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1234A - System for manufacturing an electrode assembly - Google Patents

System for manufacturing an electrode assembl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1234A
KR20170111234A KR1020160036235A KR20160036235A KR20170111234A KR 20170111234 A KR20170111234 A KR 20170111234A KR 1020160036235 A KR1020160036235 A KR 1020160036235A KR 20160036235 A KR20160036235 A KR 20160036235A KR 20170111234 A KR20170111234 A KR 201701112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basic unit
unit
electrode assembly
unit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623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87751B1 (en
Inventor
표정관
성기은
박병훈
이수하
한준식
최진주
한송화
정태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600362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7751B1/en
Publication of KR201701112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123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77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775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04Machines for assembling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13Large-sized flat cells or batteries for motive or stationary systems with plate-like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36Small-sized flat cells or batteries for portable equip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01M10/0585Construction or manufacture of accumulators having only flat construction elements, i.e. flat positive electrodes, flat negative electrodes and flat separa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02E60/12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 Y02P70/54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극 조립체 제작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전극 조립체의 정렬도를 향상시켜 우수한 품질의 전극 조립체를 효과적으로 제작할 수 있는 전극 조립체 제작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극 조립체 제작 시스템은 복수 개의 전극 및 분리막을 교대로 적층하여 기본 단위체를 제작하는 기본 단위체 제작 장치, 기본 단위체 제작 장치에서 제작된 기본 단위체를 이송하는 이송 장치, 이송 장치로부터 전달 받은 기본 단위체를 가속하여 배출시키는 가속 배출 장치, 및 가속 배출 장치로부터 전달받은 기본 단위체를 수용하며, 기본 단위체가 적층 및 정렬되도록 기본 단위체를 가이드 하는 프레임 장치를 포함한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de assembly manufacturing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lectrode assembly manufacturing system that can improve the degree of alignment of an electrode assembly and effectively manufacture a high-quality electrode assembly.
The electrode assembly manufactu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basic unit manufacturing apparatus for producing a basic unit by alternately laminating a plurality of electrodes and a separator, a transfer device for transferring the basic unit manufactured by the basic unit manufacturing apparatus, An accelerator discharge device for accelerating and discharging the unit body, and a frame device for receiving the basic unit body received from the accelerating device and guiding the basic unit body so that the basic unit body is stacked and aligned.

Description

전극 조립체 제작 시스템{SYSTEM FOR MANUFACTURING AN ELECTRODE ASSEMBLY}SYSTEM FOR MANUFACTURING AN ELECTRODE ASSEMBLY [0001]

본 발명은 전극 조립체 제작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전극 조립체의 정렬도를 향상시켜 우수한 품질의 전극 조립체를 효과적으로 제작할 수 있는 전극 조립체 제작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de assembly manufacturing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lectrode assembly manufacturing system that can improve the degree of alignment of an electrode assembly and effectively manufacture an electrode assembly of excellent quality.

이차 전지는 일차 전지와는 달리 재충전이 가능하고, 또 소형 및 대용량화 가능성으로 인해 근래에 많이 연구 개발되고 있다. 모바일 기기에 대한 기술 개발과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에너지원으로서의 이차 전지의 수요가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Unlike primary batteries, rechargeable secondary batteries can be recharged, and they are being researched and developed recently due to their small size and high capacity. As technology development and demand for mobile devices increase, the demand for secondary batteries as energy sources is rapidly increasing.

이차 전지는 전지 케이스에 전극 조립체가 내장되어 구성될 수 있다. 전지 케이스의 내부에 장착되는 전극 조립체는 양극/분리막/음극의 적층 구조로 이루어진 충방전이 가능한 발전소자이다. The secondary battery may be configured such that an electrode assembly is embedded in the battery case. The electrode assembly mounted inside the battery case is a charge / dischargeable power generating device formed of a stacked structure of a positive electrode / separator / negative electrode.

도 1은 전극 조립체의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는 제작이 완료된 전극 조립체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n electrode assembly.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lectrode assembly that has been manufactured.

도 1을 참조하면, 전극 조립체(1)는 기본 단위체(10)가 적층되어 형성된 단위체 스택부(30)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고, 추가로 단위체 스택부(30) 상에 추가로 적층되는 보조 단위체(2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도 1에서는 단위체 스택부(30) 위에 보조 단위체(20)가 적층되어 형성되는 전극 조립체(1)가 도시되고 있다. Referring to FIG. 1, the electrode assembly 1 may include a unit stack 30 formed by stacking the basic unit 10, and may further include an auxiliary stack 30 on the unit stack 30, And may further include the unit body 20. 1, an electrode assembly 1 is shown in which auxiliary unit bodies 20 are laminated on a unit body stack 30.

기본 단위체(10)는 전극과 분리막(15)이 교대로 배치되어 일체로 결합된 결합체일 수 있다. 도 1에서 도시되는 기본 단위체(10)는 양극(11), 분리막(15), 음극(13), 분리막(15)이 위에서 아래로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형성되어 있다. 물론 기본 단위체(10)의 구성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양극(11), 분리막(15), 음극(13)의 다양한 조합이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기본 단위체(10)가 복수 개 적층되면 단위체 스택부(30)가 될 수 있다. The basic unit 10 may be an assembly in which electrodes and a separation membrane 15 are alternately arranged and integrally joined. The basic unit 10 shown in FIG. 1 is formed by sequentially arranging an anode 11, a separation membrane 15, a cathode 13, and a separation membrane 15 in sequence from top to bottom. Of course, the configuration of the basic unit 10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combinations of the anode 11, the separation membrane 15, and the cathode 13 may be possible. When a plurality of the basic unit bodies 10 are stacked, the unit body stack unit 30 can be formed.

보조 단위체(20)는 단위체 스택부(30)에 추가로 적층될 수 있는 단위체로, 전극과 분리막(15)이 교대로 배치되어 결합된 형태일 수 있다. 도 1에서 도시되는 보조 단위체(20)는 분리막(15), 음극(13), 분리막(15)이 위에서 아래로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형성되어 있다. 보조 단위체(20) 역시 필요에 따라 분리막(15), 음극(13), 분리막(15)의 순서 이외에 다른 구성을 가질 수 도 있다. The auxiliary unit 20 is a unit body that can be further stacked on the unit stack 30. The electrode unit and the separator 15 may be alternately arranged. The auxiliary unit 20 shown in FIG. 1 is formed by sequentially arranging a separation membrane 15, a cathode 13, and a separation membrane 15 from top to bottom. The auxiliary unit 20 may also have other configurations than the separation membrane 15, the cathode 13, and the separation membrane 15, if necessary.

전극 조립체(1)는 기본 단위체(10)가 적층되어 형성되는 단위체 스택부(30)만을 포함하는 개념일 수도 있고, 단위체 스택부(30)와 단위체 스택부(30)에 추가로 적층되는 보조 단위체(20)를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그리고 전극 조립체(1)는 측부에 부착되는 테이프(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테이프(40)는 전극 조립체(1)의 각 구성들이 서로 떨어 지지 않도록 잡아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The electrode assembly 1 may be a concept that includes only the unit stack 30 formed by stacking the basic unit 10 or may include the unit stack 30 and the auxiliary unit 30 stacked on the unit stack 30. [ Lt; RTI ID = 0.0 > 20 < / RTI > The electrode assembly 1 may further include a tape 40 attached to the side portion. The tape 40 may serve to hold the components of the electrode assembly 1 so that they are not separated from each other.

테이프(40)는 기본 단위체(10) 서로 간에 또는 기본 단위체(10)와 보조 단위체(20) 간에 서로 떨어지지 않도록 잡아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 보조 단위체(20)와 단위체 스택부(30)가 서로 떨어지지 않도록 잡아주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 The tape 40 can serve to hold the base unit 10 between each other or between the base unit 10 and the auxiliary unit 20. [ The auxiliary unit body 20 and the unit body stack unit 30 may be held so as not to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도 2에서는 테이프(40)가 견고하게 부착되어 전극 조립체(1)가 제작 완료된 모습이 도시되고 있다. 도 2에서는 전극 조립체(1)의 일측으로 전극판에 부착된 전극 탭(50)에 돌출되어 나와 있는 모습이 도시되고 있다.2 shows a state in which the tape 40 is firmly attached and the electrode assembly 1 is completed. 2, the electrode assembly 50 is protruded from one side of the electrode assembly 1 to an electrode tab 50 attached to the electrode plate.

이러한 구조의 전극 조립체를 제조함에 있어서 적층되는 기본 단위체의 정렬도(alignment)는 중요한 문제일 수 있다. 정렬도가 우수한 경우 우수한 품질의 전극 조립체 및 이차 전지가 생산될 수 있는 반면에, 정렬도가 좋지 않은 경우 불량 전극 조립체 및 이차 전지가 생산될 수 있다. 이는 사용자의 안전과도 직결되는 문제이므로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Alignment of the basic unit laminated in manufacturing an electrode assembly having such a structure may be an important problem. When the degree of alignment is good, a high quality electrode assembly and a secondary battery can be produced, while if the degree of alignment is poor, a defective electrode assembly and a secondary battery can be produced. This is a very important issue because it is directly related to the safety of the user.

따라서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과제는 전극 조립체의 정렬도를 향상시켜 우수한 품질의 전극 조립체를 효과적으로 제작할 수 있는 전극 조립체 제작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lectrode assembly manufacturing system which can improve the degree of alignment of an electrode assembly and effectively manufacture an electrode assembly of excellent quality.

본 발명에 따른 전극 조립체 제작 시스템은 복수 개의 전극 및 분리막을 교대로 적층하여 기본 단위체를 제작하는 기본 단위체 제작 장치, 기본 단위체 제작 장치에서 제작된 기본 단위체를 이송하는 이송 장치, 이송 장치로부터 전달 받은 기본 단위체를 가속하여 배출시키는 가속 배출 장치, 및 가속 배출 장치로부터 전달받은 기본 단위체를 수용하며, 기본 단위체가 적층 및 정렬되도록 기본 단위체를 가이드 하는 프레임 장치를 포함한다.The electrode assembly manufactu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basic unit manufacturing apparatus for producing a basic unit by alternately laminating a plurality of electrodes and a separator, a transfer device for transferring the basic unit manufactured by the basic unit manufacturing apparatus, An accelerator discharge device for accelerating and discharging the unit body, and a frame device for receiving the basic unit body received from the accelerating device and guiding the basic unit body so that the basic unit body is stacked and aligned.

본 발명에 따른 전극 조립체 제작 시스템은 기본 단위체 제작 장치, 이송 장치, 이송 장치로부터 전달 받은 기본 단위체를 가속하여 배출시키는 가속 배출 장치, 및 가속 배출 장치로부터 전달받은 기본 단위체를 수용하며, 기본 단위체가 적층 및 정렬되도록 기본 단위체를 가이드 프레임 장치를 포함함으로써, 전극 조립체의 정렬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그에 따라 우수한 품질의 전극 조립체를 효과적으로 제작할 수 있다.The electrode assembly manufactu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basic unit manufacturing device, a transfer device, an accelerator discharge device for accelerating and discharging the basic unit transferred from the transfer device, and a basic unit body received from the accelerator discharge device, By including the guide frame device in which the basic unit body is arranged so as to be aligned with the electrode assembly, the degree of alignment of the electrode assembly can be improved, and thus an electrode assembly of excellent quality can be manufactured effectively.

도 1은 전극 조립체의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는 제작이 완료된 전극 조립체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조립체 제작 시스템의 기본 단위체 제작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조립체 제작 시스템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n electrode assembly.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lectrode assembly that has been manufactured.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asic unit manufacturing apparatus of an assembly manufacturing system according to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ssembly manufacturing system according to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하의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by the following examples.

실시예Example 1 One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조립체 제작 시스템의 기본 단위체 제작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조립체 제작 시스템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asic unit manufacturing apparatus of an assembly manufacturing system according to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ssembly manufacturing system according to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전극 조립체 제작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an electrode assembly manufacturing syste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FIG.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전극 조립체 제작 시스템(100)은 기본 단위체 제작 장치(110), 이송 장치(130), 가속 배출 장치(150), 프레임 장치(170)를 포함한다. An electrode assembly manufacturing system 100 according to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ic unit manufacturing apparatus 110, a transferring apparatus 130, an accelerator discharging apparatus 150, and a frame apparatus 170. [

먼저 도 3을 참조하여 기본 단위체 제작 장치(110)를 설명한다. 기본 단위체 제작 장치(110)는 복수 개의 전극 및 분리막을 교대로 적층하여 기본 단위체(10)를 제작하는 장치이다.First, a basic unit production apparatus 11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The basic unit manufacturing apparatus 110 is an apparatus for fabricating the basic unit 10 by alternately laminating a plurality of electrodes and a separation membrane.

먼저 롤 형태로 말려진 긴 시트 형의 제1 전극 재료(91), 제1 분리막 재료(93), 제2 전극 재료(95) 및 제2 분리막 재료(97)를 준비하고 이들을 이용하여 기본 단위체(10)를 제조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전극 재료는 양극 재료, 제2 전극 재료는 음극 재료일 수 있다. 제1 분리막 재료(93)와 제2 분리막 재료(97)는 서로 동일한 재료일 수 있다. First, a long sheet-like first electrode material 91, a first separation membrane material 93, a second electrode material 95 and a second separation membrane material 97, which are rolled into a roll form, are prepared, 10) can be produced. Here, the first electrode material may be a cathode material, and the second electrode material may be a cathode material. The first separation membrane material 93 and the second separation membrane material 97 may be the same material.

제1 전극 재료(91)를 커터(C1)를 통해 소정 크기로 절단하고, 제2 전극 재료(95)도 커터(C2)를 통해 소정 크기로 절단한다. 그런 다음 제1 전극 재료(91)를 제1 분리막 재료(93)에 적층하고, 제2 전극 재료(95)를 제2 분리막 재료(97)에 적층하게 된다. The first electrode material 91 is cut to a predetermined size through the cutter C 1 and the second electrode material 95 is cut to a predetermined size through the cutter C 2 . The first electrode material 91 is then laminated to the first separator material 93 and the second electrode material 95 is laminated to the second separator material 97.

그 다음 라미네이터(L1, L2)에서 전극 재료와 분리막 재료를 서로 접착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접착으로 전극과 분리막이 일체로 결합된 기본 단위체(10)가 제조될 수 있다. Then, the electrode material and the separation membrane material can be adhered to each other in the laminator (L 1 , L 2 ). By such adhesion, the basic unit 10 in which the electrode and the separator are integrally combined can be manufactured.

결합의 방법은 다양할 수 있다. 라미네이터(L1, L2)는 접착을 위해 재료에 압력을 가하거나 압력과 열을 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접착은 단위체 스택부(30)를 제조할 때 기본 단위체(10)의 적층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접착은 기본 단위체(10)의 정렬에도 유리하다. 이와 같은 접착 후에 제1 분리막 재료(93)와 제2 분리막 재료(97)를 커터(C3)를 통해 소정 크기로 절단하면, 기본 단위체(10)가 제조될 수 있다.The methods of combining can vary. The laminator (L 1 , L 2 ) can apply pressure or heat to the material for bonding. Such bonding can facilitate stacking of the base unit 10 when the unit stack 30 is manufactured. Such adhesion is also advantageous for alignment of the base unit 10. After the bonding, the first separation membrane material 93 and the second separation membrane material 97 are cut to a predetermined size through the cutter C 3 , whereby the basic unit 10 can be manufactured.

이와 같은 방식으로 제1 전극, 분리막, 제2 전극, 분리막이 순차로 적층되어 결합된 기본 단위체(10)가 제조될 수 있다. 편의상 제1 전극이 양극이고, 제2 전극은 음극일 수 있다. 물론 그 반대의 전극일 수도 있다. In this manner, the first unit, the separator, the second electrode, and the separator may be sequentially stacked to form the basic unit 10. For convenience, the first electrode may be an anode and the second electrode may be a cathode. It may, of course, be the opposite electrode.

한편, 이렇게 제조된 기본 단위체(10)는 이송 장치(130)에 의하여 이송될 수 있다. 이송 장치(130)는 기본 단위체(10)를 기본 단위체 제작 장치(110)로부터 전달 받아 이송하며, 그 다음 단계인 가속 배출 장치(150)로 기본 단위체(10)를 전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base unit 10 thus manufactured can be conveyed by the conveying unit 130. The transfer device 130 can transfer the basic unit body 10 from the basic unit manufacturing apparatus 110 and transfer the basic unit body 10 to the accelerated discharge unit 150 as a next step.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이송 장치(130)는 기본 단위체(10)를 이송 장치(130)의 상부 면에 올려놓고 이동시킬 수 있는 컨베이어일 수 있다. 3 and 4, the conveying device 130 may be a conveyor capable of placing the basic unit 10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veying device 130 and moving the same.

또는 이송 장치(130)는 진공을 이용하여 기본 단위체(10)를 흡착시킬 수 있는 흡입 컨베이어(suction conveyor)일 수도 있다. 진공을 이용하는 컨베이어일 경우 좀 더 안정적인 이동이 가능할 수 있다. Alternatively, the transfer device 130 may be a suction conveyor capable of sucking the basic unit 10 using vacuum. For vacuum conveyors, more stable movement may be possible.

또한, 흡입 컨베이어를 사용을 경우 기본 단위체(10)를 하부 면에 매달고 이동시키는 형태일 수도 있다. 이 경우 기본 단위체(10)는 흡착력에 의하여 컨베이어에 매달려 있기 때문에 중력에 의하여 아래로 떨어지지 않을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suction conveyor is used, it may be in the form of hanging the base unit 10 on the lower surface. In this case, since the base unit 10 is suspended on the conveyor by the attraction force, it may not fall down due to gravity.

도 4를 참조하면 가속 배출 장치(150)는 이송 장치(130)로부터 전달 받은 기본 단위체(10)를 가속하여 배출시키는 장치일 수 있다. 가속 배출 장치(150)는 기본 단위체(10)의 상부 면에 접하는 상부 롤(151)과 기본 단위체(10)의 하부 면에 접하는 하부 롤(153)을 포함할 수 있다. 기본 단위체(10)는 상부 롤(151)과 하부 롤(153) 사이로 들어가서 반대편으로 나올 수 있다. 이렇게 기본 단위체(10)는 가속 배출 장치(150)의 일측으로 들어가서 타측으로 배출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기본 단위체(10)는 이동 속도가 증가될 수 있으며, 또한 이동 에너지를 더 얻을 수도 있다. Referring to FIG. 4, the accelerator discharge device 150 may be a device for accelerating and discharging the basic unit 10 received from the transfer device 130. The accelerating and discharging device 150 may include an upper roll 151 contacting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unit 10 and a lower roll 153 contacting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unit 10. The basic unit 10 can be inserted between the upper roll 151 and the lower roll 153 and come out on the opposite side. Thus, the base unit 10 can enter one side of the accelerator discharge device 150 and be discharged to the other side. In this process, the basic unit 10 can increase the moving speed and obtain more moving energy.

가속 배출 장치(150)는 기본 단위체(10)를 가속함에 따라 기본 단위체(10)의 이동에 탄력을 부여할 수 있다. 가속 배출 장치(150)에 의해서 탄력 있게 배출되는 기본 단위체(10)는 프레임 장치(170) 내의 정위치로 좀 더 원활하게 들어갈 수 있다. The accelerating / discharging device 150 can impart elasticity to the movement of the base unit 10 as the base unit 10 accelerates. The basic unit 10, which is elastically discharged by the accelerator discharge device 150, can enter the correct position in the frame device 170 more smoothly.

이송 장치(130)와 프레임 장치(170) 사이에는 설계 규격에 따른 정해진 거리가 있으므로, 단지 이송 장치(130)에서 프레임 장치(170)로 기본 단위체(10)를 그냥 떨어뜨릴 경우 힘없이 떨어져 기본 단위체(10)가 프레임 장치(170) 내 정위치에 들어가지 않을 수 있다. There is a predetermined distance between the transfer device 130 and the frame device 170 so that when the basic unit body 10 is simply dropped from the transfer device 130 to the frame device 170, (10) may not enter the correct position in the frame device (170).

이와 달리 가속 배출 장치(150)는 필요한 힘과 속도에 의하여 기본 단위체(10)를 배출하므로, 프레임 장치(170) 내의 정위치로 기본 단위체(10)를 원활하게 넣을 수 있게 된다.The accelerator discharge device 150 discharges the basic unit 10 according to the required force and speed, so that the basic unit 10 can be smoothly inserted into the frame unit 170 at a predetermined position.

가속 배출 장치(150)에서 상부 롤(151)은 분리된 복수 개의 롤부재(155)를 포함할 수 있다. 이처럼 서로 격리된 복수 개의 롤부재(155) 형태로 상부 롤(151)이 구비될 경우 롤의 무게 및 크기를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롤과 기본 단위체(10) 사이의 접촉 강도도 조절할 수 있으므로 더욱 효율적일 수 있다. In the accelerator discharge device 150, the upper roll 151 may include a plurality of roll members 155 separated from each other. When the upper roll 151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plurality of the roll members 155 isolated from each other as described above, the weight and size of the roll can be greatly reduced. Further, since the contact strength between the roll and the base unit 10 can be adjusted, it can be more efficient.

프레임 장치(170)는 가속 배출 장치(150)로부터 전달받은 기본 단위체(10)를 수용하는 구성이며, 기본 단위체(10)가 적층 및 정렬되도록 기본 단위체(10)를 가이드 하는 구성일 수 있다. The frame unit 170 is configured to accommodate the basic unit body 10 received from the accelerator discharge unit 150 and may be configured to guide the basic unit body 10 so that the basic unit bodies 10 are stacked and aligned.

도 4를 참조하면, 프레임 장치(170)는 기본 단위체(10)의 테두리부를 가이드 할 수 있으며, 특히 기본 단위체(10)의 4군데 모서리부를 가이드 하는 구성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frame device 170 may guide the rim of the basic unit 10, and in particular, may be configured to guide the four corner portions of the basic unit 10.

프레임 장치(170)는 기본 단위체(10)의 네 모서리를 각각 가이드 하는 제1 프레임(171), 제2 프레임(173), 제3 프레임(175), 및 제4 프레임(177)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프레임(171), 제2 프레임(173), 제3 프레임(175), 및 제4 프레임(177)은 기본 단위체(10)의 둘레를 따라서 각 모서리에 인접하여 순차로 배치되는 구성일 수 있다.The frame device 170 may include a first frame 171, a second frame 173, a third frame 175, and a fourth frame 177 for guiding four corners of the basic unit 10, respectively have. The first frame 171, the second frame 173, the third frame 175 and the fourth frame 177 may be arranged adjacent to each other along the periphery of the basic unit 10 in sequence have.

도 4 기준으로 볼 때, 제1 프레임(171)부터 시계 방향으로 둘레를 따라서 제2 프레임(173), 제3 프레임(175), 제4 프레임(177)이 순서대로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프레임(171)과 제2 프레임(173)이 이웃하게 되고, 제2 프레임(173)과 제3 프레임(175)이 서로 이웃하게 될 수 있다. 또 제3 프레임은 제4 프레임과 서로 이웃하게 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second frame 173, the third frame 175, and the fourth frame 177 may be arranged in order from the first frame 171 in the clockwise direction. In this case, the first frame 171 and the second frame 173 may be adjacent to each other, and the second frame 173 and the third frame 175 may be adjacent to each other. The third frame may be adjacent to the fourth frame.

제1 프레임(171), 제2 프레임(173), 제3 프레임(175), 및 제4 프레임(177) 각각은 직각을 이루는 블록 형상을 가질 수 있고, 그에 따라 기본 단위체(10)의 4 모서리를 각각 지지하거나 가이드 할 수 있다. 프레임 장치(170)의 역할로 기본 단위체(10)는 잘 정렬된 상태로 적층될 수 있다.Each of the first frame 171, the second frame 173, the third frame 175 and the fourth frame 177 may have a rectangular block shape and accordingly the four corners of the basic unit 10 Respectively. The base unit 10 can be stacked in a well-aligned state in the role of the frame device 170.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전극 조립체 제작 시스템(100)은 프레임 장치(170)에서 적층되는 기본 단위체(10)를 정렬시키기 위하여 기본 단위체(10)를 타격하는 포지셔닝 유닛(19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electrode assembly manufacturing system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positioning unit 190 for striking the basic unit 10 to align the basic unit 10 stacked in the frame unit 170 .

도 4에서 도시되듯이, 포지셔닝 유닛(190)은 제1 프레임(171)과 제2 프레임(173) 사이에 배치되거나 또는 제1 프레임(171)과 제4 프레임(177)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포지셔닝 유닛(190)은 물론 제1 프레임(171)과 제2 프레임(173) 사이 및 제1 프레임(171)과 제4 프레임(177) 사이 모두에 배치될 수도 있다. 4, the positioning unit 19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frame 171 and the second frame 173 or between the first frame 171 and the fourth frame 177 . The positioning unit 190 may of course be disposed both between the first frame 171 and the second frame 173 and between the first frame 171 and the fourth frame 177.

포지셔닝 유닛(190)은 양측에 한 쌍으로 배치될 수 도 있다. 이 경우 양쪽에서 정렬 작업이 짝을 이루어 진행되므로 더욱 균형 잡힌 정렬이 가능할 수 있다. 즉, 제1 프레임(171)과 제4 프레임(177) 사이에 배치되는 포지셔닝 유닛(190)에 짝을 이루어 제2 프레임(173)과 제3 프레임(175) 사이에 포지셔닝 유닛(190)이 배치될 수 있다. The positioning units 190 may be arranged on both sides in pairs. In this case, alignment work is paired on both sides, so a more balanced alignment can be possible. That is, the positioning unit 190 is disposed between the second frame 173 and the third frame 175 in a pair with the positioning unit 190 disposed between the first frame 171 and the fourth frame 177 .

포지셔닝 유닛(190)은 적층되는 기본 단위체(10)의 측부를 탁탁 쳐줄 수 있고, 그에 따라 기본 단위체(10)의 정렬도를 현저히 더 향상시킬 수 있다. 포지셔닝 유닛(190)은 평평한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4에서 도시되듯이 포지셔닝 유닛(190)은 좌측(L), 우측(R)으로 왕복 운동하면서 기본 단위체(10)의 측부를 타격할 수 있다.The positioning unit 190 can straddle the side of the base unit 10 to be laminated, thereby significantly improving the degree of alignment of the base unit 10. The positioning unit 190 may have a flat plate shape. As shown in FIG. 4, the positioning unit 190 can strike the side of the basic unit 10 while reciprocating from the left (L) to the right (R).

또 다른 형태로 포지셔닝 유닛(190)은 적층되는 기본 단위체(10)의 측면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포지셔닝 유닛(190)이 적층된 복수개의 기본 단위체(10) 측부를 여러 차례 타격할 경우 기본 단위체(10)는 포지셔닝 유닛(190)의 형상에 맞아지도록 이동하게 되고 통일된 형상으로 가지런히 정렬될 수 있게 된다.Alternatively, the positioning unit 190 may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ide surface shape of the base unit 10 to be laminated. When the side portions of the plurality of basic unit bodies 10 stacked with the positioning unit 190 are struck several times, the basic unit body 10 is moved to conform to the shape of the positioning unit 190 and can be aligned uniformly .

또한, 제1 프레임(171)과 제2 프레임(173) 사이에 배치되는 포지셔닝 유닛(190)은 기본 단위체(10)에서 돌출하는 전극 탭을 기준으로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도 4 참조). 각각의 포지셔닝 유닛(190)은 전방(F) 및 후방(B)으로 왕복 운동하면서 기본 단위체(10)를 타격할 수 있다. 이것은 전극 탭이 훼손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형태일 수 있다. 이러한 형태는 제3 프레임(175)과 제4 프레임(177) 사이에 포지셔닝 유닛(190)이 배치되는 경우에서도 마찬가지일 수 있다. 즉, 또 다른 전극 탭에 돌출되는 방향인 경우 포지셔닝 유닛(190)은 전극 탭을 기준으로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The positioning unit 190 disposed between the first frame 171 and the second frame 173 can b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electrode tab protruding from the basic unit 10 (see FIG. 4). Each of the positioning units 190 can strike the basic unit 10 while reciprocating in the forward direction F and the backward direction B. [ This may be a form for preventing the electrode tab from being damaged. This configuration may be the same when the positioning unit 190 is disposed between the third frame 175 and the fourth frame 177. [ That is, in the direction protruding from another electrode tab, the positioning unit 190 may be disposed on both sides with respect to the electrode tab.

실시예Example 2 2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전극 조립체 제작 시스템은 전술한 실시예 1에 따른 전극 조립체 제작 시스템과 유사한 구성을 가진다. 다만, 실시예 2는 테이핑 장치를 더 포함한다는 점에서 실시예 1과 차이가 있다. The electrode assembly manufacturing system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similar to that of the electrode assembly manufacturing syste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However, the second embodiment is different from the first embodiment in that it further includes a taping device.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전극 조립체 제작 시스템은 프레임 유닛 내부에서 적층되는 기본 단위체 적층체가 최종 정렬된 후, 기본 단위체 적층체의 측면부에 테이프를 부착하는 테이핑 장치(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electrode assembly manufacturing system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taping device (not shown) for adhering a tape to the side portion of the base unit laminate after the basic unit laminate stacked in the frame unit is finally aligned have.

테이핑 장치는 기본 단위체 적층체(즉, 일종의 전극 조립체)의 상면으로부터 측면을 따라 하면까지 연장되어 기본 단위체 적층체를 고정하는 테이프를 기본 단위체 적층체에 부착할 수 있다. The taping device can be attached to the base unit laminate by a tape extend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unit laminate (that is, an electrode assembly) to the lower surface along the side surface and fixing the base unit laminate.

이렇게 부착되는 테이프는 기본 단위체 서로 간에 서로 떨어지지 않도록 잡아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 만약 기본 단위체 적층체의 상부에 보조 단위체가 더 적층되는 경우는 기본 단위체와 보조 단위체 간에 서로 떨어지지 않도록 잡아주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 The tape thus adhered can be held so as not to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with respect to each other. Further, if the auxiliary unit is further stacked on the upper part of the basic unit laminate, the auxiliary unit may be provided to prevent the base unit and the auxiliary unit from falling apart.

테이핑 장치에 의하여 테이프가 부착되면, 향상된 정렬도로 적층된 기본 단위체 적층체의 정렬도를 그대로 잘 유지하여 최종 생산품인 이차 전지까지 만들 수 있다. 그러므로 지속적으로 우수한 품질의 이차 전지를 제작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tape is attached by the taping device, the degree of alignment of the basic unit laminate stacked with improved alignment can be maintained as it is,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manufacture the secondary battery as the final product. Therefore, it is possible to continuously produce a secondary battery of excellent quality.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certain exemplary embodiments and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 전극 조립체
10: 기본단위체
11: 양극
13: 음극
15: 분리막
20: 보조 단위체
30: 단위체 스택부
40: 테이프
50: 전극 탭
91: 제1 전극 재료
93: 제1 분리막 재료
95: 제2 전극 재료
97: 제2 분리막 재료
100: 전극 조립체 제작 시스템
110: 기본 단위체 제작 장치
130: 이송 장치
150: 가속 배출 장치
151: 상부 롤
153: 하부 롤
155: 롤부재
170: 프레임 장치
171: 제1 프레임
173: 제2 프레임
175: 제3 프레임
177: 제4 프레임
190: 포지셔닝 유닛
1: electrode assembly
10: Basic unit
11: anode
13: cathode
15: Membrane
20: auxiliary unit
30: unit stack portion
40: tape
50: Electrode tab
91: first electrode material
93: First separation membrane material
95: Second electrode material
97: Second separation membrane material
100: electrode assembly manufacturing system
110: Basic unit manufacturing apparatus
130: Feeding device
150: Accelerated discharge device
151: upper roll
153: Lower roll
155: roll member
170: frame device
171: First frame
173: Second frame
175: Third frame
177: fourth frame
190: Positioning unit

Claims (10)

복수 개의 전극 및 분리막을 교대로 적층하여 기본 단위체를 제작하는 기본 단위체 제작 장치;
상기 기본 단위체 제작 장치에서 제작된 상기 기본 단위체를 이송하는 이송 장치;
상기 이송 장치로부터 전달 받은 상기 기본 단위체를 가속하여 배출시키는 가속 배출 장치; 및
상기 가속 배출 장치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기본 단위체를 수용하며, 상기 기본 단위체가 적층 및 정렬되도록 상기 기본 단위체를 가이드 하는 프레임 장치;를 포함하는 전극 조립체 제작 시스템.
A basic unit producing device for alternately laminating a plurality of electrodes and a separating film to manufacture a basic unit;
A transfer device for transferring the basic unit manufactured by the basic unit manufacturing device;
An accelerator discharge device for accelerating and discharging the basic unit body transferred from the transfer device; And
And a frame device for receiving the basic unit body received from the accelerating device and guiding the basic unit body so that the basic unit body is stacked and aligne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송 장치는 진공을 이용하여 상기 기본 단위체를 흡착시킬 수 있는 흡입 컨베이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조립체 제작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ransfer device is a suction conveyor capable of sucking the basic unit using vacuum.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속 배출 장치는 상기 기본 단위체의 상부에 접하는 상부 롤과 상기 기본 단위체의 하부에 접하는 하부 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조립체 제작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cceleration discharging device includes an upper roll in contact with an upper portion of the basic unit and a lower roll in contact with a lower portion of the basic unit.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상부 롤은 분리된 복수 개의 롤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조립체 제작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upper roll comprises a plurality of separated roll member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장치는 상기 기본 단위체의 테두리부를 가이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조립체 제작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rame device guides a rim of the basic uni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장치는 상기 기본 단위체의 모서리부를 가이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조립체 제작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rame device guides the corner of the basic unit body.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장치에서 적층되는 상기 기본 단위체를 정렬시키기 위하여 상기 기본 단위체를 타격하는 포지셔닝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조립체 제작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positioning unit for striking the basic unit body to align the basic unit body stacked in the frame unit.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장치는 상기 기본 단위체의 네 모서리를 각각 가이드 하는 제1 프레임, 제2 프레임, 제3 프레임, 및 제4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프레임, 제2 프레임, 제3 프레임, 및 제4 프레임은 상기 기본 단위체의 둘레를 따라서 순차로 배치되며,
상기 포지셔닝 유닛은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 사이 또는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4 프레임 사이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조립체 제작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frame device includes a first frame, a second frame, a third frame and a fourth frame for guiding four corners of the basic unit,
The first frame, the second frame, the third frame, and the fourth frame are sequentially arrang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basic unit,
Wherein the positioning unit is disposed at least either between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or between the first frame and the fourth frame.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포지셔닝 유닛은 상기 기본 단위체에서 돌출하는 전극 탭을 기준으로 양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조립체 제작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positioning unit is disposed on both sides with respect to the electrode tab projecting from the basic unit body.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유닛 내부에서 적층되는 상기 기본 단위체 적층체가 상기 포지셔닝 유닛에 의하여 최종 정렬된 후, 상기 기본 단위체 적층체의 측면부에 테이프를 부착하는 테이핑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조립체 제작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7,
Further comprising a taping device for attaching a tape to a side surface of the base unit laminate after the base unit laminate stacked in the frame unit is finally aligned by the positioning unit.
KR1020160036235A 2016-03-25 2016-03-25 System for manufacturing an electrode assembly KR10208775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6235A KR102087751B1 (en) 2016-03-25 2016-03-25 System for manufacturing an electrode assembl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6235A KR102087751B1 (en) 2016-03-25 2016-03-25 System for manufacturing an electrode assembl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1234A true KR20170111234A (en) 2017-10-12
KR102087751B1 KR102087751B1 (en) 2020-03-12

Family

ID=601403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6235A KR102087751B1 (en) 2016-03-25 2016-03-25 System for manufacturing an electrode assembl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7751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5848A (en) * 2020-03-16 2021-09-27 엘지전자 주식회사 Device for folding electrode assembly
KR20220068133A (en) * 2020-11-18 2022-05-25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Secondary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US11799173B2 (en) 2020-11-18 2023-10-24 Lg Energy Solution, Ltd. Secondary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60700A (en) * 2010-12-02 2012-06-12 주식회사 엘지화학 Novel Device for Laminating Electrode Assembly and Secondary Battery Manufactured Using the Same
KR101329073B1 (en) * 2012-07-16 2013-11-14 주식회사 엠플러스 Secondary battery electrode stacking machine
JP2014179304A (en) * 2013-03-15 2014-09-25 Tokyo Kikai Seisakusho Ltd Method and device for forming electrode laminate for secondary battery
KR20150035271A (en) * 2013-09-27 2015-04-06 주식회사 엘지화학 Unit stacking device and stacking method for secondary battery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60700A (en) * 2010-12-02 2012-06-12 주식회사 엘지화학 Novel Device for Laminating Electrode Assembly and Secondary Battery Manufactured Using the Same
KR101329073B1 (en) * 2012-07-16 2013-11-14 주식회사 엠플러스 Secondary battery electrode stacking machine
JP2014179304A (en) * 2013-03-15 2014-09-25 Tokyo Kikai Seisakusho Ltd Method and device for forming electrode laminate for secondary battery
KR20150035271A (en) * 2013-09-27 2015-04-06 주식회사 엘지화학 Unit stacking device and stacking method for secondary battery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5848A (en) * 2020-03-16 2021-09-27 엘지전자 주식회사 Device for folding electrode assembly
KR20220068133A (en) * 2020-11-18 2022-05-25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Secondary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US11799173B2 (en) 2020-11-18 2023-10-24 Lg Energy Solution, Ltd. Secondary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7751B1 (en) 2020-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8542B1 (en) Device for manufacturing an electrode assembly
KR101672402B1 (en) Acute angle bending apparatus for side sealing portion of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cell and acute angle bending method using the same
KR101662179B1 (en) Secondary battery electrode stacking machine
KR101812272B1 (en) A method for manufacturing an electrode assembly for a secondary battery
KR20170117681A (en) Taping Apparatus Capable of Attaching Adhesive Tape to Battery Cell
KR20170059739A (en) Electrode assembly folding device and electrode assembly folding method using the same
KR101806939B1 (en) The processor Play for recycling of expanded polystyrene foam
KR20170111234A (en) System for manufacturing an electrode assembly
EP3955355A1 (en) Multi-plate laminating device for lithium battery cell and laminating method thereof
KR101040704B1 (en) Stack manufacturing device for secondary cell
JPWO2014034363A1 (en) Sheet material adhesive application method
CN109921084A (en) Laminating method and laminating equipment
JP2017076489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lamination type battery
KR20170059740A (en) Electrode assembly folding device and electrode assembly folding method using the same
KR20160050718A (en) Apparatus for manufcaturing radical uni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electrode assembly
KR20120118882A (en) Stacking system and method for secondary battery
KR2021009626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n electrode laminate
KR101856819B1 (en) System for manufacturing an electrode assembly
CN217881611U (en) Lamination production line
KR20170044972A (en) Electrode assembly folding device and electrode assembly folding method using the same
KR101815349B1 (en) System for manufacturing an electrode assembly
KR101719027B1 (en) Separating device of stacked cell
KR102531393B1 (en) A apparatus for stacking the electrodes of secondary battery
KR20170044971A (en) Electrode assembly folding device and electrode assembly folding method using the same
KR101058786B1 (en) Laminating mechanism generator, stacking apparatus and method for secondary cel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