)를 통해 획득되는 정보 중 상기 도면1에 도시된 차량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대응하는 서버로 전송할 하나 이상의 전송정보 항목을 확인/결정하고, 상기 확인/결정된 전송정보 항목에 대응하는 수집정보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집정보는 상기 인터페이스부(205)를 통해 각 모듈로부터 획득된 차량운행정보와 위치정보, 센싱정보 등 상기 전송정보 항목에 대응하는 수집정보를 상기 무선 통신 주기에 따라 상기 도면1에 도시된 차량 관리 시스템에 대응하는 서버로 일괄 전송하는 프로토콜 포맷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집정보는 상기 인터페이스부(205)를 통해 각 모듈로부터 획득된 차량운행정보와 위치정보, 센싱정보 등 상기 전송정보 항목에 대응하는 수집정보의 수집주기와 무선 통신 주기를 매칭하여 분할 전송하는 프로토콜 포맷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저장정보 구성부를 통해 수집정보가 구성되면, 상기 정보 저장부(220)는 상기 메모리부(240) 상에서 상기 차량관리정보와 연계된 수집정보 저장영역에 상기 구성된 수집정보를 각 수집주기 별로 저장(예컨대, 수집시각 값, 수집간격 값, 수집주기 값, 수집위치/지역 값을 포함하여 저장)할 수 있다.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차량관리장치(200)는, 상기 무선통신모듈(265)을 통해 서버와의 무선 통신 연결이 가능한지 확인하는 통신 확인부(215)와, 상기 무선 통신 연결이 가능한 것이 확인되면, 상기 무선통신모듈(265)을 통해 상기 구성된 수집정보를 전송하는 정보 전송부(225)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통신 확인부(215)는 상기 차량에 구비된 키 박스의 키 온(Key On)에 따라 상기 무선통신모듈(265)을 통해 통신 연결이 가능한 무선 통신망 상의 기지국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기지국을 통해 상기 도면1에 도시된 차량 관리 시스템에 대응하는 서버와 무선 통신 연결이 가능한지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통신 확인부(215)는 상기 무선 통신 연결이 가능한지 확인하는 무선 통신 유효성 확인을 주기적으로 수행하며, 무선 통신 연결 상태에 따라 무선 통신 유효성을 확인하는 주기를 확장/축소할 수 있다.
상기 통신 확인부(215)에 의해 상기 도면1에 도시된 차량 관리 시스템에 대응하는 서버와 무선 통신 연결이 가능한 것이 확인되면, 상기 정보 전송부(225)는 상기 수집정보 구성부(210)를 통해 구성된 수집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정보 전송부(225)는 상기 무선통신모듈(265)을 통해 상기 무선 통신 주기에 따라 상기 전송용 수집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보 전송부(225)는 상기 키 온 확인에 따라 상기 서버와 통신채널 연결 후 무선통신모듈(265)을 통해 상기 차량관리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거나, 또는 상기 차량관리정보를 상기 수집정보에 포함하여 상기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정보 전송부(225)는 상기 이동식 저장장치 인터페이스(270)를 통해 이동식 저장장치(예컨대, USB 메모리 장치)가 연결되는 경우, 상기 이동식 저장장치로 상기 메모리부(240)에 저장된 차량관리정보 및 수집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보 전송부(225)는 케이블 통신 인터페이스(275)를 통해 관리자 단말과 연결되는 경우, 상기 관리자 단말로 상기 메모리부(240)에 저장된 차량관리정보와 수집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차량관리장치(200)는 운행기록모듈(245)을 통해 수집된 차량운행정보와 위치기록모듈(250)을 통해 수집된 위치정보와 센서모듈(255)을 통해 수집된 센싱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유해물질 배출상태 및 유해물질 배출이 측정된 위치/지역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차량의 특정 지역별 유해물질 배출상태에 대한 유해물질 검토정보를 생성하는 검토정보 생성부(230)와 상기 생성된 유해물질 검토정보를 상기 차량관리장치(200)에 구비되거나 또는 상기 차량관리장치(200)와 연결되는 소정의 화면출력수단을 통해 출력하도록 하는 검토정보 출력부(235)를 더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검토정보 생성부(230)는 상기 수집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특정 지역/위치별 유해물질 배출상태에 대한 유해물질 검토정보를 생성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상기 메모리부(240)에는 상기 유해물질 검토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검토기준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검토기준정보는 특정 지역/위치 별 유해물질 배출량 기준, 유해물질 배출에 따른 경고 기준, 유해물질 배출에 따른 범칙금/과태료 부과 기준, 유해물질 배출에 따른 운행제한 기준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검토정보 생성부(230)는 상기 수집정보, 검토기준정보를 근거로 유해물질 검토정보를 생성할 수 있는데, 여기서 생성되는 유해물질 검토정보는 상기 차량의 특정 위치 별 유해물질 배출량, 상기 특정 위치에서의 유해물질 배출 기준량 초과 여부, 유해물질 배출 기준량 초과 시 범칙금/과태료 정보, 유해물질 배출 기준량 초과 시 경고(누적) 여부, 유해물질 배출 기준량 초과 시 운행제한 여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검토정보 출력부(235)는 상기 검토정보 생성부(230)를 통해 유해물질 검토정보가 생성되면, 상기 생성된 유해물질 검토정보를 상기 차량관리장치(200)에 구비되거나 또는 상기 차량관리장치(200)와 연결되는 장치 등의 화면출력수단(별도 도시하지 않음)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도면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른 유해물질 배출에 대한 차량 관리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3은 상기 도면2에 도시된 차량관리장치(200)에서 각 모듈로부터 수집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도면1에 도시된 차량 관리 시스템(100)으로 전송하면, 상기 차량 관리 시스템(100)에서 상기 수집정보를 이용하여 유해물질 검토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에 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3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유해물질 배출에 대한 차량 관리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3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3을 참조하면, 상기 차량관리장치(200)는 키 박스의 키 온에 따라 무선통신모듈(265)을 통해 상기 도면1에 도시된 차량 관리 시스템(100)과 통신채널을 연결하고, 상기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차량 관리 시스템(100)으로 차량관리정보를 전송한다(300). 이때, 상기 차량관리장치(200)는 상기 차량관리장치(200)에 구비된 각 모듈을 통해 수집되는 수집정보를 상기 차량 관리 시스템(100)으로 전송하기 위한 무선 통신 주기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관리장치(200)는 상기 키 온에 따라 각 모듈을 통해 수집되는 하나 이상의 수집정보를 획득하고(305), 상기 수집된 수집정보를 상기 차량관리정보와 연결하여 메모리부에 저장한다(310).
각 모듈로부터 수집정보가 획득되거나, 상기 수집정보가 메모리부(240)에 저장되면, 상기 차량관리장치(200)는 상기 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차량 관리 시스템(100)과 무선 통신이 연결 가능한지 확인한다(315).
만약 상기 무선 통신 유효성이 확인되면(320), 상기 차량관리장치(200)는 소정의 무선 통신 주기에 따라 상기 수집 또는 저장된 수집정보를 상기 차량 관리 시스템(100)으로 전송한다(325).
상기 차량 관리 시스템(100)으로 전송되는 수집정보는 상기 차량관리장치(200)가 탑재된 차량에 대한 차량운행정보, 항법정보, 위치정보, 센싱정보 및 카메라영상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특히 상기 수집정보에 포함된 센싱정보는 상기 차량에 부착/장착되는 센서를 통해 수집되는 이산화탄소발생량, 매연발생량, 주유량, 공회전 소음 등의 유해물질에 대한 측정값을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차량 관리 시스템(100)은 상기 차량관리정보와 상기 수집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특정 지역/위치별 유해물질 배출상태에 대한 유해물질 검토정보를 생성한다(330).
상기 유해물질 검토정보의 생성을 위해 상기 차량 관리 시스템(100)의 저장매체(150)에는 소정의 검토기준정보가 저장될 수 있으며, 상기 검토기준정보는 특정 지역/위치 별 유해물질 배출량 기준, 유해물질 배출에 따른 경고 기준, 유해물질 배출에 따른 범칙금/과태료 부과 기준, 유해물질 배출에 따른 운행제한 기준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생성된 유해물질 검토정보는 상기 차량의 특정 위치 별 유해물질 배출량, 상기 특정 위치에서의 유해물질 배출 기준량 초과 여부, 유해물질 배출 기준량 초과 시 범칙금/과태료 정보, 유해물질 배출 기준량 초과 시 경고(누적) 여부, 유해물질 배출 기준량 초과 시 운행제한 여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유해물질 검토정보가 생성되면, 상기 차량 관리 시스템(100)은 상기 생성된 유해물질 검토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유해물질 검토정보를 제공받을 단말이나 서버를 선택적으로 결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유해물질 검토정보를 제공할 대상을 확인한다(335).
예컨대, 상기 차량의 특정 위치에서의 유해물질 배출량이 상기 특정 위치의 배출 기준치에 근접하는 경우에는 상기 차량의 차량관리장치(200)나 상기 차량의 운전자의 통신단말로 상기 유해물질 검토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차량의 특정 위치에서의 유해물질 배출량이 상기 특정 위치의 배출 기준치를 초과하거나, 상기 특정 위치의 배출 기준 조건을 벗어나는 경우, 상기 차량의 차량관리장치(200)나 상기 차량의 운전자의 통신단말 외에, 상기 생성된 유해물질 검토정보를 상기 특정 위치에서 상기 유해물질 배출 사항을 관리 및 감독하는 공공기관의 단말이나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차량 관리 시스템(100)은 상기와 같이 유해물질 검토정보가 생성되고, 상기 생성된 유해물질 검토정보가 제공될 서버 또는 단말 등의 대상이 결정되면 상기 유해물질 검토정보를 차량관리장치(200), 지정된 통신단말, 제휴된 공공기관에 구비된 서버나 단말 등의 대상으로 전송한다(340).
도면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른 유해물질 배출에 대한 차량 관리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4는 상기 도면2에 도시된 차량관리장치(200)에서 각 모듈로부터 수집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수집정보를 이용하여 유해물질 검토정보를 생성한 후, 생성된 유해물질 검토정보를 차량에 구비된 소정의 화면출력수단을 통해 출력하거나, 상기 도면1에 도시된 차량 관리 시스템(100)으로 전송하는 과정에 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4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유해물질 배출에 대한 차량 관리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4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4를 참조하면, 상기 차량관리장치(200)는 키 박스의 키 온에 따라 무선통신모듈(265)을 통해 상기 도면1에 도시된 차량 관리 시스템(100)과 통신채널을 연결하고, 상기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차량 관리 시스템(100)으로 차량관리정보를 전송한다(400).
상기 차량관리장치(200)는 상기 키 온 이후 각 모듈을 통해 수집되는 하나 이상의 수집정보를 획득하고(405), 상기 수집된 수집정보를 상기 차량관리정보와 연결하여 메모리부에 저장한다(410).
상기 수집정보는 상기 차량관리장치(200)가 탑재된 차량에 대한 차량운행정보, 항법정보, 위치정보, 센싱정보 및 카메라영상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특히 상기 수집정보에 포함된 센싱정보는 상기 차량에 부착/장착되는 센서를 통해 수집되는 이산화탄소발생량, 매연발생량, 주유량, 공회전 소음 등의 유해물질에 대한 측정값을 포함할 수 있다.
각 모듈로부터 수집정보가 획득되거나, 상기 수집정보가 메모리부(240)에 저장되면, 상기 차량관리장치(200)는 상기 수집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특정 지역/위치별 유해물질 배출상태에 대한 유해물질 검토정보를 생성한다(415).
상기 유해물질 검토정보의 생성을 위해 상기 차량관리장치(200)의 메모리부(240)에는 소정의 검토기준정보가 저장될 수 있으며, 상기 검토기준정보는 특정 지역/위치 별 유해물질 배출량 기준, 유해물질 배출에 따른 경고 기준, 유해물질 배출에 따른 범칙금/과태료 부과 기준, 유해물질 배출에 따른 운행제한 기준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생성된 유해물질 검토정보는 상기 차량의 특정 위치 별 유해물질 배출량, 상기 특정 위치에서의 유해물질 배출 기준량 초과 여부, 유해물질 배출 기준량 초과 시 범칙금/과태료 정보, 유해물질 배출 기준량 초과 시 경고(누적) 여부, 유해물질 배출 기준량 초과 시 운행제한 여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생성된 유해물질 검토정보는 상기 메모리부(240)에 저장될 수 있다.
이후, 상기 차량관리장치(200)는 상기 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차량 관리 시스템(100)과 무선 통신이 연결 가능한지 무선 통신 유효성을 확인한다(420).
만약 상기 무선 통신 유효성이 확인되면(425), 상기 차량관리장치(200)는 소정의 무선 통신 주기에 따라 소정의 정보 수집 주기에 따라 상기 생성 또는 저장된 유해물질 검토정보를 상기 차량 관리 시스템(100)으로 전송한다(430).
상기와 같은 유해물질 검토정보가 상기 차량관리장치(200)로부터 수신되면, 상기 차량 관리 시스템(100)은 상기 생성된 유해물질 검토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유해물질 검토정보를 제공받을 단말이나 서버를 선택적으로 결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유해물질 검토정보를 제공할 대상을 확인한다(435).
예컨대, 상기 차량의 특정 위치에서의 유해물질 배출량이 상기 특정 위치의 배출 기준치에 근접하는 경우에는 상기 차량의 차량관리장치(200)나 상기 차량의 운전자의 통신단말로 상기 유해물질 검토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차량의 특정 위치에서의 유해물질 배출량이 상기 특정 위치의 배출 기준치를 초과하거나, 상기 특정 위치의 배출 기준 조건을 벗어나는 경우, 상기 차량의 차량관리장치(200)나 상기 차량의 운전자의 통신단말 외에, 상기 생성된 유해물질 검토정보를 상기 특정 위치에서 상기 유해물질 배출 사항을 관리 및 감독하는 공공기관의 단말이나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차량 관리 시스템(100)은 상기 유해물질 검토정보가 제공될 서버 또는 단말 등의 대상이 결정되면 상기 유해물질 검토정보를 차량관리장치(200), 지정된 통신단말, 제휴된 공공기관에 구비된 서버나 단말 등의 대상으로 전송한다(440).
100 : 차량 관리 시스템 105 : 통신채널 관리수단
110 : 관리정보 수신수단 115 : 수집정보 수신수단
120 : 검토정보 생성수단 125 : 정보제공 판단수단
130 : 검토정보 전송수단 135 : 정보 저장수단
140 : 관리정보 확인수단 145 : 수집정보 확인수단
150 : 저장매체 155 : 관리자 단말
200 : 차량관리장치

Claims (6)

  1. 차량에 탑재된 장치와 통신채널을 연결하는 통신채널 연결수단;
    상기 통신채널을 통해 장치로부터 모듈구성정보, 운전자정보, 차량정보, 운수업체정보, 기준정보, 사용자정보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차량관리정보를 수신하는 관리정보 수신수단;
    상기 통신채널을 통해 장치로부터 차량운행정보, 위치정보, 센싱정보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수집정보를 수신하는 수집정보 수신수단;
    상기 수집정보에 포함된 상기 차량의 유해물질 배출상태 및 유해물질 배출이 측정된 위치/지역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차량의 특정 지역별 유해물질 배출상태에 대한 유해물질 검토정보를 생성하는 검토정보 생성수단;
    상기 생성된 유해물질 검토정보를 상기 차량관리장치, 지정된 통신단말, 제휴된 공공기관에 구비된 서버나 단말로 전송하는 검토정보 전송수단;을 포함하는 차량 관리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운행정보는,
    속도, 브레이크, 도어, 방향표시등, 경적, 상향등, 하향등, 분당엔진회전수(RPM)을 하나 이상 포함하고,
    상기 위치정보는,
    위도, 경도, 고도, 행정구역명, 지명을 하나 이상 포함하고,
    상기 센싱정보는,
    이산화탄소발생량, 매연발생량, 주유량, 공회전수, 공회전 소음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관리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유해물질 검토정보를 검토 결과 및 상황에 따라 제공할 단말 또는 서버를 판단하는 정보제공 판단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관리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해물질 검토정보는,
    특정 지역/위치 별 유해물질 배출량 기준, 유해물질 배출에 따른 경고 기준, 유해물질 배출에 따른 범칙금/과태료 부과 기준, 유해물질 배출에 따른 운행제한 기준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관리 시스템.
  5. 차량에 탑재되며, 운행기록모듈, 위치기록모듈 및 센서모듈을 구비하여 각 모듈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모듈로부터 수집되는 수집정보를 차량 관리 시스템으로 제공하는 차량관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운행기록모듈, 위치기록모듈 및 센서모듈 중 하나 이상의 모듈로부터 유해물질 검토정보 생성에 필요한 하나 이상의 정보를 획득하여 수집정보를 구성하는 수집정보 구성부;
    상기 구성된 수집정보를 수집시각 값, 수집간격 값, 수집주기 값, 수집위치/지역 값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구분하고 상기 차량관리장치에 구비된 메모리부에 차량의 차량관리정보와 연계된 수집정보 저장영역에 저장하는 정보 저장부;
    상기 구성 또는 저장된 수집정보를 차량 관리 시스템으로 무선통신을 통해 차량 관리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정보 전송부;를 구비하는 차량관리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운행기록모듈을 통해 수집된 차량운행정보와 위치기록모듈을 통해 수집된 위치정보와 센서모듈을 통해 수집된 센싱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유해물질 배출상태 및 유해물질 배출이 측정된 위치/지역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차량의 특정 지역별 유해물질 배출상태에 대한 유해물질 검토정보를 생성하는 검토정보 생성부; 및
    유해물질 검토정보를 상기 차량관리장치에 구비되거나 또는 상기 차량관리장치와 연결되는 장치 등의 화면출력수단(별도 도시하지 않음)을 통해 출력하도록 하는 검토정보 출력부;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관리장치.

KR1020160118153A 2016-09-13 2016-09-13 유해물질 배출 차량 관리 시스템과 이를 위한 차량관리장치 KR2018002971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8153A KR20180029710A (ko) 2016-09-13 2016-09-13 유해물질 배출 차량 관리 시스템과 이를 위한 차량관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8153A KR20180029710A (ko) 2016-09-13 2016-09-13 유해물질 배출 차량 관리 시스템과 이를 위한 차량관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9710A true KR20180029710A (ko) 2018-03-21

Family

ID=619008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8153A KR20180029710A (ko) 2016-09-13 2016-09-13 유해물질 배출 차량 관리 시스템과 이를 위한 차량관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2971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19996B2 (en) Determining vehicle occupancy using sensors
US20210194960A1 (en) Cloud connectivity for in-vehicle sensing modules
US11051127B2 (en) Communications hub for crash event detection, response, and reporting system
US20180108252A1 (en) Device known as real time total control digital tachograph (tcdt) for vehicle and other nearby vehicles by means of cameras and mobile connections
US11823507B2 (en) Recording device, record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JP4845331B2 (ja) 車両用自動課金装置の監視システム
AU2013200442B2 (en) Control method for a road toll system
JP3711371B2 (ja) 車両内に設置された通行料課金装置用の道路側点検装置
KR20130030583A (ko) 차량용 운행정보 확인장치 및 영상 저장장치의 원격 감시제어 시스템
US20140122014A1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cting at least one unevenness of the road surface
KR101504316B1 (ko) 위치기반 사고 정보공유 방법
CN108323210A (zh) 车辆检测方法、装置、设备及可读存储介质
CN105785969A (zh) 标识车辆撞击的起源以及关于撞击的数据的选择***换
CA2802625A1 (en) Control devices and methods for a road toll system
JP2017033370A (ja) 車載器、通信装置およびこれらを備えた車両管理システム
KR20110034144A (ko) 차량운행 상태 통합 관리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장치 및 기록매체
KR20190124013A (ko) 차량 자가진단 기능을 갖는 교통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관제시스템
KR20180029710A (ko) 유해물질 배출 차량 관리 시스템과 이를 위한 차량관리장치
US20210358297A1 (en) Violator identification device, violator identification system, violator identification method, and program
KR100962414B1 (ko) 차량 상태정보 전송 시스템 및 방법
JP2020102146A (ja) 解析システム及びサーバ装置
KR101768380B1 (ko) 자동차 도로 노면진단 시스템
TW201616399A (zh) 雲端車輛動態系統
KR20130030582A (ko) 조회차량용 운행정보 확인장치 및 영상 저장장치의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WO2022123897A1 (ja) タイヤ管理システム、タイヤ管理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