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0157A - 통과 장치 및 복약 관리 장치 - Google Patents

통과 장치 및 복약 관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0157A
KR20180010157A KR1020170091537A KR20170091537A KR20180010157A KR 20180010157 A KR20180010157 A KR 20180010157A KR 1020170091537 A KR1020170091537 A KR 1020170091537A KR 20170091537 A KR20170091537 A KR 20170091537A KR 20180010157 A KR20180010157 A KR 201800101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s
passage
light
medica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15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서준
Original Assignee
박서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서준 filed Critical 박서준
Priority to PCT/KR2017/007825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8016890A1/ko
Priority to TW106133660A priority patent/TWI675785B/zh
Priority to PCT/KR2017/012014 priority patent/WO2018080239A1/ko
Publication of KR201800101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0157A/ko
Priority to PCT/KR2018/008170 priority patent/WO2019017708A1/ko
Priority to US16/632,336 priority patent/US11576842B2/en
Priority to JP2020502575A priority patent/JP2020528853A/ja
Priority to EP18835656.2A priority patent/EP3656368B1/en
Priority to CN201880048290.3A priority patent/CN110944618A/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annular, disc-shaped, or spherical or like small articles, e.g. tablets or pills
    • B65D83/0409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annular, disc-shaped, or spherical or like small articles, e.g. tablets or pills the dispensing means being adapted for delivering one article, or a single dose, upon each actuation
    • B65D83/0427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annular, disc-shaped, or spherical or like small articles, e.g. tablets or pills the dispensing means being adapted for delivering one article, or a single dose, upon each actuation the articles being dispensed by inverting the container each time, by which action movable parts may be displaced by their own we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5/00Accessories for container 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5/02Locking devices; Means for discourag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opening or removal of clo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03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for pills or tabl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1412Containers with closing means, e.g. ca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1475Inlet or outlet po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076Medicament distribut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4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4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 A61J7/0409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 A61J7/0418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with electronic history memo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4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 A61J7/0409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 A61J7/0427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with direct interaction with a dispensing or delivery system
    • A61J7/0436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with direct interaction with a dispensing or delivery system resulting from removing a drug from, or opening, a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4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 A61J7/0409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 A61J7/0427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with direct interaction with a dispensing or delivery system
    • A61J7/0445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with direct interaction with a dispensing or delivery system for preventing drug dispensing during a predetermined time perio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4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 A61J7/0409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 A61J7/0481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working on a schedule bas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16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6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powdered or granular materi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2200/00General characteristics or adaptations
    • A61J2200/30Compliance analysis for taking medic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2205/00General identification or selection means
    • A61J2205/60General identification or selection means using magnetic or electronic identifications, e.g. chips, RFID, electronic tag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통과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통과 장치는 통과작동부에 설치되어 내용물의 이동을 안내하는 통과운동부측 방향으로 전파를 방출시키는 송신부; 통과작동부에 설치되어 내용물에 반사된 전파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송신부에서 방출된 후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전파를 통해 통과작동부를 통해 토출되는 내용물을 감지하는 센싱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통과 장치 및 복약 관리 장치{CONTENTS PASSING DEVICE AND APPARATUS FOR MANAGING FOR TAKING MEDICINE}
본 발명은 내용물 통과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용 기구로부터 토출되는 내용물의 토출을 감지하고, 사용자의 정량 복약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관리하는 통과 장치 및 복약 관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화제, 비타민제, 과자류 등의 의약품, 건강보조식품 및 식품류는 고형물, 분말 또는 액상인 내용물로, 공구 및 기구 등은 고형물인 내용물(이하, "내용물"이라 함) 형태로 제조된다.
의약품 및 식품류 내용물들은 그 효능이 최대한 발휘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과용이나 중독을 막기 위해 정량 또는 필요량을 복용하게 된다.
이러한 내용물은 소정의 보관용기에 수용시킨 상태로 판매되는데, 종래의 내용물 보관용기는 다수의 내용물이 수용되는 용기 본체와, 이 용기 본체의 투입구에 개폐가능하게 결합 되는 캡을 포함하는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내용물의 복용이나 섭취를 위해서는 용기 본체로부터 캡을 개방시킨 후에 용기 본체 내에 수용된 내용물을 손바닥 또는 뚜껑 상으로 인출하여 복용하게 된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정량 배출 용기에 대해서는 국내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96798호(발명의 명칭: 알약 정량배출 캡)에 제안되어 있다.
이러한 정량 배출 용기는 사용자가 내용물 습득을 위해 매번 용기 기구와 같은 수용 기구를 기울여 내용물을 꺼내는 경우 내용물이 한꺼번에 쏟아져 나오므로 내용물을 한 개씩 또는 필요한 수요량(需要量) 만큼 꺼내기 불편한 점이 있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수용 기구로부터 정량이 토출되도록 하는 장치가 개시되었으나, 수용 기구로부터 토출되는 내용물의 양을 정확하게 감지할 수 없었으며, 그 결과 정확한 복약 지도가 이루어지기 어려운 실정이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수용 기구로부터 토출되는 내용물을 정확하게 감지하여 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정량 복약이 이루어지도록 한 내용물 통과 장치 및 복약 관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통과 장치는 통과작동부에 설치되어 내용물의 이동을 안내하는 통과운동부측 방향으로 전파를 방출시키는 송신부; 상기 통과작동부에 설치되어 내용물에 반사된 전파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송신부에서 방출된 후 상기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전파를 통해 상기 통과작동부를 통해 토출되는 내용물을 감지하는 센싱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센싱 제어부는 내용물에 의해 반사된 전파가 상기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후, 상기 수신부에 의해 전파가 다시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통과작동부에 의해 내용물이 토출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하우징의 기울기를 감지하는 기울기 센서를 더 포함하되, 상기 센싱 제어부는 상기 기울기 센서에 의해 감지된 하우징의 기울기가 기 설정된 설정 기울기 이내인지 여부에 따라 상기 통과작동부에 의해 내용물이 토출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센싱 제어부는 상기 기울기 센서에 의해 감지된 하우징의 기울기가 기 설정된 설정 기울기 이내인 상태에서, 내용물에 반사된 전파가 상기 수신부에 의해 전파가 수신되지 않으면 내용물이 토출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기울기 센서에 의해 감지된 하우징의 기울기가 기 설정된 설정 기울기를 벗어난 상태에서, 내용물에 반사된 전파가 상기 수신부에 의해 전파가 수신되지 않으면 내용물이 토출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통과 장치는 통과작동부에 설치되어 통과운동부에 구비된 운동부재의 축방향으로 광을 방출하는 발광부; 상기 발광부로부터 방출된 광을 수광하는 수광부; 및 상기 발광부로부터 방출된 광이 상기 수광부에 수광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통과작동부를 통해 이동하는 내용물을 감지하는 센싱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센싱 제어부는 상기 발광부로부터 방출된 광이 상기 수광부에 수광되지 않으면 상기 통과작동부에 의해 내용물이 통과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발광부와 상기 수광부는 상기 통과운동부를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센싱 제어부는 상기 발광부에 의해 발광된 광이 내용물에 반사되어 상기 수광부에 의해 광이 수광되지 않지 않은 상태가 된 후, 상기 수광부에 의해 다시 수광되면 상기 통과작동부에 의해 내용물이 토출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하우징의 기울기를 감지하는 기울기 센서를 더 포함하되,
상기 센싱 제어부는 상기 기울기 센서에 의해 감지된 하우징의 기울기가 기 설정된 설정 기울기 이내인지 여부에 따라 상기 통과작동부에 의해 내용물이 토출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센싱 제어부는 상기 기울기 센서에 의해 감지된 하우징의 기울기가 기 설정된 설정 기울기 이내인 상태에서, 상기 발광부에 의해 방출된 광이 내용물에 의해 반사되어 상기 수광부에 의해 광이 수광되지 않으면 내용물이 토출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기울기 센서에 의해 감지된 하우징의 기울기가 기 설정된 설정 기울기를 벗어난 상태에서, 상기 발광부에 의해 방출된 광이 내용물에 의해 반사되어 상기 수광부에 의해 광이 수광되지 않으면 내용물이 토출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통과 장치는 통과작동부에 설치되어 통과운동부에 구비된 운동부재의 축방향으로 광을 방출하는 발광부; 상기 발광부로부터 방출된 광을 수광하는 수광부; 및 상기 수광부에 수광되는 광량의 변화량에 따라 상기 통과작동부를 통해 이동하는 내용물을 감지하는 센싱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센싱 제어부는 상기 수광부에 수광되는 광량의 변화량을 기 설정된 설정 변화량과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통과작동부를 통해 이동하는 내용물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센싱 제어부는 상기 수광부에 수광되는 광량의 변화량이 상기 설정 변화량 이상이면 상기 통과작동부에 의해 내용물이 통과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발광부와 상기 수광부는 상기 통과운동부를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센싱 제어부는 상기 수광부에 의해 광량의 변화량이 기 설정된 설정 변화량 이상인 상태가 된 후, 광량의 변화량이 기 설정된 설정 변화량 이상으로 변화하기 전의 상태가 되면 상기 통과작동부에 의해 내용물이 토출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하우징의 기울기를 감지하는 기울기 센서를 더 포함하되, 상기 센싱 제어부는 상기 기울기 센서에 의해 감지된 하우징의 기울기가 기 설정된 설정 기울기 이내인지 여부에 따라 상기 통과작동부에 의해 내용물이 토출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센싱 제어부는 상기 기울기 센서에 의해 감지된 하우징의 기울기가 기 설정된 설정 기울기 이내인 상태에서, 광량의 변화량이 설정 변화량 이상인 상태가 되면 내용물이 토출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기울기 센서에 의해 감지된 하우징의 기울기가 기 설정된 설정 기울기를 벗어난 상태에서, 광량의 변화량이 기 설정된 설정 변화량 이상인 상태가 되면 내용물이 토출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통과 장치는 통과작동부에 설치되어 통과운동부에 구비된 운동부재의 축방향으로 광을 방출하는 발광부; 상기 발광부로부터 방출된 광을 수광하는 수광부; 및 상기 수광부에 수광되는 광량에 따라 상기 통과작동부를 통해 이동하는 내용물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센싱 제어부는 상기 수광부에 수광되는 광량을 기 설정된 설정 광량과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통과작동부를 통해 이동하는 내용물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센싱 제어부는 상기 수광부에 수광되는 광량이 상기 설정 광량 이하이면 상기 통과작동부에 의해 내용물이 통과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발광부와 상기 수광부는 상기 통과운동부를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센싱 제어부는 상기 수광부에 의해 수광된 광량이 기 설정된 설정 광량 이상인 상태가 된 후, 설정 광량 미만인 상태가 되면 상기 통과작동부에 의해 내용물이 토출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하우징의 기울기를 감지하는 기울기 센서를 더 포함하되, 상기 센싱 제어부는 상기 기울기 센서에 의해 감지된 하우징의 기울기가 기 설정된 설정 기울기 이내인지 여부에 따라 상기 통과작동부에 의해 내용물이 토출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센싱 제어부는 상기 기울기 센서에 의해 감지된 하우징의 기울기가 기 설정된 설정 기울기 이내인 상태에서, 광량이 설정 광량 미만인 상태가 되면 내용물이 토출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기울기 센서에 의해 감지된 하우징의 기울기가 기 설정된 설정 기울기를 벗어난 상태에서, 광량이 설정 광량 미만인 상태가 되면 내용물이 토출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복약 관리 장치는 출력부; 및 센서 모듈로부터 복약 상태 정보를 전달받고 복약 관리 서버로부터 복약 스케쥴 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복약 스케쥴 정보와 상기 복약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 대한 복약 지도 정보를 생성한 후, 상기 출력부로 출력하는 복약 안내 단말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복약 상태 정보는 내용물 정보, 내용물 감지 여부 및 내용물을 감지한 감지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복약 스케쥴 정보는 내용물 정보, 복약 시각, 복약 간격 및 내용물별 복약량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복약 안내 단말 제어부는 상기 복약 시각 및 상기 복약 간격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내용물 정보 및 내용물별 복약량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상기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복약 안내 단말 제어부는 상기 복약 스케쥴 정보와 상기 복약 상태 정보를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출력부를 통해 오복용을 경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복약 안내 단말 제어부는 상기 복약 상태 정보를 누적하여 복약 이력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복약 관리 장치는 복약 스케쥴 정보를 생성하는 복약 스케쥴 정보 생성부; 및 상기 복약 스케쥴 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복약 스케쥴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전달하는 제어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복약 스케쥴 정보는 내용물 정보, 복약 시각, 복약 간격 및 내용물별 복약량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복약 스케쥴 정보 생성부는 사용자의 처방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복약 스케쥴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통과 장치는 내용물의 토출을 정확하게 감지하고 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정량 복약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통과 장치를 구비하는 내용물 이동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통과 장치를 구비하는 내용물 이동 기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통과 장치를 구비하는 내용물 이동 기구의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통과 장치의 기울임 상태를 보인 요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통과 장치를 구비하는 내용물 이동 기구의 하우징을 기울일 시에 내용물 통과수단이 초기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통과수단이 내용물의 미는 힘에 의해 운동이 시작되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통과수단이 내용물의 미는 힘에 의해 운동하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통과수단이 내용물의 미는 힘에 의해 운동하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통과수단이 내용물이 토출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통과 장치를 구비하는 내용물 이동 기구의 사용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통과 장치를 구비하는 내용물 이동 기구의 정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통과 장치를 구비하는 내용물 이동 기구의 저면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통과 장치를 구비하는 내용물 이동 기구의 사용 후 초기 상태로 복귀하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센서부의 설치 구조의 일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통과 장치를 구비하는 내용물 이동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통과 장치를 구비하는 내용물 이동 기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통과 장치를 구비하는 내용물 이동 기구의 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통과 장치를 구비하는 내용물 이동 기구의 작동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통과 장치를 구비하는 내용물 이동 기구의 요부 작동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통과 장치를 구비하는 내용물 이동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통과 장치를 구비하는 내용물 이동 기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통과 장치를 구비하는 내용물 이동 기구의 저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통과 장치를 구비하는 내용물 이동 기구의 측단면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통과 장치의 내용물 통과수단이 내용물의 미는 힘에 의해 운동하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센서부의 설치 구조의 일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내용물의 이동을 감지하는 통과 장치의 블럭 구성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통과 장치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내용물의 이동을 감지하는 통과 장치의 블럭 구성도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통과장치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제 6실시예에 따른 내용물의 이동을 감지하는 통과 장치의 블럭 구성도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제 6실시예에 따른 통과 장치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32는 본 발명의 제 7실시예에 따른 내용물의 이동을 감지하는 통과 장치의 블럭 구성도이다.
도 33은 본 발명의 제 7실시예에 따른 통과 장치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34는 본 발명의 제 8실시예에 따른 복약 관리 장치의 블럭 구성도이다.
도 35는 본 발명의 제 8실시예에 따른 복약 관리 장치의 복약 안내 단말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36은 본 발명의 제 8실시예에 따른 복약 안내 단말의 블럭 구성도이다.
도 37은 본 발명의 제 8실시예에 따른 복약 관리 장치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38은 본 발명의 제 8실시예에 따른 복약 관리 장치를 갖는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39는 본 발명의 제 8실시예에 따른 복약 관리 장치의 통신 시스템이다.
도 40은 본 발명의 제 8실시예에 따른 복약 관리 장치의 통신 작동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과 장치 및 복약 관리 장치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작업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통과 장치를 구비하는 내용물 이동 기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통과 장치를 구비하는 내용물 이동 기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통과 장치를 구비하는 내용물 이동 기구의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통과 장치의 기울임 상태를 보인 요부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통과 장치를 구비하는 내용물 이동 기구의 하우징을 기울일 시에 내용물 통과수단이 초기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통과수단이 내용물의 미는 힘에 의해 운동이 시작되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통과수단이 내용물의 미는 힘에 의해 운동하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통과수단이 내용물의 미는 힘에 의해 운동하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통과수단이 내용물이 토출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통과 장치를 구비하는 내용물 이동 기구의 사용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통과 장치를 구비하는 내용물 이동 기구의 정단면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통과 장치를 구비하는 내용물 이동 기구의 저면 단면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통과 장치를 구비하는 내용물 이동 기구의 사용 후 초기 상태로 복귀하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센서부의 설치 구조의 일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통과 장치(100)를 구비하는 내용물 이동 기구(1)는 하우징(110), 통과작동부(120) 및 통과기구 진입부(119)를 포함한다.
하우징(110)은 내용물(5)을 저장하는 용기로서, 내측에 통과작동부(120)를 구비하고, 통과기구 진입부(119)를 형성한다.
여기서, 내용물(5)은 고형물, 분말 또는 액상 등과 같이 내용물 통과수단(123)을 통과 가능한 것으로 한다.
이때, 하우징(110)은 통과작동부(120) 이전에 해당되는 내용물(5)을 저장하는 부위인 통과 이전부(113)를 형성한다. 아울러, 하우징(110)은 내용물(5)이 통과작동부(120)를 통과한 후의 공간에 대기 수납부(115)를 형성할 수 있다.
즉, 통과 이전부(113)는 내용물을 보관하는 하우징(110) 내부의 공간이고, 대기 수납부(115)는 내용물(5)을 인출 대기하기 위한 공간 또는 개방측을 의미한다.
통과작동부(120)에 형성되는 개방부(122)를 통해 통과 이전부(113)와 대기 수납부(115)가 일부 통하고, 개방부(122)를 통해 통과 이전부(113)의 내용물(5)이 대기 수납부(115)로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통과작동부(120)는 하우징(110)의 내측에 구비되어 내용물(5)을 이동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통과작동부(120)는 내용물(5)을 정량(定量) 또는 수요량(需要量)만큼 이동을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정량'은 동일 개수나 양, 및 오차, 허용 범위 내에서 서로 다르게 이동되는 양이나 개수를 의미한다.'수요량'은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양(개수)으로서'정량'의 범주에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특히, 통과작동부(120)는 내용물 통과수단(123) 및 통과 통로부(139)를 포함한다.
내용물 통과수단(123)은 내용물(5)이 통과 이전부(113) 측에서 대기 수납부(115) 측으로 통과되도록 허용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내용물 통과수단(123)은 통과 운동부(140)를 포함한다.
통과 운동부(140)는 운동에 의한 개방으로 내용물(5)이 통과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즉, 통과 운동부(140)는 개방부재(124)에 연동되어 개방된 개방부(122)를 닫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통과 운동부(140)는 막음부재(127)와 개방부재(124)를 포함한다.
예컨대 한 개의 내용물이 정량인 일 실시예에 있어서, 한 개의 낱개 내용물(5)이 통과 통로부(139)를 전방 통과시, 다른 낱개 내용물(5)이 전방 통과 내용물(5)의 뒤에 인접하며 통과 통로부(139)를 후방 통과하고, 후방 통과 내용물(5)이 이동하며 막음부재(127)를 접촉한다.
이때, 막음부재(127)는 절곡되어 구성되고, 막음부재(127)의 막음부재 절곡부(127b)는 선형으로 꺾이거나 곡면으로 형성할 수 있다.
막음부재(127)가 절곡되는 막음부재 절곡부(127b) 각도는 수요량 외의 내용물이 통과작동부(120) 내부로 진입하지 못하도록 직각에 가까운 가파른 경사로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이외의 다양한 각도로의 절곡이 가능하다.
이 후, 막음부재(127)가 개방부(122)를 적어도 일부 막음에 따라 정량을 초과해서 내용물(5)이 개방부(122)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특히, 도 3에서처럼, 하우징(110)이 바닥에 세워진 초기 상태로서, 통과 운동부(140)의 무게 평형의 힘의 작용 또는 통과 운동부(140)가 스토퍼(129)에 의해, 개방부재(124)가 개방부(122)를 막고 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되어 있듯이, 통과 운동부(140)는 개방부재(124)의 자중에 의해 운동부재(125)를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려는 힘이 작용하지만, 스토퍼(129)가 통과 운동부(140)의 시계방향 회전을 방지한다.
일반적인 용기 보관 상태인 하우징(110)이 세워져 있는 상태에서, 개방부재(124)가 개방부(122)를 막음으로써, 공기나 먼지 등 외부 물질이 개방부(122)를 통하여 하우징(110) 내부로 들어가는 것이 억제된다.
아울러, 도 3에서처럼, 하우징(110)이 세워진(0도 회전상태) 초기 상태에서, 통과 운동부(140)는 무게 평형 상태로 이동하려는 힘의 작용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려는 우측으로 무게 쏠림 작용이 스토퍼(129)에 의해 억제되면서 무게 평형 상태(정지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특히, 통과 운동부(140)가 우측 무게 쏠림 상태인 경우, 좌측 상단의 스토퍼(129)가 통과 운동부(140)의 시계 방향 회전을 억제한다.
물론, 스토퍼(129)는 다양한 형상과 위치로 변화 가능하다.
도 3 은 세워져있는 용기 상태인 의 초기 상태에서 후술한 센서부(510)가 작동하지 않게 할 수 있다. 센서부(510)가 계속 작동되면 전원 손실이 발생하므로 전력량 감소를 위해 별도의 기울기 센서(530)를 장착하여, 이 기울기 센서(530)가 작동시 센서부(510)가 대기 상태에서 작동 상태로 전환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센서부(510)와 기울기 센서(530)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4는 하우징(110)이 내용물(5)의 통과를 안내하기 위해 기울어짐에 따른, 통과 운동부(140)의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특히, 통과 운동부(140)는 운동부재(125)를 기준(C)으로 양방향 회동(운동)된다.
또한, 도 5는 하우징(110)을 초기 상태에서 반시계방향으로 135도 기울였을 때의 통과 운동부(140)의 상태를 도시한다.
즉, 하우징(110)이 반시계방향으로 135도 기울여질 경우, 통과 운동부(140)가 위치하는 방향인 좌측(운동부재(125)를 기준으로)으로 기울었으나, 하우징(110)은 수평(-90도)를 초과하지 않음에 따라, 내용물(5)이 미끄러지지는 않는 상태가 된다.
특히, 하우징(110)의 기울기 각도는 한정하지 않는다. 아울러, 통과 운동부(140)의 회전축(125)의 수직선 하부 방향이 중력 방향을 나타낸다. 수직선(C) 기준으로, 우측 무게가 더 커서 통과 운동부(140)가 우측 방향으로 회전하려는 힘이 발생하지만, 스토퍼(129)에 의해서 실질적인 회전은 일어나지 않게 된다.
즉, 하우징(110)이 수평인 상태(-90도)에서, 수직선(C)의 우측이 더 무거워서 통과 운동부(140)가 우측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려는 힘이 발생하지만, 스토퍼(129)에 의해서 실질적인 회전은 일어나지 않는다. 따라서, 하우징(110)은 손목 축 중심으로 회전하는 만큼으로 통과 운동부(140)의 자체 회전 없이 따라 이동한다.
통과 운동부(140)는, 내용물의 중력 작용에 의한 운동에 대응하여 운동하며, 내용물이 통과하도록 통과작동부(120)를 개방한다, 통과 운동부(140)는, 통과작동부(120)가 기울어지거나 움직이는 경우, 통과 운동부(140)의 자중, 통과 운동부(140)의 관성, 내용물이 통과 운동부(140)를 누르는 힘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운동할 수 있다.
내용물을 통과시키는 통과 운동부(140)의 회전 운동은, 도 6 내지 도 8과 같이, 통과 운동부(140)의 회전 운동 중심축인 운동부 회전중심(210) 위치가 중력 방향 측인 하향 방향으로 위치하며, 통과작동부(120)가 기울어지거나 뒤집히거나 또는 흔들어지는 동작에 의한, 내용물의 중력 운동 또는 통과 운동부(140)에 대한 내용물의 운동력 전달에 의해 이루어진다.
또한, 통과 운동부(140)의 회전 운동은 내용물 통과수단(123)을 내용물의 자중으로 누름에 따른 운동력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통과 운동부(140)의 운동부 무게중심(215) 위치가, 통과 운동부(140)의 운동부 회전중심(210) 위치의 후방인, 통과 장치(100)의 외부 통과 방향의 반대 방향에 위치하여, 도 5와 같이, 통과 운동부(140)의 회전 운동 중심인 운동부 회전중심(210) 위치가 중력 방향 측인 하향 방향으로 위치하며, 통과작동부(120)가 기울어지는 경우, 운동부 무게중심(215) 위치와 운동부 회전중심(210) 위치의 차이에 의해 통과 운동부(140)의 회전 운동이 억지되거나 지연될 수 있다.
아울러, 통과 통로부(139)는 내용물 통과수단(123)으로 이동하는 내용물(5)의 이동량을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상세히, 통과 통로부(139)는 통과하는 내용물(5) 낱개의 일측 단부 길이가 타측 단부 길이와 다른 경우, 통과 통로부(139)의 내부 공간 중 최소 길이 내경(內徑)인 통로 폭 최소 내경(L1)이 내용물(5) 낱개의 단방향 중 최대 외경(外徑) 길이인 내용물 단방향 최대 외경(L2)의 두 배보다 작거나 같아서, 두 개 이상의 낱개 내용물(5)이 통과 통로부(139)에 동시에 진입 또는 통과하지 못하고, 한 번에 한 개의 낱개 내용물(5)만이 통과 통로부(139)에 진입 또는 통과 가능하게 된다.
또한, 통과 통로부(139)는 통과하는 내용물(5) 낱개의 일측 단부 길이가 타측 단부 길이와 다른 경우, 내용물(5)이 장방향 단부 길이 방향(L3)으로 통과 통로부(139)를 통과하도록 가이드한다.
내용물 통과수단(123)은 개방부재(124)에 연동되어 개방된 개방부(122)를 닫는 막음부재(127)를 포함하고, 한 개의 낱개 내용물(5)이 통과 통로부(139)를 전방 통과시, 다른 낱개 내용물(5)이 전방 통과 내용물(5)의 뒤에 인접하며 통과 통로부(139)를 후방 통과하고, 후방 통과 내용물(5)이 이동하며 막음부재(127)를 접촉하여, 막음부재(127)가 개방부(122)를 적어도 일부 막음에 따라 정량을 초과해서 내용물이 개방부(122)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낱개의 내용물(5)인 정량의 내용물(5)이 개방부재(124)가 있는 위치까지 진입하기 위해서는 내용물이 개방부재(124)에 접촉하기 이전에는, 통과 운동부(140)의 무게 평형 힘에 의하여, 도 5와 같이, 개방부재(124)는 닫힌 상태에 있고, 막음부재(127)는 열린 상태에 있게 되며, 정량의 내용물이 통과작동부(120)에 진입하기 이전까지 이와 같은 대기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정량의 내용물(5)이 개방부재(124)에 접촉하면, 도 7 내지 도 8과 같이, 개방부재(124)와 막음부재(127)는 연동되어 회전하여, 개방부재(124)는 열린 상태가 되고, 막음부재(127)는 닫힌 상태가 된다. 이때, 막음부재(127)의 닫힌 상태에 따라 정량 이외의 내용물의 개방부(122)로의 진입을 계속 막게 된다.
통과 운동부(140)는 개방부(122) 내측면에 해당되는 고정부재(121)에 회동(回動) 가능하게 구비되어, 도 3에서 도 5로 연결되어지는 순서로 통과작동부(120)를 기울이는 동작을 통해 도 6에서 도 8로 연결되어지는 순서로 개방부(122)가 개방되어 내용물(5)이 인출된 후, 도 12와 같이 통과작동부(120)를 다시 세우는 위치로 복귀시키면, 통과 운동부(140)의 무게 평형 힘에 의하여 통과 운동부(140)가, 도 3 또는 도 12와 같이, 운동부재(125)를 기준으로 막음부재(127)가 개방되는 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따라서, 복귀된 위치인 도 3에서 도 5의 순서로 통과작동부(120)가 다시 기울여지면, 또다시 인출되기 위하여 통과 운동부(140)에 처음으로 접근하는 정량 내용물이 막음부재(127)에 막힘없이 진입하여 개방부재(124)에 접촉할 수 있다. 통과 운동부(140)의 이와 같은 회동 작동에 의하여 용기 본체(110) 안에 있는 내용물이 모두 정량의 내용물 만큼씩 모두 인출될 수 있다.
통과 통로부(139)의 하부에는 내용물(5)을 통과 통로부(139)로 유입하는 이동안내부(180)를 구비한다.
특히, 이동안내부(180)의 적어도 일부는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내용물(5)이 경사진 면을 따라서 통과 통로부(139)가 위치한 곳으로 안내된다.
즉, 통과작동부(120)를 구비하는 하우징(110)이 기울어지는 경우, 내용물(5)이 이동안내부(180)의 중력 방향으로 경사진 면을 따라 이동한다.
특히, 통과작동부(120)는 개방부(122)를 가지면서, 개방부(122)가 일정 높이 솟아오르도록 형성된다.
아울러, 이동안내부(180)의 경사진 면의 적어도 일부가 곡면이면서 서서히 좁혀지게 형성됨에 따라, 내용물(5)이 좁아지는 곡면을 통해 통과작동부(120) 측으로 이동하도록 유도된다.
또한, 개방부재(124)의 운동 각도는 내용물 통과수단(123)에 구비되는 스토퍼(129)와 통과작동부(120)를 구비하는 하우징(110)에 연결되는 커버(30)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
아울러, 스토퍼(129)는 운동부재(125)에서 연장되어 개방부재(124)가 더 이상 운동되지 않고, 막음부재(127)가 개방부(122)를 완전히 막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즉, 스토퍼(129)는 내용물 통과수단(123) 또는 하우징(110)에 형성되어 개방부재(124)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통과 장치(100)를 구비하는 내용물 수용 기구(1)는 용기 기구일 수 있다.
더욱 상세히, 내용물 통과수단(123)은, 운동에 의한 개방으로 내용물(5)이 통과되도록 하는 통과 운동부(140)를 포함한다.
그리고, 통과 운동부(140)는, 내용물(5)의 통과 방향으로 운동되어 내용물(5)의 통과 공간을 형성하는 개방부재(124), 및 개방부재(124)에 연동되어 내용물(5)이 통과하지 못하거나 부분적으로만 통과하도록 개방부(122)의 적어도 일부를 막는 막음부재(127)를 포함한다.
이로 인해, 막음부재(127)는 개방부재(124)에 연동되어 개방부(122)를 적어도 일부 막음에 따라 정량을 초과하는 내용물(5)이 개방부(122)를 통과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통과작동부(120)는, 내용물을 통과시키기 위해 개방부(122)를 형성하는 고정부재(121), 및 내용물(5)이 내용물 통과수단(123) 측으로 유입 안내되도록 하는 이동안내부(180)를 포함한다.
이때, 내용물(5)은 내용물 통과수단(123)의 변형에 의해 통과되는데, 특히 개방부재(124)의 회동에 의해 통과된다.
즉, 통과작동부(120)는, 내용물(5)이 통과하기 이전에 위치하는 통과 이전부(113)와 통하는 개방부(122)를 형성하여 통과 이전부(113)에 위치한 내용물(5)이 통과되는 것을 허용한다. 특히, 내용물 통과수단(123)은, 개방부(122)를 통하여 내용물(5)을 이동시킨다.
다시 말해서, 내용물(5)의 통과 공간은 개방부재(124)의 고정되지 않은 자유단이 내용물(5)의 무게에 의한 누름, 통과작동부(120)를 구비하는 하우징(110)의 흔들림, 개방부재(124)의 자중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운동됨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통과 장치(100)는 내용물 이동 기구(1) 또는 수용 기구에 적용되어, 내용물 이동 기구(1) 또는 수용 기구의 본체로부터 개폐 가능한 개폐 기구일 수 있다.
그리고, 통과 장치(100)는 통과작동부(120)를 포함한다. 아울러, 통과작동부(120)는, 내용물 이동 기구(1) 또는 수용 기구의 본체의 통과 이전부(113)의 내용물(5)이 통과 장치(100) 측으로 이동 안내한다. 여기서, 내용물 이동 기구(1) 또는 수용 기구의 본체는 하우징(110)을 지칭할 수 있다.
아울러, 통과 운동부(140)는 운동부재(125)를 포함한다. 운동부재(125)는 개방부재(124)를 운동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다.
통과작동부(120)는, 내용물(5)이 내용물 통과수단(123)에 접촉하는 측인 통과 배출측에서 내용물(5)이 진입하는 측인 통과 진입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통과 통로부(139)를 포함한다.
그리고, 통과 통로부(139)는, 내용물(5)을 내용물 통과수단(123)으로 이동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아울러, 통과 운동부(140)는, 통과작동부(120)가 기울어지는 경우 통과 운동부(140)가 통과작동부(120)의 기울기를 초과하는 기울기로 통과작동부(120)와 함께 기울어지는 것을 억제하는 평형부(123b)를 포함할 수 있다.
개방부(122)를 통해, 개방부재(124)가 운동되어 형성되는 통과 공간의 개방 여부에 따라 내용물(5)을 통과 안내한다. 이때, 개방부재(124)는 고정부재(121)에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내용물(5)이 미끄러지는 방향인 통과 장치(100) 방향으로 통과작동부(120)가 기울어지는 경우, 통과 운동부(140)는 통과작동부(120)가 기울어지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무게 쏠림의 힘이 작용하게 되어, 개방부재(124)가 개방부재(124)의 자중에 의하여 통과작동부(120)가 기울어지는 방향으로 통과작동부(120)가 기울어지는 각도 이상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억제한다.
아울러, 평형부(123b)는 평형부(123b)의 무게 평형 상태가 내용물(5)을 통과시키기 위해 기울어지는 통과작동부(120)의 기울기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힘이 발생되도록 구성되며, 따라서 평형부(123b)의 무게 평형에 의해 개방부재(124)가 통과작동부(120)의 기울기 방향으로 젖혀지지 않고 통과작동부(120)의 기울기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려는 힘이 작용한다.
이때, 고정부재(121)는 개방부재(124)가 연결되는 통과 장치(100)의 내부 통공 공간의 내주면에 구비되거나, 또는 통과 장치(100)가 포함하는 하우징(110)의 부재일 수 있다.
특히, 내용물이 통과 방향 또는 통과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운동부재(125)의 외부 곡면 또는 개방부재(124)의 외부면에 접촉하며 이동할 때, 운동 고정부(125a)의 원주 바깥 방향으로 내용물이 저항되며 이동된다.
이때, 내용물의 운동 고정부(125a)의 원주 바깥 방향의 이동으로 인해 개방부(122)의 유효통과 공간이 좁아져서, 수요량 이외의 내용물의 통과를 막는다.
즉, 통과작동부(120)의 기울임에 따라 내용물(5)이 개방부재(124)에 접촉하면, 내용물(5)의 무게의 적어도 일부 또는 전부가 평형부(123b)에 더해져 통과작동부(120)의 기울기 방향으로 평형부(123b)의 무게 쏠림이 발생하게 되며, 이때 평형부(123b)의 개방부재(124) 측에 더해지는 내용물(5)의 무게에 의해 발생하는 통과작동부(120)의 기울기 방향으로의 무게 쏠림이 평형부(123b)가 통과작동부(120)의 기울기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려는 평형부(123b)만의 평형 상태의 위치에 도달하려는 평형 유지 힘을 초과하게 되면 평형부(123b)가 통과작동부(120)의 기울기 방향으로 회전한다.
아울러, 내용물이 운동부재(125)의 곡면인 외부면을 따라 축 반대 방향으로 밀리며 이동해서 다른 내용물이 함께 통과하는 유효 통과 공간이 없게 된다.
이때, 다른 내용물이 함께 통과하는 유효 통과 공간을 줄이는, 운동부재(125)의 외부면을 따라 곡면 등으로 형성되는 돌출되어진 구성은 바닥높이 변화부재(147)이며, 내용물이 통과하며 접하는 운동부재(125)의 바닥 높이가 상대적으로 상승되며 내용물이 통과되어지도록 개방되는 개방부(122) 공간을 좁히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적어도 개방부재(124)를 포함하는 통과 운동부(140) 또는 평형부(123b)의 무게 또는 무게 중심이, 통과작동부(120)를 구비하는 하우징이 기울어지는 경우, 필요 내용물이 개방부재(124)에 접촉하기 전에 통과 운동부(140)의 자중에 의해 회전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통과 운동부(140)의 형상이 이루어지거나 통과 운동부(140)의 구성 부재가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내용물 통과수단(123)은 운동부재(125)를 포함하는데, 운동부재(125)는 개방부재(124)를 회동 운동 가능하게 연결한다.
특히, 통과작동부(120)는, 내용물(5)을 통과시키기 위해 개방부(122)를 구비하는 고정부재(121)를 포함한다.
내용물 통과수단(123)은 개방부재(124) 및 운동부재(125)를 포함한다.
개방부재(124)는 고정부재(121)와 연결된다. 그래서, 개방부재(124)가 운동되며 개방부(122)의 개방 여부에 따라 내용물(5)을 수취 안내할 수 있다.
그리고, 운동부재(125)는 개방부재(124)를 운동 가능하게 연결한다.
따라서, 내용물(5)이 개방부재(124)를 누름시, 내용물(5)은 개방부재(124)의 젖혀짐에 따라 유입되며, 막음부재(127)는 개방부재(124)에 연동되어 개방부(122)의 적어도 일부를 막음에 따라, 수요량을 초과하는 내용물(5)이 통과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통과 운동부(140)는 내용물 이동 기구 또는 수용 기구(1)가 기울었을 때 통과 운동부(140)의 무게 중심으로 평형을 유지하려는 또는 평형이 되기 위하여 내용물 이동 기구 또는 수용 기구(1)의 기울기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려는 힘에 의해, 통과 운동부(140)가 내용물 이동 기구 또는 수용 기구(1)의 기울기를 초과하여, 더 이상 기울지 않는 평형부(123b)가 된다.
이때, 도 5에서처럼, 통과 운동부(140) 또는 평형부(123b)가 평형을 유지하거나 평형이 되기 위하여 회전하려는 힘의 방향은 내용물 이동 기구 또는 수용 기구(1)의 기울기 반대 방향으로 통과 운동부(140) 또는 평형부(123b)가 회전하려는 힘으로 발생한다. 특히, 통과 운동부(140)는 통과 운동부(140)의 무게 중심 평형을 위하여 별도의 운동제어부재(123a)를 포함할 수 있다.
운동제어부재(123a)는, 통과작동부(120)가 기울어질 때, 개방부재(124)와 운동제어부재(123a)의 무게, 또는 개방부재(124), 운동제어부재(123a) 및 개방부재(124)와 함께 운동하는 별개의 부재의 무게에 의해, 평형부(123b)의 무게 중심으로 무게 평형의 힘이 작용하며 중력 방향의 무게 중심 위치를 유지하려는 힘에 의해, 개방부재(124)가 통과작동부(120)의 기울기를 초과하는 기울기로 기울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내용물이 통과 장치(100) 방향으로 미끄러지는 방향으로 통과작동부(120)가 기울어지는 경우, 통과 운동부(140)는 통과작동부(120)가 기울어지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무게 쏠림의 힘이 작용하게 되어, 개방부재(124)가 개방부재(124)의 자중에 의하여 통과작동부(120)가 기울어지는 방향으로 통과작동부(120)가 기울어지는 각도 이상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억제하게 된다.
개방부재(124)가 포함되어 있는 평형부(123b)는 통과작동부(120)가 기울어짐에 따라 내용물이 미끄러져 내려와 개방부재(124)에 접촉하여 내용물의 무게가 통과작동부(120)가 기울어지는 방향으로 더해져 통과작동부(120)가 기울어지는 방향으로 무게 쏠림이 발생하기 이전에는, 개방부재(124)는, 내용물의 토출을 위하여 개방되는 방향으로 개방부재(124)의 자중에 의한 운동이 억제되고, 내용물이 접촉하기 이전까지 개방 대기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통과 운동부(140)는 평형부(123b)가 되며, 평형부(123b)는 평형부(123b)의 무게 평형 상태가 내용물을 통과시키기 위해 기울어지는 통과작동부(120)의 기울기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힘이 발생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평형부(123b)의 무게 평형에 의해 개방부재(124)가 통과작동부(120)의 기울기 방향으로 젖혀지지 않고 통과작동부(120)의 기울기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려는 힘이 작용하게 된다.
또한 평형부(123b)가 통과작동부(120)의 기울기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려는 힘은 고정부재(121) 또는 하우징(110)와 같은 내용물 기구의 부재에 저항되어 통과작동부(120)의 기울기 반대 방향으로 회전이 일어나지 않도록 억제될 수 있다. 따라서 평형부(123b)는 평형부(123b)의 평형 상태 방향으로 유지 또는 회전 운동하려는 힘에 의해 통과작동부(120)의 기울기 방향으로 젖혀지지 않게 되며, 고정부재(121) 또는 하우징(110)에 저항되도록 하여 평형부(123b)의 평형 상태 방향으로 유지 또는 회전 운동하려는 힘에 의한 통과작동부(120)의 기울기 반대 방향으로 회전이 억제된다.
통과작동부(120)의 기울임에 따라 내용물이 개방부재(124)에 접촉하면, 내용물의 무게의 적어도 일부 또는 전부가 평형부(123b)에 더해져 도 7 및 도 8의 좌측 방향인 통과작동부(120)의 기울기 방향으로 평형부(123b)의 무게 쏠림이 발생하게 되며, 이때 평형부(123b)의 개방부재(124) 측에 더해지는 내용물의 무게에 의해 발생하는 통과작동부(120)의 기울기 방향으로의 무게 쏠림이 평형부(123b)가 통과작동부(120)의 기울기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려는 평형부(123b) 만의 평형 상태의 위치에 도달하려는 평형 유지 힘을 초과하게 되면 평형부(123b)가 통과작동부(120)의 기울기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평형부(123b)의 회전이 고정부재(121) 또는 하우징(110)와 같은 내용물 기구의 부재와 접촉 저항되며 평형부(123b)가 통과작동부(120)의 기울기 방향으로 필요 이상으로 회전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내용물 이동 기구 또는 수용 기구(1)와 함께 통과작동부(120)가 기울어질 때, 평형부(123b) 또는 통과 운동부(140)는 평형부(123b) 또는 통과 운동부(140)의 무게 중심으로 무게 평형을 이루고자 하는 힘의 작용에 의해 평형부(123b) 또는 통과 운동부(140)가 통과작동부(120)의 기울어짐을 초과하며 기울어지지 않고, 통과작동부(120) 내에서의 위치와 기울기를 유지할 수 있다.
즉, 통과 운동부(140)는, 개방부(122)에 시소 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통과작동부(120)는, 시소 운동에 의해, 통과작동부(120)가 설정각도 이내로 기울어질 경우 초기 상태를 유지하여 개방부재(124)가 개방부(122)를 개방하지 않는다.
내용물이 통과 운동부(140)를 미는 힘 또는 내용물이 통과 운동부(140)를 미는 힘과 통과 운동부(140)의 자중에 의해 개방부(122)를 개방하며 내용물이 설정량 만큼 통과 안내된다.
설정각도는 개방부(122)를 형성한 내용물 이동 기구 또는 수용 기구(1)가 세워진 초기 상태로부터 180도를 초과하지 않는 기울기 각도로 설정될 수 있다.
통과 운동부(140)는 회전 중심인 운동부재(125)를 기준으로 좌측 또는 우측에 무게 편중 쏠림 현상에 의해 시소 운동을 할 수 있다.
통과 운동부(140)는, 개방부(122)를 형성한 내용물 이동 기구 또는 수용 기구(1)가 기울어진 대기 상태에서, 회전 중심인 운동부재(125)를 기준으로 막음부재(127) 측에 무게 편중이 되고, 막음부재(127)가 스토퍼에 걸림으로써 막음부재(127)가 개방부(122)를 막지 않고 개방하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통과 운동부(140)는, 개방부(122)를 형성한 내용물 이동 기구 또는 수용 기구(1)가 설정각도 이내로 기울어질 경우, 기울어지는 방향 반대측으로의 무게 편중으로 인해 개방부재(124)가 개방부(122)를 막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통과 운동부(140)는, 개방부(122)를 형성한 내용물 이동 기구 또는 수용 기구(1)가 기울어질 경우, 개방부(122) 측으로 유입되는 내용물의 무게가 가중되어 회전 중심인 운동부재(125)를 기준으로 회동되며 개방부(122)를 개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통과 운동부(140)는, 운동부재(125)를 기준으로 개방부(122)에서 시소 지렛대의 무게 평형 원리에 의해 왕복 회동되면서 개방부(122)를 개폐할 수 있다.
통과 운동부(140)는, 통과작동부(120)가 설정각도 이내로 회동시 자중에 의해 개방부(122)를 닫은 상태를 유지하고, 내용물의 미는 힘 또는 내용물이 통과 운동부(140)를 미는 힘과 통과 운동부(140)의 자중에 의해 개방부(122)를 순차적으로 개폐하며 내용물을 설정량 만큼 통과 안내할 수 있다.
통과 운동부(140)는, 통과작동부(120)가 기울어지는 경우, 통과 운동부(140)의 자중에 의해 통과작동부(120)의 기울임을 초과하여 기울어지는 것을 억제하는 평형부(123b)를 포함할 수 있다.
통과 운동부(140)는, 내용물의 통과 방향으로 운동되어 내용물의 통과 공간을 형성하는 개방부재(124)를 포함할 수 있다.
통과 운동부(140)는, 개방부재(124)에 연동되어 내용물이 통과하지 못하거나 부분적으로만 통과하도록 개방부(122)의 적어도 일부를 막는 막음부재(127)를 포함할 수 있다.
설정량 만큼의 내용물이 개방부재(124)에 접촉하기 전까지는 무게 평형에 의해 통과 운동부(140)의 자중에 의한 회동이 일어나지 않도록 통과작동부(120)나 내용물 통과수단(123)의 형상이 구비될 수 있다.
통과 운동부(140)는, 지렛대 운동의 무게 중심 평형 설정을 위한 운동제어부재(123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과작동부(120) 내에 구비되는 저항부재(110a)를 포함하고, 저항부재(110a)는 통과작동부(120) 내를 통과하는 내용물의 통과를 제한한다.
통과작동부(120) 내에 구비되는 저항부재(110a)를 포함하고, 저항부재(110a)는 통과작동부(120) 내를 통과하는 내용물의 통과를 제한하고, 저항부재(110a)는 막음부재(127)와 연계하여 내용물의 통과를 저항할 수 있다.
저항부재(110a)는 수요량을 초과하는 내용물의 진입이 용이하지 않도록 통과작동부(120) 내부로 돌출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운동하는 막음부재(127)와 연계하여 수요량을 초과하는 내용물의 진입을 더욱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저항부재(110a)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는데, 편의상, 저항상판부재(182)의 일부가 내측으로 오목하게 함몰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한다.
또한, 통과 운동부(140)는 수용부재(127a)를 포함한다.
수용부재(127a)는 개방부재(124)에 연동되어 개방부재(124) 방향으로 운동되며, 개방부재(124)와 함께 수요량의 내용물을 수용하며 운동한다.
아울러, 내용물(5)은 저항상판부재(182)와 저항측판부재(183)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접촉되며, 개방부(122)를 통과한 내용물의 잔류량을 제한한다.
저항상판부재(182)는 이동안내부(180)에 구비될 수 있고, 저항측판부재(183)는 저항상판부재(182)나 고정부재(121)에 연결될 수 있다.
특히, 저항측판부재(183)가 내용물(5)의 통과 방향을 향하는 고정부재(121)의 표면에 형성될 수 있지만, 개방되는 커버(30)가 구비되는 경우, 커버(30)를 개방시에 함께 이동해서 내용물을 집을 때 간섭이 되지 않도록 커버(30)에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물론, 저항상판부재(182)와 저항측판부재(183)는 내용물(5)의 통과 방향과 통과 측면 방향에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그리고, 이동안내부(180)는 내용물(5)의 유입 측에 내용물 유도부(188)를 형성한다. 내용물 유도부(188)는 내용물이 내용물 통과수단(123)으로 이동 중에 발생하는 높이 차이를 복수 이상의 단으로 나누거나 경사면으로 구성하여, 높이차가 내용물의 이동을 막지 않으며 내용물의 이동을 유도하도록 하여 통과 이전부(113)의 내용물이 통과 통로부(139)로 안정적으로 이동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내용물 유도부(188)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한편, 통과 장치(100)는 통과기구 진입부(119)를 더 포함한다.
통과기구 진입부(119)는 통과작동부(120)의 토출측으로 이동되는 내용물(5)이 하나 또는 정량 토출 안내되도록 내용물(5)의 이동 방향과 이동 상태를 설정하기 위해 하우징(110)에 형성된다.
특히, 하우징(110)은 축경부(116) 및 확경부(117)를 포함한다.
축경부(116)는 고정부재(121)를 거치하며, 내용물(5)이 이동안내부(180) 측으로 이동 안내되도록 축경 형성된다. 이때, 축경부(116)의 직경은 내용물 유도부(118)와 가이드부재(190)및 저항상판부재(182)를 따라 형성되는 원주 궤적과 유사하거나 동일한 것으로 한다.
그리고, 확경부(117)는 내용물을 초기에 설정량만큼 저장 가능하도록 축경부(117)보다 내부 공간이 크게 형성된다. 물론, 확경부(117)의 직경은 한정하지 않는다.
그리고, 통과기구 진입부(119)는 하우징(110)의 축경부(116)와 확경부(117)의 연결 부위에 형성되고, 원주 궤적을 따라 내측으로 볼록하고 곡률지게 형성된다. 그래서, 내용물(5)이 통과기구 진입부(119)를 따라 이동되며 내용물 유도부(188)와 가이드부재(190)의 내측으로 설정량씩 유입 안내된다.
물론, 통과기구 진입부(119)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내용물이 통과 통로부(139)로 유도되도록 하는 내용물 유도부(188)의 미끄럼 시작 끝단이, 본 실시예의 용기 본체인 하우징(110)의 목 부분인 축경부(116)의 내경에 근접 또는 접촉하여 위치한다. 따라서 내용물 유도부(188)의 미끄럼 시작 끝단이, 굴곡된 형상인 통과기구 진입부재(119)와 연결되게 위치하여 내용물의 이동이 원활하게 연결되어 내용물이 미끄러지며 확경부(117)에서 통과 통로부(139)로 이동 안내된다.
인젝션 블로우 용기는 용기 하우징(110)의 오프닝에 공기압이 가해지는 이유로 용기 몸통인 확경부(117)보다 좁은 목 부분인 축경부(116)가 만들어진다.
따라서, 인젝션 블로우 통인 경우에는, 통과 장치(100)에 구비되는 내용물 유도부(188)의 끝단 부위가 경사지거나 휘어지거나 단이 있는 형상으로, 용기 목(축경부,116) 내경과 용기 몸통(확경부,117) 내경을 전부 또는 부분으로 연결하도록 하여 하우징(110)을 기울여 내용물이 미끄러질 때 내용물이 통과 통로부(139)로 원활히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본 실시예와 같이 내용물 유도부(188)의 내용물 진입 부위와 확경부(117) 사이에 단차가 있는 경우 내용물 유도부(188)의 내용물 진입 부위와 확경부(117) 사이의 단차를 연결하는 형상 변화부(119)가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형상 변화부(119)는 축경부(116)와 확경부(117) 단차를 연결하여 내용물의 하우징 내의 단차에서의 공급 이동을 안내하는 통과기구 진입부이다.
또한, 본 실시예와 같이 입구가 용기 몸통보다 좁은 인젝션 블로우 통 뿐 아니라 입구가 용기 몸통보다 좁지 않은 사출 통의 경우에도, 통과 운동부(140)의 개방부재(124)의 회전 축의 작동 위치가 용기 하우징(110)의 내경에서 내부로 떨어져 위치하기 때문에, 미끄러져 이동하는 고형물 위치와 차이가 생길 수 있으며 이의 단차를 연결하기 위하여 내용물 유도부(188)의 용기 바닥 방향인 내용물 진입 부위가 경사지거나 휘어지거나 단으로 형성된다.
인젝션 블로우 통와 사출 통 모두의 경우, 개방부재(124)의 작동 위치가 용기 내경 안쪽에 위치하게 되며, 이에 따라 용기 몸통(117)으로부터 접근하는 내용물의 위치와 단 차이가 생기며 이의 단차를 연결하는 경사지거나 휘어지거나 단으로 구성되는 내용물 유도부(188)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용기 본체(하우징,110)는 인젝션 블로우 통으로서 몸체의 상부 오프닝에 공기압이 가해지는 이유로 확경부(117)보다 좁은 축경부(116) 부분이 구성되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축경부(116) 내경에 이격되어 위치하는 개방부재(124)와 축경부(116) 내경의 단차를 연결하는 내용물 유도부(188)가 구비된다.
본실시예와 같은 인젝션 블로우 용기인 경우, 단차 연결부(188)가 용기 축경부(116) 내부와 용기 몸통(117) 내부를 연결하여 내용물의 미끄러짐이 원활히 연결된다.
또한, 용기 몸통(117)보다 좁은 축경부(116)와 내용물이 보관되어 이동을 대기하는 확경부(117)를 연결하는 경사 부위인 통과기구 진입부(119)를 포함한다. 통과기구 진입부(119)는 하우징(110)이 기울어서 확경부(117)의 내용물이 내용물 유도부(188)로 이동하는 데 발생하는 단차를 연결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달리, 내용물 유도부(188) 용기 바닥 방향의 단차 시작 끝단인 단차 시작점이 축경부(116)의 내경보다 클 경우 하우징(110)으로 통과 장치(100)를 삽입하려면, 내용물 유도부(188) 단차 시작 끝단인 내용물 유도부(188)의 용기 바닥 방향 시작점을 포함하는 통과 장치(100) 하부를 먼저 수직 방향으로 삽입 후 통과 장치의 위치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고 다시 통과 장치(100)를 수직 방향으로 삽입하여야 돼서, 조립시 수직 이동 후 중간 단계인 수평 이동 후 수직 이동으로 세 단계가 필요하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와 같이 통과 장치(100)의 내용물 유도부(188)가 하우징 내경에 근접하는 내용물 유도부(188) 시작점과 가이드부재(190)가, 축경부(116) 내부에 위치하도록 하여 통과 장치(100)를 하우징(110)에 조립시 한 방향으로 직접 삽입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이는 본 실시예와 같이 확경부(117)인 용기 몸통(117)보다 축경부(116)인 용기 목(116) 부분이 작게 생산되는 블로우 용기의 특성에서 나타난다. 하우징(110)은 인젝션 블로우 통으로서 볼록한 몸통과 통과 장치(100) 주요 부위가 위치하는 축경부(116)로 구성된다.
따라서, 확경부(117) 방향인, 내용물 유도부(188)를 포함한 통과 장치(100) 하부 전체의 외경이 용기 축경부(116)의 내경보다 작도록 구성되면 용기 본체로의 조립시 중간 단계인 수평 이동 없이 통과 장치(100)가 용기 본체인 하우징(110)에 한 방향으로 한 번에 삽입되게 된다.
한편, 통과 장치(100)가 용기 본체로 조립되어 지면 상부에서 하부 방향 쪽을 지지하도록 축경부(116)의 상단 끝이 넓게 구성되거나 축경부(116) 내부에 단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용기가 기울어졌을 때 내용물 통과 디스펜서인 통과 장치(100)가 접촉되는 내용물의 무게로 인해 외부로 분리되지 않도록 통과 장치(100) 상부 외경에 돌출부가 구성되고 이에 상응하여 하우징(110)의 축경부(116) 상단에 홈이 파여 서로 삽입시 물리도록 할 수 있다.
축경부(116) 상단에 다양한 형태의 마개가 결합될 수 있다.
물론, 하우징(110)은 확경부(117)와 축경부(116)의 구분이 없이 일자로 연결되거나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즉, 하우징(110)은 동일 직경의 용기 등 다양하게 제작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초기 세워져 있는 상태에서, 통과 운동부(140)의 무게 평형의 힘에 의해, 개방부재(124)가 개방부(122)를 막고 있는 상태를 유지한다. 즉, 일측(우측)으로 회전하려는 힘이 작용시, 스토퍼(129)가 통과 운동부(140)의 일측 회전을 막는다.
그리고, 통과 운동부(140)가 위치하는 방향인 타측(좌측)으로 기울어지거나 수평을 초과하지 않아서 내용물(5)이 미끄러지지 않는 상태가 된다. 아울러, 용기(110)가 소정각도(90도 이내)로 기울어질 경우, 통과 운동부(140)의 회전중심의 수직선 하부 방향으로 중력이 작용한다. 그래서, 수직선 기준으로, 일측 무게가 더 커서 일측 방향으로 회전하려는 힘이 발생하더라도, 스토퍼(129)에 의해서 실질적인 회전이 발생되지 않는다.
하우징(110)이 수평인 상태일 경우, 임의의 수직선의 일측이 더 무거워져서 일측 방향으로 회전하려는 힘이 발생하지만, 스토퍼(129)에 의해서 실질적인 회전을 발생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통과 운동부(140)는 자체 회전이 발생되지 않는다.
아울러, 하우징(110)이 수평 이상으로 더 기울어졌을 때, 막음부재(127)가 개방된 상태로 통과 운동부(140)의 운동 없이 대기 상태가 된다. 이때, 내용물(5)이 하우징(110) 내부의 경사에 따라 중력 방향으로 미끄러지며 이동하게 된다.
특히, 하우징(110)와 가이드부재(190) 간의 단차가 있어도, 태블릿 형태의 낱개 내용물(5)은 세워지지 않고 누워져서 가이드부재(190)로 진입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하우징(110) 내부의 내용물(5) 중 첫 번째 내용물(5)이 통과 운동부(140)의 개방부재(124)와 막음부재(127) 사이에 구비되는 통과 격실부(124a)로 들어오지 않는 상태가 된다.
아울러, 납작한 형태가 아닌 장방형의 내용물(5)은 세워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가이드부재(190)의 경사를 따라 미끄러지게 된다.
이때, 하우징(110)이 90도를 초과하여 기울어지기 이전에는, 내용물(5)이 통과 운동부(140)에 접촉하지 않게 된다.
한편, 하우징(110)이 90도를 초과하여 기울어질 경우, 내용물(5)과 바닥높이 변화부재(147)와의 마찰 또는 내용물(5)에 의한 개방부재(124)를 미는 힘에 의해서, 통과 운동부(140)가 통과 격실부(124a)의 공간 내에 있는 내용물(5)과 함께 이동(회동)하게 된다.
이때, 내용물(5)의 하중과 중력 방향인 수직선의 좌측 무게가 우측 무게보다 커져서 좌측으로 무게 쏠림이 발생함에 따라(도 9 참고), 통과 운동부(140)가 회전 중심(125)을 기준으로 좌측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며 내용물(5)을 외부로 통과시킨다.
정량 내용물(5)은 외부로 나오고, 통과 운동부(140)와의 접촉하지 않아서 통과 운동부(140)는 우측 무게가 더 커서 우측으로 회전하려는 힘이 발생하지만, 남이 있는 내용물(5)이 막음부재(127)를 중력에 의해 접촉함으로써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특히, 도 5는 하우징(110)을 수평 방향 이상(-90도 이상)으로 기울인 상태를 도시한다. 이때, 막음부재(127)가 개방된 상태로 통과 운동부(140)의 운동(회동) 없이 초기 상태를 유지한다. 내용물(5)이 하우징(110)의 내부의 경사에 따라 중력 방향(C)의 힘으로 미끄러지며 이동 시작한다.
하우징(110)과 가이드부재(190) 간의 단차가 있어도 태블릿 형태의 낱개 내용물(5)은 세워지지 않고 누워져서 가이드부재(190)로 진입이 가능하게 된다. 아직 첫 번째 내용물(알,5)이 통과 운동부(140)의 개방부재(124)와 막음부재(127) 사이에 구비되는 통과 격실부(124a)로 들어오지 않은 상태가 된다.
납작한 형태의 알이 아닌 태블릿 형태의 내용물(5)은 세워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가이드부재(190)의 경사를 미끄러지며 이동한다.
통과 운동부(140)가 하우징(110)의 기울기에 의해 초기 상태를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으로 90도를 초과하여 기울인 상태이지만, 내용물(5)이 통과 운동부(140)에 접촉하지 않은 상태이며, 운동부재(125)를 기준으로 우측 무게 쏠림으로 우측 방향인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려 하지만 스토퍼(129)에 의해 억제되어 대기 상태를 유지한다.
도 5는 하우징(110)이 시계 반대 방향으로 설정 기울기, 일 예로 90도 이상으로 기울이면 알과 같은 내용물(5)이 미끄러져서 통과 장치 쪽으로 이동한다. 이때 개방부재(124)와 통과 운동부(140)는 별도 자체 회전 없이 같은 자세와 상태를 유지한다. 도 5 에서 내용물(5)이 막음부재 내측으로 이동하지 않아 내용물(5)이 센서부(510)의 수광부(420)를 가로 막지 않은 상태로 센서부(510)의 수광부(420)가 감지한 광량이 크다. 이 경우, 수신부(420)에 의해 수신되는 광량은 일 예로 80%정도로 산정될 수 있다.
도 6은 막음부재(127)가 개방된 상태에서 내용물(5)이 통과 운동부(140) 내부 공간으로 진입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통과 운동부(124)의 평형부(123b)에 내용물(5)의 자중이 더해져서, 개방부재(124) 측인 중력 수직선(C)의 좌측 부위에 무게 쏠림이 상대적으로 커지게 됨에 따라, 평형부(123b)와 내용물(5)과의 저항에 의해, 내용물(5)이 개방부재(124)와 접촉하기 위해 접근하거나 또는 개방부재(124)와 접촉하면서 통과 운동부(140)가 하우징(110)의 기울기를 초과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때, 기울어진 경사면을 따라 중력 방향으로 이동하는 내용물(5)과 평형부(123b)와의 마찰, 또는 개방부재(124)를 미는 힘에 의해서, 통과 운동부(140)가 통과 격실부(124a)의 공간 내에 있는 내용물(5)과 함께 이동한다.
도 6 에서 내용물(5)이 통과장치의 개방부재(124)에 닿으려고 이동한 상태이며, 이때 센서부(510)의 수신부(420)에 수신된 광량은 도 5 에 내용물(5)이 막음부재 내측으로 이동하지 않은 상태보다 상대적으로 적은 양의 광량으로서, 일 예로 20%로 산정될 수 있다.
도 7은 통과 운동부(140)가 초기 상태에서 운동부재(125)를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이 더욱 진행되어 막음부재(127)가 정량의 내용물(알,5) 이후에 진입하는 내용물(6)을 차단하기 시작하는 상태를 도시한다.
이때, 알약 상태인 내용물(5)의 하중과 함께 통과 운동부(140)의 중력 수직선(C)의 좌측 무게가 우측 무게보다 커져서 좌측으로의 무게 쏠림 발생하며, 통과 운동부(140)가 운동부재(125)의 회전 중심으로 좌측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며 내용물(5)을 외부로 통과시킬 수 있다.
도 7 은 알약이 밖으로 나오려고 이동하는 상태로 이때도 막음부재(124)가 완전히 차단하지는 않은 상태이다. 알약이 막힌 상태에서 발광부(410)가 일정한 광량을 송신하면, 알약이 발광부(410)에서 수광부(420)로 가는 광과 같은 매개체의 전달을 막은 상태에서 수광부(420)가 적은 양의 수신량을 수신하여 측정한다. 이때, 수광부(420)에 수광되는 광량은 일 예로 약 20% 정도로 산정될 수 있다.
도 8에서처럼, 통과 운동부(140)가 초기 상태에서 운동부재(125)를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으로 더 회전된 경우, 통과 운동부(140)를 밀었던 정량의 내용물(5)은 외부로 나오기 시작하고 통과 운동부(140)의 개방부재(124) 측과 더 이상 접촉하지 않아서 통과 운동부(140)는 중심선(C)을 기준으로 우측 무게가 더 크게 되어 우측인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려 하는 힘이 발생하지만, 남아 있는 내용물(6)이 막음부재(127)를 중력에 의해 접촉함에 따라, 밸브(100)가 우측으로 복귀하지 못하고 현 상태를 유지하며 더 이상의 내용물(5)이 통과 격실부(124a)의 공간에 진입하지 않도록 한다.
도 8 은 알약이 개방부재(124)를 젖히고 나오고 있지만 아직 완전이 외부로 나오지 않은 상태로 두번재 알약이 진입하지 않도록 막음부재가 막은 상태이다.
알약이 대부분 외부로 완전히 토출되지만, 아직은 알약이 완전히 나오지 않은 상태에서 용기 입구 부분에 걸리는 오류가 발생하는 것이 가능한 상태이다. 이때의 수광량은 일 예로 약 50% 정도로 산정될 수 있다.
이때도 알약이 상당히 나온 상태로 걸리는 경우, 수광부(420)에서 발광부(410)에서 송신된 송신량 중 많은 양이 수광부에서 감지될 수 있다. 이때의 수광량은 일 예로 약 75% 정도로 산정될 수 있다.
도 8 과 달리 두번째 알약도 막음부재를 통과하는 경우 알약 두 개가 나오거나 첫번째 알약과 두번째 알약 모두 jam 이 걸려 안나오는 상황 발생 가능하다.
도 9 는 알약이 완전히 토출된 상태이다.
수광부(420)가 알약이 없는 상태의 발광부(410)가 일정한 광을 방출하면, 알약이 막지 않은 상태에서, 알약이 막지 않는 상태의 수신량을 수광부(420)가 수신하여 측정한다. 이때 통과운동부(140)의 운동 변화로 발생하는 수신부의 수신량 변화는 보정값으로 감안되어 질 수 있다. 일 예로 이때의 수광된 광량은 약 80% 정도로 산정될 수 있다.
도 11에서처럼, 태블릿 형태의 낱개의 내용물(5)은 길이(X)가 폭(Y)과 높이(Z)보와 같거나 유사하거나, 또는 납작하지 않은 모든 형태에서, 내용물(5)이 낱개 정량일 때, 내용물 한개 폭의 1배 초과 2배 이하의 가로 폭의 공간으로 통과 통로부(139)의 공간을 구성할 수 있다.
단일 수량을 정량으로 통과시키는 경우, 가로 방향 최단 폭 길이가 내용물(5)의 단면 축 길이의 1배를 초과하고, 2배 이하의 범위에서 통과 통로부(139)의 통과 공간 허용치를 둘 수 있다. 이는 단일 수량을 초과하는 내용물(5)이 동시에 통과 통로부(139)를 통과하지 못하게 한다. 복수개 이상의 내용물(5)을 통과시키는 경우 통과 공간 허용치는 2배 이상으로 조절 가능하다.
도 12는 내용물(5) 정량이 낱개의 경우, 내용물(5) 한 개 높이 또는 폭의 최대 길이의 1배 초과 2배 미만의 세로 높이 공간으로 단일 수량을 정량으로 통과시키는 경우, 통과 통로부(139)의 세로 방향 최단 폭 길이가 내용물(5) 단면 축의 2배 이하로 통과 공간 허용치를 둘 수 있다. 이는 단일 수량을 초과하는 내용물(5)이 동시에 통과 통로부(139)를 통과하지 못하게 한다.
도 13은 통과 운동부(140)가 기울이기 이전 상태로 복귀하는 과정 중 또는 세워질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내용물(5)이 정량이 외부로 통과된 후, 하우징(110)이 시계 방향으로 운동되며 초기 상태로 복귀시, 내용물(5)은 막음부재(127)와 접촉하여 막음부재(127)를 누르고 있던 내용물(6)이 중력(C)으로 내려가며 막음부재(127)를 접촉하지 않게 되고, 통과 운동부(140)는 운동부재(125)를 기준으로 봤을 때 우측 무게 쏠림으로 우측인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스토퍼(129)가 저항하는 지점까지 회전 운동하여 초기 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막음부재(127)가 개방되는 상태로 복귀시, 다시 좌측방향으로 기울이면 통과 운동부(140)에 초기 내용물(5)이 접촉하기 이전까지 통과 운동부(140)가 회전하지 않는 통과 대기 상태가 된다.
이 후, 하우징(110)이 개방부(122) 방향으로 기울게 되면, 도 5와 같이, 내용물(5)의 정량 통과가 유도될 수 있는 준비 단계가 만족하게 된다.
도 14에서, 발광부(410)는 통과작동부(120) 또는 용기 본체(110)에 통과운동부(140) 방향으로 근접 설치되며 내용물(5)의 토출을 안내하는 통과운동부(140)에 구비된 운동부재(125)의 축방향으로 광을 방출시킨다. 발광부(410)에 의해 방출된 광은 통과운동부(140)를 통해 내용물(5)이 토출되는지 여부에 따라 내용물(5)로부터 반사되는 양 또는 데이터가 다르게 된다.
여기서, 발광부(410)의 설치 위치는 상기한 바와 같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내용물(5)의 토출을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특히, 발광부(410)는 상기한 이동안내부(180)에 돌출 형성되는 지지부(440)에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통과작동부(120)에는 발광부(410)로부터 방출된 광이 통과운동부(140)로 방출될 수 있도록 관통부(450)가 형성될 수 있다.
수광부(420)는 발광부(410) 타측의 이동안내부(180)에 설치되어 발광부(410)로부터 방출된 광을 수광한다.
수광부(420)의 설치 위치는 상기한 바와 같이 이동안내부(180)에 설치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내용물(5)의 토출을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통과작동부(120)에는 발광부(410)로부터 방출된 광이 통과운동부(140)로 방출될 수 있도록 관통부(450)가 형성된다. 이에, 발광부(410)를 통해 방출된 광은 관통부(450)를 통해 수광부(420)에 의해 수광될 수 있다.
따라서, 발광부(410)로부터 방출된 광은 관통부(450)를 통해 내용물(5)이 가로막거나 내용물(5)이 토출되는지 여부에 따라 내용물(5)에 의해 반사되거나 수광부(420)에 의해 수광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발광부(410)인 송신부에서 발송하고 수광부(420)인 수신부에 수신하는 신호 매개체는 본 실시예의 광에 한정되지 않고 자기, 전파, 온도, 압력, 진동, 기체 등을 포함한 신호 매개체이고, 이를 발신하는 송신부와 이를 수신하는 수신부로 센서부가 구성되거나, 송신부 없이 신호 매개체에서 발생된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만으로 센서부가 구성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통과 장치를 구비하는 내용물 이동 기구의 사시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통과 장치를 구비하는 내용물 이동 기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통과 장치를 구비하는 내용물 이동 기구의 단면도이며, 도 18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통과 장치를 구비하는 내용물 이동 기구의 작동도이고, 도 19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통과 장치를 구비하는 내용물 이동 기구의 요부 작동도이다.
도 15 내지 도 19에서처럼,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통과 장치(100)를 구비하는 내용물 이동 기구(1)는 하우징(110), 통과작동부(120) 및 통과기구 진입부(119)를 포함한다.
통과작동부(120)는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통과작동부(120)는 내용물(5)을 정량(定量) 또는 수요량(需要量)만큼 이동을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정량'은 동일 개수나 양, 및 오차, 허용 범위 내에서 서로 다르게 이동되는 양이나 개수를 의미한다.'수요량'은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양(개수)으로서'정량'의 범주에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환 알약이 정량으로 구성되며 통과작동부(120)를 두 개의 알약 또는 두 개의 알약 수에 가까운 허용 범위의 양으로 통과할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110)은 내용물(5)을 저장하는 용기로서, 내측에 통과작동부(120)를 구비하고, 통과기구 진입부(119)를 형성한다.
특히, 하우징(110)은 대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고정부재(121)를 거치하며, 통과기구 진입부(119)를 통해 내용물(5)이 이동안내부(180) 측으로 이동 안내한다.
이때, 통과기구 진입부(119)는 내용물 유도부(188)의 단부에 근접되는 하우징(110)의 내측면에 곡률지도록 볼록하게 돌출된다.
그래서, 하우징(110)이 기울어질 경우, 내용물(5)은 통과기구 진입부(119)를 통해 내용물 유도부(188)와 가이드부재(190)의 내측으로 설정량씩 유입 안내된다.
물론, 통과기구 진입부(119)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아울러, 내용물 유도부(188) 또는 통과작동부(120)가 통과기구 진입부(119)에 지지될 수도 있다.
인젝션 블로우 용기의 경우 통과기구 진입부(119)가 구비되지 않으면, 내용물 유도부(188)와 용기 목인 축경부(116) 내경의 단차에 더하여, 축경부(116)와 확경부(117) 간의 단차를 모두 더한 단차를 연결하는 경사가 있거나 휘어지거나 단이 있는 내용물 유도부(188)가 있어야 하지만 이러한 경우 통과 장치를 용기에 조립할 때 한 방향으로 한 번에 삽입이 가능하지 않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 1실시예와 같이, 통과 장치(100)의 내용물 유도부(188)가 하우징 내경에 근접하는 내용물 유도부(188) 시작점과 가이드부재(190)가, 축경부(116) 내부에 위치하도록 하여 통과 장치(100)를 하우징(110)에 조립시 한 방향으로 직접 삽입이 가능하다.
제 1실시예와 다른 점은 통과 장치(100)의 단차 연결부(188) 시작점이 축경부(116) 내벽이 아닌 용기 몸통인 확경부(117) 내벽에 근접하게 연결되어 축경부(용기 목)(116)가 내용물 유도부(188)의 길이를 모두 감싸지 않아도 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내용물 유도부(188)의 단차 연결부 시작점 끝단과 연결되게 위치되도록 하여, 용기 본체(110)의 확경부(117) 사이에 오목하게 굴곡된 형태인 통과기구 진입부(119)를 구비할 수 있으며, 통과기구 진입부(119)를 거쳐 내용물의 이동이 원활하게 연결되어 내용물이 미끄러지며 용기 본체(110)에서 통과 장치(100)의 통과 통로부(139)로 이동 안내된다.
본 실시예와 같이 통과 장치(100)의 내용물 유도부(188)가 하우징 내경에 근접하는 단차 연결부(188)의 용기 바닥 방향 시작점이 확경부(117) 내부에 위치하게 하고 단차 연결부의 용기 바닥 방향 시작점에 근접하여 단차 연결부를 구비하면, 내용물의 이동이 연결되어 확경부(117)로부터 단차 연결부를 거쳐 내용물 유도부(188)로의 진입이 원활하게 된다.
미설명된 도면부호는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통과 장치를 구비하는 내용물 이동 기구의 사시도이고, 도 21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통과 장치를 구비하는 내용물 이동 기구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22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통과 장치를 구비하는 내용물 이동 기구의 저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통과 장치를 구비하는 내용물 이동 기구의 측단면도이고, 도 24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통과 장치의 내용물 통과수단이 내용물의 미는 힘에 의해 운동하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며, 도 25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센서부의 설치 구조의 일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0 내지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통과 장치(100)를 구비하는 내용물 이동 기구(1)는 하우징(110), 통과작동부(120) 및 통과기구 진입부(119)를 포함한다.
통과작동부(120)는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특히, 통과작동부(120)는 내용물 통과수단(123) 및 통과 통로부(139)를 포함한다. 내용물 통과수단(123)은 내용물(5)이 통과 이전부(113) 측에서 대기 수납부(115) 측으로 통과되도록 허용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통과작동부(120)는 고정부재(121)를 포함한다.
고정부재(121)는 개방부(122)를 제외한 하우징(110)의 내용물(5)의 토출측을 막는 역할을 한다. 이때, 고정부재(121)는 하우징(110)의 내용물(5)의 토출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거나, 단순히 끼움될 수 있다.
또한, 내용물 통과수단(123)은 통과 운동부(140)를 포함한다.
통과 운동부(140)는 운동에 의한 개방으로 내용물(5)이 통과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통과 운동부(140)는 개방부재(124)에 연동되어 개방된 개방부(122)를 닫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통과 운동부(140)는 막음부재(127)와 개방부재(124)를 포함한다.
이때, 막음부재(127)는 절곡되어 구성되고, 막음부재(127)의 막음부재 절곡부(127b)는 선형으로 꺾이거나 곡면으로 형성할 수 있다.
막음부재(127)가 절곡되는 막음부재 절곡부(127b) 각도는 수요량 외의 내용물이 통과작동부(120) 내부로 진입하지 못하도록 직각에 가까운 가파른 경사로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이외의 다양한 각도로의 절곡이 가능하다.
이 후, 막음부재(127)가 개방부(122)를 적어도 일부 막음에 따라 정량을 초과해서 내용물(5)이 개방부(122)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특히, 하우징(110)이 바닥에 세워진 초기 상태로서, 통과 운동부(140)의 무게 평형의 힘의 작용 또는 통과 운동부(140)가 스토퍼(129)에 의해, 개방부재(124)가 개방부(122)를 막고 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즉, 통과 운동부(140)는 개방부재(124)의 자중에 의해 운동부재(125)를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려는 힘이 작용하지만, 스토퍼(129)가 통과 운동부(140)의 시계방향 회전을 방지한다.
아울러, 하우징(110)이 세워진(0도 회전상태) 초기 상태에서, 통과 운동부(140)는 무게 평형 상태로 이동하려는 힘의 작용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려는 우측으로 무게 쏠림 작용이 스토퍼(129)에 의해 억제되면서 무게 평형 상태(정지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특히, 통과 운동부(140)가 일측(우측) 무게 쏠림 상태인 경우, 타측(좌측) 상단의 스토퍼(129)가 통과 운동부(140)의 시계 방향 회전을 억제한다.
이때, 통과 운동부(140)가 평형을 유지하거나 평형이 되기 위하여 회전하려는 힘의 방향은 내용물 이동 기구 또는 수용 기구(1)의 기울기 반대 방향으로 통과 운동부(140)가 회전하려는 힘으로 발생한다. 특히, 통과 운동부(140)는 통과 운동부(140)의 무게 중심 평형을 위하여 별도의 운동제어부재(123a)를 포함할 수 있다.
운동제어부재(123a)는, 통과작동부(120)가 기울어질 때, 개방부재(124)와 운동제어부재(123a)의 무게 또는, 개방부재(124), 운동제어부재(123a) 및 개방부재(124)와 함께 운동하는 별개의 부재의 무게에 의해, 평형부(123b)의 무게 중심으로 무게 평형의 힘이 작용하며 중력 방향의 무게 중심 위치를 유지하려는 힘에 의해, 개방부재(124)가 통과작동부(120)의 기울기를 초과하는 기울기로 기울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내용물이 통과 장치(100) 방향으로 미끄러지는 방향으로 통과작동부(120)가 기울어지는 경우, 통과 운동부(140)는 통과작동부(120)가 기울어지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무게 쏠림의 힘이 작용하게 되어, 개방부재(142)가 개방부재(142)의 자중에 의하여 통과작동부(120)가 기울어지는 방향으로 통과작동부(120)가 기울어지는 각도 이상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억제하게 된다.
개방부재(142)가 포함되어 있는 평형부(123b)는 통과작동부(120)가 기울어짐에 따라 내용물이 미끄러져 내려와 개방부재(142)에 접촉하여 내용물의 무게가 통과작동부(120)가 기울어지는 방향으로 더해져 통과작동부(120)가 기울어지는 방향으로 무게 쏠림이 발생하기 이전에는, 개방부재(142)는, 내용물의 토출을 위하여 개방되는 방향으로 개방부재(142)의 자중에 의한 운동이 억제되고, 내용물이 접촉하기 이전까지 개방 대기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하우징(110)은 내용물(5)을 저장하는 용기로서, 내측에 통과작동부(120)를 구비하고, 통과기구 진입부(119)를 형성한다.
즉, 통과 장치(100)는 통과기구 진입부(119)를 더 포함한다.
통과기구 진입부(119)는 통과작동부(120)의 토출측으로 이동되는 내용물(5)이 하나 또는 정량 토출 안내되도록 내용물(5)의 이동 방향과 이동 상태를 설정하기 위해 하우징(110)의 통과작동부(120)에 인접한 내측면에 형성된다. 물론, 통과기구 진입부(119)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예로서, 통과기구 진입부(119)는 하우징(110)의 내측면이 개방부재(124) 측으로 갈수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그래서, 내용물(5)이 통과기구 진입부(119)의 면을 따라 통과작동부(120)의 둘레면을 통해 개방부(122) 측으로 안내된다.
이에 따라, 개방부(122)는 통과기구 진입부(119) 측으로 개방되는 공급안내진입부(310)를 형성한다. 하우징(110)이 기울어지면, 하우징(10)에 저장된 내용물(5)은 통과기구 진입부(119)를 따라 공급안내진입부(310)를 통해 자연적으로 개방부(122)로 이동되며 개방부재(124)를 밀게 된다.
결과적으로, 초기 세워져 있는 상태에서, 통과 운동부(140)의 무게 평형의 힘에 의해, 개방부재(124)가 개방부(122)를 막고 있는 상태를 유지한다. 즉, 일측(우측)으로 회전하려는 힘이 작용시, 스토퍼(129)가 통과 운동부(140)의 일측 회전을 막는다.
그리고, 통과 운동부(140)가 위치하는 방향인 타측(좌측)으로 기울어지거나 수평을 초과하지 않아서 내용물(5)이 미끄러지지 않는 상태가 된다. 아울러, 용기(110)가 소정각도(90도 이내)로 기울어질 경우, 통과 운동부(140)의 회전중심의 수직선 하부 방향으로 중력이 작용한다. 그래서, 수직선 기준으로, 일측 무게가 더 커서 일측 방향으로 회전하려는 힘이 발생하더라도, 스토퍼(129)에 의해서 실질적인 회전이 발생되지 않는다.
하우징(110)이 수평인 상태일 경우, 임의의 수직선의 일측이 더 무거워져서 일측 방향으로 회전하려는 힘이 발생하지만, 스토퍼(129)에 의해서 실질적인 회전을 발생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통과 운동부(140)는 자체 회전이 발생되지 않는다.
아울러, 하우징(110)이 수평 이상으로 더 기울어졌을 때, 막음부재(127)가 개방된 상태로 통과 운동부(140)의 운동 없이 대기 상태가 된다. 이때, 내용물(5)이 통과기구 진입부(119)를 따라 개방부(122)를 통해 중력 방향으로 미끄러지며 이동하게 된다.
하우징(110)은 내용물(5)의 토출측이 커버(30)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아울러, 하우징(110)은 통과기구 진입부(119)를 따라 개방부(122) 측으로 이동되는 내용물(5)이 개방부재(124) 방향으로 직진 이동되도록 통과기구 목부(119a)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내용물(5)은 통과기구 진입부(119) 이후의 통과기구 목부(119a) 측으로 정량만큼 이동 안내되고, 통과기구 목부(119a)를 통해 직선 이동되면서 개방부재(124)를 안정적으로 밀게 된다.
아울러, 통과기구 목부(119a)는 내용물 통과수단(123)의 개방부재(124)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내용물(5)이 개방부재(124)로 이동 가능하게 된다. 이에 따라, 통과작동부(120)는 개방부(122)를 중심에서 편심되는 위치에 배치한다.
특히, 하우징(110) 또는 통과 작동부(120)는 내용물 통과수단(123)이 무게 평형을 조절한 채 회동되며 내용물(5)의 통과를 안내 가능하도록 공간 확보를 위한 통과기구 확장부(128)를 형성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통과기구 목부(119a)에 위치한 특정한 내용물은 개방부재(124)와 일직선상에 배치된다.
또한, 커버(30)은 원터치 방식 또는 이중 분리형 방식으로 하우징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통과 작동부(120)는 커버(30)에 일체로 제작될 수도 있다.
따라서, 제 1실시예에서 도시된 사출 구조물인 통과 작동부(120)의 이동안내부가 삭제되고, 하우징(110)이 내측면에 통과기구 진입부(119) 및 통과기구 목부(119a)를 형성함에 따라, 제작단가가 저감되고, 조립성이 향상된다.
아울러, 고정부재(121)를 포함한 통과 작동부(120)가 모듈화 제작됨에 따라, 제작비가 더욱 절감될 수 있고, 내용물(5)을 충진이나 저장 후 하우징(110)의 개방측을 막는 조립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하우징(110)이 기울어진 상태에서 통과 운동부(140)는 통과 운동부(140)의 회전축(125)을 통과하는 수직축(C)을 기준으로 개방부재(124)와 막음부재(127)가 무게 중심 평형의 힘이 발생하게 되어, 최초 통과 내용물(5)이 막음부재(127)를 제외한 통과 운동부(140) 또는 개방부재(124)를 접촉 또는 미는 힘이 발생할 때까지 통과 운동부(140)는 개방부(122)를 개방하는 통과 대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막음부재(127)가 개방된 상태로 통과 운동부(140)의 운동(회동) 없이 초기 상태를 유지한다. 계속해서, 하우징(110)이 설정각도 이상으로 기울어질 경우, 내용물(5)이 하우징(110)의 내부의 통과기구 진입부(119)와 통과기구 목부(119a)를 따라 중력 방향(C)의 힘으로 미끄러지며 이동 시작한다.
특히, 하우징(110)이 설정각도 이내로 기울어질 경우, 내용물(5)이 통과 운동부(140)에 접촉하지 않은 상태이며, 운동부재(125)를 기준으로 일측 무게 쏠림으로 일측 방향으로 회전하려 하지만 스토퍼(129)에 의해 억제되어 대기 상태를 유지한다.
통과 운동부(124)의 평형부(123b)에 내용물(5)의 자중이 더해질 경우, 평형부(123b)와 내용물(5)과의 저항에 의해, 내용물(5)이 개방부재(124)와 접촉하기 위해 접근하거나 또는 개방부재(124)와 접촉하면서 통과 운동부(140)가 하우징(110)의 기울기를 초과하여 타측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때, 알약 상태인 내용물(5)의 하중, 및 통과 운동부(140)의 중력 방향에 대한 타측 무게 중심이 일측 무게 중심보다 커져서, 통과 운동부(140)는 타측으로의 무게 쏠림이 발생함에 따라, 통과 운동부(140)가 운동부재(125)의 회전 중심으로 타측 방향으로 회전하며 내용물(5)을 외부로 통과 시킬 수 있다.
이 후, 하우징(110)이 설정각도를 초과하여 기울어지거나, 또는 설정각도 이내로 기울어지더라도 내용물(5)이 개방부재(124)를 밀게 되면, 내용물 통과수단(123)의 통과 운동부(140)는 운동부재(125)를 기준으로 일방향으로 회전된다.
즉, 하우징(110)이 기울어지는 방향과, 통과 운동부가(140)가 통과 운동부(140)의 회전축(125)을 기준으로 회전되는 방향이 반대가 된다.
더욱이, 하우징(110)이 기울어지더라도, 내용물(5)이 개방부재(124)를 미는 힘이 발생하지 않는다면, 개방부재(124)가 초기 위치에서 기울어지는 하우징(110)에 의해 개방부(122)를 막을 수 있다.
물론, 하우징(110)이 설정각도를 초과하여 기울어질 경우, 내용물(5)이 개방부(122)를 통과하면서 개방부재(124)를 밀게 된다. 그래서, 개방부재(124)가 운동부재(125)를 기준으로 억지 회전되며 개방부(122)를 개방하게 된다.
연이어, 막음부재(127)가 개방부(122)를 막게 됨으로써, 개방부(122)는 개방부재(124)와 막음부재(127)에 의해 순서대로 개폐되고, 내용물(5)은 정량만큼 인출 가능하게 된다.
특히, 하우징(110)이 기울어지는 방향에 반대방향으로 세워지면, 무게 평형으로, 개방부재(124)가 개방부(122)를 막게 된다.
즉, 통과 운동부(140)는, 개방부(122)에 시소 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통과작동부(120)는, 시소 운동에 의해, 통과작동부(120)가 설정각도 이내로 기울일시 초기 상태를 유지하여 개방부재(124)가 개방부(122)를 개방하지 않는다.
내용물이 통과 운동부(140)를 미는 힘 또는 내용물이 통과 운동부(140)를 미는 힘과 통과 운동부(140)의 자중에 의해 개방부(122)를 개방하며 설정량 만큼 통과 안내된다. 설정각도는 개방부(122)를 형성한 내용물 이동 기구 또는 수용 기구(1)가 세워진 초기 상태로부터 180도를 초과하지 않는 기울기 각도로 설정될 수 있다.
통과 운동부(140)는 회전 중심인 운동부재(125)를 기준으로 좌측 또는 우측에 무게 편중 쏠림 현상에 의해 시소 운동을 할 수 있다. 통과 운동부(140)는, 개방부(122)를 형성한 내용물 이동 기구 또는 수용 기구(1)가 기울어진 대기 상태에서, 회전 중심인 운동부재(125)를 기준으로 막음부재(127) 측에 무게 편중이 되고, 막음부재(127)가 스토퍼(129)에 걸림으로써 막음부재(127)가 개방부(122)를 막지 않고 개방하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통과 운동부(140)는, 개방부(122)를 형성한 내용물 이동 기구 또는 수용 기구(1)가 설정각도 이내로 기울어질 경우, 기울어지는 방향 반대측으로의 무게 편중으로 인해 개방부재(124)가 개방부(122)를 막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25에서, 송신부(460)는 통과작동부(120)에 설치되어 내용물(5)의 토출을 안내하는 통과운동부(140)를 향해 전파를 방출시킨다. 여기서, 송신부(460)의 설치 위치는 상기한 바와 같이 통과 장치(100)에 설치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송신부(460)는 내용물(5)의 토출을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더욱이, 송신부(460)는 상기한 이동안내부(180)에 돌출 형성되는 지지부(440)에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안내부(180)에는 송신부(460)로부터 방출된 전파가 통과운동부(140)로 방출될 수 있도록 관통부(450)가 형성된다. 이에, 송신부(460)를 통해 방출된 전파는 관통부(450)를 통해 통과운동부(140) 또는 내용물(5)에 반사된다. 물론 별도의 관통부(450) 없이 송신부(460) 또는 수신부(470)가 통과운동부(140)에 노출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5에서, 송신부(460)는 통과작동부(120) 또는 용기 본체(110)에 통과운동부(140) 방향으로 근접 설치되며 내용물(5)의 토출을 안내하는 통과운동부(140)에 구비된 운동부재(125)의 축방향으로 전파를 송출한다. 송신부(460)에 의해 송신된 전파는 통과운동부(140)를 통해 내용물(5)이 토출되는 과정과 토출되는지 여부에 따라 내용물(5)로부터 반사되는 양 또는 데이터가 다르게 된다.
수신부(470)는 이동안내부(180)에 설치되어 통과운동부(140) 또는 내용물(5)에 반사된 전파를 수신한다. 수신부(470)는 송신부(460)와 인접한 위치에 나란하게 설치되거나 일체화될 수 있으며, 수신부(470)는 설치 위치는 상기한 바와 같이 통과작동부(120)의 이동안내부(180)에 설치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내용물(5)의 토출을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특히, 수신부(470)는 상기한 이동안내부(180)에 돌출 형성되는 지지부(440)에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송신부(460)로부터 방출된 전파는 통과운동부(140) 또는 내용물(5)에 의해 반사되고, 통과운동부(140) 또는 내용물(5)에 의해 반사된 전파는 다시 수신부(470)에 수신된다.
송신부(460)에서 발송하고 수신부(470)에 수신하는 신호 매개체는 본 실시예의 전파에 한정되지 않고 광, 자기, 온도, 압력, 진동, 기체 등을 포함한 신호 매개체이고, 이를 발신하는 송신부(460)와 이를 수신하는 수신부(470)로 센서부가 구성되거나, 송신부(460) 없이 신호 매개체에서 발생된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470) 만으로 센서부가 구성될 수 있다.
미설명된 도면부호는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도 26은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내용물의 이동을 감지하는 통과 장치의 블럭 구성도이고, 도 27는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통과 장치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2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내용물(5)의 토출을 감지하는 통과 장치는 센서 모듈(50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4실시예는 상기한 도 18내지 도 22에 도시된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센서 모듈(500)은 센서부(510), 기울기 센서(530) 및 센싱 제어부(430)를 포함하며, 센서부(510)는 내용물(1)이 토출되는지를 감지하는 것으로써, 송신부(460) 및 수신부(470)를 포함한다.
기울기 센서(530)는 하우징(1)의 기울기를 감지한다.
송신부(460)는 통과작동부(120)에 설치되어 내용물(5)의 토출을 안내하는 통과운동부(140)를 향해 전파를 방출시킨다. 송신부(460)에 의해 방출된 전파는 통과운동부(140)에 의해 반사되거나, 또는 통과운동부(140)에 의해 토출되는 내용물(5)에 의해 반사 또는 반응될 수 있다.
여기서, 송신부(460)의 설치 위치는 상기한 바와 같이 통과작동부(120)의 이동안내부(180)에 설치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송신부(140)는 내용물(5)의 토출을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더욱이, 송신부(460)는 상기한 이동안내부(180)에 돌출 형성되는 지지부(440)에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안내부(180)에는 송신부(460)로부터 방출된 광이 통과운동부(140)로 방출될 수 있도록 관통부(450)가 형성된다. 이에, 송신부(460)를 통해 방출된 전파는 관통부(450)를 통해 통과운동부(140) 또는 내용물(5)에 반사된다.
수신부(470)는 이동안내부(180)에 설치되어 통과운동부(140) 또는 내용물(5)에 반사된 전파를 수신한다.
수신부(470)는 송신부(460)와 인접한 위치에 나란하게 설치될 수 있는데, 수신부(470)는 설치 위치는 상기한 바와 같이 통과작동부(120)의 이동안내부(180)에 설치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내용물(5)의 토출을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특히, 수신부(470)는 상기한 이동안내부(180)에 돌출 형성되는 지지부(440)에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송신부(460)로부터 방출된 전파는 관통부(450)를 통해 통과운동부(140) 또는 내용물(5)에 의해 반사되고, 통과운동부(140) 또는 내용물(5)에 의해 반사된 전파는 다시 관통부(450)를 통해 수신부(470)에 수신된다.
센싱 제어부(430)는 기 설정된 설정주기마다 발광부(410)를 제어하여 광을 방출시키고, 수신부(470)에 의해 수신된 전파를 토대로 통과운동부(140)를 통해 토출되는 내용물(5)을 감지한다.
센싱 제어부(430)가 설정주기마다 송신부(460)를 제어하여 전파를 방출시킴으로써, 사용자가 불규칙적인 시간에 내용물(5)을 토출시키더라도 내용물(5)의 토출을 즉각적으로 검출할 수 있다. 설정주기는 조절될 수 있는데, 설정주기가 감소될수록 내용물(5)의 토출을 빠짐없이 검출할 수 있다.
하우징(110)이 내용물(5)이 토출되지 않도록 놓여진 상태에서는 통과작동부(120)에 의해 내용물(5)이 토출되지 않는다.
반면에, 하우징(110)이 기울어져 내용물(5)이 토출되는 경우에는, 내용물(5)이 통과작동부(120)를 통해 토출되므로, 송신부(460)에 의해 방출된 전파는 내용물(5)에 의해 반사되어 수신부(470)에 수신된다.
수신부(470)에 의해 전파가 수신되면, 센싱 제어부(430)는 수신부(470)에 의해 수신된 전파를 이용하여 내용물(5)을 감지한다.
또한, 센싱 제어부(430)는 내용물(5)에 의해 반사된 전파가 수신부(470)에 의해 수신된 후, 수신부(470)에 의해 다시 수신되지 않으면 통과작동부(120)에 의해 내용물(5)이 토출된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게다가, 센싱 제어부(430)는 기울기 센서(530)에 의해 감지된 하우징(1)의 기울기가 기 설정된 설정 기울기 이내인 상태에서, 수신부(470)에 의해 전파가 수신되지 않으면 내용물(5)이 토출된 것으로 판단하고, 반면에 기울기 센서(530)에 의해 감지된 하우징(1)의 기울기가 기 설정된 설정 기울기를 벗어난 상태에서, 수신부(470)에 의해 전파가 수신되지 않으면 내용물(5)이 토출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내용물(1)이 토출되는 과정에서 잼(jam) 현상 등으로 인해 내용물(5)이 토출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내용물(5)이 토출된 것으로 잘못 판단하는 경우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설정 기울기는 내용물(5)이 토출될 수 있는 하우징(1)의 기울기이다.
다음으로, 도 2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통과 장치의 동작과정을 설명한다.
도 27을 참조하면, 먼저, 센싱 제어부(430)는 송신부(460)를 제어하여 전파를 방출시킨다(S100).
송신부(410)에 의해 방출된 전파는 내용물(5)이 통과작동부(120)에 의해 내용물(5)이 토출되는지 여부에 따라 내용물(5)에 의해 반사될 수 있다.
이에, 센싱 제어부(430)는 송신부(410)로부터 방출된 전파가 수신부(470)에 의해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10).
단계(S110)에서의 판단 결과 송신부(460)로부터 방출된 전파가 수신부(470)에 의해 수신되어 내용물(5)가 감지되면, 센싱 제어부(430)는 통과작동부(120)를 통해 내용물(5)이 토출되는 것으로 판단한다(S120),
반면에 송신부(460)로부터 방출된 전파가 내용물(5)에 반사되어 수신부(470)에 의해 수신되지 않으면 센싱 제어부(430)는 통과작동부(120)를 통해 내용물(5)이 토출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한다(S130).
한편, 상기한 과정에서, 센싱 제어부(430)는 수신부(470)에 의해 전파가 수신된 후, 수신부(470)에 의해 다시 수신되지 않으면 통과작동부(120)에 의해 내용물(5)이 토출된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게다가, 센싱 제어부(430)는 기울기 센서(530)에 의해 감지된 하우징(1)의 기울기가 기 설정된 설정 기울기 이내인 상태에서, 수신부(470)에 의해 전파가 수신되지 않으면 내용물(5)이 토출된 것으로 판단하고, 반면에 기울기 센서(530)에 의해 감지된 하우징(1)의 기울기가 기 설정된 설정 기울기를 벗어난 상태에서, 수신부(470)에 의해 전파가 수신되지 않으면 내용물(5)이 토출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도 28은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내용물의 토출을 감지하는 통과 장치의 블럭 구성도이다.
도 2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내용물(5)의 토출을 감지하는 통과 장치는 센서 모듈(50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5실시예는 상기한 도 1 내지 도 12에 도시된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센서 모듈(500)은 센서부(510), 기울기 센서(530) 및 센싱 제어부(430)를 포함하며, 센서부(510)는 내용물(1)이 토출되는지를 감지하는 것으로써, 발광부(410) 및 수광부(420)를 포함한다.
기울기 센서(530)는 하우징(1)의 기울기를 감지한다.
발광부(410)는 통과작동부(120)의 이동안내부(180)에 설치되며 내용물(5)의 토출을 안내하는 통과운동부(140)에 구비된 운동부재(125)의 축방향으로 광을 방출시킨다. 발광부(410)에 의해 방출된 광은 통과운동부(140)를 통해 내용물(5)이 토출되는지 여부에 따라 내용물(5)에 반사될 수 있다. 즉, 통과운동부(140)를 통해 내용물(5)이 토출될 경우 발광부(410)에 의해 발광된 광은 내용물(5)에 의해 반사되어 수광부(420)에 수광되지 않게 되고, 통과운동부(140)를 통해 내용물(5)이 토출되지 않을 경우 타측에 형성된 수광부(420)에 수광될 수 있다.
여기서, 발광부(410)의 설치 위치는 상기한 바와 같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내용물(5)의 토출을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특히, 발광부(410)는 상기한 이동안내부(180)에 돌출 형성되는 지지부(440)에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통과작동부(120)에는 발광부(410)로부터 방출된 광이 통과운동부(140)로 방출될 수 있도록 관통부(450)가 형성된다. 이에, 발광부(410)를 통해 방출된 광은 관통부(450)를 통해 내용물(5)에 의해 반사되거나 타측의 수광부(420)에 의해 수광된다.
수광부(420)는 발광부(410) 타측의 이동안내부(180)에 설치되어 발광부(410)로부터 방출된 광을 수광한다.
수광부(420)의 설치 위치는 상기한 바와 같이 이동안내부(180)에 설치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내용물(5)의 토출을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통과작동부(120)에는 발광부(410)로부터 방출된 광이 통과운동부(140)로 방출될 수 있도록 관통부(450)가 형성된다. 이에, 발광부(410)를 통해 방출된 광은 관통부(450)를 통해 수광부(420)에 의해 수광될 수 있다.
따라서, 발광부(410)로부터 방출된 광은 관통부(450)를 통해 내용물(5)이 토출되는지 여부에 따라 내용물(5)에 의해 반사되거나 수광부(420)에 의해 수광될 수 있다.
센싱 제어부(430)는 기 설정된 설정주기마다 발광부(410)를 제어하여 광을 방출시키고, 발광부(410)로부터 방출된 광이 수광부(420)에 의해 수광되는지 여부에 따라 통과작동부(120)를 통해 토출되는 내용물(5)을 감지한다.
센싱 제어부(430)가 설정주기마다 발광부(410)를 제어하여 광을 방출시킴으로써, 사용자가 불규칙적인 시간에 내용물(5)을 토출시키더라도 내용물(5)의 토출을 즉각적으로 검출할 수 있다. 설정주기는 조절될 수 있는데, 설정주기가 감소될수록 내용물(5)의 토출을 빠짐없이 검출할 수 있다.
여기서, 하우징(110)이 내용물(5)이 토출되지 않도록 놓여진 상태에서는 통과작동부(120)에 의해 내용물(5)이 토출되지 않는다.
반면에, 하우징(110)이 기울어져 내용물(5)이 토출되는 경우에는, 내용물(5)이 통과작동부(120)를 통해 토출되므로, 발광부(410)에 의해 방출된 광은 내용물(5)에 의해 일부 또는 전부가 차단되어 수광부(420)에 수광되는 광량이 내용물(5)이 통과하지 않는 경우에 비하여 적게 된다.
이에, 수광부(420)에 의해 광이 수광되지 않거나 수광부(420)에 의해 수광되는 광량이 적으면 센싱 제어부(430)는 통과작동부(120)에 의해 내용물(5)이 이동되는 것으로 판단하고, 수광부(420)에 의해 광이 수광되면 센싱 제어부(430)는 통과작동부(120)에 의해 내용물(5)이 토출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한다.
또한, 센싱 제어부(430)는 수광부(420)에 의해 광이 수광되지 않지 않은 상태가 된 후, 수광부(420)에 의해 다시 수광되면 통과작동부(120)에 의해 내용물(5)이 토출된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게다가, 센싱 제어부(430)는 기울기 센서(530)에 의해 감지된 하우징(1)의 기울기가 기 설정된 설정 기울기 이내인 상태에서, 수광부(420)에 의해 광이 수광되지 않으면 내용물(5)이 토출된 것으로 판단하고, 반면에 기울기 센서(530)에 의해 감지된 하우징(1)의 기울기가 기 설정된 설정 기울기를 벗어난 상태에서, 수광부(420)에 의해 광이 수광되지 않으면 내용물(5)이 토출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내용물(1)이 토출되는 과정에서 잼(jam) 현상 등으로 인해 내용물(5)이 토출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내용물(5)이 토출된 것으로 잘못 판단하는 경우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설정 기울기는 내용물(5)이 토출될 수 있는 하우징(1)의 기울기이다.
또한, 센싱 제어부(430)는 수광부(420)에 의해 광이 수광되지 않지 않은 상태가 된 후, 수광부(420)에 의해 다시 수광되면 통과작동부(120)에 의해 내용물(5)이 토출된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게다가, 센싱 제어부(430)는 기울기 센서(530)에 의해 감지된 하우징(1)의 기울기가 기 설정된 설정 기울기 이내인 상태에서, 수광부(420)에 의해 광이 수광되지 않으면 내용물(5)이 토출된 것으로 판단하고, 반면에 기울기 센서(530)에 의해 감지된 하우징(1)의 기울기가 기 설정된 설정 기울기를 벗어난 상태에서, 수광부(420)에 의해 광이 수광되지 않으면 내용물(5)이 토출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내용물(1)이 토출되는 과정에서 잼(jam) 현상 등으로 인해 내용물(5)이 토출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내용물(5)이 토출된 것으로 잘못 판단하는 경우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설정 기울기는 내용물(5)이 토출될 수 있는 하우징(1)의 기울기이다.
다음으로, 도 2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통과 장치의 동작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센싱 제어부(430)는 발광부(410)를 제어하여 광을 방출시킨다(S200).
발광부(410)에 의해 방출된 광은 내용물(5)이 통과작동부(120)에 의해 내용물(5)이 토출되는지 여부에 따라 내용물(5)에 의해 차단될 수 있다.
이에, 센싱 제어부(430)는 발광부(410)로부터 방출된 광이 수광부(420)에 의해 수광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10).
단계(S210)에서의 판단 결과 발광부(410)로부터 방출된 광이 수광부(420)에 의해 수광되지 않으면, 센싱 제어부(430)는 통과작동부(120)를 통해 내용물(5)이 토출되는 것으로 판단한다(S220),
반면에 수광부(420)에 의해 광이 수광되면 센싱 제어부(430)는 통과작동부(120)를 통해 내용물(5)이 토출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한다(S230).
또한, 센싱 제어부(430)는 수광부(420)에 의해 광이 수광되지 않지 않은 상태가 된 후, 수광부(420)에 의해 다시 수광되면 통과작동부(120)에 의해 내용물(5)이 토출된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게다가, 센싱 제어부(430)는 기울기 센서(530)에 의해 감지된 하우징(1)의 기울기가 기 설정된 설정 기울기 이내인 상태에서, 수광부(420)에 의해 광이 수광되지 않으면 내용물(5)이 토출된 것으로 판단하고, 기울기 센서(530)에 의해 감지된 하우징(1)의 기울기가 기 설정된 설정 기울기를 벗어난 상태에서, 수광부(420)에 의해 광이 수광되지 않으면 내용물(5)이 토출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한 과정에서, 센싱 제어부(430)는 수광부(420)에 의해 광이 수광되지 않지 않은 상태가 된 후, 수광부(420)에 의해 다시 수광되면 통과작동부(120)에 의해 내용물(5)이 토출된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게다가, 센싱 제어부(430)는 기울기 센서(530)에 의해 감지된 하우징(1)의 기울기가 기 설정된 설정 기울기 이내인 상태에서, 수광부(420)에 의해 광이 수광되지 않으면 내용물(5)이 토출된 것으로 판단하고, 반면에 기울기 센서(530)에 의해 감지된 하우징(1)의 기울기가 기 설정된 설정 기울기를 벗어난 상태에서, 수광부(420)에 의해 광이 수광되지 않으면 내용물(5)이 토출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도 30은 본 발명의 제 6실시예에 따른 내용물의 토출을 감지하는 통과 장치의 블럭 구성도이고, 도 31은 본 발명의 제 6실시예에 따른 통과 장치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3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6실시예에 따른 내용물(5)의 토출을 감지하는 통과 장치는 센서 모듈(50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6실시예는 도 6 및 도 7의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센서 모듈(500)은 센서부(510), 기울기 센서(530) 및 센싱 제어부(430)를 포함하며, 센서부(510)는 내용물(1)이 토출되는지를 감지하는 것으로써, 발광부(410) 및 수광부(420)를 포함한다.
기울기 센서(530)는 하우징(1)의 기울기를 감지한다.
발광부(410)는 및 수광부(420)의 설치 구조는 상기한 제 5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센싱 제어부(430)는 기 설정된 설정주기마다 발광부(410)를 제어하여 광을 방출시키고, 수광부(420)에 의해 수광되는 광량의 변화량에 따라 통과작동부(120)를 통해 토출되는 내용물(5)을 감지한다.
센싱 제어부(430)가 설정주기마다 발광부(410)를 제어하여 광을 방출시킴으로써, 사용자가 불규칙적인 시간에 내용물(5)을 토출시키더라도 내용물(5)의 토출을 즉각적으로 검출할 수 있다. 설정주기는 조절될 수 있는데, 설정주기가 감소될수록 내용물(5)의 토출을 빠짐없이 검출할 수 있다.
한편, 하우징(110)이 내용물(5)이 토출되지 않도록 놓여진 상태에서는 통과작동부(120)에 의해 내용물(5)이 토출되지 않는다.
반면에, 하우징(1)이 기울어져 내용물(5)이 토출되는 경우에는, 내용물(5)이 통과작동부(120)를 통해 토출되고, 이때 발광부(410)에 의해 방출된 광은 내용물(5)에 의해 부분적으로 반사되어 수광부(420)에 수광된 광량이 변화하게 된다.
이에, 수광부(420)에 의해 수광된 광량의 변화량에 따라 센싱 제어부(430)는 통과작동부(120)를 통해 내용물(5)이 토출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즉, 센싱 제어부(430)는 수광부(420)에 의해 수광된 광량의 변화량을 기 설정된 설정 변화량과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통과작동부(120)를 통해 내용물(5)이 토출되는지를 감지하는데, 광량의 변화량이 설정 변화량 이상이면 내용물(5)이 통과작동부(120)에 의해 토출되는 것으로 판단하고, 광량의 변화량이 설정 변화량 미만이면 내용물(5)이 통과작동부(120)에 의해 토출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한다.
여기서, 설정 변화량은 내용물(5)이 통과작동부(120)에 의해 토출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는 광량의 변화량이다. 즉, 내용물(5)이 통과작동부(120)에 의해 토출하지 않을 경우 발광부(410)로부터 방출된 광이 내용물(5)에 의해 반사되지 않으므로 광량의 변화량이 매우 적다. 반면에 내용물(5)이 통과작동부(120)에 의해 토출될 경우에는 발광부(410)로부터 방출된 광이 내용물(5)에 의해 일부 또는 전체가 반사된다. 그 결과 수광부(420)에 의해 수광된 광량은 내용물(5)의 토출에 따라 변화하게 된다. 이에 내용물(5)이 통과작동부(120)에 의해 토출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는 광량의 변화량을 설정 변화량으로 사전에 설정함으로써, 내용물(5)이 통과작동부(120)를 통해 토출되었는지 여부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센싱 제어부(430)는 수광부(420)에 의해 광량의 변화량이 설정 변화량 이상인 상태가 된 후, 광량의 변화량이 설정 변화량 이상으로 변화하기 전의 상태로 되면 통과작동부(120)에 의해 내용물(5)이 토출된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게다가, 센싱 제어부(430)는 기울기 센서(530)에 의해 감지된 하우징(1)의 기울기가 기 설정된 설정 기울기 이내인 상태에서, 광량이 광량의 변화량이 설정 변화량 이상인 상태가 되면 내용물(5)이 토출된 것으로 판단하고, 반면에 기울기 센서(530)에 의해 감지된 하우징(1)의 기울기가 기 설정된 설정 기울기를 벗어난 상태에서, 광량이 광량의 변화량이 설정 변화량 이상인 상태가 되면 내용물(5)이 토출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내용물(1)이 토출되는 과정에서 잼(jam) 현상 등으로 인해 내용물(5)이 토출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내용물(5)이 토출된 것으로 잘못 판단하는 경우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설정 기울기는 내용물(5)이 토출될 수 있는 하우징(1)의 기울기이다.
도 3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6실시예에 따른 통과 장치의 동작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1을 참조하면, 먼저 센싱 제어부(430)는 발광부(410)를 제어하여 광을 방출시킨다(S300).
발광부(410)에 의해 방출된 광은 내용물(5)이 통과작동부(120)를 통해 내용물(5)이 토출되는지 여부에 따라 내용물(5)에 의해 부분 또는 전체가 차단되고 그 결과 수광부(420)에 의해 수광되는 광량은 내용물(5)의 토출에 따라 변화하게 된다.
이에, 센싱 제어부(430)는 발광부(410)로부터 방출된 광이 수광부(420)에 의해 수광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310), 판단 결과 발광부(410)로부터 방출된 광이 수광부(420)에 의해 수광되면, 수광부(420)에 의해 수광된 광량을 확인한다(S320).
수광부(420)에 의해 수광된 광량이 확인됨에 따라, 센싱 제어부(430)는 광량을 설정 변화량과 비교하여 광량이 설정 변화량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330).
단계(S330)에서의 판단 결과 광량이 설정 변화량 이상이면 센싱 제어부(430)는 통과작동부(120)에 의해 내용물(5)이 토출되는 것으로 판단하고(S340), 반면에 광량이 설정 변화량 미만이면 센싱 제어부(430)는 통과작동부(120)에 의해 내용물(5)이 토출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한다(S350).
한편, 상기한 과정에서, 센싱 제어부(430)는 수광부(420)에 의해 광량의 변화량이 설정 변화량 이상인 상태가 된 후, 광량이 광량의 변화량이 설정 변화량 이상인 상태가 되면 통과작동부(120)에 의해 내용물(5)이 토출된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게다가, 센싱 제어부(430)는 기울기 센서(530)에 의해 감지된 하우징(1)의 기울기가 기 설정된 설정 기울기 이내인 상태에서, 광량이 광량의 변화량이 설정 변화량 이상인 상태가 되면 내용물(5)이 토출된 것으로 판단하고, 반면에 기울기 센서(530)에 의해 감지된 하우징(1)의 기울기가 기 설정된 설정 기울기를 벗어난 상태에서, 광량이 광량의 변화량이 설정 변화량 이상인 상태가 되면 내용물(5)이 토출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도 32는 본 발명의 제 7실시예에 따른 내용물의 토출을 감지하는 통과 장치의 블럭 구성도이고, 도 33은 본 발명의 제 7실시예에 따른 통과 장치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3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7실시예에 따른 내용물(5)의 토출을 감지하는 통과 장치는 센서 모듈(50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7실시예는 도 6 내지 도 7의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센서 모듈(500)은 센서부(510), 기울기 센서(530) 및 센싱 제어부(430)를 포함하며, 센서부(510)는 내용물(1)이 토출되는지를 감지하는 것으로써, 발광부(410) 및 수광부(420)를 포함한다.
기울기 센서(530)는 하우징(1)의 기울기를 감지한다.
발광부(410)는 및 수광부(420)의 설치 구조는 상기한 제 5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센싱 제어부(430)는 기 설정된 설정주기마다 발광부(410)를 제어하여 광을 방출시키고, 수광부(420)에 의해 수광되는 광량에 따라 통과작동부(120)를 통해 토출되는 내용물(5)을 감지한다.
센싱 제어부(430)가 설정주기마다 발광부(410)를 제어하여 광을 방출시킴으로써, 사용자가 불규칙적인 시간에 내용물(5)을 토출시키더라도 내용물(5)의 토출을 즉각적으로 검출할 수 있다. 설정주기는 조절될 수 있는데, 설정주기가 감소될수록 내용물(5)의 토출을 빠짐없이 검출할 수 있다.
한편, 하우징이 내용물(5)이 토출되지 않도록 놓여진 상태에서는 통과작동부(120)에 의해 내용물(5)이 토출되지 않는다.
반면에, 하우징이 기울어져 내용물(5)이 토출되는 경우에는, 내용물(5)이 통과작동부(120)를 통해 토출되고, 이때 발광부(410)에 의해 방출된 광은 내용물(5)에 의해 부분적으로 반사되어 수광부(420)에 수광된 광량은 감소하게 된다.
이에, 센싱 제어부(430)는 수광부(420)에 의해 수광된 광량에 따라 통과작동부(120)를 통해 내용물(5)이 토출되는지를 판단한다.
즉, 센싱 제어부(430)는 수광부(420)에 의해 수광된 광량을 기 설정된 설정 광량과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통과작동부(120)를 통해 내용물(5)의 토출을 감지하는데, 광량이 설정 광량 이하이면 내용물(5)이 통과작동부(120)에 의해 토출되는 것으로 판단하고, 광량의 변화량이 설정 광량을 초과하면 내용물(5)이 통과작동부(120)에 의해 토출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한다.
여기서, 설정 광량은 내용물(5)이 통과작동부(120)에 의해 토출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는 광량이다. 즉, 내용물(5)이 통과작동부(120)에 의해 토출되지 않을 경우 발광부(410)로부터 방출된 광이 내용물(5)에 의해 반사되지 않으므로 광량은 매우 많다. 반면에 내용물(5)이 통과작동부(120)에 의해 토출될 경우에는 발광부(410)로부터 방출된 광이 내용물(5)에 의해 일부 또는 전체가 반사되고, 그 결과 수광부(420)에 의해 수광된 광량은 내용물(5)이 토출되기 전에 비해 감소하게 된다. 이에 내용물(5)이 통과작동부(120)에 의해 토출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는 광량을 설정 광량으로 사전에 설정함으로써, 내용물(5)이 통과작동부(120)에 의해 토출되었는지 여부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센싱 제어부(430)는 수광부(420)에 의해 수광된 광량이 설정 광량 이상인 상태가 된 후, 광량이 설정 광량 미만인 상태가 되면 통과작동부(120)에 의해 내용물(5)이 토출된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게다가, 센싱 제어부(430)는 기울기 센서(530)에 의해 감지된 하우징(1)의 기울기가 기 설정된 설정 기울기 이내인 상태에서, 광량이 설정 광량 미만인 상태가 되면 내용물(5)이 토출된 것으로 판단하고, 반면에 기울기 센서(530)에 의해 감지된 하우징(1)의 기울기가 기 설정된 설정 기울기를 벗어난 상태에서, 광량이 설정 광량 미만인 상태가 되면 내용물(5)이 토출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내용물(1)이 토출되는 과정에서 잼(jam) 현상 등으로 인해 내용물(5)이 토출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내용물(5)이 토출된 것으로 잘못 판단하는 경우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설정 기울기는 내용물(5)이 토출될 수 있는 하우징(1)의 기울기이다.
도 3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7실시예에 따른 통과 장치의 동작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3을 참조하면, 먼저 센싱 제어부(430)는 발광부(410)를 제어하여 광을 방출시킨다(S400).
발광부(410)에 의해 방출된 광은 내용물(5)이 통과작동부(120)에 의해 내용물(5)이 토출되는지 여부에 따라 내용물(5)에 의해 부분 또는 전체가 차단되고 그 결과 수광부(420)에 의해 수광되는 광량은 내용물(5)의 토출에 따라 감소하게 된다.
이에, 센싱 제어부(430)는 발광부(410)로부터 방출된 광이 수광부(420)에 의해 수광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410), 판단 결과 발광부(410)로부터 방출된 광이 수광부(420)에 의해 수광되면, 수광부(420)에 의해 수광된 광량이 설정 광량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420).
단계(S420)에서의 판단 결과 광량이 설정 광량 이하이면 센싱 제어부(430)는 통과작동부(120)에 의해 내용물(5)이 토출되는 것으로 판단하고(S430), 반면에 광량이 설정 광량을 초과하면 센싱 제어부(430)는 통과작동부(120)에 의해 내용물(5)이 토출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한다(S440).
한편, 상기한 과정에서 센싱 제어부(430)는 수광부(420)에 의해 광량이 설정 광량 이상인 상태가 된 후, 광량이 설정 광량 미만인 상태가 되면 통과작동부(120)에 의해 내용물(5)이 토출된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게다가, 센싱 제어부(430)는 기울기 센서(530)에 의해 감지된 하우징(1)의 기울기가 기 설정된 설정 기울기 이내인 상태에서, 광량이 설정 광량 미만인 상태가 되면 내용물(5)이 토출된 것으로 판단하고, 반면에 기울기 센서(530)에 의해 감지된 하우징(1)의 기울기가 기 설정된 설정 기울기를 벗어난 상태에서, 광량이 설정 광량 미만인 상태가 되면 내용물(5)이 토출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참고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통과 장치를 통과하는 내용물의 통과 여부를 판단하는 센서부는 거리 센서, 속도 센서, 자기 센서, 비전 센서, 가속도 센서, 각속도 센서, 회전 센서, 적외선 센서, 온도 센서, 초음파 센서, 온도 센서, 터치 센서, 경사도 센서, 하중 센서, 압력 센서, 텐션 센서, 진동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센서부(510)는 송신부(460)와 수신부(470)의 송수신 매체를 일측 또는 양측에 배치되어 기구가 운동하는 통과 운동부(140)에 접촉하지 않고 내용물(5)의 통과를 감지하는 방식으로 측정하거나, 통과 장치의 회전 또는 운동 여부를 통과 운동부(140)와 접촉하여 통과 운동부(140)의 물리적 회전 작동을 감지하는 것도 포함한다할 것이다.
게다가, 기울기 센서(530)가 설정 기울기 이상이 되면, 센싱 제어부(430)가 센서부(510)를 제어하여 내용물(5)의 토출을 감지하는데 필요한 전력 소모를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한다.
도 34는 본 발명의 제 8실시예에 따른 복약 관리 장치의 블럭 구성도이고, 도 35는 본 발명의 제 8실시예에 따른 복약 관리 장치의 복약 안내 단말의 블록 구성도이고, 도 36은 본 발명의 제 8실시예에 따른 복약 안내 단말의 블럭 구성도이며, 도 37은 본 발명의 제 8실시예에 따른 복약 관리 장치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며, 도 38은 본 발명의 제 8실시예에 따른 복약 관리 장치를 갖는 하우징의 사시도이고, 도 39는 본 발명의 제 8실시예에 따른 복약 관리 장치의 통신 시스템이며, 도 40은 본 발명의 제 8실시예에 따른 복약 관리 장치의 통신 작동도이다.
도 34 내지 도 4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8실시예에 따른 복약 관리 장치는 센서 모듈(500), 복약 안내 단말(600) 및 복약 관리 서버(700)를 포함한다.
센서 모듈(500)은 통과작동부(120)에 의해 배출되는 내용물(5)을 감지한다. 센서 모듈(500)에서, 내용물(5)의 토출을 감지하는 방식은 상기한 실시예에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센서 모듈(500)의 센싱 제어부(430)은 내용물(5)이 감지되고 그 감지 결과에 따라 복약 상태 정보를 생성하여 복약 안내 단말(600)로 전달한다.
센싱 제어부(430)는 내용물(5)의 감지 결과를 기반으로 복약 상태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복약 상태 정보를 복약 안내 단말(600)로 전달한다.
복약 상태 정보에는 내용물(5)의 정보, 내용물(5)의 감지 여부 및 내용물(5)을 감지한 감지 시간 정보 등이 포함된다. 내용물(5)의 정보는 센싱 제어부(430) 등에 사전에 설정될 수 있으며, 내용물(5)의 감지 여부 및 감지 시간은 센서부(510)의 내용물(5)의 감지 여부에 따라 실시간으로 검출될 수 있다.
도 35를 참조하면, 복약 안내 단말(600)은 센서 모듈(500)로부터 복약 상태 정보를 전달받고 복약 관리 서버(700)로부터 복약 스케줄 정보를 전달받으며, 이 복약 스케줄 정보와 복약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복약 관리 정보를 생성한 후, 생성된 복약 관리 정보를 출력한다.
복약 스케줄 정보에는 내용물(5)의 정보, 복약 시각, 복약 간격 및 내용물(5)별 복약량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포함된다. 이러한 복약 스케줄 정보는 의사 또는 약사 등의 처방전을 바탕으로 복약 관리 서버(700)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복약 안내 단말(600)은 스마트 단말, 컴퓨터, 노트북, 고정 단말, 및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이 채용될 수 있다. 고정 단말로는 복약기 등이 채용될 수 있다.
복약 안내 단말(600)은 입력부(610), 출력부(620) 및 복약 안내 단말 제어부(630)를 포함한다.
입력부(610)는 사용자로부터 각종 정보 및 제어명령을 입력받는다. 입력부(610)를 통해 입력되는 정보 및 제어명령에는 사용자 정보,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명령, 메뉴 설정 명령 등과 같이, 복약 안내 단말(600)의 이용과 동작 및 설정에 대한 정보와 제어명령이 모두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입력부(610)로는 기계식 버튼이나 터치스크린 등이 채용될 수 있다.
출력부(620)는 복약 안내 단말 제어부(630)의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각종 정보를 출력한다. 이러한 정보에는 복약 상태 정보, 복약 스케줄 정보, 복약 관리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출력부(620)는 영상 또는 음성을 통해 내용물(5)의 오복용을 경고한다.
이러한 출력부(620)는 상기한 정보 또는 경고를 영상 또는 음성으로 각각 출력하는 영상 출력부와 음성 출력부를 모두 포함한다.
복약 안내 단말 제어부(630)는 센서 모듈(500)로부터 복약 상태 정보를 전달받고 복약 관리 서버(700)로부터 복약 스케줄 정보를 전달받아 복약 스케줄 정보와 복약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 대한 복약 관리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복약 관리 정보를 출력부(620)를 통해 출력한다.
즉, 복약 안내 단말 제어부(630)는 센서 모듈(500)로부터 복약 상태 정보가 전달되고 복약 관리 서버(700)로부터 복약 스케줄 정보가 전달되면, 복약 상태 정보와 복약 스케줄 정보를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복약 관리 정보를 생성하고 출력한다. 이 경우, 복약 안내 단말 제어부(630)는 내용물의 오복용을 출력부(620)를 통해 경고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오복용에는 내용물(5)을 정해진 용량을 복용하지 않는 것, 내용물(5)을 정해진 복약 시간에 복약하지 않는 것, 내용물(5)을 복약하지 않는 것 등과 같이 내용물(5)을 복용하지 않거나 정해진 처방전에 따라 복약하지 않는 것이 모두 포함된다.
한편, 복약 상태 정보에는 내용물(5)의 정보, 내용물(5)의 감지 여부 및 내용물(5)을 감지한 감지 시간 정보가 포함되고, 복약 스케줄 정보는 내용물(5)의 정보, 복약 시각, 복약 간격 및 내용물(5)별 복약량이 포함되는 바, 복약 안내 단말 제어부(630)는 이들 정보를 비교 분석하여 사용자의 내용물(5)에 대한 오복용 여부를 체크하고, 내용물(5)을 정확하게 복용할 수 있도록 관리하는 복약 관리 정보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예를 들어, 복약 안내 단말 제어부(630)는 사용자가 복약 시간에 내용물(5)을 복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정해진 복약 시간에 내용물(5)을 복약하도록 안내하는 문자나 음성을 출력하고, 정해진 복용량을 복약하지 않을 경우에는 정해진 복용량을 복약하도록 안내하는 문자나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복약 안내 단말 제어부(630)는 상기한 바와 같이 복약 관리 서버(700)로부터 복약 스케줄 정보가 전달되면, 복약 시각 및 복약 간격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내용물(5)의 정보 및 내용물(5)별 복약량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출력부(620)를 통해 출력한다.
즉, 복약 안내 단말 제어부(630)는 복약 시간 또는 복약 간격을 체크하여 사용자가 내용물(5)을 복약할 복약 시간이 도래하면, 출력부(620)를 통해 복약하여야할 내용물(5)의 정보 및 해당 내용물(5)의 복약량을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해당 내용물(5)을 정확한 시간에 정량 복약할 수 있도록 한다.
게다가, 복약 안내 단말 제어부(630)는 상기한 바와 같이 복약 상태 정보를 센서 모듈(500)로부터 전달받으면 이 복약 상태 정보를 누적 저장하고, 이 복약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복약 이력 정보를 생성한다. 복약 이력 정보에는 복약한 날짜와 시간, 내용물(5) 및 복용량 등이 포함된다.
이후, 복약 안내 단말 제어부(630)는 입력부(610)로부터 입력된 제어명령에 따라 복약 이력 정보, 예를 들어 복약한 날짜와 시간, 내용물(5) 및 복용량 등을 출력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자신이 복약한 시간과 내용물(5) 및 복용량 등을 시간적 순서에 따라 손쉽게 인지할 수 있다.
복약 관리 서버(700)는 의사 또는 약사 등의 단말로부터 처방전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한 처방전 정보를 이용하여 복약 스케줄 정보를 생성한 후, 생성된 복약 스케줄 정보를 복약 안내 단말(600)로 전달한다.
이러한 복약 관리 서버(700)는 처방전 정보 수집부(710), 복약 스케줄 정보 생성부(720), 및 제어 서버(730)를 포함한다.
처방전 정보 수집부(710)는 의사 또는 약사 등의 단말로부터 각 사용자별로 처방전 정보를 수집한다.
복약 스케줄 정보 생성부(720)는 처방전 정보 수집부(710)에 의해 수집된 처방전 정보를 이용하여 각 사용자별로 복약 스케줄 정보를 생성 및 갱신한다.
제어 서버(730)는 처방전 정보 수집부(710)를 제어하여 의사 또는 약사 등의 단말(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처방전 정보를 수집한다. 이후, 제어 서버(730)는 복약 스케줄 정보 생성부(720)를 제어하여 복약 스케줄 정보를 생성한다.
이와 같이 복약 스케줄 정보가 생성되면, 제어 서버(730)는 해당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를 검출하고, 이 사용자 정보, 예를 들어 연락처 정보를 바탕으로 해당 사용자의 복약 안내 단말(600)로 복약 스케줄 정보를 전달한다.
이하 본 발명의 제 8실시예에 따른 복약 관리 방법을 도 36 및 도 3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6을 참조하면, 먼저 복약 관리 서버(700)의 제어 서버(730)는 처방전 수집부를 이용하여 의사 또는 약사 등의 단말로부터 각 사용자별로 처방전 정보를 수집한다.
처방전 정보가 수집되면, 제어 서버(730)는 복약 스케줄 정보 생성부(720)를 제어하여 처방전 정보를 통해 복약 스케줄 정보를 생성하도록 하고, 복약 스케줄 정보 생성부(720)에 의해 복약 스케줄 정보가 생성되면 생성된 사용자 복약 스케줄 정보를 저장한다(S510).
아울러, 복약 스케줄 정보가 생성됨에 따라, 제어 서버(730)는 해당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를 검출하고, 이 사용자 정보 중 연락처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사용자의 복약 안내 단말(600)로 복약 스케줄 정보를 전달한다(S520).
복약 스케줄 정보가 전달되면, 복약 안내 단말(600)은 해당 복약 스케줄 정보를 저장하고(S530), 센서 모듈(500)로부터 전달받은 복약 상태 정보 및 복약 스케줄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 대한 복약 관리 과정을 수행한다(S540).
도 37을 참조하면, 먼저 복약 안내 단말(600)의 복약 안내 단말 제어부(630)는 복약 관리 서버(700)로부터 복약 스케줄 정보를 전달받으면, 이 복약 스케줄 정보를 저장한다.
이후 복약 안내 단말 제어부(630)는 이 복약 스케줄 정보의 복약 시간을 체크(S610)하고, 현재 시간이 복약 시간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현재 시간이 복약 시간과 일치하면, 복약 안내 단말 제어부(630)는 복약 시간에 따라 복약 안내 정보, 예를 들어 내용물(5)의 정보 및 내용물(5)별 복약량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출력부(620)를 통해 출력한다(S620).
이에 따라, 사용자는 복약 시간이 도래하였음을 인지하게 되고, 내용물(5)의 정보와 내용물별 복약량을 참고하여 복약하게 된다.
이 경우, 사용자는 내용물을 토출시키기 위해 내용물 이동 기구(1)를 기울이게 되고, 이로 인해 내용물(5)이 통과작동부(120)에 의해 토출된다.
이때, 센싱 제어부(430)는 센서부(510)를 통해 내용물(5)이 토출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와 같이 센싱 제어부(430)는 내용물(5)의 토출 여부를 기반으로 복약 상태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복약 상태 정보를 복약 안내 단말(600)로 전달한다.
한편, 복약 안내 단말 제어부(630)는 센싱 제어부(430)로부터 전달되는 복약 상태 정보를 계속 수집하고(S630), 이 복약 상태 정보와 복약 관리 서버(700)로부터 전달받은 복약 스케줄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 대한 복약 관리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복약 관리 정보를 출력부(620)를 통해 출력한다.
즉, 복약 안내 단말 제어부(630)는 복약 상태 정보와 복약 스케줄 정보를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복약 관리 정보를 생성하고 출력하는데, 사용자가 내용물(5)을 정해진 용량을 복용하지 않거나, 내용물(5)을 정해진 복약 시간에 복약하지 않거나, 내용물(5)을 복약하지 않는 등의 오복용 여부를 확인하고, 그 확인 결과를 출력한다(S640,S650).
아울러, 복약 안내 단말 제어부(630)는 상기한 바와 같이 복약 상태 정보를 센서 단말)로부터 전달받으면 이 복약 상태 정보를 누적 저장하고, 이 복약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복약 이력 정보를 생성한다.
한편, 센싱 모듈(500)은, 감지 또는 측정한 데이터 또는, 내용물 통과수단(123)의 작동에 의해 내용물이 통과작동부(120)를 통과하였는지의 여부를 시각, 청각 및 촉각 중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감각 방법으로 인지 가능하도록 표시부(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800)는 숫자, 문자, 기호, 점자, 발광, 점등 및 색상 중 적어도 하나로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센싱 제어부(430)는 사용자가 복약 시간에 내용물(5)을 복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정해진 복약 시간에 내용물(5)을 복약하도록 안내하는 문자나 음성을 출력하고, 정해진 복용량을 복약하지 않을 경우에는 정해진 복용량을 복약하도록 안내하는 문자나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센싱 제어부(430)은 내용물이 통과한 수량, 일자, 요일 및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검출할 수 있다.
즉, 센싱 제어부(430)는 도 3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 또는 측정한 데이터 또는, 내용물 통과수단(123)의 작동에 의해 내용물이 통과작동부(120)를 통과하였는지의 여부를 시각, 청각 및 촉각 중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감각 방법으로 인지 가능하도록 표시부(800)를 통해 표시한다. 표시부(800)는 숫자, 문자, 기호, 점자, 발광, 점등 및 색상 중 적어도 하나로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센싱 제어부(430)는 내용물이 일정 기간 또는 시간에 정해진 양이 내용물 통과수단(123)을 통과하는 것을 감지하거나 내용물이 정해진 양을 초과하여 내용물 통과수단(123)을 통과하는 것을 감지하면, 내용물 통과수단(123)의 내용물 이동 작동을 제한할 수도 있다.
내용물이 내용물 통과수단(123)을 통과시 내용물의 통과를 감지하는 센서 모듈(500)을 포함하고, 센서 모듈(500)을 통해 감지된 내용물의 통과 여부 또는 통과 수량을 판단하고, 판단된 내용물의 통과 여부 또는 통과 수량, 또는 판단된 통과 여부 또는 통과 수량과 함께 통과 시점의 일자, 요일, 시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를 표시부(800)에 표시할 수 있다. 표시부(800)의 표시는 LCD 또는 LED를 이용한 숫자, 문자, 기호,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센싱 제어부(430)는 감지 또는 측정한 데이터를 송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 제어부(500)는 감지된 내용물의 통과 여부 또는 통과 수량을 판단하고, 판단된 내용물의 통과 여부 또는 통과 수량, 또는 판단된 통과 여부 또는 통과 수량과 함께 통과 시점의 일자, 요일, 시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를 통신부를 통해 근접 또는 원격으로 송신할 수 있다.
그리고, 센서 제어부(430)는 내용물 통과수단(123)을 통과한 내용물을 감지하여 지정된 양의 내용물이 통과된 것으로 판단되면, 더 이상의 내용물이 통과 장치를 통과하지 않도록 잠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잠금부는 통과 장치에 구비되어, 내용물 통과수단(123)의 운동을 막거나 통과작동부(120) 내에서의 내용물의 이동 경로를 차단하게 된다.
이때, 내용물 통과수단(123) 운동의 막음은, 내용물 통과 수단의 운동 부위를 접촉 저항하여 이루어지고, 통과작동부(120) 내에서의 이동 경로의 차단은, 내용물의 통과 진입측과 통과 배출측에 구비되는 통과 통로부에서 내용물을 차단하거나 저항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잠금부는, 침해 환자의 복용 제한이 필요한 복용 약이나 정상인의 섭취 제한이 필요한 식품 같이 통제가 필요한 경우, 지정된 시간 또는 상황 종료 이전에 잠금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내용물의 표면 또는 내용물의 내부에 숫자, 문자, 기호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여, 내용물 통과수단(123)을 통과한 내용물 또는 내용물 통과수단(123)을 통과하지 않은 내용물의 표시를 관찰할 수 있다.
도 39는 본 발명의 제 8실시예에 따른 복약 데이터 관리 시스템의 데이터 흐름도로서, ①정량 토출 스마트 약제 디스펜서를 통해 사용자가 처방약을 복용시, 약을 복용하는 환자가 약제 용기를 기울이는 동작만으로 용기의 내용물을 정량만큼만 통과시킴으로써 알약형태의 의약품 또는 건강기능식품을 한 번에 한 알씩 토출시켜 간편하고, 위생적이며, 내용물의 변질을 예방하는 기능과 함께, ②디스펜서에 부착된 약제 토출 센서를 통한 센싱 데이터 수집이 가능함에 따라, 디스펜서에 약제 토출을 체크하는 센서 부착을 통해 환자의 체계적인 복약관리를 위한 약제 디스펜서를 개발하고, ③센싱된 데이터의 통신 모듈 기반 사용자의 스마트폰 및 컴퓨터 등으로 1차 수집을 한 후, ④1차 정보를 데이터 및 응용프로그램 서버로 2차 정보로 가공하여 관련자에게 제공함과 아울러, ⑤관련 기관에서 복약 정보 데이터를 분석 후 복약 지도 사항을 사용자에게 전달함으로써, 이를 활용한 원격 복약 관리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특히, 복약 관리를 위해 약제 토출 체크 센서를 부착할 수 있다. 환자의 의무사항인 복약 상태를 체크하기 위한 약제 토출체크 센서 및 블루투스(BlueTooth) 등을 이용한 통신 장비를 부착할 수 있다. 또한, 원가 절감과 제작 효율성을 위해 일체형 센서 및 통신 일체형 장치를 설계하여 적용할 수 있다.
질병의 치료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의료행위의 주체인 의료진(의사, 약사) 뿐만 아니라 의료서비스 이용자인 환자 또한 의료 행위에 대한 환자의 의무에 대한 적극적인 이행이 필요하며 이는 본 실시예와 같이 원격 복약 시스템을 통해 가능하다.
약제 디스펜서에 부착된 센서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스마트폰 또는 원보드 컴퓨터를 이용한 특화장비를 이용하여 1차 수집할 수 있다. 1차 수집된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고, 서버에 수집된 2차 정보를 가공하여 의사, 약사, 의료보험공단 등에 제공할 수 있다.
스마트폰 또는 특화장비는 환자에게 복약 의무사항을 고지하며, 투약시기 및 투약양을 지속적으로 고지 및 미 복약 시 지속적인 경고를 송출할 수 있다. 스마트폰을 사용할 수 없는 고령자등의 환자를 위하여 블루투스와 와이파이(Wifi)가 내장된 원보드 컴퓨터(예: Raspberry Pi)를 이용한 특화 장비를 구성할 수 있다.
도 40은 본 발명의 제 8실시예에 따른 복약 데이터 관리 기술 적용을 보인 흐름도로서, m1과 같이 약제 토출장비 부착 스마트 약제 디스펜서는 토출기, 센서, 블루투스 통신 모듈로 구성된다. m1은 m2-1(이동형 장비: 스마트폰) 또는 m2-2(고정형 장비: 원보드 컴퓨터)와 c1(블루투스 통신)으로 통신할 수 있다. 또한 m2-1과 m2-2는 m3(서버)와 c2(네트웍망)로 통신할 수 있다.
m3는 Ex1(관련기관 서버)와 c3(open-api 또는 EAI로 연결)로 통신한다. 여기서 c1은 토출량 송신 및 Error 또는 confirm 신호 전달를 전달한다. c2는 m2가 토출량을 m3로 송신 및 m3가 복약 관리 내용을 m2로 송신하게 된다. c3는 m3가 토출량 통계를 Ex1으로 송신 및 Ex1이 복약 관리 내용을 m3로 송신할 수 있다. c3 통신은 open api 또는 이기종 DB 연결 프로토콜인 EAI로 연결한다.
한편, 상기한 제 4 내지 제 7실시예는 제1 내지 제 3실시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이들 제 4 내지 제 7실시예가 제1 내지 제3 실시예의 기계적 구조에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내용물 이동 기구 30: 커버
100: 통과 장치, 밸브 110: 하우징, 용기 본체
110a: 저항부재 113: 통과 이전부
115: 대기 수납부 116: 축경부, 용기 목
117: 확경부, 용기 몸통 119: 통과기구 진입부, 형상 변화부
120: 통과작동부 121: 고정부재
122: 개방부 123: 내용물 통과수단
123a: 운동제어부재 123b: 평형부
123c: 운동가중제어부재 124: 개방부재
124a: 통과 격실부 124b: 개방부재 절곡부
125: 운동부재,회전축 125a: 운동 고정부
127: 막음부재 127a: 수용부재
127b: 막음부재 절곡부 129: 스토퍼
139: 통과 통로부 140: 통과 운동부
146: 바닥부 147: 바닥높이 변화부재
180: 이동안내부 182: 저항상판부재
183: 저항측판부재 188: 내용물 유도부, 단차 연결부
190: 가이드부재 210: 운동부 회전중심
215: 운동부 무게중심 410: 발광부
420: 수광부 430: 센싱 제어부
440: 지지부 450: 관통부
500: 센서 모듈 510: 센서부
520: 센싱 제어부 530: 기울기 센서
600: 복약 안내 단말 610: 입력부
620: 출력부 630: 복약 안내 단말 제어부
610: 입력부 620: 출력부
630: 복약 안내 단말 제어부 700: 복약 관리 서버
710: 처방전 정보 수집부 720: 복약 스케쥴 정보 생성부
730: 제어 서버

Claims (33)

  1. 통과작동부에 설치되어 내용물의 이동을 안내하는 통과운동부측 방향으로 전파를 방출시키는 송신부;
    상기 통과작동부에 설치되어 내용물에 반사된 전파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송신부에서 방출된 후 상기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전파를 통해 상기 통과작동부를 통해 토출되는 내용물을 감지하는 센싱 제어부를 포함하는 통과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제어부는 내용물에 의해 반사된 전파가 상기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후, 상기 수신부에 의해 전파가 다시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통과작동부에 의해 내용물이 토출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과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하우징의 기울기를 감지하는 기울기 센서를 더 포함하되,
    상기 센싱 제어부는 상기 기울기 센서에 의해 감지된 하우징의 기울기가 기 설정된 설정 기울기 이내인지 여부에 따라 상기 통과작동부에 의해 내용물이 토출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과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제어부는 상기 기울기 센서에 의해 감지된 하우징의 기울기가 기 설정된 설정 기울기 이내인 상태에서, 내용물에 반사된 전파가 상기 수신부에 의해 전파가 수신되지 않으면 내용물이 토출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기울기 센서에 의해 감지된 하우징의 기울기가 기 설정된 설정 기울기를 벗어난 상태에서, 내용물에 반사된 전파가 상기 수신부에 의해 전파가 수신되지 않으면 내용물이 토출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과 장치.
  5. 통과작동부에 설치되어 통과운동부에 구비된 운동부재의 축방향으로 광을 방출하는 발광부;
    상기 발광부로부터 방출된 광을 수광하는 수광부; 및
    상기 발광부로부터 방출된 광이 상기 수광부에 수광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통과작동부를 통해 이동하는 내용물을 감지하는 센싱 제어부를 포함하는 통과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제어부는 상기 발광부로부터 방출된 광이 상기 수광부에 수광되지 않으면 상기 통과작동부에 의해 내용물이 통과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과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와 상기 수광부는 상기 통과운동부를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과 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제어부는 상기 발광부에 의해 발광된 광이 내용물에 반사되어 상기 수광부에 의해 광이 수광되지 않지 않은 상태가 된 후, 상기 수광부에 의해 다시 수광되면 상기 통과작동부에 의해 내용물이 토출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과 장치.
  9. 제 5 항에 있어서, 하우징의 기울기를 감지하는 기울기 센서를 더 포함하되,
    상기 센싱 제어부는 상기 기울기 센서에 의해 감지된 하우징의 기울기가 기 설정된 설정 기울기 이내인지 여부에 따라 상기 통과작동부에 의해 내용물이 토출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과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제어부는 상기 기울기 센서에 의해 감지된 하우징의 기울기가 기 설정된 설정 기울기 이내인 상태에서, 상기 발광부에 의해 방출된 광이 내용물에 의해 반사되어 상기 수광부에 의해 광이 수광되지 않으면 내용물이 토출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기울기 센서에 의해 감지된 하우징의 기울기가 기 설정된 설정 기울기를 벗어난 상태에서, 상기 발광부에 의해 방출된 광이 내용물에 의해 반사되어 상기 수광부에 의해 광이 수광되지 않으면 내용물이 토출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과 장치.
  11. 통과작동부에 설치되어 통과운동부에 구비된 운동부재의 축방향으로 광을 방출하는 발광부;
    상기 발광부로부터 방출된 광을 수광하는 수광부; 및
    상기 수광부에 수광되는 광량의 변화량에 따라 상기 통과작동부를 통해 이동하는 내용물을 감지하는 센싱 제어부를 포함하는 통과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제어부는 상기 수광부에 수광되는 광량의 변화량을 기 설정된 설정 변화량과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통과작동부를 통해 이동하는 내용물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과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제어부는 상기 수광부에 수광되는 광량의 변화량이 상기 설정 변화량 이상이면 상기 통과작동부에 의해 내용물이 통과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과 장치.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와 상기 수광부는 상기 통과운동부를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과 장치.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제어부는 상기 수광부에 의해 광량의 변화량이 기 설정된 설정 변화량 이상인 상태가 된 후, 광량의 변화량이 기 설정된 설정 변화량 이상으로 변화하기 전의 상태가 되면 상기 통과작동부에 의해 내용물이 토출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과 장치.
  16. 제 11 항에 있어서,
    하우징의 기울기를 감지하는 기울기 센서를 더 포함하되,
    상기 센싱 제어부는 상기 기울기 센서에 의해 감지된 하우징의 기울기가 기 설정된 설정 기울기 이내인지 여부에 따라 상기 통과작동부에 의해 내용물이 토출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과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제어부는 상기 기울기 센서에 의해 감지된 하우징의 기울기가 기 설정된 설정 기울기 이내인 상태에서, 광량의 변화량이 설정 변화량 이상인 상태가 되면 내용물이 토출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기울기 센서에 의해 감지된 하우징의 기울기가 기 설정된 설정 기울기를 벗어난 상태에서, 광량의 변화량이 기 설정된 설정 변화량 이상인 상태가 되면 내용물이 토출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과 장치.
  18. 통과작동부에 설치되어 통과운동부에 구비된 운동부재의 축방향으로 광을 방출하는 발광부;
    상기 발광부로부터 방출된 광을 수광하는 수광부; 및
    상기 수광부에 수광되는 광량에 따라 상기 통과작동부를 통해 이동하는 내용물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과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제어부는 상기 수광부에 수광되는 광량을 기 설정된 설정 광량과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통과작동부를 통해 이동하는 내용물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과 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제어부는 상기 수광부에 수광되는 광량이 상기 설정 광량 이하이면 상기 통과작동부에 의해 내용물이 통과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과 장치.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와 상기 수광부는 상기 통과운동부를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과 장치.
  22.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제어부는 상기 수광부에 의해 수광된 광량이 기 설정된 설정 광량 이상인 상태가 된 후, 설정 광량 미만인 상태가 되면 상기 통과작동부에 의해 내용물이 토출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과 장치.
  23. 제 19 항에 있어서, 하우징의 기울기를 감지하는 기울기 센서를 더 포함하되,
    상기 센싱 제어부는 상기 기울기 센서에 의해 감지된 하우징의 기울기가 기 설정된 설정 기울기 이내인지 여부에 따라 상기 통과작동부에 의해 내용물이 토출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과 장치.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제어부는 상기 기울기 센서에 의해 감지된 하우징의 기울기가 기 설정된 설정 기울기 이내인 상태에서, 광량이 설정 광량 미만인 상태가 되면 내용물이 토출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기울기 센서에 의해 감지된 하우징의 기울기가 기 설정된 설정 기울기를 벗어난 상태에서, 광량이 설정 광량 미만인 상태가 되면 내용물이 토출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과 장치.
  25. 출력부; 및
    센서 모듈로부터 복약 상태 정보를 전달받고 복약 관리 서버로부터 복약 스케쥴 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복약 스케쥴 정보와 상기 복약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 대한 복약 지도 정보를 생성한 후, 상기 출력부로 출력하는 복약 안내 단말 제어부를 포함하는 복약 관리 장치.
  26.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복약 상태 정보는 내용물 정보, 내용물 감지 여부 및 내용물을 감지한 감지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약 관리 장치.
  27.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복약 스케쥴 정보는 내용물 정보, 복약 시각, 복약 간격 및 내용물별 복약량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약 관리 장치.
  28.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복약 안내 단말 제어부는 상기 복약 시각 및 상기 복약 간격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내용물 정보 및 내용물별 복약량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상기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약 관리 장치.
  29.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복약 안내 단말 제어부는 상기 복약 스케쥴 정보와 상기 복약 상태 정보를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출력부를 통해 오복용을 경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약 관리 장치.
  30.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복약 안내 단말 제어부는 상기 복약 상태 정보를 누적하여 복약 이력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약 관리 장치.
  31. 복약 스케쥴 정보를 생성하는 복약 스케쥴 정보 생성부; 및
    상기 복약 스케쥴 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복약 스케쥴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전달하는 제어 서버를 포함하는 복약 관리 장치.
  32.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복약 스케쥴 정보는 내용물 정보, 복약 시각, 복약 간격 및 내용물별 복약량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약 관리 장치.
  33.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복약 스케쥴 정보 생성부는 사용자의 처방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복약 스케쥴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약 관리 장치.
KR1020170091537A 2016-07-20 2017-07-19 통과 장치 및 복약 관리 장치 KR20180010157A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7/007825 WO2018016890A1 (ko) 2016-07-20 2017-07-20 통과 장치 및 복약 관리 장치
TW106133660A TWI675785B (zh) 2016-10-02 2017-09-29 分配裝置及內容物移動設備
PCT/KR2017/012014 WO2018080239A1 (ko) 2016-10-29 2017-10-27 통과 장치, 복약 관리 장치 및 내용물 이동 기구
PCT/KR2018/008170 WO2019017708A1 (ko) 2017-07-19 2018-07-19 통과 장치 및 복약 관리 장치
US16/632,336 US11576842B2 (en) 2017-07-19 2018-07-19 Passage device and medication dose management device
JP2020502575A JP2020528853A (ja) 2017-07-19 2018-07-19 通過装置および服薬管理装置
EP18835656.2A EP3656368B1 (en) 2017-07-19 2018-07-19 Passage device and medication dose management device
CN201880048290.3A CN110944618A (zh) 2017-07-19 2018-07-19 通过装置及服药管理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2023 2016-07-20
KR20160092023 2016-07-20
KR20160127191 2016-10-02
KR1020160127191 2016-10-02
KR20170012918 2017-01-26
KR1020170012918 2017-01-26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6918A Division KR20190125271A (ko) 2016-07-20 2019-10-30 통과 장치 및 복약 관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0157A true KR20180010157A (ko) 2018-01-30

Family

ID=6107072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1537A KR20180010157A (ko) 2016-07-20 2017-07-19 통과 장치 및 복약 관리 장치
KR1020190136918A KR20190125271A (ko) 2016-07-20 2019-10-30 통과 장치 및 복약 관리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6918A KR20190125271A (ko) 2016-07-20 2019-10-30 통과 장치 및 복약 관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180010157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6410A (ko) * 2019-03-04 2020-09-14 박경도 복약 관리 장치
KR102157445B1 (ko) * 2019-12-17 2020-09-17 박경도 통과 장치, 통과 장치를 구비한 내용물 수용 기구, 복약 관리 장치 및 내용물의 토출 여부를 판정하는 방법
WO2020256402A1 (ko) * 2019-06-18 2020-12-24 박경도 캡장치, 캡장치를 구비하는 용기 조립체 및 그 잠금장치
KR20200144458A (ko) * 2019-06-18 2020-12-29 박경도 캡장치, 그 캡장치를 구비하는 용기 조립체 및 그 잠금장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6410A (ko) * 2019-03-04 2020-09-14 박경도 복약 관리 장치
WO2020256402A1 (ko) * 2019-06-18 2020-12-24 박경도 캡장치, 캡장치를 구비하는 용기 조립체 및 그 잠금장치
KR20200144458A (ko) * 2019-06-18 2020-12-29 박경도 캡장치, 그 캡장치를 구비하는 용기 조립체 및 그 잠금장치
US11958663B2 (en) 2019-06-18 2024-04-16 Coledy, Inc. Cap device, container assembly provided with cap device, and locking device therefor
KR102157445B1 (ko) * 2019-12-17 2020-09-17 박경도 통과 장치, 통과 장치를 구비한 내용물 수용 기구, 복약 관리 장치 및 내용물의 토출 여부를 판정하는 방법
WO2021125817A1 (ko) * 2019-12-17 2021-06-24 박경도 통과 장치, 통과 장치를 구비한 내용물 수용 기구, 복약 관리 장치 및 내용물의 토출 여부를 판정하는 방법
CN114929595A (zh) * 2019-12-17 2022-08-19 朴颎蹈 通过装置、具备通过装置的内容物容纳器具、服药管理装置及判断内容物是否被排出的方法
US20230036333A1 (en) * 2019-12-17 2023-02-02 Kyung Do PARK Passing device, content receiving mechanism equipped with passing device, medication management device, and method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to discharge content
JP2023507633A (ja) * 2019-12-17 2023-02-24 ド パク、キュン 通過装置、通過装置を具備した内容物収容器具、服薬管理装置および内容物の吐出の有無を判定する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5271A (ko) 2019-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4328B1 (ko) 통과 장치, 밸브, 이를 구비하는 수용 기구, 내용물 이동 기구 및 내용물 기구
EP3656368B1 (en) Passage device and medication dose management device
KR20180010157A (ko) 통과 장치 및 복약 관리 장치
KR20190009712A (ko) 통과 장치 및 복약 관리 장치
KR102157435B1 (ko) 복약 관리 장치
RU2738578C2 (ru) Системы доставки аэрозоля и соответствующие способы
JP2019505897A (ja) ロバストなヘルストラッキングサービス
US11160938B2 (en) Inhalant dispensing system and apparatus
US20180296441A1 (en) Smart Medication Bottle with Pill Dispense Detection and Pill Counting
KR102247243B1 (ko) 스마트 약통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약복용 모니터링 방법
US10414576B2 (en) Dispensing box for drug-containing ampoule
US20220339071A1 (en) Portable medication container
KR102112757B1 (ko) 환자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20170091497A (ko) 통과 장치, 밸브, 이를 구비하는 수용 기구, 내용물 이동 기구, 내용물 기구 및 복약 관리 장치
KR20180010164A (ko) 통과 장치 및 복약 관리 장치
US20220273892A1 (en) Assembly for dispensing a fluid product
KR20180009995A (ko) 복약 관리 장치
TWI675785B (zh) 分配裝置及內容物移動設備
US11645883B1 (en) Pill storage and dispensing systems and methods
JP2021533047A (ja) 液体分配装置
KR20200106375A (ko) 복약 관리 장치
KR20230068462A (ko) 복약이 용이한 스마트 텀블러 및 이를 이용한 복약시기 알림방법
KR20200121527A (ko) 스마트 투약 장치,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19303A (ko) 통과 장치, 밸브, 이를 구비하는 용기 기구, 내용물 이동 기구 및 내용물 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AMND Amendm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101003609;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91031

Effective date: 20201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