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0312A - Stand-alone wire drum stand - Google Patents

Stand-alone wire drum stan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0312A
KR20170110312A KR1020160034533A KR20160034533A KR20170110312A KR 20170110312 A KR20170110312 A KR 20170110312A KR 1020160034533 A KR1020160034533 A KR 1020160034533A KR 20160034533 A KR20160034533 A KR 20160034533A KR 20170110312 A KR20170110312 A KR 201701103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frame
wire drum
frame
drum
bas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453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817852B1 (en
Inventor
양희성
Original Assignee
양희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희성 filed Critical 양희성
Priority to KR10201600345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7852B1/en
Publication of KR201701103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031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78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785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 H02G1/04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for mounting or stretc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3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 B65H75/38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 B65H75/44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4436Arrangements for yieldably braking the reel or the material for moderating speed of winding or unwinding
    • B65H75/4442Arrangements for yieldably braking the reel or the material for moderating speed of winding or unwinding acting on the r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3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 B65H75/38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 B65H75/44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4457Arrangements of the frame or housing
    • B65H75/4468Tubular fram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02G11/006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using extensible carrier for the cable, e.g. self-coiling spr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02G11/02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using take-up reel or dr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2/00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handling apparatus
    • B65H2402/40Details of frames, housings or mountings of the whole handling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4Handled filamentary material electric cords or electric power cables

Landscapes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별상마다 독립되게 전선드럼 거치대를 마련하여 전선 이선 또는 가선 작업시에 필요로 하는 개수 만큼의 전선드럼 거치대만을 차량에 탑재하여 운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설치 및 이동성이 우수한 독립형 전선드럼 거치대를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소정 폭으로 이루어지되 전방 또는 후방에 위치하는 타 독립형 전선드럼 거치대(A)와 상호 결속할 수 있도록 전단과 후단에 체결용 플랜지(10)가 형성된 베이스 프레임(20)과, 베이스 프레임(20) 양측에 각 설치되고 상단에 전선드럼의 축봉(30)을 거치시킬 수 있도록 개폐 가능한 안착부(40)가 형성된 수직 프레임(50) 및, 측방에 위치하는 타 독립형 전선드럼 거치대(B)와 상호 결속할 수 있도록 수직 프레임(50) 외측단에 측면 체결용 플랜지(60)가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소정 폭으로 이루어진 베이스 프레임(20)과, 베이스 프레임(20) 양측에 각 설치되되 내재된 실린더에 의해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고 상단에 전선드럼의 축봉(30)을 거치시킬 수 있도록 개폐 가능한 안착부(40)가 형성된 수직 프레임(50)과, 축봉(30)을 매개로 수직 프레임(50)에 거치된 전선드럼(3)에 대응하여 폭 조절이 가능하고 전선드럼 휠(4)을 안착시킬 수 있도록 수직 프레임(50) 하부에 축(101)과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한 쌍의 안착롤러(100) 및, 실린더를 통해 수직 프레임(50)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전선드럼 휠(4)이 안착롤러(100)에 밀착되는 정도에 따라 전선드럼(3)의 회전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유압 조절기(90)가 구비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and-alone cable drum stand having excellent installation and mobility by providing a wire drum stand independently for each individual phase so that only a required number of wire drum cradles can be mounted and operated in a vehicle do.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base frame 20 having a clamping flange 10 formed at a front end and a rear end thereof so as to be mutually coupled with another independent cable drum base A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and positioned forward or rearward, A vertical frame 50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frame 20 and formed with a seating portion 40 capable of opening and closing so as to allow the shaft rod 30 of the electric wire drum to be mounted on the upper end thereof and a vertical frame 50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independent electric wire drum cradle B Side flange 60 is formed at the outer end of the vertical frame 50 so as to be mutually coupled.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base frame 20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open / close valves 20, 20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base frame 20, A vertical frame 50 in which a seat 40 as far as possible is formed and a wire drum 4 which can be adjusted in width in correspondence with the wire drum 3 mounted on the vertical frame 50 via the shaft rod 30 A pair of seat rollers 100 provided below the vertical frame 50 so as to be integrally rotatable with the shaft 101 so as to be able to seat the vertical frame 50, (Not shown) for adjusting the rotational speed of the electric wire drum 3 according to the degree of contact with the seat roller 100.

Description

독립형 전선드럼 거치대{Stand-alone wire drum stand}Stand-alone wire drum stand}

본 발명은 독립형 전선드럼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개별상마다 독립되게 전선드럼 거치대를 마련하여 전선 이선 또는 가선 작업시에 필요로 하는 개수 만큼의 전선드럼 거치대만을 차량에 탑재하여 운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설치 및 이동성이 우수한 독립형 전선드럼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and-alone cable drum crad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tand-alone cable drum cradle which is provided independently for each individual phase so that only a required number of cord drum cradles can be mounted on a vehicle To provide a stand-alone electric wire drum cradle excellent in installation and mobility.

일반적으로 전선 이선 또는 가선 작업시에 서로 이격된 전주 사이에 전선을 포설하게 되는데, 일측에서 전선을 견인하고 타측에서 전선드럼에 감긴 전선을 일정한 속도로 풀어줌으로써 전선의 처짐을 방지하는 가선공법, 예컨데 배전 공사용 다기능 다선 가선공법(전력신기술 9호) 등이 활용되고 있다.Generally, a wire is laid between the pol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during wire trunking or trunking work. In the trunking method of pulling the wire from one side and loosening the wire wound on the wire drum at the other side at a constant speed, And multifunctional multi-wire wiring method for power distribution (Power New Technology No. 9).

종래의 가선공법의 경우, 전선을 일정한 속도로 풀어주고 전선 이송 중단시에도 전선의 장력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도록 공개특허공보 특2003-61278호(2003. 7. 18. 공개)에 개시된 바와 같은 전선 긴장기가 사용되고, 이 전선 긴장기 후측에 전선드럼을 거치시키기 위한 거치대가 마련된다.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wire drawing method, in order to release the wire at a constant speed and to maintain the tension of the wire even when the wire feed is interrupted, the tension of the wire as disclosed in Japanese Unexamined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03-61278 And a cradle for mounting a wire drum is provided on the rear side of the wire tensioner.

위 전력신기술 9호를 참조할 때, 종래의 전선드럼 거치대는 전선 이선 또는 가선 작업시에 다선(3상 또는 4상)을 동시에 작업할 수 있도록 4개의 전선드럼을 거치시키기 위한 거치부가 일체로 제작된다. Referring to No. 9 of the above Electric Power Technology, the conventional wire drum stand is integrally formed to mount four wire drums so that a multi-wire (3-phase or 4-phase) do.

따라서 종래의 전선드럼 거치대는 단상의 이선 또는 가선 작업시에도 3개 이상의 전선드럼을 거치하기 위한 거치대가 차량에 탑재되어 운용된다는 점에서, 설치 및 이동성이 떨어질 뿐 아니라 단상 또는 2상 작업시에도 차량의 적재공간을 활용할 수 없어 일반장구류를 운반하기 위한 별도의 차량이 필요하므로 공사비를 절감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Therefore, in the conventional wire drum stand, since a stand for mounting three or more electric drums is mounted and operated in a single-phase alternating line or a hooking operation, installation and mobility are reduced, It is necessary to install a separate vehicle for transporting general gears, which has a limitation in reducing the construction cost.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개별상마다 독립되게 전선드럼 거치대를 마련하여 전선 이선 또는 가선 작업시에 필요로 하는 개수 만큼의 전선드럼 거치대만을 차량에 탑재하여 운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설치 및 이동성이 우수한 독립형 전선드럼 거치대를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ire drum stand independently for each individual phase so that only as many wire drum cradles as required for wire- So as to provide a stand-alone electric cable drum cradle excellent in installation and mobility.

또한 본 발명은 거치대를 차량의 적재함에 손쉽게 고정 설치할 수 있고, 거치대와 거치대를 상호 결속할 수 있도록 한 독립형 전선드럼 거치대를 제공하고자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and-alone cable drum cradle which can be easily fixed to a loading box of a vehicle, and can be connected to a cradle and a cradle.

그리고 본 발명은 일측에서 전선 견인시 전선에 소정의 장력을 부여할 수 있도록 전선드럼의 회전속도를 조절함으로써 거치대만으로 전선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는 독립형 전선드럼 거치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and-alone cable drum cradle capable of preventing sagging of a wire by only a cradle by controlling the rotation speed of the cable drum so that a predetermined tension can be given to the cable when the cradle is pulled.

본 발명은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소정 폭으로 이루어지되 전방 또는 후방에 위치하는 타 독립형 전선드럼 거치대와 상호 결속할 수 있도록 전단과 후단에 체결용 플랜지(10)가 형성된 베이스 프레임(20)과, 베이스 프레임(20) 양측에 각 설치되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고 상단에 전선드럼의 축봉(30)을 거치시킬 수 있도록 개폐 가능한 안착부(40)가 형성된 수직 프레임(50) 및, 측방에 위치하는 타 독립형 전선드럼 거치대와 상호 결속할 수 있도록 수직 프레임(50) 외측단에 측면 체결용 플랜지(6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ase frame (20)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and provided with a fastening flange (10) at a front end and a rear end so as to be mutually coupled with another independent wire drum rest, A vertical frame 50 provided at both sides of the base frame 20 and capable of adjusting the height thereof and having an opening 40 capable of opening and closing so as to mount the shaft rod 30 of the electric drum, And a flange 60 for side fastening is formed at an outer end of the vertical frame 50 so as to be mutually coupled with the other independent wire drum rest.

또한 본 발명은 차량의 적재함 벽체(1)에 고정 설치할 수 있도록 적재함 벽체(1) 상측에 탈착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되 적재함 벽체(1) 상단에 돌출 형성된 체결돌기(2)에 대응하여 체결공(71)이 천공되고 측면 체결용 플랜지(60)에 천공된 장홀(61)에 대응하여 볼트부재(72)가 형성된 고정용 플랜지(7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with a fastening hole 71 (corresponding to the fastening protrusion 2 protruding from the upper end of the loading wall body 1), which is detachably fitted on the upper side of the loading wall body 1 so as to be fixedly mounted on the loading wall body 1 of the vehicle And a fixing flange 70 formed with a bolt member 72 corresponding to the long hole 61 formed in the flange 60 for side fastening.

또한 상기의 수직 프레임(50)은 베이스 프레임(20)에 고정 설치된 고정 프레임부(51)와, 고정 프레임부(51)에 삽입 내재되어 상하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된 가변 프레임부(52)로 이루어지되 높낮이 조절핀(53)을 끼워 수직 프레임(5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고정 프레임부(51)와 가변 프레임부(52)에 길이방향으로 복수개의 높낮이 조절용 체결공(54)이 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vertical frame 50 includes a fixed frame portion 51 fixed to the base frame 20 and a flexible frame portion 52 inserted in the fixed frame portion 51 and slidable upward and downward A plurality of height adjusting holes 54 are formed in the fixing frame portion 51 and the variable frame portion 52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 height of the vertical frame 50 can be adjusted by fitting the height adjusting pins 53 .

그리고 상기의 베이스 프레임(20)은 전단에 축봉(30)을 매개로 수직 프레임(50)에 거치된 전선드럼(3)으로부터 풀리는 전선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롤러(8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base frame 20 is provided with a guide roller 80 for guiding the wire to be unwound from the wire drum 3 mounted on the vertical frame 50 via the shaft 30 at the front end.

다음, 본 발명은 다른 실시 예로서, 소정 폭으로 이루어진 베이스 프레임(20)과, 베이스 프레임(20) 양측에 각 설치되되 내재된 실린더에 의해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고 상단에 전선드럼의 축봉(30)을 거치시킬 수 있도록 개폐 가능한 안착부(40)가 형성된 수직 프레임(50)과, 축봉(30)을 매개로 수직 프레임(50)에 거치된 전선드럼(3)에 대응하여 폭 조절이 가능하고 전선드럼 휠(4)을 안착시킬 수 있도록 수직 프레임(50) 하부에 축(101)과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한 쌍의 안착롤러(100) 및, 실린더를 통해 수직 프레임(50)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전선드럼 휠(4)이 안착롤러(100)에 밀착되는 정도에 따라 전선드럼(3)의 회전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유압 조절기(9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Nex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ncludes a base frame 20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and a plurality of cylinder bosses 20, which are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base frame 20, A vertical frame 50 in which a seat 40 capable of being opened and closed can be mounted so as to allow the vertical frame 50 to be mounted thereon and a wire drum 3 mounted on the vertical frame 50 via a shaft rod 30, A pair of seat rollers 100 provided below the vertical frame 50 so as to be able to seat the drum wheel 4 so as to be rotatable integrally with the shaft 101, And a hydraulic regulator 90 for regulating the rotation speed of the wire drum 3 according to the degree to which the wire drum wheel 4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seating roller 100.

또한 상기의 베이스 프레임(20)은 전방 또는 후방에 위치하는 타 독립형 전선드럼 거치대와 상호 결속할 수 있도록 전단과 후단에 체결용 플랜지(10)가 형성되고, 수직 프레임(50)은 측방에 위치하는 타 독립형 전선드럼 거치대와 상호 결속할 수 있도록 외측단에 측면 체결용 플랜지(6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Further, the base frame 20 is formed with a fastening flange 10 at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so that the base frame 20 can be mutually coupled with other independent cable drum stands located forward or rearward, and the vertical frame 50 is positioned at the side And a flange (60) for side fastening is formed at the outer end so as to be mutually coupled with other independent type wire drum rests.

또한 본 발명은 차량의 적재함 벽체(1)에 고정 설치할 수 있도록 적재함 벽체(1) 상측에 탈착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되 적재함 벽체(1) 상단에 돌출 형성된 체결돌기(2)에 대응하여 체결공(71)이 천공되고 측면 체결용 플랜지(60)에 천공된 장홀(61)에 대응하여 볼트부재(72)가 형성된 고정용 플랜지(7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with a fastening hole 71 (corresponding to the fastening protrusion 2 protruding from the upper end of the loading wall body 1), which is detachably fitted on the upper side of the loading wall body 1 so as to be fixedly mounted on the loading wall body 1 of the vehicle And a fixing flange 70 formed with a bolt member 72 corresponding to the long hole 61 formed in the flange 60 for side fastening.

그리고 상기의 수직 프레임(50)은 베이스 프레임(20)에 고정 설치된 고정 프레임부(51)와, 고정 프레임부(51)에 삽입 내재되어 실린더에 의해 상하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된 가변 프레임부(52)로 이루어지되, 베이스 프레임(20)에 수직 프레임(50)과 나란하게 걸대(110)가 설치되고 걸대(110)와 가변 프레임부(52) 간에 인장스프링(120)이 결속되어 실린더의 유압 해제시 인장스프링(120)의 수축력에 의해 가변 프레임부(52)가 원위치되도록 조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vertical frame 50 includes a fixed frame portion 51 fixed to the base frame 20 and a variable frame portion 52 inserted in the fixed frame portion 51 and slidable up and down by a cylinder, And a spring 110 is installed on the base frame 20 so as to be parallel to the vertical frame 50. A tensile spring 120 is coupled between the bar 110 and the variable frame portion 52, So that the variable frame portion (52) is retracted by the retraction force of the tension spring (120).

다음으로, 본 발명은 또 다른 실시 예로서, 소정 폭으로 이루어진 베이스 프레임(20)과, 베이스 프레임(20) 양측에 각 설치되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고 상단에 전선드럼의 축봉(30)을 거치시킬 수 있도록 개폐 가능한 안착부(40)가 형성된 수직 프레임(50)과, 축봉(30)을 매개로 수직 프레임(50)에 거치된 전선드럼(3)에 대응하여 수직 프레임(50) 하부에 축(131)을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시소부(130)가 설치되되 시소부(130) 일측단에 폭 조절이 가능한 한 쌍의 가압롤러(140)가 설치되고 시소부(130) 타측단에 가압롤러(140)를 전선드럼의 휠(4)에 밀착시켜 가압하기 위한 가압실린더(150) 및, 가압실린더(150)를 통해 시소부(130)를 회동시켜 전선드럼의 휠(4)이 가압롤러(140)에 의해 가압되는 정도에 따라 전선드럼(3)의 회전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유압 조절기(9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Next,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base frame 20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a base frame 20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base frame 20, capable of adjusting the height thereof, A vertical frame 50 in which a seat 40 capable of being opened and closed is formed so as to be capable of opening and closing the vertical frame 50 and a vertical frame 50 corresponding to the wire drum 3 mounted on the vertical frame 50 via the shaft rod 30, A pair of pressure rollers 140 capable of adjusting the width are provided at one end of the seesection 130 and a pressure roller 140 is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seesection 130 The wheel 4 of the electric wire drum is rotated by the pressing roller 140 to rotate the seesection 130 through the pressing cylinder 150 and the pressing cylinder 150 for pressing the pressing wheel 140 against the wheel 4 of the electric wire drum, And a hydraulic regulator 90 for regulating the rotational speed of the wire drum 3 in accordance with the degree of pressurization of the wire drum 3 It characterized.

또한 상기의 베이스 프레임(20)은 전방 또는 후방에 위치하는 타 독립형 전선드럼 거치대와 상호 결속할 수 있도록 전단과 후단에 체결용 플랜지(10)가 형성되고, 수직 프레임(50)은 측방에 위치하는 타 독립형 전선드럼 거치대와 상호 결속할 수 있도록 외측단에 측면 체결용 플랜지(6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Further, the base frame 20 is formed with a fastening flange 10 at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so that the base frame 20 can be mutually coupled with other independent cable drum stands located forward or rearward, and the vertical frame 50 is positioned at the side And a flange (60) for side fastening is formed at the outer end so as to be mutually coupled with other independent type wire drum rests.

또한 본 발명은 차량의 적재함 벽체(1)에 고정 설치할 수 있도록 적재함 벽체(1) 상측에 탈착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되 적재함 벽체(1) 상단에 돌출 형성된 체결돌기(2)에 대응하여 체결공(71)이 천공되고 측면 체결용 플랜지(60)에 천공된 장홀(61)에 대응하여 볼트부재(72)가 형성된 고정용 플랜지(7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with a fastening hole 71 (corresponding to the fastening protrusion 2 protruding from the upper end of the loading wall body 1), which is detachably fitted on the upper side of the loading wall body 1 so as to be fixedly mounted on the loading wall body 1 of the vehicle And a fixing flange 70 formed with a bolt member 72 corresponding to the long hole 61 formed in the flange 60 for side fastening.

또한 상기의 수직 프레임(50)은 베이스 프레임(20)에 고정 설치된 고정 프레임부(51)와, 고정 프레임부(51)에 삽입 내재되어 상하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된 가변 프레임부(52)로 이루어지되 높낮이 조절핀(53)을 끼워 수직 프레임(5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고정 프레임부(51)와 가변 프레임부(52)에 길이방향으로 복수개의 높낮이 조절용 체결공(54)이 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vertical frame 50 includes a fixed frame portion 51 fixed to the base frame 20 and a flexible frame portion 52 inserted in the fixed frame portion 51 and slidable upward and downward A plurality of height adjusting holes 54 are formed in the fixing frame portion 51 and the variable frame portion 52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 height of the vertical frame 50 can be adjusted by fitting the height adjusting pins 53 .

그리고 본 발명은 가압실린더(150)의 유압 해제시 가압롤러(140)가 원위치하도록 시소부(130) 일측단과 베이스 프레임(50) 간에 코일스프링(160)이 결속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coil spring 160 is coupled between one end of the seesection 130 and the base frame 50 such that the pressure roller 140 is returned to the original position when the pressure of the pressure cylinder 150 is released.

본 발명에 따르면 개별상마다 독립되게 전선드럼 거치대를 마련하여 전선 이선 또는 가선 작업시에 필요로 하는 개수 만큼의 전선드럼 거치대만을 차량에 탑재하여 운용할 수 있으므로 설치 및 이동성이 우수하다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ndependently install a wire drum stand for each individual phase, and to install and operate only the wire drum cradle as many times as required for wire splicing or hooking opera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거치대를 차량의 적재함에 손쉽게 고정 설치할 수 있고, 거치대와 거치대를 상호 결속하여 전선 이선 또는 가선 작업시 거치대를 견고한 상태로 고정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radle can be easily fixed to the loading box of the vehicle, and the cradle and the cradle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to fix the cradle in a rigid state.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일측에서 전선 견인시 전선에 소정의 장력을 부여할 수 있도록 전선드럼의 회전속도를 조절함으로써 거치대만으로 전선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otation speed of the wire drum can be adjusted so that a predetermined tension can be applied to the wire when the wire is towed from one side, so that the sagging of the wire can be prevented by only the cradl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 예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 예의 분해 사시도,
도 3 및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 예의 상호 결속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 예의 고정 설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 예가 차량의 적재함에 고정 설치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 예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 예의 분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 예의 요부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제3실시 예의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제3실시 예의 분해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제3실시 예의 요부 측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rst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irst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and 4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mutual binding states of the first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xed installation structure of a first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ly mounted on a loading box of a vehicle,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con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econ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sectional view of the main part of the secon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erspective view of a thir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thir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side view of a thir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독립형 전선드럼 거치대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a stand-alone type wire drum cra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도 1 내지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 예는 소정 폭으로 이루어지되 전방 또는 후방에 위치하는 타 독립형 전선드럼 거치대(A)와 상호 결속할 수 있도록 전단과 후단에 체결용 플랜지(10)가 형성된 베이스 프레임(20)과, 베이스 프레임(20) 양측에 각 설치되고 상단에 전선드럼의 축봉(30)을 거치시킬 수 있도록 개폐 가능한 안착부(40)가 형성된 수직 프레임(50) 및, 측방에 위치하는 타 독립형 전선드럼 거치대(B)와 상호 결속할 수 있도록 수직 프레임(50) 외측단에 측면 체결용 플랜지(60)가 형성된다.As shown in FIGS. 1 to 4,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independent cable drum cradles A, which are formed in a predetermined width and located forward or rearward, And a vertical frame (40)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ase frame (20) and having a seating part (40) which is openable and closable to mount the shaft rod (30) Side flange 60 is formed at an outer end of the vertical frame 50 so as to be mutually coupled with the other independent type electric wire drum rest B positioned at the side.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서, 베이스 프레임(20)은 소정 폭으로 강관을 나란하게 배치하고 이들 사이에 연결 강관을 배치하여 용접함으로써 H 형상으로 제작된다. 물론, 베이스 프레임(20)은 강관을 이용하여 소정 폭의 사각형상의 틀로 제작할 수도 있다. In the above technical construction, the base frame 20 is formed in an H-shape by arranging steel pipes in a predetermined width in a side-by-side manner and arranging a connecting steel pipe therebetween. Of course, the base frame 20 may be formed into a rectangular frame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by using a steel pipe.

또한 베이스 프레임(20)은 전방 또는 후방에 위치하는 타 독립형 전선드럼 거치대(A)와 상호 결속할 수 있도록 전단과 후단에 체결용 플랜지(10)가 형성된다. Further, the base frame 20 is formed with a fastening flange 10 at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so that the base frame 20 can be mutually coupled to the other stand-alone wire drum stand A positioned at the front or rear.

즉, 체결용 플랜지(10)에는 체결공(11)이 천공되어 마주하는 독립형 전선드럼 거치대(A)의 플랜지 간에 볼트와 너트로 이루어진 체결구(C)를 사용하여 전방 또는 후방에 위치하는 타 독립형 전선드럼 거치대(A)와 상호 결속할 수 있게 된다(도 3 참조).That is, in the fastening flange 10, a fastening hole C is formed between the flanges of the stand-alone type electric cable drum cradle A in which the fastening holes 11 are punched and opposed to each other, So that they can be mutually coupled with the wire drum cradle A (see Fig. 3).

수직 프레임(50)은 베이스 프레임(20) 양측에 각 설치되고 상단에 전선드럼의 축봉(30)을 거치시킬 수 있도록 개폐 가능한 안착부(40)가 형성된다.The vertical frame 50 i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base frame 20 and has a seating portion 40 which is openable and closable so as to mount the shaft rod 30 of the electric wire drum.

안착부(40)는 수직 프레임(50) 상단에 축봉(30)을 안착시킬 수 있도록 안착홈(41)이 형성되고, 이 안착홈(41)을 개폐할 수 있도록 수직 프레임(50) 상단 일측과 힌지 결합되고 수직 프레임(50) 상단 타측과 핀(43)에 의해 잠금 처리되는 덮개판(42)으로 이루어진다. The seating part 40 is formed with a seating groove 41 for seating the shaft rod 30 on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frame 50. The seating part 41 has one upper side of the vertical frame 50, And a cover plate 42 hinged to the other end of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frame 50 and locked by a pin 43.

측면 체결용 플랜지(60)는 측방에 위치하는 타 독립형 전선드럼 거치대(B)와 상호 결속할 수 있도록 수직 프레임(50) 외측단에 형성된다. The side fastening flange 60 is formed at the outer end of the vertical frame 50 so as to be mutually coupled with the other independent wire drum rest B positioned at the side.

즉, 측면 체결용 플랜지(60)에는 장홀(61)이 천공되어 인접하는 독립형 전선드럼 거치대(B)의 측면 체결용 플랜지 간에 볼트와 너트로 이루어진 체결구(C)를 사용하여 측방에 위치하는 타 독립형 전선드럼 거치대(B)와 상호 결속할 수 있게 된다(도 4 참조).That is, in the flange 60 for side fastening, an elongated hole 61 is formed, and a fastener C, which is a bolt and a nut, is used between the flanges for side fastening of the adjacent independent type electric cable drum cradle B, So that they can be mutually coupled with the stand-alone wire drum stand B (see Fig. 4).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 따르면, 개별상마다 독립되게 전선드럼(3)을 거치할 수 있고, 전선드럼 거치대 간 서로 결속할 수 있도록 하여 전선 또는 가선 작업시에 필요로 하는 개수 만큼의 전선드럼 거치대만을 운용할 수 있으므로 설치 및 이동성이 우수하다는 작용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above technical arrangement, it is possible to independently mount the wire drums 3 for each of the individual phases, to bind the wire drum cradles to each other, and to operate only the wire drum cradles required for the wires or the wires So that the installation and the mobility are excellent.

다음, 도 5 및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 예는 차량의 적재함 벽체(1)에 고정 설치할 수 있도록 적재함 벽체(1) 상측에 탈착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되 적재함 벽체(1) 상단에 돌출 형성된 체결돌기(2)에 대응하여 체결공(71)이 천공되고 측면 체결용 플랜지(60)에 천공된 장홀(61)에 대응하여 볼트부재(72)가 형성된 고정용 플랜지(70)가 더 구비된다. 5 and 6,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achably fitted on the upper side of the loading wall 1 so as to be fixed to the loading wall 1 of the vehicle, A fixing flange 70 is formed in which a fastening hole 71 is form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fastening protrusion 2 protruding from the side fastening flange 60 and a bolt member 72 is formed corresponding to the long hole 61 formed in the side fastening flange 60 .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서, 고정용 플랜지(70)는 차량 적재함 벽체(1)에 끼워 고정할 수 있도록 하측이 개방된 형태의 강재로 이루어지고, 차량 적재함 벽체(1)에 돌출 형성된 체결돌기(2)에 대응하여 상면에 체결공(71)이 천공된다.In the above technical construction, the fixing flange 70 is made of a steel material whose lower side is opened so that it can be fitted and fixed to the vehicle loading box wall 1, and has a fastening protrusion 2 protruding from the vehicle loading box wall 1, A fastening hole 71 is formed in the upper surface.

또한 고정용 플랜지(70)는 수직 프레임(50)의 측면 체결용 플랜지(60)에 대응하여 볼트부재(72)가 형성되는데, 이 볼트부재(72)가 측면 체결용 플랜지(60)에 천공된 장홀(61)에 삽입되어 너트로 체결됨으로써 전선드럼 거치대를 차량의 적재함 벽체(1)에 고정 설치할 수 있게 된다. The fixing flange 70 is formed with a bolt member 72 corresponding to the side fitting flange 60 of the vertical frame 50. The bolt member 72 is inserted into the side fitting flange 60 Is inserted into the long hole (61) and fastened with a nut, so that the electric wire drum rest can be fixed to the car wall (1) of the vehicle.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 따르면, 고정용 플랜지(70)를 통하여 독립형 전선드럼 거치대를 차량의 적재함 벽체(1)에 각각 고정 설치할 수 있고, 차량마다 적재함의 높이가 다소 다르더라도 측면 체결용 플랜지(60)에 장홀(61)이 천공되어 고정용 프랜지(70)와 측면 체결용 플랜지(60) 간에 체결이 가능하여 다양한 차량에 독립형 전선드럼 거치대를 고정 설치할 수 있다는 작용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technical construction, the independent cable drum cradle can be fixed to the car wall box 1 through the fixing flange 70, and even if the height of the cargo box is slightly different for each vehicle, It is possible to secure the independent electric cable drum rest to various vehicles by securing between the fixing flange 70 and the flange 60 for side fastening.

다음,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 예에서 수직 프레임(50)은 베이스 프레임(20)에 고정 설치된 고정 프레임부(51)와, 고정 프레임부(51)에 삽입 내재되어 상하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된 가변 프레임부(52)로 이루어지되 높낮이 조절핀(53)을 끼워 수직 프레임(5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고정 프레임부(51)와 가변 프레임부(52)에 길이방향으로 복수개의 높낮이 조절용 체결공(54)이 천공된다.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ertical frame 50 includes a fixed frame portion 51 fixed to the base frame 20, a variable frame portion 51 inserted in the fixed frame portion 51, A plurality of height adjusting fasteners 52 are provided on the fixed frame portion 51 and the variable frame portion 52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as to adjust the height of the vertical frame 50 by sandwiching the height adjusting pin 53, (54) is perforated.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 따르면, 수직 프레임(50)은 고정 프레임부(51)와 고정 프레임부(51)에 삽입 내재되어 상하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된 가변 프레임부(52)로 이루어지는데, 가변 프레임부(52)를 상하로 슬라이드 시킨 상태에서 고정 프레임부(51)와 가변 프레임부(52) 간에 정렬된 높낮이 조절용 체결공(54)에 높낮이 조절핀(53)을 끼워 넣음에 따라 수직 프레임(5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The vertical frame 50 is composed of the fixed frame portion 51 and the variable frame portion 52 inserted in the fixed frame portion 51 and slidable up and down. 52 of the vertical frame 50 are slid up and down and the height adjustment pins 53 are fitted into the height adjusting holes 54 aligned between the fixed frame portion 51 and the variable frame portion 52, The height can be adjusted.

이에 따라, 전선드럼(3)의 휠(4) 크기가 다르더라도 수직 프레임(50)의 높낮이 조절을 통하여 다양한 크기의 전선드럼(3)을 거치할 수 있다는 작용효과가 있다. Accordingly, even if the sizes of the wheels 4 of the wire drums 3 are different, there is an effect that the wire drums 3 of various sizes can be mounted through the height adjustment of the vertical frame 50.

다음,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서 베이스 프레임(20)은 전단에 축봉(30)을 매개로 수직 프레임(50)에 거치된 전선드럼(3)으로부터 풀리는 전선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롤러(80)가 설치된다.Next,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se frame 20 includes a guide roller 80 for guiding the wire unwound from the wire drum 3 mounted on the vertical frame 50 via the shaft 30 at the front end, Respectively.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서, 안내롤러(80)는 베이스 프레임(20) 전단에 고정 설치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베이스 프레임(80) 폭 방향으로 보조 강관을 배치하고 이 보조강관에 안내롤러(80)가 설치된 것으로 도시하였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guide roller 80 is fixed to the front end of the base frame 20.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uxiliary steel pipe is dispos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base frame 80 and the guide roller 80 is installed Respectively.

또한 안내롤러(80)는 전선드럼(3)으로부터 풀리는 전선을 손상없이 인출할 수 있도록 내측면 모두에 롤러가 배설된다.
Further, the guide roller 80 is provided with rollers on both inner sides thereof so as to be able to pull out the wire unwound from the wire drum 3 without damaging it.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 예에 관한 것으로, 도 7 내지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제1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Next,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s in the first embodiment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principle.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 예는 소정 폭으로 이루어진 베이스 프레임(20)과, 베이스 프레임(20) 양측에 각 설치되되 내재된 실린더에 의해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고 상단에 전선드럼의 축봉(30)을 거치시킬 수 있도록 개폐 가능한 안착부(40)가 형성된 수직 프레임(50)과, 축봉(30)을 매개로 수직 프레임(50)에 거치된 전선드럼(3)에 대응하여 폭 조절이 가능하고 전선드럼 휠(4)을 안착시킬 수 있도록 수직 프레임(50) 하부에 축(101)과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한 쌍의 안착롤러(100) 및, 실린더를 통해 수직 프레임(50)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전선드럼 휠(4)이 안착롤러(100)에 밀착되는 정도에 따라 전선드럼(3)의 회전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유압 조절기(90)가 구비된다.The secon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base frame 20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and the base frame 20 are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base frame 20 and are adjustable in height by means of an internal cylinder, A vertical frame 50 in which a seat 40 capable of being opened and closed is formed so as to be able to be mounted on the vertical drum 50 and a wire drum 3 mounted on the vertical frame 50 via a shaft rod 30, A pair of seat rollers 100 provided under the vertical frame 50 so as to be able to seat the wheel 4 and rotatable integrally with the shaft 101 and a vertical frame 50 A hydraulic regulator 90 is provided for regulating the rotational speed of the wire drum 3 according to the degree to which the wire drum wheel 4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seating roller 100. [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서, 베이스 프레임(20)은 제1실시 예에서 설명한 설명한 바와 같이 소정 폭으로 강관을 나란하게 배치하고 이들 사이에 연결 강관을 배치하여 용접함으로써 H 형상으로 제작된다. 물론, 베이스 프레임(20)은 강관을 이용하여 소정 폭의 사각형상의 틀로 제작할 수도 있다.In the above technical construction, the base frame 20 is formed in an H shape by arranging steel pipes in a predetermined width in a manner as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and arranging connecting steel pipes therebetween. Of course, the base frame 20 may be formed into a rectangular frame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by using a steel pipe.

수직 프레임(50)은 베이스 프레임(20) 양측에 각 설치되되 베이스 프레임(20)에 고정 설치된 고정 프레임부(51)와 고정 프레임부(51)에 삽입 내재되어 상하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된 가변 프레임부(52) 및 고정 프레임부(51)와 가변 프레임부(52) 간에 삽입 설치된 실린더(미도시)로 이루어져 실린더의 작동에 따라 가변 프레임부(52)의 승강으로 수직 프레임(50)의 높낮이가 조절된다. The vertical frame 50 includes a fixed frame portion 51 provided at both sides of the base frame 20 and fixed to the base frame 20 and a flexible frame portion 51 inserted in the fixed frame portion 51, (Not shown) inserted between the fixed frame portion 51 and the variable frame portion 52. The vertical frame 50 is adjusted in height by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variable frame portion 52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cylinder do.

또한 수직 프레임(50)은 상단에 전선드럼(3)의 축봉(30)을 거치할 수 있도록 개폐 가능한 안착부(40)가 형성되는데, 안착부(40)는 수직 프레임(50) 상단에 축봉(30)을 안착시킬 수 있도록 안착홈(41)이 형성되고, 이 안착홈(41)을 개폐할 수 있도록 수직 프레임(50) 상단 일측과 힌지 결합되고 수직 프레임(50) 상단 타측과 핀(43)에 의해 잠금 처리되는 덮개판(42)으로 이루어진다. The vertical frame 50 is formed with a seating portion 40 capable of opening and closing so that the shaft rod 30 of the electric wire drum 3 can be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vertical frame 50. The seating portion 40 includes a shaft rod And a pin 43 is hinged to one side of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frame 50 so as to be able to open and close the seating groove 41, And a cover plate 42 that is locked by the cover plate 42.

안착롤러(100)는 베어링(102)에 의해 양단이 지지되고 수직 프레임(50) 하부에 설치된 축(101)에 설치되는데, 축(101)이 베어링(102)에 의해 지지되는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다각형상으로 제작되어 축(101)과 일체로 회전하고, 전선드럼(3)에 대응하여 폭 조절이 가능하도록 축(101)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된다. The seat roller 100 is mounted on a shaft 101 which is supported at its both ends by a bearing 102 and provided below the vertical frame 50. The seat roller 100 is provided with a bearing portion 102,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shaft 101 and is slidably installed along the shaft 101 so as to be adjustable in width in correspondence with the electric wire drum 3.

또한 안착롤러(100)는 수직 프레임(50)에 거치된 전선드럼의 휠(4)을 안착시킬 수 있도록 요홈이 형성된다. The seating roller 100 is also formed with a groove for seating the wheel 4 of the wire drum mounted on the vertical frame 50.

유압 조절기(90) 실린더를 통해 수직 프레임(50)의 높낮이를 조절하게 되는데, 수직 프레임(50)의 높이를 낮추어 전선드럼의 휠(4)을 안착롤러(100)에 안착시키고 이어서 수직 프레임(50)의 높이를 더 낮추어 전선드럼의 휠(4)을 안착롤러(100)에 밀착시킴에 따라 전선드럼(3)의 회전속도를 늦출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유압 조절기(90)는 전선드럼 휠(4)과 안착롤러(100) 간의 밀착 정도에 따라 전선이 풀릴 때 전선드럼(3)의 회전속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The height of the vertical frame 50 is adjusted by lowering the height of the vertical frame 50 to seat the wheel 4 of the electric wire drum on the seat roller 100 and then the vertical frame 50 The wheel 4 of the electric wire drum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seat roller 100 so that the rotational speed of the electric wire drum 3 can be reduced. Accordingly, the hydraulic regulator 90 can control the rotational speed of the wire drum 3 when the wire is loosen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contact between the wire drum wheel 4 and the seating roller 100.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 따르면, 개별상마다 독립되게 전선드럼(3)을 거치할 수 있고, 전선 또는 가선 작업시에 필요로 하는 개수 만큼의 전선드럼 거치대만을 운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직 프레임(50)의 높낮이 조절을 통해 전선이 풀릴 때 전선드럼(3)의 회전속도를 조절함으로써 전선의 처짐을 방지하는 등 설치 및 이동성, 작업성이 우수하다는 작용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arrangement, it is possible to independently mount the wire drums 3 for each individual phase, to operate only the wire drum cradles as many as necessary for the wires or the wires, There is an effect that the installation, the mobility and the workability are excellent such as the prevention of sagging of the wire by adjusting the rotation speed of the wire drum 3 when the wire is loosened by adjusting the height.

다음, 상기의 베이스 프레임(20)은 전방 또는 후방에 위치하는 타 독립형 전선드럼 거치대와 상호 결속할 수 있도록 전단과 후단에 체결용 플랜지(10)가 형성되고, 수직 프레임(50)은 측방에 위치하는 타 독립형 전선드럼 거치대와 상호 결속할 수 있도록 외측단에 측면 체결용 플랜지(60)가 형성된다. Next, the base frame 20 is formed with a fastening flange 10 at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so as to be mutually coupled with other independent cable drum cages positioned forward or rearward, and the vertical frame 50 is positioned at the side And a flange 60 for side fastening is formed at the outer end so as to be mutually coupled with other independent wire drum rests.

상기의 기술적 구성은 제1실시 예에서 설명한 바가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도 3 및 4 참조). Since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structure has been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a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see Figs. 3 and 4).

다음, 본 발명의 제2실시 예는 차량의 적재함 벽체(1)에 고정 설치할 수 있도록 적재함 벽체(1) 상측에 탈착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되 적재함 벽체(1) 상단에 돌출 형성된 체결돌기(2)에 대응하여 체결공(71)이 천공되고 측면 체결용 플랜지(60)에 천공된 장홀(61)에 대응하여 볼트부재(72)가 형성된 고정용 플랜지(70)가 더 구비된다.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astening protrusion 2, which is detachably fitted on the upper side of a loading wall body 1 so as to be fixedly mounted on a loading wall body 1 of a vehicle, And a fixing flange 70 formed with a bolt member 72 corresponding to an elongated hole 61 formed in the flange 60 for side fastening in correspondence with the fastening hole 71.

상기의 기술적 구성은 제1실시 예에서 설명한 바가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도 5 및 6 참조).Since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structure has been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see Figs. 5 and 6).

다음, 도 9를 참조하면 상기의 수직 프레임(50)은 베이스 프레임(20)에 고정 설치된 고정 프레임부(51)와, 고정 프레임부(51)에 삽입 내재되어 실린더에 의해 상하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된 가변 프레임부(52)로 이루어지되, 베이스 프레임(20)에 수직 프레임(50)과 나란하게 걸대(110)가 설치되고 걸대(110)와 가변 프레임부(52) 간에 인장스프링(120)이 결속되어 실린더의 유압 해제시 늘어난 인장스프링(120)의 탄성력에 의해 가변 프레임부(52)가 원위치되도록 조력하게 된다. 9, the vertical frame 50 includes a fixed frame portion 51 fixed to the base frame 20, and a vertical frame portion 51 which is inserted in the fixed frame portion 51 and is slidably installed up and down by a cylinder And a tension spring 120 is coupled between the strap 110 and the variable frame portion 52. The tension spring 120 is connected to the variable frame portion 52, So that the variable frame portion 52 is retracted by the resilient force of the tension spring 120 which is stretched when the cylinder is released from the hydraulic pressure.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서, 실린더에 의해 수직 프레임(50), 정확하게는 가변 프레임부(52)가 하강한 상태에서 실린더의 유압이 해제되면 실린더가 신장하여 가변 프레임부(52)가 서서히 상승하게 되는데, 이때 가변 프레임부(52)가 원위치하는데 조력할 수 있도록 인장스프링(120)이 사용된다.In the above technical construction, when the hydraulic pressure of the cylinder is released in a state where the vertical frame 50, more precisely the variable frame portion 52 is lowered by the cylinder, the cylinder extends and the variable frame portion 52 gradually rises. At this time, the tension spring 120 is used to assist the variable frame portion 52 in place.

즉, 수직 프레임(50)과 나란하게 일측이 절개된 원통형의 걸대(110)가 설치되고, 이 걸대(110) 속에 인장스프링(120)이 매달려 설치된다. 또한 가변 프레임부(52)에는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인장스프링(120)의 하단과 결속된 연결 바(111)가 설치되어 가변 프레임부(52)가 하강함에 따라 인장스프링(120)이 늘어나게 된다. That is, a cylindrical hanging bar 110 is installed at one side in parallel with the vertical frame 50, and a tension spring 120 is suspended in the hanging bar 110. The tension spring 120 is extended in the variable frame portion 52 as the variable frame portion 52 is lowered by providing a connection bar 111 extending downwardly and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tension spring 120.

따라서 실린더의 유압이 해제되면 인장스프링(120)이 수축되려는 탄성력에 의해 가변 프레임부(52)를 신속하게 원위치 시킬 수 있게 된다.
Accordingly, when the hydraulic pressure of the cylinder is released, the variable frame portion 52 can be quickly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due to the elastic force of the tension spring 120 to be contracted.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제3실시 예에 관한 것으로, 도 10 내지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제1, 2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Next,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0 to 12. FIG. The same components as in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principle.

본 발명에 따른 제3실시 예는 소정 폭으로 이루어진 베이스 프레임(20)과, 베이스 프레임(20) 양측에 각 설치되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고 상단에 전선드럼의 축봉(30)을 거치시킬 수 있도록 개폐 가능한 안착부(40)가 형성된 수직 프레임(50)과, 축봉(30)을 매개로 수직 프레임(50)에 거치된 전선드럼(3)에 대응하여 수직 프레임(50) 하부에 회동축(131)을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시소부(130)가 설치되되 시소부(130) 일측단에 폭 조절이 가능한 한 쌍의 가압롤러(140)가 설치되고 시소부(130) 타측단에 가압롤러(140)를 전선드럼의 휠(4)에 밀착시켜 가압하기 위한 가압실린더(150) 및, 가압실린더(150)를 통해 시소부(130)를 회동시켜 전선드럼의 휠(4)이 가압롤러(140)에 의해 가압되는 정도에 따라 전선드럼(3)의 회전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유압 조절기(90)가 구비된다. The thir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base frame 20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is provided, and both sides of the base frame 20 are opened and closed so that the elevation can be adjusted and the shaft rod 30 of the wire drum can be mounted on the upper side. A vertical frame 50 in which a possible seat 40 is formed and a rotary shaft 131 provided below the vertical frame 50 in correspondence with the electric wire drum 3 mounted on the vertical frame 50 via the shaft rod 30. [ A pair of pressure rollers 140 are provided at one end of the seesection 130 and a pressure roller 140 is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seesection 130, A pressing cylinder 150 for pressing and pressing the wheel 4 of the wire drum against the wheel 4 of the wire drum and the seam part 130 through the pressing cylinder 150 to rotate the wheel 4 of the wire drum to the pressing roller 140 A hydraulic regulator 90 for regulating the rotational speed of the wire drum 3 is provided.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서, 베이스 프레임(20)은 제1, 2실시 예에서 설명한 설명한 바와 같이 소정 폭으로 강관을 나란하게 배치하고 이들 사이에 연결 강관을 배치하여 용접함으로써 H 형상으로 제작된다. 물론, 베이스 프레임(20)은 강관을 이용하여 소정 폭의 사각형상의 틀로 제작할 수도 있다.In the above technical construction, the base frame 20 is formed in an H-shape by arranging steel pipes in a predetermined width in a manner as described in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and arranging connecting steel pipes therebetween. Of course, the base frame 20 may be formed into a rectangular frame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by using a steel pipe.

수직 프레임(50)은 베이스 프레임(20) 양측에 각 설치되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고 상단에 전선드럼의 축봉(30)을 안착시킬 수 있도록 안착부(40)가 형성되는데, 안착부(40)는 수직 프레임(50) 상단에 축봉(30)을 안착시킬 수 있도록 안착홈(41)이 형성되고, 이 안착홈(41)을 개폐할 수 있도록 수직 프레임(50) 상단 일측과 힌지 결합되고 수직 프레임(50) 상단 타측과 핀(43)에 의해 잠금 처리되는 덮개판(42)으로 이루어진다.The vertical frame 50 i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base frame 20 and is adjustable in height and has a seating part 40 for seating the shaft rod 30 of the electric wire drum. A seating groove 41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frame 50 to seat the shaft rod 30 and is hinged to one side of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frame 50 so as to be able to open and close the seating groove 41, 50), and a cover plate (42) which is locked by a pin (43).

시소부(130)는 회동축(131)을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수직 프레임(50) 하부에 설치되는데, 회동축(131)을 중심으로 V 형태로 이루어져 일측단에 폭 조절이 가능한 한 쌍의 가압롤러(140)가 설치되고 타측단과 베이스 프레임(20) 사이에 가압실린더(150)가 설치된다.The seesection 130 is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vertical frame 50 so as to be rotatable via the rotary shaft 131. The seesection 130 includes a pair of presses A roller 140 is installed and a pressurizing cylinder 150 is installed between the other end and the base frame 20. [

즉, 시소부(130)는 한 쌍으로 이루어져 일측단에 슬라이드 봉(132)이 축설되고, 전선드럼(3)에 대응하여 폭 조절이 가능하도록 가압롤러(140)가 슬라이드 봉(132)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That is, the seesection 130 is composed of a pair and the slide bar 132 is installed at one end and the pressure roller 140 is moved along the slide bar 132 so that the width can be adjusted corresponding to the electric wire drum 3 And is movably installed.

가압실린더(150)는 시소부(130)의 타측단과 베이스 프레임(20) 간에 설치되어 실린더의 신장시에는 회동축(131)을 중심으로 시소부(130)가 하향 회전하여 가압롤러(140)가 전선드럼의 휠(4)로부터 이격되고, 실린더의 수축시에는 회동축(131)을 중심으로 시소부(130)가 상향 회전하여 가압롤러(140)가 전선드럼의 휠(4)에 밀착되게 된다. The pressurizing cylinder 150 is installed between the other end of the seesection 130 and the base frame 20. When the cylinder is extended, the seesection 130 rotates downward about the pivot 131, When the cylinder is retracted, the seesaw part 130 rotates upward about the rotation axis 131 and the pressing roller 140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wheel 4 of the electric wire drum .

유압 조절기(90)는 가입실린더(150)를 통해 시소부(130)를 회동시켜 가압롤러(140)를 전선드럼 휠(4)로부터 이격시키거나 전선드럼 휠(4)과 밀착시키게 되는데, 전선드럼 휠(4)이 가압롤러(140)에 의해 가압되는 정도에 따라 전선드럼(3)의 회전속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The hydraulic regulator 90 rotates the seesection 130 through the subordinate cylinder 150 so as to separate the pressure roller 140 from the wire drum wheel 4 or come into close contact with the wire drum wheel 4, The rotation speed of the wire drum 3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degree to which the wheel 4 is pressed by the pressure roller 140. [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 따르면, 개별상마다 독립되게 전선드럼(3)을 거치할 수 있고, 전선 또는 가선 작업시에 필요로 하는 개수 만큼의 전선드럼 거치대만을 운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압롤러(140)에 의한 전선드럼 휠(4)과의 밀착 정도에 따라 전선이 풀릴 때 전선드럼(3)의 회전속도를 조절할 수 있어 전선의 처짐을 방지하는 등 설치 및 이동성, 작업성이 우수하다는 작용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above technical construction, it is possible to independently mount the wire drums 3 for each individual phase, to operate only the wire drum cradles as many as the number required for electric wires or wires, The rotation speed of the wire drum 3 can be adjusted when the wire is loosen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close contact with the wire drum wheel 4 by the wire drum 4, thereby preventing the wire from sagging.

다음, 상기의 베이스 프레임(20)은 전방 또는 후방에 위치하는 타 독립형 전선드럼 거치대와 상호 결속할 수 있도록 전단과 후단에 체결용 플랜지(10)가 형성되고, 수직 프레임(50)은 측방에 위치하는 타 독립형 전선드럼 거치대와 상호 결속할 수 있도록 외측단에 측면 체결용 플랜지(60)가 형성된다. Next, the base frame 20 is formed with a fastening flange 10 at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so as to be mutually coupled with other independent cable drum cages positioned forward or rearward, and the vertical frame 50 is positioned at the side And a flange 60 for side fastening is formed at the outer end so as to be mutually coupled with other independent wire drum rests.

상기의 기술 구성은 제1실시 또는 제2실시 예에서 설명한 바가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도 3 및 4 참조).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arrangement has been described in the first or second embodiment,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see FIGS. 3 and 4).

다음, 본 발명에 따른 제3실시 예는 차량의 적재함 벽체(1)에 고정 설치할 수 있도록 적재함 벽체(1) 상측에 탈착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되 적재함 벽체(1) 상단에 돌출 형성된 체결돌기(2)에 대응하여 체결공(71)이 천공되고 측면 체결용 플랜지(60)에 천공된 장홀(61)에 대응하여 볼트부재(72)가 형성된 고정용 플랜지(70)가 더 구비된다. A thir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fastening protrusion 2 projectingly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loading wall body 1 and detachably fitted on the upper side of the loading wall body 1 so as to be fixed to the loading wall body 1 of the vehicle, And a fixing flange 70 formed with a bolt member 72 corresponding to the long hole 61 formed in the side fastening flange 60 in correspondence with the fastening hole 71 formed in the side fastening flange 60.

상기의 기술 구성 역시 제1실시 또는 제2실시 예에서 설명한 바가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도 6 참조). Since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structure is also described in the first or second embodimen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refer to FIG. 6).

다음, 상기의 수직 프레임(50)은 베이스 프레임(20)에 고정 설치된 고정 프레임부(51)와, 고정 프레임부(51)에 삽입 내재되어 상하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된 가변 프레임부(52)로 이루어지되 높낮이 조절핀(53)을 끼워 수직 프레임(5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고정 프레임부(51)와 가변 프레임부(52)에 길이방향으로 복수개의 높낮이 조절용 체결공(54)이 천공된다.The vertical frame 50 includes a fixed frame portion 51 fixed to the base frame 20 and a variable frame portion 52 inserted in the fixed frame portion 51 and slidable upward and downward A plurality of height adjusting holes 54 are formed in the fixed frame portion 51 and the variable frame portion 52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as to adjust the height of the vertical frame 50 by sandwiching the height adjusting pins 53.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서, 수직 프레임(50)의 높낮이 조절을 통해 다양한 크기의 전선드럼(3)을 거치시킬 수 있고, 전선드럼 휠(4)을 시소부(130)의 회전반경 내에 위치시킬 수 있게 된다.In the above technical arrangement, it is possible to mount the wire drums 3 of various sizes through the adjustment of the height of the vertical frame 50 and to position the wire drum wheel 4 within the turning radius of the seesection 130 do.

다음으로, 가압실린더(150)의 유압 해제시 실린더의 신장으로 가압롤러(140)가 원위치하게 되는데, 가압롤러(140)가 신속하게 원위치하도록 시소부(130) 일측단, 예컨대 슬라이드 봉(132)과 베이스 프레임(50) 간에 코일스프링(160)이 결속된다. The pressure roller 140 is returned to its initial position due to the extension of the cylinder when the pressure of the pressure cylinder 150 is released. And the coil spring 160 is coupled between the base frame 50 and the base frame 50.

따라서 가압실린더(150)에 유압이 공급되어 실린더(로드)가 수축되는 경우 축(131)을 중심으로 시소부(130)가 상향 회전하여 가압롤러(140)가 전선드럼의 휠(4)에 밀착되고 이때 시소부(130)의 타측단과 베이스 프레임(20) 간에 결속된 코일스프링(160)이 늘어나는 반면, 가압실린더(150)의 유압이 해제되면 코일스프링(160)의 탄성력에 의해 시소부(130)가 하향 회전함으로써 가압롤러(150)를 신속하게 원위치시킬 수 있게 된다. Therefore, when hydraulic pressure is supplied to the pressurizing cylinder 150 and the cylinder (rod) is contracted, the seam portion 130 rotates upward about the shaft 131 so that the pressurizing roller 140 closely contacts the wheel 4 of the wire drum At this time, the coil spring 160 coupled between the other end of the seesection 130 and the base frame 20 is extend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hydraulic pressure of the pressure cylinder 150 is released, the seesection 130 The pressure roller 150 can be quickly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실시 예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의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1 : 적재함 벽체
2 : 체결돌기
3 : 전선드럼
4 : 전선드럼 휠
10: 체결용 플랜지
11: 체결공
20: 베이스 프레임
30: 축봉
40: 안착부
41: 안착홈
42: 덮개판
43: 핀
50: 수직 프레임
51: 고정 프레임부
52: 가변 프레임부
53: 높낮이 조절핀
54: 높낮이 조절용 체결공
60: 측면 체결용 플랜지
70: 고정용 플랜지
71: 체결공
72: 볼트부재
80: 안내롤러
90: 유압 조절기
100: 안착롤러
101: 축
102: 베어링
110: 걸대
111: 연결바
120: 인장스프링
130: 시소부
131: 회동축
132: 슬라이드 봉
140: 가압롤러
150: 가압실린더
160: 코일스프링
A,B : 독립형 전선드럼 거치대
C : 체결구
1: Loading wall
2: fastening projection
3: Electric drum
4: Front drum wheel
10: Flange for fastening
11: Fasteners
20: Base frame
30: Axis
40:
41: seat groove
42: Cover plate
43:
50: vertical frame
51: Fixed frame part
52: Variable frame part
53: Height adjustment pin
54: Height adjustment bolt
60: flange for side fastening
70: Fixing flange
71: fastening hole
72: Bolt member
80: guide roller
90: Hydraulic regulator
100: seat roller
101: Axis
102: Bearings
110: Hangers
111: Connection bar
120: Tension spring
130: seesaw department
131:
132: Slide rod
140: pressure roller
150: Pressure cylinder
160: coil spring
A, B: Stand alone wire drum holder
C: Fastener

Claims (13)

소정 폭으로 이루어지되 전방 또는 후방에 위치하는 타 독립형 전선드럼 거치대(A)와 상호 결속할 수 있도록 전단과 후단에 체결용 플랜지(10)가 형성된 베이스 프레임(20)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20) 양측에 각 설치되고 상단에 전선드럼의 축봉(30)을 거치시킬 수 있도록 개폐 가능한 안착부(40)가 형성된 수직 프레임(50) 및,
측방에 위치하는 타 독립형 전선드럼 거치대(B)와 상호 결속할 수 있도록 상기 수직 프레임(50) 외측단에 측면 체결용 플랜지(6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형 전선드럼 거치대.
A base frame 20 having flanges 10 for fastening at the front and rear ends so as to be mutually coupled with other independent wire drum cradles A,
A vertical frame 50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base frame 20 and having a seating part 40 which can be opened and closed so as to mount the shaft rod 30 of the electric wire drum,
(60) is formed at an outer end of the vertical frame (50) so as to be mutually coupled with another independent wire drum rest (B) positioned at the side of the vertical drum (50).
제 1항에 있어서,
차량의 적재함 벽체(1)에 고정 설치할 수 있도록 상기 적재함 벽체(1) 상측에 탈착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되 상기 적재함 벽체(1) 상단에 돌출 형성된 체결돌기(2)에 대응하여 체결공(71)이 천공되고 상기 측면 체결용 플랜지(60)에 천공된 장홀(61)에 대응하여 볼트부재(72)가 형성된 고정용 플랜지(7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형 전선드럼 거치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fastening hole 71 corresponding to a fastening protrusion 2 protruding from the upper end of the loading wall body 1 is detachably fitted on the loading wall body 1 so as to be fixedly mounted on the loading wall body 1 of the vehicle Further comprising a fixing flange (70) formed with a bolt member (72) corresponding to an elongated hole (61) drilled in the side coupling flange (6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프레임(50)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20)에 고정 설치된 고정 프레임부(51)와, 상기 고정 프레임부(51)에 삽입 내재되어 상하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된 가변 프레임부(52)로 이루어지되 높낮이 조절핀(53)을 끼워 상기 수직 프레임(5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 프레임부(51)와 상기 가변 프레임부(52)에 길이방향으로 복수개의 높낮이 조절용 체결공(54)이 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형 전선드럼 거치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vertical frame 50 includes a fixed frame portion 51 fixed to the base frame 20 and a flexible frame portion 52 inserted in the fixed frame portion 51 and slidable upward and downward A plurality of height adjusting holes 54 are formed in the fixed frame portion 51 and the variable frame portion 52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as to adjust the height of the vertical frame 50 by sandwiching the height adjusting pin 53 Wherein the drum cradle is a stand-alone cable drum cradl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20)은 전단에 상기 축봉(30)을 매개로 상기 수직 프레임(50)에 거치된 전선드럼(3)으로부터 풀리는 전선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롤러(8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형 전선드럼 거치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a guide roller (80) for guiding an electric wire to be unwound from a wire drum (3) placed on the vertical frame (50) is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the base frame (20) via the shaft rod (30) Cable drum holder.
소정 폭으로 이루어진 베이스 프레임(20)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20) 양측에 각 설치되되 내재된 실린더에 의해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고 상단에 전선드럼의 축봉(30)을 거치시킬 수 있도록 개폐 가능한 안착부(40)가 형성된 수직 프레임(50)과,
상기 축봉(30)을 매개로 상기 수직 프레임(50)에 거치된 전선드럼(3)에 대응하여 폭 조절이 가능하고 상기 전선드럼 휠(4)을 안착시킬 수 있도록 상기 수직 프레임(50) 하부에 축(101)과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한 쌍의 안착롤러(100) 및,
상기 실린더를 통해 상기 수직 프레임(50)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상기 전선드럼 휠(4)이 상기 안착롤러(100)에 밀착되는 정도에 따라 상기 전선드럼(3)의 회전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유압 조절기(9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형 전선드럼 거치대.
A base frame 20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A vertical frame 50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base frame 20 and capable of being adjusted in height by an internal cylinder and having a seating part 40 openable and closable to mount the shaft rod 30 of the electric drum, ,
The width of the wire drum 4 can be adjust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wire drum 3 mounted on the vertical frame 50 via the shaft rod 30, A pair of seat rollers 100 provided so as to be rotatable integrally with the shaft 101,
A hydraulic regulator for regulating the rotational speed of the electric wire drum 3 according to the degree to which the electric wire drum wheel 4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seat roller 100 by adjusting the height of the vertical frame 50 through the cylinder, (90) is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rum.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20)은 전방 또는 후방에 위치하는 타 독립형 전선드럼 거치대(A)와 상호 결속할 수 있도록 전단과 후단에 체결용 플랜지(10)가 형성되고,
상기 수직 프레임(50)은 측방에 위치하는 타 독립형 전선드럼 거치대(B)와 상호 결속할 수 있도록 외측단에 측면 체결용 플랜지(6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형 전선드럼 거치대.
6. The method of claim 5,
The base frame 20 is formed with flanges 10 for fastening at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so as to be mutually coupled with other independent cable drum cages A positioned forward or rearward,
Wherein the vertical frame (50) is formed with a flange (60) for side fastening at an outer end thereof so as to be mutually coupled with the other independent wire drum rest (B) positioned at the side.
제 6항에 있어서,
차량의 적재함 벽체(1)에 고정 설치할 수 있도록 상기 적재함 벽체(1) 상측에 탈착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되 상기 적재함 벽체(1) 상단에 돌출 형성된 체결돌기(2)에 대응하여 체결공(71)이 천공되고 상기 측면 체결용 플랜지(60)에 천공된 장홀(61)에 대응하여 볼트부재(72)가 형성된 고정용 플랜지(7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형 전선드럼 거치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A fastening hole 71 corresponding to a fastening protrusion 2 protruding from the upper end of the loading wall body 1 is detachably fitted on the loading wall body 1 so as to be fixedly mounted on the loading wall body 1 of the vehicle Further comprising a fixing flange (70) formed with a bolt member (72) corresponding to an elongated hole (61) drilled in the side coupling flange (60).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프레임(50)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20)에 고정 설치된 고정 프레임부(51)와, 상기 고정 프레임부(51)에 삽입 내재되어 상기 실린더에 의해 상하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된 가변 프레임부(52)로 이루어지되,
상기 베이스 프레임(20)에 상기 수직 프레임(50)과 나란하게 걸대(110)가 설치되고 상기 걸대(110)와 상기 가변 프레임부(52) 간에 인장스프링(120)이 결속되어 상기 실린더의 유압 해제시 늘어난 상기 인장스프링(12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가변 프레임부(52)가 원위치되도록 조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형 전선드럼 거치대.
6. The method of claim 5,
The vertical frame 50 includes a fixed frame portion 51 fixed to the base frame 20 and a variable frame portion 52 inserted in the fixed frame portion 51 and slidable up and down by the cylinder ),
A bracket 110 is installed on the base frame 20 in parallel to the vertical frame 50 and a tensile spring 120 is coupled between the bracket 110 and the variable frame portion 52, , So that the variable frame portion (52) is retract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tension spring (120).
소정 폭으로 이루어진 베이스 프레임(20)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20) 양측에 각 설치되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고 상단에 전선드럼의 축봉(30)을 거치시킬 수 있도록 개폐 가능한 안착부(40)가 형성된 수직 프레임(50)과,
상기 축봉(30)을 매개로 상기 수직 프레임(50)에 거치된 전선드럼(3)에 대응하여 상기 수직 프레임(50) 하부에 축(131)을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시소부(130)가 설치되되 상기 시소부(130) 일측단에 폭 조절이 가능한 한 쌍의 가압롤러(140)가 설치되고 상기 시소부(130) 타측단에 상기 가압롤러(140)를 상기 전선드럼의 휠(4)에 밀착시켜 가압하기 위한 가압실린더(150) 및,
상기 가압실린더(150)를 통해 상기 시소부(130)를 회동시켜 상기 전선드럼의 휠(4)이 상기 가압롤러(140)에 의해 가압되는 정도에 따라 상기 전선드럼(3)의 회전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유압 조절기(9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형 전선드럼 거치대.
A base frame 20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A vertical frame 50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base frame 20 and having a seat 40 adjustable in height and capable of opening and closing so as to mount a shaft rod 30 of a wire drum at an upper end,
A seam part 130 is installed in a lower part of the vertical frame 50 corresponding to a wire drum 3 mounted on the vertical frame 50 via the shaft rod 30 so as to be rotatable via a shaft 131 A pair of pressure rollers 140 capable of adjusting the width are provided at one end of the seesection 130 and the pressure roller 140 is disposed on the other end of the seesection 130 on the wheel 4 of the wire drum A pressurizing cylinder 150 for pressurizing and pressing closely,
The rotation speed of the electric wire drum 3 is controlled according to the extent to which the wheel 4 of the electric wire drum is pressed by the pressure roller 140 by rotating the seesection 130 through the pressure cylinder 150 And a hydraulic pressure regulator (90) is provided for the hydraulic cylinder.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20)은 전방 또는 후방에 위치하는 타 독립형 전선드럼 거치대(A)와 상호 결속할 수 있도록 전단과 후단에 체결용 플랜지(10)가 형성되고,
상기 수직 프레임(50)은 측방에 위치하는 타 독립형 전선드럼 거치대(B)와 상호 결속할 수 있도록 외측단에 측면 체결용 플랜지(6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형 전선드럼 거치대.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base frame 20 is formed with flanges 10 for fastening at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so as to be mutually coupled with other independent cable drum cages A positioned forward or rearward,
Wherein the vertical frame (50) is formed with a flange (60) for side fastening at an outer end thereof so as to be mutually coupled with the other independent wire drum rest (B) positioned at the side.
제 10항에 있어서,
차량의 적재함 벽체(1)에 고정 설치할 수 있도록 상기 적재함 벽체(1) 상측에 탈착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되 상기 적재함 벽체(1) 상단에 돌출 형성된 체결돌기(2)에 대응하여 체결공(71)이 천공되고 상기 측면 체결용 플랜지(60)에 천공된 장홀(61)에 대응하여 볼트부재(72)가 형성된 고정용 플랜지(7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형 전선드럼 거치대.
11. The method of claim 10,
A fastening hole 71 corresponding to a fastening protrusion 2 protruding from the upper end of the loading wall body 1 is detachably fitted on the loading wall body 1 so as to be fixedly mounted on the loading wall body 1 of the vehicle Further comprising a fixing flange (70) formed with a bolt member (72) corresponding to an elongated hole (61) drilled in the side coupling flange (6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프레임(50)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20)에 고정 설치된 고정 프레임부(51)와, 상기 고정 프레임부(51)에 삽입 내재되어 상하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된 가변 프레임부(52)로 이루어지되 높낮이 조절핀(53)을 끼워 상기 수직 프레임(5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 프레임부(51)와 상기 가변 프레임부(52)에 길이방향으로 복수개의 높낮이 조절용 체결공(54)이 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형 전선드럼 거치대.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vertical frame 50 includes a fixed frame portion 51 fixed to the base frame 20 and a flexible frame portion 52 inserted in the fixed frame portion 51 and slidable upward and downward A plurality of height adjusting holes 54 are formed in the fixed frame portion 51 and the variable frame portion 52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as to adjust the height of the vertical frame 50 by sandwiching the height adjusting pin 53 Wherein the drum cradle is a stand-alone cable drum cradle.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실린더(150)의 유압 해제시 상기 가압롤러(140)가 원위치하도록 상기 시소부(130) 일측단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50) 간에 코일스프링(160)이 결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형 전선드럼 거치대.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a coil spring (160) is coupled between one end of the seam part (130) and the base frame (50) such that the pressure roller (140) is retracted when the pressure of the pressure cylinder .
KR1020160034533A 2016-03-23 2016-03-23 Stand-alone wire drum stand KR10181785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4533A KR101817852B1 (en) 2016-03-23 2016-03-23 Stand-alone wire drum stan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4533A KR101817852B1 (en) 2016-03-23 2016-03-23 Stand-alone wire drum stan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0312A true KR20170110312A (en) 2017-10-11
KR101817852B1 KR101817852B1 (en) 2018-02-21

Family

ID=60139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4533A KR101817852B1 (en) 2016-03-23 2016-03-23 Stand-alone wire drum stan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7852B1 (en)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94762A (en) * 2018-04-18 2018-08-14 湖州同立光电材料有限公司 A kind of silk-covered wire blanking conveyer
CN111285201A (en) * 2020-02-27 2020-06-16 江苏省新安瑞智能工程有限公司 Stringing device with winding function for connecting wire
KR20200119357A (en) * 2019-03-14 2020-10-20 양선 The filament guide for 3d printer, and 3d printer using thereof
CN113241676A (en) * 2021-06-23 2021-08-10 陕西德能电力工程有限公司 Electric power construction tensioner bullwheel
KR20220099776A (en) * 2021-01-07 2022-07-14 우재형 Cable Drum Extractor
CN117886182A (en) * 2024-03-07 2024-04-16 潍坊市勘察测绘研究院 Pay-off is used in engineering survey and drawing
CN117886182B (en) * 2024-03-07 2024-06-04 潍坊市勘察测绘研究院 Pay-off is used in engineering survey and drawing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1351B1 (en) * 2019-06-03 2020-03-19 우재형 Cable Drum Extractor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94762A (en) * 2018-04-18 2018-08-14 湖州同立光电材料有限公司 A kind of silk-covered wire blanking conveyer
KR20200119357A (en) * 2019-03-14 2020-10-20 양선 The filament guide for 3d printer, and 3d printer using thereof
CN111285201A (en) * 2020-02-27 2020-06-16 江苏省新安瑞智能工程有限公司 Stringing device with winding function for connecting wire
KR20220099776A (en) * 2021-01-07 2022-07-14 우재형 Cable Drum Extractor
CN113241676A (en) * 2021-06-23 2021-08-10 陕西德能电力工程有限公司 Electric power construction tensioner bullwheel
CN117886182A (en) * 2024-03-07 2024-04-16 潍坊市勘察测绘研究院 Pay-off is used in engineering survey and drawing
CN117886182B (en) * 2024-03-07 2024-06-04 潍坊市勘察测绘研究院 Pay-off is used in engineering survey and draw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7852B1 (en) 2018-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7852B1 (en) Stand-alone wire drum stand
KR101473822B1 (en) Method for hot line work of power distribution equipment
KR101950238B1 (en) Stand-alone electric wire drum stand for electric wire laying
US20190148923A1 (en) Cable pulling apparatus for cable tray
KR101261457B1 (en) A wiring apparatus of drum cable
KR101848936B1 (en) electric supply equipment replacement apparatus using a crane
KR100921634B1 (en) Unwinding apparatus of cable
US10315894B2 (en) Winch fairlead guide
KR101413414B1 (en) Traction track tention adjusting device of cable routing caterpillar
US3306581A (en) Cable pulling mechanism
US20220170582A1 (en) CIPP Liner Feed Roller
KR101921520B1 (en) Circular roller Circular rollers for installation of underground power line
KR20190058047A (en) Apparatus for preventing twisting wire
KR101756055B1 (en) Multi-purpose cable tension maintenance and installation device
KR20100053383A (en) Three cable drum device
KR100837439B1 (en) cart for mounting leaf spring
KR101862561B1 (en) The apparatus for carrying of automatic for dump cover
KR101261828B1 (en) electric rolling equipment for cable guide
AU2011318237A1 (en) Cable laying device and cable installation system
KR200487710Y1 (en) Electric cable guide apparatus using motor
KR102125972B1 (en) cable winding drum stand
CN117353209A (en) Traction device for laying power transmission line
JPH06205511A (en) Overhead earth-wire dip control and replacement method
RU128024U1 (en) INSTALLATION FOR MOUNTING THE SENSOR CABLE ON THE PIPELINE SURFACE
CA2956472A1 (en) Winch fairlead guid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