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7223A - 움직이는 간판 - Google Patents

움직이는 간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7223A
KR20180027223A KR1020160114553A KR20160114553A KR20180027223A KR 20180027223 A KR20180027223 A KR 20180027223A KR 1020160114553 A KR1020160114553 A KR 1020160114553A KR 20160114553 A KR20160114553 A KR 20160114553A KR 20180027223 A KR20180027223 A KR 201800272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 member
shaft
moving
advertisement
sign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45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현석
Original Assignee
조현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현석 filed Critical 조현석
Priority to KR10201601145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27223A/ko
Publication of KR201800272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72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1/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complete information is permanently attached to a movable support which brings it to the display position
    • G09F11/18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complete information is permanently attached to a movable support which brings it to the display position the display elements being carried by belts, chains, or the like other than endles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1/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complete information is permanently attached to a movable support which brings it to the display position
    • G09F11/18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complete information is permanently attached to a movable support which brings it to the display position the display elements being carried by belts, chains, or the like other than endless
    • G09F11/2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complete information is permanently attached to a movable support which brings it to the display position the display elements being carried by belts, chains, or the like other than endless the elements being in the form of stiff flaps, boards, cards or the lik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04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the light source being enclosed in a box forming the character of the sig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3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moving optical part of parts, e.g. mirr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간판 프레임에 고정되어있는 광고물이 다양한 방향으로 왕복운동을 하여 광고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는 움직이는 간판이 제공된다. 움직이는 간판은, 간판 프레임에 고정되며 광고물을 움직이는 적어도 하나의 작동모듈, 프레임에 고정되어 작동모듈을 구동하는 구동유닛을 포함하되, 작동모듈은 구동유닛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제1축, 제1축에 결합되며 편심회전을 하는 캠부재, 일 측에 상기 광고물이 결합되며 캠부재를 따라 이동하여 왕복운동을 하는 제2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움직이는 간판{MOVING SIGNBOARD}
본 발명은 움직이는 간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간판프레임에 고정되어있는 광고물이 다양한 방향으로 왕복운동을 하여 광고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는 움직이는 간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간판은 건물의 외벽에 설치되거나 외벽에서 돌출된 상태로 설치된다. 대부분의 경우 정지된 상태에서 필요에 따라 색상만 바뀌는 형태로 다양한 종류의 간판이 설치되고 있다.
최근에는 광고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입체감을 향상시키고 네온사인을 사용하여 시각적 효과를 강조할 뿐만 아니라 광고판이 일정한 방향으로 움직이거나 방향지시특성을 갖고 수평면상에서 연속하여 좌우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는 이의 흥미를 끌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이동식 간판은 광고물 전체가 특정 방향으로만 움직이도록 되어 있어 시각적 효과가 미흡하거나 더 나은 광고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광고물의 이동방향이 특정 방향으로 한정되는 등 구조적으로 이를 변경하기 어렵고 구동부 구성도 복잡해지는 단점 등의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13953호, (2003.12.22)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간판 프레임에 고정되어있는 광고물이 다양한 방향으로 왕복운동을 하여 광고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움직이는 간판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에 의한 움직이는 간판은, 간판 프레임; 상기 간판프레임에 고정되며 광고물을 움직이는 적어도 하나의 작동모듈; 상기 간판프레임에 고정되어 상기 작동모듈을 구동하는 구동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작동모듈은, 상기 구동유닛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제1축, 상기 제1축에 결합되며 편심회전을 하는 캠부재, 및 일 측에 상기 광고물이 결합되며 상기 캠부재를 따라 이동하여 왕복운동을 하는 제2축을 포함한다.
상기 캠부재의 적어도 일 측면에, 상기 제1축을 중심으로 폐곡선을 이루는 편심 경로를 형성하여 내측으로 만입된 이동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축에 고정되어 일 측에 상기 이동홈에 삽입되어 상기 캠부재를 따라 이동하는 이동돌기가 형성된 링크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캠부재의 측면에 상기 이동홈의 외측을 따라 폐곡선을 이루며 돌출된 가이드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축에 삽입되며, 외주면이 상기 캠부재의 외주면과 접하는 베어링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홈은 상기 캠부재의 양 측면에 서로 대칭을 이루며 형성되고, 상기 링크부재는 상기 베어링부재를 중앙에 두고 상기 캠부재의 양 측면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작동모듈은, 상기 제2축의 이동방향이 서로 다른 방향을 이루도록 상기 간판 프레임에 복수 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구동유닛은, 복수 개의 상기 작동모듈을 체인 또는 벨트로 한번에 연결하여 구동할 수 있다.
상기 작동모듈은, 적어도 두 개가 상기 제1축에 결합되는 풀리 또는 스프라켓이 동일 선상에 배치되지 않도록 서로 다른 높이로 상기 간판 프레임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움직이는 간판은, 간판 프레임에 고정되어있는 광고물이 다양한 방향으로 왕복운동을 하여 광고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간판 프레임에 복수 개의 광고물을 각각 방향을 설정할 수 있으며 모듈화 되어 있어 체인 또는 밸트로 한번에 연결하여 구동방법이 매우 편리하게 이루어지는 장점을 갖는다. 따라서, 광고물을 일직선상이 아닌 다양한 위치에 설치하고, 한번에 연결하여 구동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움직이는 간판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움직이는 간판의 작동모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작동모듈의 절개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작동모듈의 캠부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캠부재와 제2축의 연결부의 부분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도4의 캠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8 및 도 9는 작동모듈의 작동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단지 청구항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움직이는간판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움직이는 간판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움직이는 간판(1)은 간판프레임(10)에 고정되어있는 광고물(11)을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설치하여 각각 다른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으며, 서로 다른 방향으로 움직이는 복수개의 광고물(11)을 모듈화하여 한 번에 구동할 수 있는 간판이다.
간판프레임(10)은 광고물(11)을 고정하거나 지지할 수 있는 프레임으로서, 앵글 등의 지지구조체를 이용하여 뼈대로 형성되거나 이러한 앵글에 결합되는 판넬 등으로 이루어진 면을 가지고 있을 수 있다. 도면 상에 방형의 간판프레임(10)이 도시되었으나 이로써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간판프레임(10)은 서로 동일하거나 또는 다른 형태의 면을 포함하는 다면체로 형성되는 등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광고물(11)은 간판프레임(10)에 고정되어 광고내용을 시각적으로 전달하는 대상이다. 광고물(11)의 형상은 전달하고자 하는 광고 내용에 대응하여 각종 도형 형상(사각형, 다이아몬드, 삼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문자, 그림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광고물(11)은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이 서로 연관성을 가지고 다양한 광고내용을 표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광고물(11)은 각각 작동모듈(도2의 20참조)의 제2축(도 2의 22참조)과 연결되어 서로 다른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으며, 각각의 작동모듈(도2의 20참조)이 모듈화 되어있어 하나의 체인(도2의 32참조)으로 복수개의 작동모듈(도2의 20참조)을 연결하여 각각 다른 방향으로 움직이는 광고물(11)을 한번에 구동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움직이는 간판의 작동모듈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작동모듈의 절개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움직이는 간판(1)은 간판프레임(10), 간판프레임(10)에 고정되어 광고물(11)을 움직이는 적어도 하나의 작동모듈(20), 간판프레임(10)에 고정되어 작동모듈(20)을 구동하는 구동유닛(도 2 및 도 3의 31, 32, 및 도 8의 33 참조), 작동모듈(20)은 구동유닛(31, 32, 33)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제1축(21), 제1축(21)에 결합되며 편심회전을 하는 캠부재(23), 일측에 광고물(11)이 결합되며 캠부재(23)를 따라 이동하여 왕복운동을 하는 제2축(22)을 포함한다.
작동모듈(20)은 움직이는 간판(1)의 간판프레임(10)에 고정되어있는 광고물(11)을 작동시키기 위한 모듈로서, 광고물(11)과 작동모듈(20)의 제2축(22)이 연결되어 광고물(11)을 구동시킬 수 있다. 또한 광고물(11) 하나에 작동모듈(20) 하나씩 독립적으로 연결되어 있어 광고물(11)이 움직이는 방향을 각각 다르게 배치하거나 높낮이를 다르게 배치하여 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독립적으로 구동방향 설정이 가능한 작동모듈(20)은 서로 조합하기 용이하도록 모듈화 되어 있어 각각 다양한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여 움직이는 복수 개의 광고물(11)을 각 작동모듈(20)의 제1축(21)에 연결된 체인(32)으로 한 번에 구동할 수 있다. 작동모듈(20)은 간판프레임(10)에 고정되어 광고물(11)을 서로 다른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여 움직일 수 있으며, 전면커버(40), 후면커버(41) 및 연결바(42)로 구성되어 전면커버(40)와 후면커버(41)의 모서리부분에 연결바(42)가 연결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작동모듈(20)은 앵글이나 바 등의 지지구조체를 가지고 뼈대로 형성되거나 뼈대에 결합되는 판넬 등으로 형성된 면을 가지고 있을 수 있으며 다면체로 형성되는 등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작동모듈(20)과 광고물(11)사이에 작동모듈(20)을 구동하는 구동유닛(31, 32,33)이 형성될 수 있다.
구동유닛(31, 32, 33)은 복수개의 작동모듈(20)을 한 번에 구동시킬 수 있는 유닛이다. 구동유닛(31, 32, 33)은 복수 개의 작동모듈(20)을 체인(31) 또는 벨트(미도시)로 한번에 연결하여 구동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체인(31)을 포함하는 작동모듈(20)이 도시되었으나, 다른 실시예에서 벨트 등으로 구성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다. 구동유닛(31, 32, 33)은 체인(31), 스프라켓(32) 및 구동모터(도 8의 33참조)로 구성되어 있으며 체인(31)과 스프라켓(32)은 벨트나 풀리 등 복수 개의 작동모듈(20)을 한 번에 연결하여 동력을 전달 가능한 또 다른 동력전달요소로 대체할 수 있다. 작동모듈(20) 각각에 연결되어있는 스프라켓(32)에 체인(31)을 연결하여 구동모터(33)를 작동하면 구동유닛(31, 32, 33)에서 발생한 동력은 제1축(21)으로 전달된다. 체인(31)의 동력이 제1축(21)으로 각각 전달되면 제1축(21)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은 캠부재(23)는 회전운동을 하며 제2축(22)으로 동력이 전달되어 회전운동이 왕복운동으로 전환되면서 복수 개의 작동모듈(20)을 한 번에 구동할 수 있다.
제1축(21)은 구동유닛(31, 32, 33)에서 발생한 동력을 작동모듈(20)의 내부에 전달하는 축이다. 제1축(21)은 전면커버(40)를 관통하여 형성되고 한쪽 끝은 구동유닛(31, 32, 33)의 스프라켓(32)과 연결된다. 편심되어 회전 운동하는 캠부재(23)는 제1축(21)의 일측에 연결될 수 있다. 캠부재(23)의 외주면은 베어링부재(28)의 외주면과 접하여 형성되어 캠부재(23)가 회전운동 할 때 베어링부재(28)는 캠부재(23) 운동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운동한다. 베어링부재(28)는 제2축(22)의 외주면에 결합될 수 있다.
제2축(22)은 캠부재(23)와 연결되어 캠부재(23)가 회전운동하는 동력을 전달받아 왕복운동한다. 캠부재(23)가 편심되어 회전 운동하면 제2축(22)은 캠부재(23)와 연결되어 종동 운동한다. 즉, 캠부재(23)가 주동절로 작용하고 제2축(22)이 편심 회전하는 캠부재(23)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종동절로 기능한다. 제2축(22)은 가늘고 긴 형태의 막대형상 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캠부재(23)와 연결되어 작동할 수 있는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2축(22)은 작동모듈(20)의 내측에 형성되며 전면커버(40)를 관통하여 광고물(11)에 연결되어 광고물(11)이 움직이게 할 수 있다. 제2축(22)의 외주면에 베어링부재(28)가 삽입되고, 베어링부재(28)의 외주면에 캠부재(23)가 접하여 접촉시 마찰을 최소화할 수 있다. 캠부재(23)의 양측에는 가이드링(27)이 대칭을 이루며 형성되고, 제1가이드링(27a)과 제2가이드링(27b) 사이에 이동돌기(25)가 삽입되는 이동홈(24)이 형성된다. 가이드링(제1가이드링 및 제2가이드링을 말한다)은 캠부재(23)의 측면에 이동홈(24)의 외측을 따라 폐곡선을 이루며 돌출된다. 링크부재(26)는 제2축(22)에 삽입되어있는 베어링부재(28)를 중앙에 두고 베어링부재(28)의 양 측에 삽입될 수 있다. 링크부재(26)의 이동돌기(25)는 캠부재(23)를 양측에서 고정시켜 캠부재(23)와 제2축(22) 상호간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으며 링크부재(26)의 양측에는 제2축(22)의 왕복운동을 도와주는 연결블록(292)이 형성될 수 있다.
연결블록(292)은 캠부재(23)의 회전운동이 직선상의 왕복운동으로 전환될 수 있도록 제2축(22)과 가이드바(29)를 연결해주는 블록으로서, 연결블록(292)의 일측은 제2축(22)의 외주면에 결합되며 다른 일측은 가이드바(29)와 연결될 수 있다. 연결블록(292)은 제2축(22)과 연결된 채 가이드바(29)를 따라 움직이며 제2축(22)의 움직임을 가이드바(29)가 형성된 방향으로 유도한다.
가이드바(29)는 편심 회전운동하는 캠부재(23)의 운동을 왕복운동으로 전환시킬 수 있도록 보조하는 역할을 한다. 가이드바(29)는 가이드바(29)의 양 끝에 가이드바(29)를 고정시키는 가이드바브라켓(291)으로 전면커버(40)와 후면커버(41)의 내측에 고정시킬 수 있다. 연결블록(292)은 가이드바(29)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가이드바(29)와 제2축(22)을 연결하며, 제2축(22)이 편심되어 회전 운동하는 캠부재(23)의 구동력에 의해 직선상으로 왕복운동을 할 수 있도록 가이드한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작동모듈의 캠부재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도 3의 작동모듈의 캠부재의 분해사시도이다.
캠부재(23)는 편심 회전운동을 하는 몸체에 홈이 있는 장치로서, 적어도 일측면에 제1축(21)을 중심으로 폐곡선을 이루는 편심 경로를 형성하여 내측으로 만입된 이동홈(24)이 형성될 수 있다. 캠부재(23)는 회전중심이 한쪽으로 치우쳐 편심되어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링 형상의 중심부에서 이격된 외측 등 질량중심이 아닌 부분에 제1축(21)이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캠부재(23)는 회전시 편심 회전하며, 제1축(21)을 중심으로 형성된 이동홈(24)이 제1축(21)과 제2축(22) 사이의 상대거리를 변화시키는 편심 경로를 형성한다. 캠부재(23)의 양 측면에는 폐곡선을 이루며 돌출된 가이드링(27)이 형성되고 가이드링(27)은 제1가이드링(27a)과 제2가이드링(27b)으로 이루어진다. 제1가이드링(27a)과 제2가이드링(27b)은 캠부재(23)의 양면에 서로 대칭을 이루고 형성될 수 있다.
이동홈(24)은 제1가이드링(27a)과 제2가이드링(27b) 사이에 내측으로 만입된 공간으로 형성된다. 이동홈(24)은 캠부재(23)의 양면에 서로 대칭을 이루며 형성될 수 있다. 캠부재(23)와 제2축(22)은 링크부재(26)로 연결되며 링크부재(26)는 일 측에 이동홈(24)이 삽입되어 캠부재(23)를 따라 이동하는 이동돌기(25)가 형성되어 있다. 캠부재(23)의 외주면은 베어링부재(28) 외주면과 접하고 베어링부재(28)는 제2축(22)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있어 제2축(22)과 캠부재(23)의 마찰을 최소화한다. 제2축(22)에 삽입된 베어링부재(28)를 중앙에 두고 베어링부재(28)의 양측에 링크부재(26)가 삽입될 수 있다. 링크부재(26)에는 이동돌기(25)가 형성되는데 이동돌기(25)는 이동홈(24)에 삽입되어 캠부재(23)의 이동홈(24)을 따라 회전운동 할 수 있으며, 링크부재(26)는 캠부재(23)를 양쪽에서 고정하여 캠부재(23)의 이탈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캠부재의 결합구조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도 3의 캠부재와 제2축 연결부의 부분단면도이다.
제2축(22)은 가늘고 긴 형태의 막대형상으로 캠부재(23)가 편심 회전 운동을 하면 운동이 전달되는 부분으로 종동절로 기능한다. 제2축(22)의 외주면에 베어링부재(28)가 결합되고, 베어링부재(28)의 외주면에 캠부재(23)가 접하고 있다. 캠부재(23)의 양측에는 가이드링(27)이 대칭을 이루며 형성되고, 제1가이드링(27a)과 제2가이드링(27b) 사이에 링크부재(28)의 이동돌기(25)가 삽입되는 이동홈(24)이 형성된다. 링크부재(26)는 제2축(22)에 결합된 베어링부재(28)를 중앙에 두고 베어링부재(28)의 양 측에 삽입될 수 있으며, 링크부재(26)의 이동돌기(25)는 캠부재(23)를 양측에서 고정시켜 캠부재(23)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 및 도7을 참조하여 캠부재의 작동과정을 설명한다.
도 6 및 도7은 도 4의 캠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6은 캠부재(23)의 제2축(22)이 상승되어 있는 상태로, 제1축(21)은 도시된 바와 같이 캠부재(23)에 편심되어 연결되어 있고, 링크부재(26)의 이동돌기(25)는 캠부재(23)의 이동홈(24)에 삽입되어 있다. 제1축(21)은 전술한 바와 같이 체인(31)에 연결되어 있으며 체인(31)이 구동되면 체인(31)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제1축(21)과 연결되어있는 캠부재(23)를 편심 회전시킨다. 캠부재(23)가 편심 회전하면 이동돌기(25)를 통해 이동홈(24)에 연결된 링크부재(26) 역시 이동홈(24)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여 캠부재(23)의 작동과정을 상세히 살펴보면, 캠부재(23)에 편심되어 연결되어있는 제1축(21)은 체인(31)이 구동되었을 때 동력을 전달받아 캠부재(23)로 동력을 전달하고 캠부재(23)를 편심 회전시킨다. 캠부재(23)가 회전운동을 하면,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방향을 따라 제1축(21)이 이동한 작동모습을 볼 수 있다. 제1축(21)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캠부재(23)를 편심 회전시키고 제1축(21)이 도 6에서의 위치보다 90도 회전을 하면, 캠부재(23)의 이동홈(24)에 삽입되어있는 링크부재(26)의 이동돌기(25)는 캠부재(23)의 이동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제2축(22)은 하강한다. 이로 인해, 제1축(21)과 제2축(22)의 거리는 좁아질 수 있다. 캠부재(23)가 시계방향으로 편심 회전 운동을 하면 캠부재(23)의 외주면과 접해있는 베어링부재(28)는 캠부재(23)의 회전운동방향과 반대방향인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운동을 할 수 있다. 캠부재(23)와 연결되어있는 제1축(21)이 시계방향으로 회전 운동하면 캠부재(23)의 외주면과 접하여 제2축(22)에 결합된 베어링부재(28)는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운동을 한다. 캠부재(23)가 시계방향으로 90° 편심 회전운동을 하면서 이동홈(24)을 따라 링크부재(26)가 움직이고 링크부재(26)에 결합된 제2축(22)과 제1축(21)의 거리가 좁아지며, 캠부재(23)는 회전운동을 하고 제2축(22)은 캠부재(23)와 연결되어 왕복운동을 할 수 있다. 도면을 통해서 이와 같이 제1축(21)의 편심 회전운동이 제2축(22) 왕복운동으로 전환되는 작동과정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운동 전환과정은 캠부재(23)가 편심 회전하는 동안 지속적으로 진행된다. 따라서 제2축(22)은 종동절로 기능하여 하강하거나 상승하면서 광고물(도 8 및 도 9의 11참조)을 움직이게 된다. 링크부재(26)는 캠부재(23)와 제2축(22)이 상호 이탈되지 않도록 연결하는 동시에 캠부재(23)의 이동홈(24)을 따라 편심 경로를 주행하여 제2축(22)의 상하 움직임을 보조한다. 또한, 제2축(22)에 결합되어 캠부재(23)와 구름접촉하는 베어링부재(28)를 이용하여 캠부재(23)와 제2축(22)이 마찰을 최소화하면서 보다 용이하게 접촉 가능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작동모듈의 작동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도이다.
간판프레임(10)에 고정되어 있는 광고물(11)은 작동모듈(20)과 연결되어 각각 다양한 방향으로 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광고물(11)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아래로 운동할 수 있고, 대각선으로 운동하거나 좌우로 운동할 수도 있다. 복수개의 광고물(11)이 각각 다른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복수개의 작동모듈(20)을 하나하나 구동하는 것이 아니라 작동모듈(20)은 모듈화 되어있어 체인(31)으로 한번에 연결하여 구동모터(33)로 구동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는 작동모듈(20)은 시각적인 다양한 효과를 줄 수 있으며, 광고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다.
또한, 도 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모듈(20)은 동일 선상에 설치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지그재그로 설치되거나 서로 다른 높이로 설치될 수도 있다. 즉, 작동모듈(20)은 적어도 두 개가 제1축(도 1 및 도 2, 도 4 내지 도 7의 21참조)에 결합되는 스프라켓 또는 풀리가 동일 선상에 배치되지 않도록 서로 다른 높이로 간판프레임(10)에 설치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각각 다른 방향으로 운동하는 작동모듈(20)은 각각 구동될 필요가 없으며, 모듈화 되어 있어 각각 다른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복수 개의 작동모듈(20)을 체인(31)으로 연결하여 한 번에 구동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은 작동모듈(20)은 동력을 전달하여 광고물(11)을 구동할 수 있는 한 자유롭게 설치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간판프레임(10)에 고정되는 광고물(11)은 문자나 숫자에 한정되지 않고, 도형이나 그림 등 다양한 광고가 들어갈 수 있어 생동감을 나타낼 수 있으며 보다 폭 넓은 광고효과를 줄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움직이는 간판 10: 간판프레임.
11: 광고물 20: 작동모듈
21: 제1축 22: 제2축
23: 캠부재 24: 이동홈
25: 이동돌기 26: 링크부재
27: 가이드링 27a: 제1가이드링
27b: 제2가이드링 28: 베어링부재
29: 가이드바 31: 체인
32: 스프라켓 33: 구동모터
40: 전면커버 41: 후면커버
42: 연결바 291: 가이드바브라켓
292: 연결블록

Claims (8)

  1. 간판 프레임;
    상기 간판프레임에 고정되어 광고물을 움직이는 적어도 하나의 작동모듈;
    상기 간판프레임에 고정되어 상기 작동모듈을 구동하는 구동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작동모듈은,
    상기 구동유닛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제1축,
    상기 제1축에 결합되며 편심회전을 하는 캠부재, 및
    일 측에 상기 광고물이 결합되며 상기 캠부재를 따라 이동하여 왕복운동을 하는 제2축을 포함하는 광고물이 움직이는 간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캠부재의 적어도 일 측면에, 상기 제1축을 중심으로 폐곡선을 이루는 편심 경로를 형성하여 내측으로 만입된 이동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축에 고정되어 일 측에 상기 이동홈에 삽입되어 상기 캠부재를 따라 이동하는 이동돌기가 형성된 링크부재를 더 포함하는 광고물이 움직이는 간판.
  3. 상기 캠부재의 측면에 상기 이동홈의 외측을 따라 폐곡선을 이루며 돌출된 가이드링을 더 포함하는 광고물이 움직이는 간판.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축에 삽입되며, 외주면이 상기 캠부재의 외주면과 접하는 베어링부재를 더 포함하는 광고물이 움직이는 간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홈은 상기 캠부재의 양 측면에 서로 대칭을 이루며 형성되고, 상기 링크부재는 상기 베어링부재를 중앙에 두고 상기 캠부재의 양 측면에 각각 결합되는 광고물이 움직이는 간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모듈은, 상기 제2축의 이동방향이 서로 다른 방향을 이루도록 상기 간판 프레임에 복수 개가 배치되는 광고물이 움직이는 간판.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유닛은, 복수 개의 상기 작동모듈을 체인 또는 벨트로 한번에 연결하여 구동하는 광고물이 움직이는 간판.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모듈은, 적어도 두 개가 상기 제1축에 결합되는 풀리 또는 스프라켓이 동일 선상에 배치되지 않도록 서로 다른 높이로 상기 간판 프레임에 설치되는 광고물이 움직이는 간판.
KR1020160114553A 2016-09-06 2016-09-06 움직이는 간판 KR2018002722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4553A KR20180027223A (ko) 2016-09-06 2016-09-06 움직이는 간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4553A KR20180027223A (ko) 2016-09-06 2016-09-06 움직이는 간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7223A true KR20180027223A (ko) 2018-03-14

Family

ID=616606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4553A KR20180027223A (ko) 2016-09-06 2016-09-06 움직이는 간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2722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6640A (ko) 2018-05-02 2019-11-12 심병섭 좌우 돌출형 광고판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35446U (ko) * 1996-07-23 1996-11-21 이찬영 화면이 움직이는 간판
US6452575B1 (en) * 2000-03-01 2002-09-17 Ching-Sui Lin Planar reciprocating electronic light emitting device
KR200305541Y1 (ko) * 2002-11-07 2003-02-27 정종오 움직이는 간판
KR20070091084A (ko) * 2007-08-13 2007-09-07 윤동중 간판 정면에서 왕복운동하는 모형물
KR20150145008A (ko) * 2014-06-18 2015-12-29 임미섭 문자 이동이 가능한 입체간판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35446U (ko) * 1996-07-23 1996-11-21 이찬영 화면이 움직이는 간판
US6452575B1 (en) * 2000-03-01 2002-09-17 Ching-Sui Lin Planar reciprocating electronic light emitting device
KR200305541Y1 (ko) * 2002-11-07 2003-02-27 정종오 움직이는 간판
KR20070091084A (ko) * 2007-08-13 2007-09-07 윤동중 간판 정면에서 왕복운동하는 모형물
KR20150145008A (ko) * 2014-06-18 2015-12-29 임미섭 문자 이동이 가능한 입체간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6640A (ko) 2018-05-02 2019-11-12 심병섭 좌우 돌출형 광고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267077A1 (en) Hinge, hinge assembly and foldable electronic device
US6972738B2 (en) Image displaying apparatus
CN202352267U (zh) 图片渐变式广告灯箱
US6389719B1 (en) Display device
KR20200089557A (ko) 회전광고장치
KR20180027223A (ko) 움직이는 간판
AU2001259336A1 (en) Display device
WO2007027019A8 (en) Optical scanning apparatus and image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0870080B1 (ko) 회전광고장치
JP4648897B2 (ja) 磁石回転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回転装飾物
US6452575B1 (en) Planar reciprocating electronic light emitting device
CN205680403U (zh) 齿条伸缩式广告机
CN107577059B (zh) 一种位移式扫描立体显示装置
US7400075B2 (en) Rotating apparatus using a magnet and rotating decoration employing the same
KR100413953B1 (ko) 문자가 움직이는 간판
KR200286859Y1 (ko) 회전식 입체간판
KR101873350B1 (ko) 다이내믹 광고 장치
KR102329869B1 (ko) 수직방향으로 광고물이 슬라이딩되는 등신대
KR200187895Y1 (ko) 렌티큘러판을 이용한 광고판
KR101654751B1 (ko) 문자 이동이 가능한 입체간판
KR100366365B1 (ko) 다중입체영상표시장치
CN110312122B (zh) 显示装置及显示控制***
KR200354985Y1 (ko) 자동 절첩이 가능한 정보 표시판
KR100323919B1 (ko) 다중 영상표시장치
KR200183284Y1 (ko) 다중입체영상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