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4580A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4580A
KR20170114580A KR1020160041769A KR20160041769A KR20170114580A KR 20170114580 A KR20170114580 A KR 20170114580A KR 1020160041769 A KR1020160041769 A KR 1020160041769A KR 20160041769 A KR20160041769 A KR 20160041769A KR 20170114580 A KR20170114580 A KR 201701145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ket
lever
moving
sub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17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기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417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14580A/ko
Priority to EP20157118.9A priority patent/EP3702706B1/en
Priority to CN201710217533.9A priority patent/CN107270614B/zh
Priority to EP20157114.8A priority patent/EP3686530B1/en
Priority to EP17164926.2A priority patent/EP3228968B1/en
Priority to US15/479,937 priority patent/US10352612B2/en
Publication of KR201701145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4580A/ko
Priority to US16/511,424 priority patent/US10900707B2/en
Priority to US16/512,942 priority patent/US10914508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25D11/02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with cooling compartments at different temper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4Doors; Covers with special compartments, e.g. butter conditio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2Walls defining a cabin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25D25/022Bask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 A47B57/06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helves
    • A47B57/08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helves consisting of grooved or notched ledges, uprights or side walls
    • A47B57/1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helves consisting of grooved or notched ledges, uprights or side walls the grooved or notched parts being the side walls or uprights themse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5Secondary clos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5Details
    • F25D23/067Support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3Door in door constru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4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convey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제조가 용이하고 사용이 편리한 무빙 선반이나 바스켓을 갖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저장실이 구비되는 캐비닛; 상기 저장실의 식품출입구를 개폐하며, 후방에 서브 저장실이 구비되는 메인 도어; 상기 서브 저장실의 식품출입구를 개폐하는 서브 도어; 상기 서브 저장실에 구비되는 바스켓, 상기 바스켓의 상부에 이격되도록 위치되어 상기 바스켓으로 식품을 투입하는 개구부를 갖는 무빙 프레임 그리고 상기 바스켓과 무빙 프레임을 연결하는 브릿지를 포함하는 무빙 바스켓; 상기 서브 저장실에 구비되며, 상기 무빙 바스켓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레일; 상기 브릿지에서 상기 레일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무빙 바스켓을 상기 레일에 대하여 지지하는 서포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무빙 프레임에 수용된 상태에서 변위가 가변되도록 구비되는 레버; 그리고 상기 레버의 조작에 의해 상기 레일에 선택적으로 걸리도록 구비되어, 상기 레일에 대한 상기 무빙 바스켓의 상하 위치를 고정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냉장고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제조가 용이하고 사용이 편리한 무빙 선반이나 바스켓을 갖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내부에 단열재로 충진된 캐비닛과 도어에 의해, 외부에서 침투하는 열을 차단 가능한 식품 저장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식품저장공간 내부의 열을 흡수하는 증발기와 상기 식품저장공간 외부로 수집된 열을 배출하는 방열장치로 구성된 냉동장치를 구비하여, 상기 식품저장공간을 미생물의 생존 및 증식이 어려운 저온의 온도영역으로 유지하여, 저장된 식품을 장기간 변질 없이 보관하는 장치이다.
상기 냉장고는 영상의 온도영역으로 식품을 저장하는 냉장실과 영하의 온도영역으로 식품을 저장하는 냉동실로  분리하여 형성되고, 상기 냉장실과 냉동실의 배치에 따라, 상부 냉동실과 하부 냉장실을 배치한  탑프리즈(Top Freezer)냉장고와 하부 냉동실과 상부 냉장실을 배치한 바텀프리즈(Bottom Freezer)냉장고, 그리고 좌측 냉동실과 우측 냉장실로 배치한 사이드바이사이드(Side by side)냉장고등으로 분류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식품저장공간에 저장된 식품을 편리하게 적치하거나, 인출하기 위해, 다수개의  선반과 서랍 등을 상기 식품저장공간 내부에 구비한다.
최근에는 냉장고의 도어 배면에 홈 바(home-bar), 아이스 메이커, 선반 또는 바스켓 등이 장착되어, 도어 배면을 별도의 저장 공간으로 활용하거나 별도의 기능 공간으로 활용하는 경향이 많아지고 있다. 즉, 도어의 기능이 단순히 냉동실이나 냉장실을 개폐하는 것을 넘어서, 도어가 별도의 저장 공간을 형성하거나 얼음이나 냉수의 생성 및 공급 등과 같은 부가적인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저장실을 개폐하는 메인도어에 보조도어를 장착한 이중 냉장고가 제공되고 있다. 이를 도어 인 도어 냉장고, DID 냉장고라고 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메인도어를 개방하여 저장실을 사용할 수 있고, 메인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서브도어만 개방하여 서브저장실을 사용할 수 있는 DID냉장고가 제공되고 있다.
상기 서브저장실은 메인도어의 후방에 구비되며 저장실과는 일부 칸막이(홈바 케이스)를 통해 구획되는 저장 영역이라 할 수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서브저장실 영역이 메인도어의 일부분에만 형성되지 않고 실질적으로 메인도어 전 영역에 형성되는 추세에 있다.
한편, 이러한 서브저장실은 물이나 음료수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자주 이용하는 다양한 저장물을 저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서브저장실에는 하나의 선반이나 바스켓이 구비되지 않고 복수 개의 선반이나 바스켓이 구비되고 있다. 그러나, 저장물의 높이가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선반이나 바스켓이 상하 위치가 필요에 따라 가변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이를 위해서, 본 출원인은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10-2011-0118955(이하 "선행발명"이라 한다)를 통해서 홈 바 내에서 상하 이동될 수 있는 무빙 바스켓(moving basket) 구조를 제시한 바 있다.
사용자는 메인 도어에 형성된 개구부(서브저장실의 식품 출입구)를 통해서 무빙 바스켓에 저장된 식품을 꺼내거나 집어넣을 수 있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레버를 작동시켜 무빙 바스켓의 상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그러나 선행발명에서의 레버는 사용자에게 그대로 노출되는 위치에 구비된다. 즉, 상기 개구부의 반경 반향 내측에 위치하게 되어 미려한 디자인을 구현하기 어렵다. 일례로, 사용자가 상기 무빙 바스켓에 식품을 넣거나 상기 무빙 바스켓에서 식품을 꺼낼 때 식품이 상기 레버와 간섭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선행발명에서의 레버는 무빙 바스켓이 하부에 위치되며, 하방 그리고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무빙 바스켓의 하부에 구비되는 바스켓을 사용하는 경우, 유리병과 같은 용기들이 상기 레버와 부딪히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레버가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선행발명에서는 레버의 조작과 함께 무빙 바스켓을 상하로 이동시키는데 어려움이 있다.
일례로, 양쪽의 레버를 위로 올리면서 상부로 힘을 가하여 무빙 바스켓을 상부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 사용자는 무빙 바스켓의 하중을 상기 레버를 통해서만 지지하기 때문에 힘의 균형이 어긋나게 된다. 따라서, 매우 불안한 상태로 무빙 바스켓이 상부로 이동될 수밖에 없다.
마찬가지로, 양쪽의 레버를 위로 올리면서 무빙 바스켓의 하중을 이용하여 무빙 바스켓을 하부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 무빙 바스켓이 비워진 상태 즉 무빙 바스켓 자체의 하중만으로 무빙 바스켓이 하부로 이동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물질의 간섭 등에 의해서 무빙 바스켓이 용이하게 하부로 이동되지 않을 수 있다. 물론, 무빙 바스켓에 무거운 식품이 수용된 경우에는, 무빙 바스켓의 하중을 상기 레버를 통해서만 지지하기 때문에 힘의 균형이 어긋나게 된다. 따라서, 매우 불안한 상태로 무빙 바스켓이 하부로 이동될 수밖에 없다.
다시 말하면, 선행기술에서는 사용자가 손을 통해 레버의 조작과 동시에 무빙 프레임의 이동을 위하여 무빙 바스켓에 이동을 원하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 무빙 바스켓을 이동시키기 위한 레버가 가시적으로 노출되지 않아 미려한 디자인을 제공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 무빙 바스켓의 노출을 최소화하여, 상기 레버가 식품 출입에 간섭되지 않도록 한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 서브저장실에 구비되는 일반 바스켓과 무빙 바스켓의 외형을 실질적으로 통일시켜 통일된 디자인을 제공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 무빙 바스켓 내부에 식품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외부에서 식품을 쉽게 인식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 무빙 바스켓을 지지하는 무빙 프레임을 바스켓 상부에 위치시켜 보다 안정적으로 무빙 바스켓을 지지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 무빙 프레임을 통해 레버를 보호하여 레버가 파손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는 한편, 레버가 가시적으로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 사용자가 레버를 조작하기 편리하고 레버의 조작과 동시에 무빙 바스켓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서, 무빙 바스켓의 상하 이동이 안정적이고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 사용자가 한 손으로는 무빙 바스켓을 지지하고 한 손으로는 레버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하여, 무빙 바스켓의 상하 이동이 안정적이고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 사용자가 두 손으로 동시에 레버의 조작 및 무빙 프레임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여, 무빙 바스켓의 상하 이동이 안정적이고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 사용자가 두 손으로 동시에 레버의 조작 및 바스켓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여, 무빙 바스켓의 상하 이동이 안정적이고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 사용자가 무빙 바스켓의 이동 방향으로 용이하게 힘을 가할 수 있어서 사용이 편리한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
전술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저장실이 구비되는 캐비닛; 상기 저장실의 식품출입구를 개폐하며, 후방에 서브 저장실이 구비되는 메인 도어; 상기 서브 저장실의 식품출입구를 개폐하는 서브 도어; 상기 서브 저장실에 구비되는 바스켓, 상기 바스켓의 상부에 이격되도록 위치되어 상기 바스켓으로 식품을 투입하는 개구부를 갖는 무빙 프레임 그리고 상기 바스켓과 무빙 프레임을 연결하는 브릿지를 포함하는 무빙 바스켓; 상기 서브 저장실에 구비되며, 상기 무빙 바스켓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레일; 상기 브릿지에서 상기 레일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무빙 바스켓을 상기 레일에 대하여 지지하는 서포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무빙 프레임에 수용된 상태에서 변위가 가변되도록 구비되는 레버; 그리고 상기 레버의 조작에 의해 상기 레일에 선택적으로 걸리도록 구비되어, 상기 레일에 대한 상기 무빙 바스켓의 상하 위치를 고정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냉장고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레버는 상방 변위 발생 시 상기 무빙 프레임에 수용되는 길이가 증가됨이 바람직하다. 즉, 레버의 더 많은 부분이 무빙 프레임에 수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무빙 프레임 상기 레버의 최대 변위를 제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레버의 전단은 상기 무빙 프레임의 전단보다 후방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레버의 전단, 일례로 레버의 가압부가 사용자에게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레일은, 상기 서브 저장실의 식품출입구의 후방 양쪽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무빙 프레임이 좌우 양쪽에서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상기 레일은, 상기 서브 저장실의 식품출입구를 통해 상기 레일이 가시적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서브 저장실의 식품출입구보다 반경 방향 외측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식품출입구의 후벽은 가시적으로 노출되지 않게 되며, 따라서 상기 레일은 후벽에 장착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레버는 상기 브릿지에서 상기 식품출입구의 반경 방향 내측까지 연장되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즉, 레버의 일부만 식품출입구의 반경 방향 내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 부분을 통해서 사용자가 레버의 조작이 가능하게 된다. 이를 레버의 가압부라 할 수 있다.
상기 레버의 회전 중심을 형성하는 레버 회전축과 상기 스토퍼의 회전 중심을 형성하는 스토퍼 회전축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레버의 가압은 레버의 회전 변위를 발생시키고, 레버의 회전 변위는 스토퍼의 회전 변위로 전환될 수 있다.
상기 레버 및/또는 상기 스토퍼에는 스프링이 구비되며, 상기 사용자에 의한 상기 레버의 조작이 종료되면 상기 스프링에 의해서 상기 레버와 스토퍼는 원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상기 바스켓과 상기 무빙 프레임 사이에는, 상기 브릿지를 제외하고 이격 공간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격 공간을 통해서 사용자의 손이 상기 이격 공갑으로 출입할 수 있다.
상기 무빙 프레임은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브릿지는 상기 무빙 프레임의 양쪽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무빙 프레임은 상기 브릿지의 전방에 위치되는 전방 프레임과 상기 브릿지의 후방에 위치되는 후방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릿지와 상기 무빙 프레임을 연결하기 위한 브라켓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을 매개로 브릿지와 바스켓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서포터는 상기 브라켓을 통해서 상기 무빙 프레임에 고정되며, 상기 레버와 스토퍼는 상기 브라켓을 통해서 상기 무빙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브라켓에는 복수 개의 체결 보스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체결 보스는 특정 구성의 회전 중심을 형성할 수 있고 특정 구성의 결합을 위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서포터, 레버 그리고 스토퍼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브라켓에 수용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브릿지는 상기 브라켓에 결합되어 상기 브라켓에 수용된 서포터, 레버 그리고 스토퍼를 덮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저장실이 구비되는 캐비닛; 상기 저장실의 식품출입구를 개폐하며, 후방에 서브 저장실이 구비되는 메인 도어; 상기 서브 저장실의 식품출입구를 개폐하는 서브 도어; 상기 서브 저장실에 구비되는 바스켓, 상기 바스켓의 상부에 이격되도록 위치되어 상기 바스켓으로 식품을 투입하는 개구부를 갖는 무빙 프레임 그리고 상기 바스켓과 무빙 프레임을 연결하는 브릿지를 포함하는 무빙 바스켓; 상기 서브 저장실에 구비되며, 상기 무빙 바스켓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레일; 상기 브릿지에서 상기 레일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무빙 바스켓을 상기 레일에 대하여 지지하는 서포터; 상기 바스켓의 하부 그리고 상기 바스켓의 전단부 후방에 위치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변위가 가변되도록 구비되는 레버; 그리고 상기 레버의 조작에 의해 상기 레일에 선택적으로 걸리도록 구비되어, 상기 레일에 대한 상기 무빙 바스켓의 상하 위치를 고정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냉장고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바스켓의 전단부와 상기 무빙 프레임 사이에는 이격 공간이 형성되며, 사용자가 한 손으로 동시에 상기 바스켓과 레버를 잡고 상기 레버를 조작할 수 있도록, 상기 바스켓 전단부의 상단과 상기 레버 사이의 높이가 결정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서포터, 레버 그리고 스토퍼는 상기 무빙 바스켓의 양쪽에 각각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저장실이 구비되는 캐비닛; 상기 저장실의 식품출입구를 개폐하며, 후방에 서브 저장실이 구비되는 메인 도어; 상기 서브 저장실의 식품출입구를 개폐하는 서브 도어; 상기 서브 저장실에 구비되는 바스켓, 상기 바스켓의 상부에 이격되도록 위치되어 상기 바스켓으로 식품을 투입하는 개구부를 갖는 무빙 프레임 그리고 상기 바스켓과 무빙 프레임을 연결하는 브릿지를 포함하는 무빙 바스켓; 상기 서브 저장실에 구비되며, 상기 무빙 바스켓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레일; 상기 브릿지에서 상기 레일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무빙 바스켓을 상기 레일에 대하여 지지하는 서포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변위가 가변되도록 구비되는 레버; 그리고 상기 레버의 조작에 의해 상기 레일에 선택적으로 걸리도록 구비되어, 상기 레일에 대한 상기 무빙 바스켓의 상하 위치를 고정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며, 상기 무빙 프레임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레버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무빙 프레임은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브릿지는 상기 무빙 프레임의 양쪽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무빙 프레임은 상기 브릿지의 전방에 위치되는 전방 프레임과 상기 브릿지의 후방에 위치되는 후방 프레임을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방 프레임은 상기 브릿지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전방 프레임이 상기 레버를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방 프레임이 레버의 가압부를 대체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저장실이 구비되는 캐비닛; 상기 저장실의 식품출입구를 개폐하며, 후방에 서브 저장실이 구비되는 메인 도어; 상기 서브 저장실의 식품출입구를 개폐하는 서브 도어; 상기 서브 저장실에 구비되는 바스켓, 상기 바스켓의 상부에 이격되도록 위치되어 상기 바스켓으로 식품을 투입하는 개구부를 갖는 무빙 프레임 그리고 상기 바스켓과 무빙 프레임을 연결하는 브릿지를 포함하는 무빙 바스켓; 상기 서브 저장실에 구비되며, 상기 무빙 바스켓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레일; 상기 무빙 바스켓을 상기 레일에 대하여 지지하는 서포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변위가 가변되도록 구비되는 레버; 그리고 상기 레버의 조작에 의해 상기 레일에 선택적으로 걸리도록 구비되어, 상기 레일에 대한 상기 무빙 바스켓의 상하 위치를 고정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무빙 프레임의 전방 무빙 프레임과 상기 바스켓 사이에는 상하 이격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이격 공간을 통해서 사용자의 손이 출입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서 조작부의 조작과 무빙 프레임의 지지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이격 공간은 한 손으로 레버를 조작하고 동시에 무빙 프레임을 잡을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손 일부가 무빙 바스켓 전후 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이격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격 공간은 한 손으로 레버를 조작하고 동시에 바스켓의 상부를 잡을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손 일부가 무빙 바스켓 후방으로 삽입되어 바스켓을 잡음과 동시에 레버를 조작할 수 있도록 이격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격 공간은 레버의 변위를 허용하기 위해 형성될 수 있다. 무빙 프레임의 일부, 일례로 전방 무빙 프레임을 레버로 대체하는 경우 레버의 이동을 허용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한 손으로 레버를 누르고 다른 한 손으로 바스켓을 지지하여 무빙 바스켓을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무빙 바스켓 전체의 높이 중 일부는 이격 공간의 높이로 형성하여 매우 편리하게 무빙 바스켓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이격 공간은, 레버의 조작 및/또는 레버의 조작 허용을 위해 형성된 것이라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 무빙 바스켓을 이동시키기 위한 레버가 가시적으로 노출되지 않아 미려한 디자인을 제공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 무빙 바스켓의 노출을 최소화하여, 상기 레버가 식품 출입에 간섭되지 않도록 한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 서브저장실에 구비되는 일반 바스켓과 무빙 바스켓의 외형을 실질적으로 통일시켜 통일된 디자인을 제공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 무빙 바스켓 내부에 식품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외부에서 식품을 쉽게 인식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 무빙 바스켓을 지지하는 무빙 프레임을 바스켓 상부에 위치시켜 보다 안정적으로 무빙 바스켓을 지지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 무빙 프레임을 통해 레버를 보호하여 레버가 파손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는 한편, 레버가 가시적으로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 사용자가 레버를 조작하기 편리하고 레버의 조작과 동시에 무빙 바스켓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서, 무빙 바스켓의 상하 이동이 안정적이고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 사용자가 한 손으로는 무빙 바스켓을 지지하고 한 손으로는 레버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하여, 무빙 바스켓의 상하 이동이 안정적이고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 사용자가 두 손으로 동시에 레버의 조작 및 무빙 프레임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여, 무빙 바스켓의 상하 이동이 안정적이고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 사용자가 두 손으로 동시에 레버의 조작 및 바스켓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여, 무빙 바스켓의 상하 이동이 안정적이고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 사용자가 무빙 바스켓의 이동 방향으로 용이하게 힘을 가할 수 있어서 사용이 편리한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냉장고를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냉장고의 도어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홈바 케이스와 무빙 바스켓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A" 영역에 대한 분해 확대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의 "A" 영역에 대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빙 바스켓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무빙 바스켓의 서포트 어셈블리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무빙 바스켓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무빙 바스켓의 서포트 어셈블리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무빙 바스켓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무빙 바스켓의 서포트 어셈블리에 대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적용할 수 있는 냉장고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시된 냉장고는 캐비닛(10)의 상부에 냉장실이 마련되고, 하부에 냉동실이 마련되는 바텀 프리저 타입(Bottom Freezer Type)의 냉장고이다. 상기 냉장실과 냉동실은 상기 캐비닛(10) 내부에 구비되는 저장실 또는 메인저장실(11)의 일부라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타입의 냉장고에 한정되지 않으며, 캐비닛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어 냉장고의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가 구비된 냉장고라면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냉장실을 개폐하는 도어로서 좌측 냉장실도어(20)와 우측 냉장실도어(25)가 상기 캐비닛(10)의 좌우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장착된다. 물론, 이와 달리 냉장실도어는 하나의 도어가 회동가능하게 장착될 수도 있다.
상기 냉장실 도어의 아래에 마련되는 냉동실 도어도 상기 캐비닛(10)의 전면 하부 양측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좌측 냉동실 도어(30)와 우측 냉동실 도어(4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냉동실 도어는 하나의 도어가 회동가능하게 장착될 수도 있고, 전후방향으로 인출가능하게 장착되는 서랍식 도어가 장착될 수도 있다.
상기 좌측 냉동실 도어(30)의 상면에는 손잡이홈(32)이 마련될 수 있고, 상기 우측 냉동실 도어(40)의 상면에도 손잡이홈이 마련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우측 냉장실도어(25)는 상기 캐비닛(10)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메인도어(100)와 상기 메인도어(100) 또는 캐비닛(10)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서브도어(20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메인도어(100)와 서브도어(200)를 함께 열면 냉장실에 접근할 수 있다.
상기 메인도어(100)의 중앙부 내측에는 개구부(120)가 마련되고, 상기 메인도어(100)의 배면측에는 서브저장실이나 도어 바스켓(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메인 도어(100)에 구비되는 개구부(120)는 서브 저장실의 식품출입구라 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서브 저장실의 식품출입구(120)를 통하여 서브 저장실에서 식품을 꺼내거나 상기 서브 저장실에 식품을 넣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브도어(200)는 상기 식품출입구(120)를 개폐하도록 구비된다고 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메인도어(100)를 열지 않고도 서브도어(200)만 열어서 상기 서브저장실이나 도어 바스켓에 접근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저장실(11), 예를 들어 냉장실에도 개구부(12)가 형성된다. 즉, 저장실의 식품출입구(12)가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저장실의 식품출입구(12)를 통하여 저장실에서 식품을 꺼내거나 상기 저장실에 식품을 넣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도어(100)는 상기 저장실의 식품출입구(12)를 개폐하도록 구비된다고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메인도어(100)에 장착되는 무빙 바스켓을 포함한다. 이러한 무빙 바스켓은 사용자가 서브도어(200)만 열고 사용할 수 있다. 물론, 메인도어(100)를 열고 무빙 바스켓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메인도어(100), 서브도어(200) 그리고 서브 저장실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서브도어(200)의 배면에는 서브도어 바스켓(21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서브도어 바스켓(210)은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서브도어(200)를 열고 상기 바스켓(210)을 저장 공간으로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서브도어(200)를 열면, 메인도어(100)의 식품출입구(12)를 통해서 서브 저장실(121)로 접근할 수 있다. 상기 서브저장실(121)에도 마찬가지로 바스켓이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바스켓은 상하로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바스켓은 상하 위치가 고정되는 고정 바스켓을 포함할 수 있고, 상하 위치가 가변될 수 있는 무빙 바스켓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무빙 바스켓(300)이 서브저장실(121)에 구비되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상기 서브저장실(121)의 메인도어(100)의 배면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저장실(11) 내부로 일정 거리 삽입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브저장실(121)은 상기 저장실(11)과 적어도 일부분이 격리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저장실(121)을 형성하기 위하여 홈바 케이스(13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홈바 케이스(130)는 상기 메인도어(100)에 결합되어 소정의 저장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홈바 케이스(130)는 상기 저장실(11)과의 냉기 연통을 위해서 개구부(131)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개구부(131)를 통해서 저장실의 냉기가 상기 서브저장실(121)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개구부(131)는 상기 홈바 케이스(130)에 복수 개소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하로 복수 개소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홈바 케이스(130)는 상기 메인도어(100)의 후방에서 상기 메인도어(10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홈바 케이스(130)의 테두리 부분에는 복수 개의 결합부(132)가 형성되며, 상기 메인도어(100)에는 결합홈(1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132)와 결합홈(13)은 하방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결합부(132)가 결합홈(13)에 삽입됨에 따라 홈바 케이스(130)의 자중에 의해서 상기 홈바 케이스(130)가 메인도어(100)에 견고히 고정 결합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결합부(132)와 결합홈(13) 이외에도 상기 홈바 케이스(130)를 메인도어(100)에 결합시키기 위한 별도의 결합부들이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무빙 바스켓(300)은 상기 서브 저장실의 식품출입구(120)에서 소정 거리만큼 후방으로 이격되어 위치될 수 있다. 이는 서브도어(200)가 닫힐 때, 상기 서브도어(200)의 바스켓(210)과 상기 무빙 바스켓(300)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함이다.
상기 무빙 바스켓(300)은 상기 메인도어(100)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메인도어(100)의 후방에서 상기 메인도어(10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홈바 케이스(130)가 구비되는 경우에도, 상기 무빙 바스켓(300)은 상기 홈바 케이스(130)와는 독립적으로 상기 메인도어(100)에 결합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홈바 케이스(130)와 독립적으로 상하 위치가 가변될 수 있다.
상기 무빙 바스켓(300)의 좌우 폭은 상기 서브저장실의 식품출입구(120)의 좌우 폭보다는 큰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식품출입구(120)의 면적보다는 상기 서브저장실의 면적이 더욱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식품출입구(120)의 후벽(14)이 형성됨을 의미하게 된다. 상기 후벽(14)은 수직면으로서 좌우 후벽(14)의 폭을 더한 길이만큼 서브저장실(121) 실의 좌우 공간이 확장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사용자가 냉장고의 전방에서 서브도어(200)를 개방하면 상기 식품출입구(120)를 통해서 서브저장실 내부를 볼 수 있다. 그러나, 식품출입구(120)의 후벽은 보이지 않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후벽(14)에 무빙 바스켓(300)을 상하로 이동시키도록 지지하는 레일(400, 도 3 참조)이 구비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상기 레일이 가시적으로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러므로, 미려한 서브저장실의 디자인을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무빙 바스켓 구조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무빙 바스켓에 대한 전방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A" 영역에 대한 확대 사시도 그리고 도 5는 "A" 영역에 대한 확대 단면도이다.
무빙 바스켓(300)은 무빙 프레임(310)과 바스켓(3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바스켓(320)은 용기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사각 용기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바스켓(320)은 서브저장실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바스켓(320)은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출을 통해서 용이하게 제작될 수 있다.
상기 무빙 프레임(310)은 상기 바스켓(320)의 상부에 이격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무빙 프레임(310)은 무빙 바스켓 전체의 하중을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무빙 프레임(310)은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보다 견고하게 무빙 바스켓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무빙 프레임(310)은 개구부(313)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무빙 프레임(310)은 상기 바스켓(32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바스켓(320)이사각 형상인 경우 마찬가지로 상기 무빙 프레임(310)도 사각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무빙 프레임(310)의 개구부(313)를 통해서 식품을 무빙 바스켓(300)에 넣거나 상기 개구부(313)를 통해서 식품을 꺼낼 수 있다. 따라서 무빙 바스켓(300)의 높이는 상기 바스켓(320)의 높이가 아닌 상기 바스켓(320)의 하부에서 상기 무빙 프레임(310)까지의 높이가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바스켓(320)과 무빙 프레임(310)을 연결하는 브릿지(33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브릿지(330)는 상기 바스켓(320)과 무빙 프레임(310)을 연결함과 동시에 양자 사이의 상하 이격 거리를 유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릿지(330)는 무빙 바스켓(300)의 좌우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바스켓과 무빙 프레임이 견고하게 서로 결합될 수 있으며 양자의 간격 또한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상기 브릿지(330)를 통해서 상기 무빙 프레임(310)과 바스켓(320)에는 이격 거리 또는 이격 공간이 형성된다. 특히, 무빙 바스켓(300)의 전방에 이러한 이격 거리 또는 이격 공간(S, 도 6참조)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무빙 바스켓(300)에 수용된 식품들, 일례로 음료 용기의 일부가 상기 이격 공간을 통해서 사용자에게 가시적으로 노출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사용자는 무빙 바스켓(300)에 수용된 식품들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다. 아울러, 상하 길이가 높은 음료 용기들도 상기 무빙 바스켓(300)에 안정적으로 수용될 수 있게 된다. 즉, 무빙 바스켓 전체 높이에 대응되도록 바스켓(320)을 형성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바스켓(320)의 높이를 줄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반면에 상기 무빙 프레임을 통해서 무빙 바스켓 전체 높이를 키울 수 있음을 의미한다.
상기 브릿지(330)는 상기 무빙 프레임(310)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무빙 프레임(310)의 하부에 위치되는 바스켓(320)과 연결되기 위하여 하방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브릿지(33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무빙 바스켓(300)의 상하 이동 시 힘이 가해지는 구성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무빙 프레임과 마찬가지로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브릿지는 상기 무빙 프레임(310)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무빙 프레임(310)과 브릿지(330)는 알루미늄 다이케스팅으로 형성되거나 스테인레스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무빙 바스켓(300)을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무빙 바스켓(300)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레일(400)이 구비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레일(400)은 무빙 바스켓(300)의 양쪽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개구부(120)의 후벽(14)에 고정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레일(400)은 가려져서 가시적으로 노출되지 않게 된다.
상기 레일(400)은 상하로 길게 연장되어 무빙 바스켓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레일 바디(41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무빙 바스켓의 위치를 특정할 수 있는 복수 개의 레일 홀(42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레일 홀(420)은 상하로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레일 홀(420)의 개수가 상기 가변될 수 있는 무빙 바스켓의 위치 개수라 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 바디(410)의 하단에는 레일 스토퍼(43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레일 스토퍼(430)는 상기 무빙 바스켓(300)이 위치될 수 있는 가장 낮은 위치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서포트(380) 중 가장 하부에 위치하는 서포트가 상기 레일 스토퍼(430)에 맞닿게 됨으로써 더이상 무빙 바스켓(300)이 하방으로 이동할 수 없게 된다.
상기 레일 바디(410)의 상단과 하단에는 각각 체결부(43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430)는 체결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체결부(430)를 통하여 상기 레일(400)이 메인도어(100)에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 즉, 상기 메인도어(100)에 구비되는 개구부(120)의 후벽(14)에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레일 바디(410)는 채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레일 바디(410)는 개구부(414)가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레일 바디(410)는 좌측면(412)과 우측면(413) 그리고 전면(411)을 포함하게 되고, 상기 전면(411)이 후벽(14)에 밀착되어 레일 바디가 후벽(14)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면(411)에 레일 홀(420)이 형성되며 상기 좌측면(412)과 우측면(413) 사이에 개구부(414)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개구부(414)는 냉장고의 후방을 향하여 개구되어 있다. 따라서, 서포터(380)와 스토퍼(36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레일 바디의 개구부(414)를 통해 레일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즉, 후방에서 전방으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무빙 바스켓(300)은 상기 레일(400)에 대해서 무빙 바스켓(300)을 지지하고 이동시키도록 구비되는 서포트 어셈블리(3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포트 어셈블리(340)는 무빙 바스켓(300)의 좌우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서포트 어셈블리(340)는 서포트(38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포트는 상기 브릿지(330)에서 상기 레일(400)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포트(380)는 상기 무빙 바스켓을 상기 레일(400)에 대해서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무빙 바스켓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하여 서포트(380)는 상하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상하 두 개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무빙 바스켓(300) 전체에서 좌측 상하로 서포트에 의한 두 개의 지지점 그리고 우측 상하로 서포트에 의한 두 개의 지지점이 형성된다. 따라서, 4 개의 지지점을 통해서 무빙 바스켓(300)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이러한 상하 지지점을 통해서 특히 수직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물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스토퍼(360)에 의해서도 무빙 바스켓이 지지되기 때문에, 무빙 바스켓(300)은 좌측 상하 3 개의 지지점 그리고 우측 상하 3 개의 지지점을 가질 수 있게 된다.
상기 서포트 어셈블리(34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변위가 가변되도록 구비되는 레버(35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무빙 바스켓(300)의 상하 이동을 위하여 상기 레버(350)를 가압하여 상기 레버(350)가 변위를 갖도록 조작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상기 레버(350)를 가압한 상태에서 상기 무빙 바스켓(300)을 위로 올리거나 아래로 내릴 수 있게 된다.
상기 서포트 어셈블리(340)는 스토퍼(37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는 상기 레버(350)의 조작에 의해서 선택적으로 상기 레일(400)에 걸리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스토퍼(370)가 상기 레일(400)에 걸린 상태는 무빙 바스켓(300)이 고정된 상태이고, 상기 스토퍼(370)가 상기 레일(400)에 걸리지 않은 상태는 무빙 바스켓(300)의 상하로 이동 가능한 상태라 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레일(400)에는 복수 개의 레일 홀(420)이 구비되며, 상기 스토퍼(370)는 상기 레일 홀(420)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레일 홀(420)에 스토퍼(370)가 삽입되면 스토퍼(370)가 레일(400)에 걸려 무빙 바스켓(300)의 위치가 고정된다. 그리고 레일 홀(420)에서 스토퍼(370)가 이탈되면 무빙 바스켓(300)이 상하 이동 가능하게 된다.
상기 스토퍼(370)도 레버(350)와 마찬가지로 변위를 갖는다. 이러한 스토퍼(370)의 변위는 레버(350)의 변위에 의해서 발생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레버(350)를 조작하여 레버(350)의 변위가 발생되면, 레버(350)의 변위는 스토퍼(370)의 변위로 전환된다.
일례로, 사용자가 레버(350)를 가압하여 레버(350)가 반시계방향 회전 변위를 갖는 경우, 상기 레버(350)의 변위는 스토퍼(360)의 시계방향 회전 변위로 전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레버(350)의 조작에 의해서 상기 스토퍼(360)가 선택적으로 레일(400)에 걸릴 수 있게 된다.
한편, 서브저장실(121)은 상기 무빙 바스켓(300)이나 미도시된 바스켓들을 통해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무빙 바스켓(300)의 상부 및/또는 하부에도 바스켓들이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바스켓들은 상하 위치가 항상 고정되는 고정 바스켓일 수 있다.
그러나 서브저장실(121) 자체를 어느 정도 저장실(11)과 격리시키기 위하여 홈바 케이스(130)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홈바 케이스(130)는 상기 무빙 바스켓(300)을 적어도 일부 수용한 상태에서 메인도어(100)의 배면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전술한 결합부(132) 및 결합홈(13)뿐만 아니라 홈바 케이스(130)에 구비되는 결합홀(133)을 통해서도 홈바 케이스가 메인도어에 결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홈바 케이스(130)의 좌우에는 고정 바스켓들이 장착될 수 있는 바스켓 장착부(13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스켓 장착부(132)는 장착되는 바스켓 수에따라 상하로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서포트 어셈블리(340)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레버(350)는 가압부(352)와 회전 중심축(353)을 포함한다. 사용자가 상기 가압부(352)를 누르거나 당기는 경우 상기 레버(350) 전체가 상기 회전 중심축(353)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가압부(352) 측면에서만 보면 사용자가 상기 가압부를 조작하는 경우 상기 가압부(352)의 상하 선형 변위가 발생된다고 할 수 있다. 왜냐하면, 상기 가압부(352)의 조작에 의한 상기 레버(350)의 회전 허용 각도는 상대적으로 매우 작기 때문이다.
상기 레버(350)를 회전 가능하게 고정시키기 위해서, 상기 회전 중심축(353)과 동축을 갖는 체결 보스(373)가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레버(350)의 회전 중심축(353)이 상기 체결 보스(373)에 삽입되어 결합되면, 상기 레버(350)는 회전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가압부(352)는 사용자의 조작 편리를 위해서 식품출입구(120)의 반경 방향 내측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레버의 회전 중심축(353)은 후벽(14)의 후방에 위치되어 가시적으로 노출되지 않음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레버(350)는 상기 회전 중심축(353)과 상기 가압부(352)를 연결하는 연장부(351)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장부(351)는 상기 회전 중심축(353)에서 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즉, 상기 연장부(351)는 상기 후벽(14) 후방에서 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연장부(351)도 가시적으로 노출되지 않게 된다.
상기 연장부(351)의 말단에서 상기 가압부(352)는 식품출입구(120)의 반경 방향 내측으로 수평 연장될 수 있다. 무빙 바스켓(300)의 왼쪽에 구비되는 가압부는 오른쪽으로 연장되고, 무빙 바스켓(300)의 오른쪽에 구비되는 가압부는 왼쪽으로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식품출입구(120)를 통해서 상기 가압부(352)에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버(350)는 변위 전달부(354)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가압부(352)에서 발생된 변위를 스토퍼(360)로 전달하기 위한 변위 전달부(354)를 포함할 수 있다.
스토퍼(360)는 회전 중심축(363)을 기준으로 일측에 형성된 단턱부(361) 그리고 타측에 형성된 변위 수용부(36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변위 수용부(362)는 상기 레버(350)의 변위 전달부(354)와 맞닿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360)를 회전 가능하게 고정시키기 위해서, 상기 스토퍼(360)의 회전 중심축(363)과 동축을 갖는 체결 보스(374)가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토퍼(360)의 회전 중심축(363)이 상기 체결 보스(343)에 삽입되어 결합되면, 상기 스토퍼(360)는 회전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단턱부(361)는 상기 레일(400)의 레일 홀(420)에 걸리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단턱부의 수직면(361a)은 레일 홀(420)에 대한 삽입 길이를 제한하고 수평면(361b)은 상기 레일 홀(420)에 걸리게 된다. 따라서, 상기 단턱부가 상기 레일 홀(420)에 걸리게 되면 하방으로 이동이 제한된다. 이는 무빙 바스켓(300)의 위치가 고정됨을 의미하게 된다. 왜냐하면, 상기 무빙 바스켓(300)은 기본적으로 수직 하중이 가해지는 구성이며, 상기 레일 홀(420)에 상기 단턱부(361)가 걸리면서 하방 이동이 제한되기 때문이다.
상기 스토퍼(360)의 회전 중심축(363)과 상기 레버(350)의 회전 중심축(353)은 편심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레버(35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상기 스토퍼(360)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스토퍼(360)와 레버(350)를 회전 가능하게 고정시키기 위해서 브라켓(370)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브라켓(370)은 브릿지(330)와 바스켓(320)을 연결하기 위해서도 구비됨이 더욱 바람직하다. 즉, 상기 브라켓(370)이 상기 바스켓(320)과 결합되고 상기 브릿지가 상기 브라켓(370)과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토퍼의 회전 중심축(363)과 레버의 회전 중심축(535)의 회전 가능한 고정을 위해 구비되는 체결 보스(373, 374)는 상기 브라켓(370)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스토퍼(360)와 레버(350)는 상기 브라켓(370)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체결 보스(373, 374) 등을 직접 바스켓(320)에 형성하는 것은 구조적인 복잡성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바스켓(320)과 별도로 구비되어 상기 바스켓(320)에 고정되는 브라켓(370)을 구비하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상기 브라켓(320)에 상기 체결 보스 등을 일체로 형성하는 것은 상대적으로 매우 용이하기 때문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레버(35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서 변위를 갖는다. 상기 레버(350)는 허용된 최대 변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최대 변위를 초과하는 변위를 갖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 상기 레버(350)의 변위를 제한하는 레버 스토퍼(37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레버(350)가 최대 변위에서 상기 레버 스토퍼(376)에 맞닿게 된다. 따라서, 더 이상의 변위가 발생되지 않게 된다.
상기 레버 스토퍼(376)도 마찬가지로 상기 브라켓(370)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후술하겠지만, 실시예에 따라 상기 레버 스토퍼(376)는 스토퍼(360)의 최대 변위를 제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버 스토퍼(376) 이외에 다른 구성, 예를 들어서 무빙 프레임(310)이나 바스켓(320)도 실시예에 따라 레버(350)나 스토퍼(360)의 최대 변위를 제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브라켓(370)은 지속적으로 상기 무빙 바스켓(300)의 하중을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구조적으로 상기 브라켓(370)이 상기 무빙 바스켓(300)의 하중을 견고히 지지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 상기 바스켓(320)에는 브라켓 수용부(32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 수용부(321)에 상기 브라켓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어 상기 브라켓 수용부에 상기 브라켓이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양자의 결합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브라켓 수용부(321)는 상기 브라켓(370)을 상부에서 덮는 브라켓 커버(3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라켓 커버(322)를 통해서 상기 브라켓 내부에 구비되는 구성들이 보호될 수 있고, 이들의 가시적인 노출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라켓 수용부는 상기 바스켓(32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플라스틱 사출에 의해서 양자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스켓(320)의 하중은 상기 브라켓 커버(322)에 의해서 브라켓(370)으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370)은 상기 서포터(380)와 스포터(360)에 의해서 레일(400)에 견고히 고정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상기 무빙 바스켓(300)이 상기 레일(400)에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 즉, 바스켓(320)에 상대적으로 무거운 식품이 저장되는 경우에도 상기 무빙 바스켓(300)이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 물론, 필요한 경우에 상기 무빙 바스켓(300)의 상하 위치 변경은 용이하게 된다.
한편, 상기 브라켓(370)에는 브릿지 결합부(37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브릿지 결합부(375)도 마찬가지로 체결 보스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브릿지 결합부(375)에 대응되어 상기 브릿지(330)에는 체결홀(331)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브릿지 결합부(375)와 체결홀(331)을 통해 상기 브릿지(330)가 상기 브라켓(370)에 견고히 결합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브라켓(370)이 바스켓(320)에 견고히 고정되기 때문에, 무빙 프레임(310), 브릿지(330), 브라켓(370) 그리고 바스켓(320) 등 무빙 바스켓(300) 전체가 서로 견고히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브릿지(370)는 수직 하방으로 연장된 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좌우 폭이 좁고 전후 폭이 긴 형태의 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브릿지(370)는 상기 브라켓(370)에 상기 레버(350), 스토퍼(360) 그리고 서포트(380)가 결합된 후에 상기 브라켓(37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370)은 상기 레버(350), 스토퍼(360) 그리고 서포트(380) 등과 같은 구성들을 적어도 일부 수용한다. 그리고 상기 브릿지(370)가 상기 브라켓(370)에 결합되면서 이들 구성을 덮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측방에서 이들 구성을 덮게 된다. 따라서, 상기 브릿지는 브라켓의 측부 커버 기능을 수행한다고 할 수 있다.
상기 레버(350)나 스토퍼(360) 등과 같은 구성은 상기 브라켓 내부에서 변위를 갖는 구성이다. 따라서, 상기 브릿지(370)에 의해서 상기 구성들이 외부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즉, 이물질이 상기 브라켓 내부로 침투되어 고착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그러므로 장시간 사용되더라도 필요 시 용이하게 무빙 바스켓(300)을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서 레버(350)가 변위를 갖는다. 그리고 레버(350)의 동작과 연동되어 스토퍼(360)가 변위를 갖는다. 이러한 사용자의 조작은 무빙 바스켓(300)을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조작이 종료하면 상기 레버(350)와 스토퍼(360)는 초기 위치로 복귀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 상기 레버(350)와 서포터(360) 중 적어도 하나에는 스프링(364)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서포트(360)를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스프링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레버(350)만 초기위치로 복귀되는 경우 서포트(360)는 초기위치로 복귀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사용자는 상기 스프링(364)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상기 레버(350)를 조작하게 되고, 레버(350) 조작이 종료되면 상기 스프링(364)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레버(350) 및 서포터(360)가 초기 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여기서, 서포터(360)의 초기 위치는 상기 레일(400)에 걸리게 되는 위치이며, 상기 레버(350)의 초기 위치는 상기 레버의 변위가 발생되기 이전의 위치라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레버(350)를 조작한 상태에서 무빙 바스켓을 상하로 이동시켜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레버(350)는 무빙 바스켓(300)의 좌우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무빙 바스켓(300)의 상하 이동을 위해서 두 손으로 각각의 레버(350)를 조작해야 한다. 그러나, 특정 상황에서는 한 손만으로 레버(350)를 조작해야 할 경우가 있다. 한 손에는 물건을 들고 있어서 다른 한 손만으로 무빙 바스켓(300)을 이동시킬 상황이 발생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양쪽의 레버(350)를 서로 연동시키기 위한 레버 연결부(39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레버 연결부(390)는 좌우의 레버와 모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레버 연결부(390)의 조작은 좌우 레버를 동시에 조작하는 것과 같은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6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레버(360)의 위치나 형상 변화에 따른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에서는, 기본적으로 전술한 서포트 어셈블리(340) 및 무빙 바스켓(300)이 동일 또는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먼저,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빙 바스켓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전술한 사항과 중복되는 사항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무빙 바스켓(300)은 무빙 프레임(310), 바스켓(320) 그리고 브릿지(330)를 포함하므로, 무빙 프레임(310)과 바스켓(320) 사이에는 이격 공간(S)이 형성된다. 이러한 이격 공간(S)은 특히 무빙 바스켓(300)의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이격 공간(S)은 사용자의 손이 일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함과 동시에 무빙 바스켓(300) 내부를 볼 수 있는 공간이라고 할 수 있다.
상기 무빙 바스켓(300)의 상하 이동을 위하여 사용자는 레버(350)를 조작하게 되는데, 레버(350) 특히 가압부(352)의 위치 및 다른 구성과의 관계는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왜냐하면, 가압부(352)로 인한 디자인 훼손이나 식품 이동 시 간섭 문제가 발생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기본적으로 서포트 어셈블리(340)는 브릿지(330)에 의해서 덮히게 된다. 그러나 상기 서퍼트 어셈블리(340)의 레버(350) 중 일부, 즉 가압부(352)는 서브 저장실의 식품출입구(120)의 반경 방향 내측까지 연장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레버(350)는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무빙 프레임(310)에 수용되도록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특히, 전방 무빙 프레임(312)에 일부분이 수용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방 무빙 프레임(312)는 채널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부에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개구부를 통해서 레버(350)가 삽입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버(350)의 전단은 무빙 프레임(310)의 전단보다 후방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레버(350)의 전단은 바스켓(320)의 전단보다 후방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일점 쇄선은 전방 무빙 프레임(312)를 도시하고, 점선은 가압되기 전의 가압부(352)를 도시하고 있다.
따라서, 가압부(352)의 많은 부분이 상기 무빙 프레임(310)을 통해 가려지게 된다. 즉, 숨겨진 가압부(352)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물론, 레버 연결부(390)가 구비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숨겨진 레버 연결부(390)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를 통해서, 미려한 디자인 구성 및 가압부(352)와 레버 연결부(390)를 보호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이러한 가압부나 레버 연결부(390)를 제외하고는 무빙 바스켓(300) 전체를 다른 고정 바스켓과 동일한 외형을 갖도록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서브 저장실 내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바스켓들에 대한 디자인 통일성을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왜냐하면 상기 가압부나 레버 연결부(390)는 무빙 프레임(310)의 하부 그리고 후방에 위치되므로 노출이 최소화되기 때문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가압부(352)의 조작과 무빙 바스켓(300)의 지지를 동시에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P1 지점과 P2 지점을 동시에 잡을 수 있다. 즉, 가압부(352)를 조작함과 동시에 무빙 프레임(310)을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무빙 바스켓(300)의 하부 이동이나 상부 이동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왜냐하면, 무빙 바스켓(300)의 하중을 지지하는 무빙 프레임(310)을 통해서 하부 또는 상부로 이동을 원하는 방향으로 용이하게 힘을 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사용 형태는 이격 공간(S)에 의해 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왜냐하면, 사용자가 이격 공간(S)을 통해서 손을 삽입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무빙 바스켓(300)에 무거운 식품이 담겨 있는 상태라 하더라도 양손을 사용하여 쉽게 무빙 바스켓을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양손으로 상기 전방 무빙 프레임(312)을 쥘 수 있다. 이는 무빙 프레임(310)의 개구부(313)와 상기 이격 공간(S)을 통해서 가능하게 된다. 사용자는 전방 무빙 프레임(312)을 잡고 무빙 바스켓의 하중을 지지하면서 손가락을 통해서 상기 가압부를 누를 수 있다. 따라서, 보다 안정적으로 무빙 바스켓(300)의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빙 바스켓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전술한 사항과 중복되는 사항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무빙 바스켓(300)은 무빙 프레임(310), 바스켓(320) 그리고 브릿지(330)를 포함하므로, 무빙 프레임(310)과 바스켓(320) 사이에는 이격 공간(S)이 형성된다. 이러한 이격 공간(S)은 특히 무빙 바스켓(300)의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이격 공간(S)은 사용자의 손이 일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함과 동시에 무빙 바스켓(300) 내부를 볼 수 있는 공간이라고 할 수 있다.
상기 무빙 바스켓(300)의 상하 이동을 위하여 사용자는 레버(350)를 조작하게 되는데, 레버(350) 특히 가압부(352)의 위치 및 다른 구성과의 관계는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왜냐하면, 가압부(352)로 인한 디자인 훼손이나 식품 이동 시 간섭 문제가 발생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기본적으로 서포트 어셈블리(340)는 브릿지(330)에 의해서 덮히게 된다. 그러나 상기 서퍼트 어셈블리(340)의 레버(350) 중 일부, 즉 가압부(352)는 서브 저장실의 식품출입구(120)의 반경 방향 내측까지 연장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레버(350)는 바스켓(352)의 하부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버(350)의 전단은 바스켓(320)의 전단보다 후방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가압부(352)의 많은 부분이 상기 바스켓(320)을 통해 가려지게 된다. 즉, 숨겨진 가압부(352)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를 통해서, 미려한 디자인 구성 및 가압부(352)를 보호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이러한 가압부를 제외하고는 무빙 바스켓(300) 전체를 다른 고정 바스켓과 동일한 외형을 갖도록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서브 저장실 내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바스켓들에 대한 디자인 통일성을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왜냐하면 상기 가압부나 레버 연결부(390)는 무빙 프레임(310)의 하부 그리고 후방에 위치되므로 노출이 최소화되기 때문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가압부(352)의 조작과 무빙 바스켓(300)의 지지를 동시에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P1 지점과 P2 지점을 동시에 잡을 수 있다. 즉, 가압부(352)를 조작함과 동시에 바스켓(320)을 지지할 수 있다. 여기서, P1 지점은 바스켓(320)의 상부에 위치하며 P2 지점은 바스켓(320)의 하부에 위치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무빙 바스켓(300)의 전체 높이에 비해서 바스켓(320) 자체의 높이를 줄일 수 있다. 그리고 이격 공간(S)을 통해 사용자가 손을 이격 공간(S) 내부로 삽입할 수 있다. 이는 일반적인 성인의 손 크기를 고려하여 한 손으로 상기 P1 지점과 P2 지점을 동시에 잡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즉, 상기 바스켓(320)의 높이는 성인의 손 크기를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무빙 바스켓(300)의 하부 이동이나 상부 이동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왜냐하면, 바스켓(320) 자체를 통해서 하부 또는 상부로 이동을 원하는 방향으로 용이하게 힘을 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일례로 사용자는 엄지 손가락으로 P1 지점을 잡고 나머지 손가락으로 P2 지점을 잡을 수 있다. 물론, 그 반대의 사용 양태도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무빙 바스켓(300)에 무거운 식품이 담겨 있는 상태라 하더라도 양손을 사용하여 쉽게 무빙 바스켓을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사용자가 한 손으로 바스켓 상하부를 동시에 잡기 위해서는 바스켓 높이가 줄어들 수 밖에 없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무빙 프레임(310)을 바스켓 상부에 이격시켜 위치실 수 있다. 따라서, 무빙 바스켓 전체의 높이는 자주 사용되는 식품이나 용기를 고려하여 최적으로 결정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본 실시예는 전술한 실시예와는 레버(350)의 형상이나 위치가 다른 형태라 할 수 있다. 다만, 상기 레버(350)에 대응되는 스토퍼(360)의 형상은 다소 변형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레버(350)의 조작에 의한 스토퍼(360)의 변위 발생이라는 개념은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마찬가지로, 서포트(380), 무빙 프레임(310) 그리고 바스켓(320)은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빙 바스켓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전술한 사항과 중복되는 사항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무빙 바스켓(300)은 무빙 프레임(310), 바스켓(320) 그리고 브릿지(330)를 포함하므로, 무빙 프레임(310)과 바스켓(320) 사이에는 이격 공간(S)이 형성된다. 이러한 이격 공간(S)은 특히 무빙 바스켓(300)의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이격 공간(S)은 사용자의 손이 일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함과 동시에 무빙 바스켓(300) 내부를 볼 수 있는 공간이라고 할 수 있다.
상기 무빙 바스켓(300)의 상하 이동을 위하여 사용자는 레버(350)를 조작하게 되는데, 레버(350) 특히 가압부(352)의 위치 및 다른 구성과의 관계는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왜냐하면, 가압부(352)로 인한 디자인 훼손이나 식품 이동 시 간섭 문제가 발생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기본적으로 서포트 어셈블리(340)는 브릿지(330)에 의해서 덮히게 된다. 그러나 상기 서퍼트 어셈블리(340)의 레버(350) 중 일부, 즉 가압부(352)는 서브 저장실의 식품출입구(120)의 반경 방향 내측까지 연장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레버(350)를 무빙 프레임(310) 특히 전방 무빙 프레임(312)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레버(350) 자체가 전방 무빙 프레임(312)로 대체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레버(350)의 가압부(352)를 전방 무빙 프레임(312)으로 대체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전방 무빙 프레임(312)이 사용자의 가압에 의해서 이동 가능할 뿐, 평상 시에는 전방 무빙 프레임(312)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무빙 프레임(312) 자체가 가압부(352)를 구성하기 때문에 디자인을 고려하여 가압부(352)를 숨길 필요가 없다. 상기 전방 무빙 프레임(312) 자체를 후방 프레임(311)과 동일한 재질로 형성하게 되면, 그 자체로 무빙 프레임과 동일하게 디자인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전방 무빙 프레임(312)이 변위를 가질 수 있다는 점을 제외하면, 무빙 바스켓(300) 전체를 다른 고정 바스켓과 동일한 외형을 갖도록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서브 저장실 내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바스켓들에 대한 디자인 통일성을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가압부(352)의 조작과 무빙 바스켓(300)의 지지를 동시에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P1 지점과 P2 지점을 동시에 잡을 수 있다. 즉, 전방 무빙 프레임(312)의 상부에 위치되는 P1 지점을 한 손으로 누르고 다른 한손으로는 바스켓(320)의 하부에 위치되는 P2 지점을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무빙 바스켓(300)의 하부 이동이나 상부 이동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왜냐하면, 사용자는 무빙 바스켓(300) 전체에 대해서 상부와 하부를 동시에 잡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하부 또는 상부로 이동을 원하는 방향으로 용이하게 힘을 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사용 형태는 이격 공간(S)에 의해 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왜냐하면, 상기 이격 공간(S)으로 인해서 상기 전방 무빙 프레임(312)이 하방으로 이동될 수 있기 때문이다. 물론, 초기 위치에서 상기 이격 공간(S)이 최대 높이를 갖게 되고, 무빙 바스켓의 이동을 위해 전방 무빙 프레임(312)을 누를 때 상기 이격 공간(S)은 최소 높이를 갖게 될 것이다.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P1 지점과 P2 지점은 특정 지점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왜냐하면, 사용자마다 손의 크기는 다를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직관적으로 사용자는 무게 중심을 맞출 수 있는 최적의 P1 지점과 P2 지점을 대략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미려한 디자인을 갖는 바스켓 및 이를 포함하는 서브저장실을 구현할 수 있다. 아울러, 사용자가 용이하게 무빙 바스켓을 조작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각각의 실시예들에서의 특징들은 다른 실시예에서 모순되거나 배타적이지 않는 한 다른 실시예에서도 복합적으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300 : 무빙 바스켓 310 : 무빙 프레임
320 : 바스켓 330 : 브릿지
340 : 서포트 어셈블리 350 : 레버
360 : 스토퍼 370 : 브라켓
380 : 서포터 400 : 레일

Claims (21)

  1. 저장실이 구비되는 캐비닛;
    상기 저장실의 식품출입구를 개폐하며, 후방에 서브 저장실이 구비되는 메인 도어;
    상기 서브 저장실의 식품출입구를 개폐하는 서브 도어;
    상기 서브 저장실에 구비되는 바스켓, 상기 바스켓의 상부에 이격되도록 위치되어 상기 바스켓으로 식품을 투입하는 개구부를 갖는 무빙 프레임 그리고 상기 바스켓과 무빙 프레임을 연결하는 브릿지를 포함하는 무빙 바스켓;
    상기 서브 저장실에 구비되며, 상기 무빙 바스켓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레일;
    상기 브릿지에서 상기 레일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무빙 바스켓을 상기 레일에 대하여 지지하는 서포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무빙 프레임에 수용된 상태에서 변위가 가변되도록 구비되는 레버; 그리고
    상기 레버의 조작에 의해 상기 레일에 선택적으로 걸리도록 구비되어, 상기 레일에 대한 상기 무빙 바스켓의 상하 위치를 고정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냉장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는 상방 변위 발생 시 상기 무빙 프레임에 수용되는 길이가 증가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의 전단은 상기 무빙 프레임의 전단보다 후방에 위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은, 상기 서브 저장실의 식품출입구의 후방 양쪽에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은, 상기 서브 저장실의 식품출입구를 통해 상기 레일이 가시적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서브 저장실의 식품출입구보다 반경 방향 외측에 위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는 상기 브릿지에서 상기 식품출입구의 반경 방향 내측까지 연장되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의 회전 중심을 형성하는 레버 회전축과 상기 스토퍼의 회전 중심을 형성하는 스토퍼 회전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 및/또는 상기 스토퍼에는 스프링이 구비되며, 상기 사용자에 의한 상기 레버의 조작이 종료되면 상기 스프링에 의해서 상기 레버와 스토퍼는 원위치로 복귀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스켓과 상기 무빙 프레임 사이에는, 상기 브릿지를 제외하고 이격 공간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무빙 프레임은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브릿지는 상기 무빙 프레임의 양쪽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무빙 프레임은 상기 브릿지의 전방에 위치되는 전방 프레임과 상기 브릿지의 후방에 위치되는 후방 프레임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릿지와 상기 무빙 프레임을 연결하기 위한 브라켓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터는 상기 브라켓을 통해서 상기 무빙 프레임에 고정되며, 상기 레버와 스토퍼는 상기 브라켓을 통해서 상기 무빙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터, 레버 그리고 스토퍼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브라켓에 수용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브릿지는 상기 브라켓에 결합되어 상기 브라켓에 수용된 서포터, 레버 그리고 스토퍼를 덮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5. 저장실이 구비되는 캐비닛;
    상기 저장실의 식품출입구를 개폐하며, 후방에 서브 저장실이 구비되는 메인 도어;
    상기 서브 저장실의 식품출입구를 개폐하는 서브 도어;
    상기 서브 저장실에 구비되는 바스켓, 상기 바스켓의 상부에 이격되도록 위치되어 상기 바스켓으로 식품을 투입하는 개구부를 갖는 무빙 프레임 그리고 상기 바스켓과 무빙 프레임을 연결하는 브릿지를 포함하는 무빙 바스켓;
    상기 서브 저장실에 구비되며, 상기 무빙 바스켓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레일;
    상기 브릿지에서 상기 레일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무빙 바스켓을 상기 레일에 대하여 지지하는 서포터;
    상기 바스켓의 하부 그리고 상기 바스켓의 전단부 후방에 위치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변위가 가변되도록 구비되는 레버; 그리고
    상기 레버의 조작에 의해 상기 레일에 선택적으로 걸리도록 구비되어, 상기 레일에 대한 상기 무빙 바스켓의 상하 위치를 고정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냉장고.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바스켓의 전단부와 상기 무빙 프레임 사이에는 이격 공간이 형성되며, 사용자가 한 손으로 동시에 상기 바스켓과 레버를 잡고 상기 레버를 조작할 수 있도록, 상기 바스켓 전단부의 상단과 상기 레버 사이의 높이가 결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터, 레버 그리고 스토퍼는 상기 무빙 바스켓의 양쪽에 각각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8. 저장실이 구비되는 캐비닛;
    상기 저장실의 식품출입구를 개폐하며, 후방에 서브 저장실이 구비되는 메인 도어;
    상기 서브 저장실의 식품출입구를 개폐하는 서브 도어;
    상기 서브 저장실에 구비되는 바스켓, 상기 바스켓의 상부에 이격되도록 위치되어 상기 바스켓으로 식품을 투입하는 개구부를 갖는 무빙 프레임 그리고 상기 바스켓과 무빙 프레임을 연결하는 브릿지를 포함하는 무빙 바스켓;
    상기 서브 저장실에 구비되며, 상기 무빙 바스켓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레일;
    상기 브릿지에서 상기 레일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무빙 바스켓을 상기 레일에 대하여 지지하는 서포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변위가 가변되도록 구비되는 레버; 그리고
    상기 레버의 조작에 의해 상기 레일에 선택적으로 걸리도록 구비되어, 상기 레일에 대한 상기 무빙 바스켓의 상하 위치를 고정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며,
    상기 무빙 프레임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레버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무빙 프레임은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브릿지는 상기 무빙 프레임의 양쪽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무빙 프레임은 상기 브릿지의 전방에 위치되는 전방 프레임과 상기 브릿지의 후방에 위치되는 후방 프레임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프레임은 상기 브릿지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전방 프레임이 상기 레버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1020160041769A 2016-04-05 2016-04-05 냉장고 KR20170114580A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1769A KR20170114580A (ko) 2016-04-05 2016-04-05 냉장고
EP20157118.9A EP3702706B1 (en) 2016-04-05 2017-04-05 Refrigerator
CN201710217533.9A CN107270614B (zh) 2016-04-05 2017-04-05 冰箱
EP20157114.8A EP3686530B1 (en) 2016-04-05 2017-04-05 Refrigerator
EP17164926.2A EP3228968B1 (en) 2016-04-05 2017-04-05 Refrigerator
US15/479,937 US10352612B2 (en) 2016-04-05 2017-04-05 Refrigerator
US16/511,424 US10900707B2 (en) 2016-04-05 2019-07-15 Refrigerator
US16/512,942 US10914508B2 (en) 2016-04-05 2019-07-16 Refrig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1769A KR20170114580A (ko) 2016-04-05 2016-04-05 냉장고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8308A Division KR101846174B1 (ko) 2018-02-14 2018-02-14 냉장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4580A true KR20170114580A (ko) 2017-10-16

Family

ID=584895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1769A KR20170114580A (ko) 2016-04-05 2016-04-05 냉장고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3) US10352612B2 (ko)
EP (3) EP3702706B1 (ko)
KR (1) KR20170114580A (ko)
CN (1) CN107270614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7087A (ko) 2018-01-16 2019-07-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WO2023179641A1 (zh) * 2022-03-22 2023-09-28 青岛海尔电冰箱有限公司 冰箱
WO2023179640A1 (zh) * 2022-03-22 2023-09-28 青岛海尔电冰箱有限公司 冰箱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78845A (zh) * 2018-03-27 2018-07-13 泰州乐金电子冷机有限公司 可调节空间的冰箱门中门
WO2020143389A1 (zh) * 2019-01-12 2020-07-16 中山市海乐电器有限公司 一种冷藏柜滑动调节层架支撑架
KR20210027913A (ko) * 2019-09-03 2021-03-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CN114183969A (zh) * 2020-09-15 2022-03-15 青岛海尔电冰箱有限公司 在门体上设置密封抽屉的冰箱
US11215391B1 (en) * 2020-12-01 2022-01-04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Staged access door for a home appliance
US11668513B2 (en) 2020-12-01 2023-06-06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Staged access door for a home appliance
CN114017979B (zh) * 2021-11-17 2023-05-26 青岛海尔电冰箱有限公司 门体和冰箱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5318Y1 (ko) 1998-03-30 2002-06-24 윤종용 냉장고의도어가드
US8562089B2 (en) * 2005-01-12 2013-10-22 Whirlpool Corporation Refrigerator shelf retainer and divider assembly for tall packages
DE102005021538A1 (de) * 2005-05-10 2006-11-16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Trägeranordnung und damit ausgestattetes Kältegerät
KR20070013137A (ko) * 2005-07-25 2007-01-30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100814691B1 (ko) * 2007-11-07 2008-03-18 주식회사 대창 도어 선반 높이 연장 커버를 구비한 냉장고
KR20100118435A (ko) * 2009-04-28 2010-11-05 삼성전자주식회사 도어가드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냉장고
KR20110089792A (ko) * 2010-02-01 2011-08-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도어 바스켓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101310239B1 (ko) 2010-04-26 2013-09-23 주식회사 엘지화학 포스핀 그룹을 가지는 포스트 메탈로센형 전이금속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올레핀 중합체의 제조방법
EP2410270B1 (en) * 2010-07-20 2022-09-07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WO2012106316A2 (en) * 2011-01-31 2012-08-09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Tilt-out bin and removable crisper
EP2489967B1 (en) * 2011-02-18 2019-08-28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Refrigerating appliance
EP2498031A1 (en) 2011-03-08 2012-09-12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Refrigerating appliance
US8960825B2 (en) * 2011-10-04 2015-02-24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KR101858065B1 (ko) 2011-10-04 2018-05-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1869556B1 (ko) 2011-11-15 2018-06-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US9429355B2 (en) * 2011-11-15 2016-08-30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JP2013108638A (ja) * 2011-11-17 2013-06-06 Sharp Corp 冷蔵庫
CN102494484B (zh) * 2011-12-06 2013-10-02 合肥美的电冰箱有限公司 一种冰箱门体和具有该冰箱门体的冰箱
KR20140124119A (ko) * 2013-04-16 2014-10-24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냉장고 도어
CN104215025B (zh) * 2013-06-04 2016-12-28 苏州三星电子有限公司 一种冰箱门体用活动储物盒
US9103581B2 (en) * 2013-06-18 2015-08-11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Continuously adjustable door bin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7087A (ko) 2018-01-16 2019-07-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WO2023179641A1 (zh) * 2022-03-22 2023-09-28 青岛海尔电冰箱有限公司 冰箱
WO2023179640A1 (zh) * 2022-03-22 2023-09-28 青岛海尔电冰箱有限公司 冰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702706B1 (en) 2021-08-04
EP3228968B1 (en) 2020-03-18
CN107270614B (zh) 2021-06-01
US10914508B2 (en) 2021-02-09
EP3686530B1 (en) 2021-07-28
EP3228968A1 (en) 2017-10-11
US10900707B2 (en) 2021-01-26
US10352612B2 (en) 2019-07-16
US20190339000A1 (en) 2019-11-07
US20190339001A1 (en) 2019-11-07
US20170284729A1 (en) 2017-10-05
EP3686530A1 (en) 2020-07-29
EP3702706A1 (en) 2020-09-02
CN107270614A (zh) 2017-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114580A (ko) 냉장고
EP2837902B1 (en) Refrigerator
US8002367B2 (en) Food refrigerator
EP2594874B1 (en) Refrigerator
KR102186243B1 (ko) 냉장고
KR102043198B1 (ko) 냉장고
EP2314965B1 (en) Refrigerator with split type shelves
EP2175218B1 (en) Refrigerator
EP3152502B1 (en) Refrigerator
EP2401569B1 (en) Basket kick-out
KR101846174B1 (ko) 냉장고
KR101446346B1 (ko) 냉장고용 도어 바스켓
KR20140116620A (ko) 냉장고
KR101055736B1 (ko) 김치냉장고
KR101455863B1 (ko) 냉장고 및 냉장고용 홈바
KR20070106090A (ko) 냉장고 도어 바스켓 장착구조
KR102111717B1 (ko) 냉장고
KR20110117333A (ko) 냉장고
KR102093461B1 (ko) 냉장고
KR20080012688A (ko) 냉장고의 야채실도어 고정구조
KR20170071039A (ko) 냉장고
KR20200127792A (ko) 냉장고
KR200463488Y1 (ko) 냉장고
KR20180028776A (ko) 냉장고
KR20100102275A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1000668;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80214

Effective date: 201904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