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3953A - Liquid crystal display and polarizer - Google Patents

Liquid crystal display and polariz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3953A
KR20180023953A KR1020187000943A KR20187000943A KR20180023953A KR 20180023953 A KR20180023953 A KR 20180023953A KR 1020187000943 A KR1020187000943 A KR 1020187000943A KR 20187000943 A KR20187000943 A KR 20187000943A KR 20180023953 A KR20180023953 A KR 201800239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ss
film
polarizer
peak
liquid crys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094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쇼타 하야카와
고이치 무라타
야스시 사사키
유키노부 무코야마
Original Assignee
도요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요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2270055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1923B1/en
Publication of KR201800239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3953A/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 G02F1/133531Polariser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polariser or analyser ax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3Direct backlight with LEDs
    • G02F2001/133531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청색 영역(400㎚ 이상 495㎚ 미만), 녹색 영역(495㎚ 이상 600㎚ 미만) 및 적색 영역(600㎚ 이상 780㎚ 이하)의 각 파장 영역에 각각 발광 스펙트럼의 피크 톱을 갖고, 적색 영역(600㎚ 이상 780㎚ 이하)에 있어서의 피크의 반값폭이 비교적 좁은 백라이트 광원을 갖는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 편광자 보호 필름으로서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사용한 경우에도, 무지개 얼룩이 억제된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백라이트 광원, 2개의 편광판 및 상기 2개의 편광판 사이에 배치된 액정 셀을 갖는 액정 표시 장치로서, 상기 백라이트 광원은, 400㎚ 이상 495㎚ 미만, 495㎚ 이상 600㎚ 미만 및 600㎚ 이상 780㎚ 이하의 각 파장 영역에 각각 발광 스펙트럼의 피크 톱을 갖고, 또한 600㎚ 이상 780㎚ 이하의 파장 영역에 있어서 가장 피크 강도가 높은 피크의 반값폭이 5㎚ 미만인 발광 스펙트럼을 갖는 백색 발광 다이오드이고, 상기 편광판 중 적어도 한쪽 편광판은, 편광자의 적어도 한쪽 면에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적층된 것이고, 상기 편광자의 투과축과 평행한 방향의,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굴절률이 1.53 내지 1.62인 액정 표시 장치.And has a peak of the luminescence spectrum in each wavelength region of the blue region (less than 400 nm and less than 495 nm), the green region (less than 495 nm and less than 600 nm), and the red reg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 which rainbow unevenness is suppressed even when a polyester film is used as a polarizer protective film in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a backlight light source having a relatively narrow half width of a peak in a range of from 1 nm to 780 nm.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a backlight light source, two polarizing plates, and a liquid crystal cell disposed between the two polarizing plates, wherein the backlight light source has a wavelength of from 400 nm to less than 495 nm, from 495 nm to less than 600 nm, A white light emitting diode having an emission spectrum having a peak top of an emission spectrum in each wavelength region and a half width of a peak having the highest peak intensity in a wavelength region of 600 nm to 780 nm is less than 5 nm, Wherein at least one of the polarizers is a laminate of a polyester film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polarizer and a refractive index of the polyester film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transmission axis of the polarizer is 1.53 to 1.62.

Description

액정 표시 장치 및 편광판Liquid crystal display and polarizer

본 발명은 액정 표시 장치 및 편광판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무지개 형상의 색 얼룩의 발생이 경감된 액정 표시 장치 및 편광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quid crystal display and a polarizing plate.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a polarizing plate in which occurrence of irregular color irregularities is reduced.

액정 표시 장치(LCD)에 사용되는 편광판은, 통상 폴리비닐알코올(PVA) 등에 요오드를 염착시킨 편광자를 2매의 편광자 보호 필름 사이에 끼운 구성이며, 편광자 보호 필름으로서는 통상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AC) 필름이 사용되고 있다. 근년, LCD의 박형화에 수반하여, 편광판의 박층화가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이를 위해 보호 필름으로서 사용되고 있는 TAC 필름의 두께를 얇게 하면, 충분한 기계 강도를 얻을 수 없고, 또한 투습성이 악화된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TAC 필름은 매우 고가여서, 저렴한 대체 소재로서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제안되어 있지만(특허문헌 1 내지 3), 무지개 형상의 색 얼룩이 관찰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A polarizing plate used in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is constituted by sandwiching a polarizer in which iodine is dyed to polyvinyl alcohol (PVA) or the like between two polarizer protective films. As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triacetylcellulose (TAC) Has been used. In recent years, along with the thinning of the LCD, a thin polarizing plate has been required. However, if the thickness of the TAC film used as a protective film is reduced for this purpose, a sufficient mechanical strength can not be obtained, and the moisture permeability is deteriorated. In addition, although the TAC film is very expensive and a polyester film has been proposed as an inexpensive substitute material (Patent Documents 1 to 3), there has been a problem that irregular color irregularity is observed.

편광자의 편측에 복굴절성을 갖는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배치한 경우, 백라이트 유닛 또는 편광자로부터 출사된 직선 편광은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통과할 때 편광 상태가 변화한다. 투과한 광은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복굴절과 두께의 곱인 리타데이션에 특유의 간섭색을 나타낸다. 그 때문에, 광원으로서 냉음극관이나 열음극관 등 불연속의 발광 스펙트럼을 사용하면, 파장에 따라 상이한 투과광 강도를 나타내어, 무지개 형상의 색 얼룩이 된다(참조: 제15회 마이크로 옵티컬 컨퍼런스 예고집, 제30 내지 31면).When an oriented polyester film having birefringence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polarizer, the linearly polarized light emitted from the backlight unit or the polarizer changes its polarization state when passing through the polyester film. The transmitted light exhibits an interference color peculiar to retardation, which is a product of the birefringence and the thickness of the oriented polyester film. Therefore, when a discontinuous emission spectrum such as a cold cathode tube or a hot cathode tube is used as a light source, the transmitted light intensity differs depending on the wavelength, resulting in irregular color irregularity (see 15th Micro Optical Conference, if).

상기 문제를 해결하는 수단으로서, 백라이트 광원으로서 백색 발광 다이오드와 같은 연속적이며 폭넓은 발광 스펙트럼을 갖는 백색 광원을 사용하고, 또한 편광자 보호 필름으로서 일정한 리타데이션을 갖는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4). 백색 발광 다이오드는, 가시광 영역에서 연속적이며 폭넓은 발광 스펙트럼을 갖는다. 그 때문에, 복굴절체를 투과한 투과광에 의한 간섭색 스펙트럼의 포락선 형상에 착안하면,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리타데이션을 제어함으로써, 광원의 발광 스펙트럼과 닮은 스펙트럼이 얻어져, 무지개 얼룩의 억제가 가능한 것이 제안되어 있다.As means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 it has been proposed to use a white light source having a continuous and broad emission spectrum such as a white light emitting diode as a backlight light source and to use an oriented polyester film having a certain retardation as a polarizer protective film (Patent Document 4). The white light emitting diode is continuous in the visible light region and has a broad emission spectrum. Therefore, when attention is paid to the envelope shape of the interference color spectrum due to the transmitted light transmitted through the birefringent body, a spectrum resembling the emission spectrum of the light source can be obtained by controlling the retardation of the oriented polyester film, .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배향 방향과 편광판의 편광 방향을 직교 혹은 평행하게 함으로써, 편광자로부터 출사된 직선 편광은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통과해도 편광 상태를 유지한 채 통과하게 된다. 또한,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복굴절을 제어하여 1축 배향성을 높임으로써, 경사 방향으로부터 입사하는 광도 편광 상태를 유지한 채 통과하게 된다.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비스듬히 보면, 바로 위에서 보았을 때와 비교해서 배향 주축 방향으로 어긋남이 발생하지만, 1축 배향성이 높으면 비스듬히 보았을 때의 배향 주축 방향의 어긋남이 작아진다. 이 때문에, 직선 편광의 방향과 배향 주축 방향의 어긋남이 작아져서, 편광 상태의 변화가 발생하기 어려워져 있다고 생각된다. 이와 같이, 광원의 발광 스펙트럼과 복굴절체의 배향 상태, 배향 주축 방향을 제어함으로써, 편광 상태의 변화가 억제되어, 무지개 형상의 색 얼룩이 발생하지 않아, 시인성이 현저하게 개선된다고 생각되었다.By making the alignment direction of the oriented polyester film orthogonal or parallel to the polarizing direction of the polarizing plate, the linearly polarized light emitted from the polarizer passes through the oriented polyester film while maintaining the polarization state. Further, by controlling the birefringence of the oriented polyester film to increase the uniaxial alignment property, the light passes through while maintaining the incident light polarization state from the oblique direction. When the oriented polyester film is obliquely observed, deviation in the alignment main axis direction occurs as compared with when viewed from above, but when the uniaxial alignment property is high, deviation in the alignment main axis direction when viewed at an angle becomes small.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the deviation between the direction of the linearly polarized light and the direction of the alignment main axis is reduced, and the change of the polarization state is hardly caused. Thus, by controlling the light emission spectrum of the light source, the orientation state of the birefringent body, and the direction of the main alignment axis of alignment, changes in the polarization state are suppressed, irregular color irregularity does not occur, and visibility is remarkably improved.

일본특허공개 제2002-116320호 공보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2-116320 일본특허공개 제2004-219620호 공보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4-219620 일본특허공개 제2004-205773호 공보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4-205773 WO2011/162198WO2011 / 162198

근년 액정 표시 장치의 색 영역 확대 요구의 점증으로부터, 청색 영역(400㎚ 이상 495㎚ 미만), 녹색 영역(495㎚ 이상 600㎚ 미만) 및 적색 영역(600㎚ 이상 780㎚ 이하)의 각 파장 영역에 각각 발광 스펙트럼의 피크 톱을 갖고, 적색 영역(600㎚ 이상 780㎚ 이하)에 있어서의 피크의 반값폭이 비교적 좁은(5㎚ 미만) 발광 스펙트럼을 갖는 백색 발광 다이오드(예를 들어, 청색 발광 다이오드와, 형광체로서 적어도 K2SiF6:Mn4 + 등의 불화물 형광체를 갖는 백색 발광 다이오드 등)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광원을 사용한 액정 표시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In recent years, in order to increase the color gamut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t has become necessary to increase the color gamut of the blue region (less than 400 nm and less than 495 nm), the green region (less than 495 nm and less than 600 nm), and the red region (less than 600 nm and less than 780 nm) (For example, a blue light emitting diode and a blue light emitting diode) having an emission spectrum having peak tops of emission spectra and a relatively narrow half width of a peak in a red region (600 nm or more and 780 nm or less) , A white light emitting diode having a fluorophosphor such as at least K 2 SiF 6 : Mn 4 + as a phosphor, etc.) has been developed.

편광자 보호 필름으로서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사용한 편광판을 사용해서 액정 표시 장치를 공업적으로 생산하는 경우, 편광자의 투과축과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진상축의 방향은, 통상 서로 수직이 되도록 배치된다. 이것은, 편광자인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은 세로 1축 연신을 해서 제조되는데, 그 보호 필름인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세로 연신한 후 가로 연신을 해서 제조되기 때문에, 폴리에스테르 필름 배향 주축 방향은 가로 방향이 되어, 이들 긴 물체를 접합해서 편광판이 제조되면,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진상축과 편광자의 투과축은 통상 수직 방향이 되기 때문이다. 이 경우, 폴리에스테르 필름으로서 특정한 리타데이션을 갖는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사용하고, 백라이트 광원으로서 예를 들어, 청색 발광 다이오드와 이트륨·알루미늄·가닛계 황색 형광체를 조합한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백색 LED로 대표되는, 연속적이며 폭넓은 발광 스펙트럼을 갖는 광원을 사용함으로써, 무지개 형상의 색 얼룩은 대폭 개선되기는 하지만, 적색 영역(600㎚ 이상 780㎚ 이하)에 있어서의 피크의 반값폭이 비교적 좁은(5㎚ 미만) 발광 스펙트럼을 갖는 백색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광원을 사용한 경우, 여전히 무지개 얼룩이 발생한다고 하는 새로운 과제가 존재함을 발견했다.When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s industrially produced using a polarizing plate using a polyester film as a polarizer protective film, the transmission axis of the polarizer and the direction of the fast axis of the polyester film are usually arranged to b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This is because the polyvinyl alcohol film as the polarizer is produced by longitudinal uniaxial stretching. Since the polyester film as the protective film is produced by transversely stretching after longitudinal stretching, the direction of the principal axis of the polyester film alignment is transverse, This is because, when the polarizing plate is produced by bonding these long objects, the fast axis of the polyester film and the transmission axis of the polarizer are normally vertical. In this case, an oriented polyester film having a specific retardation is used as the polyester film, and a white LED including a light emitting element in which a blue light emitting diode and a yttrium aluminum garnet yellow phosphor are combined as a backlight light source By using a light source having a continuous and broad emission spectrum, which is typical, the irregular color irregularity is greatly improved, but the half width of the peak in the red region (600 nm or more and 780 nm or less) is relatively narrow In the case of using a backlight source including a white light emitting diode having an emission spectrum, there is still a new problem that rainbow stains still occur.

즉, 본 발명의 과제는, 청색 영역(400㎚ 이상 495㎚ 미만), 녹색 영역(495㎚ 이상 600㎚ 미만) 및 적색 영역(600㎚ 이상 780㎚ 이하)의 각 파장 영역에 각각 발광 스펙트럼의 피크 톱을 갖고, 적색 영역(600㎚ 이상 780㎚ 이하)에 있어서의 피크의 반값폭이 비교적 좁은(5㎚ 미만) 발광 스펙트럼을 갖는 백색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광원을 갖는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 편광자 보호 필름으로서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사용한 경우에도, 무지개 얼룩이 억제된 액정 표시 장치 및 편광판을 제공하는 것이다.Tha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which is characterized in that each of wavelength regions of a blue region (less than 400 nm and less than 495 nm), a green region (less than 495 nm and less than 600 nm) In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a backlight light source including a white light emitting diode having a top and a light emitting spectrum having a relatively narrow half width (less than 5 nm) of a peak in a red region (600 nm to 780 nm) Even when a polyester film is used as a protective film,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a polarizing plate in which iridescence unevenness is suppressed.

대표적인 본 발명은 이하와 같다.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항 1.Section 1.

백라이트 광원, 2개의 편광판 및 상기 2개의 편광판 사이에 배치된 액정 셀을 갖는 액정 표시 장치로서,A backlight light source, two polarizing plates, and a liquid crystal cell disposed between the two polarizing plates,

상기 백라이트 광원은, 400㎚ 이상 495㎚ 미만, 495㎚ 이상 600㎚ 미만 및 600㎚ 이상 780㎚ 이하의 각 파장 영역에 각각 발광 스펙트럼의 피크 톱을 갖고, 또한 600㎚ 이상 780㎚ 이하의 파장 영역에 있어서 가장 피크 강도가 높은 피크의 반값폭이 5㎚ 미만인 발광 스펙트럼을 갖는 백색 발광 다이오드이고,The backlight light source has peak tops of luminescence spectrums in respective wavelength regions of 400 nm or more and less than 495 nm, 495 nm or more and less than 600 nm, and 600 nm or more and 780 nm or less, and further has a peak region of 600 nm or more and 780 nm or less And the half peak width of the peak having the highest peak intensity is less than 5 nm,

상기 편광판 중 적어도 한쪽 편광판은, 편광자의 적어도 한쪽 면에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적층된 것이고, 상기 편광자의 투과축과 평행한 방향의,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굴절률이 1.53 내지 1.62인,Wherein at least one of the polarizers is formed by laminating a polyester film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polarizer and a refractive index of the polyester film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transmission axis of the polarizer is 1.53 to 1.62,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항 2.Section 2.

상기 백라이트 광원의 발광 스펙트럼은,The light emission spectrum of the backlight light source is,

400㎚ 이상 495㎚ 미만의 파장 영역에 있어서 가장 피크 강도가 높은 피크의 반값폭이 5㎚ 이상이고,The half width of the peak having the highest peak intensity in the wavelength range of 400 nm or more and less than 495 nm is 5 nm or more,

495㎚ 이상 600㎚ 미만의 파장 영역에 있어서 가장 피크 강도가 높은 피크의 반값폭이 5㎚ 이상인,The half width of the peak having the highest peak intensity in the wavelength region of from 495 nm to less than 600 nm is 5 nm or more,

항 1에 기재된 액정 표시 장치.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ccording to item 1.

항 3.Section 3.

상기 편광자의 투과축 방향에 있어서의 굴절률과, 상기 편광자의 투과축과 평행한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굴절률의 차가 0.12 이하인, 항 1 또는 2에 기재된 액정 표시 장치.Wherein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fractive index in the transmission axis direction of the polarizer and the refractive index of the polyester film in the direction parallel to the transmission axis of the polarizer is 0.12 or less.

항 4.Section 4.

편광자의 적어도 한쪽 면에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적층된 편광판으로서,A polarizing plate in which a polyester film is laminat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a polarizer,

상기 편광자의 투과축과 평행한 방향의,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굴절률이 1.53 내지 1.62인,Wherein a refractive index of the polyester film in a direction parallel to a transmission axis of the polarizer is 1.53 to 1.62,

400㎚ 이상 495㎚ 미만, 495㎚ 이상 600㎚ 미만 및 600㎚ 이상 780㎚ 이하의 각 파장 영역에 각각 발광 스펙트럼의 피크 톱을 갖고, 또한 600㎚ 이상 780㎚ 이하의 파장 영역에 있어서 가장 피크 강도가 높은 피크의 반값폭이 5㎚ 미만인 발광 스펙트럼을 갖는 백색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광원을 갖는 액정 표시 장치용 편광판.The peak wavelength of 400 nm or more and less than 495 nm, the wavelength of 495 nm or more and less than 600 nm, and the wavelength of 600 nm or more and 780 nm or less, respectively, and having peak peaks in the wavelength range of 600 nm or more and 780 nm or less And a white light emitting diode having a luminescence spectrum in which a full width at half maximum of a high peak is less than 5 nm.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 및 편광판은, 어느 관찰 각도에 있어서도 무지개 형상의 색 얼룩의 발생이 유의미하게 억제된 양호한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다.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the polarizing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nsure good visibility in which irregular color irregularities are significantly suppressed at any viewing angle.

일반적으로, 액정 표시 장치는, 백라이트 광원에 대향하는 측으로부터 화상을 표시하는 측(시인측)을 향하는 순서대로, 후면 모듈, 액정 셀 및 전면 모듈로 구성되어 있다. 후면 모듈 및 전면 모듈은, 일반적으로, 투명 기판과, 그 액정 셀측 표면에 형성된 투명 도전막과, 그 반대측에 배치된 편광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편광판은, 후면 모듈에서는, 백라이트 광원에 대향하는 측에 배치되고, 전면 모듈에서는, 화상을 표시하는 측(시인측)에 배치되어 있다.In general,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s composed of a rear module, a liquid crystal cell, and a front module in the order from the side facing the backlight source to the side displaying the image (viewer side). The rear module and the front module are generally composed of a transparent substrate, a transparent conductive film formed on the liquid crystal cell side surface thereof, and a polarizing plate dispos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transparent conductive film. Here, the polarizing plate is disposed on the side opposite to the backlight light source in the rear module, and on the side (the viewer side) on which the image is displayed in the front module.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는 적어도, 백라이트 광원, 2개의 편광판 및 상기 2개의 편광판 사이에 배치된 액정 셀을 구성 부재로 한다.The liquid crystal display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t least a backlight light source, two polarizing plates, and a liquid crystal cell disposed between the two polarizing plates.

또한, 액정 표시 장치는, 백라이트 광원, 편광판, 액정 셀 이외에 다른 구성, 예를 들어 컬러 필터, 렌즈 필름, 확산 시트, 반사 방지 필름 등을 적절히 갖고 있어도 상관없다. 광원측 편광판과 백라이트 광원 사이에, 휘도 향상 필름을 설치해도 된다. 휘도 향상 필름으로서는, 예를 들어 한쪽의 직선 편광을 투과하고, 그것과 직교하는 직선 편광을 반사하는 반사형 편광판을 들 수 있다. 반사형 편광판으로서는, 예를 들어 스미또모 쓰리엠 가부시끼가이샤 제조의 DBEF(등록상표)(Dual Brightness Enhancement Film) 시리즈의 휘도 향상 필름이 적합하게 사용된다. 또한, 반사형 편광판은 통상, 반사형 편광판의 흡수축과 광원측 편광판의 흡수축이 평행해지도록 배치된다.In addition,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may have other structures besides the backlight light source, the polarizing plate, and the liquid crystal cell, for example, a color filter, a lens film, a diffusion sheet, an anti- A brightness enhancement film may be provided between the light source-side polarizing plate and the backlight light source. Examples of the brightness enhancement film include a reflection type polarizing plate that transmits linearly polarized light of one side and reflects linearly polarized light orthogonal thereto. As the reflection type polarizing plate, for example, a brightness enhancement film of a DBEF (registered trademark) (Dual Brightness Enhancement Film) series manufactured by Sumitomo 3M Ltd. is suitably used. The reflection type polarizing plate is usually arranged such that the absorption axis of the reflection type polarizing plate and the absorption axis of the light source side polarizing plate are parallel.

액정 표시 장치 내에 배치되는 2개의 편광판 중 적어도 한쪽 편광판은, 폴리비닐알코올(PVA) 등에 요오드를 염착시킨 편광자의 적어도 한쪽 면에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적층된 것이다. 편광자의 투과축과 평행한 방향의,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굴절률은 1.53 내지 1.62인 것이 바람직하다. 편광자의 다른 쪽 면에는, TAC 필름이나 아크릴 필름, 노르보르넨계 필름으로 대표되는 복굴절이 없는 필름이 적층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3층 구성의 편광판), 반드시 편광자의 다른 쪽 면에 필름이 적층될 필요는 없다(2층 구성의 편광판). 또한, 편광자의 양측의 보호 필름으로서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사용되는 경우, 양쪽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지상축은 서로 대략 평행한 것이 바람직하다.At least one polarizer of the two polarizers disposed in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s formed by laminating a polyester film on at least one surface of a polarizer obtained by dyes of iodine in polyvinyl alcohol (PVA) or the like. The refractive index of the polyester film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transmission axis of the polarizer is preferably 1.53 to 1.62. On the other side of the polarizer, it is preferable to laminate a film without birefringence represented by a TAC film, an acrylic film or a norbornene-based film (a polarizing plate having a three-layer structure), but a film must necessarily be lamin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polarizer (A polarizing plate having a two-layer structure). When a polyester film is used as the protective film on both sides of the polarizer, it is preferable that the slow axes of the both polyester films are substantially parallel to each other.

편광자는 당해 기술 분야에 있어서 사용되는 임의의 편광자(편광 필름)를 적절히 선택해서 사용할 수 있다. 대표적인 편광자로서는, 폴리비닐알코올 필름 등에 요오드 등의 2색성 재료를 염착시킨 것을 들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공지 및 금후 개발될 수 있는 편광자를 적절히 선택해서 사용할 수 있다.The polarizer can be used by appropriately selecting any polarizer (polarizing film) used in the technical field. Representative examples of the polarizer include a polyvinyl alcohol film in which a dichromatic material such as iodine is dy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 known and later-developed polarizer can be appropriately selected and used.

PVA 필름은 시판품을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쿠라레 비닐론((주)쿠라레 제조)」, 「도셀로 비닐론(도셀로(주) 제조)], 「니치고 비닐론(닛폰 고세이 가가꾸(주) 제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2색성 재료로서는 요오드, 디아조 화합물, 폴리메틴 염료 등을 들 수 있다.The PVA film may be a commercially available product. Examples of the PVA film include "Kurarabinetron (manufactured by Kuraray Co., Ltd.)", "Dacellovinylon (manufactured by Dassell Corporation)]," Nichigovinylon Ltd.) and the like can be used. Examples of the dichroic material include iodine, diazo compounds, and polymethine dyes.

편광자는 임의의 방법으로 얻을 수 있고, 예를 들어 PVA 필름을 2색성 재료로 염착시킨 것을 붕산 수용액 중에서 1축 연신하고, 연신 상태를 유지한 채 세정 및 건조를 행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1축 연신의 연신 배율은, 통상 4 내지 8배 정도이지만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다른 제조 조건 등은 공지된 방법에 따라서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The polarizer can be obtained by any method. For example, it can be obtained by uniaxially stretching a PVA film dyed with a dichroic material in an aqueous solution of boric acid, and washing and drying while maintaining the stretched state. The stretching magnification of uniaxial stretching is usually about 4 to 8 times, bu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Other manufacturing conditions and the like can be appropriately set according to known methods.

백라이트의 구성으로서는, 도광판이나 반사판 등을 구성 부재로 하는 에지 라이트 방식이든, 직하형 방식이든 무방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액정 표시 장치의 백라이트 광원으로서, 400㎚ 이상 495㎚ 미만, 495㎚ 이상 600㎚ 미만 및 600㎚ 이상 780㎚ 이하의 각 파장 영역에 각각 발광 스펙트럼의 피크 톱을 갖고, 또한 600㎚ 이상 780㎚ 이하의 파장 영역에 있어서 가장 피크 강도가 높은 피크의 반값폭이 5㎚ 미만인 발광 스펙트럼을 갖는 백색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광원이 바람직하다. 600㎚ 이상 780㎚ 이하의 파장 영역에서 가장 높은 피크 강도를 갖는 피크의 반값폭의 상한은 5㎚ 미만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3.5㎚ 미만이다. 하한은 1㎚ 이상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이상이다. 피크의 반값폭이 5㎚ 미만이면 액정 표시 장치의 색 영역이 넓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피크의 반값폭이 1㎚ 미만이면 발광 효율이 나빠질 우려가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요구되는 색 영역과 발광 효율의 밸런스로부터 발광 스펙트럼의 형상이 설계된다. 또한, 여기서, 반값폭이란, 피크 톱의 파장에 있어서의 피크 강도의 1/2의 강도에 있어서의 피크 폭(㎚)이다.The backlight may be an edge light type using a light guide plate or a reflective plate as a constituent member, or a direct light type. In the present invention, as a backlight light source of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 light source having a wavelength of 400 nm or more and less than 495 nm, And a peak wavelength of 600 nm or more and 780 nm or less and a peak wavelength of 600 nm or more and 780 nm or less and a half peak width of the peak having the highest peak intensity in a wavelength region of 600 nm or more and 780 nm or less is less than 5 nm, A backlight light source including a white light emitting diode having a white light emitting diode is preferable. The upper limit of the half width of the peak having the highest peak intensity in the wavelength range of 600 nm to 780 nm is preferably less than 5 nm, more preferably less than 4 nm, still more preferably less than 3.5 nm. The lower limit is preferably 1 nm or more, and more preferably 1.5 nm or more. When the half width of the peak is less than 5 nm, the color gamut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s widened. If the half width of the peak is less than 1 nm, the light emitting efficiency may deteriorate. The shape of the emission spectrum is designed from the balance of the required color gamut and the luminous efficiency. Here, the half-value width is a peak width (nm) at an intensity half of the peak intensity at the peak top wavelength.

상술한 특징을 갖는 발광 스펙트럼을 갖는 백라이트 광원의 LCD에 대한 적용은, 근년의 색 영역 확대 요구의 점증으로부터 주목받고 있는 기술이다. 종래부터 사용되고 있는 백색 LED(예를 들어, 청색 발광 다이오드와 이트륨·알루미늄·가닛계 황색 형광체를 조합한 발광 소자)를 백라이트 광원으로서 사용하는 LED에서는, 인간의 눈이 인식 가능한 스펙트럼의 20%정도밖에 색을 재현할 수 없다. 이에 반해 상술한 특징을 갖는 발광 스펙트럼을 갖는 백라이트 광원을 사용한 경우, 60% 이상의 색을 재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고 할 수 있다.The application of a backlight light source having an emission spectrum having the above-described characteristics to an LCD has attracted attention due to the increasing demand for color gamut expansion in recent years. In an LED using a conventionally used white LED (for example, a light emitting element in which a blue light emitting diode is combined with a yttrium aluminum garnet yellow phosphor) as a backlight light source, only about 20% of the human eye recognizable spectrum The color can not be reproduced. On the other hand, when a backlight source having an emission spectrum having the above-described characteristic is used, it is possible to reproduce a color of 60% or more.

상기 400㎚ 이상 495㎚ 미만의 파장 영역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430㎚ 이상 470㎚ 이하이다. 상기 495㎚ 이상 600㎚ 미만의 파장 영역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510㎚ 이상 560㎚ 이하이다. 상기 600㎚ 이상 780㎚ 이하의 파장 영역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600㎚ 이상 700㎚ 이하이고,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610㎚ 이상 680㎚ 이하이다.The wavelength range of 400 nm or more and less than 495 nm is more preferably 430 nm or more and 470 nm or less. The wavelength range of not less than 495 nm and not more than 600 nm is more preferably not less than 510 nm and not more than 560 nm. The wavelength region of 600 nm or more and 780 nm or less is more preferably 600 nm or more and 700 nm or less, still more preferably 610 nm or more and 680 nm or less.

발광 스펙트럼의 400㎚ 이상 495㎚ 미만, 495㎚ 이상 600㎚ 미만의 각 파장 영역의 피크 톱에 있어서의 피크 반값폭(각 파장 영역에서 가장 높은 피크 강도를 갖는 피크의 반값폭)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400㎚ 이상 495㎚ 미만의 파장 영역에서 가장 높은 피크 강도를 갖는 피크의 반값폭이 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495㎚ 이상 600㎚ 미만의 파장 영역에서 가장 높은 피크 강도를 갖는 피크의 반값폭이 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적정한 색 영역을 확보하는 관점에서, 400㎚ 이상 495㎚ 미만, 495㎚ 이상 600㎚ 미만의 각 파장 영역의 피크 톱에 있어서의 피크 반값폭(각 파장 영역에서 가장 높은 피크 강도를 갖는 피크의 반값폭)의 상한은, 바람직하게는 140㎚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120㎚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100㎚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80㎚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60㎚ 이하이고,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이하이다.The peak half width (peak half width of the peak having the highest peak intensity in each wavelength region) in the peak top of each wavelength range of 400 nm or more and less than 495 nm and 495 nm or more and less than 600 nm of the luminescence spectrum is not particularly limited , The half width of the peak having the highest peak intensity in a wavelength range of 400 nm or more and less than 495 nm is preferably 5 nm or more, and the half width of the peak having the highest peak intensity in a wavelength range of 495 nm or more and less than 600 nm And is preferably 5 nm or more. From the viewpoint of securing a proper color region, the peak half width in the peak top of each wavelength range from 400 nm to less than 495 nm and from 495 nm to less than 600 nm (the half-width of the peak having the highest peak intensity in each wavelength region ) Is preferably 140 nm or less, preferably 120 nm or less, preferably 100 nm or less, more preferably 80 nm or less, further preferably 60 nm or less, still more preferably Is 50 nm or less.

상술한 특징을 갖는 발광 스펙트럼을 갖는 백색 광원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청색 발광 다이오드와 형광체를 조합한 형광체 방식의 백색 발광 다이오드를 들 수 있다. 상기 형광체 중 적색 형광체로서는, 예를 들어 조성식이 K2SiF6:Mn4+인 불화물 형광체(「KSF」라고도 한다), 기타가 예시된다. Mn4 + 부활 불화물 착체 형광체는, Mn4 +를 부활제, 알칼리 금속, 아민 또는 알칼리 토금속의 불화물 착체염을 모체 결정으로 하는 형광체이다. 모체 결정을 형성하는 불화물 착체에는, 배위 중심이 3가 금속(B, Al, Ga, In, Y, Sc, 란타노이드)인 것, 4가 금속(Si, Ge, Sn, Ti, Zr, Re, Hf)인 것, 5가 금속(V, P, Nb, Ta)인 것이 있고, 그 주위에 배위하는 불소 원자의 수는 5 내지 7이다.As a white light source having an emission spectrum having the above-described characteristics, for example, a white light emitting diode of a phosphor system in which a blue light emitting diode and a phosphor are combined is exemplified. As the red phosphor among the above-mentioned phosphors, for example, a fluoride phosphor (KSF) having a composition formula of K 2 SiF 6 : Mn 4+ and others are exemplified. The Mn 4 + resorbable fluoride complex phosphor is a phosphor in which Mn 4 + is a host crystal of a fluoride complex salt of an activator, an alkali metal, an amine or an alkaline earth metal. (Si, Ge, Sn, Ti, Zr, Re, Al, Ga, In, Y, Sc, lanthanoids), the coordination centers of which are trivalent metals Hf), a pentavalent metal (V, P, Nb, Ta), and the number of fluorine atoms coordinating to the periphery thereof is 5 to 7.

Mn4 + 부활 불화물 착체 형광체의 적합예로서는, A2[MF6]:Mn(A는 Li, Na, K, Rb, Cs, NH4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 M은 Ge, Si, Sn, Ti, Zr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 E[MF6]:Mn(E는 Mg, Ca, Sr, Ba, Zn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 M은 Ge, Si, Sn, Ti, Zr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 Ba0 .65, Zr0 .35F2. 70:Mn, A3[ZrF7]:Mn(A는 Li, Na, K, Rb, Cs, NH4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 A2[MF5]:Mn(A는 Li, Na, K, Rb, Cs, NH4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 M은 Al, Ga, In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 A3[MF6]:Mn(A는 Li, Na, K, Rb, Cs, NH4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 M은 Al, Ga, In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 Zn2[MF7]:Mn(M은 Al, Ga, In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 A[In2F7]:Mn(A는 Li, Na, K, Rb, Cs, NH4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 등이 있다.As a preferable example of the Mn 4 + reshaped fluorophore complex fluorescent material, A 2 [MF 6 ]: Mn (A is at least one selected from Li, Na, K, Rb, Cs and NH 4 ; M is Ge, Si, , Zr), E [MF 6 ]: Mn (E is at least one selected from Mg, Ca, Sr, Ba and Zn, and M is at least one element selected from Ge, Si, Sn, Ti and Zr at least one), Ba 0 .65, Zr 0 .35 F 2. 70: Mn, A 3 [ZrF 7]: Mn (A is Li, Na, K, Rb, Cs, at least one element selected from among NH 4 ), A 2 [MF 5] : Mn (A is Li, Na, K, Rb, Cs, at least one element selected from among NH 4; M is at least one element selected from among Al, Ga, in), A 3 [ MF 6]: Mn (A is Li, Na, K, Rb, Cs, at least one element selected from among NH 4; M is at least one element selected from among Al, Ga, in), Zn 2 [MF 7]: Mn (M is at least one element selected from Al, Ga and In) and A [In 2 F 7 ]: Mn (A is at least one element selected from Li, Na, K, Rb, Cs and NH 4 ) .

바람직한 Mn4 + 부활 불화물 착체 형광체의 하나는, 알칼리 금속의 헥사플루오로 착체염을 모체 결정으로 하는 A2MF6:Mn(A는 Li, Na, K, Rb, Cs, NH4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 M은 Ge, Si, Sn, Ti, Zr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이다. 그 중에서도 바람직한 것은, A가 K(칼륨) 또는 Na(나트륨)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 M이 Si(규소) 또는 Ti(티타늄)인 것이다. 그 중에서도 특히, A가 K이고(A 전량에서 차지하는 K의 비율이 99몰% 이상), M이 Si인 것이 바람직하다. 부활 원소는 Mn(망간)이 100%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부활 원소의 전량에 대하여 10몰% 미만의 범위에서 Ti, Zr, Ge, Sn, Al, Ga, B, In, Cr, Fe, Co, Ni, Cu, Nb, Mo, Ru, Ag, Zn, Mg 등이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M이 Si인 경우, Si와 Mn의 합계에 있어서의 Mn의 비율은, 0.5몰%∼10몰%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바람직한 Mn4 + 부활 불화물 착체 형광체로서, 화학식 A2+ xMyMnzFn(A는 Na 및 K; M은 Si 및 Al; -1≤x≤1 또한 0.9≤y+z≤1.1 또한 0.001≤z≤0.4 또한 5≤n≤7)으로 표현되는 것을 들 수 있다.Preferred Mn 4 + resurrection a fluoride complex phosphor, the complex salt hexafluorophosphate of an alkali metal A 2 MF 6 to the host crystal: Mn (A is Li, Na, K, Rb, Cs, 1 is selected from NH 4 And M is at least one species selected from Ge, Si, Sn, Ti, and Zr). Among them, it is preferable that A is at least one selected from K (potassium) or Na (sodium), and M is Si (silicon) or Ti (titanium). Especially, it is preferable that A is K (the proportion of K in all the A is 99 mol% or more), and M is Si. But it is preferable that Mn (manganese) is 100% in the activated element, but Ti, Zr, Ge, Sn, Al, Ga, B, In, Cr, Fe, Co, Ni, Cu, Nb, Mo, Ru, Ag, Zn, Mg, and the like. When M is Si, the ratio of Mn in the total of Si and Mn is preferably within a range of 0.5 mol% to 10 mol%. As other preferable Mn 4 + reshaped fluorophore complex phosphors, a phosphor represented by the general formula A 2+ x M y Mn z F n (A is Na and K; M is Si and Al; -1? X? 1 and 0.9? Y + z? 0.001? Z? 0.4 and 5? N? 7).

백라이트 광원에는, 청색 발광 다이오드와 형광체로서 적어도 불화물 형광체를 갖는 백색 발광 다이오드가 바람직하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청색 발광 다이오드와 형광체로서 적어도 K2SiF6:Mn4 +인 불화물 형광체를 갖는 백색 발광 다이오드이다. 예를 들어, 니치아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제조의 백색 LED인 NSSW306FT 등의 시판품을 사용할 수 있다.As the backlight light source, a blue light emitting diode and a white light emitting diode having at least a fluorophosphor phosphor as a fluorescent material are preferable, and a white light emitting diode having a blue light emitting diode and a fluorophosphor phosphor at least K 2 SiF 6 : Mn 4 + to be. For example, a commercially available product such as NSSW306FT which is a white LED manufactured by Nichia Kagaku Kogyo Co., Ltd. can be used.

또한, 상기 형광체 중 녹색 형광체로서는, 예를 들어 β-SiAlON:Eu 등을 기본 조성으로 하는 사이알론계 형광체, (Ba,Sr)2SiO4:Eu 등을 기본 조성으로 하는 실리케이트계 형광체, 기타가 예시된다.As the green phosphor among the above-mentioned phosphors, for example, a sialon-based phosphor having a basic composition of? -SiAlON: Eu or the like, a silicate-based phosphor having a basic composition of (Ba, Sr) 2 SiO 4 : .

또한, 400㎚ 이상 495㎚ 미만의 파장 영역, 495㎚ 이상 600㎚ 미만의 파장 영역, 또는 600㎚ 이상 780㎚ 이하의 파장 영역 중 어느 것인가의 파장 영역에서, 복수의 피크가 존재하는 경우는 이하와 같이 생각된다.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peaks in a wavelength range of 400 nm or more and less than 495 nm, a wavelength range of 495 nm or more and less than 600 nm, or a wavelength range of 600 nm or more and 780 nm or less, I think so.

복수의 피크가, 각각 독립된 피크인 경우, 가장 피크 강도가 높은 피크의 반값폭이 상기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장 높은 피크 강도의 70% 이상의 강도를 갖는 다른 피크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반값폭이 상기 범위가 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한 양태이다.When the plurality of peaks are independent peaks, the half width of the peak having the highest peak intensity is preferably in the above range. It is more preferable for the other peak having the intensity of 70% or more of the highest peak intensity to have the half-value width in the above range as well.

복수의 피크가 겹쳐진 형상을 갖는 1개의 독립된 피크에 대해서는, 복수의 피크 중 가장 피크 강도가 높은 피크의 반값폭을 그대로 측정할 수 있는 경우에는, 그 반값폭을 사용한다. 여기서, 독립된 피크란, 피크의 단파장측, 장파장측의 양쪽에 피크 강도의 1/2이 되는 강도의 영역을 갖는 것이다. 즉, 복수의 피크가 겹쳐지고, 개개의 피크가 그 양측에 피크 강도의 1/2이 되는 강도의 영역을 갖지 않은 경우에는, 그 복수의 피크를 전체로서 1개의 피크라 간주한다. 이와 같은, 복수의 피크가 겹쳐진 형상을 갖는 1개의 피크는, 그 중 가장 높은 피크 강도의 1/2의 강도에 있어서의 피크의 폭(㎚)을 반값폭으로 한다.For one independent peak having a shape in which a plurality of peaks are overlapped, the half width of the peak having the highest peak intensity among the plurality of peaks can be measured as it is. Here, the independent peaks are regions having an intensity that is half of the peak intensity on both the short wavelength side and the long wavelength side of the peak. That is, when a plurality of peaks overlap each other and the individual peaks do not have regions of intensity such that the peaks are half of the peak intensity on both sides, the plurality of peaks are regarded as one peak as a whole. One such peak having a plurality of overlapping peaks has a half width of the peak width (nm) at an intensity half of the highest peak intensity.

또한, 복수의 피크 중 가장 피크 강도가 높은 피크를 피크 톱으로 한다.Further, a peak having the highest peak intensity among a plurality of peaks is regarded as a peak top.

또한, 400㎚ 이상 495㎚ 미만의 파장 영역, 495㎚ 이상 600㎚ 미만의 파장 영역, 또는 600㎚ 이상 780㎚ 이하의 파장 영역의 각각의 파장 영역에서 가장 높은 피크 강도를 갖는 피크는 다른 파장 영역의 피크와는 서로 독립된 관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495㎚ 이상 600㎚ 미만의 파장 영역에서 가장 높은 피크 강도를 갖는 피크와, 600㎚ 이상 780㎚ 이하의 영역에서 가장 높은 피크 강도를 갖는 피크 사이의 파장 영역에는, 강도가 600㎚ 이상 780㎚ 이하의 파장 영역의 가장 높은 피크 강도를 갖는 피크의 피크 강도의 1/3이 되는 영역이 존재하는 것이 색채의 선명성의 면에서 바람직하다.The peak having the highest peak intensity in each of the wavelength regions of 400 nm or more and less than 495 nm, the wavelength region of 495 nm or more and less than 600 nm, or the wavelength region of 600 nm or more and 780 nm or less, It is preferable that the peaks are independent of each other. Particularly, in the wavelength region between the peak having the highest peak intensity in the wavelength region of from 495 nm to less than 600 nm and the peak having the highest peak intensity in the region of from 600 nm to 780 nm, Of the peak intensity of the peak having the highest peak intensity in the following wavelength range is preferable in view of the sharpness of the color.

백라이트 광원의 발광 스펙트럼은, 하마마츠 포토닉스 제조 멀티 채널 분광기 PMA-12 등의 분광기를 사용함으로써 측정이 가능하다.The emission spectrum of the backlight source can be measured by using a spectrometer such as a multi-channel spectrometer PMA-12 manufactured by Hamamatsu Photonics.

본 발명자들은 예의 검토한 결과, 상술한 백라이트 광원과 같이, 청색 영역(400㎚ 이상 495㎚ 미만), 녹색 영역(495㎚ 이상 600㎚ 미만) 및 적색 영역(600㎚ 이상 780㎚ 이하)의 각 파장 영역에 각각 발광 스펙트럼의 피크 톱을 갖고, 적색 영역(600㎚ 이상 780㎚ 이하)에 있어서의 피크의 반값폭이 5㎚ 미만으로 비교적 좁은 백색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광원을 갖는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 편광자 보호 필름으로서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사용한 편광판을 사용한 경우에도, 편광판을 구성하는 편광자의 투과축과 평행한 방향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굴절률이 1.53 이상 1.62 이하의 범위에 있으면, 유위하게 무지개 얼룩을 억제할 수 있음을 알아내었다. 상기 양태에 의해 무지개 형상의 색 얼룩의 발생이 억제되는 기구로서는, 다음과 같이 생각된다.As a result of intensive investigations,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found that, like the above-described backlight light source, the respective wavelengths of the blue region (less than 400 nm and less than 495 nm), the green region (less than 495 nm and less than 600 nm) In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a backlight light source including white light emitting diodes each having a peak top of the luminescence spectrum in the region and a relatively narrow half width of the peak in the red region (600 nm or more and 780 nm or less) And the refractive index of the polyester film in the direction parallel to the transmission axis of the polarizer constituting the polarizer is 1.53 or more and 1.62 or less even when a polarizer using the polyester film as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is used, . As a mechanism for suppressing the occurrence of irregular color irregularity by the above-described aspect, it is considered as follows.

편광자의 편측에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배치한 경우, 백라이트 유닛 또는 편광자로부터 출사된 직선 편광은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통과할 때에 편광 상태가 변화한다. 편광 상태가 변화하는 요인 중 하나로, 공기층과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계면에 있어서의 굴절률차, 또는 편광자와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계면에 있어서의 굴절률차가 영향을 주고 있을 가능성이 생각된다.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입사한 직선 편광이, 각 계면을 통과할 때에, 계면에 있어서의 굴절률차에 의해 광의 일부가 반사된다. 이때에 출사광, 반사광도 편광 상태가 변화하여, 이것이 무지개 형상의 색 얼룩이 발생하는 요인 중 하나가 되고 있다고 생각된다. 이 때문에, 입사하는 직선 편광의 편광 방향(투과축 방향)에 있어서의, 공기층과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굴절률차 및 편광자와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굴절률차를 작게 함으로써, 각 계면에서의 반사가 억제되어서, 무지개 형상의 색 얼룩이 억제된다고 생각된다. 입사하는 직선 편광의 편광 방향(투과축 방향)에 있어서의, 공기층과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굴절률차 및 편광자와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굴절률차를 작게 하기 위해서는, 상기 투과축과 평행한 방향에 있어서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굴절률을 1.53 내지 1.62 정도로 낮게 조절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When the oriented polyester film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polarizer, the linearly polarized light emitted from the backlight unit or the polarizer changes its polarization state when passing through the polyester film. It is considered that the difference in the refractive index at the interface between the air layer and the oriented polyester film or the difference in refractive index at the interface between the polarizer and the oriented polyester film may be one of the factors that change the polarization state. When the linearly polarized light incident on the oriented polyester film passes through each interface, a part of the light is reflected by the difference in refractive index at the interface. At this time, the outgoing light and the reflected light also change in polarization state, which is considered to be one of factors causing irregular color irregularity. Therefore, by reducing the refractive index difference between the air layer and the oriented polyester film and the refractive index difference between the polarizer and the oriented polyester film in the polarization direction (transmission axis direction) of the incident linearly polarized light, reflection at each interface is suppressed , It is considered that color irregularity of a rainbow shape is suppressed. In order to reduce the refractive index difference between the air layer and the oriented polyester film and the refractive index difference between the polarizer and the oriented polyester film in the polarization direction (transmission axis direction) of the incident linearly polarized light, And adjusting the refractive index of the polyester film to about 1.53 to 1.62.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청색 영역(400㎚ 이상 495㎚ 미만), 녹색 영역(495㎚ 이상 600㎚ 미만) 및 적색 영역(600㎚ 이상 780㎚ 이하)의 각 파장 영역에 각각 발광 스펙트럼의 피크 톱을 갖고, 적색 영역(600㎚ 이상 780㎚ 이하)에 있어서의 피크의 반값폭이 5㎚ 미만으로 비교적 좁은 백색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광원을 갖는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 편광자 보호 필름으로서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사용한 편광판을 사용해도, 무지개 형상의 색 얼룩이 발생하지 않고, 양호한 시인성을 갖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in each wavelength region of the blue region (less than 400 nm and less than 495 nm), the green region (less than 495 nm and less than 600 nm), and the red region In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a backlight light source including a white light emitting diode having a top and a relatively narrow peak having a half width of less than 5 nm in a red region (600 nm or more and 780 nm or less) Even when a polarizing plate using a film is used, irregular color irregularity does not occur and it is possible to have good visibility.

본 발명의 편광판에는, 편광자의 적어도 한쪽 면에,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포함하는 편광자 보호 필름을 적층한다. 편광자의 투과축 방향과 평행한 방향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굴절률은 1.53 이상 1.62 이하의 범위가 되도록 낮게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공기층과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계면, 편광자와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계면에 있어서의 반사를 억제하여, 무지개 형상의 색 얼룩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굴절률이 1.62를 초과하면, 경사 방향에서 관찰했을 때에 무지개 형상의 색 얼룩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바람직하게는 1.61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60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59 이하이고,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1.58 이하이다.In the polarizing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a polarizer protective film including a polyester film is laminat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polarizer. It is preferable that the refractive index of the polyester film in the direction parallel to the transmission axis direction of the polarizer is adjusted to be in the range of 1.53 to 1.62. Thus, reflection at the interface between the air layer and the polyester film and at the interface between the polarizer and the polyester film can be suppressed, and color irregularities in a rainbow shape can be suppressed. When the refractive index exceeds 1.62, irregular color unevenness may occur when observed in the oblique direction. Preferably 1.61 or less, more preferably 1.60 or less, further preferably 1.59 or less, still more preferably 1.58 or less.

한편, 굴절률의 하한값은 1.53이다. 굴절률이 1.53 미만이 되면,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결정화가 불충분해져서, 치수 안정성, 역학 강도, 내약품성 등의 연신에 의해 얻어지는 특성이 불충분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바람직하게는 1.54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55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56 이상,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1.57 이상이다.On the other hand, the lower limit value of the refractive index is 1.53. When the refractive index is less than 1.53, the crystallization of the polyester film becomes insufficient and the properties obtained by stretching such as dimensional stability, mechanical strength, chemical resistance, etc. become insufficient. Preferably 1.54 or more, more preferably 1.55 or more, further preferably 1.56 or more, even more preferably 1.57 or more.

편광자의 투과축 방향과 평행한 방향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굴절률을 1.53 이상 1.62 이하의 범위로 설정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편광판은, 편광자의 투과축과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진상축(지상축과 수직 방향)이 대략 평행한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진상축 방향(지상축과 수직 방향)의 굴절률은, 후술하는 제막 공정에서의 연신 처리에 의해, 1.53 내지 1.62의 범위로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진상축 방향과 편광자의 투과축 방향을 대략 평행으로 함으로써, 편광자의 투과축 방향과 평행한 방향의 폴리에스테르 필름 굴절률이 1.53 내지 1.62인 편광판을 제조할 수 있다. 여기에서 대략 평행하다고 하는 것은, 편광자의 투과축과 편광자 보호 필름의 진상축이 이루는 각이, 바람직하게는 -15°내지 15°, 보다 바람직하게는 -10°내지 10°, 더욱 바람직하게는 -5° 내지 5°,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3°내지 3°, 한층 더 바람직하게는 -2°내지 2°, 특히 바람직하게는 -1°내지 1°인 것을 의미한다. 바람직한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대략 평행이란 실질적으로 평행이다. 여기에서 실질적으로 평행하다고 하는 것은, 편광자와 보호 필름을 접합할 때에 불가피적으로 발생하는 어긋남을 허용하는 정도로 투과축과 진상축이 평행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지상축의 방향은, 분자 배향계(예를 들어, 오지 게이소꾸기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MOA-6004형 분자 배향계)로 측정해서 구할 수 있다.In order to set the refractive index of the polyester film in the direction parallel to the transmission axis direction of the polarizer to 1.53 or more and 1.62 or less, the polarizing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has the transmission axis of the polarizer and the fast axis of the polyester film Direction) is approximately parallel. The refractive index in the fast axis direction (vertical direction to the slow axis) of the polyester film can be adjusted in the range of 1.53 to 1.62 by the stretching treatment in the film forming step described later. By making the fast axis direction of the polyester film and the transmission axis direction of the polarizer substantially parallel to each other, a polarizing plate having a polyester film refractive index of 1.53 to 1.62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transmission axis direction of the polarizer can be manufactured. Here, the term "approximately parallel" means that the angle formed by the transmission axis of the polarizer and the fast axis of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is preferably -15 ° to 15 °, more preferably -10 ° to 10 °, 5 DEG to 5 DEG, still more preferably -3 DEG to 3 DEG, still more preferably -2 DEG to 2 DEG, and particularly preferably -1 DEG to 1 DEG. 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substantially parallel is substantially parallel. Here, the term substantially parallel means that the transmission axis and the fast axis are parallel to each other so as to allow a shift that is unavoidably caused when the polarizer and the protective film are bonded. The direction of the slow axis can be obtained by measuring with a molecular orientation system (for example, MOA-6004 type molecular alignment system, manufactured by Oji Paper Co., Ltd.).

즉,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진상축 방향의 굴절률은 1.53 이상 1.62 이하가 바람직하고, 편광자의 투과축과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진상축을 대략 평행해지도록 적층함으로써, 편광자의 투과축과 평행한 방향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굴절률이 1.53 이상 1.62 이하인 편광판을 제조할 수 있다.That is, the refractive index in the fast axis direction of the polyester film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1.53 or more and 1.62 or less. By stacking the transmission axis of the polarizer and the fast axis of the polyester film so as to be substantially parallel, Direction, the refractive index of the polyester film is 1.53 or more and 1.62 or less.

편광판을 구성하는 편광자의 투과축 방향에 있어서의 굴절률과, 편광자의 투과축과 평행한 방향에 있어서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굴절률의 차가 0.12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바람직하게는 0.10 이하, 바람직하게는 0.09 이하, 바람직하게는 0.08 이하, 바람직하게는 0.07 이하, 바람직하게는 0.06 이하, 바람직하게는 0.05 이하이다. 굴절률 차가 작을수록, 폴리에스테르 필름 계면에서의 반사를 억제하여, 무지개 얼룩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하한은 0이다.The difference between the refractive index in the transmission axis direction of the polarizer constituting the polarizing plate and the refractive index of the polyester film in the direction parallel to the transmission axis of the polarizer is preferably 0.12 or less and is preferably 0.10 or less, , Preferably 0.08 or less, preferably 0.07 or less, preferably 0.06 or less, preferably 0.05 or less. The smaller the difference in the refractive index, the more preferable is to suppress the reflection at the interface of the polyester film and suppress iridescence irregularity. The lower limit is zero.

편광자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폴리비닐알코올(PVA) 등에 요오드를 염착시킨 것 등, 종래 공지된 편광자를 사용할 수 있다. 편광자의 투과축 방향에 있어서의 굴절률은, 바람직하게는 1.41 내지 1.56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44 내지 1.55이고,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1.47 내지 1.54이다.The polariz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conventionally known polarizers such as polyvinyl alcohol (PVA) or the like in which iodine is dyed can be used. The refractive index of the polarizer in the transmission axis direction is preferably 1.41 to 1.56, more preferably 1.44 to 1.55, still more preferably 1.47 to 1.54.

또한, 편광자 보호 필름에 사용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1500 내지 30000㎚의 리타데이션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리타데이션이 상기 범위에 있으면, 보다무지개 얼룩이 저감되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리타데이션의 하한값은 3000㎚, 이어서 바람직한 하한값은 3500㎚, 보다 바람직한 하한값은 4000㎚, 더욱 바람직한 하한값은 6000㎚, 보다 더 바람직한 하한값은 8000㎚이다. 바람직한 상한은 30000㎚이고, 이 이상의 리타데이션을 갖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에서는 두께가 상당히 커져서, 공업 재료로서의 취급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Further, it is preferable that the polyester film used for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has a retardation of 1500 to 30000 nm. When the retardation is in the above range, the iridescence tends to be more likely to be reduced, which is preferable. The lower limit value of the preferred retardation is 3000 nm, the lower limit value is preferably 3500 nm, more preferably the lower limit value is 4000 nm, still more preferably the lower limit value is 6000 nm, and still more preferably the lower limit value is 8000 nm. The preferred upper limit is 30000 nm, and the polyester film having the retardation of more than 30000 nm has a considerably large thickness, and the handling property as an industrial material tends to be lowered.

또한, 리타데이션은, 필름 상의 직교하는 2축 방향의 굴절률과 두께를 측정해서 구할 수도 있고, KOBRA-21ADH(오지 게이소꾸 기끼 가부시키가이샤)라고 하는 시판 중인 자동 복굴절 측정 장치를 사용해서 구할 수도 있다. 또한, 굴절률은 아베 굴절률계(측정 파장 589㎚)에 의해 구할 수 있다.The retardation can be obtained by measuring the refractive index and thickness in the orthogonal biaxial directions on the film, or can be obtained by using a commercially available automatic birefringence measurement device called KOBRA-21ADH (Oji Keisoku Kikai K.K.) . The refractive index can be obtained by Abbe's refractometer (measurement wavelength: 589 nm).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리타데이션(Re: 면내 리타데이션)과 두께 방향의 리타데이션(Rth)의 비(Re/Rth)는, 바람직하게는 0.2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6 이상이다. 상기 리타데이션과 두께 방향 리타데이션의 비(Re/Rth)가 클수록, 복굴절의 작용은 등방성을 늘려서, 관찰 각도에 따른 무지개 형상의 색 얼룩의 발생이 발생하기 어려워지는 경향이 있다. 완전한 1축성(1축 대칭) 필름에서는 상기 리타데이션과 두께 방향 리타데이션의 비(Re/Rth)는 2.0이 되기 때문에, 상기 리타데이션과 두께 방향 리타데이션의 비(Re/Rth)의 상한은 2.0이 바람직하다. 또한, 두께 방향 위상차는, 필름을 두께 방향 단면에서 보았을 때의 2개의 복굴절 △Nxz, △Nyz에 각각 필름 두께 d를 곱해서 얻어지는 위상차의 평균을 의미한다.The ratio (Re / Rth) of the retardation (Re: in-plane retardation) of the polyester film to the retardation (Rth) in the thickness direction is preferably 0.2 or more, more preferably 0.5 or more, further preferably 0.6 or more to be. The larger the ratio of retardation to retardation in the thickness direction (Re / Rth) is, the birefringence action tends to increase the isotropy and to make it less likely to occur irregular color irregularities depending on the observation angle. (Re / Rth) of the retardation to thickness direction retardation is 2.0 in a complete uniaxial (uniaxial) film, the upper limit of the ratio of retardation to thickness direction retardation (Re / Rth) is 2.0 . The retardation in the thickness direction means an average of the retardation obtained by multiplying the birefringence DELTA Nxz and DELTA Nyz when the film is view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section, respectively, by the film thickness d.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포함하는 편광자 보호 필름은, 입사광측(광원측)과 출사광측(시인측)의 양쪽의 편광판에 사용할 수 있다. 입사광측에 배치되는 편광판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포함하는 편광자 보호 필름은, 그 편광자를 기점으로 해서 입사광측에 배치되어 있어도 되고, 액정 셀측에 배치되어 있어도 되고, 양측에 배치되어 있어도 되지만, 적어도 입사광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출사광측에 배치되는 편광판에 대해서는,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포함하는 편광자 보호 필름은, 그 편광자를 기점으로 해서 액정측에 배치되어도 되고, 출사광측에 배치되어 있어도 되고, 양측에 배치되어 있어도 되지만, 적어도 출사광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comprising the polyester film can be used for both polarizers of the incident light side (light source side) and the emergent light side (visual side). In the polarizing plate disposed on the incident light side,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comprising the polyester film may be disposed on the side of the incident light with the polarizer as a starting point, on the side of the liquid crystal cell or on both sides thereof, It is preferable to be disposed at least on the incident light side. With regard to the polarizing plate disposed on the outgoing light side, the polarizing plate protective film comprising the polyester film may be disposed on the liquid crystal side with the polarizer as a starting point, on the outgoing light side or on both sides, It is preferable that it is disposed on the outgoing light side.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사용되는 폴리에스테르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나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를 사용할 수 있지만, 다른 공중합 성분을 포함해도 상관없다. 이들 수지는 투명성이 우수함과 함께, 열적, 기계적 특성도 우수하며, 연신 가공에 의해 용이하게 리타데이션을 제어할 수 있다. 특히,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는 고유 복굴절이 커서, 필름을 연신함으로써 진상축(지상축 방향과 수직) 방향의 굴절률을 낮게 억제할 수 있는 점, 및 필름의 두께가 얇아도 비교적 용이하게 큰 리타데이션이 얻어지는 점에서, 가장 적합한 소재이다.The polyester used in the polyester film may be polyethylene terephthalate or polyethylene naphthalate, but may contain other copolymerizable components. These resins have excellent transparency, excellent thermal and mechanical properties, and can easily control retardation by stretching. Particularly, polyethylene terephthalate has a large intrinsic birefringence, and is capable of suppressing the refractive index in the direction of the fast axis (perpendicular to the slow axis direction) to a low level by stretching the film, and that the retardation can be relatively easily obtained even when the thickness of the film is relatively small In point, it is the most suitable material.

또한, 요오드 색소 등의 광학 기능성 색소의 열화를 억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파장 380㎚의 광선 투과율이 2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380㎚의 광선 투과율은 15%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10%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고, 5%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광선 투과율이 20% 이하이면, 광학 기능성 색소의 자외선에 의한 변질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투과율은, 필름의 평면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측정한 것이고, 분광 광도계(예를 들어, 히타치 U-3500형)를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It is also intended to suppress deterioration of an optically functional coloring matter such as an iodine dye,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polyester film has a light transmittance of not more than 20% at a wavelength of 380 nm. The light transmittance of 380 nm is more preferably 15% or less, still more preferably 10% or less, particularly preferably 5% or less. When the light transmittance is 20% or less, deterioration due to ultraviolet rays of the optically functional dye can be suppressed. The transmittance is measur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film, and can be measured using a spectrophotometer (for example, Hitachi U-3500 type).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파장 380㎚의 투과율을 20% 이하로 하기 위해서는, 자외선 흡수제의 종류, 농도 및 필름의 두께를 적절히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자외선 흡수제는 공지된 물질이다.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와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를 들 수 있지만, 투명성의 관점에서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가 바람직하다.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벤조트리아졸계, 벤조페논계, 환상 이미노에스테르계 등, 및 그의 조합을 들 수 있지만 상술한 흡광도의 범위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그러나, 내구성의 관점에서는 벤조트리아졸계, 환상 이미노에스테르계가 특히 바람직하다. 2종 이상의 자외선 흡수제를 병용한 경우에는, 각각의 파장의 자외선을 동시에 흡수시킬 수 있으므로, 보다 자외선 흡수 효과를 개선시킬 수 있다.In order to set the transmittance of the polyester film at a wavelength of 380 nm to 20% or less, it is preferable to appropriately adjust the type, concentration and film thickness of the ultraviolet absorbent. The ultraviolet absorber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 known substance. As the ultraviolet absorber, an organic ultraviolet absorber and an inorganic ultraviolet absorber can be mentioned, but from the viewpoint of transparency, an organic ultraviolet absorber is preferable. Examples of the organic ultraviolet absorber include benzotriazole-based, benzophenone-based, cyclic iminoester-based, and the like, and combinations thereof, but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they are in the above-described range of absorbance. However, from the viewpoint of durability, benzotriazole-based cyclic imino ester-based ones are particularly preferable. When two or more kinds of ultraviolet absorbers are used in combination, ultraviolet rays of respective wavelengths can be simultaneously absorbed, so that the ultraviolet absorption effect can be further improved.

벤조페논계 자외선 흡수제,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 흡수제, 아크릴로니트릴계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예를 들어 2-[2'-히드록시-5'-(메타크릴로일옥시메틸)페닐]-2H-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5'-(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페닐]-2H-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5'-(메타크릴로일옥시프로필)페닐]-2H-벤조트리아졸, 2,2'-디히드록시-4,4'-디메톡시벤조페논, 2,2',4,4'-테트라히드록시벤조페논, 2,4-디-tert-부틸-6-(5-클로로벤조트리아졸-2-일)페놀, 2-(2'-히드록시-3'-tert-부틸-5'-메틸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2-(5-클로로(2H)-벤조트리아졸-2-일)-4-메틸-6-(tert-부틸)페놀, 2,2'-메틸렌비스(4-(1,1,3,3-테트라메틸부틸)-6-(2H-벤조트리아졸-2-일)페놀 등을 들 수 있다. 환상 이미노에스테르계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예를 들어 2,2'-(1,4-페닐렌)비스(4H-3,1-벤조옥사지논-4-온), 2-메틸-3,1-벤조옥사진-4-온, 2-부틸-3,1-벤조옥사진-4-온, 2-페닐-3,1-벤조옥사진-4-온 등을 들 수 있다. 그러나 특별히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Examples of the benzophenone-based ultraviolet absorber, benzotriazole-based ultraviolet absorber and acrylonitrile-based ultraviolet absorber include 2- [2'-hydroxy-5 '- (methacryloyloxymethyl) phenyl] -2H-benzotriazole , 2- [2'-hydroxy-5 '- (methacryloyloxyethyl) phenyl] -2H-benzotriazole, 2- [ Phenyl] -2H-benzotriazole, 2,2'-dihydroxy-4,4'-dimethoxybenzophenone, 2,2 ', 4,4'-tetrahydroxybenzophenone, 2,4- (2'-hydroxy-3'-tert-butyl-5'-methylphenyl) -5-chlorobenzotriazole, 2 Methyl-6- (tert-butyl) phenol, 2,2'-methylenebis (4- (1,1,3,3- (2H-benzotriazol-2-yl) phenol, and the like. Examples of the cyclic imino ester-based ultraviolet absorber include 2,2 '- (1,4-phenylene) bis (4H-3,1-benzoxazinone-4-one), 2-methyl-3, 2-butyl-3,1-benzoxazine-4-one, 2-phenyl-3,1-benzoxazine-4-one and the like. It is not.

또한, 자외선 흡수제 이외에, 본 발명의 효과를 방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촉매 이외의 각종 첨가제를 함유시키는 것도 바람직한 양태이다. 첨가제로서, 예를 들어 무기 입자, 내열성 고분자 입자, 알칼리 금속 화합물, 알칼리 토금속 화합물, 인 화합물, 대전 방지제, 내광제, 난연제, 열 안정제, 산화 방지제, 겔화 방지제, 계면 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높은 투명성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실질적으로 입자를 함유하지 않는 것도 바람직하다. 「입자를 실질적으로 함유시키지 않는다」는 것은, 예를 들어 무기 입자의 경우, 형광 X선 분석으로 무기 원소를 정량한 경우에 50ppm 이하, 바람직하게는 10ppm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검출 한계 이하가 되는 함유량을 의미한다.In addition to the ultraviolet absorber, it is also preferable to add various additives other than the catalyst in the range not hindering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Examples of the additive include inorganic particles, heat resistant polymer particles, alkali metal compounds, alkaline earth metal compounds, phosphorus compounds, antistatic agents, light stabilizers, flame retardants, heat stabilizers, antioxidants, antigelling agents and surfactants. Further, in order to exhibit high transparency, it is also preferable that the polyester film contains substantially no particles. The phrase " substantially not containing particles " means, for example, in the case of inorganic particles, when the inorganic element is quantified by fluorescent X-ray analysis, it is 50 ppm or less, preferably 10 ppm or less, .

본 발명에 사용되는 편광자 보호 필름인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표면에는, 반사 방지나 번쩍임 억제, 흠집 억제 등을 목적으로 하여, 다양한 기능층, 즉 하드 코트층, 방현층, 반사 방지층 등을 설치하는 것도 바람직한 양태이다. 다양한 기능층을 설치할 때,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그 표면에 이(易)접착층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때, 반사광에 의한 간섭을 억제하는 관점에서, 이접착층의 굴절률을, 기능층의 굴절률과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굴절률의 상승평균 근방이 되도록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접착층의 굴절률의 조정은 공지된 방법을 채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결합제 수지에, 티타늄이나 게르마늄, 그 밖의 금속종을 함유시킴으로써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It is also preferable to provide various functional layers, that is, a hard coat layer, an antiglare layer, an antireflection layer, and the like, on the surface of the polyester film, which is a polarizer protective film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for the purpose of preventing reflection, Lt; / RTI > When the various functional layers are provided, it is preferable that the polyester film has an easy adhesive layer on its surface. At this time, from the viewpoint of suppressing the interference by the reflected light, it is preferable to adjust the refractive index of the adhesive layer so as to be close to the rising average of the refractive index of the functional layer and the refractive index of the polyester film. The adjustment of the refractive index of the adhesive layer can be carried out by a known method, and can easily be adjusted, for example, by containing titanium, germanium or other metal species in the binder resin.

폴리에스테르 필름에는, 편광자와의 접착성을 양호하게 하기 위해서 코로나 처리, 코팅 처리나 화염 처리 등을 실시하거나 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polyester film may be subjected to a corona treatment, a coating treatment, a flame treatment, or the like in order to improve the adhesiveness with the polarizer.

본 발명에 있어서는, 편광자와의 접착성을 개량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필름의 적어도 편면에,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또는 폴리아크릴 수지 중 적어도 1종류를 주성분으로 하는 이접착층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주성분」이란 이접착층을 구성하는 고형 성분 중 50질량% 이상인 성분을 말한다. 본 발명의 이접착층 형성에 사용하는 도포액은, 수용성 또는 수분산성의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 아크릴 수지 및 폴리우레탄 수지 중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수성 도포액이 바람직하다. 이들 도포액으로서는, 예를 들어 일본특허 제3567927호 공보, 일본특허 제3589232호 공보, 일본특허 제3589233호 공보, 일본특허 제3900191호 공보, 일본특허 제4150982호 공보 등에 개시된 수용성 또는 수분산성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 용액, 아크릴 수지 용액, 폴리우레탄 수지 용액 등을 들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improve the adhesiveness to the polarizer, it is preferable that the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t least one adhesive layer comprising at least one of polyester resin, polyurethane resin or polyacrylic resin as a main component . Here, the " main component " refers to a component of 50 mass% or more of the solid components constituting the adhesive layer. The coating liquid used for forming the adhesive l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an aqueous coating liquid containing at least one of a water-soluble or water-dispersible copolymer polyester resin, an acrylic resin and a polyurethane resin. Examples of the coating liquids include water-soluble or water-dispersible copolymer polyesters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No. 3567927, Japanese Patent No. 3589232, Japanese Patent No. 3589233, Japanese Patent No. 3900191, Japanese Patent No. 4150982, An ester resin solution, an acrylic resin solution, and a polyurethane resin solution.

이접착층은, 상기 도포액을 세로 방향의 1축 연신 필름의 편면 또는 양면에 도포한 후, 100 내지 150℃에서 건조하고, 추가로 가로 방향으로 연신해서 얻을 수 있다. 최종적인 이접착층의 도포량은 0.05 내지 0.20g/㎡로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포량이 0.05g/㎡ 미만이면, 얻어지는 편광자와의 접착성이 불충분해지는 경우가 있다. 한편, 도포량이 0.20g/㎡를 초과하면, 내블로킹성이 저하하는 경우가 있다.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양면에 이접착층을 설치하는 경우는, 양면의 이접착층의 도포량은 동일하거나 상이해도 되고, 각각 독립적으로 상기 범위 내에서 설정할 수 있다.The adhesive layer can be obtained by applying the coating liquid to one side or both sides of a uniaxially oriented film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drying at 100 to 150 ° C, and further stretching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he final application amount of the adhesive layer is preferably controlled to 0.05 to 0.20 g / m 2. If the application amount is less than 0.05 g / m 2, the adhesiveness with the obtained polarizer may become insufficient. On the other hand, if the applied amount exceeds 0.20 g / m 2, the blocking resistance may be lowered. When the adhesive layer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polyester film, the application amounts of the adhesive layers on both sides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and can be independently set within the above range.

이접착층에는 이활성(易滑性)을 부여하기 위해서 입자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립자의 평균 입경은 2㎛ 이하인 입자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입자의 평균 입경이 2㎛를 초과하면, 입자가 피복층으로부터 탈락되기 쉬워진다. 이접착층에 함유시키는 입자로서는, 예를 들어 산화티타늄, 황산바륨, 탄산칼슘, 황산칼슘, 실리카, 알루미나, 탈크, 카올린, 클레이, 인산칼슘, 운모, 헥토라이트, 지르코니아, 산화텅스텐, 불화리튬, 불화칼슘 등의 무기 입자나, 스티렌계, 아크릴계, 멜라민계, 벤조구아나민계, 실리콘계 등의 유기 중합체계 입자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이접착층에 첨가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해서 첨가할 수도 있다.It is preferable to add particles to the adhesive layer in order to impart lubricity. It is preferable to use particles having an average particle size of 2 mu m or less. If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particles exceeds 2 mu m, the particles tend to fall off from the coating layer. Examples of the particles to be contained in the adhesive layer include titanium oxide, barium sulfate, calcium carbonate, calcium sulfate, silica, alumina, talc, kaolin, clay, calcium phosphate, mica, hectorite, zirconia, tungsten oxide, Calcium and the like, and organic polymerization system particles such as styrene type, acrylic type, melamine type, benzoguanamine type and silicon type. These may be added to the adhesive layer alone, or two or more of them may be added in combination.

또한, 도포액을 도포하는 방법으로서는, 공지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버스 롤·코트법, 그라비아·코트법, 키스·코트법, 롤 브러시법, 스프레이 코트법, 에어 나이프 코트법, 와이어 바 코트법, 파이프 닥터법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방법을 단독으로 혹은 조합해서 행할 수 있다.As a method of applying the coating liquid, a known method can be used. Examples of the method include a reverse roll coating method, a gravure coating method, a kiss-coat method, a roll brush method, a spray coating method, an air knife coating method, a wire bar coating method and a pipe doctor method. Can be performed alone or in combination.

또한, 상기 입자의 평균 입경의 측정은 하기 방법에 의해 행한다. 입자를 주사형 전자 현미경(SEM)으로 사진을 찍고, 가장 작은 입자 1개의 크기가 2 내지 5㎜가 되는 배율로, 300 내지 500개의 입자의 최대 직경(가장 떨어진 2점 간의 거리)을 측정하고, 그 평균값을 평균 입경이라 한다.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particles is measured by the following method. The particles were photographed with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and the maximum diameter (distance between the two most distant points) of 300 to 500 particles was measured at a magnification of 2 to 5 mm in the size of one smallest particle, The average value is referred to as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편광자 보호 필름으로서 사용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일반적인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 방법에 따라서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용융하여, 시트 형상으로 압출 성형된 무배향 폴리에스테르를 유리 전이 온도 이상의 온도에 있어서, 롤의 속도차를 이용해서 세로 방향으로 연신한 후, 텐터에 의해 가로 방향으로 연신하고, 열처리를 실시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The polyester film used as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can be produced by a general method for producing a polyester film. For example, an unoriented polyester extruded into a sheet shape by melting a polyester resin is stretch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a temperature equal to or higher than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using the speed difference of the roll, and then stretch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Followed by stretching and heat treatment.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1축 연신 필름이든, 2축 연신 필름이든 상관없지만, 2축 연신 필름을 편광자 보호 필름으로서 사용한 경우, 필름면의 바로 위에서 관찰해도 무지개 형상의 색 얼룩이 보이지 않지만, 경사 방향에서 관찰했을 때 무지개 형상의 색 얼룩이 관찰되는 경우가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The polyester film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matter whether it is a uniaxially stretched film or a biaxially stretched film. However, when a biaxially stretched film is used as a polarizer protective film, irregular color unevenness is not seen even when viewed from directly above the film surface, Care should be taken when observing in the oblique direction, since color irregularities of iridescence may be observed.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막 조건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세로 연신 온도, 가로 연신 온도는 80 내지 135℃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130℃, 특히 바람직하게는 90 내지 120℃이다. 지상축이 TD 방향이 되도록 필름을 배향시키기 위해서는, 세로 연신 배율은 1.0 내지 3.5배가 바람직하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1.0배 내지 3.0배이다. 또한, 가로 연신 배율은 2.5 내지 6.0배가 바람직하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5.5배이다. 지상축이 MD 방향으로 되도록 필름을 배향시키기 위해서는, 세로 연신 배율은 2.5배 내지 6.0배가 바람직하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5.5배이다. 또한, 가로 연신 배율은 1.0배 내지 3.5배가 바람직하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1.0배 내지 3.0배이다.The film-forming conditions of the polyester film will be specifically described. The longitudinal stretching temperature and transverse stretching temperature are preferably 80 to 135 占 폚, more preferably 80 to 130 占 폚, particularly preferably 90 to 120 占 폚. In order to align the film so that the slow axis is in the TD direction, the longitudinal stretching magnification is preferably 1.0 to 3.5 times, particularly preferably 1.0 to 3.0 times. The transverse stretching magnification is preferably 2.5 to 6.0 times, particularly preferably 3.0 to 5.5 times. In order to align the film so that the slow axis is in the MD direction, the longitudinal stretching magnification is preferably 2.5 to 6.0 times, particularly preferably 3.0 to 5.5 times. The transverse stretching magnification is preferably 1.0 to 3.5 times, particularly preferably 1.0 to 3.0 times.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진상축 방향의 굴절률 또는 리타데이션을 상기 범위로 제어하기 위해서는, 세로 연신 배율과 가로 연신 배율의 비율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로세로의 연신 배율의 차가 너무 작으면,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진상축 방향의 굴절률이 1.62를 초과하는 경향이 있고, 또한 리타데이션 높게 하는 것이 어려워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연신 온도를 낮게 설정하는 것은, 리타데이션을 높게 하는 데 있어서는 바람직한 대응이다. 계속되는 열처리에 있어서는, 처리 온도는 100 내지 250℃가 바람직하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180 내지 245℃이다.In order to control the refractive index or retardation in the fast axis direction of the polyester film to the above range, it is preferable to control the ratio between the longitudinal stretching magnification and the transverse stretching magnification. If the difference in stretching magnification between the transverse and longitudinal directions is too small, the refractive index of the polyester film in the fast axis direction tends to exceed 1.62, and it is difficult to increase the retardation, which is not preferable. Setting the stretching temperature to a low value is a preferable countermeasure for increasing the retardation. In the subsequent heat treatment, the treatment temperature is preferably 100 to 250 占 폚, particularly preferably 180 to 245 占 폚.

리타데이션의 변동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필름의 두께 변동이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연신 온도, 연신 배율은 필름의 두께 변동에 큰 영향을 미치는 점에서, 두께 변동의 관점에서도 제막 조건의 최적화를 행할 필요가 있다. 특히 리타데이션을 높게 하기 위해서 세로 연신 배율을 낮게 하면, 세로 두께 변동이 나빠지는 경우가 있다. 세로 두께 변동은 연신 배율의 어느 특정한 범위에서 매우 나빠지는 영역이 있기 때문에, 이 범위를 벗어난 것으로 제막 조건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rder to suppress the fluctuation of the retarda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fluctuation of the thickness of the film is small. Since the stretching temperature and stretching ratio greatly influence the thickness variation of the film, it is necessary to optimize the film formation conditions from the viewpoint of the thickness variation. In particular, when the longitudinal stretching magnification is lowered in order to increase the retardation, the longitudinal thickness fluctuation may be deteriorated. Since there is a region in which the longitudinal thickness fluctuation is extremely deteriorated in a certain range of the draw magnification, it is preferable to set the film forming condition out of this range.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두께 변동은 5.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4.5%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4.0% 이하인 것이 보다 더욱 바람직하고, 3.0%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The thickness variation of the polyester film is preferably 5.0% or less, more preferably 4.5% or less, even more preferably 4.0% or less, and particularly preferably 3.0% or less.

전술한 바와 같이,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리타데이션을 특정 범위로 제어하기 위해서는, 연신 배율이나 연신 온도, 필름의 두께를 적절히 설정함으로써 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신 배율이 높을수록, 연신 온도가 낮을수록, 필름의 두께가 두꺼울수록 높은 리타데이션을 얻기 쉬워진다. 반대로, 연신 배율이 낮을수록, 연신 온도가 높을수록, 필름의 두께가 얇을수록 낮은 리타데이션을 얻기 쉬워진다. 단, 필름의 두께를 두껍게 하면, 두께 방향 위상차가 커지기 쉽다. 그 때문에, 필름 두께는 후술하는 범위로 적절히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리타데이션의 제어에 더하여, 가공에 필요한 물성 등을 감안해서 최종적인 제막 조건을 설정 할 필요가 있다.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control the retardation of the polyester film to a specific range, it can be performed by appropriately setting the stretching magnification, stretching temperature, and film thickness. For example, the higher the stretching magnification, the lower the stretching temperature, and the thicker the film, the easier it is to obtain a higher retardation. Conversely, the lower the stretching ratio, the higher the stretching temperature, and the thinner the film, the easier to obtain a lower retardation. However, if the thickness of the film is increased, the retardation in the thickness direction tends to increase. 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appropriately set the film thickness in the range described later. In addition to the control of the retardation, it is necessary to set the final film forming conditions in consideration of the physical properties required for processing and the like.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두께는 임의이지만, 15 내지 300㎛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200㎛의 범위이다. 15㎛를 하회하는 두께의 필름에서도, 원리적으로는 1500㎚ 이상의 리타데이션을 얻는 것은 가능하다. 그러나, 그 경우에는 필름의 역학 특성의 이방성이 현저해져서, 터짐, 찢어짐 등을 발생시키기 쉬워져서, 공업 재료로서의 실용성이 현저하게 저하된다. 특히 바람직한 두께의 하한은 25㎛이다. 한편, 편광자 보호 필름의 두께의 상한은 300㎛를 초과하면 편광판의 두께가 너무 두꺼워져 버려서 바람직하지 않다. 편광자 보호 필름으로서의 실용성의 관점에서는 두께의 상한은 200㎛가 바람직하다. 특히 바람직한 두께의 상한은 일반적인 TAC 필름과 동등 정도인 100㎛이다. 상기 두께 범위에서도 리타데이션을 본 발명의 범위로 제어하기 위해서, 필름 기재로서 사용하는 폴리에스테르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가 적합하다.The thickness of the polyester film is arbitrary, but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15 to 300 mu m, more preferably in the range of 15 to 200 mu m. Even in the case of a film having a thickness of less than 15 占 퐉, it is possible in principle to obtain a retardation of 1500 nm or more. However, in that case, the anisotropy of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film becomes remarkable, and it tends to cause bursting, tearing, and the like, and practicality as an industrial material is remarkably lowered. A particularly preferable lower limit of the thickness is 25 占 퐉. On the other hand, if the upper limit of the thickness of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exceeds 300 탆, the thickness of the polarizer becomes too thick, which is not preferable. From the viewpoint of practicality as a polarizer protective film, the upper limit of the thickness is preferably 200 mu m. An upper limit of a particularly preferable thickness is 100 mu m which is equivalent to a general TAC film. In order to control the retardation within the range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in the above-mentioned thickness range, polyethylene terephthalate is suitable as the polyester used as the film base.

또한,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자외선 흡수제를 배합하는 방법으로서는, 공지된 방법을 조합해서 채용할 수 있지만, 예를 들어 미리 혼련 압출기를 사용하여, 건조시킨 자외선 흡수제와 중합체 원료를 블렌드하여 마스터배치를 제작해 두고, 필름 제막 시에 소정의 해당 마스터배치와 중합체 원료를 혼합하는 방법 등에 의해 배합할 수 있다.As a method for blending an ultraviolet absorber with a polyester film, known methods may be used in combination. For example, a master batch is prepared by blending a dried ultraviolet absorber and a polymer raw material using a pre-kneading extruder Or may be blended by a method of mixing a predetermined master batch with a polymer raw material at the time of film formation.

이때 마스터배치의 자외선 흡수제 농도는 자외선 흡수제를 균일하게 분산시키고, 또한 경제적으로 배합하기 위해서 5 내지 30질량%의 농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스터배치를 제작하는 조건으로서는 혼련 압출기를 사용하고, 압출 온도는 폴리에스테르 원료의 융점 이상, 290℃ 이하의 온도로 1 내지 15분간 압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90℃를 초과하면 자외선 흡수제의 감량이 크고, 또한 마스터배치의 점도 저하가 커진다. 압출 시간 1분 이하에서는 자외선 흡수제의 균일한 혼합이 곤란해진다. 이때, 필요에 따라서 안정제, 색조 조정제, 대전 방지제를 첨가해도 된다.At this time, the concentration of the ultraviolet absorber in the master batch is preferably 5 to 30% by mass in order to uniformly disperse the ultraviolet absorber and formulate it economically. As a condition for producing the master batch, it is preferable to use a kneading extruder and extrude at a temperature of not lower than the melting point of the polyester raw material and not more than 290 ° C for 1 to 15 minutes. When the temperature exceeds 290 DEG C, the weight loss of the ultraviolet absorber is large, and the viscosity drop of the masterbatch becomes large. When the extrusion time is 1 minute or less, uniform mixing of the ultraviolet absorber becomes difficult. At this time, a stabilizer, a color tone adjusting agent, and an antistatic agent may be added as necessary.

또한,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적어도 3층 이상의 다층 구조로 하고, 필름의 중간층에 자외선 흡수제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간층에 자외선 흡수제를 포함하는 3층 구조의 필름은,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이 제작할 수 있다. 외층용으로서 폴리에스테르의 펠릿 단독, 중간층용으로서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한 마스터배치와 폴리에스테르의 펠릿을 소정의 비율로 혼합하고, 건조한 다음, 공지된 용융 적층용 압출기에 공급하여, 슬릿상의 다이로부터 시트 형상으로 압출하고, 캐스팅롤 상에서 냉각 고화시켜서 미연신 필름을 만든다. 즉, 2대 이상의 압출기, 3층의 매니폴드 또는 합류 블록(예를 들어 각형 합류부를 갖는 합류 블록)을 사용하여, 양 외층을 구성하는 필름층, 중간층을 구성하는 필름층을 적층하고, 구금으로부터 3층의 시트를 압출하고, 캐스팅 롤로 냉각해서 미연신 필름을 만든다. 또한, 광학 결점의 원인이 되는, 원료의 폴리에스테르 중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을 제거하기 위해서, 용융 압출 시에 고정밀도 여과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융 수지의 고정밀도 여과에 사용하는 여과재의 여과 입자 사이즈(초기 여과 효율 95%)는, 15㎛ 이하가 바람직하다. 여과재의 여과 입자 사이즈가 15㎛를 초과하면, 20㎛ 이상의 이물 제거가 불충분해지기 쉽다.It is also preferable that the polyester film has a multilayer structure of at least three layers, and an ultraviolet absorbent is added to the intermediate layer of the film. The three-layer structure film containing the ultraviolet absorber in the intermediate layer can be specifically prepared as follows. The master batch containing polyester as the outer layer alone and the master batch containing the ultraviolet absorber as the intermediate layer and the polyester pellets were mixed at a predetermined ratio and then dried and fed to a known extruder for melt lamination to form a sheet Extruded into a shape and cooled and solidified on a casting roll to form an unstretched film. That is, using two or more extruders, a three-layer manifold or a confluence block (for example, a confluence block having a rectangular confluent portion), a film layer constituting the outer layer and a film layer constituting the intermediate layer are laminated, The three-layer sheet is extruded and cooled with a casting roll to form an unstretched film. Further, in order to remove foreign matters contained in the polyester of the raw material, which causes optical defects, it is preferable to perform high-precision filtration at the time of melt extrusion. The filtration particle size (initial filtration efficiency: 95%) of the filter medium used for high-precision filtration of the molten resin is preferably 15 탆 or less. If the filtration particle size of the filter medium exceeds 15 탆, foreign matter of 20 탆 or more tends to become insufficient.

실시예Example

이하,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에 의해 제한을 받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취지에 적합할 수 있는 범위에서 적절히 변경을 가해서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며, 그것들은,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물성의 평가 방법은 이하와 같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more concretely with reference to Example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Examples, and it is also possible to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by appropriately modifying it within the range that is suitable for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 All of which are included 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valuation methods of physical properties in the following examples are as follows.

(1)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굴절률(1) Refractive index of polyester film

분자 배향계(오지 게이소꾸기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MOA-6004형 분자 배향계)를 사용하여, 필름의 지상축 방향을 구하고, 지상축 방향이 측정용 샘플 긴 변과 평행해지도록, 4㎝×2㎝의 직사각형을 잘라내어, 측정용 샘플로 하였다. 이 샘플에 대해서, 직교하는 2축의 굴절률(지상축 방향의 굴절률: Ny, 진상축(지상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굴절률): Nx) 및 두께 방향의 굴절률(Nz)을 아베 굴절률계 (아타고사 제조, NAR-4T, 측정 파장 589㎚)에 의해 구하였다.The direction of the slow axis of the film was determined using a molecular orientation system (MOA-6004 type molecular alignment system, manufactured by Oji Scientific Co., Ltd.), and the direction of the slow axis was parallel to the long side of the measurement sample. A 2 cm rectangle was cut out and used as a sample for measurement. (Refractive index in the slow axis direction: Ny, refractive index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low axis direction: Nx) and refractive index in the thickness direction (Nz) of the sample were measured with Abbe's refractive index meter Manufactured by NAR-4T, measurement wavelength: 589 nm).

(2) 리타데이션(Re)(2) Retardation (Re)

리타데이션이란, 필름 상의 직교하는 2축의 굴절률의 이방성(△Nxy=|Nx-Ny|)과 필름 두께 d(㎚)의 곱(△Nxy×d)으로 정의되는 파라미터이고, 광학적 등방성, 이방성을 나타내는 척도이다. 2축의 굴절률의 이방성(△Nxy)은 이하의 방법에 의해 구하였다. 분자 배향계(오지 게이소꾸기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MOA-6004형 분자 배향계)를 사용하여, 필름의 지상축 방향을 구하고, 지상축 방향이 측정용 샘플 긴 변과 평행해지도록, 4㎝×2㎝의 직사각형을 잘라내어, 측정용 샘플로 하였다. 이 샘플에 대해서, 직교하는 2축의 굴절률(지상축 방향의 굴절률: Ny, 지상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굴절률: Nx) 및 두께 방향의 굴절률(Nz)을 아베 굴절률계(아타고사 제조, NAR-4T, 측정 파장 589㎚)에 의해 구하여, 상기 2축의 굴절률차의 절댓값(|Nx-Ny|)을 굴절률의 이방성(△Nxy)이라 하였다. 필름의 두께 d(㎚)는 전기 마이크로미터(파인류프사 제조, 밀리트론 1245D)를 사용하여 측정하고, 단위를 ㎚로 환산하였다. 굴절률의 이방성(△Nxy)과 필름의 두께 d(㎚)의 곱(△Nxy×d)으로부터, 리타데이션(Re)을 구하였다.The retardation is a parameter defined by a product (DELTA Nxy x d) of anisotropy (DELTA Nxy = | Nx-Ny |) of perpendicular biaxial refractive index on the film and film thickness d (nm) It is a scale. The anisotropy (? Nxy) of the biaxial refractive index was obtained by the following method. The direction of the slow axis of the film was determined using a molecular orientation system (MOA-6004 type molecular alignment system, manufactured by Oji Scientific Co., Ltd.), and the direction of the slow axis was parallel to the long side of the measurement sample. A 2 cm rectangle was cut out and used as a sample for measurement. (Refractive index in the slow axis direction: Ny, refractive index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low axis direction: Nx) and refractive index in the thickness direction (Nz) of the sample were measured with Abbe's refractive index meter (NAR- 4T and a measurement wavelength of 589 nm), and the absolute value (| Nx-Ny |) of the refractive index difference of the biaxial axis is referred to as anisotropy (? Nxy) of the refractive index. The thickness d (nm) of the film was measured using an electric micrometer (Millitron 1245D, manufactured by Pahrung Paste), and the unit was converted to nm. The retardation (Re) was obtained from the product (Nxy x d) of the anisotropy (? Nxy) of the refractive index and the thickness (dnm) of the film.

(3) 두께 방향 리타데이션(Rth)(3) Thickness direction retardation (Rth)

두께 방향 리타데이션이란, 필름 두께 방향 단면에서 보았을 때의 2개의 복굴절 △Nxz(=|Nx-Nz|), △Nyz(=|Ny-Nz|)에 각각 필름 두께 d를 곱하여 얻어지는 리타데이션의 평균을 나타내는 파라미터이다. 리타데이션의 측정과 마찬가지 방법으로 Nx, Ny, Nz와 필름 두께 d(㎚)를 구하고, (△Nxz×d)와 (△Nyz×d)의 평균값을 산출해서 두께 방향 리타데이션(Rth)을 구하였다.The retardation in the thickness direction means the retardation obtained by multiplying the birefringence ΔNxz (= | Nx-Nz |) and ΔNyz (= | Ny-Nz | . Nx, Ny and Nz and film thickness d (nm) were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measurement of the retardation, and the average value of (DELTA Nxz x d) and (DELTA Nyz x d) was calculated to obtain the thickness direction retardation (Rth) Respectively.

(4) 백라이트 광원의 발광 스펙트럼 측정(4) Measurement of emission spectrum of backlight source

각 실시예에서 사용하는 액정 표시 장치에는, 도시바사 제조의 REGZA 43J10X를 사용했다. 이 액정 표시 장치의 백라이트 광원(백색 발광 다이오드)의 발광 스펙트럼을, 하마마츠 포토닉스 제조 멀티 채널 분광기 PMA-12를 사용해서 측정한바, 450㎚, 535㎚, 630㎚ 부근에 피크 톱을 갖는 발광 스펙트럼이 관찰되었다. 각 피크 톱의 반값폭(각 파장 영역에서 가장 높은 피크 강도를 갖는 피크의 반값폭)은, 각각 450㎚의 피크가 17㎚, 535㎚의 피크가 45㎚, 630㎚의 피크가 2㎚였다. 또한, 이 광원에서는 600㎚ 이상 780㎚ 이하의 파장 영역에 복수의 피크를 가졌지만, 이 영역에서 가장 피크 강도가 높은 630㎚ 부근의 피크로 반값폭을 평가하였다. 또한, 스펙트럼 측정 시의 노광 시간은 20msec으로 하였다.REGZA 43J10X manufactured by Toshiba Corporation was used for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ed in each example. The luminescence spectrum of the backlight source (white light-emitting diode) of this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as measured using a multi-channel spectrometer PMA-12 manufactured by Hamamatsu Photonics, and the emission spectrum having a peak top in the vicinity of 450 nm, 535 nm and 630 nm Respectively. The half widths (half widths of the peaks having the highest peak intensities in the respective wavelength regions) of the respective peak tops were 17 nm for the 450 nm peak, 45 nm for the 535 nm peak and 2 nm for the 630 nm peak, respectively. In this light source, the half width was evaluated at a peak near 630 nm which had a plurality of peaks in a wavelength range of 600 nm or more and 780 nm or less, but the peak intensity was the highest in this range. The exposure time during spectral measurement was 20 msec.

(5) 무지개 얼룩 관찰(5) Rainbow spot observation

각 실시예에서 얻어진 액정 표시 장치를, 정면 및 경사 방향으로부터 어두운 곳에서 눈으로 관찰하여, 무지개 얼룩의 발생 유무에 대해서, 이하와 같이 판정하였다.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obtained in each of the Examples was visually observed from the front and the oblique direction in a dark place, and the occurrence of rainbow stains was judged as follows.

○: 무지개 얼룩이 관찰되지 않는다○: Rainbow stains are not observed

△: 무지개 얼룩이 약간 관찰된다B: Rainbow stains are slightly observed

×: 무지개 얼룩이 관찰된다X: Rainbow stains are observed

××: 무지개 얼룩이 현저하게 관찰된다××: Rainbow stains are observed remarkably

(6) 편광자의 굴절률(6) The refractive index of the polarizer

편광자의 투과축 방향의 굴절률을 아베 굴절계(아타고사 제조, NAR-4T SOLID, 측정 파장 589㎚)로 측정하였다.The refractive index of the polarizer in the transmission axis direction was measured with an Abbe refractometer (NAR-4T SOLID manufactured by Atago Co., measurement wavelength: 589 nm).

(제조예 1-폴리에스테르 A)(Production Example 1-Polyester A)

에스테르화 반응캔을 승온하여 200℃에 도달한 시점에서, 테레프탈산을 86.4질량부 및 에틸렌글리콜 64.6질량부를 투입하고, 교반하면서 촉매로서 삼산화안티몬을 0.017질량부, 아세트산마그네슘 4수화물을 0.064질량부, 트리에틸아민 0.16질량부를 투입했다. 계속해서, 가압 승온을 행하여 게이지압 0.34㎫, 240℃의 조건에서 가압 에스테르화 반응을 행한 후, 에스테르화 반응캔을 상압으로 되돌리고, 인산 0.014질량부를 첨가했다. 또한, 15분에 걸쳐 260℃로 승온하고, 인산트리메틸 0.012질량부를 첨가했다. 이어서 15분 후에, 고압 분산기로 분산 처리를 행하고, 15분 후, 얻어진 에스테르화 반응 생성물을 중축합 반응캔으로 이송하여, 280℃에서 감압 하 중축합 반응을 행하였다.After the temperature of the esterification reaction vessel was elevated to 200 占 폚, 86.4 parts by mass of terephthalic acid and 64.6 parts by mass of ethylene glycol were fed and 0.017 part by mass of antimony trioxide, 0.064 parts by mass of magnesium acetate tetrahydrate, And 0.16 parts by mass of ethylamine. Subsequently, the mixture was subjected to pressure-esterification at a gauge pressure of 0.34 MPa and at a temperature of 240 캜, and then the esterification reaction vessel was returned to atmospheric pressure and 0.014 parts by mass of phosphoric acid was added. Further, the temperature was raised to 260 DEG C over 15 minutes, and 0.012 parts by mass of trimethyl phosphate was added. Subsequently, after 15 minutes, dispersion treatment was carried out with a high pressure disperser. After 15 minutes, the obtained esterification reaction product was transferred to a polycondensation reaction can, and a polycondensation reaction was carried out under reduced pressure at 280 占 폚.

중축합 반응 종료 후, 95% 커트 직경이 5㎛인 나슬론제 필터로 여과 처리를 행하고, 노즐로부터 스트랜드 형상으로 압출하고, 미리 여과 처리(구멍 직경: 1㎛ 이하)를 행한 냉각수를 사용해서 냉각, 고화시키고, 펠릿 형상으로 커트하였다. 얻어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A)의 고유 점도는 0.62dl/g이고, 불활성 입자 및 내부 석출 입자는 실질상 함유하고 있지 않았다(이후, PET (A)라 약칭한다).After completion of the polycondensation reaction, filtration treatment was carried out with a nylon filter having a cut-off diameter of 95 탆 of 5%, extruded from the nozzle in the form of a strand, and cooled using cooling water previously subjected to filtration treatment (pore diameter: , Solidified and cut into pellets. The obtained polyethylene terephthalate resin (A) had an intrinsic viscosity of 0.62 dl / g, and substantially no inert particles and no internal precipitated particles (hereinafter abbreviated as PET (A)).

(제조예 2-폴리에스테르 B)(Production Example 2-Polyester B)

건조시킨 자외선 흡수제(2,2'-(1,4-페닐렌)비스(4H-3,1-벤조옥사지논-4-온) 10질량부, 입자를 함유하지 않는 PET (A)(고유 점도가 0.62dl/g) 90질량부를 혼합하고, 혼련 압출기를 사용하여,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하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B)를 얻었다(이후, PET (B)라 약칭한다).10 parts by mass of a dried ultraviolet absorber (2,2 '- (1,4-phenylene) bis (4H-3,1-benzoxazinone-4-one), PET (A) Of 0.62 dl / g) were mixed and a polyethylene terephthalate resin (B) containing ultraviolet absorber was obtained (hereinafter abbreviated as PET (B)) by using a kneading extruder.

(제조예 3-접착성 개질 도포액의 조정)(Preparation Example 3 -Adjustment of Adhesive Modification Coating Liquid)

통상의 방법에 의해 에스테르 교환 반응 및 중축합 반응을 행하여, 디카르복실산 성분으로서(디카르복실산 성분 전체에 대하여) 테레프탈산 46몰%, 이소프탈산 46몰% 및 5-술포네이트이소프탈산나트륨 8몰%, 글리콜 성분으로서(글리콜 성분 전체에 대하여) 에틸렌글리콜 50몰% 및 네오펜틸글리콜 50몰%의 조성의 수분산성 술폰산 금속염기 함유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조제하였다. 이어서, 물 51.4질량부, 이소프로필알코올 38질량부, n-부틸셀로솔브 5질량부, 비이온계 계면 활성제 0.06질량부를 혼합한 후, 가열 교반하여, 77℃에 도달하면, 상기 수분산성 술폰산 금속염기 함유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 5질량부를 첨가하여, 수지 덩어리가 없어질 때까지 계속해서 교반한 후, 수지 수분산액을 상온까지 냉각하여, 고형분 농도 5.0질량%의 균일한 수분산성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액을 얻었다. 또한, 응집체 실리카 입자(후지 실리시아(주)사 제조, 사일리시아 310) 3질량부를 물 50질량부에 분산시킨 후, 상기 수분산성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액 99.46질량부에 사일리시아 310의 수분산액 0.54질량부를 첨가하고, 교반하면서 물 20질량부를 첨가하여, 접착성 개질 도포액을 얻었다.Ester exchange reaction and polycondensation reaction were carried out according to a conventional method to obtain a mixture of 46 mol% of terephthalic acid, 46 mol% of isophthalic acid and 5 mol% of sodium 5-sulfonate isophthalate (relative to the entire dicarboxylic acid component) as a dicarboxylic acid component (As a whole glycol component) of 50 mol% of ethylene glycol and 50 mol% of neopentyl glycol as a glycol component was prepared. Subsequently, 51.4 parts by mass of water, 38 parts by mass of isopropyl alcohol, 5 parts by mass of n-butyl cellosolve and 0.06 parts by mass of a nonionic surfactant were mixed with heating, and when the temperature reached 77 占 폚, And 5 parts by mass of a metal base-containing copolymerizable polyester resin were added and stirred until the resin mass disappeared. Thereafter, the resin aqueous dispersion was cooled to room temperature to obtain a homogeneous water dispersible copolymer polyester resin solution having a solid content concentration of 5.0% ≪ / RTI > Further, 3 parts by mass of agglomerated silica particles (Silysia 310, manufactured by Fuji Silysia Co., Ltd.) were dispersed in 50 parts by mass of water, and then 99.46 parts by mass of the water-dispersible copolymerized polyester resin solution was added with 0.54 And 20 parts by mass of water was added with stirring to obtain an adhesive modified coating liquid.

(편광자)(Polarizer)

요오드 수용액 중에서 연속해서 염색한 두께 80㎛의 롤 형상의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을 반송 방향으로 5배 연신하고, 건조하여 긴 편광자를 얻었다. 제작해서 얻어진 편광자의 투과축 방향에 있어서의 굴절률은 1.51이었다.A roll-shaped polyvinyl alcohol film having a thickness of 80 mu m continuously dyed in an aqueous iodine solution was stretched five times in the transport direction and dried to obtain a long polarizer. The refractive index of the prepared polarizer in the transmission axis direction was 1.51.

(편광자 보호 필름 1)(Polarizer Protective Film 1)

기재 필름 중간층용 원료로서 입자를 함유하지 않는 PET (A) 수지 펠릿 90질량부와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한 PET (B) 수지 펠릿 10질량부를 135℃에서 6시간 감압 건조(1Torr)한 후, 압출기 2(중간층 II층용)에 공급하고, 또한 PET (A)를 통상의 방법에 의해 건조하여 압출기 1(외층 I층 및 외층 III용)에 각각 공급하고, 285℃에서 용해하였다. 이 2종의 중합체를, 각각 스테인리스 소결체의 여과재(공칭 여과 정밀도 10㎛ 입자 95% 커트)로 여과하고, 2종 3층 합류 블록으로 적층하고, 구금으로부터 시트 형상으로 해서 압출한 후, 정전 인가 캐스트법을 사용해서 표면 온도 30℃의 캐스팅 드럼에 둘러 감아 냉각 고화하여, 미연신 필름을 만들었다. 이때, I층, II층, III층의 두께의 비는 10:80:10이 되도록 각 압출기의 토출량을 조정하였다.90 parts by mass of PET (A) resin pellets containing no particles and 10 parts by mass of PET (B) resin pellets containing an ultraviolet absorber were dried at 135 ° C for 6 hours under reduced pressure (1 Torr) as raw materials for the base film intermediate layer raw material, (For the intermediate layer II layer), and the PET (A) was dried by a usual method and supplied to the extruder 1 (for the outer layer I and outer layer III), respectively, and dissolved at 285 deg. These two kinds of polymers were each filtered with a filter material (nominal filtration accuracy 10 μm particle size 95% cut) of a stainless steel sintered body, laminated with a two-kind three-layer confluence block, extruded from the indentation into a sheet shape, Method, the film was wound around a casting drum having a surface temperature of 30 占 폚 and cooled and solidified to prepare an unstretched film. At this time, the discharge amount of each extruder was adjusted so that the thickness ratio of the I layer, the II layer and the III layer was 10:80:10.

이어서, 리버스 롤법에 의해 이 미연신 PET 필름의 양면에 건조 후의 도포량이 0.08g/㎡가 되도록, 상기 접착성 개질 도포액을 도포한 후, 80℃에서 20초간 건조하였다.Subsequently, the adhesive modifying coating liquid was applied on both sides of the unstretched PET film so as to have a coating amount after drying of 0.08 g / m < 2 > by a reverse roll method, followed by drying at 80 DEG C for 20 seconds.

이 도포층을 형성한 미연신 필름을 텐터 연신기로 유도하여, 필름의 단부를 클립으로 파지하면서, 온도 125℃의 열풍존으로 유도하고, 폭 방향으로 4.0배로 연신하였다. 이어서, 폭 방향으로 연신된 폭을 유지한 채, 온도 225℃, 10초 동안 처리하고, 또한 폭 방향으로 3.0%의 완화 처리를 행하여, 필름 두께 약 100㎛의 1축 연신 PET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의 Re는 10300㎚, Rth는 12350㎚, Re/Rth는 0.83, Nx=1.588, Ny=1.691이었다.The unstretched film on which the coating layer was formed was led to a tenter stretching machine and led to a hot air zone at a temperature of 125 캜 while gripping ends of the film with a clip and stretched 4.0 times in the width direction. Subsequently, the uniaxially stretched PET film having a film thickness of about 100 탆 was obtained by treating the film at a temperature of 225 캜 for 10 seconds while maintaining the stretched width in the width direction, and further performing a relaxation treatment of 3.0% in the width direction. Re of the obtained film was 10300 nm, Rth was 12350 nm, Re / Rth was 0.83, Nx = 1.588 and Ny = 1.691.

(편광자 보호 필름 2)(Polarizer protective film 2)

라인 스피드를 변경해서 미연신 필름의 두께를 바꾼 것 이외에는 편광자 보호 필름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제막하여, 필름 두께가 약 80㎛인 1축 연신 PET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의 Re는 8080㎚, Rth는 9960㎚, Re/Rth는 0.81, Nx=1.589, Ny=1.690이었다.A film was formed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case of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1 except that the thickness of the unstretched film was changed by changing the line speed to obtain a monoaxially stretched PET film having a film thickness of about 80 탆. Re of the obtained film was 8080 nm, Rth was 9960 nm, Re / Rth was 0.81, Nx = 1.589 and Ny = 1.690.

(편광자 보호 필름 3)(Polarizer Protective Film 3)

라인 스피드를 변경해서 미연신 필름의 두께를 바꾼 것 이외에는 편광자 보호 필름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제막하여, 필름 두께가 약 60㎛인 1축 연신 PET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의 Re는 6060㎚, Rth는 7470㎚, Re/Rth는 0.81, Nx=1.589, Ny=1.690이었다.A film was formed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case of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1 except that the thickness of the unstretched film was changed by changing the line speed to obtain a monoaxially stretched PET film having a film thickness of about 60 탆. Re of the obtained film was 6060 nm, Rth was 7470 nm, Re / Rth was 0.81, Nx = 1.589 and Ny = 1.690.

(편광자 보호 필름 4)(Polarizer Protective Film 4)

라인 스피드를 변경해서 미연신 필름의 두께를 바꾼 것 이외에는 편광자 보호 필름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제막하여, 필름 두께가 약 40㎛인 1축 연신 PET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의 Re는 4160㎚, Rth는 4920㎚, Re/Rth는 0.85, Nx=1.587, Ny=1.691이었다.The film was formed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case of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1 except that the thickness of the unstretched film was changed by changing the line speed to obtain a monoaxially stretched PET film having a film thickness of about 40 탆. Re of the obtained film was 4160 nm, Rth was 4920 nm, Re / Rth was 0.85, Nx = 1.587 and Ny = 1.691.

(편광자 보호 필름 5)(Polarizer protective film 5)

편광자 보호 필름 1과 마찬가지 방법에 의해 제작된 미연신 필름을, 가열된 롤군 및 적외선 히터를 사용해서 105℃로 가열하고, 그 후 주속차가 있는 롤군에서 주행 방향으로 1.5배 연신한 후, 온도 130℃의 열풍존으로 유도하고 폭 방향으로 4.0배 연신하여, 편광자 보호 필름 1과 마찬가지 방법으로 필름 두께 약 100㎛의 2축 연신 PET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의 Re는 7820㎚, Rth는 13890㎚, Re/Rth는 0.56, Nx=1.608, Ny=1.686이었다.The unstretched film produced by the same method as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1 was heated to 105 DEG C using a heated roll group and an infrared heater and then stretched 1.5 times in the running direction in the roll group having the peripheral speed, And stretched 4.0 times in the width direction to obtain a biaxially oriented PET film having a film thickness of about 100 탆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case of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1. [ Re of the obtained film was 7820 nm, Rth was 13890 nm, Re / Rth was 0.56, Nx = 1.608, and Ny = 1.686.

(편광자 보호 필름 6)(Polarizer protective film 6)

편광자 보호 필름 1과 마찬가지 방법에 의해 제작된 미연신 필름을, 가열된 롤군 및 적외선 히터를 사용해서 105℃로 가열하고, 그 후 주속차가 있는 롤군에서 주행 방향으로 2.0배 연신한 후, 온도 135℃의 열풍존으로 유도하고 폭 방향으로 4.0배 연신하여, 편광자 보호 필름 1과 마찬가지 방법으로 필름 두께 약 100㎛의 2축 연신 PET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의 Re는 6400㎚, Rth는 14600㎚, Re/Rth는 0.44, Nx=1.617, Ny=1.681이었다.The unstretched film produced by the same method as that of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1 was heated to 105 DEG C by using a heated roll group and an infrared heater and then stretched 2.0 times in the running direction in the roll group having the peripheral speed, And stretched 4.0 times in the width direction to obtain a biaxially oriented PET film having a film thickness of about 100 탆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case of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1. [ Re of the obtained film was 6400 nm, Rth was 14600 nm, Re / Rth was 0.44, Nx = 1.617 and Ny = 1.681.

(편광자 보호 필름 7)(Polarizer protective film 7)

편광자 보호 필름 1과 마찬가지 방법에 의해 제작된 미연신 필름을, 가열된 롤군 및 적외선 히터를 사용해서 105℃로 가열하고, 그 후 주속차가 있는 롤군에서 주행 방향으로 2.8배 연신한 후, 온도 140℃의 열풍존으로 유도하고 폭 방향으로 4.0배 연신하여, 편광자 보호 필름 1과 마찬가지 방법으로 필름 두께 약 100㎛의 2축 연신 PET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의 Re는 5400㎚, Rth는 15900㎚, Re/Rth는 0.34, Nx=1.631, Ny=1.685였다.The unstretched film produced by the same method as that of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1 was heated to 105 DEG C using a heated roll group and an infrared heater and then stretched 2.8 times in the traveling direction in the roll group having the peripheral speed, And stretched 4.0 times in the width direction to obtain a biaxially oriented PET film having a film thickness of about 100 탆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case of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1. [ Re of the obtained film was 5400 nm, Rth was 15900 nm, Re / Rth was 0.34, Nx = 1.631 and Ny = 1.685.

(편광자 보호 필름 8)(Polarizer protective film 8)

편광자 보호 필름 1과 마찬가지 방법에 의해 제작된 미연신 필름을, 가열된 롤군 및 적외선 히터를 사용해서 105℃로 가열하고, 그 후 주속차가 있는 롤군에서 주행 방향으로 3.3배 연신한 후, 온도 140℃의 열풍존으로 유도하고 폭 방향으로 4.0배 연신하여, 편광자 보호 필름 1과 마찬가지 방법으로 필름 두께 약 100㎛의 2축 연신 PET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의 Re는 4800㎚, Rth는 16700㎚, Re/Rth는 0.29, Nx=1.640, Ny=1.688이었다.The unstretched film produced by the same method as that of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1 was heated to 105 DEG C using a heated roll group and an infrared heater and then stretched 3.3 times in the running direction in the roll group having the peripheral speed, And stretched 4.0 times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o obtain a biaxially oriented PET film having a film thickness of about 100 탆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case of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1. [ Re of the obtained film was 4800 nm, Rth was 16700 nm, Re / Rth was 0.29, Nx = 1.640, and Ny = 1.688.

편광자 보호 필름 1 내지 8을 사용해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액정 표시 장치를 제작하였다.Using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s 1 to 8,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as produced as described below.

(실시예 1)(Example 1)

PVA와 요오드를 포함하는 편광자의 편측에 편광자 보호 필름 1을 편광자의 투과축과 필름의 진상축이 평행해지도록 부착하고, 그 반대의 면에 TAC 필름(후지필름(주)사 제조, 두께 80㎛)을 부착해서 편광판 1을 제작하였다. 도시바사 제조의 REGZA 43J10X의 시인측의 편광판을,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액정과는 반대측(먼 위치)이 되도록 상기 편광판 1로 치환하여, 액정 표시 장치를 제작하였다. 또한, 편광판 1의 투과축 방향이, 치환 전의 편광판의 투과축 방향과 동일해지도록 치환하였다.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1 was attached to one side of the polarizer including PVA and iodine so that the transmission axis of the polarizer and the fast axis of the film were parallel. On the opposite side, a TAC film (manufactured by Fuji Film Co., Ltd., ) Was attached to produce a polarizing plate 1. The polarizing plate on the viewer side of REGZA 43J10X manufactured by Urban Vasa was replaced with the polarizing plate 1 so that the polyester film was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remote position) from the liquid crystal, thereby producing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The transmission axis direction of the polarizing plate 1 was changed to be the same as the transmission axis direction of the polarizing plate before the replacement.

(실시예 2)(Example 2)

PVA와 요오드를 포함하는 편광자의 편측에 편광자 보호 필름 2를 편광자의 투과축과 필름의 진상축이 평행해지도록 부착하고, 그 반대의 면에 TAC 필름(후지필름(주)사 제조, 두께 80㎛)을 부착해서 편광판 2를 제작하였다. 편광판 1을 편광판 2으로 바꾼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액정 표시 장치를 제작하였다.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2 was attached to one side of the polarizer including PVA and iodine so that the transmission axis of the polarizer and the fast axis of the film were parallel to each other and a TAC film (manufactured by Fuji Film Co., Ltd., ) Was attached to produce a polarizing plate 2.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as fabricat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polarizing plate 1 was replaced with the polarizing plate 2.

(실시예 3)(Example 3)

PVA와 요오드를 포함하는 편광자의 편측에 편광자 보호 필름 3을 편광자의 투과축과 필름의 진상축이 평행해지도록 부착하고, 그 반대의 면에 TAC 필름(후지필름(주)사 제조, 두께 80㎛)을 부착해서 편광판 3을 제작하였다. 편광판 1을 편광판 3으로 바꾼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액정 표시 장치를 제작하였다.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3 was attached to one side of the polarizer including PVA and iodine so that the transmission axis of the polarizer and the fast axis of the film were parallel to each other and a TAC film (manufactured by Fuji Film Co., Ltd., ) Was attached to produce a polarizing plate 3.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as fabricat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polarizing plate 1 was changed to the polarizing plate 3.

(실시예 4)(Example 4)

PVA와 요오드를 포함하는 편광자의 편측에 편광자 보호 필름 3을 편광자의 투과축과 필름의 진상축이 평행해지도록 부착하고, 그 반대의 면에 TAC 필름(후지필름(주)사 제조, 두께 80㎛)을 부착해서 편광판 3을 제작하였다. 도시바사 제조의 REGZA 43J10X의 광원측의 편광판을,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액정과는 반대측(먼 위치)이 되도록 상기 편광판 3으로 치환하여, 액정 표시 장치를 제작하였다. 또한, 편광판 3의 투과축 방향이, 치환 전의 편광판의 투과축 방향과 동일해지도록 치환하였다.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3 was attached to one side of the polarizer including PVA and iodine so that the transmission axis of the polarizer and the fast axis of the film were parallel to each other and a TAC film (manufactured by Fuji Film Co., Ltd., ) Was attached to produce a polarizing plate 3. The polarizing plate on the light source side of REGZA 43J10X manufactured by Toshiba Corporation was replaced with the polarizing plate 3 so that the polyester film was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remote position) from the liquid crystal, thereby producing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The transmission axis direction of the polarizing plate 3 was replaced with the transmission axis direction of the polarizing plate before replacement.

(실시예 5)(Example 5)

PVA와 요오드를 포함하는 편광자의 편측에 편광자 보호 필름 3을 편광자의 투과축과 필름의 진상축이 평행해지도록 부착하고, 그 반대의 면에 TAC 필름(후지필름(주)사 제조, 두께 80㎛)을 부착해서 편광판 3을 제작하였다. 도시바사 제조의 REGZA 43J10X의 시인측 및 광원측의 편광판을,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액정과는 반대측(먼 위치)이 되도록 상기 편광판 3으로 치환하여, 액정 표시 장치를 제작하였다. 또한, 편광판 3의 투과축 방향이, 치환 전의 편광판의 투과축 방향과 동일해지도록 치환하였다.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3 was attached to one side of the polarizer including PVA and iodine so that the transmission axis of the polarizer and the fast axis of the film were parallel to each other and a TAC film (manufactured by Fuji Film Co., Ltd., ) Was attached to produce a polarizing plate 3. The viewer side and the polarizing plate on the light source side of REGZA 43J10X manufactured by Urban Vasa were replaced with the polarizing plate 3 so that the polyester film was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remote position) from the liquid crystal, thereby producing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The transmission axis direction of the polarizing plate 3 was replaced with the transmission axis direction of the polarizing plate before replacement.

(실시예 6)(Example 6)

PVA와 요오드를 포함하는 편광자의 편측에 편광자 보호 필름 4를 편광자의 투과축과 필름의 진상축이 평행해지도록 부착하고, 그 반대의 면에 TAC 필름(후지필름(주)사 제조, 두께 80㎛)을 부착해서 편광판 4를 제작하였다. 편광판 1을 편광판 4으로 바꾼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액정 표시 장치를 제작하였다.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4 was attached to one side of the polarizer including PVA and iodine so that the transmission axis of the polarizer and the fast axis of the film were parallel. On the opposite side, a TAC film (manufactured by Fuji Film Co., Ltd., ) Was attached to produce a polarizing plate 4.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as fabricat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polarizing plate 1 was replaced with the polarizing plate 4.

(실시예 7)(Example 7)

PVA와 요오드를 포함하는 편광자의 편측에 편광자 보호 필름 5를 편광자의 투과축과 필름의 진상축이 평행해지도록 부착하고, 그 반대의 면에 TAC 필름(후지필름(주)사 제조, 두께 80㎛)을 부착해서 편광판 5를 제작하였다. 편광판 1을 편광판 5로 바꾼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액정 표시 장치를 제작하였다.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5 was attached to one side of the polarizer including PVA and iodine so that the transmission axis of the polarizer and the fast axis of the film were parallel. On the opposite side, a TAC film (manufactured by Fuji Film Co., Ltd., ) Was attached to produce a polarizing plate 5.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as fabricat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polarizing plate 1 was changed to the polarizing plate 5.

(실시예 8)(Example 8)

PVA와 요오드를 포함하는 편광자의 편측에 편광자 보호 필름 6을 편광자의 투과축과 필름의 진상축이 평행해지도록 부착하고, 그 반대의 면에 TAC 필름(후지필름(주)사 제조, 두께 80㎛)을 부착해서 편광판 6을 제작하였다. 편광판 1을 편광판 6으로 바꾼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액정 표시 장치를 제작하였다.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6 was attached to one side of the polarizer including PVA and iodine so that the transmission axis of the polarizer and the fast axis of the film were parallel to each other and a TAC film (manufactured by Fuji Film Co., Ltd., ) Was attached to produce a polarizing plate 6.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as fabricat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polarizing plate 1 was changed to the polarizing plate 6.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PVA와 요오드를 포함하는 편광자의 편측에 편광자 보호 필름 1을 편광자의 투과축과 필름의 진상축이 수직이 되도록 부착하고, 그 반대의 면에 TAC 필름(후지필름(주)사 제조, 두께 80㎛)을 부착해서 편광판 7을 제작하였다. 도시바사 제조의 REGZA 43J10X의 시인측의 편광판을,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액정과는 반대측(먼 위치)이 되도록 상기 편광판 7로 치환하여, 액정 표시 장치를 제작하였다. 또한, 편광판 7의 투과축 방향이, 치환 전의 편광판의 투과축 방향과 동일해지도록 치환하였다.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1 was attached to one side of a polarizer including PVA and iodine so that the transmission axis of the polarizer and the fast axis of the film wer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and a TAC film (manufactured by Fuji Film Co., Ltd., ) Was attached to produce a polarizing plate 7. The polarizing plate on the viewer side of REGZA 43J10X manufactured by Urban Vasa was replaced with the polarizing plate 7 so that the polyester film was located on the side opposite to the liquid crystal (distant position), thereby producing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Further, the direction of the transmission axis of the polarizing plate 7 was changed to be the same as the transmission axis direction of the polarizing plate before the replacement.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PVA와 요오드를 포함하는 편광자의 편측에 편광자 보호 필름 2를 편광자의 투과축과 필름의 진상축이 수직이 되도록 부착하고, 그 반대의 면에 TAC 필름(후지필름(주)사 제조, 두께 80㎛)을 부착해서 편광판 8을 제작하였다. 편광판 7을 편광판 8로 바꾼 것 이외에는 비교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액정 표시 장치를 제작하였다.A polarizer protective film 2 was attached to one side of a polarizer including PVA and iodine so that the transmission axis of the polarizer and the fast axis of the film wer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and a TAC film (manufactured by Fuji Film Co., Ltd., ) Was attached to produce a polarizing plate 8.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as fabricated in the same manner as in Comparative Example 1 except that the polarizing plate 7 was changed to the polarizing plate 8.

(비교예 3)(Comparative Example 3)

PVA와 요오드를 포함하는 편광자의 편측에 편광자 보호 필름 3을 편광자의 투과축과 필름의 진상축이 수직이 되도록 부착하고, 그 반대의 면에 TAC 필름(후지필름(주)사 제조, 두께 80㎛)을 부착해서 편광판 9를 제작하였다. 편광판 7을 편광판 9로 바꾼 것 이외에는 비교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액정 표시 장치를 제작하였다.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3 was attached to one side of the polarizer including PVA and iodine so that the transmission axis of the polarizer and the fast axis of the film wer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and a TAC film (manufactured by Fuji Film Co., Ltd., ) Was attached to produce a polarizing plate 9.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as fabricated in the same manner as in Comparative Example 1 except that the polarizing plate 7 was replaced with the polarizing plate 9.

(비교예 4)(Comparative Example 4)

PVA와 요오드를 포함하는 편광자의 편측에 편광자 보호 필름 3을 편광자의 투과축과 필름의 진상축이 수직이 되도록 부착하고, 그 반대의 면에 TAC 필름(후지필름(주)사 제조, 두께 80㎛)을 부착해서 편광판 9를 제작하였다. 도시바사 제조의 REGZA 43J10X의 광원측의 편광판을,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액정과는 반대측(먼 위치)이 되도록 상기 편광판 9로 치환하여, 액정 표시 장치를 제작하였다. 또한, 편광판 9의 투과축 방향이, 치환 전의 편광판의 투과축 방향과 동일해지도록 치환하였다.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3 was attached to one side of the polarizer including PVA and iodine so that the transmission axis of the polarizer and the fast axis of the film wer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and a TAC film (manufactured by Fuji Film Co., Ltd., ) Was attached to produce a polarizing plate 9. The polarizing plate on the light source side of REGZA 43J10X manufactured by Urban Vasa was replaced with the polarizing plate 9 so that the polyester film was located on the side opposite to the liquid crystal (distant position), thereby manufacturing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The transmission axis direction of the polarizing plate 9 was replaced with the transmission axis direction of the polarizing plate before replacement.

(비교예 5)(Comparative Example 5)

PVA와 요오드를 포함하는 편광자의 편측에 편광자 보호 필름 3을 편광자의 투과축과 필름의 진상축이 수직이 되도록 부착하고, 그 반대의 면에 TAC 필름(후지필름(주)사 제조, 두께 80㎛)을 부착해서 편광판 9를 제작하였다. 도시바사 제조의 REGZA 43J10X사 제조의 시인측 및 광원측의 편광판을,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액정과는 반대측(먼 위치)이 되도록 상기 편광판 9로 치환하여, 액정 표시 장치를 제작하였다. 또한, 편광판 9의 투과축 방향이, 치환 전의 편광판의 투과축 방향과 동일해지도록 치환하였다.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3 was attached to one side of the polarizer including PVA and iodine so that the transmission axis of the polarizer and the fast axis of the film wer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and a TAC film (manufactured by Fuji Film Co., Ltd., ) Was attached to produce a polarizing plate 9. The viewer side and the polarizing plate on the light source side manufactured by REGZA 43J10X manufactured by Urban Vasa were replaced with the polarizing plate 9 so that the polyester film was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remote position) from the liquid crystal, thereby producing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The transmission axis direction of the polarizing plate 9 was replaced with the transmission axis direction of the polarizing plate before replacement.

(비교예 6)(Comparative Example 6)

PVA와 요오드를 포함하는 편광자의 편측에 편광자 보호 필름 4를 편광자의 투과축과 필름의 진상축이 수직이 되도록 부착하고, 그 반대의 면에 TAC 필름(후지필름(주)사 제조, 두께 80㎛)을 부착해서 편광판 10을 제작하였다. 편광판 7을 편광판 10으로 바꾼 것 이외에는 비교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액정 표시 장치를 제작하였다.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4 was attached to one side of the polarizer including PVA and iodine so that the transmission axis of the polarizer and the fast axis of the film wer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and a TAC film (manufactured by Fuji Film Co., Ltd., ) Was attached to produce a polarizing plate 10.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as fabricated in the same manner as in Comparative Example 1 except that the polarizing plate 7 was changed to the polarizing plate 10.

(비교예 7)(Comparative Example 7)

PVA와 요오드를 포함하는 편광자의 편측에 편광자 보호 필름 7을 편광자의 투과축과 필름의 진상축이 평행해지도록 부착하고, 그 반대의 면에 TAC 필름(후지필름(주)사 제조, 두께 80㎛)을 부착해서 편광판 11을 제작하였다. 편광판 7을 편광판 11로 바꾼 것 이외에는 비교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액정 표시 장치를 제작하였다.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7 was attached on one side of the polarizer including PVA and iodine so that the transmission axis of the polarizer and the fast axis of the film were parallel to each other and a TAC film (manufactured by Fuji Film Co., Ltd., ) Was attached to produce a polarizing plate 11.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as fabricated in the same manner as in Comparative Example 1 except that the polarizing plate 7 was changed to the polarizing plate 11.

(비교예 8)(Comparative Example 8)

PVA와 요오드를 포함하는 편광자의 편측에 편광자 보호 필름 8을 편광자의 투과축과 필름의 진상축이 평행해지도록 부착하고, 그 반대의 면에 TAC 필름(후지필름(주)사 제조, 두께 80㎛)을 부착해서 편광판 12를 제작하였다. 편광판 7을 편광판 12로 바꾼 것 이외에는 비교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액정 표시 장치를 제작하였다.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8 was attached to one side of the polarizer including PVA and iodine so that the transmission axis of the polarizer and the fast axis of the film were parallel to each other and a TAC film (manufactured by Fuji Film Co., Ltd., thickness 80 占 퐉 ) Was attached to produce a polarizing plate 12. A liquid crystal display was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Comparative Example 1 except that the polarizing plate 7 was replaced with the polarizing plate 12.

각 실시예에서 얻은 액정 표시 장치에 대해서, 무지개 얼룩 관찰을 측정한 결과를 이하의 표 1에 나타낸다.Table 1 below shows the results of measurement of iridescent blot on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obtained in each example.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1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 및 편광판은, 어느 관찰 각도에 있어서도 무지개 형상의 색 얼룩의 발생이 유의미하게 억제된 양호한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어, 산업상 이용 가능성은 매우 높다.INDUSTRIAL APPLICABILITY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the polarizing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nsure good visibility in which irregular color irregularities are significantly suppressed at any angle of observation, and are highly industrially applicable.

Claims (4)

백라이트 광원, 2개의 편광판 및 상기 2개의 편광판 사이에 배치된 액정 셀을 갖는 액정 표시 장치로서,
상기 백라이트 광원은, 400㎚ 이상 495㎚ 미만, 495㎚ 이상 600㎚ 미만 및 600㎚ 이상 780㎚ 이하의 각 파장 영역에 각각 발광 스펙트럼의 피크 톱을 갖고, 또한 600㎚ 이상 780㎚ 이하의 파장 영역에 있어서 가장 피크 강도가 높은 피크의 반값폭이 5㎚ 미만인 발광 스펙트럼을 갖는 백색 발광 다이오드이고,
상기 편광판 중 적어도 한쪽 편광판은, 편광자의 적어도 한쪽 면에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적층된 것이고, 상기 편광자의 투과축과 평행한 방향의,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굴절률이 1.53 내지 1.62인,
액정 표시 장치.
A backlight light source, two polarizing plates, and a liquid crystal cell disposed between the two polarizing plates,
The backlight light source has peak tops of luminescence spectrums in respective wavelength regions of 400 nm or more and less than 495 nm, 495 nm or more and less than 600 nm, and 600 nm or more and 780 nm or less, and further has a peak region of 600 nm or more and 780 nm or less And the half peak width of the peak having the highest peak intensity is less than 5 nm,
Wherein at least one of the polarizers is formed by laminating a polyester film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polarizer and a refractive index of the polyester film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transmission axis of the polarizer is 1.53 to 1.62,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백라이트 광원의 발광 스펙트럼은,
400㎚ 이상 495㎚ 미만의 파장 영역에 있어서 가장 피크 강도가 높은 피크의 반값폭이 5㎚ 이상이고,
495㎚ 이상 600㎚ 미만의 파장 영역에 있어서 가장 피크 강도가 높은 피크의 반값폭이 5㎚ 이상인,
액정 표시 장치.
The backlight unit according to claim 1,
The half width of the peak having the highest peak intensity in the wavelength range of 400 nm or more and less than 495 nm is 5 nm or more,
The half width of the peak having the highest peak intensity in the wavelength region of from 495 nm to less than 600 nm is 5 nm or mor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자의 투과축 방향에 있어서의 굴절률과, 상기 편광자의 투과축과 평행한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굴절률의 차가 0.12 이하인, 액정 표시 장치.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a difference between a refractive index in the transmission axis direction of the polarizer and a refractive index of the polyester film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transmission axis of the polarizer is 0.12 or less. 편광자의 적어도 한쪽 면에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적층된 편광판으로서,
상기 편광자의 투과축과 평행한 방향의,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굴절률이 1.53 내지 1.62인,
400㎚ 이상 495㎚ 미만, 495㎚ 이상 600㎚ 미만 및 600㎚ 이상 780㎚ 이하의 각 파장 영역에 각각 발광 스펙트럼의 피크 톱을 갖고, 또한 600㎚ 이상 780㎚ 이하의 파장 영역에 있어서 가장 피크 강도가 높은 피크의 반값폭이 5㎚ 미만인 발광 스펙트럼을 갖는 백색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광원을 갖는 액정 표시 장치용 편광판.
A polarizing plate in which a polyester film is laminat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a polarizer,
Wherein a refractive index of the polyester film in a direction parallel to a transmission axis of the polarizer is 1.53 to 1.62,
The peak wavelength of 400 nm or more and less than 495 nm, the wavelength of 495 nm or more and less than 600 nm, and the wavelength of 600 nm or more and 780 nm or less, respectively, and having peak peaks in the wavelength range of 600 nm or more and 780 nm or less And a white light emitting diode having a luminescence spectrum in which a full width at half maximum of a high peak is less than 5 nm.
KR1020187000943A 2015-07-16 2016-07-11 Liquid crystal display and polarizer KR2018002395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7005518A KR102501923B1 (en) 2015-07-16 2016-07-11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polarizing plat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141978 2015-07-16
JPJP-P-2015-141978 2015-07-16
JPJP-P-2016-052398 2016-03-16
JP2016052398 2016-03-16
PCT/JP2016/070384 WO2017010444A1 (en) 2015-07-16 2016-07-11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polarizing plate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5518A Division KR102501923B1 (en) 2015-07-16 2016-07-11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polarizing plat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3953A true KR20180023953A (en) 2018-03-07

Family

ID=5775733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0943A KR20180023953A (en) 2015-07-16 2016-07-11 Liquid crystal display and polarizer
KR1020227005518A KR102501923B1 (en) 2015-07-16 2016-07-11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polarizing plate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5518A KR102501923B1 (en) 2015-07-16 2016-07-11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polarizing plate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3) JP6965746B2 (en)
KR (2) KR20180023953A (en)
CN (2) CN107850805B (en)
TW (2) TWI715600B (en)
WO (1) WO2017010444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65746B2 (en) * 2015-07-16 2021-11-10 東洋紡株式会社 Liquid crystal display and polarizing plate
KR102307182B1 (en) * 2017-02-28 2021-09-30 도요보 가부시키가이샤 liquid crystal display
WO2018159568A1 (en) * 2017-02-28 2018-09-07 東洋紡株式会社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20210069654A (en) * 2018-10-02 2021-06-11 도요보 가부시키가이샤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s, polarizers and polarizer protective films
CN112694845A (en) * 2020-12-24 2021-04-23 宁波长阳科技股份有限公司 Screen protection film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102579334B1 (en) 2021-03-24 2023-09-15 도요보 가부시키가이샤 How to select a combination of backlight light source and polarizer in image display devices and liquid crystal displays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9306B1 (en) * 2000-03-23 2007-11-23 다이셀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Transmission Light-Scattering Layer Sheet and Liquid Crystal Display
JP4341163B2 (en) 2000-10-10 2009-10-07 コニカミノルタ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Polarizing plate protective film, polarizing plate using the same, manufacturing method,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2004205773A (en) 2002-12-25 2004-07-22 Konica Minolta Holdings Inc Polarizing plat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JP4352705B2 (en) 2003-01-14 2009-10-28 コニカミノルタ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Polarizing plate protective film,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JP2004300210A (en) * 2003-03-28 2004-10-28 Dainippon Printing Co Ltd Coating composition, its coating film, anti-reflection membrane, anti-refection film, and image display device
JP2006276697A (en) * 2005-03-30 2006-10-12 Dainippon Printing Co Ltd Retardation film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N101253229B (en) * 2005-08-30 2012-07-04 柯尼卡美能达精密光学株式会社 Cellulose ester film, polarizing plate and display
JP2007233114A (en) * 2006-03-02 2007-09-13 Nippon Zeon Co Ltd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JP5682104B2 (en) * 2008-09-05 2015-03-11 三菱化学株式会社 Phosphor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phosphor-containing composition and light emitting device using the phosphor, and image display device and lighting device using the light emitting device
JP5811431B2 (en) * 2009-09-11 2015-11-11 住友化学株式会社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2011186290A (en) * 2010-03-10 2011-09-22 Toppan Printing Co Ltd Antireflection film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4962661B2 (en) 2010-06-22 2012-06-27 東洋紡績株式会社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polarizing plate and polarizer protective film
JP2012203211A (en) * 2011-03-25 2012-10-22 Sumitomo Chemical Co Ltd Polarizer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5472464B2 (en) * 2011-05-18 2014-04-16 東洋紡株式会社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polarizing plate and polarizer protective film
CN103959149B (en) * 2011-11-29 2017-03-08 东洋纺株式会社 Liquid crystal indicator, Polarizer and polaroid protective film
WO2013080949A1 (en) * 2011-11-29 2013-06-06 東洋紡株式会社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polarizing plate, and polarizer protective film
JP5051328B1 (en) * 2012-01-27 2012-10-17 大日本印刷株式会社 Optical laminate,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device
KR101273789B1 (en) * 2012-04-19 2013-06-11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Anti-glare film, polarizer and image display device
US20130335677A1 (en) * 2012-06-15 2013-12-19 Apple Inc. Quantum Dot-Enhanced Display Having Dichroic Filter
JP6443048B2 (en) * 2012-07-30 2018-12-26 東洋紡株式会社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polarizing plate and polarizer protective film
JP5615987B2 (en) * 2013-02-07 2014-10-29 日東電工株式会社 Optical laminate having polarizing film
KR20150027684A (en) * 2013-08-29 2015-03-1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olarizing plate,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and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JP6155993B2 (en) * 2013-09-05 2017-07-05 日亜化学工業株式会社 Method for selecting combination of color filter and light emitting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image display device
JP2015055680A (en) * 2013-09-10 2015-03-23 大日本印刷株式会社 Polarizing plate, manufacturing method of polarizing plate, image display unit, manufacturing method of image display unit and light transmissivity improvement method of polarizing plate
KR20150035065A (en) * 2013-09-27 2015-04-06 삼성전자주식회사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fluoride phosphor
JP6448182B2 (en) * 2013-09-30 2019-01-09 大日本印刷株式会社 Image display device, method for producing polarizing plate composite, method for producing polarizing plate set, method for producing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improving visibility of image display device
WO2015068513A1 (en) * 2013-11-08 2015-05-14 シャープ株式会社 Light emitting device and illumination device
JP6201665B2 (en) * 2013-11-13 2017-09-27 日亜化学工業株式会社 Method for manufacturing image display device, light emitting device, and method for selecting color filter
KR20150135935A (en) * 2014-05-26 2015-12-04 우리이앤엘 주식회사 Display device
JPWO2016052109A1 (en) * 2014-09-30 2017-07-13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6441636B2 (en) * 2014-10-14 2018-12-19 大日本印刷株式会社 Image display device module and image display device
WO2016068102A1 (en) * 2014-10-30 2016-05-06 東洋紡株式会社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polarizing plate
JP6965746B2 (en) * 2015-07-16 2021-11-10 東洋紡株式会社 Liquid crystal display and polarizing pla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10444A1 (en) 2017-01-19
JP2021144247A (en) 2021-09-24
JP7331886B2 (en) 2023-08-23
JPWO2017010444A1 (en) 2018-04-26
KR102501923B1 (en) 2023-02-23
TWI715600B (en) 2021-01-11
CN113126355A (en) 2021-07-16
TWI774173B (en) 2022-08-11
KR20220027274A (en) 2022-03-07
TW202115442A (en) 2021-04-16
CN107850805A (en) 2018-03-27
JP2023153884A (en) 2023-10-18
JP6965746B2 (en) 2021-11-10
CN107850805B (en) 2021-03-23
TW201704825A (en) 2017-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01026B2 (en) liquid crystal display
KR101699497B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polarizing plate and polarizer protective film
KR101737679B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polarizing plate, and polarizer protective film
KR101947854B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polarizing plate, and polarizer protective film
JP7331886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polarizing plate
KR20150041791A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polarizing plates, and polarizer protection film
KR102634613B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polarizing plate
KR101813438B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7347615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polarizing plate
KR20180124982A (en) Liquid crystal display
CN110312961B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a plurality of pixel electrodes
WO2018159569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6874297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6874298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