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3452A - 유기 발광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유기 발광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3452A
KR20180013452A KR1020160097214A KR20160097214A KR20180013452A KR 20180013452 A KR20180013452 A KR 20180013452A KR 1020160097214 A KR1020160097214 A KR 1020160097214A KR 20160097214 A KR20160097214 A KR 20160097214A KR 20180013452 A KR20180013452 A KR 201800134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organic
light emitting
protective film
flow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72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42368B1 (ko
Inventor
김진환
김우찬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972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2368B1/ko
Priority to US15/499,759 priority patent/US10439165B2/en
Priority to EP17170174.1A priority patent/EP3276665B1/en
Priority to CN201710357774.3A priority patent/CN107665950B/zh
Publication of KR201800134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3452A/ko
Priority to KR1020240027130A priority patent/KR202400312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23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23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9/873Encapsulations
    • H01L51/5253
    • H01L27/3246
    • H01L27/3258
    • H01L27/326
    • H01L51/5206
    • H01L51/5246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1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 elements
    • H10K59/1213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 elements the pixel elements being TF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2Pixel-defining structures or layers, e.g. bank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4Insulating layers formed between TFT elements and OLED el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05Electrodes
    • H10K59/8051Ano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9/871Self-supporting sealing arrangements
    • H10K59/8722Peripheral sealing arrangements, e.g. adhesives, seala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보호막 흐름제어 패턴이 있음으로 ?坪? 베젤을 구현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기판 상에 정의된 액티브 영역과 베젤영역에 있어서 액티브영역에 배치되는 유기 보호막의 흐름성을 유기 보호막 흐름제어 페턴으로 인해 베젤부로 퍼지는 것을 최소화 하여 베젤영역의 ??이를 최소화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보호막 흐름제어 패턴을 갖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유기보호막 흐름제어 패턴에 의해 유기 보호막의 상층부가 굴곡지지 않고 평탄하게 되어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표시 품위가 향상될 수 있다.

Description

유기 발광 표시 장치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본 발명은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기 발광 소자가 배치된 기판 상에 베리어 기판이 봉지 방식으로 접합되어 구성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있어서, 유기 발광소자상에 배치되는 접착층 또는 유기물로 이루어진 유기보호층의 흐름성을 보다 효율적으로 제어도록 구성된 흐름제어 패턴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다양한 정보를 표시함과 동시에 해당 정보를 시청하는 사용자와 상호 작용할 수 있는 근래의 표시 장치는 다양한 크기, 다양한 형태 및 다양한 기능들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표시 장치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전기영동 표시장치(Electrophoretic Display Device: FPD)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OLED)등이 있다.
액정표시장치는 액정의 광학적 이방성과 분극성질을 이용하여 구동된다. 액정은 구조가 가늘고 길기 때문에 분자의 배열에 방향성을 가지고 있으며, 인위적으로 액정에 전기장을 인가하여 분자 배열의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액정의 분자배열 방향을 임의로 조절하면, 액정의 분자배열이 변하게 되고, 광학적 이방성에 의해 액정의 분자배열방향으로 빛이 굴절하여 빛을 투과 할수 있게 된다.
이러한 성질을 이용하여 다수의 화소와 대응하는 액정의 분자배열 방향을 변경하여 투과되는 빛으로 화소를 구동하게 되고, 이에 표시장치에 화상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와같이, 액정표시장치는 액정층 이외에 백라이트와 같은(backlight) 별도의 광원을 필요로 하게 된다.
그러나, 유기 발광 표시 장치(OLED)는 자체 발광형 표시 장치로서, 액정 표시 장치(LCD)와는 달리 별도의 광원이 필요하지 않아 경량 박형으로 제조 가능하다. 또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저전압 구동에 의해 소비 전력 측면에서 유리할 뿐만 아니라, 색상 구현, 응답 속도, 시야각, 명암 대비비(contrast ratio; CR)도 우수하여, 차세대 디스플레이로서 연구되고 있다.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유기 발광층으로 유기물을 사용하는데, 유기물로 구성된 유기 발광층을 두개의 전극을 통해 전자와 정공을 주입하여 유기 발광층에서 만나 재결합할때의 과정에서 여기자(Excition)가 형성되고, 여기자로부터의 에너지로 인하여 발광하게 된다.
전자와 정공은 화소전극인 애노드(Anode)전극과 공통전극인 캐소드(Cathode)전극을 통해 주입되고, 화소전극에 주입되는 전류를 제어하기 위한 구동소자가 배치된다. 또한, 전자와 정공을 더욱 원활히 주입 하기 위하여 유기 발광층은 정공 주입층, 정공 수송층, 발광층, 전자 수송층, 전자 주입층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의 다층 구조일 수 있다.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이와 같은 유기 발광층이 있는 유기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복수의 화소를 발광하여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는데, 화소를 구동하는 방식에 따라 액티브 매트릭스 타입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Active Matrix typ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MOLED) 또는 패시브 매트릭스 타입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Passive Matrix typ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PMOLED)로 나눌 수 있다.
액티브 매트릭스 타입의 유기 발광 표시장치(AMOLED)는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혹은 “TFT”)를 이용하여 유기 발광 다이오드에 흐르는 전류를 제어하여 화상을 표시한다.
액티브 매트릭스 방식의 유기 발광 표시장치는 다양한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할수 있는데,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Switching Thin Film Transistor), 스위칭 TFT와 연결된 구동 TFT(Driving TFT), 구동 TFT에 접속된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를 포함한다.
스위칭 TFT는 스캔 배선(Scan Line)과 데이터 배선(Data Line)이 교차하는 부위에 형성되어 있다. 스위칭 TFT는 화소를 선택하는 기능을 한다. 스위칭 TFT는 스캔 배선에서 분기하는 게이트 전극(Gate line)과, 반도체 층과, 소스 전극(Souuce line)과, 드레인 전극(Drain Line)을 포함한다. 그리고 구동 TFT는 스위칭 TFT에 의해 선택된 화소의 유기발광 다이오드(유기발광소자, OLED)에 전류를 공급하여 유기 발광 소자를 구동하는 역할을 한다. 구동 TFT는 스위칭 TFT의 드레인 전극과 연결된 게이트 전극과, 반도체 층, 구동 전류 배선에 연결된 소스 전극과, 드레인 전극을 포함한다. 구동 TFT의 드레인 전극은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의 애노드 전극과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한 목적의 다수의 TFT를 구성하는 소스전극, 드레인전극 및 반도체층 그리고 이와 연결된 많은 수의 전극 배선들이 배치되며, 전극층 상에 평탄층이 존재하게 된다.
평탄층은 하나의 층 또는 복수의 층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화소구조가 복잡해지고, 고해상도 및 고성능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구현하기 위하여 복잡한 전극을 효율적으로 배치하기 위해 다층의 평탄층이 사용될 수 있다.
평탄층 상에 화소전극인 애노드전극이 배치되고 유기 발광층 및 공통전극이 배치된다. 공통전극 상에는 화소전극, 유기발광층 및 공통전극으로 구성되는 유기 발광 소자를 배치하는 과정에서 파티클(Particle)이 발생할 수 있데, 이로 인한 유기 발광소자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유기물로 이루어진 유기보호층이 배치될 수 있다.
유기 보호층 상에는 접착층 및 베리어 필름이 배치될 수 있으며 유기 발광 소자는 다층의 봉지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유기보호층은 UV등의 광을 사용하면 경화될 수 있는 광경화 물질을 사용하여 유기 발광 소자 상에 배치될 수 있는데, 유기 보호층의 상부가 평탄하도록 하면서, 의도한 영역에 유기보호층을 배치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들이 사용되고 있다.
유기 발광 소자를 밀봉하면서 파티클등에 의한 손상을 최소화 하기 위해 유기보호층이 유기 발광 소자 상에 배치되고 있다. 또한, 유기보호층의 흐름성을 제어하기 위해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비표시영역에 복수의 댐을 배치하여 유기보호층을 배치하는 과정에서 유기보호층의 흐름성을 제어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비표시영역에 있는 댐구조물에 의한 흐름성 제어에 한계가 있을 수 있으며 공정 오차등을 고려하여야 하는 제약 조건이 있었다.
이러한 제약조건은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비표시영역을 최소화하여 슬림한 베젤(Bezel) 영역을 갖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구현하는데 있어 한계점이 있었고, 유기보호층의 상면이 굴곡지게 배치되는 경우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테두리 영역과 중앙부의 유기보호층의 투과정도가 다를수 있어 표시품질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포함된 유기보호막의 흐름성을 더욱 효율적으로 제어하여 비표시 영역의 폭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새로운 구조를 발명하였다. 또한, 유기보호막의 흐름성을 제어함과 동시에 유기보호막의 상면의 굴곡을 최소화하여 표시품질을 상향시킬 수 있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새로운 구조를 발명하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결 과제는 유기보호막의 흐름성을 제어하도록 댐구조물과 유기보호막 흐름제어 패턴을 액티브영역의 최외곽부에 배치하여 유기보호막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결 과제는 유기보호막의 상면의 굴곡을 최소화 하도록 댐구조물과 유기보호막 흐름제어 패턴을 갖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결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보호막의 흐름성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유기보호막 흐름제어 패턴이 있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유기보호막은 유기 발광 소자를 보호하도록 구성되며, 유기보호막을 배치하는 과정에서 미경화 상태의 유기 보호막의 흐름성을 제어하여 베젤부로의 유기 보호막의 흐름을 최소화하도록 유기보호막 흐름제어 패턴 상에 유기 보호막이 배치된다. 유기 보호막의 흐름을 제어하는 유기보호막 흐름제어 패턴은 유기보호막의 버퍼공간으로서 베젤부로의 흐름성을 최소화 하여 베젤부로 유기보호막이 퍼지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보호막 흐름제어 패턴이 있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액티브 영역 및 베젤 영역이 기판 상에 정의되고, 기판 상에 적어도 하나의 구동소자가 배치된다. 구동소자 상에는 평탄층이 배치되고, 평탄층 상의 액티브 영역에 유기 발광 소자가 배치된다. 평탄층 상의 액티브영역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댐구조물이 배치되고, 평탄층 상에 유기보호막 흐름제어 패턴이 배치되어 유기보호막의 흐름성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유기보호막 흐름제어 패턴을 구비함으로써 유기보호막이 베젤부로 넘치는 것을 최소화하여 얇은 베젤부를 갖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안정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유기보호막 흐름제어 패턴을 구비함으로써 유기보호막의 상면의 굴곡을 최소화 하여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표시 품질을 향상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과제 해결 수단, 효과에 기재한 발명의 내용이 청구항의 필수적인 특징을 특정하는 것은 아니므로, 청구항의 권리범위는 발명의 내용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보호막 흐름제어 패턴이 있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보호막 흐름제어 패턴과 댐구조물의 다양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고,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보호막의 흐름을 효율적으로 제어하여 얇은 베젤을 갖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다양한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보호막 흐름제어 패턴이 있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은 액티브 영역(130)과 베젤영역(140)이 정의된 기판(110), 유기 발광 소자(미도시)를 보호하는 베리어필름(120), 드라이브 IC(150), 배선전극(160), 유기보호막 흐름제어 패턴(170) 및 댐구조물(180)을 포함한다.
기판(110)은 액티브 영역(130)과 베젤영역(140)이 정의되어 있으며 생략하여 도시하였으나, 액티브 영역(130)에는 복수의 유기 발광 소자(미도시)가 배치되어 복수의 화소를 구성한다.
또한 기판(110)은 복수의 화소를 구동하는 신호 및 전류를 상기 화소에 공급하기 위해 다수의 박막트랜지스터(미도시)를 포함하는데,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와 연결된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가 배치되며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와 연결된 유기 발광 소자가 배치된다.
이러한 박막트랜지스터들(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와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은 기판(110) 상에 배치된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과 연결되도록 배치되어 있는데,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는 화소를 선택하는 기능을 하며,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의 교차하는 부위에 배치된다.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는 게이트 전극과 반도체 층과 소스 전극과 드레인 전극을 포함한다.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는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에 의해 선택된 화소의 애노드 전극을 구동하는 역할을 한다.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는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극과 연결관 게이트 전극과 반도체층, 구동 전류 배선에 연결된 소스전극과, 드레인 전극을 포함한다. 구동 박막 트랜지트서의 드레인 전극은 유기 발광 소자의 화소전극인 애노드 전극과 연결되어 있다.
유기 발광 소자는 산소와 수분에 취약하여 산소와 수분의 침투에 의해 암점화되는 불량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다층의 보호막 또는 필름에 의해 커버할 필요가 있다.
유기 발광 소자를 커버하도록 베리어필름(120)이 기판(110)과 합착되어 있으며, 베리어필름(120)과 기판(110)은 접착층에 의해 접착될 수 있다.
기판(110) 상에는 유기 발광 소자(미도시)에 포함된 유기 발광층(미도시)를 보호하도록 유기보호막(미도시)이 배치되는데, 유기보호막(미도시)의 흐름성을 제어하여 액티브 영역(130)에서 베젤영역(140) 영역으로 퍼지지는 것을 최소화할 필요가 있는데, 이를 위하여 기판(110) 상에 적어도 하나의 댐구조물(180) 및 유기보호막 흐름제어 패턴(170)이 배치될 수 있다.
유기보호막 흐름제어 패턴(170)은 유기보호막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버퍼공간을 포함할 수 있으며, 댐구조물은 유기보호막의 흐름성을 더욱 제어하기 위하여 소수성 처리를 할 수 있다, 이는 표면에너지를 조절하여 가능한데, 표면에너지를 높일 수 있는 C또는 H와 같은 물질로 코팅 또는 이온처리를 하면 댐구조물(180)의 표면에너지를 조절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댐구조물을 소수성 처리하여 유기보호막의 흐름을 더욱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도 2a 내지 도 2c는 도 1의 A-A'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보호막 흐름제어 패턴과 댐구조물의 다양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기판(210) 상에 평탄막(213)과 유기 보호막(218)이 배치됨에 있어서, 평탄막(213) 상에 유기 보호막의 흐름성을 제어하는 유기보호막 흐름제어 패턴(270)을 배치하여 유기 보호막(218)이 베젤영역(240)으로 퍼지는 것을 제어하도록 한다.
기판(210)은 폴리이미드(Polyimide)계열의 플렉서블한 기판일 수 있으며, 이의 경우 기판(210)의 하부로부터의 산소와 수분의 침투를 최소화 하기 위한 버퍼층(211)이 기판(21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버퍼층(211) 상에는 박막 트랜지스터를 턴온 오프하기위한 게이트전극(262)이 배치된다 게이트전극(262)는 알루미늄(AL) 또는 몰리(Mo)를 포함하는 금속 배선으로 다층의 금속배선일 수 있다.
게이트전극(262) 상에는 ILD층(212) 및 소스/드레인전극(261)이 배치된다. ILD층은 게이트전극(262)과 소스/드레인전극(261)간의 도통을 방지하고 게이트전극(62) 하부층에 의한 오염이나 손상을 막기위해 배치될 수 있는데, SiNx 와 SiO2를 포함하는 2단 구조의 무기막층일 수 있다. 이는 SiO2 단일막 사용시 투습 및 공정 시간에 유리한 반면 기생Cap이 발생하여 박막 트랜지스터에 영향을 줄 수 있고, SiNx는 기생Cap에 유리한 반면 투습 및 막형성에 불리함으로 2단 구조의 무기막층으로 ILD층(212)이 배치될 수 있다.
소스/드레인전극(261) 상에 Passivation층(219)이 배치된다. Passivation층(219)은 기본적으로 소스/드레인전극(261) 상에서 완성된 박막 트랜지스터를 보호하도록 배치될 수 있는데, 상부에 배치될 수 있는 전극층간의 도통을 막고 하부층에의한 상부층의 오염이나 소상을 방지하기 위한 무기막층일 수 있다. 또는, 소스/드레인전극(261)을 포함하는 박막 트랜지스터는 금속 물질이 많아 전기적인 반응성이 높기 때문에 유무기막 2층 구조를 사용하기도 한다.
Passivation층(219) 상에 평탄층(213)이 배치된다. 평탄층은 하부에 배치된 다양한 layer 패턴에 의한 단차를 완화(평탄화) 시켜 주기 위하여 배치되며, 아크릴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폴리이미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폴리머 계열의 재료를 포함하여 배치될 수 있다.
평탄층(213)은 단일층으로 배치될 수 있으나 배선전극의 배치를 고려하여 두층이상의 복수층으로 배치될 수 있다.
평탄층(213)이 두개의 층으로 배치되는 경우 두개의 평탄층(213)사이에 금속전극을 배치할 수 있고, 평탄층(213)은 유전물질(Dielectric Material)로서, 유전체로 사용되어 캐패시던스를 구성할 수 있다. 더욱이 복수의 평탄층(213)을 사용하는 경우 캐패시던스를 사유롭게 구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두개의 층으로 배치되는 경우 도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평탄층(213) 사이에 버퍼층(211)과 Passivation층(219)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평탄층(213)사이에 있는 버퍼층(211)과 Passivation층(219)은 평탄층(213)에서 발생 가능한 아웃개스를 배출 할 수 있도록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홀을 포함하여 배치될 수 있다.
평탄층(213)에서 발생되는 아웃개스는 장기적으로 박막 트랜지스터의 액티브층등에 작용하여 박막 트랜지스터의 구동전압등을 변경시킬 수 있으며, 유기 발광층(215)에 침투되는 경우 암점등의 불량이 발생될 수 있다.
평탄막(213) 상에는 화소전극인 애노드전극(214)가 배치되고 이어서 유기발광층(215) 및 공통전극인 캐소드전극(216)이 배치된다.
애노드전극(214)은 유기 발광 표시 장치(200)이 상부 발광 방식(Top emission)인 경우 빛을 반사하는 반사전극으로 불투명한 금속재료를 사용하여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부 발광 방식(Top emission)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200)의 캐소드전극(216)은 ITO또는 IZO와 같은 투명한 도전성 물질로 배치될 수 있다.
평탄층(213) 상에 복수의 화소를 구분지을 수 있는 뱅크층(217)이 배치되는데, 화소간에 배치되는 뱅크층(217)은 빛 번짐 현상을 최소화 하고 다양한 시야각에서 혼색이 생기지 않도록 검은색을 띄는 뱅크층(217)일 수 있다.
평탄층(213)은 유기 발광 표시 장치(200)의 액티브영역(230)에 배치되어 상술한 다양한 목적의 전극과 유기 발광 소자가 배치될 수 있도록 한다.
베젤영역(240)은 복수의 화소를 구동하는 구동신호와 전류를 공급하는 배선전극등을 배치할 수 있는데, 베젤영역(240)의 넓이를 최소화 하도록 상술한 Passivation층(219)과 버퍼층(211) 및 ILD층(212)을 사용하여 복수의 소스/드레인전극(261)을 다층으로 배치하여 베젤영역(240)의 ??이를 최소화 할 수 있다.
캐소드전극(216) 상에는 유기 발광층(215)을 산소와 수분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유기물과 무기물의 반복 적층구조로 이루어지는 보호층이 배치될 수 있다.
도 2a에는 Passivation층(219)과 유기보호막(218)으로 구성된 보호층이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베젤영역(240)에는 댐구조물(280)이 배치될 수 있다. 댐구조물(280은 복수로 배치될 수 있으며 액티브영역(230)을 둘러싸도록 배치되거나 액티브영역(230)내에도 배치될 수 있다.
댐구조물(28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물질을 사용하여 다층으로 배치할 수 있는데, 예를들면, 뱅크층(217)과 스페이서를 배치하는데 사용되는 물질을 사용하여 배치될 수 있다.
댐구조물(280)은 유기보호막(218)의 흐름성을 제어하도록 액티브영역(230)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유기보호막(218)은 밀도가 높은 액체와 같은 상태로 도포되는데, 상기 댐구조물(280)의 물질이 소수성을 갖고 있을 때, 댐구조물(280)과 맞닿는 부분에서 유기보호막(218)이 위로 솟아오르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즉, 유기보호막(218)의 도포 표면이 평탄하지 않고, 중앙부분보다 댐구조물(280)과 인접한 가장자리 부분의 높이가 더 높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베리어필름(220)을 접착층(612)를 사용하여 접합할 때 베젤영역(240)으로 넘쳐 흐를수 있고, 이런 경우 유기보호막(218)의 측면을 통해 산소와 수분이 침투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베젤영역(240)은 일정 정도의 마진을 고려한 ??이를 갖을 수 밖에 없다.
이와 같이 유기보호막(218)의 흐름성을 더욱 제어하도록 평탄층(213) 상에 유기보호막 흐름제어 패턴(270)이 배치된다. 평탄층(213)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층으로 배치될 수 있기에 평탄층(213)의 최상부의 일부를 오픈하여 유기보호막 흐름제어 패턴(270)을 배치하면 유기보호막(218)의 도포양에 대한 편차를 고려한 버퍼공간을 확보 할 수 있기 때문에, 베젤영역(240)에 대한 설계 마진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坪? 베젤을 갖으면서도 수명 신뢰성이 높은 유기 발광 표시 장치(200)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흐름제어 패턴(270)은 평탄층(213)에 있는 홀 패턴일 수 있다. 또한, 흐름제어 패턴(270)은 액티브영역의 주변부를 따라 배치된다.
유기보호막 흐름제어 패턴(270)의 외곽부에 댐구조물(280)을 배치하면, 베젤영역(240)으로 유기보호막(218)이 더욱 흐르지 않게 배치할 수 있고, 댐구조물(280)의 표면에너지를 이온처리와 같은 방법으로 조절하여 친수성 또는 소수성을 갖도록하여 유기보호막 흐름제어 패턴(270)과 댐구조물(280)의 측면과 유기보호막(218)이 이루는 접촉각을 조절하여 최종적으로 유기보호막(218)을 굴곡지지 않고 평탄하도록 배치할 수 있다.
그런데, 상술한 유기보호막 흐름제어 패턴(270)의 내측면은 화소전극으로 덮일 수 있다. 캐소드전극(216)은 공통전극으로 음극전극의 역할을 수행하며, 베젤영역(240)에 배치된 기저배선과 연결되기위해 애노드전극(214)을 사용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때, 흐름제어 패턴(270)의 내부는 애노드전극(214)에 의해 덮일 수 있게 된다.
이어서 도 2b 및 도 2c를 참조하여 유기보호막흐름제어 패턴(270)과 댐구조물(280)에 의한 유기보호막(218)의 흐름성을 제어하는 다양한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되, 중복되거나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서는 설명을 생략하도록한다.
도 2b를 참조하면, 유기보호막 흐름제어 패턴(270)은 액티브영역(230)내의 최외곽부에 배치되되, 댐구조물(280)은 유기보호막 흐름제어 패턴(270)의 액티브영역(230) 내측면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댐구조물(280)과 유기보호막 흐름제어 패턴(270)에 의해 유기보호막(218)의 흐름성이 제어 될 수 있는데 이는, 1차로 액티브영역(230)의 내측으로 유기보호막 흐름제어 패턴(270)과 인접한 댐구조물(280)에 의해 유기보호막(218)의 흐름성은 제거가 되고, 댐구조물(280)을 넘어서 배치되는 유기보호막(218)의 대부분의 양은 유기보호막 흐름제어 패턴(270)의 버퍼공간에 의해 베젤영역(240)으로 퍼지는 양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베젤영역(240)에 배치된 댐구조물(280)에 의해 오버플로우된 유기보호막(218)의 베젤영역(240)방향으로 퍼지는 것을 2차로 차단, 흐름성을 더욱 최소화 할 수 있다.
도 2c를 참조하면, 유기보호막 흐름제어 패턴(270)의 양측면에 댐구조물(280)을 배치할 수 있으며, 댐구조물(280)에 의해 유기보호막 흐름제어 패턴(270)에 수납될 수 있는 유기보호막(218)의 양이 늘어날 수 있다. 또한 유기보호막(218)의 상면의 굴곡은 복수의 댐구조물(280)에 의해 최소화 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200: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10, 210: 기판
120, 220: 베리어필름
130, 230: 액티브영역
140, 240: 베젤영역
150: Driver IC
160: 배선전극
170, 270: 유기보호막 흐름제어 패턴
180, 280: 댐구조물

Claims (14)

  1. 유기 발광 소자를 보호하기 위한 유기 보호막이 있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기 보호막은 경화성 유기물질로 구성되며 상기 유기 보호막을 배치하는 공정에서 미경화 상태의 상기 유기 보호막의 흐름성을 제어하여 베젤의 폭을 최소화 하도록, 상기 유기 보호막 아래의 평탄층에 유기보호막 흐름제어 패턴을 구비하되,
    상기 유기보호막 흐름제어 패턴은 베젤부로의 미경화 상태의 상기 유기 보호막의 흐름을 최소화 하기 위한 버퍼공간 역할을 하도록 구현된 유기 발광 표시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흐름제어 패턴은 상기 평탄층에 있는 홀 패턴인 유기 발광 표시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흐름제어 패턴은 액티브영역의 주변부를 따라 배치된 유기 발광 표시 장치.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흐름제어 패턴의 일측면에 적어도 하나의 댐구조물을 더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댐구조물은 상기 평탄층 상에 있는 뱅크와 스페이서로 구성되는 다층구조인 유기 발광 표시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흐름제어 패턴의 내측은 화소전극에 의해 덮인 유기 발광 표시 장치.
  7. 액티브 영역 및 베젤 영역이 있는 기판;
    상기 기판 상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구동소자;
    상기 구동소자 상에 있는 평탄층;
    상기 평탄층 상에 있으며 상기 액티브 영역에 있는 유기 발광 소자;
    상기 평탄층 상에 있으며 상기 액티브 영역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댐구조물; 및
    상기 평탄층에 있는 유기보호막 흐름제어 패턴;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보호막 흐름 제어 패턴은 상기 댐구조물과 인접하여 있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댐구조물은 상기 유기 보호막 흐름 제어 패턴의 상기 액티브 영역 내측방향에 인접하여 있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댐구조물은 상기 유기 보호막 흐름 제어 패턴의 상기 베젤 영역 측에 인접하여 있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1. 제1 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평탄층은 다층 구조인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2. 제1 항 내지 제7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평탄층은 아크릴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폴리이미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폴리머 계열의 재료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3. 제1 항 내지 제7 항중 어느 한 한에 있어서,
    상기 유기 보호막 상부에 접착층 및 베리어필름을 더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4.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베젤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상기 댐구조물이 있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0160097214A 2016-07-29 2016-07-29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6423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7214A KR102642368B1 (ko) 2016-07-29 2016-07-29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15/499,759 US10439165B2 (en) 2016-07-29 2017-04-27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EP17170174.1A EP3276665B1 (en) 2016-07-29 2017-05-09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CN201710357774.3A CN107665950B (zh) 2016-07-29 2017-05-19 有机发光二极管显示器
KR1020240027130A KR20240031284A (ko) 2016-07-29 2024-02-26 유기 발광 표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7214A KR102642368B1 (ko) 2016-07-29 2016-07-29 유기 발광 표시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27130A Division KR20240031284A (ko) 2016-07-29 2024-02-26 유기 발광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3452A true KR20180013452A (ko) 2018-02-07
KR102642368B1 KR102642368B1 (ko) 2024-02-28

Family

ID=6120406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7214A KR102642368B1 (ko) 2016-07-29 2016-07-29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0240027130A KR20240031284A (ko) 2016-07-29 2024-02-26 유기 발광 표시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27130A KR20240031284A (ko) 2016-07-29 2024-02-26 유기 발광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642368B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77506A (zh) * 2018-03-16 2019-09-24 三星显示有限公司 包括阻挡层的显示装置
CN110931536A (zh) * 2019-12-12 2020-03-27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有机发光显示面板及显示装置
US10825885B2 (en) 2018-10-05 2020-11-03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having a common power supply wiring in the peripheral
US10916728B2 (en) 2018-08-27 2021-02-09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S11088233B2 (en) 2019-02-18 2021-08-10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S11239304B2 (en) 2018-12-13 2022-02-01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with embedded driving circuit and common supply line on peripheral area
US11522035B2 (en) 2019-10-31 2022-12-06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panel
US11545528B2 (en) 2019-09-16 2023-01-03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US11569477B2 (en) 2019-10-17 2023-01-31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multi-layered planarization layer
US11723231B2 (en) 2020-03-06 2023-08-08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with patterned organic film at metal wiring overlap in display area
US11899872B2 (en) 2021-06-09 2024-02-13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94950A (ko) * 2014-02-12 2015-08-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60083588A (ko) * 2014-12-31 2016-07-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87982A (ko) * 2015-01-14 2016-07-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94950A (ko) * 2014-02-12 2015-08-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60083588A (ko) * 2014-12-31 2016-07-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87982A (ko) * 2015-01-14 2016-07-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77506A (zh) * 2018-03-16 2019-09-24 三星显示有限公司 包括阻挡层的显示装置
KR20190109690A (ko) * 2018-03-16 2019-09-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US11882722B2 (en) 2018-03-16 2024-01-23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including a barrier layer with a concavo-convex side surface
US10916728B2 (en) 2018-08-27 2021-02-09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S10825885B2 (en) 2018-10-05 2020-11-03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having a common power supply wiring in the peripheral
US11239304B2 (en) 2018-12-13 2022-02-01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with embedded driving circuit and common supply line on peripheral area
US11882738B2 (en) 2018-12-13 2024-01-23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with dam and driving circuit portions disposed on peripheral area
US11088233B2 (en) 2019-02-18 2021-08-10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S11545528B2 (en) 2019-09-16 2023-01-03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US11569477B2 (en) 2019-10-17 2023-01-31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multi-layered planarization layer
US11522035B2 (en) 2019-10-31 2022-12-06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panel
CN110931536A (zh) * 2019-12-12 2020-03-27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有机发光显示面板及显示装置
US11723231B2 (en) 2020-03-06 2023-08-08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with patterned organic film at metal wiring overlap in display area
US11899872B2 (en) 2021-06-09 2024-02-13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1284A (ko) 2024-03-07
KR102642368B1 (ko) 2024-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39165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KR102642368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11502007B2 (en) Display device including an adhesive layer
CN110352627B (zh) 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KR102626953B1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KR102504073B1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US20110292312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012209215A (ja) 有機el装置の製造方法、電子機器
JP2019012098A (ja) 表示装置
WO2019176457A1 (ja) 有機el表示装置および有機el表示装置の製造方法
US8207669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including spacers and fillers
KR20180047295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20200350519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display device
CN111699757A (zh) 有机el显示装置
KR20170015699A (ko)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US11991896B2 (en) Display panel having second substrate with barrier structure for defining open spaces that adjoin adhesive layer
KR102533228B1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KR102327443B1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KR20180065736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60081311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355849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637116B1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KR20240080650A (ko) 표시 장치
CN116125721A (zh) 显示设备和包括该显示设备的车辆
KR20170125485A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