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5429A - 자외선 차단 투명 또는 반투명 오일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 및 자외선 차단 확인 방법 - Google Patents

자외선 차단 투명 또는 반투명 오일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 및 자외선 차단 확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5429A
KR20170135429A KR1020160067333A KR20160067333A KR20170135429A KR 20170135429 A KR20170135429 A KR 20170135429A KR 1020160067333 A KR1020160067333 A KR 1020160067333A KR 20160067333 A KR20160067333 A KR 20160067333A KR 20170135429 A KR20170135429 A KR 201701354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parent
cosmetic composition
skin
weight
ultravio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73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구
Original Assignee
(주)해든화장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해든화장품 filed Critical (주)해든화장품
Priority to KR10201600673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35429A/ko
Publication of KR201701354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54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1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4Aftersun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26Optical properties
    • A61K2800/262Transparent; Transluc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외선 차단 투명 또는 반투명 오일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 및 자외선 차단 확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차단 투명 또는 반투명 오일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은 실리콘 오일,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및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올을 포함하되, 상기 실리콘 오일은 5 내지 99.49 중량부, 상기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는 0.5 내지 8 중량부, 상기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올은 0.01 내지 5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포함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실질적으로 물이 없는 투명 또는 반투명 오일 제형의 화장료로서 피부 및 모발에 보습 및 유연 효과를 부여함과 동시에 자외선으로부터 피부 및 모발을 보호할 수 있고,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와 부틸메톡시벤조메탄올을 효과적으로 가용화하여 투명 또는 반투명한 오일 제형으로 구성함으로써 피부 및 모발에 유연 효과를 부여함과 동시에 자외선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외선 차단 투명 또는 반투명 오일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 및 자외선 차단 확인 방법{TRANSPARENT OR SEMI-TRANSPARENT OIL FORMULATION COSMETIC COMPOSITION FOR BLOCKING ULTRAVIOLET AND METHOD FOR CHECKING BLOCKING ULTRAVIOLET}
본 발명은 자외선 차단 투명 또는 반투명 오일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 및 자외선 차단 확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실질적으로 물이 없는 투명 또는 반투명 오일 제형의 화장료로서 피부 및 모발에 보습 및 유연 효과를 부여함과 동시에 자외선으로부터 피부 및 모발을 보호할 수 있는 자외선 차단 투명 또는 반투명 오일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 및 자외선 차단 확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오존층 파괴가 심화되고, 지표로 도달되는 자외선 조사량이 점진적으로 증가됨에 따라 소비자들은 자외선 차단 기능성 제품에 많은 관심을 갖게 되었다. 상기 자외선은 태양광의 스펙트럼 영역에서 200 ~ 400nm 파장영역을 갖는 것으로서 피부의 광노화, 세포손상, DNA 손상 등을 유발하는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기 위한 자외선 차단용 화장품이 화장품시장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수년 전까지만 해도 자외선 차단 제품은 썬크림이 대표적이었지만, 최근에는 썬크림을 비롯하여 비비크림, 기능성 파우더 화장품 및 썬스프레이 등 자외선 차단 제품군의 종류가 과거에 비해 다양해졌다. 특히 자외선 차단 기능 외에 여러 기능이 혼합된 복합 제형 제품군이 다양해져 자외선 차단 제품의 종류 및 생산제품은 매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상기 자외선 차단 기능 제품은 오존층 파괴에 의해 대기 중에 직접 조사되는 자외선이 증가하는 점과 계절에 관계없이 사용하는 점이 최근의 꾸준한 판매 성장 요인으로 분석된다. 또한, 미백 또는 주름개선 기능성 제품은 화장을 시작하는 연령 이후의 여성들이 주 고객인 반면, 자외선 차단 제품은 남녀노소의 구별 없이 판매되고 있으며, 특히 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 제품군이 별도로 생산, 판매되고 있는 점이 타 기능성 화장품에 비해 생산이 증가한 요인으로 분석된다.
한편, 태양광선 중에 포함된 자외선은 그 파장 영역에 따라 장파장 자외선(UVA, 320~400nm), 중파장 자외선(UVB, 280~320nm) 및 단파장 자외선(UVC, 200~280nm)로 나뉘는데, 이와 같은 자외선은 피부 진피층까지 침투하여 홍반, 기미 및 주근깨 등의 색소 침착, 피부 노화, 검버섯 및 피부암을 유발시킨다.
이 중 단파장 자외선(UVC)은 인체에 유해하나 대기 중의 오존층에 흡수되어 지표상에는 거의 도달되지 않는 반면, 장파장 자외선(UVA) 및 중파장 자외선(UVB)는 그늘이나 흐린 날씨에도 대략 80% 정도 지표면에 도달되어 피부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피부에 영향을 미치는 장파장 자외선은 색소침착, 광독성, 광알러지 유발 및 피부 진피층의 콜라겐과 엘라스틴을 파괴하여 피부 노화, 기미 및 잡티를 유발하며, 중파장 자외선은 일광화상(홍반, 수포 유발), 피부암, 색소 침착, 피부 단백질 변성 및 피부 세포의 각질화를 촉진시키는 문제점을 일으킨다.
이러한 자외선에 대한 지속적인 노출은 피부 및 모발을 손상하게 할 뿐만 아니라 노화의 직접적인 원인이기도 하다. 자외선에 대한 지속적 노출은 피부의 불균질한 반점 형성, 피부 탄력 약화, 주름 형성 등의 피부 노화의 원인이 되고, 모발 조직의 손상을 가져와 모발의 탄력이 약화, 광택 감소, 모발 끊어짐 등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에 따라 자외선으로부터 신체를 보호하려는 많은 화장료들이 개발되고 있지만, 대부분의 자외선 차단 화장료는 크림, 로션, 스프레이, 고형 타입 또는 무스 타입 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유기 자외선 차단제와 무기 분산제를 병용하여 제형이 불투명하여 제형의 미적 요소가 떨어질 뿐만 아니라, 도포 시 백탁 현상이 있어 사용 시 불편하고, 또한, 피부톤이 부자연스러워 지는 단점이 있으며, 실질적인 자외선 차단 효과를 확인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국내등록특허 제10-1221190호(2013년 01월 04일 등록) 국내등록특허 제10-0966835호(2010년 06월 22일 등록) 국내등록특허 제10-1250074호(2013년 03월 27일 등록)
본 발명은 실질적으로 물이 없는 투명 또는 반투명 오일 제형의 화장료로서 피부 및 모발에 보습 및 유연 효과를 부여함과 동시에 자외선으로부터 피부 및 모발을 보호할 수 있는 자외선 차단 투명 또는 반투명 오일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와 부틸메톡시벤조메탄올을 효과적으로 가용화하여 투명 또는 반투명한 오일 제형으로 구성함으로써 피부 및 모발에 유연 효과를 부여함과 동시에 자외선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자외선 차단 투명 또는 반투명 오일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기 자외선 차단제와 실리콘 오일로 구성된 투명 또는 반투명한 오일 제형의 자외선 차단제를 제조함으로써 제형의 미적 요소를 높이고, 사용 시 백탁 문제를 해결하며, 피부 및 모발에 보습, 유연 효과를 부여함과 동시에 시각적으로 자외선 차단 효과를 확인할 수 있는 자외선 차단 확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양한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차단 투명 또는 반투명 오일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은 실리콘 오일,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및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올을 포함하되, 상기 실리콘 오일은 5 내지 99.49 중량부, 상기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는 0.5 내지 8 중량부, 상기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올은 0.01 내지 5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포함된다.
상기 실리콘 오일은 사이클로펜타실록산, 사이클로헥사실록산, 디메치콘, 사이클로메치콘 및 페닐디메치콘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실리콘 오일,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및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올로 이루어진 성분 이외에 피부 유연화제 또는 가용화제를 더 함유하되, 상기 피부 유연화제 또는 가용화제는 이소노닐이소노나노에이트 또는 이소프로필이소스테아레이트 중 어느 하나 이상이 함유될 수 있다.
상기 피부 유연화제 또는 가용화제는 상기 실리콘 오일,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및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올로 이루어진 화장료 조성물 전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0.5 내지 90 중량부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자외선 파장 및 가시광선 파장의 빛을 일부 혼용한 램프를 화장료에 조사함으로써 자외선 차단 여부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차단 투명 또는 반투명 오일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은 실질적으로 물이 없는 투명 또는 반투명 오일 제형의 화장료로서 피부 및 모발에 보습 및 유연 효과를 부여함과 동시에 자외선으로부터 피부 및 모발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차단 투명 또는 반투명 오일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은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와 부틸메톡시벤조메탄올을 효과적으로 가용화하여 투명 또는 반투명한 오일 제형으로 구성함으로써 피부 및 모발에 유연 효과를 부여함과 동시에 자외선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차단 확인 방법은 유기 자외선 차단제와 실리콘 오일로 구성된 투명 또는 반투명한 오일 제형의 자외선 차단제를 제조함으로써 제형의 미적 요소를 높이고, 사용 시 백탁 문제를 해결하며, 피부 및 모발에 보습, 유연 효과를 부여함과 동시에 시각적으로 자외선 차단 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는,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다양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 충분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차단 확인 방법에서 자외선 차단제의 함유 여부에 따른 자외선의 차단을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사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차단 투명 또는 반투명 오일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차단 투명 또는 반투명 오일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은 실질적으로 물이 없는 투명 또는 반투명 오일 제형의 화장료로서 피부 및 모발에 보습 및 유연 효과를 부여함과 동시에 자외선으로부터 피부 및 모발을 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차단 투명 또는 반투명 오일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은 실리콘 오일,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및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올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실리콘 오일은 5 내지 99.49 중량부, 상기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는 0.5 내지 8 중량부, 및 상기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올은 0.01 내지 5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실리콘 오일은 오일 제형의 화장료로서 사용되고, 사이클로펜타실록산, 사이클로헥사실록산, 디메치콘, 사이클로메치콘 및 페닐디메치콘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리콘 오일은 인체에 무해하여 통상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사이클로펜타실록산, 사이클로헥사실록산, 디메치콘, 사이클로메치콘 및 페닐디메치콘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 상기한 실리콘 오일의 상기한 사이클로펜타실록산, 사이클로헥사실록산, 디메치콘, 사이클로메치콘 및 페닐디메치콘으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외에도 공지된 다양한 종류의 실리콘 오일이 사용 가능함을 밝힌다.
본 발명에서 상기 실리콘 오일은 화장료 조성물 전체 함량 중에서 5 내지 99.49 중량부가 포함될 수 있는데, 상기 실리콘 오일의 함량이 5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에는 피부 또는 모발에서의 흡수성이 떨어져 사용감이 저하될 수 있으며, 99.49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및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올의 함량이 적어지게 되어 자외선 차단의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와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올은 유기 자외선 차단제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상기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는 화장료 조성물 전체 함량 중에서 0.5 내지 8 중량부가 포함될 수 있는데, 상기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가 0.5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에는 자외선 차단 효과가 미미하고, 8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에는 피부 및 모발의 흡수성이 떨어져 사용감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올은 화장료 조성물 전체 함량 중에서 0.01 내지 5 중량부가 포함될 수 있는데, 상기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올의 함량이 0.01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에는 자외선 차단 효과가 미미하고, 5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에는 가용화가 어려워져서 상 안정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차단 투명 또는 반투명 오일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한 실리콘 오일,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및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올로 이루어진 성분 이외에 피부 유연화제 또는 가용화제를 더 함유할 수 있다.
상기 피부 유연화제 또는 가용화제는 이소노닐이소노나노에이트 또는 이소프로필이소스테아레이트 중 어느 하나 이상이 함유될 수 있는데, 상기 피부 유연화제 또는 가용화제로 사용되는 이소노닐이소노나노에이트 또는 이소프로필이소스테아레이트 중 어느 하나 이상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피부 유연화제 또는 가용화제는 상기 실리콘 오일,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및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올로 이루어진 화장료 조성물 전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0.5 내지 90 중량부가 포함될 수 있는데, 상기 피부 유연화제 또는 가용화제의 함량이 0.5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에는 가용화가 어려워져서 상 안정성이 떨어지게 되고, 90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에는 피부 및 모발에서의 흡수성이 떨어져 사용감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차단 확인 방법은 상기와 같은 조성물로 이루어진 화장료에 자외선 파장 및 가시광선 파장의 빛을 혼용한 빛을 상기 화장료에 조사함으로써 시각적으로 차단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자외선 파장의 빛은 10 내지 380nm 파장대로, 인간이 망막으로 인식할 수 있는 가시광선 영역의 파장인 380 내지 780nm 파장의 빛과 달라 인간의 눈으로 확인하기 어렵다. 이에 본 발명자는 자외선 파장 및 가시광선 파장의 빛을 일부 혼용한 램프를 상기와 같이 제조된 화장료에 조사함으로써 자외선 투과 여부를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차단 투명 또는 반투명 오일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 비교예 1 및 실시예 1 내지 7 >
하기의 [표 1]에 기재된 조성물들을 이용하여 비교예 1 및 실시예 1 내지 7에 따른 화장료를 제조하였다.
상기 비교예 1 및 실시예 1 내지 7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표 1]에 기재된 성분들이 포함되도록 화장료를 제조하였는데, 구체적으로는 부틸메톡시디벤조메탄올을 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에 용해한 후, 사이클로펜타실록산, 사이클로헥사실록산, 디메치콘, 사이클로메치콘 또는 데닐디메치콘을 첨가한 후 교반하였다. 이후 교반된 용해액이 투명해지면 이소프로필이소스테아레이트, 이소노닐이소나노에이트를 첨가하여 15분간 교반하여 화장료를 제조하였다.
< 단위 : 중량% >
조성성분 비교예 1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7
사이클로펜타실록산 4 5 50 99.49 - - - -
사이클로헥사실록산 - - - - 50 - - -
디메치콘 - - - - - 50 - -
사이클로메치콘 - - - - - - 50 -
페닐디메치콘 - - - - - - - 50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9 5 5 0.5 5 5 5 5
부틸메톡시디벤조메탄올 0.05 0.01 0.5 0.01 0.5 0.5 0.5 0.5
부틸메톡시디벤조메탄올 45 45 25 - 25 25 25 25
이소노닐이소나노에이트 41.95 44.99 19.5 - 19.5 19.5 19.5 19.5
실험예 1
상기 비교예 1 및 실시예 1 내지 7에 따른 조성비율로 제조된 화장료를 이용하여 피부 및 모발에 도포한 후 흡수 정도를 평가하였다.
상기 흡수 정도는 화장료 3g을 20명의 피험자 모발과 손에 도포한 후 흡수되는 정도에 대하여 관능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의 [표 3]에 나타내었다. 또한, 상기 관능 평가에 대한 점수 및 평가 기준은 5점 채점법을 이용하였으며, 아래의 [표 2]에 나타내었다.
점수 평가 기준(흡수 속도)
5 매우 빠름
4 빠름
3 보통
2 다소 느림
1 매우 느림
조성성분 비교예 1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7
피부
흡수도
2.8 3.1 3.8 4.2 3.7 4.0 3.8 3.9
모발
흡수도
2.9 3.2 3.8 4.4 4.1 4.0 4.1 3.9
상기 [표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7의 경우 전반적으로 흡수도가 양호 내지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비교예 1의 경우 흡수 속도가 낮아 제형 사용감이 좋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비교예 2, 3 및 실시예 8 내지 10 >
하기의 [표 4]에 기재된 조성물들을 이용하여 비교예 2, 3 및 실시예 8 내지 10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비교예 2, 3 및 실시예 8 내지 10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표 4]에 기재된 성분들이 포함되도록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는데, 구체적으로는 부틸메톡시디벤조메탄올을 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에 용해한 후 사이클로펜타실록산을 첨가한 후 교반하였다. 이후 교반된 용해액이 투명해지면 이소프로필이소스테아레이트, 이소노닐이소나노에이트를 첨가하여 15분간 교반함으로써 화장료를 제조하였다.
< 단위 : 중량% >
조성성분 비교예 2 비교예 3 실시예 8 실시예 9 실시예 10
사이클로펜타실록산 50 50 50 50 50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0.2 10 0.5 5 8
부틸메톡시디벤조메탄올 0.005 6 0.01 3 5
이소프로필이소스테아레이트 45 25 45 25 25
이소노닐이소나노에이트 4.75 9 4.48 17 12
실험예 2
상기 비교예 2, 3 및 실시예 8 내지 10에 따른 조성비율로 제조된 화장료를 이용하여 피부 및 모발에 도포한 후 흡수 정도를 평가하였다.
상기 흡수 정도는 화장료 3g을 20명의 피험자 모발과 손에 도포한 후 흡수되는 정도에 대하여 관능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의 [표 5]에 나타내었다. 또한, 상기 관능 평가에 대한 점수 및 평가 기준은 5점 채점법을 이용하였으며, 점수 및 평가 기준은 상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다.
구분 비교예 2 비교예 3 실시예 8 실시예 9 실시예 10
피부흡수도 4.3 2.7 4.0 3.8 3.7
모발흡수도 3.9 2.5 4.1 3.9 3.5
상기 [표 5]를 참조하면, 비교예 2와 실시예 8 내지 10의 경우 전반적으로 흡수도가 양호 내지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비교예 3의 경우 흡수 속도가 낮아 제형 사용감이 좋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3
상기 비교예 2, 3 및 실시예 8 내지 10에 따른 조성비율로 제조된 화장료의 제형 안정화 정도를 평가하였다.
상기 제형 안정화 정도의 평가는 비교예 2, 3 및 실시예 8 내지 10에 따라 제조된 화장료의 시료를 각각 40℃, 실온, -20℃의 온도에서 40일 동안 보관하여 상 안정성을 확인함으로써 진행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의 [표 6]에 나타내었다.
구분 비교예 2 비교예 3 실시예 8 실시예 9 실시예 10
40℃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실온 양호 Hazy 양호 양호 양호
-20℃ 양호 석출 양호 양호 양호
상기 [표 6]을 참조하면, 비교예 3의 경우 가용화력이 떨어져 결정이 석출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4
상기 비교예 2, 3 및 실시예 8 내지 10에 따른 조성비율로 제조된 화장료의 자외선 차단 정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자외선 램프의 광을 조사하여 투과 여부를 확인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의 [표 7]에 나타내었다.
구분 비교예 2 비교예 3 실시예 8 실시예 9 실시예 10
자외선 램프 투과 여부 투과 차단 차단 차단 차단
상기 [표 7]을 참조하면, 비교예 2의 경우 자외선 램프의 조사 광이 투과하여 자외선 차단 효과가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비교예 4, 5 및 실시예 11 내지 13 >
하기의 [표 8]에 기재된 조성물들을 이용하여 비교예 4, 5 및 실시예 11 내지 13에 따른 화장료를 제조하였다.
상기 비교예 4, 5 및 실시예 11 내지 13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표 8]에 기재된 성분들이 포함되도록 화장료를 제조하였는데, 구체적으로는 부틸메톡시디벤조메탄올을 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에 용해한 후 사이클로펜타실록산을 첨가하여 교반하였다. 이후 상기 교반된 용해액이 투명해지면 이소프로필이소스테아레이트, 이소노닐이소나노에이트를 첨가하여 15분간 교반함으로써 화장료를 제조하였다.
< 단위 : 중량% >
조성성분 비교예 4 비교예 5 실시예 11 실시예 12 실시예 13
사이클로펜타실록산 99.45 5 95.5 56 6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0.2 0.9 3 3 3
부틸메톡시디벤조메탄올 0.05 0.1 1 1 1
이소프로필이소스테아레이트 0.2 47 0.25 20 45
이소노닐이소나노에이트 0.1 47 0.25 20 45
실험예 5
상기 비교예 4, 5 및 실시예 11 내지 13에 따른 조성비율로 제조된 화장료를 피부 및 모발에 도포하여 흡수 정도를 평가하였다.
상기 흡수 정도는 화장료 3g을 20명의 피험자 모발과 손에 도포한 후 흡수되는 정도에 대하여 관능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의 [표 9]에 나타내었다. 또한, 상기 관능 평가에 대한 점수 및 평가 기준은 5점 채점법을 이용하였으며, 점수 및 평가 기준은 상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다.
구분 비교예 4 비교예 5 실시예 11 실시예 12 실시예 13
피부흡수도 4.3 2.8 4.0 3.8 3.2
모발흡수도 3.9 2.8 4.1 3.9 3.1
상기 [표 9]를 참조하면, 비교예 5의 경우 흡수 정도가 낮아 제형 사용감이 좋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6
상기 비교예 4, 5 및 실시예 11 내지 13에 따른 조성비율로 제조된 화장료의 제형 안정화 정도를 평가하였다.
상기 제형 안정화 정도의 평가는 비교예 4, 5 및 실시예 11 내지 13에 따라 제조된 화장료의 시료를 각각 40℃, 실온, -20℃의 온도에서 40일 동안 보관하여 상 안정성을 확인함으로써 진행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의 [표 10]에 나타내었다.
구분 비교예 4 비교예 5 실시예 11 실시예 12 실시예 13
40℃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실온 Hazy 양호 양호 양호 양호
-20℃ 석출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상기 [표 10]을 참조하면, 비교예 4의 경우 가용화력이 떨어져 결정이 석출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비교예 6, 7 및 실시예 14 >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자외선 차단 확인 방법을 시험하기 위하여 자외선 파장 및 가시광선 파장의 빛을 혼용하여 화장료에 조사함으로써 시각적으로 차단 여부를 확인하였다.
상기 비교예 6, 7 및 실시예 14에서는 하기의 [표 11]과 같이 자외선 차단제 성분을 포함한 시료 A와 시료 B를 준비하였고, 상기 시료 A와 시료 B를 이용하여 하기의 [표 12]와 같이 램프를 구성함으로써, 자외선 차단 여부를 확인하였다.
조성성분(중량%) 시료 A 시료 B
사이클로펜타실록산 76 80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3 0
부틸메톡시디벤조메탄올 1 0
이소프로필이소스테아레이트 10 10
이소노닐이소나노에이트 10 10
구분 비교예 6 비교예 7 실시예 14
자외선 램프 on off on
가시광선 램프 off on on
실험예 7
상기 [표 11]과 같은 시료 A, 시료 B에 [표 12]와 같이 구성된 램프를 조사하여 시각적 구분 여부를 확인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의 [표 12]에 나타내었다.
구분 비교예 6 비교예 7 실시예 14
시료 A 보이지 않음 투과 차단
시료 B 보이지 않음 투과 투과
상기 [표 13]을 참조하면, 실시예 14의 경우와 같이 자외선 차단제의 함유 유무에 따라 자외선이 차단되는 것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차단 확인 방법에서 자외선 차단제의 함유 여부에 따른 자외선의 차단을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자외선 차단제가 함유되어 있는 경우(실시예 14, 시료 A)에는 자외선이 차단되는 것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고, 자외선 차단제가 함유되어 있지 않은 경우(실시예 14, 시료 B)에는 자외선이 투과됨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일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5)

  1. 실리콘 오일,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및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올을 포함하되,
    상기 실리콘 오일은 5 내지 99.49 중량부, 상기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는 0.5 내지 8 중량부, 상기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올은 0.01 내지 5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 투명 또는 반투명 오일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오일은 사이클로펜타실록산, 사이클로헥사실록산, 디메치콘, 사이클로메치콘 및 페닐디메치콘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 투명 또는 반투명 오일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오일,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및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올로 이루어진 성분 이외에 피부 유연화제 또는 가용화제를 더 함유하되,
    상기 피부 유연화제 또는 가용화제는 이소노닐이소노나노에이트 또는 이소프로필이소스테아레이트 중 어느 하나 이상이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 투명 또는 반투명 오일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
  4.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유연화제 또는 가용화제는 상기 실리콘 오일,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및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올로 이루어진 화장료 조성물 전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0.5 내지 90 중량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 투명 또는 반투명 오일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
  5. 자외선 파장 및 가시광선 파장의 빛을 일부 혼용한 램프를 화장료에 조사함으로써 자외선 차단 여부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 확인 방법.
KR1020160067333A 2016-05-31 2016-05-31 자외선 차단 투명 또는 반투명 오일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 및 자외선 차단 확인 방법 KR2017013542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7333A KR20170135429A (ko) 2016-05-31 2016-05-31 자외선 차단 투명 또는 반투명 오일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 및 자외선 차단 확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7333A KR20170135429A (ko) 2016-05-31 2016-05-31 자외선 차단 투명 또는 반투명 오일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 및 자외선 차단 확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5429A true KR20170135429A (ko) 2017-12-08

Family

ID=609196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7333A KR20170135429A (ko) 2016-05-31 2016-05-31 자외선 차단 투명 또는 반투명 오일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 및 자외선 차단 확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3542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87298B1 (en) Sunscreens having ultraspectral protection
KR101061289B1 (ko) 무기 분말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26658B1 (ko) 자외선에 의해 자외선 차단 효율이 증가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WO2013138445A2 (en) A natural sunscreen composition
JP2001072531A (ja) 化粧品配合物またはスキンケア用配合物の耐水性を改善する添加物
KR101327826B1 (ko) 유중수 형태의 투명한 자외선 차단 조성물
KR20190076425A (ko)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CN110559197A (zh) 一种防晒乳及其制备方法
EA024306B1 (ru)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личной гигиены
KR100968715B1 (ko) 유기계 자외선 차단제를 함유하지 않은 자외선 차단용화장료 조성물
RU2246928C2 (ru) Диэфиры или полиэфиры нафталиндикарбоновой кислоты для придания блеска волосам и стабилизации цвета волос
KR20190083182A (ko) 리그닌 기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US6436374B1 (en) Light-stable cosmetic formulation containing butylmethoxydibenzoylmethane
KR101408631B1 (ko) 무스형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JP3582936B2 (ja) 皮膚外用剤
WO2002087528A1 (en) Diesters of naphthalene dicarboxylic acid
JP2000026262A (ja) 無機紫外線フィルタ―分散液
KR100871911B1 (ko)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KR102354352B1 (ko) 무기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하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KR20170135429A (ko) 자외선 차단 투명 또는 반투명 오일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 및 자외선 차단 확인 방법
KR102012798B1 (ko) 자외선 유도된 지질 과산화를 감소시키는 상승작용 조성물, 제형 및 방법
JP2700601B2 (ja) 天然紫外線吸収剤およびこれを含む化粧品
KR100898308B1 (ko) 피부 진정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83718B1 (ko) 카모마일 에센셜 오일을 이용한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20130075962A (ko) 돌외추출물을 함유한 피부 진정 자외선 차단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