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1063A - 이차 전지 - Google Patents

이차 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1063A
KR20180001063A KR1020160079650A KR20160079650A KR20180001063A KR 20180001063 A KR20180001063 A KR 20180001063A KR 1020160079650 A KR1020160079650 A KR 1020160079650A KR 20160079650 A KR20160079650 A KR 20160079650A KR 20180001063 A KR20180001063 A KR 201800010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deformed
plate
rivet
axis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96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12062B1 (ko
Inventor
이현수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796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2062B1/ko
Priority to EP17815674.1A priority patent/EP3477731A4/en
Priority to CN201780035603.7A priority patent/CN109314196B/zh
Priority to US16/312,989 priority patent/US11476525B2/en
Priority to PCT/KR2017/006417 priority patent/WO2017222261A1/ko
Publication of KR201800010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10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20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20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H01M50/148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154Lid or cover comprising an axial bore for receiving a central current collector
    • H01M2/0417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2/26
    • H01M2/30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72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72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 H01M50/174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adapted for the shape of the cells
    • H01M50/176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adapted for the shape of the cells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83Sealing members
    • H01M50/186Sealing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sealing members
    • H01M50/188Sealing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sealing members the sealing members being arranged between the lid and termin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28Fixed electrical connections, i.e. not intended for disconn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47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 H01M50/55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on the same side of the ce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5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5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553Terminals adapted for prismatic, pouch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64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manufacturing process
    • H01M50/567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manufacturing process by fixing means, e.g. screws, rivets or bol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02E60/12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리벳 터미널의 z축에 대한 플레이트 터미널의 토크 저항력을 증대시키는 이차 전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는, 전류를 충전 및 방전하는 전극 조립체, 상기 전극 조립체를 내장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개구에 결합되는 캡 플레이트, 및 상기 전극 조립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캡 플레이트의 단자홀에 설치되는 전극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전극단자는 상기 캡 플레이트의 외측에 배치되어 결합구멍을 구비하는 플레이트 터미널, 및 상기 단자홀에 설치되어 상기 결합구멍에 결합되는 리벳 터미널을 포함하고, 상기 플레이트 터미널과 상기 리벳 터미널은 상기 결합구멍과 상기 리벳 터미널의 결합 계면에 형성되어 상기 리벳 터미널의 z축에 대한 상기 플레이트 터미널의 토크 저항력을 증대시키는 토크 저항 증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차 전지 {RECHARGEABLE BATTERY}
본 기재는 이차 전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플레이트 터미널에 리벳 터미널을 결합하여 전극단자를 형성하는 이차 전지에 관한 것이다.
이차 전지(rechargeable battery)는 일차 전지와 달리 충전 및 방전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전지이다. 소용량의 이차 전지는 휴대폰이나 노트북 컴퓨터 및 캠코더와 같이 휴대가 가능한 소형 전자기기에 사용되고, 대용량 이차 전지는 하이브리드 자동차 및 전기 자동차의 모터 구동용 전원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차 전지는 소형 전자기기에서와 같이 단일 셀로 사용되거나, 모터 구동용에서와 같이 복수의 셀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한 모듈 상태 및 복수의 모듈을 전기적으로 연결한 팩 상태로 사용될 수 있다.
이차 전지는 전류를 충전 및 방전하는 전극 조립체를 내장하는 케이스, 케이스의 개구에 결합되는 캡 플레이트, 및 전극 조립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캡 플레이트의 단자홀에 설치되는 전극단자를 포함한다.
전극단자는 캡 플레이트의 내측에서 전극 조립체에 연결되고 단자홀에 설치되는 리벳 터미널, 캡 플레이트의 외측에 배치되어 리벳 터미널에 연결되는 플레이트 터미널을 포함한다.
리벳 터미널은 플레이트 터미널의 결합구멍에 삽입되어 리벳팅 또는 용접으로 연결된다. 이때, 리벳 터미널의 외표면과 플레이트 터미널의 결합구멍은 서로 평면으로 형성되어 서로 면접촉 된다.
따라서 플레이트 터미널은 리벳 터미널의 z축에 작용하는 토크에 대하여 낮은 마찰력을 가지게 되고, 접촉 면적의 부족으로 인하여 전기적인 접촉 저항을 높이게 되며, 열충격 시 발생되는 열변형을 억제하지 못하여 전기적인 저항 산포를 증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리벳 터미널의 z축에 대한 플레이트 터미널의 토크 저항력을 증대시키는 이차 전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플레이트 터미널과 리벳 터미널의 접촉 면적을 증대시켜 전기적인 접촉 저항을 낮추며, 열충격 시 발생되는 열변형을 억제하여 전기적인 저항 산포를 줄이는 이차 전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는, 전류를 충전 및 방전하는 전극 조립체, 상기 전극 조립체를 내장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개구에 결합되는 캡 플레이트, 및 상기 전극 조립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캡 플레이트의 단자홀에 설치되는 전극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전극단자는 상기 캡 플레이트의 외측에 배치되어 결합구멍을 구비하는 플레이트 터미널, 및 상기 단자홀에 설치되어 상기 결합구멍에 결합되는 리벳 터미널을 포함하고, 상기 플레이트 터미널과 상기 리벳 터미널은 상기 결합구멍과 상기 리벳 터미널의 결합 계면에 형성되어 상기 리벳 터미널의 z축에 대한 상기 플레이트 터미널의 토크 저항력을 증대시키는 토크 저항력 증대부를 포함한다.
상기 리벳 터미널은 개스킷을 개재하여 상기 단자홀에 절연 상태로 결합되는 제1대응부, 및 상기 제1대응부에 z축 방향으로 연결되어 상기 결합구멍에 도전 상태로 결합되는 제2대응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토크 저항 증대부는 상기 제2대응부의 외표면에 형성되는 널링(knurling)부, 및 상기 제2대응부의 상기 널링부에 대응하여 상기 결합구멍의 내면에 전사되는 변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널링부는 상기 제2대응부의 외주면에서 원주 방향으로 따라 가면서 반복적으로 배치되어 z축 방향으로 벋어 형성되는 산과 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변형부는 상기 널링부의 산과 골에 대응하여 변형되고, 상기 결합구멍의 내면에서 원주 방향으로 따라 가면서 반복적으로 변형 배치되어 z축 방향으로 벋어 형성되는 변형 골과 변형 산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대응부는 z축 방향의 전 영역에서 동일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대응부는 z축 방향의 내측에서 최소 직경을 형성하고 외측으로 가면서 점진적으로 증대되어 외측에서 최대 직경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널링부는 상기 제2대응부의 외주면에서 원주 방향으로 따라 가면서 반복적으로 배치되어 z축 방향으로 벋어 형성되는 제1골들, 상기 제2대응부의 외주면에서 z축 방향으로 따라 가면서 반복적으로 배치되어 원주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골들에 교차하는 제2골들, 및 상기 제1골들과 상기 제2골들 사이에 형성되는 돌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변형부는 상기 널링부의 상기 돌기들과 상기 제1골들 및 상기 제2골들에 대응하여 변형되며, 상기 결합구멍의 내면에서 원주 방향으로 따라 가면서 반복적으로 변형 배치되어 z축 방향으로 벋어 형성되고, z축 방향으로 따라 가면서 반복적으로 변형 배치되어 원주 방향으로 형성되는 변형 골들, 및 교차하는 상기 변형 골들 사이에 형성되는 변형 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대응부는 z축 방향의 전 영역에서 동일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기들은 상기 제1골들과, 상기 제1골들에 교차하는 상기 제2골들에 의하여, 상기 제2대응부의 외표면에 복수의 사각뿔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벳 터미널의 강도는 상기 플레이트 터미널의 강도보다 높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플레이트 터미널의 결합구멍과 리벳 터미널의 결합 계면에 토크 저항 증대부를 구비하므로 리벳 터미널의 z축에 대한 플레이트 터미널의 토크 저항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즉 리벳 터미널과 플레이트 터미널의 결합력이 증대될 수 있다.
토크 저항 증대부가 서로 결합되는 플레이트 터미널과 리벳 터미널의 접촉 면적을 증대시키므로 전기적인 접촉 저항을 낮출 수 있다. 또한 토크 저항 증대부는 플레이트 터미널과 리벳 터미널의 접촉 면적을 증대시키므로 열충격 시 발생되는 열변형을 억제하여 전기적인 저항 산포를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Ⅱ-Ⅱ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이차 전지에서 전극단자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4는 도 3의 전극단자에서 리벳 터미널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전극단자를 조립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Ⅵ-Ⅵ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에서 전극단자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전극단자에서 리벳 터미널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에서 전극단자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전극단자에서 리벳 터미널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Ⅱ-Ⅱ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제1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1)는 전류를 충전 및 방전하는 전극 조립체(10), 전극 조립체(10)를 내장하는 케이스(15), 케이스(15)의 개구에 결합되는 캡 플레이트(20), 및 캡 플레이트(20)에 설치되는 전극단자(음, 양극 단자(21, 22))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전극 조립체(10)는 절연체인 세퍼레이터(13)의 양면에 전극(음, 양극(11, 12))을 배치하고, 음극(11), 세퍼레이터(13) 및 양극(12)을 젤리롤 상태로 귄취하여 형성된다.
음극(11) 및 양극(12)은 각각 박판 금속의 집전체에 활물질을 도포하여 형성되는 코팅부(11a, 12a), 및 활물질을 도포하지 않아서 노출된 집전체로 형성되는 무지부(11b, 12b)를 포함한다.
음극(11)의 무지부(11b)는 권취되는 음극(11)을 따라 음극(11)의 한 쪽 단부에 형성된다. 양극(12)의 무지부(12b)는 권취되는 양극(12)을 따라 양극(12)의 한 쪽 단부에 형성된다. 무지부들(11b, 12b)은 전극 조립체(10)의 양단에 각각 배치된다.
예를 들면, 케이스(15)는 내부에 전극 조립체(10)와 전해액을 수용하는 공간을 설정하도록 대략 직육면체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며, 외부와 내부 공간을 연결하는 개구를 직육면체의 일면에 형성한다. 개구는 전극 조립체(10)를 케이스(15)의 내부로 삽입할 수 있게 한다.
캡 플레이트(20)는 케이스(15)의 개구에 설치되어 케이스(15)의 개구를 밀폐한다. 예를 들면, 케이스(15)와 캡 플레이트(20)는 알루미늄으로 형성되어 서로 용접될 수 있다.
또한, 캡 플레이트(20)는 전해액 주입구(29)와 벤트 홀(24) 및 단자홀(H1, H2)을 구비한다. 전해액 주입구(29)는 케이스(15)에 캡 플레이트(20)를 결합한 후, 케이스(15)의 내부로 전해액을 주입할 수 있게 한다. 전해액 주입 후, 전해액 주입구(29)는 밀봉 마개(27)로 밀봉된다.
벤트 홀(24)은 이차 전지(1)의 내부 압력을 배출할 수 있도록 벤트 플레이트(25)로 밀폐된다. 이차 전지(1)의 내부 압력이 설정 압력에 이르면, 벤트 플레이트(25)가 노치(25a)를 따라 절개되어 벤트 홀(24)을 개방한다.
음극 단자(21) 및 양극 단자(22)는 캡 플레이트(20)의 단자홀(H1, H2)에 각각 설치되어 케이스(15) 내에서 전극 조립체(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즉 음극 단자(21)는 전극 조립체(10)의 음극(1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양극 단자(22)는 전극 조립체(10)의 양극(12)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전극 조립체(10)는 음극 단자(21) 및 양극 단자(22)를 통하여 케이스(15)의 외부로 인출된다.
한편, 제1실시예의 이차 전지(1)는 음극 단자(21) 측에 외부 단락부(40)를 구비한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이차 전지에서 외부 단락부는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외부 단락부(40)가 구비된 이차 전지(1)에 대하여 설명한다.
음극 단자(21)와 양극 단자(22)는 캡 플레이트(20)의 내측에서 서로 동일 구조를 형성하므로 동일 구조에 대하여 함께 설명하고, 캡 플레이트(20)의 외측에서 서로 다른 구조를 형성하므로 다른 구조에 대하여 각각 별도로 설명한다.
음, 양극 단자(21, 22)는 캡 플레이트(20)의 외측에 배치되어 결합구멍(H3, H4)을 구비하는 플레이트 터미널(21c, 22c), 및 캡 플레이트(20)의 단자홀(H1, H2)에 각각 설치되고 결합구멍(H3, H4)에 결합되는 리벳 터미널(21a, 22a)을 포함한다.
또한, 음, 양극 단자(21, 22)는 캡 플레이트(20)의 내측에서 리벳 터미널(21a, 22a)에 일체로 넓게 형성되는 플랜지(21b, 22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리벳 터미널(21a, 22a)은 플랜지(21b, 22b)를 통하여 전극 조립체(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음, 양극 개스킷(36, 37)은 음, 양극 단자(21, 22)의 리벳 터미널(21a, 22a)과 단자홀(H1, H2)의 내면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음, 양극 단자(21, 22)의 리벳 터미널(21a, 22a)과 캡 플레이트(20) 사이를 실링하고 전기적으로 절연한다.
음, 양극 개스킷(36, 37)은 플랜지(21b, 22b)와 캡 플레이트(20)의 내면 사이에 더 연장 설치되어, 플랜지(21b, 22b)와 캡 플레이트(20) 사이를 더 실링하고 전기적으로 절연한다. 즉 음, 양극 개스킷(36, 37)은 캡 플레이트(20)에 음, 양극 단자(21, 22)를 설치함으로써 단자홀(H1, H2)을 통하여 전해액이 새는 것(leak)을 방지한다.
음, 양극 리드 탭(51, 52)은 음, 양극 단자(21, 22)를 전극 조립체(10)의 음, 양극(11, 12)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즉 음, 양극 리드 탭(51, 52)을 리벳 터미널(21a, 22a)의 하단에 결합하여 하단을 코킹(caulking)함으로써, 음, 양극 리드 탭(51, 52)은 플랜지(21b, 22b)에 지지되면서 리벳 터미널(21a, 22a)의 하단에 연결된다.
음, 양극 절연부재(61, 62)는 음, 양극 리드 탭(51, 52)과 캡 플레이트(20)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음, 양극 리드 탭(51, 52)과 캡 플레이트(20)를 전기적으로 절연시킨다.
또한 음, 양극 절연부재(61, 62)는 일측으로 캡 플레이트(20)에 결합되고 다른 일측으로 음, 양극 리드 탭(51, 52)과 리벳 터미널(21a, 22a) 및 플랜지(21b, 22b)를 감싸므로 이들의 연결 및 결합 구조를 안정시킨다.
한편, 음극 단자(21)의 플레이트 터미널(21c)과 관련하여 외부 단락부(40)에 대하여 설명하고, 양극 단자(22)의 플레이트 터미널(22c)과 관련하여 탑 플레이트(46)에 대하여 설명한다.
음극 단자(21) 측의 외부 단락부(40)는 내부 압력에 따라 이격 또는 단락되는 단락 탭(41)과 단락부재(43)를 포함한다. 단락 탭(41)은 음극 단자(21)의 리벳 터미널(21a)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절연부재(31)를 개재하여 캡 플레이트(20)의 외측에 배치된다.
절연부재(31)는 단락 탭(41)과 캡 플레이트(20) 사이에 설치되어, 단락 탭(41)과 캡 플레이트(20)를 전기적으로 절연시킨다. 즉 캡 플레이트(20)는 음극 단자(21)와 전기적으로 절연된 상태를 유지한다.
단락 탭(41)과 플레이트 터미널(21c)을 리벳 터미널(21a)의 상단에 결합하여 상단을 코킹함으로써, 단락 탭(41)과 플레이트 터미널(21c)은 리벳 터미널(21a)의 상단에 결합된다. 따라서 단락 탭(41)과 플레이트 터미널(21c)은 절연부재(31)를 개재한 상태로 캡 플레이트(20)에 고정된다.
한편, 음극 개스킷(36)은 리벳 터미널(21a)과 절연부재(31) 사이로 더 연장되어 설치된다. 즉 음극 개스킷(36)은 리벳 터미널(21a)과 절연부재(31) 사이를 더 실링한다.
단락부재(43)는 캡 플레이트(20)에 형성되는 단락 홀(42)에 설치되어 단락 홀(42)을 밀폐한다. 단락 탭(41)은 음극 단자(21)에 연결되어 단락부재(43)의 외측을 따라 신장된다.
따라서 단락 탭(41)과 단락부재(43)는 단락 홀(42)에 대응하고, 서로 마주하여 이격 상태(실선 상태)를 유지하고, 이차 전지(1)의 내압 상승시 단락부재(43)의 반전에 의하여 단락 상태(가상선 상태)를 형성할 수 있다.
양극 단자(22) 측의 탑 플레이트(46)는 양극 단자(22)의 플레이트 터미널(22c)과 캡 플레이트(20)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즉 캡 플레이트(20)는 양극 단자(22)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를 유지한다.
예를 들면, 탑 플레이트(46)는 플레이트 터미널(22c)과 캡 플레이트(20) 사이에 개재되어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하고, 관통구멍(H5)을 구비하여 리벳 터미널(22a)을 관통시킨다.
따라서 탑 플레이트(46)와 플레이트 터미널(22c)을 리벳 터미널(22a)의 상단에 결합하여 상단을 코킹함으로써, 탑 플레이트(46)와 플레이트 터미널(22c)은 리벳 터미널(22a)의 상단에 결합된다. 플레이트 터미널(22c)은 탑 플레이트(46)를 개재한 상태로 캡 플레이트(20)의 외측에 설치된다.
한편, 양극 개스킷(37)은 리벳 터미널(22a)과 탑 플레이트(46) 사이로 더 연장되어 설치된다. 즉 양극 개스킷(37)은 리벳 터미널(22a)과 탑 플레이트(46)가 전기적으로 직접 연결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리벳 터미널(22a)은 플레이트 터미널(22c)을 통하여 탑 플레이트(46)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제1실시예의 이차 전지(1)에서 플레이트 터미널(21c, 22c)과 리벳 터미널(21a, 22a)은 코킹으로 서로 결합되는 구조에 더하여, 결합구멍(H3, H4)과 리벳 터미널(21a, 22a)의 결합 계면에 토크 저항 증대부를 더 구비한다.
토크 저항 증대부는 리벳 터미널(21a, 22a)의 z축에 대한 플레이트 터미널(21c, 22c)의 토크 저항력을 증대시키도록 구성된다. 토크 저항 증대부는 음, 양극 단자(21, 22)의 플레이트 터미널(21c, 22c)과 리벳 터미널(21a, 22a)에 동일 구조로 적용될 수 있다.
편의상, 도 3 내지 도 6에서는 양극 단자(21)를 예로 들어서, 토크 저항 증대부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도 1의 이차 전지에서 전극단자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4는 도 3의 전극단자에서 리벳 터미널의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리벳 터미널(22a)은 플레이트 터미널(22c)과 결합되며, z축 방향의 위치에 따라 구획되는 제1대응부(221)와 제2대응부(222)를 포함한다.
제1대응부(221)는 양극 개스킷(37)을 개재하여 단자홀(H2)에 절연 상태로 실링 결합되고, 제2대응부(222)는 제1대응부(221)에 z축 방향으로 연결되어 결합구멍(H4)에 도전 상태로 결합된다.
이때, 토크 저항 증대부(T)는 제2대응부(222)의 z축에서 플레이트 터미널(22c)의 토크 저항력을 증대시킨다. 즉 리벳 터미널(22a)과 플레이트 터미널(22c)의 기계적인 접촉 면적을 증대시켜 상호 결합력이 증대된다.
도 5는 도 3의 전극단자를 조립한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Ⅵ-Ⅵ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토크 저항 증대부(T)는 제2대응부(222)의 외표면에 형성되는 널링(knurling)부(223), 및 제2대응부(222)의 널링부(223)에 대응하여 결합구멍(H4)의 내면에 전사되는 변형부(224)를 포함한다.
도 4에서 플레이트 터미널(22c)의 결합구멍(H4)은 널링부(223)와 결합되어 변형되므로 변형부(224)를 구비하지 않는다. 변형부(224)는 도 5 및 도 6에서와 같이, 결합구멍(H4)에 널링부(223)가 결합되면서 형성된다.
널링부(223)는 제2대응부(222)의 외주면에서 원주 방향으로 따라 가면서 반복적으로 배치되어 z축 방향으로 벋어 형성되는 산들(231)과 골들(232)을 포함한다.
변형부(224)는 널링부(223)의 산들(231)과 골들(232)에 대응하여 전사되는 변형 골들(241)과 변형 산들(242)을 포함한다. 결합으로 변형되는 변형 골들(241)과 변형 산들(242)은 결합구멍(H4)의 내면에서 원주 방향으로 따라 가면서 반복적으로 변형 배치되어 z축 방향으로 벋어 형성된다.
널링부(223)의 외경에 따라 널링부(223)와 변형부(224) 사이에 갭(G)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변형 산들(242)이 결합구멍(H4)의 내표면에 일치할 때, 갭(G)은 변형 산들(242)과 골들(232) 사이에 구비되어, 리벳 터미널(22a)과 플레이트 터미널(22c) 사이에서 발생되는 열변형을 흡수할 수 있다.
제2대응부(222)는 z축 방향의 전 영역에서 동일 직경으로 형성된다. 리벳 터미널(22a)의 강도는 플레이트 터미널(22c)의 강도보다 높다. 즉 제2대응부(222)의 강도가 플레이트 터미널(22c)의 결합구멍(H4)의 강도보다 더 높다.
따라서 제2대응부(222)의 널링부(223)가 플레이트 터미널(22c)의 결합구멍(H4)으로 삽입되면, 결합구멍(H4)이 내면에서 널링부(223)의 산들(231)과 골들(232)에 의하여 변형부(224)를 형성하면서 상호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널링부(223)의 산들(231)과 골들(232)이 z축 방향으로 벋어 형성되어, 결합구멍(H4)에 삽입시 형성되는 변형 골들(241)과 변형 산들(242)에 결합되므로 변형부(224)를 가지는 플레이트 터미널(22c)은 z축 토크에 대하여 큰 저항력을 가지게 된다.
또한 널링부(223)와 변형부(224) 결합은 산들(231)과 골들(232)에 의한 넓은 면적을 변형 골들(241)과 변형 산들(242)에 의한 넓은 면적에 접촉시킨다. 따라서 플레이트 터미널(22c)과 리벳 터미널(22a)의 접촉 면적이 증대되어 상호 전기적인 접촉 저항이 낮아질 수 있다.
그리고 널링부(223)와 변형부(224)의 결합 구조는 열충격 시 발생되는 수축 및 팽창에 의한 열변형을 억제한다. 따라서 열충격 시와 정상 구동시의 전기적인 저항을 비교할 때, 전기적인 저항 산포가 줄어들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실시예 및 기 설명된 실시예를 다양한 실시예와 비교하여 서로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 설명을 생략하고, 서로 다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에서 전극단자의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전극단자에서 리벳 터미널의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제2실시예의 이차 전지(2)에서, 양극 단자(72)의 제2대응부(777)는 캡 플레이트(20)의 z축 방향의 내측에서 최소 직경을 형성하고 외측으로 가면서 점진적으로 증대되어 외측에서 최대 직경을 형성한다.
토크 저항 증대부(T2)는 제2대응부(777)의 외표면에 형성되는 널링(knurling)부(773), 및 제2대응부(777)의 널링부(773)에 대응하여 결합구멍(H24)의 내면에 전사되는 변형부(774)를 포함한다.
널링부(773)는 제2대응부(777)의 외주면에서 원주 방향으로 따라 가면서 반복적으로 배치되어 z축 방향에서 설정된 된 각도(θ)로 경사지게 벋어 형성되는 산들(771)과 골들(772)을 포함한다.
변형부(774)는 널링부(773)의 산들(771)과 골들(772)에 대응하여 변형되는 변형 골들(781)과 변형 산들(782)을 포함한다. 결합으로 변형되는 변형 골들(781)과 변형 산들(782)은 결합구멍(H24)의 내면에서 원주 방향으로 따라 가면서 반복적으로 변형 배치되어 z축 방향에서 설정된 각도(θ)로 경사지게 벋어 형성된다.
널링부(7733)의 외경에 따라 널링부(773)와 변형부(74) 사이에 갭(G12)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변형 산들(782)이 결합구멍(H24)의 내표면에 일치할 때, 갭(G12)은 변형 산들(782)과 골들(772) 사이에 구비되어, 리벳 터미널(72a)과 플레이트 터미널(72c) 사이에서 발생되는 열변형을 흡수할 수 있다.
제2대응부(777)는 z축 방향의 내측에서 최소 직경을 형성하고 외측으로 가면서 점진적으로 증대되어 외측에서 최대 직경을 형성한다. 따라서 제2대응부(777)의 널링부(773)가 플레이트 터미널(72c)의 결합구멍(H24)으로 삽입되면 결합구멍(H24)이 내면에서 변형부(774)를 형성하면서 상호 견고하게 결합된다.
널링부(773)의 외측 최대 직경에 따라 널링부(773)의 내측에서 널링부(773)와 변형부(774) 사이에 갭(G2)이 형성될 수 있다. 즉 갭(G2)은 변형 골들(781)과 산들(771) 사이에 구비되어, 리벳 터미널(72a)과 플레이트 터미널(72c) 사이에서 발생되는 열변형을 더 흡수할 수 있다.
그리고 널링부(773)와 변형부(774)의 결합 구조는 갭(G12)과 갭(G2)을 구비하므로 열충격 시 발생되는 수축 및 팽창에 의한 열변형을 더 흡수 및 억제한다. 따라서 열충격 시와 정상 구동시의 전기적인 저항을 비교할 때, 전기적인 저항 산포가 더 줄어들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에서 전극단자의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전극단자에서 리벳 터미널의 사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제3실시예의 이차 전지(3)에서, 전극단자(82)의 토크 저항 증대부(T3)는 제2대응부(888)의 외표면에 형성되는 널링(knurling)부(883), 및 제2대응부(888)의 널링부(883)에 대응하여 결합구멍(H34)의 내면에 전사되는 변형부(884)를 포함한다.
널링부(883)는 제2대응부(888)의 외주면에서 원주 방향으로 따라 가면서 반복적으로 배치되어 z축 방향으로 벋어 형성되는 제1골(872), 제1골(872)에 교차하는 제2골(874), 및 제1, 제2골(872, 874) 사이에 형성되는 돌기(871)을 포함한다. 제2골(874)은 제2대응부(888)의 외주면에서 z축 방향으로 따라 가면서 반복적으로 배치되어 원주 방향으로 형성된다.
변형부(884)는 변형 골(891)과 변형 산(892)을 포함한다. 변형 골(891)과 변형 산(892)은 널링부(883)의 돌기(871)와 제1, 제2골(872, 874)에 대응하여 변형된다. 변형 골들(891)은 결합구멍(H34)의 내면에서 원주 방향으로 따라 가면서 반복적으로 변형 배치되어 z축 방향으로 벋어 형성되며, 또한 z축 방향으로 따라 가면서 반복적으로 변형 배치되어 원주 방향으로 형성된다. 변형 산들(892)은 교차하는 변형 골들(891) 사이에 형성된다.
널링부(883)의 외경에 따라 널링부(883)와 변형부(884) 사이에 갭(G3)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변형 산들(892)이 결합구멍(H34)의 내표면에 일치할 때, 갭(G3)은 변형 산들(892)과 제1, 제2골들(872, 874) 사이에 구비되어, 리벳 터미널(82a)과 플레이트 터미널(82c) 사이에서 발생되는 열변형을 흡수할 수 있다.
제2대응부(888)는 z축 방향의 전 영역에서 동일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널링부(883)에서 돌기들(871)을 사이에 두고 제1골들(872)은 제2골들(874)에 교차한다. 따라서 돌기들(871)은 제2대응부(888)의 외표면에 복수의 사각뿔들로 형성된다.
제2대응부(888)에서 사각뿔의 돌기들(871)로 형성되는 널링부(883)는 결합구멍(H34)의 내표면에 사각뿔들에 대응하는 대응홈들을 형성한다. 변형부(884)를 가지는 플레이트 터미널(82c)은 리벳 터미러(82a)의 z축 토크에 대하여 더 큰 저항력을 가지게 된다.
또한 널링부(883)와 변형부(884) 결합은 돌기들(871)과 제1, 제2골들(872, 874)에 의한 넓은 면적을 변형 골들(891)과 변형 산들(892)에 의한 넓은 면적에 접촉시킨다. 따라서 플레이트 터미널(82c)과 리벳 터미널(82a)의 접촉 면적이 증대되어 상호 전기적인 접촉 저항이 낮아질 수 있다.
그리고 널링부(883)와 변형부(884)의 결합 구조는 열충격 시 발생되는 수축 및 팽창에 의한 열변형을 억제한다. 따라서 열충격 시와 정상 구동시의 전기적인 저항을 비교할 때, 전기적인 저항 산포가 줄어들 수 있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 전극 조립체 11: 제1전극(음극)
11, 12: 전극(음, 양극) 11a, 12a: 코팅부
11b, 12b: 무지부 13: 세퍼레이터
15: 케이스 20: 캡 플레이트
21, 22: 전극단자(음, 양극 단자) 21c, 22c, 72c, 82c: 플레이트 터미널
21a, 22a: 리벳 터미널 21b, 22b: 플랜지
24: 벤트 홀 25: 벤트 플레이트
25a: 노치 27: 밀봉 마개
29: 전해액 주입구 31: 절연부재
36, 37: 음, 양극 개스킷 40: 외부 단락부
41: 단락 탭 43: 단락부재
46: 탑 플레이트 51, 52: 음, 양극 리드 탭
72, 82: 양극 단자 221: 제1대응부
222, 777, 888: 제2대응부 223, 773, 883: 널링부
224, 774, 884: 변형부 231, 771: 산
232, 772: 골 241, 781: 변형 골
242, 782: 변형 산 781: 제1산
871: 돌기 872, 874: 제1, 제2골
891: 변형 골 892: 변형 산
G, G2, G12, G3: 갭 H1, H2: 단자홀
H3, H4, H24, H34: 결합구멍 H5: 관통구멍
T, T2, T3: 토크 저항 증대부

Claims (12)

  1. 전류를 충전 및 방전하는 전극 조립체;
    상기 전극 조립체를 내장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개구에 결합되는 캡 플레이트; 및
    상기 전극 조립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캡 플레이트의 단자홀에 설치되는 전극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전극단자는
    상기 캡 플레이트의 외측에 배치되어 결합구멍을 구비하는 플레이트 터미널, 및
    상기 단자홀에 설치되어 상기 결합구멍에 결합되는 리벳 터미널을 포함하고,
    상기 플레이트 터미널과 상기 리벳 터미널은
    상기 결합구멍과 상기 리벳 터미널의 결합 계면에 형성되어 상기 리벳 터미널의 z축에 대한 상기 플레이트 터미널의 토크 저항력을 증대시키는 토크 저항 증대부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벳 터미널은
    개스킷을 개재하여 상기 단자홀에 절연 상태로 결합되는 제1대응부, 및
    상기 제1대응부에 z축 방향으로 연결되어 상기 결합구멍에 도전 상태로 결합되는 제2대응부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토크 저항 증대부는
    상기 제2대응부의 외표면에 형성되는 널링부, 및
    상기 제2대응부의 상기 널링부에 대응하여 상기 결합구멍의 내면에 전사되는 변형부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널링부는
    상기 제2대응부의 외주면에서 원주 방향으로 따라 가면서 반복적으로 배치되어 z축 방향으로 벋어 형성되는 산과 골을 포함하는 이차 전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부는
    상기 널링부의 산과 골에 대응하여 변형되고, 상기 결합구멍의 내면에서 원주 방향으로 따라 가면서 반복적으로 변형 배치되어 z축 방향으로 벋어 형성되는 변형 골과 변형 산을 포함하는 이차 전지.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대응부는
    z축 방향의 전 영역에서 동일 직경으로 형성되는 이차 전지.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대응부는
    z축 방향의 내측에서 최소 직경을 형성하고 외측으로 가면서 점진적으로 증대되어 외측에서 최대 직경을 형성하는 이차 전지.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널링부는
    상기 제2대응부의 외주면에서 원주 방향으로 따라 가면서 반복적으로 배치되어 z축 방향으로 벋어 형성되는 제1골들,
    상기 제2대응부의 외주면에서 z축 방향으로 따라 가면서 반복적으로 배치되어 원주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골들에 교차하는 제2골들, 및
    상기 제1골들과 상기 제2골들 사이에 형성되는 돌기들을 포함하는 이차 전지.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부는
    상기 널링부의 상기 돌기들과 상기 제1골들 및 상기 제2골들에 대응하여 변형되며, 상기 결합구멍의 내면에서 원주 방향으로 따라 가면서 반복적으로 변형 배치되어 z축 방향으로 벋어 형성되고, z축 방향으로 따라 가면서 반복적으로 변형 배치되어 원주 방향으로 형성되는 변형 골들, 및
    교차하는 상기 변형 골들 사이에 형성되는 변형 산들
    을 포함하는 이차 전지.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대응부는
    z축 방향의 전 영역에서 동일 직경으로 형성되는 이차 전지.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들은
    상기 제1골들과, 상기 제1골들에 교차하는 상기 제2골들에 의하여, 상기 제2대응부의 외표면에 복수의 사각뿔로 형성되는 이차 전지.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벳 터미널의 강도는
    상기 플레이트 터미널의 강도보다 높은 이차 전지.
KR1020160079650A 2016-06-24 2016-06-24 이차 전지 KR1026120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9650A KR102612062B1 (ko) 2016-06-24 2016-06-24 이차 전지
EP17815674.1A EP3477731A4 (en) 2016-06-24 2017-06-19 RECHARGEABLE BATTERY
CN201780035603.7A CN109314196B (zh) 2016-06-24 2017-06-19 可再充电电池
US16/312,989 US11476525B2 (en) 2016-06-24 2017-06-19 Rechargeable battery
PCT/KR2017/006417 WO2017222261A1 (ko) 2016-06-24 2017-06-19 이차 전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9650A KR102612062B1 (ko) 2016-06-24 2016-06-24 이차 전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063A true KR20180001063A (ko) 2018-01-04
KR102612062B1 KR102612062B1 (ko) 2023-12-07

Family

ID=607845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9650A KR102612062B1 (ko) 2016-06-24 2016-06-24 이차 전지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476525B2 (ko)
EP (1) EP3477731A4 (ko)
KR (1) KR102612062B1 (ko)
CN (1) CN109314196B (ko)
WO (1) WO201722226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82131A (zh) * 2020-05-13 2020-09-18 远景动力技术(江苏)有限公司 一种动力电池顶盖组件、动力电池及动力电池的装配方法
DE102020130686A1 (de) * 2020-11-20 2022-05-25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Lithiumionen-Batteriezelle und Lithiumionen-Batteriezell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61518A (ja) * 2012-02-01 2013-08-19 Gs Yuasa Corp 導電部材接続構造
KR20160038582A (ko) * 2014-09-30 2016-04-0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32214A (ja) 1997-10-29 1999-05-18 Nozawa Corp ブラインドリベット
JP2003257410A (ja) 2002-03-05 2003-09-12 San Jidosha Kogyo:Kk 車両用バッテリーの端子増設具
DE202006013142U1 (de) * 2006-08-26 2006-11-16 Textron Verbindungstechnik Gmbh & Co. Ohg Selbstbohrendes Blindniet
US8119280B2 (en) * 2007-06-07 2012-02-21 A123 Systems, Inc. Cap assembly for a high current capacity energy delivery device
KR100920030B1 (ko) * 2007-07-10 2009-10-05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열전달 완충판의 폭발확관 합격여부 판단 방법
JP2009037817A (ja) * 2007-08-01 2009-02-19 Toyota Motor Corp 電池
CN101874318B (zh) 2007-11-23 2012-12-26 株式会社Lg化学 具有优异生产率和结构稳定性的二次电池组
KR100936259B1 (ko) * 2007-11-23 2010-01-13 주식회사 엘지화학 우수한 제조공정성 및 구조적 안정성의 이차전지 팩
KR101056426B1 (ko) 2009-06-23 2011-08-11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이차전지 및 그 모듈
US8574752B2 (en) * 2009-10-29 2013-11-05 Samsung Sdi Co., Ltd. Electrode assembly and rechargeable battery using the same
KR20110133257A (ko) 2010-06-04 2011-12-12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이차 전지
US8748030B2 (en) 2010-06-09 2014-06-10 Samsung Sdi Co., Ltd. Secondary battery
US20120214053A1 (en) 2011-02-18 2012-08-23 Dukjung Kim Rechargeable batter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274859B1 (ko) 2011-03-04 2013-06-13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이차 전지 및 그 조립 방법
US9023498B2 (en) * 2011-07-07 2015-05-05 Samsung Sdi Co., Ltd. Rechargeable battery
KR101223517B1 (ko) 2011-09-16 2013-01-17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이차 전지
KR101693291B1 (ko) * 2012-11-23 2017-01-0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KR101597680B1 (ko) * 2014-04-16 2016-02-29 현무산업 주식회사 전기자동차 배터리팩용 리벳단자 및 그의 제조방법
JP6428123B2 (ja) * 2014-10-06 2018-11-28 株式会社Gsユアサ 蓄電素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61518A (ja) * 2012-02-01 2013-08-19 Gs Yuasa Corp 導電部材接続構造
KR20160038582A (ko) * 2014-09-30 2016-04-0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476525B2 (en) 2022-10-18
US20190229306A1 (en) 2019-07-25
CN109314196A (zh) 2019-02-05
KR102612062B1 (ko) 2023-12-07
CN109314196B (zh) 2022-06-17
WO2017222261A1 (ko) 2017-12-28
EP3477731A1 (en) 2019-05-01
EP3477731A4 (en) 2019-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83792B1 (ko) 이차 전지 모듈
KR102273643B1 (ko) 이차 전지
EP2228853B1 (en) Rechargeable battery
JP5539910B2 (ja) 二次電池
US9819002B2 (en) Rechargeable battery and rechargeable battery module including the same
KR102246736B1 (ko) 이차 전지
US20130071728A1 (en) Secondary Battery
US9023516B2 (en) Rechargeable battery and module thereof
US20140272520A1 (en) Battery module
KR20170009132A (ko) 이차 전지 및 이를 이용한 전지 모듈
KR20160123854A (ko) 이차 전지
KR101223517B1 (ko) 이차 전지
KR102299243B1 (ko) 이차 전지
KR101256060B1 (ko) 이차 전지
KR20140124613A (ko) 이차 전지
KR102361706B1 (ko) 이차 전지
KR20180001063A (ko) 이차 전지
KR101201815B1 (ko) 이차 전지
KR102119048B1 (ko) 이차 전지
KR101711983B1 (ko) 이차 전지
US9520579B2 (en) Rechargeable battery
KR102531183B1 (ko) 이차 전지 모듈
KR20170025117A (ko) 이차 전지
KR20160050703A (ko) 이차 전지
US9190637B2 (en) Rechargeable batte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