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4044A - Control valve for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 Google Patents

Control valve for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4044A
KR20180004044A KR1020170175642A KR20170175642A KR20180004044A KR 20180004044 A KR20180004044 A KR 20180004044A KR 1020170175642 A KR1020170175642 A KR 1020170175642A KR 20170175642 A KR20170175642 A KR 20170175642A KR 20180004044 A KR20180004044 A KR 201800040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sub
chamber
control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564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리에 카즈히로
토네가와 마사아키
하마다 히로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테지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테지케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테지케
Publication of KR201800040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404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9/00Control, e.g. of pump delivery, or pump pressure of, or safety measure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47/00
    • F04B49/02Stopping, starting, unloading or idling control
    • F04B49/03Stopping, starting, unloading or idling control by means of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17/00Pumps characterised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 F04B17/03Pumps characterised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driven by electric motors
    • F04B17/04Pumps characterised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driven by electric motors using soleno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08Actuation of distribution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9/00Control, e.g. of pump delivery, or pump pressure of, or safety measure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47/00
    • F04B49/06Control using electric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603Multiple-way valv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6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gnetically Actuated Valves (AREA)
  • Multiple-Way Valves (AREA)
  • Compressors, Vaccum Pumps And Other Relevant Systems (AREA)
  • Control Of Positive-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rol valve for a variable capacity compressor, which can maintain high driving efficiency of a variable capacity compressor and can efficiently change op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valve includes: a first valve controlling a flow rate of a refrigerant flowing from a discharge chamber of the compressor to a control chamber; a second valve controlling the flow rate of the refrigerant flowing from the control chamber to a suction chamber; a solenoid generating a driving force in a vale opening direction of the second valve and in a valve closing direction of the first valve corresponding to a supply current value; a bias member generating a biasing force in the valve closing direction of the second valve and in the valve opening direction of the first valve; and a decompression unit sensing pressure of the control chamber or the pressure of the suction chamber and generating a corresponding force on the driving force of the solenoid by corresponding to the size of the sensed pressure. The control valve has a state of opening the first valve and the second valve at the same time during a process in which an electric current applied to the solenoid is raised from zero to a maximum current value. The control valve also has a control property in which a valve opening increase rate of the first vale is increased based on a predetermined minimum current value which is an inflection point during a process in which the electric current applied to the solenoid is reduced.

Description

가변 용량 압축기용 제어 밸브{CONTROL VALVE FOR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0001] CONTROL VALVE FOR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0002]

본 발명은, 가변 용량 압축기의 토출 용량을 제어하는 제어 밸브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rol valve for controlling a discharge capacity of a variable capacity compressor.

자동차용 공조 장치는, 일반적으로, 압축기, 응축기, 팽창 장치, 증발기 등을 냉동 사이클에 배치하여 구성된다. 압축기로서는, 엔진의 회전수에 상관없이 일정한 냉방 능력이 유지되도록, 냉매의 토출 용량을 가변할 수 있는 가변 용량 압축기("압축기"로 약칭하기도 한다)가 사용되고 있다. 이 압축기는, 엔진에 의해 구동되는 회전축에 장착된 경사판에 압축용 피스톤이 연결되고, 경사판의 각도를 변화시켜 피스톤의 스트로크를 바꾸는 것에 의해 냉매의 토출 용량을 조정한다. 경사판의 각도는, 밀폐된 제어실 내에 토출 냉매의 일부를 도입하여, 피스톤의 양면에 가해지는 압력의 균형을 변화시키는 것에 의해 연속적으로 변환된다. BACKGROUND ART An automotive air conditioner is generally constituted by arranging a compressor, a condenser, an expansion device, an evaporator, and the like in a refrigeration cycle. As the compressor, a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also abbreviated as "compressor") capable of varying the discharge capacity of the refrigerant is used so as to maintain a constant cooling capability irrespective of the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engine. In this compressor, a compression piston is connected to a swash plate mounted on a rotary shaft driven by an engine, and the discharge capacity of the refrigerant is adjusted by changing the angle of the swash plate to change the stroke of the piston. The angle of the swash plate is continuously changed by introducing a part of the discharged refrigerant into the closed control chamber and changing the balance of the pressure applied to both surfaces of the piston.

이 제어실 내의 압력(이하 "제어 압력"이라 한다)은, 예를 들면 압축기의 토출실과 제어실 사이에 제어 밸브를 마련하는 한편, 제어실과 흡입실 사이에 고정 오리피스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 조정된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제어 압력이 과도하게 높아지지 않도록, 제어실의 냉매를 고정 오리피스를 통해 적절히 풀어주는 한편, 제어 밸브에 의해 토출실로부터 제어실로 도입하는 냉매의 유량을 조정하는 것에 의해 압축기의 토출 용량을 변화시키는 것이다. 냉매에는 오일이 포함되어 있고, 이와 같이 압축기 내를 순환하는 과정에서 내부 기구의 윤활이나 냉각 기능도 발휘한다. 이와 같이, 압축기에는 냉매의 순환로로서, 냉동 사이클을 순환시키기 위한 외부 순환로 이외에, 압축기 내를 순환시키기 위한 내부 순환로가 마련되어 있다. The pressure in the control room (hereinafter referred to as "control pressure") is adjusted, for example, by providing a control valve between the discharge chamber and the control chamber of the compressor while providing a fixed orifice between the control chamber and the suction chamber See Patent Document 1). The discharge capacity of the compressor is changed by appropriately releasing the refrigerant in the control chamber through the fixed orifice so as not to excessively increase the control pressure and adjusting the flow rate of the refrigerant introduced into the control chamber from the discharge chamber by the control valve. The refrigerant contains oil, and in the course of circulating in the compressor, the lubrication and cooling function of the internal mechanism is also exhibited. Thus, the compressor is provided with an internal circulation path for circulating the inside of the compressor, in addition to an external circulation path for circulating the refrigeration cycle, as a circulation path of the refrigerant.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2010-101202호 공보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10-101202

그러나, 압축기에 있어서의 내부 순환은, 냉동 사이클에 대해 일을 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내부 순환을 불필요하게 크게 하면, 가변 용량 운전 영역(압축기의 제어 중)에 있어서의 외부 순환을 확보하기 어려워져, 공조 장치의 일률 저하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 한편, 그러한 공조 장치의 일률을 고려하면서도, 차량 부하의 증대에 기인하여 압축기를 신속하게 최소 용량 운전으로 이행시켜야 하는 경우, 및 최소 용량 운전으로부터 신속하게 압축기를 기동시키는 경우 등, 차량 상태에 상응하여 압축기의 제어를 유연하게 전환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However, the internal circulation in the compressor does not work for the refrigeration cycle. Therefore, if the internal circulation is made unnecessarily large, it becomes difficult to ensure the external circulation in the variable displacement operation region (during the control of the compressor), which may lead to a decrease in the uniformity of the air conditioner. On the other hand, in consideration of the uniformity of such an air conditioner, when the compressor must be quickly shifted to the minimum capacity operation due to the increase of the vehicle load, and the compressor is started quickly from the minimum capacity operation, It is desirable that the control of the compressor can be flexibly switched.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압축기의 운전 효율을 높게 유지하면서, 운전의 전환을 효율적으로 진행하는 것을 실현하는데 바람직한 제어 밸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ntrol valve preferable for realizing efficient operation switching while maintaining a high operating efficiency of the compressor.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흡입실, 토출실 및 제어실을 구비하고, 제어실의 압력을 조정하는 것에 의해 토출 용량이 가변되는 가변 용량 압축기에 적용되는 제어 밸브이다. 이 제어 밸브는, 토출실과 제어실 사이에 배치되어, 토출실에서 제어실로 흐르는 냉매의 유량을 제어하는 제1밸브; 제어실과 흡입실 사이에 서로 병렬로 배치되어, 제어실에서 흡입실로 흐르는 냉매의 유량을 제어하는 제2밸브 및 제3밸브; 공급 전류값에 상응한 제1밸브의 밸브 폐쇄 방향이면서 제2밸브의 밸브 개방 방향의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솔레노이드; 및 흡입실의 압력 또는 제어실의 압력을 피감지 압력으로서 감지하고, 그 피감지 압력의 크기에 상응하여 솔레노이드의 구동력에 대한 대항력을 발생시키는 감압부를 구비한다.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trol valve having a suction chamber, a discharge chamber, and a control chamber, which is applied to a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in which the discharge capacity is variable by adjusting the pressure in the control chamber. The control valve includes a first valve disposed between the discharge chamber and the control chamber and controlling a flow rate of the refrigerant flowing from the discharge chamber to the control chamber; A second valve and a third valve arrang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between the control chamber and the suction chamber for controlling a flow rate of the refrigerant flowing from the control chamber to the suction chamber; A solenoid for generating a driving force in a valve closing direction of the first valve and a valve closing direction of the second valve corresponding to a supply current value; And a depressurizing portion that detects the pressure of the suction chamber or the pressure of the control chamber as a detected pressure and generates a counter force against the driving force of the solenoid corresponding to the detected pressur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도 제어 밸브이다. 이 제어 밸브는, 토출실과 제어실을 연통시키는 제1통로와, 제어실과 흡입실을 연통시키는 제2통로를 구비하는 보디; 제1통로에 마련된 제1밸브 구멍에 접리하여 제1통로의 개도를 조정하는 제1밸브체; 제2통로에 마련된 제2밸브 구멍에 접리하여 제2통로의 개도를 조정하는 제2밸브체; 공급 전류값에 상응한 각 밸브체의 개폐 방향의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솔레노이드; 솔레노이드의 구동력을 각 밸브체에 전달하기 위한 작동 로드; 흡입실의 압력 또는 제어실의 압력을 감지하고, 그 감지한 압력의 크기에 상응하여 솔레노이드의 구동력에 대한 대항력을 발생시키는 감압부; 및 제2통로와는 별도로 제어실과 흡입실을 연통 가능한 연통로를, 감압부가 감지한 압력의 크기에 상응하여 개폐하는 개폐 기구를 구비한다.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a control valve. The control valve includes a body having a first passage for communicating the discharge chamber and the control chamber, and a second passage for communicating the control chamber and the suction chamber; A first valve body that contacts the first valve hole provided in the first passage to adjust an opening degree of the first passage; A second valve body that contacts the second valve hole provided in the second passage to adjust the opening degree of the second passage; A solenoid for generating a driving force in an opening and closing direction of each valve body corresponding to a supply current value; An operating rod for transmitting the driving force of the solenoid to each valve body; A pressure reducing unit for sensing the pressure of the suction chamber or the pressure of the control chamber and generating a counter force against the driving force of the solenoid corresponding to the sensed pressure; And an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that opens and closes the communication passage communicating with the control chamber and the suction chamber separately from the second passage in accordance with the pressure detected by the decompression portion.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도 제어 밸브이다. 이 제어 밸브는, 토출실과 제어실을 연통시키는 메인 통로와, 제어실과 흡입실을 연통시키는 서브 통로를 구비하는 보디; 메인 통로에 마련되어, 토출실에서 제어실로 흐르는 냉매의 유량을 제어하는 메인 밸브; 서브 통로에 마련되어, 제어실에서 흡입실로 흐르는 냉매의 유량을 제어하는 서브 밸브; 공급 전류값에 상응한 메인 밸브의 밸브 폐쇄 방향이면서 서브 밸브의 밸브 개방 방향의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솔레노이드; 및 흡입실의 압력 또는 제어실의 압력을 피감지 압력으로서 감지하고, 그 피감지 압력의 크기에 상응하여 솔레노이드의 구동력에 대한 대항력을 발생시키는 감압부를 구비한다. 이 제어 밸브는, 메인 밸브가 개방 상태에서 밸브 폐쇄 방향으로 동작하는 과정에서 서브 밸브의 개도가 증대하는 제1제어 영역과, 메인 밸브의 폐쇄 후에 피감지 압력의 크기에 상응하여 서브 밸브의 개도가 더욱 증대하는 제2제어 영역을 포함하고, 제2제어 영역의 밸브 개도 증대율이 제1제어 영역의 밸브 개도 증대율보다 큰 제어 특성을 갖는다.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a control valve. The control valve includes a body having a main passage for communicating the discharge chamber and the control chamber, and a sub passage for communicating the control chamber and the suction chamber; A main valve provided in the main passage for controlling the flow rate of the refrigerant flowing from the discharge chamber to the control chamber; A sub valve provided in the sub passage for controlling the flow rate of the refrigerant flowing from the control chamber to the suction chamber; A solenoid for generating a driving force in the valve-closing direction of the sub-valve while being in the valve-closing direction of the main valve corresponding to the supply current value; And a depressurizing portion that detects the pressure of the suction chamber or the pressure of the control chamber as a detected pressure and generates a counter force against the driving force of the solenoid corresponding to the detected pressure. The control valve has a first control region in which the opening degree of the sub valve increases in the course of operation of the main valve in the valve closing direction from the open state and a second control region in which the opening degree of the sub valve corresponds to the magnitude of the pressure to be detected after the main valve is closed The second control region has a control characteristic in which the valve opening increasing rate of the second control region is larger than the valve opening increasing rate of the first control region.

이들의 실시예에 의하면, 압축기의 운전 효율을 높게 유지하면서, 운전의 전환을 효율적으로 진행하는 것을 실현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se embodiments, it is possible to realize the efficient switching of the operation while maintaining the operation efficiency of the compressor at a high level.

본 발명의 제어 밸브에 의하면, 압축기의 운전 효율을 높게 유지하면서, 운전의 전환을 효율적으로 진행하는 것을 실현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control valv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 can be switched efficiently while maintaining the operation efficiency of the compressor at a high level.

도 1은 제1실시예에 따른 제어 밸브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상반부에 대응하는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3은 제어 밸브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메인 밸브체 및 서브 밸브체의 구조 및 동작을 나타내는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메인 밸브 및 서브 밸브의 밸브 개방 특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변형예에 따른 제어 밸브의 상반부에 대응하는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7은 변형예에 따른 각 밸브체의 구조 및 동작을 나타내는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8은 변형예에 따른 메인 밸브 및 서브 밸브의 밸브 개방 특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변형예에 따른 각 밸브체의 구조 및 동작을 나타내는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10은 변형예에 따른 메인 밸브 및 서브 밸브의 밸브 개방 특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제2실시예에 따른 제어 밸브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상반부에 대응하는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13은 제어 밸브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메인 밸브체 및 서브 밸브체의 구조 및 동작을 나타내는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15는 메인 밸브 및 서브 밸브의 밸브 개방 특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제3실시예에 따른 제어 밸브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G부분 확대도이다.
도 18은 도 17에 나타내는 서브 밸브체 및 그 주변을 나타내는 화살표 방향으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19는 메인 밸브 및 서브 밸브의 동작을 나타내는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20은 메인 밸브 및 서브 밸브의 밸브 개방 특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control valv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2 is a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corresponding to the upper half of Fig.
3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valve.
4 is a partially enlarged 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and operation of the main valve body and the sub valve body.
5 is a view showing the valve opening characteristics of the main valve and the sub valve.
6 is a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corresponding to the upper half of the control valve according to the modification.
7 is a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and operation of each valve body according to a modification.
8 is a view showing valve opening characteristics of a main valve and a sub valve according to a modified example.
9 is a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ructure and an operation of each valve body according to a modification.
10 is a view showing valve opening characteristics of a main valve and a sub valve according to a modification.
1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trol valv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12 is a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corresponding to the upper half of Fig.
13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valve.
14 is a partially enlarged 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and operation of the main valve body and the sub valve body.
15 is a view showing the valve opening characteristics of the main valve and the sub-valve.
1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trol valv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17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G in Fig.
Fig. 1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ub-valve body shown in Fig.
19 is a partially enlarged sectional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main valve and the sub-valve.
20 is a view showing the valve opening characteristics of the main valve and the sub valve.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한편,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편의상, 도시한 상태를 기준으로 각 구조의 위치 관계를 표현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 및 그 변형예에 대해, 거의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적절히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On the other han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for convenience, the positional relationship of each structure may be expressed on the basis of the illustrated state. Note that,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and modifications thereof, substantially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the description thereof may be appropriately omitted.

[제1실시예] [First Embodiment]

도 1은, 제1실시예에 따른 제어 밸브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1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control valv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제어 밸브(1)는, 자동차용 공조 장치의 냉동 사이클에 설치되는 가변 용량 압축기("압축기"로 약칭한다)의 토출 용량을 제어한다. 이 압축기는, 냉동 사이클을 흐르는 냉매를 압축하여 고온 고압의 가스 냉매로 하여 토출한다. 그 가스 냉매는 응축기(외부 열교환기)에 의해 응축되고, 나아가 팽창 장치에 의해 단열 팽창되어 저온 저압의 안개 형태의 냉매가 된다. 이 저온 저압의 냉매가 증발기에 의해 증발되고, 그 증발 잠열에 의해 차량 실내 공기를 냉각한다. 증발기에 의해 증발된 냉매는, 다시 압축기로 되돌려져 냉동 사이클을 순환한다. 압축기는, 자동차 엔진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회전축을 구비하고, 그 회전축에 장착된 요동판에 압축용 피스톤이 연결되어 있다. 그 요동판의 각도를 변화시켜 피스톤의 스트로크를 변화시키는 것에 의해, 냉매의 토출량이 조정된다. 제어 밸브(1)는, 그 압축기의 토출실로부터 제어실로 도입하는 냉매 유량, 및 제어실로부터 흡입실로 도출하는 냉매 유량을 제어하는 것에 의해 요동판의 각도, 나아가서는 그 압축기의 토출 용량을 변화시킨다. The control valve 1 controls the discharge capacity of a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abbreviated as "compressor") installed in a refrigeration cycle of an air conditioner for an automotive vehicle. This compressor compresses the refrigerant flowing in the refrigeration cycle and discharges it as gas refrigerant of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The gas refrigerant is condensed by a condenser (external heat exchanger), and further adiabatically expanded by the expansion device to become a low-temperature, low-pressure mist type refrigerant. The low-temperature low-pressure refrigerant is evaporated by the evaporator, and the room air is cooled by the latent heat of evaporation. The refrigerant evaporated by the evaporator is returned to the compressor again to circulate the refrigeration cycle. The compressor includes a rotation shaft that is rotationally driven by an automobile engine, and a compression piston is connected to a swing plate mounted on the rotation shaft. By changing the angle of the swing plate to change the stroke of the piston, the discharge amount of the refrigerant is adjusted. The control valve 1 controls the flow rate of the refrigerant introduced from the discharge chamber of the compressor to the control chamber and the flow rate of the refrigerant led out from the control chamber to the suction chamber to change the angle of the swash plate and thus the discharge capacity of the compressor.

압축기에는 냉매의 순환로로서, 냉동 사이클을 순환시키기 위한 외부 순환로 이외에, 압축기 내를 순환시키기 위한 내부 순환로가 마련되어 있다. 압축기의 실린더에 도입된 냉매의 일부는, 이른바 블로바이 가스로서, 실린더와 피스톤의 클리어런스를 통해 제어실로 샌다. 이 블로바이 가스도 내부 순환에 기여하고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제어실은 크랭크실로 이루어지지만, 변형예에 있어서는 크랭크실내 또는 크랭크실외에 별도로 마련된 압력실이어도 좋다. The compressor is provided with an internal circulation path for circulating the inside of the compressor, in addition to an external circulation path for circulating the refrigeration cycle, as a circulation path of the refrigerant. A part of the refrigerant introduced into the cylinder of the compressor is blow-by gas, and flows into the control room through the clearance between the cylinder and the piston. This blowby gas also contributes to the internal circulation. 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chamber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formed of a crank chamber, but in the modified example, it may be a pressure chamber separately provided in the crank chamber or the crank chamber.

제어 밸브(1)는, 압축기의 흡입 압력(Ps)("피감지 압력"에 해당)을 설정 압력으로 유지하도록, 토출실로부터 제어실로 도입하는 냉매 유량, 및 제어실로부터 흡입실로 도출하는 냉매 유량을 제어하는 이른바 Ps 감지 밸브로서 구성되어 있다. 제어 밸브(1)는, 밸브 본체(2)와 솔레노이드(3)를 축선 방향으로 조립하여 구성된다. 밸브 본체(2)는, 토출실에서 제어실로 흐르는 냉매의 유량을 제어하는 메인 밸브(7)와, 제어실에서 흡입실로 흐르는 냉매의 유량을 제어하는 서브 밸브(8)를 포함한다. 메인 밸브(7)는 "제1밸브"로서 기능하고, 서브 밸브(8)는 "제2밸브"로서 기능한다. 메인 밸브(7)는, 압축기의 운전시에 개도가 조정되어, 토출 냉매의 일부를 제어실에 도입한다. 서브 밸브(8)는, 압축기의 기동시에 완전 개방 상태가 되어, 제어실의 냉매를 흡입실로 풀어주는 이른바 블리드 밸브로서 기능한다. 솔레노이드(3)는, 공급 전류값에 상응한 메인 밸브(7)의 밸브 폐쇄 방향이면서 서브 밸브(8)의 밸브 개방 방향의 구동력을 발생한다. 밸브 본체(2)는, 단차를 갖는 원통 형상의 보디(5)를 구비하고, 그 보디(5) 내에 메인 밸브(7), 서브 밸브(8) 및 파워 엘리먼트(6)를 수용한다. 파워 엘리먼트(6)는 "감압부"로서 기능하고, 흡입 압력(Ps)의 크기에 상응한 솔레노이드(3)에 대한 대항력을 발생한다. The control valve 1 controls the flow rate of the refrigerant introduced into the control chamber from the discharge chamber and the flow rate of the refrigerant led out from the control chamber to the suction chamber so as to maintain the suction pressure Ps (corresponding to the " So-called " Ps " The control valve 1 is constituted by assembling the valve body 2 and the solenoid 3 in the axial direction. The valve body 2 includes a main valve 7 for controlling the flow rate of the refrigerant flowing from the discharge chamber to the control chamber and a sub valve 8 for controlling the flow rate of the refrigerant flowing from the control chamber to the suction chamber. The main valve 7 functions as a "first valve " and the sub-valve 8 functions as a" second valve ". The opening degree of the main valve 7 is adjusted during the operation of the compressor to introduce a part of the discharged refrigerant into the control chamber. The sub-valve 8 functions as a so-called bleed valve that releases the refrigerant in the control chamber to the suction chamber when the compressor is started. The solenoid 3 generates a driving force in the valve opening direction of the sub valve 8 in the valve closing direction of the main valve 7 corresponding to the supply current value. The valve body 2 has a cylindrical body 5 having a stepped portion and accommodates the main valve 7, the sub valve 8 and the power element 6 in the body 5. The power element 6 functions as a "pressure reducing portion" and generates a counter force against the solenoid 3 corresponding to the magnitude of the suction pressure Ps.

보디(5)에는, 그 상단측에서부터 포트(12, 14, 16)가 마련되어 있다. 포트(12)는 "흡입실 연통 포트"로서 기능하고, 압축기의 흡입실에 연통한다. 포트(14)는 "제어실 연통 포트"로서 기능하고, 압축기의 제어실에 연통한다. 포트(16)는 "토출실 연통 포트"로서 기능하고, 압축기의 토출실에 연통한다. 보디(5)의 상단 개구부를 닫도록 단부 부재(13)가 고정되어 있다. 보디(5)의 하단부가 솔레노이드(3)의 상단부에 압입되는 것에 의해, 밸브 본체(2)와 솔레노이드(3)가 고정되어 있다. The body 5 is provided with ports 12, 14, 16 from the upper end thereof. The port 12 functions as a "suction chamber communication port " and communicates with the suction chamber of the compressor. The port 14 functions as a "control chamber communication port " and communicates with the control chamber of the compressor. The port 16 functions as a "discharge chamber communication port " and communicates with the discharge chamber of the compressor. And the end member 13 is fixed so as to close the top opening of the body 5. [ The valve body 2 and the solenoid 3 are fixed by pressing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body 5 into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solenoid 3.

보디(5) 내에는, 포트(16)와 포트(14)를 연통시키는 메인 통로와, 포트(14)와 포트(12)를 연통시키는 서브 통로가 형성되어 있다. 메인 통로는 "제1통로"로서 기능하고, 서브 통로는 "제2통로"로서 기능한다. 메인 통로에는 메인 밸브(7)가 마련되고, 서브 통로에는 서브 밸브(8)가 마련된다. 즉, 제어 밸브(1)는, 일단측에서부터 파워 엘리먼트(6), 서브 밸브(8), 메인 밸브(7), 솔레노이드(3)가 차례로 배치되는 구성을 갖는다. 메인 통로에는 메인 밸브 구멍(20)과 메인 밸브 시트(22)가 마련된다. 서브 통로에는 서브 밸브 구멍(32)과 서브 밸브 시트(34)가 마련된다. 메인 밸브 구멍(20)은 "제1밸브 구멍"로서 기능하고, 서브 밸브 구멍(32)은 "제2밸브 구멍"로서 기능한다. A main passage for communicating the port 16 and the port 14 and a sub passage for communicating the port 14 and the port 12 are formed in the body 5. The main passage serves as the "first passage" and the sub passage serves as the "second passage ". A main valve (7) is provided in the main passage, and a sub valve (8) is provided in the sub passage. That is, the control valve 1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power element 6, the sub valve 8, the main valve 7, and the solenoid 3 are sequentially disposed from one end. The main passage is provided with a main valve hole (20) and a main valve seat (22). A sub-valve hole (32) and a sub-valve seat (34) are provided in the sub passage. The main valve hole 20 functions as a "first valve hole" and the sub valve hole 32 functions as a "second valve hole ".

포트(12)는, 보디(5)의 상부에 구획된 작동실(23)과 흡입실을 연통시킨다. 파워 엘리먼트(6)는, 작동실(23)에 배치되어 있다. 포트(16)는, 토출실로부터 토출 압력(Pd)의 냉매를 도입한다. 포트(16)와 메인 밸브 구멍(20) 사이에는 밸브실(24)이 마련되어 있다. 메인 밸브 구멍(20)의 하단 개구부에 메인 밸브 시트(22)가 형성되어 있다. 포트(14)는, 압축기의 정상 동작시에 메인 밸브(7)를 경유하여 제어 압력(Pc)이 된 냉매를 제어실을 향해 도출하는 한편, 압축기의 기동시에는 제어실로부터 배출된 제어 압력(Pc)의 냉매를 도입한다. 포트(12)는, 압축기의 기동시에 서브 밸브(8)를 경유하여 흡입 압력(Ps)이 된 냉매를 흡입실을 향해 도출한다. The port 12 communicates the suction chamber with the operation chamber 23 partition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5. [ The power element 6 is disposed in the operation chamber 23. [ The port 16 introduces the refrigerant of the discharge pressure Pd from the discharge chamber. A valve chamber (24) is provided between the port (16) and the main valve hole (20). A main valve seat (22) is formed at the lower end opening of the main valve hole (20). The port 14 draws the refrigerant having the control pressure Pc toward the control chamber via the main valve 7 in the normal operation of the compressor while the control pressure Pc discharged from the control chamber at the time of starting the compressor Of the refrigerant is introduced. The port 12 draws the refrigerant having the suction pressure Ps through the sub-valve 8 toward the suction chamber when the compressor starts.

포트(14, 16)에는, 원통 형상의 필터 부재(15, 17)가 각각 장착되어 있다. 필터 부재(15, 17)는, 보디(5)의 내부로의 이물의 침입을 억제하기 위한 메쉬를 포함한다. 메인 밸브(7)의 밸브 개방시에는 필터 부재(17)가 포트(16)로의 이물의 침입을 규제하고, 서브 밸브(8)의 밸브 개방시에는 필터 부재(15)가 포트(14)로의 이물의 침입을 규제한다. In the ports 14 and 16, cylindrical filter members 15 and 17 are attached, respectively. The filter members (15, 17) include a mesh for suppressing the intrusion of foreign matter into the interior of the body (5). When the main valve 7 is opened, the filter member 17 restricts the entry of foreign matter into the port 16, and when the valve of the sub valve 8 is opened, the filter member 15 contacts the port 14 .

포트(14)와 작동실(23) 사이에 서브 밸브 구멍(32)이 마련되어 있다. 서브 밸브 구멍(32)의 상단 개구부에 서브 밸브 시트(34)가 형성되어 있다. 서브 밸브 구멍(32)은, 메인 밸브 구멍(20)과 동축 형태로 연통되어 있다. 보디(5)의 하부(밸브실(24)의 메인 밸브 구멍(20)과는 반대측)에는 가이드 구멍(26)이 마련되어 있다. 가이드 구멍(26)에는, 단차를 갖는 원통 형상의 밸브 구동체(29)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And a sub-valve hole 32 is provided between the port 14 and the working chamber 23. A sub valve seat (34) is formed at the upper opening of the sub valve hole (32). The sub valve hole (32) communicates with the main valve hole (20) in a coaxial manner. A guide hole 26 is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5 (opposite to the main valve hole 20 of the valve chamber 24). In the guide hole 26, a cylindrical valve drive body 29 having a stepped portion is slidably inserted.

밸브 구동체(29)의 상반부가 지름이 축소되어, 메인 밸브 구멍(20) 및 서브 밸브 구멍(32)을 관통하면서 내외를 구획하는 구획부(33)가 되어 있다. 밸브 구동체(29)의 중간부에 형성된 단차부가, 메인 밸브체(30)가 되어 있다. 메인 밸브체(30)가 밸브실(24)측에서 메인 밸브 시트(22)에 탈착하는 것에 의해 메인 밸브(7)를 개폐하여, 토출실에서 제어실로 흐르는 냉매 유량을 조정한다. 밸브 구동체(29)의 상단부에 서브 밸브체(36)가 일체로 마련되어 있다. The upper half of the valve driving body 29 is reduced in diameter to form a partitioning portion 33 for partitioning the inside and outside while passing through the main valve hole 20 and the sub valve hole 32. [ The stepped portion formed in the middle portion of the valve actuator 29 serves as the main valve body 30. The main valve body 30 is detached from the main valve seat 22 at the valve chamber 24 side to open and close the main valve 7 to adjust the flow rate of the refrigerant flowing from the discharge chamber to the control chamber. And the sub valve body 36 is integrally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valve driving body 29. [

서브 밸브체(36)는 링 형상으로 되어 있고, 구획부(33)의 상단부에 동축 형태로 압입되어 있다. 서브 밸브체(36)는, 작동실(23)에 배치되고, 서브 밸브 시트(34)와 축선 방향으로 대향 배치되어 있다. 서브 밸브체(36)가 서브 밸브 시트(34)에 탈착하는 것에 의해 서브 밸브(8)를 개폐한다. 메인 밸브체(30)는 "제1밸브체"로서 기능하고, 서브 밸브체(36)는 "제2밸브체"로서 기능한다. 한편, 메인 밸브체(30) 및 서브 밸브체(36)는, 제어 밸브(1)에 의한 소정의 제어 특성을 실현하기 위해 각각 메인 밸브 구멍(20), 메인 밸브 시트(22)에 삽입/인출되는 스풀부를 구비하지만, 그 구조 및 동작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The sub valve body 36 has a ring shape and is press-fitted into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partition portion 33 in a coaxial manner. The sub valve body 36 is disposed in the operation chamber 23 and is opposed to the sub valve seat 34 in the axial direction. And the sub valve (8) is opened and closed by the sub valve body (36) being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sub valve seat (34). The main valve body 30 functions as a "first valve body", and the sub valve body 36 functions as a "second valve body". The main valve body 30 and the sub valve body 36 are inserted into the main valve hole 20 and the main valve seat 22 in order to realize predetermined control characteristics by the control valve 1, The details of the structure and operation will be described later.

밸브 구동체(29)의 상단부는, 서브 밸브체(36)를 통해 파워 엘리먼트(6)와 작동 연결된다. 밸브 구동체(29)의 하단부는, 솔레노이드(3)로부터 연장되는 샤프트(38)("작동 로드"로서 기능함)에 연결되어 있다. 밸브 구동체(29)의 하단 중앙에는 오목한 감합 구멍(37)이 마련되어 있고, 샤프트(38)의 상단부가 압입되어 있다.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valve drive body 29 is operatively connected to the power element 6 through the sub-valve body 36. The lower end of the valve actuator 29 is connected to a shaft 38 (which functions as an "actuating rod") extending from the solenoid 3. A concave fitting hole 37 is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lower end of the valve actuator 29, and the upper end of the shaft 38 is press-fitted.

보디(5)와 솔레노이드(3) 사이에는 작동실(28)이 형성되어 있다. 밸브 구동체(29)의 하부 측면에는, 그 내부 통로(35)와 작동실(28)을 연통하는 연통 구멍(39)이 마련되어 있다. 작동실(28)은, 밸브 구동체(29)의 내부 통로를 통해 작동실(23)에 연통된다. 이 때문에, 작동실(28)에는 작동실(23)의 흡입 압력(Ps)이 도입된다. 이 흡입 압력(Ps)은, 솔레노이드(3)의 내부에도 인도된다. 밸브 구동체(29)의 하단부에는,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스프링 베어링(40)이 마련되어 있다. 보디(5)와 스프링 베어링(40) 사이에는, 밸브 구동체(29)를 메인 밸브(7)의 밸브 개방 방향이면서 서브 밸브(8)의 밸브 폐쇄 방향으로 바이어스하는 스프링(42)("바이어스 부재"로서 기능함)이 배치되어 있다. 스프링(42)은, 솔레노이드(3)의 오프시에 메인 밸브(7)를 완전 개방시키는 이른바 오프 스프링으로서 기능한다. A working chamber 28 is formed between the body 5 and the solenoid 3. A communicating hole 39 for communicating the internal passage 35 with the operation chamber 28 is provided on the lower side surface of the valve drive body 29. The operation chamber 28 communicates with the operation chamber 23 through the internal passage of the valve drive body 29. For this reason, the suction pressure Ps of the operation chamber 23 is introduced into the operation chamber 28. The suction pressure Ps is also delivered to the inside of the solenoid 3. A spring bearing 40 protruding outward in the radial direction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valve driving body 29. A spring 42 ("biasing member ") biasing the valve driving body 29 in the valve closing direction of the main valve 7 and in the valve closing direction of the sub valve 8 is provided between the body 5 and the spring bearing 40 ") Is disposed. The spring 42 functions as a so-called off spring in which the main valve 7 is fully opened when the solenoid 3 is turned off.

파워 엘리먼트(6)는, 흡입 압력(Ps)을 감지하여 변위하는 벨로우즈(45)를 포함하고, 그 벨로우즈(45)의 변위에 의해 솔레노이드력에 대항하는 힘을 발생시킨다. 이 대항력은, 메인 밸브체(30) 및 서브 밸브체(36)에 전달된다. 서브 밸브체(36)가 서브 밸브 시트(34)에 착석하여 서브 밸브(8)를 폐쇄하는 것에 의해, 제어실로부터 흡입실로의 냉매의 릴리프가 차단 또는 제한된다. 또한, 서브 밸브체(36)가 서브 밸브 시트(34)로부터 이격하여 서브 밸브(8)를 개방하는 것에 의해, 제어실로부터 흡입실로의 냉매의 릴리프가 촉진된다. The power element 6 includes a bellows 45 which senses a suction pressure Ps to be displaced and generates a force against the solenoid force due to the displacement of the bellows 45. [ This counter force is transmitted to the main valve body 30 and the sub valve body 36. The relief of the refrigerant from the control chamber to the suction chamber is blocked or restricted by the sub valve member 36 being seated on the sub valve seat 34 and closing the sub valve 8. [ In addition, relief of the refrigerant from the control chamber to the suction chamber is promoted by opening the sub valve 8 away from the sub valve seat 34 of the sub valve body 36.

한편, 솔레노이드(3)는, 단차를 갖는 원통 형상의 코어(46)와, 코어(46)의 하단 개구부를 밀봉하도록 조립된 저부를 갖는 원통 형상의 슬리브(48)와, 슬리브(48)에 수용되어 코어(46)와 축선 방향으로 대향 배치된 단차를 갖는 원통 형상의 플런저(50)와, 코어(46) 및 슬리브(48)에 외측으로 삽입된 원통 형상의 보빈(52)과, 보빈(52)에 권취되어 통전에 의해 자기 회로를 생성하는 전자 코일(54)과, 전자 코일(54)을 외측에서 덮도록 마련되는 원통 형상의 케이스(56)와, 케이스(56)의 하단 개구부를 밀봉하도록 마련된 단부 부재(58)와, 보빈(52)의 하방에서 단부 부재(58)에 매설된 자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칼라(60)를 구비한다. The solenoid 3 includes a cylindrical core 46 having a stepped portion and a cylindrical sleeve 48 having a bottom portion assembled to seal the lower end opening of the core 46, A cylindrical bobbin 52 inserted outwardly into the core 46 and the sleeve 48 and a cylindrical bobbin 52 extending outwardly from the core 46 and the sleeve 48, An electromagnetic coil 54 which is wound on a coil spring 54 to generate a magnetic circuit by energization, a cylindrical case 56 which is provided so as to cover the electromagnetic coil 54 from the outside, And a collar 60 made of a magnetic material embedded in the end member 58 below the bobbin 52. [

밸브 본체(2)와 솔레노이드(3)는, 보디(5)의 하단부가 코어(46)의 상단 개구부에 압입되는 것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코어(46)와 보디(5) 사이에 작동실(28)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코어(46)의 중앙을 축선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샤프트(38)가 삽입되어 있다. 샤프트(38)의 하단부가 플런저(50)의 상반부에 압입되어 있다. 작동실(28)의 흡입 압력(Ps)은, 샤프트(38)와 코어(46) 간격에 의해 형성되는 연통로(62)를 통해 슬리브(48)의 내부에도 인도된다. The valve body 2 and the solenoid 3 are fixed by pressing the lower end of the body 5 into the upper opening of the core 46. [ A working chamber 28 is formed between the core 46 and the body 5. On the other hand, a shaft 38 is inserted so as to pass through the center of the core 46 in the axial direction. The lower end of the shaft 38 is press-fitted into the upper half of the plunger 50. [ The suction pressure Ps of the operating chamber 28 is also guided to the inside of the sleeve 48 through the communication path 62 formed by the gap between the shaft 38 and the core 46. [

슬리브(48)의 저부와 플런저(50) 사이에는, 플런저(50) 나아가서는 밸브 구동체(29)를 메인 밸브(7)의 밸브 폐쇄 방향이면서 서브 밸브(8)의 밸브 개방 방향으로 바이어스하는 스프링(44)("바이어스 부재"로서 기능함)이 배치되어 있다. 샤프트(38)는, 밸브 구동체(29) 및 플런저(50)의 각각에 대해 동축 형태로 접속되어 있다. A spring for biasing the plunger 50 and further the valve driving body 29 in the valve closing direction of the main valve 7 and in the valve opening direction of the sub valve 8 is provided between the bottom of the sleeve 48 and the plunger 50, (Serving as a "bias member"). The shaft 38 is coaxially connected to each of the valve actuator 29 and the plunger 50.

샤프트(38)는, 코어(46)와 플런저(50)의 흡인력인 솔레노이드력을, 밸브 구동체(29)에 전달한다. 한편, 밸브 구동체(29)에는, 파워 엘리먼트(6)의 신축 작동에 의한 구동력("감압 구동력"으로 약칭하기도 한다)이 솔레노이드력과 대항하도록 부하된다. 즉, 메인 밸브(7)의 제어 상태에 있어서는, 솔레노이드력과 감압 구동력에 의해 조정된 힘이 메인 밸브체(30)에 작용하여, 메인 밸브(7)의 개도를 적절하게 제어한다. 압축기의 기동시에는, 솔레노이드력의 크기에 상응하여 샤프트(38)가 상방으로 변위하여 서브 밸브체(36)를 밀어 올려 서브 밸브(8)를 완전 개방시킨다. 그에 의해 블리드 기능이 발휘된다. The shaft 38 transmits a solenoid force, which is a suction force of the core 46 and the plunger 50, to the valve driving body 29. On the other hand, a driving force (also abbreviated as "reduced pressure driving force") caused by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power element 6 is loaded on the valve actuator 29 so as to oppose the solenoid force. That is, in the control state of the main valve 7, a force adjusted by the solenoid force and the depressurized driving force acts on the main valve body 30 to appropriately control the opening of the main valve 7. At the start of the compressor, the shaft 38 is displaced upward in accordance with the solenoid force to push up the sub-valve body 36 to fully open the sub-valve 8. Whereby the bleed function is exerted.

슬리브(48)는 비자성 재료로 이루어진다. 플런저(50)의 측면에는 축선에 대해 평행인 연통홈(66)이 마련되고, 플런저(50)의 하부에는 내외를 연통하는 연통 구멍(68)이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흡입 압력(Ps)이 플런저(50)와 슬리브(48) 간격을 통해 배압실(70)에 인도된다. Sleeve 48 is made of a non-magnetic material. A communication groove 66 is provid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plunger 50 in parallel to the axis and a communication hole 68 communicating with the inside and the outside is provid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plunger 50. With this configuration, the suction pressure Ps is delivered to the back pressure chamber 70 through the gap between the plunger 50 and the sleeve 48.

보빈(52)로부터는 전자 코일(54)에 연결되는 한쌍의 접속 단자(72)가 연장되어, 각각 단부 부재(58)를 관통하여 외부로 인출되어 있다. 도 1에는 설명의 편의상, 그 한쌍 중의 하나만 표시되어 있다. 단부 부재(58)는, 케이스(56)에 내포되는 솔레노이드(3) 내의 구조물 전체를 하방에서 덮도록 장착되어 있다. 단부 부재(58)는, 내식성을 갖는 수지재의 몰드 성형(사출 성형)에 의해 형성되고, 그 수지재가 케이스(56)와 전자 코일(54)의 간격에도 개재하고 있다. 그에 의해, 전자 코일(54)에서 발생한 열을 케이스(56)에 전달하기 쉽게 하여, 그 방열 성능을 높이고 있다. 단부 부재(58)로부터는 접속 단자(72)의 선단부가 인출되어 있고, 도시하지 않는 외부 전원에 접속된다. A pair of connection terminals 72 connected to the electromagnetic coil 54 extend from the bobbin 52 and extend out through the end members 58, respectively. In FIG. 1, only one of the pair is show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end member 58 is mounted so as to cover the entire structure in the solenoid 3 contained in the case 56 from below. The end member 58 is formed by mold molding (injection molding) of a resin material having corrosion resistance, and the resin material is also interposed between the case 56 and the electromagnetic coil 54. Thereby, the heat generated in the electromagnetic coil 54 can be easily transmitted to the case 56, and the heat radiation performance is enhanced. The distal end portion of the connection terminal 72 is drawn out from the end member 58 and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ource (not shown).

도 2는, 도 1의 상반부에 대응하는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2 is a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corresponding to the upper half of Fig.

밸브 구동체(29)의 가이드 구멍(26)과의 슬라이딩면에는, 냉매의 유통을 억제하기 위한 복수의 고리 모양의 홈으로 이루어지는 래버린스씰(labyrinth seal)(74)이 마련되어 있다. 샤프트(38)가 밸브 구동체(29)와 일체로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솔레노이드력을 메인 밸브체(30) 및 서브 밸브체(36)에 직접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이 구성은, 밸브 구동체(29)와 가이드 구멍(26)의 슬라이딩부로의 이물의 침입에 의해 각 밸브체의 작동이 록된 경우에, 그것을 해제하는 록 해제 기구로서 기능한다. A labyrinth seal 74 having a plurality of annular grooves for restricting the flow of the refrigerant is provided on the sliding surface of the valve driving body 29 with the guide hole 26. The solenoid force can be directly transmitted to the main valve body 30 and the sub valve body 36 since the shaft 38 is provided integrally with the valve driving body 29. [ This configuration functions as a lock release mechanism for releasing the valve body 29 when the operation of each valve body is locked due to the intrusion of foreign objects into the sliding portions of the valve body 29 and the guide hole 26.

파워 엘리먼트(6)는, 벨로우즈(45)의 상단 개구부를 제1스토퍼(82)에 의해 폐지하고, 하단 개구부를 제2스토퍼(84)에 의해 폐지하여 구성되어 있다. 벨로우즈(45)는 "감압 부재"로서 기능하고, 제1스토퍼(82) 및 제2스토퍼(84)는, 각각 "베이스 부재"로서 기능한다. 제1스토퍼(82)는, 단부 부재(13)와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제2스토퍼(84)는, 금속재를 프레스 성형하여 저부를 갖는 원통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고, 그 하단 개구부에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돌출되는 플랜지부(86)를 구비한다. 벨로우즈(45)는, 주름상자 모양의 본체의 상단부가 단부 부재(13)의 하면에 기밀하게 용접되고, 그 본체의 하단 개구부가 플랜지부(86)의 상면에 기밀하게 용접되어 있다. 벨로우즈(45)의 내부는 밀폐된 기준 압력실(S)이 되어 있고, 벨로우즈(45)의 내방에는, 단부 부재(13)와 플랜지부(86) 사이에, 벨로우즈(45)를 신장 방향으로 바이어스하는 스프링(88)이 배치되어 있다. 기준 압력실(S)은, 본 실시예에서는 진공 상태로 되어 있다. The power element 6 is constituted such that the upper end opening of the bellows 45 is closed by the first stopper 82 and the lower end opening is closed by the second stopper 84. [ The bellows 45 functions as a " pressure reducing member ", and the first stopper 82 and the second stopper 84 each function as a "base member ". The first stopper 82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end member 13. The second stopper 84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having a bottom by press-forming a metal material, and has a flange portion 86 that protrudes radially outwardly from the lower end opening portion. The bellows 45 is hermetically weld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end member 13 at the upper end of the bellows-like body, and the lower end opening of the bellows 45 is hermetically weld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lange portion 86. The inside of the bellows 45 is a sealed reference pressure chamber S and a bellows 45 is provided in the interior of the bellows 45 between the end member 13 and the flange portion 86, A spring 88 is disposed. The reference pressure chamber S is in a vacuum state in this embodiment.

단부 부재(13)는, 파워 엘리먼트(6)의 고정단이 되어 있다. 단부 부재(13)의 보디(5)로의 압입량을 조정하는 것에 의해, 파워 엘리먼트(6)의 설정 하중(스프링(88)의 설정 하중)을 조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제1스토퍼(82)의 중앙부가 벨로우즈(45)의 내방을 향해 하방으로 연장되고, 제2스토퍼(84)의 중앙부가 벨로우즈(45)의 내방을 향해 상방으로 연장되어, 그들이 벨로우즈(45)의 축심을 형성하고 있다. 벨로우즈(45)는, 작동실(23)의 흡입 압력(Ps)과 기준 압력실(S)의 기준 압력의 차압에 따라 축선 방향(메인 밸브 및 서브 밸브의 개폐 방향)으로 신장 또는 수축한다. 그 차압이 작아져 벨로우즈(45)가 신장되는 것에 상응하여, 밸브 구동체(29)에 메인 밸브(7)의 밸브 개방 방향이면서 서브 밸브(8)의 밸브 폐쇄 방향의 구동력이 부여된다. 그 차압이 커져도, 벨로우즈(45)가 소정량 수축하면, 제2스토퍼(84)가 제1스토퍼(82)에 당접하여 정지되기 때문에, 그 수축은 규제된다. The end member 13 is a fixed end of the power element 6. The set load of the power element 6 (the set load of the spring 88) can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amount of the end member 13 to be pushed into the body 5. The central portion of the first stopper 82 extends downward toward the inside of the bellows 45 and the central portion of the second stopper 84 extends upward toward the inside of the bellows 45 so that the bellows 45 ). The bellows 45 elongates or contracts in the axial direction (opening and closing directions of the main valve and the sub valve) in accordance with the differential pressure between the suction pressure Ps of the operating chamber 23 and the reference pressure of the reference pressure chamber S. [ The driving force in the valve closing direction of the sub valve 8 is applied to the valve driving body 29 in the valve opening direction of the main valve 7 in correspondence with the expansion of the bellows 45 due to the reduction of the differential pressure. The second stopper 84 comes into contact with the first stopper 82 and stops, so that the shrinkage of the bellows 45 is restricted.

서브 밸브체(36)는, 링 형상의 본체를 구비하고, 그 둘레 방향의 소정 개소의 상면이 절삭되어 연통로(9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그 둘레 방향의 다른 개소에는, 축선에 대해 평행하게 본체를 관통하는 연통로(92)가 형성되어 있다. 밸브 구동체(29)의 선단부가 약간 지름이 축소되어 있고, 그 축경부(94)에 외측으로 삽입되도록 서브 밸브체(36)가 압입되어 있다. 서브 밸브체(36)의 높이는, 축경부(94)의 높이보다 약간 크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파워 엘리먼트(6)가 신장되어 있을 때에는, 서브 밸브체(36)의 상면이 플랜지부(86)의 하면에 당접하여, 연통로(92)의 상단은 폐쇄된다. 한편, 연통로(90)는 지름 방향으로 항상 개방된다. 이 때문에, 작동실(23)의 흡입 압력(Ps)은, 항상, 그 연통로(90) 및 밸브 구동체(29)의 내부 통로(35)를 통해 작동실(28) 나아가서는 솔레노이드(3)의 내부에 인도된다. The sub valve body 36 has a ring-shaped main body, and a top surface of a predetermined portion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s cut to form a communication path 90. Further, at a different position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 communication passage 92 penetrating the main body is formed parallel to the axis. And the sub valve body 36 is press-fitted so that the distal end portion of the valve drive body 29 is slightly reduced in diameter and inserted into the reduced diameter portion 94 outwardly. The height of the sub-valve body 36 is slightly larger than the height of the reduced-diameter portion 94. 1, when the power element 6 is extended, the upper surface of the sub-valve body 36 comes into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flange portion 86,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communication passage 92 Lt; / RTI > On the other hand, the communication path 90 is always opened in the radial direction. The suction pressure Ps of the operating chamber 23 is constantly maintained in the working chamber 28 and hence the solenoid 3 through the communication passage 90 and the internal passageway 35 of the valve driving body 29, As shown in FIG.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메인 밸브체(30)의 메인 밸브(7)에 있어서의 유효 수압 지름 A(실링부 지름)와, 서브 밸브체(36)의 서브 밸브(8)에 있어서의 유효 수압 지름 B(실링부 지름)와, 밸브 구동체(29)의 슬라이딩부 지름 C(실링부 지름)가 동일하게 되어 있다. 한편, 여기서 말하는 "동일하다"는, 완전히 동일한 개념은 물론, 거의 동일한(실질적으로 동일) 개념을 포함해도 좋다. 이 때문에, 메인 밸브체(30)와 서브 밸브체(36)의 결합체(즉 밸브 구동체(29)와 서브 밸브체(36)의 결합체)에 작용하는 토출 압력(Pd), 제어 압력(Pc) 및 흡입 압력(Ps)의 영향이 캔슬된다. 그 결과, 메인 밸브(7)의 제어 상태에 있어서, 메인 밸브체(30)는, 파워 엘리먼트(6)가 작동실(23)에서 받는 흡입 압력(Ps)을 바탕으로 개폐 동작하게 된다. 즉, 제어 밸브(1)는, 이른바 Ps 감지 밸브로서 기능한다. In this embodiment, the effective pressure-receiving diameter A (sealing portion diameter) of the main valve 7 of the main valve body 30 and the effective pressure-receiving diameter A (sealing portion diameter) of the sub- B (sealing portion diameter) and the sliding portion diameter C (sealing portion diameter) of the valve driving body 29 are the same. On the other hand, "identical " as used herein may include substantially the same concept as well as substantially the same (substantially the same) concept. The discharge pressure Pd and the control pressure Pc acting on the combination of the main valve body 30 and the sub valve body 36 (that is, the combination of the valve drive body 29 and the sub valve body 36) And the suction pressure Ps are canceled. As a result, in the control state of the main valve 7, the main valve body 30 is opened and closed on the basis of the suction pressure Ps received by the power element 6 in the operating chamber 23. That is, the control valve 1 functions as a so-called Ps sensing valve.

본 실시예에서는 이와 같이, 지름 A, B, C를 동일하게 하는 한편, 밸브체(메인 밸브체(30) 및 서브 밸브체(36))의 내부 통로를 상하로 관통시키는 것에 의해, 밸브체에 작용하는 압력(Pd, Pc, Ps)의 영향을 캔슬할 수 있다. 즉, 서브 밸브체(36), 밸브 구동체(29), 샤프트(38) 및 플런저(50)의 결합체의 전후(도면에서는 상하)의 압력을 동일한 압력(흡입 압력(Ps))으로 할 수 있고, 그에 의해 압력 캔슬이 실현된다. 이에 의해, 벨로우즈(45)의 유효 수압 지름 D에 의존하지 않고 각 밸브체의 지름을 설정할 수도 있어 설계 자유도가 높다. 본 실시예에서는, 벨로우즈(45)의 지름 D를 지름 A, B, C보다 크게 하고 있지만, 지름 A, B, C와 동일하게 해도 좋고, 작게 해도 좋다. In this embodiment, the diameters A, B, and C are the same, and the inner passages of the valve body (the main valve body 30 and the sub-valve body 36) The influence of the operating pressure Pd, Pc, Ps can be canceled. That is, the pressures in the front and rear (upper and lower in the figure) of the combined body of the sub-valve body 36, the valve actuator 29, the shaft 38 and the plunger 50 can be set to the same pressure (suction pressure Ps) , Whereby the pressure cancellation is realized. Thereby, the diameter of each valve body can be set independently of the effective hydraulic pressure diameter D of the bellows 45, and the degree of freedom of design is high. In this embodiment, the diameter D of the bellows 45 is set to be larger than the diameters A, B, and C, but may be equal to or smaller than the diameters A, B, and C.

다음으로, 제어 밸브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Next,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valve will be described.

본 실시예에서는, 솔레노이드(3)로의 통전 제어에 PWM 방식(Pulse Width Modulation)이 채용된다. 이 PWM 제어는, 소정의 듀티비로 설정한 400Hz정도의 펄스 전류를 공급하여 제어를 하는 것이며, 도시하지 않는 제어부에 의해 실행된다. 이 제어부는, 지정한 듀티비의 펄스 신호를 출력하는 PWM 출력부를 구비하지만, 그 구성 자체에는 공지의 것이 채용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In this embodiment, a PWM method (Pulse Width Modulation) is employed to control the energization of the solenoid 3. This PWM control is performed by supplying a pulse current of about 400 Hz set at a predetermined duty ratio and is executed by a control unit (not shown). This control unit has a PWM output unit for outputting a pulse signal of a specified duty ratio, but a known one is employed in the configuration itself,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3은, 제어 밸브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미 설명한 도 2는, 최소 용량 운전시에 있어서의 제어 밸브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3은, 최대 용량 운전시(공조 장치의 기동시 등)에 블리드 기능이 발휘되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하에서는 도 1을 바탕으로, 적절히 도 2, 도 3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3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valve. Fig. 2 already described shows the state of the control valve at the time of the minimum capacity operation. Fig. 3 shows a state when the bleed function is exerted at the time of the maximum capacity operation (at the start of the air conditioner, etc.). Hereinafter, a description will be made with reference to Fig. 1 and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as appropriate.

제어 밸브(1)에 있어서 솔레노이드(3)가 비통전(오프)일 때, 즉 공조 장치가 동작하지 않고 있을 때에는, 코어(46)와 플런저(50) 사이에 흡인력이 작용하지 않는다. 한편, 스프링(42)에 의해 밸브 구동체(29)가 하방으로 밀어 내려진다. 그 결과, 메인 밸브체(30)가 메인 밸브 시트(22)로부터 이격하여 메인 밸브(7)가 완전 개방 상태가 된다. 이 때,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브 밸브체(36)가 서브 밸브 시트(34)에 착석하여 서브 밸브(8)가 완전 폐쇄 상태가 되지만, 그 후에 흡입 압력(Ps)이 높아지면,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벨로우즈(45)가 축소하고, 연통로(92)가 개방된다. 이 때문에, 오프시에는 냉동 사이클의 흐름 자체가 작고, 더욱이 제어 압력(Pc)과 흡입 압력(Ps)의 차압(Pc-Ps)이 작아짐에도 불구하고, 그 연통로(92)를 통한 적절한 추기(bleeding)가 이루어져, 필요 최소한의 내부 순환량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제어 압력(Pc)이 과도하게 높아지는 것이 방지된다. 파워 엘리먼트(6)와 서브 밸브체(36)에 의해, 흡입 압력(Ps)의 크기에 상응하여 연통로(92)를 개폐하는 "개폐 기구"가 구성된다. 파워 엘리먼트(6)의 감압체(벨로우즈(45) 및 제2스토퍼(84)를 포함)와 서브 밸브체(36)를 작동 연결 또는 연결 해제하는 것에 의해 연통로(92)를 개폐할 수 있다. 한편, 연통로(92)의 크기를 적절하게 설정하는 것에 의해, 압축기의 하우징에 통상 마련되는 고정 오리피스를 생략할 수 있다. The suction force does not act between the core 46 and the plunger 50 when the solenoid 3 is not energized (OFF) in the control valve 1, that is, when the air conditioner is not operating. On the other hand, the valve driving body 29 is pushed downward by the spring 42. As a result, the main valve body 30 is separated from the main valve seat 22 and the main valve 7 is fully opened. At this time, as shown in Fig. 1, the sub valve body 36 is seated on the sub valve seat 34 and the sub valve 8 is brought into the fully closed state. However, if the suction pressure Ps subsequently becomes high, 2, the bellows 45 is contracted and the communication passage 92 is opened. Therefore, even when the flow of the refrigeration cycle itself is small and the differential pressure Pc-Ps between the control pressure Pc and the suction pressure Ps becomes small at the time of off, bleeding), thereby ensuring a minimum internal circulation amount required. Also, the control pressure Pc is prevented from becoming excessively high. The power element 6 and the sub valve body 36 constitute an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 for opening and closing the communication path 92 in accordance with the magnitude of the suction pressure Ps. The communicating path 92 can be opened and closed by operatively connecting or disconnecting the pressure-sensitive element (including the bellows 45 and the second stopper 84) of the power element 6 and the sub valve element 36. [ On the other hand, by appropriately setting the size of the communication passage 92, a fixed orifice normally provided in the housing of the compressor can be omitted.

한편, 공조 장치의 기동시 등, 솔레노이드(3)에 제어 전류(기동 전류)가 공급되면, 코어(46)가 플런저(50)를 흡인한다. 이 때문에, 샤프트(38) 나아가서는 밸브 구동체(29)가 밀어 올려진다. 그 결과,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메인 밸브체(30)가 메인 밸브 시트(22)에 착석하여 메인 밸브(7)가 폐쇄되고, 서브 밸브체(36)가 서브 밸브 시트(34)로부터 이격하여 서브 밸브(8)가 완전 개방 상태가 된다. 그에 의해, 제어실로부터 흡입실로 소정 유량의 냉매의 릴리프가 촉진되어 제어 압력(Pc)이 저하되고, 압축기는 최대 용량 운전을 한다. 즉, 블리드 기능이 발휘되어, 압축기가 신속하게 기동한다. 또한, 공조 장치의 기동시에 흡입 압력(Ps)이 비교적 높은 경우, 도시된 바와 같이 벨로우즈(45)가 축소되고, 연통로(92)가 개방된다. 이 때문에, 서브 밸브(8)의 완전 개방과 더불어 냉매의 릴리프가 더욱 촉진된다. 그 결과, 그 기동성의 진일보의 개선을 실현할 수 있다. 특히, 제어실(크랭크실)에 액냉매가 모여있는 상태로부터의 기동의 경우, 그 액냉매의 증발에 의해 제어 압력이 상승해버리기 때문에, 블리드 효율이 저하되는 경향에 있다. 이 점, 본 실시예와 같이 제어실로부터의 릴리프를 상승적으로 증가시키는 구성으로 하는 것에 의해, 그 기동성을 개선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흡입 압력(Ps)이 저하되면, 벨로우즈(45)가 신장하여 연통로(92)가 폐쇄되고, 파워 엘리먼트(6)와 각 밸브체가 작동 연결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control current (starting current) is supplied to the solenoid 3, such as when the air conditioner is started, the core 46 sucks the plunger 50. For this reason, the shaft 38 and further the valve actuator 29 are pushed up. 3, the main valve body 30 is seated on the main valve seat 22 to close the main valve 7 and the sub valve body 36 is separated from the sub valve seat 34 So that the sub valve 8 is in a fully opened state. Thereby, the relief of the refrigerant at the predetermined flow rate from the control chamber to the suction chamber is promoted, the control pressure Pc is lowered, and the compressor performs the maximum capacity operation. That is, the bleed function is exercised, and the compressor starts up quickly. Further, when the suction pressure Ps is relatively high at the time of starting the air conditioner, the bellows 45 is contracted and the communication passage 92 is opened as shown in the figure. For this reason, the relief of the refrigerant is further promoted along with the full opening of the sub-valve 8.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realize the improvement of the mobility.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starting from a state in which the liquid refrigerant is gathered in the control chamber (crank chamber), the control pressure rises due to evaporation of the liquid refrigerant, so that the bleed efficiency tends to decrease. In this respect,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maneuverability can be improved by constructing to increase the relief from the control room synergistically. When the suction pressure Ps is lowered, the bellows 45 expands and the communication passage 92 is closed, and the power element 6 and each valve body are operatively connected.

이와 같이, 파워 엘리먼트(6)와 서브 밸브체(36)에 의한 개폐 기구는, 공조 장치의 최소 용량 운전시 및 최대 용량 운전시 모두에 있어서 연통로(92)를 개방한다. 그에 의해, 최소 용량 운전시에 있어서의 냉매의 내부 순환을 확보하는 한편, 최대 용량 운전시의 블리드 기능을 촉진할 수 있다. 즉, 서브 밸브체(36)에 마련된 특정의 통로(구멍)에 의해, 상이한 운전 상태에서의 추기 성능의 확보를 양립시킬 수 있다. 한편, 개폐 기구는, 가변 용량 운전시에 있어서는 연통로(92)를 폐쇄한다. 그에 의해, 내부 순환량을 필요 최소한으로 억제하여, 공조 장치의 일률 향상을 실현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서브 밸브체(36)에 연통로(92)를 1개 마련하는 예를 제시했지만, 복수 마련해도 좋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연통로(92)를 서브 밸브체(36)에 마련하는 예를 제시했지만, 변형예에 있어서는 보디(5) 내의 다른 가동체, 즉 밸브 구동체나 샤프트(작동 로드) 등에 마련해도 좋다. As described above, the opening / closing mechanism by the power element 6 and the sub valve body 36 opens the communication path 92 in both of the minimum capacity operation and the maximum capacity operation of the air conditioner. Thereby, it is possible to ensure the internal circulation of the refrigerant at the time of the minimum capacity operation and to promote the bleed function at the time of the maximum capacity operation. That is, the specific passage (hole) provided in the sub-valve body 36 can ensure securing the addition performance in different operating states. On the other hand, the opening / closing mechanism closes the communication path 92 during the variable displacement operation. Thereby, the internal circulation amount can be suppressed to the minimum necessary, and the uniformity of the air conditioner can be improved. 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embodiment, an example is shown in which one communication passage 92 is provided in the sub valve body 36, but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passages 92 may be provided. In this embodiment, the communicating path 92 is provided in the sub-valve body 36. However, in the modified example, another movable body in the body 5, that is, a valve driving body, a shaft .

솔레노이드(3)에 공급되는 전류값이 메인 밸브(7)의 제어 전류값 범위에 있을 때에는, 흡입 압력(Ps)이 공급 전류값에 의해 설정된 설정 압력(Pset)이 되도록 메인 밸브(7)의 개도가 자율적으로 조정된다. 이 메인 밸브(7)의 제어 상태에 있어서는, 서브 밸브(8)는 작은 개도 상태를 유지한다. 이 때, 흡입 압력(Ps)이 비교적 낮기 때문에 벨로우즈(45)는 신장되어 있고, 메인 밸브체(30)와 파워 엘리먼트(6)가 작동 연결하여 메인 밸브(7)의 개도를 조정한다. 이 때, 메인 밸브체(30)는, 스프링(42, 44)의 협력에 의한 밸브 개방 방향의 힘과, 밸브 폐쇄 방향의 솔레노이드력과, 흡입 압력(Ps)에 상응한 파워 엘리먼트(6)에 의한 밸브 개방 방향의 힘이 균형된 밸브 리프트 위치에서 정지한다. When the current value supplied to the solenoid 3 is within the control current value range of the main valve 7, the opening degree of the main valve 7 is set such that the suction pressure Ps becomes the set pressure Pset set by the supply current value. Is autonomously adjusted. In the control state of the main valve 7, the sub valve 8 maintains a small opening state. At this time, since the suction pressure Ps is relatively low, the bellows 45 is extended, and the main valve body 30 and the power element 6 are operatively connected to adjust the opening degree of the main valve 7. At this time, the main valve body 30 is rotated in the valve opening direction by the cooperation of the springs 42 and 44, the solenoid force in the valve closing direction, and the power element 6 corresponding to the suction pressure Ps In the valve-opening direction is balanced at the valve-lift position.

그리고, 예를 들면 냉동 부하가 커져 흡입 압력(Ps)이 설정 압력(Pset)보다 높아지면, 벨로우즈(45)가 축소되기 때문에, 메인 밸브체(30)가 상대적으로 상방(밸브 폐쇄 방향)으로 변위한다. 그 결과, 메인 밸브(7)의 밸브 개도가 작아지고, 압축기는 토출 용량을 늘리도록 동작한다. 그 결과, 흡입 압력(Ps)이 저하되는 방향으로 변화된다. 반대로, 냉동 부하가 작아져 흡입 압력(Ps)이 설정 압력(Pset)보다 낮아지면, 벨로우즈(45)가 신장한다. 그 결과, 파워 엘리먼트(6)가 메인 밸브체(30)를 밸브 개방 방향으로 바이어스하여 메인 밸브(7)의 밸브 개도가 커지고, 압축기는 토출 용량을 줄이도록 동작한다. 그 결과, 흡입 압력(Ps)이 설정 압력(Pset)으로 유지된다. When the refrigerant load becomes large and the suction pressure Ps becomes higher than the set pressure Pset, for example, since the bellows 45 is reduced, the main valve body 30 is relatively displaced upward (valve closing direction) do. As a result, the valve opening of the main valve 7 becomes small, and the compressor operates to increase the discharge capacity. As a result, the suction pressure Ps is lower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refrigerating load becomes small and the suction pressure Ps becomes lower than the set pressure Pset, the bellows 45 expands. As a result, the power element 6 biases the main valve body 30 in the valve opening direction to increase the valve opening degree of the main valve 7, and the compressor operates so as to reduce the discharge capacity. As a result, the suction pressure Ps is maintained at the set pressure Pset.

이와 같은 정상제어가 이루어지고 있는 동안 엔진의 부하가 커져, 공조 장치에 대한 부하를 줄이고자 하는 경우, 제어 밸브(1)에 있어서 솔레노이드(3)가 온에서 오프로 전환된다. 그러면, 코어(46)와 플런저(50) 사이에 흡인력이 작용하지 않게 되기 때문에, 스프링(42)의 바이어싱력에 의해 메인 밸브체(30)가 메인 밸브 시트(22)로부터 이격하여, 메인 밸브(7)가 완전 개방 상태가 된다. 이 때, 서브 밸브체(36)가 서브 밸브 시트(34)에 착석하고 있기 때문에, 서브 밸브(8)는 밸브 폐쇄 상태가 된다. 그에 의해, 압축기의 토출실로부터 포트(16)에 도입된 토출 압력(Pd)의 냉매는, 완전 개방 상태의 메인 밸브(7)를 통과하여, 포트(14)로부터 제어실로 흐르게 된다. 따라서, 제어 압력(Pc)이 높아져, 압축기는 최소 용량 운전을 하게 된다. 다만, 상술한 바와 같이, 흡입 압력(Ps)이 높아지면, 벨로우즈(45)가 축소하여 연통로(92)가 개방되어, 적절한 추기가 이루어지게 된다. When the load on the engine increases while the normal control is being performed and the load on the air conditioner is to be reduced, the solenoid 3 of the control valve 1 is switched from on to off. The main valve body 30 is separated from the main valve seat 22 by the biasing force of the spring 42 so that the main valve body 30 is separated from the main valve seat 22 by the biasing force of the spring 42, 7 are fully opened. At this time, since the sub valve body 36 is seated on the sub valve seat 34, the sub valve 8 is in the valve closed state. As a result, the refrigerant of the discharge pressure Pd introduced into the port 16 from the discharge chamber of the compressor passes through the main valve 7 in the fully opened state and flows from the port 14 to the control chamber. Therefore, the control pressure Pc becomes high, and the compressor performs the minimum capacity operation. However, as described above, when the suction pressure Ps becomes high, the bellows 45 is reduced and the communication path 92 is opened, so that proper addition is achieved.

다음으로, 각 밸브체의 구조 및 동작의 상세에 대해 설명한다. Next, the structure and operation of each valve body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4는, 메인 밸브체 및 서브 밸브체의 구조 및 동작을 나타내는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4(A)~(E)는, 메인 밸브가 완전 개방 상태로부터 완전 폐쇄 상태가 될 때까지의 동작 과정을 나타낸다. 각 도면의 하단은 메인 밸브의 상태를 나타내고, 상단은 대응하는 서브 밸브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4(A)의 상단은 도 2에 있어서의 a부분 확대도이고, 하단은 b부분 확대도이다. 도 4(E)의 상단은 도 3에 있어서의 a부분 확대도이고, 하단은 b부분 확대도이다. 4 is a partially enlarged 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and operation of the main valve body and the sub valve body. 4 (A) to 4 (E) show the operation process from the fully opened state to the fully closed state of the main valve. The lower end of each drawing shows the state of the main valve, and the upper end shows the state of the corresponding sub-valve. The upper part of Fig. 4 (A) is an enlarged view of part a in Fig. 2, and the lower part is an enlarged view of part b. The upper part of FIG. 4 (E) is an enlarged view of a part in FIG. 3, and a lower part is an enlarged view of part b.

도 4(A)의 하단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메인 밸브체(30)는 단차 형상을 구비하고, 그 단차의 베이스부가 탈착부(100)를 구성하고, 그 탈착부(100)의 상방에 스풀부(102)("제1스풀부"로서 기능함)가 연장되어 있다. 탈착부(100)가 메인 밸브 시트(22)에 탈착하여 메인 밸브(7)를 개폐한다. 스풀부(102)는, 메인 밸브 구멍(20)에 삽입/인출된다. As shown in the lower part of Fig. 4A, the main valve body 30 has a stepped shape, and the base portion of the step constitutes a detachable portion 100, (Serving as a "first spool portion"). The detachable part 100 is detached from the main valve seat 22 and opens and closes the main valve 7. The spool portion (102) is inserted / drawn into the main valve hole (20).

한편, 도 4(A)의 상단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브 밸브체(36)는 그 하단부에 단차 형상을 구비하고, 그 단차의 베이스부가 탈착부(110)를 구성하고, 그 탈착부(110)의 하방에 스풀부(112)("제2스풀부"로서 기능함)가 연장되어 있다. 탈착부(110)가 서브 밸브 시트(34)에 탈착하여 서브 밸브(8)를 개폐한다. 스풀부(112)는, 선단(하방)을 향해 외경이 작아지는 테이퍼 형상을 구비하고, 서브 밸브 구멍(32)에 삽입/인출된다. 4A, the sub valve body 36 has a stepped shape at the lower end portion thereof, and the base portion of the stepped portion constitutes the attachable portion 110, A spool portion 112 (functioning as a "second spool portion" The detachable part 110 is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sub valve seat 34 to open and close the sub valve 8. [ The spool portion 112 has a tapered shape having a smaller outer diameter toward the front end (lower side), and is inserted / drawn into the sub valve hole 32. [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솔레노이드(3)가 오프일 때에는, 도 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메인 밸브(7)가 완전 개방 상태, 서브 밸브(8)가 완전 폐쇄 상태가 된다. 솔레노이드(3)에 대한 통전이 이루어지면, 메인 밸브(7)가 밸브 폐쇄 방향, 서브 밸브(8)가 밸브 개방 방향으로 각각 동작한다. 솔레노이드(3)로의 공급 전류의 증대에 따라, 우선 서브 밸브(8)가 밸브 개방을 시작한다. 이 때, 스풀부(112)가 서브 밸브 구멍(32)으로부터 빠질 때까지는, 서브 밸브체(36)와 서브 밸브 구멍(32) 사이에 오리피스가 형성되고, 서브 밸브(8)를 통한 냉매의 흐름이 허용되면서도 작은 유량으로 제한된다(도 4(A), (B)). 다만, 스풀부(112)가 테이퍼 형상을 구비하기 때문에, 서브 밸브체(36)의 변위에 따라 그 오리피스가 조금씩 커지고, 그 유량은 점증한다. 메인 밸브(7)의 개도는 서서히 작아진다. In such a configuration, when the solenoid 3 is off, the main valve 7 is fully opened and the sub valve 8 is fully closed as shown in Fig. 4 (A). When the solenoid 3 is energized, the main valve 7 operates in the valve closing direction and the sub valve 8 operates in the valve opening direction. As the supply current to the solenoid 3 increases, the sub valve 8 starts valve opening first. At this time, an orifice is formed between the sub valve body 36 and the sub valve hole 32 until the spool portion 112 is removed from the sub valve hole 32, and the flow of the refrigerant through the sub valve 8 But is limited to a small flow rate (Figs. 4 (A) and 4 (B)). However, since the spool portion 112 has a tapered shape, the orifice slightly increases in accordance with the displacement of the sub valve element 36, and the flow rate thereof increases. The opening degree of the main valve 7 gradually decreases.

스풀부(112)가 서브 밸브 구멍(32)으로부터 빠지면, 서브 밸브(8)의 밸브 개도 증대율이 커져 냉매 유량이 증대한다. 그에 의해, 제어실로부터 흡입실로의 냉매의 릴리프가 촉진된다. 한편, 메인 밸브(7)는, 스풀부(102)가 메인 밸브 구멍(20)에 삽입되는 것에 의해, 메인 밸브체(30)와 메인 밸브 구멍(20) 사이에 오리피스가 형성되고, 메인 밸브(7)를 통한 냉매의 흐름이 허용되면서도 작은 유량으로 제한된다(도 4(C), (D)). 그 후, 스풀부(102)가 메인 밸브 시트(22)에 착석하는 것에 의해 메인 밸브(7)가 완전 폐쇄 상태가 되고, 서브 밸브(8)는 완전 개방 상태가 된다(도 4(E)).When the spool portion 112 is withdrawn from the sub valve hole 32, the increase rate of the valve opening degree of the sub valve 8 is increased and the refrigerant flow rate is increased. Thereby, the relief of the refrigerant from the control chamber to the suction chamber is promoted. On the other hand, in the main valve 7, an orifice is formed between the main valve body 30 and the main valve hole 20 by inserting the spool portion 102 into the main valve hole 20, 7) while allowing a small amount of flow (Fig. 4 (C), (D)). Thereafter, when the spool portion 102 sits on the main valve seat 22, the main valve 7 is fully closed and the sub valve 8 is fully opened (Fig. 4 (E)). .

도 5는, 메인 밸브 및 서브 밸브의 밸브 개방 특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는, 각 밸브체의 스트로크와 밸브 개도(밸브부의 개구 면적)와의 관계를 나타낸다. 도 5(A)의 횡축은 메인 밸브의 완전 개방 위치를 기점으로 한 밸브 폐쇄 방향으로의 스트로크를 나타내고 종축은 밸브 개도를 나타낸다. 도면 중의 실선이 메인 밸브를 나타내고, 1점 쇄선이 서브 밸브를 나타낸다. 도 5(B)는, 솔레노이드에 대한 공급 전류값과 밸브 개도의 관계를 나타낸다. 도 5(B)의 횡축은 솔레노이드에 대한 공급 전류값을 나타내고, 종축은 밸브 개도를 나타낸다. 도면 중의 실선이 메인 밸브를 나타내고, 1점 쇄선이 서브 밸브를 나타낸다. 한편, 설명의 편의상, 도 4(A)~(E)의 동작 과정과의 대응을 나타내기 위해, 도 5(A), (B)에 있어서 A~E를 표기하고 있다. 5 is a view showing the valve opening characteristics of the main valve and the sub valve. Fig. 5 (A) show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roke of each valve body and the valve opening (opening area of the valve portion). 5 (A) shows the stroke in the valve closing direction from the full opening position of the main valve as a starting point, and the vertical axis shows the valve opening degree. A solid line in the drawing indicates the main valve, and a one-dot chain line indicates the sub valve. 5 (B) show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pply current value and the valve opening degree for the solenoid. The horizontal axis in Fig. 5 (B) represents the supply current value for the solenoid, and the vertical axis represents the valve opening degree. A solid line in the drawing indicates the main valve, and a one-dot chain line indicates the sub valve.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 to E are shown in Figs. 5 (A) and 5 (B) in order to show the correspondence with the operation procedures of Figs. 4 (A) to 4 (E).

도 4에 나타낸 각 밸브의 동작은, 도 5에 나타내는 제어 특성으로서 나타난다. 즉, 솔레노이드(3)에 대한 공급 전류값이 제로에서 I1("하한 전류값"에 대응)까지는, 스트로크가 제로이며, 메인 밸브(7)가 완전 개방 상태, 서브 밸브(8)가 완전 폐쇄 상태가 된다. 다만, 흡입 압력(Ps)이 비교적 높아지기 때문에, 서브 밸브체(36)의 연통로(92)가 개방된다. 이 때문에, 이 연통로(92)를 오리피스로 하여 냉매의 흐름이 허용된다(도 5(B) 점선부). The operation of each valve shown in Fig. 4 appears as a control characteristic shown in Fig. That is, when the supply current value to the solenoid 3 is from zero to I1 (corresponding to the "lower current value"), the stroke is zero, the main valve 7 is in the fully opened state, the sub valve 8 is in the fully closed state . However, since the suction pressure Ps becomes relatively high, the communication passage 92 of the sub valve body 36 is opened. For this reason, the flow of the refrigerant is allowed to flow through the communication path 92 as an orifice (Fig. 5 (B) dotted line).

공급 전류값이 하한 전류값(I1)을 넘으면, 메인 밸브(7)가 밸브 폐쇄 작동을 시작하고, 서브 밸브(8)가 밸브 개방 작동을 시작한다. 이 때, 공급 전류값의 증대에 따른 스트로크가 커짐에 따라, 메인 밸브(7)의 개도는 비례적으로 작아진다. 한편, 서브 밸브(8)의 개도는 스트로크가 S1이 될 때까지 신속하게 미세하게 증대하지만, 공급 전류값이 I2가 되고, 스트로크가 S2가 될 때까지는 완만하게 증대한다. 이는, 서브 밸브(8)가 플랫 밸브이기 때문에 밸브 개방 당초에 개도가 증대하지만, 그 후는 테이퍼 형상의 오리피스에 의해 개도가 억제되면서도 완만하게 증가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와 같이 스트로크가 S2가 될 때까지, 서브 밸브(8)의 개도가 메인 밸브(7)의 개도를 상회한다. When the supply current value exceeds the lower limit current value I1, the main valve 7 starts the valve closing operation and the sub valve 8 starts the valve opening operation. At this time, as the stroke increases as the supply current value increases, the opening degree of the main valve 7 decreases proportionally. On the other hand, the opening degree of the sub-valve 8 gradually increases finely until the stroke reaches S1, but gradually increases until the supply current value becomes I2 and the stroke becomes S2. This means that since the sub-valve 8 is a flat valve, the opening degree increases at the beginning of the valve opening but then gradually increases while the opening degree is suppressed by the tapered orifice. In this embodiment, the opening degree of the sub-valve 8 exceeds the opening degree of the main valve 7 until the stroke becomes S2 as described above.

스트로크가 S2를 넘으면, 상술한 바와 같이 스풀부(112)가 서브 밸브 구멍(32)으로부터 빠지는 것에 의해 서브 밸브(8)의 오리피스 효과가 없어진다. 그 결과, 밸브 개도 증대율이 커지고, 서브 밸브(8)는 완전 개방 상태로 향한다. 그에 의해 블리드 효과가 발휘된다. 한편, 메인 밸브(7)의 개도는, 공급 전류값이 I3이 되고, 스트로크가 S3이 될 때까지는 비례적으로 감소한다. 스트로크가 S3을 넘으면, 상술한 바와 같이 스풀부(102)가 메인 밸브 구멍(20)에 삽입되는 것에 의해 메인 밸브(7)의 오리피스 효과가 발휘된다. 공급 전류값이 I4를 넘고, 스트로크가 S4를 넘으면, 메인 밸브(7)는 완전 폐쇄 상태로 향한다. 즉, 공급 전류값이 상한 전류값(I5) 이상이 되어 상한 전류값에 이르기까지 메인 밸브(7)는 완전 폐쇄 상태가 된다. If the stroke exceeds S2, the orifice effect of the sub-valve 8 is lost as the spool portion 112 is withdrawn from the sub-valve hole 32 as described above. As a result, the valve opening increasing rate is increased, and the sub valve 8 is turned to the fully opened state. Whereby the bleeding effect is exerted. On the other hand, the opening degree of the main valve 7 decreases proportionally until the supply current value becomes I3 and the stroke becomes S3. When the stroke exceeds S3, the orifice effect of the main valve 7 is exerted by inserting the spool portion 102 into the main valve hole 20 as described above. When the supply current value exceeds I4 and the stroke exceeds S4, the main valve 7 is turned to the fully closed state. That is, the supply current value is equal to or higher than the upper limit current value I5, and the main valve 7 is in the fully closed state until reaching the upper limit current value.

이 제어 특성에서는, 솔레노이드(3)에 대한 공급 전류값의 증가와 함께 서브 밸브(8)의 개도가 증대하는 제1제어 영역(R1)과, 제1제어 영역(R1)보다 공급 전류값이 크고, 그 공급 전류값의 증가와 함께 서브 밸브(8)의 개도가 더욱 증대하는 제2제어 영역(R2)이 포함된다. 그리고, 제1제어 영역(R1)의 밸브 개도 증대율이 제2제어 영역(R2)의 밸브 개도 증대율보다 작아진다. In this control characteristic, the first control region R1 in which the opening degree of the sub-valve 8 increases with the supply current value to the solenoid 3 increases and the supply current value is larger than the first control region R1 And a second control region R2 in which the opening degree of the sub-valve 8 is further increased with the increase of the supply current value. The valve opening increasing rate of the first control region R1 is smaller than the valve opening increasing rate of the second control region R2.

이상으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메인 밸브(7)와 서브 밸브(8)가 동시에 밸브를 개방하는 상태가 존재하는 제어 특성을 갖기 때문에, 두 밸브의 개도 조정에 의해, 압축기에 있어서의 냉매의 내부 순환량을 작게 억제할 수 있고, 공조 장치의 일률 향상을 실현할 수 있다. 메인 밸브체(30) 및 서브 밸브체(36) 모두에 스풀부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솔레노이드(3)로의 공급 전류를 변화시켰을 때의 메인 밸브(7)와 서브 밸브(8)의 밸브 개방 상태의 전환이 순조롭게 진행된다. 구체적으로는, 메인 밸브체(30)의 밸브 폐쇄 타이밍에 있어서 서브 밸브체(36)의 밸브 개방 동작에 정체(블감대) 없이, 서브 밸브(8)를 효율적으로 밸브 개방시킬 수 있다. 또한, 서브 밸브체(36)의 스풀부를 서브 밸브(8)의 밸브 폐쇄 방향을 향해 서브 밸브 구멍(32)과의 클리어런스를 크게 하는 경사 형상으로 하는 것에 의해,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솔레노이드(3)로의 공급 전류에 대한 서브 밸브(8)의 밸브 개방 효율을 단계적으로 전환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공급 전류가 비교적 작은 메인 밸브(7)의 제어 영역에 있어서 서브 밸브(8)의 개도를 점증시켜, 메인 밸브(7)의 제어 영역 외에서 서브 밸브(8)를 완전 개방 상태로 이행시킬 때 제어를 매끄럽게 접속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경사를 갖게 하는 것에 의해, 예를 들면 블로바이 가스 등에 의한 제어 압력(Pc)의 상승을 억제하기 쉬워지고, 용량 제어를 안정화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main valve 7 and the sub-valve 8 have the control characteristic in which the valve is open at the same time, The internal circulation amount of the refrigerant can be suppressed to be small, and the uniformity of the air conditioner can be improved. The spool portion is provided on both the main valve body 30 and the sub valve body 36 so that the main valve 7 and the main valve 7 when the supply current to the solenoid 3 is changed as shown in Fig. The switching of the valve-opened state of the sub-valve 8 proceeds smoothly. Concretely, the sub-valve 8 can be efficiently opened without stagnation (slow deceleration) in the valve opening operation of the sub-valve body 36 at the valve closing timing of the main valve body 30. 5, the spool portion of the sub valve body 36 is inclined so as to increase the clearance with respect to the sub valve hole 32 toward the valve closing direction of the sub valve 8. As a result, The valve opening efficiency of the sub-valve 8 with respect to the supply current to the sub-valve 3 can be switched stepwise. Therefore, the opening degree of the sub valve 8 is increased in the control region of the main valve 7 in which the supply current is relatively small, and the sub valve 8 is shifted to the fully opened state outside the control region of the main valve 7 The control can be smoothly connected. Further, by providing such inclination, for example, the rise of the control pressure Pc by the blowby gas or the like is easily suppressed, and the capacity control can be stabilized.

한편, 최소 용량 운전으로의 이행시에는, 솔레노이드(3)로의 공급 전류를 하한 전류값(I1)(변곡점) 이하로 하는 것에 의해 메인 밸브(7)를 즉시 완전 개방 상태로 할 수 있고, 그 운전의 전환을 신속하게 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의하면, 압축기의 운전 효율을 높게 유지하면서, 운전의 전환을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게 된다. On the other hand, at the time of transition to the minimum capacity operation, the supply current to the solenoid 3 is set to the lower limit current value I1 (inflection point) or less so that the main valve 7 can be immediately brought into the fully opened state. The conversion can be done quickly. 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operation can be switched efficiently while maintaining the operation efficiency of the compressor at a high level.

또한, 최대 용량 운전시 및 최소 용량 운전시 모두에 있어서 추기를 증대 가능한 개폐 기구를 마련한 것에 의해, 두 운전 상태에 있어서의 필요 충분한 추기량을 확보할 수 있다. 그 결과, 최소 용량 운전시(외부 순환을 특히 작게 해야 할 때)에 있어서의 내부 순환을 확보하면서, 최대 용량 운전시(외부 순환을 특히 크게 해야 할 때)의 블리드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압축기 내에 통상 마련되는 고정 오리피스를 생략하거나, 적어도 작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가변 용량 운전시에 있어서의 외부 순환을 확보하기 쉬워지고, 공조 장치의 일률 향상을 실현할 수 있다. 이는, 압축기의 구동원인 엔진의 부하 저감으로도 이어지고, 차량의 연비 향상을 실현할 수도 있다. 또한, 단일의 개폐 기구를 최대 용량 운전시 및 최소 용량 운전시의 모두에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간소한 구성으로 상기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이점도 있다. Further, by providing an opening / closing mechanism that can increase the number of shots in both the maximum capacity operation and the minimum capacity operation, a sufficient and sufficient amount of shake can be ensured in the two operating states.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bleed function in the maximum capacity operation (when the external circulation is particularly large), while ensuring the internal circulation in the minimum capacity operation (when the external circulation is particularly small). With such a configuration, the fixed orifice normally provided in the compressor can be omitted or at least reduced. As a result, the external circulation in the variable displacement operation can be easily ensured, and the uniformity of the air conditioner can be improved. This leads to reduction of the load on the engine which is the driving source of the compressor, and the fuel efficiency of the vehicle can be improved. In addition, since the single opening / closing mechanism can be used for both the maximum capacity operation and the minimum capacity opera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above effect can be obtained with a simple structure.

(변형예 1) (Modified Example 1)

도 6은, 변형예에 따른 제어 밸브의 상반부에 대응하는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6 is a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corresponding to the upper half of the control valve according to the modification.

본 변형예에서는, 흡입 압력(Ps)을 솔레노이드의 내부에 공급하기 위한 통로가, 제1실시예와 같은 밸브 구동체(각 밸브체)가 아니고, 보디에 형성되어 있다. In this modified example, the passage for supplying the suction pressure Ps to the inside of the solenoid is formed in the body, not the valve drive body (valve body) as in the first embodiment.

즉, 보디(105)에는, 제1실시예의 밸브 구동체(29) 및 샤프트(38) 대신에 긴 막대 모양의 작동 로드(138)가 삽입되어 있다. 작동 로드(138)는, 그 상반부가 단계적으로 지름 축소되어 있고, 그 선단이 파워 엘리먼트(6)의 제2스토퍼(84)에 삽입되어 있다. 메인 밸브체(130)는 작동 로드(138)의 중간부에 일체로 마련되고, 서브 밸브체(136)는 작동 로드(138)의 상단부에 고정(압입)되어 있다. 메인 밸브체(130)는, 메인 밸브체(30)와 동일하게 탈착부와 스풀부를 구비한다. That is, a long bar-shaped operating rod 138 is inserted into the body 105 in place of the valve driving body 29 and the shaft 38 of the first embodiment. The upper end of the operating rod 138 is reduced in diameter step by step and its tip end is inserted into the second stopper 84 of the power element 6. The main valve body 130 is integrally provided at an intermediate portion of the operating rod 138 and the sub valve body 136 is fixedly inserted at the upper end of the operating rod 138. The main valve body (130) has a detachable portion and a spool portion in the same manner as the main valve body (30).

서브 밸브체(136)는, 링 형상의 본체를 구비하고, 그 본체의 하단부에 단차 형상을 구비한다. 서브 밸브체(136)는, 그 단차부에 서브 밸브체(36)와 동일하게 탈착부와 스풀부를 구비하지만, 그 설명에 대해서는 생략한다. The sub-valve body 136 has a ring-shaped main body, and has a stepped shape at the lower end of the main body. The sub valve body 136 has a detachable portion and a spool portion in the stepped portion like the sub valve body 36, but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보디(105)에는, 작동실(23)과 작동실(28)을 연통하는 연통로(135)가 축선과 평행하게 마련되어 있다. 이 때문에, 작동실(23)의 흡입 압력(Ps)은, 항상, 그 연통로(135)를 통해 작동실(28) 나아가서는 솔레노이드(3)의 내부에 인도된다. The body 105 is provided with a communication passage 135 communicating the operation chamber 23 and the operation chamber 28 in parallel with the axis. The suction pressure Ps of the operating chamber 23 is always guided to the inside of the operating chamber 28 and further into the solenoid 3 through the communication path 135 thereof.

본 변형예에 의해서도, 제1실시예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변형예의 제어 특성은, 도 5에 나타낸 제어 특성과 거의 같지만, 도 5(B)에 점선으로 표시되는 특성(즉, 메인 밸브(7)가 완전 개방 상태여도 제어실로부터의 추기가 이루어지는 특성)은 구비하지 않는다. 서브 밸브체(136)에는, 파워 엘리먼트(6)의 축소에 의해 개방되는 연통로(도 2의 연통로(92) 참조)가 마련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다. 한편, 본 변형예의 구성에 있어서 그 연통로를 마련해도 좋은 것은 물론이다. 반대로, 제1실시예의 구성에 있어서 연통로(92)를 생략해도 좋다. According to the present modification, the same operational effects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can be obtained. The control characteristic of this modification is almost the same as the control characteristic shown in Fig. 5, but the characteristic shown by the dotted line in Fig. 5B (i.e., the characteristic in which the main valve 7 is additionally withdrawn from the control chamber even when the main valve 7 is in the fully opened state) Not provided. This is because the sub valve body 136 is not provided with the communication passage (see the communication passage 92 in FIG. 2) opened by the reduction of the power element 6.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communication path may be provided in the configuration of this modification. Conversely, in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the communication path 92 may be omitted.

(변형예 2) (Modified example 2)

도 7은, 변형예에 따른 각 밸브체의 구조 및 동작을 나타내는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본 도면은 제1실시예의 도 4에 대응한다. 도 7(A)~(E)의 각 도면의 하단은 메인 밸브의 상태를 나타내고, 상단은 대응하는 서브 밸브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8은, 변형예에 따른 메인 밸브 및 서브 밸브의 밸브 개방 특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도면은 제1실시예의 도 5에 대응한다. 도 8(A)는 각 밸브체의 스트로크와 밸브 개도의 관계를 나타내고 도 8(B)는 솔레노이드에 대한 공급 전류값과 밸브 개도의 관계를 나타낸다. 7 is a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and operation of each valve body according to a modification. This figure corresponds to Fig. 4 of the first embodiment. 7 (A) to 7 (E) show the state of the main valve, and the upper part shows the state of the corresponding sub-valve. 8 is a view showing valve opening characteristics of a main valve and a sub valve according to a modified example. This figure corresponds to Fig. 5 of the first embodiment. Fig. 8 (A) shows the relationship between stroke and valve opening of each valve body, and Fig. 8 (B) show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pply current value and the valve opening degree for the solenoid.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변형예의 서브 밸브체(137)는, 제1실시예의 서브 밸브체(36)와는 달리, 탈착부를 구비하지 않는다. 스풀부(113)는, 서브 밸브체(137)의 축선과 평행한 원통부(120)와, 하방을 향해 외경이 작아지는 테이퍼부(122)를 구비한다. 즉, 서브 밸브체(137)는, 서브 밸브 구멍(32)에 대해 개폐 동작을 하지만, 서브 밸브(8)를 완전 폐쇄 상태로는 하지 않는다. As shown in Fig. 7, unlike the sub valve body 36 of the first embodiment, the sub valve body 137 of the present modification does not have a detachable portion. The spool portion 113 includes a cylindrical portion 120 that is parallel to the axis of the sub valve body 137 and a tapered portion 122 whose outer diameter decreases downward. That is, the sub valve body 137 opens and closes the sub valve hole 32, but does not put the sub valve 8 in the fully closed state.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도 7에 나타낸 각 밸브의 동작은, 도 8에 나타내는 제어 특성으로서 나타난다. 즉, 메인 밸브(7)의 특성에 관해서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한편, 서브 밸브(8)의 특성에 관해서는, 솔레노이드(3)에 대한 공급 전류값이 제로에서 I1(하한 전류값)까지 스트로크가 제로이지만, 원통부(120)와 서브 밸브 구멍(32) 사이의 클리어런스를 통해 냉매가 흐르기 때문에, 그 클리어런스를 제1의 오리피스로 하여 냉매의 흐름이 허용된다(도 8(B) 1점 쇄선부). 또한, 흡입 압력(Ps)이 비교적 높아지기 때문에, 서브 밸브체(137)의 연통로(92)가 개방된다. 이 때문에, 이 연통로(92)를 제2의 오리피스로 하여 냉매의 흐름이 더욱 허용된다(도 8(B) 점선부). 즉, 제1실시예보다 추기 유량을 많이 얻을 수 있다. With such a configuration, the operation of each valve shown in Fig. 7 appears as the control characteristic shown in Fig. That is,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in valve 7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On the other hand, regard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valve 8, the stroke is zero from the supply current value to the solenoid 3 from zero to I1 (the lower limit current value), but the stroke between the cylinder portion 120 and the sub- The clearance of the refrigerant flows through the clearance of the first orifice so that the flow of the refrigerant is allowed as the first orifice (Fig. Further, since the suction pressure Ps becomes relatively high, the communication passage 92 of the sub valve body 137 is opened. Therefore, the flow of the refrigerant is further allowed by using the communication path 92 as the second orifice (Fig. 8 (B) dotted line). That is, a larger amount of additional flow than the first embodiment can be obtained.

공급 전류값이 하한 전류값(I1)을 넘으면, 메인 밸브(7)가 밸브 폐쇄 작동을 시작하고, 공급 전류값의 증대에 따른 스트로크가 커짐에 따라 그 개도가 비례적으로 작아진다. 한편, 서브 밸브(8)도 밸브 개방 작동을 시작하지만, 스트로크가 S1이 될 때까지는, 원통부(120)와 서브 밸브 구멍(32) 사이의 클리어런스가 일정하기 때문에, 서브 밸브(8)의 개도는 변화되지 않는다. 공급 전류값이 I2를 넘으면, 스트로크가 S1에서 S2가 될 때까지 서브 밸브(8)의 개도가 완만하게 증대한다. 공급 전류값이 I3을 넘고, 스트로크가 S2를 넘으면, 스풀부(113)가 서브 밸브 구멍(32)으로부터 빠지는 것에 의해 서브 밸브(8)의 밸브 개도 증대율이 커진다. 그에 의해 블리드 효과가 발휘된다. When the supply current value exceeds the lower limit current value I1, the main valve 7 starts the valve closing operation, and the opening degree becomes smaller proportionally as the stroke of the supply current value increases. Since the clearance between the cylindrical portion 120 and the sub-valve hole 32 is constant until the stroke becomes S1, the sub-valve 8 starts to open the valve, Lt; / RTI > When the supply current value exceeds I2, the opening degree of the sub valve 8 gradually increases until the stroke becomes S2 from S1. When the supply current value exceeds I3 and the stroke exceeds S2, the spool portion 113 is withdrawn from the sub valve hole 32, so that the valve opening increasing rate of the sub valve 8 is increased. Whereby the bleeding effect is exerted.

*공급 전류값이 I4를 넘고, 스트로크가 S3을 넘으면, 스풀부(102)가 메인 밸브 구멍(20)에 삽입되는 것에 의해 메인 밸브(7)의 오리피스 효과가 발휘된다. 공급 전류값이 I5를 넘고, 스트로크가 S4를 넘으면, 메인 밸브(7)는 완전 폐쇄 상태로 향한다. 즉, 공급 전류값이 I6 이상이 되어 상한 전류값에 이르기까지 메인 밸브(7)는 완전 폐쇄 상태가 된다. 이 제어 특성에 있어서도 제1제어 영역(R1)과 제2제어 영역(R2)이 포함되고, 제1제어 영역(R1)의 밸브 개도 증대율이 제2제어 영역(R2)의 밸브 개도 증대율보다 작아진다. 본 변형예에 의하면, 솔레노이드(3)의 오프시의 서브 밸브(8)의 개도를 크게 하는 사양에 대응할 수 있다. When the supply current value exceeds I4 and the stroke exceeds S3, the orifice effect of the main valve 7 is exerted by inserting the spool portion 102 into the main valve hole 20. [ When the supply current value exceeds I5 and the stroke exceeds S4, the main valve 7 is turned to the fully closed state. That is, the supply current value becomes I6 or more, and the main valve 7 is in the fully closed state until reaching the upper limit current value. This control characteristic also includes the first control region R1 and the second control region R2 and the valve opening increase rate of the first control region R1 is larger than the valve opening increasing rate of the second control region R2 Lt; / RTI > According to the present modification, it is possible to cope with a specification for increasing the opening degree of the sub valve 8 when the solenoid 3 is off.

(변형예 3) (Modification 3)

도 9는, 다른 변형예에 따른 각 밸브체의 구조 및 동작을 나타내는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9(A)~(E)의 각 도면의 하단은 메인 밸브의 상태를 나타내고, 상단은 대응하는 서브 밸브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10은, 변형예에 따른 메인 밸브 및 서브 밸브의 밸브 개방 특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A)는 각 밸브체의 스트로크와 밸브 개도의 관계를 나타내고 도 10(B)는 솔레노이드에 대한 공급 전류값과 밸브 개도의 관계를 나타낸다. 도 10(C)는 흡입 압력(Ps)과 밸브 개도의 관계를 나타낸다. 9 is a partially enlarged 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and operation of each valve body according to another modified example. 9 (A) to 9 (E) show the state of the main valve, and the upper part shows the state of the corresponding sub-valve. 10 is a view showing valve opening characteristics of a main valve and a sub valve according to a modified example. Fig. 10 (A) show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roke of each valve body and the valve opening degree, and Fig. 10 (B) show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pply current value and the valve opening degree for the solenoid. 10 (C) show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ction pressure Ps and the valve opening degree.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변형예의 서브 밸브체(139)는, 탈착부를 구비하지 않는다. 스풀부(114)는, 서브 밸브체(139)의 축선과 평행한 원통부(124)를 구비하지만, 제1실시예와 같은 테이퍼부를 구비하지 않는다. 메인 밸브체(131)는, 스풀부를 구비하지 않고, 그 상단부가 탈착부(100)가 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9, the sub valve body 139 of the present modification does not have a detachable portion. The spool portion 114 has a cylindrical portion 124 parallel to the axis of the sub valve element 139, but does not have the same taper portion as the first embodiment. The main valve body 131 does not have a spool portion, and its upper end portion serves as a detachable portion 100.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도 9에 나타낸 각 밸브의 동작은, 도 10에 나타내는 제어 특성으로서 나타난다. 즉, 솔레노이드(3)에 대한 공급 전류값이 제로에서 하한 전류값(I1)까지는, 스트로크가 제로이며, 메인 밸브(7)가 완전 개방 상태가 된다. 한편, 서브 밸브(8)의 특성에 관해서는, 솔레노이드(3)에 대한 공급 전류값이 제로에서 I1까지 스트로크가 제로이지만, 스풀부(114)와 서브 밸브 구멍(32) 사이의 클리어런스를 통해 냉매가 흐르기 때문에, 그 클리어런스를 제1의 오리피스로 하여 냉매의 흐름이 허용된다. 또한, 흡입 압력(Ps)이 비교적 높은 동안에는, 서브 밸브체(139)의 연통로(92)가 개방된다. 이 때문에, 이 연통로(92)를 제2의 오리피스로 하여 냉매의 흐름이 더욱 허용된다(도 10(B) 점선부). With this arrangement, the operation of each valve shown in Fig. 9 appears as the control characteristic shown in Fig. That is, from zero to the lower current value I1, the stroke is zero, and the main valve 7 is in the fully opened state. On the other hand, with regard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valve 8, although the stroke from the zero to the I1 is zero at the supply current value to the solenoid 3, the refrigerant flows through the clearance between the spool portion 114 and the sub- The flow of the refrigerant is allowed by using the clearance as the first orifice. Further, while the suction pressure Ps is relatively high, the communication passage 92 of the sub valve body 139 is opened. Therefore, the flow of the refrigerant is further allowed by using the communication path 92 as the second orifice (Fig. 10 (B) dot line section).

공급 전류값이 하한 전류값(I1)을 넘으면, 메인 밸브(7)가 밸브 폐쇄 작동을 시작하고, 공급 전류값의 증대에 따른 스트로크가 커짐에 따라 그 개도가 비례적으로 작아진다. 한편, 서브 밸브(8)는 밸브 개방 작동을 시작하지만, 스트로크가 S11이 될 때까지는, 스풀부(114)와 서브 밸브 구멍(32) 사이의 클리어런스가 일정하기 때문에, 서브 밸브(8)의 개도는 변화되지 않는다. 공급 전류값이 I2를 넘고, 스트로크가 S11을 넘으면, 스풀부(114)가 서브 밸브 구멍(32)으로부터 빠지는 것에 의해 서브 밸브(8)의 밸브 개도 증대율이 커진다. 그에 의해 블리드 효과가 발휘된다. When the supply current value exceeds the lower limit current value I1, the main valve 7 starts the valve closing operation, and the opening degree becomes smaller proportionally as the stroke of the supply current value increases. On the other hand, since the sub valve 8 starts the valve opening operation, the clearance between the spool part 114 and the sub valve hole 32 is constant until the stroke becomes S11, Lt; / RTI > When the supply current value exceeds I2 and the stroke exceeds S11, the spool portion 114 is withdrawn from the sub valve hole 32, so that the valve opening increasing rate of the sub valve 8 is increased. Whereby the bleeding effect is exerted.

공급 전류값이 I3 이상이 되고, 스트로크가 S12에 달하면, 상한 전류값에 이르기까지 메인 밸브(7)는 완전 폐쇄 상태가 된다. 한편, 메인 밸브(7)의 밸브 폐쇄 작동에 의해 흡입 압력(Ps)이 상승한다. 이 흡입 압력(Ps)이 비교적 높아지는 동안에는, 서브 밸브체(139)의 연통로(92)가 개방된다. 그에 의해, 블리드 효과가 촉진된다. 이 제어 특성에 있어서는, 제1제어 영역(R11)에 있어서의 서브 밸브(8)의 밸브 개도 증대율은 거의 제로이며, 제2제어 영역(R12)에 있어서 소정의 밸브 개도 증대율을 갖는다. 본 변형예에 의하면, 블리드시에 메인 밸브(7)가 완전 폐쇄 상태가 되는 것에 의해 제어실로부터의 추기가 더욱 촉진되어, 신속하게 최대 용량 운전으로 이행시킬 수 있다. When the supply current value reaches I3 or more and the stroke reaches S12, the main valve 7 is brought to the fully closed state until reaching the upper limit current value. On the other hand, the suction pressure Ps rises by the valve closing operation of the main valve 7. While the suction pressure Ps is relatively high, the communication passage 92 of the sub valve body 139 is opened. Thereby, the bleed effect is promoted. In this control characteristic, the valve opening increasing rate of the sub valve 8 in the first control region R11 is substantially zero, and the predetermined valve opening increasing rate is in the second control region R12. According to this modified example, since the main valve 7 is fully closed at the time of bleeding, the addition from the control chamber is further promoted, and the transition to the maximum capacity operation can be performed quickly.

한편, 개폐 기구의 작동의 유무는, 파워 엘리먼트(6)가 감지하는 흡입 압력(Ps)의 크기를 바탕으로 한다. 도 10(C)의 횡축은 흡입 압력(Ps)을 나타내고, 종축은 밸브 개도를 나타낸다. 도 10(C)에 있어서, 솔레노이드(3)에 대한 공급 전류값을 Isol1로 했을 때의 메인 밸브(7)의 작동 특성을 실선, 서브 밸브(8)의 작동 특성을 1점 쇄선으로 나타낸다. 공급 전류값을 Isol2로 했을 때의 메인 밸브(7)의 작동 특성을 파선, 서브 밸브(8)의 작동 특성을 2점 쇄선으로 나타낸다. 도면중의 점선이 개폐 기구의 작동 특성을 나타낸다. Isol2는 Isol1보다 작다. On the other h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operation of the opening / closing mechanism is based on the magnitude of the suction pressure Ps sensed by the power element 6. The horizontal axis in Fig. 10 (C) represents the suction pressure Ps, and the vertical axis represents the valve opening degree. 10 (C), the operating characteristics of the main valve 7 when the supply current value to the solenoid 3 is Isol1 are indicated by solid lines and the operating characteristics of the sub valve 8 are indicated by one-dot chain lines. The operating characteristic of the main valve 7 when the supply current value is Isol2 is shown by the broken line and the operating characteristic of the sub valve 8 is shown by the two-dot chain line. The dotted lines in the figure show the operating characteristics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Isol2 is smaller than Isol1.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 기구의 작동의 유무는, 흡입 압력(Ps)에 의존하고, 밸브 스트로크나 공급 전류값(Isol)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한편, 메인 밸브(7)가 폐쇄되고 나서 연통로(92)가 개방될 때까지의 흡입 압력(Ps)의 압력차(ΔP), 즉 메인 밸브(7)가 폐쇄되고 나서 연통로(92)가 계속하여 폐쇄되는 압력 범위(편의상 "블감대"로 약칭하기도 한다)가 확보되어 있기 때문에, 메인 밸브(7)나 서브 밸브(8)의 제어중에 연통로(92)가 쓸데없이 개방되는 일은 없다. As shown in the figure,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operation of the opening / closing mechanism depends on the suction pressure Ps and is not influenced by the valve stroke or the supply current value Isol. On the other hand, when the pressure difference AP of the suction pressure Ps from when the main valve 7 is closed until the communication path 92 is opened, that is, when the main valve 7 is closed and the communication path 92 is closed The communication path 92 is not opened unnecessarily during the control of the main valve 7 or the sub valve 8 because the pressure range in which the valve 8 is continuously closed is ensured.

[제2실시예] [Second Embodiment]

도 11은, 제2실시예에 따른 제어 밸브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제1실시예와의 상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1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trol valv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Hereinafter, differences from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mainly described.

제어 밸브(201)는, 밸브 본체(202)와 솔레노이드(203)를 일체로 조립하여 구성된다. 밸브 본체(202)는, 보디(205) 및 파워 엘리먼트(6) 등을 구비하고 있다. 제어 밸브(201)는, 일단측에서부터 파워 엘리먼트(6), 제1서브 밸브(8), 제2서브 밸브(208), 메인 밸브(7), 솔레노이드(203)가 차례로 배치되는 구성을 갖는다. The control valve 201 is constituted by integrally assembling the valve body 202 and the solenoid 203 together. The valve body 202 is provided with a body 205, a power element 6, and the like. The control valve 201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power element 6, the first sub-valve 8, the second sub-valve 208, the main valve 7, and the solenoid 203 are sequentially disposed from one end.

보디(205)에는, 그 상단측에서부터 포트(12), 포트(14), 포트(16)가 마련되어 있다. 밸브실(24)의 가이드 구멍(26)과는 반대측에는, 서브 밸브실(224)이 마련되어 있다. 서브 밸브실(224)은, 포트(14)와 반경 방향으로 연통되어 있다. 가이드 구멍(26) 및 메인 밸브 구멍(20)을 관통하도록 밸브 구동체(229)가 마련되어 있다. 밸브 구동체(229)는 단차를 갖는 원통 형상으로 되어 있고, 가이드 구멍(26)을 따라 축선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다. The body 205 is provided with a port 12, a port 14, and a port 16 from the upper end thereof. A sub valve chamber 224 is provid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guide hole 26 of the valve chamber 24. The sub valve chamber 224 communicates with the port 14 in the radial direction. A valve driving body 229 is provided so as to pass through the guide hole 26 and the main valve hole 20. The valve driving body 229 is cylindrical in shape with a step, and is slidable along the guide hole 26 in the axial direction.

밸브 구동체(229)의 상반부가 지름이 축소되어, 메인 밸브 구멍(20)을 관통하면서 내외를 구획하는 구획부(233)가 되어 있다. 밸브 구동체(229)의 중간부에 형성된 단차부가 메인 밸브체(230)를 구성하고, 메인 밸브 시트(22)에 탈착하여 메인 밸브(7)를 개폐한다. 구획부(233)의 상부가 상방을 향해 테이퍼 형상으로 지름이 확대되고, 그 상단 개구부에 서브 밸브 시트(234)가 구성되어 있다. 서브 밸브 시트(234)는, 밸브 구동체(229)와 함께 변위하는 가동 밸브 시트로서 기능한다. The upper half of the valve driving body 229 is reduced in diameter to form a partition 233 which passes through the main valve hole 20 and divides the inside and outside. The stepped portion formed in the middle portion of the valve driving body 229 constitutes the main valve body 230 and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main valve seat 22 to open and close the main valve 7. An upper portion of the partition portion 233 is enlarged in a tapered shape upward, and a valve seat 234 is formed at an upper end opening portion thereof. The sub valve seat 234 functions as a movable valve seat displaced together with the valve actuator 229.

보디(205)의 축선을 따라 긴 막대 모양의 작동 로드(238)가 마련되어 있다. 작동 로드(238)의 상반부는 밸브 구동체(229)를 관통하고, 그 상부가 단계적으로 지름이 축소되어 있다. 그 단차부에 서브 밸브체(236)가 압입되어 있다. 작동 로드(238)의 상단부는 서브 밸브체(236)를 관통하여, 파워 엘리먼트(6)와 작동 연결 가능하게 되어 있다. 작동 로드(238)의 하단부는, 플런저(50)에 연결되어 있다. A long rod-shaped working rod 238 is provided along the axis of the body 205. The upper half of the operating rod 238 passes through the valve driving body 229, and the upper portion thereof is gradually reduced in diameter. And the sub valve body 236 is press-fitted into the stepped portion. The upper end of the actuating rod 238 passes through the sub-valve body 236 and is operatively connectable with the power element 6. The lower end of the operating rod 238 is connected to the plunger 50.

작동 로드(238)의 축선 방향 중간부에는 스프링 베어링(240)이 끼워져 있다. 밸브 구동체(229)와 스프링 베어링(240) 사이에는, 밸브 구동체(229)를 메인 밸브(7)의 밸브 폐쇄 방향으로 바이어스하는 스프링(244)("바이어스 부재"로서 기능함)이 배치되어 있다. 메인 밸브(7)의 제어시에는, 스프링(244)의 탄성력에 의해 밸브 구동체(229)와 스프링 베어링(240)이 팽팽하게 맞대는 상태가 되어, 밸브 구동체(229)와 작동 로드(238)가 일체로 동작한다. A spring bearing (240) is fitted in the axial middle portion of the operating rod (238). A spring 244 (functioning as a "bias member") for biasing the valve actuator 229 in the valve closing direction of the main valve 7 is disposed between the valve actuator 229 and the spring bearing 240 have. The valve actuating member 229 and the spring bearing 240 are in a state of tightly bias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244 so that the valve actuating member 229 and the operating rod 238 ) Operate integrally.

서브 밸브체(236)는, 서브 밸브 구멍(32)을 관통하도록 배치되어, 밸브 구동체(229)와 동축 형태로 대향한다. 서브 밸브체(236)를 축선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복수의 연통로(232)("제3통로"로서 기능함)가 마련되어 있다. 서브 밸브체(236)의 상단부가 스풀부(212)가 되어 있고, 그 스풀부(212)가 서브 밸브 구멍(32)에 삽입/인출되는 것에 의해 제1서브 밸브(8)가 개폐된다. 또한, 서브 밸브체(236)가 서브 밸브 시트(234)에 탈착하는 것에 의해 제2서브 밸브(208)를 개폐한다. 서브 밸브체(236)와 밸브 구동체(229)에 의해, 솔레노이드(3)에 대한 공급 전류값의 크기에 상응하여, 메인 밸브(7)가 폐쇄된 상태로 연통로(232)를 개방하는 "개폐 기구"가 구성된다. The sub-valve body 236 is disposed so as to pass through the sub-valve hole 32 and faces the valve driving body 229 in a coaxial manner.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passages 232 (functioning as "third passages") are provided so as to pass through the sub valve body 236 in the axial direction.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sub valve body 236 is a spool portion 212. The spool portion 212 is inserted into and withdrawn from the sub valve hole 32 so that the first sub valve 8 is opened and closed. Further, the sub valve body 236 is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sub valve seat 234, thereby opening and closing the second sub valve 208. The main valve 7 is closed by the sub valve body 236 and the valve actuator 229 in correspondence with the magnitude of the supply current value to the solenoid 3 so as to open the communication passage 232,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

솔레노이드(203)에 있어서의 코어(246)의 상단부에는 링 형상의 축지지 부재(260)가 압입되어 있고, 작동 로드(238)는, 그 축지지 부재(260)에 의해 축선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축지지 부재(260)의 외주면의 소정 개소에는, 축선에 대해 평행인 연통홈이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작동실(28)의 흡입 압력(Ps)이, 그 연통홈을 통해 솔레노이드(203)의 내부에 인도된다. A ring-shaped shaft support member 260 is press-fitted into the upper end of the core 246 of the solenoid 203. The operation rod 238 is slidable in the axial direction by the shaft support member 260 . A communicating groove parallel to the axial line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haft supporting member 260. Therefore, the suction pressure Ps of the operating chamber 28 is guided into the solenoid 203 through the communication groove.

코어(246)와 플런저(50) 사이에는, 플런저(50)를 메인 밸브(7)의 밸브 개방 방향이면서 서브 밸브(8, 208)의 밸브 폐쇄 방향으로 바이어스하는 스프링(242)("바이어스 부재"로서 기능함)이 배치되어 있다. 스프링(242)은, 솔레노이드(203)의 오프시에 메인 밸브(7)를 완전 개방시키는 이른바 오프 스프링으로서 기능한다. A spring 242 ("biasing member") biasing the plunger 50 in the valve closing direction of the main valve 7 and in the valve closing direction of the sub valves 8, 208 is provided between the core 246 and the plunger 50, As shown in Fig. The spring 242 functions as a so-called off spring that fully opens the main valve 7 when the solenoid 203 is turned off.

도 12는, 도 11의 상반부에 대응하는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12 is a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corresponding to the upper half of Fig.

작동 로드(238)는, 서브 밸브체(236)가 서브 밸브 시트(234)에 착석한 도시 상태에 있어서는, 스프링 베어링(240)의 상면이 밸브 구동체(229)의 하면에서 적어도 소정 간격 L을 두고 이격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소정 간격 L은, 이른바 "클리어런스"로서 기능한다. The operation rod 238 is configured such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spring bearing 240 is spaced at least a predetermined distance L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valve driving body 229 in a state in which the sub valve body 236 is seated on the sub valve seat 234 And is set to be spaced apart. The predetermined interval L functions as a so-called "clearance ".

솔레노이드력을 크게 하면, 작동 로드(238)를 밸브 구동체(229)에 대해 상대 변위시켜 서브 밸브체(236)를 밀어 올릴 수도 있다. 그에 의해, 서브 밸브체(236)와 서브 밸브 시트(234)를 이격시켜 제2서브 밸브(208)를 개방할 수 있다. 또한, 스프링 베어링(240)과 밸브 구동체(229)를 당접시킨 상태로 솔레노이드력을 메인 밸브체(230)에 직접적으로 전달할 수 있어, 메인 밸브체(230)를 메인 밸브의 밸브 폐쇄 방향으로 큰 힘으로 가압할 수 있다. 이 구성은, 밸브 구동체(229)와 가이드 구멍(26)의 슬라이딩부로의 이물의 침입에 의해 메인 밸브체(230)의 작동이 록된 경우에, 그것을 해제하는 록 해제 기구로서 기능한다. When the solenoid force is increased, the operation rod 238 may be displaced relative to the valve actuator 229 to push up the sub valve body 236. Thereby, the sub valve body 236 and the sub valve seat 234 can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the second sub valve 208 can be opened. The solenoid force can be directly transmitted to the main valve body 230 in a state where the spring bearing 240 and the valve driving body 229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so that the main valve body 230 can be moved in the valve closing direction of the main valve, It can be pressed by force. This configuration functions as a lock release mechanism for releasing the operation of the main valve body 230 when the operation of the main valve body 230 is locked by the entry of the foreign object into the sliding portion of the valve driving body 229 and the guide hole 26. [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메인 밸브체(230)의 메인 밸브(7)에 있어서의 유효 수압 지름 A(실링부 지름)와, 서브 밸브체(236)의 제1서브 밸브(8)에 있어서의 유효 수압 지름 B(실링부 지름)와, 밸브 구동체(229)의 슬라이딩부 지름 C(실링부 지름)이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메인 밸브체(230)와 서브 밸브체(236)의 결합체(즉 밸브 구동체(229)와 서브 밸브체(236)의 결합체)에 작용하는 토출 압력(Pd), 제어 압력(Pc) 및 흡입 압력(Ps)의 영향이 캔슬된다. 그 결과, 메인 밸브(7)의 제어 상태에 있어서, 메인 밸브체(230)는, 파워 엘리먼트(6)가 작동실(23)에서 받는 흡입 압력(Ps)을 바탕으로 개폐 동작하게 된다. 즉, 제어 밸브(201)는, 이른바 Ps 감지 밸브로서 기능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effective pressure-receiving diameter A (sealing portion diameter) in the main valve 7 of the main valve body 230 and the effective diameter of the first sub-valve 8 of the sub- The diameters of the hydraulic pressure B (sealing portion diameter) and the sliding portion diameter C (sealing portion diameter) of the valve driving body 229 are set substantially equal. The discharge pressure Pd and the control pressure Pc acting on the combination of the main valve body 230 and the sub valve body 236 (that is, the combination of the valve drive body 229 and the sub valve body 236) And the suction pressure Ps are canceled. As a result, in the control state of the main valve 7, the main valve body 230 is opened and closed on the basis of the suction pressure Ps received by the power element 6 in the operating chamber 23. That is, the control valve 201 functions as a so-called Ps sensing valve.

본 실시예에서는, 벨로우즈(45)의 지름 D를 지름 A, B, C와 동일하게 하고 있지만, 지름 A, B, C보다 크게 해도 좋고, 작게 해도 좋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서브 밸브체(236)의 제2서브 밸브(208)에 있어서의 실링부 지름 E가, 메인 밸브체(230)의 메인 밸브(7)에 있어서의 실링부 지름 A보다 작게 되어 있고, 제어 압력(Pc)과 흡입 압력(Ps)의 차압(Pc-Ps)이 밸브 구동체(229)에 대해 서브 밸브의 밸브 개방 방향으로 작용한다. 이와 같은 수압 구조와 스프링(244)에 의한 바이어스 구조가, 차압(Pc-Ps)이 설정 차압(ΔPset) 이상이 되었을 때에 서브 밸브를 밸브 개방시키는 "차압 밸브 개방 기구"를 실현하고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diameters D of the bellows 45 are the same as the diameters A, B, and C, but may be larger or smaller than the diameters A, B, and C, respectively. In this embodiment, the sealing portion diameter E of the second sub valve 208 of the sub valve body 236 is smaller than the sealing portion diameter A of the main valve 7 of the main valve body 230 And the differential pressure Pc-Ps between the control pressure Pc and the suction pressure Ps acts on the valve actuator 229 in the valve opening direction of the sub valve. This hydraulic structure and the bias structure by the spring 244 realize a "differential pressure valve opening mechanism" in which the valve is opened when the differential pressure Pc-Ps becomes equal to or higher than the set differential pressure DELTA Pset.

다음으로, 제어 밸브(201)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Next,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valve 201 will be described.

도 13은, 제어 밸브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미 설명한 도 12는, 최소 용량 운전시에 있어서의 제어 밸브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3은, 최대 용량 운전시(공조 장치의 기동시 등)에 블리드 기능을 동작시켰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하에서는 도 11을 바탕으로, 적절히 도 12, 도 13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13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valve. FIG. 12 already described shows the state of the control valve at the time of the minimum capacity operation. Fig. 13 shows a state when the bleed function is operated at the time of the maximum capacity operation (when the air conditioner is started).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 11, description will be made with reference to Figs. 12 and 13 as appropriate.

솔레노이드(203)가 비통전일 때에는, 코어(246)와 플런저(50) 사이에 흡인력이 작용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메인 밸브(7)가 완전 개방 상태가 되고,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포트(16)에 도입된 토출 압력(Pd)의 냉매가, 완전 개방 상태의 메인 밸브(7)를 통과하여, 포트(14)로부터 제어실로 흐르게 된다. 이 때문에, 제어 압력(Pc)이 상승하고, 압축기는 최소 용량 운전을 한다. 이 때, 서브 밸브(8, 208)는 밸브 폐쇄 상태에 있지만, 제1서브 밸브(8)가 스풀 밸브이기 때문에, 제어실로부터 흡입실로 소정 유량의 냉매의 릴리프가 이루어진다. 그 결과, 압축기에 필요한 범위에서 냉매의 내부 순환을 확보할 수 있다.When the solenoid 203 is non-energized, no attraction force acts between the core 246 and the plunger 50. 12, the refrigerant of the discharge pressure Pd introduced into the port 16 passes through the main valve 7 in the fully opened state, , And flows from the port 14 to the control room. Therefore, the control pressure Pc rises and the compressor performs the minimum capacity operation. At this time, the sub valves 8, 208 are in a valve closed state, but the first sub valve 8 is a spool valve, so that a refrigerant of a predetermined flow rate is relieved from the control chamber to the suction chamber. As a result, the internal circulation of the refrigerant can be ensured within the range required for the compressor.

한편, 공조 장치의 기동시 등, 솔레노이드(203)에 제어 전류(기동 전류)가 공급되면, 코어(246)가 플런저(50)를 흡인한다. 이 때문에, 작동 로드(238)가 밀어 올려진다. 이 때, 스프링(244)의 바이어싱력에 의해 밸브 구동체(229)가 밀어 올려져,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메인 밸브체(230)가 메인 밸브 시트(22)에 착석하여 메인 밸브(7)를 폐쇄한다. 한편, 작동 로드(238)가 밸브 구동체(229)에 대해 상대 변위하면서 더욱 밀어 올려져, 작동 로드(238)가 서브 밸브체(236)를 밀어 올린다. 그 결과, 서브 밸브체(236)가 서브 밸브 시트(234)로부터 이격하여 제2서브 밸브(208)를 개방한다. 또한, 제1서브 밸브(8)도 밸브 개방한다. 그에 의해, 제어실로부터 흡입실로 소정 유량의 냉매의 릴리프가 이루어져 제어 압력(Pc)이 저하되고, 압축기는 최대 용량 운전을 한다. 즉, 블리드 기능이 발휘되어, 압축기가 신속하게 기동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control current (starting current) is supplied to the solenoid 203, such as when the air conditioner is started, the core 246 sucks the plunger 50. For this reason, the operation rod 238 is pushed up. At this time, the valve actuating member 229 is pushed up by the biasing force of the spring 244 so that the main valve member 230 is seated on the main valve seat 22 and the main valve 7 ). On the other hand, the operating rod 238 is further pushed up while being displaced relative to the valve driving body 229, and the operating rod 238 pushes up the subordinate valve body 236. As a result, the sub valve body 236 separates from the sub valve seat 234 and opens the second sub valve 208. [ Also, the first sub-valve 8 is also opened. As a result, relief of the refrigerant at a predetermined flow rate from the control chamber to the suction chamber is made to decrease the control pressure Pc, and the compressor performs the maximum capacity operation. That is, the bleed function is exercised, and the compressor starts up quickly.

이와 같이 하여 흡입 압력(Ps)이 충분히 낮아지면, 파워 엘리먼트(6)가 신장하여 제2서브 밸브(208)를 폐쇄한다. 이 때, 솔레노이드(203)에 공급되는 제어 전류를 공기 조절의 설정 온도에 상응하여 작게 하면, 밸브 구동체(229)와 파워 엘리먼트(6)가 일체가 되어 작동하여, 메인 밸브(7)가 소정의 개도로 설정된다. 그 결과, 토출 압력(Pd)의 냉매가 개도에 상응한 유량으로 제어되어 제어실에 도입되고, 압축기는, 제어 전류에 대응한 용량의 운전으로 이행하게 된다. When the suction pressure Ps is sufficiently lowered in this manner, the power element 6 extends and closes the second sub valve 208. [ At this time, if the control current supplied to the solenoid 203 is reduced corresponding to the set temperature of the air control, the valve actuator 229 and the power element 6 operate as a single body, Respectively. As a result, the refrigerant of the discharge pressure Pd is controlled at a flow rate corresponding to the opening degree and introduced into the control room, and the compressor shifts to operation of the capacity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current.

솔레노이드(203)의 전자 코일(54)에 공급되는 제어 전류가 일정한 경우, 파워 엘리먼트(6)가 흡입 압력(Ps)을 감지하여 메인 밸브(7)의 개도를 제어한다. 그 결과, 흡입 압력(Ps)이 설정 압력(Pset)에 근접하게 된다. When the control current supplied to the electromagnetic coil 54 of the solenoid 203 is constant, the power element 6 senses the suction pressure Ps to control the opening degree of the main valve 7. [ As a result, the suction pressure Ps becomes close to the set pressure Pset.

도 14는, 메인 밸브체 및 서브 밸브체의 구조 및 동작을 나타내는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14(A)~(E)는, 메인 밸브가 완전 개방 상태로부터 완전 폐쇄 상태가 될 때까지의 동작 과정을 나타낸다. 각 도면의 하단은 메인 밸브의 상태를 나타내고, 상단은 대응하는 서브 밸브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14(A)의 상단은 도 12에 있어서의 a부분 확대도이고, 하단은 b부분 확대도이다. 도 14(E)의 상단은 도 13에 있어서의 a부분 확대도이고, 하단은 b부분 확대도이다. 도 15는, 메인 밸브 및 서브 밸브의 밸브 개방 특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A)는 각 밸브체의 스트로크와 밸브 개도의 관계를 나타내고 도 15(B)는 솔레노이드에 대한 공급 전류값과 밸브 개도의 관계를 나타낸다. 도면 중의 실선이 메인 밸브(7)를 나타내고, 1점 쇄선이 서브 밸브(제1서브 밸브(8)와 제2서브 밸브(208)를 합친 것)을 나타낸다. 14 is a partially enlarged 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and operation of the main valve body and the sub valve body. Figs. 14A to 14E show an operation process from the fully opened state to the fully closed state of the main valve. The lower end of each drawing shows the state of the main valve, and the upper end shows the state of the corresponding sub-valve. The upper part of Fig. 14 (A) is an enlarged view of part a in Fig. 12, and the lower part is an enlarged view of part b. The upper part of FIG. 14 (E) is an enlarged view of a part in FIG. 13, and a lower part is an enlarged view of part b. 15 is a view showing the valve opening characteristics of the main valve and the sub-valve. FIG. 15A show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roke of each valve body and the valve opening degree, and FIG. 15B show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pply current value and the valve opening degree with respect to the solenoid. A solid line in the drawing indicates the main valve 7 and a one-dot chain line indicates a sub valve (a combination of the first sub valve 8 and the second sub valve 208).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브 밸브체(236)는, 탈착부를 구비하지 않는다. 스풀부(212)는, 서브 밸브체(236)의 축선과 평행한 원통부(220)와, 하방을 향해 외경이 작아지는 테이퍼부(222)를 구비한다. 즉, 서브 밸브체(236)는, 서브 밸브 구멍(32)에 대해 개폐 동작을 하지만, 제1서브 밸브(8)를 완전 폐쇄 상태로는 하지 않는다. 한편, 메인 밸브 구멍(20)은, 스풀부를 구비하지 않고, 그 상단부가 탈착부(250)가 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14, the sub-valve body 236 does not have a detachable portion. The spool portion 212 includes a cylindrical portion 220 parallel to the axis of the sub valve body 236 and a tapered portion 222 whose outer diameter is reduced downward. That is, the sub-valve body 236 performs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s with respect to the sub-valve hole 32, but does not put the first sub-valve 8 in a completely closed state. On the other hand, the main valve hole 20 does not have a spool portion, and its upper end portion is a detachable portion 250.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도 14에 나타낸 각 밸브의 동작은, 도 15에 나타내는 제어 특성으로서 나타난다. 즉, 솔레노이드(203)에 대한 공급 전류값이 제로에서 하한 전류값(I1)까지는, 스트로크가 제로이며, 메인 밸브(7)가 완전 개방 상태가 된다. 공급 전류값이 I1을 넘으면, 메인 밸브(7)가 밸브 폐쇄 작동을 시작하고, 공급 전류값의 증대에 따라 스트로크가 커짐에 따라, 메인 밸브(7)의 개도는 비례적으로 작아진다. With such a configuration, the operation of each valve shown in Fig. 14 appears as the control characteristic shown in Fig. That is, from zero to the lower current value I1, the stroke is zero and the main valve 7 is in the fully opened state. When the supply current value exceeds I1, the main valve 7 starts valve closing operation, and as the stroke becomes larger as the supply current value increases, the opening degree of the main valve 7 becomes smaller proportionally.

한편, 서브 밸브의 특성에 관해서는, 솔레노이드(203)에 대한 공급 전류값이 제로에서 I1(하한 전류값)까지 스트로크가 제로이지만, 원통부(220)와 서브 밸브 구멍(32) 사이의 클리어런스를 통해 냉매가 흐르기 때문에, 그 클리어런스를 제1의 오리피스로 하여 냉매의 흐름이 허용된다. 공급 전류값이 I1을 넘으면, 제1서브 밸브(8)가 밸브 개방 작동을 시작하지만, 스트로크가 S1이 될 때까지는, 원통부(220)와 서브 밸브 구멍(32) 사이의 클리어런스가 일정하기 때문에, 제1서브 밸브(8)의 개도는 변화되지 않는다. 제2서브 밸브(208)는 폐쇄된 채로이다. 공급 전류값이 I2를 넘으면, 스트로크가 S1에서 S2가 될 때까지 제1서브 밸브(8)의 개도가 완만하게 증대한다. 공급 전류값이 I3에서 I4의 사이는, 메인 밸브(7)가 폐쇄되는 것에 의해 스프링(244)의 바이어싱력이 증대하여 솔레노이드력과 균형되기 때문에, 서브 밸브의 개도는 일정한 대로 유지된다. 이 구간은 용량 제어 범위가 아니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블감대여도 제어에 대한 영향은 없다. 공급 전류값이 I4를 넘고, 스트로크가 S2를 넘으면, 스풀부(212)가 서브 밸브 구멍(32)으로부터 완전히 빠지면서 제2서브 밸브(208)가 밸브 개방을 시작한다. 그 결과, 서브 밸브의 밸브 개도 증대율이 커진다. 공급 전류값이 상한 전류값에 이르기까지 서브 밸브의 개도는 확대된다. 그에 의해 블리드 효과가 발휘된다. 이 제어 특성에 있어서도 제1제어 영역(R1)과 제2제어 영역(R2)이 포함되고, 제1제어 영역(R1)의 밸브 개도 증대율이 제2제어 영역(R2)의 밸브 개도 증대율보다 작아진다. On the other hand, regard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valve, the stroke from the zero to the I1 (the lower limit current value) is zero, but the clearance between the cylindrical portion 220 and the sub- The clearance is made to be the first orifice and the flow of the refrigerant is allowed. When the supply current value exceeds I1, the first sub-valve 8 starts the valve opening operation, but the clearance between the cylindrical portion 220 and the sub-valve hole 32 is constant until the stroke becomes S1 , The opening degree of the first sub-valve 8 is not changed. The second sub-valve 208 remains closed. When the supply current value exceeds I2, the opening degree of the first sub-valve 8 gradually increases until the stroke becomes S2 from S1. During the supply current value from I3 to I4, since the main valve 7 is closed, the biasing force of the spring 244 is increased and balanced with the solenoid force, so that the opening degree of the sub valve is kept constant. Since this interval is not within the capacity control range, there is practically no influence on the control of the bin lending. When the supply current value exceeds I4 and the stroke exceeds S2, the spool portion 212 completely disengages from the sub valve hole 32 and the second sub valve 208 starts to open the valve. As a result, the valve opening degree of the sub valve increases. The opening of the sub-valve is enlarged until the supply current value reaches the upper limit current value. Whereby the bleeding effect is exerted. This control characteristic also includes the first control region R1 and the second control region R2 and the valve opening increase rate of the first control region R1 is larger than the valve opening increasing rate of the second control region R2 Lt; / RTI >

이상으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서브 밸브체(236)에 스풀부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 제1서브 밸브(8)와 제2서브 밸브(208)를 단계적으로 밸브 개방시킬 수 있다. 그 결과, 도 1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솔레노이드(203)로의 공급 전류에 대한 서브 밸브의 밸브 개방 효율을 단계적으로 전환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공급 전류가 비교적 작은 메인 밸브(7)의 제어 영역에 있어서 제1서브 밸브(8)의 개도를 점증시켜, 메인 밸브(7)의 제어 영역 외에서 제1서브 밸브(8) 및 제2서브 밸브(208)의 개도를 크게 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is embodiment, the spool portion is provided on the sub valve body 236, so that the first sub valve 8 and the second sub valve 208 can be opened in a stepwise manner. As a result, as shown in Fig. 15 (B), the valve opening efficiency of the sub valve with respect to the supply current to the solenoid 203 can be switched stepwise. Therefore, the opening degree of the first sub-valve 8 is increased in the control region of the main valve 7 having a relatively small supply current, and the opening degree of the first sub-valve 8 and the second sub- The opening degree of the sub valve 208 can be increased.

[제3실시예] [Third Embodiment]

도 16은, 제3실시예에 따른 제어 밸브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제2실시예와의 상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16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trol valv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Hereinafter, differences from the second embodiment will be mainly described.

제어 밸브(301)는, 밸브 본체(302)와 솔레노이드(303)를 일체로 조립하여 구성된다. 밸브 본체(302)는, 보디(305) 및 파워 엘리먼트(6) 등을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서브 밸브체(336)가 보디(305)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즉, 서브 밸브 구멍(32)의 하부가 가이드 구멍(326)으로서 기능한다. The control valve 301 is constituted by integrally assembling the valve body 302 and the solenoid 303 together. The valve body 302 includes a body 305, a power element 6, and the lik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ub valve body 336 is slidably supported on the body 305. [ That is, the lower portion of the sub valve hole 32 functions as the guide hole 326.

한편, 솔레노이드(303)의 코어(346)에는, 제2실시예와 같은 축지지 부재(260)가 마련되어 있지 않다. 이 때문에, 작동 로드(238)는, 서브 밸브체(336)의 위치와 플런저(50)의 위치(도 11 참조)에서 2점 지지, 즉 상부와 하부에서 2점 지지 받게 되어, 제2실시예보다 축선 방향으로 안정하게 구동된다. On the other hand, the shaft 346 of the solenoid 303 is not provided with the shaft supporting member 260 as in the second embodiment. Therefore, the operation rod 238 is supported at two points by the position of the sub-valve body 336 and the position of the plunger 50 (see Fig. 11), that is, at two points i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And is stably driven in the axial direction.

또한, 밸브 구동체(329)의 상단부와 서브 밸브체(336)의 하단부가 서로의 테이퍼면에서 탈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에 의해, 밸브 구동체(329)는, 상단부가 조심(aligning)되는 한편, 하반부가 가이드 구멍(26)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에 의해, 축선 방향으로 안정하게 구동된다. The upper end of the valve actuator 329 and the lower end of the sub valve body 336 are detachable from each other on the tapered surface. Thereby,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valve driving body 329 is aligned, while the lower half portion is slidably supported by the guide hole 26, so that the valve driving body 329 is stably driven in the axial direction.

도 17은, 도 16의 G부분 확대도이다. 도 18은, 도 17에 나타내는 서브 밸브체(336) 및 그 주변을 나타내는 화살표 방향으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18(A)는 A-A선 단면을 나타내고 도 18(B)는 B-B선 단면을 나타내고, 도 18(C)는 C-C선 단면을 나타낸다. 한편, 도 16 및 도 17에는 설명의 편의상, 도 18(A)의 D-D선 단면이 도시되어 있다. 17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G in Fig. 1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ub valve body 336 shown in Fig. Fig. 18A shows a cross section taken along the line A-A, Fig. 18B shows a cross section taken along the line B-B, and Fig. 18C shows a cross section taken along the line C-C. On the other hand, in FIG. 16 and FIG. 17, a cross section taken along line D-D of FIG. 18 (A) is show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메인 밸브 구멍(20)의 개구 단부가 2단 테이퍼 형상을 구비하고, 상부 테이퍼(322)에 의해 메인 밸브 시트(22)가 형성되어 있다. 메인 밸브 구멍(20)의 축선에 대한 각도(테이퍼 각)에 관해, 하부 테이퍼(320)의 테이퍼 각이 상부 테이퍼(322)의 테이퍼 각보다 작게 되어 있다. 그에 의해, 메인 밸브체(330)의 메인 밸브 시트(22)로부터의 리프트량에 대해, 메인 밸브(7)가 완만하게 개방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17, the opening end of the main valve hole 20 has a two-step tapered shape, and the main valve seat 22 is formed by the upper taper 322. As shown in Fig. The taper angle of the lower taper 320 is smaller than the taper angle of the upper taper 322 with respect to the angle (taper angle) with respect to the axis of the main valve hole 20. Thereby, the main valve 7 can be opened gently with respect to the lift amount of the main valve body 330 from the main valve seat 22.

밸브 구동체(329)에 있어서 밸브실(24)에 위치하는 부분의 외주면에, 포트(16)로부터 침입한 이물을 저지하기 위한 단차부(333)(소정 깊이의 요부)가 둘레에 마련되어 있다. 이에 의해, 포트(16)를 통해 도입된 냉매에 이물이 포함되어 있어도, 그 이물을 밸브 구동체(329)의 단차부(333)에 의해 일단 저지한 후에 메인 밸브 구멍(20)으로 인도할 수 있게 된다. 그에 의해, 밸브 구동체(329)의 벽면을 따라 흐르는 이물이 메인 밸브 시트(22)에 직접 충돌하기 어려워져, 메인 밸브 시트(22)에 있어서의 침식(erosion)의 발생을 방지 또는 억제할 수 있다. A stepped portion 333 (recessed portion at a predetermined depth) for blocking foreign matter infiltrating from the port 16 is provided arou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ortion of the valve driving body 329 located in the valve chamber 24. Even if foreign matter is contained in the refrigerant introduced through the port 16, the foreign matter can be prevented from being once stopped by the step 333 of the valve driving body 329, and then introduced into the main valve hole 20 . This makes it difficult for foreign matter flowing along the wall surface of the valve drive body 329 to directly collide with the main valve seat 22 to prevent or suppress the occurrence of erosion in the main valve seat 22 have.

서브 밸브체(336)는, 가이드 구멍(326)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는 본체(310)를 구비한다. 본체(310)의 외경은, 스풀부(212)의 외경보다 크다. 본체(310)와 스풀부(212) 사이에 지름이 작은 축경부(312)가 형성되어 있다. The sub-valve body 336 has a main body 310 slidably supported by the guide hole 326. The sub- The outer diameter of the main body 310 is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spool portion 212. A reduced diameter portion 312 having a small diameter is formed between the main body 310 and the spool portion 212.

도 18(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통로(232)는, 작동 로드(238)의 주위에 90도 간격에 마련되어 있다. 도 18(B) 및(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310)의 주위 4군데에는, 이른바 D컷에 의한 축선에 대해 평행인 노치(314)가 실시되어 있다. 노치(314)는, 축경부(312)에 이르도록 마련되어 있고, 그에 의해, 서브 밸브 구멍(32)과 서브 밸브실(224)을 항상 연통시키는 연통로(316)가 형성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18 (A), the communication passage 232 is provided at an interval of 90 degrees around the operation rod 238. As shown in Fig. As shown in Figs. 18 (B) and 18 (C), four notches 314 parallel to the axis of the so-called D-cut are provided at four places around the main body 310. Fig. The notch 314 is provided so as to reach the reduced diameter portion 312 so that the communication passage 316 for always communicating the sub valve hole 32 and the sub valve chamber 224 is formed.

도 17을 다시 참조하여, 서브 밸브체(336)의 하단부는, 하방을 향해 외경을 작게 하는 테이퍼 형상으로 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 테이퍼면이, 소정의 곡률을 갖는 구형상의 면(곡면)이 되어 있고, 밸브 구동체(329)의 테이퍼 형상의 서브 밸브 시트(334)에 대해 선접촉 상태로 착석한다. 그에 의해, 제2서브 밸브(208)(제3밸브)의 밸브 폐쇄시에 있어서는, 밸브 구동체(329)와 서브 밸브체(336)가 일체가 되어 안정하게 구동된다. 서브 밸브체(336)와 밸브 구동체(329)에 의해, 솔레노이드(303)에 대한 공급 전류값의 크기에 상응하여, 메인 밸브(7)가 폐쇄된 상태로 연통로(232)를 개방하는 "개폐 기구"가 구성된다. Referring back to Fig. 17, the lower end of the sub-valve body 336 is tapered so as to reduce its outer diameter downward. In this embodiment, the tapered surface is a spherical surface (curved surface) having a predetermined curvature, and is seated in line contact with the tapered valve seat 334 of the valve actuator 329. Thereby, at the time of closing the valve of the second sub-valve 208 (third valve), the valve driving body 329 and the sub-valve body 336 are integrated and are stably driven. The main valve 7 is closed by the sub valve body 336 and the valve driving body 329 in correspondence with the magnitude of the supply current value to the solenoid 303,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

도 19는, 메인 밸브 및 서브 밸브(제1서브 밸브 및 제2서브 밸브)의 동작을 나타내는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19(A)~(E)는, 메인 밸브가 완전 개방 상태로부터 완전 폐쇄 상태가 되고, 서브 밸브가 밸브 개방될 때까지의 동작 과정을 나타낸다. 각 도면의 하단은 메인 밸브의 상태를 나타내고, 상단은 대응하는 제1서브 밸브의 상태를 나타내고, 중간단은 대응하는 제2서브 밸브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19(A)의 상단은 도 17에 있어서의 a부분 확대도이고, 중간단은 c부분 확대도이고, 하단은 b부분 확대도이다. 도 20은, 메인 밸브 및 서브 밸브의 밸브 개방 특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A)는 각 밸브체의 스트로크와 밸브 개도의 관계를 나타내고 도 20(B)는 솔레노이드에 대한 공급 전류값과 밸브 개도의 관계를 나타낸다. 도면 중의 실선이 메인 밸브(7)를 나타내고, 1점 쇄선이 서브 밸브(제1서브 밸브(8)와 제2서브 밸브(208)를 합친 것)을 나타낸다. 19 is a partially enlarged sectional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main valve and the sub-valves (the first sub-valve and the second sub-valve). Figs. 19 (A) to 19 (E) show the operation process from the fully opened state to the fully closed state until the sub valve is opened. The lower end of each drawing shows the state of the main valve, the upper end shows the state of the corresponding first sub-valve, and the middle end shows the state of the corresponding second sub-valve. The upper part of FIG. 19 (A) is an enlarged view of a part in FIG. 17, the middle part is an enlarged view of part c, and the lower part is an enlarged view of part b. 20 is a diagram showing the valve opening characteristics of the main valve and the sub valve. Fig. 20 (A) show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roke of each valve body and the valve opening degree, and Fig. 20 (B) show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pply current value and the valve opening degree with respect to the solenoid. A solid line in the drawing indicates the main valve 7 and a one-dot chain line indicates a sub valve (a combination of the first sub valve 8 and the second sub valve 208).

상술한 구성에 의해, 도 19에 나타낸 각 밸브의 동작은, 도 20에 나타내는 제어 특성으로서 나타난다. 이 제어 특성은, 제2실시예의 제어 특성과 거의 동일한 경향을 갖지만, 하부 테이퍼(320)를 마련한 것에 의해, 메인 밸브(7)의 개도가 상대적으로 작아져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솔레노이드(303)로의 공급 전류에 대한 서브 밸브의 밸브 개방 효율을 단계적으로 전환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공급 전류가 비교적 작은 메인 밸브(7)의 제어 영역에 있어서 제1서브 밸브(8)의 개도를 점증시켜, 메인 밸브(7)의 제어 영역 외에서 제1서브 밸브(8) 및 제2서브 밸브(208)의 개도를 크게 할 수 있다. With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operation of each valve shown in Fig. 19 appears as the control characteristic shown in Fig. This control characteristic has almost the same tendency as the control characteristic of the second embodiment. However, by providing the lower taper 320, the opening degree of the main valve 7 is relatively small. Also in this embodiment, the valve opening efficiency of the sub valve with respect to the supply current to the solenoid 303 can be switched stepwise. Therefore, the opening degree of the first sub-valve 8 is increased in the control region of the main valve 7 having a relatively small supply current, and the opening degree of the first sub-valve 8 and the second sub- The opening degree of the sub valve 208 can be increased.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그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실시예에서는 언급하지 않았지만, 메인 밸브의 스풀부에 의한 오리피스 기능 발휘시의 개도(개구 면적)를, 서브 밸브의 스풀부에 의한 오리피스 기능 발휘시의 개도의 70%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50% 이하로 하는 것이 좋다. Although not mentioned in the above embodiment, the opening (opening area) when the orifice function is exerted by the spool portion of the main valve is 70% or less of the opening degree when the orifice function is exhibited by the spool portion of the sub valve, % Or less.

상기 실시예에서는, 토출실에서 제어실로 흐르는 냉매의 유량을 제어하는 이른바 도입 제어를 메인으로 한 구성을 제시했지만, 제어실에서 흡입실로 흐르는 냉매의 유량을 제어하는 이른바 도출 제어를 메인으로 한 구성으로 해도 좋다. 혹은, 도입 제어 및 도출 제어 모두를 적절하게 제어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In the above embodiment, the so-called introduction control is mainly used for controlling the flow rate of the refrigerant flowing from the discharge chamber to the control chamber. However, even if the flow control of the flow rate of the refrigerant flowing from the control chamber to the suction chamber is controlled mainly good. Alternatively, both the introduction control and the derivation control may be appropriately controlled.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어 밸브로서, 흡입 압력(Ps)을 직접 감지하여 동작하는 이른바 Ps 감지 밸브를 예시했다. 변형예에 있어서는, 피감지 압력으로서 제어 압력(Pc)을 감지하여 동작하는 이른바 Pc 감지 밸브로 해도 좋다. In the above embodiment, a so-called Ps sensing valve that operates by sensing the suction pressure Ps directly is exemplified as the control valve. In the modified example, a so-called Pc sensing valve may be used, which operates by sensing the control pressure Pc as the sensed pressure.

상기 실시예에서는, 스프링(42, 44, 242, 244) 등에 관하여, 바이어스 부재(탄성체)로서 스프링을 예시했지만, 고무나 수지 등의 탄성 재료를 채용해도 좋은 것은 물론이다. In the above embodiment, a spring is exemplified as the bias member (elastic member) with respect to the springs 42, 44, 242, and 244, but it goes without saying that an elastic material such as rubber or resin may be employed.

상기 실시예에서는 언급하지 않았지만, 압축기의 기동성을 개선하고자 하는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제어 밸브를 구성해도 좋다. 즉, Although not mentioned in the above embodiment,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improving the mobility of the compressor, the following control valve may be constituted. In other words,

흡입실, 토출실 및 제어실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실의 압력을 조정하는 것에 의해 토출 용량이 가변되는 가변 용량 압축기에 적용되는 제어 밸브이고, A control valve for a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having a suction chamber, a discharge chamber, and a control chamber, the discharge capacity of which is varied by adjusting a pressure in the control chamber,

상기 토출실과 상기 제어실을 연통시키는 제1통로와, 상기 제어실과 상기 흡입실을 연통시키는 제2통로와, 상기 제1통로에 마련된 제1밸브 구멍과, 상기 제2통로에 마련된 제2밸브 구멍을 구비하는 보디; A first passage communicating the discharge chamber and the control chamber, a second passage communicating the control chamber and the suction chamber, a first valve hole provided in the first passage, and a second valve hole provided in the second passage, A body;

상기 제1밸브 구멍에 접리하여 상기 제1밸브의 개도를 조정하는 제1밸브체; A first valve body contacting the first valve hole to adjust an opening degree of the first valve;

상기 제2밸브 구멍에 접리하여 상기 제2밸브의 개도를 조정하는 제2밸브체; A second valve body that contacts the second valve hole to adjust an opening degree of the second valve;

공급 전류값에 상응한 각 밸브체의 개폐 방향의 구동력을 발생하는 솔레노이드; A solenoid for generating a driving force in an opening and closing direction of each valve body corresponding to a supply current value;

상기 솔레노이드의 구동력을 각 밸브체에 전달하기 위한 작동 로드; An operating rod for transmitting the driving force of the solenoid to each valve body;

상기 흡입실의 압력 또는 상기 제어실의 압력을 감지하고, 그 감지한 압력의 크기에 상응하여 상기 솔레노이드의 구동력에 대한 대항력을 발생하는 감압부; 및 A depressurization unit sensing a pressure of the suction chamber or a pressure of the control chamber and generating a counter force against the driving force of the solenoid corresponding to the sensed pressure; And

상기 제2통로와는 별도로 상기 제어실과 상기 흡입실을 연통 가능한 연통로를, 상기 감압부가 감지한 압력의 크기에 상응하여 개폐하는 개폐 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밸브. And an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that opens and closes the communication passage communicating with the control chamber and the suction chamber separately from the second passage in accordance with the pressure sensed by the decompression portion.

상기 개폐 기구는, 상기 연통로가 형성된 가동체와 상기 감압부의 감압체를 작동 연결 또는 연결 해제하는 것에 의해 상기 연통로를 개폐하는 것이어도 좋다. 상기 가동체는, 상기 제2밸브체여도 좋고, 상기 작동 로드여도 좋다. The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may be such that the communicating path is opened or closed by operatively connecting or disconnecting the movable body formed with the communication path and the pressure-reducing member of the pressure-reducing section. The movable body may be the second valve body or the operation rod.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나 변형예에 한정되지 않고,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구성 요소를 변형하여 구체화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나 변형예에 개시되어 있는 복수의 구성 요소를 적절히 조합하는 것에 의해 다양한 발명을 형성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예나 변형예에 제시되는 전체 구성 요소에서 몇 가지 구성 요소를 삭제해도 좋다. 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modifications, and can be embodied by modifying the constituent ele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invention. Various inventions may be formed by appropriately combining a plurality of constituent elements disclosed in the above embodiments or modifications. In addition, some components may be deleted from all the components shown in the above embodiments or modifications.

1: 제어 밸브
3: 솔레노이드
5: 보디
6: 파워 엘리먼트
7: 메인 밸브
8: 서브 밸브
12: 포트
14: 포트
16: 포트
20: 메인 밸브 구멍
29: 밸브 구동체
30: 메인 밸브체
32: 서브 밸브 구멍
36: 서브 밸브체
38: 샤프트
42: 스프링
90: 연통로
92: 연통로
100: 탈착부
102: 스풀부
105: 보디
110: 탈착부
112: 스풀부
113: 스풀부
120: 원통부
122: 테이퍼부
130: 메인 밸브체
135: 연통로
136: 서브 밸브체
137: 서브 밸브체
138: 작동 로드
201: 제어 밸브
203: 솔레노이드
205: 보디
208: 제2서브 밸브
212: 스풀부
220: 원통부
222: 테이퍼부
229: 밸브 구동체
230: 메인 밸브체
232: 연통로
236: 서브 밸브체
238: 작동 로드
242: 스프링
250: 탈착부
252: 스풀부
301: 제어 밸브
303: 솔레노이드
305: 보디
310: 본체
314: 노치
316: 연통로
320: 하부 테이퍼
322: 상부 테이퍼
329: 밸브 구동체
330: 메인 밸브체
334: 서브 밸브 시트
336: 서브 밸브체
1: Control valve
3: Solenoid
5: Body
6: Power element
7: Main valve
8: Subvalve
12: Port
14: Port
16: Port
20: Main valve hole
29:
30: Main valve body
32: Sub valve hole
36: Sub valve body
38: Shaft
42: spring
90: communicating path
92:
100:
102: spool portion
105: Body
110:
112: spool part
113:
120:
122:
130: main valve body
135:
136: sub valve body
137:
138: working load
201: Control valve
203: Solenoid
205: Body
208: Second sub valve
212: spool portion
220:
222:
229:
230: main valve body
232: communicating path
236:
238: Working load
242: spring
250:
252:
301: Control valve
303: Solenoid
305: Body
310:
314: Notch
316:
320: Lower taper
322: upper taper
329: Valve drive body
330: main valve body
334: Sub-valve seat
336:

Claims (9)

흡입실, 토출실 및 제어실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실의 압력을 조정하는 것에 의해 토출 용량이 가변되는 가변 용량 압축기에 적용되는 제어 밸브이고,
상기 토출실과 상기 제어실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토출실에서 상기 제어실로 흐르는 냉매의 유량을 제어하는 제1밸브;
상기 제어실과 상기 흡입실 사이에 서로 병렬로 배치되어, 상기 제어실에서 상기 흡입실로 흐르는 냉매의 유량을 제어하는 제2밸브 및 제3밸브;
공급 전류값에 상응한 상기 제1밸브의 밸브 폐쇄 방향이면서 상기 제2밸브의 밸브 개방 방향의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솔레노이드; 및
상기 흡입실의 압력 또는 상기 제어실의 압력을 피감지 압력으로서 감지하고, 그 피감지 압력의 크기에 상응하여 상기 솔레노이드의 구동력에 대한 대항력을 발생시키는 감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밸브.
A control valve for a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having a suction chamber, a discharge chamber, and a control chamber, the discharge capacity of which is varied by adjusting a pressure in the control chamber,
A first valve disposed between the discharge chamber and the control chamber for controlling a flow rate of a refrigerant flowing from the discharge chamber to the control chamber;
A second valve and a third valve arranged in parallel between the control chamber and the suction chamber for controlling the flow rate of the refrigerant flowing from the control chamber to the suction chamber;
A solenoid for generating a driving force in a valve closing direction of the first valve and a valve closing direction of the second valve corresponding to a supply current value; And
And a depressurizing portion that detects the pressure of the suction chamber or the pressure of the control chamber as a sensed pressure and generates a counter force against the driving force of the solenoid corresponding to the sensed pressu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밸브의 개도가 변화하는 제어 영역에 있어서, 상기 제2밸브가 개방 상태가 되는 한편, 상기 제3밸브가 폐쇄 상태로 유지되고,
상기 제1밸브가 폐쇄된 상태 영역에 있어서, 상기 제2밸브가 개방 상태로 유지되고, 상기 피감지 압력의 크기에 상응하여 상기 제3밸브가 개방될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밸브.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control region in which the opening degree of the first valve changes, the second valve is in the open state and the third valve is kept in the closed state,
Wherein the second valve is kept in the open state in the state where the first valve is closed and the third valve can be opened corresponding to the magnitude of the sensed pressure.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실과 상기 제어실을 연통시키는 제1통로와, 상기 제어실과 상기 흡입실을 연통시키는 제2통로와, 상기 제2통로와 병렬로 상기 제어실과 상기 흡입실을 연통시키는 제3통로를 구비하는 보디;
상기 제1통로에 마련된 제1밸브 구멍에 접리하여 상기 제1밸브의 개도를 조정하는 제1밸브체;
상기 제2통로에 마련된 제2밸브 구멍에 접리하여 상기 제2밸브의 개도를 조정하는 제2밸브체;
상기 제3통로에 마련된 제3밸브 구멍에 접리하여 상기 제3밸브의 개도를 조정하는 제3밸브체; 및
상기 솔레노이드의 구동력을 적어도 상기 제1밸브체 및 상기 제2밸브체에 전달하기 위한 작동 로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밸브.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A first passage communicating the discharge chamber and the control chamber, a second passage communicating the control chamber and the suction chamber, and a third passage communicating the control chamber and the suction chamber in parallel with the second passage, ;
A first valve body that contacts the first valve hole provided in the first passage to adjust an opening degree of the first valve;
A second valve body that contacts the second valve hole provided in the second passage to adjust an opening degree of the second valve;
A third valve body that contacts the third valve hole provided in the third passage to adjust an opening degree of the third valve; And
And an actuating rod for transmitting the driving force of the solenoid to at least the first valve body and the second valve body.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로드가, 상기 제2밸브체 및 상기 제3밸브체와 일체로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밸브.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operating rod is provided integrally with the second valve body and the third valve body.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로드가, 상기 제2밸브체와 일체로 마련되고,
상기 감압부가, 상기 제3밸브체와 일체로 마련되고, 상기 작동 로드와 작동 연결 및 연결 해제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밸브.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operation rod is provided integrally with the second valve body,
Wherein the decompression portion is integrally provided with the third valve body, and is operatively connectable and disconnectable with the operation rod.
흡입실, 토출실 및 제어실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실의 압력을 조정하는 것에 의해 토출 용량이 가변되는 가변 용량 압축기에 적용되는 제어 밸브이고,
상기 토출실과 상기 제어실을 연통시키는 제1통로와, 상기 제어실과 상기 흡입실을 연통시키는 제2통로를 구비하는 보디;
상기 제1통로에 마련된 제1밸브 구멍에 접리하여 상기 제1통로의 개도를 조정하는 제1밸브체;
상기 제2통로에 마련된 제2밸브 구멍에 접리하여 상기 제2통로의 개도를 조정하는 제2밸브체;
공급 전류값에 상응한 각 밸브체의 개폐 방향의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솔레노이드;
상기 솔레노이드의 구동력을 각 밸브체에 전달하기 위한 작동 로드;
상기 흡입실의 압력 또는 상기 제어실의 압력을 감지하고, 그 감지한 압력의 크기에 상응하여 상기 솔레노이드의 구동력에 대한 대항력을 발생시키는 감압부; 및
상기 제2통로와는 별도로 상기 제어실과 상기 흡입실을 연통 가능한 연통로를, 상기 감압부가 감지한 압력의 크기에 상응하여 개폐하는 개폐 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밸브.
A control valve for a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having a suction chamber, a discharge chamber, and a control chamber, the discharge capacity of which is varied by adjusting a pressure in the control chamber,
A body having a first passage communicating the discharge chamber and the control chamber, and a second passage communicating the control chamber and the suction chamber;
A first valve body that contacts the first valve hole provided in the first passage to adjust an opening degree of the first passage;
A second valve body that contacts the second valve hole provided in the second passage to adjust an opening degree of the second passage;
A solenoid for generating a driving force in an opening and closing direction of each valve body corresponding to a supply current value;
An operating rod for transmitting the driving force of the solenoid to each valve body;
A depressurization unit sensing the pressure of the suction chamber or the pressure of the control chamber and generating a counter force against the driving force of the solenoid corresponding to the sensed pressure; And
And an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that opens and closes the communication passage communicating with the control chamber and the suction chamber separately from the second passage in accordance with the pressure sensed by the decompression portion.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기구는, 상기 연통로가 형성된 가동체와 상기 감압부의 감압체를 작동 연결 또는 연결 해제하는 것에 의해 상기 연통로를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밸브.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opening / closing mechanism opens / closes the communication passage by operatively connecting / disconnecting the movable body formed with the communication passage and the pressure-reducing body of the pressure-reducing section.
흡입실, 토출실 및 제어실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실의 압력을 조정하는 것에 의해 토출 용량이 가변되는 가변 용량 압축기에 적용되는 제어 밸브이고,
상기 토출실과 상기 제어실을 연통시키는 메인 통로와, 상기 제어실과 상기 흡입실을 연통시키는 서브 통로를 구비하는 보디;
상기 메인 통로에 마련되어, 상기 토출실에서 상기 제어실로 흐르는 냉매의 유량을 제어하는 메인 밸브;
상기 서브 통로에 마련되어, 상기 제어실에서 상기 흡입실로 흐르는 냉매의 유량을 제어하는 서브 밸브;
공급 전류값에 상응한 상기 메인 밸브의 밸브 폐쇄 방향이면서 상기 서브 밸브의 밸브 개방 방향의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솔레노이드; 및
상기 흡입실의 압력 또는 상기 제어실의 압력을 피감지 압력으로서 감지하고, 그 피감지 압력의 크기에 상응하여 상기 솔레노이드의 구동력에 대한 대항력을 발생시키는 감압부를 구비하고,
상기 메인 밸브가 개방 상태에서 밸브 폐쇄 방향으로 동작하는 과정에서 상기 서브 밸브의 개도가 증대하는 제1제어 영역과, 상기 메인 밸브의 폐쇄 후에 상기 피감지 압력의 크기에 상응하여 상기 서브 밸브의 개도가 더욱 증대하는 제2제어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2제어 영역의 밸브 개도 증대율이 상기 제1제어 영역의 밸브 개도 증대율보다 큰 제어 특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밸브.
A control valve for a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having a suction chamber, a discharge chamber, and a control chamber, the discharge capacity of which is varied by adjusting a pressure in the control chamber,
A main passage communicating the discharge chamber and the control chamber, and a sub passage communicating the control chamber and the suction chamber;
A main valve provided in the main passage for controlling a flow rate of a refrigerant flowing from the discharge chamber to the control chamber;
A sub valve provided in the sub passage for controlling the flow rate of the refrigerant flowing from the control chamber to the suction chamber;
A solenoid for generating a driving force in a valve closing direction of the sub valve in a valve closing direction of the main valve corresponding to a supply current value; And
And a depressurizing unit that detects the pressure of the suction chamber or the pressure of the control chamber as a sensed pressure and generates a counter force against the driving force of the solenoid corresponding to the sensed pressure,
A first control region in which the opening degree of the sub valve increases in the course of operation of the main valve in the valve closing direction from the open state and a second control region in which the opening degree of the sub valve corresponds to the magnitude of the detected pressure after the main valve is closed Wherein the second control region includes a second control region that has a control characteristic that the valve opening increasing rate of the second control region is greater than the valve opening increasing rate of the first control region.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밸브가, 상기 서브 통로에 서로 병렬로 배치되어, 상기 제어실에서 상기 흡입실로 흐르는 냉매의 유량을 제어하는 제1서브 밸브 및 제2서브 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1제어 영역에 있어서, 상기 제1서브 밸브가 개방 상태가 되는 한편, 상기 제2서브 밸브가 폐쇄 상태로 유지되고,
상기 제2제어 영역에 있어서, 상기 제1서브 밸브 및 상기 제2서브 밸브가 모두 개방 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밸브.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sub-valve includes a first sub-valve and a second sub-valve dispos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in the sub-passage for controlling a flow rate of a refrigerant flowing from the control chamber to the suction chamber,
In the first control region, the first sub-valve is in an open state, the second sub-valve is kept in a closed state,
And the first sub-valve and the second sub-valve are both opened in the second control region.
KR1020170175642A 2016-06-13 2017-12-20 Control valve for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KR20180004044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117375 2016-06-13
JPJP-P-2016-117375 2016-06-13
JPJP-P-2016-157617 2016-08-10
JP2016157617A JP6714274B2 (en) 2016-06-13 2016-08-10 Control valve for variable capacity compressor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9864A Division KR20170140755A (en) 2016-06-13 2016-10-26 Control valve for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4044A true KR20180004044A (en) 2018-01-10

Family

ID=6068812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9864A KR20170140755A (en) 2016-06-13 2016-10-26 Control valve for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KR1020170175642A KR20180004044A (en) 2016-06-13 2017-12-20 Control valve for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9864A KR20170140755A (en) 2016-06-13 2016-10-26 Control valve for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2) JP6714274B2 (en)
KR (2) KR20170140755A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2234A (en) * 2018-01-29 2019-08-07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Control system for a compressor, electronic control valve for the same, and compressor with the same
US11873804B2 (en) * 2018-02-27 2024-01-16 Eagle Industry Co., Ltd. Capacity control valve
CN112119216B (en) 2018-05-23 2022-07-26 伊格尔工业股份有限公司 Capacity control valve
EP3822484B1 (en) 2018-07-12 2023-10-11 Eagle Industry Co., Ltd. Capacity control valve
CN115306669A (en) 2018-07-12 2022-11-08 伊格尔工业股份有限公司 Capacity control valve
EP3822483B1 (en) 2018-07-12 2024-04-03 Eagle Industry Co., Ltd. Capacity control valve
JP7191957B2 (en) 2018-07-13 2022-12-19 イーグル工業株式会社 capacity control valve
CN112534136A (en) 2018-08-08 2021-03-19 伊格尔工业股份有限公司 Capacity control valve
WO2020032089A1 (en) 2018-08-08 2020-02-13 イーグル工業株式会社 Capacity control valve
JP7212353B2 (en) * 2018-10-05 2023-01-25 株式会社テージーケー control valve
JP7286672B2 (en) 2018-11-07 2023-06-05 イーグル工業株式会社 capacity control valve
JP7326330B2 (en) * 2018-12-04 2023-08-15 イーグル工業株式会社 capacity control valve
EP3892856B1 (en) * 2018-12-04 2024-03-27 Eagle Industry Co., Ltd. Capacity control valve
WO2020179597A1 (en) 2019-03-01 2020-09-10 イーグル工業株式会社 Capacity control valve
JP2020159508A (en) * 2019-03-27 2020-10-01 いすゞ自動車株式会社 Valve unit
EP3951172A4 (en) 2019-04-03 2022-11-16 Eagle Industry Co., Ltd. Capacity control valve
KR20210136128A (en) 2019-04-03 2021-11-16 이구루코교 가부시기가이샤 capacity control valve
EP3998401A4 (en) 2019-07-12 2023-07-12 Eagle Industry Co., Ltd. Capacity control valve
US11300219B2 (en) * 2020-07-28 2022-04-12 Mahle International Gmbh Variable-capacity compressor control valve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83951B2 (en) * 1999-06-07 2004-11-04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Capacity control valve
JP2001073939A (en) * 1999-08-31 2001-03-21 Toyota Autom Loom Works Ltd Control valve for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and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US6688853B1 (en) * 2001-01-08 2004-02-10 Honeywell International Inc. Control valve for regulating flow between two chambers relative to another chamber
KR100984214B1 (en) * 2003-01-22 2010-09-28 가부시키가이샤 발레오 서멀 시스템즈 Control valve of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JP4456906B2 (en) * 2004-03-25 2010-04-28 株式会社不二工機 Control valve for variable capacity compressor
JP4431462B2 (en) * 2004-08-10 2010-03-17 株式会社鷺宮製作所 Swash plate type variable capacity compressor and electromagnetic control valve
JP4925800B2 (en) * 2006-11-30 2012-05-09 カルソニックカンセイ株式会社 Control valve for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JP6103586B2 (en) * 2013-03-27 2017-03-29 株式会社テージーケー Control valve for variable capacity compressor
JP6368897B2 (en) * 2014-05-09 2018-08-08 株式会社テージーケー Control val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7223350A (en) 2017-12-21
JP6709916B2 (en) 2020-06-17
JP6714274B2 (en) 2020-06-24
KR20170140755A (en) 2017-12-21
JP2017223348A (en) 2017-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04044A (en) Control valve for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KR102486591B1 (en) Control valve for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CN107489791B (en) Control valve for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KR20180111740A (en) Control valve for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KR102057345B1 (en) Control valve for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KR101689241B1 (en) Capacity control valve
KR20140118808A (en) Control valve for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JP2018040385A (en) solenoid valve
KR20170056447A (en) Solenoid valve
KR20140049478A (en) Control valve for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KR102057344B1 (en) Control valve for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KR20140063439A (en) Complex valve
KR102252391B1 (en)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and control valve thereof
JP2020060108A (en)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and its control valve
KR20150011774A (en) Solenoid valve
JP7146262B2 (en) control valve
KR20140074843A (en) Control valve
KR20140141432A (en) Control valve for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CN110234874B (en) Capacity control valve
JP2024046023A (en) Control valv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