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1709U - 전공칼 - Google Patents

전공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1709U
KR20180001709U KR2020160006963U KR20160006963U KR20180001709U KR 20180001709 U KR20180001709 U KR 20180001709U KR 2020160006963 U KR2020160006963 U KR 2020160006963U KR 20160006963 U KR20160006963 U KR 20160006963U KR 20180001709 U KR20180001709 U KR 2018000170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knife
handle
hollow
bl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69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8029Y1 (ko
Inventor
김재우
김대영
백승철
서성호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600069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8029Y1/ko
Publication of KR2018000170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170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80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802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 H02G1/12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by cutting and withdrawing insulation
    • H02G1/1204Hand-held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00Hand knives with adjustable blade; Pocket knives
    • B26B1/08Hand knives with adjustable blade; Pocket knives with sliding bla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9/00Blades for hand kniv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 H02G1/12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by cutting and withdrawing insulation
    • H02G1/1204Hand-held tools
    • H02G1/1207Hand-held tools the cutting element not rotating about the wire or cabl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Knive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공칼은, 손잡이부 및 상기 손잡이부에 삽입되는 몸체부와 상기 손잡이부 외측면에 인접하도록 위치하여, 전선 피복을 커팅할 수 있는 칼날부를 가지는 커팅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팅부는, 상기 칼날부에 힘이 가해져 상기 피복이 커팅될 경우, 상기 손잡이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칼날부가 상기 피복에서 이탈 될 경우, 상기 손잡이부를 향해 이동될 수 있다.

Description

전공칼{ELECTRICTION KNIFE}
본 고안은 전공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선을 상호 연결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전선 단부의 내/외부 피복을 제거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전선의 내/외 피복 제거를 위해서는 일명 전선작업용 공구 즉, 전선의 연결 및 피복, 절단작업 등에 사용되는 각종 공구들을 이용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공구들로는 니퍼, 펜치, 롱노우즈, 플라이어, 가위, 스트리퍼 및 칼날부 등이 널리 사용되어 지고 있다.
그런데 많은 현장에서는 상기와 같은 각종 공구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절단된 톱날 등과 같은 폐자재를 이용하여 선반 등을 이용한 수작업으로 손잡이도 없는 칼 또는 가위 형태의 전선 피복 기구를 제작하여 전선 내/외피 제거용 공구로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칼 형태로 제작되는 전선 피복 기구를 이용하여 전선 내/외 피복 제거 할 경우, 사용자는 손목 및 팔목 등에 자상 등과 같은 사고가 발생하기 쉬우며, 이러한 사고는 사용자의 생명을 위협할 정도로 치명적일 수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전선은 가늘고 길이가 길다. 이와 같은 전선의 피복을 제거할 때, 부상을 방지하란 매우 까다롭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배경을 바탕으로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은 사용자의 부상을 방지하면서 전선 단부의 피복을 제거 시킬 수 있는 전공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공칼은, 손잡이부 및 상기 손잡이부에 삽입되는 몸체부와 상기 손잡이부 외측면에 인접하도록 위치하여, 전선 피복을 커팅할 수 있는 칼날부를 가지는 커팅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팅부는, 상기 칼날부에 힘이 가해져 상기 피복이 커팅될 경우, 상기 손잡이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칼날부가 상기 피복에서 이탈 될 경우, 상기 손잡이부를 향해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몸체부가 내입되도록 형성된 제1 중공부의 내측벽 위치하여, 상기 몸체부와 연결되는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부와 상기 지지부는 스프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제1 중공부의 끝단에서, 상기 제1 중공부 중심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몸체부의 이동을 막는 제1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팅부와 반대 방향으로 상기 손잡이부에 삽입되어, 상기 커팅부를 돌출시킬 수 있는 가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에는, 상기 가압부의 일부가 내입되는 제2 중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중공부의 끝단에서 상기 제2 중공부 중심 방향으로 돌출 되어 상기 가압부의 이탈을 막는 제2 가이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압부는, 상기 지지부를 관통하여 상기 커팅부에 접하는 푸쉬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중공부의 내측벽과 상기 가압부 사이에는 탄성부재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칼날부는 고리 형태로 절곡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공칼은, 사용자의 부상을 방지하면서 전선 단부의 피복을 제거 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공칼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전공칼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전공칼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1에 도시한 전공칼의 내부 작동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고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고안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공칼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전공칼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전공칼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를 참고하면, 전공칼(100)은 손잡이부(10)와 손잡이부(10)에 연결되는 커팅부(20)를 포함할 수 있다.
손잡이부(10)는 대략 직육면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손쉽게 파지할 수 있도록 외면이 곡면으로 되어있다. 손잡이부(10) 내부로 커팅부(20) 및 가압부(30)가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손잡이부(10)의 일측에는 커팅부(20)가 삽입될 수 있는 제1 중공부(11)가 형성되고, 손잡이부(10)의 타측에는 가압부(30)가 삽입될 수 있는 제2 중공부(12)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중공부(11)의 단부에는 커팅부(2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제1 가이드(13)가 제1 중공부(11) 중심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 중공부(12)의 단부에는 가압부(3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제2 가이드(14)가 제2 중공부(12) 중심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커팅부(20) 및 가압부(30)는 손잡이부(10)에서 이탈되지 않고 연결될 수 있으며, 특히 커팅부(20)는 제1 가이드(13)에 의해 지지되면서 전선(40)의 피복(42)을 커팅할 수 있다.
커팅부(20)에는 전선(40)의 피복(42)을 커팅할 수 있는 칼날부(21)가 형성되어 있다. 커팅부(20)는 손잡이부(10)에 삽입되는 몸체부(22)를 포함하고, 칼날부(21)는 몸체부(22)와 연결되어 손잡이부(10) 외측면에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즉, 칼날부(21)는 손잡이부(10) 외측으로 돌출되나, 손잡이부(10) 외측면에 인접하게 위치하여, 전선(40)의 피복(42)을 커팅하는 작업을 하지 않을 경우에 사용자의 손목 또는 팔목 등과 접촉되지 않을 수 있다.
몸체부(22)는 손잡이부(10) 내부에 위치하는 지지부(15)와 스프링(17)으로 연결될 수 있다. 몸체부(22)는 손잡이부(10) 내부에 형성된 제1 중공부(11)를 보다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제1 중공부(11) 내측면 형상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중공부(11)의 단면이 사각형으로 형성될 경우, 몸체부(22)의 단면도 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 중공부(11)의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될 경우, 몸체부(22)의 단면도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몸체부(22)는 제1 중공부(11)에 안정적으로 삽입될 수 있어 이동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커팅부(20)는 손잡이부(10)로부터 안정적으로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지지부(15)와 몸체부(22) 사이에 스프링(17)을 나란하게 설치할 수 있어, 스프링(17)에 의해 발생되는 탄성력이 커팅부(20)에 보다 안정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칼날부(21)는 일측면에 칼날(21a)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칼날부(21)의 단부는 고리 형태로 절곡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보다 효율적으로 전선(40)의 피복(42)을 커팅할 수 있다. 즉, 고리 형태로 칼날부(21)의 단부를 절곡할 경우, 사용자는 무리하게 힘을 가하지 않아도 전선(40)의 피복(42)에 큰 압력을 가할 수 있어, 보다 용이하게 전선(40)의 피복(42)을 커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고리 형태로 절곡된 칼날부(21)의 내측에만 칼날(21a)을 형성하여 커팅 효율을 향상시키면서, 사용 중에 발생될 수 있는 자상과 같은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전선(40)의 피복(42)을 커팅할 때, 칼날부(21)는 손잡이부(10)로부터 돌출된다. 예를 들면, 칼날부(21)를 전선(40)의 피복(42)에 꽂는다. 전선(40)의 피복(42)은 절연체로 이루어져 두께가 있다. 이러한 전선(40)의 피복(42)은 칼날부(21)에 커팅방향으로 힘을 가해 커팅할 수 있다. 칼날부(21)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몸체부(22)는 손잡이부(10) 내부에서 손잡이부(10) 단부로 이동된다. 몸체부(22)는 제1 중공부(11)의 단부까지 이동하게 되면, 제1 중공부(11) 끝단에 형성된 제1 가이드(13)에 의하여 이동은 멈추게 된다. 이후, 칼날부(21)는 전선(40)의 피복(42)을 커팅하게 된다. 몸체부(22)의 이동에 따라, 스프링(17)은 인장되며, 전선(40)의 피복(42)을 커팅하는 작업이 완료되거나, 칼날부(21)가 전선(40)으로부터 이탈되어 칼날부(21)에 가해지는 힘이 제거될 경우에, 스프링(17)의 탄성력에 의해 커팅부(20)는 신속하게 원위치로 복원될 수 있다. 즉, 커팅부(20)의 칼날부(21)는 손잡이부(10)의 외측면으로 인접하도록 신속하게 이동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칼날부(21)에 의한 자상 등의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가압부(30)는 커팅부(20)의 반대방향으로 손잡이부(10)와 연결될 수 있다. 가압부(30)의 일부는 커팅부(20)의 반대방향으로 손잡이부(10)에 삽입되고, 커팅부(20)의 돌출방향으로 커팅부(20)를 가압하여 돌출시킬 수 있다.
가압부(30)는 손잡이부(10)에 형성된 제2 중공부(12)에 삽입되며, 제2 중공부(12)의내측벽과 지지부(15)를 관통하여 커팅부(20)의 몸체부(22)에 접하는 푸쉬바(32)를 포함할 수 있다. 푸쉬바(32)는 얇게 가는 금속 막대로 형성될 수 있다. 푸쉬바(32)와 몸체부(22)는 결합되지는 않는다. 푸쉬바(32)는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푸쉬바(32)는 가압부(30)에 가해지는 가압력을 커팅부(20)에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굵은 전선(40)의 피복(42)을 커팅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손잡이부(10)와 인접하게 위치하는 칼날부(21)로 인해 사용상 불편을 겪을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가압부(30)를 눌러 커팅부(20)를 손잡이부(10)로부터 돌출 시킬 수 있다.
가압부(30)와 제2 중공부(12)의 내측벽 사이에는 탄성부재(34)가 설치될 수 있다. 탄성부재(34)는 눌려진 가압부(30)를 원래 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 탄성부재(34)는 스프링일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압부(30)가 눌려진 경우 탄성부재(34)는 압축된다. 커팅부(20)의 칼날부(21)가 굵은 전선(40)의 피복에 접하게 되면, 커팅부(20)로부터 가압부(30)에 작용되는 반력이 줄어들게 된다. 이때, 압축된 탄성부재(34)는 탄성력에 의해 가압부(30)를 원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도 1에 도시한 전공칼의 내부 작동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 및 5를 참고하면, 먼저, 전선(40)의 피복(42)에 칼날부(21)를 꽂는다. 이후, 손잡이부(10)에 커팅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면, 칼날부(21)는 전선(40)의 피복(42)에 꽂힌 채로 커팅부(20)는 손잡이부(10)에서 돌출된다. 커팅부(20)의 몸체부(22)가 손잡이부(10)에 형성된 제1 중공부(11)의 제1 가이드(13)에 의해 이동이 멈출 때까지 커팅부(20)는 돌출된다. 이후, 손잡이부(10)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칼날부(21)가 커팅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전선(40)의 피복(42)을 커팅할 수 있다. 칼날부(21)는 고리 형상으로 절곡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전선(40)의 피복(42)에 커팅방향으로 힘을 용이하게 전달할 수 있어, 커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전선(40)은 가늘고 길어 단부의 피복(42)을 커팅하는 것은 그리 용이하지는 않다. 사용자는 부상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 전선(40)의 피복(42)을 커팅하는 중에, 칼날부(21)가 전선(40)에서 이탈되는 경우, 순간적으로 전선(40)을 파지하고 있던 손의 손목 또는 팔목에 칼날부(21)에 의한 자상과 같은 사고 발생의 위험이 크다.
따라서, 고리 형상의 칼날부(21)를 신속하게 손잡이부(10)에 인접시킴으로써 사고 발생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 칼날부(21)에는 일측면에만 칼날(21a)이 형성된다. 즉, 고리 형상의 내측면에만 칼날(21a)이 형성될 수 있다. 결국, 순간적으로 전선(40)을 파지하고 있던 손의 손목 또는 팔목에 전공칼(100)이 닿을 수는 있지만, 칼날부(21)가 외측으로 노출되지 않아 자상과 같은 사고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고안을 앞서 기재한 바에 따라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음에 기재하는 청구범위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자들은 쉽게 이해할 것이다.
100: 전공칼 10: 손잡이부
11: 제1 중공부 12: 제2 중공부
13: 제1 가이드 14: 제2 가이드
15: 지지부 17: 스프링
20: 커팅부 21: 칼날부
21a: 칼날 22: 몸체부
30: 가압부 32: 푸쉬바
34: 탄성부재 40: 전선
42: 피복

Claims (9)

  1. 손잡이부; 및
    상기 손잡이부에 삽입되는 몸체부와 상기 손잡이부 외측면에 인접하도록 위치하여, 전선 피복을 커팅할 수 있는 칼날부를 가지는 커팅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팅부는,
    상기 칼날부에 힘이 가해져 상기 피복이 커팅될 경우, 상기 손잡이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칼날부가 상기 피복에서 이탈 될 경우, 상기 손잡이부를 향해 이동되는 전공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몸체부가 내입되도록 형성된 제1 중공부의 내측벽 위치하여, 상기 몸체부와 연결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전공칼.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와 상기 지지부는 스프링으로 연결되는 전공칼.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제1 중공부의 끝단에서, 상기 제1 중공부 중심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몸체부의 이동을 막는 제1 가이드를 포함하는 전공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팅부와 반대 방향으로 상기 손잡이부에 삽입되어, 상기 커팅부를 돌출시킬 수 있는 가압부를 더 포함하는 전공칼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에는,
    상기 가압부의 일부가 내입되는 제2 중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중공부의 끝단에서 상기 제2 중공부 중심 방향으로 돌출 되어 상기 가압부의 이탈을 막는 제2 가이드가 형성된 전공칼.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지지부를 관통하여 상기 커팅부에 접하는 푸쉬바를 포함하는 전공칼.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중공부의 내측벽과 상기 가압부 사이에는 탄성부재가 위치하는 전공칼.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칼날부는 고리 형태로 절곡되는 전공칼.
KR2020160006963U 2016-11-30 2016-11-30 전공칼 KR20048802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6963U KR200488029Y1 (ko) 2016-11-30 2016-11-30 전공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6963U KR200488029Y1 (ko) 2016-11-30 2016-11-30 전공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709U true KR20180001709U (ko) 2018-06-08
KR200488029Y1 KR200488029Y1 (ko) 2018-12-05

Family

ID=625985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6963U KR200488029Y1 (ko) 2016-11-30 2016-11-30 전공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8029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2945B1 (ko) * 2021-03-15 2021-08-23 최창원 절단용 커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12161A (ja) * 1992-01-02 1993-08-24 Martor Argentax Eh Beermann Kg 縦移動可能に案内されるナイフ刃保持体を持つナイフ
KR20140001815U (ko) * 2012-09-20 2014-03-2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안전장치가 구비된 전공칼
KR20160001154U (ko) * 2014-09-30 2016-04-07 한국전력공사 전선 피복을 탈피하는 칼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12161A (ja) * 1992-01-02 1993-08-24 Martor Argentax Eh Beermann Kg 縦移動可能に案内されるナイフ刃保持体を持つナイフ
KR20140001815U (ko) * 2012-09-20 2014-03-2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안전장치가 구비된 전공칼
KR20160001154U (ko) * 2014-09-30 2016-04-07 한국전력공사 전선 피복을 탈피하는 칼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8029Y1 (ko) 2018-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9198679A (ja) シェービングブレードカートリッジ
US2843128A (en) Adenotome
EP2788157B1 (en) Cutting tool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US20160072264A1 (en) Multi-function wire stripping hand tool and kit and method for using same
US20140345061A1 (en) High voltage cable preparation tool
KR200488029Y1 (ko) 전공칼
WO2017172416A1 (en) Cable stripper
US20170125985A1 (en) Cutting structures of wire stripper
KR200476050Y1 (ko) 전동 전지가위
US3731561A (en) Mechanism for severing and simultaneously stripping wires covered by a sheet
US2724985A (en) Wire stripper
KR200486210Y1 (ko) 전선피복 탈피기
KR20130001285U (ko) 전선 내/외피 제거용 공구
KR20160001154U (ko) 전선 피복을 탈피하는 칼 및 그 방법
US3431645A (en) Electrician's tool for removing insulation from wires
KR200477987Y1 (ko) 헤어 커터
JP3131065U (ja) 握り鋏
KR200295902Y1 (ko) 접착테이프 커팅장치
KR101663391B1 (ko) 다기능 사무용 칼
KR101956966B1 (ko) 개폐 작업공구
KR101723596B1 (ko) 가위
JP5833072B2 (ja) 間接活線作業用の先端工具
KR102500078B1 (ko) 케이블 단말 피복 스트리핑 장치
KR100913457B1 (ko) 손톱깎기
KR102027691B1 (ko) 출몰형 칼을 갖는 가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