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2129A - Method and device for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in mmWave communication systems with distributed antennas - Google Patents

Method and device for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in mmWave communication systems with distributed antenna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2129A
KR20180002129A KR1020160081097A KR20160081097A KR20180002129A KR 20180002129 A KR20180002129 A KR 20180002129A KR 1020160081097 A KR1020160081097 A KR 1020160081097A KR 20160081097 A KR20160081097 A KR 20160081097A KR 20180002129 A KR20180002129 A KR 201800021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lte
transmitted
terminal
antenn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109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효진
김영석
김성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600810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2129A/en
Publication of KR201800021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212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14Three-dimensional division
    • H04L5/0023Time-frequency-sp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04B7/0417Feedback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for beam form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new time-frequency resource utilization structure and a new reference signal transmission method for utilizing beamforming when OFDM is used in a very high frequency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ing a frequency band of several tens of GHz. Also, a time-frequency structure and a reference signal design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utilized to provide an efficient network structure for capacity and space utilization, and a base station equipment installation method therefor.

Description

초고주파 이동통신 시스템의 분산 안테나를 통한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장치{Method and device for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in mmWave communication systems with distributed antennas}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through a distributed antenna in a microwav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본 실시예들은 초고주파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분산 안테나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embodiments are directed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using a distributed antenna in a very high frequency mobile communication system.

28GHz 등의 높은 주파수 밴드에서는 신호의 감쇄 정도가 커져 각각 다수의 antenna element를 가지는 다수의 안테나 배열을 사용하여 빔포밍(beam forming) 기술을 적용해야 한다. 빔포밍 기술은 특정 방향으로 신호를 집중 전송하여 해당 방향에서 보다 강한 신호를 수신 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초고주파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각각 다수의 antenna element를 가지는 다수의 안테나 배열을 사용하는 경우에 상기 다수의 안테나 배열이 함께 사용되어 하나의 공간 영역에 대한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경우를 지원할 뿐만 아니라 다수의 안테나 배열을 분산 배치하여 여러 공간 영역에 대한 하향링크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경우도 지원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따르는 단말은 기지국이 상기 본 발명에서 지원하는 상황을 구분할 수 있도록 하는 채널 피드백 정보를 생성하고 보고하는 동작을 수행한다.In the high frequency band of 28 GHz or the like, the degree of attenuation of the signal becomes large, and a beam forming technique should be applied using a plurality of antenna arrays each having a plurality of antenna elements. The beamforming technique allows a signal to be concentratedly transmitted in a specific direction to receive a stronger signal in the corresponding direction. In the microwav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plurality of antenna arrays each having a plurality of antenna elements are used, the plurality of antenna arrays are used together to support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for one spatial domain,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support the case of performing downlink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with respect to various spatial areas. To this end,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an operation of generating and reporting channel feedback information that enables a base station to distinguish a situation supported by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LTE/LTE-A 시스템에서 시간 및 주파수 자원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LTE에서 사용하는 시간-주파수 파라미터들을 자세히 나타낸다.
도 3은 TDD로 동작하는 LTE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PSS/SSS의 위치를 나타낸다.
도 4는 LTE/LTE-A 시스템에서 하향링크로 스케줄링을 할 수 있는 최소 단위인 1 subframe 및 1 RB의 무선자원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LTE/LTE-A 시스템에서 하향링크로 스케줄링을 할 수 있는 최소 단위인 1 subframe 및 1 RB의 무선자원에서 각 영역 및 신호의 사용 방법을 나타낸다.
도 6은 특정 서브프레임에서 M개의 단말이 PDSCH 스케줄링을 확인한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예시로 각각 15kHz x N의 서브케리어 간격에 대한 시간-주파수 자원 및 해당 시스템 파라미터들을 나타낸다.
도 8은 초고주파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빔을 형성하여 신호를 전송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안테나 구조를 나타낸다.
도 9는 기지국 별로 안테나 배열을 1개, 2개 또는 4개 가지는 경우에 안테나 포트와 antenna element (AE) 사이의 매핑을 나타낸다.
도 10은 특정 기지국에서 K 서브프레임마다 한번씩 발생하는 각 Timing and Beam acquisition (TBA) 서브프레임 내에서 14개의 서로 다른 빔을 PSS/SSS에 적용하고 서로 다른 빔을 적용한 PSS/SSS가 하나의 서브프레임 내에서 서로 다른 OFDM 심볼에 분배되어 전송되는 상황을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TBA 서브프레임에서 전송되는 신호들의 기능과 관련 구조를 보다 자세히 나타낸 것이다.
도 12는 BRRS를 추가로 전송하는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도 13은 CSI-RS가 전송될 수 있는 자원의 위치의 예를 나타낸다.
도 14와 15는 각각 4와 8 안테나 포트로 운용되는 기지국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16은 Distributed MIMO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7은 D-MIMO에서 BRS 전송을 나타낸 것이다.
도 18은 D-MIMO의 경우에 기지국이 전송하는 BRRS의 포트 매핑 방법을 나타낸다.
도 19는 D-MIMO의 경우에 기지국의 CSI-RS 전송 방법을 나타낸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MIMO 기지국 동작을 나타낸다.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기지국의 장치도를 나타낸다.
도 22는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기지국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3은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Figure 1 shows time and frequency resources in an LTE / LTE-A system.
Figure 2 details the time-frequency parameters used in LTE.
3 shows the location of a PSS / SSS used in an LTE system operating in TDD.
FIG. 4 shows a radio resource of 1 subframe and 1 RB, which is a minimum unit for downlink scheduling in the LTE / LTE-A system.
FIG. 5 shows a method of using each region and a signal in a radio resource of 1 subframe and 1 RB, which is a minimum unit for downlink scheduling in the LTE / LTE-A system.
6 shows a case where M terminals confirm PDSCH scheduling in a specific subframe.
7 shows an example time-frequency resource and corresponding system parameters for a subcarrier interval of 15 kHz x N, respectively.
8 shows an antenna structure used for forming a beam and transmitting a signal in a very high frequency mobile communication system.
FIG. 9 shows a mapping between an antenna port and an antenna element (AE) when one, two, or four antenna arrays are provided for each base station.
FIG. 10 illustrates a case where a PSS / SSS applying 14 different beams to each PSS / SSS in each Timing and Beam acquisition (TBA) subframe, which occurs once every K subframes at a particular base station, And transmitted to different OFDM symbols within the OFDM symbol.
11 shows in more detail the function and associated structure of the signals transmitted in the TBA sub-frame.
12 shows a case of further transmitting the BRRS.
13 shows an example of the location of a resource to which the CSI-RS can be transmitted.
14 and 15 show an example of a base station apparatus operating with 4 and 8 antenna ports, respectively.
16 shows an example of Distributed MIMO.
17 shows BRS transmission in D-MIMO.
18 shows a port mapping method of a BRRS transmitted by a base station in the case of D-MIMO.
19 shows a CSI-RS transmission method of a base station in the case of D-MIMO.
20 illustrates D-MIMO base station op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1 shows a device diagram of a base s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base st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2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drawings,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symbols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본 명세서에서 MTC 단말은 low cost(또는 low complexity)를 지원하는 단말 또는 coverage enhancement를 지원하는 단말 등을 의미할 수 있다. 또는 본 명세서에서 MTC 단말은 low cost(또는 low complexity) 및/또는 coverage enhancement를 지원하기 위한 특정 카테고리로 정의된 단말을 의미할 수 있다.Herein, the MTC terminal may mean a terminal supporting low cost (or low complexity) or a terminal supporting coverage enhancement. Alternatively, the MTC terminal may refer to a terminal defined in a specific category for supporting low cost (or low complexity) and / or coverage enhancement.

다시 말해 본 명세서에서 MTC 단말은 LTE 기반의 MTC 관련 동작을 수행하는 새롭게 정의된 3GPP Release-13 low cost(또는 low complexity) UE category/type을 의미할 수 있다. 또는 본 명세서에서 MTC 단말은 기존의 LTE coverage 대비 향상된 coverage를 지원하거나, 혹은 저전력 소모를 지원하는 기존의 3GPP Release-12 이하에서 정의된 UE category/type, 혹은 새롭게 정의된 Release-13 low cost(또는 low complexity) UE category/type을 의미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MTC terminal in this specification may mean a newly defined 3GPP Release-13 low cost (or low complexity) UE category / type for performing LTE-based MTC-related operations. Alternatively, the MTC terminal may support enhanced coverage over the existing LTE coverage or a UE category / type defined in the existing 3GPP Release-12 or lower that supports low power consumption, or a newly defined Release-13 low cost low complexity UE category / type.

본 발명에서의 무선통신시스템은 음성, 패킷 데이터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널리 배치된다. 무선통신시스템은 사용자 단말(User Equipment, UE) 및 기지국(Base Station, BS, 또는 eNB)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의 사용자 단말은 무선 통신에서의 단말을 의미하는 포괄적 개념으로서, WCDMA 및 LTE, HSPA 등에서의 UE(User Equipment)는 물론, GSM에서의 MS(Mobile Station), UT(User Terminal), SS(Subscriber Station), 무선기기(wireless device) 등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n the present invention is widely deployed to provide various communication services such as voice, packet data and the like.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ncludes a user equipment (UE) and a base station (BS, or eNB). The user terminal in this specification is a comprehensive concept of a termi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It is a comprehensive concept which means a mobile station (MS), a user terminal (UT), an SS (User Equipment) (Subscriber Station), a wireless device, and the like.

기지국 또는 셀(cell)은 일반적으로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는 지점(station)을 말하며, 노드-B(Node-B), eNB(evolved Node-B), 섹터(Sector), 싸이트(Site), BTS(Base Transceiver System),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릴레이 노드(Relay Node), RRH(Remote Radio Head), RU(Radio Unit), small cell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A base station or a cell generally refers to a station that communicates with a user terminal and includes a Node-B, an evolved Node-B (eNB), a sector, a Site, a BTS A base transceiver system, an access point, a relay node, a remote radio head (RRH), a radio unit (RU), and a small cell.

즉, 본 명세서에서 기지국 또는 셀(cell)은 CDMA에서의 BSC(Base Station Controller), WCDMA의 NodeB, LTE에서의 eNB 또는 섹터(싸이트) 등이 커버하는 일부 영역 또는 기능을 나타내는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메가셀, 매크로셀, 마이크로셀, 피코셀, 펨토셀 및 릴레이 노드(relay node), RRH, RU, small cell 통신범위 등 다양한 커버리지 영역을 모두 포괄하는 의미이다. That is, the base station or the cell in this specification is interpreted as a comprehensive meaning indicating a partial region or function covered by BSC (Base Station Controller) in CDMA, NodeB in WCDMA, eNB in LTE or sector (site) And covers various coverage areas such as megacell, macrocell, microcell, picocell, femtocell and relay node, RRH, RU, and small cell communication range.

상기 나열된 다양한 셀은 각 셀을 제어하는 기지국이 존재하므로 기지국은 두 가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i) 무선 영역과 관련하여 메가셀, 매크로셀, 마이크로셀, 피코셀, 펨토셀, 스몰 셀을 제공하는 장치 그 자체이거나, ii) 상기 무선영역 그 자체를 지시할 수 있다. i)에서 소정의 무선 영역을 제공하는 장치들이 동일한 개체에 의해 제어되거나 상기 무선 영역을 협업으로 구성하도록 상호작용하는 모든 장치들을 모두 기지국으로 지시한다. 무선 영역의 구성 방식에 따라 eNB, RRH, 안테나, RU, LPN, 포인트, 송수신포인트, 송신 포인트, 수신 포인트 등은 기지국의 일 실시예가 된다. ii)에서 사용자 단말의 관점 또는 이웃하는 기지국의 입장에서 신호를 수신하거나 송신하게 되는 무선 영역 그 자체를 기지국으로 지시할 수 있다.Since the various cells listed above exist in the base station controlling each cell, the base station can be interpreted into two meanings. i) the device itself providing a megacell, macrocell, microcell, picocell, femtocell, small cell in relation to the wireless region, or ii) indicating the wireless region itself. i indicate to the base station all devices that are controlled by the same entity or that interact to configure the wireless region as a collaboration. An eNB, an RRH, an antenna, an RU, an LPN, a point, a transmission / reception point, a transmission point, a reception point, and the like are exemplary embodiments of a base station according to a configuration method of a radio area. ii) may indicate to the base station the wireless region itself that is to receive or transmit signal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user terminal or from a neighboring base station.

따라서, 메가셀, 매크로셀, 마이크로셀, 피코셀, 펨토셀, 스몰 셀, RRH, 안테나, RU, LPN(Low Power Node), 포인트, eNB, 송수신포인트, 송신 포인트, 수신 포인트를 통칭하여 기지국으로 지칭한다.Therefore, a base station is collectively referred to as a base station, collectively referred to as a megacell, macrocell, microcell, picocell, femtocell, small cell, RRH, antenna, RU, low power node do.

본 명세서에서 사용자 단말과 기지국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기술 또는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데 사용되는 두 가지 송수신 주체로 포괄적인 의미로 사용되며 특정하게 지칭되는 용어 또는 단어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사용자 단말과 기지국은, 본 발명에서 기술되는 기술 또는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데 사용되는 두 가지(Uplink 또는 Downlink) 송수신 주체로 포괄적인 의미로 사용되며 특정하게 지칭되는 용어 또는 단어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상향링크(Uplink, UL, 또는 업링크)는 사용자 단말에 의해 기지국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식을 의미하며, 하향링크(Downlink, DL, 또는 다운링크)는 기지국에 의해 사용자 단말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식을 의미한다.Herein, the user terminal and the base station are used in a broad sense as the two transmitting and receiving subjects used to implement the technical or technical idea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are not limited by a specific term or word. The user terminal and the base station are used in a broad sense as two (uplink or downlink) transmitting and receiving subjects used to implement the technology or technical idea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limited by a specific term or word. Here, an uplink (UL, or uplink) means a method of transmitting / receiving data to / from a base station by a user terminal, and a downlink (DL or downlink) .

무선통신시스템에 적용되는 다중 접속 기법에는 제한이 없다.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FDMA, OFDM-TDMA, OFDM-CDMA와 같은 다양한 다중 접속 기법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GSM, WCDMA, HSPA를 거쳐 LTE 및 LTE-advanced로 진화하는 비동기 무선통신과, CDMA, CDMA-2000 및 UMB로 진화하는 동기식 무선 통신 분야 등의 자원할당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무선통신 분야에 한정되거나 제한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사상이 적용될 수 있는 모든 기술분야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re are no restrictions on multiple access schemes applied to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Various multiple access schemes such as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 OFDM-FDMA, OFDM- Can be used.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synchronous wireless communication that evolves into LTE and LTE-advanced via GSM, WCDMA, and HSPA, and synchronous wireless communication that evolves into CDMA, CDMA-2000, and UMB.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or limited to a specific wireless communication field and should be construed as including all technical fields to which the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상향링크 전송 및 하향링크 전송은 서로 다른 시간을 사용하여 전송되는 TDD(Time Division Duplex) 방식이 사용될 수 있고, 또는 서로 다른 주파수를 사용하여 전송되는 FDD(Frequency Division Duplex)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A TDD (Time Division Duplex) scheme in which uplink and downlink transmissions are transmitted using different time periods, or an FDD (Frequency Division Duplex) scheme in which they are transmitted using different frequencies can be used.

또한, LTE, LTE-advanced와 같은 시스템에서는 하나의 반송파 또는 반송파 쌍을 기준으로 상향링크와 하향링크를 구성하여 규격을 구성한다. 상향링크와 하향링크는,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CFICH(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 PHICH(Physical Hybrid ARQ Indicator CHannel),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EPDCCH(Enhanced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등과 같은 제어채널을 통하여 제어정보를 전송하고,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등과 같은 데이터채널로 구성되어 데이터를 전송한다. In systems such as LTE and LTE-advanced, a standard is constructed by configuring uplink and downlink based on a single carrier or carrier pair. The uplink and the downlink are divided into a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 a 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 (PCFICH), a Physical Hybrid ARQ Indicator CHannel, a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PUCCH), an Enhanced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EPDCCH) Transmits control information through the same control channel, and is configured with data channels such as PDSCH (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and PUSCH (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and transmits data.

한편 EPDCCH(enhanced PDCCH 또는 extended PDCCH)를 이용해서도 제어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control information can also be transmitted using EPDCCH (enhanced PDCCH or extended PDCCH).

본 명세서에서 셀(cell)은 송수신 포인트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의 커버리지 또는 송수신 포인트(transmission point 또는 transmission/reception point)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의 커버리지를 가지는 요소 반송파(component carrier), 그 송수신 포인트 자체를 의미할 수 있다. In this specification, a cell refers to a component carrier having a coverage of a signal transmitted from a transmission point or a transmission point or transmission / reception point of a signal transmitted from a transmission / reception point, and a transmission / reception point itself .

실시예들이 적용되는 무선통신 시스템은 둘 이상의 송수신 포인트들이 협력하여 신호를 전송하는 다중 포인트 협력형 송수신 시스템(coordinated multi-point transmission/reception System; CoMP 시스템) 또는 협력형 다중 안테나 전송방식(coordinated multi-antenna transmission system), 협력형 다중 셀 통신시스템일 수 있다. CoMP 시스템은 적어도 두 개의 다중 송수신 포인트와 단말들을 포함할 수 있다.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o which the embodiments are applied may be a coordinated multi-point transmission / reception system (CoMP system) or a coordinated multi-point transmission / reception system in which two or more transmission / reception points cooperatively transmit signals. antenna transmission system, or a cooperative multi-cell communication system. A CoMP system may include at least two multipoint transmit and receive points and terminals.

다중 송수신 포인트는 기지국 또는 매크로 셀(macro cell, 이하 'eNB'라 함)과, eNB에 광케이블 또는 광섬유로 연결되어 유선 제어되는, 높은 전송파워를 갖거나 매크로 셀영역 내의 낮은 전송파워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RRH일 수도 있다.The multi-point transmission / reception point includes a base station or a macro cell (hereinafter referred to as 'eNB'), and at least one mobile station having a high transmission power or a low transmission power in a macro cell area, Lt; / RTI >

이하에서 하향링크(downlink)는 다중 송수신 포인트에서 단말로의 통신 또는 통신 경로를 의미하며, 상향링크(uplink)는 단말에서 다중 송수신 포인트로의 통신 또는 통신 경로를 의미한다. 하향링크에서 송신기는 다중 송수신 포인트의 일부분일 수 있고, 수신기는 단말의 일부분일 수 있다. 상향링크에서 송신기는 단말의 일부분일 수 있고, 수신기는 다중 송수신 포인트의 일부분일 수 있다. Hereinafter, a downlink refers to a communication or communication path from a multipoint transmission / reception point to a terminal, and an uplink refers to a communication or communication path from a terminal to a multiple transmission / reception point. In the downlink, a transmitter may be a part of a multipoint transmission / reception point, and a receiver may be a part of a terminal. In the uplink, the transmitter may be a part of the terminal, and the receiver may be a part of multiple transmission / reception points.

이하에서는 PUCCH, PUSCH, PDCCH, EPDCCH 및 PDSCH 등과 같은 채널을 통해 신호가 송수신되는 상황을 'PUCCH, PUSCH, PDCCH, EPDCCH 및 PDSCH를 전송, 수신한다'는 형태로 표기하기도 한다.Hereinafter, a situation in which a signal is transmitted / received through a channel such as PUCCH, PUSCH, PDCCH, EPDCCH, and PDSCH is expressed as 'PUCCH, PUSCH, PDCCH, EPDCCH and PDSCH are transmitted and received'.

또한 이하에서는 PDCCH를 전송 또는 수신하거나 PDCCH를 통해서 신호를 전송 또는 수신한다는 기재는 EPDCCH를 전송 또는 수신하거나 EPDCCH를 통해서 신호를 전송 또는 수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n indication that a PDCCH is transmitted or received or a signal is transmitted or received via a PDCCH may be used to mean transmitting or receiving an EPDCCH or transmitting or receiving a signal through an EPDCCH.

즉, 이하에서 기재하는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은 PDCCH를 의미하거나, EPDCCH를 의미할 수 있으며, PDCCH 및 EPDCCH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도 사용된다.That is, the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described below may mean a PDCCH, an EPDCCH, or a PDCCH and an EPDCCH.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PDCCH로 설명한 부분에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EPDCCH를 적용할 수 있으며, EPDCCH로 설명한 부분에도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PDCCH를 적용할 수 있다.Also,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PDCCH, which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to the PDCCH, and the PDCCH may be applied to the portion described with the EPDCCH.

한편, 이하에서 기재하는 상위계층 시그널링(High Layer Signaling)은 RRC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RRC 정보를 전송하는 RRC시그널링을 포함한다.Meanwhile, the High Layer Signaling described below includes RRC signaling for transmitting RRC information including RRC parameters.

eNB은 단말들로 하향링크 전송을 수행한다. eNB은 유니캐스트 전송(unicast transmission)을 위한 주 물리 채널인 물리 하향링크 공유채널(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DSCH), 그리고 PDSCH의 수신에 필요한 스케줄링 등의 하향링크 제어 정보 및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예를 들면 물리 상향링크 공유채널(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PUSCH))에서의 전송을 위한 스케줄링 승인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을 전송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각 채널을 통해 신호가 송수신 되는 것을 해당 채널이 송수신되는 형태로 기재하기로 한다.The eNB performs downlink transmission to the UEs. The eNB includes a 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DSCH) as a main physical channel for unicast transmission,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such as scheduling required for reception of a PDSCH, A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 for transmitting scheduling grant information for transmission in a 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PUSCH). Hereinafter, the transmission / reception of a signal through each channel will be described in a form in which the corresponding channel is transmitted / received.

이동통신 시스템은 초기 음성 위주의 서비스를 제공하던 것에서 벗어나 데이터 서비스 및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을 위해 고속, 고품질의 무선 패킷 데이터 통신 시스템으로 발전하고 있다. 최근 3GPP의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그리고 LTE-A(Long Term Evolution Advanced) 등 다양한 이동 통신 표준이 고속, 고품질의 무선 패킷 데이터 전송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특히 LTE 시스템은 고속 무선 패킷 데이터 전송을 효율적으로 지원하기 위하여 개발된 시스템으로 다양한 무선접속 기술을 활용하여 무선시스템의 용량을 최대화한다. LTE-A 시스템은 LTE 시스템의 진보된 무선시스템으로 LTE와 비교하여 향상된 데이터 전송능력을 가지고 있다.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has evolved into a high-speed and high-quality wireless packet data communication system for providing data service and multimedia service apart from providing initial voice-oriented service. Recently, various mobile communication standards such as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DPA), 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HSUPA), Long Term Evolution (LTE) and Long Term Evolution Advanced (LTE-A) It was developed to support data transfer service. In particular, LTE system is developed to efficiently support high - speed wireless packet data transmission and maximizes the capacity of wireless system by utilizing various wireless connection technologies. The LTE-A system is an advanced wireless system in LTE systems and has improved data transmission capabilities compared to LTE.

상기 LTE는 일반적으로 3GPP 표준 단체의 Release 8 또는 Release 9에 해당하는 기지국 및 단말 장비를 의미하며 LTE-A는 3GPP 표준단체의 Release 10에 해당하는 기지국 및 단말 장비를 의미한다. 3GPP 표준단체에서는 LTE-A 시스템의 표준화 이후에도 이를 기반으로 하여 향상된 성능을 갖는 후속 Release에 대한 표준을 진행하고 있다.The LTE refers to a base station and a terminal equipment corresponding to Release 8 or Release 9 of the 3GPP standards body, and LTE-A refers to a base station and a terminal equipment corresponding to Release 10 of the 3GPP standards body. The 3GPP standards body has been working on standards for subsequent releases with improved performance based on the standardization of the LTE-A system.

LTE/LTE-A 시스템은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와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기술을 적용하여 각 기술의 장점을 잘 활용하고 있다. 우선 복수개의 송신안테나를 이용하여 무선신호를 전송하는 MIMO는 한 개의 단말에게 전송하는 SU-MIMO(Single User MIMO)와 동일한 시간/주파수 자원을 이용하여 복수의 단말에게 데이터를 전송하는 MU-MIMO(Multi-User MIMO)로 구분된다. SU-MIMO의 경우 복수의 송신안테나가 한 개의 수신기에 대하여 무선신호를 복수개의 공간 계층(spatial layer)로 전송한다. 이때 수신기는 복수개의 수신 안테나를 보유하고 있어야 복수개의 spatial layer를 지원할 수 있다. 반면에 MU-MIMO의 경우 복수의 송신 안테나가 복수의 수신기에 대하여 무선신호를 복수개의 spatial layer로 전송한다. MU-MIMO의 경우 SU-MIMO와 비교할 때 수신기가 복수의 수신안테나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는 장점을 가진다. 다만 단점은 동일한 주파수 및 시간 자원에 복수의 수신기에 대하여 무선신호를 전송하기 때문에 서로 다른 수신기를 위한 무선신호들 사이에 상호 간섭이 발생할 수 있다.LTE / LTE-A systems utilize the advantages of each technology by applying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MIMO) and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 technologies. First, MIMO that transmits a radio signal using a plurality of transmit antennas includes MU-MIMO (Single User MIMO) that transmits data to a plurality of UEs using the same time / frequency resource as SU-MIMO Multi-User MIMO). In case of SU-MIMO, a plurality of transmission antennas transmit a radio signal to one receiver to a plurality of spatial layers. In this case, the receiver must have a plurality of reception antennas to support a plurality of spatial layers.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MU-MIMO, a plurality of transmission antennas transmit a radio signal to a plurality of receivers in a plurality of spatial layers. MU-MIMO has the advantage that the receiver does not need a plurality of receiving antennas as compared with SU-MIMO. However, the disadvantage is that mutual interference can occur between radio signals for different receivers because they transmit radio signals to a plurality of receivers on the same frequency and time resources.

OFDMA 방식을 통하여 용량 증대를 얻을 수 있는 주요 요인 중의 하나는 주파수 축 상에서 서로 다른 단말의 스케줄링을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이다. 즉, 채널이 시간에 따라 변하는 특성과 같이 채널이 주파수에 따라 변하는 특성을 추가로 이용하면 적절한 스케줄링 방법과 결합되어 많은 용량 이득을 얻을 수 있다.One of the main factors for achieving capacity increase through the OFDMA scheme is scheduling of different UEs on the frequency axis. That is, when a channel is changed in frequency, such as a characteristic in which a channel changes with time, a capacity gain can be obtained in combination with an appropriate scheduling method.

도 1을 참조하면 기지국(evolved NodeB, eNB)이 단말(User Equipment, UE)로 전송하는 무선자원은 주파수 축 상에서는 자원 블록(resource block, RB)(110) 단위로 나누어지며 시간 축 상에서는 서브프레임(subframe)(120) 단위로 나누어진다. LTE/LTE-A 시스템에서 상기 RB(110)는 일반적으로 12개의 부반송파로 이루어지며 부반송파 간격은 15kHz로 하나의 RB는 180kHz의 대역을 차지한다. 반면 subframe(120)은 LTE/LTE-A 시스템에서 일반적으로 14개의 OFDM 심볼 구간으로 이루어지며 1 msec의 시간구간을 차지한다. 여기서 각 OFDM 심볼 구간은 cyclic prefix (CP)를 포함하는데 첫 번째와 여덟 번째 OFDM 심볼은 160Ts 길이의 CP를 포함하고 나머지 OFDM 심볼들은 144Ts 길이의 CP를 포함한다. 여기서 Ts는 LTE/LTE-A 시스템의 기본 시간 단위로 1/(15000x2048)초에 해당한다. LTE/LTE-A 시스템은 스케줄링을 수행함에 있어서 시간 축에서는 subframe(120) 단위로 자원을 할당할 수 있으며 주파수 축에서는 RB(110) 단위로 자원을 할당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a radio resource transmitted from an evolved NodeB (eNB) to a user equipment (UE) is divided into resource blocks (RB) 110 on the frequency axis, subframes (120). In the LTE / LTE-A system, the RB 110 generally comprises 12 subcarriers, with a subcarrier spacing of 15 kHz and one RB occupying 180 kHz. On the other hand, the subframe 120 is generally composed of 14 OFDM symbol intervals in the LTE / LTE-A system and occupies a time interval of 1 msec. Here, each OFDM symbol interval includes a cyclic prefix (CP), the first and eighth OFDM symbols include a CP having a length of 160Ts, and the remaining OFDM symbols include a CP having a length of 144Ts. Here, Ts corresponds to 1 / (15000x2048) seconds as the basic time unit of the LTE / LTE-A system. In scheduling, the LTE / LTE-A system can allocate resources in units of subframes (120) on the time axis and allocate resources in units of RBs (110) on the frequency axis.

도 2는 LTE에서 사용하는 시간-주파수 파라미터들을 자세히 나타낸 것이다.Figure 2 shows in detail the time-frequency parameters used in LTE.

기존 LTE 시스템에서는 단말이 특정 셀로의 시간-주파수 동기를 획득하기 위하여, 기지국은 일정한 시간-주파수 위치에서 PSS (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와 SSS(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를 전송하고 해당 신호를 단말이 수신하여 동기를 획득한다.In a conventional LTE system, a base station transmits a 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 (PSS) and a 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 (SSS) at a predetermined time-frequency location in order for the UE to acquire time-frequency synchronization with a specific cell. .

도 3은 TDD로 동작하는 LTE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PSS/SSS의 위치를 나타낸다.3 shows the location of a PSS / SSS used in an LTE system operating in TDD.

도 4를 참조하면, LTE/LTE-A 시스템의 하향링크 스케줄링 단위는 시간 축 상에서 한 개의 subframe(210)으로 이루어지며 주파수 축 상에서 한 개의 RB(220)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무선자원은 주파수 영역에서 12개의 subcarrier로 이루어지며 시간영역에서 14개의 OFDM 심볼로 이루어져서 총 168개의 고유 주파수 및 시간 위치를 갖도록 한다. LTE/LTE-A에서는 상기 도 2의 각각 고유 주파수 및 시간 위치를 자원 단위(resource element, RE)라 한다. 또한 한 개의 subframe은 각각 7개의 OFDM 심볼로 이루어진 두 개의 slot으로 이루어진다Referring to FIG. 4, the downlink scheduling unit of the LTE / LTE-A system includes one subframe 210 on the time axis and one RB 220 on the frequency axis. The radio resources are composed of 12 subcarriers in the frequency domain and 14 OFDM symbols in the time domain, thereby providing a total of 168 unique frequency and time positions. In LTE / LTE-A, the natural frequency and the time position in FIG. 2 are referred to as a resource element (RE). One subframe consists of two slots each consisting of 7 OFDM symbols

상기 도 4에 도시된 무선자원에는 다음과 같은 복수개의 서로 다른 종류의 신호가 전송될 수 있다.A plurality of different types of signals may be transmitted to the radio resource shown in FIG.

1. CRS (Cell-specific Reference Signal) (230): 특정 셀에 속한 모든 단말들의 채널 측정을 위하여 전송되는 기준 신호One. A cell-specific reference signal (CRS) 230 is a reference signal transmitted for channel measurement of all UEs belonging to a specific cell

2. DMRS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240, 241): 특정 단말의 데이터 복호를 위하여 전송되는 기준 신호2. DMRS (Modulation Reference Signal) (240, 241): A reference signal transmitted for data decoding of a specific terminal

3. CSI-RS (Channel Status Information Reference Signal) (270): 특정 신호 전송지점에 속한 단말로 전송되는 기준신호로 채널 상태를 측정하기 위하여 사용됨. 한 개의 셀 내에는 복수 개의 전송지점이 포함될 수 있어 한 개의 셀에서는 복수 개의 CSI-RS가 전송될 수 있음.3. CSI-RS (Channel Status Information Reference Signal) 270: A reference signal transmitted to a terminal belonging to a specific signal transmission point. A plurality of transmission points may be included in one cell, and a plurality of CSI-RSs may be transmitted in one cell.

4. PDSCH (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250): 하향링크로 전송되는 데이터 채널, 지국이 단말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하여 이용하며 상기 도 4의 데이터 영역에서 기준신호가 전송되지 않는 RE들을 이용하여 전송됨4. A PDSCH (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250 is a data channel transmitted in the downlink, and is transmitted using REs used by a base station to transmit data to the UE and in which the reference signal is not transmitted in the data region of FIG. 4

5. 제어채널 (PDCCH, PCFICH, PHICH) (260): 단말이 PDSCH를 수신하는데 필요한 제어 정보나 상향링크 HARQ 운용을 위한 ACK/NACK 전송. 제어 채널은 각 subframe 별로 하나에서 세 개의 OFDM 심볼을 차지할 수 있으며 해당 제어 채널을 위한 OFDM 심볼의 개수는 PCFICH를 통해서 단말로 통보된다.5. Control channel (PDCCH, PCFICH, PHICH) 260: ACK / NACK transmission for control information or uplink HARQ operation required for the UE to receive the PDSCH. The control channel can occupy three OFDM symbols in each subframe, and the number of OFDM symbols for the corresponding control channel is reported to the UE through the PCFICH.

상기 신호 외에도 LTE-A 시스템에서는 다른 기지국이 전송하는 CSI-RS (270)가 해당 셀의 단말들에 간섭 없이 수신될 수 있도록 muting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muting은 CSI-RS(270)가 전송될 수 있는 위치에서 적용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단말은 해당 무선 자원을 건너 뛰어 데이터 신호를 수신한다. LTE-A 시스템에서 muting은 또 다른 용어로 zero-power CSI-RS라고 불리기도 한다. Muting은 CSI-RS(270)의 위치에 적용되며 전송전력이 영으로 아무런 신호가 전송되지 않기 때문이다.In addition to the signal, the LTE-A system may set muting so that the CSI-RS 270 transmitted by another base station can be received without interference to the terminals of the corresponding cell. The muting may be applied at a position where the CSI-RS 270 can be transmitted. Generally, the UE receives the data signal by skipping the corresponding radio resource. In LTE-A systems, muting is also referred to as zero-power CSI-RS. The muting is applied to the location of the CSI-RS 270 and the transmission power is zero and no signal is transmitted.

CSI-RS(270)는 CSI-RS(270)를 전송하는 안테나 수에 따라 A, B, C, D, E, F, G, H, I, J로 표시된 위치의 일부를 이용하여 전송될 수 있다. 또한 muting도 A, B, C, D, E, F, G, H, I, J로 표시된 위치의 일부를 이용에 적용될 수 있다. LTE-A 시스템에서 지원하는 안테나 포트의 개수는 2개, 4개 8개로 각각에 대하여 CSI-RS는 2개, 4개, 8개의 RE를 사용하여 전송될 수 있다. 안테나포트 수가 2개일 경우에는 상기 도 4에서 특정 패턴의 절반에 CSI-RS(270)가 전송되며 안테나포트 수가 4개일 경우 특정 패턴의 전체에 CSI-RS가 전송되고 안테나포트수가 8개일 경우 두 개의 연속된 패턴을 이용하여 CSI-RS가 전송된다. 반면에 muting은 한 개의 패턴 단위로 이루어진다.The CSI-RS 270 can be transmitted using a part of the positions indicated by A, B, C, D, E, F, G, H, I, J according to the number of antennas transmitting the CSI- have. Also, muting can be applied to a part of the positions indicated by A, B, C, D, E, F, G, H, The number of antenna ports supported by the LTE-A system is 2, 4, and 8, and CSI-RS can be transmitted using 2, 4, and 8 REs, respectively. In the case where the number of antenna ports is two, the CSI-RS 270 is transmitted in half of the specific pattern in FIG. 4. When the number of antenna ports is four, the CSI-RS is transmitted to all the specific patterns. The CSI-RS is transmitted using the continuous pattern. On the other hand, muting is done in one pattern unit.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LTE/LTE-A 시스템은 데이터 전송률 및 시스템 용량 증대를 위하여 복수의 송수신 안테나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MIMO 기술을 활용한다. 현재까지 LTE-A 시스템은 단말 별로 8개까지의 안테나 포트를 지원하고 한번에 최대 8개의 spatial layer의 전송이 지원된다.As described above, the LTE / LTE-A system utilizes MIMO technology for transmitting data using a plurality of transmission / reception antennas in order to increase data rate and system capacity. To date, the LTE-A system supports up to 8 antenna ports per terminal and supports transmission of up to 8 spatial layers at a time.

특정 기지국이 상기 주어진 시간/주파수 자원에 대한 단말 스케줄링을 수행하고 상기 다수의 안테나에 적용할 프리코딩 방법을 결정하기 위하여 해당 특정 기지국에 접속한 단말은 상기 CSI-RS를 사용하여 하향링크 채널을 측정하고 이에 대한 채널 정보를 기지국으로 보고한다. LTE/LTE-A 시스템에서는 다음의 세 가지 채널 피드백 정보 (channel status information, CSI)를 사용한다:A terminal accesses a specific base station to determine a precoding method to be applied to the plurality of antennas and a terminal performs scheduling for a given time / frequency resource. The terminal measures a downlink channel using the CSI- And reports the channel information to the base station. The LTE / LTE-A system uses three channel status information (CSI):

● RI (rank indicator): 단말이 선호하는 spatial layer의 개수 정보 ● RI (rank indicator): The number of spatial layers preferred by the UE

● PMI (precoding matrix indicator): 가장 최근에 보고한 RI가 주어진 상황에서 단말이 선호하는 precoding matrix의 인덱스 정보 • Precoding matrix indicator (PMI): The index of the precoding matrix preferred by the terminal in the given situation of the most recently reported RI

● CQI (channel quality indicator): 가장 최근에 보고한 RI/PMI가 주어진 상황에서 BLER (block error rate) 0.1을 만족하는 최대의 MCS (modulation and coding scheme) 레벨 정보 • Channel quality indicator (CQI): The maximum modulation and coding scheme (MCS) level information that meets the block error rate (BLER) of 0.1 for the given RI / PMI.

세부적인 RI/PMI/CQI에 대한 정의 및 보고 주기는 3GPP 표준 문서 [3GPP TS 36.213]을 참조한다.The definition and reporting cycle of detailed RI / PMI / CQI are referenced in the 3GPP Standards document [3GPP TS 36.213].

도 5는 LTE/LTE-A 시스템에서 하향링크로 스케줄링을 할 수 있는 최소 단위인 1 subframe 및 1 RB의 무선자원에서 각 영역 및 신호의 사용 방법을 나타낸다.FIG. 5 shows a method of using each region and a signal in a radio resource of 1 subframe and 1 RB, which is a minimum unit for downlink scheduling in the LTE / LTE-A system.

LTE/LTE-A 시스템에서 단말은 매 서브프레임마다 PDCCH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를 확인하여 해당 서브프레임에서 데이터(PDSCH)가 전송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여기서 PDCCH는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매 서브프레임에서 하나부터 세 개까지의 OFDM 심볼 영역을 차지할 수 있으며 단말들은 PCFICH (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를 수신하여 몇 개의 OFDM 심볼이 PDCCH로 사용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즉, 기지국은 특정 서브프레임에서 필요한 제어 채널의 크기에 따라 PCFICH를 1, 2, 또는 3 중 하나로 설정하여 셀 내의 단말들로 전송하고 설정 값만큼의 영역에서 PDCCH를 전송한다. 또한 PDCCH는 전 시스템 대역에 걸쳐 전송되고 특정 단말로의 스케줄링 정보는 전 시스템 대역에 고루 퍼져 전송된다. 상기 PDCCH에 포함된 스케줄링 정보는 해당 서브프레임에서 데이터를 수신할 단말들에 대한 다음의 정보들 중 일부 또는 전체를 포함한다:In the LTE / LTE-A system, the UE checks the PDCCH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for each subframe and checks whether data (PDSCH) is transmitted in the corresponding subframe. As described above, the PDCCH can occupy one to three OFDM symbol regions in each subframe, and the UEs can receive a 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 (PCFICH) to check how many OFDM symbols are used as PDCCHs . That is, the BS sets the PCFICH to 1, 2, or 3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control channel required in a specific subframe, transmits the PDCCH to the UEs in the cell, and transmits the PDCCH in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set value. Also, the PDCCH is transmitted over the entire system band, and the scheduling information to a specific terminal is spread across the entire system band. The scheduling information included in the PDCCH includes some or all of the following information for the UEs receiving data in the corresponding subframe:

● PDSCH 자원 할당 정보● PDSCH resource allocation information

● 변조 방식 및 부호율 정보● Modulation method and coding rate information

● HARQ 정보● HARQ information

● 재전송/초기전송 구분 정보● Retransmission / initial transmission classification information

도 6을 참조하여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단말은 특정 서브프레임에서 한 개부터 세 개 OFDM 심볼까지 가능한 PDCCH 영역을 확인하여 자신에게 전송되는 PDSCH의 스케줄링 여부를 확인한다. 여기서 스케줄링이 발생한 경우는 해당 PDSCH가 주파수 상에서 어떤 RB들에 위치하는지를 확인 한 후 해당 서브프레임 내 해당 RB들에 대하여 제어 영역 외 나머지 OFDM 심볼들에서 PDSCH를 수신하여 복호를 수행한다. 도 6에서는 특정 서브프레임에서 M개의 단말이 PDSCH 스케줄링을 확인한 경우를 나타내며 각 단말이 수신할 PDSCH의 위치는 해당 셀의 모든 단말 공통으로 전 대역에 존재하는 PDCCH 내의 정보로 확인을 하게 된다. 또한 기존 LTE/LTE-A 시스템에서 단말은 특정 서브프레임의 앞쪽 OFDM 심볼들에서 PDCCH를 확인하고 나머지 뒤쪽 모든 OFDM 심볼들에서 PDSCH를 수신하여야 전체 하나의 데이터 단위를 복호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LTE/LTE-A 시스템에서 단말의 데이터 수신 단위는 하나의 서브프레임으로 1ms가 된다.Referring to FIG. 6, the UE checks a PDCCH area ranging from one to three OFDM symbols in a specific subframe to check whether a PDSCH to be transmitted to the UE is scheduled. If the scheduling occurs, it is confirmed which PDBCH is located in which RBs on the frequency domain, and then the PDSCH is received from the remaining OFDM symbols outside the control domain for the corresponding RBs in the corresponding subframe, thereby performing decoding. FIG. 6 shows a case where M UEs confirm PDSCH scheduling in a specific subframe, and the PDSCH position to be received by each UE is identified by information in the PDCCH existing in all bands in all the UEs of the corresponding cell. Also, in a conventional LTE / LTE-A system, a UE can decode a whole data unit by confirming a PDCCH in a front OFDM symbol of a specific subframe and receiving a PDSCH in all remaining OFDM symbols after a certain subframe. That is, in the LTE / LTE-A system, the data reception unit of the UE is 1 ms in one subframe.

LTE/LTE-A 시스템은 6GHz 이하의 주파수 밴드에서 단말의 데이터 수신 단위를 1ms로 가정하고 설계되었기 때문에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은 시간-주파수 자원 구조 및 해당 자원을 활용하기 위한 신호들이 설계되었다. 하지만 저 지연 이동통신을 지원하거나 28GHz 등의 높은 주파수 밴드에서 OFDM을 사용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경우에는 LTE 시스템보다 큰 서브케리어 간격을 필요로 한다. 특히 높은 주파수에서는 거리에 따른 신호의 감쇄 정도가 커져 신호에 빔포밍(beamforming) 기술을 적용하여 특정 방향으로 보다 강한 신호를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시스템이 설계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초고주파 이동통신 시스템에 적합한 새로운 시간-주파수 자원 활용 구조 및 빔포밍 활용을 위한 새로운 기준신호 전송 방법을 알아본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설계된 시간-주파수 구조 및 기준 신호를 활용하여 용량 및 공간 활용에 효율적인 네트워크 구조와 이에 대한 기지국 장비 설치 방법도 알아본다.Since the LTE / LTE-A system is designed assuming that the data reception unit of the terminal is 1 ms in a frequency band of 6 GHz or less, the time-frequency resource structure and the signals for utilizing the resource are designed as described above. However,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low-delay mobile communication or using OFDM in a high frequency band such as 28 GHz requires a larger subcarrier interval than an LTE system. Especially at higher frequencies, the system needs to be designed to be able to transmit a stronger signal in a certain direction by applying a beamforming technique to the signal because the degree of signal attenuation increases with distance. Accordingly, a new time-frequency resource utilization structure suitable for a high-frequency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a new reference signal transmission method for utilizing beamforming will be described. Also, an efficient network structure for capacity and space utilization using the time-frequency structure and reference signal designe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base station equipment installation method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은 수십 GHz의 주파수 밴드를 사용하는 초고주파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OFDM을 사용하는 경우에 새로운 시간-주파수 자원 활용 구조 및 빔포밍 활용을 위한 새로운 기준신호 전송 방법을 알아본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설계된 시간-주파수 구조 및 기준 신호를 활용하여 용량 및 공간 활용에 효율적인 네트워크 구조와 이에 대한 기지국 장비 설치 방법도 알아본다.A new time-frequency resource utilization structure and a new reference signal transmission method for utilizing beamforming in OFDM in a very high frequency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ing a frequency band of several tens of GHz are described. In addition, a time-frequency structure and a reference signal design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utilized to find an efficient network structure for capacity and space utilization and a base station equipment installation method.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수십 GHz의 주파수 밴드에서는 서브케리어 간 위상 노이즈 영향이 커져 큰 서브케리어 간격을 필요로 한다. 또한 수십 GHz의 주파수 밴드에서는 수백 MHz 단위의 가용 주파수가 있어 큰 서브케리어 간격을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뿐만 아니라 낮은 주파수 대역에서도 기존 LTE 보다 저 지연의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큰 서브케리어 간격을 필요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새로운 초고주파 이동통신 시스템 또는 저지연 시스템에서 기존 LTE와 비슷한 시간-주파수 구조를 가지고 큰 서브케리어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LTE의 서브케리어 간격인 15kHz의 배수에 해당하는 값으로 설정하도록 한다. 예를 들면, 대략 30GHz 주변의 주파수 밴드에서의 채널 환경을 고려하면 대략 5배 또는 10배의 서비케리어 간격을 가지는 것이 효율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어 75kHz의 서브케리어 간격이나 150kHz의 서브케리어 간격의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서브케리어 간격을 LTE의 5배 또는 10배로 크게 하면 각 OFDM 심볼의 길이가 짧아지게 되어 저 지연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에 유리해 진다.As described above, in the frequency band of several tens of GHz, the effect of phase noise between subcarriers becomes large, and a large subcarrier interval is required. Also, in the frequency band of several tens of GHz, there is an available frequency of several hundreds of MHz, and it is necessary to maintain a large subcarrier interval. In addition, a large subcarrier interval is needed to provide low-latency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in the low frequency band. 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maintain a large subcarrier interval with a time-frequency structure similar to that of the existing LTE in a new microwav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or a low-delay system, a value corresponding to a multiple of 15kHz, which is the subcarrier interval of LTE, is set . For example, considering the channel environment in the frequency band around 30 GHz, it is known to be effective to have a servicer interval of about 5 times or 10 times, so that a subcarrier interval of 75 kHz or a subcarrier interval of 150 kHz can be used have. Also, if the subcarrier interval is increased to 5 times or 10 times as long as LTE, the length of each OFDM symbol becomes shorter, which is advantageous in providing a low-delay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도 7은 예시로 각각 15kHz x N의 서브케리어 간격에 대한 시간-주파수 자원 및 해당 시스템 파라미터들을 나타낸다. 도 7을 참조하면, 2048 FFT를 사용하는 OFDM 시스템을 가정하는 경우 전체 시스템 대역은 각각 20 x N MHz로 구성되며, 하나의 서브프레임은 각각 1/N ms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면 해당 서브케리어 간격을 가지는 시스템에서도 기본적으로 LTE/LTE-A와 같은 형태의 RB 및 subframe 구조를 가져갈 수 있다. 즉 RB는 12개의 서브케리어로 구성되고, 서브프레임은 14개의 OFDM 심볼들로 구성된다.7 shows an example time-frequency resource and corresponding system parameters for a subcarrier interval of 15 kHz x N, respectively. Referring to FIG. 7, assuming an OFDM system using a 2048 FFT, the total system bandwidth may be 20 x N MHz, and each subframe may be 1 / N ms. Therefore, even in a system having the subcarrier interval, the RB and subframe structure of the same type as LTE / LTE-A can be basically taken. That is, the RB is composed of 12 subcarriers, and the subframe is composed of 14 OFDM symbols.

초고주파 이동통신 시스템에서는 거리에 따른 신호의 감쇄가 심하기 때문에 이를 보상하기 위하여 모든 전송 신호에 지향성을 부여하는 빔포밍을 적용할 필요가 있다. 즉, 빔(beam)을 형성하여 신호를 전송하여 특정 방향으로 신호의 세기가 모아지고 해당 특정 방향에서 멀어지면서 신호가 약해지도록 한다. 다시 말하면 초고주파 이동통신 시스템에서는 기존 LTE/LTE-A에서 셀 내 전 방향으로 퍼져 전송되는 것으로 가정했던 신호들에도 빔을 형성하여 전송할 필요가 있게 된다. 도 8은 초고주파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빔을 형성하여 신호를 전송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안테나 구조를 나타낸다. 도 8은 두 개의 안테나 포트를 지원하도록 하나의 안테나 배열이 사용된 시스템을 나타내고 radio frequency (RF) 기능과 안테나 배열이 하나의 장비로 Radio Unit (RU)에 포함되고 MAC(medium access control) 계층 및 물리계층 등의 디지털 기능들은 또 다른 별도 장비로 Digital Unit (DU)에 포함되는 경우를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하나의 DU에는 다수의 RU가 연결되는 것이 가능하고 하나의 RU가 특정 셀 영역으로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한다. 도 8에서 DU로 표현된 박스는 실제 물리적인 DU를 나타낼 수도 있고 특정 DU 내에서 하나의 셀 영역을 커버하기 위한 처리단위를 논리적으로 표현한 것으로 볼 수도 있다.In a very high frequency mobile communication system, signal attenuation due to distance is significan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pply beamforming that gives directivity to all transmission signals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e attenuation. That is, a beam is formed and a signal is transmitted so that the intensity of the signal is collected in a specific direction, and the signal is weakened while moving away from the specific direction. In other words, in a very high frequency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t is necessary to form and transmit a beam to signals that are assumed to be transmitted in all directions in a cell in the existing LTE / LTE-A. 8 shows an antenna structure used for forming a beam and transmitting a signal in a very high frequency mobile communication system. FIG. 8 shows a system in which one antenna array is used to support two antenna ports, and a radio frequency (RF) function and an antenna arrangement are included in a radio unit (RU) Physical layer and the like are included in the digital unit (DU) as another separate equipment. Generally, it is possible to connect a plurality of RUs to one DU and to allow a single RU to provide data service to a specific cell area. A box represented by DU in FIG. 8 may represent an actual physical DU, or may be regarded as a logical representation of a processing unit for covering one cell region within a specific DU.

도 9는 기지국 별로 안테나 배열을 1개, 2개 또는 4개 가지는 경우에 안테나 포트와 antenna element (AE) 사이의 매핑을 나타낸다. 하나의 안테나 포트는 특정 안테나 배열 내 같은 POL들과 연결되어 신호를 전송하고 각 안테나 포트는 서로 독립적으로 다수의 빔을 형성할 수 있다.FIG. 9 shows a mapping between an antenna port and an antenna element (AE) when one, two, or four antenna arrays are provided for each base station. One antenna port is connected to the same POLs in a specific antenna array to transmit signals, and each antenna port can form a plurality of beams independently of each other.

LTE/LTE-A에서 상기 셀 내 전 방향으로 퍼져 전송되는 것으로 가정했던 신호들 중 하나가 동기신호들(PSS/SSS)이다. 즉, 초고주파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기존과 다른 형태의 설계가 필요한 부분이 PSS/SSS이다. 기존 LTE/LTE-A에서는 PSS/SSS는 특정 셀 전 영역에서 고루 신호를 검출할 수 있도록 전송되었기 때문에 셀 별로 하나의 PSS/SSS만 존재하면 되지만, 이제 초고주파 이동통신 시스템에서는 PSS/SSS도 방향성을 가지게 되고 셀 전 영역의 단말이 PSS/SSS를 검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셀 별로 다수의 PSS/SSS가 운용될 수 있어야 한다. One of the signals that LTE / LTE-A has assumed to be transmitted in all directions in the cell is the synchronization signals (PSS / SSS). In other words, PSS / SSS is a part that needs to be designed differently from the conventional one in a very high frequency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n the existing LTE / LTE-A, only one PSS / SSS exists for each cell because the PSS / SSS is transmitted so that it can detect even signals in a specific cell. However, in the case of a very high frequency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a plurality of PSS / SSSs can be operated per cell in order to allow the UEs in the entire cell area to detect the PSS / SSS.

만약 PSS/SSS에 적용해야 할 빔의 개수가 M이라고 가정하면 특정 셀은 M 개의 PSS/SSS를 운용해야 한다. 또한 단말은 특정 PSS/SSS를 수신하였을 때 해당 PSS/SSS가 어떤 빔에 해당하는지도 확인 할 수 있어야 해당 셀의 시간-주파수 동기를 정확히 획득할 수 있다. Assuming that the number of beams to be applied to the PSS / SSS is M, a certain cell must operate M PSS / SSS. In addition, when the UE receives a specific PSS / SSS, it must be able to confirm which beam the corresponding PSS / SSS corresponds to, thereby accurately acquiring the time-frequency synchronization of the corresponding cell.

도 10은 특정 기지국에서 K 서브프레임 마다 한번씩 발생하는 각 Timing and Beam acquisition (TBA) 서브프레임 내에서 14개의 서로 다른 빔을 PSS/SSS에 적용하고 서로 다른 빔을 적용한 PSS/SSS가 하나의 서브프레임 내에서 서로 다른 OFDM 심볼에 분배되어 전송되는 상황을 도식하고 있다. 즉, 하나의 PSS/SSS에는 특정 빔이 적용되어 있고 해당 PSS/SSS에는 셀 식별자 정보가 포함되어 있어 단말은 PSS/SSS를 확인하여 OFDM 심볼 타이밍 및 셀 식별자를 확인 할 수 있다. 추가로 기지국은 같은 OFDM 심볼 내에서 PSS/SSS와 같은 빔을 적용한 ESS를 전송하여 단말이 서브프레임 타이밍도 획득할 수 있게 한다. 이에 더하여 해당 PSS/SSS/ESS와 같은 OFDM 심볼 타이밍에는 Beam RS (BRS)가 전송되어 단말이 안테나 포트 (antenna port, AP) 별 beam 정보도 확인 할 수 있게 된다. 도 10은 상기 설명한 상황을 나타내고 구체적으로 5ms의 주기를 가지고 TBA 서브프레임이 전송되는 경우를 그림으로 나타내었다.FIG. 10 illustrates a case where a PSS / SSS applying 14 different beams to each PSS / SSS in each Timing and Beam acquisition (TBA) subframe generated every K subframes at a specific base station and a PSS / And the OFDM symbols are transmitted to different OFDM symbols. That is, a specific beam is applied to one PSS / SSS and the cell identifier information is included in the corresponding PSS / SSS, so that the UE can confirm the OFDM symbol timing and the cell identifier by checking the PSS / SSS. In addition, the base station transmits the ESS with the same beam as the PSS / SSS in the same OFDM symbol, thereby enabling the UE to acquire the subframe timing. In addition, the beam RS (BRS) is transmitted to the OFDM symbol timing such as the PSS / SSS / ESS, so that the UE can also check the beam information per antenna port (AP). FIG. 10 illustrates a situation in which the TBA subframe is transmitted with a period of 5 ms, specifically, the situation described above.

도 11은 보다 구체적으로 TBA 서브프레임에서 전송되는 신호들의 기능과 관련 구조를 보다 자세히 나타내었다. PSS는 시스템 대역 내 가운데 6 RB에 전송되어 단말의 OFDM 심볼 타이밍 획득을 위해 사용된다. SSS는 PSS에 인접한 6RB에 전송되며 단말의 셀 식별자 (Cell ID) 획득을 위해 사용된다. 또한 ESS도 PSS에 인접한 6RB에 전송되며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단말의 서브프레임 타이밍 (또는 OFDM 심볼 인덱스) 획득을 위해 사용된다. 그리고 BRS는 단말이 특정 TBA 서브프레임에 적용된 빔을 각 AP 별로 확인할 수 있도록 전송되며 PSS/SSS/ESS가 전송되는 위치 외의 RB들에서 셀 전 시스템 대역에 일정 간격으로 일정 연속된 RE들에 걸쳐 전송된다. 도 11에서는 12개 RE 간격으로 연속된 8개의 RE에 BRS가 전송되는 경우를 예시로 나타내었다. PSS/SSS/ESS/BRS가 전송되는 위치 외의 자원에는 PBCH (physical broadcasting channel)이 전송되며 system frame number (SFN) 등 특정 시스템의 중요한 정보(MIB, master information block)가 전송된다. FIG. 11 shows in more detail the function and related structure of the signals transmitted in the TBA sub-frame in more detail. The PSS is transmitted to the middle 6 RBs in the system band and is used for acquiring the OFDM symbol timing of the UE. The SSS is transmitted to the 6RB adjacent to the PSS and is used for acquiring the cell ID (Cell ID) of the UE. The ESS is also transmitted to 6 RB adjacent to the PSS and is used for acquiring subframe timing (or OFDM symbol index) of the UE as described above. Then, the BRS is transmitted to the UE so that the beam applied to the specific TBA subframe can be checked for each AP. In the RBs outside the location where the PSS / SSS / ESS is transmitted, the BRS is transmitted do. In FIG. 11, BRSs are transmitted to 8 REs consecutively arranged at 12 RE intervals. A physical broadcasting channel (PBCH) is transmitted to a resource outside the location where the PSS / SSS / ESS / BRS is transmitted, and important information (MIB, master information block) such as a system frame number (SFN) is transmitted.

단말은 TBA 서브프레임에서 전송되는 BRS를 통하여 서로 다른 OFDM 심볼 별 포트 별로 전송되는 빔들에 대한 채널 정보를 확인하면 단말은 선호하는 빔들의 인덱스를 선택할 수 있고 선호하는 빔들에 대한 quality 정보를 계산할 수 있다. 이 후 단말은 주어진 상향링크 채널을 통하여 선호하는 빔들에 대한 인덱스 정보 및 관련 quality 정보를 보고할 수 있다. 즉, 단말은 BRS로부터 다양한 빔에 대한 채널을 측정한 후 다음과 같은 beam state information (BSI)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한 후 기지국으로 보고한다:If the UE confirms the channel information for the beams transmitted by the different OFDM symbol by port through the BRS transmitted in the TBA subframe, the UE can select the index of the preferred beam and calculate the quality information of the preferred beam . After that, the UE can report index information and related quality information for preferred beams through a given uplink channel. That is, after measuring the channels for various beams from the BRS, the terminal generates at least one of the following beam state information (BSI), and then reports to the base station:

- BI (beam index): 선호하는 Y개의 빔 인덱스들. 해당 인덱스는 별도의 빔에 대한 인덱스로 매핑되어 있을 수도 있고 특정 빔이 전송되는 OFDM 심볼 정보와 포트 정보에 매핑되어 있을 수도 있다.- BI (beam index): Preferred Y beam indexes. The corresponding index may be mapped to an index for a separate beam, or may be mapped to OFDM symbol information and port information on which a specific beam is transmitted.

- BQI (beam quality information): 단말이 선택한 빔을 사용하였을 때 얻을 수 있는 수신 감도 또는 SINR (signal to interference/noise ratio)를 지수로 표현한 정보- BQI (beam quality information): Information obtained by exponentially representing the reception sensitivity or signal to interference / noise ratio (SINR) that can be obtained when a terminal uses a selected beam

- RI: 단말이 선호하는 spatial layer의 개수 정보로 상기 설명한 LTE에서와 같은 정의를 가진다.- RI: The number of spatial layers preferred by the UE has the same definition as in LTE described above.

- PMI: 가장 최근에 보고한 RI가 주어진 상황에서 단말이 선호하는 precoding matrix의 인덱스 정보- PMI: index information of the precoding matrix preferred by the UE in the situation where the most recently reported RI is given

- CQI: RI/PMI가 주어진 상황에서 특정 BLER (block error rate)을 만족하는 최대의 MCS (modulation and coding scheme) 레벨 정보- CQI: Maximum MCS (modulation and coding scheme) level information satisfying a specific BLER (block error rate) in a given RI / PMI

- RSRP: RS 수신 전력 정보- RSRP: RS receive power information

- RSRQ: RS 수신 전력 정보를 특정 자원에서 측정되는 신호의 세기로 나눈 값- RSRQ: The value of RS received power information divided by the strength of the signal measured in a specific resource.

기지국이 특정 단말로 전송하는 전송 빔 (Tx Beam)을 조정하거나 단말이 수신하는 수신 빔 (Rx Beam)을 조정하도록 하기 위하여 BRS 외에 beam refinement reference signal (BRRS)를 추가로 전송할 수 있다. 도 12에서 나타내었듯이 BRRS 신호가 서브프레임 n에서 스케줄되면 BRRS는 이후 r번째 서브프레임에서 전송될 수 있고 이후 k' 번째 서브프레임에서 단말은 수신한 BRRS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단말로 보고할 수 있다. 여기서 r은 0 또는 1과 같은 값으로 고정되어 있을 수도 있고 스케줄된 서브프레임의 인덱스에서 따라 다른 값으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k'은 고정된 값을 가지도록 설계될 수 있다. 여기서 스케줄링 이후 k'번째 서브프레임에서 전송되는 BRRS에 대한 피드백 정보는 상기 BRS에서와 같이 선호하는 Tx beam index 정보와 해당 Tx beam에 대한 선호하는 안테나 포트 인덱스 정보 및 관련 BSI가 보고될 수도 있다.The BS may further transmit a beam refinement reference signal (BRRS) in addition to the BRS in order to adjust a transmission beam (Tx Beam) to be transmitted to a specific terminal or to adjust a reception beam (Rx beam) received by the terminal. As shown in FIG. 12, if the BRRS signal is scheduled in the subframe n, then the BRRS can be transmitted in the rth subframe, and then the UE can report feedback information on the received BRRS to the UE in the k'th subframe. Here, r may be fixed to a value equal to 0 or 1, or may be determined to be a different value according to an index of a scheduled subframe. Also, k 'can be designed to have a fixed value. Here, the feedback information for the BRRS transmitted in the k'th subframe after the scheduling may be reported as the preferred Tx beam index information, the preferred antenna port index information for the Tx beam, and the related BSI as in the BRS.

상기 BRS나 BRRS는 기지국의 안테나 포트 별 단말의 채널 상태를 확인하기 위하여 주로 사용된다. 반면에 기지국은 다수의 안테나 포트가 동시에 특정 단말로 데이터를 송신 하도록 사용되었을 때의 채널 상태를 추가로 확인하기 위하여 하나 또는 다수의 CSI-RS를 단말로 할당하고 단말은 해당 CSI-RS로부터 측정된 RI/PMI/CQI를 기지국으로 보고할 수 있다. 도 13은 CSI-RS가 전송될 수 있는 자원의 위치의 예를 나타낸다. 예시에서 CSI-RS는 포트당 2 RB 내에 세 개의 RE를 사용하여 전 영역에 걸쳐 전송된다. 일반적으로 CSI-RS는 상기 도 9에 나타낸 기지국이 가지는 안테나 포트 개수에 해당하는 포트 개수를 사용하며 단말은 해당 CSI-RS를 수신하여 CSI-RS 포트 개수에 대한 RI/PMI/CQI를 기지국으로 보고한다. 다시 말해 상기 도 9에서 2개의 안테나 포트를 가지는 기지국의 경우에는 CSI-RS 두 포트를 단말로 할당하여 해당 RI/PMI/CQI를 피드백 받을 수 있고, 4개의 안테나 포트를 가지는 기지국의 경우에는 CSI-RS 네 포트를 단말로 할당하여 해당 RI/PMI/CQI를 피드백 받을 수 있으며, 8개의 안테나 포트를 가지는 기지국의 경우에는 CSI-RS 여덟 포트를 단말로 할당하여 해당 RI/PMI/CQI를 피드백 받을 수 있다.The BRS and the BRRS are mainly used for checking the channel state of a terminal for each antenna port of a base station. On the other hand, the BS allocates one or a plurality of CSI-RSs to the MS in order to further check the channel state when a plurality of antenna ports are simultaneously used to transmit data to a specific MS, RI / PMI / CQI to the base station. 13 shows an example of the location of a resource to which the CSI-RS can be transmitted. In the example, the CSI-RS is transmitted over the entire area using three REs within 2 RBs per port. In general, the CSI-RS uses the number of ports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antenna ports of the base station shown in FIG. 9, and the terminal receives the corresponding CSI-RS and reports RI / PMI / CQI for the number of CSI- do. In the case of a base station having two antenna ports in FIG. 9, two ports of CSI-RS may be allocated to a terminal to feed back the corresponding RI / PMI / CQI. In the case of a base station having four antenna ports, In the case of a base station having 8 antenna ports, eight terminals of CSI-RS are allocated to terminals and feedback of corresponding RI / PMI / CQI is received. have.

상기 설명한 BRS, BRRS 및 CSI-RS의 활용은 2, 4, 또는 8 안테나 포트로 운용되는 기지국의 안테나 배열들이 모두 하나의 동일 위치에 배치되어 특정 셀 영역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는 가정으로 기술되었다. 도 14와 15는 각각 4와 8 안테나 포트로 운용되는 기지국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낸다. 예시들에서 기지국은 4 또는 8개의 안테나 포트를 운용하기 위하여 RF와 두 개 또는 네 개의 안테나 배열을 하나의 RU로 구비하고 해당 안테나 배열들은 동일 위치에 배치되어 특정 셀 영역으로 데이터를 송수신 하게 된다. 이 경우에 기지국은 상기 설명한 방법과 같이 4 또는 8 포트에 해당하는 BRS, BRRS, CSI-RS를 운용하게 된다. 도 14와 15에서 RU는 안테나 배열 별로 별도의 RF를 포함하는 것으로 나타내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하나의 RF가 다수의 안테나 배열로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use of BRS, BRRS, and CSI-RS described above has been described assuming that antenna arrays of base stations operating at 2, 4, or 8 antenna ports are all located at the same location to transmit / receive data to specific cell areas. 14 and 15 show an example of a base station apparatus operating with 4 and 8 antenna ports, respectively. In the examples, the base station includes RF and two or four antenna arrays in one RU to operate four or eight antenna ports, and the antenna arrays are arranged at the same position to transmit / receive data to a specific cell area. In this case, the BS operates BRS, BRRS, and CSI-RS corresponding to 4 or 8 ports as described above. In FIG. 14 and FIG. 15, the RU includes a separate RF for each antenna array,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it is also possible for one RF to be connected to a plurality of antenna arrays.

상기 설명한 것과 같이 기지국은 2, 4, 또는 8 개의 안테나 포트를 가지는 RU를 사용하여 특정 셀 영역으로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 각각의 경우에 기지국은 2, 4, 또는 8 포트의 BRS/BRRS/CSI-RS를 단말로 할당한 후 주어진 타이밍에 RS를 전송하고 단말은 해당 포트 개수에 대응하여 채널 추정 및 보고 동작을 수행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base station can provide data services to specific cell areas using RUs having 2, 4, or 8 antenna ports. In each case, the BS allocates 2, 4, or 8 ports of BRS / BRRS / CSI-RS to the MS and then transmits RS at a given timing. The MS performs channel estimation and reporting operations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ports do.

4 또는 8 안테나 포트의 경우와 같이 다수의 안테나 배열이 하나의 셀 영역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하는 도 14와 15의 경우에는 해당 셀 영역의 최대 데이터 처리 용량을 증가시키는 관점에서 장점을 가지지만, 작은 셀 영역과 같이 특정 셀 영역에서 동시에 많은 데이터 처리를 요구하지 않는 경우에는 다수의 안테나 배열이 하나의 셀 영역에 배치되는 것이 비효율적일 수 있다. 따라서 도 16에서처럼, 4개 안테나 배열에 해당하는 데이터 처리 용량을 지원하는 DU 또는 해당 DU 처리 단위가 하나의 셀 영역으로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장치를 도입하도록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해당 하나의 DU 또는 DU 처리 단위가 분산 배치된 4개의 안테나 배열들로 연결된 후 4개의 분리된 영역으로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할 수 있으면 DU 자원 활용 관점에서 장점을 가질 수 있다. 도 16의 왼쪽 시스템처럼 하나의 DU 또는 DU 처리 단위가 특정 하나의 영역으로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사용되는 경우를 Conventional MIMO (C-MIMO)라고 하면, 오른쪽 시스템처럼 하나의 DU 또는 DU 처리 단위가 분산 배치된 다수의 안테나 배열로의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를 Distributed MIMO (D-MIMO) 또는 분산 안테나 시스템이라 부른다.In the case of FIGS. 14 and 15, in which a plurality of antenna arrays transmit and receive data to and from one cell area as in the case of a 4 or 8 antenna port, the advantage is that the maximum data processing capacity of the corresponding cell area is increased. It is inefficient for a plurality of antenna arrays to be arranged in one cell area when a large amount of data processing is not required simultaneously in a specific cell area such as a cell area. Therefore, as shown in FIG. 16, it is possible not only to introduce a device that supports data processing capacity corresponding to the four antenna arrays, or a corresponding DU processing unit to provide data service in one cell area, The DU processing unit can be advantageous in terms of DU resource utilization if it can provide data services in four separate areas after being connected to the four antenna arrays distributed in a distributed manner. If one DU or DU processing unit is used to provide data service to a specific area, such as the left system of FIG. 16, is referred to as conventional MIMO (C-MIMO), one DU or DU processing unit The case of providing data service to a plurality of arranged antenna arrays is called Distributed MIMO (D-MIMO) or a distributed antenna system.

본 발명에서는 상기 설명한 초고주파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도 16에 나타낸 D-MIMO 상황을 효율적으로 운용하기 위한 기준신호 (reference signal, RS)의 활용 방법을 알아본다. 즉, 본 발명에서는 단말이 Area 1로부터 Area 4까지를 같은 셀로 인식하여 핸드오버 없이 이동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기지국은 해당 단말이 어떤 영역에 위치하는지를 확인하여 각 영역에 설치된 안테나 배열들이 독립적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of utilizing a reference signal (RS) for efficiently operating the D-MIMO situation shown in FIG. 16 in the above-described high-frequency mobile communication system will be described. 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inal recognizes Area 1 to Area 4 as the same cell and moves without handover, but the base station confirms the location of the corresponding terminal in the area, so that the antenna arrays installed in each area can be used independently .

도 17에서 나타낸 것처럼 D-MIMO의 경우에 기지국은 각 안테나 배열 별로 서로 다른 포트에 해당하는 BRS를 전송한다. 즉, Area 1의 두 개 안테나 포트에서는 BRS port 0과 1을 각 POL별로 전송하고, Area 2에서는 BRS port 2와 3, Area 3에서는 BRS port 4와 5, 그리고 Area 4에서는 BRS port 6과 7을 전송하도록 한다. 여기서 각 BRS port에 대한 전송 방식은 도 11에서 나타낸 것과 같다. 사실상 BRS port와 안테나 배열들의 매핑 방법은 C-MIMO의 경우나 D-MIMO의 경우와 다를 바 없지만 BRS에 대한 단말의 피드백에 대한 해석은 두 경우에 달라지게 된다. 즉, 기지국의 첫 번째 안테나 배열에서는 BRS port 0과 1을 전송하고, 두 번째 안테나 배열에서는 BRS port 2와 3, 세 번째 안테나 배열에서는 BRS port 4와 5, 그리고 네 번째 안테나 배열에서는 BRS port 6과 7을 전송하는 관점에서 C-MIMO와 D-MIMO는 같은 방법으로 동작하지만, 이에 대하여 단말이 보고한 BI (beam index)에 대한 해석은 두 경우에 달라지게 된다. C-MIMO의 경우는 단말이 보고한 빔 인덱스를 통해 해당 단말이 선호하는 최적의 빔을 기지국이 확인하기 위하여 사용하지만, D-MIMO의 경우에는 안테나 포트에 의해 구분되는 인덱스들을 해당 단말이 존재하는 영역을 구분하기 위하여 사용하고 나머지 인덱스들은 해당 영역에서 단말이 선호하는 빔을 기지국이 확인하기 위하여 사용한다. 더 자세히 말하면, C-MIMO의 경우에 단말이 BRS를 수신한 후 BI를 보고하면 기지국은 BI에 해당하는 빔이 단말로의 최적의 빔인 것을 확인하고 해당 빔을 사용하여 단말로 이후 신호 전송을 수행한다. 하지만 D-MIMO의 경우에는 기지국이 BI를 보고 받으면 기지국은 BI가 어떤 안테나 포트에 해당하는지를 우선 확인한 후 이를 통해 해당 안테나 포트가 위치하는 영역을 확인하고 해당 영역에서의 최적 빔을 사용하여 단말로 이후 신호 전송을 수행한다.As shown in FIG. 17, in the case of D-MIMO, the BS transmits a BRS corresponding to a different port for each antenna array. That is, in two antenna ports of Area 1, BRS ports 0 and 1 are transmitted for each POL. In Area 2, BRS ports 2 and 3, BRS ports 4 and 5 in Area 3, and BRS ports 6 and 7 in Area 4 are transmitted . Here, the transmission method for each BRS port is as shown in FIG. In practice, the mapping method of the BRS port and the antenna arrays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C-MIMO or the D-MIMO, but the interpretation of the feedback of the terminal to the BRS changes in both cases. That is, in the first antenna array of the base station, BRS ports 0 and 1 are transmitted. In the second antenna array, BRS ports 2 and 3 are transmitted. In the third antenna array, BRS ports 4 and 5 are transmitted. 7, C-MIMO and D-MIMO operate in the same way, but the interpretation of the beam index (BI) reported by the UE is different in both cases. In the case of C-MIMO, the BS uses an optimal beam preferred by the BS to identify the BS through the beam index reported by the MS. However, in the case of D-MIMO, The remaining indexes are used to identify the beam preferred by the terminal in the corresponding area. More specifically, in the case of C-MIMO, if the terminal reports a BI after receiving the BRS, the BS confirms that the beam corresponding to the BI is the optimal beam to the terminal, and then transmits the signal to the terminal using the corresponding beam do. However, in the case of D-MIMO, when the base station reports the BI, the BS first confirms which antenna port the BI corresponds to and then checks the area where the corresponding antenna port is located, And performs signal transmission.

도 18은 D-MIMO의 경우에 기지국이 전송하는 BRRS의 포트 매핑 방법을 나타낸다. 상기 설명한 것과 같이 기지국이 특정 단말로 전송하는 전송 빔 (Tx Beam)을 조정하거나 단말이 수신하는 수신 빔 (Rx Beam)을 조정하도록 하기 위하여 기지국은 BRS 외에 BRRS를 추가로 전송할 수 있다. BRRS의 BRS의 경우와 비슷하게 기지국은 각 안테나 배열 별로 서로 다른 포트에 해당하는 BRRS를 전송한다. 즉, Area 1의 두 개 안테나 포트에서는 BRRS port 0과 1을 전송하고, Area 2에서는 BRRS port 2와 3, Area 3에서는 BRRS port 4와 5, 그리고 Area 4에서는 BRRS port 6과 7을 전송하도록 한다. 이 후 D-MIMO의 경우에는 기지국이 BRRS에 대한 BI를 보고 받으면 기지국은 BI가 어떤 안테나 포트에 해당하는지를 우선 확인한 후 이를 통해 해당 안테나 포트가 위치하는 영역을 확인하고 이후 해당 정보를 활용하여 신호 전송을 수행한다.18 shows a port mapping method of a BRRS transmitted by a base station in the case of D-MIMO. As described above, the BS may additionally transmit a BRRS in addition to the BRS in order to adjust a transmission beam (Tx Beam) to be transmitted to a specific terminal or to adjust a reception beam (Rx beam) received by the terminal. Similar to the case of BRS, the base station transmits BRRS corresponding to different ports for each antenna array. In other words, two antenna ports of Area 1 transmit BRRS ports 0 and 1, BRRS ports 2 and 3 are transmitted in Area 2, BRRS ports 4 and 5 are transmitted in Area 3, and BRRS ports 6 and 7 are transmitted in Area 4 . In the case of D-MIMO, if the base station reports BI to the BRRS, the base station first checks which antenna port corresponds to the BI, and then identifies an area where the corresponding antenna port is located. Then, .

도 19는 D-MIMO의 경우에 기지국의 CSI-RS 전송 방법을 나타낸다. 상기 설명한 것과 같이 기지국은 다수의 안테나 포트가 동시에 특정 단말로 데이터를 송신 하도록 사용되었을 때의 채널 상태를 추가로 확인하기 위하여 하나 또는 다수의 CSI-RS 자원을 단말로 할당하고 단말은 해당 CSI-RS 자원으로부터 측정된 RI/PMI/CQI를 기지국으로 보고할 수 있다. 기지국이 D-MIMO로 동작하는 경우 기지국은 BRS나 BRRS에 대한 단말의 BI 보고를 통하여 단말이 어떤 안테나 배열에 해당하는 영역에 존재하는 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이 후 기지국은 각 영역에 속한 단말들을 구분하여 별도의 스케줄링을 수행할 것이고 각각의 영역은 두 개의 안테나 포트로 동작할 것이기 때문에 D-MIMO 상황에서는 기지국은 각 영역별로 두 포트 CSI-RS에 대한 피드백만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기지국이 D-MIMO로 동작하는 경우에는 하나의 DU 또는 DU 처리 단위가 각 안테나 배열에 해당하는 영역별로 2 port의 CSI-RS를 전송하고 단말이 어떤 영역에 존재하느냐에 따라 별도의 CSI-RS를 운용하고 해당 RI/PMI/CQI 보고를 받아 이후 영역별로 별도의 스케줄링을 수행하게 된다. 즉, 상기 설명한 C-MIMO의 경우에는 기지국이 8개의 안테나 포트를 가지면 8 port CSI-RS를 사용하여 단말로 8 포트에 대한 피드백을 수행 받고, 이후 8포트를 사용하여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게 된다. 반면에 D-MIMO의 경우에는 영역별로 별도의 2 port CSI-RS를 단말로 할당하고 이에 대한 피드백으로 영역별 스케줄링 및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게 된다.19 shows a CSI-RS transmission method of a base station in the case of D-MIMO. As described above, the BS allocates one or a plurality of CSI-RS resources to the UEs to further check the channel state when the plurality of antenna ports are simultaneously used to transmit data to a specific UE, The measured RI / PMI / CQI from the resource can be reported to the base station. When the base station operates as D-MIMO, the base station can check whether the terminal exists in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antenna array through the BI reporting of the terminal for the BRS or BRRS. In the D-MIMO situation, since the base station will perform separate scheduling by dividing the terminals belonging to each region, each region will operate with two antenna ports. Therefore, in the D-MIMO situation, . Therefore, when the base station operates as D-MIMO, one DU or DU processing unit transmits 2 ports of CSI-RS for each area corresponding to each antenna array and a separate CSI-RS according to the area where the UE exists. And receives the RI / PMI / CQI report and performs separate scheduling for each subsequent area. That is, in the case of the C-MIMO described above, if the base station has 8 antenna ports, the 8-port CSI-RS is used to perform feedback on the 8-port and then the 8-port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is performed.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D-MIMO, a separate 2-port CSI-RS is assigned to the UE for each region, and scheduling and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are performed on the basis of the feedback.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MIMO 기지국 동작을 나타낸다. 도 2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기지국이 900 단계에서 D-MIMO 방식으로 설정된 경우에 기지국은 910 단계에서 도 17, 18과 같은 방법으로 각 안테나 배열에 대응하는 각 영역 별로 BRS, BRRS 포트 전송을 수행하고 이후 단말로부터 해당 BRS 또는 BRRS에 대한 피드백을 수신한다. 920 단계에서 기지국은 910 단계에서 수신한 피드백 정보 중 BI를 통하여 단말이 존재하는 영역을 확인하고 930 단계로 진행하여 각 영역별로 존재하는 단말들로 CSI-RS를 할당/전송한 후 해당 CSI-RS에 대한 피드백을 수신한다. 마지막으로 기지국은 940 단계에서 해당 피드백 정보를 활용하여 영역 별로 별도 스케줄링을 수행하고 스케줄링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정보와 이에 대응하는 PDSCH를 전송하게 된다.20 illustrates D-MIMO base station op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20, when the base station is set to the D-MIMO scheme in step 900, the base station performs BRS and BRRS port transmission in each area corresponding to each antenna array in step 910 in the same manner as in FIGS. And then receives feedback on the corresponding BRS or BRRS from the terminal. In step 920, the base station checks the area where the UE exists by using the BI among the feedback information received in step 910, and allocates / transmits the CSI-RS to the UEs existing in each area in step 930, Lt; / RTI > Finally, in step 940, the BS performs separate scheduling using the feedback information, and transmits control information including scheduling information and a corresponding PDSCH.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기지국의 장치도를 나타낸다. 기지국의 통신부는 단말로 PSS/SSS, 기준신호(RS), 및 데이터 등의 신호를 전송하고 단말로부터의 데이터 및 채널 피드백 정보 등을 수신한다. 제어부는 종류별로 정해진 신호를 생성하고 안테나 포트 별로 기준 신호를 매핑하는 역할을 하고 피드백 정보를 활용하여 단말의 데이터를 특정 자원에 매핑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제어부는 별도의 자원할당부를 가지고 있을 수도 있고 해당 기능을 제어부의 일부 기능으로 수행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제어부는 DU에 포함될 수 있고 통신부는 RU의 주요 장치로 포함될 수 있다.21 shows a device diagram of a base s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munication unit of the base station transmits a signal such as a PSS / SSS, a reference signal (RS), and data to the terminal, and receives data and channel feedback information from the terminal. The control unit generates a predetermined signal for each type, maps the reference signal for each antenna port, and maps the data of the terminal to specific resources using feedback information. For this purpose, the control unit may have a separate resource allocation unit and may perform the corresponding function with some functions of the control unit. In general, the control unit can be included in the DU and the communication unit can be included as the main device of the RU.

도 21은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기지국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FIG. 2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base st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도 21을 참조하면,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기지국(1000)은 제어부(1010)과 송신부(1020), 수신부(1030)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21, a base station 10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ncludes a control unit 1010, a transmission unit 1020, and a reception unit 1030.

제어부(1010)는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초고주파 이동통신 시스템에 적합한 새로운 시간-주파수 자원 활용 구조 및 빔포밍 활용을 위한 새로운 기준신호 전송 방법을 수행하기에 필요한 전반적인 기지국의 동작을 제어한다. The controller 101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base station, which is required to perform a new time-frequency resource utilization structure and a new reference signal transmission method for utilizing beamforming, which are suitable for the high-frequency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송신부(1020)와 수신부(1030)는 전술한 본 발명을 수행하기에 필요한 신호나 메시지, 데이터를 단말과 송수신하는데 사용된다. The transmitting unit 1020 and the receiving unit 1030 are used to transmit and receive signals, messages, and data necessary for carrying out the present invention to and from the terminal.

도 22는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2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도 22를 참조하면,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사용자 단말(1100)은 수신부(1110) 및 제어부(1120), 송신부(1130)을 포함한다.22, a user terminal 1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ceiving unit 1110, a control unit 1120, and a transmitting unit 1130.

수신부(1110)는 기지국으로부터 하향링크 제어정보 및 데이터, 메시지를 해당 채널을 통해 수신한다.The receiving unit 1110 receives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ata, and messages from the base station through the corresponding channel.

또한 제어부(1120)는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초고주파 이동통신 시스템에 적합한 새로운 시간-주파수 자원 활용 구조 및 빔포밍 활용을 위한 새로운 기준신호 전송 방법을 수행하기에 필요한 전반적인 단말의 동작을 제어한다. Also, the controller 112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UE, which is required to perform a new time-frequency resource utilization structure and a new reference signal transmission method for utilizing beamforming, which are suitable for the high-frequency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송신부(1130)는 기지국에 상향링크 제어정보 및 데이터, 메시지를 해당 채널을 통해 전송한다.The transmitter 1130 transmits uplink control information, data, and a message to the base station through the corresponding channel.

전술한 실시예에서 언급한 표준내용 또는 표준문서들은 명세서의 설명을 간략하게 하기 위해 생략한 것으로 본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한다. 따라서, 위 표준내용 및 표준문서들의 일부의 내용을 본 명세서에 추가하거나 청구범위에 기재하는 것은 본 발명의 범위에 해당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The standard content or standard documents referred to in the above-mentioned embodiments constitute a part of this specification, for the sake of simplicity of description of the specification. Therefor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content of the above standard content and some of the standard documents is added to or contain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foregoing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illustrate rather than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

기지국이 Distributed MIMO 방식으로 설정되는 단계;
상기 기지국의 안테나 배열별로 BRS, BRRS를 전송하고 단말로부터 피드백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한 상기 피드백을 통해 상기 단말의 존재 영역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안테나 배열별로 CSI-RS를 전송하고 피드백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안테나 배열별로 스케줄링을 수행하고 제어 정보 및 PDSCH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초고주파 이동통신 시스템의 분산 안테나를 통한 데이터 송수신 방법.
The base station is set to a Distributed MIMO scheme;
Transmitting BRS and BRRS for each antenna array of the base station and receiving feedback from the terminal;
Confirming the existence area of the terminal through the feedback received from the terminal;
Transmitting CSI-RS and receiving feedback for each antenna array; And
Performing scheduling for each antenna array, and transmitting control information and a PDSCH
And transmitting the data through the distributed antenna.
KR1020160081097A 2016-06-28 2016-06-28 Method and device for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in mmWave communication systems with distributed antennas KR2018000212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1097A KR20180002129A (en) 2016-06-28 2016-06-28 Method and device for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in mmWave communication systems with distributed antenna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1097A KR20180002129A (en) 2016-06-28 2016-06-28 Method and device for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in mmWave communication systems with distributed antenna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2129A true KR20180002129A (en) 2018-01-08

Family

ID=610037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1097A KR20180002129A (en) 2016-06-28 2016-06-28 Method and device for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in mmWave communication systems with distributed antenna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2129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88765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wireless communications over subsets of contiguous subcarriers
US910086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reference signal for reducing intercell interference in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communication system
EP352240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channe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14320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reference signal in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communication system
US11678206B2 (en) Terminal, base station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using a plurality of synchronization signal blocks
KR101491944B1 (en) Method and apparatus of primary cell indication for enhanced control channel demodulation
KR101792510B1 (en) Method and device whereby base station allocates nodes to terminal in a semi-static fashion in multi-node system
KR10162296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 channel transmission and reception
US10720973B2 (en) Method for ultra-high frequency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ransreceiving reference signal and feedback and apparatus for same
KR101642311B1 (en) The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CoMP reference signal
CN111587556B (en) User device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CN11256768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ing and indicating beam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0097251B2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method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of user equipment, method for receiving information of base station, and user equipment and base station thereof
KR20140116704A (en) Method and apparatus of supporting comp considering nc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1677521B2 (en) User terminal, radio base station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KR20170093675A (en) METHOD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IN mmWAVE COMMUNICATION SYSTEMS WITH MASSIVE ANTENNA ARRAYS AND APPARATUSES THEREOF
KR20170123577A (en) Methods for sign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with multiple beam management modes and apparatuses thereof
KR20140116705A (en) Method and apparatus of supporting comp considering nc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2379542B1 (en) METHODS FOR TRANSMITTING AND RECEVING REFERENCE SIGNALS AND FEEDBACKS IN mmWAVE COMMUNICATION SYSTEMS AND APPARATUSES THEREOF
KR20170052456A (en) Methods for sign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over high frequency bands and apparatuses thereof
KR20180002129A (en) Method and device for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in mmWave communication systems with distributed antennas
KR101901210B1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method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with user equipment, method for receiving information with base station, user equipment and base station thereo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