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1319A - 저항 스폿 용접 방법 - Google Patents

저항 스폿 용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1319A
KR20180011319A KR1020187000610A KR20187000610A KR20180011319A KR 20180011319 A KR20180011319 A KR 20180011319A KR 1020187000610 A KR1020187000610 A KR 1020187000610A KR 20187000610 A KR20187000610 A KR 20187000610A KR 20180011319 A KR20180011319 A KR 201800113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ergization
time
nugget
current value
cur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06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10195B1 (ko
Inventor
고이치 다니구치
야스아키 오키타
린세이 이케다
Original Assignee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113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13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01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01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23K11/24Electric supply or control circuits therefor
    • B23K11/241Electric suppl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23K11/10Spot welding; Stitch welding
    • B23K11/11Spot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23K11/10Spot welding; Stitch welding
    • B23K11/11Spot welding
    • B23K11/115Spot welding by means of two electrodes placed opposite one another on both sides of the welded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23K11/16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taking account of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to be weld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23K11/24Electric supply or control circui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1/00Articles made by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2101/006Vehicles
    • B23K2201/006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sistance Welding (AREA)

Abstract

연속해서 수백 점의 타점에서 용접을 실행하는 경우에도, 직경이 큰 너깃을 안정적으로 형성하고, 충분한 십자 인장 강도를 확보할 수 있는 저항 스폿 용접 방법을 제공한다. 강판을 중첩한 판 겹이음을 저항 스폿 용접하는 방법으로서, 본 통전과, 본 통전보다 전에 예비 통전과, 본 통전 후에 후 통전을 실행하고, 상기 각 통전의 사이에는 통전을 휴지하는 무통전 시간을 마련하고, 본 통전의 전류값을 Im[kA], 통전 시간을 Tm[ms]로 하고, 예비 통전의 전류값을 Ip[kA], 통전 시간을 Tp[ms], 예비 통전과 본 통전의 사이의 무통전 시간을 Tcp[ms], 후 통전의 전류값을 Ir[kA], 통전 시간을 Tr[ms], 본 통전과 후 통전의 사이의 무통전 시간을 Tcr[ms]로 했을 때, 각각을 소정의 범위로 제어한다.

Description

저항 스폿 용접 방법
본 발명은 중첩 저항 용접법의 일종인 저항 스폿 용접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흩어짐 등의 발생없이 직경이 큰 너깃(용융부)의 형성을 도모하고자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근래, 차체의 신뢰성 향상과, 대기오염 물질의 삭감을 목적으로 한 차체 중량의 경감을 아울러 달성하기 위해, 강판의 고강도화가 진행되고 있다. 고강도 강판의 채용에 의해, 종래 강에 비해 박육화, 경량화를 해도 동일 정도의 차체 강성을 얻어진다. 그러나, 몇개의 과제도 지적되고 있다. 그 중 하나가 차체 조립에 있어서의 용접부의 품질이 고강도화됨에 따라 저하한다고 하는 것이다.
저항 스폿 용접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첩한 2개 이상의 강판(여기서는 하부 강판(1)과 상부 강판(2)의 2개조)의 판 겹이음(3)을 상하 한쌍의 전극(하부 전극(4)과 상부 전극(5))으로 협지하고, 가압하면서 통전하는 것에 의해서 협지 부분을 용융시키고, 필요 사이즈의 너깃(용융부)(6)을 형성하여, 용접 이음매를 얻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해서 얻어진 용접 이음매의 품질은 너깃 직경의 크기, 혹은 전단 인장 강도(이음매의 전단 방향으로 인장 시험을 했을 때의 강도)나 십자 인장 강도(이음매의 박리 방향으로 인장 시험을 했을 때의 강도), 피로 강도의 크기 등으로 평가되고 있다. 특히, 강판의 강도와 연성을 확보함에 있어서, 강판중의 C량은 증가하는 경향에 있지만, C의 함유 성분량이 많은 고강도 강판에서는 십자 인장 강도가 저하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고강도 강판을 포함하는 판 겹이음을 용접해서 얻어진 용접 이음매의 십자 인장 강도를 확보하는 수단으로서는 종래보다 직경이 큰 너깃을 형성하는 것이 고려된다. 종래에서는 판 두께를 t로 했을 때에, 너깃 직경은 5√t로 충분하다고 생각되고 있었지만, 차체 조립시의 안정성을 생각하면, 더욱 큰 너깃 직경이 필요하게 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차체 조립시에는 연속된 수백점의 타점에서 용접을 실행하지만, 그 중에서 전극 선단이 손모되고, 얻어지는 너깃 직경이 점차 축소한다는 현상이 알려져 있다. 이 문제는 더욱 큰 너깃 직경을 설정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다.
또한, 고강도 강판을 포함하는 판 겹이음을 용접해서 얻어진 용접 이음매의 너깃은 소정의 너깃 직경을 확보했다고 해도, 박리 방향 하중에 대해 취성적으로 파단되고, 십자 인장 강도가 낮아진다고 하는 과제도 지적되고 있다. 이것은 고강도 강판의 너깃은 담금질됨으로써 경질화되고, 인성이 저하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과제에 대해, 종래부터 다양한 저항 스폿 용접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특허문헌 1에는 용접을 3스텝으로 나누고, 너깃 생성을 실행하는 제 1 스텝에 있어서, 점차 전류값을 증가시키게 것에 의해, 급격한 발열에 의한 흩어짐의 발생을 억제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2 및 3에는 너깃을 형성하는 제 1 공정과, 제 1 공정보다 용접 전류를 하강시키는 제 2 공정과, 너깃을 확대시키는 제 3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통전 공정을 갖고, 제 1 공정 및 제 2 공정의 전류값을 제 3 공정의 전류값에 대해 낮게 함으로써, 제 3 공정의 통전시의 흩어짐을 억제하고, 제 3 공정에서는 전류를 맥동으로 함으로써, 흩어짐의 발생을 억제하면서 너깃을 더욱 확대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4의 용접 방법은 2단 또는 3단의 통전 방식이며, 너깃을 형성하는 본 통전인 제 2 통전 공정에 대해, 전 통전인 제 1 통전 공정을 저전류로 함으로써 흩어짐의 억제를, 또한 후 통전인 제 3 통전 공정을 저전류로 함으로써 십자 인장 강도의 향상을 달성할 수 있다고 하고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제2003-236674호 특허문헌 2: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제2010-207909호 특허문헌 3: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제2010-247215호 특허문헌 4: 일본국 특허공보 제5418726호
그러나, 특허문헌 1 내지 4에 기재된 저항 스폿 용접 방법에서는 직경이 큰 너깃을 안정적으로 형성시켜 충분한 십자 인장 강도를 확보할 수 없고, 특히, 연속해서 수백점의 타점에서 용접을 실행하는 경우에, 이와 같은 문제가 현저하게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에 대해 이루어진 것이며, 연속해서 수백점의 타점에서 용접을 실행하는 경우에도, 직경이 큰 너깃을 안정적으로 형성하고, 충분한 십자 인장 강도를 확보할 수 있는 저항 스폿 용접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발명자들은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고강도 강판을 포함하는 판 겹이음의 저항 스폿 용접 이음매에 대해 검토를 거듭하였다. 발명자들은 용접 이음매를 구성하는 고강도 강판의 경도 분포와, 흩어짐의 발생의 관계에 주목하였다.
즉, 도 2에 나타내는 전극측 표면 부근 A의 경도 분포와, 판 겹이음 중앙 부근 B의 경도 분포를 조사하고, 흩어짐의 발생과의 관계를 검토하였다. 또한, A는 강판(2)의 전극측 표면으로부터 0.2㎜이내의 영역을 나타내고, B는 강판(2)에 있어서의 판 겹이음(3)의 중앙으로부터 0.2㎜이내의 영역을 나타내고 있다.
그 결과, 용접 이음매를 구성하는 고강도 강판의 전극측 표면 부근 A의 경도 분포와 판 겹이음 중앙 부근 B의 경도 분포의 관계와, 흩어짐의 발생 전류값의 사이에 상관이 있는 것을 찾아내었다.
전극측 표면 부근 A와, 판 겹이음 중앙 부근 B의 경도 분포를 비교한 경우에, 용접의 열 영향을 받은 영역(열 영향부)과, 상기 열 영향부 중 용접의 열 영향에 의해 모재보다 연화된 영역(이하, 연화부)에 주목하면, 판 겹이음 중앙 부근 B에 비해 전극측 표면 부근 A의 열 영향부 직경(열 영향부의 판면 방향의 폭)이 넓으면, 흩어짐의 발생이 없어 큰 너깃 직경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전극측 표면 부근 A의 열 영향부 직경을 판 겹이음 중앙 부근 B의 열 영향부 직경보다 넓게 형성하면, 이하와 같은 작용 효과가 얻어진다고 생각된다.
너깃을 형성하기 전에, 판 겹이음 중앙 부근 B에 비해 전극측 표면 부근 A에 대한 열 영향을 넓게 주는 즉 판 겹이음 중앙 부근 B에 비해 전극측 표면 부근 A를 광범위하게 가열할 수 있으면, 전극과 접촉하는 강판 표면이 충분히 연화된다. 이것에 의해, 전극(4)과 강판(1), 및 전극(5)과 강판(2)이 충분히 접촉하고, 강판(1,2) 사이에 가압력이 넓게 전해져, 결과적으로 너깃(6)의 형성시에, 흩어짐의 발생이 억제된다고 고려된다.
또한, 전극과 접촉하는 강판 표면이 충분히 연화되고, 전극과 강판의 접촉 범위가 넓어지는 것에 의해, 전극 개방시의 전극(동 전극) 및 강판 표면의 도금층의 접촉부에 있어서의 온도도 저온측으로 변화한다. 전극과 강판의 접촉 범위가 좁은 경우에는 용접 완료 후의 냉각이 충분하지 않고, 상기 도금층과 동 전극이 화학적으로 반응함으로써, 전극 개방시에 동 전극의 마모의 원인으로 되지만, 전극과 접촉하는 강판 표면을 충분히 연화하고, 전극과 강판의 접촉 범위를 넓힘으로써 이 반응이 억제되고, 양호한 전극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것에 의해, 연속 타점 시험에 있어서도 양호한 전극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으로 추측된다.
상기는 용접중의 변화이지만, 형성된 이음매의 파단 강도에 관해서도, 발명자들은 상기 연화부의 영향을 찾아내었다. 즉, 연화부를 확대하고, 연화부의 판면 방향의 폭(이하, 연화 폭)을 증대시킴으로써 십자 인장 시험에 있어서의 파단을 억제할 수 있다. 십자 인장 시험과 같은 이음매의 박리 방향이 하중 방향인 경우, 연화부가 항복하는 것에 의해, 너깃 단부에 부하되는 개구 응력이 경감한다. 이것에 의해, 연화 폭을 확대하는 것에 의해, 너깃에서의 파단을 억제하고, 결과적으로 십자 인장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 연화 폭의 확대는 너깃 형성 후에 후 통전을 적절히 실행하는 것에 의해 얻어지는 것을 찾아내었다.
또, 너깃 형성 후의 후 통전시에, 고온 가열하는 것에 의해, 너깃 단부의 P 편석을 확산시켜 저감시킴으로써, 십자 인장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흩어짐의 발생을 억제하면서 안정적으로 너깃을 형성함으로써, 연속된 수백점의 타점에서 용접하는 바와 같은 경우에도, 충분한 너깃 직경을 확보 할 수 있는 것을 찾아내었다.
이미 기술한 바와 같이, 전극측 표면 부근 A를 판 겹이음 중앙 부근 B보다 넓게 연화시키고, 흩어짐의 발생을 억제하여 안정적으로 너깃을 형성함으로써, 연속된 수백점의 타점에서 용접하는 바와 같은 경우에도, 충분한 너깃 직경을 확보할 수 있다.
그를 위해서는 너깃 형성 전의 예비 통전을 고전류화하는 것에 의해, 전극 근방을 고전류 밀도화한다. 그 결과로서, 전극 근방에 있어서 소정의 발열량이 얻어지고, 너깃 형성 전에 전극측 표면 부근 A를 충분히 연화할 수 있다. 또한, 연화부를 확대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무통전(냉각) 시간을 각 통전의 사이에 설정할 필요가 있다. 이것은 무통전(냉각) 시간의 동안에, 전열에 의해 주위의 온도가 승온함으로써, 전극에서 멀어진 부분이 연화되고, 연화부가 확대하기 때문이다.
또, 너깃 형성 후에, 너깃(6)을 형성하는 전류값보다 높은 전류값으로 후 통전함으로써, 마찬가지로, 전극 근방이 고전류 밀도화하고, 그 결과로서, 전극 근방에 있어서 소정의 발열량이 얻어지며, 너깃 형성 후에도, 전극측 표면 부근 A를 연화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후 통전에 의해 너깃 형성 후에 연화부를 확대시킬 때에, 너깃(6)을 고온으로 가열할 수 있고, 너깃 단부의 P편석을 완화시킬 수도 있다. 또, 본 통전과, 너깃 형성 후의 후 통전의 사이에, 적절한 무통전(냉각)을 배치하는 것에 의해, 전극 근방을 저온으로 유지하고, 경화시키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검토의 결과 얻어진 것이며, 그 요지 구성은 다음과 같다.
[1] 강판을 중첩한 판 겹이음을 저항 스폿 용접하는 방법으로서, 본 통전과, 본 통전보다 전에 예비 통전과, 본 통전 후에 후 통전을 실행하고, 상기 각 통전의 사이에는 통전을 휴지하는 무통전 시간이 마련되고, 본 통전의 전류값을 Im[kA], 통전 시간을 Tm[ms]로 하고, 예비 통전의 전류값을 Ip[kA], 통전 시간을 Tp[ms], 예비 통전과 본 통전의 사이의 무통전 시간을 Tcp[ms], 후 통전의 전류값을 Ir[kA], 통전 시간을 Tr[ms], 본 통전과 후 통전의 사이의 무통전 시간을 Tcr[ms]로 했을 때, 이하의 식(1)∼(6)을 만족시키는 저항 스폿 용접 방법:
1.05×Im≤Ip≤2.0×Im (1)
1.05×Im≤Ir≤2.0×Im (2)
40ms≤Tp≤100ms (3)
40ms≤Tr≤100ms (4)
10ms≤Tcp≤60ms (5)
80ms≤Tcr≤300ms (6).
[2] 이하의 식(7) 및 식(8)을 더 만족시키는 [1]에 기재된 저항 스폿 용접 방법:
160ms≤Tm≤500ms (7)
0.25≤Rpm≤0.95 (8)
단, Rpm=(Ip/Im)2×(Tp/Tm).
[3] 예비 통전을 2회 이상 실행하고, 각 예비 통전의 사이에는 통전을 휴지하는 무통전 시간이 마련되고, 2회째 이후의 예비 통전을, 전회의 예비 통전의 전류값 이하의 전류값으로 실행하는 [1] 또는 [2]에 기재된 저항 스폿 용접 방법.
[4] 이하의 식 (9)를 더 만족시키는 하기 [1] 내지 [3] 중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저항 스폿 용접 방법:
0.10≤Rmr≤1.50 (9)
단, Rmr=(Ir/Im)2×(Tr/Tm).
[5] 후 통전을 2회 이상 실행하고, 각 후 통전의 사이에는 통전을 휴지하는 무통전 시간이 마련되는 [1] 내지 [4] 중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저항 스폿 용접 방법.
[6] 판 겹이음 중의 적어도 1개의 강판은 인장 강도 780MPa이상을 갖는 고강도 강판인 [1] 내지 [5] 중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저항 스폿 용접 방법.
본 발명에 따르면, 흩어짐의 발생을 억제하면서 직경이 큰 너깃을 안정적으로 형성하고, 충분한 십자 인장 강도를 확보할 수 있는 저항 스폿 용접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저항 스폿 용접의 개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관한 저항 스폿 용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관한 저항 스폿 용접 방법의 통전 시간과 전류값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저항 스폿 용접 방법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개의 강판(하부 강판(1), 상부 강판(2))을 중첩한 판 겹이음(3)을 상하 한 쌍의 전극(4, 5) 사이에 배치하고, 가압하면서 통전하여, 필요 사이즈의 너깃(6)을 형성하여 용접 이음매를 얻는 것이다.
이러한 스폿 용접 방법은 상하 한 쌍의 전극(4, 5)을 구비하고, 한 쌍의 전극(4, 5) 사이에 용접하는 부분을 배치하여, 가압하면서 통전할 수 있고, 또 용접중에 가압력 및 용접 전류를 각각 임의로 제어 가능한 가압력 제어 기능 및 용접 전류 제어 기능을 갖는 용접 장치를 이용해서 실시할 수 있다. 용접 장치의 가압 기구(에어 실린더나 서보 모터 등)나 전류 제어 기구(교류나 직류 등), 형식(정치식, 로봇 건 등) 등은 특히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저항 스폿 용접 방법에서는 너깃(6)을 소정의 직경으로 성장시키는 본 통전과, 본 통전보다 전에 예비 통전과, 본 통전 후에 후 통전을 각각 실행한다.
본 발명에 관한 저항 스폿 용접 방법에서는 적절하게 전류값과 통전 시간이 제어된 예비 통전을 실행함으로써, 너깃 형성 전에, 도 2에 나타내는 전극측 표면 부근 A를 충분히 연화시킨다. 그리고, 예비 통전 후에, 통전을 휴지함으로써, 무통전시에 전열에 의해 주위의 온도를 승온시켜, 전극에서 멀어진 부분을 연화하고, 너깃 형성 전에, 전극측 표면 부근 A의 연화부를 확대한다.
이것에 의해, 너깃(6)을 형성하는 본 통전시에 있어서, 전극측 표면 부근 A가 충분히 연화되고, 전극(4)과 강판(1) 및 전극(5)과 강판(2)을 충분히 접촉시킬 수 있다.
도 3의 (a)는 본 발명에 관한 저항 스폿 용접 방법의 일예의 통전 시간과 전류값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통전의 전류값을 Im[kA], 통전 시간을 Tm[ms], 예비 통전의 전류값을 Ip[kA], 통전 시간을 Tp[ms], 예비 통전과 본 통전의 사이의 무통전 시간을 Tcp[ms], 후 통전의 전류값을 Ir[kA], 통전 시간을 Tr[ms], 본 통전과 후 통전의 사이의 무통전 시간을 Tcr[ms]로 했을 때, 본 발명의 저항 스폿 용접 방법은 이하의 식(1)∼(6)을 만족시킨다.
1.05×Im≤Ip≤2.0×Im (1)
1.05×Im≤Ir≤2.0×Im (2)
예비 통전의 전류값 Ip가 1.05×Im 미만이면, 전극측 표면 부근 A가 충분히 연화되지 않는다. 또, 후 통전의 전류값 Ir이 1.05×Im미만이면, 전극측 표면 부근 A가 충분히 연화되지 않고, 또, 너깃 단부의 P의 편석을 완화한다고 하는 후 통전의 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없다. 예비 통전의 전류값 Ip 및 후 통전의 전류값 Ir이 2.0×Im보다 커지면, 용융에 의해 흩어짐이 발생한다. Ip, Ir은 각각, 1.80×Im이하가 바람직하며, 1.60×Im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40ms≤Tp≤100ms (3)
40ms≤Tr≤100ms (4)
마찬가지로, 예비 통전의 통전 시간 Tp가 40ms미만이면, 전극측 표면 부근 A가 충분히 연화되지 않는다. 또, 후 통전의 통전 시간 Tr이 40ms미만이면, 전극측 표면 부근 A가 충분히 연화되지 않고, 또, 너깃 단부의 P의 편석을 완화한다고 하는 후 통전의 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없다. 예비 통전의 통전 시간 Tp 및 후 통전의 통전 시간 Tr이 100ms보다 커지면, 너무 용융되어 흩어짐이 발생한다.
10ms≤Tcp≤60ms (5)
무통전 시간 Tcp가 10ms미만에서는 다음의 통전에 의해 발열이 과대하게 되기 때문에, 무통전시의 전열에 의한 연화의 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없다. 무통전 시간 Tcp가 60ms보다 커지면, 냉각이 진행되어 버려, 본 통전에서 재가열하는데 시간이 걸린다.
80ms≤Tcr≤300ms (6)
무통전 시간 Tcr이 80ms미만에서는 후 통전에 있어서 너무 고온으로 되어 재용융되고, 흩어짐이 발생해 버린다. 무통전 시간 Tcr이 300ms보다 커지면, 후 통전에서 재가열하는데 시간이 걸린다.
또한, 본 통전의 통전 시간 Tm은 식 (7)을 만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160ms≤Tm≤500ms (7)
통전 시간 Tm이 160ms이상이면, 너깃의 형성이 안정되고, 필요한 너깃 직경을 더욱 쉽게 얻을 수 있다. Tm은 200ms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통전 시간 Tm이 500ms보다 커지면, 용접 시간이 길어지고, 생산성이 나빠질 우려가 있다.
또한, 식 (8)을 만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0.25≤Rpm≤0.95 (8)
단, Rpm=(Ip/Im)2×(Tp/Tm)로 한다.
Rpm은 본 통전의 입력 에너지에 대한 예비 통전의 입력 에너지의 비율을 의미한다. Rpm이 0.25이상이면, 발열이 충분히 얻어지고 연화의 효과가 더욱 높아진다. Rpm이 0.95이하이면, 급준한 발열에 기인하는 흩어짐의 발생을 더욱 억제하기 쉬워진다. Rpm은 0.85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며, 0.75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또, 필요에 따라, 도 3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비 통전을 2회 이상 실행하고, 각 예비 통전의 사이에 무통전(냉각)을 마련하고, 2회째 이후의 예비 통전을 전회의 예비 통전의 전류값 이하의 전류값으로 실행한다. 이것에 의해, 본 통전에 의한 너깃 형성 전에 전극측 표면 부근 A를 연화하는 효과가 더욱 높아진다. 상기 각 예비 통전의 사이의 무통전의 시간은 예비 통전과 본 통전의 사이의 무통전 시간(Tcp)과 마찬가지로, 즉 10ms이상 60ms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후 통전에 관해, 식 (9)를 만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0.10≤Rmr≤1.50 (9)
단, Rmr=(Ir/Im)2×(Tr/Tm)로 한다.
Rmr은 본 통전의 입력 에너지에 대한 후 통전의 입력 에너지의 비를 의미한다. Rmr이 0.10이상이면, 발열이 너무 과소하게 되지 않고 편석 완화의 효과가 더욱 높아진다. Rmr이 1.50이하이면, 급준한 발열에 의한 재용융을 더욱 억제하기 쉬워진다. Rmr은 0.15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며, 0.20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 Rmr은 1.25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며, 1.00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또, 본 통전 후의 후 통전을 2회 이상 실행하고, 각 후 통전의 사이에 무통전(냉각)을 마련함으로써, 전극측 표면 부근 A를 연화하는 효과가 더욱 높아지고, 너깃 단부의 P의 편석을 완화하는 효과가 더욱 높아진다. 상기 각 후 통전의 사이의 무통전의 시간은 본 통전과 후 통전의 사이의 무통전 시간(Tcr)과 마찬가지로, 즉 80ms이상 300ms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예비 통전의 통전 시간 Tp 및 전류값 Ip를 적절히 제어함으로써, 너깃 형성 전에 전극측 표면 부근 A를 충분히 연화시키고, 본 통전에 있어서, 충분한 가압력을 확보하고, 통전 경로를 넓혀, 흩어짐의 발생을 억제하면서, 안정적으로 큰 너깃 직경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예비 통전 후의 무통전 시간을 적절히 제어함으로써, 너깃 형성 전에, 전극측 표면 부근 A의 연화부를 확대시킬 수 있다.
특히, 차체 조립시에는 연속해서 수십 점∼수백 점을 용접하지만, 그 중에서 전극 선단이 손모되고, 얻어지는 너깃 직경이 점차 축소한다. 이에 대해, 본 발명을 적용함으로써, 연속해서 수백 점의 타점에서 용접을 실행하는 바와 같은 경우에 있어서도, 안정하게 큰 너깃 직경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적어도 1개의 고강도 강판을 포함하는 판 겹이음(3)의 용접에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강도 강판은 통상의 강판에 비하면, 판 간극에 기인한 흩어짐이 발생하기 쉽다. 따라서, 본 발명을 이러한 판 겹이음의 용접에 적용함으로써 본 발명의 효과를 더욱 누릴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판 겹이음 중의 적어도 1개의 강판이 인장 강도 780MPa이상을 갖는 고강도 강판인 경우에,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전술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2개의 강판(하부 강판(1), 상부 강판(2))을 중첩한 판 겹이음(3)에 대해 저항 스폿 용접을 실행하고, 저항 스폿 용접 이음매를 제작하였다. 저항 스폿 용접에 이용한 장치는 서보 모터에 의해 전극을 가압하는 C건 타입의 용접 장치이다. 또한, 전원은 직류 전원이다.
이 때의 통전은 표 1에 나타내는 조건으로 실행하였다.
또, 전극(4, 5)으로서는 선단의 곡룰 반경 R40, 선단 직경 8㎜의 알루미나 분산 동의 DR형 전극을 이용하였다.
표 1에, 용접을 실행했을 때의 너깃 직경(표 중 「직경」으로 표기)에 대해 조사한 결과를 나타낸다. 또한, 너깃 직경은 절단 단면(JIS Z 3139의 기재에 준거하고, 판의 표면에 수직이고 또한 용접점의 대략 중심을 통과하도록 절단한 단면)의 에칭 조직에서 평가하였다. 너깃 직경은 t를 판 두께로 해서 5.5√t이상을 ○, 5.5√t미만을 ×로 하였다. 또한, JIS Z 3137에 준거하고, 십자 인장 강도(CTS)를 평가하였다. 또한, 동일한 강판을 20㎜피치에서 300타점의 용접을 실행한 후에, 마찬가지로 너깃 직경을 평가하고, 그 변화를 평가하였다.
[표 1]
Figure pct00001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저항 스폿 용접을 실행한 경우에는 비교예에 비하면, 연속 타점을 실행한 후에도, 흩어짐의 발생이 없고 5.5√t이상의 큰 너깃 직경이 형성되고, 십자 인장 강도도 다른 조건에 비해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1; 하부 강판 2; 상부 강판
3; 판 겹이음 4; 하부 전극
5; 상부 전극 6; 너깃

Claims (6)

  1. 강판을 중첩한 판 겹이음을 저항 스폿 용접하는 방법으로서,
    본 통전과, 본 통전보다 전에 예비 통전과, 본 통전 후에 후 통전을 실행하고, 상기 각 통전의 사이에는 통전을 휴지하는 무통전 시간이 마련되고,
    본 통전의 전류값을 Im[kA], 통전 시간을 Tm[ms]로 하고,
    예비 통전의 전류값을 Ip[kA], 통전 시간을 Tp[ms],
    예비 통전과 본 통전의 사이의 무통전 시간을 Tcp[ms],
    후 통전의 전류값을 Ir[kA], 통전 시간을 Tr[ms],
    본 통전과 후 통전의 사이의 무통전 시간을 Tcr[ms]로 했을 때,
    이하의 식 (1)∼(6)을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항 스폿 용접 방법:
    1.05×Im≤Ip≤2.0×Im (1)
    1.05×Im≤Ir≤2.0×Im (2)
    40ms≤Tp≤100ms (3)
    40ms≤Tr≤100ms (4)
    10ms≤Tcp≤60ms (5)
    80ms≤Tcr≤300ms (6).
  2. 제 1 항에 있어서,
    이하의 식 (7) 및 식 (8)을 더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항 스폿 용접 방법:
    160ms≤Tm≤500ms (7)
    0.25≤Rpm≤0.95 (8)
    단, Rpm =(Ip/Im)2×(Tp/Tm).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예비 통전을 2회 이상 실행하고,
    각 예비 통전의 사이에는 통전을 휴지하는 무통전 시간이 마련되고,
    2회째 이후의 예비 통전을, 전회의 예비 통전의 전류값 이하의 전류값으로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항 스폿 용접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하의 식 (9)를 더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항 스폿 용접 방법.
    0.10≤Rmr≤1.50 (9)
    단, Rmr=(Ir/Im)2×(Tr/Tm).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후 통전을 2회 이상 실행하고,
    각 후 통전의 사이에는 통전을 휴지하는 무통전 시간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항 스폿 용접 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판 겹이음 중의 적어도 1개의 강판은 인장 강도 780MPa이상을 갖는 고강도 강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항 스폿 용접 방법.
KR1020187000610A 2015-07-10 2016-07-08 저항 스폿 용접 방법 KR1020101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138427 2015-07-10
JPJP-P-2015-138427 2015-07-10
PCT/JP2016/003256 WO2017010071A1 (ja) 2015-07-10 2016-07-08 抵抗スポット溶接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1319A true KR20180011319A (ko) 2018-01-31
KR102010195B1 KR102010195B1 (ko) 2019-08-12

Family

ID=577573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0610A KR102010195B1 (ko) 2015-07-10 2016-07-08 저항 스폿 용접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226083B2 (ko)
KR (1) KR102010195B1 (ko)
CN (1) CN107848062B (ko)
WO (1) WO2017010071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1320A (ko) * 2015-07-10 2018-01-31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저항 스폿 용접 방법
KR102250330B1 (ko) * 2019-11-28 2021-05-10 현대제철 주식회사 강판의 저항 점용접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26083B2 (ja) * 2015-07-10 2017-11-08 Jfeスチール株式会社 抵抗スポット溶接方法
CN111712348B (zh) * 2018-02-09 2022-04-15 杰富意钢铁株式会社 电阻点焊方法、电阻点焊接头的制造方法
JP6949764B2 (ja) * 2018-03-13 2021-10-13 日本碍子株式会社 ガスセンサの製造方法、センサ素子保護カバーの固定方法、および溶接装置
CN108971722A (zh) * 2018-07-17 2018-12-11 上海空间推进研究所 精确控制箍带电阻点焊过程特性和接头质量的工艺方法
JP7368716B2 (ja) 2019-11-07 2023-10-25 日本製鉄株式会社 抵抗スポット溶接継手の製造方法
KR102096401B1 (ko) * 2019-11-14 2020-04-03 주식회사 한강이엔지 저항 용접 방법
WO2021177254A1 (ja) * 2020-03-05 2021-09-10 Jfeスチール株式会社 抵抗スポット溶接方法および抵抗スポット溶接継手の製造方法
JP7299192B2 (ja) * 2020-04-15 2023-06-27 株式会社神戸製鋼所 抵抗溶接部材の製造方法
WO2024029626A1 (ja) * 2022-08-04 2024-02-08 日本製鉄株式会社 スポット溶接継手の製造方法及びスポット溶接継手
JP7473861B1 (ja) 2022-11-24 2024-04-24 Jfeスチール株式会社 抵抗スポット溶接方法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8726A (en) 1977-07-12 1979-02-13 Fuji Photo Film Co Ltd Lith-type silver halide photographic material
JP2003236674A (ja) 2002-02-15 2003-08-26 Mazda Motor Corp 高張力鋼板のスポット溶接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2010207909A (ja) 2009-02-12 2010-09-24 Sumitomo Metal Ind Ltd 高張力鋼板の抵抗溶接方法および抵抗溶接継手の製造方法
JP2010247215A (ja) 2009-04-20 2010-11-04 Sumitomo Metal Ind Ltd 高張力鋼板の抵抗溶接方法
JP2013086125A (ja) * 2011-10-18 2013-05-13 Jfe Steel Corp 高張力鋼板の抵抗スポット溶接方法及び抵抗スポット溶接継手
JP6226083B2 (ja) * 2015-07-10 2017-11-08 Jfeスチール株式会社 抵抗スポット溶接方法
KR101819475B1 (ko) * 2013-12-05 2018-01-17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저항 스폿 용접 방법
KR101849488B1 (ko) * 2014-05-07 2018-04-16 신닛테츠스미킨 카부시키카이샤 스폿 용접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17690B2 (en) * 2009-10-30 2017-04-11 Nippon Steel & Sumitomo Metal Corporation Flash butt welding method of rail steel
JP5789497B2 (ja) * 2011-09-05 2015-10-0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片側スポット溶接装置
ES2657122T3 (es) * 2013-04-17 2018-03-01 Nippon Steel & Sumitomo Metal Corporation Método de soldadura por puntos
CN105358284B (zh) * 2013-07-11 2018-12-14 新日铁住金株式会社 电阻点焊方法
KR101567652B1 (ko) * 2013-12-20 2015-11-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고강도강판 점용접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8726A (en) 1977-07-12 1979-02-13 Fuji Photo Film Co Ltd Lith-type silver halide photographic material
JP2003236674A (ja) 2002-02-15 2003-08-26 Mazda Motor Corp 高張力鋼板のスポット溶接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2010207909A (ja) 2009-02-12 2010-09-24 Sumitomo Metal Ind Ltd 高張力鋼板の抵抗溶接方法および抵抗溶接継手の製造方法
JP2010247215A (ja) 2009-04-20 2010-11-04 Sumitomo Metal Ind Ltd 高張力鋼板の抵抗溶接方法
JP2013086125A (ja) * 2011-10-18 2013-05-13 Jfe Steel Corp 高張力鋼板の抵抗スポット溶接方法及び抵抗スポット溶接継手
KR101819475B1 (ko) * 2013-12-05 2018-01-17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저항 스폿 용접 방법
KR101849488B1 (ko) * 2014-05-07 2018-04-16 신닛테츠스미킨 카부시키카이샤 스폿 용접 방법
JP6226083B2 (ja) * 2015-07-10 2017-11-08 Jfeスチール株式会社 抵抗スポット溶接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1320A (ko) * 2015-07-10 2018-01-31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저항 스폿 용접 방법
KR102250330B1 (ko) * 2019-11-28 2021-05-10 현대제철 주식회사 강판의 저항 점용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848062A (zh) 2018-03-27
WO2017010071A1 (ja) 2017-01-19
CN107848062B (zh) 2021-03-09
JPWO2017010071A1 (ja) 2017-07-13
JP6226083B2 (ja) 2017-11-08
KR102010195B1 (ko) 2019-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11319A (ko) 저항 스폿 용접 방법
JP5293227B2 (ja) 高強度薄鋼板の抵抗スポット溶接方法
KR101953054B1 (ko) 저항 스폿 용접 방법 및 저항 스폿 용접 조인트의 제조 방법
WO2014025063A1 (ja) 重ね合せ溶接部材、自動車用部品、重ね合せ部の溶接方法、及び、重ね合せ溶接部材の製造方法
JP5599553B2 (ja) 抵抗スポット溶接方法
JP2010115706A (ja) 高強度鋼板の抵抗スポット溶接方法
WO2015083381A1 (ja) 抵抗スポット溶接方法
JP2007268604A (ja) 抵抗スポット溶接方法
KR20190014073A (ko) 저항 스폿 용접 방법
JP5261984B2 (ja) 抵抗スポット溶接方法
JP6052480B1 (ja) 抵抗スポット溶接方法
JP2012187617A (ja) 高張力鋼板の接合体、および高張力鋼板の抵抗溶接方法
CN111770807B (zh) 电阻点焊方法和焊接部件的制造方法
KR20200037352A (ko) 저항 스폿 용접 방법 및 용접 부재의 제조 방법
JP5609966B2 (ja) 抵抗スポット溶接方法
JP6160581B2 (ja) 抵抗スポット溶接方法
KR20180011320A (ko) 저항 스폿 용접 방법
JP7115223B2 (ja) 抵抗スポット溶接継手の製造方法
JP5991444B2 (ja) 抵抗スポット溶接方法
JP6287232B2 (ja) 抵抗スポット溶接における電流波形決定方法及び抵抗スポット溶接方法
JP6969649B2 (ja) 抵抗スポット溶接方法および溶接部材の製造方法
JP2014024119A (ja) 抵抗スポット溶接方法
WO2022219968A1 (ja) 抵抗スポット溶接方法
KR20240023636A (ko) 저항 스폿 용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