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9307A - 투명 전광판 장치 - Google Patents

투명 전광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9307A
KR20180009307A KR1020170081397A KR20170081397A KR20180009307A KR 20180009307 A KR20180009307 A KR 20180009307A KR 1020170081397 A KR1020170081397 A KR 1020170081397A KR 20170081397 A KR20170081397 A KR 20170081397A KR 20180009307 A KR20180009307 A KR 201800093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plate
transparent
tape
prism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13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39216B1 (ko
Inventor
최해용
Original Assignee
최해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해용 filed Critical 최해용
Publication of KR201800093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93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92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92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08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using both translucent and non-translucent lay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02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 H04N13/305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using lenticular lenses, e.g. arrangements of cylindrical lens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04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the light source being enclosed in a box forming the character of the sig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geometrical disposition of the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3Segmented electronic display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14Arrangements of reflectors therein
    • G09F2013/142Arrangements of reflectors therein multiple reflec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13/00Details of stereoscopic systems
    • H04N2213/001Constructional or mechanical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얇은 박판으로 폭이 좁게 형성되고 영상이 수평 방향으로 라인 단위로 형성된 영상테이프와
상기 영상판 라인 하부에 구비되고, 사각 빗변으로 반사면을 갖는 제 1 프리즘 막대와 제 2 프리즘막대가 각각 이루는 빗면이 상호 결합하여 전면영상과 후면영상은 직진 투과하고 빗면에 수직으로 입사하는 상기 영상테이프의 빛은 90도로 직각 반사하는 영상분할수단과
상기 영상분할수단 하면부에 구비된 차단판과
상기 차단판과 상기 제 1, 제 2프리즘막대와 상기 영상테이프가 순차적으로 상향 적층하여 투명 영상판을 구성한다.
무안경 입체 영상 구조를 위하여
얇은 박판으로 폭이 좁게 형성되고 좌안용영상과 우안용영상을 수직라인으로 형성하는 영상테이프와
상기 좌, 우안용 영상전면에 구비되는 좌, 우 렌티큘러와
상기 좌, 우 렌티큘러 전면에 구비된, 빗변으로 반사면을 갖는 제 1 프리즘 막대와 제 2 프리즘 막대의 각 빗면이 상호 결합하여 직진 투과하는 전면영상과 후면영상은 직진 투과하고 빗면에 수평으로 입사하는 영상테이프의 빛은 90도로 직각 반사하는 영상분할수단과
상기 영상테이프와 좌, 우 렌티큘러와 상기 영상분할수단이 순차적으로 좌우 방향으로 직립 결합하여 무안경 입체 영상판으로 구성하는 투명전광판 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투명 전광판 장치{Transparent LED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투명전광판에 관한 것으로, 관측자로 하여금 투명 유리창과 같은 투명구조에서 고광도 밝은 영상 또는 무안경 입체영상을 시청함과 동시에 투명영상판 전면에서는 후면의 외부 전경을, 투명영상판 후면에서는 투명영상판 전면의 외부 전경을 시청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명한 영상조건은 영상 자체의 밝기가 주변 밝기의 2배 이상일 때 가능하다.
LCD 또는 OLED의 후면 백라이트 구조를 삭제하여 투명판 구조로 시청하는 영상장치는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영상은 주변 조명을 이용하여야 하므로 어두운 곳에서는 시청이 불가능하고 자체발광기능이 있다 하더라도 밝기 자체가 어둡다.
즉, 투과율이 5~15%로 매우 낮아 투명도가 떨어지고, 백라이트를 사용하더라도 통상 밝기는 200~300cd/㎡ 수준으로 어둡다.
반면 이러한 영상장치를 설치하는 전시 장소나 영업장소의 주위 조명은 통상 1,000럭스(330cd/㎡)정도임으로 상대적으로 영상이 어둡다.
또한, LED 전광판은 발광다이오드로 Ga(갈륨), P(인), AS(비소)를 재료로 만들어진 반도체에 전류가 흐르면 붉은색, 녹색, 노란색으로 발광하며 그 자체를 영상 픽셀로 사용 시 밝기는 최대 1,000cd/㎡ 이상에 이른다.
이러한 발광다이오드 모듈은 발광 면적이 넓은 반면 그 두께는 얇은 구조로 구성이 가능하다.
대한민국 특허 출원 10-2014-013077호 모듈형 전광판의 구조의 경우 내부에서 이격된 LED 모듈의 간격을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는 기술이 공지되어 있다.
대한민국 특허 출원 10-2014-0071281호 무안경 3D LED 구조의 경우 복수의 LED를 일렬로 배치하되, 이웃하는 스트립 기판은 영상 이격 간격을 두어 배치함으로써, 영상 이격 간격 사이로 이면의 배경을 보게 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들은 전광판 구조를 광원으로 이용하고 있으나 도 14의 (a)와 같이 이면 배경을 동시 관측할 목적으로 LED 판(D 1)간의 영상 이격 간격(D 1)이 최소 1:2 내지 최대 1:20 까지로 이격 되어 영상의 이미지가 제대로 형성이 안 되고 영상이 거칠며 사용하지 않을 시는 LED판(D 1) 자체가 시야를 가리는 등의 거부감으로 인해 실용화에 장애요인이 되어왔다.
KR 10-2014-013077 KR 10-2014-0071281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유리와 같은 투명한 영상장치에 LED 전광판, LCD, OLED 영상 등 자체 발광하는 영상소스를 영상수단으로 사용하되 영상이 없을 때는 투명한 유리창의 형태로 활용하다가, 영상 현출 시에는 각 영상의 픽셀이 이루는 영상 간의 영상 이격 간격을 최소화하여 1:0.1 부터 1:2까지 최소화하여 종래 대비 2배 이상 최대 200배까지 정밀한 영상과 밝기를 제공하고 정밀화하고 종래 대비 최대 6배 이상의 밝은 영상을 제공하며, 전면에서는 후면배경을, 후면에서는 전면배경을 영상과 함께 시청할 수 있는 투명 전광판 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제시한 바와 같이
박판으로 테이프 형태로 형성하되 입체용 좌안용 영상(R)과 입체용 우안용 영상(L)으로 형성하는 영상테이프(1);와
상기 좌,우안용 영상테이프(1) 전면에 각각 구비되는 좌, 우 렌티큘러(6a, 6b);와
상기 좌, 우 렌티큘러(6a, 6b) 전면에 구비하되 전면영상과 후면영상은 직진 투과하고 좌, 우 양방향에서 입사하는 상기 영상테이프(1)의 좌,우안용 영상(R, L)은 90도로 직각 반사하는 영상분할수단(400):을 포함 하여 하나의 라인으로 구성한 영상 라인(100a)과
상기 영상 라인(100a)을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무안경 입체 영상판(101)으로 구성함으로써
무안경 입체 영상을 제공할 시는 상기 투명 영상판(100) 외부로 고선명도의 무안경 입체 영상을 제공하면서 동시에 내부에서는 외부를 투시하게 하고
영상을 제공하지 않을 시는 유리와 같이 내부 및 외부 양방향이 모두 투시되는 무안경 입체 투명영상판(101)으로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투명 영상판(100)과 무안경 입체영상판(101)의 구성에 있어서 영상테이프(1) 구조를 자체 영상을 자체 발광하는 영상 구조로 구성한다. 영상분할수단(400)의 구성을 제1 프리즘 막대(3a)구조의 빗면과 제2 프리즘 막대(3b)구조의 빗면을 상호 결합하여 구성하거나 45도 경사각에서 투과율 대 반사율 비율이 2:8에서 8:2가 되는 반투명경을 영상 분할판(4)으로 대체 구성한다.
본 발명은,
영상을 제공하지 않을 시는 일반 유리창과 같이 투명하게 작용하고,
영상 제공 시에는 밝은 조명 하에서도 밝고 선명한 영상을 제공한다.
또한, 무안경입체영상 제공시에도
영상을 제공하지 않을 시는 일반 유리창과 같이 투명하게 작용하고,
입체영상 제공 시에는 밝은 조명 하에서도 밝고 선명한 입체영상을 무안경으로 제공한다.
본 발명의 투명 영상판 자체가 이물질이 함유되지 않은 약 5:5 또는 8:2 - 2:8의 투과율과 반사율을 가짐으로써,
종래 액정 등 이물질이 삽입되어 투과율이 낮은 LCD 또는 OLED의 영상과 대비하여 2~4배의 투과율로 매우 선명한 후면 내지 전면 전경을 관측할 수 있으며,
투명 영상판의 영상 또한 LED와 같이 영상을 자체 발광 광원으로 하여 햇빛 하에서도 시청 가능한 밝기의 영상을 제공한다.
또한 영상과 영상 간의 영상 이격 간격이 거의 밀집한 상태로 제공되므로 종래 대비 최대 200배의 고해상도로 영상을 제공한다.
투명 영상판 전면에서는 투명 영상판 후면의 외부 전경과
투명 영상판 후면에서는 투명 영상판 전면의 외부 전경을
영상과 동시에 관측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유리와 같은 투명한 영상장치에 LED 전광판, LCD, OLED 영상 등 자체 발광하는 영상소스를 영상수단으로 사용하되 영상이 없을 때는 투명한 유리창의 형태로 활용하다가, 영상 현출 시에는 각 영상의 픽셀이 이루는 영상 간의 영상 이격 간격을 최소화하여 종래 대비 2배 이상 최대 200배까지 정밀한 영상과 밝기를 제공하고 정밀화하고 종래 대비 최대 6배 이상의 밝은 영상을 제공하며, 전면에서는 후면배경을, 후면에서는 전면배경을 영상과 함께 시청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성 실시의 예
도 1의(b)는 수평영상테이프의 확대 설명도
도 2는 본 발명의 사용의 예 1 설명도
도 3은 본 발명의 사용의 예 2 설명도
도 4는 영상테이프의 설명도
도 5는 영상테이프의 구성 설명도
도 6은 프리즘막대로 구성한 영상 라인의 구성 설명도
도 7은 영상 분할판으로 구성한 영상 라인의 구성 설명도
도 8은 무안경 입체영상을 영상 라인으로 분리하는 과정 설명도
도 9는 무안경 입체영상을 프리즘막대로 구성한 영상 라인 구성 설명도
도 10은 무안경 입체영상을 영상 분할판으로 구성한 영상 라인 구성 설명도
도 11은 무안경 입체영상을 프리즘막대로 구성한 영상 라인 구성 실시의 예 설명도
도 12는 무안경 입체영상을 영상 분할판으로 구성한 영상 라인 구성 실시의 예 설명도
도 13은 무안경 입체영상 구조로 구성한 투명 영상판 구조의 설명도
도 14는 종래 전광판 구조와 본 발명의 비교 설명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박막의 테이프와 같은 형태로 형성하는 영상테이프(1);와
직진 입사하는 외광은 투과하고 직각으로 입사하는 영상은 외부로 반사하는 영상분할수단(400);과
무광 흑색면으로 형성하여 상기 영상테이프(1)의 각 영상을 영상단위로 차단하게 구성하는 차단판(5);을 포함하는 구조를
하나의 바(bar)형태로 결합한 영상라인판(100a);
상기 영상 라인판(100a)을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전체를 투명 영상판(100)으로 구성함으로써
영상을 제공할 시는 상기 투명 영상판(100) 외부로 고선명도의 영상을 제공하면서 동시에 내부에서는 외부를 투시하게 하고
영상을 제공하지 않을 시는 유리와 같이 내부 및 외부 양방향이 모두 투시되는 투명 영상판(100)으로 작용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 내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기재된 실시의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의 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지칭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도 1의 (a)에 의하면 본 발명은 다수의 CPU로 구성된 영상컨트롤박스(10)와 프레임(9) 내부에 유리, 폴리카보넷, PC, 아크릴과 같은 투명소재를 수평 또는 수직방향으로 구성하여 전면에서는 후면의 외부 전경이 후면에서는 전면의 외부 전경이 투명하게 보이는 영상분할수단(400)을 구성한다.
상기 영상분할수단(400)을 구체적으로 실시하면, 투명 영상판(100)으로 구성하면서 도 1의 (b)와 같이 제 1 프리즘막대(3a)와 제 2 프리즘막대(3b)로 구성하되, 양 정각은 45°로 구성하고 가운데 나머지 정각은 90°의 프리즘 막대로 구성하고, 제 1, 제 2 프리즘막대(3a, 3b)가 갖는 빗변은 상호 맞닿게 결합 구성하여 결합함으로써 전체형상이 바(bar) 형태가 되도록 구성한다.
이러한 구성은 도 1의 (b), 도 6의 (b), 도 7의 (b)와 같이 제 1 프리즘막대(3a)의 상면부에서 입사되는 빛은 제 1, 제 2 프리즘(3a, 3b)이 맞닿는 빗면에서 90° 직각으로 반사하고, 제 1 프리즘막대(3a) 전면에서 직진 입사하는 외부 전경(c)의 빛은 제2 프리즘 막대(3b)의 빗변을 투과하여 직진 투과하고, 후면에서 직진 입사하는 외부 전경(b)의 빛은 제 1 프리즘 막대(3a)를 직진 투과하게 된다.
즉, 이러한 프리즘막대(3) 구조는 전, 후면에서 입사되는 빛의 광량 중 5:5 비율로 투과하고, 나머지는 90°로 직각 굴절 반사하는 이른바 광분할 기능을 한다.
이러한 광분할 기능을 하는 영상분할수단(400)은 제 1, 2 프리즘막대(3a, 3b) 자체가 유리, 포리카보넷 , 아크릴, pc와 같이 이물질이 없는 투명한 단일 소재이므로 선명한 영상을 투과 또는 반사 굴절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을 점포 쇼윈도에 설치 시,
도 2와 같이 외부 행인은 투명 영상판(100)의 영상(a)과 투명영상판(100) 후면의 점포 내부 전경(b)을 동시에 관측 가능하고, 점포 내부의 고객은 투명 영상판(100)의 영상(a)과 투명 영상판(100) 전면의 외부 전경을 동시에 관측가능하다.
또한, 도 3과 같이 외부 행인은 투명 영상판(100)의 영상(a)과 투명 영상판(100) 후면에 진열된 제품을 동시에 관측할 수 있으며,
영상을 시현하지 않을 때에는 투명한 유리창 그 자체로 보이게 된다.
도 4와 같이 영상테이프(1)의 구조는 얇은 박판으로 폭을 좁게 형성하고, LED를 여러 개의 다층으로 테이프 형태로 구성한다.
도 5와 같이 전광판의 전체영상(200)은 영상 테이프(1)을 설명의 편의상 영상번호 1부터 8까지의 영상을 A라인으로, 영상번호 6부터 10까지의 영상을 B라인으로 하는 방식으로 순차적으로 라인화 한 다음, 이를 각각 분리하여 도 1의 (b), 도 6의 (b), 도 7의 (b)와 같이 영상테이프(1)으로 구성한다.
도 1의 영상 컨트롤 박스(10)는 도 4와 같이 영상 테이프(1)이 얇은 박판으로 폭이 좁게 형성되고, 양측 끝단 전면에 연결커넥터가 형성되며, 다수의 CPU가 직렬신호로 전송하도록 형성되고, 전면의 상부 또는 하부에 서브 보드 커넥터가 영상 컨트럴박스(10)와 연결되어 영상을 컨트롤하게 된다.
영상 테이프(1)은 도 4와 같이 발광면이 있는 영상판의 크기(8)와 두께(7) 차이가 매우 크다. LED를 예를 들면 영상판(8)의 크기가 8mm x 8mm 일 경우 영상판의 두께(7)는 1mm 가 되며 가로 길이(w)는 화면 크기에 따라 다르다.
도 6의 (a),(b)와 도 7의 (a)와 (b)에 의해 본 발명의 실시의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100″ 가로 화면대 세로 화면비 16:9인 100″ 화면의 크기는
가로 2,214mm x 세로 1,246mm가 된다.
즉, 영상테이프(1)의 두께(7)는 1mm로 하고 폭(8)은 3mm로 하며 길이(w)는 2,214mm로 한다.
영상 분할 수단(400)의 제 1,2 프리즘 막대(3a,3b)의 단면 크기는
2면이 3mm인 직각프리즘으로 구성하고 길이는 2,214mm로 한다.
차단판(5)은 두께는 0.5로 하고 폭은 3mm로 하며 길이는 2,214mm로 한다.
상기 제 1,제 2 프리즘(3a,3b)은 상호 빗변을 맞물려 결합함으로써 외형은 각 면이 3mm인 정사각 형태의 바(bar)가 된다.
상기 영상 테이프(1)의 3mm폭 에 상기 제1 프리즘(3a)의 3mm폭의 일면에 결합하고 상기 차단판(5)은 상기 제2프리즘(3b)의 3mm폭 일면에 결합한다.
상기와 같이 결합한 영상 라인판(1)의 단위별 총 두께는 영상테이프(1)의 두께 1mm+ 제 1, 제 2의 프리즘(3a,3b)막대의 두께 3mm+ 차단판(5)의 두께 0,5mm로 총 두께는 4.5mm가 되며 두께는 3mm, 길이는 2,214mm가 된다.
도 5와 같이 영상의 세로 폭(w)을 100″의 경우 1,246mm를 3mm폭으로 분리하였으므로 약 415라인이 된다.
즉, 상기 영상테이프(1)와 제 1, 제 2 프리즘(3a,3b)과 차단판(5)이 하나의 바(bar)로 결합된 영상라인판(100a)의 사이즈는 두께 4.5mm, 길이 1,246mm, 폭 3mm가 되는 것이다.
이러한 영상 라인판(100a)을 415라인으로 층층이 순차적으로 적층하면 도 1의(a)와 같은 100″의 투명 영상 전광판(100) 장치가 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영상구조는 상기와 같은 논리로 좌, 우 방향으로 수직 적층하여 구성하여도 같은 논리가 된다.
또한 도 7의 영상 라인판(100a)의 구성도 제 1,제 2 프리즘 막대(3a,3b)구조 대신 반투명경 구조 영상 분할판(4) 구조만 다르게 구성 되었을뿐 동일한 논리로 적용된다.
이렇게 형성한 영상 테이프(1)은 도 6의 (a), (b)와 같이 광원이 하부 방향으로 조사하는 방향으로 구성하고, 그 하부에 제 1 프리즘막대(3a)의 상면과 결합하고 제 1 프리즘막대(3a)의 빗면은 내부 하향 방향으로 형성한 다음, 제 1 프리즘막대(3a)의 빗면과 같은 경사각으로 제 2 프리즘(3b)의 빗면과 상호 결합하여 밀착시키고 제 2 프리즘막대(3b)의 밑면은 차단판(5)과 연접 구성한다.
도 7의(a),(b) 구성은 제 1, 제 2프리즘 막대(3a, 3b) 대신 45°경사각으로 입사하는 광량의 일부는 투과하고 일부는 반사하는 영상 분할판(4)으로 대체 구성한 것으로서 영상 분할판(4)만 다를 뿐 모든 작용과 구성논리는 도 6의 (a),(b)의 논리와 같다.
즉, 유리와 같은 투명 소재 빗면에 입사광의 일부는 투과하고 일부는 반사하는 반투명경의 기능을 갖는 구조로 영상 분할판(4)을 구성하되 반사율과 투과율은 반비례하므로 그 반사율과 투과율의 비율은 2:8에서 8:2 비율로 하여 설치장소의 용도에 따라 사용한다.
즉, 상기 제 1,제 2 프리즘막대(3a,3b)의 결합에 의한 영상분할구조는 반사율과 투과율이 5:5로 고정된다.
본 발명을 실외에 설치 사용 시는 영상 반사율이 높아야 영상이 밝아야 좋으며 따라서 이때는 반사율과 투과율이 8:2가 권장되며 실내 밝은 곳에서는 5:5 어두운 실내에서는 2:8이 권장된다.
차단판(5)의 표면은 주로 흑색 무광면으로 형성하여, 프리즘 또는 광 분할판으로 구성된 영상분할수단(400)을 투과한 광량이 되돌아 반사하여 영상의 콘트라스트를 저해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구성은 도 1의 (a)의 프레임(9) 내부 구조에 구비하되, 예를 들면 프레임(9)의 바닥부터 차단판(5), 그 위에 제 2 프리즘막대(3b), 그 위에 제 1 프리즘막대(3a,) 그 상단에 영상테이프(1) 순서대로 순차적으로 수직 적층하여 구성한다.
상기 순서를 반대로 하향 순차식으로 수직 적층 하여도 효과는 같으며
또한, 수직 영상 라인(2b)을 수평으로 구비하고 영상컨트롤박스(10))를 통해 영상을 수평영상으로 조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 6의 (b)와 같이 영상테이프(1)의 광원은 제 1, 2 프리즘막대(3a, 3b)의 빗변에서 90°로 직각 굴절하여 외부로 직진 반사하고, 도 2와 같이 점포 외부에서는 투명 영상판(100)을 통해 점포 내부 전경과 투명 영상판(100)의 영상(a)을 동시에 시청할 수 있고, 도 3과 같이 투명 영상판(100)을 통해 영상(a)과 그 이면의 진열된 제품 등 점포 내부 전경을 동시에 관측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LCD 또는 OLED의 백 광원을 LED로 할 시 약 1,000cd/㎡ 이상의 밝은 빛으로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도 8은 투명 영상판을 통해 무안경으로 입체 영상을 보기 위하여 영상테이프(1)의 구조를 수직방향으로 구성하되, 입체 영상을 위한 좌안용 영상(1L)LED와 우안용 영상(1R)LED를 하나의 수직 라인으로 하여 구성하는 설명도이다.
즉, 도 8의 a)와 같이 수직 영상라인(2b)을 얇은 박판으로 폭이 좁게 형성하고, 양측 끝단 전면에 연결커넥터가 형성되며, 다수의 CPU가 직렬신호로 전송하도록 형성하되, A라인을 수직으로 1R, 1L, 그 하부에는 5R, 5L 순으로 구성하고, B 라인은 2R, 2L, 그 하부에는 6R, 6L 순으로 수직 구성하여 전체영상(200)을 수직방향으로 분리하여 수직영상라인(2b)을 구성한다.
도 9와 같이 이러한 수직 영상 라인(2b)은 투명 영상판(100)의 상하, 좌우, 깊이의 3방향 중 깊이 방향으로 도 9와 같이 배치하고, 그 전면에 각각 렌티큘러(6a, 6b)를 구성하고 렌티큘러(6a, 6b) 전면에 제 1 프리즘막대(3a)와 제 2프리즘막대(3b)를 구성한다.
상기 구성은 도 13과 같이 프레임(9) 내부에 상기 구성 순서대로 좌우 방향으로 순차로 구성한다.
즉, 프레임(9) 내부에 상하 수직 방향으로 수직 영상 라인(2b)을 두께(7)만 전면으로 보이게 하고 그 전면에 좌, 우 렌티큘러(6a, 6b), 그 전면에 제 1 프리즘막대(3a) 및 제 2 프리즘막대(3b)의 빗면에 맞대어 좌에서 우 또는 우에서 좌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구성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구조는 도 9와 같이 좌, 우 렌티큘러(6a, 6b)에 의해 확대된 수직 영상 라인(2b)의 입체영상을 제 1 프리즘막대(3a) 빗면에서 90° 굴절한 후 전면으로 반사하고 직진 입사한 외부 전경과 내부 전경은 직진 투과하므로, 외부에서는 무안경으로 입체영상을 관측하면서 이면의 내부 전경(b)을 동시에 볼 수 있으며, 내부에서는 투명영상판(100)을 통해 외부전경을 동시에 볼 수 있다.
도 10은 상기 도 9의 구조와 같은 논리이나, 다만 제 1, 제 2 프리즘막대(3a, 3b) 대신에 일부는 반사하고 일부는 투과하되, 반사율과 투과율의 비율이 2:8~8:2로 구성하는 영상 분할판(4)으로 대체 구성된 것이 다르다.
이와 같은 구조는 도 11, 도 12와 같이 도 8의 수직 영상 라인(2b)의 입체 영상용 좌, 우안용 LED (1R, 1L) 구조를 각각 분리하여 좌, 우 대칭구조로 하나의 영상 구조를 구성하되, 가운데에는 차단판(5)을 구성하고 이를 하나의 단위로 하여 순차적으로 좌우 방향 또는 우좌 방향의 수평방향으로 구성하는 것이다.
도 12는 영상분할장치로 제 1, 2 프리즘막대(3a, 3b)를 사용하고, 도 12는 영상 분할판(4)으로 사용한 것 외에는 도 11과 동일하다.
따라서 이러한 구조는 도 2의 (a),(b)와 도 9와 도 10과 같이 투명영상판 전면에 있는 사람은 무안경으로 입체영상과 동시 투명 영상판(100)을 통해 무안경 입체영상과 투명 영상판(100) 이면의 내부 전경(b)을, 투명 영상판 후면에 있는 사람은 투명영상판(100) 영상과 전면의 외부전경(c)을 동시에 관측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본 발명의 구조는 상기 영상 테이프(1)를 같은 논리로 광원이 결합된 LCD 또는 OLED 또는 전체영상을 테이프 형태로 구성할 수 있는 모든 영상테이프(1)에 적용될 수 있으며 도 1 내지 도 13의 모든 구성에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의 제 1, 2 프리즘막대(3a, 3b)와 영상 분할판(4)의 작용구조는 본 발명의 실시의 예에 모두 공통적으로 적용된다.
또한, 상기 기존의 투명 LCD, OLED의 배경의 백 라이트 구조를 본 발명의 구조인 광분할 기능을 가진 영상분할수단(400)과 LED를 광원으로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LCD, OLED의 영상 테이프(1)는 제 1, 2 프리즘 막대(3a, 3b)와 도 7의 (b)와 같은 영상 분할판(4) 전면 투명영상판(100) 표면에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영상분할수단(400)의 프리즘막대(3) 구조와 영상분할판(4)의 구조는 그 경사면의 방향을 반대로 할 경우 영상의 반사방향을 반대로 하여 영상 시청방향을 외부에서 내부로 바꿀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구조는 발광도가 높은 LED를 그대로 광원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므로 종래 LCD, OLED의 밝기 250cd/㎡ 대비 1,000cd/㎡로 4배 이상의 밝기로 영상 제공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본 발명은 LED, LCD, OLED와 같이 도 4 및 도 5와 같이 얇은 박판으로 폭이 좁게 형성되고 영상이 수평, 또는 수직 방향의 라인 단위로 형성하는 영상 테이프(1)로 구성하고,
도 6의 (a)와 (b)와 같이 상기 영상판 라인(1) 하부에 구비하되, 사각 빗변으로 반사면을 갖는 제 1 프리즘막대(3a)와 제 2 프리즘막대(3b)가 각각 이루는 빗면이 상호 결합하여 직진 투과하는 외부영상과 내부영상은 직진 투과하고 빗면에 수직으로 입사하는 상기 영상테이프(1)의 빛은 90도로 직각 반사하는 영상분할수단(400)으로 구성하고,
상기 영상분할수단(400) 하면부에 도 1의(a)와 같이 상기 차단판(5)과 상기 제 1, 제 2프리즘막대(3a,3b)와 상기 영상 테이프(1)를 순차적으로 상향 또는 하향으로 수직 적층하여 투명 영상판(100)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영상테이프(1) 구조는 LCD 또는 OLED로 대체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영상분할수단(400)의 구조는 도 7의 (a)와(b), 도 10, 도 12와 같이 45도 경사각에서 50%는 투과하고 50%는 반사하는 영상 분할판(4)으로 대체 구성할 수 있다.
무안경 입체영상 구조로는 도 8과 같이 얇은 박판으로 폭이 좁게 형성되고, 도 9와 같이 좌안용 영상(R)과 우안용 영상(L)이 수직 라인으로 형성하는 수직 영상 테이프(2b)과 상기 좌, 우안용 영상(R, L) 전면에 각각 구성하는 좌, 우 렌티큘러(6a, 6b)와
상기 좌, 우 렌티큘러(6a, 6b) 전면에 빗변으로 반사면을 갖는 제 1 프리즘막대(3a)와 제 2 프리즘막대(3b)가 각각 이루는 빗면이 상호 결합하여 외부영상과 내부영상은 직진 투과하고 빗면에 수평으로 입사하는 영상테이프(1)의 빛은 90도로 직각 반사하게 구성하되,
도 13과 같이 상기 영상 테이프(1)와 좌, 우 렌티큘러(6a, 6b)와 상기 영상분할수단(400)이 순차적으로 좌, 우 방향 중 일 방향으로 직립 결합하여 무안경 투명 입체영상판(101)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이러한 무안경 입체 영상 구조는 수평 영상 테이프(2a)을 적용할 수 있으며 이때에는 영상 컨트럴 박스를 통해 영상을 수평배열에서 수직배열로 조정해주면 된다.
이와 같이 좌우 방향으로 구성하는 이유는 입체감을 감지하는 사람의 눈이 좌,우 수평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영상테이프(1)의 구성 요소는 LCD, LED, 마이크로 LED, OLED는 물론 영상 자체를 자체 발광하거나 광원과 결합하여 영상 자체가 발광원이 되는 모든 영상장치가 사용할 수 있다.
도 10, 도 12와 같이 영상분할수단(400)의 구조를 45도 경사각에서 50%를 기준하여 일부는 투과하고 일부는 사용 장소에 따라 반사하는 영상분할판(4)으로 대체 구성할 수 있다.
즉, 반사율 대 투과율을 2:8에서 8:2까지 구성하여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장치는 도 14의 (a)와 같이 종래 기술들은 전광판 구조를 광원으로 이용하여 이면 배경을 동시 관측할 목적으로 LED 판(D 1)간의 영상 이격 간격(D 1)이 1:2 내지 1:20로 이격 되어 영상의 이미지가 제대로 형성이 안 되나
본 발명은 영상이격간격(D1)은 1:0.1에서 1:1까지 구성되므로 2배에서 200배 까지 고해상도로 제공하며 사용하지 않을 시는 LED판(D 1) 자체가 시야를 가리는 등의 거부감으로 인해 실용화되지 못하고 있는 반면에 본 발명은 사용하지 않을 시는 유리와 같은 투명판으로 시야를 가리지 않으며 영상을 시현할 때는 내부에서 외부와 외부에서 내부를 영상, 무안경 입체 영상을 동시에 시청 가능하다. 밝기 또한 영상의 영상이격 간격(D1)이 2배에서 200배가 되므로 밝기 또한 2배 이상 200배까지 확대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본 발명은 다양한 크기와 용도의 투명한 영상 디스플레이, 사무실의 영상, 유리창, 게임, 점포 쇼윈도, 광고 장치, 레스토랑의 영상 유리 칸막이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이 가능하다.
1. 영상테이프 2. 수평영상 라인 2a. 수평 영상라인 2b. 수직 영상라인
3. 프리즘 영상막대 3a. 제 1 프리즘막대 3b. 제 2 프리즘막대
4. 영상분할판 5. 차단판
6a. 제 1 렌티큘러 라인 6b. 제 2 렌티큘러 라인
7. 영상판 두께 8. 영상판의 크기
9. 프레임 9a. 영상 9a. 입체영상 9b. 전면 전경 9c. 후면 전경
10. 영상컨트롤박스 100. 투명영상판 100a. 영상라인
101. 무안경 입체 투명영상판
200. 전체영상 300. 점포 쇼윈도 400. 영상분할수단

Claims (8)

  1. 투명전광판장치에 있어서
    박막의 테이프와 같은 형태로 형성하는 영상테이프(1);와
    직진 입사하는 외광은 투과하고 직각으로 입사하는 영상은 외부로 반사하는 영상분할수단(400);과
    무광 흑색면으로 형성하여 상기 영상테이프(1)의 각 영상을 영상단위로 차단하게 구성하는 차단판(5);을 포함하는 구조를
    하나의 바(bar)형태로 결합한 영상라인판(100a);
    상기 영상 라인판(100a)을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전체를 투명 영상판(100)으로 구성함으로써
    영상을 제공할 시는 상기 투명 영상판(100) 외부로 고선명도의 영상을 제공하면서 동시에 내부에서는 외부를 투시하게 하고
    영상을 제공하지 않을 시는 유리와 같이 내부 및 외부 양방향이 모두 투시되는 투명영상판(100)으로 작용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전광판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영상테이프(1) 구조를 자체 영상을 자체 발광하는 영상 구조로 구성하는 것이 특징인 투명전광판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영상분할수단(400)의 구성을 제1 프리즘막대(3a)구조의 빗면과 제2 프리즘막대(3b)구조의 빗면을 상호 결합하여 구성하는 것이 특징인 투명전광판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영상분할수단(400)의 구조를 45도 경사각에서 투과율 대 반사율 비율이 2:8에서 8:2가 되는 반투명경을 영상 분할판(4)으로 대체 구성하는 것이 특징인 투명전광판장치
  5. 투명전광판장치에 있어서
    박판으로 테이프 형태로 형성하되 입체용 좌안용 영상(R)과 입체용 우안용 영상(L)으로 형성하는 영상테이프(1);와
    상기 좌,우안용 영상테이프(1) 전면에 각각 구비되는 좌, 우 렌티큘러(6a, 6b);와
    상기 좌, 우 렌티큘러(6a, 6b) 전면에 구비하되 전면영상과 후면영상은 직진 투과하고 좌, 우 양방향에서 입사하는 상기 영상테이프(1)의 좌,우안용 영상(R.L)은 90도로 직각 반사하는 영상분할수단(400):을 포함 하여 하나의 라인으로 구성한 영상라인(100a);
    상기 영상 라인(100a)을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무안경 입체 영상판(101)으로 구성함으로써
    무안경 입체 영상을 제공할 시는 상기 투명 영상판(100)외부로 고선명도의 무안경 입체 영상을 제공하면서 동시에 내부에서는 외부를 투시하게 하고
    영상을 제공하지 않을 시는 유리와 같이 내부 및 외부 양방향이 모두 투시되는 무안경 입체 투명영상판(101)으로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전광판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영상테이프(1) 구조를 자체 영상을 자체 발광하는 영상 구조로 구성하는 것이 특징인 투명전광판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영상분할수단(400)의 구성을 제1 프리즘막대(3a)구조의 빗면과 제2 프리즘막대(3b)구조의 빗면을 상호 결합하여 구성하는 것이 특징인 투명전광판장치
  8. 제 5항에 있어서 영상분할수단(400)의 구조를 45도 경사각에서 투과율 대 반사율 비율이 2:8에서 8:2가 되는 반투명경을 영상 분할판(4)으로 대체 구성하는 것이 특징인 투명전광판장치
KR1020170081397A 2016-07-18 2017-06-27 투명 전광판 장치 KR1020392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60090619 2016-07-18
KR1020160090619 2016-07-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9307A true KR20180009307A (ko) 2018-01-26
KR102039216B1 KR102039216B1 (ko) 2019-11-26

Family

ID=60941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1397A KR102039216B1 (ko) 2016-07-18 2017-06-27 투명 전광판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129534B2 (ko)
JP (1) JP7193225B2 (ko)
KR (1) KR102039216B1 (ko)
CN (1) CN10763377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50614A (zh) * 2018-07-25 2020-02-28 深圳Tcl新技术有限公司 一种多功能透明显示设备及其控制方法
KR102286002B1 (ko) * 2020-10-16 2021-08-03 심충건 투명 광고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82803A (zh) * 2018-07-25 2020-02-11 深圳Tcl新技术有限公司 一种高对比度透明显示设备及其控制方法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33051A1 (en) * 2002-08-16 2004-02-19 Ip Kiril Kun Wan Method and system for producing and displaying visual presentations which inhibit off-screen duplication
US20050127820A1 (en) * 2003-12-15 2005-06-16 Shunpei Yamazaki Light-emitting device and electronic devices
KR20060049201A (ko) * 2004-06-15 2006-05-18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편광 빔 분할기 및 액정 투사기 장치
US20090244711A1 (en) * 2008-03-21 2009-10-01 Fujinon Corporation Imaging filter
KR20100112032A (ko) * 2009-04-08 2010-10-18 김석배 광고장치
KR20120104474A (ko) * 2011-03-13 2012-09-21 엘지전자 주식회사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KR20140013077A (ko) 2006-02-20 2014-02-04 엑스트랄리스 테크놀로지 리미티드 공기 샘플 내의 입자를 감지하는 방법
KR20140071281A (ko) 2011-05-18 2014-06-11 테크노 메디카 캄파니 리미티드 채혈관 자동 준비 시스템
KR20140112417A (ko) * 2013-03-13 2014-09-23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화상 표시 장치
US20160097971A1 (en) * 2013-06-26 2016-04-07 Sony Corporation Image projection apparatus, image projection system, image projection method, and display apparatus
KR20160001246U (ko) * 2016-03-08 2016-04-15 최해용 2d,3d 공간 영상 표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09837A (en) * 1980-08-29 1985-04-09 Michiel Kassies Real image projection device
JPH0743686A (ja) * 1993-07-27 1995-02-14 Rohm Co Ltd 液晶表示装置
JP2003005130A (ja) * 2001-06-21 2003-01-08 Casio Comput Co Ltd 立体画像表示装置
JP2003172824A (ja) * 2001-09-25 2003-06-20 Sony Corp 偏光ビームスプリッタ及びこれを用いた偏光子
JP3683575B2 (ja) * 2003-10-28 2005-08-17 オリンパス株式会社 頭部装着型ディスプレイコントローラー
JP2006119167A (ja) * 2004-10-19 2006-05-11 Olympus Corp 小型表示装置
JP3119195U (ja) * 2005-12-02 2006-02-16 ウィリアム リン 講演用掲示装置
WO2008030080A1 (en) * 2006-09-08 2008-03-13 Medialusion B.V. Device for displaying virtual three-dimensional objects
KR101484297B1 (ko) 2007-08-31 2015-01-19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표시장치 및 표시장치의 제작방법
KR101309424B1 (ko) * 2010-07-29 2013-09-23 주식회사 팬택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JP2012098394A (ja) * 2010-10-29 2012-05-24 Sony Corp 液晶レンズアレイ素子、およびその駆動方法ならびに立体画像表示装置
KR101334238B1 (ko) * 2012-03-06 2013-11-29 주식회사 페네시아 안경형 모니터용 광학엔진
WO2014132200A1 (en) * 2013-03-01 2014-09-04 Baroutsos Alexander Martin A display device
US20150205134A1 (en) * 2014-01-17 2015-07-23 Thalmic Labs Inc. Systems, articles, and methods for wearable heads-up displays
JP2015184431A (ja) * 2014-03-24 2015-10-22 ソニー株式会社 表示パネル、表示装置および照明装置
CN103996358B (zh) * 2014-04-18 2018-12-14 黄琛淇 一种显示***
CN104062749A (zh) * 2014-06-24 2014-09-24 李红深 一种视频源两次成像装置及其成像方法
JP6257794B2 (ja) * 2014-10-21 2018-01-10 三菱電機株式会社 車両用表示器カバー及び車両用表示器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33051A1 (en) * 2002-08-16 2004-02-19 Ip Kiril Kun Wan Method and system for producing and displaying visual presentations which inhibit off-screen duplication
US20050127820A1 (en) * 2003-12-15 2005-06-16 Shunpei Yamazaki Light-emitting device and electronic devices
KR20060049201A (ko) * 2004-06-15 2006-05-18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편광 빔 분할기 및 액정 투사기 장치
KR20140013077A (ko) 2006-02-20 2014-02-04 엑스트랄리스 테크놀로지 리미티드 공기 샘플 내의 입자를 감지하는 방법
US20090244711A1 (en) * 2008-03-21 2009-10-01 Fujinon Corporation Imaging filter
KR20100112032A (ko) * 2009-04-08 2010-10-18 김석배 광고장치
KR20120104474A (ko) * 2011-03-13 2012-09-21 엘지전자 주식회사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KR20140071281A (ko) 2011-05-18 2014-06-11 테크노 메디카 캄파니 리미티드 채혈관 자동 준비 시스템
KR20140112417A (ko) * 2013-03-13 2014-09-23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화상 표시 장치
US20160097971A1 (en) * 2013-06-26 2016-04-07 Sony Corporation Image projection apparatus, image projection system, image projection method, and display apparatus
KR20160001246U (ko) * 2016-03-08 2016-04-15 최해용 2d,3d 공간 영상 표시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50614A (zh) * 2018-07-25 2020-02-28 深圳Tcl新技术有限公司 一种多功能透明显示设备及其控制方法
KR102286002B1 (ko) * 2020-10-16 2021-08-03 심충건 투명 광고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129534B2 (en) 2018-11-13
US20180020210A1 (en) 2018-01-18
CN107633776A (zh) 2018-01-26
JP7193225B2 (ja) 2022-12-20
JP2018013784A (ja) 2018-01-25
KR102039216B1 (ko) 2019-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87470B2 (en) 3D image display apparatus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7821711B2 (en) 2D-3D image switching display system
CN102279469B (zh) 视差***、面板、装置、显示方法及计算机可读介质
US8337066B2 (en) Backlight module
US20150362657A1 (en) Display screen frame eliminating apparatus and display device
US10120200B2 (en) Display apparatus
US10209674B2 (en) Floating image display device
TWI569237B (zh) 顯示裝置
US7265902B2 (en) Display apparatus switchable between a two-dimensional display and a three-dimensional display
US10499041B2 (en) Display device
CN104238125A (zh) 一种三维显示器件
KR20180009307A (ko) 투명 전광판 장치
US10025020B2 (en) Backlight apparatus and 3D image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CN104297931A (zh) 一种裸眼3d显示装置
KR102155703B1 (ko) 디스플레이 장치
US20190018254A1 (en) Lens Type Display for Displaying Three-Dimensional Images
CN204758929U (zh) 一种新型户外3d显示装置
CN103472587B (zh) 一种立体显示装置
JP2017111313A (ja) 透過型ディスプレイ
CN114035339A (zh) 背光源模组、显示模组、驱动方法及显示装置
KR20130020299A (ko) 프리즘을 이용한 광 시야각 입체 영상 표시 장치
KR101958288B1 (ko) 3차원 영상 표시장치
KR101679733B1 (ko) 영상표시모듈 및 그 제조방법
CN108469684B (zh) 一种透明显示器及一种显示***
US20180205924A1 (en) Display assembly and electronic display apparatus for the application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