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3886A - 프레임 연결구 - Google Patents

프레임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3886A
KR20180003886A KR1020160083624A KR20160083624A KR20180003886A KR 20180003886 A KR20180003886 A KR 20180003886A KR 1020160083624 A KR1020160083624 A KR 1020160083624A KR 20160083624 A KR20160083624 A KR 20160083624A KR 20180003886 A KR20180003886 A KR 201800038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onnection
fastening
frames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36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76192B1 (ko
Inventor
오서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펀잇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펀잇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펀잇쳐스
Priority to KR10201600836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6192B1/ko
Publication of KR201800038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38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61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61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1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 F16B12/28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for metal furniture parts
    • F16B12/3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for metal furniture parts using threaded bol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5/00Furniture convertible into other kinds of furniture
    • A47B85/04Tables convertible into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5/00Furniture convertible into other kinds of furniture
    • A47B85/06Tables convertible otherwis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5/00Fittings for furnit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3/00Convertible chairs, stools or bench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7/00Sofas; Couches; Beds
    • A47C17/04Seating furniture, e.g. sofas, couches, settees, or the like, with movable parts changeable to beds; Chair be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40Joints for furniture tub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54Fittings for bedsteads or the like
    • F16B12/56Brackets for bedsteads; Coupling joints consisting of bolts or the like; Latch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프레임 연결구가 개시된다. 상기 프레임 연결구는, 기둥 형상의 복수개의 프레임들을 연결하기 위한 프레임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프레임 중 어느 하나의 프레임 일측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프레임의 내측면과 밀착되도록 복수의 면을 갖는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을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제 1 체결홀이 형성된 제 1 연결부; 및 상기 제 1 연결부와 일면이 접하고, 프레임 중 어느 하나의 프레임의 외주면이 밀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밀착면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연결부와 접하는 일면에 상기 제 1 연결부까지 관통되도록 상기 프레임을 고정시키기 위해 체결부재를 체결하기 위한 나사산이 형성된 제 2 체결홀이 형성된 제 2 연결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프레임 연결구{Frame connector}
본 발명은 프레임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구조물을 구성하는 프레임들을 비틀림이 발생하지 않도록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는 프레임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침대, 책상, 의자 등의 가구들은 용이한 배송과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용도를 변경하고 형태를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조립식 가구로 제작되고 있다. 이러한 조립식 가구는 개별적인 각각의 프레임들이 서로 이웃되게 연결되어 외형을 이루기 위한 형틀을 구성하게 된다. 이때, 각각의 프레임들을 서로 연결하기 위해 별도의 프레임 연결구(또는 브라켓)가 사용된다. 이때, 각 프레임은 통상적으로 내부가 비어있는 관(원형 또는 사각 파이프) 형태의 금속재로 구성되고, 각 프레임과 프레임을 서로 이웃하도록 수직 또는 수평방향으로 직각 배치시킨 상태로 프레임 연결구를 통해 프레임들을 서로 연결함으로써 구조물의 외형 틀을 구성하게 된다.
한편, 종래에는 프레임과 프레임을 연결하기 위해 프레임의 측단이 서로 접하도록 직각 배치시킨 상태로 'ㄱ'자 형태의 브라켓을 이용하여 각 프레임의 일측면이 브라켓의 일측에 밀착된 상태에서 볼팅결합하여 프레임끼리 연결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 종래의 프레임 연결구(또는 브라켓)는 각각의 프레임과 밀착되는 밀착면적이 작고 체결력이 약해 외부로부터 충격 등의 외력이 전달되면 프레임들은 비틀림이 발생하여 프레임의 형태가 변형되거나 프레임 연결구로부터 프레임이 분리되어 파손되는 문제가 있다. 즉, 최초 프레임들이 최초 설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없고 가구 등 구조물의 내구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프레임과 프레임을 연결하기 위하여 용접을 하는 경우, 열변형 등으로 정확하게 원하는 위치와 각도로 프레임을 연결하기 어렵고 분리할 수 없으므로 보수가 어려우며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로 조립하여 사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마찬가지로, 용접을 이용해 프레임 연결구를 제작하는 경우에도, 열변형 등으로 인하여 정확하게 원하는 형상으로 프레임 연결구를 제작하기 어려워 프레임 연결구를 이용해 프레임들을 결합하는 경우 불량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183394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외력에 의해 프레임에 비틀림이 발생하지 않도록 프레임들을 견고하게 연결시킬 수 있는 프레임 연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연결구는, 기둥 형상의 복수개의 프레임들을 연결하기 위한 프레임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프레임 중 어느 하나의 프레임 일측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프레임의 내측면과 밀착되도록 복수의 면을 갖는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을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제 1 체결홀이 형성된 제 1 연결부; 및 상기 제 1 연결부와 일면이 접하고, 프레임 중 어느 하나의 프레임의 외주면이 밀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밀착면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연결부와 접하는 일면에 상기 제 1 연결부까지 관통되도록 상기 프레임을 고정시키기 위해 체결부재를 체결하기 위한 나사산이 형성된 제 2 체결홀이 형성된 제 2 연결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 1 연결부는, 상기 복수개의 프레임 중 어느 하나의 프레임을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제 1 체결홀이 형성된 체결면; 상기 체결면의 일측단과 직각이 되도록 연결되고 프레임을 지지하는 지지면; 및 상기 체결면의 타측단과 직각이 되도록 연결되고, 상기 제 2 연결부와 접하는 제 1 연결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면은, 상기 프레임을 지지하여 프레임이 회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프레임의 내측 모서리 부분에 밀착되는 모서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연결부는, 상기 프레임이 수직 또는 수평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연결면과 제 2 연결면을 포함한 상기 제 2 체결홀과 인접한 부분은 주변부분에 비해 두께가 더 두껍게 형성되어, 상기 제 2 체결홀에 체결부재가 체결 시 발생되는 비틀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연결면과 제 2 연결면이 접하는 부분은, 상기 제 1 연결부로 삽입되는 프레임 단부가 걸림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 연결면의 상부보다 상기 제 2 연결면의 상부가 일부 더 높게 돌출되도록 형성된 걸림턱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연결면과 제 2 연결면의 두께의 합은 상기 지지면의 두께 또는 상기 밀착면의 두께보다 더 클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연결부는, 상기 제 2 연결면의 일측단에 상기 밀착면이 연결되되, 상기 제 2 연결면과 상기 밀착면의 결합된 형상은 'ㄴ'자 또는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연결부는, 'ㄴ'자 형상으로 이루어질 경우, 2개의 구성이 결합된 형태로 조립될 수 있으며, 2개 이상의 프레임이 수직 또는 수평 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밀착면 내측에는, 프레임 외측면 일부와 접촉되어 마찰저항을 크게 하여 프레임이 비틀리지 못하도록 마찰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연결구는 제 1 연결부에 수평프레임이 끼움 삽입된 상태로 조립되고, 제 2 연결부에 수평프레임 또는 수직프레임이 밀착된 상태로 조립됨에 따라 프레임들은 수평 또는 수직 방향으로 직각 상태를 유지하여 고정될 수 있어, 수평프레임 및 수직프레임은 프레임 연결구에 의해 조립된 상태에서 비틀림 및 분리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어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프레임들을 견고하게 연결하여 고정시킴으로써 외력에 의해 구조물에 비틀림이 발생하지 않도록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연결구를 이용하는 경우 프레임 간에 연결할 때 용접을 할 필요가 없으므로 열변형에 의한 불량이 없고, 보수가 용이하며, 조립과 분해가 쉽고 미려한 외관을 가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연결구는 제 1 연결부와 제 2 연결부를 용접하지 않고 다이캐스팅(die casting)을 통하여 제작할 수 있으므로 프레임 연결구를 용접을 통하여 제작할 때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연결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연결구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프레임 연결구에 수평프레임 및 수직프레임이 결합되는 모습을 도시한 사용상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프레임 연결구에 수평프레임 및 수직프레임이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사용상태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프레임 연결구에 복수의 수평프레임이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사용상태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프레임 연결구에 수평프레임 및 수직프레임이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사용상태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2의 프레임 연결구에 복수의 수평프레임이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사용상태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2의 프레임 연결구 복수개가 결합되고 복수 수평프레임 및 수직프레임이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사용상태 평면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연결구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프레임 연결구(10)는 제 1 연결부(100) 및 제 2 연결부(2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 연결구(10)는 조립식 가구 등과 같은 구조물의 형틀을 구성하는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프레임(수평프레임 또는 수직프레임)들을 외력에 의해 프레임에 비틀림이 발생하지 않도록 프레임들을 견고하게 연결 시킬 수 있는 프레임 연결구(10)에 관한 것이다.
먼저, 제 1 연결부(100)는 상기 복수개의 프레임 중 어느 하나의 프레임, 즉, 본 실시예의 수평프레임(1)과 연결되는 부분으로, 상기 프레임 일측 내부에 삽입된다. 즉, 내부가 비어있는 관(원형 또는 사각 파이프) 형태의 프레임의 내부 공간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제 1 연결부(100)는 상기 프레임의 내측면과 밀착되도록 복수의 면(프레임 내부와 밀착되는 밀착면)을 갖는 'ㄷ'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제 1 연결부(100)는 적어도 일면 이상이 프레임 내부와 밀착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제 1 연결부(100)는 체결면(110), 지지면(120) 및 제 1 연결면(130)을 포함한다. 상기 체결면(110)은 제 1 연결부(100)가 삽입되는 복수개의 프레임 중 어느 하나의 프레임이 고정되는 부분으로, 상기 프레임을 제 1 연결부(100)에 고정시키기 위해 체결면(110)의 일측에는 별도의 체결부재(예: 볼트)를 체결하기 위한 나사산이 형성된 제 1 체결홀(111)이 형성된다. 즉, 상기 프레임에는 체결면(110)의 제 1 체결홀(111)의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홀이 형성되어 상기 홀과 제 1 체결홀(111)을 통해 상기 체결부재를 삽입하여 제 1 연결부(100)에 프레임을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체결면(110)은 상기 프레임의 내측면과 밀착되는 밀착면일 수 있다.
상기 지지면(120)은 상기 프레임 내부 모서리 부분을 지지하는 부분으로, 체결면(110)의 일측단과 직각이 되도록 연결된다. 즉, 지지면(120)의 외곽 테두리 부분이 상기 프레임 내부 모서리 부분과 접한 상태로 프레임 내부 면과 직각이 되도록 위치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프레임 내부 모서리 부분에 밀착되는 모서리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서리부(140)는 상기 프레임 내부를 지지하여 프레임이 제 1 연결부(100) 삽입된 상태에서 회동하여 비틀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역할을 하는 부분으로, 상기 프레임의 내부 각 변의 모서리 부분에 수직으로 밀착되어 프레임의 움직임을 제한한다. 예를 들어, 지지면(120) 중 상기 프레임의 모서리에 밀착되는 모서리부(140)를 제외한 부분은 일부 절개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이 경우에는 모서리 부분만 상기 프레임 내부에 접촉될 수 있다. 한편, 지지면(120) 중앙에는 후술하는 제 2 체결홀(211)을 가공하기 위한 가공홀(121)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 1 연결면(130)은 후술하는 제 2 연결부(200)와 접하는 부분으로, 체결면(110)의 타측단과 직각이 되도록 연결된다. 즉, 제 1 연결면(130)의 외곽 테두리 부분이 상기 프레임 내부 모서리 부분과 접한 상태로 프레임 내부 면과 수직이 되도록 위치될 수 있고, 상기 지지면(120)과 제 1 연결면(130)은 체결면(110)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되게 배치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 2 연결부(200)는 상기 복수개의 프레임 중 제 1 연결부(100)에 삽입되는 프레임 외에 다른 프레임과 연결되는 부분으로, 상기 제 1 연결부(100)와 일면이 접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 2 연결부(200)는 제 1 연결부(100)의 제 1 연결면(130)과 접하는 제 2 연결면(210)과 프레임의 외주면이 밀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밀착면(220)을 포함한다. 또한, 제 2 연결면(210)은 프레임을 고정시키기 위해 체결부재를 체결하기 위한 나사산이 형성된 제 2 체결홀(211)이 형성되고, 제 2 체결홀(211)은 제 1 연결부(100)의 제 1 연결면(130)까지 관통되도록 형성된다. 즉, 제 1 연결면(130)과 제 2 연결면(210)이 서로 접한 상태에서 제 2 연결면(210)에서부터 제 1 연결면(130)까지 관통되도록 제 2 체결홀(211)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체결부재가 프레임 일측에 형성된 홀을 통해 삽입되어 제 2 체결홀(211)에 결합됨으로써 프레임이 제 2 연결부(200)에 밀착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제 1 연결면(130)과 제 2 연결면(210)에 형성되는 제 2 체결홀(211)과 인접한 부분은 주변부분에 비해 두께가 더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제 1 연결면(130)에 있어 제 2 체결홀(211)의 인접한 부분은 주변부분에 비해 두께가 더 두껍게 형성될 수 있도록 주변부분은 일부 홈이 패인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는, 체결부재가 제 2 체결홀(211)에 체결될 경우 체결부재를 체결하는 과정에서 체결부재에 의해 제 2 체결홀(211)의 체결부분에 비틀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 2 체결홀(211)과 인접한 부분의 강도를 크게 형성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제 1 연결면(130)과 제 2 연결면(210)이 접하는 부분은 제 1 연결부(130)로 삽입되는 수평프레임(1) 단부가 걸림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 연결면(130)의 상부보다 상기 제 2 연결면(210)의 상부가 일부 더 높게 돌출되도록 걸림턱(212)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연결부(100)로 삽입되는 수평프레임(1)은 걸림터(212)에 의해 제 2 연결부(200)로 넘어가지 않고 걸림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 1 연결면(130)과 제 2 연결면(210)의 두께의 합은 지지면(120)의 두께 또는 밀착면(220)의 두께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제 1 연결면(130)와 제 2 연결면(210)은 서로 접한 상태로 형성되어 지지면(120)의 두께 또는 밀착면(220)의 두께보다 더 크게 형성함으로써 프레임 체결에 대한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제 2 연결부(200)는 제 2 연결면(210)의 일측단에 밀착면(220)이 연결되되, 제 2 연결면(210)과 밀착면(220)의 결합된 형상은 'ㄴ'자 또는 'ㄷ'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연결구의 사시도로서, 도 2를 참조하면, 제 2 연결부(200)는 'ㄴ'자 형상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 2 연결부(200)는 'ㄴ'자 형상으로 이루어질 경우, 2개의 구성이 결합된 형태로 조립될 수 있으며, 2개 이상의 프레임이 수직 또는 수평 방향으로 수평프레임(1) 또는 수직프레임(2)이 결합될 수 있다. 이렇게, 제 2 연결부(200)에 결합되는 프레임은 수평프레임(1) 또는 제 1 연결부(100)에 삽입되는 수평프레임(1)과 직각이 되도록 수직으로 배치되는 수직프레임(2)일 수 있으며, 제 2 연결부(200)는 프레임이 수직 또는 수평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밀착면(220)에는 상기 체결부재가 삽입되기 위한 삽입홀(221)이 형성될 수도 있고, 밀착면(220) 내측에는 프레임 외측면 일부와 접촉되어 마찰저항을 크게 하기 위해 마찰돌기(222)가 적어도 하나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마찰돌기(222)는 프레임 외측면과 접촉되는 밀착면(222) 내측에 돌출되도록 형성하여 제 2 연결부(200)에 프레임을 체결한 후 프레임이 쉽게 회동하거나 이탈하여 비틀리지 않도록 마찰저항을 크게 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마찰돌기(222)는 띠 형상으로 돌출된 형태일 수 있고, 필요에 따라 복수개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하, 수평프레임(1) 또는 수직프레임(2)이 본 발명의 프레임 연결구(10)와 결합되는 다양한 실시예를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도 1의 프레임 연결구에 수평프레임 및 수직프레임이 결합되는 모습을 도시한 사용상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프레임 연결구에 수평프레임 및 수직프레임이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사용상태 평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제 1 연결부(100)에는 수평프레임(1)이 결합되고, 제 2 연결부(200)에는 수직프레임(2)이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수평프레임(1)은 제 1 연결부(100)에 삽입된 상태로 수평프레임(1)의 내측면과 체결면(110)이 밀착된 상태로 제 1 체결홀(111)에 체결부재가 삽입되어 수평프레임(1)과 제 1 연결부(100)가 결합된다. 또한, 제 2 연결부(200)는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2개 면으로 형성된 밀착면(220)과 제 2 연결면(210)에 밀착된 상태로 밀착면(220)에 형성된 삽입홀(221)부터 제 2 체결홀(211)까지 체결부재가 체결되어 수직프레임(2)이 제 2 연결부(200)에 결합된다. 따라서, 수평프레임(1)과 수직프레임(2)이 수직방향으로 직각을 이루도록 고정된 상태로 결합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도 1의 프레임 연결구에 복수의 수평프레임이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사용상태 평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 1 연결부(100)와 제 2 연결부(200)에는 복수의 수평프레임(1)이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어느 하나의 수평프레임(1)은 제 1 연결부(100)에 삽입된 상태로 수평프레임(1)의 내측면과 체결면(110)이 밀착된 상태로 제 1 체결홀(111)을 통해 체결부재가 삽입되어 수평프레임(1)과 제 1 연결부(100)가 결합된다. 또한, 제 2 연결부(200)는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2개 면으로 형성된 밀착면(220)과 제 2 연결면(210)에 밀착된 상태로 밀착면(220)에 형성된 삽입홀(221)부터 제 2 체결홀(211)까지 체결부재가 체결되어 수평프레임(1)이 제 2 연결부(200)에 결합된다. 따라서, 복수개의 수평프레임(1)이 수평방향으로 직각을 이루도록 고정된 상태로 결합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도 2의 프레임 연결구에 수평프레임 및 수직프레임이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사용상태 평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 1 연결부(100)에는 수평프레임(1)이 결합되고, 제 2 연결부(200)에는 수직프레임(2)이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수평프레임(1)은 제 1 연결부(100)에 삽입된 상태로 수평프레임(1)의 내측면과 체결면(110)이 밀착된 상태로 제 1 체결홀(111)을 통해 체결부재가 삽입되어 수평프레임(1)과 제 1 연결부(100)가 결합된다. 또한, 제 2 연결부(200)는 'ㄴ'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1개의 면으로 형성된 밀착면(220)과 제 2 연결면(210)에 밀착된 상태로 밀착면(220)에 형성된 삽입홀(221)부터 제 2 체결홀(211)까지 체결부재가 체결되어 수직프레임(2)이 제 2 연결부(200)에 결합된다. 따라서, 수평프레임(1)과 수직프레임(2)이 수직방향으로 직각을 이루도록 고정된 상태로 결합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도 2의 프레임 연결구에 복수의 수평프레임이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사용상태 평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 1 연결부(100)와 제 2 연결부(200)에는 복수의 수평프레임(1)이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어느 하나의 수평프레임(1)은 제 1 연결부(100)에 삽입된 상태로 수평프레임(1)의 내측면과 체결면(110)이 밀착된 상태로 제 1 체결홀(111)을 통해 체결부재가 삽입되어 수평프레임(1)과 제 1 연결부(100)가 결합된다. 또한, 제 2 연결부(200)는 'ㄴ'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1개의 면으로 형성된 밀착면(220)과 제 2 연결면(210)에 밀착된 상태로 밀착면(220)에 형성된 삽입홀(221)부터 제 2 체결홀(211)까지 체결부재가 체결되어 수직프레임(2)이 제 2 연결부(200)에 결합된다. 따라서, 복수개의 수평프레임(1)이 수평방향으로 직각을 이루도록 고정된 상태로 결합될 수 있게 된다.
도 8은 도 2의 프레임 연결구 복수개가 결합되고 복수 수평프레임 및 수직프레임이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사용상태 평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제 2 연결부(200)가 'ㄴ'자 형상으로 형성된 프레임 연결구(10) 2개가 결합되는 모습을 도시한 것으로, 'ㄴ'자 형상의 제 2 연결부(200)는 직각을 이루도록 결합되어 2개의 제 1 연결부(100)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며, 각각의 제 1 연결부(100)에는 수평프레임(1)이 수평방향으로 직각을 이루도록 결합되고, 제 2 연결부(200)에는 수직프레임(2)이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 1 연결부(100)에 결합되는 수평프레임(1)은 제 1 연결부(100)에 삽입된 상태로 수평프레임(1)의 내측면과 체결면(110)이 밀착된 상태로 제 1 체결홀(111)을 통해 체결부재가 삽입되어 수평프레임(1)과 제 1 연결부(100)가 결합된다. 또한, 제 2 연결부(200)는 'ㄴ'자 형상으로 형성된 구성 2개가 결합되어 2개의 면으로 형성된 밀착면(220)과 제 2 연결면(210)에 밀착된 상태로 밀착면(220)에 형성된 삽입홀(221)부터 제 2 체결홀(211)까지 체결부재가 체결되어 수직프레임(2)이 제 2 연결부(200)에 결합된다. 또한, 경우에 따라 각각의 제 2 체결홀(211)에 각각 체결부재가 체결될 수 있으며, 이때, 복수의 체결부재가 체결되는데 간섭을 피하기 위해 체결부재가 삽입되는 제 2 체결홀(211)의 위치를 서로 어긋나게 삽입될 수 있는 위치로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수평프레임(1)과 수직프레임(2)이 수평 또는 수직방향으로 직각을 이루도록 고정된 상태로 결합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연결구(10)는 제 1 연결부(100)에 수평프레임(1)이 끼움 삽입된 상태로 조립되고, 제 2 연결부(2)에 수평프레임 또는 수직프레임이 밀착된 상태로 조립됨에 따라 프레임들은 수평 또는 수직 방향으로 직각 상태를 유지하여 고정될 수 있어, 수평프레임(1) 및 수직프레임(2)은 프레임 연결구(10)에 의해 조립된 상태에서 비틀림 및 분리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어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프레임들을 견고하게 연결하여 고정시킴으로써 외력에 의해 구조물에 비틀림이 발생하지 않도록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를 한정하거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프레임 연결구 100: 제 1 연결부
110: 체결면 111: 제 1 체결홀
120: 지지면 121: 가공홀
130: 제 1 연결면 140: 모서리부
200: 제 2 연결부 210: 제 2 연결면
211: 제 2 체결홀 212: 걸림턱
220: 밀착면 221: 삽입홀
222: 마찰돌기 1: 수평프레임
2: 수직프레임

Claims (10)

  1. 기둥 형상의 복수개의 프레임들을 연결하기 위한 프레임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프레임 중 어느 하나의 프레임 일측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프레임의 내측면과 밀착되도록 복수의 면을 갖는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을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제 1 체결홀이 형성된 제 1 연결부; 및
    상기 제 1 연결부와 일면이 접하고, 프레임 중 어느 하나의 프레임의 외주면이 밀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밀착면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연결부와 접하는 일면에 상기 제 1 연결부까지 관통되도록 상기 프레임을 고정시키기 위해 체결부재를 체결하기 위한 나사산이 형성된 제 2 체결홀이 형성된 제 2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연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결부는,
    상기 복수개의 프레임 중 어느 하나의 프레임을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제 1 체결홀이 형성된 체결면;
    상기 체결면의 일측단과 직각이 되도록 연결되고 프레임을 지지하는 지지면; 및
    상기 체결면의 타측단과 직각이 되도록 연결되고, 상기 제 2 연결부와 접하는 제 1 연결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연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면은,
    상기 프레임을 지지하여 프레임이 회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프레임의 내측 모서리 부분에 밀착되는 모서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연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연결부는,
    상기 프레임이 수직 또는 수평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연결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결면과 제 2 연결면을 포함한 상기 제 2 체결홀과 인접한 부분은 주변부분에 비해 두께가 더 두껍게 형성되어, 상기 제 2 체결홀에 체결부재가 체결 시 발생되는 비틀림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연결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결면과 제 2 연결면이 접하는 부분은,
    상기 제 1 연결부로 삽입되는 프레임 단부가 걸림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 연결면의 상부보다 상기 제 2 연결면의 상부가 일부 더 높게 돌출되도록 형성된 걸림턱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연결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결면과 제 2 연결면의 두께의 합은 상기 지지면의 두께 또는 상기 밀착면의 두께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연결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연결부는,
    상기 제 2 연결면의 일측단에 상기 밀착면이 연결되되,
    상기 제 2 연결면과 상기 밀착면의 결합된 형상은 'ㄴ'자 또는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연결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연결부는,
    'ㄴ'자 형상으로 이루어질 경우, 2개의 구성이 결합된 형태로 조립될 수 있으며, 2개 이상의 프레임이 수직 또는 수평 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연결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밀착면 내측에는,
    프레임 외측면 일부와 접촉되어 마찰저항을 크게 하여 프레임이 비틀리지 못하도록 마찰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연결구.
KR1020160083624A 2016-07-01 2016-07-01 프레임 연결구 KR1018761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3624A KR101876192B1 (ko) 2016-07-01 2016-07-01 프레임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3624A KR101876192B1 (ko) 2016-07-01 2016-07-01 프레임 연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3886A true KR20180003886A (ko) 2018-01-10
KR101876192B1 KR101876192B1 (ko) 2018-07-09

Family

ID=609983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3624A KR101876192B1 (ko) 2016-07-01 2016-07-01 프레임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619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46251A (zh) * 2019-04-09 2019-06-07 马肯国际有限公司 一种便于快速组装的组合沙发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78608B2 (ja) * 2005-05-23 2010-06-09 株式会社稲葉製作所 テーブル類における天板と脚部の連結構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46251A (zh) * 2019-04-09 2019-06-07 马肯国际有限公司 一种便于快速组装的组合沙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6192B1 (ko) 2018-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57426B1 (en) Shelf engagement mechanism
US20080302748A1 (en) Expandable modular shelf system
WO2016165408A1 (zh) 一种太阳能板安装框架
KR101876192B1 (ko) 프레임 연결구
KR101423244B1 (ko) 조립식 옷장
KR101365047B1 (ko) 파이프 조인트
CN102562735B (zh) 平面自锁连接装置
KR20160133080A (ko) 조립식 테이블 프레임
KR101224244B1 (ko) 테이블 프레임 연결구조
KR20130103029A (ko) 알루미늄 프로파일의 연결구 구조
KR101656736B1 (ko) 조립식 가구용 연결구 및 그 연결구를 이용한 조립식 가구
US20190024691A1 (en) Bunk bed beam and post connection structure and bunk bed having same
KR101894269B1 (ko) 프레임 연결구
JP5849653B2 (ja) テーブル
KR101898522B1 (ko) 조립성을 향상시키는 조립식 칸막이
JP2010148560A (ja) 組立棚
KR101208341B1 (ko) 다리 연결구를 갖는 테이블
KR20170091909A (ko) 사무용 파티션 조립체용 커넥터 및 사무용 파티션 조립체
KR101163853B1 (ko) 파이프 조인트
KR102657308B1 (ko) 조립식 가구
KR200482289Y1 (ko) 조립가구의 결합모듈
KR20130005638A (ko) 조립식 프레임 구성물
KR102046454B1 (ko) 커넥터 및 그것을 이용한 골격 구조물
KR101557001B1 (ko) 조립식 가구
JP7283996B2 (ja) 連結構造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