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0650A - 대나무 분말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대나무 분말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0650A
KR20180020650A KR1020160105331A KR20160105331A KR20180020650A KR 20180020650 A KR20180020650 A KR 20180020650A KR 1020160105331 A KR1020160105331 A KR 1020160105331A KR 20160105331 A KR20160105331 A KR 20160105331A KR 20180020650 A KR20180020650 A KR 201800206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mboo
chucking
rack
guid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53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71583B1 (ko
Inventor
도원주
Original Assignee
도원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원주 filed Critical 도원주
Priority to KR10201601053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1583B1/ko
Publication of KR201800206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06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15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15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LREMOVING BARK OR VESTIGES OF BRANCHES; SPLITTING WOOD; MANUFACTURE OF VENEER, WOODEN STICKS, WOOD SHAVINGS, WOOD FIBRES OR WOOD POWDER
    • B27L11/00Manufacture of wood shavings, chips, powder, or the like; Tools therefor
    • B27L11/06Manufacture of wood shavings, chips, powder, or the like; Tools therefor of wood powder or sawdu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18Knives; Mounting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22Feed or discharge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BSAW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COMPONENTS OR ACCESSORIES THEREFOR
    • B27B29/00Gripping, clamping, or holding devices for the trunk or log in saw mills or sawing machines; Travelling trunk or log carri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BSAW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COMPONENTS OR ACCESSORIES THEREFOR
    • B27B31/00Arrangements for conveying, loading, turning, adjusting, or discharging the log or timber, specially designed for saw mills or sawing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JMECHANICAL WORKING OF CANE, CORK, OR SIMILAR MATERIALS
    • B27J1/00Mechanical working of cane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ebarking, Splitting, And Disintegration Of Timber (AREA)
  • Chemical And Physical Treatments For Wood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대나무 분말 제조장치는, 정면에 경사면(11)이 형성된 본체(10); 상기 본체(10)의 경사면(11) 외측 좌우에 서로 이격되어 상부에서 하부로 길게 설치되는 한쌍의 가이드(20); 상기 가이드(20)에 결합되어 승하강되는 가이드 결합부(30); 상기 가이드 결합부(30)가 고정되어 승하강되는 승하강 플레이트(40); 상기 가이드(20)와 근접하여 설치되며 상기 경사면(11)에 상부에서 하부로 길게 고정되는 플레이트 승하강용 래크(50); 상기 승하강 플레이트(40)에 고정되며, 상기 플레이트 승하강용 래크(50)에 치합되는 플레이트 승하강용 피니언이 구비되고, 상기 플레이트 승하강용 피니언을 회전시켜 상기 승하강 플레이트(40)를 상기 가이드(20)를 따라 이동되도록 하는 모터(62)가 구비된 승하강 플레이트 구동부(60); 상기 승하강 플레이트(40)에 구비되며 대나무의 외주연이 물려 고정되는 외주연 고정부(70); 상기 가이드(20)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승하강 플레이트(40) 하강시 상기 외주연 고정부(70)에 물려 하강하는 대나무의 길이방향 하단부위를 하부로 안내되도록 지지하는 안내지그(80); 상기 안내지그(80)에 의해 하부로 안내된 대나무의 길이방향 하단을 커팅하여 대나무 분말을 제조하는 페이스 커터(9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대나무 분말 제조장치{Bamboo powder manufacturing apparatus}
본 발명은 대나무 분말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페이싱 커터를 이용하여 대나무를 갈아 분말을 제조하는 대나무 분말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나무 분말은 항균효과, 노화방지, 항산화효과, 소염, 항염, 트러블성 피부, 여드름, 피지흡수, 피부노폐물제거 등 다양한 효능을 가지며, 화장품, 비누 등으로 제조되고 있다.
대나무 분말은 대나무를 갈아 분말을 제조하게 되는데, 대나무의 표면이 미끄럽기 때문에 대나무 분말 제조장치는 대나무를 길이방향으로 공급되도록 하여 공급되는 단부면을 갈아 분말을 제조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대나무 분말 제조장치의 대표적인 예로는 일본 특허등록 JP4798406호(발명의 명칭: 죽미분말제조장치)와 일본특허공개 특개2012-120944호(발명의 명칭: 죽분제조장치)가 있다.
상기 대나무 분말 제조장치들은 대나무를 길이방향으로 공급하되, 대나무의 일측단부를 압력판으로 가압하여 대나무의 타측단부를 회전절삭기구에 공급되도록 하여 회전절삭기구의 절삭에 의해 분말이 제조되는 구조를 채택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 대나무 분말 제조장치들은 대나무의 일측단부를 압력판으로 가압하여 회전절삭기구로 공급하기 때문에, 직경에 비해 길이가 길고 잘 휘어지며 길이방향으로 쉽게 쪼개기는 대나무의 특성에 의해, 처짐이 발생되고 대나무가 파손되는 경우가 많이 발생된다. 이와 같이 대나무가 처짐이 발생되거나 파손되는 경우에는 회전절삭기구로의 공급이 용이하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대나무의 일측단부를 압력판으로 가압하여 회전절삭기구로 공급하기 때문에 동력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대나무 분말 제조장치들은 길이방향으로 수평되게 대나무를 공급하여 절삭하기 때문에, 압력판을 회전절삭기구로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레일 또는 컨베이어가 길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가이드레일 또는 컨베이어가 길어지게 되면 장치가 대형화되고 장소를 많이 차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처짐발생이 적고 대나무 공급을 위한 가압력을 줄여 대나무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대나무 분말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가이드 레일을 짧게 하여 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도록 하는 대나무 분말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대나무 분말 제조장치는, 정면에 경사면(11)이 형성된 본체(10); 상기 본체(10)의 경사면(11) 외측 좌우에 서로 이격되어 상부에서 하부로 길게 설치되는 한쌍의 가이드(20); 상기 가이드(20)에 결합되어 승하강되는 가이드 결합부(30); 상기 가이드 결합부(30)가 고정되어 승하강되는 승하강 플레이트(40); 상기 가이드(20)와 근접하여 설치되며 상기 경사면(11)에 상부에서 하부로 길게 고정되는 플레이트 승하강용 래크(50); 상기 승하강 플레이트(40)에 고정되며, 상기 플레이트 승하강용 래크(50)에 치합되는 플레이트 승하강용 피니언이 구비되고, 상기 플레이트 승하강용 피니언을 회전시켜 상기 승하강 플레이트(40)를 상기 가이드(20)를 따라 이동되도록 하는 모터(62)가 구비된 승하강 플레이트 구동부(60); 상기 승하강 플레이트(40)에 구비되며 대나무의 외주연이 물려 고정되는 외주연 고정부(70); 상기 가이드(20)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승하강 플레이트(40) 하강시 상기 외주연 고정부(70)에 물려 하강하는 대나무의 길이방향 하단부위를 하부로 안내되도록 지지하는 안내지그(80); 상기 안내지그(80)에 의해 하부로 안내된 대나무의 길이방향 하단을 커팅하여 대나무 분말을 제조하는 페이스 커터(9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페이스 커터(90)가 수용되며 상기 페이스 커터(90)의 커팅에 의해 제조된 대나무 분말이 일시 수용되도록 하는 페이스 커터 수용박스(100); 상기 페이스 커터 수용박스(100)와 연결되어 대나무 분말을 송풍하는 송풍기(110); 상기 송풍기(110)에 의해 송풍된 대나무 분말이 저장되는 대나무 분말 저장호퍼;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본체(10)의 경사면 상부에 설치되되 상기 경사면(11)과 동일하게 경사지게 설치되어 대나무 상부 부위 외주연 하부를 지지하는 대나무 상부지지부(12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외주연 고정부(70)는, 대나무의 공급방향과 수직되게 설치되며 대나무의 외주연이 물리는 좌우 한쌍의 제 1 척킹부(71)와, 대나무의 공급방향과 수직되게 설치되며 상기 제 1 척킹부(71)가 결합되어 이들을 서로 이격시키거나 근접하도록 안내하는 제 1 척킹부 가이드(72)와, 상기 제 1 척킹부(71)를 서로 이격시키거나 근접되도록 구동시키는 제 1 척킹부 구동부(7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 1 척킹부 구동부(73)는, 대나무의 공급방향과 수직되게 설치되며 상기 제 1 척킹부 중 어느 하나와 결합되는 제 1 래크(73a)와, 상기 제 1 래크(73a)의 하부에 이격설치되며 상기 제 1 척킹부 중 나머지 하나와 결합되는 제 2 래크(73b)와, 상기 제 1 래크(73a)와 제 2 래크(73b) 사이에 위치하며 이들과 동시에 치합되며 회전에 의해 상기 제 1 래크(73a)와 상기 제 2 래크(73b)를 서로 이격시키거나 근접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 1 척킹부(71)를 서로 이격시키거나 근접되도록 하는 제 1 척킹부 구동용 피니언(73c)와, 상기 제 1 척킹부 구동용 피니언(73c)을 정역회전시키는 제 1 척킹부 구동용 모터(73d)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안내지그(80)는, 대나무의 공급방향과 수직되게 설치되며 대나무의 길이방향 하부 부위의 외주연이 물리는 좌우 한쌍의 제 2 척킹부(81)와, 대나무의 공급방향과 수직되게 설치되며 상기 제 2 척킹부(81)가 결합되어 이들을 서로 이격시키거나 근접하도록 안내하는 제 2 척킹부 가이드(82) 및 상기 제 2 척킹부(81)를 서로 이격시키거나 근접되도록 구동시키는 제 2 척킹부 구동부(8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 2 척킹부 구동부(83)는, 대나무의 공급방향과 수직되게 설치되며 상기 제 2 척킹부 중 어느 하나와 결합되는 제 3 래크(83a)와, 상기 제 3 래크(83a)의 하부에 이격설치되며 상기 제 2 척킹부 중 나머지 하나와 결합되는 제 4 래크(83b)와, 상기 제 3 래크(83a)와 제 4 래크(83b) 사이에 위치하며 이들과 동시에 치합되며 회전에 의해 상기 제 3 래크(83a)와 상기 제 4 래크(83b)를 서로 이격시키거나 근접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 2 척킹부(81)를 서로 이격시키거나 근접되도록 하는 제 2 척킹부 구동용 피니언(83c) 및 상기 제 2 척킹부 구동용 피니언(83c)을 정역회전시키는 제 2 척킹부 구동용 모터(83d)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 2 척킹부(81)의 대나무 물림부위에는 롤러(81a)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대나무 길이만큼 길게 장소를 차지하는 종래의 대나무 분말 제조장치와는 달리, 대나무를 경사지게 페이스 커터로 공급하여 대나무 분말을 제조하게 되므로 장치가 길지 않아도 된다. 또한, 공급되는 대나무의 하부 부위를 고정시켜 페이스 커터로 공급하게 되므로 가이드레일을 짧게 하여 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대나무를 수평방향으로 가압 공급하는 종래의 대나무 분말제조장치와는 달리, 대나무를 경사지게 설치하여 가압 공급하게 되는 본 발명의 대나무 분말 제조장치는 대나무의 자중을 이용하여 대나무를 공급하게 되므로 가압력을 크게 하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모터의 용량이 적어도 되고 동력이 적게 소비되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대나무의 공급을 위한 가압력이 적어도 되므로, 가압 공급력이 큰 종래의 대나무 분말제조장치에서 대나무의 파손이 발생되는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대나무가 길더라도 대나무를 고정하는 가이드의 길이가 짧고, 대나무의 공급을 위한 가압력이 적으므로, 대나무의 처짐발생이 적고 대나무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대나무 분말 제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대나무 분말 제조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대나무 분말 제조장치의 외주연 고정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대나무 분말 제조장치의 안내지그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대나무 분말 제조장치를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대나무 분말 제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대나무 분말 제조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대나무 분말 제조장치의 외주연 고정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대나무 분말 제조장치의 안내지그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대나무 분말 제조장치는,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본체(10), 가이드(20), 가이드 결합부(30), 승하강 플레이트(40), 플레이트 승하강용 래크(50), 승하강 플레이트 구동부(60), 외주연 고정부(70), 안내지그(80), 페이스 커터(9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10)는 정면에 경사면(11)이 형성된다. 상기 경사면(11)의 외측 좌우 양측에는 가이드(20)가 설치되며, 상기 경사면(11)의 하부에는 안내지그(80)와 페이스 커터(90)가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20)는 상기 본체(10)의 경사면(11) 외측 좌우에 서로 이격되어 상부에서 하부로 길게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20)에는 가이드 결합부(30)가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20)를 따라 승하강되게 된다.
상기 가이드 결합부(30)는 상기 가이드(20)에 결합되어 승하강된다.
상기 승하강 플레이트(40)는 상기 가이드 결합부(30)가 고정되어 상기 가이드 결합부(30)의 승하강에 따라 승하강된다.
상기 플레이트 하강용 래크(50)는 상기 가이드(20)와 근접하여 설치되며 상기 경사면(11)에 상부에서 하부로 길게 고정된다.
상기 승하강 플레이트 구동부(60)는 상기 승하강 플레이트(40)에 고정되며, 상기 플레이트 승하강용 래크(50)에 치합되는 플레이트 승하강용 피니언(미도시됨)이 구비되고, 상기 플레이트 승하강용 피니언을 회전시켜 상기 승하강 플레이트(40)를 상기 가이드(20)를 따라 이동되도록 하는 모터(62)가 구비된다.
상기 외주연 고정부(70)는 상기 승하강 플레이트(40)에 구비되며 대나무의 외주연이 물려 고정된다.
상기 안내지그(80)는 상기 가이드(20)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승하강 플레이트(40) 하강시 상기 외주연 고정부(70)에 물려 하강하는 대나무의 길이방향 하단부위를 하부로 안내되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안내지그(80)는 상기 페이스 커터(90)의 상부인 상기 본체(10)의 경사면(11) 상에 상기 페이스 커터(90)와 근접하여 설치되며 대나무의 길이방향 일측 단부를 상기 페이스 커터(90)로 안내되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승하강 플레이트 구동부(60)의 모터(62)가 작동되면 상기 플레이트 승하강용 피니언이 회전되게 되며, 상기 승하강 플레이트 구동부(60)의 모터(62)는 상기 승하강 플레이트(40)에 고정되므로 상기 플레이트 승하강용 피니언에 치합된 플레이트 승하강용 래크(50)를 따라 상기 승하강 플레이트 구동부(60)가 승하강되게 된다. 상기 승하강 플레이트(40)는 상기 가이드 결합부(30)에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 결합부(30)는 상기 가이드(20)에 결합되게 되므로, 결국, 상기 모터(62)의 회전에 의해 상기 가이드 결합부(30)는 가이드(20)를 따라 상하로 이동되게 된다.
상기 승하강 플레이트(40)가 하강하게 되면 상기 승하강 플레이트(40)에 구비된 상기 외주연 고정부(70)도 하강하게 되며 외주연 고정부(70)에 물린 대나무는 하강하게 되어 대나무의 하단부가 페이스 커터(90)로 안내되어 페이스 커터(90)에 의해 대나무 분말이 제조되게 된다. 상기 승하강 플레이트(40)의 하강이 완료되면 상기 외주연 고정부(70)에 물린 대나무는 외주연 고정부(70)로부터 이격되도록 하고 상기 승하강 플레이트(40)를 상승시킨 후 다시 외주연 고정부(70)에 대나무를 다시 물린 상태에서 상기 승하강 플레이트(40)를 다시 하강하도록 함으로써 대나무의 분말 제조를 반복하도록 한다.
상기 페이스 커터(90)는 상기 가이드(20) 하부인 상기 본체(10)의 경사면(11) 상에 설치되며 상기 안내지그(80)에 의해 하부로 안내된 대나무의 길이방향 하단을 커팅하여 대나무 분말을 제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페이스 커터(90)는 다수의 커터가 면상에 설치되어 회전에 의해 공작물의 단부를 커팅하는 공지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된 본 발명의 대나무 분말 제조장치는, 대나무 길이만큼 길게 장소를 차지하는 종래의 대나무 분말 제조장치와는 달리, 본체(10)에 경사면(11)을 구비하여 대나무를 경사지게 페이스 커터(90)로 공급하여 대나무 분말을 제조하게 되므로 장치가 길지 않아도 된다. 또한, 공급되는 대나무의 하부 부위를 고정시켜 페이스 커터로 공급하게 되므로 가이드(20)를 짧게 하여 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대나무를 수평방향으로 가압 공급하는 종래의 대나무 분말제조장치와는 달리, 대나무를 경사지게 설치하여 가압 공급하게 되는 본 발명의 대나무 분말 제조장치는 대나무의 자중을 이용하여 대나무를 공급하게 되므로 가압력을 크게 하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플레이트 승하강용 피니언을 회전시키는 모터(62)의 용량이 적어도 되고 동력이 적게 소비되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대나무의 공급을 위한 가압력이 적어도 되므로, 가압 공급력이 큰 종래의 대나무 분말제조장치에서 대나무의 파손이 발생되는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대나무가 길더라도 대나무를 고정하는 외주연 고정부(70)와 페이스 커터(90) 사이의 거리가 짧고, 대나무의 공급을 위한 가압력이 적으므로, 대나무의 처짐발생이 적고 대나무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페이스 커터(90)의 커팅에 의해 제조된 대나무 분말을 저장하기 위하여 페이스 커터 수용박스(100)와, 송풍기(110) 및 대나무 분말 저장호퍼(미도시됨)를 채택한다.
상기 페이스 커터 수용박스(100)는 상기 페이스 커터(90)가 수용되며 상기 페이스 커터(90)의 커팅에 의해 제조된 대나무 분말이 일시 수용되도록 한다.
상기 송풍기(110)는 상기 페이스 커터 수용박스(100)와 연결되어 대나무 분말을 송풍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송풍기(110)는 대나무 분말을 송풍하여 대나무 분말 저장호퍼로 저장되도록 한다.
상기 대나무 분말 저장호퍼(미도시됨)는 상기 송풍기(110)에 의해 송풍된 대나무 분말이 저장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 의해 페이스 커터(90)의 커팅에 의해 제조된 대나무 분말은 흩날리지 않고 송풍되어 대나무 분말 저장호퍼로 저장되게 되므로 쾌적한 작업환경을 이룰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대나무가 긴 경우에는 대나무의 상부 부위가 지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10)의 경사면 상부에 설치되되 상기 경사면(11)과 동일하게 경사지게 설치되어 대나무 상부 부위 외주연 하부를 지지하는 대나무 상부지지부(120)가 더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대나무 상부지지부(120)에 의해 대나무 상부의 외주연 하부를 지지하게 되므로 대나무가 긴 경우에 대나무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대나무 상부지지부(120)는 대나무의 외주연 하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V자형태로 형성되며 대나무의 외주연 하부와 접하는 부위에는 롤러(121)가 구비되도록 하여 대나무의 마디가 상기 대나무 상부 지지부(120)에 걸리지 않고 하부 방향으로 원활하게 안내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외주연 고정부(70)는 대나무 외주연이 물리도록 하여 상기 승하강 플레이트(40)의 하부 이동에 의해 물린 대나무를 하부로 이동되도록 하는데, 상기 외주연 고정부(70)는 대나무의 직경에 따라 대나무의 물림 및 분리를 위해, 도 4에서와 같이, 제 1 척킹부(71)와, 제 1 척킹부 가이드(72)와, 제 1 척킹부 구동부(73)의 구성을 채택한다.
상기 제 1 척킹부(71)는 대나무의 공급방향과 수직되게 설치되며 대나무의 외주연이 물리도록 좌우 한쌍으로 된다.
상기 제 1 척킹부 가이드(72)는 대나무의 공급방향과 수직되게 설치되며 상기 제 1 척킹부(71)가 결합되어 이들을 서로 이격시키거나 근접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 1 척킹부 구동부(73)는 상기 제 1 척킹부(71)를 서로 이격시키거나 근접되도록 구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제 1 척킹부 구동부(73)는, 제 1 래크(73a)와, 제 2 래크(73b)와, 제 1 척킹부 구동용 피니언(73c) 및 제 1 척킹부 구동용 모터(73d)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 1 래크(73a)는 대나무의 공급방향과 수직되게 설치되며 상기 제 1 척킹부 중 어느 하나와 결합된다.
상기 제 2 래크(73b)는 상기 제 1 래크(73a)의 하부에 이격설치되며 상기 제 1 척킹부 중 나머지 하나와 결합된다.
상기 제 1 척킹부 구동용 피니언(73c)은 상기 제 1 래크(73a)와 제 2 래크(73b) 사이에 위치하며 이들과 동시에 치합되며 회전에 의해 상기 제 1 래크(73a)와 상기 제 2 래크(73b)를 서로 이격시키거나 근접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 1 척킹부(71)를 서로 이격시키거나 근접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 1 척킹부 구동용 모터(73d)(도 1 및 도 2 참조)는 상기 제 1 척킹부 구동용 피니언(73c)을 정역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4에서 상기 제 1 척킹부 구동용 피니언(73c)이 정회전(우회전)을 하게 되면 상부에 구비된 상기 제 1 래크(73a)는 우측으로 이동되고 상기 제 1 래크(73a)는 우측에 구비된 제 1 척킹부(71)와 결합되므로 우측에 구비된 제 1 척킹부(71)는 우측으로 이동된다. 반면에 하부에 구비된 상기 제 2 래크(73b)는 좌측으로 이동되고 상기 제 2 래크(73b)는 좌측에 구비된 제 1 척킹부(71)와 결합되므로 좌측에 구비된 제 1 척킹부(71)는 좌측으로 이동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 척킹부(71)가 서로 이격됨으로써 상기 제 1 척킹부(71)에 물린 대나무의 분리가 가능하게 된다.
이와는 반대로 상기 제 1 척킹부 구동용 피니언(73c)이 역회전(좌회전)을 하게 되면 우측에 구비된 제 1 척킹부(71)는 좌측으로 이동되고 좌측에 구비된 제 1 척킹부(71)는 우측으로 이동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 척킹부(71)가 서로 근접됨으로써 상기 제 1 척킹부(71)에 의한 대나무의 물림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제 1 척킹부(71)의 좌우 이동에 의해 대나무 외주연을 물릴 때 대나무의 마디와 마디 사이를 물리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는 이유는 대나무의 특성상 대나무의 외주연이 미끄러우므로 상기 제 1 척킹부(71)에 의해 물린 대나무가 미끌리더라도 대나무의 마디에 걸려 하부로의 이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외주연 고정부(70)의 제 1 척킹부(71)가 승하강 플레이트(40)의 하강에 의해 이동될 때 상대적으로 강도가 강한 대나무의 마디가 걸리도록 고정되게 되면, 대나무의 반경방향으로 고정척을 물릴 때 대나무의 외주연을 가압하여 물리지 않고 대나무를 공급할 수 있게 되므로, 대나무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안내지그(80)는, 대나무의 하단부위가 흔들림없이 안정적으로 페이스 커터(90)로 안내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전술한 외주연 고정부(70)의 구조와 유사하다.
상기 안내지그(80)는 대나무의 직경에 따라 물림 및 분리를 위해, 도 5에서와 같이, 제 2 척킹부(71)와, 제 2 척킹부 가이드(72)와, 제 2 척킹부 구동부(83)의 구성을 채택한다.
상기 제 2 척킹부(81)는 대나무의 공급방향과 수직되게 설치되며 대나무의 외주연이 물리도록 좌우 한쌍으로 된다.
상기 제 2 척킹부 가이드(82)는 대나무의 공급방향과 수직되게 설치되며 상기 제 2 척킹부(81)가 결합되어 이들을 서로 이격시키거나 근접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 2 척킹부 구동부(83)는 상기 제 2 척킹부(81)를 서로 이격시키거나 근접되도록 구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제 2 척킹부 구동부(83)는, 제 3 래크(83a)와, 제 4 래크(83b)와, 제 2 척킹부 구동용 피니언(83c) 및 제 2 척킹부 구동용 모터(83d)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 3 래크(83a)는 대나무의 공급방향과 수직되게 설치되며 상기 제 2 척킹부 중 어느 하나와 결합된다.
상기 제 4 래크(83b)는 상기 제 3 래크(83a)의 하부에 이격설치되며 상기 제 2 척킹부 중 나머지 하나와 결합된다.
상기 제 2 척킹부 구동용 피니언(83c)은 상기 제 3 래크(83a)와 제 4 래크(83b) 사이에 위치하며 이들과 동시에 치합되며 회전에 의해 상기 제 3 래크(83a)와 상기 제 4 래크(83b)를 서로 이격시키거나 근접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 2 척킹부(81)를 서로 이격시키거나 근접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 2 척킹부 구동용 모터(83d)(도 1 및 도 2 참조)는 상기 제 2 척킹부 구동용 피니언(83c)을 정역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5에서 상기 제 2 척킹부 구동용 피니언(83c)이 정회전(우회전)을 하게 되면 상부에 구비된 상기 제 3 래크(83a)는 우측으로 이동되고 상기 제 3 래크(83a)는 우측에 구비된 제 2 척킹부(81)와 결합되므로 우측에 구비된 제 2 척킹부(81)는 우측으로 이동된다. 반면에 하부에 구비된 상기 제 3 래크(83a)는 좌측으로 이동되고 상기 제 3 래크(83a)는 좌측에 구비된 제 2 척킹부(81)와 결합되므로 좌측에 구비된 제 2 척킹부(81)는 좌측으로 이동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 2 척킹부(81)가 서로 이격됨으로써 상기 제 2 척킹부(81)에 물린 대나무의 분리가 가능하게 된다.
이와는 반대로 상기 제 2 척킹부 구동용 피니언(83c)이 역회전(좌회전)을 하게 되면 우측에 구비된 제 2 척킹부(81)는 좌측으로 이동되고 좌측에 구비된 제 2 척킹부(81)는 우측으로 이동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 2 척킹부(81)가 서로 근접됨으로써 상기 제 2 척킹부(81)에 의한 대나무의 물림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제 2 척킹부(81)의 대나무 물림부위에는 롤러(81a)가 구비된다. 상기 롤러(81a)가 구비되면 상기 제 2 척킹부(81)에 의해 물린 상태로 대나무를 페이스 커터(90)로 원활하게 안내할 수 있게 된다.
대나무를 본 발명의 대나무 분말 제조장치로 공급하도록 하는 초기 세팅시에 대나무의 하단부가 페이스 커터(90)에 충격을 가할 수 있으므로 페이스 커터(90)의 보호를 위하여 페이스 커터(90) 전단에 충격방지로드(130)(도 5 참조)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충격방지로드(130)는 실린더(135)에 의해 인출되어 대나무의 초기 세팅시 대나무의 하단부를 지지하여 대나무의 하단부가 페이스 커터(90)에 충격을 가하는 것을 방지하게 되며, 상기 외주연 고정부(70) 및 상기 안내지그(80)에 의해 대나무가 물리게 되면 인입되도록 하여 대나무의 하단부가 페이스 커터(90)로 안내될 수 있도록 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으로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 본체 11 : 경사면
20 : 가이드 30 : 가이드 결합부
40 : 승하강 플레이트 50 : 플레이트 승하강용 래크
60 : 승하강 플레이트 구동부 62 : 모터
70 : 외주연 고정부 71 : 제 1 척킹부
72 : 제 1 척킹부 가이드 73 : 제 1 척킹부 구동부
73a: 제 1 래크 73b: 제 2 래크
73c: 제 1 척킹부 구동용 피니언 73d: 제 1 척킹부 구동용 모터
80 : 안내지그 81 : 제 2 척킹부
81a: 롤러 82 : 제 2 척킹부 가이드
83 : 제 2 척킹부 구동부 83a: 제 3 래크
83b: 제 4 래크 83c: 제 2 척킹부 구동용 피니언
83d: 제 2 척킹부 구동용 모터 90 : 페이스 커터
100: 페이스 커터 수용박스 110: 송풍기
120: 대나무 상부지지부

Claims (7)

  1. 정면에 경사면(11)이 형성된 본체(10);
    상기 본체(10)의 경사면(11) 외측 좌우에 서로 이격되어 상부에서 하부로 길게 설치되는 한쌍의 가이드(20);
    상기 가이드(20)에 결합되어 승하강되는 가이드 결합부(30);
    상기 가이드 결합부(30)가 고정되어 승하강되는 승하강 플레이트(40);
    상기 가이드(20)와 근접하여 설치되며 상기 경사면(11)에 상부에서 하부로 길게 고정되는 플레이트 승하강용 래크(50);
    상기 승하강 플레이트(40)에 고정되며, 상기 플레이트 승하강용 래크(50)에 치합되는 플레이트 승하강용 피니언이 구비되고, 상기 플레이트 승하강용 피니언을 회전시켜 상기 승하강 플레이트(40)를 상기 가이드(20)를 따라 이동되도록 하는 모터(62)가 구비된 승하강 플레이트 구동부(60);
    상기 승하강 플레이트(40)에 구비되며 대나무의 외주연이 물려 고정되는 외주연 고정부(70);
    상기 가이드(20)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승하강 플레이트(40) 하강시 상기 외주연 고정부(70)에 물려 하강하는 대나무의 길이방향 하단부위를 하부로 안내되도록 지지하는 안내지그(80);
    상기 안내지그(80)에 의해 하부로 안내된 대나무의 길이방향 하단을 커팅하여 대나무 분말을 제조하는 페이스 커터(9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나무 분말 제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스 커터(90)가 수용되며 상기 페이스 커터(90)의 커팅에 의해 제조된 대나무 분말이 일시 수용되도록 하는 페이스 커터 수용박스(100);
    상기 페이스 커터 수용박스(100)와 연결되어 대나무 분말을 송풍하는 송풍기(110);
    상기 송풍기(110)에 의해 송풍된 대나무 분말이 저장되는 대나무 분말 저장호퍼;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나무 분말 제조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경사면 상부에 설치되되 상기 경사면(11)과 동일하게 경사지게 설치되어 대나무 상부 부위 외주연 하부를 지지하는 대나무 상부지지부(12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나무 분말 제조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주연 고정부(70)는,
    대나무의 공급방향과 수직되게 설치되며 대나무의 외주연이 물리는 좌우 한쌍의 제 1 척킹부(71)와,
    대나무의 공급방향과 수직되게 설치되며 상기 제 1 척킹부(71)가 결합되어 이들을 서로 이격시키거나 근접하도록 안내하는 제 1 척킹부 가이드(72)와,
    상기 제 1 척킹부(71)를 서로 이격시키거나 근접되도록 구동시키는 제 1 척킹부 구동부(7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나무 분말 제조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척킹부 구동부(73)는,
    대나무의 공급방향과 수직되게 설치되며 상기 제 1 척킹부 중 어느 하나와 결합되는 제 1 래크(73a)와,
    상기 제 1 래크(73a)의 하부에 이격설치되며 상기 제 1 척킹부 중 나머지 하나와 결합되는 제 2 래크(73b)와,
    상기 제 1 래크(73a)와 제 2 래크(73b) 사이에 위치하며 이들과 동시에 치합되며 회전에 의해 상기 제 1 래크(73a)와 상기 제 2 래크(73b)를 서로 이격시키거나 근접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 1 척킹부(71)를 서로 이격시키거나 근접되도록 하는 제 1 척킹부 구동용 피니언(73c)와,
    상기 제 1 척킹부 구동용 피니언(73c)을 정역회전시키는 제 1 척킹부 구동용 모터(73d)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나무 분말 제조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지그(80)는,
    대나무의 공급방향과 수직되게 설치되며 대나무의 길이방향 하부 부위의 외주연이 물리는 좌우 한쌍의 제 2 척킹부(81)와,
    대나무의 공급방향과 수직되게 설치되며 상기 제 2 척킹부(81)가 결합되어 이들을 서로 이격시키거나 근접하도록 안내하는 제 2 척킹부 가이드(82) 및
    상기 제 2 척킹부(81)를 서로 이격시키거나 근접되도록 구동시키는 제 2 척킹부 구동부(8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나무 분말 제조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척킹부 구동부(83)는,
    대나무의 공급방향과 수직되게 설치되며 상기 제 2 척킹부 중 어느 하나와 결합되는 제 3 래크(83a)와,
    상기 제 3 래크(83a)의 하부에 이격설치되며 상기 제 2 척킹부 중 나머지 하나와 결합되는 제 4 래크(83b)와,
    상기 제 3 래크(83a)와 제 4 래크(83b) 사이에 위치하며 이들과 동시에 치합되며 회전에 의해 상기 제 3 래크(83a)와 상기 제 4 래크(83b)를 서로 이격시키거나 근접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 2 척킹부(81)를 서로 이격시키거나 근접되도록 하는 제 2 척킹부 구동용 피니언(83c) 및
    상기 제 2 척킹부 구동용 피니언(83c)을 정역회전시키는 제 2 척킹부 구동용 모터(83d)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 2 척킹부(81)의 대나무 물림부위에는 롤러(81a)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나무 분말 제조장치.
KR1020160105331A 2016-08-19 2016-08-19 대나무 분말 제조장치 KR1018715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5331A KR101871583B1 (ko) 2016-08-19 2016-08-19 대나무 분말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5331A KR101871583B1 (ko) 2016-08-19 2016-08-19 대나무 분말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0650A true KR20180020650A (ko) 2018-02-28
KR101871583B1 KR101871583B1 (ko) 2018-06-27

Family

ID=614012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5331A KR101871583B1 (ko) 2016-08-19 2016-08-19 대나무 분말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1583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44589A (zh) * 2018-06-04 2018-09-18 浙江竹孝宝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内含竹酵素液的竹子的切割设备
CN109605507A (zh) * 2018-11-23 2019-04-12 大田县源生竹业有限公司 一种自动化破竹设备
CN111590703A (zh) * 2020-06-10 2020-08-28 安吉聚泰机械有限公司 一种撞竹装置
CN111890164A (zh) * 2020-06-18 2020-11-06 谢艳文 一种竹原料外周加工设备
CN112060246A (zh) * 2020-08-06 2020-12-11 万湘兰 一种竹身自动削皮装置
CN113601654A (zh) * 2020-10-26 2021-11-05 怀化市健霆竹业有限公司 一种竹筷子生产加工用原材料切割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81076B1 (ja) * 2010-02-08 2011-05-11 有限会社藤井鉄工所 竹材粉砕装置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44589A (zh) * 2018-06-04 2018-09-18 浙江竹孝宝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内含竹酵素液的竹子的切割设备
CN109605507A (zh) * 2018-11-23 2019-04-12 大田县源生竹业有限公司 一种自动化破竹设备
CN111590703A (zh) * 2020-06-10 2020-08-28 安吉聚泰机械有限公司 一种撞竹装置
CN111890164A (zh) * 2020-06-18 2020-11-06 谢艳文 一种竹原料外周加工设备
CN112060246A (zh) * 2020-08-06 2020-12-11 万湘兰 一种竹身自动削皮装置
CN113601654A (zh) * 2020-10-26 2021-11-05 怀化市健霆竹业有限公司 一种竹筷子生产加工用原材料切割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1583B1 (ko) 2018-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1583B1 (ko) 대나무 분말 제조장치
JP5828689B2 (ja) 裁断機の目打ち装置および方法
CN106865968B (zh) 玻璃自动开片设备
WO2020078065A1 (zh) 电子元器件剪脚机
JP5996308B2 (ja) ワイヤソー
CN203683879U (zh) 一种鞋舌加工设备
KR101929576B1 (ko) 멀티 홈 가공 장치
CN202344695U (zh) 一种多功能多头柱形仿形机
CN111559023A (zh) 一种工件旋转的高效多刀截断机
KR20100119017A (ko) 석재 절단장치
CN202278668U (zh) 一种多功能多头柱形石材仿形机
KR101086987B1 (ko) 골프공 재생을 위한 탈피장치
CN112238166B (zh) 一种上压刀可调式折弯机
CN111687958B (zh) 一种用于加工圆柱空心类木制品的安全切割钻孔一体机
KR20190012656A (ko) 봉재 절단 장치
KR101603973B1 (ko) 가공소재 자동공급장치
KR100795973B1 (ko) 이동형 중간 지지대를 구비한 방전가공형 드릴장치
CN112775389B (zh) 链条生产设备、链条生产设备的控制***及加工步骤
CN215359233U (zh) 一种地板加工用自动化裁切时的上料装置
CN106735120B (zh) 一种浇口切割机的切割方法
KR102411091B1 (ko) 롤포밍기의 롤금형 교체장치
CN102078902A (zh) 一种包边机的预定位机构
CN209792487U (zh) 电子元器件剪脚机
CN106513849B (zh) 具有对圆盘锯片压住功能的自动铰孔装置
CN105234493A (zh) Cd纹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