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2718A - 고광학 특성의 종방향 배향된 라벨 페이스스톡 - Google Patents

고광학 특성의 종방향 배향된 라벨 페이스스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2718A
KR20180002718A KR1020177034282A KR20177034282A KR20180002718A KR 20180002718 A KR20180002718 A KR 20180002718A KR 1020177034282 A KR1020177034282 A KR 1020177034282A KR 20177034282 A KR20177034282 A KR 20177034282A KR 20180002718 A KR20180002718 A KR 201800027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ethylene
skin layer
skin
propyle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42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94458B1 (ko
Inventor
호앙 티. 팜
야틴 파틸
Original Assignee
애버리 데니슨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애버리 데니슨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애버리 데니슨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800027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27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44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44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B32B37/15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being manufactured and immediately laminated before reaching its stable state, e.g. in which a layer is extruded and laminated while in semi-molten state
    • B32B37/153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being manufactured and immediately laminated before reaching its stable state, e.g. in which a layer is extruded and laminated while in semi-molten state at least one layer is extruded and immediately laminated while in semi-molten st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6Interconnection of layers permitting easy sepa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07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only containing more than three carbon atoms
    • C08L23/0815Copolymers of ethene with aliphatic 1-olef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2Polypropene
    • C09J7/0232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4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release liners
    • C09J7/403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release liners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release fea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0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 B29C48/0018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combined with shaping by orienting, stretching or shrinking, e.g. film blow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16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 B29C48/18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the components being layers
    • B29C48/21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the components being layers the layers being joined at their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3/00Use of polyalken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23/04Polymers of ethylene
    • B29K2023/06PE, i.e. polyethylene
    • B29K2023/0608PE, i.e. polyethylene characterised by its density
    • B29K2023/0633LDPE, i.e. low density polyeth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3/00Use of polyalken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23/04Polymers of ethylene
    • B29K2023/06PE, i.e. polyethylene
    • B29K2023/0608PE, i.e. polyethylene characterised by its density
    • B29K2023/0641MDPE, i.e. medium density polyeth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3/00Use of polyalken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23/10Polymers of propylene
    • B29K2023/12PP, i.e. polyprop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995/00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 B29K2995/0018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e.g. fluorescent or phosphorescent
    • B29K2995/0026Transpar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995/00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 B29K2995/0037Other properties
    • B29K2995/0063Dens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0012Mechanical treatment, e.g. roughening, deforming, stretching
    • B32B2038/0028Stretching, elong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1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on synthetic resin layer or on natural or synthetic rubber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0Inorganic coating
    • B32B2255/205Metallic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10Inorganic particles
    • B32B2264/105M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70/00Resin or rubber layer containing a blend of at least two different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02Coloured
    • B32B2307/4023Coloured on the layer surface, e.g. in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06Bright, glossy, shiny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2Transpar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4Transluc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14Oriented
    • B32B2307/516Oriented mono-axi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38Rough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Dens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23/00Polyalkenes
    • B32B2323/04Polyeth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23/00Polyalkenes
    • B32B2323/04Polyethylene
    • B32B2323/046LDPE, i.e. low density polyeth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23/00Polyalkenes
    • B32B2323/10Polyprop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19/00Labels, badges
    • C09J2201/606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0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the adhesive being pressure-sensitive, i.e. tacky at temperatures inferior to 30°C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Adhesive Tapes (AREA)

Abstract

라벨스톡 및 다이 컷 접착제 라벨로서 사용하기 위한 종방향 배향된 공압출 다층 필름 구조체가 기재되어 있다. 라벨스톡은 압출된 종방향 배향 다층 필름 및 접착제층을 포함한다. 다층 필름 구조체는 70중량%~약 99.9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필렌 폴리머와 약 0.1중량%~약 20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에틸렌 폴리머, 또는 약 0.1중량%~약 25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필렌 폴리머와 약 75중량%~약 99.9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에틸렌 폴리머를 포함한다. 공압출된 다층 필름은 폴리에틸렌의 용융 온도 부근 또는 그 이상의 온도에서 종방향으로 연신 배향되고, 필요에 따라 접착제층 및 이형 라이너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고광학 특성의 종방향 배향된 라벨 페이스스톡
(관련 출원의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15년 5월 1일에 출원된 미국 가특허출원 제62/155,511호의 이익을 주장하며, 이는 본원에 그 전체가 참조로 원용된다.
본 발명은 순응성, 인쇄성 및 다이 컷팅성이 있는 다층 필름 구조체 및 접착제 라벨 페이스스톡, 및 이러한 다층 필름 구조체, 접착제 라벨 페이스스톡 및 다이 컷 라벨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감압 접착제("PSA")의 층을 후면으로 하여 라벨 또는 표지를 위한 페이스스톡 재료를 제공함으로써 라벨용 감압 접착제 라벨스톡을 제조 및 분배하는 것이 오랜 기간에 걸쳐 알려져 왔으며 이는 일반적으로 이형 라이너 또는 캐리어에 의해 덮여 있다. 라이너 또는 캐리어는 수송 및 보관 중에 접착제를 보호하고, 라벨이 다이 컷팅되어 예를 들면 기재에 적용될 때 개별 라벨이 라벨링 라인 상에 연속적으로 디스펜싱되는 지점까지 매트릭스가 페이스스톡 재료의 층으로부터 벗겨진 후 다수의 개별 라벨의 효율적인 취급을 가능하게 한다. 다이 컷팅으로부터 디스펜싱까지의 시간 동안 이형 라이너 또는 캐리어는 컷팅되지 않은 상태로 남아 있고 그 위에 부착된 다수의 개별 라벨의 보관, 수송, 및 전개를 위해 감기거나 풀릴 수 있다.
기재에의 적용을 위한 이형 라이너 또는 캐리어로부터 라벨을 확실하게 디스펜싱하지 않는 것은 일반적으로 캐리어로부터 디스펜싱(dispensing), 릴리징(releasing), 및 "스탠딩-오프(standing-off)"하는 일 없이 박리 플레이트 주위의 캐리어를 따르는 라벨에 의해 특징지어진다. 이러한 디스펜싱의 실패는 라벨 페이스스톡 재료와 라이너 사이의 과도한 릴리즈 값과 관련이 있다고 생각된다. 또한 디스펜싱 할 수 있음은 페이스스톡의 스티프니스에 의존하며, 여기서 스티프니스가 불충분하면 캐리어로부터 페이스스톡을 디스펜싱하지 못하게 된다. 라벨 스티프니스의 부족으로 인해 디스펜싱하지 못하는 것은 캐리어로부터 기재로 전달되는 디스펜싱 속도로 라벨에 주름이 생기는 것에 의해 특징지어진다. 증가된 라인 속도가 명확한 비용 절감의 이점을 갖기 때문에 높은 라인 속도로 폴리머 필름 라벨을 적용할 수 있는 능력에 라벨링 적용의 또 다른 특별한 필요성이 존재한다.
또한 라벨스톡의 비용 대 성능비를 향상시키기 위해 라벨 필름의 다운 게이징(Down-gauging)이 필요하다. 라벨 필름을 보다 얇게 하는 다운 게이징은 필름의 강도의 저하 및 스티프니스의 저하와 관련이 있다. 필름의 다운 게이징의 단점은 필름의 종방향에 있어서의 강성이 너무 낮아서 라벨의 양호한 디스펜싱을 보장할 수 없다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는 종방향(MD) 및/또는 횡방향(CD)으로 필름을 연신 배향시킴으로써, 또는 보다 높은 탄성 계수 및 그것에 따른 보다 높은 스티프니스를 갖는 재료를 이용함으로써 해결된다.
폴리프로필렌이 비교적 저렴하고 디스펜싱하기에 충분한 스티프니스를 나타내기 때문에 폴리프로필렌, 특히 2축 배향된 폴리프로필렌(BOPP)이 다운 게이징 적용에 잘 이용되었다. 그러나, 통상의 폴리프로필렌은 종방향 및 횡방향 모두에서의 인장 모듈러스값이 비교적 높고 이는 매우 순응성이 없는 라벨이 얻어지고, 윤곽이 형성된 기재의 라벨링을 불충분하게 한다. 또한, 폴리프로필렌은 감압 접착제 라벨 상에 인쇄하는데에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UV계 잉크로 용이하게 인쇄할 수 없다.
비상용성 폴리프로필렌-폴리에틸렌(PP-PE) 블렌드를 포함하는 필름이 사용되는 경우, 얻어지는 필름은 헤이즈가 있어 투명하지 않는 경향이 있다. 또한, PP-PE 필름이 종방향 배향(MDO)되도록 연신되는 경우, 필름의 외면은 연신 배향 공정 후에 상당한 표면 거칠기를 갖는 경향이 있다. 필름 외면의 표면 거칠기는 MD 광택, CD 광택, 헤이즈 및 투명도와 같은 필름의 광학 특성에 큰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이들 PP-PE 블렌딩된 MDO 필름은 필름 광학적 특성이 불량하다. 특히, 필름의 표면 특징이 가시광 파장에 근접하는 높이를 가지면 상기 특징은 광을 산란시키고 필름 광학적 특성을 감소시킬 것이다.
현재의 PP-PE 블렌딩된 MDO 필름은 충분히 투명하지 못하고 상당히 헤이즈가 있다. 필름의 외면에 래커 코팅을 적용함으로써 헤이즈를 감소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탑 코팅은 추가적인 처리 단계 및 비용을 필요로 하고; 이러한 탑 코팅이 있어도 채도와 같은 인쇄 미감이 불충분하다는 것이 관찰되었다. 불충분한 인쇄 미감은 특히 MDO 필름의 표면에 의해 생성된 백그라운드로부터 "팝(pop)"되지 않는 메탈루어 잉크로 인쇄할 때 뚜렷하다.
따라서, 충분한 인쇄 미감을 제공하고 고속 디스펜싱을 위한 충분한 스티프니스를 갖는 고광택의 높은 광학 특성의 투명명한 MDO 필름에 대한 필요성이 있다.
종래 공지의 MDO 라벨스톡과 관련된 난점 및 결점은 본 발명의 다층 MDO 필름 구조체 및 관련 조합 및 방법을 다룬다.
본 발명은 코어층 및 2개의 스킨층을 포함하는 MDO 다층 필름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스킨층은 표면 거칠기가 낮고, 이는 필름 구조체의 광택과 투과율을 증가시키고 또한 구조에 대한 인쇄 표지의 "팝"과 같은 인쇄 미감을 증가시킨다.
일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코어층 및 2개의 스킨층을 포함하는 공압출된 종방향 배향된 다층 필름 구조체를 제공한다. 코어층은 폴리프로필렌과 폴리에틸렌의 혼합물을 포함하고, 제 1 면 및 그 제 1 면에 대향하는 제 2 면을 갖는다. 2개의 스킨층 중 제 1 스킨층은 코어층의 제 1 면 상에 위치되고, 2개의 스킨층 중 제 2 스킨층은 코어층의 제 2 면 상에 위치된다. 2개의 스킨층은 각각 (i) 약 70중량%~약 99.9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필렌 폴리머와 약 0.1중량%~약 30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에틸렌 폴리머, 또는 (ii) 약 0.1중량%~약 25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필렌 폴리머와 약 75중량%~약 99.9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에틸렌 폴리머를 포함한다. 2개의 스킨층은 각각 코어층에 대향하는 노출면을 포함하고, 노출면은 그 노출면 높이의 평균 제곱근 높이에 의해 측정된 평균 표면 거칠기(Sq)가 170나노미터(㎚) 미만이다. 노출면은 60°에서 측정된 광택이 스킨층의 종방향에 있어서 80 광택 단위(GU)를 초과하고 스킨층의 횡방향에 있어서 60GU를 초과한다.
다른 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다층 필름 구조체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약 50중량%~약 95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필렌 호모폴리머 또는 코폴리머 또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필렌 호모폴리머와 적어도 하나의 프로필렌 코폴리머의 블렌드, 및 약 5중량%~약 50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에틸렌 폴리머를 포함하는 제 1 혼합물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약 70중량%~약 99.9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필렌 폴리머와 약 0.1중량%~약 30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에틸렌 폴리머, 또는 약 0.1중량%~약 25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필렌 폴리머와 약 75중량%~약 99.9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에틸렌 폴리머를 포함하는 제 2 혼합물이 제공된다. 제 1 혼합물 및 제 2 혼합물은 제 1 혼합물이 코어층으로서 압출되고 제 2 혼합물이 제 1 스킨층 및 제 2 스킨층으로서 압출되도록 공압출된다. 코어층은 제 1 스킨층과 제 2 스킨층 사이에 위치되어 공압출된 다층 필름을 제공한다. 공압출된 다층 필름은 종방향으로 연신 배향된다.
또 다른 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표면을 규정하는 기재, 및 그 기재의 표면에 부착된 접착제 라벨을 포함하는 조합을 제공한다. 접착제 라벨은 공압출된 종방향 배향 다층 필름 구조체를 포함하고, 이는 코어층, 제 1 스킨층 및 제 2 스킨층, 및 접착제층을 포함한다. 코어층은 제 1 면 및 그 제 1 면에 대향하는 제 2 면을 갖는다. 코어층은 약 50중량%~약 95중량%의 프로필렌 성분과 약 5중량%~약 50중량%의 에틸렌 성분을 포함한다. 제 1 스킨층은 코어층의 제 1 면 상에 위치되고 제 2 스킨층은 코어층의 제 2 면 상에 위치된다. 제 1 스킨층 및 제 2 스킨층은 각각 i) 약 70중량%~약 99.9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필렌 폴리머와 약 0.1중량%~약 30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에틸렌 폴리머, 또는 ii) 약 0.1중량%~약 25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필렌 폴리머와 약 75중량%~약 99.9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에틸렌 폴리머를 포함한다. 접착제층은 제 2 스킨층을 기재의 표면에 부착시킨다. 제 1 스킨층은 코어층에 대향하는 노출면을 포함하고, 노출면은 노출면의 평균 제곱근 높이에 의해 측정된 평균 표면 거칠기(Sq)가 약 약 170나노미터(㎚) 미만이다.
또 다른 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기재를 라벨링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면을 포함하는 기재를 제공하는 단계 및 코어층, 제 1 스킨층 및 제 2 스킨층, 및 접착제층을 포함하는 접착제 라벨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코어층은 제 1 면 및 그 제 1 면에 대향하는 제 2 면을 가지며, 약 50중량%~약 95중량%의 프로필렌 성분과 약 5중량%~약 50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에틸렌 성분을 포함한다. 제 1 스킨층은 코어층의 제 1 면 상에 위치되고 제 2 스킨층은 코어층의 제 2 면 상에 위치된다. 제 1 스킨층 및 제 2 스킨층은 각각 i) 약 70중량%~약 99.9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필렌 폴리머와 약 0.1중량%~약 30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에틸렌 폴리머, 또는 ii) 약 0.1중량%~약 25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필렌 폴리머와 약 75중량%~약 99.9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에틸렌 폴리머를 포함한다. 접착제층은 코어층에 대향하는 제 2 스킨층의 면 상에 있다. 제 1 스킨층은 코어층에 대향하는 노출면을 포함하고, 노출면은 노출면의 평균 제곱근 높이에 의해 측정된 평균 표면 거칠기(Sq)가 약 170나노미터(㎚) 미만이다. 상기 방법은 접착제층을 기재 표면에 접촉시킴으로써 상기 접착제층을 상기 기재 상에 접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해되는 바와 같이, 본원에 기재된 본 발명은 그 외 및 상이한 실시형태를 가능하게 하며 그것의 몇몇 상세는 본 발명의 청구범위로부터 벗어나는 일 없이 다양한 측면에서 변경이 가능하다. 따라서, 도면 및 설명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간주되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이들 및 다른 특징, 양태,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하여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의 이하의 보다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보다 완전히 이해되고 인식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층 필름 구조체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다층 필름 구조체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다층 필름 구조체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킨층의 폴리에틸렌 함량 대 표면 거칠기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킨층의 표면 거칠기 대 헤이스와 투명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스킨층의 표면 거칠기 대 광택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은 공지된 MDO 필름의 광학 조면계로부터의 표면 프로파일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MDO 다층 필름의 광학 조면계로부터의 표면 프로파일이다.
본 발명은 구체적으로는 개선된 순응성, 다이 컷팅성, 인쇄성 및/또는 디스펜싱 능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방향 배향된 공압출 다층 필름을 포뮬레이팅하고 배열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또한 필름은 필름의 표면 거칠기의 감소로 인해 광학 특성이 개선된다. 낮은 표면 거칠기는 스킨층의 특정 포뮬레이션으로부터 기인하고, 또한 이는 래커 코팅 또는 다른 인쇄 수용층 또는 처리와 같은 탑 코트를 요구하는 일 없이 개선된 인쇄 미감을 제공한다.
노출면의 평균 제곱근 높이에 의해 측정된 필름의 평균 표면 거칠기(Sq)가 약 150~170나노미터(㎚)를 초과하는 경우, 필름의 광학 특성이 열화되고 종방향(즉, "MD 광택") 및 횡방향(즉, "CD 광택")에 있어서 측정된 광택이 열화될 뿐만 아니라 필름의 투명도가 감소하고 헤이즈가 높아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노출면의 평균 제곱근 높이에 의해 측정된 평균 표면 거칠기값(Sq)이 약 150~170㎚ 미만인 노출면을 포함하는 탑 코팅되지 않은 광학적으로 투명한 다층 필름 구조체를 포함한다. 다층 필름 구조체는 필름 구조체의 두께를 줄이고 강도를 높이기 위해 종방향 배향되어 고속으로 디스펜싱하는데에 특히 적합하게 한다.
Sq<170㎚인 MDO 다층 필름의 낮은 표면 거칠기는 60°에서 측정된 광택이 필름의 CD 방향(CD 광택)에 있어서 60 광택 단위(GU)를 초과하고, 필름의 MD 방향(MD 광택)에 있어서 80GU를 초과한다. 일실시형태에 있어서, Sq<150㎚인 MDO 다층 필름의 낮은 표면 거칠기는 60°에서 측정된 CD 광택이 70GU를 초과하고 MD 광택이 90GU를 초과한다. 또한 필름의 낮은 표면 거칠기 및 광학 투명도는 Sq<170㎚에서 헤이즈값이 15% 미만이고 또는 Sq<150㎚에서 10% 미만이며 필름 두께 약 50㎛(2mils)에서의 투과율이 90%를 초과한다.
비상용성 PE-PP 블렌드를 특정량 포함하는 스킨층을 사용하여 필름의 표면 거칠기를 조절한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비상용성"은 블렌드 중의 폴리머가 비혼화성이거나, 또는 폴리머들 간의 상호작용의 자유 에너지가 양의 값이어서 완전 균질 블렌딩을 방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비상용성 폴리머의 블렌드는 투명성을 감소시키는 경우가 있다. 스킨층 중의 PE-PP 블렌드량을 조정함으로써 Sq<170㎚, 또는 Sq<150㎚와 같은 낮은 평균 표면 거칠기값을 유지할 수 있다. 일실시형태에 있어서, MDO 다층 필름은 코어층의 양면 상에 2개의 스킨층을 갖는 코어층을 포함한다.
스킨층은 폴리에틸렌과 폴리프로필렌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몇몇 실시형태는 0.1~30중량%(즉, "wt%")의 PE 함량 및 상응하는 70~99.9wt%의 PP 함량을 포함한다. 일양태에 있어서, PE 함량은 0.1~20wt%이며, PP 함량은 80~99.9wt%이다. 몇몇의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PE 함량은 75~99.9wt%이며, 상응하는 PP 함량은 0.1~25wt%이다. 일양태에 있어서, PE 함량은 0.1~15wt%이며 PP 함량은 85~99.9wt%이다. 일실시형태에 있어서, 스킨층은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및 폴리프로필렌(PP)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PE 함량이 0.1~30wt% 또는 0.1~20wt%이거나, 그렇지 않으면 75~99.9wt% 또는 85~99.9wt%인 이들 PE-PP 스킨층 포뮬레이션에 있어서, 높은 필름 광학 특성과 양호한 인쇄 미감과 함께, 스킨층에 대해 170㎚ 미만, 또는 150㎚ 미만의 평균 표면 거칠기(Sq)가 달성된다.
MDO 다층 필름 구조체는 첨부 도면 1~3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일실시형태에 따르면 다층 필름 구조체(1)는 그것의 대향하는 면 상에 배치된 2개의 스킨층(20, 30)을 갖는 코어층(10)을 포함한다. 제 1 스킨층(20)은 코어층(10)의 제 1 면(11) 상에 배치되고 제 2 스킨층(30)은 코어층(10)의 제 2 면(12) 상에 배치된다. 다층 필름 구조체(1)의 제 1 면(100) 상의 제 1 스킨층(20)은 코어층(10)에 대향하는 노출면(21)을 갖는다. 다층 필름 구조체(1)의 제 2 면(200) 상의 제 2 스킨층(30)은 코어층(10)에 대향하는 노출면(31)을 갖는다. 일양태에 있어서, 제 1 스킨층(20)의 노출면(21) 및 제 2 스킨층(30)의 노출면(31)의 표면 거칠기(Sq)는 170㎚ 미만이거나, 150㎚ 미만이거나, 또는 125㎚ 미만이다.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도 2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도 1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코어층(10), 제 1 스킨층(20), 및 제 2 스킨층(30)을 포함한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다층 필름 구조체(2)는 접착제층(50)과 제 2 스킨층(30) 사이에 위치된 타이층(40)을 포함하는 다층 필름 구조체(2)의 제 2 면(200)(즉, 접착제면) 상에 접착제층(50)을 포함한다. 일양태에 있어서, 다층 필름 구조체(2)는 개별 접착제 라벨 또는 라벨스톡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도 3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다층 필름 구조체(3)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코어층(10), 제 1 스킨층(20), 제 2 스킨층(30), 타이층(40), 및 접착제층(50)을 포함한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다층 필름 구조체(3)는 다층 필름 구조체(3)의 제 1 면(100)(즉, "인쇄면") 상의 표지층(70) 및 다층 필름 구조체(3)의 제 2 면(200)(즉, "접착제면")의 접착제층(50)을 덮는 이형 라이너(60)를 더 포함한다.
표시층(70)은 하나 이상의 부분(71, 72)을 포함하고, 제 1 스킨층(20)이 표시층(70)의 부분(71, 72)에 의해 덮이지 않은 노출면(21)을 포함한다. 이해되는 바와 같이, 제 1 스킨층(20)의 노출면(21)은 표시층(70)의 부분(71, 72)이 제 1 스킨층(20)의 노출면(21)의 낮은 표면 거칠기로 인해 높은 콘트라스트 또는 "팝"을 제공할 수 있는 백그라운드를 규정한다.
이형 라이너(60)는 접착제층(50)을 덮고 접착제층을 오염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사용된다. 일양태에 있어서, 다층 필름 구조체(3)는 개별 라벨, 또는 복수의 개별 라벨로 다이 컷팅될 수 있는 라벨스톡을 포함한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코어층(10)과 제 1 스킨층 및 제 2 스킨층(20, 30)은 공압출되어 다층 필름 구조체를 형성한다. 3개의 층(10, 20, 30)은 MDO 다층 필름 구조체의 소망의 두께를 얻기 위해 종방향으로 연신 배향되고, 고속으로 양호한 디스펜싱을 위해 종방향에 있어서 증가된 강도 및 강성을 제공한다.
코어층
코어층은 다층 필름 구조체를 고속 자동화 디스펜싱 공정에서 캐리어/웨브로부터 적절하게 디스펭싱하도록 하기 위해 종방향으로 다층 필름 구조체에 스티프니스 및 강성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된다. 코어층은 제 1 면 및 제 1 면에 대향하는 제 2 면을 갖는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1 스킨층은 코어층의 제 1 면 상에 위치되고 제 2 스킨층은 코어층의 제 2 면 상에 위치된다.
코어층은 필요에 따라 종방향 및/또는 횡방향(즉, 가로)으로 연신 배향될 수 있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코어층은 공압출된 스킨층과 함께 종방향으로만 연신 배향되고 횡방향으로는 연신 배향되지 않는다.
코어층의 조성물은 본 발명에 의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이형 라이너 또는 캐리어 웨브로부터 라벨의 고속 디스펜싱에 요구되는 충분한 강도 및 스티프니스를 제공하도록 연신 배향될 수 있는 임의의 폴리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코어층은 광학적으로 투명하고, 반투명하고, 또는 불투명할 수 있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코어층은 투명하고 프로필렌 폴리머 성분과 에틸렌 폴리머 성분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프로필렌 성분은 하나 이상의 프로필렌 폴리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코어층의 약 50중량%~약 95중량%가 포함될 수 있다. 에틸렌 성분은 하나 이상의 에틸렌 폴리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코어층의 약 5중량%~약 50중량%가 포함될 수 있다.
일실시형태에 있어서, 코어층은 약 35~45중량% 또는 약 40중량%의 프로필렌 호모폴리머, 약 45~55중량% 또는 약 50중량%의 랜덤 코폴리머, 및 약 5~15중량% 또는 약 10중량%의 폴리에틸렌 엘라스토머를 포함하는 혼합물로 제조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코어층은 약 50중량%~95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필렌 호모폴리머나 코폴리머 또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필렌 호모폴리머와 적어도 하나의 프로필렌 코폴리머의 블렌드, 및 약 5중량%~약 50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에틸렌 폴리머를 포함하는 혼합물로 제조된다.
스킨층
다층 필름 구조체는 하나 이상의 스킨층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양태에 있어서, 다층 필름 구조체는 2개의 스킨층―예를 들면 도 1~3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은 코어층의 양면에 있는 것을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스킨층은 MDO 다층 필름 구조체에 포함되어 코어층에 대향하고 평균 표면 거칠기(Sq)가 170㎚ 미만, 또는 150㎚, 또는 125㎚인 노출면(예를 들면, 도 1에 있어서의 노출면(21, 31)을 제공한다. 이와 같이, 스킨층의 노출면은 MDO 다층 필름 구조체에 대해 증가된 광택, 감소된 헤이즈 및 증가된 투명도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그것에 직접 적용되는 표시에 대한 인쇄 미감을 개선시킨다. 구체적으로는 감소된 표면 거칠기를 제공하기 위해 스킨층을 포뮬레이팅함으로써 MDO 다층 필름에 대한 인쇄 미감 또는 표면 광택을 개선시키기 위해 적용될 래커 또는 그 외 인쇄 수용층 또는 처리를 필요없게 한다. 이와 같이,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MDO 다층 필름 구조체는 래커, 추가의 필름층, 인쇄 수용 코팅 등과 같은 탑코트 또는 오버코트가 없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스킨층은 코어층과 공압출된 후 코어층과 함께 종방향으로 연신 배향된다. 연신 배향된 후에도 스킨층은 블렌드 중의 비상용성 PP-PE의 특정 비율 및 조성에 의해 낮은 표면 거칠기를 제공한다. 따라서, 스킨층은 MDO 다층 필름에 대해 보다 우수한 광학 특정 및 개선된 인쇄 미감을 제공한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스킨층은 하나 이상의 프로필렌 폴리머를 포함하는 프로필렌 폴리머 성분과 하나 이상의 에틸렌 폴리머를 포함하는 에틸렌 폴리머 성분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스킨층 중의 에틸렌 함량이 비상용성 PP-PE 블렌드에 대해 약 30~75wt%인 경우, 얻어지는 압출된 MDO 스킨층은 바람직하지 않게는 높은 헤이즈, 열화된 투명도, 및 낮은 MD 및 CD 광택이 나타나는 것이 밝혀졌다.
이와 같이, 일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프로필렌 성분은 약 0.1~25wt% 포함되고, 상응하는 에틸렌 성분은 약 75~99.9wt% 포함된다.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프로필렌 성분은 약 70~99.9wt% 포함되고, 상응하는 에틸렌 성분은 약 0.1~30wt% 포함된다.
일양태에 있어서, 스킨층은 0.1~30wt%의 LLDPE와 70~99.9wt%의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는 혼합물로 제조된다. 다른 양태에 있어서, 상기 층은 75~99.9wt%의 LLPDE와 0.1~25wt%의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는 혼합물로 제조된다.
프로필렌 성분
스킨층 및 코어층에 사용된 프로필렌 성분은 하나 이상의 프로필렌 호모폴리머, 하나 이상의 프로필렌 코폴리머, 및 그것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또는 프로필렌 코폴리머와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는 프로필렌 호모폴리머는 ISO 1133(230℃ 및 2.16kg)에 의해 측정된 약 1~약 20g/10min의 멜트 플로 레이트(MFR)를 갖는 다양한 프로필렌 호모폴리머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프로필렌 호모폴리머의 멜트 플로 레이트는 약 1~약 15g/10min의 범위일 수 있다.
코어층 및 스킨층에 사용되는 프로필렌 호모폴리머는 본 발명에 의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다수의 유용한 프로필렌 호모폴리머는 다양한 제조원으로부터 시판된다. 예를 들면, SABIC PP 500P는 3.1g/10min의 멜트 플로 레이트, 0.905g/㎤의 밀도 및 160℃의 DSC 융점을 갖는 프로필렌 호모폴리머이다. 다른 유용한 프로필렌 호모폴리머는 10.5g/10min의 멜트 플로 레이트, 및 0.905g/㎤의 밀도를 갖는 SABIC PP 520P이다. 다른 유용한 프로필렌 호모폴리머는 10.5g/10min의 멜트 플로 레이트, 0.905g/㎤의 밀도 및 167℃의 DSC 융점을 갖는 SABIC PP 575P이다. 본 발명의 필름에 사용될 수 있는 그 외 시판되는 프로필렌 호모폴리머는 하기 표 1에 나타내어진 것을 포함하며, 이는 사용될 수 있는 적합한 프로필렌 폴리머를 모두 나타낸 것은 아니다.
Figure pct00001
코어층 및 스킨층에 사용되는 프로필렌 코폴리머는 본 발명에 의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4~약 8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알파 올레핀 및 에틸렌으로부터 선택된 약 40중량% 이하의 적어도 하나의 알파 올레핀과 프로필렌의 코폴리머를 포함할 수 있다. 유용한 알파 올레핀의 예는 에틸렌, 1-부텐, 1-펜텐, 4-메틸-1-펜텐, 1-헥센, 1-헵텐, 및 1-옥텐을 포함한다. 일실시형태에 있어서, 프로필렌의 코폴리머는 에틸렌, 1-부텐 또는 1-옥텐과 프로필렌의 코폴리머를 포함한다. 프로필렌-알파 올레핀 코폴리머는 랜덤 코폴리머뿐만 아니라 블록 코폴리머도 포함한다. 코폴리머의 블렌드뿐만 아니라 프로필렌 호모폴리머와 코폴리머의 블렌드도 본 발명의 필름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다.
일실시형태에 있어서, 프로필렌 코폴리머는 에틸렌 함량이 0.2중량~약 20중량%인 프로필렌-에틸렌 코폴리머이다. 프로필렌-1-부텐 코폴리머와 관련하여 약 15중량% 이하의 1-부텐 함량이 유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유용한 프로필렌-1-옥텐 코폴리머는 약 40중량% 이하의 1-옥텐을 함유할 수 있다.
다수의 유용한 프로필렌 코폴리머가 시판되고 이들 중 일부가 하기 표 2에 나타내어진다.
Figure pct00002
또한 그 외 유용한 프로필렌 폴리머는 10g/10min의 멜트 플로 레이트, 0.9g/㎤의 밀도를 갖는 프로필렌의 랜덤 코폴리머인 P5C4K-089X, 또는 12g/10min의 멜트 플로 레이트, 및 0.9g/㎤의 밀도를 갖는 프로필렌의 호모폴리머인 P4G4K-205를 포함하며, 이 둘 모두는 캔자스주 위치토에 소재하는 Flint Hills Resources로부터 입수가능하다.
일실시형태에 있어서, 스킨층을 형성하는데 사용된 혼합물에 함유된 프로필렌 호모폴리머 또는 코폴리머, 그것의 또는 블렌드의 양은 약 0.1~25wt%의 범위일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그것의 블렌드 중의 프로필렌 호모폴리머 또는 코폴리머의 양은 0.1~15wt%의 범위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프로필렌 호모폴리머 또는 코폴리머 또는 그것의 블렌드의 양은 약 70~99.9wt%의 범위일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약 80~99.9wt%의 범위일 수 있다.
일양태에 있어서, 스킨층은 약 70~99.9wt%의 PP 호모폴리머 및 약 0.1~30wt%의 PE 성분을 포함한다. 다른 양태에 있어서, 스킨층은 약 0.1~25wt%의 PP 호모폴리머 및 약 75~99.9wt%의 PE 성분을 포함한다.
일실시형태에 있어서, 코어층을 형성하는데 사용된 혼합물 중에 함유된 프로필렌 호모폴리머 또는 코폴리머, 또는 그것의 블렌드의 양은 약 25~95wt%의 범위일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양은 그것의 블렌드 중의 프로필렌 호모폴리머 또는 코폴리머의 약 30~95wt%, 또는 약 40~95wt%의 범위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프로필렌 호모폴리머 또는 코폴리머 또는 그것의 블렌드의 양은 약 85~95wt%의 범위일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양은 약 88~92wt%의 범위이거나, 또는 약 90w%일 수 있다.
일양태에 있어서, 코어층은 약 40wt%의 PP 호모폴리머, 50wt%의 PP 랜덤 코폴리머, 및 10wt%의 PE 성분을 포함하는 혼합물로부터 제조된다.
에틸렌 성분
본 발명에 사용되는 스킨층 또는 코어층의 제 2 성분은 적어도 하나의 에틸렌 폴리머를 포함한다. 일실시형태에 있어서, 에틸렌 폴리머는 저밀도 폴리에틸렌이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저밀도"는 밀도가 약 0.935g/㎤ 이하인 폴리에틸렌을 포함한다. 밀도가 약 0.850~약 0.935g/㎤인 폴리에틸렌은 일반적으로 이하에 보다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다양한 등급의 저밀도 폴리에틸렌으로 분류된다. 본 발명에 유용한 폴리에틸렌은 약 0.1~약 20g/10min 범위 내의 멜트 플로 레이트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본 발명에 유용한 폴리에틸렌은 약 1~약 10 또는 25g/min의 멜트 플로 레이트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유용한 저밀도 폴리에틸렌의 예는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극저밀도 폴리에틸렌(VLDPE), 초저밀도 폴리에틸렌(ULDPE) 및 단위 부위 촉매에 의해 제조된 VLDPE인 플라스토머이다.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은 에틸렌의 호모폴리머 또는 1-부텐, 1-헥센 및 1-옥텐과 같은 알파 올레핀과 에틸렌의 코폴리머, 또는 비닐 아세테이트, 메틸 아크릴레이트, 또는 에틸 아크릴레이트와 같은 극성 모노머를 포함할 수 있다. LDPE 호모폴리머의 밀도는 약 0.920~약 0.935g/㎤ 범위 내일 수 있다. 일실시형태에 있어서, 에틸렌과 중합된 코모노머의 양은 약 3.5 또는 4중량%를 초과하지 않는다.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은 에틸렌과 알파 올레핀의 코폴리머이다. 3~20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임의의 알파 올레핀이 LLDPE에 대한 코모노머로서 사용될 수 있지만,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4개는 1-부텐, 1-헥센, 4-메틸-1-펜텐, 및 1-옥텐이다. 일실시형태에 있어서, LLDPE는 약 0.915~약 0.925g/㎤ 범위 내의 밀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극저밀도(VLDPE) 및 초저밀도(ULDPE) 폴리머는 4% 미만의 코모노머를 함유할 수 있으며 0.915g/㎤ 미만의 밀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단위 부위 촉매를 사용하여 제조되고 당기술분야에서 플라스토머로 불리는 극저밀도 폴리머는 다량의 코모노머(즉, 25중량% 이하)를 함유하며, 플라스토머는 일반적으로 0.912g/㎤의 밀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이 시판되고 있다. 다수의 LLDPE는 Dex Plastomers로부터 "Stamylex"의 일반 상품명으로 입수가능하다. 예를 들면, Stamylex 1016LF는 1.1g/10min의 멜트 플로 레이트, 약 0.919g/㎤의 밀도 및 123℃의 DSC 융점을 갖는 1-옥텐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이며; Stamylex 1026F는 2.2의 멜트 플로 레이트, 0.919g/㎤의 밀도 및 123℃의 DSC 융점을 갖는 1-옥텐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이며; Stamylex 1046F는 4.4g/10min의 멜트 플로 레이트, 0.919g/㎤의 밀도 및 122℃의 DSC 융점을 갖는 1-옥텐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이며; Stamylex 1066F는 6.6g/10min의 멜트 플로 레이트, 0.919g/㎤의 밀도 및 124℃의 DSC 융점을 갖는 또 다른 1-옥텐 저밀도 폴리에틸렌이다.
또한 유용한 LLDPE는 Borealis A/S(덴마크)로부터 Borstar®의 상품명으로 입수가능하다. 예를 들면, Borstar FB 4230은 0.923g/㎤의 밀도, 124℃의 용융 온도(ISO 11357/03) 및 0.4g/10min(ISO 1133)의 멜트 플로 레이트(190℃/2.16kg)를 갖는 바이모달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필름 등급이며; Borstar FB 2310은 0.931g/㎤의 밀도, 0.2g/10min의 멜트 플로 레이트(190℃/2.16kg) 및 127℃의 용융 온도를 갖는 고분자량 폴리에틸렌 필름 등급이다. Dow Chemical Co.로부터 입수가능한 유용한 LLDPE는 0.930g/㎤의 밀도 및 1g/10min의 멜트 인덱스(ASTM D1238)를 갖는 에틸렌/옥텐-1 코폴리머인 Dowlex 2042E; 0.919g/㎤의 밀도 및 6g/10min의 멜트 인덱스를 갖는 Dowlex 2035G; 및 또 다른 에틸렌/옥텐-1 코폴리머인 Dowlex SC2107를 포함한다. Dow로부터 입수가능한 그 외 유용한 LLDPE는 Dowlex 2036, Dowlex 2517, 및 Dowlex 2247를 포함한다.
유용한 LDPE의 예는 Borealis A/S제 Himod FT 5270이다. 이 재료는 0.927g/㎤의 밀도, 0.75g/10min의 멜트 플로 레이트(190℃/2.16kg) 및 115℃의 용융 온도을 갖는다.
일실시형태에 있어서, 에틸렌 성분은 적어도 하나의 중밀도 또는 고밀도 폴리에틸렌을 포함한다. 중밀도 폴리에틸렌(MDPE)은 일반적으로 약 0.935~0.940g/㎤의 밀도를 갖는다. 용어 "고밀도 폴리에틸렌" 또는 "HDPE"는 약 0.940~약 0.965g/㎤의 밀도를 갖는 폴리에틸렌을 말한다.
본 발명의 필름에 사용될 수 있는 플라스토머는 에틸렌과 알파 올레핀의 극저밀도 코폴리머 및 터폴리머이고, 이들 플라스토머는 0.912g/㎤의 밀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들 코폴리머는 일반적으로 약 2~약 30% 또는 약 5~약 25%의 알파 올레핀을 포함한다. 상술한 알파 올레핀은 1-부텐, 1-펜텐, 1-헥센, 1-헵텐, 1-옥텐, 1-데센 및 1-도데센을 포함한다. 특히 유용한 알파 올레핀은 1-부텐 및 1-헥센을 포함한다. 에틸렌 터폴리머의 예는 에틸렌-1-헥센-1-부텐이다. 이들 저밀도 에틸렌 코폴리머는 단일 부위 메탈로센 촉매를 사용하여 에틸렌과 알파 올레핀의 공중합에 의해 얻어진다. 이러한 코폴리머는 Exxon Mobil Chemical Company, Basell, 및 Dow Chemical Company로부터 시판되고 있다.
유용한 에틸렌 플라스토머의 예는 Exxon-Mobil Chemical Co.로부터 입수가능한 EXACT 시리즈 플라스토머를 포함하고, 이는 약 0.905g/㎤의 밀도 및 약 4.5g/10min의 멜트 인덱스를 갖는 EXACT 3024와 같은 선형 에틸렌-부텐 코폴리머; 약 0.900g/㎤의 밀도 및 약 3.5g/10min의 멜트 인덱스를 갖는 EXACT 3027; 약 0.888g/㎤의 밀도 및 약 2.2g/10min의 멜트 인덱스를 갖는 EXACT 4011; 약 0.873g/㎤의 밀도 및 약 4.5g/10min의 멜트 인덱스를 갖는 EXACT 4049; 및 약 0.895g/㎤의 밀도 및 약 3.5g/10min의 멜트 인덱스를 갖는 EXACT 4150과 같은 에틸렌-헥센 코폴리머를 포함한다.
Dow Chemical Co.에 의해 Affinity의 상품명으로 시판되고 있는 에틸렌 플라스토머도 본 발명에 채용될 수 있다. 이들 플라스토머는 미국특허 제5,272,236호에 따라 제조된다고 여겨지고, 이것의 교시는 그 전체가 본원에 참조로 원용된다. 에틸렌 플라스토머는 에틸렌과 적어도 하나의 C3-C20 알파 올레핀 및/또는 C2-C20 아세틸렌성 불포화 모노머 및/또는 C4-C18 알파 올레핀의 인터폴리머를 포함한다.
이들 에틸렌 플라스토머의 예는 약 0.897g/㎤의 밀도 및 약 0.5g/10min의 멜트 플로 인덱스를 갖는 Affinity PF 1140; 약 0.90g/㎤의 밀도 및 약 1g/10min의 멜트 인덱스를 갖는 Affinity PF 1146; 약 0.902g/㎤의 밀도 및 약 1.0g/10min의 멜트 인덱스를 갖는 Affinity PL 1880; 약 0.87g/㎤의 밀도 및 약 1g/10min의 멜트 인덱스를 갖는 Affinity EG 8100; 약 0.868g/㎤의 밀도 및 약 0.5g/10min의 멜트 인덱스를 갖는 Affinity EG 8150; 약 0.87g/㎤의 밀도 및 약 5g/10min의 멜트 인덱스를 갖는 Affinity EG 8200; 및 약 0.87g/㎤의 밀도 및 약 5g/10min의 멜트 인덱스를 갖는 Affinity KC 8552를 포함한다.
터폴리머의 예는 Exxon제의 Exact 3006(0.910g/㎤의 밀도 및 1.2g/10min의 M.F.I.를 갖는 에틸렌-부텐-헥센 터폴리머); Exact 3016(0.910g/㎤의 밀도 및 4.5g/10min의 M.F.I.를 갖는 에틸렌-부텐-헥센 터폴리머); Exact 3033(0.900g/㎤(g/cc)의 밀도 및 1.2g/10min(g/10')의 M.F.I.를 갖는 에틸렌-부텐-헥센 터폴리머); Exact 3034(0.900g/㎤(g/cc) 및 3.5g/10min(g/10')의 M.F.I.를 갖는 에틸렌-부텐-헥센 터폴리머); Dow Affinity PL 1840(에틸렌-프로필렌-부틸렌 터폴리머); Dow Affinity PL 1845(에틸렌-프로필렌-부틸렌 터폴리머); Dow Affinity PL 1850(에틸렌-프로필렌-부틸렌 터폴리머); 및 Exxon Mobil ZCE 2005(에틸렌-프로필렌-부틸렌 터폴리머)이다.
일실시형태에 있어서, 에틸렌 성분은 ISO 1133에 의해 측정된 멜트 플로우 레이트가 약 0.1~약 20의 범위 내이고 보다 많은 경우에는 약 1~약 10의 범위 내인 폴리에틸렌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폴리에틸렌과 프로필렌 호모폴리머 또는 코폴리머는 200℃~240℃의 온도 및 압출기에서 거의 동일한 전단 속도의 압출 조건에서 거의 동일한 점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킨층을 형성하는데 사용되는 혼합물 중에 포함된 폴리에틸렌의 양은 약 0.1~30wt%의 범위일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양은 폴리에틸렌의 약 0.1~25wt%의 범위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폴리에틸렌 또는 그것의 블렌드의 양은 약 70~99.9wt%의 범위일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양은 약 75~99.9wt%의 범위일 수 있다.
일양태에 있어서, 스킨층은 약 0.1~30wt%의 LLDPE 및 약 70~99.9wt%의 PP 성분을 포함한다. 다른 양태에 있어서, 스킨층은 약 75~99.9wt%의 LLDPE 및 약 0.1~25wt%의 PP 성분을 포함한다.
일실시형태에 있어서, 스킨층은 약 0.915~약 0.925g/㎤ 범위 내의 밀도를 갖는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약 0.920~약 0.935g/㎤ 범위 내의 밀도를 갖는 저밀도 폴리에틸렌, 약 0.935~0.940g/㎤ 범위 내의 밀도를 갖는 중밀도 폴리에틸렌, 및 약 0.940~0.965g/㎤ 범위 내의 밀도를 갖는 고밀도 폴리에틸렌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에틸렌 폴리머를 포함한다. 일양태에 있어서, 스킨층 중의 적어도 하나의 에틸렌 폴리머는 에틸렌 코폴리머이며, 여기서 상기 에틸렌 코폴리머는 에틸렌-부텐 코폴리머, 에틸렌-헥센 코폴리머, 에틸렌-옥텐 코폴리머, 또는 그것의 둘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하며 약 0.915~0.925g/㎤의 밀도를 갖는다.
일실시형태에 있어서, 코어층을 형성하는데 사용된 혼합물 중에 함유된 폴리에틸렌의 양은 약 5~75wt%의 범위일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양은 폴리에틸렌의 약 5~70wt% 또는 약 5~60wt%의 범위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의 양은 약 5~15wt%의 범위일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양은 약 8~12wt%의 범위일 수 있거나, 또는 10wt%일 수 있다.
일양태에 있어서, 코어층은 약 10wt% PE 엘라스토머 및 약 90wt% PP 성분을 포함한다.
일실시형태에 있어서, 코어층에 사용되는 프로필렌 폴리머는 스킨층(들)에 사용되는 프로필렌 폴리머와 동일하고,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다수의 층 중의 프로필렌 폴리머는 상이하다. 마찬가지로, 일실시형태에 있어서 코어층에 사용되는 폴리에틸렌은 스킨층(들)에 사용되는 폴리에틸렌과 동일할 수 있거나, 또는 코어층에 사용되는 폴리에틸렌은 스킨층(들)에 사용되는 폴리에틸렌과 상이할 수 있다. 상이한 폴리에틸렌이 코어층의 혼합물 및 스킨층(들)의 혼합물에 사용되는 경우, 다층 필름의 배향에 이용되는 연신 온도는 적어도 저융점 폴리에틸렌의 용융 온도이다.
다층 필름에 유용한 것으로서 상술한 임의의 프로필렌 폴리머 및 에틸렌 폴리머는 다층 필름의 코어층과 스킨층 또는 스킨층에 사용될 수 있다.
첨가제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종향방 배향된 다층 구조는 스킨층 또는 코어층 중 어느 하나를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혼합물 중에 다양한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다. 유용한 첨가제는 예를 들면, 조핵제, 안티블로킹제, 가공 조제, 및 충전제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스킨층은 안티블로킹제를 포함하여 와인드업 시에 필름이 블로킹되는 경향을 줄이고, 이는 다층 필름의 슬립성 및 대전방지성을 조절하고 릴로부터의 스무스한 언와인딩을 가능하게 한다. 폴리머 필름, 특히 올레핀 폴리머 필름의 특성을 변화시키는 유용한 첨가제로서 종래 기술분야에 있어서 개시된 임의의 안티블로킹제는 본 발명의 필름 포뮬레이션에 포함될 수 있다.
평균 입자 크기가 약 2미크론 이하인 실리카가 이러한 목적으로 이용될 수 있고, 소량(예를 들면, 500~5000ppm)의 미세 실리카가 사용될 수 있다. 합성 실리카를 베이스로 하는 여러가지 안티블로킹제는 오하이오주 애크런에 소재하는 A. Schulman, Inc.,로부터 상품명 Polybatch®의 일반 상품명으로 입수가능하다. 이들 재료는 안티블로킹 마스터배치이며 프로필렌 호모폴리머 또는 코폴리머 및 합성 실리카를 포함하는 자유 유동성 펠릿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Polybatch ABPP-05는 프로필렌 호모폴리머 중에 5%의 합성 실리카를 포함하고; ABPP-10는 프로필렌 호모폴리머 중에 10%의 합성 실리카를 포함하고; ABPP-05SC는 5%의 합성 실리카 및 랜덤 프로필렌 코폴리머를 포함한다. 안티블로킹제가 본 발명의 다층 필름의 제조에 사용되는 경우, 몇몇 실시형태는 스킨층 포뮬레이션에만 안티블로킹제를 포함한다. 유용한 안티블로킹제는 Ampacet사의 Seablock 1 and Seablock 4이다.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필름 조성물은 적어도 하나의 가공 조제를 함유해도 좋다. 상기 가공 조제는 압출을 용이하게 하도록 한다. 이들 가공 조제는 헥사플루오로카본 폴리머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시판의 가공 조제의 예는 헥사플루오로카본 폴리머로서 확인된 Ampacet Corporation의 제품인 Ampacet 10919이다. 유용한 가공 조제의 다른 예는 Ampacet 401198이다. 상기 가공 조제는 일반적으로 약 1.5중량% 이하 또는 약 0.5중량~약 1.2중량%의 농도로 사용된다.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가공 조제는 약 0.25중량% 이하의 양으로 존재하고, 일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약 0.03중량%~약 0.15중량%의 양으로 존재한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된 필름 조성물은 다양한 필름층의 특성을 개질시키기 위해 다른 첨가제 및 미립자 충전제를 함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착색제는 TiO2, CaCO3 등과 같은 필름층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TiO2가 소량 존재하면 백색의 페이스스톡이 생긴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특히 다층 필름이 투명한 것이 요구되는 경우, 필름층은 불활성 미립자 충전재를 포함하지 않지만 극소량의 미립자 충전재가 불순물 등으로 인해 필름층에 존재할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용여 "포함하지 않는다"란 필름이 미립자 충전재를 약 0.1중량% 미만으로 함유하고 미립자 충전제가 의도적으로 첨가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미립자 충전제를 포함하는 않는 필름은 투명한 필름을 제조하고자 할 때 특히 유용하며 낮은 헤이즈, 예를 들면 15% 미만, 10% 미만, 또는 6% 미만의 헤이즈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헤이즈 또는 투명도는 당기술분야에 공지된 BYK-Gardner 헤이즈-광택 측정계를 사용하여 결정된다.
다층 필름 형성
다층 필름은 당업자에 의해 공지된 수단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유용한 다층 필름은 코어층 및 2개의 스킨층이 공압출되어 다층 필름 구조체를 형성하는 압출 기술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또는, 다층 필름 구조체는 당기술분야에 공지되 바와 같이 미리 형성된 층을 함께 적층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몇몇 실시혀태에 있어서, 다층 필름은 120℃~약 290℃ 또는 약 150℃~약 260℃의 온도에서 공압출에 의해 형성된다. 다층 필름을 제조하기 위한 유용한 방법은 230℃에서의 공압출이다. 공압출된 다층 필름은 상술한 방식 및 조건 하에서 종방향으로 배향될 수 있다. 즉, 다층 필름의 연신 배향은 코어 및 스킨층(들)에 있어서의 폴리에틸렌(들)의 용융 온도 부근 또는 그 이상의 온도에서 행해질 수 있다. 다층 필름에 하나보다 많은 종류의 폴리에틸렌이 포함되면 필름은 최대 융점 폴리에틸렌 이상의 온도에서 연신 배향될 수 있다. 그 후, 연신 배향된 다층 필름을 어닐링하거나 열 고정시킬 수 있다.
설명한 바와 같은 공압출된 MDO 다층 필름에 있어서, 코어층은 50~99wt%의 프로필렌 폴리머를 함유하고, 이러한 코어층은 보다 적은 양의 폴리프로필렌이 사용되는 경우에 얻어지는 것보다 더 높은 스티프니스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일실시형태에 있어서, 코어층과 스킨층(들) 사이에 접착성 타이층을 필요로 하는 일 없이 코어층과 스킨층(들)의 충분한 접착력이 달성된다.
MDO 다층 필름의 두께는 약 0.5mils(12.7㎛)~약 3~5mils(76.2~127㎛)의 범위일 수 있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다층 필름 구조체의 두께는 약 2~3mils(50.8~76.2㎛)이다.
이러한 MDO 다운 게이징된 필름은 고속 디스펜싱 시에 다이 컷팅/디스펜싱이 가능하며 윤관이 형성된 기재에 적용될 때 순응가능한 필름을 제공하기 위해 바람직한 스티프니스 및 탄성률값을 나타내는 것이 밝혀졌다. 일실시형태에 있어서, 필름은 종방향으로만 연신 배항된다.
일실시형태에 있어서, 코어층은 다층 필름 구조체의 두께의 약 60~95%를 구성하고 2개의 스킨층은 각각 다층 필름 구조체의 두깨의 약 2.5%~약 20%, 또는 약 7.5% 까지를 포함한다. 일양태에 있어서, 스킨층은 각각 다층 필름 구조체의 두께의 약 5%를 포함한다. 2개의 스킨층의 두께는 같거나 다를 수 있다. 일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1 스킨층과 코어층과 제 2 스킨층의 두께 비율은 약 20:60:20 또는 7.5:85:7.5~약 2.5:95:2.5의 범위일 수 있거나 약 5:90:5일 수 있다. 다른 양태에 있어서, 2개의 스킨층의 합계 두께에 대한 코어층의 두께의 비는 약 60:40 또는 85:15~약 95:5 또는 약 90:10이다.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코어층의 두께는 스킨층의 개별 또는 합계 두께의 합의 약 1.5~10배 이상이다.
소정 실시형태에 있어서, 타이층은 스킨층과 코어층 사이에 존재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타이층은 코어층과 제 1 스킨층 사이에 존재할 수 있고 또한 코어층과 제 2 스킨층 사이에 있을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코어층과 제 1 스킨층 사이의 타이층의 조성물은 코어층과 제 2 스킨층 사이의 타이층의 조성물과 동일할 수 있으며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이들 타이층의 조성물이 동일할 수 있다. 타이층의 조성물은 0.915g/㎤ 미만의 밀도를 갖는 하나 이상의 올레핀 플라스토머 또는 엘라스토머 및 관능화된 올레핀 코폴리머를 포함하는 스킨층, 코어층, 및 추가 재료로부터의 재료들의 블렌드이다. 관능화 올레핀 코폴리머는 예를 들면,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VA) 또는 말레산 무수물 관능화 올레핀일 수 있지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타이층은 스킨층 재료와 코어층 재료의 블렌드의 약 75중량%~약 90중량%를 0.915g/㎤ 미만의 밀도를 갖는 하나 이상의 올레핀 플라스토머 또는 엘라스토머 및 관능화 올레핀 코폴리머를 포함하는 블렌드의 약 10중량%~약 25중량%와 조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스킨층 재료와 코어층 재료의 블렌드는 상응하는 코어층과 동일한 조성을 갖는 재료를 50%~100% 함유할 수 있고 스킨층 재료의 조성과 동일한 재료를 50%까지 함유할 수 있다. 제 1 스킨층이 제 2 스킨층의 조성과 다른 조성을 갖는 실시형태에 있어서, 타이층 재료에 블렌딩된 스킨층 재료의 조성물은 이러한 스킨층 재료가 타이층 재료에 포함되는 한, 인접한 스킨층에 상응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사용된 다층 필름은 종방향으로 배향될 수 있다. 일실시형태에 있어서, 종방향 배향된 다층 필름은 코어층과 2개의 스킨층을 공압출한 후, 적어도 2:1의 연신비(즉, 연신 전의 길이에 대한 연신 후의 다층 필름의 길이)로 종방향으로 다층 필름을 고온 연신함으로써 얻어진다.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필름은 적어도 약 3:1, 또는 적어도 5:1, 또는 적어도 6:1, 적어도 7:1, 최대 약 9:1 또는 10:1의 비율로 고온 연신된다. 일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필름은 6:1~약 9:1의 비율로 고온 연신된다.
본 발명의 하나의 특징은 고온 연신이 코어층 또는 스킨층을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에틸렌 폴리머 성분의 용융 온도로부터 코어층 또는 스킨층을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프로필렌 폴리머 성분의 용융 온도까지의 범위 내의 온도에서 행해진다는 것이다. 본원에 사용된 "용융 온도"란 폴리머의 DSC 융점(DIN 53765)을 말한다. 고온 연신이 폴리에틸렌 성분의 융점 부근 또는 그 이상 및 폴리프로필렌 성분의 융점 미만에서 행해지는 경우, 개선된 다이 컷팅성 및 인쇄성이 얻어진다는 것이 밝혀졌다. 따라서, 통상의 연신 온도는 사용되는 특정 폴리에틸렌에 따라 약 115℃~145℃의 범위일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약 125℃ 또는 그 이상의 연신 온도가 사용된다. 또한 이러한 고온에서의 연신은 일반적으로 낮은 수축 필름(예를 들면, 70℃에서 2% 미만의 수축률)을 초래한다.
일실시형태에 있어서, 연신 배향된 후에 MDO 다층 필름은 MDO 연신 필름을 어닐링 또는 열 고정시키는 가열 어닐링 롤을 통과한다. 열 고정 또는 어닐링 조작 후, MDO 다층 필름은 냉각 롤을 통과하여 연신 및 열 고정 조작을 완료한다. 열 고정 단계에서 사용되는 온도(연신 단계와 마찬가지로)는 블렌드에 사용되는 특정 폴러머에 따라 다르며, 이들 온도는 약 100℃~약 150℃의 범위일 수 있다. 고온 연신 및 열 고정 단계에서 사용되는 온도는 거의 동일할 수 있지만, 어떤 경우에 있어서는 열 고정 시의 온도가 고온 연신에 사용되는 온도보다 낮다. 일실시형태에 있어서, 어닐링 롤의 온도는 약 100℃~약 140℃일 수 있고,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어닐링 온도는 약 110℃~약 135℃의 범위일 수 있다.
일실시형태에 있어서, 공압출된 MDO 다층 필름은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폴리머의 몇몇 혼합물, 코어층에 대한 하나의 혼합물 또는 스킨층에 대한 하나 또는 2개의 혼합물을 용융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이어서 다양한 용융 폴리머 혼합물이 공압출 다이를 통한 동시 압출에 의해 공압출되고 다수의 층은 영구적으로 결합된 상태로 서로 접착되어 다층 필름 구조체를 형성한다.
이어서, 캐스트 다층 필름 구조체는 냉각될 수 있고 풀 오프 롤러(pull-off roller)에 의해 본원에 기재된 연신비로 종방향으로 필름을 연신 배향시킴으로써 다층 필름 구조체의 스티프니스가 증가되는 고온 연신 스테이션으로 진출할 수 있다. 종방향에 있어서의 다층 필름 구조체의 스티프니스는 그것으로부터 제조된 라벨일 보다 높은 라인 속도로 적절히 디스펜싱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종방향으로의 연신은 필름의 MD 인장 탄성률을 증가시키고, 이는 치수 안정성 및 양호한 인쇄 레지스트레이션에 기여한다. 또한, 필름 혼합물 중의 폴리에틸렌 성분의 용융 온도 부근 또는 그 이상의 온도에서의 연신은 다층 필름의 다이 컷팅성 및 인쇄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연신 후, 다층 필름은 다층 필름이 어닐링 또는 열 고정되는 어닐링 롤러를 통과하고, 최종적으로 다층 필름은 냉각 롤러를 통과하여 고온 연신 조작을 완료한다. 다층 필름은 롤 형태로 권취된다.
본 발명의 비교적 얇은 MDO 다층 필름의 특징 중 하나는 종방향에 있어서의 박막의 스티프니스가 이형 라이너 또는 캐리어로부터의 고속 디스펜싱과 같은 개선된 특성을 제공하기에 충분히 높고, 횡방향에 있어서의 스티프니스가 윤곽이 형성된 기재에의 적용 시에 순응하는 다이 컷 라벨을 제공하기에 충분히 낮다는 것이다.
일실시형태에 있어서, 필름의 MD 스티프니스는 적어도 20mN이고,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MD 스티프니스는 적어도 25, 또는 적어도 28 또는 적어도 30 또는 35mN이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술한 필름의 횡방향에 있어서의 스티프니스는 종방향보다 매우 작다. 따라서, 예를 들면 일실시형태에 있어서, MD 스티프니스는 CD 스티프니스의 적어도 2~3배이다.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MD 스티프니스는 CD 스티프니스의 약 3~약 5배이다.
MDO 다층 필름의 스티프니스는 L&W 굴곡 저항 시험기(시험 방법: ISO 2493)를 사용하여 결정된다. 일반적으로, TAPPI T543PM-84에 의해 측정된 걸리 스티프니스(Gurley stiffness)와 밀리뉴턴(mN)의 L&W 스티프니스 간의 관계는 L&W=1.75×Gurley와 같다.
라벨스톡 및 개별 다이 컷 라벨로서 본 발명의 다층 구조를 사용하는 이점 중 하나는 당기술분야에서 현재 사용되고 있는 다수의 라벨보다 더 얇은 유용한 라벨이 제조될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두께가 25~75미크론(1~3mils) 또는 약 45~약 65미크론인 다층 필름 구조체를 포함하는 라벨스톡 및 라벨이 고속 디스펜싱에 유용하다는 것이 밝혀졌다.
또한 본 개시의 페이스스톡 및 라벨에 유용한 필름은 CD보다 MD에 있어서의 모듈러스가 더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실시형태에 있어서, MD에 있어서의 필름의 모듈러스는 약 2500MPa 이상일 수 있고, CD에 있어서의 모듈러스는 400 또는 500MPa 정도로 낮다.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MD 모듈러스는 CD 모듈러스의 적어도 3.5 또는 적어도 4배이다. 탄성률은 Zwick Z010을 사용하여 ISO 527-1에 따라 측정한 영률(Young's Modulus)이다.
본원에 기재된 MDO 다층 필름은 라벨스톡 및 개별 라벨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고, 또한 낮은 수축률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실시형태에 있어서, MDO 다층 필름의 수축률은 70℃에서 3% 미만 또는 2% 미만이다. 일실시형태에 있어서, MDO 다층 필름은 23℃ 및 50% 상대 습도에서 MDO 다층 필름을 컨디셔닝한 후 70℃에서 1% 미만의 수축률을 나타내고, 70℃에서 2분간 액침하기 전후의 필름의 길이를 측정하고, 다음의 식에 의해 수축률을 계산했다.
(액침 전의 길이-액침 후의 길이/원래의 길이)
MDO 다층 필름, 및 MDO 다층 필름을 사용하는 라벨스톡 및 개별 라벨은 개선된 인쇄성 및 인쇄 미감, 특히 감압 라벨을 인쇄하기 위해 가장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UV계 잉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개선은 다이 컷팅성, 수축률 등과 같은 다른 바람직한 특성을 저하시키는 일 없이 달성되며, 탑코트 또는 인쇄 수용층의 사용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접착제층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접착제층은 접착제 물품을 제조하기 위해 MDO 다층 필름의 한쪽 면에 적용될 수 있다. 접착제 물품은 개별 라벨, 또는 개별 라벨을 형성하기 위해 다이 컷팅될 수 있는 라벨스톡일 수 있다. 예시적인 접착제 물품(예를 들면, 라벨 또는 라벨스톡)은 도 2~3에 나타내어지고, 여기서 접착제층(50)은 다층 필름 구조체의 제 2 면(200)에 적용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이층(40)은 접착제층(50)과 제 2 스킨층(30) 사이에 위치한다. 타이층(40)은 접착제층(50)을 다층 필름 구조체에 접착하는 것을 돕고 그것으로부터의 분리를 방지한다. 그러나, 타이층(40)이 필요로 되지 않으며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 물품은 접착제층과 제 2 스킨층(30) 사이에 타이층을 갖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일실시형태에 있어서, 도 3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접착제 물품은 접착제층(50)을 덮는 이형 라이너(60)를 가질 수 있다.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사용되는 접착제층(50)은 타이층(40) 상에 직접 코팅될 수 있거나(도 2~3), 타이층이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제 2 스킨층(30)의 노출면 상에 직접 코팅될 수 있다. 또는, 접착제는 코어층(10) 및 2개의 스킨층(20, 30)이 이후에 결합되는 이형 라이너(60)에 먼저 도포될 수 있다. 이형 라이너(60)가 제거되면, 접착제층(50)은 이형 라이너(60)로부터 타이층(40)으로 또는 타이층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는 제 2 스킨층으로 전사된다.
일반적으로, 접착제층은 약 0.4~약 1.6mils(10~약 40미크론)의 두께를 갖지만 다른 두께 또는 코팅 중량으로 존재할 수 있다. ,
다층 필름 구조체의 접착제층(60)에 사용되는 접착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라벨스톡에 사용하기 위해 당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이용가능한 하나 이상의 접착제를 포함할 수 있다. 접착제는 다양한 감압 접착제, 건식 접착제, 접촉 접착제, 핫 멜트 접착제, 반응성 접착제, 또는 그것의 조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형태에 있어서, 접착제는 감압 접착제(PSA)를 포함한다. 상기 PSA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폴리머 또는 코폴리머를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아크릴 및 메타크릴 에스테르 호모폴리머 또는 코폴리머, 부틸 고무계 시스템, 실리콘, 니트릴, 스티렌 블록 코폴리머,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우레탄, 비닐 에스테르 및 아미드, 올레핀 코폴리머 재료, 천연 또는 합성 고무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우레탄 접착제, 고무 접착제 등과 같은 다른 접착제가 사용될 수 있다.
일양태에 있어서, 다층 MDO 필름 구조체는 하부 접착제층을 기재에 가압함으로써 기재에 간단히 적용될 수 있는 감압 접착제 라벨을 포함한다.
접착제는 다층 MDO 필름 구조체를 기재에 충분히 접착시킬 수 있는 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일실시형태에 있어서, 사용되는 접착제는 MDO 다층 필름 구조체의 가요성을 유지하도록 하는 가요성 접착제이다.
일부 적용에 있어서, 접착제는 인몰드(in-mold) 라벨 적용에 사용되는 열 활성화 접착제 또는 핫 멜트 접착제일 수 있으며, 이 경우에 감압 접착제를 사용할 때 요구되는 이형 라이너는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일실시형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접착제 라벨을 제조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다이 컷팅 및 인쇄가 가능한 접착제 라벨스톡에 관한 것이다. 본원에 기재된 다층 MDO 필름은 본 발명의 라벨스톡 및 라벨에 있어서 페이스스톡 필름으로서 사용된다. 라벨스톡은 일반적으로 페이스스톡, 및 접착제층으로서 종방향 배향된 다층 필름을 포함한다. 접착제층은 일반적으로 직접 또는 타이층의 사용을 통해 다층 필름 구조체와 접촉하여 접착력있게 결합된다. 보호 이형 라이너가 접착제층의 노출면에 부착될 수 있다.
일실시형태에 있어서, 코어층 및 스킨층은 다층 구조의 제 2 면(200)에 접착력있게 결합되는 접착제층 및/또는 타이층과 접촉하기 전에 종방향 배향된다.
일실시형태에 있어서, 접착제 라벨스톡은 다이 컷팅되어 개별 접착제 라벨을 형성하고, 이는 고속 라벨 디스펜싱 공정에서 용기 등을 라벨링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형 라이너
MDO 다층 필름은 필요에 따라 소망의 이형 라이너를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이형 라이너 또는 캐리어는 다층 필름 구조체에 적용하기 위한 접착제의 층으로 코팅될 수 있다. 다층 MDO 필름이 라이너 또는 캐리어와 결합될 때, 접착제는 다층 MDO 필름과 결합되어 접착제 물품을 만들어낸다. 그 후에, 라이너 또는 캐리어가 제거되어 MDO 다층 필름 구조체의 제 2 면에 영구적으로 결합된 채로 남아 있는 접착제가 노출된다. 또는, 접착제는 이형 라이너 또는 캐리어 웨브와 구조를 결합하기 전에 다층 필름 구조체 상에 직접 코팅될 수 있다.
이형 라이너는 오염 물질에 조기 노출되거나 또는 의도하기 전에 기재에 부착되는 것으로부터 접착제층을 보호하기 위해 접착제층을 덮도록 도포된 단층 또는 다층 필름 재료일 수 있다.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일실시형태에 있어서, 이형 라이너(60)는 다층 필름 구조체(3)를 기재에 부착하기 위해 사용된 접착제층(50)을 덮는다. 이형 라이너는 접착제층을 노출시키기 위해 다층 필름 구조체로부터 제거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접착제층은 기재와 접촉하여 배치되고 그것에 부착될 수 있다.
이형 라이너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접착제층을 열화시키거나 손상시키는 일 없고 또한 다층 필름 구조체와 기재의 결합을 억제하는 일 없이 접착제층에도포되고 접착제층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는 임의의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이형 라이너는 접착제층과의 결합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실리콘 또는 테플론 코팅과 같은 하나 이상의 첨가제 또는 코팅제를 포함하여 이형 라이너의 특정 속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대표적인 라이너 재료는 슈퍼캘린더링 크라프트지, 글라신, 클레이 코팅 크라프트지, 머신 마무리 크라프트지, 롤지(machine glazed paper), 2축 배향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 폴리프로필렌 필름, 폴리에틸렌 필름,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 폴리에스테르, 아크릴, 나일론, 셀룰로오스 유도체, 부틸렌; 이소부틸렌; 고밀도, 중밀도, 저밀도 및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에틸렌 아크릴산; 에틸렌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렌 부틸 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 코폴리머; 및 내충격성 에틸렌/프로필렌 코폴리머 및 그것의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MDO 다층 필름 구조체는 예를 들면, 다층 필름 구조체의 인쇄면(100) 상의 표시(71, 72)와 같은 하나 이상의 부분을 포함하는 표시층(70)(예를 들면, 인쇄층)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스킨층의 낮은 표면 거칠기에 의해 표시(71, 72)는 제 1 스킨층(20)의 노출면(21)에 대해 높은 콘트라스트로 나타난다.
표시(71, 72)는 디지털 인쇄, 스크린 인쇄, 스프레잉, 딥 코팅, 더스팅, 정전 코팅, 증착, 커튼 코팅, 바 코팅, 나이프 코팅, 또는 당기술분야에 공지된 임의의 다른 코팅 또는 인쇄 수단 및 그것의 조합을 포함하는 임의의 적절한 코팅 또는 인쇄 기술에 의해 적용될 수 있다.
표시(71, 72)를 포함하는 표시층(70)을 형성하는데 사용되는 재료는 본 발명에 의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안료, 염료, 금속(예를 들면, 금속 플레이크 또는 무기 안료)를 포함하는 UV 경화성 코팅, 잉크, 페인트 등, 또는 라벨스톡에 유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 다른 코팅 또는 인쇄 재료, 및 그것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형태에 있어서, 표시층은 진공 증착 또는 다른 기술에 의해 생성될 수 있는 금속화 층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MDO 다층 필름 구조체를 포함하는 인쇄되고 다이 컷팅된 라벨은 다양한 기재, 예를 들면 용기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기재는 표면에 요철 또는 윤곽을 가지기 쉬운 유리병 또는 단단한 물품과 같은 단단한 기재를 포함할 수 있으므로 국부적인 표면 함몰부를 브리징하는 일 없이 표면에 밀착(순응)하고 가요성 있는 라벨을 필요로 한다. 또는, 기재는 용기가 구부러질 때에 순응하는 라벨을 필요로 하는 플라스틱 용기와 같은 연질의 가요성 기재일 수 있다.
본원에 기재된 다층 종방향 배향된 필름 구조체의 하나의 중요한 이점은 개선된 다이 컷팅성이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MDO 다층 필름 구조체로부터 개별 라벨을 다이 컷팅하는 것은 보다 낮은 다이 컷팅 압력으로 달성된 컷 라벨 엣지를 따라 매트릭스로부터 라벨의 완전한 분리와 함께 날카롭고 뚜렷한 컷을 제공한다는 것이 관찰되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층 MDO 필름을 컷팅할 때 컷팅 도구는 날카롭지 않아도 좋다. 라벨과 주변 매트릭스 사이의 다이 컷 둘레가 깨끗하지 못하면 매트릭스가 종방향 또는 횡방향으로 파단되어 이형 라이너에 라벨이 남을 수 있다. 이 결함은 이중 라벨 또는 라벨+매트릭스 스트립(들)을 기재에 적용함으로써 디스펜싱 조작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방법 및 조합
본 발명은 다층 필름 구조체를 제조하기 위한 공정을 포함한다. 상기 공정 및 방법은 코어층을 압출하기 위한 제 1 혼합물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 1 혼합물은 본원에 기재된 약 50중량%~95중량%의 프로필렌 성분, 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의 프로필렌 호모폴리머 또는 코폴리머 또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필렌 호모폴리머와 적어도 하나의 프로필렌 코폴리머의 블렌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1 혼합물은 본원에 기재된 약 5중량%~약 50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에틸렌 성분, 예를 들면 에틸렌 호모폴리머 또는 코폴리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스킨층을 압출하기 위한 제 2 혼합물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 2 혼합물은 본원에 기재된 약 70중량%~99.9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필렌 폴리머와 본원에 기재된 약 0.1중량%~30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에틸렌 폴리머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제 2 혼합물은 약 0.1중량%~약 25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필렌 폴리머와 약 75중량%~약 99.9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에틸렌 폴리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제 1 혼합물이 코어층으로서 압출되고 제 2 혼합물이 제 1 스킨층 및 제 2 스킨층으로서 압출되도록 제 1 혼합물 및 제 2 혼합물을 공압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공압출은 코어층이 제 1 스킨층과 제 2 스킨층 사이에 위치하여 공압출된 다층 필름을 제공하도록 행해진다. 상기 방법은 공압출된 다층 필름을 종방향으로 연신 배향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표면을 규정하는 기재, 및 그 기재의 표면에 부착된 접착제 라벨을 포함하는 조합을 포함한다. 접착제 라벨은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이 코어층, 및 제 1 스킨층과 제 2 스킨층을 포함하는 공압출된 종방향 배향 다층 필름 구조체를 포함한다. 제 1 스킨층은 코어층의 제 1 면 상에 위치되고 제 2 스킨층은 코어층의 제 2 면 상에 위치된다. 접착제층은 제 2 스킨층을 기재 표면에 부착시킨다. 제 1 스킨층, 및 필요에 따라 제 2 스킨층은 코어층에 대향하는 노출면을 포함한다. 노출면은 노출면의 평균 제곱근 높이에 의해 측정된 평균 표면 거칠기(Sq)가 약 170나노미터(㎚) 미만이거나, 또는 약 150㎚ 미만이다.
기재는 관련 재료를 수용하기 위한 내부를 규정하는 중공체를 포함하는 용기를 포함할 수 있다. 중공체는 단단하거나 유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중공체는 그 중공체를 스퀴징함으로써 내부로부터 재료를 디스펜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표면을 포함하는 기재를 제공하는 단계 및 라벨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재의 라벨링 방법을 포함한다. 라벨은 코어층, 2개의 스킨층, 및 접착제층을 포함하는 본원에 기재된 MDO 다층 필름 구조체일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접착제층을 기재 표면에 접촉시켜 접착제층을 기재에 부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본원에 기재된 MDO 다층 필름 구조체를 포함하는 라벨 또는 라벨스톡에 표시를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방법은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이 이형 라이너 및 타이층을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
표 3~6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에 사용된 종방향 배향된 다층 필름의 제조에 유용한 몇몇 조성물을 나타낸다. 하기 실시예, 청구범위 및 기재된 명세서의 다른 부분에서 특별히 언급되지 않는 모든 부 및 백분율은 중량 기준이며, 온도는 섭씨 온도이고 압력은 대기압 또는 그 부근이다.
표 3~6에 있어서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종방향 배향된 다층 필름 구조체의 제조를 나타낸다. 다층 필름은 공압출, 연신 배향, 어닐링 온도, 및 특정된 연신비를 이용하여 본원에 기재된 일반적인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된다.
표 3 및 실시예 1~6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인쇄면 및 접착면 스킨층의 몇가지 포뮬레이션이 제조되었다. 상기 포뮬레이션은 각각의 실시예에 있어서 50wt%의 프로필렌 랜덤 코폴리머, 40wt%의 프로필렌 호모폴리머, 및 10wt%의 에틸렌-옥텐 코폴리머를 포함하는 코어층의 양면에 공압출되었다. 다수의 층은 공압출에 의해 제조되었고 5.6:1의 비 및 약 2mils의 두께로 종방향으로 연신 배향되었다. 모든 실시예에 있어서, 스킨층은 탑 코팅되지 않았으며, 즉 광택에 영향을 미치는 래커 또는 그것에 도포되는 그 외 코팅을 갖지 않는다.
Figure pct00003
표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및 6은 동일한 포뮬레이션 및 구조를 가지며 본 발명의 스킨층에 대한 비교예를 나타낸다. 실시예 1~6의 다층 MDO 필름은 투과율, 헤이즈 및 투명도에 대해 평가했으며; 인쇄면 및 접착면 스킨층은 MD 광택 및 CD 광택에 대해 평가했다. 그 결과는 하기 표 4에 나타내어진다.
Figure pct00004
상기 표 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2~5는 실시예 1 및 6과 비교했을 때 감소된 헤이즈 및 증가된 광택을 나타냈다.
하기 표 5 및 실시예 7~21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몇몇 추가의 포뮬레이션이 제조되었다. 실시예 7~21은 MDO 다층 필름의 인쇄면 및 접착면 스킨층 모두에 사용되었다. 포뮬레이션은 각각의 실시예에 있어서 50wt%의 프로필렌의 랜덤 코폴리머, 40wt%의 프로필렌 호모폴리머, 및 10wt%의 에틸렌-옥텐 코폴리머를 포함하는 코어층의 양면에 공압출되었다. 층들은 공압출에 의해 제조되었고 5.6:1의 비율 및 약 2mils의 두께로 종방향으로 연신 배향되었다. 모든 실시예에 있어서, 스킨층은 탑코팅되지 않았으며, 즉 래커 또는 그 외 광택을 향상시키는 코팅제가 도포되지 않았다.
Figure pct00005
실시예 7~21의 다층 MDO 필름은 투과율, 헤이즈, 및 투명도에 대해 평가되었으며; 인쇄면 및 접착면 스킨층을 MD 광택 및 CD 광택에 대해 평가되었다. 또한, 인쇄면 표면 거칠기가 평가되었다. 그 결과는 하기 표 6에 나타내어진다.
Figure pct00006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70wt% 및 50wt%의 폴리에틸렌을 각각 포함하는 실시예 9 및 10은 80wt% 초과의 폴리에틸렌(즉, 실시예 11~21) 또는 20wt% 미만의 폴리에틸렌(즉, 0wt%의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실시예 7)을 포함하는 다른 실시예와 비교했을 때 현저한 표면 거칠기를 나타냈다.
도 4는 표 6에 포함된 데이터로부터 작성된 그래프이고, 인쇄면 스킨층 중의 에틸렌 성분의 wt%에 대한 표면 거칠기(Sq)(㎚)를 나타낸다. 도 4의 좌우 2개의 박스 안의 영역에 위치하는 대부분의 실시예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스킨층 중의 에틸렌 함량이 약 75wt% 초과 또는 30wt% 미만인 경우, 표면 거칠기(Sq)는 약 170㎚ 초과, 또는 약 150㎚ 미만이다. 도 4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데이터를 가지고 회귀분석이 행해질 때, 곡선은 대략 R2=0.7337의 분산을 갖는 데이터에 일치한다.
도 5는 표 6에 포함된 데이터로부터 작성된 그래프이고 인쇄면 스킨층의 표면 거칠기(Sq)(㎚) 및 필름의 투명도에 대한 MDO 다층 필름의 헤이즈를 나타낸다. 도 5의 하부 박스 안의 대부분의 실시예에서 알 수 있는 바아 같이, 표면 거칠기(Sq)가 약 170㎚ 미만이면 헤이즈(원으로 표시)는 약 15% 미만이고, 상기 Sq<150㎚이면 사이즈는 10% 미만이다. 또한, 상부 박스 안의 대부분의 실시예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Sq<170㎚일 때, 투명도(사각형으로 표시)는 약 85%를 초과한다. 회귀분석을 행할 때, 곡선은 약 R2=0.933의 분산을 갖는 헤이즈의 데이터 포인트에 일치한다.
도 6은 상기 표 6에 포함된 데이터로부터 작성된 그래프이고, 인쇄면 스킨층의 표면 거칠기(Sq)(㎚)에 대한 MDO 다층 필름의 60°에서 측정된 광택을 나타낸다. 종방향(MD)에 있어서의 광택은 삼각형으로 표시되고, 횡방향(CD)에 있어서의 광택은 다이아몬드로 표시된다. 도 6의 박스 안의 대부분의 실시예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표면 거칠기(Sq)가 약 170㎚ 미만이면 MD 광택은 약 80 광택 단위(GU)를 초과하고 CD 광택은 약 60GU를 초과하며, 표면 거칠기가 약 150㎚ 미만이면 MD 광택은 약 90GU를 초과하고 CD 광택은 약 70GU를 초과한다.
추가적인 평가에 있어서, 종래의 탑 코팅되지 않은 MDO 다층 필름은 광학 조면계를 사용하여 제조되고 평가되었고,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본 발명의 탑 코팅되지 않은 MDO 다층 필름과 비교했다. 2개의 다층 필름은 본원에 통상적으로 기재된 종방향으로의 연신 배향 및 공압출에 의해 제조되었다.
도 7은 종래의 탑 코팅되지 않은 MDO 다층 필름의 광학 조면계로부터의 표면 프로파일이다. 도 7의 우측에 있는 범례의 해시 박스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필름은 높이가 약 -0.80㎛~+0.60㎛(즉, 약 1400㎚ 범위)의 범위인 표면 특징을 갖는다. 도 8은 도 7과 동일한 배율로 본 발명의 탑 코팅되지 않은 MDO 다층 필름의 광학 조면계로부터의 표면 프로파일이다. 도 8의 우측의 범례에 있는 해시 박스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필름은 높이가 도 7의 종래의 MDO 필름의 표면 특징보다 작은 -0.25㎛~+0.25㎛(즉, 약 500㎚ 범위)의 범위인 표면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이 그것의 실시형태에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명세서를 읽음으로써 당업자에게 그것의 다양한 변경이 명확해질 것이라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따라서, 본원에 기재된 발명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그러한 변경을 포함하도록 의도된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이 기술의 향후 적용 및 개발로부터 많은 다른 이점들이 명확해질 것이다.
본원에 언급된 모든 특허, 출원, 기준, 및 물품은 그 전체가 참조로 본원에 원용된다.
본 발명은 본원에 기재된 특징 및 양태의 모든 조작가능한 조합을 포함한다. 따라서, 예를 들면 하나의 특징이 일실시형태와 관련하여 설명되고 다른 특징이 다른 실시형태와 관련하여 설명된다면 본 발명은 이들 특징들의 조합을 갖는 실시형태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본원에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전의 전략, 시스템 및/또는 장치와 관련된 많은 문제점을 해결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본질을 설명하기 위해 본원에 설명되고 도시된 구성요소의 상세, 재료 및 배치 형태에 있어서, 첨부된 청구범위에 표현되는 바와 같은 청구된 발명의 원리 및 범위로부터 벗어나는 일 없이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Claims (50)

  1. 폴리프로필렌과 폴리에틸렌의 혼합물을 포함하고, 제 1 면 및 그 제 1 면에 대향하는 제 2 면을 갖는 코어층;
    상기 코어층의 제 1 면 상에 위치된 제 1 스킨층 및 상기 코어층의 제 2 면 상에 위치된 제 2 스킨층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필렌 폴리머와 적어도 하나의 에틸렌 폴리머를 포함하는 상기 각각의 스킨층을 포함하는 공압출된 종방향 배향 다층 필름 구조체로서:
    상기 2개의 스킨층은 상기 코어층에 대향하는 표면을 갖고;
    상기 코어층에 대향하는 상기 스킨층 표면은 (i) 상기 코어층에 대향하는 상기 표면의 평균 제곱근 높이에 의해 측정된 평균 표면 거칠기(Sq)가 약 170나노미터(㎚) 미만이고 (ii) 60°에서 측정된 광택이 상기 스킨층의 종방향에 있어서 80 광택 단위(GU)를 초과하고 상기 스킨층의 횡방향에 있어서 60GU를 초과하는 공압출된 종방향 배향 다층 필름 구조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킨층 및 제 2 스킨층 중 적어도 하나는 약 70중량%~약 99.9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필렌 폴리머 및 약 0.1중량%~약 30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에틸렌 폴리머를 포함하는 필름 구조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킨층 및 제 2 스킨층 중 적어도 하나는 약 0.1중량%~약 25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필렌 폴리머 및 약 75중량%~약 99.9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에틸렌 폴리머를 포함하는 필름 구조체.
  4. 제 3 항에 있어서,
    두께 약 50㎛(2mils)에서 15% 미만의 헤이즈를 갖는 다층 필름 구조체.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두께 약 50㎛(2mils)에서 90% 초과의 투과율을 갖는 다층 필름 구조체.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층은 약 50중량%~약 95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필렌 호모폴리머 또는 코폴리머, 또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필렌 호모폴리머와 적어도 하나의 프로필렌 코폴리머의 블렌드, 및 약 5중량%~약 50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에틸렌 폴리머를 포함하는 다층 필름 구조체.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킨층과 상기 코어층과 상기 제 2 스킨층의 두께 비율은 약 20:60:20~약 2.5:95:2.5인 다층 필름 구조체.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킨층 중의 적어도 하나의 에틸렌 폴리머는 약 0.915~약 0.925g/㎤ 범위 내의 밀도를 갖는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약 0.920~약 0.935g/㎤ 범위 내의 밀도를 갖는 저밀도 폴리에틸렌, 및 약 0.935~약 0.940g/㎤ 범위 내의 밀도를 갖는 중밀도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다층 필름 구조체.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킨층 중의 적어도 하나의 에틸렌 폴리머는 에틸렌 코폴리머인 다층 필름 구조체.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 코폴리머는 에틸렌-부텐 코폴리머, 에틸렌-헥센 코폴리머, 에틸렌-옥텐 코폴리머, 및 그것의 둘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다층 필름 구조체.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킨층 중의 적어도 하나의 에틸렌 폴리머는 약 0.915~약 0.925g/㎤의 밀도를 갖는 다층 필름 구조체.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킨층 중의 적어도 하나의 에틸렌 폴리머는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인 다층 필름 구조체.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킨층 중의 에틸렌 폴리머는 에틸렌과 1-옥텐의 코폴리머인 다층 필름 구조체.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킨층 중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필렌 폴리머는 프로필렌 호모폴리머인 다층 필름 구조체.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킨층 중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필렌 폴리머는 4~약 8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알파 올레핀 및 에틸렌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알파 올레핀과 프로필렌의 코폴리머인 다층 필름 구조체.
  16. 제 1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스킨층의 상기 코어층에 대향하는 표면 상에 위치되는 접착제층을 더 포함하는 다층 필름 구조체.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층은 감압 접착제인 다층 필름 구조체.
  18. 제 16 항 또는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층과 상기 제 2 스킨층 사이에 위치된 타이층을 더 포함하는 다층 필름 구조체.
  19. 제 16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층의 노출면을 덮는 이형 라이너를 더 포함하는 다층 필름 구조체.
  20. 제 1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킨층의 상기 코어층에 대향하는 표면 상에 인쇄층을 더 포함하는 다층 필름 구조체.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층은 금속 플레이크를 함유하는 다층 필름 구조체.
  22. 제 1 항 내지 제 2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L&W 종방향의 스티프니스가 적어도 약 20mN인 다층 필름 구조체.
  23. 제 1 항 내지 제 2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L&W 종방향의 스티프니스가 적어도 약 28mN인 다층 필름 구조체.
  24. 제 1 항 내지 제 2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층은 상기 코어층과, 상기 제 1 스킨층 및 제 2 스킨층 중 적어도 하나 사이에 배치된 다층 필름 구조체.
  25. 약 50중량%~약 95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필렌 호모폴리머 또는 코폴리머, 또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필렌 호모폴리머와 적어도 하나의 프로필렌 코폴리머의 블렌드 및 약 5중량%~약 50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에틸렌 폴리머를 포함하는 제 1 혼합물을 제공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프로필렌 폴리머 및 적어도 하나의 에틸렌 폴리머를 포함하는 제 2 혼합물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 1 혼합물이 코어층으로서 압출되고 상기 제 2 혼합물이 제 1 스킨층 및 제 2 스킨층으로서 압출되고, 상기 코어층은 상기 제 1 스킨층 및 제 2 스킨층 사이에 위치되어 공압출된 다층 필름을 제공하도록 상기 제 1 혼합물 및 제 2 혼합물을 공압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층 필름 구조체의 제조 방법.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공압출된 다층 필름을 종방향으로 연신 배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7. 제 25 항 또는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킨층 및 제 2 스킨층 중 적어도 하나는 약 70중량%~약 99.9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필렌 폴리머 및 약 0.1중량%~약 30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에틸렌 폴리머를 포함하는 필름 구조체.
  28. 제 25 항 또는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킨층과 제 2 스킨층 중 적어도 하나는 약 0.1중량%~약 25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필렌 폴리머 및 약 75중량%~약 99.9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에틸렌 폴리머를 포함하는 필름 구조체.
  29. 제 25 항 내지 제 2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층 필름 구조체는 두께 약 50㎛(2mils)에서 90% 초과의 투과율을 갖는 방법.
  30. 제 25 항 내지 제 2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층 필름 구조체는 두께 약 50㎛(2mils)에서 15% 미만의 헤이즈를 갖는 방법.
  31. 제 25 항 내지 제 2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스킨층은 60°에서 측정된 광택이 종방향에 있어서 80 광택 단위(GU)를 초과하고 횡방향에 있어서 60GU를 초과하는 방법.
  32. 제 25 항 내지 제 3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스킨층의 합계 두께에 대한 코어층의 두께의 비는 약 60:40~약 95:5인 방법.
  33. 제 25 항 내지 제 3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혼합물 중의 적어도 하나의 에틸렌 폴리머는 약 0.915~약 0.925g/㎤ 범위 내의 밀도를 갖는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약 0.920~약 0.935g/㎤ 범위 내의 밀도를 갖는 저밀도 폴리에틸렌, 및 약 0.935~약 0.940g/㎤ 범위 내의 밀도를 갖는 중밀도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34.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혼합물 중의 적어도 하나의 에틸렌 폴리머는 에틸렌 코폴리머인 방법.
  35.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 코폴리머는 에틸렌-부텐 코폴리머, 에틸렌-헥센 코폴리머, 에틸렌-옥텐 코폴리머, 및 그것의 둘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36. 제 25 항 내지 제 3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혼합물 중의 적어도 하나의 에틸렌 폴리머는 약 0.915~약 0.925g/㎤의 밀도를 갖는 방법.
  37. 제 25 항 내지 제 3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혼합물 중의 적어도 하나의 에틸렌 폴리머는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인 방법.
  38. 제 25 항 내지 제 3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혼합물 중의 에틸렌 폴리머는 에틸렌과 1-옥텐의 코폴리머인 방법.
  39. 제 25 항 내지 제 3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혼합물 중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필렌 폴리머는 프로필렌 호모폴리머인 방법.
  40. 제 25 항 내지 제 3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혼합물 중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필렌 폴리머는 4~약 8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알파 올레핀 및 에틸렌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알파 올레핀과 프로필렌의 코폴리머인 방법.
  41. 제 25 항 내지 제 4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층에 대향하는 상기 제 2 스킨층의 면에 접착제층을 적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42. 제 4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층은 감압 접착제를 포함하는 방법.
  43. 제 41 항 또는 제 4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층과 상기 제 2 스킨층 사이에 타이층을 적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44. 제 41 항 내지 제 4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층의 노출면에 이형 라이너를 적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45. 제 25 항 내지 제 4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층에 대향하는 상기 제 1 스킨층의 면 상에 인쇄층을 적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46. 제 45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층은 금속화된 인쇄층을 포함하는 방법.
  47. 제 26 항 내지 제 4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압출된 다층 필름은 약 6:1~약 10:1의 연신비로 종방향으로 연신 배향되는 방법.
  48.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은 약 0.915~약 0.925g/㎤의 밀도를 갖는 방법.
  49. 제 25 항에 있어서,
    제 1 타이층은 상기 제 1 스킨층과 상기 코어층 사이에서 공압출되고, 제 2 타이층은 상기 제 2 스킨층과 상기 코어층 사이에서 공압출되는 방법.
  50. 제 25 항 내지 제 4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층 필름 구조체를 다이 컷팅하여 개별 접착제 라벨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KR1020177034282A 2015-05-01 2016-04-29 고광학 특성의 종방향 배향된 라벨 페이스스톡 KR1024944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562155511P 2015-05-01 2015-05-01
US62/155,511 2015-05-01
PCT/US2016/030006 WO2016178965A1 (en) 2015-05-01 2016-04-29 High optics machine direction oriented label facestoc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2718A true KR20180002718A (ko) 2018-01-08
KR102494458B1 KR102494458B1 (ko) 2023-02-01

Family

ID=560815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4282A KR102494458B1 (ko) 2015-05-01 2016-04-29 고광학 특성의 종방향 배향된 라벨 페이스스톡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10155364B2 (ko)
EP (1) EP3288761B1 (ko)
JP (1) JP6868569B2 (ko)
KR (1) KR102494458B1 (ko)
CN (1) CN107635766B (ko)
AU (1) AU2016257688B2 (ko)
BR (1) BR112017023564B1 (ko)
CA (1) CA2984332A1 (ko)
CL (1) CL2017002751A1 (ko)
CO (1) CO2017011543A2 (ko)
MX (1) MX2017013999A (ko)
WO (1) WO201617896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302973B1 (en) * 2015-06-05 2020-02-26 UPM Raflatac Oy Adhesive label, facestock for an adhesive label and adhesive label laminate
CN111470167B (zh) * 2020-04-26 2022-04-19 江西彭彩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的拉丝膜贴标烫金包装袋
CN117157353A (zh) * 2021-04-20 2023-12-01 日本三尼帕克株式会社 聚乙烯系树脂组合物和聚乙烯系树脂包装材料
DE102021114949A1 (de) 2021-06-10 2022-12-15 Rkw Se Digitaldruckfolie
CN117567948A (zh) * 2023-11-16 2024-02-20 江苏耐斯数码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热塑性弹性体压敏胶车贴及其制备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92889A (ja) * 2004-12-14 2006-07-27 Toray Ind Inc 二軸配向白色ポリプロピレン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感熱転写記録用受容シート
US20090130360A1 (en) * 2006-06-14 2009-05-21 Sebastiaan Bernardus Damman Conformable and die-cuttable machine direction oriented labelstocks and labels, and process for preparing
JP2009543941A (ja) * 2006-07-17 2009-12-10 エイベリィ デニスン コーポレイション 非対称の多層高分子フィルム、並びにラベルストック及びそのラベル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72236A (en) 1991-10-15 1993-12-21 The Dow Chemical Company Elastic substantially linear olefin polymers
DE4210969A1 (de) * 1992-04-02 1993-10-07 Hoechst Ag Seidenmatte, biaxial orientierte Polyolefin-Mehrschichtfoli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BR9612569A (pt) 1996-03-21 1999-12-28 Sengewald Verpackungen Gmbh Folha de várias camadas, processo para a sua preparação e sua aplicação
US6197419B1 (en) 1997-09-19 2001-03-06 3M Innovative Properties Co. Blended adhesives and articles incorporating the same
US6245857B1 (en) 1999-02-22 2001-06-12 Fina Technology, Inc. Compositions useful for tough, high crystallinity films
US7318961B2 (en) 2001-07-19 2008-01-15 Lankhorst Indutech B.V. Polyolefin film, tape or yarn
US20030041962A1 (en) * 2001-09-05 2003-03-06 John R. Johnson Digitally printed products and process
EP1724379B1 (en) 2001-11-06 2008-01-02 Dow Gloval Technologies Inc. Isotactic propylene homopolymer fibers and use
GB0216768D0 (en) 2002-07-19 2002-08-28 Ugb S A Polymeric film
DE602006016160D1 (de) 2005-11-15 2010-09-23 Dow Global Technologies Inc Orientierte, mehrlagige schrumpfetiketten
WO2010103191A1 (en) 2009-03-13 2010-09-16 Upm Raflatac Oy Machine direction oriented film for labels
EP2716449B1 (en) 2011-06-02 2016-06-29 Idemitsu Kosan Co., Ltd Multilayer elastic film
CN104145298B (zh) 2011-09-07 2017-07-28 金达胶片美国有限责任公司 金属化膜、压敏标签结构及制备它们的方法
CN104661815A (zh) * 2012-07-17 2015-05-27 Upm拉弗拉塔克公司 标签面材
JP6211088B2 (ja) 2012-10-09 2017-10-11 ダウ グローバル テクノロジーズ エルエルシー シーラント組成物
CA2802732A1 (en) 2013-01-18 2014-07-18 Nova Chemicals Corporation Improved multilayer blown film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92889A (ja) * 2004-12-14 2006-07-27 Toray Ind Inc 二軸配向白色ポリプロピレン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感熱転写記録用受容シート
US20090130360A1 (en) * 2006-06-14 2009-05-21 Sebastiaan Bernardus Damman Conformable and die-cuttable machine direction oriented labelstocks and labels, and process for preparing
JP2009543941A (ja) * 2006-07-17 2009-12-10 エイベリィ デニスン コーポレイション 非対称の多層高分子フィルム、並びにラベルストック及びそのラベ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635766B (zh) 2020-08-14
JP2018516781A (ja) 2018-06-28
AU2016257688B2 (en) 2020-04-02
CO2017011543A2 (es) 2018-03-28
WO2016178965A1 (en) 2016-11-10
KR102494458B1 (ko) 2023-02-01
CL2017002751A1 (es) 2018-05-11
JP6868569B2 (ja) 2021-05-12
EP3288761B1 (en) 2021-06-30
AU2016257688A1 (en) 2017-11-16
EP3288761A1 (en) 2018-03-07
BR112017023564A2 (pt) 2018-07-24
US10155364B2 (en) 2018-12-18
US20160318288A1 (en) 2016-11-03
BR112017023564B1 (pt) 2023-01-24
CA2984332A1 (en) 2016-11-10
CN107635766A (zh) 2018-01-26
MX2017013999A (es) 2018-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94458B1 (ko) 고광학 특성의 종방향 배향된 라벨 페이스스톡
EP2355979B1 (en) Multilayer shrink films, labels made therefrom and use thereof
EP2134545B1 (en) Films for label facestock
EP2578395A1 (en) Multilayer label film construction for pressure sensitive labels
WO2007085283A1 (en) Transparent, stiff and printable polypropylene blown films
AU2007270031B2 (en) Protective adhesive films
MXPA02005888A (es) Composiciones a base de polipropileno y peliculas y etiquetas formadas a partir de ellas.
CA2449161A1 (en) Film having an improved sealability and adherence
US20060222796A1 (en) Structure comprising metallized film and ethylene copolymer
JP2010173222A (ja) インモールド成形用ラベル
TWI600739B (zh) Self-adhesive surface protection film
US20150273803A1 (en) Heat-shrinkable film
CA2779638A1 (en) Multi-layer opaque films, articles including such films, and uses thereof
JP4529100B2 (ja) 表面保護フィルム
JP2002370328A (ja) 共押出多層フィルム
BRPI0713491A2 (pt) método para produção de camadas delgadas de um silicone, e silicone delgado
CN107073911B (zh) 超高阻隔金属化膜
CN109890882B (zh) 薄膜、卷绕体及粘合带
EP3442789A1 (en) Improved, solid-white films for pressure-sensitive labels
US20190225001A1 (en) Coated, metallized films
JP4761489B2 (ja) 表面保護用積層フィルム
JP4287978B2 (ja) プリントラミネート用フィルム
MXPA00012266A (es) Pelicula termoplastica multicapa y metodo de cortar signos utilizandol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