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8342A - Multi-layer solid tile and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 Google Patents

Multi-layer solid tile and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8342A
KR20180018342A KR1020170098217A KR20170098217A KR20180018342A KR 20180018342 A KR20180018342 A KR 20180018342A KR 1020170098217 A KR1020170098217 A KR 1020170098217A KR 20170098217 A KR20170098217 A KR 20170098217A KR 20180018342 A KR20180018342 A KR 201800183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resin
foamed cushion
phr
cushion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821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28607B1 (en
Inventor
고동환
장운규
송영대
양기용
김우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녹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녹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녹수
Priority to PCT/KR2017/008360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8030705A1/en
Priority to EP17185007.6A priority patent/EP3281783B1/en
Priority to US15/672,718 priority patent/US10704270B2/en
Publication of KR201800183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834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86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860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32B27/2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using plastici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32B27/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using fillers, pigments, thixotrop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vinyl halide (co)polymers, e.g. PVC, PVDC, PVF, PVD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18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a layer of foam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75/00Adhesive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75/04Polyurethan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10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f other materials, e.g. fibrous or chipped materials, organic plastics, magnesite tiles, hardboard, or with a top layer of other materia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181Insulating layers integrally formed with the flooring or the floor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1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acoustical properties
    • B32B2307/102Ins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9/00Parameters for the laminating or treatment process; Apparatus details
    • B32B2309/02Tempera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loor Finish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igh-strength tile including a foaming cushion layer and a reinforcement layer,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The high-strength tile is less likely to be modified by temperature.

Description

다층 고강도 타일 및 그 제조방법{MULTI-LAYER SOLID TILE AND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0001] MULTI-LAYER SOLID TILE AND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0002]

본 발명은 다층 고강도 타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건축용 자재로 사용되는 다층 고강도 타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layer high-strength til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ultilayer high-strength tile used as a construction material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전통적으로 건축용 자재, 특히, 바닥재로는 플라스틱, 세라믹, 목재 등 다양한 소재가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디자인이 우수하면서도 친환경적이며, 가벼우면서도 강도가 우수하고, 내구성 및 내습성을 갖는 제품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특히, 단순한 마감재로서의 기능뿐 아니라 항균, 방음, 차음, 보행감, 충격 안정성 등 다양한 추가 기능을 가지며, 내마모성, 내스크레치성, 내열성, 내오염성, 내약품성 등의 표면 물성과 내구성이 개선된 제품 개발이 다각도로 진행되고 있다.Traditionally, various materials such as plastics, ceramics, and wood have been used as building materials, especially flooring materials. 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a growing demand for products that are excellent in design, are environmentally friendly, light in weight, excellent in strength, and have durability and moisture resistance. In particular, it has developed various products that have various functions such as antibacterial, soundproofing, sound insulation, walk feeling, impact stability, and improved surface properties and durability such as abrasion resistance, scratch resistance, heat resistance, stain resistance and chemical resistance as well as functions as a simple finish material. Is progressing in various angles.

일반적으로 건축용 자재로 사용되는 타일, 예컨대 바닥재는 다수의 시트(sheet) 또는 층(layer)에 압력을 가하거나, 열을 가하거나, 접착제를 사용하여 각각의 층을 합판하여 제조된다. 타일에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다양한 소재로 된 층을 추가하거나, 표면에 코팅층을 도입하거나 또는 새로운 첨가물을 배합하기도 한다.A tile, such as a flooring, which is generally used as a building material, is manufactured by pressing a plurality of sheets or layers, applying heat, or plywooding each layer using an adhesive. In order to provide various functions to the tile, it is possible to add layers of various materials, introduce a coating layer on the surface, or mix new additives.

전통적인 건축마감재로는 천연소재인 목질 바닥재, MDF 또는 HDF 등의 backing에 멜라민을 함침시켜 만든 HPM 시트를 접착제로 합지시킨 강화마루(laminated), PVC 타일 등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Traditional architectural finishes include wood flooring made of natural materials, laminated PVC laminated with HPM sheets made by impregnating melamine in backing of MDF or HDF, and PVC tiles.

천연 목재를 사용하는 목질 바닥재는 습기에 약하고, 계절별 온도 변화와 사용 기간 경과에 따라 목재의 특성으로 인한 갈라짐, 터짐, 변형 등이 발생하여 유지보수 비용이 만만치 않을 뿐 아니라, 목재 자체의 가격이 높고, 목재의 종류와 가공도에 따라 특성이 달라져 올바르게 사용하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Wooden flooring using natural wood is weak in moisture, and due to seasonal temperature change and use period, cracks, breakage, and deformation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wood are caused, resulting in maintenance cost. In addition, the price of wood itself is high , There is a limitation that it is difficult to use properly because the characteristics a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kind of wood and the degree of processing.

이를 보완하고자 강화마루(laminated)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강화마루는 상기와 같은 목재의 단점을 보완한 소재로서, MDF 또는 HDF를 backing core로 사용하고 그 위에 종이 인쇄 후 멜라민 수지를 함침한 HPM 시트를 접착제로 합지시킨 제품이다. 강화마루는 표면 강도 및 내구성은 우수하나 수분에 약하고 외부 하중에 의해 뒤틀림이 심한 단점이 있다.In order to compensate for this, reinforced laminated has been developed and used. The reinforced floor is a material that complements the disadvantages of the above-mentioned wood, and uses MDF or HDF as a backing core, and HPM sheet impregnated with melamine resin after printing paper is laminated with an adhesive. The reinforced floor has excellent surface strength and durability but it is weak against water and has a disadvantage that it is severely warped by external load.

PVC 타일은 폴리염화비닐(PVC) 재질로 된 타일로서 목재나 WPC에 비해 온도에 대한 변형, 수분에 대한 저항성, 컬링 특성 등은 우수하지만, 가소제 사용에 따라 휘발성 유기 화합물이 발생할 우려가 있고 상대적으로 딱딱한 느낌이 덜하다는 단점이 있다. PVC tiles are tiles made of polyvinyl chloride (PVC), which are superior to wood or WPC in temperature deformation, moisture resistance, and curling characteristics. However, volatile organic compounds may be generated by the use of plasticizers,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feeling of hardness is less.

최근에는 상기 PVC 타일과 강화마루의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 경질 PVC를 발포시킨 발포층에 PVC 타일의 상부층을 접착제로 결합시킨 경질 발포 타일(소위 WPC)이 사용되고 있다. 경질 발포 타일은 가볍고, 쿠션감과 보행감은 우수하지만, 가열에 의한 치수 변화가 심하고 표면 찍힘 등 표면 강도 및 내구성이 약하며, 층간 결합 시 접착제를 사용하므로 비친환경적이라는 문제가 있다. 이와 관련하여, 특허공개공보 제2016-0027660호에는 치수안정성이 개선된 폴리염화비닐수지 바닥재가 게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공개공보 제2016-0100097호에는 폴리올레핀계 친환경 논슬립 바닥재 및 그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문헌 어디에도 발포쿠션층과 보강층을 포함하며 가소제를 소량만 포함하여 친환경적이면서도 강도가 우수하며 쿠션감 등이 우수한 바닥재가 게시되어 있지 않다.In recent years, hard foam tiles (so-called WPC) in which the upper layer of PVC tiles are bonded with an adhesive are used for a foam layer in which hard PVC is foamed to improve disadvantages of the PVC tiles and reinforced floors. Rigid foam tiles are lightweight and have excellent cushioning and walking feeling, but they are not environmentally friendly because they have poor surface strength and durability, such as dimensional changes due to heating, surface sticking, etc., and use adhesives when bonding layers. In this regard, Patent Publication No. 2016-0027660 discloses polyvinyl chloride resin flooring with improved dimensional stability. In addition, 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2016-0100097 discloses a polyolefin-based environmentally friendly non-asphalted flooring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However, none of the above publications discloses a flooring material containing a foamed cushion layer and a reinforcing layer, which contains only a small amount of plasticizer and is environmentally friendly, excellent in strength, and excellent in cushioning feeling.

특허공개공보 제2016-0027660호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16-0027660 특허공개공보 제2016-0100097호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16-0100097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온도에 따른 변형이 적고, 가벼우면서도 강도가 높고, 쿠션성 및 보행감, 소음방지기능이 우수한 고강도 타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high strength tile which is less deformed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is light, high in strength, excellent in cushioning, walkability and noise prevention function,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타일의 층간 결합에 있어서 접착제를 이용하지 않고,가소제 사용을 최소화함으로써, 친환경적인 고강도 타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nvironmentally friendly high-strength tile by minimizing the use of a plasticizer without using an adhesive in the interlayer bonding of the til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til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예는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발포쿠션층과 보강층을 포함하는 고강도 타일로서, A high strength tile comprising a foamed cushion layer and a reinforcing layer,

상기 발포쿠션층은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ABS 수지, 폴리염화비닐 수지, 아크릴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스티렌 수지,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에틸렌 프로필렌 공중합체,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고분자 수지를 포함하고,The foamed cushion layer may be formed of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ethylene resin, polypropylene resin, ABS resin, polyvinyl chloride resin, acrylic resin, polyester resin, polystyrene resin, polytetrafluoroethylene, 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 (TPU), and at least one polymeric resin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상기 발포쿠션층은 가소제를 0~20 phr, 충전제를 0~300 phr, 발포제를 0~5 phr 포함하고,The foamed cushion layer contains 0 to 20 phr of a plasticizer, 0 to 300 phr of a filler and 0 to 5 phr of a foaming agent,

상기 발포쿠션층의 발포배율은 120~300%이며, The expansion ratio of the foamed cushion layer is 120 to 300%

상기 보강층은 고강도 코어층을 포함하고, Wherein the reinforcing layer comprises a high-strength core layer,

상기 고강도 코어층은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ABS 수지, 폴리염화비닐 수지, 아크릴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스티렌 수지,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에틸렌 프로필렌 공중합체,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고분자 수지를 포함하고, The high-strength core layer may be formed of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ethylene resin, polypropylene resin, ABS resin, polyvinyl chloride resin, acrylic resin, polyester resin, polystyrene resin, polytetrafluoroethylene, 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 ethylene propylene copolymer, thermoplastic polyurethane ≪ / RTI > TPU), wherein at least one polymeric resin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 RTI ID =

상기 고강도 코어층은 가소제를 0~20phr, 충전제를 0~500phr 포함하는, Wherein the high strength core layer comprises 0 to 20 phr of a plasticizer and 0 to 500 phr of a filler,

다층 고강도 타일을 제공한다.Thereby providing a multi-layer high strength tile.

본 발명의 다른 일 예는 Another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발포쿠션층의 배합을 준비하는 단계, (a) preparing a blend of foamed cushion layers,

(b) 보강층의 배합을 준비하는 단계, (b) preparing a compounding of the reinforcing layer,

(c) 상기 발포쿠션층과 상기 보강층을 압출에 의하여 한꺼번에 시트로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층 고강도 타일의 제조방법으로,(c) forming the foamed cushion layer and the reinforcing layer into a sheet at one time by extrusion,

상기 발포쿠션층은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ABS 수지, 폴리염화비닐 수지, 아크릴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스티렌 수지,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에틸렌 프로필렌 공중합체,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고분자 수지를 포함하고,The foamed cushion layer may be formed of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ethylene resin, polypropylene resin, ABS resin, polyvinyl chloride resin, acrylic resin, polyester resin, polystyrene resin, polytetrafluoroethylene, 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 (TPU), and at least one polymeric resin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상기 발포쿠션층은 가소제를 0~20 phr, 충전제를 0~300 phr, 발포제를 0~5 phr 포함하고,The foamed cushion layer contains 0 to 20 phr of a plasticizer, 0 to 300 phr of a filler and 0 to 5 phr of a foaming agent,

상기 발포쿠션층의 발포배율은 120~300 %이며,The expansion ratio of the foamed cushion layer is 120 to 300%

상기 보강층은 고강도 코어층을 포함하고,Wherein the reinforcing layer comprises a high-strength core layer,

상기 고강도 코어층은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ABS 수지, 폴리염화비닐 수지, 아크릴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스티렌 수지,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에틸렌 프로필렌 공중합체,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고분자 수지를 포함하고,The high-strength core layer may be formed of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ethylene resin, polypropylene resin, ABS resin, polyvinyl chloride resin, acrylic resin, polyester resin, polystyrene resin, polytetrafluoroethylene, 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 ethylene propylene copolymer, thermoplastic polyurethane TPU, < / RTI >

상기 고강도 코어층은 가소제를 0~20 phr, 충전제를 0~500 phr 포함하는, Wherein the high strength core layer comprises 0 to 20 phr of a plasticizer and 0 to 500 phr of a filler,

다층 고강도 타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A method of manufacturing a multilayer high strength tile is provided.

본 발명에 의하면 고강도 코어층과 발포쿠션층을 포함함으로써 표면은 단단하고 내부는 가벼워 목재와 같은 질감을 제공하면서도 기계적 강도가 높고 온도 변화에 따른 변형에 대한 저항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치수안정성과 컬링 방지 특성(휨 안정성)이 우수한 타일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including a high-strength core layer and a foamed cushion layer, the surface is hard and the inside is light, thereby providing a wood-like texture, high mechanical strength, excell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due to temperature chang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tile excellent in characteristics (flexural stability).

본 발명에 의하면 발포쿠션층을 포함함으로써 제품의 무게를 경량화할 수 있고 보행감과 소음방지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including the foamed cushion layer, the weight of the product can be reduced, and the gait feeling and noise prevention effect can be improved.

본 발명에 의하면, 조성이 다른 다층 구조로 인하여 개별 층간 굴절율 차에 의해 충격 소음이 감소되는 효과가 있고, 발포쿠션층 또는 소음방지층을 포함함으로써 보행감과 소음방지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mpact noise is reduced due to the difference in refractive index between individual layers due to a multi-layered structure having a different composition. The inclusion of the foam cushion layer or the noise preventing layer can improve the gait sensation and the noise preventing effect.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타일의 우수한 치수안정성으로 시공 후 타일 간 틈이 발생하지 않아 오염 발생을 억제하며, 청소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ue to excellent dimensional stability of the tile, gaps between tiles do not occur after the construction, so that the occurrence of contamination can be suppressed and the ease of cleaning can be improved.

본 발명에 의하면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가소제의 사용을 최소화함으로써, 친환경적인 타일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nvironmentally friendly tile by minimizing the use of a plasticizer without using an adhesive.

본 발명에 의하면 압출기를 사용하여 발포쿠션층과 보강층을 동시에 제조 및 일체화시킴으로써 우수한 층간 결합력과 생산 효율성을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the extruder to simultaneously manufacture and integrate the foamed cushion layer and the reinforcing layer, excellent interlayer bonding force and production efficiency can be provided.

또한, 열 융착 방식을 사용함으로써, 접착 압착식에 비해 과량의 접착제 사용에 따른 타일 표면의 오염과 하부층에서 표면층으로의 접착제 이행으로 인한 오염 현상 발생을 방지할 수 있어 외관 결점을 줄일 수 있으며, 상기 타일에서 발생할 수 있는 총 휘발성 유기화합물(Total Volatile Organic Compound; TVOC)의 농도를 획기적으로 낮춤으로써 친환경성을 부여할 수 있다. Further, by using the thermal fusion bonding method, it is possible to prevent contamination of the surface of the tile due to use of an excessive amount of adhesive compared to the adhesive pressure bonding type and occurrence of contamination due to migration of adhesive to the surface layer from the lower layer,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concentration of the total volatile organic compound (TVOC) that can be generated in the tile, thereby giving environment friendlines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3층 구조의 고강도 타일을 나타낸다.
도 2,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예에 따른 2층 구조의 고강도 타일을 나타낸다.
도 4~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예에 따라 각각 도 1~도 3의 고강도 타일 상부에 추가의 층이 적층된 구조의 고강도 타일을 나타낸다.
도 7~도 9는 본 발명의 또다른 일 예에 따라 도 1~도 3의 고강도 타일 상부 및 하부에 추가의 층이 적층된 구조의 고강도 타일을 나타낸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예에 따라, 도 4의 고강도 타일에서 중지층과 상부 보강층 사이에 치수 안정층이 추가로 포함된 고강도 타일을 나타낸다.
1 shows a high-strength tile having a three-layer structure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and FIG. 3 show a high-strength tile having a two-layer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4 to 6 show high-strength tiles having a structure in which additional layers are stacked on the high-strength tiles of FIGS. 1 to 3, respectively,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7 to 9 show high-strength tiles having a structure in which additional layers are stacked on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high-strength tiles of FIGS. 1 to 3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shows a high strength tile further comprising a dimensionally stable layer between the stop layer and the upper stiffening layer in the high strength tile of FIG. 4,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고강도 타일을 기술한다.Hereinafter, a high strength tile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면에서 각 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된 것이며,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은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The thickness and the size of each layer in the drawings are exaggerated for convenience and clarity of description,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denote the same elements in the drawings. As used herein, the term "and / or" includes any and all combinations of one or more of the listed items.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한 형상들, 숫자, 단계,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As used herein, the singular forms "a," "an," and "the" include singular form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Also, " comprise "and / or" comprising "when used herein should be interpreted as specifying the presence of stated shapes, numb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elements, and / And does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operations, elements, elements, and / or groups.

본 발명에서 고강도 타일은 건축재, 예를 들면 벽재나 바닥재 등으로 사용될 수 있다. 사무실이나 주택의 벽이나 바닥재로 사용될 수 있으며, 특히 바닥재로 사용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igh-strength tile can be used as a building material, for example, as a wall material or a floor material. It can be used as wall or flooring of office or house, especially as flooring.

[본 발명의 일태양][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고강도 타일은 발포쿠션층과 보강층을 포함한다. 여기서, 보강층은 발포쿠션층 상부와 하부에 모두 적층되어 보강층-발포쿠션층-보강층의 3층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도 1 참조). 또한 보강층은 발포쿠션층 상부에 적층되어 보강층-발포쿠션층의 2층 구조를 형성하거나(도 2), 발포쿠션층 하부에 적층되어, 발포쿠션층-보강층호층의 2층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도 3).The high strength til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oamed cushion layer and a reinforcing layer. Here, the reinforcing layer is laminated on both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foamed cushion layer to form a three-layer structure of a reinforcing layer-foamed cushion layer-reinforcing layer (see FIG. 1). Further, the reinforcing layer may be laminated on the foamed cushion layer to form a two-layer structure of the reinforcing layer-foamed cushion layer (Fig. 2) or laminated on the foamed cushion layer to form a two-layer structure of the foamed cushion layer- (Fig. 3).

이하 타일을 구성하는 각 층에 대하여 기술한다.Hereinafter, each layer constituting the tile will be described.

<발포쿠션층> <Foam Cushion Layer>

발포쿠션층은 제품에 경량화를 제공하며, 충격을 흡수하고, 바닥재로 사용시 보행감을 주며, 소음 방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층이다. The foamed cushion layer is a layer that provides light weight for the product, absorbs impact, provides a walking feeling when used as a flooring material, and can provide a noise-preventing effect.

발포쿠션층은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ABS 수지, 폴리염화비닐 수지, 아크릴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스티렌 수지,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에틸렌 프로필렌 공중합체,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고분자 수지를 포함한다.The foamed cushion layer may be formed of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ethylene resin, polypropylene resin, ABS resin, polyvinyl chloride resin, acrylic resin, polyester resin, polystyrene resin, polytetrafluoroethylene, 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 TPU). &Lt; / RTI &gt;

건축재, 예를 들면, 바닥재에 발포쿠션층이 포함되면, 제품이 가볍고 쉽게 충격을 흡수하여 보행감과 소음방지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When a construction material, for example, a flooring material, contains a foamed cushion layer, the product absorbs impact lightly and easily, and a walking feeling and noise prevention effect can be expected.

상기 발포쿠션층은 가소제를 0~20 phr, 충전제를 0~300 phr, 발포제를 0~5 phr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foamed cushion layer preferably contains 0 to 20 phr of a plasticizer, 0 to 300 phr of a filler, and 0 to 5 phr of a foaming agent.

본 발명의 발포쿠션층은 가소제의 함량을 줄임으로써 강도를 높이는 동시에 휘발성 유기 물질을 덜 함유함으로써 제품에 친환경성을 부여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발포쿠션층을 포함하는 타일은 종래의 건축재에 비하여 친환경적이면서도 가볍고 강도가 높다는 특징이 있다.The foamed cushion l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reases the strength by reducing the content of the plasticizer, while at the same time, it contains less volatile organic substances, thereby giving the product eco-friendliness. Accordingly, the tile including the foamed cushion l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being eco-friendly, lightweight, and high in strength as compared with conventional building materials.

발포제로는 ADCA(azodicarbonamide, AC), OBSH(P,P'-Oxy bis(benzene sulfonyl hydrazide), 중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소시안산염(isocyanate)이나 물, 아조기(azo-), 히드라진(hydrazine), 질소(nitrogen-) 기반의 화합물, 중탄산수소나트륨(sodium bicarbonate, NaHCO3)등의 무기 발포제도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The blowing agent may be at least one of ADCA (azodicarbonamide, AC), OBSH (P, P'-Oxy bis (benzene sulfonyl hydrazide), and isocyanate or water, azo, hydrazine but are not limited to, inorganic foaming agents such as hydrazine, nitrogen-based compounds, and sodium bicarbonate (NaHCO 3).

상기 발포쿠션층의 발포배율은 120~300%인 것이 바람직하다. 발포배율이 120% 미만인 경우 원재료 함량이 높아져 제조비용이 상승하고 경량화 효과도 크지 않으며, 발포배율이 300%를 초과하는 경우 강도가 낮아질 수 있다.The expansion ratio of the foamed cushion layer is preferably 120 to 300%. When the expansion ratio is less than 120%, the raw material content is increased and the manufacturing cost is increased and the effect of lighter weight is not significant. When the expansion ratio exceeds 300%, the strength may be lowered.

상기 발포쿠션층은 상기 고분자 수지와 함께 목재칩 또는 코르크칩(cork chip)을 포함하되, 상기 칩의 함량이 1~40 phr 인 복합재료(composite)를 포함할 수 있다. The foamed cushion layer may include a wood chip or a cork chip together with the polymer resin, and the composite may have a chip content of 1 to 40 phr.

상기 발포쿠션층이 목재칩 또는 코르크칩을 포함하지 않고 고분자 수지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발포제를 0.1~5 phr 포함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며, 상기 발포쿠션층이 상기 복합재료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발포제를 포함하지 않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When the foamed cushion layer does not include a wood chip or a cork chip but contains a polymer resin,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foamed cushion layer contains 0.1 to 5 phr of a foaming agent. When the foamed cushion layer contains the composite material, It is more desirable not to.

발포쿠션층은 보강층 아래, 또는 보강층 위에, 또는 두 개의 보강층 사이에 구비된다(도 1~도 3 참조). The foamed cushion layer is provided under the reinforcing layer, or on the reinforcing layer, or between the two reinforcing layers (see Figs. 1 to 3).

상기 발포쿠션층의 두께는 다른 층의 두께, 원하는 목적, 성질 등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The thickness of the foamed cushion layer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the other layers, the desired purpose, properties, and the like.

<보강층> <Enhancement Layer>

보강층은 타일의 상단, 하단에 위치하여 표면부를 형성할 수도 있고, 상기 보강층 위에 다른 층이 더 적층될 수도 있다. The reinforcing layer may be located at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tile to form a surface portion, and another layer may be further laminated on the reinforcing layer.

보강층은 고강도 코어층을 포함할 수 있다.The reinforcing layer may comprise a high strength core layer.

상기 보강층은 내구성과 치수안정성을 제공하기 위한 층으로서, 발포쿠션층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층이다. 발포쿠션층은 경량화, 충격흡수, 보행감, 소음방지 등의 효과를 제공하는 반면 강도가 약하여 클릭 가공 후 깨지거나, 온도에 의하여 뒤틀림이 발생하거나, 치수안정성이 떨어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보강층은 발포쿠션층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것으로 발포쿠션층의 상부 또는 하부, 상부와 하부에 모두 위치할 수 있다. The reinforcing layer is a layer for providing durability and dimensional stability, and is a layer for reinforcing the strength of the foamed cushion layer. The foamed cushion layer provides effects such as weight reduction, impact absorption, walking feeling, and noise prevention, but may have problems such as cracking after click processing due to weak strength, distortion due to temperature, and poor dimensional stability. The reinforcing layer serves to compensate for the disadvantages of the foamed cushion layer, and may be located at the upper or lower portion, the upper portion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foamed cushion layer.

상기 고강도 코어층은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ABS 수지, 폴리염화비닐 수지, 아크릴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스티렌 수지,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에틸렌 프로필렌 공중합체,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고분자 수지를 포함한다. 상기 고강도 코어층으로는 바람직하게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하나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염화비닐(PVC) 수지가 사용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폴리염화비닐 수지가 사용된다. 폴리염화비닐 수지를 사용하는 경우 중합도는 700 내지 2000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중합도가 상기 범위보다 낮은 경우에는 기계적 물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으며, 상기 범위를 초과할 경우에는 가공 온도가 높아지는 문제, 즉 가공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중합도가 800 내지 1300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The high-strength core layer may be formed of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ethylene resin, polypropylene resin, ABS resin, polyvinyl chloride resin, acrylic resin, polyester resin, polystyrene resin, polytetrafluoroethylene, 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 ethylene propylene copolymer, thermoplastic polyurethane TPU). &Lt; / RTI &gt; As the high-strength core layer,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or polyvinyl chloride (PVC) resin, which is one of polyester resins, is preferably used, and polyvinyl chloride resin is most preferably used. When a polyvinyl chloride resin is used, a polymerization degree of 700 to 2000 can be used. When the degree of polymerization is lower than the above rang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mechanical properties are poor. When the degree of polymerization is higher than the above rang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rocessing temperature is increased, that is, the workability is poor.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polymerization degree is 800 to 1300.

상기 고강도 코어층은 가소제를 0~20 phr, 충전제를 0~500 phr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소제, 충전제 함량은 상기 발포쿠션층의 경도 및 각 성분의 함량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The high-strength core layer preferably contains 0 to 20 phr of a plasticizer and 0 to 500 phr of a filler. The content of the plasticizer and the filler may vary depending on the hardness of the foamed cushion layer and the content of each component.

상기 고강도 코어층은 경질의 소재를 사용하여 제품 자체가 딱딱하고 단단하도록 하여 제품자체에 견고함을 부여한다. 상기 고강도 코어층은 기계적 강도가 높고 치수 변형에 대한 저항성이 우수하여, 치수안정성이 우수하고 컬링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치수 변형을 최소화함으로써 타일, 예를 들면, 바닥재 사이의 틈새가 벌어지지 않아 오염 발생을 감소시키고 청소 용이성도 확보할 수 있다. 이러한 고강도 코어층을 포함하는 건축용 자재, 예를 들면, 바닥재의 경우 목재와 같이 딱딱하고 견고한 느낌을 제공한다. The high-strength core layer uses a hard material to make the product itself hard and hard, thereby imparting firmness to the product itself. The high-strength core layer has high mechanical strength and resistance to dimensional deformation, and therefore has excellent dimensional stability and minimizes the occurrence of curling. By minimizing the dimensional deformation, gaps between the tiles, for example, the flooring, are not opened, thereby reducing the occurrence of contamination and ensuring ease of cleaning. Building materials including such high strength core layers, such as flooring, provide a hard and solid feel like wood.

상기 고강도 코어층을 포함하는 고강도 타일은 고강도 코어층 자체가 가소제를 포함하지 않거나 20 phr 이하로 매우 소량 포함하므로 기계적 강도가 우수하고, 가열에 따른 길이 변화가 적고 컬링성이 우수하다는 점 등의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고강도 타일은 표면이 딱딱하여 보행감이 떨어지며, 제품이 상대적으로 무거워 취급이 어렵다는 한계가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고강도 코어층과 함께 발포쿠션층을 사용함으로써 이러한 한계를 극복한 것이다.The high-strength tile including the high-strength core layer is excellent in mechanical strength, less change in length due to heating, and excellent in curling property, since the high-strength core layer itself contains no plasticizer or a very small amount of less than 20 phr. . However, such a high-strength tile has a limitation in that it is hard to handle because the surface is hard and the walking feeling is low, and the product is relatively heavy. In the present invention, this problem is overcome by using the foamed cushion layer together with the high-

고강도 코어층은 고분자 수지, 가소제, 충전제 외에 안정제, 가공조제, 충격보강제, 내부 활제, 외부 활제 및 안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The high-strength core layer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additiv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stabilizer, a processing aid, an impact modifier, an internal lubricant, an external lubricant, and a pigment in addition to a polymer resin, a plasticizer and a filler.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고강도 코어층은 고분자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안정제 1 내지 10 중량부, 충진제 10 내지 500 중량부, 가공조제 0.1 내지 10 중량부, 충격보강제 2 내지 15 중량부, 내부 활제 0.1 내지 5 중량부, 외부 활제 0.01 내지 5 중량부 및 안료 0.05 내지 15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고분자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안정제 2 내지 7 중량부, 충진제 30 내지 300 중량부, 가공조제 0.5 내지 7 중량부, 충격보강제 3 내지 10 중량부, 내부 활제 0.3 내지 2 중량부, 외부 활제 0.01 내지 1 중량부 및 안료 2 내지 7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igh-strength core layer comprises 1 to 10 parts by weight of a stabilizer, 10 to 500 parts by weight of a filler, 0.1 to 10 parts by weight of a processing aid, 2 to 15 parts by weight of an impact modifier, 0.1 to 5 parts by weight of an internal lubricant, 0.01 to 5 parts by weight of an external lubricant and 0.05 to 15 parts by weight of a pigment, and preferably 2 to 7 parts by weight of a stabilizer, 30 to 300 parts by weight of a filler 0.5 to 7 parts by weight of a processing aid, 3 to 10 parts by weight of an impact modifier, 0.3 to 2 parts by weight of an internal lubricant, 0.01 to 1 part by weight of an external lubricant and 2 to 7 parts by weight of a pigment.

본 발명의 고강도 코어층에 포함되는 가소제의 사용량은 고분자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 내지 20 중량부이며, 바람직하게는 0 내지 7 중량부이다. 가소제 사용량이 20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기계적 강도와 치수안정성이 우수하나, 가소제 사용량이 2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기계적 물성, 치수안정성 및 친환경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고강도 코어층은 가소제의 함량을 줄임으로써 강도를 높이는 동시에 휘발성 유기 물질을 덜 함유함으로써 제품에 친환경성을 부여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고강도 코어층을 포함하는 타일은 종래의 건축재에 비하여 친환경적이면서도 강도가 높다는 특성이 있다.The amount of the plasticizer contained in the high-strength core l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0 to 20 parts by weight, preferably 0 to 7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polymer resin. When the amount of the plasticizer used is less than 20 parts by weight, the mechanical strength and dimensional stability are excellent. However, when the amount of the plasticizer is more than 20 parts by weight, mechanical properties, dimensional stability and environmental friendliness are poor. The high-strength core l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reases the strength by reducing the content of the plasticizer, while at the same time, it contains less volatile organic substances, thereby giving the product environment-friendliness. Therefore, the tile including the high-strength core l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characteristics of being environment-friendly and high in strength as compared with conventional building materials.

본 발명의 고강도 코어층에 포함되는 안정제의 사용량은 고분자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10 중량부이며, 바람직하게는 2 내지 7 중량부이다. 안정제의 사용량이 1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열 안정성이 떨어져 제품에 변색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으며, 1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경제성이 떨어진다. The amount of the stabilizer contained in the high-strength core l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1 to 10 parts by weight, preferably 2 to 7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polymer resin. If the amount of the stabilizer used is less than 1 part by weight, heat stability may be deteriorated and discoloration may occur in the product. If the amount is more than 10 parts by weight, the economical efficiency is lowered.

또한, 본 발명의 고강도 코어층에 포함되는 충진제 사용량은 고분자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500 중량부이며,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300 중량부이다. 충진제 사용량이 10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경제성이 떨어지며, 50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기계적 물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The amount of the filler used in the high-strength core l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10 to 500 parts by weight, preferably 30 to 30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polymer resin. When the amount of the filler used is less than 10 parts by weight, the economical efficiency is poor. When the amount of the filler is more than 500 parts by weight, the mechanical properties are remarkably deteriorated.

본 발명의 고강도 코어층에 포함되는 가공조제의 경우, 고분자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10 중량부를 사용하며,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7 중량부를 사용한다. 가공조제 사용량이 0.1 중량부 미만이면 가공성이 떨어져 제품의 표면 불량이 발생하며, 1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경제성이 떨어진다.In the case of the processing aid contained in the high-strength core l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0.1 to 10 parts by weight, preferably 0.5 to 7 parts by weight, is used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polymer resin. When the amount of the processing aid is less than 0.1 part by weight, the workability is poor and the surface of the product is defective. When the amount is more than 10 parts by weight, the economical efficiency is low.

본 발명의 고강도 코어층에 포함되는 충격보강제의 경우, 고분자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2 내지 15 중량부를 사용하며,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0 중량부를 사용한다. 충격보강제 사용량이 2 중량부 미만이면 내충격성이 떨어지며, 15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경제성이 떨어진다.In the case of the impact modifier contained in the high-strength core l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2 to 15 parts by weight, preferably 3 to 10 parts by weight, of 100 parts by weight of the polymer resin is used. When the amount of the impact modifier is less than 2 parts by weight, impact resistance is poor. When the amount is more than 15 parts by weight, economical efficiency is low.

또한, 본 발명의 고강도 코어층에 포함되는 내부 활제는 고분자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5 중량부, 외부 활제는 고분자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5 중량부를 사용하며, 바람직하게는 내부 활제의 경우 0.3 내지 2 중량부, 외부 활제의 경우 0.01 내지 1 중량부를 사용한다. 내부 활제 사용량이 0.1 중량부 미만이면 압출 부하가 상승하며, 5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경제성이 떨어진다. 외부 활제의 사용량이 0.01 미만이면 압출기 내부 탄화물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며, 5 중량부를 초과하면 활제가 제품 표면으로 이행하여 제품 물성이 떨어진다. The inner lubricant contained in the high-strength core l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in an amount of 0.1 to 5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polymer resin, and the external lubricant is used in an amount of 0.01 to 5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polymer resin, 0.3 to 2 parts by weight, and 0.01 to 1 part by weight in the case of an external lubricant. When the amount of the internal lubricant used is less than 0.1 part by weight, the extrusion load increases. When the amount of the internal lubricant is more than 5 parts by weight, the economical efficiency is low. If the amount of the external lubricant used is less than 0.01, the possibility of generating carbides in the extruder is increased. If the amount of the external lubricant is more than 5 parts by weight, the lubricant migrates to the surface of the product,

본 발명의 고강도 코어층에 포함되는 안료의 경우, 0.05 내지 15 중량부를 사용하며, 바람직하게는 2 내지 7 중량부를 사용한다. 안료의 사용량이 0.05 중량부 미만이면 목표하는 불투명성이나 색상을 얻기가 어려우며, 15 중량부를 초과하면 경제성이 떨어진다.In the case of the pigment included in the high-strength core l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0.05 to 15 parts by weight, preferably 2 to 7 parts by weight, is used. When the amount of the pigment used is less than 0.05 part by weight, it is difficult to obtain the desired opacity and hue. If the amount exceeds 15 parts by weight, the economical efficiency is low.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상기 가소제는 디옥틸프탈레이트(dioctyl phthalate, DOP), 디이소노닐프탈레이트(diisononyl phthalate, DINP), 디이소데실프탈레이트(diisodecyl phthalate, DIDP), 디운데실프탈레이트(diundecyl phthalate, DUP), 트리옥틸트리멜리테이트(trioctyl trimellitate, TOTM), 디옥틸아디페이트(dioctyl adipate, DOA), 디옥틸테레프탈레이트(dioctyl terephthalate, DOTP), 1,2-사이클로헥산 디카복실산다이이소노닐에스터(1,2-cyclohexane dicarboxylic acid diisononyl ester, DINCH), 디프로필헵틸프탈레이트(dipropylheptylphthalate, DPHP), 아세틸트리부틸시트레이트(acetyltributylcitrate, ATBC), 식물성 가소제 및 벤조에이트(Benzoat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친환경 가소제인 다이옥틸테레프탈레이트(dioctyl terephthalate, DOTP)이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lasticizer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dioctyl phthalate (DOP), diisononyl phthalate (DINP), diisodecyl phthalate (DIDP), diundecyl phthalate , DUP), trioctyl trimellitate (TOTM), dioctyl adipate (DOA), dioctyl terephthalate (DOTP), 1,2-cyclohexanedicarboxylic acid diisononyl But are not limited to, thos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1,2-cyclohexane dicarboxylic acid diisononyl ester (DINCH), dipropylheptylphthalate (DPHP), acetyltributylcitrate (ATBC), vegetable plasticizer and benzoate But are not limited to, dioctyl terephthalate (DOTP), which is preferably an eco-plasticizer.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상기 안정제는 금석석검계 안정제, 유기주석복합 안정제 및 에폭시계 안정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금석석검계 안정제는 예를 들어 Ba/Zn, Ca/Zn 및 Na/Zn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친환경 Ca/Zn계이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abilizer include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gold stalactite stabilizer, an organotin complex stabilizer, and an epoxy stabilizer, and the gold stalactite stabilizer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Ba / Zn, Ca / Zn and Na / Zn, and is preferably an eco-friendly Ca / Zn system, but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상기 충진제는 탄산칼슘, 실리카, 알루미나, 해포석, 탈크, 산화안티몬, 산화알루미늄, 플라이애쉬 및 고로슬래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탄산칼슘, 해포석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ller comprises at least one memb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alcium carbonate, silica, alumina, hemihalite, talc, antimony oxide, aluminum oxide, fly ash and blast furnace slag, , Sea weed, and mixtures thereof, but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상기 가공조제는 용융 속도와 점도를 증가시키고 용융 상태의 균일화와 가공성 향상을 위해 사용하며, 아크릴 폴리머, 스타이렌 공중합물, 미네랄 오일, 페트로라툼, 파라핀 왁스, 석유 레진, 지방산, 지방산 에스테르, 지방 알코올, 금속 비누, 지방산 아마이드, 페놀 수지, 폴리에틸렌, 폴리부텐, 유기 실리콘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아크릴 폴리머, 스타이렌 공중합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cessing aid is used for increasing the melt speed and viscosity, improving the uniformity of the molten state and improving workability, and is preferably used in combination with an acrylic polymer, a styrene copolymer, mineral oil, petrolatum, paraffin wax, , At least one memb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fatty acids, fatty acid esters, fatty alcohols, metal soaps, fatty acid amides, phenol resins, polyethylene, polybutene and organic silicon, preferably acrylic polymers, styrene copolymers and their But are not limited to,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mixture.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상기 충격보강제는 내충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하며, 아크릴 폴리머, MBS(메타크릴레이트부타디엔스타이렌), 염소화 폴리에틸렌(CPE: Chlorinated Polyethylene), 실리콘계 아크릴 러버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염소화 폴리에틸렌, 아크릴 폴리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mpact modifier is used for improving the impact resistance, and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crylic polymer, MBS (methacrylate butadiene styrene), chlorinated polyethylene (CPE) But not limited to,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hlorinated polyethylene, acrylic polymer, and mixtures thereof.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상기 활제는 열가소성 수지 가열 성형 시, 용융된 수지의 점도를 낮추어 유동성을 양호하게 해 주는 내부 활제와, 용융된 수지와 가공 기계와의 마찰력을 줄여 가공 기계 내부에서의 탄화물의 발생을 줄여 주고 가공 기계로부터 탈착을 용이하게 해 주는 외부 활제로 분리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활제는 극성기가 없는 장쇄 탄소화 수소계로 파라핀 오일, 천연 파라핀, 폴리에틸렌 왁스, 지방산계로 스테아린산, 수산화 스테아린산, 지방산 아마이드계로 스테아린산 아마이드, 올레산 아마이드, 에르신산 아마이드, 지방산 에스테르계로 부틸 스테아레이트, 글리세롤 모노스테아레이트, 지방산 알코올계로 세틸 알코올, 스테아릭 알코올 및 팔미틸 알코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내부 활제로는 지방산 에스테르계 또는 지방산 알코올계, 외부 활제로는 지방산 아마이드계 또는 지방산계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ubricant is an internal lubricant which lowers the viscosity of the molten resin during thermoplastic resin molding to improve the fluidity of the molten resin, and reduces the friction between the molten resin and the processing machine, Can be separated into an external lubricant that reduces the generation of carbides and facilitates desorption from the processing machine. Typically, the lubricant is a long chain carbonated hydrogen-free system having no polar group and is a paraffin oil, natural paraffin, polyethylene wax, stearic acid, fatty acid amide, oleic acid amide, erucic acid amide, fatty acid ester, butyl stearate, glycerol Monostearate, fatty acid alcohol, cetyl alcohol, stearic alcohol and palmityl alcohol. Preferably, the internal lubricant is a fatty acid ester or fatty alcohol type, and the external lubricant is fatty acid amide Based, fatty acid-based, and mixtures thereof, but are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상기 안료는 은폐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하며, 다양한 색상을 갖는 유기계 안료, 무기계 안료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무기계 안료는 바람직하게는 아나티제(anataze) 지당(TiO2) 또는 루타일(rutile) 지당(TiO2)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루타일(rutile) 지당(TiO2)이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igment is used for improving hiding power, and include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organic pigments having various colors, inorganic pigments, and mixtures thereof. The inorganic pigments are preferably anataze per ton (TiO 2 ) or rutile per ton (TiO 2 ), more preferably per rutile per ton (TiO 2 ) no.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고강도 코어층의 두께는 다른 층의 두께, 원하는 성질, 목적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0.2 내지 7 mm이고,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5.0 mm이다. 고강도 코어층의 두께가 0.2 mm 미만일 경우에는 치수안정성 떨어지며, 7 mm를 초과할 경우에는 제품이 무거워지며 경제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ckness of the high-strength core layer may be 0.2 to 7 mm, preferably 0.2 to 5.0 mm, although it may vary depending on the thickness, desired properties, purpose, and the like of other layers. When the thickness of the high-strength core layer is less than 0.2 mm, the dimensional stability is poor. When the thickness is more than 7 mm, the product is heavy and the economical efficiency is low.

상기 발포쿠션층에 포함되는 고분자 수지와 상기 보강층에 포함되는 고분자 수지는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두 층의 수지가 동일한 종류인 경우 접합력이 우수하기 때문이다. 가령 발포쿠션층으로 폴리염화비닐 수지를 사용하는 경우, 보강층에도 폴리염화비닐 수지를 사용하면 두 층이 잘 접합될 수 있다. The polymer resin contained in the foamed cushion layer and the polymer resin contained in the reinforcing layer are preferably the same. This is because when the resins of the two layers are of the same kind, the bonding strength is excellent. For example, when a polyvinyl chloride resin is used as the foamed cushion layer, both layers can be bonded well by using a polyvinyl chloride resin as the reinforcing layer.

또한 발포쿠션층과 보강층은 접착제 없이 결합될 수 있다. 즉, 발포쿠션층과 보강층은 압출에 의하여 한번에 시트로 형성될 수 있다.Further, the foamed cushion layer and the reinforcing layer can be bonded without an adhesive. That is, the foamed cushion layer and the reinforcing layer can be formed into a sheet at one time by extrusion.

보강층은 발포쿠션층 상부에 적층되거나 발포쿠션층 하부에 적층되어 보강층-발포쿠션층의 2층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보강층은 발포쿠션층 상부와 하부에 모두 적층되어 상부보강층-발포쿠션층-하부보강층의 3층 구조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3층 구조는 외부인 보강층은 강하고, 내부인 발포쿠션층은 가볍고 부드러운 특성을 갖는다. The reinforcing layer may be laminated on the foamed cushion layer or laminated on the foamed cushion layer to form a two-layer structure of the reinforcing layer-foamed cushion layer. Further, the reinforcing layer may be laminated on both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foamed cushion layer to form a three-layer structure of the upper reinforcing layer-foamed cushion layer-lower reinforcing layer. Such a three-layer structure has a strong reinforcing layer on the outside, and the foamed cushion layer on the inside has light and soft characteristics.

또한, 상기 발포쿠션층 또는 보강층은 하부면에 복수의 요철을 포함할 수 있다. 발포쿠션층이나 보강층의 하부면을 평면으로 구성한 경우에 비해 복수의 요철을 포함하는 경우, 습기 또는 가스의 배출이 용이하며, 이로 인하여 타일의 변형을 효율적으로 감소시켜 시공 장소에 대한 제약을 줄일 수 있다.The foamed cushion layer or the reinforcing layer may include a plurality of irregularities on the lower surface. In the case where the lower surface of the foamed cushion layer or the reinforcing layer includes a plurality of irregularities as compared with a case where the lower surface of the foamed cushion layer or the reinforcing layer is formed in a plane, moisture or gas can be easily discharged, thereby effectively reducing the deformation of the tile, have.

[본 발명의 다른 태양][Other asp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다른 태양은 상기 보강층 또는 상기 발포쿠션층 상부에 중지층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지층 상부에 인쇄층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인쇄층 상부에 상지층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지층 상부에는 표면 코팅층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도 1과 같은 3층 구조에서 보강층 상부에 중지층-인쇄층-상지층-표면코팅층이 추가로 적층된 구조의 타일을 나타낸다. 또한 도 5는 도 2와 같은 2층 구조에서 보강층 상부에 중지층-인쇄층-상지층-표면코팅층이 추가로 적층된 구조의 타일을 나타낸다. 또한 도 6은 도 3과 같은 2층 구조에서 보강층 상부에 중지층-인쇄층-상지층-표면코팅층이 추가로 적층된 구조의 타일을 나타낸다.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top layer above the reinforcing layer or the foamed cushion layer. In addition, a printing layer may be further provided on the stop layer, and a top layer may further be provided on the printing layer. Further, a surface coating layer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on the upper layer. FIG. 4 shows a tile having a structure in which a stop layer, a print layer, an upper layer, and a surface coating layer are further stacked on a reinforcing layer in a three-layer structure as shown in FIG. Also, FIG. 5 shows a tile having a structure in which a stop layer - a print layer - a top layer - a surface coating layer is further laminated on a reinforcing layer in a two-layer structure as shown in FIG. 6 shows a tile having a structure in which a stop layer, a print layer, an upper layer, and a surface coating layer are further laminated on a reinforcing layer in a two-layer structure as shown in FIG.

각 층간 접합은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상기 보강층(고강도 코어층) 위에 인쇄층과 상지층을 순서대로 적층하되, 각 층마다 열 융착(lamination)을 수행하여 상호 접착되도록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interlayer bonding is performed so that the printed layer and the upper layer are laminated on the reinforcing layer (high-strength core layer) in this order without using an adhesive, and lamination is carried out for each layer.

또한 상기 보강층과 상기 중지층 사이, 또는 상기 발포쿠션층과 상기 중지층 사이에 치수 안정층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4의 고강도 타일에서 중지층과 상부 보강층 사이에 치수 안정층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It may further comprise a dimensionally stable layer between the reinforcing layer and the stop layer, or between the foam cushion layer and the stop layer.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0, a dimensionally stable layer may be further included between the stop layer and the upper stiffening layer in the high strength tile of Fig.

치수안정층으로는 예를 들면 유리섬유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유리섬유층은 가열 또는 가습 등에 대응하는 치수안정성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유리섬유 부직포에 폴리염화비닐수지가 함친된 것을 예를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s the dimensional stability layer, for example, glass fiber can be used. The glass fiber layer is intended to provide dimensional stability corresponding to heating or humidification. The glass fiber nonwoven fabric may include polyvinyl chloride resi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상기 발포쿠션층 또는 상기 보강층 하부에 하지층 또는 소음방지층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Further, the foamed cushion layer or the reinforcing layer may further include a base layer or an anti-noise layer under the reinforcing layer.

도 7은 도 4와 같은 3층 구조에서 보강층 하부에 하지층이 추가로 포함된 구조의 타일을 나타낸다. 도 8은 도 5와 같은 2층 구조에서 보강층 하부에 하지층이 추가로 포함된 구조의 타일을 나타낸다. 또한 도 9는 도 6과 같은 2층 구조에서 보강층 하부에 하지층이 추가로 포함된 구조의 타일을 나타낸다. 소음방지층은 하지층 아래에 추가로 포함될 수도 있다.(도시되지 않음)FIG. 7 shows a tile having a three-layer structure as shown in FIG. 4 and further including a foundation layer under the reinforcing layer. FIG. 8 shows a tile having a structure in which a foundation layer is additionally provided under the reinforcing layer in the two-layer structure shown in FIG. FIG. 9 shows a tile having a structure in which a foundation layer is additionally provided under the reinforcing layer in the two-layer structure shown in FIG. The anti-noise layer may further be included under the ground layer (not shown).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타일은 발포쿠션층, 치수안정성과 컬링 방지 기능을 제공하는 보강층 외에, 외부로부터 상지층을 보호하고, 표면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표면 코팅층, 인쇄층을 보호하고 입체감을 부여하는 상지층, 시각적인 효과를 제공하는 인쇄층, 소음방지 기능과 안착성 기능을 보유한 중지층, 바닥면에 안착되어 컬링 방지에 2 차적인 도움을 주는 하지층, 및 소음 전달을 방지할 수 있는 소음방지층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타일은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의 판 형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Accordingly, the til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oamed cushion layer, a reinforcing layer that provides dimensional stability and curling prevention function, a surface coating layer for protecting the upper layer from the outside, A top layer that provides a three-dimensional effect, a print layer that provides a visual effect, a stop layer that has noise-canceling and seating functions, a ground layer that rests on the bottom surface to help prevent curling, and prevents noise transmission A noise-preventing layer which can b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Such a tile may be in the form of a square or a rectangular plate,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이하에서는 이들 각 층에 대하여 기술한다. Each of these layers will be described below.

<표면코팅층><Surface Coating Layer>

표면 코팅층은 자외선을 차단하여 상지층의 표면을 보호하기 위한 층으로서, 상지층과 인쇄층의 변색을 방지하고, 손상, 마모 및 오염성 등을 효율적으로 감소시키는 역할을 하며, 미관상 투명하다. 폴리우레탄 또는 아크릴계 수지로 코팅될 수 있다. The surface coating layer serves to protect the surface of the upper layer by blocking ultraviolet rays. The layer serves to prevent discoloration of the upper layer and the print layer and to effectively reduce damage, abrasion, staining and the like, and is cosmetically transparent. Polyurethane or an acrylic resin.

<상지층><Upper layer>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상지층은 인쇄층을 마모로부터 보호하는 투명한 필름층으로 이를 통하여 입체감을 부여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지층은 기능성 표면층, 기능성 코팅층으로 고분자 수지 및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는 가소제, 안정제 및 UV흡수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layer is a transparent film layer that protects the print layer from abrasion, thereby imparting a three-dimensional feel through the upper layer. The upper layer may include a polymeric resin and an additive as a functional surface layer and a functional coating layer. The additive include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plasticizer, a stabilizer, and a UV absorber.

여기서, 상기 상지층의 두께는 0.1 내지 1.2 mm이며,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0.7 mm이다. 상지층의 두께가 0.1 mm 미만일 경우 내마모성이 적합하지 않으며, 1.2 mm를 초과할 경우 경제성이 떨어진다.Here, the thickness of the upper layer is 0.1 to 1.2 mm, preferably 0.1 to 0.7 mm. When the thickness of the upper layer is less than 0.1 mm, wear resistance is not suitable, and when it is more than 1.2 mm, the economical efficiency is low.

<인쇄층, 중지층><Print layer, stop layer>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인쇄층 및 중지층은 고분자 수지, 충진제 및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인쇄층에는 다양한 디자인과 소재가 사용되어 이를 통하여 시각적인 효과를 제공한다. 예를 들면, 인쇄지, 무늬목, 석재(stone), 비드(bead)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중지층은 소음 전달을 2차적으로 방지하는 소음방지 기능과 높은 비중을 통해 바닥면에 안착되는 기능을 제공하며, 최종제품의 탄성을 향상시키고 제조 원가를 절감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상기 첨가제는 가소제, 안정제, 안료 및 난연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int layer and stop layer may comprise a polymeric resin, a filler and an additive. Various layers of designs and materials are used in the print layer to provide visual effects. For example, a printing paper, a veneer, a stone, a bead, or the like can be used. The stop layer provides noise suppression function to prevent noise transmission secondarily, and a function to settle on the floor surface with a high specific gravity, thereby improving the elasticity of the final product and reducing manufacturing cost. The additive include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plasticizer, a stabilizer, a pigment, and a flame retardant.

또한, 상기 인쇄층은 고분자 수지 및 충진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충진제는 탄산칼슘, 실리카, 알루미나, 해포석, 탈크, 산화안티몬, 산화알루미늄, 플라이애쉬 및 고로슬래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Also, the print layer may include a polymer resin and a filler. The filler include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alcium carbonate, silica, alumina, hemihalite, talc, antimony oxide, aluminum oxide, fly ash and blast furnace slag.

상기 인쇄층의 두께는 0.05 내지 0.25 mm이며, 바람직하게는 0.07 내지 0.15 mm이다. 인쇄층의 두께가 0.05 mm 미만일 경우 은폐력이 떨어져 중지층의 색상이 비칠 우려가 있으며, 0.25 mm를 초과할 경우 경제성이 떨어진다.The thickness of the printing layer is 0.05 to 0.25 mm, preferably 0.07 to 0.15 mm. When the thickness of the print layer is less than 0.05 mm, the hiding power is lowered and the color of the stop layer may be visible. If it exceeds 0.25 mm, the economical efficiency is lowered.

한편, 상기 중지층은 고분자 수지 및 충진제를 포함한다. 상기 충진제는 탄산칼슘, 실리카, 알루미나, 해포석, 탈크, 산화안티몬, 산화알루미늄, 플라이애쉬, 황산바륨 및 고로슬래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탄산칼슘 또는 해포석이지만, 광물질로서 신축을 줄여주고,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는 기능을 가진 공지된 다양한 종류의 충진제를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stop layer includes a polymer resin and a filler. Wherein the filler comprises at least one memb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alcium carbonate, silica, alumina, sepiolite, talc, antimony oxide, aluminum oxide, fly ash, barium sulfate and blast furnace slag, A variety of known fillers having the function of reducing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and reducing the noise can be selectively applied.

상기 중지층의 두께는 0.1 내지 3 mm이고,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 mm이다. 중지층의 두께가 0.1 mm 미만인 경우에는 소음방지효과와 안착성과 탄성이 미흡하며, 3 mm를 초과할 경우에는 전체 제품의 두께가 필요 이상으로 두꺼워진다.The thickness of the stop layer is 0.1 to 3 mm, preferably 0.1 to 1 mm. When the thickness of the stop layer is less than 0.1 mm, the noise prevention effect, the seizure and the elasticity are insufficient. When the thickness exceeds 3 mm, the thickness of the whole product becomes thicker than necessary.

<하지층, 소음방지층><Lower layer, noise prevention layer>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하지층 및 소음방지층은 고분자 수지, 충진제 및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하지층은 바닥면에 안착되어 바닥재의 휨 현상 방지를 2차적으로 보조하고, 소음방지층은 소음 전달을 방지한다. 상기 첨가제는 가소제, 안정제, 안료 및 난연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round layer and the noise preventing layer may include a polymer resin, a filler, and an additive. The foundation layer is seated on the bottom surface to assist secondary prevention of the bending phenomenon of the flooring, and the noise prevention layer prevents noise transmission. The additive include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plasticizer, a stabilizer, a pigment, and a flame retardant.

여기서, 하지층은 고분자 수지 및 충진제를 포함한다. 상기 충진제는 탄산칼슘, 실리카, 알루미나, 해포석, 탈크, 산화안티몬, 산화알루미늄, 플라이애쉬 및 고로슬래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Here, the ground layer includes a polymer resin and a filler. The filler include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alcium carbonate, silica, alumina, hemihalite, talc, antimony oxide, aluminum oxide, fly ash and blast furnace slag.

또한, 하지층은 하부면에 복수의 요철을 포함할 수 있다. 하지층의 하부면을 평면으로 구성한 경우에 비해 복수의 요철을 포함하는 경우, 습기 또는 가스의 배출이 용이하며, 이로 인하여 바닥재의 변형을 효율적으로 감소시켜 시공 장소에 대한 제약을 줄일 수 있다. Further, the ground layer may include a plurality of irregularities on the lower surface. In the case where the lower surface of the foundation layer includes a plurality of irregularities as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lower surface of the foundation layer is formed in a plane, it is easy to discharge moisture or gas, thereby effectively reducing the deformation of the bottom material.

상기 하지층의 두께는 0.1 내지 2 mm이며,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 mm이다. 하지층의 두께가 0.1 mm 미만일 경우 바닥재의 휨 현상의 방지에 적합하지 않으며, 2 mm를 초과할 경우 경제성이 떨어진다.The thickness of the base layer is 0.1 to 2 mm, preferably 0.1 to 1.0 mm. If the thickness of the foundation layer is less than 0.1 mm, it is not suitable for preventing the warpage of the flooring material. If it exceeds 2 mm, the economical efficiency is low.

한편, 소음 방지층은 고분자 수지 및 충진제를 포함한다. 상기 고분자 수지는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ABS 수지(Acrylonitril-butadiene-styrene), 폴리염화비닐 수지, 아크릴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스티렌 수지,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 고무,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및 에틸렌 프로필렌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폴리염화비닐 수지나 폴리에틸렌 수지 또는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수지이다. 상기 충진제는 탄산칼슘, 실리카, 알루미나, 해포석, 탈크, 산화안티몬, 산화알루미늄, 플라이애쉬, 황산바륨 및 고로슬래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탄산칼슘 또는 해포석이지만, 광물질로서 신축을 줄여주고,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는 기능을 가진 공지된 다양한 종류의 것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noise preventing layer includes a polymer resin and a filler. The polymer resin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ethylene resin, polypropylene resin, ABS resin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polyvinyl chloride resin, acrylic resin, polyester resin, polystyrene resin, polytetrafluoroethylene, rubber, 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 and ethylene Propylene copolymer, and preferably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vinyl chloride resin, polyethylene resin or 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 resin. Wherein the filler comprises at least one memb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alcium carbonate, silica, alumina, sepiolite, talc, antimony oxide, aluminum oxide, fly ash, barium sulfate and blast furnace slag, It is possible to selectively apply various kinds of known types having the function of reducing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and reducing the noise.

상기 소음 방지층의 두께는 0.3 내지 2 mm이고,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5 mm이다. 소음 방지층의 두께가 0.3 mm 미만인 경우에는 소음 방지 효과가 미비하며, 2 mm를 초과할 경우에는 경제성이 떨어진다.The thickness of the noise preventing layer is 0.3 to 2 mm, preferably 0.5 to 1.5 mm. When the thickness of the noise preventing layer is less than 0.3 mm, the noise preventing effect is insufficient. When the thickness is more than 2 mm, the economical efficiency is low.

상기 상지층, 인쇄층, 중지층, 및 하지층은 각각 독립적으로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ABS 수지, 폴리염화비닐 수지, 아크릴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스티렌 수지,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및 에틸렌 프로필렌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고분자 수지를 포함한다.The upper layer, the print layer, the stop layer, and the lower layer may each independently comprise at least one of polyethylene resin, polypropylene resin, ABS resin, polyvinyl chloride resin, acrylic resin, polyester resin, polystyrene resin, polytetrafluoroethylene, ethylene vinyl acetate And at least one polymer resin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ethylene-propylene copolymers and ethylene-propylene copolymers.

또한 상기 상지층, 인쇄층, 중지층, 고강도 코어층 및 하지층은 각각 독립적으로 가소제, 안정제, 충진제 및 안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The upper layer, the print layer, the stop layer, the high-strength core layer, and the base layer may each independently include at least one additiv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lasticizers, stabilizers, fillers, and pigments.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기계적 강도가 높고 치수 변형에 대한 저항성이 우수한 고강도 코어층을 도입함으로써, 치수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컬링 발생을 최소화한다. 치수 변형을 최소화 함으로써 바닥재 사이의 틈새가 벌어지지 않아 오염 발생을 줄이고 청소 용이성도 확보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mensional stability can be improved by introducing a high strength core layer having high mechanical strength and resistance to dimensional strain, thereby minimizing occurrence of curling. By minimizing the dimensional deformation, the gap between the flooring materials is not opened, thereby reducing the occurrence of contamination and ensuring ease of cleaning.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타일은 Main extruder와 Side co-extruder로 구성된 하나의 sheeting 설비를 통하여 보호층과 발포쿠션층을 하나의 시트로 압출하고, 상부에는 상지층, 인쇄층 등을, 하부에는 하지층 등을 롤대롤 방식(role-to-role)으로 적층(라미네이션)하여 다층 열 융착을 하여 형성된다.The t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by extruding a protective layer and a foamed cushion layer into a single sheet through a single sheeting facility composed of a main extruder and a side co-extruder, and an upper layer, a print layer, Layer or the like is laminated (laminated) in a roll-to-role manner and is subjected to multi-layer heat fusion.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타일, 예를 들면, 바닥재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캘린더링(Calendering) 공법을 통해, 상지층, 인쇄층, 중지층 및 하지층을 준비하는 단계; (b) 압출기를 통해 발포쿠션층과 보강층을 한꺼번에 시트 형태로 생한한 다음 이 시트 아래에 상기 (a) 단계에서 준비된 하지층을 적층 한 후, 열 융착하는 단계; 및 (c) 상기 (b) 단계 이후, 상기 시트 위에 중지층, 인쇄층 및 상지층을 순서대로 적층하되, 각 층마다 열 융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making a t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a flooring, comprising the steps of: (a) forming a top layer, a print layer, Preparing; (b) forming the foamed cushion layer and the reinforcing layer in the form of a sheet through an extruder at a time, then laminating the base layer prepared in the step (a) below the sheet, and then thermally fusing; And (c) after the step (b), stacking the stop layer, the print layer and the upper layer on the sheet in this order, and thermally fusing each layer.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상기 (b)와 (c) 단계는 80 ~ 250℃에서 수행하는 방법을 제공한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s (b) and (c) are carried out at 80 to 250 ° C.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고강도 타일은 발포쿠션층과 보강층을 압출기를 사용하여 우선 시트로 제조한 후, 상기 시트가 100 ~ 250℃로 가열된 상태에서 하지층, 중지층, 인쇄층 및 상지층을 순차적으로 열 융착 공정에 의해 접합한다. 그 다음, 상지층 상부에 표면 코팅용 액상 원료를 코팅하고 자외선 조사장치를 사용하여 표면을 경화시켜 표면 코팅층을 제조한다. 상기, 발포쿠션층과 보강층은 압출기와 T-다이를 사용하여 압출 시트 형태로 생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압출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igh-strength ti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duced by first preparing a foamed cushion layer and a reinforcing layer by using an extruder, and then heating the sheet at a temperature of 100 to 250 ° C to form an underlayer, Layer and the upper layer are successively joined by a heat fusion process. Next, the surface of the upper layer is coated with a liquid raw material for surface coating, and the surface is cured using an ultraviolet irradiation apparatus to prepare a surface coating layer. The foamed cushion layer and the reinforcing layer are preferably produced in the form of an extruded sheet using an extruder and a T-die. It is preferred, but not limited, to use a co-extruder.

구체적으로, 열 융착 공정에 의해 독립된 각 구성 층들은 연속적, 순차적으로 합지가 이루어진다. 먼저, 하지층이 적외선 히터와 히팅 드럼(Heating Drum)을 거쳐 80~250℃의 온도로 가열된 후 컨베이어를 통해 수평 이동하는 고강도 코어층 하부면과 가압 롤(Press Roll)에 의해 합지가 이루어진다. 이후 적외선 히터와 히팅 드럼(Heating Drum)을 통과하여 80 ~ 250℃의 온도로 가열된 중지층이 시트 상부면에 가압 롤에 의해 합지가 이루어지고, 동일한 방식으로 인쇄층, 상지층이 연속하여 중지층 상부에 순차적으로 접합된다. 이렇게 합지된 고강도 타일의 반제품은 표면 코팅층 처리 공정을 거친 후, 냉각 공정을 거쳐 규정된 크기로 재단하여 제품으로 완성된다.Specifically, each of the independent constituent layers is continuously and sequentially laminated by a heat fusion process. First, the base layer is heated to a temperature of 80 to 250 DEG C through an infrared heater and a heating drum, and then the lower surface of the high-strength core layer moving horizontally through the conveyor is laminated by a press roll. Thereafter, a stop layer heated to a temperature of 80 to 250 DEG C through an infrared heater and a heating drum is lamin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heet by a press roll, and the print layer and the upper layer are successively stopped Are successively bonded to the top of the layer. The semi-finished product of the lapped high strength tile is subjected to a surface coating layer treatment process, followed by a cooling process, and cut into a predetermined size to complete the product.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타일의 제조방법은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는 방법이다. 통상적으로 다층 복합 구조의 타일, 특히 바닥재를 제조할 때, 소재나 물성이 다른 각 층들을 적층하고 접합하는 공정이 포함되고, 충분한 층간 결합력을 얻기 위해 각층 사이에 액상의 접착제를 도포한 후 각 층을 적층하고, 압착(press)한 다음, 접착제를 경화하여 고형화하는 접착/압착 방식이 주로 사용된다. 이러한 방식은 접착제를 도포하는 공정과 경화 공정 등이 추가되고 단속적인 압착 공정을 진행하게 됨으로써, 생산 공정이 복잡해지고 공정 시간이 늘어남으로써 제조 공정의 생산 효율이 떨어진다. As described above, the method for producing a ti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that does not use an adhesive. In order to obtain a sufficient interlayer bonding force, a liquid adhesive is applied between the respective layers to form a layered structure, An adhesive / pressure bonding method in which an adhesive is cured and solidified after lamination, pressing, and the like are mainly used. In this method, a process of applying an adhesive and a curing process are added and an intermittent compression process is performed, so that the production process becomes complicated and the process time is increased, thereby reducing the production efficiency of the manufacturing process.

그런데, 본 발명에서는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열 융착 방식에 의하여 각각의 층이 접합되기 때문에 단속적이 아니라 연속적으로 접합 공정을 진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우수한 생산성을 나타낸다.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respective layers are bonded by the heat fusion method without using an adhesive, the bonding process can be continuously performed, not intermittently. Thereby exhibiting excellent productivity.

또한 접착제를 과도하게 사용하여 제품 표면이 오염되고 바닥재 시공 후 휘발성 유기 화합물로 인하여 인체에 유해한 물질이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이 있다. 상기 접착/압착 방식 제조 공정의 생산 효율을 높이기 위해 다층 복합 구조 타일의 각층을 한꺼번에 열 융착하는 방식을 활용하기도 하나, 각층 간의 박리강도가 떨어지며 제조 공정 조건을 철저히 관리하지 못할 경우 치수안정성도 불안정해지는 단점이 있다. There is also a risk that the surface of the product is contaminated by excessive use of the adhesive and harmful substances may be generated due to the volatile organic compounds after the flooring construction. In order to increase the production efficiency of the adhesive / pressure bonding process, the layers of the multi-layer composite structure tiles may be thermally fused together. However, the peeling strength between the layers may be lowered and the dimensional stability may become unstable if the manufacturing process conditions can not be thoroughly controlled. There are disadvantages.

본 발명에서는 완성된 타일이 접착제를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치수안정성이 우수하고, 접착제로 인한 오염과 외관 결함을 감소시킬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inished tile does not contain an adhesive, it is excellent in dimensional stability and can reduce contamination due to an adhesive and appearance defects.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실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Exampl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explanatory and are intended to be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by the foregoing description. will be.

실시예Example

[실시예 1] 다층 고강도 타일의 제조[Example 1] Production of multi-layer high-strength tile

발포쿠션층과 보강층을 제외한 다른 모든 각 층들을 캘린더링(Calendering) 공법으로 제조하였다. 각 층은 하기 표 1과 같이 각 층에 해당하는 성분 및 조성비로 배합하여 혼합하고, 혼합된 원료를 가열, 가압하여 균일하게 1차 겔화한 후, 압출식 혼련기(extruder)나 믹싱롤(mixing roll)을 통해 2차 겔화하였다. All other layers except the foamed cushion layer and the reinforcing layer were prepared by the calendering method. Each layer was mixed with components and composition ratios corresponding to the respective layers as shown in Table 1 below, and the mixed raw materials were heated and pressurized to uniformly perform primary gelation, and then extruded or kneaded using a mixing extruder roll).

구분division 상지층Upper layer 인쇄층Printing layer 중지층Stop layer 보강층Reinforced layer 발포쿠션층Foamed cushion layer 보강층Reinforced layer 하지층Ground floor PVCPVC 100100 100100 100100 100100 100100 100100 100100 충진제Filler 00 2020 300300 200200 150150 200200 6060 가소제Plasticizer 2525 1010 5050 00 00 00 3030 발포제blowing agent 00 00 00 00 33 00 00 기타Other 적량Suitable amount 적량Suitable amount 적량Suitable amount 적량Suitable amount 적량Suitable amount 적량Suitable amount 적량Suitable amount

[단위: 중량부][Unit: parts by weight]

그 다음, 캘린더 롤에 투입하여 완전 겔화한 후, 캘린더 공정을 거쳐 시트 형상의 반제품을 제작하였다. 이에 제조된 반제품은 롤 형태로 권취 후 적층 순서에 맞도록 연속 회전하는 컨베이어 인라인(in-line)상에 배치하고, 티다이(T-Die)가 장착된 공 압출기를 통해 시트형태로 생산되는 발포쿠션층이나 보강층을 베이스층으로 하여 각 층을 순차적으로 열 융착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롤 형태로 권취되어 있는 각 층은 컨베이어 인라인으로 공급되면서 적외선 히터와 히팅 드럼(Heating Drum) 등으로 예열한 후, 프레스롤(press roll)을 거치며 발포쿠션층이나 보강층을 중심으로 하지층은 상기 발포쿠션층이나 보강층 아래에, 중지층은 상기 발포쿠션층이나 보강층 위에, 인쇄층은 상기 중지층 위에, 상지층은 상기 인쇄층 위에 순차적으로 한 층씩 열 융착을 통해 적층하였다. 고열과 압력으로 일체화된 타일은 냉각 공정을 통해 냉각된 후 적당한 크기로 1차 재단한 다음 어닐링(annealing) 공정을 통해 내부 응력이 제거되었다. 재단된 타일의 상지층에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수지와 같은 광경화형수지를 도포하고 자외선으로 경화시켜 표면 코팅층을 형성시킨 후, 소정의 원하는 크기로 2차 재단함으로써 다층 고강도 타일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타일의 단면은 도 7과 같으며, 각 층의 두께는 하기 표 2와 같다.Then, the mixture was charged into a calender roll to be completely gelled, and then subjected to a calendering process to produce a semi-finished sheet. The semi-finished product thus produced is placed on an in-line conveyor which is wound continuously in a roll form and continuously rotated in accordance with the stacking order, and is then fed into a foaming machine, which is produced in the form of a sheet through a co-extruder equipped with a T- The cushion layer or the reinforcing layer was used as a base layer, and each layer was successively thermally fused. Specifically, each layer wound in a roll shape is preheated by an infrared heater, a heating drum or the like while being supplied to a conveyor inline, and is then passed through a press roll to form a foamed cushion layer or a reinforcing layer, The stop layer is overlaid on the foamed cushion layer or the reinforcing layer, the print layer is over the stop layer, and the upper layer is laminated on the print layer sequentially one by one by thermal fusion bonding under the foamed cushion layer or the reinforcing layer. The tiles integrated with high heat and pressure were cooled through the cooling process, first cut to the appropriate size, and then the internal stress was removed through an annealing process. The upper layer of the cut tiles was coated with a photo-curable resin such as a urethane acrylate resin, cured by ultraviolet rays to form a surface coating layer, and then cut to a predetermined desired size to produce a multi-layer high strength tile. The cross section of the manufactured tile is as shown in Fig. 7, and the thickness of each layer is shown in Table 2 below.

구분division 보강층Reinforced layer 발포쿠션층Foamed cushion layer 보강층Reinforced layer 실시예 1Example 1 1.01.0 33 1.01.0 실시예 2Example 2 0.50.5 44 0.50.5 실시예 3Example 3 1.01.0 55 1.01.0

[실시예 2, 3] 다층 고강도 타일의 제조[Examples 2 and 3] Preparation of multi-layer high strength tile

발포쿠션층과 보강층의 두께를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타일을 제조하였다.A tile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for the thickness of the foamed cushion layer and the reinforcing layer.

[비교예 1] WPC 타일의 제조 [Comparative Example 1] Production of WPC tiles

코어층으로써 목재 플라스틱 복합제(WPC) 시트(두께 5.0 mm)를 사용하였으며, 목재 플라스틱 복합제 시트(WPC) 위에는 사전 열 융착 방식으로 제조된 폴리염화비닐(PVC)로 구성된 상지층(두께: 0.5 mm), 인쇄층(두께: 0.1 mm) 및 중지층(0.8 mm)의 합지 반제품을, 목재 플라스틱 복합제 시트(WPC) 밑에는 하지층(0.6 mm)을 각각 접착제를 사용하여 접합시킨 후 6시간 동안 압축하고 상온에서 1일 숙성 경화시켜 WPC 바닥재를 제조하였다.(WPC) sheet (thickness: 5.0 mm) was used as the core layer and an upper layer (thickness: 0.5 mm) composed of polyvinyl chloride (PVC) prepared by preheating onto the wood plastic composite sheet (WPC) , A printing layer (thickness: 0.1 mm) and a stop layer (0.8 mm) were bonded to each other and an undercoating layer (0.6 mm) was bonded under the wood plastic composite sheet (WPC) WPC flooring was prepared by aging and curing at room temperature for 1 day.

[비교예 2] 압출 / 열 융착 방식에 의해 제조된 고강도 타일의 제조[Comparative Example 2] Production of high-strength tile manufactured by extrusion / heat fusion method

압출 방식으로 두께 3.8 mm의 시트 형태의 고강도 코어층을 제조한 후 캘린더 공정으로 제조된 롤 형태로 권취한 상지층(두께: 0.5 mm)과 인쇄층(두께 0.1 mm), 하지층(두께: 0.6 mm)을 순차적으로 고강도 코어층과 열 융착하여 고강도 바닥재를 제조하였다(Thickness: 0.5 mm), a printed layer (thickness: 0.1 mm) and a foundation layer (thickness: 0.6 mm) prepared by a calendering process after the high-strength core layer having a sheet- mm) were successively thermally fused with the high-strength core layer to produce a high-strength flooring

[실험예 1] [Experimental Example 1]

치수안정성 평가Evaluation of dimensional stability

상기 실시예 1, 2, 3 및 상기 비교예 1의 타일에 대한 치수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해, KS M 3802 에 규정된 가열에 의한 길이 변화 시험 방법에 준하여 각 제품을 80℃에서 6시간 동안 가열 후 상온에서 1시간 동안 냉각시킨 후 개별 제품의 종 방향과 횡 방향 각각에 대한 치수변화율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여기서, 치수변화율은 그 수치가 낮을수록 치수안정성이 우수하다.In order to evaluate the dimensional stability of the tiles of Examples 1, 2 and 3 and Comparative Example 1, each product was heated at 80 DEG C for 6 hours in accordance with the length change test method according to KS M 3802 After cooling for 1 hour at room temperature, the rate of dimensional change was measured for each of the longitudinal and transverse directions of the individual products.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3 below. Here, the lower the numerical value, the better the dimensional stability.

구분division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실시예 1Example 1 실시예 2Example 2 실시예 3Example 3 가열 후
치수안정성(%)
After heating
Dimensional stability (%)
길이Length 1.751.75 0.100.10 0.200.20 0.170.17
width 0.170.17 0.060.06 0.170.17 0.100.10

상기 표 3에 따르면, 실시예 1,2,3 의 치수안정성이 비교예 1에 비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According to the above Table 3, the dimensional stability of Examples 1, 2, and 3 was superior to Comparative Example 1.

[실험예 2][Experimental Example 2]

컬링 방지 특성 (휨 안정성) 평가Evaluation of anti-curling property (flexural stability)

상기 실시예 1, 2, 3 및 비교예 1의 타일에 대한 컬링 방지 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ISO 23999에 규정된 컬링 측정 방법에 준하여, 각 제품을 80℃에서 6시간 동안 가열 후 상온에서 1시간 동안 냉각한 후 초기 제품의 상태를 기준으로 각 바닥재의 휨 정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In order to confirm the anti-curling properties of the tiles of Examples 1, 2 and 3 and Comparative Example 1, each product was heated at 80 DEG C for 6 hours and then at room temperature for 1 hour in accordance with the curling measurement method prescribed in ISO 23999 After cooling, the degree of bending of each flooring material was measured based on the state of the initial product.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4 below.

구분division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실시예 1Example 1 실시예 2Example 2 실시예 3Example 3 컬링 방지 특성(mm)Anti-Curling Characteristics (mm) 5.55.5 0.50.5 0.80.8 0.70.7

컬링 방지 특성은 측정값이 낮을수록 컬링 방지 특성이 우수한 것을 나타낸다. 상기 표 4에 따르면, 실시예 1,2,3 의 컬링 방지 특성이 비교예 1에 비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The anti-curling property shows that the lower the measured value, the better the anti-curling property. According to Table 4, the anti-curl properties of Examples 1, 2, and 3 were superior to those of Comparative Example 1. [

[실험예 3][Experimental Example 3]

방수성 평가Water resistance evaluation

상기 실시예 1, 2, 3 및 비교예 1의 타일의 방수성을 평가하기 위해, 각 타일을 시공 룸 9.9 ㎡의 면적의 목재 판재 위에 시공한 후, 60℃의 온도로 가열하고 3일간 유지하고, 상온에서 1일간 냉각시킨 후에 걸레로 물 청소를 실시하였다. 청소 후 각 타일 밑에 있는 목재 판지에 흡수된 물의 양을 측정하여 하기 표 5에 흡수율로 나타내었다. In order to evaluate the waterproof property of the tiles of Examples 1, 2 and 3 and Comparative Example 1, each tile was placed on a wooden plate having an area of 9.9 m 2 in a construction room, heated to a temperature of 60 캜 and maintained for 3 days, After cooling for 1 day at room temperature, water was cleaned with a mop. After the cleaning, the amount of water absorbed in the wooden cardboard under each tile was measured, and the water absorption rate is shown in Table 5 below.

구분division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실시예 1Example 1 실시예 2Example 2 실시예 3Example 3 흡수율(%)Absorption Rate (%) 4.54.5 0.30.3 0.50.5 0.70.7

방수성은 흡수율이 낮을수록 우수하다.The waterproof property is better as the water absorption rate is lower.

상기 표 5에 따르면, 실시예 1, 2, 3이 비교예 1에 비하여 방수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According to Table 5, Examples 1, 2 and 3 were superior in water resistance to Comparative Example 1.

[실험예 4][Experimental Example 4]

무게 및 비중Weight and specific gravity

상기 실시예 1, 2, 3 및 비교예 2의 타일에 대한 비중을 확인하기 위하여 각 샘플을 30 mm X 30 mm 크기로 재단하여 비중계를 사용하여 비중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In order to confirm the specific gravity of the tiles of Examples 1, 2, 3 and Comparative Example 2, each sample was cut into a size of 30 mm × 30 mm and specific gravity was measured using a specific gravity meter.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6 below.

구분division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실시예 1Example 1 실시예 2Example 2 실시예 3Example 3 비중importance 1.851.85 1.121.12 0.860.86 0.970.97

비중이 낮을수록 같은 부피를 기준으로 무게가 가벼운 것을 나타낸다..The lower the specific gravity, the lighter the weight based on the same volume.

상기 표 6에 따르면, 실시예 1,2,3 은 비교예 2에 비해 비중이 낮아 경량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According to Table 6, Examples 1, 2, and 3 had lower specific gravity than Comparative Example 2, indicating excellent lightweight properties.

[실험예 5][Experimental Example 5]

친환경성(TVOC 방출량) 평가Eco-friendly (TVOC emission) evaluation

상기 실시예 1, 2, 3 및 비교예 1, 2의 타일의 친환경성을 평가하기 위해, 각 타일이 방출하는 TVOC(총 유기 휘발성 화합물) 방출량을 측정하여 하기 표 7에 나타냈다. In order to evaluate the environmental friendliness of the tiles of Examples 1, 2 and 3 and Comparative Examples 1 and 2, the TVOC (total organic volatile compound) emission amount emitted from each tile was measured and shown in Table 7 below.

구분division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실시예 1Example 1 실시예 2Example 2 실시예 3Example 3 TVOC 방출량 (mg/㎡×hr)TVOC emission (mg / ㎡ × hr) 3.923.92 1.81.8 1.21.2 1.11.1 1.51.5

여기서 TVOC는 ISO 16000-6의 규정에 따라 스몰 챔버법(Small Chamber)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The TVOC was measured using the Small Chamber method according to ISO 16000-6.

상기 표 7에 따르면, 실시예 1, 2, 3이 비교예 1, 2에 비해 적은 양의 TVOC 방출량을 보였으며, 이를 통해 친환경성을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Table 7 shows that Examples 1, 2, and 3 showed a smaller amount of TVOC emission than Comparative Examples 1 and 2, indicating that they are eco-friendly.

Claims (13)

발포쿠션층과 보강층을 포함하는 고강도 타일로서,
상기 발포쿠션층은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ABS 수지, 폴리염화비닐 수지, 아크릴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스티렌 수지,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에틸렌 프로필렌 공중합체,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고분자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발포쿠션층은 가소제를 0~20 phr, 충전제를 0~300 phr, 발포제를 0~5 phr 포함하고,
상기 발포쿠션층의 발포배율은 120~300%이며,
상기 보강층은 고강도 코어층을 포함하고,
상기 고강도 코어층은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ABS 수지, 폴리염화비닐 수지, 아크릴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스티렌 수지,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에틸렌 프로필렌 공중합체,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고분자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고강도 코어층은 가소제를 0~20 phr, 충전제를 0~500 phr 포함하는,
다층 고강도 타일.
A high strength tile comprising a foamed cushion layer and a reinforcing layer,
The foamed cushion layer may be formed of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ethylene resin, polypropylene resin, ABS resin, polyvinyl chloride resin, acrylic resin, polyester resin, polystyrene resin, polytetrafluoroethylene, 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 (TPU), and at least one polymeric resin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he foamed cushion layer contains 0 to 20 phr of a plasticizer, 0 to 300 phr of a filler and 0 to 5 phr of a foaming agent,
The expansion ratio of the foamed cushion layer is 120 to 300%
Wherein the reinforcing layer comprises a high-strength core layer,
The high-strength core layer may be formed of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ethylene resin, polypropylene resin, ABS resin, polyvinyl chloride resin, acrylic resin, polyester resin, polystyrene resin, polytetrafluoroethylene, 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 ethylene propylene copolymer, thermoplastic polyurethane &Lt; / RTI &gt; TPU), wherein at least one polymeric resin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lt; RTI ID =
Wherein the high strength core layer comprises 0 to 20 phr of a plasticizer and 0 to 500 phr of a filler,
Multilayer high strength ti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쿠션층에 포함되는 고분자 수지와 상기 보강층에 포함되는 고분자 수지가 동일한 것인, 다층 고강도 타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olymer resin contained in the foamed cushion layer and the polymer resin contained in the reinforcing layer are the sam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층은 접착제 없이 결합되는, 다층 고강도 타일.The multi-layer high strength tile of claim 1, wherein each layer is bonded without adhesiv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쿠션층은 상기 고분자 수지와 함께 목재칩 또는 코르크칩(cork chip)을 포함하되, 상기 칩의 함량이 1~40 phr 인 복합재료(composite)를 포함하는, 다층 고강도 타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oamed cushion layer comprises a wood chip or a cork chip together with the polymer resin, wherein the chip comprises a composite having a content of 1 to 40 ph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쿠션층과 상기 보강층은 압출에 의하여 한번에 시트로 형성되는 것인 다층 고강도 타일.The multi-layer high strength til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oamed cushion layer and the reinforcing layer are formed into a sheet at one time by extrus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층이 상기 발포쿠션층 상부, 발포쿠션층 하부, 또는 발포쿠션층 상부와 하부에 모두 구비된, 다층 고강도 타일.The multi-layer high strength til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einforcing layer is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oamed cushion layer, the lower portion of the foamed cushion layer, or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foamed cushion lay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층 또는 상기 발포쿠션층 상부에 중지층을, 상기 중지층 상부에 인쇄층을, 상기 인쇄층 상부에 상지층을 추가로 포함하는, 다층 고강도 타일.The multilayer high strength tile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stop layer on the reinforcing layer or the foamed cushion layer, a print layer on the stop layer, and a top layer on top of the print lay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층과 상기 중지층 사이, 또는 상기 발포쿠션층과 상기 중지층 사이에 치수 안정층을 추가로 포함하는, 다층 고강도 타일.The multi-layer high strength tile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dimensionally stable layer between the stiffening layer and the stop layer, or between the foamed cushion layer and the stop lay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쿠션층 또는 상기 보강층 하부에 하지층을 추가로 포함하는, 다층 고강도 타일.The multi-layer high strength tile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foundation layer under the foamed cushion layer or the reinforcing layer. 제6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 층이 열 융착에 의하여 접합되는, 다층 고강도 타일.10. The multilayer high strength til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6 to 9, wherein each layer is bonded by heat welding. (a) 발포쿠션층의 배합을 준비하는 단계,
(b) 보강층의 배합을 준비하는 단계,
(c) 상기 발포쿠션층과 상기 보강층을 압출에 의하여 한꺼번에 시트로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1항의 다층 고강도 타일의 제조방법으로,
상기 발포쿠션층은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ABS 수지, 폴리염화비닐 수지, 아크릴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스티렌 수지,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에틸렌 프로필렌 공중합체,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고분자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발포쿠션층은 가소제를 0~20 phr, 충전제를 0~300 phr, 발포제를 0~5 phr 포함하고,
상기 발포쿠션층의 발포배율은 120~300%이며,
상기 보강층은 고강도 코어층을 포함하고,
상기 고강도 코어층은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ABS 수지, 폴리염화비닐 수지, 아크릴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스티렌 수지,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에틸렌 프로필렌 공중합체,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고분자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고강도 코어층은 가소제를 0~20 phr, 충전제를 0~500 phr 포함하는,
다층 고강도 타일의 제조방법.
(a) preparing a blend of foamed cushion layers,
(b) preparing a compounding of the reinforcing layer,
(c) forming the foamed cushion layer and the reinforcing layer into a sheet at one time by extrusion,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The foamed cushion layer may be formed of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ethylene resin, polypropylene resin, ABS resin, polyvinyl chloride resin, acrylic resin, polyester resin, polystyrene resin, polytetrafluoroethylene, 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 (TPU), and at least one polymeric resin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he foamed cushion layer contains 0 to 20 phr of a plasticizer, 0 to 300 phr of a filler and 0 to 5 phr of a foaming agent,
The expansion ratio of the foamed cushion layer is 120 to 300%
Wherein the reinforcing layer comprises a high-strength core layer,
The high-strength core layer may be formed of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ethylene resin, polypropylene resin, ABS resin, polyvinyl chloride resin, acrylic resin, polyester resin, polystyrene resin, polytetrafluoroethylene, 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 ethylene propylene copolymer, thermoplastic polyurethane TPU, &lt; / RTI &gt;
Wherein the high strength core layer comprises 0 to 20 phr of a plasticizer and 0 to 500 phr of a filler,
Method of manufacturing multi-layer high strength tile.
제11항에 있어서,
캘린더링 공법을 통해 상지층 및 인쇄층을 준비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다층 고강도 타일의 제조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preparing a top layer and a printing layer by a calendering method.
제12항에 있어서,
상지층 및 인쇄층을 준비하는 단계 이후에,
발포쿠션층과 보호층 위에 인쇄층과 상지층을 순서대로 적층하되, 각 층마다 열 융착을 실시하는 단계
를 추가로 포함하는, 다층 고강도 타일의 제조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After the step of preparing the upper layer and the printing layer,
A step of laminating the printed layer and the upper layer on the foamed cushion layer and the protective layer in this order,
Further comprising the steps of:
KR1020170098217A 2016-08-10 2017-08-02 Multi-layer solid tile and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KR102128607B1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7/008360 WO2018030705A1 (en) 2016-08-10 2017-08-02 High-strength multilayered ti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EP17185007.6A EP3281783B1 (en) 2016-08-10 2017-08-04 Rigid multilayer tile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US15/672,718 US10704270B2 (en) 2016-08-10 2017-08-09 Rigid multilayer tile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1863 2016-08-10
KR20160101863 2016-08-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8342A true KR20180018342A (en) 2018-02-21
KR102128607B1 KR102128607B1 (en) 2020-07-01

Family

ID=6152503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6054A KR20180018260A (en) 2016-08-10 2017-02-28 A rigid board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1020170098217A KR102128607B1 (en) 2016-08-10 2017-08-02 Multi-layer solid tile and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6054A KR20180018260A (en) 2016-08-10 2017-02-28 A rigid board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180018260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07970A1 (en) * 2017-12-01 2019-06-06 주식회사 녹수 Anti-transfer floor ti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KR20220088531A (en) * 2020-12-17 2022-06-28 주식회사 멋스럼 Adhesive Tile and Method for Preparing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8527B1 (en) * 2018-10-18 2019-06-14 주식회사 세화신소재 Thermoplastic Polyurethane Eco-Friendly Flooring Material Excellent In Dimensional Stability And Abrasion Resistan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2586722B1 (en) * 2019-11-05 2023-10-11 (주)엘엑스하우시스 Manufacturing method of flooring material and flooring material manufactured by using the same
KR102329972B1 (en) * 2020-04-02 2021-11-24 주식회사 케이씨씨글라스 Composition for high-strength floor material and high-strength floor material comprising the same
KR102194852B1 (en) * 2020-06-16 2020-12-24 (주)바우테크 three-dimensional fiber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at
US20220314586A1 (en) * 2021-03-31 2022-10-06 Welspun Flooring Limited High gloss polymer flooring tiles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4520B1 (en) * 1993-08-25 1996-04-06 엘지화학주식회사 Pvc flooring sheet and the method for making the same
JP2002120347A (en) * 2000-10-18 2002-04-23 Toppan Printing Co Ltd Decorative material
JP2006299734A (en) * 2005-04-25 2006-11-02 Toppan Printing Co Ltd Floor material for exterior
KR20100057957A (en) * 2008-11-24 2010-06-03 (주)엘지하우시스 Flooring
KR20160027660A (en) 2014-09-02 2016-03-10 (주)엘지하우시스 poly vinyl chloride resin flooring with improved dimensional stability
KR20160100097A (en) 2015-02-13 2016-08-23 주식회사 동신포리마 Non-slip flooring material and manufacture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4520B1 (en) * 1993-08-25 1996-04-06 엘지화학주식회사 Pvc flooring sheet and the method for making the same
JP2002120347A (en) * 2000-10-18 2002-04-23 Toppan Printing Co Ltd Decorative material
JP2006299734A (en) * 2005-04-25 2006-11-02 Toppan Printing Co Ltd Floor material for exterior
KR20100057957A (en) * 2008-11-24 2010-06-03 (주)엘지하우시스 Flooring
KR20160027660A (en) 2014-09-02 2016-03-10 (주)엘지하우시스 poly vinyl chloride resin flooring with improved dimensional stability
KR20160100097A (en) 2015-02-13 2016-08-23 주식회사 동신포리마 Non-slip flooring material and manufacture method thereof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07970A1 (en) * 2017-12-01 2019-06-06 주식회사 녹수 Anti-transfer floor ti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US11230848B2 (en) 2017-12-01 2022-01-25 Nox Corporation Anti-transfer floor ti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KR20220088531A (en) * 2020-12-17 2022-06-28 주식회사 멋스럼 Adhesive Tile and Method for Prepar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8260A (en) 2018-02-21
KR102128607B1 (en) 2020-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81783B1 (en) Rigid multilayer tile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KR102128607B1 (en) Multi-layer solid tile and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EP3744924B1 (en) Panel suitable for assembling a waterproof floor or wall covering, method of producing a panel
KR20160138157A (en) Composite boards and panels
CA2572965A1 (en) Flooring product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KR101946987B1 (en) Non-pvc eco-friendly flooring materia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988527B1 (en) Thermoplastic Polyurethane Eco-Friendly Flooring Material Excellent In Dimensional Stability And Abrasion Resistan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20210260855A1 (en) Pvc board and method of manufacture
US20200055289A1 (en) Pvc board and method of manufacture
KR101818292B1 (en) Flooring comprising polyvinylbutyra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20050221056A1 (en) Multi-layered plastic strip or plate having a three-dimensional optical aspect, method for the production and use thereof
EP3908719B1 (en) Panel suitable for assembling a floor covering
WO2018030606A1 (en) High-strength flooring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KR100910741B1 (en) Floor covering using embedding printed paper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176175B1 (en) Flooring tile for telegraph elimination and a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KR100440903B1 (en) Floor Covering Comprising Natural Cork
US11230848B2 (en) Anti-transfer floor ti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KR100884592B1 (en) Nature wood pattern materials floor covering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114746267B (en) Floor element
NL2013100B1 (en) Panel suitable for installation of a waterproof floor or wall covering, method of producing a panel.
US20160279912A1 (en) Dimensionally stable product and process of fabricating a dimensionally stable product
US20230235574A1 (en) Rigid polymeric modular flooring plank with cpvc and method of making same
CZ22908U1 (en) Multilayer floor covering of modular desig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