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5937A - 건설안전 시스템 - Google Patents

건설안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5937A
KR20170115937A KR1020170014601A KR20170014601A KR20170115937A KR 20170115937 A KR20170115937 A KR 20170115937A KR 1020170014601 A KR1020170014601 A KR 1020170014601A KR 20170014601 A KR20170014601 A KR 20170014601A KR 20170115937 A KR20170115937 A KR 201701159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struction safety
construction
identification device
warning
safety identif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46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복
진종곤
Original Assignee
진종곤
이경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종곤, 이경복 filed Critical 진종곤
Publication of KR201701159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59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5Risk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activiti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건설안전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작업자 각각에 부착되는 하나 이상의 작업자용 건설안전 식별장치, 하나 이상의 건설장비 각각에 부착되는 하나 이상의 건설장비용 건설안전 식별장치, 상기 하나 이상의 작업자용 건설안전 식별장치 및 상기 하나 이상의 건설장비용 식별장치와 통신하는 건설안전 표시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건설안전 표시장치는, 위치감지장치로부터 상기 하나 이상의 작업자용 건설안전 식별장치 및 상기 하나 이상의 건설장비용 건설안전 식별장치의 위치를 수신하는 위치감지부, 상기 하나 이상의 작업자용 건설안전 식별장치 및 상기 하나 이상의 건설장비용 건설안전 식별장치의 위치를 화면에 표시하는 위치표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건설안전 시스템{Construction safety System}
본 발명은 건설현장에서 사용되는 건설안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건설현장에서 발생하는 재해 유형에 관한 통계에 따르면 건설장비를 운전하는 운전자의 시야가 주변 사물에 의해 가려진 경우, 다른 건설장비가 동시에 동작하여 전후방 시야가 확보되지 못하는 경우, 작업자가 새로운 건설장비의 움직임을 예상하지 못하는 경우 등과 같이 부딪힘에 의한 사고 유형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문제를 극복하기 위하여 건설장비와 작업자의 위험을 감지하고 제어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건설안전 표시장치와 건설안전 식별장치를 제공하여 작업자와 건설장비에 건설현장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건설안전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설안전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작업자 각각에 부착되는 하나 이상의 작업자용 건설안전 식별장치, 하나 이상의 건설장비 각각에 부착되는 하나 이상의 건설장비용 건설안전 식별장치, 건설안전 표시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건설안전 표시장치는, 위치감지장치로부터 상기 하나 이상의 작업자용 건설안전 식별장치 및 상기 하나 이상의 건설장비용 건설안전 식별장치의 위치를 수신하는 위치감지부, 상기 하나 이상의 작업자용 건설안전 식별장치 및 상기 하나 이상의 건설장비용 건설안전 식별장치의 위치를 화면에 표시하는 위치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건설안전 시스템의 건설안전 표시장치는, 상기 위치감지부가 수신한 상기 하나 이상의 작업자용 건설안전 식별장치 및 상기 하나 이상의 건설장비용 건설안전 식별장치의 위치에 따라 경고 여부를 판단하는 경고판단부, 상기 경고판단부의 판단 결과에 따라 경고장치에 경고신호를 송신하는 경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건설안전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지형지물 각각에 부착되는 하나 이상의 지형지물용 건설안전 식별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건설안전 시스템은, 상기 건설안전 표시장치, 상기 하나 이상의 건설안전 작업자용 식별장치 및 상기 하나 이상의 건설안전 건설장비용 식별장치를 관리하는 건설안전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설안전 표시장치는, 하나 이상의 건설안전 식별장치의 위치를 표시하는 건설안전 표시장치로서, 상기 하나 이상의 건설안전 식별장치는, 하나 이상의 작업자 각각에 부착되는 하나 이상의 작업자용 건설안전 식별장치 및 하나 이상의 건설장비 각각에 부착되는 하나 이상의 건설장비용 건설안전 식별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건설안전 표시장치는, 위치감지장치로부터 상기 하나 이상의 작업자용 건설안전 식별장치 및 상기 하나 이상의 건설장비용 건설안전 식별장치의 위치를 수신하는 위치감지부, 상기 하나 이상의 작업자용 건설안전 식별장치 및 상기 하나 이상의 건설장비용 건설안전 식별장치의 위치를 화면표시장치에 표시하는 위치표시부, 상기 위치감지부가 수신한 상기 하나 이상의 작업자용 건설안전 식별장치 및 상기 하나 이상의 건설장비용 건설안전 식별장치의 위치에 따라 경고 여부를 판단하는 경고판단부, 상기 경고판단부의 판단 결과에 따라 경고장치에 경고신호를 송신하는 경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건설안전 표시장치는, 상기 하나 이상의 건설장비의 작업반경과 작업 방향, 최대 속도, 평균 속도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작업자의 예정된 작업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건설안전 표시장치의 경고판단부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건설장비의 움직임을 예측하여 상기 경고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건설안전 표시장치의 경고부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작업자가 예정된 작업 반경을 벗어나는 경우, 상기 하나 이상의 작업자용 건설안전 식별장치 및 상기 하나 이상의 건설장비용 건설안전 식별장치 중 상기 작업자의 근방에 존재하는 식별장치에 경고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건설안전 표시장치의 위치표시부는, 상기 화면의 중앙부를 상기 건설안전 표시장치의 위치로 하여, 그로부터 상기 작업자용 건설안전 식별장치 및 상기 건설장비용 건설안전 식별장치의 상대적 위치를 화면표시장치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건설안전 표시장치의 경고판단부는, 주변의 밝기에 기초하여 상기 경고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건설안전 표시장치의 경고판단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작업자용 건설안전 식별장치 및 상기 하나 이상의 건설장비용 건설안전 식별장치의 위치에 따라 위험도를 판단하고, 상기 위험도가 높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경고부가 상기 건설장비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건설안전 표시장치는, 상기 위치감지부가 건설안전 식별장치가 사라짐을 감지할 경우, 상기 경고부가 상기 사라진 건설안전 식별장치의 마지막 감지된 위치의 근방에 존재하는 건설안전 식별장치에 경고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설안전 식별장치는, 건설안전 표시장치와 통신하는 건설안전 식별장치로서, 상기 건설안전 표시장치로부터 경고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수신된 경고신호에 기초하여 시각적 방법 및 청각적 방법 중 적어도 하나의 방법으로 경고하는 경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건설안전 식별장치는, 상기 건설안전 식별장치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감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통신부는 상기 감지된 위치를 상기 건설안전 표시장치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건설안전 식별장치는, 건설현장용 안전모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건설안전 식별장치의 경고부는 상기 건설안전 식별장치의 고장, 전력부족 및 전원 오프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할 경우 상기 건설안전 식별장치의 근방에 존재하는 건설안전 표시장치 및 건설안전 식별장치에 경고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건설안전 식별장치는, 상기 건설안전 식별장치는 건설장비에 부착되며, 상기 경고부는, 상기 수신된 경고신호에 따라 상기 건설장비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작업자와 건설장비를 작동시키는 운전자는 건설안전 시스템을 통해 보다 안전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설안전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설안전 표시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설안전 식별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설안전 표시장치의 화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명확화하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도면들 중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구성을 갖는 구성요소들에 대하여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번호들 및 부호들을 부여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설안전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설안전 시스템(10)은 작업자 각각에 부착되는 작업자용 건설안전 식별장치(110), 건설장비 각각에 부착되는 건설장비용 건설안전 식별장치(120), 작업자용 건설안전 식별장치(110) 및 건설장비용 건설안전 식별장치(120)의 위치를 수신하는 위치감지부(101)와 수신한 위치를 화면에 표시하는 위치표시부(102)를 포함하는 건설안전 표시장치(100)를 포함한다.
건설안전 시스템(10)은 지형지물용 건설안전 식별장치(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형지물용 건설안전 식별장치는 고정된 지형지물에 설치되는 경우, 지형지물의 중심부 또는 지형지물의 모서리에 설치될 수 있다. 이하 작업자용 건설안전 식별장치(110), 건설장비용 건설안전 식별장치(120), 지형지물용 건설안전 식별장치를 통틀어서 건설안전 식별장치(200)라 하고, 건설안전 식별장치(200)와 건설안전 표시장치(100)를 통틀어서 건설안전장치라 한다.
건설안전 시스템(10)은 건설안전 표시장치(100), 작업자용 건설안전 식별장치(110), 건설장비용 건설안전 식별장치(120), 지형지물용 건설안전 식별장치를 관리하는 건설안전 관리서버(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건설안전장치들은 건설안전 관리서버와의 통신을 통해 동작에 필요한 정보나 실시간 상황을 주고받을 수 있다. 건설현장을 관리하는 관리자는 건설안전 관리서버를 통하여, 건설안전장치들을 제어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설안전 표시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건설안전 표시장치(100)는 위치감지부(101), 위치표시부(102), 경고판단부(103), 및 경고부(104)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라, 건설안전 표시장치(100)는 데이터베이스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건설안전 표시장치(100) 및 건설안전 식별장치(200) 중 적어도 하나는 가속도 센서, 기울기 센서, 자이로 센서, 주변광 센서 등의 다양한 물리센서들을 내장하거나 별도의 위치감지장치의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위치감지부(101)는 위치감지장치를 이용하여 작업자용 건설안전 식별장치(100) 및 건설장비용 건설안전 식별장치(120)의 위치를 수신한다. 실시예에 따라, 위치감지부(101)는 건설현장에 존재하는 건설안전장치들의 위치를 수신할 수 있다. 위치표시부(102)는 감지된 건설안전 식별장치(200)의 위치, 또는 건설안전 표시장치(100)와 감지된 건설안전 식별장치(200)들 사이의 거리 등을 건설안전 표시장치(100)의 화면에 표시한다. 경고판단부(103)는 위치감지부(101)가 수신한 건설안전 식별장치의 위치에 기초하여 경고 여부를 판단한다. 경고판단부(103)의 판단 결과에 따라 경고부(104)는 경고장치에 경고신호를 송신한다.
경고장치는 건설안전 표시장치(100) 및 건설안전 식별장치(200)의 내부에 구비되거나 외부에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 경고장치는 경고등과 같은 별도의 시각적 경고모듈을 구비할 수 있으며, 스피커와 같은 청각적 경고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건설장비용 건설안전 식별장치(120)는 건설장비 제어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부(미도시)는 건설현장에서 필요한 정보, 예를 들면 건설현장의 도면, 건설안전 장비들이 설치되는 물체의 종류, 형태, 크기, 건설장비의 작업반경과 작업 방향, 최대 속도, 평균 속도에 대한 정보 및 작업자의 이름, 작업종류, 작업 스케줄, 교대근무스케줄, 기타 특성들을 저장하여 경고판단부(103) 및 경고부(104)에 정보를 제공한다. 경고판단부(103)와 경고부(104)는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정보들에 기초하여 경고 여부를 판단하거나 경고를 수행할 수 있다.
건설안전 표시장치(100)는 건설현장의 중심부에 설치되거나 건설장비의 운전자가 사용할 수 있도록 건설장비의 조종석에 설치될 수 있다. 건설장비의 조종석에 설치되는 경우, 건설장비를 작동시키는 운전자의 시야가 넓어져 다른 건설장비나 작업자가 접근하는지 확인할 수 있어 안전거리 확보가 용이하다. 또한, 중심부에 설치되는 경우 작업자들은 보조 작업자나 찾고자 하는 다른 작업자들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건설안전 표시장치(100)의 화면에는 주변 물체들의 위치가 표시되며, LCD, OLED 등의 7인치 와이드 화면일 수 있다. 이때 건설안전 표시장치(100)의 화면은 건설안전 표시장치(100)에 내장된 것일 수도 있고 외부 표시장치의 화면일 수도 있다. 건설안전 표시장치(100)에는 건설안전 식별장치(200)가 설치되어 다른 건설안전 표시장치(100)가 이를 감지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건설안전 표시장치(100), 작업자용 건설안전 식별장치(110), 건설장비용 건설안전 식별장치(120), 지형지물용 건설안전 식별장치는 방수, 방진 효과가 있어 다양한 건설현장에서 동작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설안전 식별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건설안전 식별장치(200)는 건설안전 표시장치(100)로부터 경고신호를 수신하거나 건설안전 표시장치(100)로 위치와 같은 정보를 전달하는 통신부(201), 경고 신호에 기초하여 시각적 방법 및 청각적 방법 중 적어도 하나의 방법으로 경고하는 경고부(202)를 포함한다. 건설안전 식별장치(200)는 건설안전 식별장치(200)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감지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는 감지된 위치를 건설안전 표시장치로 송신할 수 있다.
작업자용 건설안전 식별장치(110)는 작업자의 의복, 모자, 신발, 벨트, 손목밴드, 고글 등에 설치되는 웨어러블 장치일 수 있다. 건설현장에서는 모든 작업자가 안전모를 착용하게 되어 있으므로 바람직하게는 작업자용 건설안전 식별장치(110)가 안전모에 설치될 수 있다.
건설장비용 건설안전 식별장치(120)는 건설장비의 중심부 또는 건설장비의 작업반경의 중심부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건설장비는 지게차, 굴삭기, 그레이더, 불도저, 크레인, 로우더 등을 포함한다.
이제 건설현장에서 발생하는 상황에 따른 건설안전 시스템(10)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위치에 기반한 경고
건설안전 표시장치(100)는 건설안전 식별장치(200)의 위치에 따라 경고할 수 있다. 건설현장에서 작업자가 예정된 작업 반경을 벗어나는 경우, 작업자의 근방에 존재하는 작업자용 건설안전 식별장치(110) 및 건설장비용 건설안전 식별장치(120)에 경고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작업 스케줄에 따라 예정된 위치에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작업자, 작업보조자 또는 건설장비가 없을 경우에도 예정된 작업위치의 근방에 존재하는 건설안전 식별장치(200)에 경고할 수 있다.
건설안전 표시장치(100)는 건설안전 식별장치(200)가 감지 범위 내에서 사라짐을 감지할 경우, 사라진 건설안전 식별장치(200)의 마지막 감지된 위치의 근방에 존재하는 건설안전 식별장치(200)에 경고할 수 있다. 또한, 건설안전 표시장치(100)는 그 감지범위 내에서 물체가 갑자기 사라지거나 나타나면 이를 건설안전 식별장치(200) 등에 경고할 수 있다.
건설장비 특성에 기반한 경고
건설안전 표시장치(100)는 건설장비의 종류에 따라 작업반경이 다르므로 건설안전 표시장치(100)는 자신이 설치된 건설장비의 작업반경을 고려하여 경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포크레인의 작업반경은 15m 정도이고 지게차의 작업반경은 10m 정도이므로, 건설장비의 작업반경 내에 있는 건설안전 식별장치(200)에 경고할 수 있다.
건설안전 표시장치(100)는 건설장비의 특성을 고려하여 경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한궤도식 건설장비는 낮은 속도(일반적으로 시속 10km/h 이하)로 움직이지만 타이어식 건설장비는 빠르게 움직이므로(50km/h 이상으로 이동 가능), 주변에 타이어식 건설장비가 있는 경우 이를 고려하여 경고할 수 있다.
충돌 가능성에 기반한 경고
건설안전 표시장치(100)는 건설안전 식별장치(200)의 작업반경 이내에 물체가 존재하거나, 작업반경으로부터 일정한 거리 이내에 물체가 존재하여 충돌 가능성이 있는 경우, 이를 알릴 수 있다. 건설안전 표시장치(100)는 다른 건설장비의 작업반경을 고려하여 경고할 수 있다. 건설안전 표시장치(100)는 자신이 다른 건설장비의 작업반경 내에 들어가거나, 다른 건설장비의 작업반경으로부터 일정한 거리 내에 들어가면 이를 알릴 수 있다. 건설안전 표시장치(100)는 자신의 작업반경과 다른 물체의 작업반경이 겹치거나, 일정 거리 이내에 들어가면 이를 알릴 수 있다.
건설안전 표시장치(100)는 건설안전 식별장치(200)의 움직임, 즉, 이동방향, 속도, 가속도 등에 따른 충돌 가능성을 고려하여 경고할 수 있다. 건설안전 표시장치(100)는 건설안전 식별장치(200)의 진행경로에 충돌 가능성이 있는 다른 건설안전 식별장치(200)가 있으면 이를 진행경로에 존재하는 건설안전 식별장치에 경고할 수 있다.
밝기, 경고조건에 기반한 경고
건설안전 표시장치(100)는 주변의 밝기에 따라 경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건설안전 표시장치(100)가 활성화되는 건설현장이 어두운 경우 경고 조건을 더 민감하게 하거나, 건설안전 식별장치(200)들 간의 거리를 실제거리보다 가깝게 인식하여 움직임에 따른 충돌 가능성을 높게 판단할 수 있다.
건설안전 표시장치(100)는 건설장비의 특성에 따라 경고 조건의 민감도를 달리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무한궤도식 장비는 20m 이내에 들어오면 경고하고, 타이어식 건설장비는 40m 이내에 들어오면 경고하고, 작업자는 10m 이내에 들어오면 경고할 수 있다. 건설안전 표시장치(100)는 주변 건설장비의 최대 속도, 평균 속도 등에 따라 경고 조건을 달리 할 수 있다.
건설안전 식별장치의 상태에 기반한 경고
건설안전 식별장치(200)는 고장, 전력부족 및 전원 오프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할 경우, 근방에 존재하는 건설안전 표시장치(100) 및 건설안전 식별장치(200)에 경고를 할 수 있다. 건설안전장치는 기울기 센서 등을 이용하여 자신이 설치된 건설장비나 물체가 쓰러지는 것을 감지하였을 때 주변의 건설안전장치에게 이를 알릴 수 있다. 건설안전장치는 자신이 설치된 건설장비가 쓰러지는 경우 건설장비의 형태, 크기, 폭, 높이 등을 고려하여 충돌 위험이 있는 주변 물체의 건설안전장치에게 이를 알릴 수 있다.
건설안전장치에 대한 경고
건설안전 표시장치(100)는 주변의 건설안전장치에도 경고신호를 보낼 수 있다. 건설안전 표시장치(100)는 주변의 건설안전장치 때문에 사용자에게 경고하는 경우, 해당 건설안전장치에게 경고신호를 보낼 수 있다. 경고신호를 수신한 건설안전장치는 해당 작업자에게 이를 알릴 수 있다.
건설안전장치는 주변의 다른 건설안전장치의 경고에 따라 경고를 할 수 있다. 건설안전장치는 일정 거리 이내의 건설안전장치가 경고를 하는 경우에 경고를 할 수 있다. 건설안전장치는 주변의 건설안전장치가 자신 때문에 경고를 하는 경우에 경고를 할 수 있다.
건설안전 표시장치(100)의 데이터베이스부 뿐만 아니라 다른 건설안전장치도 동작에 필요한 정보, 예를 들면 건설현장의 도면, 자신이나 다른 건설안전장치의 식별자, 건설안전장치가 설치되는 물체의 종류, 형태, 크기, 작업반경, 작업자이름, 작업종류, 작업 스케줄, 기타 특성을 입력받아 저장할 수 있다. 건설안전장치는 동작에 필요한 정보를 다른 주변의 건설장치와의 통신을 통해 실시간으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건설안전장치는 다른 건설안전장치로부터 수신한 정보가 자신이 가지고 있는 정보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를 건설현장에 있는 작업자 또는 다른 건설안전장치에 알릴 수 있다.
건설안전 표시장치(100)가 경고를 함에 있어서, 건설안전 표시장치(100)의 경고판단부(103)는 위험도를 설정할 수 있다. 위험도는 건설안전 식별장치의 위치, 충돌 가능성 등 다양한 조건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위험도가 높다고 판단되는 경우, 건설안전 표시장치(100)의 경고부(104) 및 건설안전 식별장치(200)의 경고부(202)는 건설장비용 건설안전 식별장치(120)의 동작을 멈추게 하거나 시동을 끄는 것과 같이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설안전 표시장치(100)의 화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건설안전 표시장치(100)의 화면에는 주변의 물체, 예를 들면 건설장비, 작업자, 또는 고정된 지형지물 등의 위치가 표시된다. 건설안전 표시장치(100)의 화면에는, 중앙부를 자신의 위치로 하여 주변 물체의 상대적 위치가 표시될 수 있다. 화면에 자신의 위치를 중심으로 하는 동심원 형태의 선이 표시될 수 있고, 자신의 위치로부터의 거리가 표시될 수 있다. 주변 물체는 그 종류나 특성에 따라 다른 방식으로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다른 방식은 다른 도안, 다른 색깔, 다른 문자 등을 포함한다. 주변 물체는 그 위치, 거리, 움직임 등에 따라 다른 방식으로 표시될 수 있다. 주변 건설장비의 종류, 건설장비의 작업종류, 작업자의 이름, 작업자의 작업종류 등이 표시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상세히 살펴보았다. 이러한 실시예들은 이 발명을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비록 본 명세서에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기술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형태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균등물은 현재 공지된 균등물뿐만 아니라 장래에 개발될 균등물 즉 구조와 무관하게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발명된 모든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17)

  1. 하나 이상의 작업자 각각에 부착되는 하나 이상의 작업자용 건설안전 식별장치;
    하나 이상의 건설장비 각각에 부착되는 하나 이상의 건설장비용 건설안전 식별장치; 및
    건설안전 표시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건설안전 표시장치는,
    위치감지장치로부터 상기 하나 이상의 작업자용 건설안전 식별장치 및 상기 하나 이상의 건설장비용 건설안전 식별장치의 위치를 수신하는 위치감지부;
    상기 하나 이상의 작업자용 건설안전 식별장치 및 상기 하나 이상의 건설장비용 건설안전 식별장치의 위치를 화면에 표시하는 위치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안전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설안전 표시장치는,
    상기 위치감지부가 수신한 상기 하나 이상의 작업자용 건설안전 식별장치 및 상기 하나 이상의 건설장비용 건설안전 식별장치의 위치에 따라 경고 여부를 판단하는 경고판단부; 및
    상기 경고판단부의 판단 결과에 따라 경고장치에 경고신호를 송신하는 경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안전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설안전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지형지물 각각에 부착되는 하나 이상의 지형지물용 건설안전 식별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안전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설안전 시스템은,
    상기 건설안전 표시장치, 상기 하나 이상의 건설안전 작업자용 식별장치 및 상기 하나 이상의 건설안전 건설장비용 식별장치를 관리하는 건설안전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안전 시스템.
  5. 하나 이상의 건설안전 식별장치의 위치를 표시하는 건설안전 표시장치로서,
    상기 하나 이상의 건설안전 식별장치는,
    하나 이상의 작업자 각각에 부착되는 하나 이상의 작업자용 건설안전 식별장치 및 하나 이상의 건설장비 각각에 부착되는 하나 이상의 건설장비용 건설안전 식별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건설안전 표시장치는,
    위치감지장치로부터 상기 하나 이상의 작업자용 건설안전 식별장치 및 상기 하나 이상의 건설장비용 건설안전 식별장치의 위치를 수신하는 위치감지부;
    상기 하나 이상의 작업자용 건설안전 식별장치 및 상기 하나 이상의 건설장비용 건설안전 식별장치의 위치를 화면표시장치에 표시하는 위치표시부;
    상기 위치감지부가 수신한 상기 하나 이상의 작업자용 건설안전 식별장치 및 상기 하나 이상의 건설장비용 건설안전 식별장치의 위치에 따라 경고 여부를 판단하는 경고판단부; 및
    상기 경고판단부의 판단 결과에 따라 경고장치에 경고신호를 송신하는 경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안전 표시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건설안전 표시장치는,
    상기 하나 이상의 건설장비의 작업반경과 작업 방향, 최대 속도, 평균 속도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작업자의 예정된 작업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안전 표시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판단부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건설장비의 움직임을 예측하여 상기 경고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안전 표시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부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작업자가 예정된 작업 반경을 벗어나는 경우, 상기 하나 이상의 작업자용 건설안전 식별장치 및 상기 하나 이상의 건설장비용 건설안전 식별장치 중 상기 작업자의 근방에 존재하는 식별장치에 경고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안전 식별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표시부는,
    상기 화면의 중앙부를 상기 건설안전 표시장치의 위치로 하여, 그로부터 상기 작업자용 건설안전 식별장치 및 상기 건설장비용 건설안전 식별장치의 상대적 위치를 화면표시장치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안전 표시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판단부는,
    주변의 밝기에 기초하여 상기 경고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안전 표시장치.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판단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작업자용 건설안전 식별장치 및 상기 하나 이상의 건설장비용 건설안전 식별장치의 위치에 따라 위험도를 판단하고,
    상기 위험도가 높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경고부가 상기 건설장비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안전 표시장치.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감지부가 건설안전 식별장치가 사라짐을 감지할 경우,
    상기 경고부가 상기 사라진 건설안전 식별장치의 마지막 감지된 위치의 근방에 존재하는 건설안전 식별장치에 경고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안전 표시장치.
  13. 건설안전 표시장치와 통신하는 건설안전 식별장치로서,
    상기 건설안전 표시장치로부터 경고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수신된 경고신호에 기초하여 시각적 방법 및 청각적 방법 중 적어도 하나의 방법으로 경고하는 경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안전 식별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건설안전 식별장치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감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통신부는 상기 감지된 위치를 상기 건설안전 표시장치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안전 식별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건설안전 식별장치는 건설현장용 안전모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을 하는 건설안전 식별장치.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부는,
    상기 건설안전 식별장치의 고장, 전력부족 및 전원 오프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할 경우 상기 건설안전 식별장치의 근방에 존재하는 건설안전 표시장치 및 건설안전 식별장치에 경고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안전 식별장치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건설안전 식별장치는 건설장비에 부착되며,
    상기 경고부는,
    상기 수신된 경고신호에 따라 상기 건설장비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안전 식별장치.
KR1020170014601A 2016-04-08 2017-02-01 건설안전 시스템 KR2017011593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3588 2016-04-08
KR20160043588 2016-04-0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5937A true KR20170115937A (ko) 2017-10-18

Family

ID=602967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4601A KR20170115937A (ko) 2016-04-08 2017-02-01 건설안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15937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0652A (ko) * 2017-12-13 2019-06-21 코오롱베니트 주식회사 중장비 관리 시스템,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KR20210033743A (ko) * 2019-09-19 2021-03-29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건설현장의 안전사고 예방 시스템
KR20210046111A (ko) * 2019-10-17 2021-04-28 한국도로공사 건설장비 자동정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현장 안전정보 제공방법
KR102442122B1 (ko) * 2022-04-14 2022-09-14 (주)대성사 산업현장용 안전 관리장치
KR102647440B1 (ko) * 2023-03-31 2024-03-14 대한민국 작업자용 안전장비 식별 게이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0652A (ko) * 2017-12-13 2019-06-21 코오롱베니트 주식회사 중장비 관리 시스템,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KR20210033743A (ko) * 2019-09-19 2021-03-29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건설현장의 안전사고 예방 시스템
KR20210046111A (ko) * 2019-10-17 2021-04-28 한국도로공사 건설장비 자동정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현장 안전정보 제공방법
KR102442122B1 (ko) * 2022-04-14 2022-09-14 (주)대성사 산업현장용 안전 관리장치
KR102647440B1 (ko) * 2023-03-31 2024-03-14 대한민국 작업자용 안전장비 식별 게이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115937A (ko) 건설안전 시스템
AU2019100582A4 (en) A computerised tracking and proximity warning method and system for personnel, plant and equipment operating both above and below the ground or their movement therebetween
US20200175272A1 (en) Method and device for augmenting a person's view of a mining vehicle on a mining worksite in real-time
KR101322201B1 (ko) 건설용 중장비 접근 감시 시스템
US20180122218A1 (en) Proximity alarm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EP3477329B1 (en) System with global positioning and rf time-of-flight ranging for supervising the safety on a site
CA2796846C (en) Object proximity warning system and method
CA2917060A1 (en) Operator drowsiness detection in surface mines
CN109671245A (zh) 道路作业人员安全预警***
JP6320327B2 (ja) 車両侵入警報システム
KR20170055370A (ko) 이격 거리별 능동 알에프아이디 태그를 구비하는 중장비 안전 경보 시스템
CN109419090B (zh) 安全帽状态检测***
JP7361441B2 (ja) 作業車両の安全システム
KR102088458B1 (ko) 작업자 관리 시스템
CN112836563A (zh) 作业现场分类***和方法
CA2851066A1 (en) Improving safety on sites with movable objects
KR101770986B1 (ko) 사고 발생 경고용 무선 전광시스템
KR20220112326A (ko) 지게차 접근 경고 장치
WO2019164372A1 (ko) 위험물 감지를 위한 차량용 레이더 시스템
GB2595843A (en) Safety system
KR102643266B1 (ko) 라이다와 카메라를 이용한 건설기계 안전관리 시스템
WO2022091838A1 (ja) 安全評価システムおよび安全評価方法
KR102264297B1 (ko) 사각지대 및 후측방 감지를 통한 무선 경보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60003024U (ko) 건설중장비용 과속 및 위험 경보장치
AU2014100468A4 (en) Operator drowsiness detection in min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