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8919A - 고령운전자 안전운전능력 평가시스템 - Google Patents

고령운전자 안전운전능력 평가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8919A
KR20170128919A KR1020160059612A KR20160059612A KR20170128919A KR 20170128919 A KR20170128919 A KR 20170128919A KR 1020160059612 A KR1020160059612 A KR 1020160059612A KR 20160059612 A KR20160059612 A KR 20160059612A KR 20170128919 A KR20170128919 A KR 201701289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nction test
displayed
test content
point
t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96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준범
오주석
이원영
이재식
Original Assignee
도로교통공단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로교통공단,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도로교통공단
Priority to KR10201600596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28919A/ko
Publication of KR201701289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89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9/00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 G09B9/02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for teaching control of vehicles or other craft
    • G09B9/04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for teaching control of vehicles or other craft for teaching control of land veh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6Devices for psychotechnics; Testing reaction times ; Devices for evaluating the psychological state
    • A61B5/165Evaluating the state of mind, e.g. depression, anxiety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16Control of vehicles or other craft
    • G09B19/167Control of land vehicl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9/00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 G09B9/02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for teaching control of vehicles or other craft
    • G09B9/04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for teaching control of vehicles or other craft for teaching control of land vehicles
    • G09B9/052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for teaching control of vehicles or other craft for teaching control of land vehicles characterised by provision for recording or measuring trainee's perform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Psychia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Psycholog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ublic Health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령운전자의 인지 및 신체적 특성을 감안함과 동시에 실제 환경에 유사한 환경에서 테스트를 수행함으로써 고령운전자의 인지 및 신체기능을 정확하게 평가하여 이들의 운전능력 여부 판단의 정확성 및 신뢰도를 현저히 높일 수 있고, 실제 운전환경과 유사한 환경을 제공하는 입력수단을 통해 간단한 방식으로 답변(반응)을 입력할 수 있어 질환 고령운전자에 대한 사용의 편의성 및 반응측정의 정확성을 개선시킬 수 있으며, 신체기능 검사컨텐츠들이 고령운전자의 신체적특성을 감안하여 이들의 신체기능을 평가하기 위한 내용들로 이루어짐으로써 질환 및 비질환 고령운전자의 운전능력 여부 판단의 정확성 및 신뢰도를 더욱 높일 수 있는 고령운전자 안전운전능력 평가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고령운전자 안전운전능력 평가시스템{Evaluating system of safe driving efficiency for old age driver}
본 발명은 고령운전자 안전운전능력 평가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로는 운전에 필수적으료 요구되는 신체 및 인지 기능을 실제 운전에 유사한 환경을 통해 평가함으로써 운전능력이 떨어지는 고령운전자 선별의 정확성 및 신뢰도를 높임과 동시에 이들로 인한 교통사고를 사전에 효율적으로 방지하기 위한 고령운전자 안전운전능력 평가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교통인프라가 확장되고, 자동차산업이 발달함에 따라 차량 수량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였고, 이러한 차량 증가에 따라 현대 사회에서 운전면허는 필수적으로 취득하고 있는 자격증으로 인식되고 있다.
특히 최근 들어 평균수명이 증가하여 고령화 사회가 대두됨에 따라 교통사고 고위험군에 속하는 일반 고령운전자인 비질환 고령운전자와, 뇌졸중 등의 뇌질환 병력이 있으나 운전 지속의사가 있는 고령운전자인 질환 고령운전자의 수량 또한 증가하였다.
일반적으로 고령운전자는 비고령 운전자들에 비교하여 신체 및 인지 기능이 떨어지는 특성을 갖기 때문에 비고령 운전자에 비교하여 교통사고 발생 시 사망률이 현저히 증가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현재 경찰청 산하 도로교통공단에서는 운전인지평가도구인 운전인지지각검사(CPAD, Cognitive Perceptual Assessment for Driving)를 이용하여 장애인 운전자나 또는 운전면허 취득/갱신 희망자를 대상으로 안전교육의 평가를 실시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CPAD는 뇌손상 장애인의 운전능력을 평가하는 운전인지평가도구로, 거리지각능력(depth perception), 주의지속력(sustained attention test), 주의분할력(divided attention), 스트룹(stroop), 숫자외우기(digit span), 장의존성(field dependency), 선잇기 - 선잇기(trail making test A), 선잇기 - 문자잇기(trail making test B) 검사로 8개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복합적인 인지적 기능이 반영되지 않은 단순한 자극과 반응으로만 구성되어 있어 실제 운전능력과의 관련성이 떨어져 운전능력 평가의 효율성이 현저히 낮으며, 운전조작과 무관한 별도의 키보드를 이용한 단순 반응으로만 평가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평가의 정확성 및 신뢰도가 떨어지는 단점을 갖는다.
국내등록특허 제10-1432067호(발명의 명칭 : 운전능력 평가시스템)에는 시뮬레이터에 탑승하여 모의 운전하는 운전자의 운전 적합성 여부를 평가하기 위한 운전능력 평가시스템(이하 종래기술이라고 함)에 기재되어 있으나, 상기 종래기술은 조향핸들, 조향센서, 변속 레버, 변속 센서, 가속페달, 가속센서, 제동페달, 제동센서 등의 복잡하고 다양한 구성의 시뮬레이터를 별도로 구비하여야하기 때문에 제조 및 운용비용이 증가함과 동시에 피평가자가 시뮬레이터가 구비된 장소로 이동하여야만 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는 제한을 갖는다.
또한 상기 종래기술은 평가방법이 고령운전자의 신체적 특성을 감안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단순히 나이 및 질병에 상관없는 전체 운전자를 대상으로 신체적 운전능력을 평가하도록 구성되었기 때문에 질환 및 비질환 고령운전자가 피검사자로 적용될 때 평가의 정확성 및 신뢰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즉 1)실제 운전 환경에 유사한 환경에서 운전 능력 평가가 이루어지되, 설치 및 운용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으며, 2)질환 및 비질환 고령운전자의 신체 및 인지 특성에 따른 적합한 검사컨텐츠를 제작함으로써 평가의 정확성 및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안전운전능력 평가 방법에 대한 연구가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고령운전자의 인지 및 신체적 특성을 감안함과 동시에 실제 환경에 유사한 환경에서 테스트를 수행함으로써 고령운전자의 인지 및 신체기능을 정확하게 평가하여 이들의 운전능력 여부 판단의 정확성 및 신뢰도를 현저히 높일 수 있는 고령운전자 안전운전능력 평가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해결과제는 종이 및 펜 등을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입력수단을 통해 간단한 방식으로 답변(반응)을 입력할 수 있어 질환 고령운전자에 대한 사용의 편의성 및 반응측정의 정확성을 개선시킬 수 있는 고령운전자 안전운전능력 평가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과제는 신체기능 검사컨텐츠들이 고령운전자의 신체적특성을 감안하여 이들의 신체기능을 평가하기 위한 내용들로 이루어짐으로써 질환 및 비질환 고령운전자의 운전능력 여부 판단의 정확성 및 신뢰도를 더욱 높일 수 있는 고령운전자 안전운전능력 평가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과제는 선택된 답변뿐만 아니라 해당 답변을 입력할 때까지의 반응시간까지 활용하여 운전능력 평가데이터를 생성함으로써 더욱 정밀하게 운전능력을 평가할 수 있는 고령운전자 안전운전능력 평가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해결수단은 질환 및 비질환 고령운전자의 운전능력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고령운전자 안전운전능력 평가시스템에 있어서: 인지기능 테스트 및 신체기능 테스트를 수행함과 동시에 피점검자로부터 입력된 반응데이터에 따라 운전능력을 평가하여 외부로 전송하는 응용프로그램인 평가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클라이언트들; 상기 클라이언트들에게 연결되어 사용자로부터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수단; 상기 평가 어플리케이션들을 관리 및 제어하며, 상기 클라이언트들로부터 전송받은 평가결과 데이터를 전송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평가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인지기능 테스트 수행 시 기 설정된 문항이 전시되는 검사컨텐츠인 인지기능 검사컨텐츠를 해당 클라이언트의 모니터에 디스플레이 하며, 상기 신체기능 테스트 수행 시 기 설정된 카테고리들 각각에 대한 신체기능 검사컨텐츠들을 해당 클라이언트의 모니터에 디스플레이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입력수단은 특정방향, 버튼, 핸들, 브레이크 페달 및 엑셀레이터 페달을 포함하고, 상기 인지기능 검사컨텐츠의 문항들은 `성격` 카테고리 및 `불안` 카테고리로 분류되고, 상기 `성격` 카테고리는 `분노`, `불안`, `타입`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소카테고리들로 분류되고, 상기 `불안` 카테고리는 `운전조절`, `사고유연성`, `안전감`, `주의산만`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소카테고리로 분류되고, 상기 인지기능 검사컨텐츠는 분류된 소카테고리에 관련된 문항들을 전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신체기능 검사컨텐츠는 피검사자의 긴급브레이크 및 핸들 조작을 테스트하기 위한 제1 신체기능 검사컨텐츠와, 피검사자의 명도대비 민감도를 테스트하기 위한 제2 신체기능 검사컨텐츠와, 피검사자의 동체시력을 테스트하기 위한 제3 신체기능 검사컨텐츠와, 피검사자의 방향 인지를 테스트하기 위한 제4 신체기능 검사컨텐츠와, 피검사자의 신호등의 신호에 대한 반응을 테스트하기 위한 제5 신체기능 검사컨텐츠와, 피검사자의 운전 중 기억력을 테스트하기 위한 제6 신체기능 검사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제1 신체기능 검사컨텐츠는 원 또는 다면체로 전시되는 자극제시점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신체기능 검사컨텐츠는 피검사자에게 브레이크 페달 또는 엑셀레이터 페달의 가압에 매칭된 색상들 중 어느 하나로 자극제시점을 표시하되, 현재 순서의 자극제시점의 색상에 대응되는 페달키가 피검사자로부터 입력되면 현재 순서의 자극제시점을 제거한 후 다음 순서의 자극제시점을 현재 순서의 자극제시점과 다른 위치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제1 신체기능 검사컨텐츠는 기 설정된 범위 내에서 횡방향으로 기 설정된 속도 및 패턴으로 이동하는 타겟점과, 피검사자의 핸들 회전방향에 따라 이동하는 추적점을 더 포함하고, 상기 평가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제1 신체기능 검사컨텐츠를 통해 기 설정된 주기마다 상기 타겟점 및 상기 추적점의 편차를 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제2 신체기능 검사컨텐츠는 검정색상의 바탕화면과, 상기 바탕화면의 중앙에 표시되는 응시점과, 상기 응시점을 기준으로 하는 원호 상에서 상하좌우 중 어느 하나에 표시되는 자극개시점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신체기능 검사컨텐츠는 전시하는 응시점의 방향에 대응되는 방향키를 피검사자로부터 입력될 때 현재 순서의 응시점을 제거한 후 다음 순서의 응시점을 전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제3 신체기능 검사컨텐츠는 일측이 개구된 원 형상으로 형성되는 응시점을 좌측 및 우측 중 어느 하나로 개구부가 향하도록 표시하고, 피검사자로부터 상기 개구부를 향하는 방향에 대응되는 방향키를 입력받은 다음 순서의 응시점을 전시하되 서로 다른 방향의 이동경로선들 중 어느 하나에 랜덤으로 표시하며, 현재 순서의 응시점보다 하향되도록 다음 순서의 응시점을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제4 신체기능 검사컨텐츠는 기 설정된 순서에 따른 숫자가 표시되는 화살표 형상의 자극선들과, 상기 순서에 따른 숫자가 표시되는 막대형상의 유인선들을 화면에 동시에 표시하고, 피검사자로부터 낮은 숫자로부터 높은 숫자의 방향의 상기 자극선들의 화살표 방향에 대응되는 방향키를 입력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제5 신체기능 검사컨텐츠는 `직진`, `브레이크`, `좌회전`, `우회전`의 신호들 중 어느 하나를 점등하는 신호등을 표시하고, 상기 신호들 중 어느 하나를 표시하면 피검사자로부터 표시된 신호에 대응되는 방향키를 입력받고, 상기 제6 신체기능 검사컨텐츠는 운전 시 주변환경을 촬영한 이미지인 참고사진을 기 설정된 시간동안 표시한 후 상기 참고사진의 기억에 관련된 문항을 포함하는 질문사진들을 전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과제와 해결수단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르면 고령운전자의 인지 및 신체적 특성을 감안함과 동시에 실제 환경에 유사한 환경에서 테스트를 수행함으로써 고령운전자의 인지 및 신체기능을 정확하게 평가하여 이들의 운전능력 여부 판단의 정확성 및 신뢰도를 현저히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실제 운전환경과 유사한 환경을 제공하는 입력수단을 통해 간단한 방식으로 답변(반응)을 입력할 수 있어 질환 고령운전자에 대한 사용의 편의성 및 반응측정의 정확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신체기능 검사컨텐츠들이 고령운전자의 신체적특성을 감안하여 이들의 신체기능을 평가하기 위한 내용들로 이루어짐으로써 질환 및 비질환 고령운전자의 운전능력 여부 판단의 정확성 및 신뢰도를 더욱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선택된 답변뿐만 아니라 해당 답변을 입력할 때까지의 반응시간까지 활용하여 운전능력 평가데이터를 생성함으로써 더욱 정밀하게 운전능력을 평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질환 및 비질환 고령운전자의 정확하고 객관적인 운전능력 평가와 훈련을 통해 운전능력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불필요한 사고로 인한 사회비용 소모를 절감시킬 수 있으며, 운전능력이 불가능하다고 판단될 때 부족한 인지 및 신체기능에 대한 세밀한 정보제공이 가능하여 부족한 기능에 대한 훈련을 유도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고령운전자 안전운전능력 평가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2의 (a)는 도 1의 입력수단 중 인지기능 평가테스트에 적용되는 키보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b)는 신체기능 테스트에 적용되는 핸들형 입력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평가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수행되는 인지기능 테스트에 활용되는 인지기능 검사컨텐츠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문항들의 예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평가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수행되는 신체기능 테스트 중 긴급브레이크 반응 및 횡적 추적 테스트에 적용되는 검사컨텐츠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자극제시점들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7은 도 1의 평가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수행되는 신체기능 테스트 중 대비민감도 테스트 시 제공되는 검사컨텐츠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8은 도 1의 평가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수행되는 신체기능 테스트 중 동체시력 테스트 시 제공되는 검사컨텐츠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검사컨텐츠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0은 도 1의 평가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수행되는 신체기능 테스트 중 방향탐지 테스트 시 제공되는 검사컨텐츠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1은 도 1의 평가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수행되는 신체기능 테스트 중 선택반응 테스트 시 제공되는 검사컨텐츠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2는 도 1의 평가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수행되는 신체기능 테스트 중 기억테스트 시 제공되는 검사컨텐츠의 참고사진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검사컨텐츠의 질문사진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고령운전자 안전운전능력 평가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1의 고령운전자 안전운전능력 평가 시스템(1)은 교통사고 고위험군에 속하는 일반 고령운전자인 비질환 고령운전자와, 뇌졸중 등의 뇌질환 병력이 있으나 운전 지속의사가 있는 고령운전자인 질환 고령운전자의 인지 및 신체 운전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또한 고령운전자 안전운전능력 평가 시스템(1)은 클라이언트(3-1), ..., (3-N)들과, 클라이언트(3-1), ..., (3-N)들 각각에 연결되어 사용자로부터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수단(7)들과, 클라이언트(3-1), ..., (3-N)들 각각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기 제작된 검사컨텐츠를 클라이언트의 모니터를 통해 디스플레이 하여 테스트를 수행함과 동시에 테스트 시 입력수단(7)을 통해 입력되는 반응데이터를 기 설정된 답안데이터와 비교하여 운전능력 평가결과데이터를 검출하며 운전능력 평가결과데이터를 후술되는 관리서버(9)로 전송하는 응용프로그램(이하 평가어플리케이션이라고 함)(5)들과, 클라이언트(3-1), ..., (3-N)들의 평가 어플리케이션(5)들을 관리 및 제어하며 평가 어플리케이션(5)들로부터 전송받은 운전능력 평가데이터를 저장하는 관리서버(9)와, 이들 연결대상(3-1), ..., (3-N), (5), (9)들 사이의 데이터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통신망(10)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평가 어플리케이션(5)이 사용자 요청에 따라 자체적으로 검사컨텐츠를 디스플레이 하여 테스트를 수행하며, 입력된 답안데이트를 기반으로 운전능력 평가결과데이터를 검출하는 것으로 구성되었으나, 이러한 테스트 수행 및 평가결과 데이터 검출은 평가 어플리케이션(5)에서 이루어지지 않고 관리서버(9) 또는 클라이언트(3-1), ..., (3-N)들에서 자체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통신망(10)은 연결대상(3-1), ..., (3-N), (5), (9)들 사이의 데이터 이동경로를 제공하며, 상세하게로는 광역 통신망(WAN), 이동통신망, 유선통신망, 와이파이(Wi-fi), 3G/4G/5G, LTE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관리서버(9)는 평가 어플리케이션(5)들의 데이터 및 프로그램 업데이트 등을 관리 및 제어한다.
또한 관리서버(9)는 평가 어플리케이션(5)에 활용되는 검사컨텐츠를 관리한다.
또한 관리서버(9)는 평가 어플리케이션(5)들로부터 전송받은 클라이언트(3-1), ..., (3-N)들의 답안데이터 및 운전능력 평가데이터를 저장한다.
클라이언트(3-1), ..., (3-N)들은 질환 고령운전자 및 비질환 고령운전자가 소지하거나 또는 평가현장에 설치되어 통신망(10)과의 접속을 지원하는 디지털 단말기이며, 상세하게로는 데스크탑, 이동통신 단말기, 태블릿 PC, 노트북, 스마트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클라이언트(3-1), ..., (3-N)들 각각은 검사컨텐츠가 디스플레이 되는 모니터 등의 디스플레이 수단과, 사용자로부터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수단(7)이 연결됨으로써 사용자가 검사콘텐츠를 통해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본 발명의 테스트는 1)인지기능 평가 테스트와, 2)신체기능 테스트로 구분되고, 인지기능 평가 테스트에는 후술되는 도 2의 (a)의 키보드 입력장치(71)가 사용되고, 신체기능 테스트에는 후술되는 도 3의 (b)의 핸들형 입력장치(73)가 사용된다.
도 2의 (a)는 도 1의 입력수단 중 인지기능 평가테스트에 적용되는 키보드 입력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b)는 신체기능 테스트에 적용되는 핸들형 입력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의 (a)의 키보드 입력장치(71)는 인지기능 평가 테스트 및 신체기능 평가테스트에 사용되며, 사용자(질환 고령운전자 또는 비질환 고령운전자)로부터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장치이다.
또한 키보드 입력장치(71)는 공지된 바와 같이 상하좌우 방향을 나타내는 방향키를 포함한다.
핸들형 입력장치(73)는 신체기능 평가 테스트 시 사용되며, 실제 운전과 유사한 환경에서 자극에 대한 운전자의 반응을 입력받기 위한 장치이다.
또한 핸들형 입력장치(73)는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부(731) 및 페달부(733)로 이루어지고, 핸들부(731)는 사용자로부터 조향데이터를 입력받기 위한 핸들(7311)과, 핸들(7311)의 중앙에 형성되어 사용자로부터 `Yes` 및 `No`를 입력받기 위한 버튼(7313), (7315)들로 이루어진다.
또한 페달부(733)는 브레이크 페달(7331) 및 엑셀레이터 페달(7333)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고령운전자 안전운전능력 평가 시스템(1)은 질환 고령운전자 및 비질환 고령운전자가 차량 운전이 가능한지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방법으로 1)인지기능 테스트 및 2)신체기능 테스트의 2가지 테스트를 수행함과 동시에 인지 및 신체기능 테스트 시 키보드 입력장치(71)을, 신체기능 테스트 시 핸들형 입력수단(73)을 이용하여 피평가자가 실제 운전과 비슷한 환경에서 간단하고 신속하게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평가 어플리케이션(5)은 사용자로부터 1)인지기능 테스트를 수행할 것인지 또는 2)신체기능 테스트를 수행할 것인지를 입력받으며, 입력된 선택에 따라 인지기능 테스트 또는 신체기능 테스트를 수행한다.
또한 평가 어플리케이션(5)은 인지기능 테스트에 활용될 검사컨텐츠인 인지기능 검사컨텐츠와, 신체기능 테스트에 활용될 신체기능 검사컨텐츠가 기 제작되어 저장된다. 이때 평가 어플리케이션(5)은 만약 사용자가 인지기능 테스트를 선택하는 경우 인지기능 검사컨텐츠를 클라이언트의 모니터에 디스플레이 하며, 만약 사용자가 신체기능 테스트를 선택하는 경우 신체기능 검사컨텐츠를 클라이언트의 모니터에 디스플레이 한다.
또한 평가 어플리케이션(5)은 기 설정된 평가시간(t)동안 테스트를 수행하며, 평가시간(t)이 경과하면 테스트를 종료한다.
또한 평가 어플리케이션(5)은 테스트 시 입력수단을 통해 입력되는 반응데이터를 임시저장하며, 테스트가 종료되면 입력된 반응데이터들을 기 설정된 답안데이터와 비교하여 운전능력 평과결과 데이터를 검출한다.
또한 평가 어플리케이션(5)은 검출된 운전능력 평과결과 데이터 및 반응데이터를 관리서버(9)로 전송한다.
도 3은 도 1의 평가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수행되는 인지기능 테스트에 활용되는 인지기능 검사컨텐츠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문항들의 예시도이다.
인지기능 검사컨텐츠(2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지기능을 검사하기 위한 복수개의 문항들이 전시되는 문항란(211)과, 문항란(211)에 전시되는 문항에 대한 반응을 입력받기 위한 반응입력란(213)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문항란(213)에 적용되는 문항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는 `성격`(2131) 및 `불안`(2136)으로 분류되고, 다시 `성격` 카테고리(2131)는 `분노`(2132), `불안`(2133), `타입`(2134) 등의 소카테고리들로 분류되고, `태도` 카테고리(2135)는 `운전조절`(2136), `사고유연성`(2137), `안전감`(2138), `주의산만`(2139) 등의 소카테고리들로 분류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인지기능 테스트 시 사용되는 문항들이 도 3과 4에 도시된 것처럼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문항의 내용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피평가자의 인지기능을 판단하기 위한 다양한 내용들이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평가 어플리케이션(5)은 운전에 필요한 신체기능을 테스트함과 동시에 고령운전자의 신체적 특성을 감안하여 이들이 운전을 지속하고자 할 때 필요한 신체기능을 테스트하기 위한 신체기능 테스트를 수행한다.
이때 신체기능 테스트는 `긴급브레이크 반응 및 횡적 추적 테스트`와, `대비민감도(명도대비) 테스트`, `동체시력 테스트`, `방향탐지 테스트`, `선택반응 테스트`, `기억과제 테스트`로 이루어진다.
- 긴급브레이크 반응 및 횡적 추적 테스트
도 5는 도 1의 평가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수행되는 신체기능 테스트 중 긴급브레이크 반응 및 횡적 추적 테스트에 적용되는 검사컨텐츠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5의 제1 신체기능 검사컨텐츠(220)는 평가 어플리케이션(5)에 의해 신체기능 테스트, 상세하게로는 긴급 브레이크 반응 테스트와, 횡적 추적 테스트를 동시에 수행하도록 제공되는 검사컨텐츠이다.
제1 신체기능 검사컨텐츠(220)는 서로 다른 색상으로 형성되는 자극제시점(221)들 중 어느 하나가 기 설정된 테스트 시간동안 기 설정된 위치에 점등된다. 이때 `A` 색상의 자극제시점은 브레이크 페달의 가압을 유도하며, `B` 색상의 자극제시점은 엑셀레이터 페달의 가압을 유도한다.
또한 자극제시점(221)은 기 설정된 주기(T) 동안 기 설정된 횟수(N)로 점등된다. 이때 주기(T)는 120초이며, 횟수(N)는 12번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자극제시점(221)은 점등 시 기 설정된 점등시간 동안 점등되며, 대응되는 페달이 가압되는 경우 소등된 후 4,000 ~ 10,000ms의 간격으로 다음 순서의 자극제시점이 점등된다.
도 6은 도 5의 자극제시점들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자극제시점(221)들은 `A` 또는 `B` 색상으로, 기 설정된 순서에 따라 기 설정된 위치에 표시된다. 이때 위치는 동일한 위치를 중앙으로 하는 소직경(222) 및 대직경(223)의 원호 상에 표시된다.
즉 사용자는 자극제시점(221)들 중 어느 하나가 표시되면, 표시된 자극제시점의 색상에 따라 브레이크 페달 또는 엑셀레이터 페달을 가압하고, 만약 사용자가 표시된 자극제시점의 색상에 대응되는 페달을 밟으면 다음 순서의 자극제시점이 기 설정된 색상 및 위치에 표시됨으로써 사용자는 주기(T) 동안 기 설정된 횟수(N)의 테스트를 수행하게 된다.
다시, 도 5로 돌아가 횡적 추적 테스트를 살펴보면, 제1 신체기능 검사컨텐츠(220)는 타겟점(227) 및 추적점(225)이 표시된다. 이때 타겟점(227)은 기 설정된 범위 내에서 횡방향으로 기 설정된 속도 및 패턴에 따라 지속적으로 이동하고, 추적점(225)은 핸들형 입력수단(73)의 핸들부(731)의 핸드(7311)의 회전에 따라 이동한다.
또한 타겟점(227)은 기 설정된 주기(T) 동안 이동한다.
또한 제1 신체기능 검사컨텐츠(220)는 타겟점(227) 및 추적점(225)의 편차를 측정한다. 이때 편차는 1초에 5회(0.2초에 1회) 단위로 측정한다.
즉 본 발명의 제1 신체기능 검사컨텐츠(220)는 자극제시점(221)들의 점등 및 소등을 통해 사용자의 페달 반응속도를 검출함과 동시에 타겟점(227) 및 추적점(225)의 편차를 통해 사용자의 핸들 반응속도를 검출할 수 있고, 평가 어플리케이션(5)은 테스트의 반응데이터(편차)를 통해 운전능력 결과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게 된다.
- 대비민감도 테스트(명도대비 테스트)
도 7은 도 1의 평가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수행되는 신체기능 테스트 중 대비민감도 테스트 시 제공되는 검사컨텐츠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7의 제2 신체기능 검사컨텐츠(230)는 평가 어플리케이션(5)에 의해 신체기능 테스트, 상세하게로는 대비민감도 테스트 시 제공되는 검사컨텐츠이다.
제2 신체기능 검사컨텐츠(230)는 검정색상의 바탕화면(231)과, 바탕화면(231)의 중앙에 표시되는 십자가 형상의 응시점(233)과, 응시점(233)을 기준으로 하는 원호 상에서 상하좌우 중 어느 하나에 표시되는 원 형상의 자극개시점(235)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자극개시점(235)은 응시점(233)을 기준으로 표시되는 방향에 따라 사용자로부터 방향키의 조작을 유도한다.
또한 자극개시점(235)은 자극마다 다양한 명도로 표시된다.
또한 자극개시점(235)들은 4,000 ~ 10,000ms의 간격으로 표시된다.
또한 자극개시점(235)들은 점등 시 3,000ms 동안 표시된다.
평가 어플리케이션(5)은 제2 신체기능 검사컨텐츠(230)를 통해 자극개시점(235)에 대한 사용자의 반응속도를 측정하며, 측정된 반응속도를 이용하여 운전능력 결과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게 된다.
- 동체시력 테스트
도 8은 도 1의 평가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수행되는 신체기능 테스트 중 동체시력 테스트 시 제공되는 검사컨텐츠를 나타내는 예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검사컨텐츠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8의 제3 신체기능 검사컨텐츠(240)는 평가 어플리케이션(5)에 의해 신체기능 테스트, 상세하게로는 동체시력 테스트 시 제공되는 검사컨텐츠이다.
제3 신체기능 검사컨텐츠(240)는 일측이 개구된 원 형상으로 형성되어 기 설정된 주기에 따라 표시되되 사용자에게 개구부를 향하는 방향에 대응되는 방향키 입력을 유도하는 응시점(241)을 포함한다. 즉 응시점(241)은 개구부가 좌측 및 우측 중 어느 하나를 향하도록 표시됨으로써 사용자는 표시되는 응시점(241)의 개구부의 방향에 따라 핸들(7311)을 회전하여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응시점(241)들 각각의 표시시간은 3,000ms이고, 응시점(241)들의 간격은 500 ~ 5,000ms 중 랜덤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제3 신체기능 검사컨텐츠(240)에 의한 동체시력 테스트는 100,000ms 동안 수행된다.
또한 응시점(241)들은 표시순서에 따라 직경이 증가하도록 표시된다. 즉 응시점(241)들 중 첫 번째로 표시되는 응시점의 직경이 가장 작으며, 마지막에 표시되는 응시점의 직경이 가장 크게 표시된다.
또한 응시점(241)들은 표시순서에 따라 이전 응시점보다 하부에 배치되도록 표시된다. 즉 응시점(241)들 중 첫 번째로 표시되는 응시점은 화면상에서 가장 상부에 표시되되 마지막에 표시되는 응시점은 화면상에서 가장 하부에 표시되게 된다.
또한 응시점(241)들은 기 설정된 이동경로선(243), (244), (245)들 중 어느 하나에 랜덤으로 배치된다. 이때 이동경로선(243), (244), (245)들은 일단부가 화면의 상부에 형성되는 소실점(247)에 연결되되 타단부가 서로 이격되도록 서로 다른 방향의 직선 형상으로 형성된다.
평가 어플리케이션(5)은 제3 신체기능 검사컨텐츠(240)를 통해 응시점(241)에 대한 사용자의 핸들 회전방향을 입력받음과 동시에 반응시간을 측정하며, 입력된 회전방향 및 측정된 반응시간을 이용하여 운전능력 결과데이터를 생성한다.
- 방향탐지 테스트
도 10은 도 1의 평가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수행되는 신체기능 테스트 중 방향탐지 테스트 시 제공되는 검사컨텐츠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제4 신체기능 검사컨텐츠(250)는 기 설정된 범위(원) 이내에 표시되는 복수개의 자극선(251)들 및 유인선(253)들로 이루어진다. 이때 자극선(251)들 및 유인선(253)들의 수량은 서로 동일한 수량(N1)으로 화면에 동시에 표시되며, 내부에 순서를 나타내는 숫자(255)들이 각각 표시된다.
자극선(251)들은 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 형상으로 형성되며, 사용자에게 화살표 방향에 따른 방향키를 입력받도록 유도한다.
또한 유인선(253)들은 막대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사용자는 화면에 표시되는 자극선(251)들 및 유인선(253)들의 숫자(255)의 순서에 따라 반응을 하되, 순서에 따른 자극선(251)들의 화살표 방향에 따라 방향키를 입력하는 방식으로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하면, 제4 신체기능 검사컨텐츠(250)는 동체시력 테스트를 총 4회 실시하되, 테스트가 지속될수록 난이도를 높여 수행한다. 이때 난이도는 자극선(251)들 및 유인선(253)들의 수량을 증가시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평가 어플리케이션(5)은 제4 신체기능 검사컨텐츠(250)의 테스트 수행 시 경과시간을 측정하며, 사용자로부터 오답이 입력되는 경우 다시 처음으로 돌아가 반응을 입력받는다.
또한 평가 어플리케이션(5)은 제4 신체기능 검사컨텐츠(250)는 테스트가 완료되면 측정된 경과시간을 이용하여 운전능력 결과데이터를 생성한다.
- 선택반응 테스트
도 11은 도 1의 평가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수행되는 신체기능 테스트 중 선택반응 테스트 시 제공되는 검사컨텐츠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1의 제5 신체기능 검사컨텐츠(260)는 `직진`(2611), `브레이크`(2612), `좌회전`(2613), `우회전`(2614)의 4개의 신호들 중 어느 하나를 점등하는 신호등(261)을 포함한다.
신호등(261)은 `직진`(2611), `브레이크`(2612), `좌회전`(2613), `우회전`(2614)의 4개의 신호들 중 어느 하나를 점등하며, 사용자에게 신호에 따른 핸들 회전 및 페달 가압을 입력받도록 유도한다.
또한 제5 신체기능 검사컨텐츠(260)는 신호등(261)의 4개의 신호(2611), (2612), (2613), (2614)가 모두 점등되도록 한 후 이러한 상태에서 하나의 신호만을 점등하여 자극을 주며, 이러한 자극을 12회 랜덤으로 반복한다.
또한 신호등(261)은 4,000 ~ 10,000ms 간격으로 랜덤하게 자극을 제시한다. 이때 하나의 자극은 3,000ms 동안 이루어진다.
즉 사용자는 화면에 표시되는 신호등(261)의 신호에 따라 핸들(7311)을 회전시키거나 또는 페달(브레이크 또는 엑셀레이터)(7331), (7333)을 가압하여 자극에 반응한다.
평가 어플리케이션(5)은 제5 신체기능 검사컨텐츠(260)의 테스트 수행 시 반응시간을 측정하며, 측정된 반응시간 및 입력된 반응데이터를 이용하여 운전능력 결과데이터를 생성한다.
- 기억테스트
도 12는 도 1의 평가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수행되는 신체기능 테스트 중 기억테스트 시 제공되는 검사컨텐츠의 참고사진을 나타내는 예시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검사컨텐츠의 질문사진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2와 13의 제6 신체기능 검사컨텐츠(270)는 운전장면에 대응되는 참고사진(271)들을 화면에 디스플레이 한다. 이때 각 참고사진(271)의 전시시간은 10초이고, 참고사진(271)들의 수량은 10개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6 신체기능 검사컨텐츠(270)는 10초 동안 참고사진(271)의 전시가 완료되면, 해당 참고사진(271)에 대한 질문사진(273)들을 전시한다. 이때 하나의 참고사진(271)에 대한 질문사진(273)들은 5개인 것이 바람직하고, 질문사진(273)은 기 설정된 질문텍스트(2731)와, 질문텍스트(2731)에 대응되는 이미지(2733)와, 답변을 선택받기 위한 선택란(2735)을 포함한다.
이때 도 12와 13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참고사진(271) 및 질문사진(273)이 이미지로 대체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참고사진(271) 및 질문사진(273)에는 실제 촬영된 사진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질문사진(273)들의 간격은 5,000ms인 것이 바람직하고, 각 질문사진(273)의 전시시간은 3,000ms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사용자는 전시되는 참고사진(271)을 설정시간동안 열람한 이후 해당 참고사진(271)에 대한 질문사진(273)이 전시되면, 질문에 대응되는 답변을 선택하여 입력한다.
평가 어플리케이션(5)은 제6 신체기능 검사컨텐트(270)의 테스트 수행 시 반응시간을 측정하며, 측정된 반응시간 및 입력된 반응데이터를 이용하여 운전능력 결과데이터를 생성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고령운전자 안전운전능력 평가 시스템(1)은 고령운전자의 인지 및 신체적 특성을 감안함과 동시에 실제 환경에 유사한 환경에서 테스트를 수행함으로써 고령운전자의 인지 및 신체기능을 정확하게 평가하여 이들의 운전능력 여부 판단의 정확성 및 신뢰도를 현저히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고령운전자 안전운전능력 평가 시스템(1)은 실제 운전환경과 유사한 환경을 제공하는 입력수단(7)을 통해 간단한 방식으로 답변(반응)을 입력할 수 있어 질환 고령운전자에 대한 사용의 편의성 및 반응측정의 정확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고령운전자 안전운전능력 평가 시스템(1)은 신체기능 검사컨텐츠(220), (230), (240), (250), (260), (270)들이 고령운전자의 신체적특성을 감안하여 이들의 신체기능을 평가하기 위한 내용들로 이루어짐으로써 질환 및 비질환 고령운전자의 운전능력 여부 판단의 정확성 및 신뢰도를 더욱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고령운전자 안전운전능력 평가 시스템(1)은 선택된 답변뿐만 아니라 해당 답변을 입력할 때까지의 반응시간까지 활용하여 운전능력 평가데이터를 생성함으로써 더욱 정밀하게 운전능력을 평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고령운전자 안전운전능력 평가 시스템(1)은 질환 및 비질환 고령운전자의 정확하고 객관적인 운전능력 평가와 훈련을 통해 운전능력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불필요한 사고로 인한 사회비용 소모를 절감시킬 수 있으며, 운전능력이 불가능하다고 판단될 때 부족한 인지 및 신체기능에 대한 세밀한 정보제공이 가능하여 부족한 기능에 대한 훈련을 유도할 수 있게 된다.
1:고령운전자 안전운전능력 평가 시스템 3-1, ..., 3-N:클라이언트들
5:평가 어플리케이션 7:입력수단 9:관리서버
10:통신망 71:키보드 입력수단
73:핸들형 입력수단 210:인지기능 검사컨텐츠
220:제1 신체기능 검사컨텐츠 230:제2 신체기능 검사컨텐츠
240:제3 신체기능 검사컨텐츠 250:제4 신체기능 검사컨텐츠
260:제5 신체기능 검사컨텐츠 270:제6 신체기능 검사컨텐츠

Claims (8)

  1. 질환 및 비질환 고령운전자의 운전능력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고령운전자 안전운전능력 평가시스템에 있어서:
    인지기능 테스트 및 신체기능 테스트를 수행함과 동시에 피점검자로부터 입력된 반응데이터에 따라 운전능력을 평가하여 외부로 전송하는 응용프로그램인 평가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클라이언트들;
    상기 클라이언트들에게 연결되어 사용자로부터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수단;
    상기 평가 어플리케이션들을 관리 및 제어하며, 상기 클라이언트들로부터 전송받은 평가결과 데이터를 전송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평가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인지기능 테스트 수행 시 기 설정된 문항이 전시되는 검사컨텐츠인 인지기능 검사컨텐츠를 해당 클라이언트의 모니터에 디스플레이 하며, 상기 신체기능 테스트 수행 시 기 설정된 카테고리들 각각에 대한 신체기능 검사컨텐츠들을 해당 클라이언트의 모니터에 디스플레이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령운전자 안전운전능력 평가시스템.
  2.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수단은 특정방향, 버튼, 핸들, 브레이크 페달 및 엑셀레이터 페달을 포함하고,
    상기 인지기능 검사컨텐츠의 문항들은 `성격` 카테고리 및 `불안` 카테고리로 분류되고, 상기 `성격` 카테고리는 `분노`, `불안`, `타입`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소카테고리들로 분류되고, 상기 `불안` 카테고리는 `운전조절`, `사고유연성`, `안전감`, `주의산만`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소카테고리로 분류되고,
    상기 인지기능 검사컨텐츠는 분류된 소카테고리에 관련된 문항들을 전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령운전자 안전운전능력 평가시스템.
  3. 청구항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신체기능 검사컨텐츠는
    피검사자의 긴급브레이크 및 핸들 조작을 테스트하기 위한 제1 신체기능 검사컨텐츠와, 피검사자의 명도대비 민감도를 테스트하기 위한 제2 신체기능 검사컨텐츠와, 피검사자의 동체시력을 테스트하기 위한 제3 신체기능 검사컨텐츠와, 피검사자의 방향 인지를 테스트하기 위한 제4 신체기능 검사컨텐츠와, 피검사자의 신호등의 신호에 대한 반응을 테스트하기 위한 제5 신체기능 검사컨텐츠와, 피검사자의 운전 중 기억력을 테스트하기 위한 제6 신체기능 검사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령운전자 안전운전능력 평가시스템.
  4. 청구항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신체기능 검사컨텐츠는 원 또는 다면체로 전시되는 자극제시점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신체기능 검사컨텐츠는 피검사자에게 브레이크 페달 또는 엑셀레이터 페달의 가압에 매칭된 색상들 중 어느 하나로 자극제시점을 표시하되, 현재 순서의 자극제시점의 색상에 대응되는 페달키가 피검사자로부터 입력되면 현재 순서의 자극제시점을 제거한 후 다음 순서의 자극제시점을 현재 순서의 자극제시점과 다른 위치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제1 신체기능 검사컨텐츠는 기 설정된 범위 내에서 횡방향으로 기 설정된 속도 및 패턴으로 이동하는 타겟점과, 피검사자의 핸들 회전방향에 따라 이동하는 추적점을 더 포함하고,
    상기 평가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제1 신체기능 검사컨텐츠를 통해 기 설정된 주기마다 상기 타겟점 및 상기 추적점의 편차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령운전자 안전운전능력 평가시스템.
  5. 청구항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신체기능 검사컨텐츠는 검정색상의 바탕화면과, 상기 바탕화면의 중앙에 표시되는 응시점과, 상기 응시점을 기준으로 하는 원호 상에서 상하좌우 중 어느 하나에 표시되는 자극개시점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신체기능 검사컨텐츠는 전시하는 응시점의 방향에 대응되는 방향키를 피검사자로부터 입력될 때 현재 순서의 응시점을 제거한 후 다음 순서의 응시점을 전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령운전자 안전운전능력 평가시스템.
  6. 청구항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신체기능 검사컨텐츠는 일측이 개구된 원 형상으로 형성되는 응시점을 좌측 및 우측 중 어느 하나로 개구부가 향하도록 표시하고,
    피검사자로부터 상기 개구부를 향하는 방향에 대응되는 방향키를 입력받은 다음 순서의 응시점을 전시하되 서로 다른 방향의 이동경로선들 중 어느 하나에 랜덤으로 표시하며, 현재 순서의 응시점보다 하향되도록 다음 순서의 응시점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령운전자 안전운전능력 평가시스템.
  7. 청구항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4 신체기능 검사컨텐츠는
    기 설정된 순서에 따른 숫자가 표시되는 화살표 형상의 자극선들과, 상기 순서에 따른 숫자가 표시되는 막대형상의 유인선들을 화면에 동시에 표시하고,
    피검사자로부터 낮은 숫자로부터 높은 숫자의 방향의 상기 자극선들의 화살표 방향에 대응되는 방향키를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령운전자 안전운전능력 평가시스템.
  8. 청구항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5 신체기능 검사컨텐츠는
    `직진`, `브레이크`, `좌회전`, `우회전`의 신호들 중 어느 하나를 점등하는 신호등을 표시하고, 상기 신호들 중 어느 하나를 표시하면 피검사자로부터 표시된 신호에 대응되는 방향키를 입력받고,
    상기 제6 신체기능 검사컨텐츠는
    운전 시 주변환경을 촬영한 이미지인 참고사진을 기 설정된 시간동안 표시한 후 상기 참고사진의 기억에 관련된 문항을 포함하는 질문사진들을 전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령운전자 안전운전능력 평가시스템.
KR1020160059612A 2016-05-16 2016-05-16 고령운전자 안전운전능력 평가시스템 KR201701289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9612A KR20170128919A (ko) 2016-05-16 2016-05-16 고령운전자 안전운전능력 평가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9612A KR20170128919A (ko) 2016-05-16 2016-05-16 고령운전자 안전운전능력 평가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8919A true KR20170128919A (ko) 2017-11-24

Family

ID=608105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9612A KR20170128919A (ko) 2016-05-16 2016-05-16 고령운전자 안전운전능력 평가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28919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3869B1 (ko) 2019-02-12 2020-06-23 장성철 인지 반응 향상을 위한 훈련 장치 및 그 방법
WO2020130406A1 (ko) * 2018-12-20 2020-06-25 한국건설기술연구원 Tbm 운용 시뮬레이션 장비 및 이를 이용하여 tbm 기기 운용 능력을 측정하는 방법
RU2740244C1 (ru) * 2020-06-11 2021-01-12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Производственное объединение "НЕЙРОКОМ-ЭЛЕКТРОНТРАНС" Психофизиологический способ оценки готовности оператора к экстренным действиям
JP2021189318A (ja) * 2020-05-29 2021-12-13 株式会社セガ 運転シミュレータプログラム、運転シミュレータ方法及び運転シミュレータ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30406A1 (ko) * 2018-12-20 2020-06-25 한국건설기술연구원 Tbm 운용 시뮬레이션 장비 및 이를 이용하여 tbm 기기 운용 능력을 측정하는 방법
KR102123869B1 (ko) 2019-02-12 2020-06-23 장성철 인지 반응 향상을 위한 훈련 장치 및 그 방법
JP2021189318A (ja) * 2020-05-29 2021-12-13 株式会社セガ 運転シミュレータプログラム、運転シミュレータ方法及び運転シミュレータ
RU2740244C1 (ru) * 2020-06-11 2021-01-12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Производственное объединение "НЕЙРОКОМ-ЭЛЕКТРОНТРАНС" Психофизиологический способ оценки готовности оператора к экстренным действия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Čegovnik et al. An analysis of the suitability of a low-cost eye tracker for assessing the cognitive load of drivers
Mattes et al. Surrogate distraction measurement techniques: The lane change test
Xu et al. The alleviation of perceptual blindness during driving in urban areas guided by saccades recommendation
KR20170128919A (ko) 고령운전자 안전운전능력 평가시스템
Morrell et al. Design and evaluation of a vibrotactile seat to improve spatial awareness while driving
US20150258995A1 (en) Method and Assistance System for Assisting a Driver of a Motor Vehicle as well as Measuring Method and Measuring System for Determining a Mental State of a Driver of a Motor Vehicle
BR112016022178A2 (pt) Aparelho de apresentação de informação e método de apresentação de informação
Wu et al. Analyzing the effects of driving experience on prebraking behaviors based on data collected by motion capture devices
Engström et al. Comparison between visual and tactile signal detection tasks applied to the safety assessment of in-vehicle information systems
Kim et al. Evaluation of the effects of driver distraction part 1: based on simulator experiments
JP6086515B1 (ja) 運転技量評価装置、サーバ装置、運転技量評価システム、プログラムおよび運転技量評価方法
KR100911356B1 (ko) 운전정밀검사 시스템 및 그에 따른 제어방법
Monsaingeon et al. Earcons to reduce mode confusions in partially automated vehicles: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n evaluation method
JP2014064604A (ja) ストレス評価装置、及び、ストレス評価プログラム
JPH1165418A (ja) 運転シミュレータ装置および運転シミュレート方法
JP5674034B2 (ja) 運転適性診断装置
JP3917944B2 (ja) 疲労度評価方法および装置
KR20190025164A (ko) 운전능력 평가 시스템의 운전능력 평가 방법
Castro Visual demands and driving
Hwang et al. A validation study on a subjective driving workload prediction tool
KR20180127578A (ko) 수검자의 운전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운전능력 평가 시스템
JPH07195961A (ja) 車両用表示装置
RU2545428C1 (ru) Способ определения траектории смещения непроизвольного зрительного внимания на изображении
JP2015213539A (ja) 運転適性診断装置
JP7220862B1 (ja) 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