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5930A - 안경 렌즈 - Google Patents

안경 렌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5930A
KR20170135930A KR1020177032315A KR20177032315A KR20170135930A KR 20170135930 A KR20170135930 A KR 20170135930A KR 1020177032315 A KR1020177032315 A KR 1020177032315A KR 20177032315 A KR20177032315 A KR 20177032315A KR 20170135930 A KR20170135930 A KR 201701359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refractive index
layer
optical
spectacle l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23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86931B1 (ko
Inventor
소 미야모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콘. 에시로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콘. 에시로루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콘. 에시로루
Publication of KR201701359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59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69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69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10Filters, e.g. for facilitating adaptation of the eyes to the dark; Sunglass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10Filters, e.g. for facilitating adaptation of the eyes to the dark; Sunglasses
    • G02C7/104Filters, e.g. for facilitating adaptation of the eyes to the dark; Sunglasses having spectral characteristics for purposes other than sun-protec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4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organic materials, e.g. plastics
    • G02B1/041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1Anti-reflection coatings
    • G02B1/113Anti-reflection coatings using inorganic layer materials only
    • G02B1/115Multilay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1Anti-reflection coatings
    • G02B1/113Anti-reflection coatings using inorganic layer materials only
    • G02B1/115Multilayers
    • G02B1/116Multilayers including electrically conducting lay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8Interference fil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8Interference filters
    • G02B5/285Interference filters comprising deposited thin solid film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10Filters, e.g. for facilitating adaptation of the eyes to the dark; Sunglasses
    • G02C7/107Interference colour fil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10Filters, e.g. for facilitating adaptation of the eyes to the dark; Sunglasses
    • G02C7/108Colouring material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2/00Generic opt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subgroups of G02C7/00
    • G02C2202/16Laminated or compound lens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Eyeglasses (AREA)
  • Optical Filters (AREA)
  •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AREA)

Abstract

플라스틱 렌즈 기재(2)의 양면에 다층막(3a, 3b)을 구비하는 안경 렌즈(1)로서, 적어도 편측의 면에 배설된 다층막(3a, 3b)의 적어도 530∼570nm의 파장 범위에 있어서의 평균 반사율을 2.5∼5.5%로 하는 것에 의해, 어슴푸레한 환경에서의 물건, 특히 적색의 외관의 선명함 및 밝음의 향상 효과, 및 흰 퍼스널 컴퓨터 화면 등의 백색의 외관의 향상 효과가 보이는, 연배자의 눈에 적합한 안경 렌즈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안경 렌즈
본 발명은 플라스틱 렌즈의 양면에 다층막을 구비하는 안경 렌즈에 관한 것이다.
최근, 안경 렌즈에서는, 경량이고 내충격성이 우수하며, 또한 염색하기 쉽다는 이점 때문에 플라스틱 렌즈가 다용되고 있다.
안경용 플라스틱 렌즈는 코스메틱 효과, 눈의 보호, 차광 효과 등의 목적으로부터 전체를 원하는 색으로 균일하게 염색하거나, 또는 농도 구배(그라데이션)를 넣어 염색하는 것도 활발히 행해지고 있다.
더욱이 최근, 코스메틱 효과 이외에 염색에 의해 일정한 기능을 부여한 안경 렌즈가 제안되어(특허문헌 1 및 2 참조), 활발히 발매되고 있다.
특히, 안경 렌즈로서는, 콘트라스트 업이나 안정(眼精) 피로 경감 등의 효과를 부여하기 위해, 가시광 중에서 에너지가 큰 청색광(380nm∼500nm)을 효과적으로 커트하는 것이 주류이다.
본 출원인의 출원에 관련되는 특허문헌 1에는, 380nm∼450nm의 단파장광만을 효과적으로 커트할 수 있는 특정한 화합물을 이용해 염색해서 얻어진, 380nm∼450nm의 단파장광 흡수 성능이 우수한 염색 렌즈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는, 가시광에 대한 눈부심과 관련된 불쾌감이나 콘트라스트의 불선명감, 시각 피로 등을 경감하는 방현성(防眩性) 기능을 부여하기 위해서, 565nm∼605nm 사이에 주 흡수 피크를 갖는 유기계 색소를 함유하는 플라스틱 안경 렌즈를 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2에 개시된 안경 렌즈는 565nm∼605nm 사이에 주 흡수 피크 파장에 있어서의 투과율의 저하가 극히 크고, 시감 투과율 Y가, 실시예 등에 개시되어 있는 것에서도 14.1%∼73.4%로, 시감 투과율의 저하가 큰 것이다.
이 때문에, 특허문헌 2에 개시된 안경 렌즈에서는, 585nm 부근에 파장 선택적으로 샤프한 광 흡수 피크를 갖고 있기 때문에, 우수한 방현 성능과 콘트라스트 증강 효과를 부여할 수 있고, 특정 흡수 피크의 샤프함에서 유래하여 585nm 부근 이외에서의 광 투과성이 양호하여 밝은 시야를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방현성과 시인성의 밸런스가 극히 양호하고, 또한 그레이나 브라운 등의 각종의 색조화가 실현되기 쉽다고 하고 있다.
일본 특허공개 2013-054275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13-061653호 공보
그러나, 일반적으로 사람의 수정체는 연령 증가에 수반하여 누렇게 착색된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 때문에, 도 10에 나타내는 분광비 시감도 곡선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사람의 눈은 연령 증가에 수반하여, 380nm∼500nm의 청색광의 파장 영역에 있어서, 시감도가 저하되어 간다.
따라서, 연배자, 예를 들면 40세 이상의 연배자에 있어서는, 애초에 단파장대의 청색광을 누렇게 착색된 수정체로 커트하고 있게 된다. 이 때문에, 연배자가, 안경 렌즈로서 주류인 청색광을 효과적으로 커트한,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안경 렌즈를 장용(裝用)해도, 청년자 정도의 효과가 얻어지지 않을 것이 예상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연배자에 있어서는, 수정체가 누렇게 착색되어 있기 때문에, 백색, 특히 퍼스널 컴퓨터(PC) 등의 화면의 백색이 깨끗한 백색으로 보이지 않을 것이 예상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더욱이,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람의 눈에 있어서는, 일반적으로 말해지고 있듯이, 연령 증가에 수반하여, 광감도가 저하되어, 필요로 하는 필요 조도가 증가해 간다. 한편,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람의 눈에서는, 밝은 곳에서 적색과 청색이 동일한 밝기로 보여도, 어슴푸레한(薄暗) 곳에서는 적색은 칙칙하게 어둡게 보인다는 것이 푸르키네 현상으로서 알려져 있다.
이 때문에, 연배자, 예를 들면, 40세 이상의 연배자에 있어서는, 청년자보다, 어슴푸레한 곳에서는, 물건이 밝게 보이지 않는, 특히 적색의 선명함이 없어져, 적색이 보다 칙칙하게 어둡게 보인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특허문헌 2에 개시된 플라스틱 안경 렌즈는, 시감 투과율이 대폭으로 낮기 때문에, 극히 밝은 고조도의 환경하에서 사용함으로써 방현 효과 등을 발휘할 수 있는 것이지만, 상용(常用)하는 것이 상정되어 있지 않아, 요구 조도가 증가하고 있는 연배자가 통상 장용하면, 보기 어렵고, 어슴푸레한 곳에서는, 물건이 밝게 보이지 않는, 특히 적색의 선명함이 더 없어져, 적색이 보다 더 칙칙하게 어둡게 보인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 연배자의 눈에 적합한 안경 렌즈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여, 연배자가 장용했을 때에, 어슴푸레한 곳에서도, 물건이 밝고 선명하게, 특히 적색의 선명함이 없어지지 않고, 적색이 밝게 보이도록 할 수 있고, 백색, 예를 들면, 퍼스널 컴퓨터(특히 LED 백라이트)의 흰 화면이 보다 희게 보이도록 할 수 있어, 그 결과, 백색을 주시할 필요가 있는 작업, 예를 들면, 퍼스널 컴퓨터 작업을 보다 쾌적하게 행할 수 있는 안경 렌즈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안경 렌즈는, 플라스틱 렌즈 기재의 양면에 다층막을 구비하는 안경 렌즈로서, 플라스틱 렌즈 기재의 양면 중, 적어도 편측의 면에 배설(配設)된 다층막의 적어도 530∼570nm의 파장 범위에 있어서의 평균 반사율이 2.5∼5.5%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플라스틱 렌즈 기재의 양면에 배설된 다층막의 적어도 530∼570nm의 파장 범위에 있어서의 평균 반사율의 합이 3.0∼6.0%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플라스틱 렌즈 기재의 양면 중, 편측의 면에 배설된 다층막에 있어서, 그의 시감 반사율이 1.5∼5.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플라스틱 렌즈 기재의 양면 중, 적어도 편측의 면에 배설된 다층막에 있어서, 적어도 530∼570nm의 파장 범위에 있어서의 반사율에 하나의 극대값을 갖고, 그 반사율의 극대값이 2.0∼6.0%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적어도 530∼570nm의 파장 범위는 530∼580nm의 파장 범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플라스틱 렌즈 기재의 양면에 배설된 다층막의 430∼470nm의 파장 범위에 있어서의 평균 반사율의 합이 2.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플라스틱 렌즈 기재의 양면에 배설된 다층막의 630∼670nm의 파장 범위에 있어서의 평균 반사율의 합이 2.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다층막은 고굴절률 재료와 저굴절률 재료에 의해 구성되고, 다층막을 구성하는 고굴절률 재료와 저굴절률 재료 사이에 두께 20nm 이하의 유전체막 또는 금속막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고굴절률 재료는 이산화지르코늄을 포함하고, 저굴절률 재료는 이산화규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다층막은 4층 이상의 다층막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플라스틱 기재와 상기 다층막 사이에 기능성 박막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연배자의 눈에 적합한 안경 렌즈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연배자가 장용했을 때에, 어슴푸레한 곳에서도, 물건이 밝고 선명하게, 특히 적색의 선명함이 없어지지 않고, 적색이 밝게 보이도록 할 수 있고, 백색, 예를 들면, 퍼스널 컴퓨터(특히 LED 백라이트)의 흰 화면이 보다 희게 보이도록 할 수 있어, 그 결과, 백색을 주시할 필요가 있는 작업, 예를 들면, 퍼스널 컴퓨터 작업을 보다 쾌적하게 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안경 렌즈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안경 렌즈의 3종의 다층막의 반사 분광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안경 렌즈를 제조하는 진공 증착 장치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안경 렌즈를 제조하는 성막 장치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5는 실시예 1의 안경 렌즈의 전(前)면의 다층막의 반사 분광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은 실시예 1∼2 및 비교예 2∼3의 안경 렌즈의 후면, 및 비교예 1의 안경 렌즈의 양면의 다층막의 반사 분광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은 실시예 2의 안경 렌즈의 전면의 다층막의 반사 분광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8은 비교예 2의 안경 렌즈의 전면의 다층막의 반사 분광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9는 비교예 3의 안경 렌즈의 전면의 다층막의 반사 분광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0은 파장에 대한 대수비 시감도로 나타내는 사람의 눈의 분광비 시감도 곡선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1은 사람의 연령에 대한 요구 조도로 나타내는 사람의 눈의 광 시감도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2는 파장에 대한 절대 시감도로 나타내는 사람의 눈의 푸르키네 현상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안경 렌즈를 첨부 도면에 나타내는 적합 실시형태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한편, 이하에 나타내는 적합 실시형태는 발명의 취지를 보다 잘 이해시키기 위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것이며, 특별히 지정이 없는 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안경 렌즈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동 도면에 나타내는 안경 렌즈(1)는, 플라스틱 렌즈 기재(이하, 플라스틱 기재라고 한다)(2)와, 플라스틱 기재(2)의 전면(표면: 안구와 반대측(외측)의 면)에 배설된 광학 다층막(3a)과, 플라스틱 기재(2)의 후면(이면: 안구측(얼굴측)의 면)에 배설된 광학 다층막(3b)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안경 렌즈(1)에서는, 플라스틱 기재(2)의 전면과 광학 다층막(3a) 사이, 및 플라스틱 기재(2)의 후면과 광학 다층막(3b) 사이에는, 기능성 박막(4)이 배설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기능성 박막(4)은 프라이머층(5)과 하드 코팅층(6)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광학 다층막(3a 및 3b) 상에는 발수발유막(12)이 추가로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발수발유막(12)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플라스틱 기재(2)는, 예를 들면 투명한 플라스틱인 아크릴계 수지, 싸이오유레테인계 수지, 메타크릴계 수지, 알릴계 수지, 에피설파이드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폴리유레테인계 수지, 폴리에스터계 수지, 폴리스타이렌계 수지, 에피설파이드 수지, 폴리에터설폰 수지, 폴리4-메틸펜텐-1 수지, 다이에틸렌글리콜 비스알릴카보네이트 수지(CR-39), 폴리염화바이닐 수지, 알릴다이글리콜카보네이트 수지, 할로젠 함유 공중합체 및 황 함유 공중합체 등에 의해 형성된 것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플라스틱 기재(2)의 굴절률(nd)로서는, 예를 들면 1.50, 1.55, 1.60, 1.67, 1.70 및 1.74 중에서 선택된 것이 이용된다. 한편, 플라스틱 기재(2)의 굴절률을 1.6 이상으로 하는 경우, 플라스틱 기재(2)로서는, 알릴 카보네이트계 수지, 아크릴레이트계 수지, 메타크릴레이트계 수지, 및 싸이오유레테인계 수지, 에피설파이드계 수지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플라스틱 기재(2)는 투광성을 갖고 있으면 투명이 아니어도 되고, 착색되어 있어도 된다. 착색된 플라스틱 기재(2)의 투과율은 5∼85%인 것이 바람직하다.
기능성 박막(4)은, 전술한 바와 같이 플라스틱 기재(2)와 광학 다층막(3a) 사이, 및 플라스틱 기재(2)와 광학 다층막(3b) 사이에 배치되는 것으로, 플라스틱 기재(2)에 접해서 배설된 프라이머층(5)과, 이 프라이머층(5)에 접하고, 또한 광학 다층막(3a 및 3b)에 각각 접해서 배설된 하드 코팅층(6)으로 이루어져 있다.
프라이머층(5)은 플라스틱 기재(2)와 하드 코팅층(6)의 밀착성을 양호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밀착층으로서 기능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안경 렌즈(1)에 대한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것이기도 해서, 충격 흡수층으로서도 기능하도록 되어 있다.
이 프라이머층(5)은 폴리유레테인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것으로, 본 실시형태에서는, 폴리유레테인계 수지에, 예를 들면 광학 재료의 미립자를 함유시킨 것이다. 한편, 프라이머층(5)은 아크릴계 수지, 메타크릴계 수지 및 유기 규소계 수지 중 적어도 1종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프라이머층(5)의 두께(실제의 두께)에 대해서는, 0.5μm 이상 1.0μm 이하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프라이머층(5)은 프라이머층(5)의 형성 재료액에 플라스틱 기재(2)를 침지하고, 그 후 끌어올려 건조시키는 것에 의해, 플라스틱 기재(2) 상에 소정의 두께로 형성할 수 있다. 프라이머층(5)의 형성 재료액으로서는, 예를 들면 물 또는 알코올계의 용매에, 전술한 프라이머층(5)이 되는 수지와 광학 산화물 미립자 졸을 분산 또는 용해시켜, 혼합한 액을 이용할 수 있다.
하드 코팅층(6)은 플라스틱 기재(2)를 보호하여, 플라스틱 기재(2)의 손상을 억제하는 기능을 갖는 것으로, 실리콘계 내찰상성 향상 하드 코팅막 등의 내찰상성막으로서 기능하도록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드 코팅층(6)은 실리콘계 내찰상성 향상 하드 코팅막으로서, 예를 들면 오가노실록세인계 하드 코팅층으로 이루어져 있다. 오가노실록세인계 하드 코팅층은 오가노실록세인계 수지에 광학 산화물의 미립자를 분산시킨 것이다. 광학 산화물로서는, 예를 들면 루틸형의 산화타이타늄이나, 규소, 주석, 지르코늄, 및 안티모니의 산화물이 적합하게 이용된다. 또한, 하드 코팅층(6)으로서, 예를 들면 일본 특허공고 평4-55615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콜로이드상 실리카 함유의 유기 규소계 수지여도 된다. 하드 코팅층(6)의 두께(실제의 두께)에 대해서는, 2μm 이상 4μm 이하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하드 코팅층(6)으로서, 특별히 제한적이지는 않고, 예를 들면 유레테인계 내충격성 향상 하드 코팅층 등의 종래 공지의 하드 코팅층을 이용해도 된다.
하드 코팅층(6)은, 하드 코팅층(6)의 형성 재료액에, 프라이머층(5)을 형성한 플라스틱 기재(2)를 침지하고, 그 후 끌어올려 건조시키는 것에 의해, 플라스틱 기재(2) 상의 프라이머층(5) 상에 소정의 두께로 형성할 수 있다. 하드 코팅층(6)의 형성 재료액으로서는, 예를 들면 물 또는 알코올계의 용매에, 전술한 하드 코팅층(6)이 되는 수지와 광학 산화물 미립자 졸을 분산 또는 용해시켜, 혼합한 액을 이용할 수 있다.
이들 프라이머층(5) 및 하드 코팅층(6)을 포함하는 기능성 박막(4)에 대해서는, 그 굴절률과 플라스틱 기재(2)의 굴절률이 거의 동일하면, 기능성 박막(4)과 플라스틱 기재(2)의 계면에서의 반사로 생기는 간섭 줄무늬의 발생 및 투과율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플라스틱 기재(2)의 굴절률에 따라, 기능성 박막(4)의 굴절률을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능성 박막(4)(프라이머층(5), 하드 코팅층(6))의 굴절률의 조정에 대해서는, 기능성 박막(4)의 주성분이 되는 수지의 종류(물성)를 선택하는 것, 또는 그 주성분이 되는 수지에 첨가하는 미립자의 종류(물성)를 선택하는 것 등에 의해 행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기능성 박막(4)이 프라이머층(5) 및 하드 코팅층(6)을 포함해서 형성되어 있지만, 예를 들면 프라이머층(5)과 하드 코팅층(6)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이 생략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기능성 박막(4)의 구성막으로서, 예를 들면 ITO(Indium Tin Oxide: 산화인듐주석 또는 주석 도프 산화인듐이라고 함) 등으로 이루어지는 도전체막이나 Ni, Cr 등의 금속막이나 가시광의 흡수층을 전술한 프라이머층(5) 및 하드 코팅층(6)에 더하여 배설해도 된다.
본 실시형태의 안경 렌즈에서는, 플라스틱 기재(2)의 전면과 광학 다층막(3a) 사이, 및 플라스틱 기재(2)의 후면과 광학 다층막(3b) 사이에는, 동일한 기능성 박막(4)이 배설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플라스틱 기재(2)의 전면과 후면에, 상이한 기능성 박막이 배설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광학 다층막(3a 및 3b)을 각각 구성하는 고굴절률 광학 재료와 저굴절률 광학 재료 사이에 두께 20nm 이하의 ITO 등의 도전체막, Ni, Cr 등의 금속막 또는 가시광의 흡수막 등을 배설해도 된다. 도전체막, 금속막 또는 가시광의 두께는 10nm 이하여도 된다.
또한, 도전체막, 금속막 또는 가시광의 흡수막은, 본 실시형태의 다층막에 이용되는 고굴절률 광학 재료인 산화물에 비해, 전기 전도성이 있고, 또한 가시광의 흡수가 커서 착색이 일어나므로, 본 실시형태의 다층막에 이용되는 고굴절률 광학 재료에 이용할 수 없어, 이 고굴절률 광학 재료와는 명확하게 구별되고, 본 실시형태의 다층막에 이용되는 고굴절률 광학 재료에는 포함되지 않는다.
광학 다층막(3a 및 3b)은, 전술한 플라스틱 기재(2)에 고굴절률 광학 재료(고굴절률 물질)와 저굴절률 광학 재료(저굴절률 물질)가 교대로 복수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다층 구조, 구체적으로는 고굴절률 물질로 이루어지는 고굴절률층과 저굴절률 물질로 이루어지는 저굴절률층을 4층 이상 중첩시킨 다층 구조이며, 입사한 광의 반사를 방지하는 반사 방지막으로서의 기능을 갖는 것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플라스틱 기재(2)의 양면에 배설되는 광학 다층막(3a 및 3b) 중 적어도 한쪽, 즉 3a 또는 3b의 한쪽은, 그의 적어도 530nm∼570nm, 바람직하게는 530nm∼580nm의 파장 범위(녹광)에 있어서의 평균 반사율이 2.5%∼5.5%이도록 설계되어 있다.
한편, 광학 다층막(3a 및 3b)은, 그의 적어도 530nm∼570nm, 바람직하게는 530nm∼580nm의 파장 범위(녹광)에 있어서의 양쪽의 평균 반사율의 합이 3.0%∼6.0%이도록 설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파장 범위에 있어서의 양 광학 다층막(3a 및 3b) 중 적어도 한쪽의 평균 반사율, 즉 어느 쪽인가 한쪽의 평균 반사율을 2.5%∼5.5%로 한정하는 이유는 이하와 같다.
어느 쪽인가 한쪽의 평균 반사율을 2.5% 이상 5.5% 이하로 설정한 경우에는, 광학 다층막(3a 및 3b)을 구비하는 본 실시형태의 안경 렌즈(1)는, 연배자가 장용했을 때에, 어슴푸레한 곳에서도, 물건이 밝고 선명하게, 특히 적색의 선명함이 없어지지 않고, 적색이 밝게 보이도록 할 수 있고, 백색, 예를 들면, 퍼스널 컴퓨터(특히 LED(Light Emitting Diode: 발광 다이오드) 백라이트)의 흰 화면이 보다 희게 보이도록 할 수 있어, 그 결과, 백색을 주시할 필요가 있는 작업, 예를 들면, 퍼스널 컴퓨터 작업을 보다 쾌적하게 행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비해, 이 파장 범위에 있어서의 평균 반사율을 2.5% 미만으로 설정한 경우에는, 이러한 안경 렌즈를 장용할 때에, 반사율이 지나치게 낮아 반사가 지나치게 적기 때문에 장용자가 상기 효과를 얻을 수 없고, 실감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기 때문이고, 평균 반사율을 5.5% 초과로 설정한 경우에는, 이러한 안경 렌즈를 장용할 때에, 반사율이 지나치게 높기 때문에 안경 렌즈의 반사가 장용자에게 강하게 느껴지게 되어, 장용자의 시계(視界) 내에서 성가시게 느껴지거나, 장용자가 불쾌하게 느끼거나 하는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한편, 광학 다층막(3a 및 3b)의 양쪽의 평균 반사율의 합을 3.0% 이상 6.0% 이하로 설정한 경우에는, 본 실시형태의 안경 렌즈(1)에 의한 전술한 여러 가지의 효과를 보다 높은 것으로 할 수 있다.
여기에서, 본 실시형태의 안경 렌즈(1)에 있어서는, 상기 한정에 더하여, 플라스틱 기재(2)의 양면 중, 적어도 편측의 면에 배설된 광학 다층막(3a 중 3b) 중 적어도 한쪽은, 적어도 530∼570nm, 바람직하게는 530nm∼580nm의 파장 범위에 있어서의 반사율에 하나의 극대값을 갖고, 그 반사율의 극대값이 2.0%∼6.0%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광학 다층막(3a 및 3b) 중 적어도 한쪽은, 도 2에 나타내는 반사 분광 특성(분광 반사율 곡선) A 및 B와 같이, 530∼570nm, 바람직하게는 530nm∼580nm의 파장 범위에 있어서, 반사율의 극대값을 갖고, 그 극대값이 2.0% 이상 6.0% 이하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이 파장 범위에 반사율의 극대값을 갖고, 그 반사율의 극대값이 2.0∼6.0%의 범위 내에 있으면, 선택적으로 녹광을 커트할 수 있고, 그렇게 함으로써 필터 효과를 얻을 수 있어, 전술한 효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본 실시형태의 안경 렌즈(1)에 있어서는, 광학 다층막(3a 및 3b)의 양쪽이 530∼570nm, 바람직하게는 530nm∼580nm의 파장 범위에 있어서, 반사율의 극대값을 갖고, 그 극대값이 2.0% 이상 6.0% 이하의 범위에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그런데, 380nm∼780nm의 가시 영역 전역에 걸쳐서, 낮은 반사 분광 특성(광대역 저반사 특성)을 갖는 일반적인 안경 렌즈용 반사 방지막은, 도 2에 나타내는 반사 분광 특성 C와 같이, 530∼570nm의 파장 범위에 있어서 반사율의 극대값이 없고, 반사율 자체도 2.0% 미만이다.
한편, 상세는 후술하지만, 도 2에 나타내는 반사 분광 특성 A 및 B는 각각 실시예 1 및 2의 안경 렌즈(1)의 전면의 광학 다층막(3a)의 반사 분광 특성이며, 도 2에 나타내는 반사 분광 특성 C는 실시예 1 및 2의 안경 렌즈(1)의 후면의 광학 다층막(3b)의 반사 분광 특성이다.
실시예 1의 반사 분광 특성 A 및 C의 조합, 및 실시예 2의 반사 분광 특성 B 및 C의 조합으로부터, 광학 다층막(3a, 3b)의 530∼570nm의 파장 범위에 있어서의 평균 반사율의 합이 3.0∼6.0의 범위에 들어가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실시예 2의 반사 분광 특성 B로부터, 광학 다층막(3a) 단독의 530∼570nm의 파장 범위에 있어서의 평균 반사율이 3.0∼6.0의 범위에 들어가는 것도 알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안경 렌즈(1)에 있어서는, 플라스틱 기재(2)의 양면 중, 적어도 편측의 면에 배설된 광학 다층막(3a 및 3b) 중 적어도 한쪽은 가시 영역의 전체, 특히 대략 430nm∼670nm에 걸친 반사율인 시감 반사율이 1.5%∼5.0%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광학 다층막(3a 및 3b) 중 적어도 한쪽이라도, 가시 영역의 전체에 걸쳐서 시감 반사율을 1.5%∼5.0%의 범위로 조금 낮게 억제하는 것에 의해, 전술한 효과를 얻기 쉬워지기 때문이며, 시감 반사율이 1.5% 미만이면, 전술한 효과를 느끼기 어려워지고, 5.0% 초과이면, 안경 렌즈의 반사가 장용자에게 강하게 느껴지게 되어 장용자가 불쾌하게 느끼거나 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한편, 본 실시형태의 안경 렌즈(1)에 있어서는, 광학 다층막(3a 및 3b) 중 한쪽의 시감 반사율이 1.5%∼5.0%의 규정 범위 내이면, 장용자가 느끼는 반사의 번쩍임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다른 한쪽의 면은 되도록 저반사의 다층막인 편이 안경 렌즈로서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안경 렌즈(1)에 있어서는, 상기 한정에 더하여, 플라스틱 기재(2)의 양면에 배설된 광학 다층막(3a 및 3b)의 430∼470nm의 파장 범위에 있어서의 평균 반사율의 합이 2.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이 평균 반사율의 합이 2.0% 초과이면, 황색기가 비교적 강하게 느껴지게 되어, 장용자가 전술한 효과를 느끼기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안경 렌즈(1)에 있어서는, 상기 한정에 더하여, 플라스틱 기재(2)의 양면에 배설된 광학 다층막(3a 및 3b)의 630nm∼670nm의 파장 범위에 있어서의 평균 반사율의 합이 2.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이 평균 반사율의 합이 2.0% 초과이면, 청색기가 느껴지게 되거나, 장용자가 전술한 효과를 실감하기 어려워지거나 하기 때문이다.
도시예의 광학 다층막(3a)은, 전술과 같이, 플라스틱 기재(2)에 고굴절률 광학 재료와 저굴절률 광학 재료가 교대로 5층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5층 구조이며, 플라스틱 기재(2)측에 설치된 저굴절률 광학 재료로 이루어지는 제1층(저굴절률층)(7a)과, 제1층(7a) 상에 설치된 고굴절률 광학 재료로 이루어지는 제2층(고굴절률층)(8a)과, 제2층(8a) 상에 설치된 저굴절률 광학 재료로 이루어지는 제3층(저굴절률층)(9a)과, 제3층(9a) 상에 설치된 고굴절률 광학 재료로 이루어지는 제4층(고굴절률층)(10a)과, 제4층(10a) 상에 설치된 저굴절률 광학 재료로 이루어지는 제5층(저굴절률층)(11a)으로 이루어진다.
도시예의 광학 다층막(3b)도, 전술과 같이, 플라스틱 기재(2)에 고굴절률 광학 재료와 저굴절률 광학 재료가 교대로 5층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5층 구조이며, 플라스틱 기재(2)측에 설치된 저굴절률 광학 재료로 이루어지는 제1층(저굴절률층)(7b)과, 제1층(7b) 상에 설치된 고굴절률 광학 재료로 이루어지는 제2층(고굴절률층)(8b)과, 제2층(8b) 상에 설치된 저굴절률 광학 재료로 이루어지는 제3층(저굴절률층)(9b)과, 제3층(9b) 상에 설치된 고굴절률 광학 재료로 이루어지는 제4층(고굴절률층)(10b)과, 제4층(10b) 상에 설치된 저굴절률 광학 재료로 이루어지는 제5층(저굴절률층)(11b)으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광학 다층막(3a 및 3b)은, 각각 플라스틱 기재(2)의 전면 및 후면에, 고굴절률 광학 재료와 저굴절률 광학 재료가 교대로 3층 이상 적층되어 있으면, 특별히 제한적이지는 않고, 몇 층 적층한 것이어도 되지만, 상기 광학 다층막을 안경 렌즈에 이용하는 경우, 예를 들면, 3∼12층인 것이 바람직하고, 4∼10층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5∼8층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한편, 안경 렌즈용의 광학 다층막을 설계할 때, 일반적으로 그 층수는 3∼12층 정도로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학 다층막(3a 및 3b)에 있어서, 각각 3층 이상 적층하는 것은, 3층 이상이 아니면, 고굴절률 광학 재료와 저굴절률 광학 재료를 교대로 적층할 수 없기 때문이고, 12층 이하이면 충분한 생산성을 유지하면서 목적의 분광 반사 특성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도 1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광학 다층막(3a 및 3b)은 모두 고굴절률 광학 재료와 저굴절률 광학 재료가 교대로 5층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5층 구조이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고굴절률 광학 재료의 고굴절률층과 저굴절률 광학 재료의 저굴절률층이 교대로 적층되어 있으면, 광학 다층막(3a와 3b)에서 적층되는 층의 수가 상이해도 되고, 적층 순서도 상이해도 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층(7a 및 7b)은 각각 하드 코팅층(6)에 접해서 설치되는 것으로, 굴절률이 1.47인 이산화규소(SiO2)로 이루어지는 저굴절률층이다. 한편, 제1층(7a 및 7b)을 구성하는 저굴절률 광학 재료로서는, SiO2 이외에도, 예를 들면 굴절률이 1.36인 MgF2를 이용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저굴절률층은, 예를 들면, 바람직하게는 굴절률이 1.5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30∼1.50인 저굴절률 광학 재료로 이루어지는 층이다.
안경 렌즈용의 광학 다층막을 설계할 때, 일반적으로, 이와 같은 저굴절률층의 광학 막 두께는 0.030λ∼1.000λ 사이로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에 설계의 중심 파장은 400∼600nm로 해서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층(8a 및 8b)은 각각 제1층(7a 및 7b)에 접해서 설치되는 것으로, 굴절률이 2.00인 이산화지르코늄(ZrO2)으로 이루어지는 고굴절률층이다. 한편, 제2층(8a 및 8b)을 구성하는 고굴절률 광학 재료로서는, ZrO2 이외에도, 예를 들면 이산화타이타늄(TiO2)이나 이산화탄탈럼(Ta2O5)을 이용할 수도 있다. 더욱이, 지르코늄, 타이타늄, 탄탈럼의 복수종으로 이루어지는 합금의 산화물에 의해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이들 이외에도, 예를 들면 산화알루미늄(Al2O3), 이산화이트륨(Y2O3), 이산화하프늄(HfO2), Nb2O5(이산화니오븀)를 이용할 수도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고굴절률층은, 예를 들면 굴절률이 1.6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80∼2.40의 고굴절률 광학 재료로 이루어지는 층이라고 할 수도 있다.
안경 렌즈용의 광학 다층막을 설계할 때, 이와 같은 고굴절률층의 광학 막 두께도 0.030λ∼1.000λ 사이로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일반적이다.
제3층(9a 및 9b)은 각각 제2층(8a 및 8b)에 접해서 설치된 것으로, 제1층(7a 및 7b)과 마찬가지로, 굴절률이 1.47인 이산화규소(SiO2)로 이루어지는 저굴절률층이다. 한편, 이 제3층(9a 및 9b)에 대해서도, 제1층(7a 및 7b)과 마찬가지로, SiO2 이외의 저굴절률 광학 재료에 의해 형성할 수도 있다.
제4층(10a 및 10b)은 각각 제3층(9a 및 9b)에 접해서 설치된 것으로, 제2층(8a 및 8b)과 마찬가지로, 이산화지르코늄(ZrO2)으로 이루어지는 고굴절률층이다. 한편, 이 제4층(10a 및 10b)에 대해서도, 제2층(8a 및 8b)과 마찬가지로, ZrO2 이외의 고굴절률 광학 재료에 의해 형성할 수도 있다.
제5층(11a 및 11b)은 각각 제4층(10a 및 10b)에 접해서 설치된 것으로, 제2층(8a 및 8b)과 마찬가지로, 굴절률이 1.47인 이산화규소(SiO2)로 이루어지는 저굴절률층이다. 한편, 이 제5층(11a 및 11b)에 대해서도, 제1층(7a 및 7b)과 마찬가지로, SiO2 이외의 저굴절률 광학 재료에 의해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술과 같이, 광학 다층막(3a 및 3b) 상, 즉 플라스틱 기재(2)로부터 가장 먼 광학 다층막(3a 및 3b)의 최외층(저굴절률층인 제5층(11a 및 11b)) 상에, 불소 치환 알킬기 함유 유기 규소 화합물을 포함하는 발수발유막(12)이 설치되어 있다.
이 발수발유막(12)은 불소 치환 알킬기 함유 유기 규소 화합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것으로, 발액성(발수성, 발유성)을 갖는 것이다. 즉, 이 발수발유막(12)은 안경 렌즈(1)의 후면 에너지를 저하시켜, 물 건조 자국 방지, 흐림 방지 및 오염 방지의 기능을 발휘함과 더불어, 안경 렌즈 후면의 미끄럼성을 향상시키고, 그 결과로서, 내찰상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불소 치환 알킬기 함유 유기 규소 화합물로서는, 하기 화학식(1):
Figure pct00001
(식(1) 중, Rf는 탄소수 1∼16의 직쇄상 또는 분기상 퍼플루오로알킬기를 나타내고, Y는 아이오딘 또는 수소를 나타내고, Y'는 수소 또는 탄소수 1∼5의 저급 알킬기를 나타내고, Y"는 불소 또는 트라이플루오로메틸기를 나타내고, R1은 가수분해 가능한 기를 나타내고, R2는 수소 또는 불활성인 1가의 유기기를 나타내고, a, b, c, d는 각각 0∼200의 정수를 나타내고, e는 0 또는 1을 나타내고, s 및 t는 각각 0∼2의 정수를 나타내고, w는 1∼10의 정수를 나타낸다.)
및 하기 화학식(2)∼(5):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3
Figure pct00004
Figure pct00005
(식(2)∼(5) 중, X는 산소 또는 2가의 유기기를 나타내고, X'는 가수분해 가능한 기를 나타내고, X"는 2가의 유기 실리콘기를 나타내고, R3은 탄소수 1∼22의 직쇄상 또는 분기상 알킬렌기를 나타내고, q는 1∼3의 정수를 나타내고, m, n, o는 각각 0∼200의 정수를 나타내고, p는 1 또는 2를 나타내고, r은 2∼20의 정수를 나타내고, k는 0∼2의 정수를 나타내고, z는 k가 0 또는 1인 경우에 0∼10의 정수를 나타낸다.)
및 하기 화학식(6):
Figure pct00006
(식(6) 중, Rf2는 2가의 직쇄상의 퍼플루오로폴리에터기를 나타내고, R4는 탄소수 1∼4의 알킬기 또는 페닐기를 나타내고, R5는 가수분해 가능한 기를 나타내고, i는 0∼2의 정수를 나타내고, j는 1∼5의 정수를 나타내고, u는 2 또는 3을 나타낸다.)
중에서 선택된다.
여기에서, 발수발유막(12)에 우수한 내구성을 부여하기 위해서는, 화학식(1)∼(5) 중에서 선택되는 불소 치환 알킬기 함유 유기 규소 화합물과, 화학식(6)에서 선택되는 불소 치환 알킬기 함유 유기 규소 화합물을 조합하여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학식(1)∼(5)로 표시되는 불소 치환 알킬기 함유 유기 규소 화합물로서는, 다이킨공업주식회사제 옵툴 DSX, 옵툴 AES4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화학식(6)으로 표시되는 불소 치환 알킬기 함유 유기 규소 화합물로서는, 신에쓰화학공업주식회사제 KY-130, KY-164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안경 렌즈의 제조 방법]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의 안경 렌즈의 제조 방법의 일례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도 1에 나타내는 양면에 광학 다층막(3a 및 3b)이 배설되어 있는 안경 렌즈(1)의 제조 방법에 기초하여 설명을 행한다.
본 실시형태의 제조 방법은, 플라스틱 기재(2)의 전면 및 후면의 양면에 대해서 종래와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기능성 박막(4)(프라이머층(5), 하드 코팅층(6))을 형성하는 공정과, 플라스틱 기재(2)를 가열하는 공정과, 가열에 의해 플라스틱 기재(2)를 소정 온도(예를 들면 70℃)로 조정한 후, 이 플라스틱 기재(2)의 양면 상에 각각 광학 다층막(3a 및 3b)을 형성하는 공정과, 광학 다층막(3a 및 3b) 상에 각각 발수발유막(12)을 형성하는 공정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광학 다층막(3a 및 3b)을 형성하는 공정은, 고굴절률 광학 재료와 저굴절률 광학 재료를 교대로 복수 적층해서 다층 구조의 막을 형성하는 처리이며, 제1층(7a 및 7b)의 저굴절률 광학 재료로 이루어지는 저굴절률층, 그 위에 제2층(8a 및 8b)의 고굴절률 광학 재료로 이루어지는 고굴절률층, 그 위에 제3층(9a 및 9b)의 저굴절률층, 그 위에 제4층(10a 및 10b)의 고굴절률층의 후막, 그 위에 제5층(11a 및 11b)의 저굴절률층을 순차적으로 형성하는 처리이다. 이들 제1층∼제5층의 각 층의 형성에는, 진공 증착법이 적합하게 이용된다.
도 3은 광학 다층막(3a 및 3b)의 각 층(7a 및 7b∼11a 및 11b)을 형성하기 위한 진공 증착 장치(이하, 간단히 증착 장치라고도 함)(30)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증착 장치(30)는 제 1 성막실(31)과 제 2 성막실(32)과 제 3 성막실(33)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들 제 1 성막실(31), 제 2 성막실(32), 제 3 성막실(33)은 각각의 내부가 거의 진공으로 감압되고, 그 상태로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진공 증착 장치(30)를 이용하여, 본 실시형태의 안경 렌즈(1)용의 광학 다층막(3a 및 3b)을 성막할 때, 일반적으로, 그 증착 압력을 1.0×10-3Pa∼1.0×10-4Pa 정도의 진공으로 해서 증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증착 장치(30)는 도시하지 않는 온조(溫調) 수단에 의해, 제 1 성막실(31), 제 2 성막실(32), 제 3 성막실(33)의 각각의 내부 온도가 조정 가능하게 되어 있다.
증착 장치(30)는 제 1 성막실(31), 제 2 성막실(32), 제 3 성막실(33)의 각각의 내부 공간에 유지 부재(34)를 구비하고 있다. 유지 부재(34)는 그의 상면(유지면)이 곡면상으로 되어 있고, 또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으며, 이 상면에 복수의 플라스틱 기재(2)를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증착 장치(30)의 증착원(35)은 제 2 성막실(32)의 내측의 공간에 배치되어 있다. 증착원(35)은 제 1 증착원(35A) 및 제 2 증착원(35B)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제 2 성막실(32)에는, 증착원(35)에 빔을 조사 가능한 광원 장치(36)가 배치되어 있다. 광원 장치(36)는 증착원(35)에 대해서 전자를 조사하여 증착원(35)의 구성 입자를 쫓아낼 수 있는 것이다.
광원 장치(36)로부터 사출된 전자가 증착원(35)에 조사되는 것에 의해, 그 증착원(35)으로부터, 광학 다층막(3a 및 3b)을 형성하기 위한 재료(가스)가 방출된다.
예를 들면, 광원 장치(36)가 제 2 증착원(35B)에 빔을 조사하는 것에 의해, SiO2의 증기를 제 2 증착원(35B)으로부터 방출시켜, 유지 부재(34)에 유지되어 있는 플라스틱 기재(2)의 양면 상에 공급하여 증착시킨다. 이에 의해, 광학 다층막(3a 및 3b)의 저굴절률층인 제1층(7a 및 7b), 제3층(9a 및 9b) 및 제5층(11a 및 11b)을 형성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광원 장치(36)가 제 1 증착원(35A)에 빔을 조사하는 것에 의해, ZrO2의 증기를 제 1 증착원(35A)으로부터 방출시켜, 유지 부재(34)에 유지되어 있는 플라스틱 기재(2)의 양면 상에 공급하여 증착시킨다. 이에 의해, 광학 다층막(3)의 고굴절률층인 제2층(8a 및 8b)과 제4층(10a 및 10b)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제 1 증착원(35A)에 대한 빔의 조사와 제 2 증착원(35B)에 대한 빔의 조사를 교대로 행하는 것에 의해, 유지 부재(34)에 유지되어 있는 플라스틱 기재(2)의 양면 상에, 고굴절률 광학 재료로 이루어지는 층과 저굴절률 광학 재료로 이루어지는 층을 교대로 형성하여 적층할 수 있다. 단, 본 실시형태에서는, 플라스틱 기재(2)의 양면 상에 광학 다층막(3a 및 3b)을, 그의 530∼570nm의 파장 범위에 있어서의 평균 반사율의 합이 3.0∼6.0%가 되도록 형성한다.
한편, 제 1 증착원(35A)으로서 산화지르코늄(ZrO)으로 이루어지는 증착원을 이용하고, 제 2 성막실(32)의 내부 공간에 산소를 도입하면서 제 1 증착원(35A)에 빔을 조사하여, 이산화지르코늄(ZrO2)으로 이루어지는 고굴절률 광학 재료층을 형성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안경 렌즈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광학 다층막(3a 및 3b)을 형성하는 공정은, 광학 다층막(3a 및 3b)을 구성하는 층 중 적어도 1층을, 이온 빔 어시스트를 실시하면서 성막을 행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본 실시형태의 안경 렌즈의 제조 방법이, 이러한 공정을 포함하는 것에 의해, 광학 다층막을 구성하는 고굴절률 광학 재료와 저굴절률 광학 재료 사이에, ITO나 금속 등의 도전체막이 배설된다.
도 4는 이온 빔 어시스트를 실시하기 위한 성막 장치(30a)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성막 장치(30a)는 도 3에 나타난 진공 증착 장치(30)의 제 2 성막실에 이온 건(37)이 비치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4에 있어서, 도 3에 나타낸 진공 증착 장치(30)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광학 다층막(3a 및 3b)을 구성하는 고굴절률층인 제4층(10a 및 10b)과 저굴절률층인 제5층(11a 및 11b) 사이에, ITO나 금속 등의 도전체막을 배설할 때에, 이온 빔 어시스트를 실시하면서 성막을 행한다.
한편, 성막실(32) 내에서 광학 다층막(3a 및 3b)을 구성하는 층 중 적어도 1층을, 이온 빔 어시스트를 실시하면서 성막을 행하면 되고, 이온 빔 어시스트를 실시하는 대상은 도전체막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이 성막 장치(30a)의 제 2 성막실은, 플라스틱 기재(2) 상에 제4층(10a 및 10b)이 성막된 기재를 유지하는 유지 부재(34)와, 증착원(35a)과, 증착원(35a)과 이간하여 배치된 이온 건(37)과, 광원 장치(36)를 주체로 해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성막 장치(30a)는 그 내부가 진공 증착 장치(30)와 마찬가지로 거의 진공으로 감압되고, 플라스틱 기재(2)의 주위를 진공 분위기로 유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성막 장치(30a)에는, 가스 봄베 등의 분위기 가스 공급원이 접속되어 있고, 진공 용기의 내부를 진공 등의 저압 상태로, 또한 산소 가스, 아르곤 가스, 또는 그 밖의 불활성 가스 분위기, 또는 산소를 포함하는 불활성 가스 분위기로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증착원(35a)은, 예를 들면 ITO를 포함하는 것이다. 광원 장치(36)가 증착원(35a)에 빔을 조사하는 것에 의해, 가스화된 ITO가 그 증착원(35a)으로부터 방출되어, 유지 부재(34)에 유지되어 있는 플라스틱 기재(2)에 공급된다. 이에 의해, 제4층(10a 및 10b) 상에 ITO로 이루어지는 도전체막을 형성할 수 있다.
이온 건(37)은, 제 2 성막실(32)의 내부에, 이온화시키는 가스를 도입하고, 정면에 인출(引出) 전극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가스의 원자 또는 분자의 일부를 이온화하고, 그 이온화된 입자를 인출 전극에서 발생시킨 전계로 제어하여 이온 빔으로서 조사하는 장치이다.
광원 장치(36)는 이온 건(37)과 동등한 구성을 이루고, 증착원(35a)에 대해서 전자를 조사하여 증착원(35a)의 구성 입자를 쫓아낼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성막 장치(30a)에 있어서는, 증착원(35a)의 구성 입자를 쫓아낼 수 있는 것이 중요하므로, 증착원(35a)에 고주파 코일 등으로 전압을 인가해서 증착원(35a)의 구성 입자를 쫓아내기 가능하도록 구성하고, 광원 장치(36)를 생략해도 된다.
다음으로, 전술한 구성의 성막 장치(30a)를 이용하여 플라스틱 기재(2) 상의 고굴절률층의 제4층(10a 및 10b) 상에 ITO의 도전체막을 형성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ITO의 도전체막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ITO의 증착원(35a)을 이용함과 더불어, 이온 건(37)으로부터 조사되는 이온을 유지 부재(34)의 상면에 조사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플라스틱 기재(2)를 수납하고 있는 성막실(32)의 내부를 진공 흡인하여 감압 분위기로 한다. 그리고, 이온 건(37)과 광원 장치(36)를 작동시킨다. 한편, 성막 장치(30a)에서 이온 빔 어시스트를 이용하여 안경 렌즈용의 광학 다층막을 성막할 때, 이온원의 방식에 따라 변화하므로, 일반적으로 규정하는 것은 어렵지만, 예를 들면 일례로서, 그 가속 전압은 100V∼1000V 사이이고, 가속 전류는 10∼500mA에서 성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원 장치(36)로부터 증착원(35a)에 전자를 조사하면, 증착원(35a)의 구성 입자가 쫓겨나 제4층(10a 및 10b) 상으로 날아온다. 그리고, 제4층(10a 및 10b) 상에, 증착원(35a)으로부터 쫓아낸 구성 입자를 퇴적시킴과 동시에, 이온 건(37)으로부터 아르곤 이온을 조사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이온 빔 어시스트는 불활성 가스, 산소 가스, 및 불활성 가스와 산소 가스의 혼합 가스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가스를 이용하여 행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해당 불활성 가스는 아르곤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해서 광학 다층막(3a, 3b)을 형성하면, 이들 위에 발수발유막(12)을 각각 형성하여, 안경 렌즈(1)를 형성한다.
발수발유막(12)의 형성 방법으로서는, 디핑법, 스핀 코팅법, 스프레이법 등의 습식법, 또는 진공 증착법 등의 건식법이 있다.
습식법 중에서는, 디핑법이 일반적이고, 흔히 이용된다. 이 방법은 불소 치환 알킬기 함유 유기 규소 화합물을 유기 용제에 용해시킨 액 중에, 광학 다층막(3a 및 3b)까지 형성하여 안경 렌즈를 침지하고, 일정 조건에서 끌어올리고, 건조시켜 성막하는 방법이다. 유기 용제로서는, 퍼플루오로헥세인, 퍼플루오로-4-메톡시뷰테인, 퍼플루오로-4-에톡시뷰테인, 메타자일렌헥사플루오라이드 등이 사용된다.
유기 용제에 의한 희석 농도는 0.01∼0.5중량%가 바람직하고, 0.03∼0.1중량%가 보다 바람직하다. 농도가 지나치게 낮으면 충분한 막 두께의 발수발유층(12)이 얻어지지 않고, 또한 농도가 지나치게 높으면 도포 불균일이 발생하기 쉽고, 재료 비용도 높아져 버린다.
건식법 중에서는, 진공 증착법이 흔히 이용된다. 이 방법은 불소 치환 알킬기 함유 유기 규소 화합물을 진공조 내에서 가열하여 증발시켜, 발수발유막(12)을 형성하는 방법이다.
이와 같이 해서 형성된 본 실시형태의 안경 렌즈(1)에 있어서는, 광학 다층막(3a 및 3b)을 그의 530∼570nm의 파장 범위에 있어서의 평균 반사율의 합이 3.0∼6.0%이도록 구성했으므로, 전술한 바와 같이, 연배자가 장용했을 때에, 어슴푸레한 곳에서도, 물건이 밝고 선명하게, 특히 적색의 선명함이 없어지지 않고, 적색이 밝게 보이도록 할 수 있고, 백색, 예를 들면, 퍼스널 컴퓨터의 흰 화면이 보다 희게 보이도록 할 수 있어, 그 결과, 퍼스널 컴퓨터 작업 등의 백색을 주시하는 작업을 보다 쾌적하게 행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형태의 안경 렌즈는 장용하여 광원을 관찰한 경우, 인공 태양 조명등, 주광색 LED 전구, 및 주광색 형광등 등의 어느 광원에 있어서도, 장용하지 않는 경우에 비해, 광원의 색 온도를 1%∼3% 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안경 렌즈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는, 이와 같은 연배자의 눈에 적합한 우수한 안경 렌즈를 확실히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안경 렌즈(1)는 양면의 광학 다층막(3a 및 3b)의 530nm∼570nm의 중파장 범위의 광을 선택적으로 커트하는 것이며, 또한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편측의 면의 광학 다층막에 있어서, 그 시감 반사율을 소정 범위 내로 수렴시켜, 다른 가시 파장 영역의 대부분에 있어서 근소하게 광을 커트하는 것이다.
상기 종래 기술에 있어서, 도 12를 이용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사람의 눈은, 밝은 곳에서는 시감도(시감 효율) 자체는 낮고, 감도 피크는 555nm 부근이 되지만, 광이 부족해져 어두워지면, 시감도는 상승하여 높아지고, 감도 피크는 단파장측으로 시프트하여, 어긋나 온다. 이 때문에, 사람의 눈에는, 밝은 곳에서 적색과 청색이 동일한 밝기로 보여도, 어슴푸레한 곳에서는 적색은 칙칙하여 어둡게 보이는 푸르키네 현상이 생긴다.
이 때문에, 530nm∼570nm의 중파장 영역에 있어서의 광을 선택적으로 커트함과 더불어, 바람직하게는 다른 가시 파장 영역의 대부분에 있어서 근소하게 광을 커트하여, 어슴푸레한 곳에서의 감도가 낮아져, 어둡게 보이는 옅은 적색의 본 실시형태의 안경 렌즈를 장용하는 것에 의해, 어슴푸레한 곳에서도 물건이 밝고 선명하게 보인다고 하는 효과를 더 얻을 수 있다.
실시예
이하에 본 발명을 실시예에 기초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도 1에 나타내는 플라스틱 기재(2)인 유레테인계 합성 수지 기판의 양면(안경 렌즈(1)의 표면(전면; 외측) 및 후면(얼굴측)) 상에, 굴절률 1.67의 프라이머 코팅 및 굴절률 1.67의 실리콘계 하드 코팅을 가열 경화로 실시하여 프라이머층(5) 및 하드 코팅층(6)으로 이루어지는 기능성 박막(4)을 형성하는 전처리를 행한 후, 그들 위에, 이하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진공 증착법에 의해 광학 다층막(3a 및 3b)을 성막하여, 실시예 1의 안경 렌즈(1)를 제작했다.
후면: 유레테인계 합성 수지 기판(이하, 플라스틱 기재(2)로 나타냄)을 진공조 내에 설치된 회전하는 돔에 세팅하고, 진공조 내의 온도를 70도로 가열하고, 압력이 1.0×10-3Pa가 될 때까지 배기하고, 가속 전압 500V, 가속 전류 100mA의 조건에서 Ar 이온 빔 클리닝을 60초간 실시한 후, 플라스틱 기재(2)의 후면에, 후면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제1층 SiO2(굴절률 1.47)를 광학적 막 두께 0.100λ, 제2층 ZrO2(굴절률 2.00)를 광학적 막 두께 0.150λ, 제3층 SiO2(굴절률 1.47)를 광학적 막 두께 0.080λ, 제4층 ZrO2(굴절률 2.00)를 광학적 막 두께 0.250λ, 제5층 SiO2(굴절률 1.47)를 광학적 막 두께 0.300λ로 적층하여, 광학 다층막(3b)을 형성했다.
표면(전면; 외측): 얼굴측의 표면과 마찬가지의 장치, 가공 분위기하에서, 전처리 후의 플라스틱 기재(2)의 전면에, 전면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제1층 SiO2(굴절률 1.47)를 광학적 막 두께 0.150λ, 제2층 ZrO2(굴절률 2.00)를 광학적 막 두께 0.080λ, 제3층 SiO2(굴절률 1.47)를 광학적 막 두께 0.040λ, 제4층 ZrO2(굴절률 2.00)를 광학적 막 두께 0.500λ, 제5층 SiO2(굴절률 1.47)를 광학적 막 두께 0.250λ로 적층하여, 광학 다층막(3a)을 형성했다.
한편, 각 실시예 및 각 비교예에 있어서, 양면의 광학 다층막(3a 및 3b) 모두, 파장 λ는 설계의 중심 파장으로 500nm로 했다.
이렇게 해서 제작된 실시예 1의 안경 렌즈(1)의 표면(전면)의 광학 다층막(3a)의 반사 분광 특성을 도 5에 나타내고, 실시예 1의 후면의 광학 다층막(3b)의 반사 분광 특성을 도 6에 나타낸다.
또한, 530∼570nm, 430∼470nm 및 630∼730nm, 및 530∼580nm의 각 파장 영역에 있어서의 전면 및 후면의 광학 다층막(3a 및 3b)의 각 평균 반사율, 및 전면과 후면의 평균 반사율의 합을 구했다. 한편, 평균 반사율은 파장 1nm씩 측정한 반사율의 평균이다. 또한, 전면 및 후면의 광학 다층막(3a 및 3b)의 각 시감 반사율, 및 전면과 후면의 시감 반사율의 합을 구했다.
실시예 1의 다층막의 구성 및 막 특성으로서 구해진 530∼570nm, 530∼580nm, 430∼470nm, 및 630∼730nm의 4개의 파장 범위의 평균 반사율 및 시감 반사율의 값을 후면, 표면(전면), 및 후면과 표면(전면)의 합 각각에 대하여 표 1에 나타낸다.
도 5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전면의 광학 다층막(3a)은, 그의 530∼570nm의 파장 범위에 있어서의 분광 반사율이 중간 정도로 높아져 있고, 도 6에 나타내는 반사 분광 특성을 가져, 안경 렌즈에 이용되는 일반적인 반사 방지막인 실시예 1의 후면의 광학 다층막(3b)과 조합하는 것에 의해, 530∼570nm, 및 530∼580nm의 파장 범위 이외의 파장 범위의 광을 지나치게 커트함이 없이, 530∼570nm(530∼580nm)의 녹광을 적절히 커트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도 5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광학 다층막(3a)은 530∼570nm(530∼580nm)의 파장 범위에 있어서의 분광 반사율에 하나의 극대값을 갖고, 그 반사율의 극대값이 3.0%로, 2.0∼6.0%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전면의 광학 다층막(3a)에서는, 530∼570nm의 파장 범위를 530∼580nm의 파장 범위로 확대하더라도, 마찬가지인 반사 분광 특성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2>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플라스틱 기재(2)의 양면 상에 전처리를 행한 후, 이하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진공 증착법에 의해, 광학 다층막(3a 및 3b)을 성막하여, 실시예 2의 안경 렌즈(1)를 제작했다.
전면: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장치를 이용하여, 마찬가지의 가공 분위기하에서, 진공 증착법에 의해, 전처리 후의 플라스틱 기재(2)의 전면에, 전면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제1층 SiO2(굴절률 1.47)를 광학적 막 두께 0.250λ, 제2층 ZrO2(굴절률 2.00)를 광학적 막 두께 0.040λ, 제3층 SiO2(굴절률 1.47)를 광학적 막 두께 0.060λ, 제4층 ZrO2(굴절률 2.00)를 광학적 막 두께 0.550λ, 제5층 SiO2(굴절률 1.47)를 광학적 막 두께 0.250λ로 적층하여, 광학 다층막(3a)을 형성했다.
후면: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장치를 이용하여, 마찬가지의 가공 분위기하에서, 진공 증착법에 의해, 전처리 후의 플라스틱 기재(2)의 후면에, 실시예 1의 후면의 광학 다층막(3b)과 완전히 동일한 다층막의 구성을 갖는 실시예 2의 후면의 광학 다층막(3b)을 형성했다.
이렇게 해서 제작된 실시예 2의 안경 렌즈(1)의 전면의 광학 다층막(3a)의 반사 분광 특성을 도 7에 나타낸다. 한편, 실시예 2의 후면의 광학 다층막(3b)의 반사 분광 특성은 도 6에 나타내는 실시예 1의 후면의 광학 다층막(3b)과 마찬가지였다.
또한,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막 특성으로서, 전술한 4개의 파장 범위의 평균 반사율 및 시감 반사율을 전면(표면), 후면, 및 전면(표면), 후면의 합 각각에 대하여 구했다.
실시예 2의 다층막의 구성 및 막 특성을 표 1에 나타낸다.
도 7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실시예 2의 전면의 광학 다층막(3a)은 그의 530∼570nm의 파장 범위에 있어서의 분광 반사율이 중간 정도로 높아져 있어, 도 6에 나타내는 반사 분광 특성을 가져, 안경 렌즈에 이용되는 일반적인 반사 방지막인 실시예 2의 후면의 광학 다층막(3b)과 조합하는 것에 의해, 530∼570nm의 파장 범위 이외의 파장 범위의 광을 지나치게 커트함이 없이, 530∼570nm의 녹광을 적절히 커트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도 7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실시예 2의 광학 다층막(3a)은 530∼570nm의 파장 범위에 있어서의 분광 반사율에 하나의 극대값을 갖고, 그 반사율의 극대값이 5.0%로, 2.0∼6.0%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실시예 2의 전면의 광학 다층막(3a)에서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530∼570nm의 파장 범위를 530∼580nm의 파장 범위로 확대하더라도, 동일한 반사 분광 특성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비교예 1>
전면: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장치를 이용하여, 마찬가지의 가공 분위기하에서, 진공 증착법에 의해, 전처리 후의 플라스틱 기재(2)의 전면에, 실시예 1의 후면의 광학 다층막(3b)과 완전히 동일한 다층막의 구성을 갖는 비교예 1의 전면의 광학 다층막을 형성했다.
후면: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장치를 이용하여, 마찬가지의 가공 분위기하에서, 진공 증착법에 의해, 전처리 후의 플라스틱 기재(2)의 후면에, 실시예 1의 후면의 광학 다층막(3b)과 완전히 동일한 다층막의 구성을 갖는 비교예 1의 후면의 광학 다층막을 형성했다.
이렇게 해서, 비교예 1의 안경 렌즈를 제작했다.
이렇게 해서 제작된 비교예 1의 전면 및 후면의 광학 다층막의 반사 분광 특성은, 실시예 1 및 2의 후면의 광학 다층막(3b)과 마찬가지로, 안경 렌즈에 이용되는 일반적인 반사 방지막의 반사 분광 특성인 도 6에 나타내는 것이 되었다.
또한,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비교예 1의 전면 및 후면의 광학 다층막의 4개의 파장 범위의 평균 반사율 및 시감 반사율을 구했다.
비교예 1의 다층막의 구성 및 막 특성을 표 2에 나타낸다.
도 6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비교예 1의 전면 및 후면의 광학 다층막은 모두 안경 렌즈에 이용되는 일반적인 반사 방지막이며, 그의 530∼570nm(530∼580nm)의 파장 범위에 있어서의 분광 반사율이 높아져 있지 않고, 실시예 1의 도 5에 나타내는 반사 분광 특성과는 완전히 상이한 반사 분광 특성을 나타내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비교예 2>
전면: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장치를 이용하여, 마찬가지의 가공 분위기하에서, 진공 증착법에 의해, 전처리 후의 플라스틱 기재(2)의 전면에, 전면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제1층 ZrO2(굴절률 2.00)를 광학적 막 두께 0.100λ, 제2층 SiO2(굴절률 1.47)를 광학적 막 두께 0.080λ, 제3층 ZrO2(굴절률 2.00)를 광학적 막 두께 0.060λ, 제4층 SiO2(굴절률 1.47)를 광학적 막 두께 0.400λ, 제5층 ZrO2(굴절률 2.00)를 광학적 막 두께 0.150λ, 제6층 SiO2(굴절률 1.47)를 광학적 막 두께 0.100λ, 제7층 ZrO2(굴절률 2.00)를 광학적 막 두께 0.180λ, 제8층 SiO2(굴절률 1.47)를 광학적 막 두께 0.280λ로 적층하여, 비교예 2의 전면의 광학 다층막을 형성했다.
후면: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장치를 이용하여, 마찬가지의 가공 분위기하에서, 진공 증착법에 의해, 전처리 후의 플라스틱 기재(2)의 후면에, 실시예 1의 후면의 광학 다층막(3b)과 완전히 동일한 다층막의 구성을 갖는 비교예 2의 후면의 광학 다층막을 형성했다.
이렇게 해서, 비교예 2의 안경 렌즈를 제작했다.
이렇게 해서 제작된 비교예 2의 안경 렌즈(1)의 전면의 광학 다층막의 반사 분광 특성을 도 8에 나타낸다. 한편, 비교예 2의 후면의 광학 다층막의 반사 분광 특성은 도 6에 나타내는 실시예 1의 후면의 광학 다층막(3b)과 마찬가지였다.
또한,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비교예 2의 전면 및 후면의 광학 다층막의 4개의 파장 범위의 평균 반사율 및 시감 반사율을 구했다.
비교예 2의 다층막의 구성 및 막 특성을 표 2에 나타낸다.
도 8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비교예 2의 전면의 광학 다층막은, 그의 530∼570nm(530∼580nm)의 파장 범위에 있어서의 분광 반사율이 지나치게 높아져 있어, 실시예 1의 도 5에 나타내는 반사 분광 특성과는 완전히 상이한 반사 분광 특성을 나타내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비교예 2의 전면의 광학 다층막은, 도 6에 나타내는 반사 분광 특성을 가져, 일반적인 반사 방지막인 비교예 2의 후면의 광학 다층막과 조합하더라도, 530∼570nm(530∼580nm)의 녹광을 지나치게 커트하게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비교예 3>
전면: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장치를 이용하여, 마찬가지의 가공 분위기하에서, 진공 증착법에 의해, 전처리 후의 플라스틱 기재(2)의 전면에, 전면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제1층 ZrO2(굴절률 2.00)를 광학적 막 두께 0.100λ, 제2층 SiO2(굴절률 1.47)를 광학적 막 두께 0.060λ, 제3층 ZrO2(굴절률 2.00)를 광학적 막 두께 0.060λ, 제4층 SiO2(굴절률 1.47)를 광학적 막 두께 0.420λ, 제5층 ZrO2(굴절률 2.00)를 광학적 막 두께 0.150λ, 제6층 SiO2(굴절률 1.47)를 광학적 막 두께 0.100λ, 제7층 ZrO2(굴절률 2.00)를 광학적 막 두께 0.180λ, 제8층 SiO2(굴절률 1.47)를 광학적 막 두께 0.270λ로 적층하여, 비교예 3의 전면의 광학 다층막을 형성했다.
후면: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장치를 이용하여, 마찬가지의 가공 분위기하에서, 진공 증착법에 의해, 전처리 후의 플라스틱 기재(2)의 후면에, 실시예 1의 후면의 광학 다층막(3b)과 완전히 동일한 다층막의 구성을 갖는 비교예 3의 후면의 광학 다층막을 형성했다.
이렇게 해서, 비교예 3의 안경 렌즈를 제작했다.
이렇게 해서 제작된 비교예 3의 안경 렌즈(1)의 전면의 광학 다층막의 반사 분광 특성을 도 9에 나타낸다. 한편, 비교예 3의 후면의 광학 다층막의 반사 분광 특성은 도 6에 나타내는 실시예 1의 후면의 광학 다층막(3b)과 마찬가지였다.
또한,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비교예 3의 전면 및 후면의 광학 다층막의 4개의 파장 범위의 평균 반사율 및 시감 반사율을 구했다.
비교예 3의 다층막의 구성 및 막 특성을 표 2에 나타낸다.
도 9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비교예 3의 전면의 광학 다층막은, 그의 530∼570nm(530∼580nm)의 파장 범위에 있어서의 분광 반사율이 지나치게 높아져 있어, 실시예 1의 도 5에 나타내는 반사 분광 특성과는 완전히 상이한 반사 분광 특성을 나타내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비교예 3의 전면의 광학 다층막은, 도 6에 나타내는 반사 분광 특성을 가져, 일반적인 반사 방지막인 비교예 2의 후면의 광학 다층막과 조합하더라도, 530∼570nm(530∼580nm)의 녹광을 지나치게 커트하게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Figure pct00007
Figure pct00008
이와 같이 해서 얻어진 실시예 1∼2와 비교예 1∼3을 비교하여, 이하의 결과가 얻어졌다.
우선, 실시예 1의 전면의 광학 다층막(3a)은, 표 1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그들의 530∼570nm 및 530∼580nm의 파장 범위에 있어서의 평균 반사율이 각각 3.0% 및 2.9%로, 모두 2.5∼5.5%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의 광학 다층막(3a 및 3b)은, 표 1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그들의 530∼570nm 및 530∼580nm의 파장 범위에 있어서의 평균 반사율의 합이 각각 3.6% 및 3.4%로, 모두 3.0∼6.0%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의 전면 및 후면의 광학 다층막(3a 및 3b)은, 각 시감 반사율이 각각 2.4% 및 0.6%로, 전면의 광학 다층막(3a)의 시감 반사율이 1.5%∼5.0%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실시예 1의 전면의 광학 다층막(3a)은, 430∼470nm의 파장 범위에 있어서의 평균 반사율이 0.5%이고, 630∼670nm의 파장 범위에 있어서의 평균 반사율이 0.6%로, 모두 2.0% 이하인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의 전면 및 후면의 광학 다층막(3a 및 3b)은, 그들의 430∼470nm의 파장 범위에 있어서의 평균 반사율의 합이 1.0%이고, 630∼670nm의 파장 범위에 있어서의 평균 반사율의 합이 1.2%로, 모두 2.0% 이하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실시예 2의 전면의 광학 다층막(3a)은, 표 1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그들의 530∼570nm 및 530∼580nm의 파장 범위에 있어서의 평균 반사율이 각각 4.9% 및 4.8%로, 모두 2.5∼5.5%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실시예 2의 광학 다층막(3a 및 3b)은, 표 1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그들의 530∼570nm 및 530∼580nm의 파장 범위에 있어서의 평균 반사율의 합이 각각 5.5% 및 5.3%로, 모두 3.0∼6.0%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실시예 2의 전면 및 후면의 광학 다층막(3a 및 3b)은, 각 시감 반사율이 각각 4.6% 및 0.6%로, 전면의 광학 다층막(3a)의 시감 반사율이 1.5%∼5.0%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실시예 2의 전면의 광학 다층막(3a)은, 430∼470nm의 파장 범위에 있어서의 평균 반사율이 0.7%이고, 630∼670nm의 파장 범위에 있어서의 평균 반사율이 1.1%로, 모두 2.0% 이하인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실시예 2의 전면 및 후면의 광학 다층막(3a 및 3b)은, 그들의 430∼470nm의 파장 범위에 있어서의 평균 반사율의 합이 1.2%이고, 630∼670nm의 파장 범위에 있어서의 평균 반사율의 합이 1.7%로, 모두 2.0% 이하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비교예 1, 2 및 3의 전면 및 후면의 광학 다층막은, 양면의 광학 다층막의 530∼570nm의 파장 범위에 있어서의 평균 반사율의 합이 각각 1.2%, 7.4% 및 9.4%이고, 또한 양면의 광학 다층막의 530∼580nm의 파장 범위에 있어서의 평균 반사율의 합이 각각 1.0%, 7.2% 및 9.1%로, 모두 3.0∼6.0%의 범위로부터 벗어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실시예 1∼2 및 비교예 1∼3의 안경 렌즈를 프레임에 맞춰 넣고, 안경 렌즈로서 피험자에 의한 장용 테스트를 실시하여, 관능 평가를 행했다. 이 관능 평가는, 피험자로서, 30∼60대의 일반적인 사람을 선택하고, 실시예 1∼2 및 비교예 1∼3의 안경 렌즈를 장용시켜, 안경 렌즈를 장용하지 않는 상태와 비교하여 퍼스널 컴퓨터의 화면(특히 엑셀 파일에서의 작업)이 보다 희게 느껴지는지 여부의 앙케이트를 행했다.
안경 렌즈를 장용하지 않는 상태와 비교하여, 어슴푸레한 환경에서 풍경이나 물건, 특히 적색이 선명하게 밝게 보이거나, 흰 퍼스널 컴퓨터 화면이 보다 희게 보이거나 하는 효과가 느껴진 것을 ○로 평가했다. 안경 렌즈를 장용하지 않는 상태와 비교하여, 효과가 느껴지지 않았거나, 또는 렌즈 표면의 반사의 성가심이나 어두움을 느낀 경우에는 ×로 평가했다.
또, 인공 태양(조명)등, 주광색 LED(전구), 주광색 형광등의 광원의 색 온도를, 분광 방사 휘도계를 이용하여, 실시예 1, 2, 비교예 1, 2, 3의 렌즈를 통한 경우와 통하지 않는 경우에서 측정하여, 비교를 행했다.
앙케이트에 의한 관능 평가 결과와 각 광원의 색 온도의 측정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9
실시예 1 및 2는 전술한 3개의 각 파장 영역에 있어서의 양면의 광학 다층막의 평균 반사율의 합이 본 발명 범위에 수렴되는 것으로, 어슴푸레한 환경에서의 물건, 특히 물건의 적색의 외관의 선명함 및 밝음의 향상 효과, 및 흰 퍼스널 컴퓨터 화면 등의 백색의 외관의 향상 효과가 보여져, 평가가 ○였다.
또한, 각각의 광원의 색 온도를 실시예 1 및 2의 안경 렌즈를 통해 측정한 경우, 안경 렌즈를 통하지 않고 측정한 색 온도보다도 높게 측정되어 있다.
이에 비해, 비교예 1은 530∼570nm(530∼580nm)에 있어서의 평균 반사율의 합이 3.0∼6.0%의 한정 범위보다도 낮아, 효과가 얻어지지 않아, 평가가 ×였다. 색 온도도 안경 렌즈 없음의 경우와 거의 동등한 값이 측정되어 있다.
또, 비교예 2 및 3은 색 온도는 높게 측정되어 있지만, 530∼570nm(530∼580nm)에 있어서의 평균 반사율의 합이 3.0∼6.0%의 한정 범위보다도 높아, 효과가 얻어지지 않아, 평가가 ×였다. 이는, 안경 렌즈로서 장용할 때에, 반사율이 지나치게 높기 때문에, 안경 렌즈의 반사가 장용자의 시계 내에서 성가시게 느껴지는 것 등이 원인으로 예시되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본 실시형태의 렌즈를 통해 광원을 관측하는 경우, 쓰지 않는 경우에 비해 관측되는 광원의 색 온도가 1∼3% 상승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으로부터,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연배자가 장용했을 때에, 어슴푸레한 곳에서도, 물건이 밝고 선명하게, 특히 적색의 선명함이 없어지지 않고, 적색이 밝게 보이도록 할 수 있고, 백색, 예를 들면, 퍼스널 컴퓨터의 흰 화면이 보다 희게 보이도록 할 수 있어, 그 결과, 퍼스널 컴퓨터 작업 등의 백색을 주시하는 작업을 보다 쾌적하게 행할 수 있는 안경 렌즈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 분명하다.
1…안경 렌즈, 2…플라스틱 기재, 3a, 3b…광학 다층막, 4…기능성 박막, 5…프라이머층(기능성 박막), 6…하드 코팅층(기능성 박막), 7a, 7b…제1층(저굴절률층), 8a, 8b…제2층(고굴절률층), 9a, 9b…제3층(저굴절률층), 10a, 10b…제4층(고굴절률층), 11a, 11b…제5층(저굴절률층), 12…발수발유막, 30…진공 증착 장치(증착 장치), 30a…성막 장치, 31…제 1 성막실, 32…제 2 성막실, 33…제 3 성막실, 34…유지 부재, 35, 35a…증착원, 35A…제 1 증착원, 35B…제 2 증착원, 36…광원 장치, 37…이온 건

Claims (11)

  1. 플라스틱 렌즈 기재의 양면에 다층막을 구비하는 안경 렌즈로서,
    상기 플라스틱 렌즈 기재의 양면 중, 적어도 편측의 면에 배설된 상기 다층막의 적어도 530∼570nm의 파장 범위에 있어서의 평균 반사율이 2.5∼5.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렌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렌즈 기재의 양면에 배설된 상기 다층막의 적어도 530∼570nm의 파장 범위에 있어서의 평균 반사율의 합이 3.0∼6.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렌즈.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렌즈 기재의 양면 중, 편측의 면에 배설된 상기 다층막에 있어서, 그의 시감 반사율이 1.5∼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렌즈.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렌즈 기재의 양면 중, 적어도 편측의 면에 배설된 상기 다층막에 있어서, 적어도 530∼570nm의 파장 범위에 있어서의 반사율에 하나의 극대값을 갖고, 그 반사율의 극대값이 2.0∼6.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렌즈.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530∼570nm의 파장 범위는 530∼580nm의 파장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렌즈.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렌즈 기재의 양면에 배설된 상기 다층막의 430∼470nm의 파장 범위에 있어서의 평균 반사율의 합이 2.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렌즈.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렌즈 기재의 양면에 배설된 상기 다층막의 630∼670nm의 파장 범위에 있어서의 평균 반사율의 합이 2.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렌즈.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층막은 고굴절률 재료와 저굴절률 재료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다층막을 구성하는 고굴절률 재료와 저굴절률 재료 사이에 두께 20nm 이하의 도전체막 또는 금속막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렌즈.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고굴절률 재료는 이산화지르코늄을 포함하고,
    상기 저굴절률 재료는 이산화규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렌즈.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층막은 3층 이상의 다층막인 안경 렌즈.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렌즈 기재와 상기 다층막 사이에 기능성 박막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렌즈.
KR1020177032315A 2015-05-11 2016-05-09 안경 렌즈 KR1019869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096956 2015-05-11
JPJP-P-2015-096956 2015-05-11
PCT/JP2016/063738 WO2016181932A1 (ja) 2015-05-11 2016-05-09 眼鏡レンズ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5930A true KR20170135930A (ko) 2017-12-08
KR101986931B1 KR101986931B1 (ko) 2019-06-07

Family

ID=572480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2315A KR101986931B1 (ko) 2015-05-11 2016-05-09 안경 렌즈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908436B2 (ko)
EP (1) EP3296800B1 (ko)
JP (1) JP6581653B2 (ko)
KR (1) KR101986931B1 (ko)
CN (1) CN107533243B (ko)
CA (1) CA2985168C (ko)
WO (1) WO2016181932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9165B1 (ko) * 2018-11-15 2019-12-24 주식회사 케미그라스 코팅방식 고대비렌즈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10061073A (ko) * 2019-11-19 2021-05-27 주식회사 알엠케이 렌즈모듈 및 상기 렌즈모듈을 포함하는 안경모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31975A (ja) * 2016-08-26 2018-03-01 東海光学株式会社 光学製品並びにプラスチック眼鏡レンズ及び眼鏡
JP2018141847A (ja) * 2017-02-27 2018-09-13 東海光学株式会社 プラスチック眼鏡レンズ及び眼鏡
JP2018159884A (ja) * 2017-03-23 2018-10-11 三好興業株式会社 半透明レンズ、サングラス及び半透明レンズの製造方法
JP2019015764A (ja) * 2017-07-03 2019-01-31 東海光学株式会社 プラスチック光学製品並びにプラスチック眼鏡レンズ及び眼鏡
KR101960599B1 (ko) * 2017-07-14 2019-03-20 유흥상 진공증착에 의한 무반사코팅층이 형성된 cctv 돔렌즈 및 그 제작방법
CN107505668A (zh) * 2017-09-20 2017-12-22 马甲帅 一种色弱矫正光学滤波片
KR102189657B1 (ko) * 2017-11-24 2020-12-14 호야 렌즈 타일랜드 리미티드 안경 렌즈 및 안경
CN108549162A (zh) * 2018-06-28 2018-09-18 江苏万新光学有限公司 一种适用于驾驶的树脂镜片及其生产工艺
CN109143600A (zh) * 2018-09-04 2019-01-04 长春理工大学光电信息学院 一种3d镜片及其制备方法
EP3859436A4 (en) * 2018-09-28 2022-08-03 Hoya Lens Thailand Ltd. GLASSES
EP3699648A1 (de) * 2019-02-22 2020-08-26 Carl Zeiss Vision International GmbH Interferenzschichtsystem ohne trägersubstrat, verfahren zur herstellung desselben und dessen verwendung
JP7277268B2 (ja) * 2019-06-06 2023-05-18 キヤノン株式会社 光学素子、光学機器、撮像装置および光学素子の製造方法
CN112086547A (zh) * 2019-06-13 2020-12-15 光宝光电(常州)有限公司 发光二极管封装结构
CN113253486A (zh) * 2020-02-13 2021-08-13 亚立邦科技股份有限公司 抗眩光高对比的镜片组合
TWI750731B (zh) * 2020-07-13 2021-12-21 林俊良 光吸收白鏡片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48202A (ja) * 2002-02-26 2003-09-05 Miki:Kk 黄変色覚補正用眼鏡
JP2013054275A (ja) 2011-09-06 2013-03-21 Nikon-Essilor Co Ltd 染色レンズ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3061653A (ja) 2006-10-26 2013-04-04 Hopunikku Kenkyusho:Kk プラスチック眼鏡レンズ
JP2014163950A (ja) * 2013-02-21 2014-09-08 Dainippon Printing Co Ltd カラーフィルタ形成基板と表示装置、およびカラーフィルタ形成基板の作製方法
WO2014208412A1 (ja) * 2013-06-25 2014-12-31 株式会社ニコン・エシロール 光学部品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49501A (ja) * 1982-09-16 1984-03-22 Toray Ind Inc 反射防止膜を有する透明材料
CN1239924C (zh) * 1997-05-16 2006-02-01 Hoya株式会社 有抗反射膜的塑料光学器件和使抗反射膜厚度均一的机构
WO2001055752A1 (en) * 2000-01-26 2001-08-02 Sola International Holdings Limited Anti-static, anti-reflection coating
WO2008026705A1 (fr) 2006-08-30 2008-03-06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Film multicouche
JPWO2009133833A1 (ja) * 2008-04-30 2011-09-01 Hoya株式会社 光学素子及び反射防止膜
JP5586017B2 (ja) * 2010-08-20 2014-09-10 東海光学株式会社 光学製品及び眼鏡プラスチックレンズ
FR2968774B1 (fr) * 2010-12-10 2013-02-08 Essilor Int Article d'optique comportant un revetement antireflet a faible reflexion dans le domaine ultraviolet et le domaine visible
WO2013122253A1 (ja) * 2012-02-17 2013-08-22 株式会社ニコン・エシロール 光学部品、眼鏡レンズおよびその製造方法
AU2014347930B2 (en) * 2013-11-12 2018-05-17 Nikon-Essilor Co., Ltd. Functional dyed spectacle lens
US9335444B2 (en) 2014-05-12 2016-05-10 Corning Incorporated Durable and scratch-resistant anti-reflective article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48202A (ja) * 2002-02-26 2003-09-05 Miki:Kk 黄変色覚補正用眼鏡
JP2013061653A (ja) 2006-10-26 2013-04-04 Hopunikku Kenkyusho:Kk プラスチック眼鏡レンズ
JP2013054275A (ja) 2011-09-06 2013-03-21 Nikon-Essilor Co Ltd 染色レンズ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4163950A (ja) * 2013-02-21 2014-09-08 Dainippon Printing Co Ltd カラーフィルタ形成基板と表示装置、およびカラーフィルタ形成基板の作製方法
WO2014208412A1 (ja) * 2013-06-25 2014-12-31 株式会社ニコン・エシロール 光学部品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9165B1 (ko) * 2018-11-15 2019-12-24 주식회사 케미그라스 코팅방식 고대비렌즈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10061073A (ko) * 2019-11-19 2021-05-27 주식회사 알엠케이 렌즈모듈 및 상기 렌즈모듈을 포함하는 안경모듈
WO2021101100A1 (ko) * 2019-11-19 2021-05-27 주식회사 알엠케이 렌즈모듈 및 상기 렌즈모듈을 포함하는 안경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296800A4 (en) 2018-12-19
EP3296800A1 (en) 2018-03-21
JPWO2016181932A1 (ja) 2018-02-22
US10908436B2 (en) 2021-02-02
KR101986931B1 (ko) 2019-06-07
EP3296800B1 (en) 2020-05-06
US20180067339A1 (en) 2018-03-08
CA2985168A1 (en) 2016-11-17
CN107533243A (zh) 2018-01-02
CA2985168C (en) 2020-09-01
WO2016181932A1 (ja) 2016-11-17
JP6581653B2 (ja) 2019-09-25
CN107533243B (zh) 2020-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6931B1 (ko) 안경 렌즈
JP6073355B2 (ja) 眼鏡レンズ、及び眼鏡レンズの製造方法
AU2017200497B2 (en) Optical compone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5795675B2 (ja) 眼鏡レンズ用光学部品、眼鏡レンズ用光学部品の製造方法
KR101477940B1 (ko) 광학 부품 및 그의 제조방법
WO2014208412A1 (ja) 光学部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