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1306A - 표시 패널 - Google Patents

표시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1306A
KR20180021306A KR1020160105110A KR20160105110A KR20180021306A KR 20180021306 A KR20180021306 A KR 20180021306A KR 1020160105110 A KR1020160105110 A KR 1020160105110A KR 20160105110 A KR20160105110 A KR 20160105110A KR 20180021306 A KR20180021306 A KR 201800213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opening
island
bridge
display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51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종호
주혜진
김건모
김일곤
신재민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051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21306A/ko
Priority to US15/678,506 priority patent/US10466746B2/en
Publication of KR201800213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1306A/ko
Priority to US16/584,822 priority patent/US10802545B2/en
Priority to US17/020,694 priority patent/US11334119B2/en
Priority to US17/736,900 priority patent/US11714458B2/en
Priority to US18/209,499 priority patent/US20230324958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1L51/0097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form at particular places, e.g. in edge regions
    • B32B3/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form at particular places, e.g. in edge regions characterised by added members at particular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263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having non-uniform thick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26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the apertures going through the whole thickness of the layer, e.g. expanded metal, perforated layer, slit layer regular cells B32B3/12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01L27/1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 H01L27/12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comprising a plurality of TFTs formed on a non-semiconducting substrate, e.g. driving circuits for AMLCDs
    • H01L27/1218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comprising a plurality of TFTs formed on a non-semiconducting substrate, e.g. driving circuits for AMLCDs with a particular composition or structure of the substrate
    • H01L27/3258
    • H01L27/3276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2Containers
    • H10K50/8426Peripheral sealing arrangements, e.g. adhesives, seala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1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 el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4Insulating layers formed between TFT elements and OLED el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31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40OLEDs integrated with touch scree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71/821Patterning of a layer by embossing, e.g. stamping to form trenches in an insulating layer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055 or more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44Number of layers variable across the lamin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2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electrical or magnetic properties, e.g. piezoelectric
    • B32B2307/206Ins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46Flexural strength; Flexion stiff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32B2457/206Organic displays, e.g. O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32B2457/208Touch scree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2Flexible digitiser, i.e. constructional details for allowing the whole digitising part of a device to be flexed or rolled like a sheet of paper
    • H01L2251/105
    • H01L2251/5338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11Flexible OLED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1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 elements
    • H10K59/1213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 elements the pixel elements being TF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ometry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기재는, 복수의 연신 유닛을 포함하여 연신 가능한 표시 영역 및 표시 영역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주변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에 관한 것이다. 연신 유닛은, 서로 이격되어 위치되며 복수의 화소가 각각 배치되는 복수의 아일랜드, 아일랜드로부터 연장되어 이웃한 아일랜드 또는 주변 영역과 연결시키는 복수의 브릿지, 그리고 브릿지와 인접하여 브릿지와 브릿지 사이에 그리고, 브릿지와 아일랜드 사이에 위치하는 복수의 개구부를 포함하고, 복수의 아일랜드는 주변 영역에 가까워질수록 점차 면적이 증가된다.

Description

표시 패널 {DISPLAY PANEL}
본 기재는 표시 패널에 관한 것이다.
지금까지 보아왔던 수많은 표시 장치에 사용되는 표시 패널들은 대부분이 편평하고 단단한 표시면을 가지고 있어 왔다. 그러나 점차 증대되는 다양한 수요층의 수요에 부합하기 위하여, 곡면의 표시면을 가지는 표시 장치가 등장하였으며, 이후에는 연성(flexible)의 성질을 가지는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등장이 예고되고 있다.
연성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는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폴더블 표시 장치 또는 벤더블 표시 장치와 같이 일부 변형이 가능한 표시 장치를 필두로 하여, 롤러블 표시 장치와 같이 표시면 전체에 변형을 가하는 표시 장치가 등장하고 있으며, 이 외에도 연신 가능한(stretchable) 표시 장치까지 등장하게 되었다.
다만 이와 같은 표시 장치들은 표시 패널의 다양한 변형이 가능한 만큼 변형에 따른 물리적인 파손 또는 피로(fatigue)의 누적에 의한 파손의 예방이 필요하다.
본 기재는, 연신율이 상이한 표시 영역과 주변 영역 사이에서 발생되는 표시 패널의 물리적인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표시 패널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은 복수의 연신 유닛을 포함하여 연신 가능한 표시 영역 및 표시 영역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주변 영역을 포함한다. 연신 유닛은, 서로 이격되어 있으며 복수의 화소가 각각 배치되는 복수의 아일랜드, 아일랜드로부터 연장되어 이웃한 아일랜드 또는 주변 영역과 연결시키는 복수의 브릿지, 그리고 브릿지와 인접하여 브릿지와 브릿지 사이에 그리고, 브릿지와 아일랜드 사이에 위치하는 복수의 개구부를 포함하고, 복수의 아일랜드는 주변 영역에 가까워질수록 점차 면적이 증가된다.
복수의 브릿지는 주변 영역에 가까워질수록 점차 폭이 증가될 수 있다.
복수의 개구부는 주변 영역에 가까워질수록 점차 면적이 감소될 수 있다.
주변 영역으로부터 1개 내지 표시 패널의 길이의 1%에 해당하는 영역 내의 연신 유닛에 걸쳐서 주변 영역에 가까워질수록 아일랜드의 면적이 점차 증가될 수 있다.
표시 패널은, 표시 영역 및 주변 영역을 포함하는 기판 및 기판 상에 적층되는 복수의 절연층을 포함하고, 개구부는 복수의 절연층 및 기판이 관통된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개구부는 아령형, 원형, 십자형, 플랜지형 및 다각형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은 복수의 연신 유닛을 포함하여 연신 가능한 표시 영역을 포함한다. 연신 유닛은, 서로 이격되어 위치되며 복수의 화소가 각각 배치되는 복수의 아일랜드, 아일랜드로부터 연장되어 이웃한 아일랜드 또는 표시 영역의 가장자리와 연결시키는 브릿지, 그리고 브릿지와 인접하여 브릿지와 브릿지 사이에 그리고, 브릿지와 아일랜드 사이에 위치하는 복수의 개구부를 포함하고, 아일랜드와 가장자리를 연결하는 브릿지의 폭은 아일랜드와 아일랜드 사이를 연결하는 브릿지의 폭보다 더 넓다.
가장자리에 가장 인접한 아일랜드의 면적은 이웃한 아일랜드들에 둘러싸인 아일랜드의 면적보다 더 넓을 수 있다.
가장자리와 가장 인접한 개구부의 면적은 복수의 다른 개구부의 면적보다 더 좁을 수 있다.
가장자리로부터 1개 내지 표시 패널의 길이의 1%에 해당하는 영역 내의 연신 유닛에 걸쳐서 주변 영역에 가까워질수록 아일랜드의 면적이 점차 증가될 수 있다.
표시 패널은 기판 및 기판 상에 적층되는 복수의 절연층을 포함하고, 개구부는 복수의 절연층 및 기판이 관통된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개구부는 아령형, 원형, 십자형, 플랜지형 및 다각형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본 기재에 의하면 연신율이 상이한 표시 영역과 주변 영역 사이에서 발생되는 표시 패널의 물리적인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연신되지 않은 상태의 연신 유닛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연신되어 개구부의 크기가 확장된 연신 유닛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B 영역을 확대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변형예에 따른 표시 패널의 확대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사이즈가 일정한 연신 유닛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1의 C 영역을 확대하여 원형의 개구부를 포함하는 변형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1의 C 영역을 확대하여 십자형의 개구부를 포함하는 변형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1의 C 영역을 확대하여 플랜지형의 개구부를 포함하는 변형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1의 C 영역을 확대하여 다각형의 개구부를 포함하는 변형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2의 XI-XI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실시예들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들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을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기재가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그리고 도면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부 층 및 영역의 두께를 과장되게 나타내었다.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10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실시예의 표시 패널(100)은 표시 영역(DA)과 주변 영역(PA)을 포함한다. 도 2 및 도 3은 도 1의 A 영역의 일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2는 연신되지 않은 상태의 연신 유닛(11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연신되어 개구부(116)의 크기가 확장된 연신 유닛(11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의 표시 영역(DA)은 복수의 연신 유닛(110)을 포함하여 연신 가능한(stretchable) 표시 패널(100)을 구현할 수 있다. 표시 영역(DA)에 위치하는 연신 유닛(110)은 아일랜드(112), 브릿지(114) 및 개구부(116)를 포함하며, 본 실시예에 따른 연신 가능한 표시 패널(100)의 연신 기본 단위이다. 이때, 아일랜드(112)는 화소(111)가 배치되는 임의의 영역을 나타낸다.
아일랜드(112)는 복수이며 서로 이격되어 위치한다. 복수의 아일랜드(112) 각각에는 화소(111)가 위치된다. 도 1의 A 영역을 확대한 확대도에는 적색 화소 유닛, 녹색 화소 유닛 및 청색 화소 유닛이 나란히 배치되어 화소(111)를 이루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일 예에 불과하다. 이 외에도 다양한 배치를 가지는 화소(111)가 아일랜드(112) 상에 위치될 수 있으며, 적색 화소 유닛, 녹색 화소 유닛 및 청색 화소 유닛이 각각의 아일랜드(112) 상에 별개로 위치할 수도 있다.
브릿지(114)는 복수이며, 아일랜드(112)의 경계로부터 연장되어 이웃한 아일랜드(112)와 아일랜드(112) 사이를 연결하거나 아일랜드(112)와 주변 영역(PA)을 연결한다. 브릿지(114)에는 각각의 아일랜드(112)마다 위치되는 화소(111)를 연결하는 배선이 위치할 수 있다. 브릿지(114)에 위치하는 배선으로 인해 아일랜드(112)에 위치하는 화소(111)는 전원 및 전기적 신호를 전달받으며 구동될 수 있다.
개구부(116) 역시 복수이며, 브릿지(114)와 브릿지(114) 사이, 브릿지(114)와 아일랜드(112) 사이, 그리고 브릿지(114) 및 아일랜드(112)와 주변 영역(PA) 사이에 위치한다. 개구부(116)는 표시 패널(100)의 연신을 위해 형상 및 면적이 변화될 수 있다. 개구부(116)에 관해서는 도 2 및 도 3을 참고하여 보다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연신 유닛(110)에 포함된 개구부(116)의 크기가 변화되면서 표시 패널(100)이 연신되며, 이때 아일랜드(112)의 형상 또는 면적은 거의 변화되지 않고 아일랜드(112)의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그러므로 표시 패널(100)의 연신과 무관하게 아일랜드(112) 상에 위치하는 화소(111)가 파손 없이 유지될 수 있으며, 표시 패널(100)에 의해 표시되는 화면 역시 유지될 수 있다.
주변 영역(PA)은 표시 영역(DA)의 가장자리(BD)에 위치하는 부분으로, 표시 영역(DA)에 위치하는 화소(111)에 전원 및 표시 신호들을 공급하기 위한 구동 회로, 구동 칩, 각종 배선 및 인쇄회로기판과 같은 구성들이 위치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주변 영역(PA)은 주변 영역(PA)에 위치하는 구성들을 보호하기 위하여 표시 영역(DA)과 비교하여 연신율이 상대적으로 낮을 수 있다.
연신 유닛(110)에 의해 연신되는 표시 영역(DA)과 상대적으로 연신율이 낮은 주변 영역(PA) 사이의 연신율 차이로 인해, 표시 영역(DA)과 주변 영역(PA)을 연결하는 브릿지(114) 또는 아일랜드(112)의 경계부에서 파손이 발생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이와 같은 표시 영역(DA)과 주변 영역(PA)의 경계에서 발생되는 브릿지(114) 또는 아일랜드(112)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아일랜드(112)는 표시 영역(DA)으로부터 주변 영역(PA)에 가까워질수록 점차 면적이 증가될 수 있다. 아일랜드(112)와 아일랜드(112) 사이를 연결하는 복수의 브릿지(114) 역시 주변 영역(PA)에 가까워질수록 점차 폭이 증가될 수 있다. 이에 반해 복수의 개구부(116)는 주변 영역(PA)에 가까워질수록 점차 면적이 감소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B 영역을 확대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도 4의 변형예에 따른 표시 패널(100)의 확대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4 및 도 6과는 달리, 사이즈가 일정한 연신 유닛(110)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10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 도 4 및 도 5의 비교예이다.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실시예의 표시 패널(100)은 표시 영역(DA)으로부터 주변 영역(PA)에 가까워질수록 더 넓은 면적의 아일랜드(112), 더 넓은 폭의 브릿지(114) 및 더 좁은 면적의 개구부(116)를 가지는 연신 유닛(110)을 포함한다. 도 4에는 주변 영역(PA)에 인접한 하나의 연신 유닛(110)만 일렬로 변형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다만 이는 일 예에 불과하며, 주변 영역(PA)과의 경계로부터 1개 내지 10개의 연신 유닛(110)에 걸쳐서 변형이 일어날 수 있다.
도 5에는 3개의 연신 유닛(110)에 걸쳐서 점차적으로 변형이 일어나는 모습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도 5에는 총 4 종류의 면적을 가지는 아일랜드(112)와 개구부(116) 및 4 종류의 폭을 가지는 브릿지(114)가 도시되어 있다. 이 역시도 주변 영역(PA)으로 갈수록 아일랜드(112)의 면적은 점차 증가되며, 브릿지(114)의 폭 역시 점차 증가되나 개구부(116)의 면적은 점차 감소되는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아일랜드(112)의 면적이 점차 변화된다 하더라도 각각의 다른 면적을 가지는 아일랜드(112)에 위치하는 화소(111)는 모두 동일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주변 영역(PA)에 인접하여도 화면의 표시에 영향 없이, 파손이 방지되는 연신 가능한 표시 패널(100)을 제공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표시 패널(100)에 따르면, 표시 패널(100)의 가장자리(BD)와 아일랜드(112) 사이를 연결하는 브릿지(114)의 폭(a)이 아일랜드(112)와 아일랜드(112) 사이를 연결하는 브릿지(114)의 폭(b, c)보다 더 넓은 것을 알 수 있다.
도 4의 경우에는 복수의 브릿지(114)의 폭 중 b와 c는 서로 동일하고, 표시 패널(100)의 가장자리(BD)와 가장자리(BD)에서 가장 인접한 아일랜드(112) 사이를 연결하는 브릿지(114)의 폭 a가 b, c보다 더 넓다.
한편 도 5에서는 복수의 브릿지(114)의 폭 중에서도 c보다는 b의 폭이 더 넓으며, b보다는 a의 폭이 더 넓게 형성되어, 표시 영역(DA)의 가장자리(BD)를 향해갈수록 더 넓은 폭을 가지는 브릿지(114)가 도시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표시 패널(100)의 가장자리(BD)에 가장 인접한 아일랜드(112)의 면적은, 표시 패널(100)의 표시 영역(DA) 내에서 이웃한 아일랜드(112)들에 둘러싸인 아일랜드(112)의 면적보다 더 넓을 수 있다. 그리고 가장자리(BD)에 가장 인접한 개구부(116)의 면적은 그 외의 다른 개구부(116)들의 면적보다 더 좁을 수 있다. 이때 가장자리(BD)에 가장 인접한 개구부(116)는 가장자리(BD)와의 경계로 인해 마치 절단된 것과 같은 개구부(116)를 포함한다.
도 6은 도 4 및 도 5와는 달리, 표시 패널(100)의 중심부 및 주변 영역(PA)과 연결되는 가장자리(BD)에 위치하는 연신 유닛(110)의 사이즈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모습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일 예로, 도 6에는 표시 패널(100)의 가장자리(BD)와 아일랜드(112) 사이를 연결하는 브릿지(114)의 폭(a)과 아일랜드(112)와 아일랜드(112) 사이를 연결하는 브릿지(114)의 폭(b, c)이 모두 동일하게 도시되어 있다.
도 6과 같이 주변 영역(PA)과 표시 패널(100)을 연결하는 아일랜드(112)의 면적이 도 4 및 도 5에 비해 더 좁거나, 또는 브릿지(114)의 폭이 도 4 및 도 5에 비해 더 좁은 경우에는 아일랜드(112) 또는 브릿지(114)에 파손이 발생될 확률이 높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표시 패널(100) 각각을 5% 연신시키고 각각의 연신 유닛(110)에 포함되는 브릿지(114)의 변형률(strain) 수치를 측정하여 아래 표 1로 나타내었다. 각 실시예마다 브릿지(114)의 변형률은 도 4 내지 도 6의 P로 표시된 지점에서 측정하였다. 도 4 내지 도 6의 P 지점은 아일랜드(112), 브릿지(114) 및 개구부(116)의 변형이 시작되는 지점이다.
도 4 (실시예 1) 도 5 (실시예 2) 도 6 (비교예)
변형률(strain, %) 0.62 0.53 1.95
표 1에 따르면, 도 4 및 도 6을 비교하면, 도 4와 같이 표시 영역(DA)의 가장자리(BD)를 향할수록 아일랜드(112)의 면적이 증가되고, 브릿지(114)의 폭이 증가되며, 개구부(116)의 면적이 감소되는 실시예에서 응력 집중에 의해 발생되는 변형률 수치가 도 6의 비교예에서 응력 집중에 의해 발생되는 변형률 수치에 비하여 현저히 낮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4 및 도 5를 비교하면, 도 5와 같이 3개의 연신 유닛(110)의 아일랜드(112)의 면적이 증가되고, 브릿지(114)의 폭이 증가되며, 개구부(116)의 면적이 감소되는 변형을 포함하는 실시예 2의 변형률 수치가 도 4와 같이 하나의 연신 유닛(110)에만 아일랜드(112)의 면적이 증가되고, 브릿지(114)의 폭이 증가되며, 개구부(116)의 면적이 감소되는 변형을 포함하는 실시예 1의 변형률 수치보다 더 감소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변형되는 연신 유닛(110)의 수가 일정 범위 내에서는 증가될수록 효과가 큼을 쉽게 예측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연신 유닛(110)은 표시 패널(100)의 주변 영역(PA), 즉 표시 영역(DA)의 가장자리(BD)로부터 1개 내지 표시 패널(100)의 길이의 1%에 해당하는 영역에 포함되는 연신 유닛(110)에 걸쳐 점진적인 변형이 일어난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표시 영역(DA)으로부터 표시 패널(100)의 주변 영역(PA), 즉 표시 영역(DA)의 가장자리(BD)에 가까워질수록 점진적으로 아일랜드(112)의 면적이 증가되며, 브릿지(114)의 폭이 증가되고, 개구부(116)의 면적은 감소될 수 있다. 1개의 연신 유닛(110)에만 변형이 일어난 경우는 도 4 및 표 1과 동일하며, 변형을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와 비교하여 변형률이 현저히 감소됨을 확인할 수 있다.
표시 패널(100)의 길이의 1%에 해당되는 영역 내에 위치하는 연신 유닛(110)들에 걸쳐서 점진적인 변형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표시 패널(100)의 1%의 길이를 넘어서는 영역에 점진적인 변형 구조가 형성된다 할지라도 유사한 효과를 얻을 수 있기는 하지만, 효과의 차이는 미비하다. 따라서, 효과가 역치에 도달하여 더 이상의 효과 증대를 기대할 수 없는 수치로, 표시 패널(100)의 길이의 1%를 상한으로 선정하였다.
한편, 도 4 내지 도 6은 도 1의 B 영역에 해당되는 부분을 개략적으로 표시한 부분이며, 이와 같이 일직선의 가장자리(BD)에만 연신 유닛(110)의 변형이 일어나는 것은 아니다. 도 1의 C 영역에 해당되는 표시 영역(DA)의 모서리 부분 역시 B 영역과 마찬가지로, 점진적인 변형이 일어나는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본 실시예에 따른 연신 유닛(110)의 개구부(116)는 표시 패널(100)의 표시면에 수직한 축에 대해 표시면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절단된 단면이 아령형의 형상을 가진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아령형 개구부(116)와는 달리, 도 7 내지 도 10에는 도 1의 C 영역에 위치하는 복수의 연신 유닛(110)에 포함되는 개구부(116)의 다양한 변형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7은 도 1의 C 영역을 확대하여 원형의 개구부(116)를 포함하는 변형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8은 도 1의 C 영역을 확대하여 십자형의 개구부(116)를 포함하는 변형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1의 C 영역을 확대하여 플랜지형의 개구부(116)를 포함하는 변형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10은 도 1의 C 영역을 확대하여 다각형의 개구부(116)를 포함하는 변형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변형예들에 따르면, 원형, 십자형, 플랜지형 및 다각형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개구부(116)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이때 단면은 표시 패널(100)의 표시면에 수직한 축에 대해 표시면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절단된 면을 뜻한다.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이들 변형예에는 2개의 연신 유닛(110)에 걸쳐서 개구부(116)의 면적이 점차 감소되는 모습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개구부(116)와 개구부(116) 사이에는 화소(111)가 위치될 수 있음 역시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다.
도 7은 원형의 개구부(116)를 포함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타원형으로 변형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8은 십자형의 개구부(116)를 포함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십자형의 모서리 부분이 각각 둥글게 형성되거나, 십자형의 교차 부분이 곡면 혹은 빗면으로 연결되는 변형예도 가능할 것이다. 도 9는 플랜지형의 개구부(116)를 포함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플랜지 부분의 단면이 둥글게 형성되거나 다양한 다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변형예도 가능할 것이다. 또한 플랜지와 기둥의 교차 부분이 곡면 혹은 빗면으로 연결되는 변형예도 가능할 것이다. 도 10은 다각형의 일 예로 사각형의 개구부(116)를 포함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정다각형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태의 다각형으로 변형될 수 있으며, 다각형의 각 모서리 부분이나 각 변이 둥글게 변형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1은 도 1의 표시 패널(100) 중 표시 영역(DA)의 일부를 표시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절개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로, 도 2의 XI-XI 선을 따라 절단한 것이다. 도 11에 도시된 표시 패널(100)은 일 예로, 유기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패널(100)이다. 다만, 이는 일 예에 불과하며, 이 외에도 다양한 표시 소자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100)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실시예의 표시 패널(100)은 캐리어 기판(140) 상에 고정되는 기판(120) 및 기판(120) 상에 적층되는 복수의 절연층(130)을 포함한다. 복수의 절연층(130)은 기판(120) 상에 형성되는 각종 배선, 반도체층, 트랜지스터와 같은 구성들을 각각 전기적으로 절연시키거나 표면의 평탄화를 위해 적층된다.
이때 본 실시예의 표시 패널(100)은 표시 소자가 위치하지 않는 표시 패널(100)의 일부가 개방된 개구부(116)를 포함한다.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개구부(116)는 표시 패널(100)이 연신되기 위한 연신 유닛(110)의 일부이다.
도 11에 도시된 본 실시예의 개구부(116)에 의하면 복수의 절연층(130)뿐만 아니라 기판(120)까지도 관통되어 개방되기 때문에, 캐리어 기판(140)이 공정 중에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예에 불과하며, 기판(120)을 남기고 복수의 절연층(130)만을 개방시키거나, 기판(120) 및 복수의 절연층(130) 일부를 남기고 복수의 절연층(130) 중 다른 일부만을 개방시켜 형성되는 개구부(116)로 변형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이후 캐리어 기판(140)이 제거되고 나면 기판(120)의 하면에 보호 필름이 부착될 수 있으며, 보호 필름 역시 개방되거나 개방되지 않을 수 있으며 이 역시 본 실시예의 다양한 변형예 중 일부에 포함된다.
이상에서는 본 실시예 및 본 실시예의 다양한 변형예에 따른 연신 유닛(110)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100)에 대해 설명하였다. 본 기재에 따르면 연신율이 상이한 표시 영역(DA)과 주변 영역(PA) 사이에서 발생되는 표시 패널(100)의 물리적인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표시 패널
110: 연신 유닛
111: 화소
112: 아일랜드
114: 브릿지
116: 개구부
120: 기판
130: 절연층
140: 캐리어 기판
DA: 표시 영역
PA: 주변 영역
BD: 가장자리

Claims (20)

  1. 복수의 연신 유닛을 포함하여 연신 가능한 표시 영역; 및
    상기 표시 영역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주변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연신 유닛은,
    서로 이격되어 있으며, 복수의 화소가 각각 배치되는 복수의 아일랜드;
    상기 아일랜드로부터 연장되어 이웃한 상기 아일랜드 또는 상기 주변 영역과 연결시키는 복수의 브릿지; 및
    상기 브릿지와 인접하여 상기 브릿지와 상기 브릿지 사이에 그리고 상기 브릿지와 상기 아일랜드 사이에 위치하는 복수의 개구부를 포함하고,
    복수의 상기 아일랜드는 상기 주변 영역에 가까워질수록 점차 면적이 증가되는, 표시 패널.
  2.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브릿지는 상기 주변 영역에 가까워질수록 점차 폭이 증가되는, 표시 패널.
  3.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개구부는 상기 주변 영역에 가까워질수록 점차 면적이 감소되는, 표시 패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영역으로부터 1개 내지 상기 표시 패널의 길이의 1%에 해당하는 영역 내의 상기 연신 유닛에 걸쳐서 상기 주변 영역에 가까워질수록 상기 아일랜드의 면적이 점차 증가되는, 표시 패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표시 영역 및 상기 주변 영역을 포함하는 기판; 및
    상기 기판 상에 적층되는 복수의 절연층을 포함하고,
    상기 개구부는 복수의 상기 절연층 및 상기 기판이 관통된 부분에 위치하는, 표시 패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아령형의 단면을 가지는, 표시 패널.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원형의 단면을 가지는, 표시 패널.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십자형의 단면을 가지는, 표시 패널.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플랜지형의 단면을 가지는, 표시 패널.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다각형의 단면을 가지는, 표시 패널.
  11. 복수의 연신 유닛을 포함하여 연신 가능한 표시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연신 유닛은,
    서로 이격되어 있으며, 복수의 화소가 각각 배치되는 복수의 아일랜드;
    상기 아일랜드로부터 연장되어 이웃한 상기 아일랜드 또는 상기 표시 영역의 가장자리와 연결시키는 복수의 브릿지; 및
    상기 브릿지와 인접하여 상기 브릿지와 상기 브릿지 사이에 그리고 상기 브릿지와 상기 아일랜드 사이에 위치하는 복수의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브릿지 중 상기 아일랜드와 상기 가장자리를 연결하는 브릿지의 폭은 상기 아일랜드와 상기 아일랜드 사이를 연결하는 브릿지의 폭보다 더 넓은, 표시 패널.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가장자리에 가장 인접한 상기 아일랜드의 면적은 이웃한 상기 아일랜드들에 둘러싸인 상기 아일랜드의 면적보다 더 넓은, 표시 패널.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가장자리와 가장 인접한 상기 개구부의 면적은 복수의 다른 상기 개구부의 면적보다 더 좁은, 표시 패널.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가장자리로부터 1개 내지 상기 표시 패널의 길이의 1%에 해당하는 영역 내의 상기 연신 유닛에 걸쳐서 상기 주변 영역에 가까워질수록 상기 아일랜드의 면적이 점차 증가되는, 표시 패널.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기판 및 상기 기판 상에 적층되는 복수의 절연층을 포함하고,
    상기 개구부는 복수의 상기 절연층 및 상기 기판이 관통된 부분에 위치하는, 표시 패널.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아령형의 단면을 가지는, 표시 패널.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원형의 단면을 가지는, 표시 패널.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십자형의 단면을 가지는, 표시 패널.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플랜지형의 단면을 가지는, 표시 패널.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다각형의 단면을 가지는, 표시 패널.
KR1020160105110A 2016-08-18 2016-08-18 표시 패널 KR20180021306A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5110A KR20180021306A (ko) 2016-08-18 2016-08-18 표시 패널
US15/678,506 US10466746B2 (en) 2016-08-18 2017-08-16 Display panel
US16/584,822 US10802545B2 (en) 2016-08-18 2019-09-26 Display panel
US17/020,694 US11334119B2 (en) 2016-08-18 2020-09-14 Display panel
US17/736,900 US11714458B2 (en) 2016-08-18 2022-05-04 Display panel
US18/209,499 US20230324958A1 (en) 2016-08-18 2023-06-14 Display pane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5110A KR20180021306A (ko) 2016-08-18 2016-08-18 표시 패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1306A true KR20180021306A (ko) 2018-03-02

Family

ID=61191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5110A KR20180021306A (ko) 2016-08-18 2016-08-18 표시 패널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5) US10466746B2 (ko)
KR (1) KR2018002130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49628B2 (en) 2020-12-23 2023-12-19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panel,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display apparatu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1306A (ko) 2016-08-18 2018-03-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패널
KR102578589B1 (ko) * 2016-09-30 2023-09-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장치
CN108766977B (zh) * 2018-05-24 2021-04-1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oled显示基板、显示面板及其制备方法
CN108766242A (zh) 2018-05-31 2018-11-0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基板母板及其制作方法、柔性显示基板、显示装置
CN108550587B (zh) * 2018-06-05 2020-08-1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柔性显示基板及其制作方法、柔性显示装置
CN108847135B (zh) 2018-06-13 2021-04-23 云谷(固安)科技有限公司 一种可拉伸的柔性显示面板及其制备方法
CN109599402B (zh) 2018-12-03 2021-02-0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基板和显示装置
JP7242706B2 (ja) 2018-12-05 2023-03-20 京東方科技集團股▲ふん▼有限公司 伸縮可能な表示パネル、伸縮可能な表示装置および伸縮可能な表示パネルの製造方法
CN109786428B (zh) * 2019-01-28 2021-03-2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拉伸显示器件及制备方法
CN109830614B (zh) 2019-02-19 2020-11-1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柔性显示基板与柔性显示装置
CN109920803B (zh) * 2019-03-25 2020-12-1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可拉伸显示基板及显示装置
KR20200115772A (ko) * 2019-03-26 2020-10-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모듈
CN109920334B (zh) * 2019-03-27 2021-04-2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阵列基板及显示装置
CN110494985B (zh) * 2019-04-10 2021-08-2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可拉伸显示面板、可拉伸显示设备和制造可拉伸显示面板的方法
CN111816675B (zh) * 2019-04-12 2023-06-23 云谷(固安)科技有限公司 可拉伸显示面板及其制备方法、显示装置
CN110299078A (zh) * 2019-07-04 2019-10-0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基板、显示面板
CN110350014B (zh) * 2019-07-17 2021-10-2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基板、显示装置及显示基板的制备方法
KR20210016187A (ko) * 2019-08-01 2021-02-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US11659762B2 (en) * 2019-08-06 2023-05-23 Boe Technology Group Co., Ltd. Flexible display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and flexible display apparatus
CN110428740B (zh) * 2019-08-07 2021-04-3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像素单元、显示面板及显示设备
CN110570759B (zh) * 2019-08-09 2021-02-09 华为技术有限公司 触控屏、屏幕模组和电子设备
CN110444575B (zh) * 2019-08-14 2021-12-3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可拉伸显示背板、可拉伸显示装置
US11380752B2 (en) * 2019-08-22 2022-07-05 Boe Technology Group Co., Ltd. Stretchable display panel,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fabricating stretchable display panel
CN110518036B (zh) * 2019-08-23 2022-11-0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基板及显示装置
CN110649181B (zh) * 2019-10-08 2022-04-2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基板、显示装置以及显示基板的制备方法
CN110854166A (zh) * 2019-10-28 2020-02-28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可拉伸有机发光二极管显示面板
CN110634937B (zh) * 2019-10-31 2022-04-2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基板及其制备方法、显示装置
CN110689813B (zh) * 2019-11-20 2021-05-1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支撑结构及显示装置
CN110957330B (zh) * 2019-12-17 2022-10-1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基板、显示装置和制作方法
CN111047991B (zh) * 2019-12-23 2021-12-07 厦门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显示装置及其制作方法
CN111244322B (zh) * 2020-01-17 2022-04-2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基板及其制作方法、和显示装置
KR20210149283A (ko) * 2020-06-01 2021-12-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CN111682049B (zh) * 2020-06-19 2023-08-2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基板、显示装置及掩膜版
CN111668241B (zh) * 2020-06-30 2023-07-1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有机发光显示面板、显示装置
TWI742977B (zh) * 2020-08-21 2021-10-1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可拉伸的畫素陣列基板
CN113838371B (zh) * 2020-08-21 2022-12-27 友达光电股份有限公司 可拉伸的像素阵列基板
CN111968518B (zh) * 2020-08-31 2022-03-08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可拉伸显示面板及其制作方法、可拉伸显示装置
CN112053632B (zh) 2020-09-16 2022-07-2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及其制作方法
CN112071883B (zh) 2020-09-16 2024-05-2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和显示装置
CN111968522B (zh) * 2020-09-16 2022-07-01 厦门天马微电子有限公司 可拉伸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12331077B (zh) * 2020-11-04 2022-11-04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制作方法及可拉伸显示装置
CN112419892B (zh) * 2020-11-16 2023-01-17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和显示装置
CN112490272B (zh) * 2020-11-27 2022-12-0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基板及其制备方法、显示装置
KR20220078794A (ko) * 2020-12-03 2022-06-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CN112562515B (zh) * 2020-12-18 2022-10-14 云谷(固安)科技有限公司 可拉伸显示面板和显示装置
CN112669709B (zh) * 2020-12-29 2022-07-12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面板及显示装置
KR20220097772A (ko) * 2020-12-31 2022-07-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패널,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및 표시 패널의 제조방법
CN112863342B (zh) * 2021-01-12 2022-07-12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可拉伸显示模组及可拉伸显示设备
CN112863341B (zh) * 2021-01-12 2022-05-17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可拉伸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12863339B (zh) * 2021-01-12 2022-08-23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可拉伸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16568091A (zh) * 2021-03-16 2023-08-0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显示装置
CN113178471A (zh) * 2021-04-26 2021-07-2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基板和显示装置
CN113689788A (zh) * 2021-08-12 2021-11-23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曲面显示模组
CN113780179B (zh) * 2021-09-13 2023-08-29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柔性显示模组及显示终端
CN114078384B (zh) * 2021-11-03 2023-06-27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面板及移动终端
CN116647975A (zh) * 2022-02-15 2023-08-25 群创光电股份有限公司 电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891689A2 (en) 2005-05-31 2008-02-27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Flexible display device
WO2010086033A1 (en) 2009-01-30 2010-08-05 Interuniversitair Microelektronica Centrum Vzw Stretchable electronic device
WO2011008459A2 (en) 2009-06-29 2011-01-20 Infinite Corridor Technology, Llc Structured material substrates for flexible, stretchable electronics
US9601557B2 (en) 2012-11-16 2017-03-21 Apple Inc. Flexible display
KR102300025B1 (ko) * 2014-10-08 2021-09-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20180021306A (ko) * 2016-08-18 2018-03-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패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49628B2 (en) 2020-12-23 2023-12-19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panel,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display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466746B2 (en) 2019-11-05
US10802545B2 (en) 2020-10-13
US11714458B2 (en) 2023-08-01
US20220261042A1 (en) 2022-08-18
US20230324958A1 (en) 2023-10-12
US20200026332A1 (en) 2020-01-23
US20180052493A1 (en) 2018-02-22
US11334119B2 (en) 2022-05-17
US20200409423A1 (en) 2020-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21306A (ko) 표시 패널
KR102519417B1 (ko) 스트레처블 표시 장치
US10224380B2 (en) Display device
US9626898B2 (en) Flat panel display
US9564455B2 (en) Display panel
US11244968B2 (en)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CN109887956B (zh) 有机发光二极管柔性阵列基板
US10283034B2 (en) Pixel structure, display panel, display device, and display-panel driving method thereof
US10811465B2 (en) Display panel with step-edge and display device
US10923548B2 (en) Display pan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WO2021022583A1 (zh) 柔性显示面板
CN110071142B (zh) 显示面板以及显示装置
KR100775846B1 (ko) 디스플레이 소자 제조용 마스크
KR20210018011A (ko) 신축 기판 및 신축 표시 장치
US10211234B2 (en) Display panel
US9947893B2 (e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display
US20220130917A1 (en) Display panel
US9442336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preventing destruction by electro static charge
US9773961B1 (en) Display panel
CN109240000A (zh) 一种扇出线结构及显示装置
CN208888548U (zh) 一种扇出线结构及显示装置
US9887249B2 (en) Display device with self-illumination layer
JP2020115173A (ja) 表示装置
CN109240001A (zh) 一种扇出线结构及显示装置
CN110660350B (zh) 栅极驱动电路基板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